探しているものは
探しているものは
硝子みたいな瞳に
映っていたはずの遠い思い出
見つめていた景色
重ねた時計…静かに鼓動を刻む
覚えていたいのは…そう、思い出
幼い眼差しに
寄り添った柔らかさ
触れると覗き込む遠い思い出
ふとした呼びかけに
重なる声は…優しく心を伝う
ずっとね、忘れない…
そう、大事な…
大事な…思い出
ありがとう
探しているものは
探す
찾다. 〔참고〕 「捜す」는 안 보이게 된 것을 찾는 경우에, 「探す」는 손에 넣고 싶은 것, 보고 싶은 것을 찾는 경우에 씀. 【가능동사】 さが·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硝子みたいな瞳に
瞳
동. 같음; 동. (앞에 말한) 그; 동; 몸통. 동체. 〔동의어〕胴体; 몸의 중앙부. 복부(腹部); 물건의 중앙 부분. 동체; 북·三味線 등에서, 소리가 잘 울리도록 하기 위한, 속이 텅 빈 부분; (재래식 목조선의) 복부. 중배; 갑옷 또는 검도 방호구(防護具)의 가슴·배를 가리는 부분; (검도에서) 허리를 타격하는 수. 허리치기; 배짱; 동. 움직임. 〔반의어〕 静; 옛날, 영빈(迎賓)·예식 등을 위한 건물; 신불을 모신 건물; 집회(集會)를 위한 건물; 당. 옥호(屋號)·아호(雅號)·건물의 이름에 붙이는 말; 「北海道」의 준말; 동; 『화학』 금속 원소의 하나. 구리. 원소 기호 cu. 〔동의어〕あか·あかがね; 「銅メダル」의 준말; 당; 기를 단 창. 당극(幢戟).〔동의어〕はたほこ; 장막. 휘장; 어떻게; 모든 수단과 방법을 다함을 나타냄. 아무리(…해도); 〈「どうですか」의 준말〉 어때. 어때요; 마소를 멈추게 할 때 지르는, 달래는 소리. 우어. 워
硝子
글라스. 유리. 〔참고〕 「硝子」는 차자
映っていたはずの遠い思い出
思い出
추억. 추상. 회상
遠い
멀다; (공간적인) 거리가 많이 떨어져 있다; (시간적인) 간격이 많이 떨어져 있다; 추상적으로 차이가 크다; 혈연 관계가 멀다; 접촉 관계가 적다. 소원(疏遠)하다; (성질·내용이) 닮지 않다. 다르다; 친근하지 않다; 보거나 하거나 하는 일이 드물다; 관련이 별로 없다; 잘 들리지 않다; 〈「目が~」의 꼴로〉 노안(老眼)이다. 원시(遠視)이다; 〈「気が~·くなる」의 꼴로〉 의식이 혼미해지다. 정신이 아찔해지다. 1.~9.〔반의어〕 近い. とお·さ 【명사】 【문어형】 とほ·し {ク 활용}
映る
(사진에) 찍히다. 박히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모습·모양·그림자 등이) 반사나 투영(投影)에 의하여 다른 것 위에 나타나다; (빛깔 등이) 잘 어울리다. 조화되다. 〔동의어〕はえる; 스크린·텔레비전 등에 영상이 나타나다; 눈에 비치다. 보이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위치·장소·지위·소속 등이) 바뀌다. 옮기다. 이동하다; (마음·관심의 대상 등이) 변하다. 옮아가다; (동작·상태가) 바뀌다; (시간이) 흐르다. 경과하다. 변천하다; (빛깔·냄새 등이) 옮다; (병이) 옮다. 전염되다. 【가능동사】 うつ·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見つめていた景色
景色
『문어』 경색. 경치. 풍경. 〔동의어〕景色; 경식. 간단한 식사; 『문어』 희색. 기쁜 안색; 『문어』 경식. 목의 장식. 목걸이. 〔동의어〕首飾り
重ねた時計…静かに鼓動を刻む
刻む
잘게 썰다. 썰어서 자잘하게 만들다; (칼로) 새기다. 조각하다; 마음속 깊이 새기다. 명심하다; 잘게 구분 짓듯 진행되어 가다. 【가능동사】 きざ·め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静か
고요함; 떠들썩하지 않음. 잠잠함; 평온함; 차분함. しず-かさ 【명사】 {문어·ナリ 활용 }
時計
도형; 징역. 〔동의어〕懲役; 『법률』 (明治 초기의 형법에서) 중죄인을 섬으로 보내어 노역을 시키던 형벌. 유형(流刑); 시계. 〔참고〕 옛날에는 「土圭」 「斗鶏」로도 썼음
重ねる
겹치다. 포개다. 쌓아 올리다; 되풀이하다. 반복하다. 거듭하다. 〔동의어〕繰り返す. 【문어형】 かさ·ぬ {하2단 활용}
鼓動
고도; 옛날에 만들어진 도로; 고동; 고전(古錢); 『생리학』 고동
覚えていたいのは…そう、思い出
思い出
추억. 추상. 회상
覚える
느끼다; 기억하다. 〔참고〕 「憶える」로도 씀; 터득하다. 익히다; 생각되다. 〔동의어〕思われる. 【문어형】 おぼ·ゆ {하2단 활용}
幼い眼差しに
幼い
어리다; 미숙하다. 유치하다. おさな·げ 【형용동사】 おさな·さ 【명사】 【문어형】 をさな·し {ク 활용}
眼差し
눈의 표정. 눈빛; 시선. 눈길. 눈초리
寄り添った柔らかさ
柔らかい
부드럽다. 홀보들하다; 폭신폭신하다; 말랑하다; 온화하다; 나긋나긋하다. 유연하다; (가파르지 않고) 완만하다; 격식을 차리지 않다. 딱딱하지 않다. やわらか·さ 【명사】 やわらか·み 【명사】 【문어형】 やはらか·し {ク 활용}
寄り添う
(맞닿을 정도로) 바싹 달라붙다. 다가붙다. 【가능동사】 よりそ·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触れると覗き込む遠い思い出
込む
(물건이) 들어차다. 몰리다; (많은 사람으로) 붐비다. 복작거리다. 혼잡을 이루다. 〔참고〕 「混む」로도 씀; 복잡하고 정밀하다. 정교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動詞의 連用形에 붙음》; 안으로 들어가다; 안에 넣다; 어떤 상태를 그대로 계속하다; 완전히 그런 상태가 되다; 철저히 하다
思い出
추억. 추상. 회상
触れる
《속어》 미치다. 실성하다. 【문어형】 ふ·る {하2단 활용}; 흔들리다; (어떤 방향으로) 쏠리다. 기울다. 치우치다; 〈「振る」의 可能形에서〉 (야구에서) 휘두른 방망이가 공을 잘 맞혀 멀리까지 날리다. 【문어형】 ふ·る {하2단 활용}; 닿다. 스치다. 접촉하다. 〔동의어〕さわる; 눈에 띄다. 귀에 들리다; (어떤 시기나 사물을) 만나다; 언급하다; (규칙 등에) 저촉되다. 위반되다; 부딪히다. (심한) 타격을 입다; 거슬리다; 느끼다. 【문어형】 ふ·る {하2단 활용}; 접촉하다. 대다. 만지다. 건드리다; 널리 일반에게 알리다. 〔동의어〕言いふらす. 【문어형】 ふ·る {하2단 활용}
遠い
멀다; (공간적인) 거리가 많이 떨어져 있다; (시간적인) 간격이 많이 떨어져 있다; 추상적으로 차이가 크다; 혈연 관계가 멀다; 접촉 관계가 적다. 소원(疏遠)하다; (성질·내용이) 닮지 않다. 다르다; 친근하지 않다; 보거나 하거나 하는 일이 드물다; 관련이 별로 없다; 잘 들리지 않다; 〈「目が~」의 꼴로〉 노안(老眼)이다. 원시(遠視)이다; 〈「気が~·くなる」의 꼴로〉 의식이 혼미해지다. 정신이 아찔해지다. 1.~9.〔반의어〕 近い. とお·さ 【명사】 【문어형】 とほ·し {ク 활용}
覗き
「のぞきめがね」 「のぞきからくり」의 준말
ふとした呼びかけに
ふとした
뜻밖의. 우연의
重なる声は…優しく心を伝う
心
《‘마음·생각·속마음’의 뜻》 어쩐지. 어딘지; 《고어》; 초목의 잎이나 가지의 끝. 〔동의어〕こずえ·うれ; 『문어』; 포구. 후미. 〔동의어〕入り江·浦曲; 해안. 해변. 〔동의어〕浜辺; 뒤. 뒷면. 뒤쪽(출입구); (옷의) 안. 안찝; 반대; 내면. 내정. 내막; (야구에서) 말(末). 선공(先攻) 팀이 수비하는 차례; 『논리학』 가정과 결론을 모두 부정한 ‘a면 b다’에 대하여 ‘a가 아니면 b가 아니다’라는 형식의 명제(命題); 連歌·俳諧에서 둘로 접은 종이의 이면; 처음 만난 기녀를 두 번째 만나는 일. 1.2.4.5.7. 〔반의어〕 表
優しい
쉽다. 용이하다. 〔동의어〕たやすい. 〔반의어〕 むずかしい. やさし·げ 【형용동사】 やさし·さ 【명사】 【문어형】 やさ·し {シク 활용}; (모습·용모 등이) 품위가 있고 아름답다. 우아하다. 아름답다; 온화하다. (마음씨가) 곱다. 부드럽다; 친절하고 다정하다. 상냥하다. やさし·げ 【형용동사】 やさし·さ 【명사】 やさし·み 【명사】 【문어형】 やさ·し {シク 활용}
重なる
포개어지다; 거듭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声
거름. 비료. 분뇨(糞尿). 〔동의어〕肥やし·下肥; 목소리. 소리; 물건이 진동해서 나는 소리. 〔동의어〕音·響き; 말. 생각. 의견; 계절이나 시기 등이 다가오는 낌새. 낌새
伝う
「伝える」의 문어
ずっとね、忘れない…
ずっと
다른 것과 비교해서 차이가 많은 모양; 시간적 차이가 많은 모양; 오랫동안 계속되는 모양; 머뭇거리지 않는 모양
忘れる
잊다; 잊어버리다. 망각하다; (열중하여) 깨닫지 못하다; (물건을) 잊고 두고 오다[가다]; 해야 할 것을 하지 않고 있다; (품은 생각 등을) 버리다. 〔참고〕 옛날에는 문어에 4段活用이 있었음. 【문어형】 わす·る {하2단 활용}
そう、大事な…
大事
중대사. 큰일. 〔동의어〕大事件
大事な…思い出
大事
중대사. 큰일. 〔동의어〕大事件
思い出
추억. 추상. 회상
ありがとう
ありがとう
《「ありがたい」의 連用形 「ありがたく」의 音便》 고맙다. 고마워요. 감사해요. 〔참고〕 関西 지방에서는 「おおきに」를 씀
突風で建物が倒壊 電柱が折れる被害も 茨城・行方市(2023年7月13日)
東京五輪まで半年 緊急事態宣言でライトアップ中止(2021年1月23日)
「はやぶさ2」着陸の瞬間映像 砂や石が舞う様子も
東京港でまたヒアリ500匹以上 コンテナに紛れたか(19/11/29)
JALの客室乗務員が感染 先月25日シカゴ→成田便に(20/03/09)
まちがいさがし
来日中のトランプ大統領を迎え 宮中晩餐会
木蘭の涙
神奈川が支援呼びかけ ウクライナ人家族受け入れへ(2022年3月27日)
晩秋告げる「柿すだれ」 枯露柿づくり最盛期(2020年11月14日)
You need to upgrade to a premium account to using this feature
Are you sure you want to test again?
Please upgrade your account to read unlimited newspap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