いらっしゃいませ。 何名様ですか?
いらっしゃいませ。 何名様ですか?
えっと、 六名です。
ご利用時間はいかがなさいますか?
二時間で。
かしこまりました。 身分証明書をご提示下さい。
はい、 どうぞ。
店員は身分証明書を確認した。
ありがとうございました。
店員は身分証明書を返した。
お客様のお部屋は三一一号室になります。
分かりました。
ドリンクバーはご自由にご利用下さい。
分かりました。
ごゆっくりどうぞ。
いらっしゃいませ。 何名様ですか?
名
이름; 명칭. 호칭; 성 밑에 붙는 호칭. 〔반의어〕 姓; 성명; 명의; 명성. 평판. 명예; 명목. 구실; 명분. 체면. 형식. 1.~4.〔동의어〕名まえ; 『식물·식물학』; 푸성귀. 남새. 나물. 〔동의어〕あおな·なっぱ; 평지. 유채. 〔동의어〕あぶらな; 잡귀를 쫓음. 〔동의어〕追儺·おにやらい; 『러시아어』 너. 그대. 〔동의어〕おまえ·なんじ; 가벼운 영탄(詠嘆)을 담아 상대편에게 다짐을 주면서 말을 이어가는 데에 쓰임. 무간한 사이의 남성 용어. …말이야[말이지]. 〔참고〕 이 間投助詞로서의 용법은 예전부터 있었음; 〈動詞形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어〉 금지를 나타냄. (…하지) 마라; 〈「なさい」의 「さい」를 생략한 꼴로, 動詞形 活用語의 連用形에 붙어〉 명령·권고를 나타냄; 감동·영탄 또는 불쾌감을 나타냄. …구나. 〔동의어〕なあ; 〈「…ないか~」 「…といい~」 등의 꼴로〉 소망을 나타냄. …(지) 않나. …(면) 좋겠는데. 〔동의어〕なあ·かな; 가벼운 단정·주장이나 다짐하는 뜻을 나타냄. …어. …지. …군. …데; 남성어로서, 상대편의 동의를 구하거나 대답을 유도하는 뜻을 나타냄. …지. …구나; 〈「下さい」 「なさい」 「頂戴」 등의 뒤에 붙어〉 부드러운 명령을 나타냄. …요; 말을 걸거나 다짐을 할 때 내는 말. 응. 그렇지. 여보게. 〔동의어〕なあ. 〔참고〕 여성의 경우에는 흔히, 「ね」 「ねえ」를 씀
何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様
(어떤 사물·사람의) 상태. 모양. 모습. 몰골; 방법. 수단; 이유. 사정; 《江戸 시대에 흔히 창녀가 쓰던 말》; (2인칭) 당신. 님; (3인칭) 저분. 그분; 〈名詞에 붙어〉 그 방향·방면의 뜻을 첨가함. 방향. 쪽. 향. 〔참고〕 ㉠「ざま」라고도 함. ㉡「方」로도 씀; 〈인명 또는 사람을 나타내는 名詞 등에 붙어〉 그 사람에 대한 존경을 나타냄. 님. 씨; 〈接頭語 「ご」 「お」가 붙은 名詞·形容動詞에 붙어〉 어떤 사실을 공손히 하는 말;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하려 할 때. …과 동시에. …하자마자;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하는 상태. …하는 방식[모양]. …하는 꼴. 〔참고〕 흔히, 「ざま」라고도 함; 성벽 등에 설치하여 밖을 보거나 활·총을 쏘는 창
いらっしゃい
《「いらっしゃる」의 命令形. 補助動詞적으로도 씀》 어서 오십시오. 계십시오. 〔참고〕 命令形으로 쓸 때는 윗사람에게는 안 씀; 환영의 뜻을 나타내는 인사말. ((「いらっしゃいまし」의 준말이라고도 함)) 잘 오셨습니다. 참 반갑습니다
えっと、 六名です。
名
이름; 명칭. 호칭; 성 밑에 붙는 호칭. 〔반의어〕 姓; 성명; 명의; 명성. 평판. 명예; 명목. 구실; 명분. 체면. 형식. 1.~4.〔동의어〕名まえ; 『식물·식물학』; 푸성귀. 남새. 나물. 〔동의어〕あおな·なっぱ; 평지. 유채. 〔동의어〕あぶらな; 잡귀를 쫓음. 〔동의어〕追儺·おにやらい; 『러시아어』 너. 그대. 〔동의어〕おまえ·なんじ; 가벼운 영탄(詠嘆)을 담아 상대편에게 다짐을 주면서 말을 이어가는 데에 쓰임. 무간한 사이의 남성 용어. …말이야[말이지]. 〔참고〕 이 間投助詞로서의 용법은 예전부터 있었음; 〈動詞形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어〉 금지를 나타냄. (…하지) 마라; 〈「なさい」의 「さい」를 생략한 꼴로, 動詞形 活用語의 連用形에 붙어〉 명령·권고를 나타냄; 감동·영탄 또는 불쾌감을 나타냄. …구나. 〔동의어〕なあ; 〈「…ないか~」 「…といい~」 등의 꼴로〉 소망을 나타냄. …(지) 않나. …(면) 좋겠는데. 〔동의어〕なあ·かな; 가벼운 단정·주장이나 다짐하는 뜻을 나타냄. …어. …지. …군. …데; 남성어로서, 상대편의 동의를 구하거나 대답을 유도하는 뜻을 나타냄. …지. …구나; 〈「下さい」 「なさい」 「頂戴」 등의 뒤에 붙어〉 부드러운 명령을 나타냄. …요; 말을 걸거나 다짐을 할 때 내는 말. 응. 그렇지. 여보게. 〔동의어〕なあ. 〔참고〕 여성의 경우에는 흔히, 「ね」 「ねえ」를 씀
六
육. 여섯. 〔동의어〕むっつ·ろく; 무. 아무것도 없음. 〔반의어〕 有; 힘을 쓰거나, 감탄하거나, 놀라거나 할 때 입을 다물고 내는 소리. 음; 『문어』 《動詞·動詞型活用의 助動詞의 未然形에 붙어》; 추량·예상의 뜻을 나타냄. …일 것이다. …이겠지; 의지·희망의 뜻을 나타냄. …하겠다. …할 작정이다; 권유·명령의 뜻을 나타냄. …하는 것이 좋겠다. …해 주게; 가정·가상의 뜻을 나타냄. 만약 …이라면 (…일 것이다); 완곡하게 표현하는 뜻을 나타냄. …같은. 〔참고〕 平安 시대 이후에는 「ん」으로도 씀
ご利用時間はいかがなさいますか?
利用
속요. 민요; 이용. 이발과 미용; 이용; 쓸모 있게 씀. 이롭게 씀; 자기의 이익을 위해 편의적인 수단으로서 씀
時間
자간; 차관; 시간; 『문어』 시간. 그때의 어려움. 그 시대의 당면 난제(難題)
二時間で。
時間
자간; 차관; 시간; 『문어』 시간. 그때의 어려움. 그 시대의 당면 난제(難題)
二
《名詞 등에 붙어 形容動詞의 어간을 만듦》 불. 부. 〔참고〕 관용상 「ぶ」로 되는 경우도 있으며, 이 때 흔히 「無」로도 씀; …을 하는 남자. 부. 원(員). 〔반의어〕 婦; …을 하는 여자. 부. 〔반의어〕 夫; 둘. ((소리내어 수를 셀 때의 말)) 〔동의어〕ふたつ·ふう; 중국 고대의 화폐; 『문어』 무녀. 무당; 『문어』 중심지; 《고어》 지방 관청. 또는 그 소재지; (일본 장기의) 졸. 〔동의어〕兵; 『문어』 부고. 부음. 〔동의어〕訃音; 『수학』 부. 음(陰). 〔반의어〕 正; 『물리』 음극(陰極); 부적; 옛날 상급 감독 관청에서 하급 관청에 내린 공문서; 부; 증표(證票); 기호. 부호; 《고어》 부. 풍부함. 부자임. 〔반의어〕 貧; 반점. 얼룩. 〔동의어〕まだら; 내장; 사려 분별. 생각. 근성(根性); 부; 『문학』 시경(詩經)의 육의(六義)의 하나. 비유법을 쓰지 않고 느낀 것을 그대로 읊는 시의 서술법; 『문학』 글귀 끝에 운(韻)을 달고 대구(對句)를 많이 쓰는 한문체(漢文體)의 하나; 토지 또는 인구에 할당되던 조세(租稅); 밀가루에서 얻어지는 글루텐으로 만든 식품. ((「生麩」와 「焼麩」가 있음)); 보; 『음악』 음보(音譜). 악보(樂譜); 기보(碁譜); 〈흔히, 接尾語적으로 씀〉 계통을 세워 순서 있게 적은 기록. 계보. 도감
かしこまりました。 身分証明書をご提示下さい。
証明
『기독교』 소명. 신의 부름을 받아 성직자로서의 사명이 주어짐; 《보통 「正真~」의 꼴로 씀》 진짜; 증명; (사실·결론이) 진실임을 밝힘; 『논리학』 어떤 명제·판단을 근본 원리에서 이끌어 냄; 『법률』 재판의 기초가 되는 사실을 증거에 의해 확인함; 조명; (인공적으로) 빛을 비추어 밝게 함; 무대나 촬영 효과를 높이기 위해 쓰는 광선(의 사용법). 〔참고〕 비유적인 뜻으로도 씀
身分
신분; 처지. 신세. 팔자; 미분. 미분화(未分化)
提示
정자. 정자형; 저차. 낮은 차원. 〔반의어〕 高次; 정시. 제시; 정시; 정각; 정기; 『문어』 체차; 순서. 순번; 제시; 철자. 〔동의어〕てつじ·つづり字
書
초. 첫. 처음의; 초; 제. 여러. 많은; 소. 어떤 일을 하기 위한 장소·시설·기관. 〔참고〕 「じょ」로 읽는 경우가 있음; 서. 관청임을 나타냄; 《「警察署」의 준말》 서; 서; 쓴 글씨. 필적; 서법(書法). 서도(書道). 서예; 책. 서류; 편지. 서간; 서. 책·문서 등의 뜻을 나타냄; 서. 〔반의어〕 寒; 대서(大暑)와 소서(小暑). 복중(伏中); 보관을 주업무로 하는 관공서를 나타냄; 서. 실마리. 처음. 〔동의어〕ちょ
下さい
《「下さる」의 命令形》 주십시오; 《「お」+動詞의 連用形, 「ご」+한자어, 또는 動詞의 連用形+助詞 「て(で)」의 꼴 등에 붙음》 남에게 권하거나 바라는 뜻을 나타냄. …해 주세요.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はい、 どうぞ。
どうぞ
상대편에게 무엇을 허락하거나 권하거나 할 때 쓰는 말. ((공손한 표현)); 부탁이나 희망의 뜻을 나타내는 말. 아무쪼록. 제발. 부디. 〔동의어〕なにとぞ·どうか; 어떻게든. 〔동의어〕なんとか·どうにか
店員は身分証明書を確認した。
店員
점원; 전원. 현재 입원하고 있는 병원에서 다른 병원으로 옮김
確認
확인
証明
『기독교』 소명. 신의 부름을 받아 성직자로서의 사명이 주어짐; 《보통 「正真~」의 꼴로 씀》 진짜; 증명; (사실·결론이) 진실임을 밝힘; 『논리학』 어떤 명제·판단을 근본 원리에서 이끌어 냄; 『법률』 재판의 기초가 되는 사실을 증거에 의해 확인함; 조명; (인공적으로) 빛을 비추어 밝게 함; 무대나 촬영 효과를 높이기 위해 쓰는 광선(의 사용법). 〔참고〕 비유적인 뜻으로도 씀
身分
신분; 처지. 신세. 팔자; 미분. 미분화(未分化)
書
초. 첫. 처음의; 초; 제. 여러. 많은; 소. 어떤 일을 하기 위한 장소·시설·기관. 〔참고〕 「じょ」로 읽는 경우가 있음; 서. 관청임을 나타냄; 《「警察署」의 준말》 서; 서; 쓴 글씨. 필적; 서법(書法). 서도(書道). 서예; 책. 서류; 편지. 서간; 서. 책·문서 등의 뜻을 나타냄; 서. 〔반의어〕 寒; 대서(大暑)와 소서(小暑). 복중(伏中); 보관을 주업무로 하는 관공서를 나타냄; 서. 실마리. 처음. 〔동의어〕ちょ
ありがとうございました。
ありがとう
《「ありがたい」의 連用形 「ありがたく」의 音便》 고맙다. 고마워요. 감사해요. 〔참고〕 関西 지방에서는 「おおきに」를 씀
店員は身分証明書を返した。
店員
점원; 전원. 현재 입원하고 있는 병원에서 다른 병원으로 옮김
証明
『기독교』 소명. 신의 부름을 받아 성직자로서의 사명이 주어짐; 《보통 「正真~」의 꼴로 씀》 진짜; 증명; (사실·결론이) 진실임을 밝힘; 『논리학』 어떤 명제·판단을 근본 원리에서 이끌어 냄; 『법률』 재판의 기초가 되는 사실을 증거에 의해 확인함; 조명; (인공적으로) 빛을 비추어 밝게 함; 무대나 촬영 효과를 높이기 위해 쓰는 광선(의 사용법). 〔참고〕 비유적인 뜻으로도 씀
身分
신분; 처지. 신세. 팔자; 미분. 미분화(未分化)
書
초. 첫. 처음의; 초; 제. 여러. 많은; 소. 어떤 일을 하기 위한 장소·시설·기관. 〔참고〕 「じょ」로 읽는 경우가 있음; 서. 관청임을 나타냄; 《「警察署」의 준말》 서; 서; 쓴 글씨. 필적; 서법(書法). 서도(書道). 서예; 책. 서류; 편지. 서간; 서. 책·문서 등의 뜻을 나타냄; 서. 〔반의어〕 寒; 대서(大暑)와 소서(小暑). 복중(伏中); 보관을 주업무로 하는 관공서를 나타냄; 서. 실마리. 처음. 〔동의어〕ちょ
返し
돌려줌. 반환; 답례. 반례(返禮); ⇒ 返歌; 바람·파도·지진 등이 한번 멎었다가 다시 일어나는 일; 「返し幕」의 준말; 한자 자음(字音)의 반절(反切); 거스름돈; (가요에서) 같은 문구를 되풀이함; (낚싯바늘의) 미늘
お客様のお部屋は三一一号室になります。
号
『문어』; 「豪州」의 준말; 호. 참호. 〔참고〕 물이 괴어 있는 것은 「濠(해자)」; 호. 아호. 〔동의어〕雅号·ペンネーム; (신문·잡지 등의) 호수(號數); 탈것·동물 등의 이름에 붙이는 말. 호; 숫자에 붙여 차례·크기 등을 나타내는 말. 호; 『철학』 (변증법에서) 합. 종합(綜合). 〔동의어〕ジンテーゼ; (척관법에서) 면적의 단위. 평(坪)의 10분의 1. 홉; (척관법에서) 용량의 단위. 되의 10분의 1. 홉; 〈「…合目」의 꼴로〉 등산로의 대강의 거리를 나타내는 단위. 정상까지를 10合으로 나눔; 뚜껑이 있는 그릇을 세는 말. 개; 경기·싸움 등의 횟수. 또는 칼싸움에서 칼을 맞부딪는 횟수를 세는 말. 회. 번; 힘이 셈. 굳건함. 〔반의어〕 柔; 『문어』 호. 가늘고 긴 털. 붓. 붓의 털끝; (변하여) 아주 조금임; 『문어』 향. 시골. 촌; 옛날의 행정 구역의 하나. ((「村」를 몇 개 합친 단위)); 『불교』 업. 선악의 행위; 『불교』 업보; 이성(理性)으로는 다스릴 수 없는 마음의 작용; ⇒ こう1.
一
일; 하나. 〔동의어〕一つ. 〔참고〕 증서 등에서는 갖은자인 「壱」을 씀; (사물의) 시초. 처음. 첫째. 최초. 〔동의어〕一番め; 최상. 최고. 으뜸. 〔동의어〕首位; (상투 등에서) 元結로 묶은 곳에서 뒤로 내민 부분; (三味線·거문고 등에서) 제일 낮은 음의 줄. 〔동의어〕一の糸; (많은 것 중) 한. 하나의. 한 사람의; (이렇다 할 만한 데가 없는) 하찮은. 어떠 한; 어떤. 한; 상당한. 버젓한; 시장. 저자. 장; (변하여) 시가. 거리. 〔동의어〕街; 지위(地位). 〔동의어〕地位; 위치; 지위. 입장
三
『문어』; 마음 아파함. 몹시 슬퍼함. {문어·タリ 활용}; 『문어』 찬란함. 눈부심. 휘황하게 빛남. {문어·タリ 활용}; 《「さま」의 변한말》; 인명·직명에 붙어 경의를 나타냄. 또는 동물명 등에 붙여 친애의 뜻을 나타내기도 함. 님. 씨. 군. 양. 선생; 인사말 등에 붙어 공손한 기분을 나타냄. 〔참고〕 「様」보다 친근한 말씨; 산; 절 이름 앞에 곁들이는 말. 산호(山號); 산. 가루약; 三味線의 셋째 줄. 〔동의어〕三の糸. 〔참고〕 증서(證書) 등에 쓰는 갖은자는 「参」; 삼(三). 셋; 참가함. 옴; 선종(禪宗)에서 사람을 모아놓고 하는 좌선(坐禪)·설법·염불; 소매 없는 「じゅばん」. 속옷; (판자가 휘지 않도록 대는) 띳장; (문·장지·창 등의) 살; (사다리·망루·토대 등의) 가로장. 디딤판; 문의 비녀장; 출산(出産). 분만(分娩). ((보통 「お産」의 꼴로 씀)); 출생지. 출신지; 그 토지의 산물(産物). 산; 재산; 『문어』 잔. 술잔; 산가지. 〔동의어〕算木; 셈함. 계산함; 점대. (변하여) 점. 점괘; 가망. 공산. 예상. 계략. 수법; 찬; 인물·사물을 기리는 한문의 문장; 그림속에 곁들이는, 그림에 대한 시구(詩句). 화찬(畵讚); 논평. 비평; 초(醋). 신맛. 또는 맛이 심; 『화학』 산(酸). 〔반의어〕 アルカリ
部屋
방; 광. 곳간; 궁중에서 궁녀들이 거처하는 방. 〔동의어〕局; 하급 직책의 여성으로서 귀인의 첩이 되어 방을 차지한 여자; 은퇴한 씨름꾼이 제자를 양성하는 곳. ((연습용 씨름판이 마련되어 있으며, 씨름꾼은 어느 곳에든 소속되어 있어야 함))
室
『문어』; 실. 손실. 〔반의어〕 得; 결점. 흠; 잘못. 과실; 방; 도검(刀劍)의 칼집. 〔동의어〕鞘; 습기. 물기; 개선(疥癬). 옴; 슬. ((고대 중국의 현악기. 쟁(箏)의 일종이며, 보통 25현임)); 질; 내용. 실질; 품질; 소질. 체질. 성질
分かりました。
分かり
이해. 납득. 〔동의어〕のみこみ·理解
ドリンクバーはご自由にご利用下さい。
自由
자유. {문어·ナリ 활용 }; 사유; 『법률』 직접 원인·이유가 되는 사실
利用
속요. 민요; 이용. 이발과 미용; 이용; 쓸모 있게 씀. 이롭게 씀; 자기의 이익을 위해 편의적인 수단으로서 씀
下さい
《「下さる」의 命令形》 주십시오; 《「お」+動詞의 連用形, 「ご」+한자어, 또는 動詞의 連用形+助詞 「て(で)」의 꼴 등에 붙음》 남에게 권하거나 바라는 뜻을 나타냄. …해 주세요.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ドリンク
드링크; 드링크제
分かりました。
分かり
이해. 납득. 〔동의어〕のみこみ·理解
ごゆっくりどうぞ。
ゆっくり
《副詞는 「~と」의 꼴로도 씀》; 천천히. 느긋하게; 충분히. 넉넉히. 여유있게. 〔동의어〕たっぷり
どうぞ
상대편에게 무엇을 허락하거나 권하거나 할 때 쓰는 말. ((공손한 표현)); 부탁이나 희망의 뜻을 나타내는 말. 아무쪼록. 제발. 부디. 〔동의어〕なにとぞ·どうか; 어떻게든. 〔동의어〕なんとか·どうにか
サントリーがペットボトル再生で世界初の技術(19/11/16)
全国の新型コロナ重症者973人 2日連続で1000人以下(2021年1月31日)
おむすびころりん
育児・介護休業法などの改正案を閣議決定(2024年3月13日)
新型コロナ全国6万8894人感染 「第8波」懸念(2022年11月14日)
GReeeeN – beautiful days
サントリー天然水の森『竹林問題』 3分21秒
こんにちはのうた | 日本語の童謡 | LittleBabyBum
アフガンで連日の爆発 「イスラム国」関与主張(2021年9月20日)
三菱UFJ銀行などに処分勧告を検討 同意なく証券会社と顧客情報共有か 証取委(2024年6月7日)
You need to upgrade to a premium account to using this feature
Are you sure you want to test again?
Please upgrade your account to read unlimited newspap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