確かに出て行った
確かに出て行った
君は泣きそうな顔してた
だけれどやっぱ泣かないんだね
そういうとこが嫌いだった
確かに恋人で
君の部屋は優しかった
痩せたいと言いながらいつも
おかしを食べて笑ってた
そういうとこが好きだった
だけどもう君のわがままを
笑顔で聞けそうになくてさ
恋人失格だって
僕は弱かったんだ
だけどあの頃の僕にとっての
一番好きなものは
大事なのは
ちゃんと君だったよ
信じてくれないよな
『ねぇ 一口吸ってみたい』
と僕のたばこ欲しがったけど
あげないよ 君はまたスネて
だけどすぐに甘えてきた
そうゆうとこが好きだった
だけどもう君のヤキモチを
笑顔で聞けそうになくてさ
恋人失格だって
僕は若かったんだ
だけどあの頃の僕にとっての
一番好きなものは
大事なのは
ちゃんと君だったよ
信じてくれなくても
君のキスはいつも短くて
足りない 足りない
もういない
だけどもう君の大好きに
笑顔で返せなくてさ
恋人失格だって
僕は弱かったんだ
だけどあの頃の僕にとっての
一番好きなものは
大事なのは
ちゃんと君だったよ
信じてくれないよな
確かに出て行った
君は泣きそうな顔してた
だけれどやっぱ泣かないんだね
そういうとこが嫌いだった
そうさせてた僕が嫌いだった
確かに出て行った
確か
확실함. 틀림없음. 믿을 만함; 정확함; 든든함. 단단함; 안전함; 건전함. 멀쩡함. {문어·ナリ 활용 }; (절대적이지는 않으나) 분명히. 확실히. 틀림없이. 아마. 〔동의어〕たぶん
出
『문어』 그 곳·그 집안에서 태어남. 출신. 〔동의어〕で·出身
君は泣きそうな顔してた
君
『문어』; 임금. 군주; 윗사람에 대한 높임말; 논다니. 유녀; 남자가 동년배 또는 손아래 상대를 친근하게 부르는 말. 자네. 그대. 군. ((「おまえ」보다 공손한 말)) 〔반의어〕 僕; 느낌. 기분. 〔동의어〕きび; 〈「~がいい」 「いい~(だ)」의 꼴로〉 고소한 기분이다. 고소하다; 기미. 기운. 경향; ⇒ きび; 노랑을 띠고 있음. 노란 빛깔. 〔동의어〕黄色み; 노른자위. 난황(卵黃). 〔동의어〕卵黄. 〔반의어〕 白身
顔
얼굴. 낯; (얼굴의) 표정. 기색; (비유적으로) 표면; (표상으로서의) 얼굴; (구성원으로서의) 얼굴. 사람. 일동; 면목. 체면; (그 사회에서) 알려진 얼굴. 안면; 〈接尾語적으로 쓰이어〉 …한 얼굴. …하는 듯한 표정
泣き
울음. 한탄함; 울 만큼 괴로움. 눈물 남; 《文語의 形容詞 「なし」의 連体形에서》 죽은. 돌아가신; 《文語의 形容詞 「なし」의 連体形의 名詞화》 없음
だけれどやっぱ泣かないんだね
けれど
⇒ けれども; ⇒ けれども
やっぱ
《속어》 《「やっぱり」의 변한말》 역시
そういうとこが嫌いだった
嫌い
싫음. 싫어함. 꺼림. 〔반의어〕好き. {문어·ナリ 활용 }; 〈보통 「…の~がある」 「…する~がある」의 꼴로〉 (좋지 않은) 경향. 성향; 〈보통 「…の~なく」의 꼴로〉 차별. 구별; 『문어』 귀래. 돌아옴; 《「機械水雷」의 준말》 기뢰
そういう
그와 같은. 그러한
確かに恋人で
確か
확실함. 틀림없음. 믿을 만함; 정확함; 든든함. 단단함; 안전함; 건전함. 멀쩡함. {문어·ナリ 활용 }; (절대적이지는 않으나) 분명히. 확실히. 틀림없이. 아마. 〔동의어〕たぶん
恋人
연인. 애인
君の部屋は優しかった
君
『문어』; 임금. 군주; 윗사람에 대한 높임말; 논다니. 유녀; 남자가 동년배 또는 손아래 상대를 친근하게 부르는 말. 자네. 그대. 군. ((「おまえ」보다 공손한 말)) 〔반의어〕 僕; 느낌. 기분. 〔동의어〕きび; 〈「~がいい」 「いい~(だ)」의 꼴로〉 고소한 기분이다. 고소하다; 기미. 기운. 경향; ⇒ きび; 노랑을 띠고 있음. 노란 빛깔. 〔동의어〕黄色み; 노른자위. 난황(卵黃). 〔동의어〕卵黄. 〔반의어〕 白身
部屋
방; 광. 곳간; 궁중에서 궁녀들이 거처하는 방. 〔동의어〕局; 하급 직책의 여성으로서 귀인의 첩이 되어 방을 차지한 여자; 은퇴한 씨름꾼이 제자를 양성하는 곳. ((연습용 씨름판이 마련되어 있으며, 씨름꾼은 어느 곳에든 소속되어 있어야 함))
痩せたいと言いながらいつも
ながら
《格助詞 「の」와 같은 뜻·용법을 지닌 상대(上代)의 助詞 「な」에, 体言인 「から」가 붙어 생긴 말이라 함. 名詞, 副詞, 形容詞·形容動詞의 語幹, 形容詞의 連体形, 動詞 또는 動詞型活用의 助動詞의 連用形 등에 붙음. ‘…한 대로의 상태에서’의 뜻을 지닌 連用修飾句를 만드는 데 씀》; …그대로. …채로; 〈수량을 나타내는 말에 붙어〉 그대로 전부. 모두 다; 〈주로 계속적인 동작을 나타내는 動詞, 또는 受動·使役의 助動詞 「れる」 「られる」 「せる」 「させる」 등이 붙는 連用形에 붙어〉 두 가지 또는 세 가지 이상의 동작이 병행·계속되고 있음을 나타냄. …면서; 한정 또는 전제를 나타냄. …나마. …인데; 〈주로 존재나 상태를 나타내는 動詞의 連用形, 形容詞의 連体形에 붙어〉 내용이 모순되는 두 사항을 연결하는 뜻을 나타냄. …면서도. …지만. …데도. 〔참고〕 名詞·副詞 등에 붙는 「ながら」는 接尾語로 보는 견해도 있음
おかしを食べて笑ってた
そういうとこが好きだった
好き
좋아함. 〔반의어〕 きらい; 색다른 것을 좋아함. 〔동의어〕ものずき; 호색. 〔동의어〕いろごのみ; 마음 내키는 대로임. 제멋대로임; 틈; 빈틈. 틈새기. 빈곳. 〔동의어〕隙間; 겨를. 짬; 허점. 방심. 틈탈 기회; 『농학·농림·농업』 쟁기. 극젱이. 〔동의어〕からすき; 종이를 뜸. 초지(抄紙); 『농학·농림·농업』 가래; 풍류(風流). 풍류의 길. 특히, 다도(茶道)·和歌를 즐김. 〔참고〕 「好き」의 차자. 「数奇」는 딴말임
そういう
그와 같은. 그러한
だけどもう君のわがままを
君
『문어』; 임금. 군주; 윗사람에 대한 높임말; 논다니. 유녀; 남자가 동년배 또는 손아래 상대를 친근하게 부르는 말. 자네. 그대. 군. ((「おまえ」보다 공손한 말)) 〔반의어〕 僕; 느낌. 기분. 〔동의어〕きび; 〈「~がいい」 「いい~(だ)」의 꼴로〉 고소한 기분이다. 고소하다; 기미. 기운. 경향; ⇒ きび; 노랑을 띠고 있음. 노란 빛깔. 〔동의어〕黄色み; 노른자위. 난황(卵黃). 〔동의어〕卵黄. 〔반의어〕 白身
だけど
《속어》 《「~も」의 꼴로도 씀. 「だけれど」의 준말》 그렇지만. 그러나
笑顔で聞けそうになくてさ
笑顔
웃는 얼굴. 웃음 띤 얼굴
恋人失格だって
恋人
연인. 애인
だって
상대의 말을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고 반론하는 경우에 씀. 그렇지만. 하지만. 그런데. 〔동의어〕でも; 《助動詞 「だ」에 助詞 「とて」가 붙은 「だとて」의 변한말. 体言 또는 体言에 준하는 말에 붙음》; …(이)라도. …일지라도. …라 하여도; …에게조차; …이든 …이든; …이란다
失格
실격
僕は弱かったんだ
僕
하인. 종. ((예스러운 말)) 〔동의어〕召使·下男
だけどあの頃の僕にとっての
僕
하인. 종. ((예스러운 말)) 〔동의어〕召使·下男
頃
굴림대; 가늘고 짤막한 장작. 나무토막; 〈「さいころ」의 준말〉 주사위; 작고 둥근 것을 나타내는 말; 『문어』 때. 계절. 시절; 무렵. 시절; (적절한) 시기. 기회
だけど
《속어》 《「~も」의 꼴로도 씀. 「だけれど」의 준말》 그렇지만. 그러나
一番好きなものは
一番
첫째. 맨 처음[먼저]; 일등. 제일. 으뜸; 최상. 상책; 한 쌍. 한 조(組). 〔동의어〕ひとつがい; (장기·바둑·씨름 등의) 한 판. 일 회. 한 번. 단판; 謡曲·能 등의 한 곡; (일반적으로 사물의) 한 번. 일 회. 〔동의어〕一度; 가장. 맨; 우선. 시험삼아. 한번. 큰마음 먹고. 〔참고〕 「一番」는 딴말임
好き
좋아함. 〔반의어〕 きらい; 색다른 것을 좋아함. 〔동의어〕ものずき; 호색. 〔동의어〕いろごのみ; 마음 내키는 대로임. 제멋대로임; 틈; 빈틈. 틈새기. 빈곳. 〔동의어〕隙間; 겨를. 짬; 허점. 방심. 틈탈 기회; 『농학·농림·농업』 쟁기. 극젱이. 〔동의어〕からすき; 종이를 뜸. 초지(抄紙); 『농학·농림·농업』 가래; 풍류(風流). 풍류의 길. 특히, 다도(茶道)·和歌를 즐김. 〔참고〕 「好き」의 차자. 「数奇」는 딴말임
大事なのは
大事
중대사. 큰일. 〔동의어〕大事件
ちゃんと君だったよ
君
『문어』; 임금. 군주; 윗사람에 대한 높임말; 논다니. 유녀; 남자가 동년배 또는 손아래 상대를 친근하게 부르는 말. 자네. 그대. 군. ((「おまえ」보다 공손한 말)) 〔반의어〕 僕; 느낌. 기분. 〔동의어〕きび; 〈「~がいい」 「いい~(だ)」의 꼴로〉 고소한 기분이다. 고소하다; 기미. 기운. 경향; ⇒ きび; 노랑을 띠고 있음. 노란 빛깔. 〔동의어〕黄色み; 노른자위. 난황(卵黃). 〔동의어〕卵黄. 〔반의어〕 白身
ちゃんと
차근차근 하는 모양. 착실하게. 꼼꼼이. 틀림없이; 분명하게. 조리있게; (신원·신분 등을 인정받아) 확실하게. 어엿하게; (태도를) 견실하게. 반듯하게; 정연하게. 바르게. 단정하게; 분명히. 틀림없이; 이미. 벌써; 충분히
信じてくれないよな
『ねぇ 一口吸ってみたい』
一
일; 하나. 〔동의어〕一つ. 〔참고〕 증서 등에서는 갖은자인 「壱」을 씀; (사물의) 시초. 처음. 첫째. 최초. 〔동의어〕一番め; 최상. 최고. 으뜸. 〔동의어〕首位; (상투 등에서) 元結로 묶은 곳에서 뒤로 내민 부분; (三味線·거문고 등에서) 제일 낮은 음의 줄. 〔동의어〕一の糸; (많은 것 중) 한. 하나의. 한 사람의; (이렇다 할 만한 데가 없는) 하찮은. 어떠 한; 어떤. 한; 상당한. 버젓한; 시장. 저자. 장; (변하여) 시가. 거리. 〔동의어〕街; 지위(地位). 〔동의어〕地位; 위치; 지위. 입장
口
(여자나 아이들의) 작게 오므린 귀여운 입. 〔동의어〕おちょぼぐち
と僕のたばこ欲しがったけど
僕
하인. 종. ((예스러운 말)) 〔동의어〕召使·下男
あげないよ 君はまたスネて
君
『문어』; 임금. 군주; 윗사람에 대한 높임말; 논다니. 유녀; 남자가 동년배 또는 손아래 상대를 친근하게 부르는 말. 자네. 그대. 군. ((「おまえ」보다 공손한 말)) 〔반의어〕 僕; 느낌. 기분. 〔동의어〕きび; 〈「~がいい」 「いい~(だ)」의 꼴로〉 고소한 기분이다. 고소하다; 기미. 기운. 경향; ⇒ きび; 노랑을 띠고 있음. 노란 빛깔. 〔동의어〕黄色み; 노른자위. 난황(卵黃). 〔동의어〕卵黄. 〔반의어〕 白身
だけどすぐに甘えてきた
だけど
《속어》 《「~も」의 꼴로도 씀. 「だけれど」의 준말》 그렇지만. 그러나
そうゆうとこが好きだった
好き
좋아함. 〔반의어〕 きらい; 색다른 것을 좋아함. 〔동의어〕ものずき; 호색. 〔동의어〕いろごのみ; 마음 내키는 대로임. 제멋대로임; 틈; 빈틈. 틈새기. 빈곳. 〔동의어〕隙間; 겨를. 짬; 허점. 방심. 틈탈 기회; 『농학·농림·농업』 쟁기. 극젱이. 〔동의어〕からすき; 종이를 뜸. 초지(抄紙); 『농학·농림·농업』 가래; 풍류(風流). 풍류의 길. 특히, 다도(茶道)·和歌를 즐김. 〔참고〕 「好き」의 차자. 「数奇」는 딴말임
だけどもう君のヤキモチを
君
『문어』; 임금. 군주; 윗사람에 대한 높임말; 논다니. 유녀; 남자가 동년배 또는 손아래 상대를 친근하게 부르는 말. 자네. 그대. 군. ((「おまえ」보다 공손한 말)) 〔반의어〕 僕; 느낌. 기분. 〔동의어〕きび; 〈「~がいい」 「いい~(だ)」의 꼴로〉 고소한 기분이다. 고소하다; 기미. 기운. 경향; ⇒ きび; 노랑을 띠고 있음. 노란 빛깔. 〔동의어〕黄色み; 노른자위. 난황(卵黃). 〔동의어〕卵黄. 〔반의어〕 白身
だけど
《속어》 《「~も」의 꼴로도 씀. 「だけれど」의 준말》 그렇지만. 그러나
笑顔で聞けそうになくてさ
笑顔
웃는 얼굴. 웃음 띤 얼굴
恋人失格だって
恋人
연인. 애인
だって
상대의 말을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고 반론하는 경우에 씀. 그렇지만. 하지만. 그런데. 〔동의어〕でも; 《助動詞 「だ」에 助詞 「とて」가 붙은 「だとて」의 변한말. 体言 또는 体言에 준하는 말에 붙음》; …(이)라도. …일지라도. …라 하여도; …에게조차; …이든 …이든; …이란다
失格
실격
僕は若かったんだ
僕
하인. 종. ((예스러운 말)) 〔동의어〕召使·下男
だけどあの頃の僕にとっての
僕
하인. 종. ((예스러운 말)) 〔동의어〕召使·下男
頃
굴림대; 가늘고 짤막한 장작. 나무토막; 〈「さいころ」의 준말〉 주사위; 작고 둥근 것을 나타내는 말; 『문어』 때. 계절. 시절; 무렵. 시절; (적절한) 시기. 기회
だけど
《속어》 《「~も」의 꼴로도 씀. 「だけれど」의 준말》 그렇지만. 그러나
一番好きなものは
一番
첫째. 맨 처음[먼저]; 일등. 제일. 으뜸; 최상. 상책; 한 쌍. 한 조(組). 〔동의어〕ひとつがい; (장기·바둑·씨름 등의) 한 판. 일 회. 한 번. 단판; 謡曲·能 등의 한 곡; (일반적으로 사물의) 한 번. 일 회. 〔동의어〕一度; 가장. 맨; 우선. 시험삼아. 한번. 큰마음 먹고. 〔참고〕 「一番」는 딴말임
好き
좋아함. 〔반의어〕 きらい; 색다른 것을 좋아함. 〔동의어〕ものずき; 호색. 〔동의어〕いろごのみ; 마음 내키는 대로임. 제멋대로임; 틈; 빈틈. 틈새기. 빈곳. 〔동의어〕隙間; 겨를. 짬; 허점. 방심. 틈탈 기회; 『농학·농림·농업』 쟁기. 극젱이. 〔동의어〕からすき; 종이를 뜸. 초지(抄紙); 『농학·농림·농업』 가래; 풍류(風流). 풍류의 길. 특히, 다도(茶道)·和歌를 즐김. 〔참고〕 「好き」의 차자. 「数奇」는 딴말임
大事なのは
大事
중대사. 큰일. 〔동의어〕大事件
ちゃんと君だったよ
君
『문어』; 임금. 군주; 윗사람에 대한 높임말; 논다니. 유녀; 남자가 동년배 또는 손아래 상대를 친근하게 부르는 말. 자네. 그대. 군. ((「おまえ」보다 공손한 말)) 〔반의어〕 僕; 느낌. 기분. 〔동의어〕きび; 〈「~がいい」 「いい~(だ)」의 꼴로〉 고소한 기분이다. 고소하다; 기미. 기운. 경향; ⇒ きび; 노랑을 띠고 있음. 노란 빛깔. 〔동의어〕黄色み; 노른자위. 난황(卵黃). 〔동의어〕卵黄. 〔반의어〕 白身
ちゃんと
차근차근 하는 모양. 착실하게. 꼼꼼이. 틀림없이; 분명하게. 조리있게; (신원·신분 등을 인정받아) 확실하게. 어엿하게; (태도를) 견실하게. 반듯하게; 정연하게. 바르게. 단정하게; 분명히. 틀림없이; 이미. 벌써; 충분히
信じてくれなくても
君のキスはいつも短くて
君
『문어』; 임금. 군주; 윗사람에 대한 높임말; 논다니. 유녀; 남자가 동년배 또는 손아래 상대를 친근하게 부르는 말. 자네. 그대. 군. ((「おまえ」보다 공손한 말)) 〔반의어〕 僕; 느낌. 기분. 〔동의어〕きび; 〈「~がいい」 「いい~(だ)」의 꼴로〉 고소한 기분이다. 고소하다; 기미. 기운. 경향; ⇒ きび; 노랑을 띠고 있음. 노란 빛깔. 〔동의어〕黄色み; 노른자위. 난황(卵黃). 〔동의어〕卵黄. 〔반의어〕 白身
足りない 足りない
もういない
だけどもう君の大好きに
君
『문어』; 임금. 군주; 윗사람에 대한 높임말; 논다니. 유녀; 남자가 동년배 또는 손아래 상대를 친근하게 부르는 말. 자네. 그대. 군. ((「おまえ」보다 공손한 말)) 〔반의어〕 僕; 느낌. 기분. 〔동의어〕きび; 〈「~がいい」 「いい~(だ)」의 꼴로〉 고소한 기분이다. 고소하다; 기미. 기운. 경향; ⇒ きび; 노랑을 띠고 있음. 노란 빛깔. 〔동의어〕黄色み; 노른자위. 난황(卵黃). 〔동의어〕卵黄. 〔반의어〕 白身
だけど
《속어》 《「~も」의 꼴로도 씀. 「だけれど」의 준말》 그렇지만. 그러나
大好き
아주 좋아하는 모양
笑顔で返せなくてさ
笑顔
웃는 얼굴. 웃음 띤 얼굴
恋人失格だって
恋人
연인. 애인
だって
상대의 말을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고 반론하는 경우에 씀. 그렇지만. 하지만. 그런데. 〔동의어〕でも; 《助動詞 「だ」에 助詞 「とて」가 붙은 「だとて」의 변한말. 体言 또는 体言에 준하는 말에 붙음》; …(이)라도. …일지라도. …라 하여도; …에게조차; …이든 …이든; …이란다
失格
실격
僕は弱かったんだ
僕
하인. 종. ((예스러운 말)) 〔동의어〕召使·下男
だけどあの頃の僕にとっての
僕
하인. 종. ((예스러운 말)) 〔동의어〕召使·下男
頃
굴림대; 가늘고 짤막한 장작. 나무토막; 〈「さいころ」의 준말〉 주사위; 작고 둥근 것을 나타내는 말; 『문어』 때. 계절. 시절; 무렵. 시절; (적절한) 시기. 기회
だけど
《속어》 《「~も」의 꼴로도 씀. 「だけれど」의 준말》 그렇지만. 그러나
一番好きなものは
一番
첫째. 맨 처음[먼저]; 일등. 제일. 으뜸; 최상. 상책; 한 쌍. 한 조(組). 〔동의어〕ひとつがい; (장기·바둑·씨름 등의) 한 판. 일 회. 한 번. 단판; 謡曲·能 등의 한 곡; (일반적으로 사물의) 한 번. 일 회. 〔동의어〕一度; 가장. 맨; 우선. 시험삼아. 한번. 큰마음 먹고. 〔참고〕 「一番」는 딴말임
好き
좋아함. 〔반의어〕 きらい; 색다른 것을 좋아함. 〔동의어〕ものずき; 호색. 〔동의어〕いろごのみ; 마음 내키는 대로임. 제멋대로임; 틈; 빈틈. 틈새기. 빈곳. 〔동의어〕隙間; 겨를. 짬; 허점. 방심. 틈탈 기회; 『농학·농림·농업』 쟁기. 극젱이. 〔동의어〕からすき; 종이를 뜸. 초지(抄紙); 『농학·농림·농업』 가래; 풍류(風流). 풍류의 길. 특히, 다도(茶道)·和歌를 즐김. 〔참고〕 「好き」의 차자. 「数奇」는 딴말임
大事なのは
大事
중대사. 큰일. 〔동의어〕大事件
ちゃんと君だったよ
君
『문어』; 임금. 군주; 윗사람에 대한 높임말; 논다니. 유녀; 남자가 동년배 또는 손아래 상대를 친근하게 부르는 말. 자네. 그대. 군. ((「おまえ」보다 공손한 말)) 〔반의어〕 僕; 느낌. 기분. 〔동의어〕きび; 〈「~がいい」 「いい~(だ)」의 꼴로〉 고소한 기분이다. 고소하다; 기미. 기운. 경향; ⇒ きび; 노랑을 띠고 있음. 노란 빛깔. 〔동의어〕黄色み; 노른자위. 난황(卵黃). 〔동의어〕卵黄. 〔반의어〕 白身
ちゃんと
차근차근 하는 모양. 착실하게. 꼼꼼이. 틀림없이; 분명하게. 조리있게; (신원·신분 등을 인정받아) 확실하게. 어엿하게; (태도를) 견실하게. 반듯하게; 정연하게. 바르게. 단정하게; 분명히. 틀림없이; 이미. 벌써; 충분히
信じてくれないよな
確かに出て行った
確か
확실함. 틀림없음. 믿을 만함; 정확함; 든든함. 단단함; 안전함; 건전함. 멀쩡함. {문어·ナリ 활용 }; (절대적이지는 않으나) 분명히. 확실히. 틀림없이. 아마. 〔동의어〕たぶん
出
『문어』 그 곳·그 집안에서 태어남. 출신. 〔동의어〕で·出身
君は泣きそうな顔してた
君
『문어』; 임금. 군주; 윗사람에 대한 높임말; 논다니. 유녀; 남자가 동년배 또는 손아래 상대를 친근하게 부르는 말. 자네. 그대. 군. ((「おまえ」보다 공손한 말)) 〔반의어〕 僕; 느낌. 기분. 〔동의어〕きび; 〈「~がいい」 「いい~(だ)」의 꼴로〉 고소한 기분이다. 고소하다; 기미. 기운. 경향; ⇒ きび; 노랑을 띠고 있음. 노란 빛깔. 〔동의어〕黄色み; 노른자위. 난황(卵黃). 〔동의어〕卵黄. 〔반의어〕 白身
顔
얼굴. 낯; (얼굴의) 표정. 기색; (비유적으로) 표면; (표상으로서의) 얼굴; (구성원으로서의) 얼굴. 사람. 일동; 면목. 체면; (그 사회에서) 알려진 얼굴. 안면; 〈接尾語적으로 쓰이어〉 …한 얼굴. …하는 듯한 표정
泣き
울음. 한탄함; 울 만큼 괴로움. 눈물 남; 《文語의 形容詞 「なし」의 連体形에서》 죽은. 돌아가신; 《文語의 形容詞 「なし」의 連体形의 名詞화》 없음
だけれどやっぱ泣かないんだね
けれど
⇒ けれども; ⇒ けれども
やっぱ
《속어》 《「やっぱり」의 변한말》 역시
そういうとこが嫌いだった
嫌い
싫음. 싫어함. 꺼림. 〔반의어〕好き. {문어·ナリ 활용 }; 〈보통 「…の~がある」 「…する~がある」의 꼴로〉 (좋지 않은) 경향. 성향; 〈보통 「…の~なく」의 꼴로〉 차별. 구별; 『문어』 귀래. 돌아옴; 《「機械水雷」의 준말》 기뢰
そういう
그와 같은. 그러한
そうさせてた僕が嫌いだった
僕
하인. 종. ((예스러운 말)) 〔동의어〕召使·下男
嫌い
싫음. 싫어함. 꺼림. 〔반의어〕好き. {문어·ナリ 활용 }; 〈보통 「…の~がある」 「…する~がある」의 꼴로〉 (좋지 않은) 경향. 성향; 〈보통 「…の~なく」의 꼴로〉 차별. 구별; 『문어』 귀래. 돌아옴; 《「機械水雷」의 준말》 기뢰
「ビザ緩和に強い期待」社民党の福島みずほ党首が訪中し序列4位と会談(2024年1月19日)
ブルガリ ロスフードを使った高級チョコレート(2021年8月5日)
A.I.Channel ~総集編~
「ギター女子平日篇short.ver」ヤマハ大人の音楽レッスン
EU議会代表団が初の台湾公式訪問 蔡総統と会談へ(2021年11月3日)
子どもの急性肝炎 専門医のチームが症例調査へ(2022年5月16日)
『The Last of Us』サバイバーの証言 モデル 里海篇
カブトムシ
「冷凍食品」「代替食」がトレンド “アジア最大級”食の展示会に2500社が出展(2023年3月8日)
選手サインやロッカールームなど初公開 国立競技場の見学ツアー始まる(2022年4月2日)
You need to upgrade to a premium account to using this feature
Are you sure you want to test again?
Please upgrade your account to read unlimited newspap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