どこかで鐘が鳴って
どこかで鐘が鳴って
らしくない言葉が浮かんで
寒さが心地よくて
あれ なんで恋なんかしてんだろう
聖夜だなんだと繰り返す歌と
わざとらしくきらめく街のせいかな
会いたいと思う回数が
会えないと痛いこの胸が
君の事どう思うか教えようとしてる
いいよ そんな事自分で分かってるよ
サンタとやらに頼んでも仕方ないよなぁ
できれば横にいて欲しくて
どこにも行って欲しくなくて
僕の事だけをずっと考えていて欲しい
でもこんな事を伝えたら格好悪いし
長くなるだけだからまとめるよ
君が好きだ
はしゃぐ恋人達は
トナカイのツノなんか生やして
よく人前で出来るなぁ
いや 羨ましくなんてないけど
君が喜ぶプレゼントってなんだろう
僕だけがあげられるものってなんだろう
大好きだと言った返事が
思ってたのとは違っても
それだけで嫌いになんてなれやしないから
星に願いをなんてさ 柄じゃないけど
結局君じゃないと嫌なんだって
見上げてるんだ
あの時君に出会って ただそれだけで
自分も知らなかった自分が次から次に
会いたいと毎日思ってて
それを君に知って欲しくて
すれ違う人混みに君を探している
こんな日は他の誰かと笑ってるかな
胸の奥の奥が苦しくなる
できれば横にいて欲しくて
どこにも行って欲しくなくて
僕の事だけをずっと考えていて欲しい
やっぱりこんな事伝えたら格好悪いし
長くなるだけだからまとめるよ
君が好きだ
聞こえるまで何度だって言うよ
君が好きだ
どこかで鐘が鳴って
鳴る
《고어》 태어나다; 이루어지다. 이룩되다. 완성[성취]되다; (조직 등이) …로 되다[이루어지다]. 구성되다; 〈흔히, 否定語·反語가 따름〉 할 수 있다. 용납되다. 가능하다; (장기에서) 王将·金将 이외의 말이 적진에 들어가서 다른 기능을 더하게 됨. 〔참고〕 飛車와 角行는 본래의 기능 외에 전자는 銀将, 후자는 金将의 능력도 얻게 되고 기타의 말은 金将와 같은 자격을 얻음; 행차하시다. 【가능동사】 な·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お[ご]…になる」의 꼴로 動詞의 連用形이나 동작을 나타내는 한자어에 붙음》 …하시다. 【가능동사】 な·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소리가 나다. 울리다; 널리 알려지다. 떨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 なり
鐘
⇒ やきがね; 금속. 특히, 금·은·철·구리 등; 돈. 금전. 화폐. 재산. 〔동의어〕ぜに·おかね; 직선. 직각; 꽹과리. 징; 철장. 쇠를 물 또는 초에 담가 산화시켜서 얻은 암갈색의 액체. ((주로 옛날에 이를 검게 물들이는 데 썼음)) 〔동의어〕おはぐろ; 종; 종소리. 〔참고〕 「一口, …」또는 「一口, …」로 셈
らしくない言葉が浮かんで
浮かぶ
뜨다. 〔동의어〕浮く. 〔반의어〕 沈む; (표면에) 나타나다. 드러나다; (머릿속에) 떠오르다; 「浮かべる」의 문어
言葉
말. 언어; 단어. 문장; 말투. 말씨; (소설·희곡 등에서) 회화 부분
らしい
《名詞(때로는 副詞·形容動詞)에 붙어 形容詞를 만듦》; …답다. …스럽다; …인 듯한 기분이 들다; 《江戸 시대 이후에 形容詞를 만드는 接尾語 「らしい」가 助動詞로서 독립하여 쓰이게 된 것. 動詞·形容詞·助動詞(「う」 「よう」 「まい」 「だ」 「です」 「ようだ」 이외)의 終止形, 形容動詞·助動詞 「そうだ」의 어간, 体言, 상태·정도를 나타내는 副詞, 助詞(「の」 「から」 「まで」 「など」 「ばかり」 등)에 붙음》; 〈어떤 객관적인 상태·사실을 근거로 한 추량을 나타냄. 또는 근거가 될 만한 객관적인 상태·사실이 없는 경우에 단정적인 말을 피하고 완곡하게 표현함〉 …인 듯하다. …인 것 같다. …인 모양이다; 〈흔히 体言 또는 形容動詞에 붙어〉 잘 어울리는 상태, 또는 아주 비슷한 상태임을 나타냄. …답다. …스럽다. 〔참고〕 ㉠連用形 「らしゅう」는 「ございます」 「存じます」가 이어질 때 씀. ㉡仮定形에 「らしけれ」의 꼴은 없고, 대신에 「らしいなら」 「ようなら」 등을 씀. ㉢助動詞 「らしい」는 완곡하게 말하거나 비슷한 상태에 있음을 추정하며, 앞의 体言에 連体修飾語를 자유롭게 붙일 수 있는 데 비해서, 接尾語 「らしい」는 사물의 속성 개념(屬性槪念)으로서 기술하기 위해 쓰이므로 連体修飾語를 자유롭게 붙일 수가 없음. 가령, 같은 「男らしい」라도 「あの人が問題の男らしい」의 「らしい」는 助動詞이고, 「彼はんほんとうに男らしい」의 「らしい」는 接尾語임
寒さが心地よくて
寒い
춥다. 〔반의어〕 暑い; (무서움 등으로) 오싹하다. 써늘하다; 가난하다. 부족하다. 〔반의어〕 あたたかい; 한심하다. 빈약하다. さむ·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さむ·げ 【형용동사】 さむ·さ 【명사】 【문어형】 さむ·し {ク 활용}
あれ なんで恋なんかしてんだろう
恋
〈名詞에 붙어 形容詞를 만듦〉 진하다. 〔참고〕 促音이 따르는 경우가 많음; 〈성질·상태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形容詞를 만듦〉 정도가 심하다; (남녀간의) 사랑. 연애; 『문어』 청함. 부탁함. 〔동의어〕頼み; 『어류』 잉어; 『문어』; 옛 뜻; 옛날을 그리워하는 마음. 회고의 정; 『법률』 고의. 〔반의어〕 過失; 짙다. 〔반의어〕 薄い; (빛깔·맛·냄새 등이) 진하다; (농도가) 진하다; (밀도가) 촘촘하다; (확률이) 높다; (관계가) 밀접하다. こ·さ 【명사】 【문어형】 こ·し {ク 활용}
なんか
남하. 〔반의어〕 北上; 『문어』 남가. 남쪽으로 뻗은 가지. 남지. 〔동의어〕南枝; 연화; (단단한 물건이) 부드러워짐. 부드럽게 함; (태도·주장 등이) 누그러짐. 또는 누그러뜨림; 『경제』 (증권 거래에서) 시세가 내림; 『화학』 센물을 단물로 바꿈. 1.~3. 〔반의어〕 硬化; 『경제』 연화. 〔반의어〕 硬貨; 금이나 국제 통화인 달러와의 교환 능력이 없는 통화; 《代名詞 「なに」에 助詞 「か」가 붙은 「なにか」의 변한말》; 임의의, 또는 불특정한 사물을 가리킴. 무엇인가; 열거한 말의 마지막에 놓여, 앞의 것과 유사한 불특정한 어떤 것을 가리킴. 무엇인가. 그런 것. 〔참고〕 「なんぞ」보다 구어적임; 어쩐지. 어딘지 모르게. 〔동의어〕どことなく; 《連語 「なんか」가 助詞화한 말. 副助詞 「など」의 용법과 거의 같음》 …등. …들. …따위. …같은 것. 그러한[이러한] 것. 〔참고〕 보통, かな로 씀
聖夜だなんだと繰り返す歌と
繰り返す
되풀이하다. 반복하다. 【가능동사】 くりかえ·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歌
노래. ((동요·가요·민요·속요 등의 총칭)) 〔참고〕 「唄」라고도 씀; 短歌. 和歌. ((넓은 뜻으로는 시))
聖夜
『문어』 전장(戰場). 싸움터. 〔동의어〕戦野; 『문어』 성야. 별빛이 밝은 밤. 〔동의어〕星月夜·; 『문어』 청야. 맑고 시원한 밤; 『문어』 청야. 맑게 갠 밤; 성야. 성탄 전야. 〔동의어〕クリスマスイブ; 정야. 고요한 밤
わざとらしくきらめく街のせいかな
街
《名詞나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할 만한) 값어치. 보람; 외. 밖; 가; 아집(我執). 〔동의어〕我; 화의. 화취(畵趣). 그림의 의도; 해. 〔반의어〕 益; 해로움. 손해; 방해. 지장; 재앙; 『문어』하의. 축의(祝意). 〔반의어〕 弔意; 『문어』 그. 이. 당해(當該); 『문어』 (사람에게서 풍기는) 기상. 기세. 기개; 『불교』; 선심(善心)을 덮어 가리는 것, 즉 번뇌; 개. (법회에서) 도사(導師)의 보행(步行) 때, 그 위를 받치는 삿갓 모양의 것; 개. 불상이나 도사의 자리 위에 만들어 놓은 천개(天蓋); 삿갓이나 삿갓 모양의 물건을 세는 말. 개
きらめく
반짝이다. 번쩍번쩍 빛나다; 현란하다. 찬란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会いたいと思う回数が
思う
생각하다; 판단을 내리다. 믿다; 느끼다; 예상하다. 추측하다; 원하다. 소망하다; 회상하다; 사랑하다. 그리워하다. 사모하다. 소중히 하다; 〈「…と~」의 꼴이나 形容詞·形容動詞의 連用形을 받아서〉 …라고 생각하다. …하려고 결심하다. 〔참고〕 「考える」는 객관적·지적인 경우에만 쓰는데, 「思う」는 감정적·의지적·주관적인 경우에도 씀. 【가능동사】 おも·える【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回数
횟수. 〔동의어〕度数
会う
만나다. 대면하다; 서로 알게 되다. 사귀다; 우연히 마주치다. 〔참고〕 「会う」는 ‘어떤 곳에 모여서 대면하다’의 뜻이며 일반적으로 널리 쓰임. 「逢う」는 ‘약속하고 만난다’는 뜻으로 씀. 【가능동사】 あ·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맞다. 일치하다. 합치(合致)하다; 어울리다. 알맞다. 조화되다; 〈흔히 「~·わない」의 꼴로 씀〉 수지맞다. 〔동의어〕引き合う; 합치다. 만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다른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서로…하다. 주고받다; …하여 합치다. 만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어떤 일을) 만나다. 겪다. 당하다. 봉착(逢着)하다; 우연히 만나다. 마주치다. 〔참고〕 「会う」 「逢う」로도 씀. 【문어 4단 활용 동사】
会えないと痛いこの胸が
胸
광. 그 일에 열중하는 사람임을 나타냄; 협. 협곡(峽谷)임을 나타냄; 교. 종교임을 나타냄; 교. 다리임을 나타냄; 경. 거울임을 나타냄; 오늘. 금일. 〔동의어〕本日; 흉. 운수가 나쁨. 불길함. 〔동의어〕不吉. 〔반의어〕 吉; 〈「共産党」의 준말〉 공산당; 〈「共産主義」의 준말〉 공산주의; 『문어』 수도. 서울. 〔동의어〕首都; 京都. 〔참고〕 옛날에 일본의 수도였음; 『수학』 경. 조(兆)의 1만 배. 〔동의어〕京; 「いろは歌」의 끝에 붙이는 말; 《「香車」의 준말》 일본 장기짝의 하나; 강함. 강자; (어떤 수량에 붙어) 그보다 조금 더 됨을 나타냄. 〔반의어〕 弱; 『불교』 불경. 경문. 〔동의어〕お経; 성전(聖典). 경서(經書); 『문어』 고향. 〔동의어〕ふるさと; 곳. 장소. 지역; 어떤 장소나 경우; 마음의 상태. 경지; 경; 장소. 범위. 처지; 심경. 경지(境地); 흥; 흥취. 흥미. 재미. 〔동의어〕面白み; 좌흥(座興); 『문학』 한시(漢詩) 육의(六義)의 하나. 어떤 사물에 접하여 자기의 감흥을 표현함
痛い
『문어』; 옷을 입고 띠를 맴. 옷차림을 갖춤; 이체; 모습·모양이 보통과 다름. 〔동의어〕いてい; 별개의 몸; 『언어학』 표준 자체(字體)와 다른 자체; 유체. 유해. 시체. 〔동의어〕なきがら; 아프다; 뼈아프다. (마음이) 쓰라리다; (약점·급소 등을 찔려서) 몹시 곤란하다. 뜨끔하다. いた·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いた·げ 【형용동사】 いた·さ 【명사】 いた·み 【명사】 【문어형】 いた·し {ク 활용}
君の事どう思うか教えようとしてる
思う
생각하다; 판단을 내리다. 믿다; 느끼다; 예상하다. 추측하다; 원하다. 소망하다; 회상하다; 사랑하다. 그리워하다. 사모하다. 소중히 하다; 〈「…と~」의 꼴이나 形容詞·形容動詞의 連用形을 받아서〉 …라고 생각하다. …하려고 결심하다. 〔참고〕 「考える」는 객관적·지적인 경우에만 쓰는데, 「思う」는 감정적·의지적·주관적인 경우에도 씀. 【가능동사】 おも·える【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君
『문어』; 임금. 군주; 윗사람에 대한 높임말; 논다니. 유녀; 남자가 동년배 또는 손아래 상대를 친근하게 부르는 말. 자네. 그대. 군. ((「おまえ」보다 공손한 말)) 〔반의어〕 僕; 느낌. 기분. 〔동의어〕きび; 〈「~がいい」 「いい~(だ)」의 꼴로〉 고소한 기분이다. 고소하다; 기미. 기운. 경향; ⇒ きび; 노랑을 띠고 있음. 노란 빛깔. 〔동의어〕黄色み; 노른자위. 난황(卵黃). 〔동의어〕卵黄. 〔반의어〕 白身
事
『문어』 말. 이야기; 말. 마디; 《의식·사고의 대상 중 「物」와 같은 구체적인 것이 아닌, 추상적인 것을 가리키는 말》; 세상에서 일어나는 사건·현상. 일; 행위. 행동. 행사; 큰일. 문제. 사건. 사태; 통칭이나 아호(雅號) 등과 본명 사이에 써서, 그것이 동일 인물임을 나타냄. 즉. 곧; 〈自称의 人代名詞에 붙어〉 ‘나에 대해서 말하면’의 뜻을 나타냄;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어 그 활용어를 名詞화하여 다음과 같은 뜻을 나타냄. 보통 かな로 씀》; 경험; 방침. 습관; 경우. 가능성; 필요; 전문(傳聞); 해야 할 일; 수; 사실. 것. 일; 〈形容詞의 連体形에 붙어 副詞적으로 쓰임〉; 〈動詞의 連体形 또는 動詞에 否定의 助動詞의 連体形이 붙은 꼴에 곁들여〉 가벼운 명령·금지를 나타냄; 가정(假定)의 사항을 나타냄; 《「…を~にする」의 꼴로》 다름; 『음악』 거문고. ((원래는 현악기의 총칭)); 고도. 옛 도읍; 호도. 얼버무려 넘김. 미봉(彌縫); 『문어』 《活用語의 連体形·終止形에 붙음》; 감동을 나타냄; 완곡한 단정을 나타냄; 질문하거나 동의를 구하거나 권유하는 뜻을 나타냄. 〔참고〕 「事」와 같은 어원. 동료 또는 손아랫사람에게 쓰는 여성어
教える
가르치다; (학문·기예 등을) 배워 익히게 하다. 〔반의어〕 おそわる·まなぶ; (자기가 지니고 있는 지식·정보 등을) 일러주다. 알리다; 타일러 인도하다. 훈계하다. 【문어형】 をし·ふ {하2단 활용}
いいよ そんな事自分で分かってるよ
そんな
그런. 그와 같은
事
『문어』 말. 이야기; 말. 마디; 《의식·사고의 대상 중 「物」와 같은 구체적인 것이 아닌, 추상적인 것을 가리키는 말》; 세상에서 일어나는 사건·현상. 일; 행위. 행동. 행사; 큰일. 문제. 사건. 사태; 통칭이나 아호(雅號) 등과 본명 사이에 써서, 그것이 동일 인물임을 나타냄. 즉. 곧; 〈自称의 人代名詞에 붙어〉 ‘나에 대해서 말하면’의 뜻을 나타냄;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어 그 활용어를 名詞화하여 다음과 같은 뜻을 나타냄. 보통 かな로 씀》; 경험; 방침. 습관; 경우. 가능성; 필요; 전문(傳聞); 해야 할 일; 수; 사실. 것. 일; 〈形容詞의 連体形에 붙어 副詞적으로 쓰임〉; 〈動詞의 連体形 또는 動詞에 否定의 助動詞의 連体形이 붙은 꼴에 곁들여〉 가벼운 명령·금지를 나타냄; 가정(假定)의 사항을 나타냄; 《「…を~にする」의 꼴로》 다름; 『음악』 거문고. ((원래는 현악기의 총칭)); 고도. 옛 도읍; 호도. 얼버무려 넘김. 미봉(彌縫); 『문어』 《活用語의 連体形·終止形에 붙음》; 감동을 나타냄; 완곡한 단정을 나타냄; 질문하거나 동의를 구하거나 권유하는 뜻을 나타냄. 〔참고〕 「事」와 같은 어원. 동료 또는 손아랫사람에게 쓰는 여성어
自分
무렵. 대체적인 시기·시각; 적당한 때. 기회. 시기; (중국에서 신문의 논설 등에 쓰는) 현대어체(現代語體)의 문장; 그 시대의 글. 당시의 글; 그 사람 자신. 자기 자신;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동의어〕わたくし
分かる
알다; 이해할 수 있다; 판명되다. 밝혀지다; 「分かれる」의 문어
サンタとやらに頼んでも仕方ないよなぁ
仕方
하는 방법[방식]. 수단; 거동. 처사. 처신. 〔동의어〕しうち; 몸짓. 손짓
頼む
부탁하다. 의뢰하다. 주문하다. 당부하다; 의지하다. 기대다. 믿다. 〔참고〕 2.는 「恃む」로도 씀; 〈感動詞적으로 쓰여〉 남의 집을 방문하여 안내를 청할 때 하는 말. 이리 오너라. 〔동의어〕たのもう. 【가능동사】 たの·め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サンタ
「サンタクロース」의 준말
できれば横にいて欲しくて
できる
전부 나가다[나오다]. 다 나가[나와] 남은 것이 없다. 〔동의어〕出つくす. 【문어 4단 활용 동사】; 《カ変動詞 「でくる」의 변한 꼴》; (새로) 생기다. 나다; 생성(生成)되다; 성립되다; 일어나다. 발생하다; 수중에 들어오다. 얻다; 생산되다. 산출되다; 만들어지다; 완성되다. 다 되다; (소질·경향을) 타고나다. 생겨 먹다; 능력·가능성이 있다. 할 수 있다. 가능하다; 〈サ変動詞의 語幹에 붙어 接尾語적으로〉 …할 수 있다. …하는 것이 가능하다; 잘하다. 할 줄 알다; (능력·인품이) 뛰어나다. 출중하다. 되어 있다; 《속어》 (남녀가) 깊은 관계에 있다. 눈이[배가] 맞다; 『경제』 (증권 거래소에서) 매매가 성립되다
欲しい
⇒ ほしいい; 갖고 싶다. 탐나다. …이 있으면 좋겠다. 아쉽다. ほし·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ほし·げ 【형용동사】 ほし·さ 【명사】 【문어형】 ほ·し {シク 활용}
横
왕. 임금. 군주. 〔동의어〕君主. 〔반의어〕 女王1.; 왕. 우두머리. 으뜸; (장기에서) 궁. 〔동의어〕王将; 구. 「欧羅巴」의 준말. 〔참고〕 단독으로는 쓰이지 않음; 옹; 남자 노인. 〔동의어〕おきな; 남자 노인에 대한 높임말. ((흔히 접미어적으로 씀. 이름을 생략하고 단독으로 대명사적으로도 씀)); ⇒ おお; 따르다. 뒤쫓아가다. 추구하다; 몰다. 달리게 하다; 〈「追われる」의 꼴로〉 몰리다. 쫓기다; (순서에) 따르다. 좇다; 내쫓다. 추방하다; 그리다. 그리워하다. 【가능동사】 お·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짐 등을) 짊어지다. 지다. 업다. 〔동의어〕背負う; (책임·비난·상처 등을) 지다. 받다. 입다; 〈自動詞적으로〉 혜택·은혜를 입다; 등지다. 【가능동사】 お·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名に~」 「名にし~」의 꼴로 씀》 그 이름에 어울리다. 걸맞다. 〔동의어〕ふさわしい. 【문어 4단 활용 동사】; 《고어》 덮다. 가리다. 〔동의어〕覆う
どこにも行って欲しくなくて
行う
(행위를) 하다. 행동하다; 실시하다. 실행하다; 거행하다; 처리하다. 취급하다; 《고어》 법으로 처리하다. おこな·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欲しい
⇒ ほしいい; 갖고 싶다. 탐나다. …이 있으면 좋겠다. 아쉽다. ほし·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ほし·げ 【형용동사】 ほし·さ 【명사】 【문어형】 ほ·し {シク 활용}
僕の事だけをずっと考えていて欲しい
考える
생각하다. 헤아리다. 사고(思考)하다. 〔참고〕 「思う」는 정의적(情意的)인 데 대하여 「考える」는 지적(知的)임. 【문어형】 かんが·ふ {하2단 활용}
僕
하인. 종. ((예스러운 말)) 〔동의어〕召使·下男
事
『문어』 말. 이야기; 말. 마디; 《의식·사고의 대상 중 「物」와 같은 구체적인 것이 아닌, 추상적인 것을 가리키는 말》; 세상에서 일어나는 사건·현상. 일; 행위. 행동. 행사; 큰일. 문제. 사건. 사태; 통칭이나 아호(雅號) 등과 본명 사이에 써서, 그것이 동일 인물임을 나타냄. 즉. 곧; 〈自称의 人代名詞에 붙어〉 ‘나에 대해서 말하면’의 뜻을 나타냄;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어 그 활용어를 名詞화하여 다음과 같은 뜻을 나타냄. 보통 かな로 씀》; 경험; 방침. 습관; 경우. 가능성; 필요; 전문(傳聞); 해야 할 일; 수; 사실. 것. 일; 〈形容詞의 連体形에 붙어 副詞적으로 쓰임〉; 〈動詞의 連体形 또는 動詞에 否定의 助動詞의 連体形이 붙은 꼴에 곁들여〉 가벼운 명령·금지를 나타냄; 가정(假定)의 사항을 나타냄; 《「…を~にする」의 꼴로》 다름; 『음악』 거문고. ((원래는 현악기의 총칭)); 고도. 옛 도읍; 호도. 얼버무려 넘김. 미봉(彌縫); 『문어』 《活用語의 連体形·終止形에 붙음》; 감동을 나타냄; 완곡한 단정을 나타냄; 질문하거나 동의를 구하거나 권유하는 뜻을 나타냄. 〔참고〕 「事」와 같은 어원. 동료 또는 손아랫사람에게 쓰는 여성어
ずっと
다른 것과 비교해서 차이가 많은 모양; 시간적 차이가 많은 모양; 오랫동안 계속되는 모양; 머뭇거리지 않는 모양
欲しい
⇒ ほしいい; 갖고 싶다. 탐나다. …이 있으면 좋겠다. 아쉽다. ほし·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ほし·げ 【형용동사】 ほし·さ 【명사】 【문어형】 ほ·し {シク 활용}
でもこんな事を伝えたら格好悪いし
伝える
전하다; (소식을) 알리다. 전언하다. 전달하다. 〔동의어〕伝達する; 물려주다. 뒤에 남기다; 전파하다. 전해주다; 전수(傳授)하다; 전도(傳導)하다. 옮겨 보내다. (작용을) 미치다. 【문어형】 つた·ふ {하2단 활용}
格好
각항. 각 항목; 모양. 모습; 겉모양. 그럴듯한 형식; 〈動詞·助動詞의 連用形+助動詞 「た」에 붙어〉 어떤 상태를 나타냄. …한 모양. …한 꼴; 알맞음. 걸맞음. 적당함. {문어·ナリ 활용 }; 《나이를 나타내는 수에 붙어》 ‘어림잡아’의 뜻을 나타냄. 정도. 가량. 〔참고〕 「格好」는 대용자; 「滑降競技」의 준말; 『조류』 곽공. 뻐꾸기. 〔동의어〕かんこどり·よぶこどり·かっこうどり
事
『문어』 말. 이야기; 말. 마디; 《의식·사고의 대상 중 「物」와 같은 구체적인 것이 아닌, 추상적인 것을 가리키는 말》; 세상에서 일어나는 사건·현상. 일; 행위. 행동. 행사; 큰일. 문제. 사건. 사태; 통칭이나 아호(雅號) 등과 본명 사이에 써서, 그것이 동일 인물임을 나타냄. 즉. 곧; 〈自称의 人代名詞에 붙어〉 ‘나에 대해서 말하면’의 뜻을 나타냄;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어 그 활용어를 名詞화하여 다음과 같은 뜻을 나타냄. 보통 かな로 씀》; 경험; 방침. 습관; 경우. 가능성; 필요; 전문(傳聞); 해야 할 일; 수; 사실. 것. 일; 〈形容詞의 連体形에 붙어 副詞적으로 쓰임〉; 〈動詞의 連体形 또는 動詞에 否定의 助動詞의 連体形이 붙은 꼴에 곁들여〉 가벼운 명령·금지를 나타냄; 가정(假定)의 사항을 나타냄; 《「…を~にする」의 꼴로》 다름; 『음악』 거문고. ((원래는 현악기의 총칭)); 고도. 옛 도읍; 호도. 얼버무려 넘김. 미봉(彌縫); 『문어』 《活用語의 連体形·終止形에 붙음》; 감동을 나타냄; 완곡한 단정을 나타냄; 질문하거나 동의를 구하거나 권유하는 뜻을 나타냄. 〔참고〕 「事」와 같은 어원. 동료 또는 손아랫사람에게 쓰는 여성어
こんな
《「このような」보다 구어적인 표현》 이러한. 이런. 〔참고〕 語幹이 그대로 連体形의 작용을 하므로 連体詞로 보는 견해도 있음
悪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形容詞를 만듦》 …하기 어렵다. 좀처럼 …할 수 없다. …하기 거북하다. 【문어형】 にく·し {ク 활용}; 밉다. 얄밉다. 밉살스럽다. 〔동의어〕憎らしい; 〈反語적으로〉 (얄밉도록) 기특하다. 훌륭하다. にく·が·る 【5단 활용 타동사】 にく·げ 【형용동사】 にく·さ 【명사】 【문어형】 にく·し {ク 활용}
長くなるだけだからまとめるよ
まとめる
한데 모으다. 합치다; 정리하다; 결말짓다. 해결하다. 결정하다. 완성하다. 【문어형】 まと·む {하2단 활용}
長い
한곳에 오래 머무름. 〔동의어〕長座; (공간적으로) 길다; (시간적으로) 길다. 오래다. 〔참고〕 「永い」로도 씀; 길이 멀다; 마음이 느슨하다. 늘쩡하다. 1.~4. 〔반의어〕 短い. なが·さ 【명사】 【문어형】 なが·し {ク 활용}
君が好きだ
君
『문어』; 임금. 군주; 윗사람에 대한 높임말; 논다니. 유녀; 남자가 동년배 또는 손아래 상대를 친근하게 부르는 말. 자네. 그대. 군. ((「おまえ」보다 공손한 말)) 〔반의어〕 僕; 느낌. 기분. 〔동의어〕きび; 〈「~がいい」 「いい~(だ)」의 꼴로〉 고소한 기분이다. 고소하다; 기미. 기운. 경향; ⇒ きび; 노랑을 띠고 있음. 노란 빛깔. 〔동의어〕黄色み; 노른자위. 난황(卵黃). 〔동의어〕卵黄. 〔반의어〕 白身
好き
좋아함. 〔반의어〕 きらい; 색다른 것을 좋아함. 〔동의어〕ものずき; 호색. 〔동의어〕いろごのみ; 마음 내키는 대로임. 제멋대로임; 틈; 빈틈. 틈새기. 빈곳. 〔동의어〕隙間; 겨를. 짬; 허점. 방심. 틈탈 기회; 『농학·농림·농업』 쟁기. 극젱이. 〔동의어〕からすき; 종이를 뜸. 초지(抄紙); 『농학·농림·농업』 가래; 풍류(風流). 풍류의 길. 특히, 다도(茶道)·和歌를 즐김. 〔참고〕 「好き」의 차자. 「数奇」는 딴말임
はしゃぐ恋人達は
恋人
연인. 애인
はしゃぐ
들떠서[신이 나서] 떠들다; 마르다. 건조하다. 【가능동사】 はしゃ·げ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達
《動詞 또는 動詞의 連用形이 변한 名詞에 붙어》; ‘선 채로’의 뜻을 나타냄; 어세(語勢)를 강하게 하는 말; 《사람·생물을 나타내는 말에 붙어》 복수를 나타냄. 〔참고〕 連濁에 의해서 「だち」로도 됨. 「ら」 「ども」보다 공손한 표현임; 《「断ち」의 뜻》 칼; 奈良 시대에는, 도검(刀劍)의 총칭; 平安 시대 이후는, 허리에 차는 긴 칼. ((의식이나 싸울 때에 사용했음)); 사람의 타고난 성질. 체질; (물건의) 성질. 품질. 질; (사물의) 성질. 질; 《名詞에 붙어》 ‘성질’ ‘기질’ 등을 나타냄; 『문어』; 귀인(貴人)의 숙소 또는 저택. 〔동의어〕やかた
トナカイのツノなんか生やして
トナカイ
『동물·동물학』 토나카이. 순록(馴鹿). 〔동의어〕じゅんろく. 〔참고〕 「馴鹿」는 차자
生やす
(수염·초목 등을) 기르다. (자랄 대로) 자라게 하다. 【가능동사】 はや·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囃子를 연주하다; (손뼉을 치거나 소리를 내거나 하여) 장단을 맞추다; 같은 말을 되풀이하며 놀려대다; 환성을 지르거나 하여 칭찬하다; 『경제』 (거래에서) 어떤 정보를 시세의 재료로 삼아 요란하게 선전하다. 【가능동사】 はや·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なんか
남하. 〔반의어〕 北上; 『문어』 남가. 남쪽으로 뻗은 가지. 남지. 〔동의어〕南枝; 연화; (단단한 물건이) 부드러워짐. 부드럽게 함; (태도·주장 등이) 누그러짐. 또는 누그러뜨림; 『경제』 (증권 거래에서) 시세가 내림; 『화학』 센물을 단물로 바꿈. 1.~3. 〔반의어〕 硬化; 『경제』 연화. 〔반의어〕 硬貨; 금이나 국제 통화인 달러와의 교환 능력이 없는 통화; 《代名詞 「なに」에 助詞 「か」가 붙은 「なにか」의 변한말》; 임의의, 또는 불특정한 사물을 가리킴. 무엇인가; 열거한 말의 마지막에 놓여, 앞의 것과 유사한 불특정한 어떤 것을 가리킴. 무엇인가. 그런 것. 〔참고〕 「なんぞ」보다 구어적임; 어쩐지. 어딘지 모르게. 〔동의어〕どことなく; 《連語 「なんか」가 助詞화한 말. 副助詞 「など」의 용법과 거의 같음》 …등. …들. …따위. …같은 것. 그러한[이러한] 것. 〔참고〕 보통, かな로 씀
よく人前で出来るなぁ
出来る
전부 나가다[나오다]. 다 나가[나와] 남은 것이 없다. 〔동의어〕出つくす. 【문어 4단 활용 동사】; 《カ変動詞 「でくる」의 변한 꼴》; (새로) 생기다. 나다; 생성(生成)되다; 성립되다; 일어나다. 발생하다; 수중에 들어오다. 얻다; 생산되다. 산출되다; 만들어지다; 완성되다. 다 되다; (소질·경향을) 타고나다. 생겨 먹다; 능력·가능성이 있다. 할 수 있다. 가능하다; 〈サ変動詞의 語幹에 붙어 接尾語적으로〉 …할 수 있다. …하는 것이 가능하다; 잘하다. 할 줄 알다; (능력·인품이) 뛰어나다. 출중하다. 되어 있다; 《속어》 (남녀가) 깊은 관계에 있다. 눈이[배가] 맞다; 『경제』 (증권 거래소에서) 매매가 성립되다
人前
남의 앞. 많은 사람의 면전; 체면. 남의 이목. 〔동의어〕体裁
いや 羨ましくなんてないけど
羨ましい
부럽다. 샘이 나다. うらやまし·が·る 【5단 활용 타동사】 うらやまし·げ 【형용동사】 うらやまし·さ 【명사】 【문어형】 うらやま·し {シク 활용}
なんて
의문·영탄의 뜻을 나타냄. 무어라고. 어쩌면 그렇게; 《「なんという」의 준말》 이렇다 할. 무어라고 할; 《副助詞 「など」에 格助詞 「と」가 붙은 「などと」의 변한말. 体言 또는 体言에 준하는 말 또는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음》; …라는 둥. …라느니 하는; 따위. …같은 것. 〔동의어〕なんか; 의외·놀람·비판의 뜻을 나타냄. …이라니. …하다니
君が喜ぶプレゼントってなんだろう
君
『문어』; 임금. 군주; 윗사람에 대한 높임말; 논다니. 유녀; 남자가 동년배 또는 손아래 상대를 친근하게 부르는 말. 자네. 그대. 군. ((「おまえ」보다 공손한 말)) 〔반의어〕 僕; 느낌. 기분. 〔동의어〕きび; 〈「~がいい」 「いい~(だ)」의 꼴로〉 고소한 기분이다. 고소하다; 기미. 기운. 경향; ⇒ きび; 노랑을 띠고 있음. 노란 빛깔. 〔동의어〕黄色み; 노른자위. 난황(卵黃). 〔동의어〕卵黄. 〔반의어〕 白身
プレゼント
프레젠트. 선사. 선물
喜ぶ
기뻐하다. 즐거워하다. 좋아하다. 【가능동사】 よろこ·べ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僕だけがあげられるものってなんだろう
あげる
(높은 곳으로) 올리다. 〔반의어〕 おろす·さげる; (몸의 일부 또는 손에 든 것을) 위쪽으로 움직이다. 들다. 쳐들다. 들어올리다. 〔반의어〕 さげる·おろす; (지위 등을) 높이다. 올리다. 진급시키다. 〔반의어〕 さげる; (수입·이익·효과 등을) 올리다. 거두다; (기세·속도 등을) 올리다. 더하다. 〔반의어〕 さげる; (사물의 상태를) 좋게 하다. 〔반의어〕 さげる; (온도·습도 등의 수치를) 크게 하다. 높이다. 〔반의어〕 さげる; 뭍으로 옮기다. 〔참고〕 「揚げる」로도 씀; (연기·기·연 등을) 하늘 높이 올리다. 공중에 띄우다; (값을) 올리다. (가치를) 높이다. 〔반의어〕 さげる; (신불 앞에) 바치다. 차려 놓다. 〔반의어〕 さげる; 칭찬하다. 추어올리다; 보내다. 넣다. 진학[진급]시키다. 〔반의어〕 さげる; 걷다. 치우다; 맞아들이다; (기생 등을) 불러서 놀다. 〔참고〕 「揚げる」로도 씀; (소리를) 지르다. 〔반의어〕 さげる; 게우다. 토하다; 마치다. 끝내다; (얼마의 비용으로) 끝내다; (작품 등을) 완성시키다; (과제 등을) 다 배우다. 떼다; 〈「やる」 「与える」의 공손한 표현〉 드리다. 주다. 【문어형】 あ·ぐ {하2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て[で]」에 붙어, 「…てやる」의 뜻》 …해 주다. …해 드리다. 〔참고〕 보통 かな로 씀. 「…てやる」보다 다소 깍듯한 표현임. 손윗사람에게는 「さしあげる」를 쓰는 것이 일반적임. 【문어형】 あ·ぐ {하2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て[で]」에 붙어〉 겸양의 뜻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끝까지 하다. 다 …하다. …해내다. 【문어형】 あ·ぐ {하2단 활용}; (손 등을) 들다; (예 등을) 들다; 골라서 내놓다. 천거하여 세우다; 다하다. 다 모으다; (자식을) 얻다. 낳다. 〔동의어〕もうける; 잡다. 체포[검거]하다. 적발하다; (식을) 거행하다. 올리다; (전쟁·반란을) 일으키다. 【문어형】 あ·ぐ {하2단 활용}; 튀기다; (뭍으로) 옮기다. 〔동의어〕上げる8.. 【문어형】 あ·ぐ {하2단 활용}
僕
하인. 종. ((예스러운 말)) 〔동의어〕召使·下男
大好きだと言った返事が
返事
『문어』 편시. 잠시. 〔동의어〕かたとき; 대답. 응답; 답장. 회신; 변사. 이변. 변고; 『문어』 편차. 순서에 따라 편집함. 또는 그 순서
言う
말하다; 이야기하다. 지껄이다; 묻다; 명령하다. 의뢰하다; (의견을) 진술하다; 조언하다. 비평하다; 표현하다; 〈「…を…と~」의 꼴로〉 …을 …이라고 (말)하다[부르다·일컫다]; 소리가 나다. 소리를 내다. 소리가 들리다; 〈「…と~」+体言, 「…と~·った」+体言, 「…と~·います」+体言의 꼴로〉 …이라는. …이라 하는. 〔참고〕 「いう」 자체는 실질적인 뜻이 없으며, 흔히 仮名로 씀; 〈「…と~」의 앞뒤에 같은 体言이 붙어〉 …이라는 …은(는) 모두; 〈상태를 나타내는 말에 「…と~·ったらない」 「…と~ものはない」가 이어져〉 이 이상 …한 것은 없다. 정말이지 …하다. 〔참고〕 「…といったらない」는 「…ったらない」로도 씀. 어형(語形)이 「いう」의 꼴이지만 발음은 「ユー」로 함. 현대 かな 쓰기에서 활용의 설명상 「いう」로 씀. 【가능동사】 い·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大好き
아주 좋아하는 모양
思ってたのとは違っても
思う
생각하다; 판단을 내리다. 믿다; 느끼다; 예상하다. 추측하다; 원하다. 소망하다; 회상하다; 사랑하다. 그리워하다. 사모하다. 소중히 하다; 〈「…と~」의 꼴이나 形容詞·形容動詞의 連用形을 받아서〉 …라고 생각하다. …하려고 결심하다. 〔참고〕 「考える」는 객관적·지적인 경우에만 쓰는데, 「思う」는 감정적·의지적·주관적인 경우에도 씀. 【가능동사】 おも·える【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違う
다르다. 틀리다. ((예스러운 말)); 「たがえる」의 문어
それだけで嫌いになんてなれやしないから
嫌い
싫음. 싫어함. 꺼림. 〔반의어〕好き. {문어·ナリ 활용 }; 〈보통 「…の~がある」 「…する~がある」의 꼴로〉 (좋지 않은) 경향. 성향; 〈보통 「…の~なく」의 꼴로〉 차별. 구별; 『문어』 귀래. 돌아옴; 《「機械水雷」의 준말》 기뢰
なんて
의문·영탄의 뜻을 나타냄. 무어라고. 어쩌면 그렇게; 《「なんという」의 준말》 이렇다 할. 무어라고 할; 《副助詞 「など」에 格助詞 「と」가 붙은 「などと」의 변한말. 体言 또는 体言에 준하는 말 또는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음》; …라는 둥. …라느니 하는; 따위. …같은 것. 〔동의어〕なんか; 의외·놀람·비판의 뜻을 나타냄. …이라니. …하다니
星に願いをなんてさ 柄じゃないけど
星
청; 세; 지질 시대의 구분의 단위; 세대·지위·칭호 등의 순서; 《「背」의 변한말》 신장. 키. 높이; 정; 『문어』 올바름. 바른 길. 〔반의어〕 邪; 정통. 본디의 것; 바르게 정리된 모양; 주가 되는 것. 정식. 〔반의어〕 副; 『수학』 양(陽). 플러스. 〔반의어〕 負; 『철학』 (변증법에서) 정립(定立); 「正編」의 준말. 〔반의어〕 続; 정; 정식의 것. 주가 되는 것. 〔반의어〕 副; 틀림없음. 올바름; 장(長). 주임; 생; 삶. 살아감. 인생; 매일의 살림. 생활. 생업; 목숨. 생명;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남자가 자기를 일컫는 겸사말. 소생(小生); 생; 식물의 생장 연수; 학생·생도; 남자가 자기의 성명 밑에 붙여 겸양을 나타내는 말; 서. 서쪽. 〔동의어〕さい; 「西班牙」의 약자; 제도. 규정; 제. 제도; 성. 성씨. 〔동의어〕みょうじ; ⇒ かばね; 성; 『문어』 천성. 본성. 성질; 만물의 본질; 남녀·자웅의 구별; 성욕. 생식. 〔동의어〕セックス; 『언어학』 (인도유럽어에서) 관사·명사·대명사 등에 있는 남성·여성·중성의 구별; 《名詞·形容詞의 語幹에 붙어》 …와 같은 성질. …성; 세. 기세. 힘; 병력. 군세(軍勢); 성. 성인(聖人). 〔동의어〕ひじり; 《흔히, 連体形 「~なる」의 꼴로 씀》 성. 거룩함. 신성함; 성; [saint]『기독교』 시성(諡聖)된 이의 이름 앞에 붙이는 말; 신성한; 『문어』 자상함. 〔반의어〕 粗. {문어·ナリ 활용 }; 정력. 원기. 기력; 순수. 정수(精髓); (어떤 사물의) 혼(魂). 요정(妖精). 정령(精靈); 정자(精子). 정액; (곡물을) 쓿음. 대낌; 『문어』 정. 조용함. 〔반의어〕 動; 탓. 원인. 이유
願い
바람. 바라는 일. 소망. 소원; 신불에게 빎·기원함; 원서
なんて
의문·영탄의 뜻을 나타냄. 무어라고. 어쩌면 그렇게; 《「なんという」의 준말》 이렇다 할. 무어라고 할; 《副助詞 「など」에 格助詞 「と」가 붙은 「などと」의 변한말. 体言 또는 体言에 준하는 말 또는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음》; …라는 둥. …라느니 하는; 따위. …같은 것. 〔동의어〕なんか; 의외·놀람·비판의 뜻을 나타냄. …이라니. …하다니
柄
《고어》 대체적인 방향·위치·시간을 나타냄; 겹치거나 거듭된 것을 세는 말. 겹. 〔동의어〕重り; 《고어》 (바다·호수 등의) 후미. 〔동의어〕入り江; 《고어》 가지. 〔동의어〕えだ; 자루. 손잡이; 『문어』 모이. 미끼. 먹이. 〔동의어〕えさ; 많은 사람이 모여서 하는 법회(法會)·제례(祭禮); 《고어》 돌림병. 〔동의어〕えき; 그림; (텔레비전의) 영상. 화면; 『문어』 《뒤에 否定語가 따름》 잘 …하지 않다. 도저히 …할 수 없다; 회화에서, 긍정·승낙을 나타내는 말. 예. 네; 회화에서, 감동·놀람·의문을 나타냄. 예. 네. 뭐; 〈名詞에 붙어〉 남에게 말을 걸 때 쓰는 예스러운 말; 〈「か」 「だれ」 「何」 등 의문을 나타내는 말이나, 「だ」 「です」 등에 붙어〉 의문의 뜻을 강조함; 〈말 끝에 붙어〉 어조를 부드럽게 하거나 친근감을 나타내거나 함
結局君じゃないと嫌なんだって
君
『문어』; 임금. 군주; 윗사람에 대한 높임말; 논다니. 유녀; 남자가 동년배 또는 손아래 상대를 친근하게 부르는 말. 자네. 그대. 군. ((「おまえ」보다 공손한 말)) 〔반의어〕 僕; 느낌. 기분. 〔동의어〕きび; 〈「~がいい」 「いい~(だ)」의 꼴로〉 고소한 기분이다. 고소하다; 기미. 기운. 경향; ⇒ きび; 노랑을 띠고 있음. 노란 빛깔. 〔동의어〕黄色み; 노른자위. 난황(卵黃). 〔동의어〕卵黄. 〔반의어〕 白身
結局
결국; 바둑의 대국을 마침; 끝. 종말. 〔동의어〕おわり; 결국. 마침내. 드디어. 〔동의어〕とうとう·ついに
だって
상대의 말을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고 반론하는 경우에 씀. 그렇지만. 하지만. 그런데. 〔동의어〕でも; 《助動詞 「だ」에 助詞 「とて」가 붙은 「だとて」의 변한말. 体言 또는 体言에 준하는 말에 붙음》; …(이)라도. …일지라도. …라 하여도; …에게조차; …이든 …이든; …이란다
嫌
《고어》 공경함. 존경함. 예의; 『문어』; 점점. 더욱더. 〔동의어〕いよいよ·ますます; 대단히. 한층 더. 가일층; 가장. 제일; 놀람·감동·탄식을 나타내는 말. 야. 〔동의어〕やあ·ああ. 〔참고〕 길게 「いやあ」라고도 함; 아니. 아니오. 〔동의어〕いいえ; 그러면. 〔동의어〕それでは; 싫음. 바라지 않음. 좋아하지[하고 싶지] 않음; 불쾌함. いやが·る 【5단 활용 타동사】 いやさ 【명사】 {문어·ナリ 활용 }
見上げてるんだ
見上げる
우러러보다. 올려다보다. 쳐다보다. 〔반의어〕 見下ろす; 〈「~·げた」의 꼴로〉 훌륭하다고 감탄하다. 〔반의어〕 見さげる. 【문어형】 みあ·ぐ {하2단 활용}
あの時君に出会って ただそれだけで
君
『문어』; 임금. 군주; 윗사람에 대한 높임말; 논다니. 유녀; 남자가 동년배 또는 손아래 상대를 친근하게 부르는 말. 자네. 그대. 군. ((「おまえ」보다 공손한 말)) 〔반의어〕 僕; 느낌. 기분. 〔동의어〕きび; 〈「~がいい」 「いい~(だ)」의 꼴로〉 고소한 기분이다. 고소하다; 기미. 기운. 경향; ⇒ きび; 노랑을 띠고 있음. 노란 빛깔. 〔동의어〕黄色み; 노른자위. 난황(卵黃). 〔동의어〕卵黄. 〔반의어〕 白身
出会う
《고어》 마주치다. 만나다
時
차; 다음; 『화학』 산화(酸化)의 정도가 낮음; 『화학』 염기성염(鹽基性鹽); 횟수(回數). 빈도(頻度). 차례; 자; 자기; 〈시간·장소를 나타내는 名詞에 붙어〉 …부터. 〔반의어〕 至; 사. 절; 아; 아이. 아동; 남아;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사. 일. 사항; 시. 시간의 단위. 60분; 시각; 때. 기회; 〈옛 지명에 붙여〉 그 지방의 길.그 지방 또는 그 지방으로 가는 길임을 나타냄. 도(道). 가도. 지방; 하루의 행정(行程); 『문어』 나이를 나타냄; 〈10을 단위로 한 수에 붙여〉 그 정도의 나이를 나타냄; 토지. 땅. 지면; 그 지방. 그 고장; 본성. 본색. 천성. 본바탕; 기반. 기초; 천; 살결. 피부; 문장에서 작자가 설명한 부분; (바둑에서) 차지한 집; 실제. 실지(實地). 〔참조어〕 地で行く; 풋내기. 숫보기; 「地謡」 「地紙」 「地髪」의 준말; 글자. 문자; 글씨. 필적; (바둑 등에서) 비김. 무승부; 『의학』 치질. 〔동의어〕痔疾; 『문어』 사; 말. 글; 한문 문체의 하나; 『언어학』 일본어 단어를 문법상의 성질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한 것의 하나. 단독으로는 문절(文節)을 이루지 못하고, 언제나 詞(자립어)에 딸려서 문절을 구성하는 말. ((助詞·助動詞 등)) 〔동의어〕付属語·関係語. 〔반의어〕 詞; 『문어』; 자석. 지남철; 자기. 사기그릇; 새; 세 가지 신기(神器)의 하나인 八尺瓊曲玉. 〔동의어〕神璽; 《고어》 《動詞·助動詞의 未然形에 붙음》; 부정적인 추측을 나타냄. …않겠지. …않을 것이다. 〔동의어〕…ないだろう·…まい; 부정적인 결의를 나타냄. …하지 않으리라. …않을 작정이다. 〔동의어〕…まい
自分も知らなかった自分が次から次に
自分
무렵. 대체적인 시기·시각; 적당한 때. 기회. 시기; (중국에서 신문의 논설 등에 쓰는) 현대어체(現代語體)의 문장; 그 시대의 글. 당시의 글; 그 사람 자신. 자기 자신;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동의어〕わたくし
知る
즙; 국(물). 된장국; 남의 노고나 희생으로 얻는 이익; 알다; 인식하다; 분간하다; 이해하다; 기억하다; 경험하다; 안면이 있다; 관계하다; 습득하다
次
차; 다음; 『화학』 산화(酸化)의 정도가 낮음; 『화학』 염기성염(鹽基性鹽); 횟수(回數). 빈도(頻度). 차례; 자; 자기; 〈시간·장소를 나타내는 名詞에 붙어〉 …부터. 〔반의어〕 至; 사. 절; 아; 아이. 아동; 남아;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사. 일. 사항; 시. 시간의 단위. 60분; 시각; 때. 기회; 〈옛 지명에 붙여〉 그 지방의 길.그 지방 또는 그 지방으로 가는 길임을 나타냄. 도(道). 가도. 지방; 하루의 행정(行程); 『문어』 나이를 나타냄; 〈10을 단위로 한 수에 붙여〉 그 정도의 나이를 나타냄; 토지. 땅. 지면; 그 지방. 그 고장; 본성. 본색. 천성. 본바탕; 기반. 기초; 천; 살결. 피부; 문장에서 작자가 설명한 부분; (바둑에서) 차지한 집; 실제. 실지(實地). 〔참조어〕 地で行く; 풋내기. 숫보기; 「地謡」 「地紙」 「地髪」의 준말; 글자. 문자; 글씨. 필적; (바둑 등에서) 비김. 무승부; 『의학』 치질. 〔동의어〕痔疾; 『문어』 사; 말. 글; 한문 문체의 하나; 『언어학』 일본어 단어를 문법상의 성질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한 것의 하나. 단독으로는 문절(文節)을 이루지 못하고, 언제나 詞(자립어)에 딸려서 문절을 구성하는 말. ((助詞·助動詞 등)) 〔동의어〕付属語·関係語. 〔반의어〕 詞; 『문어』; 자석. 지남철; 자기. 사기그릇; 새; 세 가지 신기(神器)의 하나인 八尺瓊曲玉. 〔동의어〕神璽; 《고어》 《動詞·助動詞의 未然形에 붙음》; 부정적인 추측을 나타냄. …않겠지. …않을 것이다. 〔동의어〕…ないだろう·…まい; 부정적인 결의를 나타냄. …하지 않으리라. …않을 작정이다. 〔동의어〕…まい
次に
《名詞 「次」+助詞 「に」》 다음에. 뒤이어. 그리고 나서. 〔동의어〕それから·続いて
会いたいと毎日思ってて
思う
생각하다; 판단을 내리다. 믿다; 느끼다; 예상하다. 추측하다; 원하다. 소망하다; 회상하다; 사랑하다. 그리워하다. 사모하다. 소중히 하다; 〈「…と~」의 꼴이나 形容詞·形容動詞의 連用形을 받아서〉 …라고 생각하다. …하려고 결심하다. 〔참고〕 「考える」는 객관적·지적인 경우에만 쓰는데, 「思う」는 감정적·의지적·주관적인 경우에도 씀. 【가능동사】 おも·える【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会う
만나다. 대면하다; 서로 알게 되다. 사귀다; 우연히 마주치다. 〔참고〕 「会う」는 ‘어떤 곳에 모여서 대면하다’의 뜻이며 일반적으로 널리 쓰임. 「逢う」는 ‘약속하고 만난다’는 뜻으로 씀. 【가능동사】 あ·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맞다. 일치하다. 합치(合致)하다; 어울리다. 알맞다. 조화되다; 〈흔히 「~·わない」의 꼴로 씀〉 수지맞다. 〔동의어〕引き合う; 합치다. 만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다른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서로…하다. 주고받다; …하여 합치다. 만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어떤 일을) 만나다. 겪다. 당하다. 봉착(逢着)하다; 우연히 만나다. 마주치다. 〔참고〕 「会う」 「逢う」로도 씀. 【문어 4단 활용 동사】
毎日
매일. 날마다. 그날그날. 〔동의어〕ひごと·日々
それを君に知って欲しくて
君
『문어』; 임금. 군주; 윗사람에 대한 높임말; 논다니. 유녀; 남자가 동년배 또는 손아래 상대를 친근하게 부르는 말. 자네. 그대. 군. ((「おまえ」보다 공손한 말)) 〔반의어〕 僕; 느낌. 기분. 〔동의어〕きび; 〈「~がいい」 「いい~(だ)」의 꼴로〉 고소한 기분이다. 고소하다; 기미. 기운. 경향; ⇒ きび; 노랑을 띠고 있음. 노란 빛깔. 〔동의어〕黄色み; 노른자위. 난황(卵黃). 〔동의어〕卵黄. 〔반의어〕 白身
知る
즙; 국(물). 된장국; 남의 노고나 희생으로 얻는 이익; 알다; 인식하다; 분간하다; 이해하다; 기억하다; 경험하다; 안면이 있다; 관계하다; 습득하다
欲しい
⇒ ほしいい; 갖고 싶다. 탐나다. …이 있으면 좋겠다. 아쉽다. ほし·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ほし·げ 【형용동사】 ほし·さ 【명사】 【문어형】 ほ·し {シク 활용}
すれ違う人混みに君を探している
君
『문어』; 임금. 군주; 윗사람에 대한 높임말; 논다니. 유녀; 남자가 동년배 또는 손아래 상대를 친근하게 부르는 말. 자네. 그대. 군. ((「おまえ」보다 공손한 말)) 〔반의어〕 僕; 느낌. 기분. 〔동의어〕きび; 〈「~がいい」 「いい~(だ)」의 꼴로〉 고소한 기분이다. 고소하다; 기미. 기운. 경향; ⇒ きび; 노랑을 띠고 있음. 노란 빛깔. 〔동의어〕黄色み; 노른자위. 난황(卵黃). 〔동의어〕卵黄. 〔반의어〕 白身
探す
찾다. 〔참고〕 「捜す」는 안 보이게 된 것을 찾는 경우에, 「探す」는 손에 넣고 싶은 것, 보고 싶은 것을 찾는 경우에 씀. 【가능동사】 さが·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こんな日は他の誰かと笑ってるかな
日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笑う
웃다. 〔반의어〕 泣く; (비유적으로) 꽃봉오리가 벌어지다. 열매가 익어서 터지다. 꽃이 피다; 꿰맨 곳이 타지다; 《속어》 웃기다. 가소롭다. 문제도 되지 않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비웃다. 조소하다. 빈정대다. 우습게 여기다. 〔동의어〕あざ笑う·あざける. 〔참고〕 「嗤う」로도 씀. 【가능동사】 わら·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他
《「あた」의 변한말로 室町 시대까지는 「あた」로 읽었음》; 원수. 적. 〔동의어〕敵·; 원한. 원망. 〔동의어〕恨み; 앙갚음. 보복. 해. 화; 《고어》 외적. 외구(外寇); 헛됨. 헛일. 헛수고. 부질없음. 〔동의어〕むだ; 들떠 있음. 부박(浮薄); 다름. 딴 것임. 〔동의어〕外·別; (여자가) 요염함. {문어·ナリ 활용 }
誰
수. 오행(五行)의 다섯째. ((계절은 겨울, 방위로는 북, 색은 검정임)); 「水曜日」의 준말; 《속어》 당밀즙(糖蜜汁)만을 탄 얼음물; 물. 액체; 순수함. 또는 그런 것; 뛰어난 것. 정수(精粹); 세상 물정에 밝아 인정의 기미(機微)를 잘 앎. 특히, 남녀간의 애정에 이해가 많음. {문어·ナリ 활용 }; 화류계·예능계의 사정에 밝음. 멋을[풍류를] 앎. (언동이) 세련되어 있음. {문어·ナリ 활용 }; 추; 저울추. 분동; 방추(紡錘)를 세는 말; 시다. 신맛이 있다. 〔동의어〕すっぱい. 【문어형】 す·し {ク 활용}
こんな
《「このような」보다 구어적인 표현》 이러한. 이런. 〔참고〕 語幹이 그대로 連体形의 작용을 하므로 連体詞로 보는 견해도 있음
胸の奥の奥が苦しくなる
胸
광. 그 일에 열중하는 사람임을 나타냄; 협. 협곡(峽谷)임을 나타냄; 교. 종교임을 나타냄; 교. 다리임을 나타냄; 경. 거울임을 나타냄; 오늘. 금일. 〔동의어〕本日; 흉. 운수가 나쁨. 불길함. 〔동의어〕不吉. 〔반의어〕 吉; 〈「共産党」의 준말〉 공산당; 〈「共産主義」의 준말〉 공산주의; 『문어』 수도. 서울. 〔동의어〕首都; 京都. 〔참고〕 옛날에 일본의 수도였음; 『수학』 경. 조(兆)의 1만 배. 〔동의어〕京; 「いろは歌」의 끝에 붙이는 말; 《「香車」의 준말》 일본 장기짝의 하나; 강함. 강자; (어떤 수량에 붙어) 그보다 조금 더 됨을 나타냄. 〔반의어〕 弱; 『불교』 불경. 경문. 〔동의어〕お経; 성전(聖典). 경서(經書); 『문어』 고향. 〔동의어〕ふるさと; 곳. 장소. 지역; 어떤 장소나 경우; 마음의 상태. 경지; 경; 장소. 범위. 처지; 심경. 경지(境地); 흥; 흥취. 흥미. 재미. 〔동의어〕面白み; 좌흥(座興); 『문학』 한시(漢詩) 육의(六義)의 하나. 어떤 사물에 접하여 자기의 감흥을 표현함
奥
왕. 임금. 군주. 〔동의어〕君主. 〔반의어〕 女王1.; 왕. 우두머리. 으뜸; (장기에서) 궁. 〔동의어〕王将; 구. 「欧羅巴」의 준말. 〔참고〕 단독으로는 쓰이지 않음; 옹; 남자 노인. 〔동의어〕おきな; 남자 노인에 대한 높임말. ((흔히 접미어적으로 씀. 이름을 생략하고 단독으로 대명사적으로도 씀)); ⇒ おお; 따르다. 뒤쫓아가다. 추구하다; 몰다. 달리게 하다; 〈「追われる」의 꼴로〉 몰리다. 쫓기다; (순서에) 따르다. 좇다; 내쫓다. 추방하다; 그리다. 그리워하다. 【가능동사】 お·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짐 등을) 짊어지다. 지다. 업다. 〔동의어〕背負う; (책임·비난·상처 등을) 지다. 받다. 입다; 〈自動詞적으로〉 혜택·은혜를 입다; 등지다. 【가능동사】 お·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名に~」 「名にし~」의 꼴로 씀》 그 이름에 어울리다. 걸맞다. 〔동의어〕ふさわしい. 【문어 4단 활용 동사】; 《고어》 덮다. 가리다. 〔동의어〕覆う
苦しい
답답하다. 고통스럽다. 괴롭다; 난처하다. 난감하다. 민망하다; 힘겹다. 고되다. 무리하다; 곤란하다. 궁색하다. 옹색하다. 가난하다; 거북하다. 구차하다; 〈「~·ゅうない」의 꼴로〉 괜찮다. 상관없다; 〈接尾語적으로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ぐるしい」의 꼴로〉 싫다. 번거롭다. 거북하다. 어렵다. くるし·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くるし·げ 【형용동사】 くるし·さ 【명사】 【문어형】 くる·し {シク 활용}
できれば横にいて欲しくて
できる
전부 나가다[나오다]. 다 나가[나와] 남은 것이 없다. 〔동의어〕出つくす. 【문어 4단 활용 동사】; 《カ変動詞 「でくる」의 변한 꼴》; (새로) 생기다. 나다; 생성(生成)되다; 성립되다; 일어나다. 발생하다; 수중에 들어오다. 얻다; 생산되다. 산출되다; 만들어지다; 완성되다. 다 되다; (소질·경향을) 타고나다. 생겨 먹다; 능력·가능성이 있다. 할 수 있다. 가능하다; 〈サ変動詞의 語幹에 붙어 接尾語적으로〉 …할 수 있다. …하는 것이 가능하다; 잘하다. 할 줄 알다; (능력·인품이) 뛰어나다. 출중하다. 되어 있다; 《속어》 (남녀가) 깊은 관계에 있다. 눈이[배가] 맞다; 『경제』 (증권 거래소에서) 매매가 성립되다
欲しい
⇒ ほしいい; 갖고 싶다. 탐나다. …이 있으면 좋겠다. 아쉽다. ほし·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ほし·げ 【형용동사】 ほし·さ 【명사】 【문어형】 ほ·し {シク 활용}
横
왕. 임금. 군주. 〔동의어〕君主. 〔반의어〕 女王1.; 왕. 우두머리. 으뜸; (장기에서) 궁. 〔동의어〕王将; 구. 「欧羅巴」의 준말. 〔참고〕 단독으로는 쓰이지 않음; 옹; 남자 노인. 〔동의어〕おきな; 남자 노인에 대한 높임말. ((흔히 접미어적으로 씀. 이름을 생략하고 단독으로 대명사적으로도 씀)); ⇒ おお; 따르다. 뒤쫓아가다. 추구하다; 몰다. 달리게 하다; 〈「追われる」의 꼴로〉 몰리다. 쫓기다; (순서에) 따르다. 좇다; 내쫓다. 추방하다; 그리다. 그리워하다. 【가능동사】 お·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짐 등을) 짊어지다. 지다. 업다. 〔동의어〕背負う; (책임·비난·상처 등을) 지다. 받다. 입다; 〈自動詞적으로〉 혜택·은혜를 입다; 등지다. 【가능동사】 お·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名に~」 「名にし~」의 꼴로 씀》 그 이름에 어울리다. 걸맞다. 〔동의어〕ふさわしい. 【문어 4단 활용 동사】; 《고어》 덮다. 가리다. 〔동의어〕覆う
どこにも行って欲しくなくて
行う
(행위를) 하다. 행동하다; 실시하다. 실행하다; 거행하다; 처리하다. 취급하다; 《고어》 법으로 처리하다. おこな·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欲しい
⇒ ほしいい; 갖고 싶다. 탐나다. …이 있으면 좋겠다. 아쉽다. ほし·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ほし·げ 【형용동사】 ほし·さ 【명사】 【문어형】 ほ·し {シク 활용}
僕の事だけをずっと考えていて欲しい
考える
생각하다. 헤아리다. 사고(思考)하다. 〔참고〕 「思う」는 정의적(情意的)인 데 대하여 「考える」는 지적(知的)임. 【문어형】 かんが·ふ {하2단 활용}
僕
하인. 종. ((예스러운 말)) 〔동의어〕召使·下男
事
『문어』 말. 이야기; 말. 마디; 《의식·사고의 대상 중 「物」와 같은 구체적인 것이 아닌, 추상적인 것을 가리키는 말》; 세상에서 일어나는 사건·현상. 일; 행위. 행동. 행사; 큰일. 문제. 사건. 사태; 통칭이나 아호(雅號) 등과 본명 사이에 써서, 그것이 동일 인물임을 나타냄. 즉. 곧; 〈自称의 人代名詞에 붙어〉 ‘나에 대해서 말하면’의 뜻을 나타냄;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어 그 활용어를 名詞화하여 다음과 같은 뜻을 나타냄. 보통 かな로 씀》; 경험; 방침. 습관; 경우. 가능성; 필요; 전문(傳聞); 해야 할 일; 수; 사실. 것. 일; 〈形容詞의 連体形에 붙어 副詞적으로 쓰임〉; 〈動詞의 連体形 또는 動詞에 否定의 助動詞의 連体形이 붙은 꼴에 곁들여〉 가벼운 명령·금지를 나타냄; 가정(假定)의 사항을 나타냄; 《「…を~にする」의 꼴로》 다름; 『음악』 거문고. ((원래는 현악기의 총칭)); 고도. 옛 도읍; 호도. 얼버무려 넘김. 미봉(彌縫); 『문어』 《活用語의 連体形·終止形에 붙음》; 감동을 나타냄; 완곡한 단정을 나타냄; 질문하거나 동의를 구하거나 권유하는 뜻을 나타냄. 〔참고〕 「事」와 같은 어원. 동료 또는 손아랫사람에게 쓰는 여성어
ずっと
다른 것과 비교해서 차이가 많은 모양; 시간적 차이가 많은 모양; 오랫동안 계속되는 모양; 머뭇거리지 않는 모양
欲しい
⇒ ほしいい; 갖고 싶다. 탐나다. …이 있으면 좋겠다. 아쉽다. ほし·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ほし·げ 【형용동사】 ほし·さ 【명사】 【문어형】 ほ·し {シク 활용}
やっぱりこんな事伝えたら格好悪いし
伝える
전하다; (소식을) 알리다. 전언하다. 전달하다. 〔동의어〕伝達する; 물려주다. 뒤에 남기다; 전파하다. 전해주다; 전수(傳授)하다; 전도(傳導)하다. 옮겨 보내다. (작용을) 미치다. 【문어형】 つた·ふ {하2단 활용}
格好
각항. 각 항목; 모양. 모습; 겉모양. 그럴듯한 형식; 〈動詞·助動詞의 連用形+助動詞 「た」에 붙어〉 어떤 상태를 나타냄. …한 모양. …한 꼴; 알맞음. 걸맞음. 적당함. {문어·ナリ 활용 }; 《나이를 나타내는 수에 붙어》 ‘어림잡아’의 뜻을 나타냄. 정도. 가량. 〔참고〕 「格好」는 대용자; 「滑降競技」의 준말; 『조류』 곽공. 뻐꾸기. 〔동의어〕かんこどり·よぶこどり·かっこうどり
事
『문어』 말. 이야기; 말. 마디; 《의식·사고의 대상 중 「物」와 같은 구체적인 것이 아닌, 추상적인 것을 가리키는 말》; 세상에서 일어나는 사건·현상. 일; 행위. 행동. 행사; 큰일. 문제. 사건. 사태; 통칭이나 아호(雅號) 등과 본명 사이에 써서, 그것이 동일 인물임을 나타냄. 즉. 곧; 〈自称의 人代名詞에 붙어〉 ‘나에 대해서 말하면’의 뜻을 나타냄;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어 그 활용어를 名詞화하여 다음과 같은 뜻을 나타냄. 보통 かな로 씀》; 경험; 방침. 습관; 경우. 가능성; 필요; 전문(傳聞); 해야 할 일; 수; 사실. 것. 일; 〈形容詞의 連体形에 붙어 副詞적으로 쓰임〉; 〈動詞의 連体形 또는 動詞에 否定의 助動詞의 連体形이 붙은 꼴에 곁들여〉 가벼운 명령·금지를 나타냄; 가정(假定)의 사항을 나타냄; 《「…を~にする」의 꼴로》 다름; 『음악』 거문고. ((원래는 현악기의 총칭)); 고도. 옛 도읍; 호도. 얼버무려 넘김. 미봉(彌縫); 『문어』 《活用語의 連体形·終止形에 붙음》; 감동을 나타냄; 완곡한 단정을 나타냄; 질문하거나 동의를 구하거나 권유하는 뜻을 나타냄. 〔참고〕 「事」와 같은 어원. 동료 또는 손아랫사람에게 쓰는 여성어
やっぱり
《「やはり」의 변한말》 역시. 과연
こんな
《「このような」보다 구어적인 표현》 이러한. 이런. 〔참고〕 語幹이 그대로 連体形의 작용을 하므로 連体詞로 보는 견해도 있음
悪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形容詞를 만듦》 …하기 어렵다. 좀처럼 …할 수 없다. …하기 거북하다. 【문어형】 にく·し {ク 활용}; 밉다. 얄밉다. 밉살스럽다. 〔동의어〕憎らしい; 〈反語적으로〉 (얄밉도록) 기특하다. 훌륭하다. にく·が·る 【5단 활용 타동사】 にく·げ 【형용동사】 にく·さ 【명사】 【문어형】 にく·し {ク 활용}
長くなるだけだからまとめるよ
まとめる
한데 모으다. 합치다; 정리하다; 결말짓다. 해결하다. 결정하다. 완성하다. 【문어형】 まと·む {하2단 활용}
長い
한곳에 오래 머무름. 〔동의어〕長座; (공간적으로) 길다; (시간적으로) 길다. 오래다. 〔참고〕 「永い」로도 씀; 길이 멀다; 마음이 느슨하다. 늘쩡하다. 1.~4. 〔반의어〕 短い. なが·さ 【명사】 【문어형】 なが·し {ク 활용}
君が好きだ
君
『문어』; 임금. 군주; 윗사람에 대한 높임말; 논다니. 유녀; 남자가 동년배 또는 손아래 상대를 친근하게 부르는 말. 자네. 그대. 군. ((「おまえ」보다 공손한 말)) 〔반의어〕 僕; 느낌. 기분. 〔동의어〕きび; 〈「~がいい」 「いい~(だ)」의 꼴로〉 고소한 기분이다. 고소하다; 기미. 기운. 경향; ⇒ きび; 노랑을 띠고 있음. 노란 빛깔. 〔동의어〕黄色み; 노른자위. 난황(卵黃). 〔동의어〕卵黄. 〔반의어〕 白身
好き
좋아함. 〔반의어〕 きらい; 색다른 것을 좋아함. 〔동의어〕ものずき; 호색. 〔동의어〕いろごのみ; 마음 내키는 대로임. 제멋대로임; 틈; 빈틈. 틈새기. 빈곳. 〔동의어〕隙間; 겨를. 짬; 허점. 방심. 틈탈 기회; 『농학·농림·농업』 쟁기. 극젱이. 〔동의어〕からすき; 종이를 뜸. 초지(抄紙); 『농학·농림·농업』 가래; 풍류(風流). 풍류의 길. 특히, 다도(茶道)·和歌를 즐김. 〔참고〕 「好き」의 차자. 「数奇」는 딴말임
聞こえるまで何度だって言うよ
聞こえる
(소리가) 들리다; (…으로) 여겨지다. 해석되다. 받아들여지다; 납득되다. 이해되다; 세상에 알려지다. 이름나다. 【문어형】 きこ·ゆ {하2단 활용}
何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だって
상대의 말을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고 반론하는 경우에 씀. 그렇지만. 하지만. 그런데. 〔동의어〕でも; 《助動詞 「だ」에 助詞 「とて」가 붙은 「だとて」의 변한말. 体言 또는 体言에 준하는 말에 붙음》; …(이)라도. …일지라도. …라 하여도; …에게조차; …이든 …이든; …이란다
度
일본식 버선; 어떤 일이 있는, 또는 있었던 그때. 적. 때. 〔동의어〕折·時; 〈「に」가 붙어, 「…をする~に」 「…の~に」의 꼴로〉 …할 때마다. …할 적마다. 〔참고〕 흔히, 동사의 連体形에 붙어서 쓰임; 횟수; 《수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서 횟수를 나타냄》 …번; 여행. 〔동의어〕旅行. 〔참고〕 긴 인생에 비유해서도 씀
言う
말하다; 이야기하다. 지껄이다; 묻다; 명령하다. 의뢰하다; (의견을) 진술하다; 조언하다. 비평하다; 표현하다; 〈「…を…と~」의 꼴로〉 …을 …이라고 (말)하다[부르다·일컫다]; 소리가 나다. 소리를 내다. 소리가 들리다; 〈「…と~」+体言, 「…と~·った」+体言, 「…と~·います」+体言의 꼴로〉 …이라는. …이라 하는. 〔참고〕 「いう」 자체는 실질적인 뜻이 없으며, 흔히 仮名로 씀; 〈「…と~」의 앞뒤에 같은 体言이 붙어〉 …이라는 …은(는) 모두; 〈상태를 나타내는 말에 「…と~·ったらない」 「…と~ものはない」가 이어져〉 이 이상 …한 것은 없다. 정말이지 …하다. 〔참고〕 「…といったらない」는 「…ったらない」로도 씀. 어형(語形)이 「いう」의 꼴이지만 발음은 「ユー」로 함. 현대 かな 쓰기에서 활용의 설명상 「いう」로 씀. 【가능동사】 い·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君が好きだ
君
『문어』; 임금. 군주; 윗사람에 대한 높임말; 논다니. 유녀; 남자가 동년배 또는 손아래 상대를 친근하게 부르는 말. 자네. 그대. 군. ((「おまえ」보다 공손한 말)) 〔반의어〕 僕; 느낌. 기분. 〔동의어〕きび; 〈「~がいい」 「いい~(だ)」의 꼴로〉 고소한 기분이다. 고소하다; 기미. 기운. 경향; ⇒ きび; 노랑을 띠고 있음. 노란 빛깔. 〔동의어〕黄色み; 노른자위. 난황(卵黃). 〔동의어〕卵黄. 〔반의어〕 白身
好き
좋아함. 〔반의어〕 きらい; 색다른 것을 좋아함. 〔동의어〕ものずき; 호색. 〔동의어〕いろごのみ; 마음 내키는 대로임. 제멋대로임; 틈; 빈틈. 틈새기. 빈곳. 〔동의어〕隙間; 겨를. 짬; 허점. 방심. 틈탈 기회; 『농학·농림·농업』 쟁기. 극젱이. 〔동의어〕からすき; 종이를 뜸. 초지(抄紙); 『농학·농림·농업』 가래; 풍류(風流). 풍류의 길. 특히, 다도(茶道)·和歌를 즐김. 〔참고〕 「好き」의 차자. 「数奇」는 딴말임
[名曲]わたしのすきなもの♪ 【しまじろうチャンネル公式】
ネコの真似したお嫁さん
24時間オペレーターが対応 ロボット通して人と会話(2023年3月27日)
漆と日本文化: 室瀬 和美 at TEDxTokyo (日本語)
水のペットボトル“再生”原料に 各社で切り替えへ(2021年6月28日)
皇居の正月を彩る「春飾り」の準備作業が大詰め(2021年12月22日)
米11月の消費者物価指数 伸び率2カ月連続で縮小(2023年12月12日)
特急「やくも」がモデルチェンジ 沿線の景色に映えるブロンズカラーが特徴(2024年4月6日)
北朝鮮「戦術核運用の訓練」9月25日から 新型中距離弾の発射も(2022年10月10日)
希望的リフレイン
You need to upgrade to a premium account to using this feature
Are you sure you want to test again?
Please upgrade your account to read unlimited newspap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