利用できる時間帯を限定して4月に始まった日本版ライドシェアですが、来月からは雨の時間帯も運行できるようになります。
Japan's version of ride share From next month can operate even on rainy days (2024/06/28)
0 view利用できる時間帯を限定して4月に始まった日本版ライドシェアですが、来月からは雨の時間帯も運行できるようになります。
「ライドシェアの指定された時間外であっても雨が予想される場合はライドシェアを活用を可能とする改善を7月1日から開始致します」
日本版ライドシェアは、現在は利用できる時間帯が限られていますが、
大都市地域では来月から降水量の予報が1時間5ミリ以上となった時間帯と、その前後の1時間も運行できるようになります。
雨の日はタクシー不足が深刻な状況であることから、大都市でライドシェアの導入を求める声が高まっていました。
日本版ライドシェアはすでに全国の15の地域で導入され、16日時点で2476人がドライバーに登録し、運行回数は約4万6000回となっています。
利用できる時間帯を限定して4月に始まった日本版ライドシェアですが、来月からは雨の時間帯も運行できるようになります。
利用
속요. 민요; 이용. 이발과 미용; 이용; 쓸모 있게 씀. 이롭게 씀; 자기의 이익을 위해 편의적인 수단으로서 씀
日本
일본. 〔동의어〕にほん
帯
(일본옷에서) 허리에 두르는 띠. 또는 띠 모양의 것; 「帯紙」 「帯番組」의 준말
月
《「月曜日」의 준말》 월; 《「…か~」의 꼴로》 …(개)월
限定
한정; 『문어』 현제. 배의 측면에 설치한 승강용 사다리. 〔동의어〕タラップ
雨
하늘의 신이 사는 곳. 또는 高天が原; 콩을 삶을 때 나오는 국물. 메주 콩물; 비; 끊임없이 떨어지거나 쏟아지거나 하는 것; 엿. 조청; 「あめ色」의 준말; 『어류』 ⇒ あめのうお
時間
자간; 차관; 시간; 『문어』 시간. 그때의 어려움. 그 시대의 당면 난제(難題)
できる
전부 나가다[나오다]. 다 나가[나와] 남은 것이 없다. 〔동의어〕出つくす. 【문어 4단 활용 동사】; 《カ変動詞 「でくる」의 변한 꼴》; (새로) 생기다. 나다; 생성(生成)되다; 성립되다; 일어나다. 발생하다; 수중에 들어오다. 얻다; 생산되다. 산출되다; 만들어지다; 완성되다. 다 되다; (소질·경향을) 타고나다. 생겨 먹다; 능력·가능성이 있다. 할 수 있다. 가능하다; 〈サ変動詞의 語幹에 붙어 接尾語적으로〉 …할 수 있다. …하는 것이 가능하다; 잘하다. 할 줄 알다; (능력·인품이) 뛰어나다. 출중하다. 되어 있다; 《속어》 (남녀가) 깊은 관계에 있다. 눈이[배가] 맞다; 『경제』 (증권 거래소에서) 매매가 성립되다
来月
내월. 내달. 다음 달. 〔동의어〕翌月
版
범. 널리 전체에 걸침. 전(全). 〔동의어〕パン; 《関西(관서)방언》 《「さん」의 변한말》 …씨. …님. 〔동의어〕さん; 범; 그 죄명 또는 범인임을 나타냄; 수형(受刑) 횟수를 나타냄; 반. 반점. 〔동의어〕まだら; 「反切」의 준말; 『철학』 반정립(反定立). 안티테제. 〔동의어〕アンチテーゼ. 〔반의어〕 正; 반. 〔동의어〕アンチ; 반. 절반. 〔동의어〕なかば; 홀수. 기수. ((노름판 등에서 씀)) 〔반의어〕 丁; 반 시간; 반. 반쯤. 절반. 불완전. 상당히. 거의; 인장(印章). 도장. 〔동의어〕はんこ; 판정. 판단; 수결(手決). 〔동의어〕花押; 판형(判型). 종이·책의 크기; ⇒ ばん; 판; 판목. 판화; 인쇄판; 한 서적의 발행 횟수; 《接尾語적으로도 씀》 반; 『문어』 번거로움; 모범. 본보기. 〔동의어〕手本; 《歴》 江戸 시대, 大名가 지배한 영지·인민·통치 기구의 총칭
運行
운행; 운항; 운고. 구름의 높이
「ライドシェアの指定された時間外であっても雨が予想される場合はライドシェアを活用を可能とする改善を7月1日から開始致します」
場合
때. 경우. 〔동의어〕おり; 사정. 상태. 형편
日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外
《名詞나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할 만한) 값어치. 보람; 외. 밖; 가; 아집(我執). 〔동의어〕我; 화의. 화취(畵趣). 그림의 의도; 해. 〔반의어〕 益; 해로움. 손해; 방해. 지장; 재앙; 『문어』하의. 축의(祝意). 〔반의어〕 弔意; 『문어』 그. 이. 당해(當該); 『문어』 (사람에게서 풍기는) 기상. 기세. 기개; 『불교』; 선심(善心)을 덮어 가리는 것, 즉 번뇌; 개. (법회에서) 도사(導師)의 보행(步行) 때, 그 위를 받치는 삿갓 모양의 것; 개. 불상이나 도사의 자리 위에 만들어 놓은 천개(天蓋); 삿갓이나 삿갓 모양의 물건을 세는 말. 개
開始
『문어』; 과거를 돌이켜봄. 〔동의어〕回顧; 회지; 괴사. 원인 모를 죽음; 겨자씨; 일본 해상 자위대 계급의 한 가지. ((海士長 및 1·2·3등의 네 등급이 있음. 海曹의 아래)) 〔반의어〕 陸士·空士; 해시. 신기루. ((예스러운 말)) 〔동의어〕蜃気楼; 和歌·連歌 등을 정식으로 기록할 때 쓰는 용지; 개시. 시작. 〔반의어〕 終了
改善
개선. 〔반의어〕 改悪; 『문어』 계전. 섬돌 앞. 마루 앞의 뜰; 『문어』; 완쾌. 〔동의어〕全快. {문어·タリ 활용}; 『문어』 외따로 있는 모양. 혼자 있는 모양. {문어·タリ 활용}
活用
활용; 이용; 『언어학』 用言·助動詞의 어미 변화
可能
『의학』 화농. 곪음; 『언어학』 가능태(可能態). ((「理解する」에 대하여 「理解できる」 따위)); 과납. (세금 등을) 필요 이상으로 납부함; 『문어』 가납; 선물 등을 윗사람이 기꺼이 받아들임
月
《「月曜日」의 준말》 월; 《「…か~」의 꼴로》 …(개)월
指定
자제; 자식이나 동생. 〔반의어〕 父兄; 연소자; 『문어』 자제. 손위 누이와 남동생. 〔반의어〕 兄妹; 사저. 〔반의어〕 官邸·公邸; 『문어』 사정. 심부름꾼. 사환. 〔동의어〕しちょう; 지정; 가리켜 정함; 『언어학』 단정(斷定); 사제. 스승과 제자; 시정. 육안으로 볼 수 있는 최대 수평 거리. ((대기의 혼탁도를 나타냄))
雨
하늘의 신이 사는 곳. 또는 高天が原; 콩을 삶을 때 나오는 국물. 메주 콩물; 비; 끊임없이 떨어지거나 쏟아지거나 하는 것; 엿. 조청; 「あめ色」의 준말; 『어류』 ⇒ あめのうお
時間
자간; 차관; 시간; 『문어』 시간. 그때의 어려움. 그 시대의 당면 난제(難題)
予想
예상; ⇒ よそおう; 음식물을 그릇에 담다. 〔동의어〕よそる. 【가능동사】 よそ·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日本版ライドシェアは、現在は利用できる時間帯が限られていますが、
利用
속요. 민요; 이용. 이발과 미용; 이용; 쓸모 있게 씀. 이롭게 씀; 자기의 이익을 위해 편의적인 수단으로서 씀
日本
일본. 〔동의어〕にほん
帯
(일본옷에서) 허리에 두르는 띠. 또는 띠 모양의 것; 「帯紙」 「帯番組」의 준말
現在
『기독교』 원죄; 현재; 〈副詞的으로도 씀〉 지금. 〔동의어〕今. 〔반의어〕 過去·未来; 『언어학』 현재형
時間
자간; 차관; 시간; 『문어』 시간. 그때의 어려움. 그 시대의 당면 난제(難題)
できる
전부 나가다[나오다]. 다 나가[나와] 남은 것이 없다. 〔동의어〕出つくす. 【문어 4단 활용 동사】; 《カ変動詞 「でくる」의 변한 꼴》; (새로) 생기다. 나다; 생성(生成)되다; 성립되다; 일어나다. 발생하다; 수중에 들어오다. 얻다; 생산되다. 산출되다; 만들어지다; 완성되다. 다 되다; (소질·경향을) 타고나다. 생겨 먹다; 능력·가능성이 있다. 할 수 있다. 가능하다; 〈サ変動詞의 語幹에 붙어 接尾語적으로〉 …할 수 있다. …하는 것이 가능하다; 잘하다. 할 줄 알다; (능력·인품이) 뛰어나다. 출중하다. 되어 있다; 《속어》 (남녀가) 깊은 관계에 있다. 눈이[배가] 맞다; 『경제』 (증권 거래소에서) 매매가 성립되다
版
범. 널리 전체에 걸침. 전(全). 〔동의어〕パン; 《関西(관서)방언》 《「さん」의 변한말》 …씨. …님. 〔동의어〕さん; 범; 그 죄명 또는 범인임을 나타냄; 수형(受刑) 횟수를 나타냄; 반. 반점. 〔동의어〕まだら; 「反切」의 준말; 『철학』 반정립(反定立). 안티테제. 〔동의어〕アンチテーゼ. 〔반의어〕 正; 반. 〔동의어〕アンチ; 반. 절반. 〔동의어〕なかば; 홀수. 기수. ((노름판 등에서 씀)) 〔반의어〕 丁; 반 시간; 반. 반쯤. 절반. 불완전. 상당히. 거의; 인장(印章). 도장. 〔동의어〕はんこ; 판정. 판단; 수결(手決). 〔동의어〕花押; 판형(判型). 종이·책의 크기; ⇒ ばん; 판; 판목. 판화; 인쇄판; 한 서적의 발행 횟수; 《接尾語적으로도 씀》 반; 『문어』 번거로움; 모범. 본보기. 〔동의어〕手本; 《歴》 江戸 시대, 大名가 지배한 영지·인민·통치 기구의 총칭
大都市地域では来月から降水量の予報が1時間5ミリ以上となった時間帯と、その前後の1時間も運行できるようになります。
以上
이상; (수량·정도·우열 등의 비교에서) 그보다 위의 범위에 있음. 수량에서는 그 기준도 포함됨. 〔반의어〕 以下; 이제까지 말한 것; 문서의 마지막에 적어 ‘끝’의 뜻을 나타냄; 「御目見以上」의 준말; 전부. 도합. 합계;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어 接続助詞처럼 쓰임〉 …한[된] 바에는. …한[된] 이상; 위요. 둘러쌈. 〔동의어〕いにょう; 위양. 권한 등을 다른 사람 또는 기관에 넘겨줌; 이상. 〔동의어〕別状; 이상. 정상이 아님. 〔반의어〕 正常. {문어·ナリ 활용 }; 이승. 갈아탐. 옮겨 탐; 이양. 남에게 넘겨줌
予報
예보
量
량. 기차·전차 등 차량의 수효를 세는 말; 『문어』 끝. 필(畢). 완료. 〔동의어〕終わり; 『역사』 奈良·平安 시대에, 律와 함께 나라의 기본이 된 법전. ((현재의 공무원법·행정법·민법·상법 등에 해당)) 〔참조어〕 りつりょう; 양. 양쪽. 한 쌍이 되는 것의 쌍방; 이. 둘. 〔동의어〕二·二つ; 옛날의 중량의 단위. 냥. ((銖의 24배, 斤의 16분의 1)); 옛날의 화폐의 단위. 냥. ((江戸 시대에는 작은 금화인 小判한 닢. 약 17.8g)); 양; 양호. 좋음. 또는 좋은 것; 4단계의 성적 평가에서, 두 번째; 《흔히 接尾語적으로 씀》 료; 재료; 대금. 요금. 보수; ⇒ りゅう1.; (목조 건물의) 들보. 〔동의어〕はり; 시원함. 서늘함. 또는 시원한 바람; 수렵. 사냥. 또는 사냥한 것. 〔동의어〕狩り·狩猟; 능. 천황·황태후·태황태후의 무덤. 〔동의어〕みささぎ; 양. 부피; 양. 무게; 양. 수량; 분량; 많고 적음의 정도; 마음의 넓이. 도량(度量). 기량(器量); 능; 『수학』 다면체의 두 면이 접하는 선; 고기잡이. 어로. 또는 어획물; 『문어』 영토. 영지. 영역; 〈藩·국명에 붙어〉 그 藩·국가의 영토임을 나타냄. 령; 大宝令 제도에서, 지방 장관의 관명. ((「大領」와 「少領」가 있음)); 의관(衣冠)·갑옷 등을 세는 단위. 벌; (학생·종업원 등을 위한) 기숙사; 다도(茶道)에서, 다실(茶室)로 만든 작은 건물. 〔동의어〕数寄屋; 「大宝令」에서, 「省」에 딸린 관아. ((「大学」 「陰陽」 「図書 등의 각 「寮」)); 《「~とする」의 꼴로》 납득하다. 이해하다. 양해하다; 영혼. 사람에게 지벌을 내리는 생령(生靈)이나 사령(死靈); (여행이나 행군할 때 가지고 가는) 식량. 양식. 병량(兵糧)
帯
(일본옷에서) 허리에 두르는 띠. 또는 띠 모양의 것; 「帯紙」 「帯番組」의 준말
地域
지역
前後
전후; (위치상의) 앞뒤; (시간상의) 앞뒤. 선후(先後); 전후의 사정. 앞뒤의 상황; 〈시간·연령·수량 등을 나타내는 말에 붙어 接尾語적으로 씀〉 안팎. 쯤. 경; 거의 동시임. 사이를 두지 않고 계속됨; 순서가 바뀜; 선후. 뒷처리를 잘함. 후일을 위하여 잘 수습함. ((보통 단독으로 쓰이지 않음)); 선어. 선가(禪家)에서 쓰는 독특한 용어; 『불교』 점오. 점점 깊이 깨달음. 〔반의어〕 頓悟
降水
『불교』 ⇒ こうずい; 『기상』 강수. (비·눈 등) 지상에 내린 물; 경수. 센물. 〔반의어〕 軟水; 광수; 광산 등에서 배출되는 광독(鑛毒)이 있는 물
時間
자간; 차관; 시간; 『문어』 시간. 그때의 어려움. 그 시대의 당면 난제(難題)
できる
전부 나가다[나오다]. 다 나가[나와] 남은 것이 없다. 〔동의어〕出つくす. 【문어 4단 활용 동사】; 《カ変動詞 「でくる」의 변한 꼴》; (새로) 생기다. 나다; 생성(生成)되다; 성립되다; 일어나다. 발생하다; 수중에 들어오다. 얻다; 생산되다. 산출되다; 만들어지다; 완성되다. 다 되다; (소질·경향을) 타고나다. 생겨 먹다; 능력·가능성이 있다. 할 수 있다. 가능하다; 〈サ変動詞의 語幹에 붙어 接尾語적으로〉 …할 수 있다. …하는 것이 가능하다; 잘하다. 할 줄 알다; (능력·인품이) 뛰어나다. 출중하다. 되어 있다; 《속어》 (남녀가) 깊은 관계에 있다. 눈이[배가] 맞다; 『경제』 (증권 거래소에서) 매매가 성립되다
来月
내월. 내달. 다음 달. 〔동의어〕翌月
運行
운행; 운항; 운고. 구름의 높이
雨の日はタクシー不足が深刻な状況であることから、大都市でライドシェアの導入を求める声が高まっていました。
日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不足
부족; 불충분. 모자람; 불만. 불평. {문어·ナリ 활용 }; 불측. 예측할 수 없음. 뜻밖; 부칙. 〔반의어〕 本則
求める
구하다. 찾다. 청하다. 바라다; 요구하다. 요청하다; 사다. 구입하다. 【문어형】 もと·む {하2단 활용}
状況
상경; 상황. 정황; 상황. 평상시의 상태
深刻
신고; 신국. 신이 세우고 수호한다는 나라. 한때, 일본의 미칭으로 쓰였음. 〔동의어〕神州; 『문어』 심곡. 깊은 골짜기; 심각함. 마음에 깊이 새겨질 만큼 절실한 모양; 『문어』 심흑. 짙은 검은빛. {문어·ナリ 활용 }; 청국. 〔동의어〕清; 신곡. 햇곡식. 특히, 햅쌀; 친고; 피해자가 고소함
導入
도입; 『교육』 (수업에서의) 도입 단계
雨
하늘의 신이 사는 곳. 또는 高天が原; 콩을 삶을 때 나오는 국물. 메주 콩물; 비; 끊임없이 떨어지거나 쏟아지거나 하는 것; 엿. 조청; 「あめ色」의 준말; 『어류』 ⇒ あめのうお
声
거름. 비료. 분뇨(糞尿). 〔동의어〕肥やし·下肥; 목소리. 소리; 물건이 진동해서 나는 소리. 〔동의어〕音·響き; 말. 생각. 의견; 계절이나 시기 등이 다가오는 낌새. 낌새
タクシー
택시
日本版ライドシェアはすでに全国の15の地域で導入され、16日時点で2476人がドライバーに登録し、運行回数は約4万6000回となっています。
日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日本
일본. 〔동의어〕にほん
約
약; 〈「厄年」의 준말〉 액년; 소임(所任). 직무. 임무; (연극 등에서) 역. 배역; 역할. 구실; (화투·마작·트럼프 등에서) 약속에 따라 정해진, 일정한 득점을 얻기 위한 조건. 약(約); 『문어』; 약속; 줄임. 생략; 『언어학』 「約音」의 준말; 대략. 약; 『문어』 효과. 효용; 《接尾語적으로도 씀》 역; 번역; 어려운 말이나 문장을 알기 쉽게 해석하여 옮긴 것; 『식물·식물학』 약. 꽃밥; 《속어》 약. 마약; 태우다; 굽다; 그을리다. 지지다; 애태우다; (사진을) 인화하다. 복사하다; 달구다; 마음을 쓰다. 돌봐 주다. 애먹다; 「焼ける」의 문어
回
《「かき」의 변한말》 특정한 動詞 앞에 붙어 의미를 강조하거나 어조를 고름; 해. 바다의 뜻을 더함; 계. 어떤 한정된 범위의 사회·동아리 등의 뜻을 나타냄; 보람. 효과; 조개; 조가비. 조개 껍데기. 〔동의어〕かいがら; 소라. 〔동의어〕ほらがい; 자개. 나전; 『문어』 골짜기; (물건 등을) 삼; 『경제』 (시세가 오를 것을 예상하고) 사들임. 1.2. 〔반의어〕 売り; 회; 『문어』 만남; 모임. 집회; 〈接尾語로도 씀〉 단체. 조직; 회. 횟수; 번. 회; 쾌; (만족하여) 기분이 좋음. 유쾌. 상쾌; 병이 나음; 《한자어 앞에 붙여》; ‘시원스러움’ ‘훌륭함’의 뜻을 나타냄; 빠름; 훈계. 훈계의 말; 『불교』 계율. 죄악을 방지하기 위해 불교신도가 지켜야 할 규칙; 괴이함. 불가사의; 《한자어 앞에 붙여》 ‘수상함’ ‘이상함’의 뜻을 나타냄. 괴; 계단. 층계. 층층대; (건물의) 층; 《수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건물의) 층; 해서(楷書). 〔반의어〕 行·草; 해답. 풀이; 가의. 노래·시가의 뜻; 《「搔き」의 변한말》 노. 〔동의어〕オール; 곽외(郭隗). 중국 전국 시대(戰國時代)의 현인(賢人). 연(燕)나라 사람; 하위. 〔반의어〕 上位·中位; 하의. 〔반의어〕 上意; 『지리·지학·지명』 옛 지명의 하나. 지금의 山梨현. 〔동의어〕甲州; 친밀감을 가지고 물을 때 씀. …냐. …니; 반어(反語)를 나타냄. …냐; 상대에게 강하게 채근하는 뜻을 나타냄. …겠느냐
全国
전국
地域
지역
回数
횟수. 〔동의어〕度数
導入
도입; 『교육』 (수업에서의) 도입 단계
登録
『문어』 동쪽 기슭; 등록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万
판. 종이·책·필름 등의 크기. 〔참고〕 「はん」이라고도 함; 판; 출판(물); …에 있어서의. …풍으로 개작한; (신문에서) 지방판; 순서. 순번. 차례; 망을 봄. 또는 그 사람; (여러 개를 비치하여 번호를 붙여 두는 데서) 평소에 쓰는 질이 낮은 물건; 번. 순위. 번호; 승부·대진(對陣)·짝짓기 등의 횟수. 판; 실의 굵기를 나타내는 단위; 『문어』 접시; (바둑·장기 등의) 판; 레코드판. 음반; 〈흔히, 接尾語적으로 씀〉 물건을 장치하는 판자 모양의 대. 반; 『조류』 쇠물닭; 널. 판자. 금속판; 저녁; 밤; 『불교』 번. 부처·보살의 권위나 힘을 나타내는 장식으로서 절의 경내나 법당 안에 올리는 기; 『문어』; 〈뒤에 否定語가 따름〉 만에 하나라도. 전혀. 결코; 아무리 해도. 어떻게 해도. 도저히
時点
자전. 〔동의어〕字書·字引; 차점; 자전; 스스로 돎; (천체가) 자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함. 〔반의어〕 公転; 사전. 백과 사전·전문어 사전 등, 사물·사항의 말을 모아 해설한 사전. 〔참고〕 「辞典」 「字典」과 구별하여 「ことてん」이라고 함; 시점; 사전. 〔동의어〕辞書·字引
ドライバー
드라이버; 나사 돌리개; 원거리용 골프채
版
범. 널리 전체에 걸침. 전(全). 〔동의어〕パン; 《関西(관서)방언》 《「さん」의 변한말》 …씨. …님. 〔동의어〕さん; 범; 그 죄명 또는 범인임을 나타냄; 수형(受刑) 횟수를 나타냄; 반. 반점. 〔동의어〕まだら; 「反切」의 준말; 『철학』 반정립(反定立). 안티테제. 〔동의어〕アンチテーゼ. 〔반의어〕 正; 반. 〔동의어〕アンチ; 반. 절반. 〔동의어〕なかば; 홀수. 기수. ((노름판 등에서 씀)) 〔반의어〕 丁; 반 시간; 반. 반쯤. 절반. 불완전. 상당히. 거의; 인장(印章). 도장. 〔동의어〕はんこ; 판정. 판단; 수결(手決). 〔동의어〕花押; 판형(判型). 종이·책의 크기; ⇒ ばん; 판; 판목. 판화; 인쇄판; 한 서적의 발행 횟수; 《接尾語적으로도 씀》 반; 『문어』 번거로움; 모범. 본보기. 〔동의어〕手本; 《歴》 江戸 시대, 大名가 지배한 영지·인민·통치 기구의 총칭
運行
운행; 운항; 운고. 구름의 높이
餅は小さく切ってゆっくりと・・・ 2日間で都内の高齢者4人が死亡(2022年1月3日)
「TikTok」日本の政府機関でも使用例「問題はない」(2020年8月27日)
ネズミの仲間「マーラ」寒い冬は「ブタんぽ」で温まります(2022年12月21日)
来年に延期の東京五輪 約8割の会場を確保(20/06/13)
JR山手線、11月18日と19日で一部区間運休 渋谷駅の線路切り替え工事で(2023年8月8日)
木々が一気に赤や黄色に・・・富士山の紅葉が見頃(2020年10月24日)
日立 エアコンの国内生産能力を5割に引き上げ(2023年4月26日)
向井理と綾野剛共演のテレビドラマが劇場版に!映画『S-最後の警官-奪還 RECOVERY OF OUR FUTURE』予告編
2000人以上でクリーン大作戦!
花びらたちのマーチ
You need to upgrade to a premium account to using this feature
Are you sure you want to test again?
Please upgrade your account to read unlimited newspap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