こんにちはもるもるです皆さんは近い未来のことを知ることができたら知りたいと思いますか
こんにちはもるもるです皆さんは近い未来のことを知ることができたら知りたいと思いますか
近いうち自分の身に起こることが予測できたならなんだかワクワクしますよねもう今回
ご紹介する心理テストは自分の近い未来がわかってしまうというものです
問題に答えて皆さんも近いうちおごるであるを未来を予測してみましょう
問題
ここに4枚のカードがあります4枚の中から1枚を直感で選んでください
さてどのカードを選びましたか
それでは順番に結果を見ていきましょう
1の赤いカードを選んだ人
どうやらあなたは近い未来少し厄介な問題を抱えることになりそうです
未来に面倒なことが待っているだなんて知ったら今からガッカリしてしまう人もいるか
もしれませんがこの問題を乗り越えることであなたは今よりももっと素晴らしい
成長することができるでしょう
大切なことはその問題を自分の力で解決するということ
周りの人に助けを求めすぎていると問題はさらに複雑になってしまうようですから注意
に甘えることはほどほどにして責任感を持って問題に取り組みましょう
真剣に問題と向き合うことが問題を早く解決するカギとなりそうです
にの青いカードを選んだ人
あなたは近い未来大きな喜びを感じられるような出来事に見舞われる予感です
ほとんどの事があなたの思い通りに進み
とても充実した毎日を送ることができるでしょう
悲しいことやネガティブな出来事とは無縁でいつも楽しく前向きでいられそうです
その幸運を長続きさせたいと思うならばポジティブな気持ちを持ち続けること
あなたがポジティブでいる限りその幸せは長く続くようですよ
山の緑のカードを選んだ人
次回未来あなたは大きな幸せを手に入れることになりそうです
現在悩みや不安を抱えている人は一気にそれらが解決し不安から解放されるでしょう
または恋人ができたり長年の夢が叶うなどあなたが幸せだと思うことが現実になるかもしれません
幸運を手に入れたあなたの毎日は、絶好調と言えますがくれぐれも調子に乗りすぎないよう
注意しましょう
あまり調子に乗っているとその幸運はスルリと手からこぼれてしまう恐れが
幸せに感謝し、謙虚な姿勢を心がけることが幸せを長続きさせる秘訣となりそうです
4後色のカードを選んだ人
あなたの未来はどうやら今の状態とあまり変わらず大きな変化はないようです
まだまだ幸せな未来が訪れるための準備期間が続くと言えるでしょう
早く良い展開が訪れてほしいと願う気持ちもあるでしょうが今はもっと先の未来を見据え
よりよい未来を得るための準備に力を入れたほうがよさそうです
焦らないことがあなたが確実に未来で夢を手に入れる方法なのかもしれません
今回の心理テストは以上でおしまいです皆さんの結果はどうだったでしょうか
いい結果だった人は未来が楽しみになったのでは
希望通りでない結果だった人も問題を乗り越えた先には
幸せな未来が待っていそうですね
でも未来を作るのは自分自身ですからもしかしたら私たちは陳李ベストの結果に
とらわれず未来を変えることだってできるのかもしれませんね
最後までご視聴いただきありがとうございました
またの動画でお会いしましょう
こんにちはもるもるです皆さんは近い未来のことを知ることができたら知りたいと思いますか
思う
생각하다; 판단을 내리다. 믿다; 느끼다; 예상하다. 추측하다; 원하다. 소망하다; 회상하다; 사랑하다. 그리워하다. 사모하다. 소중히 하다; 〈「…と~」의 꼴이나 形容詞·形容動詞의 連用形을 받아서〉 …라고 생각하다. …하려고 결심하다. 〔참고〕 「考える」는 객관적·지적인 경우에만 쓰는데, 「思う」는 감정적·의지적·주관적인 경우에도 씀. 【가능동사】 おも·える【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未来
미래. 〔반의어〕 現在·過去; 내세. 〔동의어〕来世; 『생리학』 미뢰. 맛봉오리. ((혀에 많이 분포되어 있음))
こんにちは
낮에 하는 인사말. 안녕하십니까?
できる
전부 나가다[나오다]. 다 나가[나와] 남은 것이 없다. 〔동의어〕出つくす. 【문어 4단 활용 동사】; 《カ変動詞 「でくる」의 변한 꼴》; (새로) 생기다. 나다; 생성(生成)되다; 성립되다; 일어나다. 발생하다; 수중에 들어오다. 얻다; 생산되다. 산출되다; 만들어지다; 완성되다. 다 되다; (소질·경향을) 타고나다. 생겨 먹다; 능력·가능성이 있다. 할 수 있다. 가능하다; 〈サ変動詞의 語幹에 붙어 接尾語적으로〉 …할 수 있다. …하는 것이 가능하다; 잘하다. 할 줄 알다; (능력·인품이) 뛰어나다. 출중하다. 되어 있다; 《속어》 (남녀가) 깊은 관계에 있다. 눈이[배가] 맞다; 『경제』 (증권 거래소에서) 매매가 성립되다
知る
즙; 국(물). 된장국; 남의 노고나 희생으로 얻는 이익; 알다; 인식하다; 분간하다; 이해하다; 기억하다; 경험하다; 안면이 있다; 관계하다; 습득하다
近い
맹세; 굳게 다짐하는 말; 신불에 대한 약속. 〔동의어〕願; 『불교』 (부처의) 중생을 구원하려는 서원(誓願); 장래에 대하여 굳게 약속함. 결심함; 『문어』 지계; 지상의 세계. 〔반의어〕 天界; 『건축』 지계. 지하층; 『문어』 지식의 힘으로 이해함; 가깝다; 거리·시간이 짧다; 친근하다; 혈연이 멀지 않다; 〈「目が近い」의 꼴로〉 근시(近視)다; (성질·상태·내용이) 비슷하다. 거의 같다; (수치·수량이) 비슷하다. 1.~4. 〔반의어〕 遠い. ちか·さ 【명사】 【문어형】 ちか·し {ク 활용}
皆さん
《「皆様」의 다소 스스럼 없는 표현》 여러분
近いうち自分の身に起こることが予測できたならなんだかワクワクしますよねもう今回
身
마음. 정신. 본심; 중앙. 중심; 심. 심지. 〔동의어〕芯; 심장; 《고어》 천황·주군에 대해 신하가 자신을 가리키는 말. 신; 『문어』; 매운맛; 심; 심지. 〔동의어〕心; 사물의 중심을 이루는 것; 『문어』 신. 신실(信實). 〔동의어〕誠; 신뢰. 신용; 신앙. 신심(信心); 특정한 발신인으로부터 오는 통신의 착순. 신; 신. 하느님. 〔동의어〕かみ; 『문어』 마음. 정신. 〔동의어〕心; 『의학』 진. 피부에 생기는 좁쌀만 한 붉은 반점. 또는 여드름·습진 등; 진실. 참. 〔반의어〕 偽; 〈「~の」의 꼴로 連体詞적으로 씀〉 진정한. 참다운; 『논리학』 진리. 〔반의어〕 偽; 해서(楷書); 「真打ち」의 준말; 『역사』 진. (고대 중국의) 진나라; 『문어』 잠. 잠자리. 〔동의어〕眠り; 신. 〔반의어〕 旧; 새로움. 새것; 〈「新暦」의 준말〉 양력; 『경제』 〈「新株」의 준말〉 신주; 『역사』 중국의 왕조 이름; 신. 새; 『문어』 잠; 잠언(箴言)을 적은 운문(韻文); 친숙함. 〔반의어〕 疎; 친. 피붙이. 친족. 일가; 청나라. 만주족이 중국에 세운 나라(1616~1912); 『문어』 참언(讖言). 예언. 또는 그런 기록
予測
예측
起こる
화내다. 노하다. 성내다. 〔참고〕 「いかる」보다 구어적(口語的)임; 나무라다. 꾸짖다. 야단하다. 〔동의어〕しかる. 〔반의어〕 ほめる. 【가능동사】 おこ·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일어나다; 발생하다. 시작되다; 기인(起因)하다; 기원(起源)을 두다. 비롯하다; (감정·욕망 등이) 생기다; 부풀어오르다. 솟아오르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세력이) 일어나다. 번성하다. 흥하다; (새로) 발생하다. 일어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숯불이) 활활 피어 오르다. 불기운이 세게 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今回
금회. 이번 차례. 이번. 금번
できる
전부 나가다[나오다]. 다 나가[나와] 남은 것이 없다. 〔동의어〕出つくす. 【문어 4단 활용 동사】; 《カ変動詞 「でくる」의 변한 꼴》; (새로) 생기다. 나다; 생성(生成)되다; 성립되다; 일어나다. 발생하다; 수중에 들어오다. 얻다; 생산되다. 산출되다; 만들어지다; 완성되다. 다 되다; (소질·경향을) 타고나다. 생겨 먹다; 능력·가능성이 있다. 할 수 있다. 가능하다; 〈サ変動詞의 語幹에 붙어 接尾語적으로〉 …할 수 있다. …하는 것이 가능하다; 잘하다. 할 줄 알다; (능력·인품이) 뛰어나다. 출중하다. 되어 있다; 《속어》 (남녀가) 깊은 관계에 있다. 눈이[배가] 맞다; 『경제』 (증권 거래소에서) 매매가 성립되다
自分
무렵. 대체적인 시기·시각; 적당한 때. 기회. 시기; (중국에서 신문의 논설 등에 쓰는) 현대어체(現代語體)의 문장; 그 시대의 글. 당시의 글; 그 사람 자신. 자기 자신;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동의어〕わたくし
近い
맹세; 굳게 다짐하는 말; 신불에 대한 약속. 〔동의어〕願; 『불교』 (부처의) 중생을 구원하려는 서원(誓願); 장래에 대하여 굳게 약속함. 결심함; 『문어』 지계; 지상의 세계. 〔반의어〕 天界; 『건축』 지계. 지하층; 『문어』 지식의 힘으로 이해함; 가깝다; 거리·시간이 짧다; 친근하다; 혈연이 멀지 않다; 〈「目が近い」의 꼴로〉 근시(近視)다; (성질·상태·내용이) 비슷하다. 거의 같다; (수치·수량이) 비슷하다. 1.~4. 〔반의어〕 遠い. ちか·さ 【명사】 【문어형】 ちか·し {ク 활용}
ご紹介する心理テストは自分の近い未来がわかってしまうというものです
紹介
『문어』; 『기독교』 장로의 모임; 초계. (군대에서) 적의 공격을 경계하여 망을 봄; 상회. ((흔히, 회사·상점명에 붙여 씀)); 상계. 상업계; 소개; 조회; 상해. 상세한 풀이[해석]
未来
미래. 〔반의어〕 現在·過去; 내세. 〔동의어〕来世; 『생리학』 미뢰. 맛봉오리. ((혀에 많이 분포되어 있음))
しまう
끝나다. 파하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끝내다. 마치다; (가게 등을) 닫다; 치우다; 간수하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흔히, 「…て[で]~」의 꼴로》 …하여 버리다. …하고 말다. 〔참고〕 흔히 구어(口語)에서는 「…て[で]しまう」가 「…(っ)ちまう」 「…じまう」의 꼴로 되기도 함; 〈「…ずに~」의 꼴로〉 …아니하고 말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心理
심리; 『문어』 심리. 마음속. 심중(心中); 진리; 심리; 사실이나 조리(條理)를 자세히 조사하여 처리함; 재판의 기초가 되는 사실 관계 및 법률 관계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법원이 조사하는 행위
自分
무렵. 대체적인 시기·시각; 적당한 때. 기회. 시기; (중국에서 신문의 논설 등에 쓰는) 현대어체(現代語體)의 문장; 그 시대의 글. 당시의 글; 그 사람 자신. 자기 자신;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동의어〕わたくし
近い
맹세; 굳게 다짐하는 말; 신불에 대한 약속. 〔동의어〕願; 『불교』 (부처의) 중생을 구원하려는 서원(誓願); 장래에 대하여 굳게 약속함. 결심함; 『문어』 지계; 지상의 세계. 〔반의어〕 天界; 『건축』 지계. 지하층; 『문어』 지식의 힘으로 이해함; 가깝다; 거리·시간이 짧다; 친근하다; 혈연이 멀지 않다; 〈「目が近い」의 꼴로〉 근시(近視)다; (성질·상태·내용이) 비슷하다. 거의 같다; (수치·수량이) 비슷하다. 1.~4. 〔반의어〕 遠い. ちか·さ 【명사】 【문어형】 ちか·し {ク 활용}
テスト
테스트; (연극·방송 등에서) 본공연[방송]에 앞선 예비 연습
問題に答えて皆さんも近いうちおごるであるを未来を予測してみましょう
未来
미래. 〔반의어〕 現在·過去; 내세. 〔동의어〕来世; 『생리학』 미뢰. 맛봉오리. ((혀에 많이 분포되어 있음))
予測
예측
答える
『문어』 대답하다. 응답하다. 〔동의어〕答える. 【문어형】 いら·ふ {하2단 활용}
近い
맹세; 굳게 다짐하는 말; 신불에 대한 약속. 〔동의어〕願; 『불교』 (부처의) 중생을 구원하려는 서원(誓願); 장래에 대하여 굳게 약속함. 결심함; 『문어』 지계; 지상의 세계. 〔반의어〕 天界; 『건축』 지계. 지하층; 『문어』 지식의 힘으로 이해함; 가깝다; 거리·시간이 짧다; 친근하다; 혈연이 멀지 않다; 〈「目が近い」의 꼴로〉 근시(近視)다; (성질·상태·내용이) 비슷하다. 거의 같다; (수치·수량이) 비슷하다. 1.~4. 〔반의어〕 遠い. ちか·さ 【명사】 【문어형】 ちか·し {ク 활용}
皆さん
《「皆様」의 다소 스스럼 없는 표현》 여러분
問題
문제
問題
問題
문제
ここに4枚のカードがあります4枚の中から1枚を直感で選んでください
選ぶ
고르다. 뽑다. 택하다. 가리다; 편찬하다. 편집하다. ((예스러운 말)) 〔동의어〕えらむ. 〔참고〕 2.는 「撰ぶ」로도 씀. 【가능동사】 えら·べ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くださる
《「与える」 「くれる」의 높임말》;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주시다. 내리시다. 〔동의어〕賜る; (윗사람 또는 상대편이) 자기에게 주시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下される」의 문어
カード
카드; (소형의 두꺼운) 쪽지; 트럼프; (야구 등의) 대전(對戰)
中
‘그 동안 줄곧’이란 뜻을 나타냄. 내내; 그 범위 전체에 걸친다는 뜻을 나타냄; 십; 열. 〔동의어〕とお; 전부. 전체; 거주함; 거처. 처소; 『문어』 부드러움. 부드러운 것. 얌전함. 〔반의어〕 剛; 『문어』 중요한 것; 〈「お~」의 꼴로〉 찬합. 〔동의어〕重箱; 중; 무거움. 혹심함. 〔반의어〕 軽; 『화학』 산성염(酸性塩)임; 겹친 것을 세는 말. 중. 층; 종. 종자. 하인. 〔동의어〕とも·けらい. 〔반의어〕 主; ⇒ じゅ; 총; 짐승. 〔동의어〕けもの; 수. 짐승
直感
직감; 직관; 『문어』 직간. 윗사람에게 서슴없이 간함. 〔반의어〕 諷諫; 『문어』 천황의 문책. 칙명에 의해 신하로서의 자격을 박탈함. ((사면이 있을 때까지 문을 굳게 걸어 잠그고, 집안에 칩거하여 근신해야 했음))
枚
⇒ はい; 『패류』; 「ばいごま」의 준말; 하무. 소리를 내지 못하게 입에 물리는 막대기; 배. 갑절. 2배; 배. 곱절
さてどのカードを選びましたか
選ぶ
고르다. 뽑다. 택하다. 가리다; 편찬하다. 편집하다. ((예스러운 말)) 〔동의어〕えらむ. 〔참고〕 2.는 「撰ぶ」로도 씀. 【가능동사】 えら·べ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カード
카드; (소형의 두꺼운) 쪽지; 트럼프; (야구 등의) 대전(對戰)
それでは順番に結果を見ていきましょう
見る
『식물·식물학』 청각채; 보다. 눈으로 인식하다; 구경하다. 관람하다; 읽다; 살피다. 살펴보다; 관찰하여 판단하다. 〔참고〕 ‘진찰하다’의 뜻으로는 흔히, 「診る」를 씀; (시각 외의 감각으로) 파악하다; 당하다. 경험하다. 겪다; 맡아보다. 돌보다. 보살피다; 평가하다. 간주하다; 〈「…と~」의 꼴로〉 …로 보다. …로 생각하다[간주하다]. {문어·상1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て[で]」를 받아서》; (시험적으로) …해 보다; 〈「…てみると」 「…てみたら」 「…てみれば」의 꼴로〉 …해 보면. …해보니. …해 보니까. 〔참고〕 보통 かな로 씀. {문어·상1단 활용}
結果
결과. 수업에 빠짐; 『문어』 결하. 홍수로 강물이 넘쳐 둑을 무너뜨림; 결과; 결실(結實); 어떤 원인에 의하여 생긴 결말이나 상태. 〔반의어〕 原因; 《「結跏趺坐」의 준말》 결가부좌. 결가; 『문어』 궐하. 임금의 앞
順番
순번. 차례
それでは
(앞의 말을 받아) 그런 상태로서는. 그래서는. 〔동의어〕それじゃ; 그럼. 그렇다면. 그러면. 〔동의어〕それじゃ
1の赤いカードを選んだ人
選ぶ
고르다. 뽑다. 택하다. 가리다; 편찬하다. 편집하다. ((예스러운 말)) 〔동의어〕えらむ. 〔참고〕 2.는 「撰ぶ」로도 씀. 【가능동사】 えら·べ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カード
카드; (소형의 두꺼운) 쪽지; 트럼프; (야구 등의) 대전(對戰)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赤い
『불교』 부처에 올리는 물을 긷는 우물; 붉다. 빨갛다; (사상이) 공산주의적이다. 빨갱이다. あか·さ 【명사】 【문어형】 あか·し {ク 활용}
どうやらあなたは近い未来少し厄介な問題を抱えることになりそうです
未来
미래. 〔반의어〕 現在·過去; 내세. 〔동의어〕来世; 『생리학』 미뢰. 맛봉오리. ((혀에 많이 분포되어 있음))
厄介
귀찮음. 번거로움. 성가심. 또는 그런 모양. {문어·ナリ 활용 }; (남에게 끼치는) 신세. 폐; 보살핌. 돌봄. やっ-かさ; 『문어』 역해. 번역하여 해설함. 또는 그 번역과 해설. 〔동의어〕やくかい
抱える
안다. 껴안다. 끼다. 감싸 쥐다; 맡다. 처리해야 할 부담을 지다; 고용하다. 【문어형】 かか·ふ {하2단 활용}
どうやら
《副詞 「どう」+副助詞 「やら」》; 그럭저럭. 가까스로. 겨우. 〔동의어〕どうにか·かろうじて; 어쩐지. 아무래도. 〔동의어〕なんとなく·どことなく
あなた
『문어』 《遠称의 指示代名詞》; 저기. 저쪽. 저편; 예전. 이전. 옛날. 1.2.〔동의어〕かなた; 《対称의 人代名詞. 대등 또는 아랫사람에게 씀》 당신. 댁. 귀하. 〔참고〕 ㉠「彼方」에서 온 말로, 옛날에는 대등 또는 윗사람에게 썼으나 현재는 아내가 남편을 가리키는 대표적인 대명사. 현대어에서는 높임의 정도가 낮으며, 학생이 선생에게, 젊은이가 나이든 이에게 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음. ㉡상대가 여성일 때에는 흔히 「貴女」로 씀
少し
조금. 좀. 약간. 〔동의어〕わずか·少々·やや·ちょっと. 〔참고〕 「ほんの~(아주 조금)」 「~の間(잠깐 동안)」 「~の差(약간의 차)」 등 名詞적으로 쓸 때도 있음
近い
맹세; 굳게 다짐하는 말; 신불에 대한 약속. 〔동의어〕願; 『불교』 (부처의) 중생을 구원하려는 서원(誓願); 장래에 대하여 굳게 약속함. 결심함; 『문어』 지계; 지상의 세계. 〔반의어〕 天界; 『건축』 지계. 지하층; 『문어』 지식의 힘으로 이해함; 가깝다; 거리·시간이 짧다; 친근하다; 혈연이 멀지 않다; 〈「目が近い」의 꼴로〉 근시(近視)다; (성질·상태·내용이) 비슷하다. 거의 같다; (수치·수량이) 비슷하다. 1.~4. 〔반의어〕 遠い. ちか·さ 【명사】 【문어형】 ちか·し {ク 활용}
問題
문제
未来に面倒なことが待っているだなんて知ったら今からガッカリしてしまう人もいるか
未来
미래. 〔반의어〕 現在·過去; 내세. 〔동의어〕来世; 『생리학』 미뢰. 맛봉오리. ((혀에 많이 분포되어 있음))
面倒
번거로움. 귀찮음. 성가심. 폐. 〔동의어〕やっかい. めん-どうが·る 【5단 활용 타동사】 めん-どうさ {문어·ナリ 활용 }; 돌봄. 보살핌. 시중
しまう
끝나다. 파하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끝내다. 마치다; (가게 등을) 닫다; 치우다; 간수하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흔히, 「…て[で]~」의 꼴로》 …하여 버리다. …하고 말다. 〔참고〕 흔히 구어(口語)에서는 「…て[で]しまう」가 「…(っ)ちまう」 「…じまう」의 꼴로 되기도 함; 〈「…ずに~」의 꼴로〉 …아니하고 말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今
지금. 이제. 현재; 오늘날. 현대. 〔반의어〕 昔; 〈接続詞적으로 씀〉 이야기를 진전시키기 위하여 전제(前提)를 설정할 때 쓰는 말. 여기서; 가까운 미래를 나타냄. 이제 곧. 바로. 잇따라; 지금 막. 방금; 더. 〔동의어〕さらに; 〈주로 사람을 나타내는 명사에 붙음〉 현대의. 최근의. 오늘날의; 새로운; 가족이 함께 모여 차를 마시거나 여가를 보내거나 하는 방. 거실(居室). 거처방
知る
즙; 국(물). 된장국; 남의 노고나 희생으로 얻는 이익; 알다; 인식하다; 분간하다; 이해하다; 기억하다; 경험하다; 안면이 있다; 관계하다; 습득하다
待つ
가루. 분말. 〔동의어〕粉; 어떤 기간의 끝. 말; 『식물·식물학』 소나무; 『러시아어』 「松明」의 준말; 〈「門松」의 준말〉 또는 이것을 세워서 새해를 기뻐하는 기간; 기다리다; 〈「…に~」 「…を~」의 꼴로〉 기대하다; 〈「…を~·たない」의 꼴로〉 그럴 필요가 없다. 〔참고〕 2.3.은 「俊つ」로도 씀. 【가능동사】 ま·て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なんて
의문·영탄의 뜻을 나타냄. 무어라고. 어쩌면 그렇게; 《「なんという」의 준말》 이렇다 할. 무어라고 할; 《副助詞 「など」에 格助詞 「と」가 붙은 「などと」의 변한말. 体言 또는 体言에 준하는 말 또는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음》; …라는 둥. …라느니 하는; 따위. …같은 것. 〔동의어〕なんか; 의외·놀람·비판의 뜻을 나타냄. …이라니. …하다니
もしれませんがこの問題を乗り越えることであなたは今よりももっと素晴らしい
素晴らしい
매우 훌륭하다. 기막히게 좋다. 멋있다. 굉장하다; 정도가 심하다. 굉장하다. 대단하다. すばらし·げ 【형용동사】 すばらし·さ 【명사】 【문어형】 すばら·し {シク 활용}
あなた
『문어』 《遠称의 指示代名詞》; 저기. 저쪽. 저편; 예전. 이전. 옛날. 1.2.〔동의어〕かなた; 《対称의 人代名詞. 대등 또는 아랫사람에게 씀》 당신. 댁. 귀하. 〔참고〕 ㉠「彼方」에서 온 말로, 옛날에는 대등 또는 윗사람에게 썼으나 현재는 아내가 남편을 가리키는 대표적인 대명사. 현대어에서는 높임의 정도가 낮으며, 학생이 선생에게, 젊은이가 나이든 이에게 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음. ㉡상대가 여성일 때에는 흔히 「貴女」로 씀
今
지금. 이제. 현재; 오늘날. 현대. 〔반의어〕 昔; 〈接続詞적으로 씀〉 이야기를 진전시키기 위하여 전제(前提)를 설정할 때 쓰는 말. 여기서; 가까운 미래를 나타냄. 이제 곧. 바로. 잇따라; 지금 막. 방금; 더. 〔동의어〕さらに; 〈주로 사람을 나타내는 명사에 붙음〉 현대의. 최근의. 오늘날의; 새로운; 가족이 함께 모여 차를 마시거나 여가를 보내거나 하는 방. 거실(居室). 거처방
もっと
더. 더욱. 좀더. 한층. 〔동의어〕一層
問題
문제
乗り越える
타고 넘다; 뚫고[헤쳐] 나가다. 극복하다. 뛰어넘다; 앞지르다. 능가하다. 【문어형】 のりこ·ゆ {하2단 활용}
成長することができるでしょう
成長
정조; 본래의 정상적인 상태; 『음악』 민요 등의 전통적인 바른 곡조; 생장; 성장함. 〔참고〕 현재 2.의 뜻으로는 「成長」를 많이 씀; 성장; (사람·동물이) 자라서 성숙함; 규모가 커짐. 발전. 〔동의어〕拡大; 성조. 다 자라서 생식 기능을 가진 새; 성조. 목소리의 가락; 시가(詩歌)의 가락; 성징. 자웅의 신체상의 특징; 정청. 정무를 보는 관청; 《「政務調査」의 준말》 정무 조사; 「清朝体」의 준말; 청청. 남이 자기 이야기를 들어 주는 것을 높이어 이르는 말; 정청. 조용히 들음; 정장. 장의 기능을 조정하는 일; 정조; 경조(競漕)에서, 타수(舵手)와 마주앉아서 조수(漕手) 전원의 노젓기를 조정하는 일. 또는 그 사람. 정조수; 청징. 맑고 깨끗함. {문어·ナリ 활용 }
できる
전부 나가다[나오다]. 다 나가[나와] 남은 것이 없다. 〔동의어〕出つくす. 【문어 4단 활용 동사】; 《カ変動詞 「でくる」의 변한 꼴》; (새로) 생기다. 나다; 생성(生成)되다; 성립되다; 일어나다. 발생하다; 수중에 들어오다. 얻다; 생산되다. 산출되다; 만들어지다; 완성되다. 다 되다; (소질·경향을) 타고나다. 생겨 먹다; 능력·가능성이 있다. 할 수 있다. 가능하다; 〈サ変動詞의 語幹에 붙어 接尾語적으로〉 …할 수 있다. …하는 것이 가능하다; 잘하다. 할 줄 알다; (능력·인품이) 뛰어나다. 출중하다. 되어 있다; 《속어》 (남녀가) 깊은 관계에 있다. 눈이[배가] 맞다; 『경제』 (증권 거래소에서) 매매가 성립되다
大切なことはその問題を自分の力で解決するということ
力
힘; 체력(體力); 『물리』 물체의 상태에 변화를 일으키는 작용; (사물에 갖춰져 있는) 위력; 지배력. ((폭력·완력·권력 등)); 기력. 정기(精氣). 원기(元氣); 박력(迫力); 조력. 진력(盡力); 효력. 효능; 의탁. 의지(依持); 능력. 실력(實力); 학력. 〔동의어〕学力; 재력; (종합적인) 세력
解決
괴걸. 매우 괴상한 힘을 가지고 있는 호걸; 해결
自分
무렵. 대체적인 시기·시각; 적당한 때. 기회. 시기; (중국에서 신문의 논설 등에 쓰는) 현대어체(現代語體)의 문장; 그 시대의 글. 당시의 글; 그 사람 자신. 자기 자신;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동의어〕わたくし
大切
대설; 24절기의 하나. ((12월 8일경)); 『문어』 대절; 중대한 사건. 〔동의어〕大事·; 『동물·동물학』 체절. 몸마디; 중요함. 귀중함. 소중함; 소중하게 다루는 모양. 물건을 아끼는 모양. 1.2.〔동의어〕大事. たい-せつさ 【명사】 {문어·ナリ 활용 }; 『문어』 내설. 강설이나 적설에도 잘 견디는 성질
問題
문제
周りの人に助けを求めすぎていると問題はさらに複雑になってしまうようですから注意
注意
중위; 중정(中正)의 위치; (육·해군의) 중위. 〔반의어〕 大尉·少尉; 주의; 마음을 집중함; (위험·재난을 당하지 않도록) 조심함. 경계함; 귀뜀을 함; 『심리학』 어떤 심적 내용이 의식(意識)에 떠오르고, 여타의 심적 내용이 억제되는 심적 과정
複雑
복잡. 〔반의어〕 単純·簡単. ふく-ざつさ 【명사】 {문어·ナリ 활용 }
求める
구하다. 찾다. 청하다. 바라다; 요구하다. 요청하다; 사다. 구입하다. 【문어형】 もと·む {하2단 활용}
しまう
끝나다. 파하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끝내다. 마치다; (가게 등을) 닫다; 치우다; 간수하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흔히, 「…て[で]~」의 꼴로》 …하여 버리다. …하고 말다. 〔참고〕 흔히 구어(口語)에서는 「…て[で]しまう」가 「…(っ)ちまう」 「…じまう」의 꼴로 되기도 함; 〈「…ずに~」의 꼴로〉 …아니하고 말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助け
도움. 구조. 구원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問題
문제
に甘えることはほどほどにして責任感を持って問題に取り組みましょう
責任
책임
取り組む
맞붙다; …와 씨름하다. 열심히 일에 들러붙다. 몰두하다. 【가능동사】 とりく·め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甘える
응석부리다. 어리광부리다; (사양하지 않고) 상대편의 호의에 기대다. 【문어형】 あま·ゆ {하2단 활용}
持つ
《속어》 《「臓物」의 준말》 요리의 재료로서의, 닭·소·돼지 등의 내장; 지속하다. 지탱하다. 견디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손에) 들다; (몸에) 지니다. 휴대하다; 소유하다; 존재하다. 있다; 마음에 품다; 맡다. 담당하다. 부담하다; 어떤 성질·속성 등을 지니다. 갖추다; 개최하다. 〔동의어〕開く; 관계하다; 〈「…をもって」 「…をもちまして」의 꼴로〉 …에 의해서. 【가능동사】 も·て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問題
문제
感
간. 간행. 출간(出刊). 출판; 감; 감독; 감방(監房); 관; (공공의) 건물 등에 붙는 말; 여관 등의 이름에 붙는 말; 장대의 수효를 세는 말; 캔; 깡통; 〈「缶詰め」의 준말〉 통조림. 〔참고〕 「缶」 「缶」 「鑵」은 차자; 『음악』 (일본 고유 음악에서) 높은 음역. 또는 기본음의 한 옥타브 높은 음; 『문어』 간. 간악함. 간사함. 또는 그런 사람; 『문어』 완; 「完全」 「完備」 등의 준말; 『문어』; 간. 간장; 마음; 관. 관청. 관리(官吏). 관직; ‘관리’ ‘공무원’ 등의 뜻을 나타냄. 관; 『문어』 관. 〔동의어〕かんむり; 으뜸감. {문어·タリ 활용}; 두루마리; 책; 권; 두루마리·필름·테이프 등의 수효; 책의 수효; 『문어』 (…처럼) 보임; 10일간. 순(旬). 〔참고〕 ‘씻다’의 뜻으로, 고대 중국에서 관리가 10일마다 휴가가 있어 목욕을 했던 데서; 『의학』 신경질적이고 짜증을 잘 내는 신경성 소아병; (사물의 사정이나 의미를) 직감으로 깨닫는 능력. 육감(六感). 직감력; 관. ((척관법의 무게의 단위)); 鎌倉 시대 이후 무가(武家)의 녹봉의 단위. ((1관은 10석(石))); 『문어』 겨울 추위; (24절기의) 대한과 소한의 시기. ((1월 6일경에서 2월 4일경까지의 약 30일간)) 1.2.〔동의어〕暑; 관. 관구. 〔동의어〕ひつぎ; 『문어』 정성. 충성; 『문어』 정의(情誼); 『경제』 예산·계정 과목의 분류명. 관. ((항(項)의 위, 부(部)의 아래)); 금속이나 돌에, 문자를 표면보다 움푹 들어가게 새김. 또는 그 문자; 간. 사이; 기회. 틈; 첩자; 불화; 《名詞에 붙어》 ‘…의 사이’ ‘…과 …의 사이’의 뜻을 나타냄. 간; 『문어』 관대하고 정이 깊음. 너그러움. 느슨함. {문어·ナリ 활용 }; 감. 느낌. 감회; 감동; ‘…의 느낌’의 뜻을 나타냄. 감; 관. 파이프. 〔동의어〕くだ; 붓·피리 등의 수효. 자루; 문빗장; 관문(關門). 〔동의어〕せき·関門; 『문어』 기쁨. 즐거움; 함. (편지의) 봉함; 『문어』 (일의 진행이) 느림. 완함. 더딤. {문어·ナリ 활용 }; (중탕으로) 술을 알맞게 데움. 또는 그 데우는 정도; 고리; 감정이 격하고 화를 잘 내는 기질. 신경질. 피새; 한; 한국. 〔동의어〕韓国; 대한 (제국); (중국 전국 시대의) 칠웅(七雄)의 하나; 편지. 서간. 서찰; 『문어』 간단함. 간략함. 간명함; 고대 중국에서, 종이가 발명되기 전에 글씨를 쓰기 위해 사용한 대쪽; 사람·사물을 외부에서 본 느낌. 양상; 도교(道敎)에서, 도사가 있는 곳; ‘…에 대한 사고 방식’ ‘…에 대한 견해’ 등의 뜻을 나타냄. 관; 갱; 고기나 야채를 넣어 끓인 국; 설날에 먹는 일본식 떡국에 넣는 떡. 또는 그 떡국; 『문어』 함. 군함; 서랍 등의 손잡이로 쓰는 고리 모양의 쇠붙이. 고리 손잡이쇠; 『문어』 한가함; ‘한가한’ ‘조용한’ ‘쓸모 없는’ 등의 뜻을 나타냄. 한; 한; 『역사』 중국 고대 왕조의 하나; (변하여) 중국 본토. 또는 그 곳에 사는 민족; ‘(성인) 남자’의 뜻을 나타냄. 한
真剣に問題と向き合うことが問題を早く解決するカギとなりそうです
解決
괴걸. 매우 괴상한 힘을 가지고 있는 호걸; 해결
真剣
신검; 신에게서 받은 검. 또는 신에게 바친 검; 신권; 신의 권위; 신에게서 위임받은 권력; (목검·죽도 등에 대하여) 진검. 진짜의 칼; 진정임. 진지함. しん-けんさ 【명사】 しん-けんみ 【명사】 {문어·ナリ 활용 }; 『문어』 친권. 친척. 친족. 아주 가까운 권속; 『법률』 친권; 새 지폐. 〔동의어〕新札
早い
(동작·과정이) 빠르다. 〔반의어〕 遅い. 〔참고〕 1.은 보통 「速い」로 씀. 또는 「疾い」로도 씀; (시기·시각이) 이르다. 빠르다. 〔반의어〕 遅い; 손쉽다; 훨씬 이전이다; 〈「…するが~か」의 꼴로〉 …하기가 바쁘게. …하자마자. 〔참고〕 2.~5.는 「早い」로 씀. はや·さ 【명사】 【문어형】 はや·し {ク 활용}
問題
문제
向き合う
마주보다. 마주 향하다 마주 대하다. 【가능동사】 むきあ·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にの青いカードを選んだ人
選ぶ
고르다. 뽑다. 택하다. 가리다; 편찬하다. 편집하다. ((예스러운 말)) 〔동의어〕えらむ. 〔참고〕 2.는 「撰ぶ」로도 씀. 【가능동사】 えら·べ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カード
카드; (소형의 두꺼운) 쪽지; 트럼프; (야구 등의) 대전(對戰)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青い
『식물·식물학』 아욱과의 닥풀·접시꽃·당아욱·족두리풀 등의 총칭; 『식물·식물학』 「ふたばあおい」의 딴이름; 가문(家紋)의 하나. 특히, 徳川氏의 가문; 푸르다. 파랗다. 청색이다; 초록색이다. 푸르다; (얼굴이) 창백하다. 파리하다. 핏기가 없다; 덜 익다. 풋되다. 미숙하다. あお·さ 【명사】 あお·み 【명사】 【문어형】 あを·し {ク 활용}
あなたは近い未来大きな喜びを感じられるような出来事に見舞われる予感です
未来
미래. 〔반의어〕 現在·過去; 내세. 〔동의어〕来世; 『생리학』 미뢰. 맛봉오리. ((혀에 많이 분포되어 있음))
喜び
기뻐함. 기쁨. 〔반의어〕 悲しみ; 경사스러운 일. 경사. 〔동의어〕おめでた; 축하의 말. 축사
感じる
⇒ かんずる; ⇒ かんずる
出来事
일어난 일. 사건
見舞う
문안하다. 위문하다. 문병하다; (달갑지 않은 것이) 찾아오다. 【가능동사】 み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あなた
『문어』 《遠称의 指示代名詞》; 저기. 저쪽. 저편; 예전. 이전. 옛날. 1.2.〔동의어〕かなた; 《対称의 人代名詞. 대등 또는 아랫사람에게 씀》 당신. 댁. 귀하. 〔참고〕 ㉠「彼方」에서 온 말로, 옛날에는 대등 또는 윗사람에게 썼으나 현재는 아내가 남편을 가리키는 대표적인 대명사. 현대어에서는 높임의 정도가 낮으며, 학생이 선생에게, 젊은이가 나이든 이에게 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음. ㉡상대가 여성일 때에는 흔히 「貴女」로 씀
大きな
《文語의 形容動詞 「おおきなり」의 連体形 「おおきなる」의 변한말》 큰. 커다란. 〔반의어〕 小さな
近い
맹세; 굳게 다짐하는 말; 신불에 대한 약속. 〔동의어〕願; 『불교』 (부처의) 중생을 구원하려는 서원(誓願); 장래에 대하여 굳게 약속함. 결심함; 『문어』 지계; 지상의 세계. 〔반의어〕 天界; 『건축』 지계. 지하층; 『문어』 지식의 힘으로 이해함; 가깝다; 거리·시간이 짧다; 친근하다; 혈연이 멀지 않다; 〈「目が近い」의 꼴로〉 근시(近視)다; (성질·상태·내용이) 비슷하다. 거의 같다; (수치·수량이) 비슷하다. 1.~4. 〔반의어〕 遠い. ちか·さ 【명사】 【문어형】 ちか·し {ク 활용}
予感
예감; 『문어』 여한. 입춘 후의 늦추위
ほとんどの事があなたの思い通りに進み
進む
나아가다. 전진하다. 〔반의어〕 退く; (시계가) 빨라지다. 〔반의어〕 後れる; 진보하다. 발달하다; 진척되다. 진행되다; 승진하다; 진학하다. 진출하다; 왕성해지다; 더해지다. 악화되다; 〈흔히 否定의 말이 따름〉 마음이 내키다; 〈「~·んで…する」의 꼴로〉 자진해서. 적극적으로; 「進める」의 문어
ほとんど
대부분; 거의; 하마터면. 〔참고〕 「ほとほと」의 변한말
事
『문어』 말. 이야기; 말. 마디; 《의식·사고의 대상 중 「物」와 같은 구체적인 것이 아닌, 추상적인 것을 가리키는 말》; 세상에서 일어나는 사건·현상. 일; 행위. 행동. 행사; 큰일. 문제. 사건. 사태; 통칭이나 아호(雅號) 등과 본명 사이에 써서, 그것이 동일 인물임을 나타냄. 즉. 곧; 〈自称의 人代名詞에 붙어〉 ‘나에 대해서 말하면’의 뜻을 나타냄;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어 그 활용어를 名詞화하여 다음과 같은 뜻을 나타냄. 보통 かな로 씀》; 경험; 방침. 습관; 경우. 가능성; 필요; 전문(傳聞); 해야 할 일; 수; 사실. 것. 일; 〈形容詞의 連体形에 붙어 副詞적으로 쓰임〉; 〈動詞의 連体形 또는 動詞에 否定의 助動詞의 連体形이 붙은 꼴에 곁들여〉 가벼운 명령·금지를 나타냄; 가정(假定)의 사항을 나타냄; 《「…を~にする」의 꼴로》 다름; 『음악』 거문고. ((원래는 현악기의 총칭)); 고도. 옛 도읍; 호도. 얼버무려 넘김. 미봉(彌縫); 『문어』 《活用語의 連体形·終止形에 붙음》; 감동을 나타냄; 완곡한 단정을 나타냄; 질문하거나 동의를 구하거나 권유하는 뜻을 나타냄. 〔참고〕 「事」와 같은 어원. 동료 또는 손아랫사람에게 쓰는 여성어
通り
길. 한길. 도로; 통행. 내왕. 왕래; (액체·기체 등의) 흐름. 통함; 소리가 멀리까지 들리는 정도; 평판. 신용; 통함. 통용; 이해; 〈形式名詞적으로, 그와 같은 상태임을 나타냄〉 …대로임. …같음. …처럼. 〔참고〕 8.은 「かな」로 쓰는 일이 많음; 《수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방법·수단·종류 등을 세는 데 씀》 …가지
あなた
『문어』 《遠称의 指示代名詞》; 저기. 저쪽. 저편; 예전. 이전. 옛날. 1.2.〔동의어〕かなた; 《対称의 人代名詞. 대등 또는 아랫사람에게 씀》 당신. 댁. 귀하. 〔참고〕 ㉠「彼方」에서 온 말로, 옛날에는 대등 또는 윗사람에게 썼으나 현재는 아내가 남편을 가리키는 대표적인 대명사. 현대어에서는 높임의 정도가 낮으며, 학생이 선생에게, 젊은이가 나이든 이에게 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음. ㉡상대가 여성일 때에는 흔히 「貴女」로 씀
思い
생각함. 또는 그 생각. 〔동의어〕考え; 기분. 느낌. 마음. 〔동의어〕気持ち·感じ; 기대. 예상. 〔동의어〕期待·予想; 소원. 뜻. 〔동의어〕願い·望み; 연정. 연모의 정. 사모하는 마음; 집념. 미련. 원한. 〔동의어〕執念·うらみ; 근심. 수심. 〔동의어〕物思い; 무겁다. 〔반의어〕 軽い; 중량이 있다. 가볍지 않다; (사물이) 중대하다. 중요하다; (정도가) 심하다. (병이) 위중하다. 〔동의어〕ひどい; (신분·지위 등이) 높다. 중요하다; 후련하지[개운하지] 않다. 무지근하다; 침착하다. 진중하다. おも·げ 【형용동사】 おも·さ 【명사】 おも·み 【명사】 【문어형】 おも·し {ク 활용}
とても充実した毎日を送ることができるでしょう
送る
(물건을) 부치다. 보내다. ((추상적인 것에도 씀)); (사람을) 보내다. 파견하다; 안내하다. 배웅하다. 데려다 주다; (석별의 정으로) 전송하다. 떠나 보내다; (죽은 이를) 장송하다; (세월을) 보내다. 지내다; (차례차례) 옮기다. 차례로 넘기다; 좁히다. 이동하다; 「送りがな」를 달다[붙이다]; 갚다. 보답하다; 졸업생을 내보내다[배출하다]. 【가능동사】 おく·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고인에게 관위나 칭호를) 내리다. 추서(追敍)하다. 추증(追贈)하다; (감사·축복의 뜻으로) 선사하다. 보내다. 주다. 【가능동사】 おく·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できる
전부 나가다[나오다]. 다 나가[나와] 남은 것이 없다. 〔동의어〕出つくす. 【문어 4단 활용 동사】; 《カ変動詞 「でくる」의 변한 꼴》; (새로) 생기다. 나다; 생성(生成)되다; 성립되다; 일어나다. 발생하다; 수중에 들어오다. 얻다; 생산되다. 산출되다; 만들어지다; 완성되다. 다 되다; (소질·경향을) 타고나다. 생겨 먹다; 능력·가능성이 있다. 할 수 있다. 가능하다; 〈サ変動詞의 語幹에 붙어 接尾語적으로〉 …할 수 있다. …하는 것이 가능하다; 잘하다. 할 줄 알다; (능력·인품이) 뛰어나다. 출중하다. 되어 있다; 《속어》 (남녀가) 깊은 관계에 있다. 눈이[배가] 맞다; 『경제』 (증권 거래소에서) 매매가 성립되다
とても
〈뒤에 否定語가 따르며〉 도저히. 아무래도. 〔동의어〕とうてい; 매우. 대단히. 〔동의어〕たいそう; 어차피. 〔동의어〕どうせ
充実
충실
毎日
매일. 날마다. 그날그날. 〔동의어〕ひごと·日々
悲しいことやネガティブな出来事とは無縁でいつも楽しく前向きでいられそうです
悲しい
슬프다; 애처롭다. 딱하다. 구슬프다. かなし·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かなし·げ 【형용동사】 かなし·さ 【명사】 かなし·み 【명사】 【문어형】 かな·し {シク 활용}; ⇒ 愛し
いつも
언제나. 항상. 늘. 〔동의어〕常に; 평소. 평상시. 여느 때. 〔동의어〕平生
出来事
일어난 일. 사건
楽しい
즐겁다. 재미있다. 유쾌하다. 〔참고〕 「うれしい」는 감격적, 일시적. 「たのしい」는 정적(靜的), 계속적. たのし·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たのし·げ 【형용동사】 たのし·さ 【명사】 たのし·み 【명사·형용동사】 【문어형】 たの·し {シク 활용}
ネガティブ
네거티브. 음화(陰畵). 음화용 필름. 원판(原板). 〔동의어〕ネガ. 〔반의어〕 ポジティブ; 네거티브. 소극적. 부정적. 〔동의어〕ネガチブ
前向き
앞쪽[정면]을 향함;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생각이나 태도. 1.2. 〔반의어〕 後ろ向き
無縁
『문어』 무원. 도와주는 사람이 없음; 무염. 소금기가 없음; 무연. 연기가 안 남; 무연; 『불교』 전세(前世)에 부처나 보살과 인연을 맺은 일이 없음; 『불교』 추선(追善)하는 연고자가 없음; 인연이 없음. 관계가 없음. 1.3. 〔반의어〕 有縁
その幸運を長続きさせたいと思うならばポジティブな気持ちを持ち続けること
思う
생각하다; 판단을 내리다. 믿다; 느끼다; 예상하다. 추측하다; 원하다. 소망하다; 회상하다; 사랑하다. 그리워하다. 사모하다. 소중히 하다; 〈「…と~」의 꼴이나 形容詞·形容動詞의 連用形을 받아서〉 …라고 생각하다. …하려고 결심하다. 〔참고〕 「考える」는 객관적·지적인 경우에만 쓰는데, 「思う」는 감정적·의지적·주관적인 경우에도 씀. 【가능동사】 おも·える【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気持ち
기분. 감정. 심정. 마음. 의사; 몸의 상태. 느낌; 마음의 표현; 〈副詞적으로〉 조금. 약간만
続ける
계속하다. 잇다. 연결하다. 【문어형】 つづ·く {하2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계속해서 …하다. 【문어형】 つづ·く {하2단 활용}
幸運
⇒ ハレーション; 행운. 떠 가는 구름. 열구름; 행운. 호운. 〔동의어〕ラッキー. 〔반의어〕 不運·非運. {문어·ナリ 활용 }; 황실의 운. 천황의 운; 『농학·농림·농업』 경운; 『문어』 황운; 황금빛 구름; 「酒」의 딴이름
持つ
《속어》 《「臓物」의 준말》 요리의 재료로서의, 닭·소·돼지 등의 내장; 지속하다. 지탱하다. 견디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손에) 들다; (몸에) 지니다. 휴대하다; 소유하다; 존재하다. 있다; 마음에 품다; 맡다. 담당하다. 부담하다; 어떤 성질·속성 등을 지니다. 갖추다; 개최하다. 〔동의어〕開く; 관계하다; 〈「…をもって」 「…をもちまして」의 꼴로〉 …에 의해서. 【가능동사】 も·て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ポジティブ
(사진의) 양화(陽畵). 양화(용) 필름. 〔동의어〕ポジ; 적극적. 긍정적. 실증적
長続き
오래 계속됨. 오래 감
あなたがポジティブでいる限りその幸せは長く続くようですよ
続く
이어지다. 계속되다; (같은 일이) 잇따르다. 끊이지 않다; 뒤따르다; 버금가다. 다음가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幸せ
행복. 행운. {문어·ナリ 활용 }; 운. 운수. 운명. 〔참고〕 1.은 「倖せ」 「幸福」로도 씀
あなた
『문어』 《遠称의 指示代名詞》; 저기. 저쪽. 저편; 예전. 이전. 옛날. 1.2.〔동의어〕かなた; 《対称의 人代名詞. 대등 또는 아랫사람에게 씀》 당신. 댁. 귀하. 〔참고〕 ㉠「彼方」에서 온 말로, 옛날에는 대등 또는 윗사람에게 썼으나 현재는 아내가 남편을 가리키는 대표적인 대명사. 현대어에서는 높임의 정도가 낮으며, 학생이 선생에게, 젊은이가 나이든 이에게 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음. ㉡상대가 여성일 때에는 흔히 「貴女」로 씀
長い
한곳에 오래 머무름. 〔동의어〕長座; (공간적으로) 길다; (시간적으로) 길다. 오래다. 〔참고〕 「永い」로도 씀; 길이 멀다; 마음이 느슨하다. 늘쩡하다. 1.~4. 〔반의어〕 短い. なが·さ 【명사】 【문어형】 なが·し {ク 활용}
限り
한. 한계. 끝; 최후. 마지막; 한도껏. 한껏. 최고; 〈「~で(は)ない」의 꼴로〉 그 범위에 들지 않다; 〈接続助詞적으로 쓰이어〉 …는 동안에는. …는 이상. …한(限); 《시간이나 장소 등을 가리키는 名詞에 붙어》 그것으로 끝남을 나타냄. …만. …까지
ポジティブ
(사진의) 양화(陽畵). 양화(용) 필름. 〔동의어〕ポジ; 적극적. 긍정적. 실증적
山の緑のカードを選んだ人
選ぶ
고르다. 뽑다. 택하다. 가리다; 편찬하다. 편집하다. ((예스러운 말)) 〔동의어〕えらむ. 〔참고〕 2.는 「撰ぶ」로도 씀. 【가능동사】 えら·べ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カード
카드; (소형의 두꺼운) 쪽지; 트럼프; (야구 등의) 대전(對戰)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緑
(많은 것 중에서) 보고 골라 잡음; 녹색. 초록; 나무의 새싹; ‘푸른빛’을 미적(美的)으로 표현한 말
山
『문어』; 마음 아파함. 몹시 슬퍼함. {문어·タリ 활용}; 『문어』 찬란함. 눈부심. 휘황하게 빛남. {문어·タリ 활용}; 《「さま」의 변한말》; 인명·직명에 붙어 경의를 나타냄. 또는 동물명 등에 붙여 친애의 뜻을 나타내기도 함. 님. 씨. 군. 양. 선생; 인사말 등에 붙어 공손한 기분을 나타냄. 〔참고〕 「様」보다 친근한 말씨; 산; 절 이름 앞에 곁들이는 말. 산호(山號); 산. 가루약; 三味線의 셋째 줄. 〔동의어〕三の糸. 〔참고〕 증서(證書) 등에 쓰는 갖은자는 「参」; 삼(三). 셋; 참가함. 옴; 선종(禪宗)에서 사람을 모아놓고 하는 좌선(坐禪)·설법·염불; 소매 없는 「じゅばん」. 속옷; (판자가 휘지 않도록 대는) 띳장; (문·장지·창 등의) 살; (사다리·망루·토대 등의) 가로장. 디딤판; 문의 비녀장; 출산(出産). 분만(分娩). ((보통 「お産」의 꼴로 씀)); 출생지. 출신지; 그 토지의 산물(産物). 산; 재산; 『문어』 잔. 술잔; 산가지. 〔동의어〕算木; 셈함. 계산함; 점대. (변하여) 점. 점괘; 가망. 공산. 예상. 계략. 수법; 찬; 인물·사물을 기리는 한문의 문장; 그림속에 곁들이는, 그림에 대한 시구(詩句). 화찬(畵讚); 논평. 비평; 초(醋). 신맛. 또는 맛이 심; 『화학』 산(酸). 〔반의어〕 アルカリ
次回未来あなたは大きな幸せを手に入れることになりそうです
未来
미래. 〔반의어〕 現在·過去; 내세. 〔동의어〕来世; 『생리학』 미뢰. 맛봉오리. ((혀에 많이 분포되어 있음))
幸せ
행복. 행운. {문어·ナリ 활용 }; 운. 운수. 운명. 〔참고〕 1.은 「倖せ」 「幸福」로도 씀
あなた
『문어』 《遠称의 指示代名詞》; 저기. 저쪽. 저편; 예전. 이전. 옛날. 1.2.〔동의어〕かなた; 《対称의 人代名詞. 대등 또는 아랫사람에게 씀》 당신. 댁. 귀하. 〔참고〕 ㉠「彼方」에서 온 말로, 옛날에는 대등 또는 윗사람에게 썼으나 현재는 아내가 남편을 가리키는 대표적인 대명사. 현대어에서는 높임의 정도가 낮으며, 학생이 선생에게, 젊은이가 나이든 이에게 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음. ㉡상대가 여성일 때에는 흔히 「貴女」로 씀
入れる
넣다. 들어가게 하다. 들이다; 수용하다. 넣다; 입학시키다. 넣다; 입원시키다; 고용하다. 채용하다; 끼워 주다; 듣다; 포함시키다. 넣다; 끼워 넣다. 박다; 개입하다. 참견하다. 방해하다. 〔참고〕 「容れる」로도 씀; 들이다. 쏟아 넣다; 걸다; 품다. 두다. 〔참고〕 「容れる」로도 씀; 구입하다; 납품하다; 손질하다. 수정하다; (도구를 써서) 일하다; 받아들이다. 〔참고〕 「容れる」로도 씀; 입금시키다; 투표하다; 〈「身を~」 「心を~」의 꼴로〉 전념하다. 몰두하다. 힘을 기울이다; (차 등을) 달이다. 내다; (전기 등을) 작동시키다. 켜다. 【문어형】 い·る {하2단 활용}; 볶이다. 볶아지다; 초조해지다. 〔동의어〕じれる
大きな
《文語의 形容動詞 「おおきなり」의 連体形 「おおきなる」의 변한말》 큰. 커다란. 〔반의어〕 小さな
手
어떤 일·직무·임무를 맡는 사람임을 나타냄. 수; 시(詩)를 세는 말. 수; 초목을 세는 말. 주. 〔동의어〕株; 주; 주인; 주군; 중심; 『기독교』 주님. 1.〔반의어〕客. 2.3.〔반의어〕従; 주; 주홍색 안료; 붉은 글자. 교정지에 고쳐 써넣은 붉은 글자; 『문어』 주. 술. 〔동의어〕さけ; ⇒ しゅう< 2> ; 종; 『식물·식물학』 종자; 종류; 『생물학』 생물 분류상의 단위; 옛 중량 단위. 一銖는 一両의 24분의 1; 옛날의 이율의 단위. 一銖는 一割의 10분의 1; 『불교』 취. 중생이 자신이 지은 업(業)에 의하여 가서 사는 세계
次回
자해. 문자(특히, 한자)의 해석; 차회. 다음 번. 〔반의어〕 前回·今回; 귓바퀴. 〔동의어〕耳殻; 『문어』 자계. 스스로 경계함; 자괴. 스스로 붕괴됨; 『불교』 지계. (불교도로서) 계율을 굳게 지킴. 〔반의어〕 破戒; ⇒ 磁場
現在悩みや不安を抱えている人は一気にそれらが解決し不安から解放されるでしょう
不安
불안. {문어·ナリ 활용 }
解決
괴걸. 매우 괴상한 힘을 가지고 있는 호걸; 해결
抱える
안다. 껴안다. 끼다. 감싸 쥐다; 맡다. 처리해야 할 부담을 지다; 고용하다. 【문어형】 かか·ふ {하2단 활용}
現在
『기독교』 원죄; 현재; 〈副詞的으로도 씀〉 지금. 〔동의어〕今. 〔반의어〕 過去·未来; 『언어학』 현재형
悩み
괴로움. 고민. 번민. 걱정. 근심; 《고어》 병
解放
병구완. 간호; 돌봄. 보호; 회보; 회보; 회장(回章); 차도. 병이 나아짐; 쾌보. 기분 좋은 소식. 좋은 소식. 〔동의어〕朗報; 개방; (문 등을) 열어 놓음; 제한을 풂.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도록 함; 『수학』 개방. 근풀이; 해방. 〔반의어〕 束縛; 『문어』 회포; 마음속에 품음. 〔동의어〕抱懐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または恋人ができたり長年の夢が叶うなどあなたが幸せだと思うことが現実になるかもしれません
思う
생각하다; 판단을 내리다. 믿다; 느끼다; 예상하다. 추측하다; 원하다. 소망하다; 회상하다; 사랑하다. 그리워하다. 사모하다. 소중히 하다; 〈「…と~」의 꼴이나 形容詞·形容動詞의 連用形을 받아서〉 …라고 생각하다. …하려고 결심하다. 〔참고〕 「考える」는 객관적·지적인 경우에만 쓰는데, 「思う」는 감정적·의지적·주관적인 경우에도 씀. 【가능동사】 おも·える【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または
또는. 혹은. 〔동의어〕あるいは·もしくは. 〔참고〕 법령에서, 한 문장 속에「又は」와 「若しくは」가 동시에 나타날 경우, 「又は」 쪽이 보다 큰 선택의 단계임을 나타냄
現実
『천문』 구름의 빙정(氷晶)에 의한 빛의 굴절로 생기는 햇무리의 일종. 태양의 양쪽에 나타나며, 태양과 비슷하게 보임; 현실. 〔반의어〕 理想
恋人
연인. 애인
幸せ
행복. 행운. {문어·ナリ 활용 }; 운. 운수. 운명. 〔참고〕 1.은 「倖せ」 「幸福」로도 씀
できる
전부 나가다[나오다]. 다 나가[나와] 남은 것이 없다. 〔동의어〕出つくす. 【문어 4단 활용 동사】; 《カ変動詞 「でくる」의 변한 꼴》; (새로) 생기다. 나다; 생성(生成)되다; 성립되다; 일어나다. 발생하다; 수중에 들어오다. 얻다; 생산되다. 산출되다; 만들어지다; 완성되다. 다 되다; (소질·경향을) 타고나다. 생겨 먹다; 능력·가능성이 있다. 할 수 있다. 가능하다; 〈サ変動詞의 語幹에 붙어 接尾語적으로〉 …할 수 있다. …하는 것이 가능하다; 잘하다. 할 줄 알다; (능력·인품이) 뛰어나다. 출중하다. 되어 있다; 《속어》 (남녀가) 깊은 관계에 있다. 눈이[배가] 맞다; 『경제』 (증권 거래소에서) 매매가 성립되다
あなた
『문어』 《遠称의 指示代名詞》; 저기. 저쪽. 저편; 예전. 이전. 옛날. 1.2.〔동의어〕かなた; 《対称의 人代名詞. 대등 또는 아랫사람에게 씀》 당신. 댁. 귀하. 〔참고〕 ㉠「彼方」에서 온 말로, 옛날에는 대등 또는 윗사람에게 썼으나 현재는 아내가 남편을 가리키는 대표적인 대명사. 현대어에서는 높임의 정도가 낮으며, 학생이 선생에게, 젊은이가 나이든 이에게 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음. ㉡상대가 여성일 때에는 흔히 「貴女」로 씀
叶う
(조건이나 기준 등에) 꼭 맞다. 들어맞다; 이루어지다. 성취되다. 뜻대로 되다; 그렇게 할 수 있다. 그렇게 하는 것이 허용되다; 대항할 수 있다. 필적하다; 「かなえる」의 문어
幸運を手に入れたあなたの毎日は、絶好調と言えますがくれぐれも調子に乗りすぎないよう
幸運
⇒ ハレーション; 행운. 떠 가는 구름. 열구름; 행운. 호운. 〔동의어〕ラッキー. 〔반의어〕 不運·非運. {문어·ナリ 활용 }; 황실의 운. 천황의 운; 『농학·농림·농업』 경운; 『문어』 황운; 황금빛 구름; 「酒」의 딴이름
調子
『문어』 조사. 죽은 이를 애도하는 말. 〔동의어〕弔辞. 〔반의어〕 祝詞; 『문어』 조시. 애도의 뜻을 나타낸 시; 장자; 장남. 맏아들; 장자. 맏누이; 장시. 장편의 시. 〔반의어〕 短詩; 긴 자루가 달린 술 따르는 그릇. ((양쪽에 귀때가 달린 것은 「もろぐち」, 한쪽만 달린 것은 「かたくち」라고 함)); (더운물에 넣어 술을 데우기 위한) 목이 갸름하고 잘쑥한 작은 술병. 또는 그 속에 든 술. 〔동의어〕徳利·; 『음악』 가락. 곡조. 음조(音調). 장단; 어조; (사물, 특히 문장 표현 등의) 정도. 격조; (신체·기계 등의) 상태. 컨디션. 〔동의어〕かげん·あんばい; (사물의) 진행 상태. 형편; 장단. 맞장구; 본궤도. 기세. 〔동의어〕勢い·はずみ; 방법. 방식. 요령; 청시. 시청
あなた
『문어』 《遠称의 指示代名詞》; 저기. 저쪽. 저편; 예전. 이전. 옛날. 1.2.〔동의어〕かなた; 《対称의 人代名詞. 대등 또는 아랫사람에게 씀》 당신. 댁. 귀하. 〔참고〕 ㉠「彼方」에서 온 말로, 옛날에는 대등 또는 윗사람에게 썼으나 현재는 아내가 남편을 가리키는 대표적인 대명사. 현대어에서는 높임의 정도가 낮으며, 학생이 선생에게, 젊은이가 나이든 이에게 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음. ㉡상대가 여성일 때에는 흔히 「貴女」로 씀
入れる
넣다. 들어가게 하다. 들이다; 수용하다. 넣다; 입학시키다. 넣다; 입원시키다; 고용하다. 채용하다; 끼워 주다; 듣다; 포함시키다. 넣다; 끼워 넣다. 박다; 개입하다. 참견하다. 방해하다. 〔참고〕 「容れる」로도 씀; 들이다. 쏟아 넣다; 걸다; 품다. 두다. 〔참고〕 「容れる」로도 씀; 구입하다; 납품하다; 손질하다. 수정하다; (도구를 써서) 일하다; 받아들이다. 〔참고〕 「容れる」로도 씀; 입금시키다; 투표하다; 〈「身を~」 「心を~」의 꼴로〉 전념하다. 몰두하다. 힘을 기울이다; (차 등을) 달이다. 내다; (전기 등을) 작동시키다. 켜다. 【문어형】 い·る {하2단 활용}; 볶이다. 볶아지다; 초조해지다. 〔동의어〕じれる
手
어떤 일·직무·임무를 맡는 사람임을 나타냄. 수; 시(詩)를 세는 말. 수; 초목을 세는 말. 주. 〔동의어〕株; 주; 주인; 주군; 중심; 『기독교』 주님. 1.〔반의어〕客. 2.3.〔반의어〕従; 주; 주홍색 안료; 붉은 글자. 교정지에 고쳐 써넣은 붉은 글자; 『문어』 주. 술. 〔동의어〕さけ; ⇒ しゅう< 2> ; 종; 『식물·식물학』 종자; 종류; 『생물학』 생물 분류상의 단위; 옛 중량 단위. 一銖는 一両의 24분의 1; 옛날의 이율의 단위. 一銖는 一割의 10분의 1; 『불교』 취. 중생이 자신이 지은 업(業)에 의하여 가서 사는 세계
乗る
(탈것에) 올라타다. 〔반의어〕 下りる; (위에) 오르다; 속다. 말려들다; 맞다. 어울리다; 실리다. 타다; 참여하다. 한몫 끼다. 응하다; 잘 먹다. 잘 묻다; (기름이) 오르다; 기회를 타다. 여세를 몰다; 마음이 내키다. 할 의욕이 생기다. 【가능동사】 の·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위에 놓이다. 얹히다; (물건을 선반 등에) 실을 수 있다. 얹을 수 있다; (신문 등에) 실리다. 게재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毎日
매일. 날마다. 그날그날. 〔동의어〕ひごと·日々
言える
《「言う」의 可能形》; 말할 수 있다; 말할 만하다. 말할 가치가 있다. 특히, 진리로서 단정할 수 있다; (병이) 낫다. 상처가 아물다. 치유되다. 【문어형】 い·ゆ {하2단 활용}
絶好調
몸 상태가 매우 좋음. 〔반의어〕絶不調
注意しましょう
注意
중위; 중정(中正)의 위치; (육·해군의) 중위. 〔반의어〕 大尉·少尉; 주의; 마음을 집중함; (위험·재난을 당하지 않도록) 조심함. 경계함; 귀뜀을 함; 『심리학』 어떤 심적 내용이 의식(意識)에 떠오르고, 여타의 심적 내용이 억제되는 심적 과정
あまり調子に乗っているとその幸運はスルリと手からこぼれてしまう恐れが
あまり
나머지; 남은 것. 여분. 〔동의어〕残り; (나눗셈에서 나누고 남는) 우수리; 〈「~に」 「~にも」의 꼴로도 씀〉 너무. 지나치게. 〔동의어〕あんまり; 〈「…の~」 「…した~」의 꼴로〉 …한 나머지. 몹시 …한 결과; 〈뒤에 否定語가 따름〉 그리. 그다지. 별로; 너무함. 지나침. 〔동의어〕あんまり. {문어·ナリ 활용 } 〔참고〕 < 2> ·< 3> 은 보통 かな로 씀; 그보다 조금 많음을 나타냄. 남짓
幸運
⇒ ハレーション; 행운. 떠 가는 구름. 열구름; 행운. 호운. 〔동의어〕ラッキー. 〔반의어〕 不運·非運. {문어·ナリ 활용 }; 황실의 운. 천황의 운; 『농학·농림·농업』 경운; 『문어』 황운; 황금빛 구름; 「酒」의 딴이름
しまう
끝나다. 파하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끝내다. 마치다; (가게 등을) 닫다; 치우다; 간수하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흔히, 「…て[で]~」의 꼴로》 …하여 버리다. …하고 말다. 〔참고〕 흔히 구어(口語)에서는 「…て[で]しまう」가 「…(っ)ちまう」 「…じまう」의 꼴로 되기도 함; 〈「…ずに~」의 꼴로〉 …아니하고 말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調子
『문어』 조사. 죽은 이를 애도하는 말. 〔동의어〕弔辞. 〔반의어〕 祝詞; 『문어』 조시. 애도의 뜻을 나타낸 시; 장자; 장남. 맏아들; 장자. 맏누이; 장시. 장편의 시. 〔반의어〕 短詩; 긴 자루가 달린 술 따르는 그릇. ((양쪽에 귀때가 달린 것은 「もろぐち」, 한쪽만 달린 것은 「かたくち」라고 함)); (더운물에 넣어 술을 데우기 위한) 목이 갸름하고 잘쑥한 작은 술병. 또는 그 속에 든 술. 〔동의어〕徳利·; 『음악』 가락. 곡조. 음조(音調). 장단; 어조; (사물, 특히 문장 표현 등의) 정도. 격조; (신체·기계 등의) 상태. 컨디션. 〔동의어〕かげん·あんばい; (사물의) 진행 상태. 형편; 장단. 맞장구; 본궤도. 기세. 〔동의어〕勢い·はずみ; 방법. 방식. 요령; 청시. 시청
こぼれる
(물건의 일부가) 망가지다. 【문어형】 こぼ·る {하2단 활용}; 넘쳐 흐르다. 흘러내리다; (밖으로) 비치다. 새어 나오다; 흩어져 떨어지다; 감정 등이 밖으로 나타나다. 【문어형】 こぼ·る {하2단 활용}
恐れ
외경. 경외. 〔동의어〕畏敬; 두려움. 무서움. 공포(심); 《흔히, 「…の~」의 꼴로》 (무엇인가 일어날 것 같은) 염려. 우려
手
어떤 일·직무·임무를 맡는 사람임을 나타냄. 수; 시(詩)를 세는 말. 수; 초목을 세는 말. 주. 〔동의어〕株; 주; 주인; 주군; 중심; 『기독교』 주님. 1.〔반의어〕客. 2.3.〔반의어〕従; 주; 주홍색 안료; 붉은 글자. 교정지에 고쳐 써넣은 붉은 글자; 『문어』 주. 술. 〔동의어〕さけ; ⇒ しゅう< 2> ; 종; 『식물·식물학』 종자; 종류; 『생물학』 생물 분류상의 단위; 옛 중량 단위. 一銖는 一両의 24분의 1; 옛날의 이율의 단위. 一銖는 一割의 10분의 1; 『불교』 취. 중생이 자신이 지은 업(業)에 의하여 가서 사는 세계
乗る
(탈것에) 올라타다. 〔반의어〕 下りる; (위에) 오르다; 속다. 말려들다; 맞다. 어울리다; 실리다. 타다; 참여하다. 한몫 끼다. 응하다; 잘 먹다. 잘 묻다; (기름이) 오르다; 기회를 타다. 여세를 몰다; 마음이 내키다. 할 의욕이 생기다. 【가능동사】 の·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위에 놓이다. 얹히다; (물건을 선반 등에) 실을 수 있다. 얹을 수 있다; (신문 등에) 실리다. 게재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幸せに感謝し、謙虚な姿勢を心がけることが幸せを長続きさせる秘訣となりそうです
感謝
⇒ かんしょ; 관사. 공무원의 숙사(宿舍); 감사
幸せ
행복. 행운. {문어·ナリ 활용 }; 운. 운수. 운명. 〔참고〕 1.은 「倖せ」 「幸福」로도 씀
謙虚
검거; 겸허. 〔반의어〕 横柄·傲慢. {문어·ナリ 활용 }
姿勢
성씨. 〔동의어〕姓氏; 『언어학』 사성. 한자 성음(聲音)의 平声·上声·去声·入声의 네 가지. 〔동의어〕ししょう; 《歴》 중세(中世) 일본의 4대 명문 집안. ((「源」 「平」 「藤 原」 「橘」)) 1.2.〔동의어〕ししょう; 사성. 예수·석가·공자·소크라테스의 네 성인; (한 지방의) 정치·행정을 관장하는 일; 『문어』; 서민 사회; 『정치』 시제. 자치 단체로서의 시의 제도; 시정; 시세. 시의 산업·경제·인구 등의 형세; 『문어』 사생. 생사. 죽음과 삶; 『문어』 지정; 매우 정묘·정교함; 『문어』 지성. 〔동의어〕まごころ; 『문어』 지성. 더할 나위 없이 지덕(知德)이 뛰어남. 또는 그런 사람; 사제. 사적으로 만듦. 〔반의어〕 官製; ⇒ いれずみ; 자세; 시정. 정치를 실시함; 『문어』 자성. 천성. 자질; 시성. 시가 지닌 성질; 시성. 〔동의어〕詩仙. 〔참고〕 특히, 당나라 시인 두보(杜甫)를 일컬음; 『문어』 시제. 〔동의어〕試作; 자성. 암컷의 성질. 〔반의어〕 雄性; ⇒ しじょう
秘訣
부결. 〔반의어〕 可決; 비결; 『문어』 비결. 변비(便秘)
長続き
오래 계속됨. 오래 감
4後色のカードを選んだ人
選ぶ
고르다. 뽑다. 택하다. 가리다; 편찬하다. 편집하다. ((예스러운 말)) 〔동의어〕えらむ. 〔참고〕 2.는 「撰ぶ」로도 씀. 【가능동사】 えら·べ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後
뒤. 후; (공간적으로) 뒤쪽. 후방. 등쪽; (시간적으로) 뒤. 나중. 다음; 현재로부터 거슬러 오른 때. 이전. 〔반의어〕 先; 뒷일. 후사(後事). 뒤처리. 사후(死後); 나머지; 후임(자). 후처(後妻); 후손. 자손. 1.2. 〔반의어〕 前·先; 자국. 발자국; 자취. 흔적. 종적. 행적; 필적(筆跡); 왕래. 인적(人跡); 가독(家督). 대(代); 터. 유적; 《고어》 선례(先例). 선인(先人)의 본보기
カード
카드; (소형의 두꺼운) 쪽지; 트럼프; (야구 등의) 대전(對戰)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色
색. 빛. 빛깔. 색채; 피부색. 특히, 얼굴빛; 표정. 기색. 기미. 빛; 종류; 소리의 울림. 음색; (아름다운) 몸매. 성적 매력; 색정. 정사(情事). 연애; 《속어》 애인. 정부
あなたの未来はどうやら今の状態とあまり変わらず大きな変化はないようです
変わる
대신하다. 대리하다. 〔참고〕 보통은 「代わる」를 씀; 바뀌다. 교체되다. 〔참고〕 보통 「換わる」 「替わる」를 씀. 【가능동사】 かわ·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변하다. 바뀌다; 〈「~·った」 「~·っている」의 꼴로〉 색다르다. 별나다. 별스럽다. 이상하다. 【가능동사】 かわ·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変化
변화; (성질·상태 등이)바뀜; 『언어학』 단어의 어형(語形)이 용법에 따라 꼴을 바꾸는 일
未来
미래. 〔반의어〕 現在·過去; 내세. 〔동의어〕来世; 『생리학』 미뢰. 맛봉오리. ((혀에 많이 분포되어 있음))
あまり
나머지; 남은 것. 여분. 〔동의어〕残り; (나눗셈에서 나누고 남는) 우수리; 〈「~に」 「~にも」의 꼴로도 씀〉 너무. 지나치게. 〔동의어〕あんまり; 〈「…の~」 「…した~」의 꼴로〉 …한 나머지. 몹시 …한 결과; 〈뒤에 否定語가 따름〉 그리. 그다지. 별로; 너무함. 지나침. 〔동의어〕あんまり. {문어·ナリ 활용 } 〔참고〕 < 2> ·< 3> 은 보통 かな로 씀; 그보다 조금 많음을 나타냄. 남짓
状態
상체. 상반신; 『생리학』 상퇴. 넓적다리. 〔반의어〕 下腿; 상태; 『언어학』; 보통 상태에 있는 몸; 『문어』 상태. 정상적 상태. 보통 상태
どうやら
《副詞 「どう」+副助詞 「やら」》; 그럭저럭. 가까스로. 겨우. 〔동의어〕どうにか·かろうじて; 어쩐지. 아무래도. 〔동의어〕なんとなく·どことなく
あなた
『문어』 《遠称의 指示代名詞》; 저기. 저쪽. 저편; 예전. 이전. 옛날. 1.2.〔동의어〕かなた; 《対称의 人代名詞. 대등 또는 아랫사람에게 씀》 당신. 댁. 귀하. 〔참고〕 ㉠「彼方」에서 온 말로, 옛날에는 대등 또는 윗사람에게 썼으나 현재는 아내가 남편을 가리키는 대표적인 대명사. 현대어에서는 높임의 정도가 낮으며, 학생이 선생에게, 젊은이가 나이든 이에게 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음. ㉡상대가 여성일 때에는 흔히 「貴女」로 씀
今
지금. 이제. 현재; 오늘날. 현대. 〔반의어〕 昔; 〈接続詞적으로 씀〉 이야기를 진전시키기 위하여 전제(前提)를 설정할 때 쓰는 말. 여기서; 가까운 미래를 나타냄. 이제 곧. 바로. 잇따라; 지금 막. 방금; 더. 〔동의어〕さらに; 〈주로 사람을 나타내는 명사에 붙음〉 현대의. 최근의. 오늘날의; 새로운; 가족이 함께 모여 차를 마시거나 여가를 보내거나 하는 방. 거실(居室). 거처방
大きな
《文語의 形容動詞 「おおきなり」의 連体形 「おおきなる」의 변한말》 큰. 커다란. 〔반의어〕 小さな
まだまだ幸せな未来が訪れるための準備期間が続くと言えるでしょう
続く
이어지다. 계속되다; (같은 일이) 잇따르다. 끊이지 않다; 뒤따르다; 버금가다. 다음가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未来
미래. 〔반의어〕 現在·過去; 내세. 〔동의어〕来世; 『생리학』 미뢰. 맛봉오리. ((혀에 많이 분포되어 있음))
期間
계간. 〔동의어〕クォータリー; 궤간. 철도 선로의 두 레일의 간격. 〔동의어〕ゲージ; 귀환; 귀관. 저택 또는 숙소로 돌아옴[돌아감]; 귀함; 기간. 〔반의어〕 未刊; 『문어』 기한. 굶주림과 추위; 기간; 『문어』 귀감. 본보기; 기간; 『문어』 귀간. 귀한. 상대를 높여 그의 편지를 이르는 말. 귀함(貴函). 귀찰(貴札). 〔동의어〕尊簡; 기함. 사령관이 타고 함대를 지휘하는 군함; 『생리학』 기관; 기관; 엔진; 조직. 조직체; 기관; 『문어』 기관. 보일러. 증기관(蒸氣罐); 기관; 기이한 광경[구경 거리]; 훌륭한 경치; 『문어』 귀관
幸せ
행복. 행운. {문어·ナリ 활용 }; 운. 운수. 운명. 〔참고〕 1.은 「倖せ」 「幸福」로도 씀
準備
『문어』 순미. 티없이 아름다움. 순수한 미. {문어·ナリ 활용 }; 준비
訪れる
『문어』; 방문하다; 《고어》편지로 안부를 묻다. おとづ·る {하2단 활용}
言える
《「言う」의 可能形》; 말할 수 있다; 말할 만하다. 말할 가치가 있다. 특히, 진리로서 단정할 수 있다; (병이) 낫다. 상처가 아물다. 치유되다. 【문어형】 い·ゆ {하2단 활용}
まだまだ
아직. 아직도; 《고어》 흐리터분한 모양. 굼뜬 모양. 〔참고〕 「まだ」의 힘줌말
早く良い展開が訪れてほしいと願う気持ちもあるでしょうが今はもっと先の未来を見据え
気持ち
기분. 감정. 심정. 마음. 의사; 몸의 상태. 느낌; 마음의 표현; 〈副詞적으로〉 조금. 약간만
願う
원하다. 바라다; 기원하다. 빌다; (관청 등에) 청원(請願)하다; (상점 등에서) 손에게 사게 하다. ((손에 대한 공손한 말)); 돌봐 주기를 부탁하다. 【가능동사】 ねが·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未来
미래. 〔반의어〕 現在·過去; 내세. 〔동의어〕来世; 『생리학』 미뢰. 맛봉오리. ((혀에 많이 분포되어 있음))
展開
천계; 『불교』 천상계. 〔반의어〕 俗界. 〔참고〕 「てんがい」로도 읽음; 전개. 펼침. 펼쳐짐; 전회; 회전; 방향을 크게[정반대로] 바꿈; 『음악』 (화음 등에서) 음의 상하 관계를 바꿈
良い
『문어』; 말함. 말; 〈「…の~」의 꼴로〉 …에 대한 표현. …이라는 뜻[의미]. 까닭; 《고어》 밥. 〔동의어〕飯·御飯; 예예. ((승낙의 대답)) 〔동의어〕はい; 『문어』 고분고분 따름. {문어·タリ 활용}; 《「良い」 보다 부드러운 표현. 보통은 終止形·連体形으로만 씀》; 좋다; (반어적으로) ‘나쁘다’의 뜻을 나타냄; 『문어』 의의함. 헤어지기가 서운함. 연모함. {문어·タリ 활용}; 『문어』 이연(怡然). 기뻐하고 즐거워함. {문어·タリ 활용}; 『문어』 쉬움. 용이함. {문어·タリ 활용}
訪れる
『문어』; 방문하다; 《고어》편지로 안부를 묻다. おとづ·る {하2단 활용}
今
지금. 이제. 현재; 오늘날. 현대. 〔반의어〕 昔; 〈接続詞적으로 씀〉 이야기를 진전시키기 위하여 전제(前提)를 설정할 때 쓰는 말. 여기서; 가까운 미래를 나타냄. 이제 곧. 바로. 잇따라; 지금 막. 방금; 더. 〔동의어〕さらに; 〈주로 사람을 나타내는 명사에 붙음〉 현대의. 최근의. 오늘날의; 새로운; 가족이 함께 모여 차를 마시거나 여가를 보내거나 하는 방. 거실(居室). 거처방
先
끝; 앞. 선두; 그곳으로부터 떨어진 곳. 전방; 행선지. 목적지; (장사나 교섭의) 상대편; 앞날. 장래. 전도; 먼저; 이전. 과거. 〔반의어〕 あと·のち; 이어지는 부분. 남은 부분; 『문어』 복. 행복. 〔동의어〕さち; 꽃이 핌. 개화(開花); 산부리. 〔동의어〕ではな; 좌기. (세로쓰기 문장에서) 다음에 적음
早い
(동작·과정이) 빠르다. 〔반의어〕 遅い. 〔참고〕 1.은 보통 「速い」로 씀. 또는 「疾い」로도 씀; (시기·시각이) 이르다. 빠르다. 〔반의어〕 遅い; 손쉽다; 훨씬 이전이다; 〈「…するが~か」의 꼴로〉 …하기가 바쁘게. …하자마자. 〔참고〕 2.~5.는 「早い」로 씀. はや·さ 【명사】 【문어형】 はや·し {ク 활용}
ほしい
⇒ ほしいい; 갖고 싶다. 탐나다. …이 있으면 좋겠다. 아쉽다. ほし·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ほし·げ 【형용동사】 ほし·さ 【명사】 【문어형】 ほ·し {シク 활용}
もっと
더. 더욱. 좀더. 한층. 〔동의어〕一層
見据える
응시하다; 잘 보아서 그 본질이나 진상 등을 확인하다. 〔동의어〕見定める. 【문어형】 みす·う {하2단 활용}
よりよい未来を得るための準備に力を入れたほうがよさそうです
力
힘; 체력(體力); 『물리』 물체의 상태에 변화를 일으키는 작용; (사물에 갖춰져 있는) 위력; 지배력. ((폭력·완력·권력 등)); 기력. 정기(精氣). 원기(元氣); 박력(迫力); 조력. 진력(盡力); 효력. 효능; 의탁. 의지(依持); 능력. 실력(實力); 학력. 〔동의어〕学力; 재력; (종합적인) 세력
未来
미래. 〔반의어〕 現在·過去; 내세. 〔동의어〕来世; 『생리학』 미뢰. 맛봉오리. ((혀에 많이 분포되어 있음))
得る
(벼·조·수수 등의) 곡식이 차지지 아니하고 메진 종류의 것. 메. 〔동의어〕うるち. 〔반의어〕 糯; 팔다. 〔반의어〕 買う; 세상에 (널리) 알리다. (이름·얼굴 등을) 팔다. 유명해지다; (이익을 위해) 배신[배반]하다. 팔다; (싸움 등을) 걸다. 청하다. 강요하다. 【가능동사】 う·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文語의 動詞 「得」의 連体形. 현대어에서는 終止形으로도 씀》 얻다. 〔동의어〕得る;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할 수 있다. 〔참고〕 「考ええる」 「有りえる」보다 「考えうる」 「有りうる」 쪽이 더 일반적임
準備
『문어』 순미. 티없이 아름다움. 순수한 미. {문어·ナリ 활용 }; 준비
入れる
넣다. 들어가게 하다. 들이다; 수용하다. 넣다; 입학시키다. 넣다; 입원시키다; 고용하다. 채용하다; 끼워 주다; 듣다; 포함시키다. 넣다; 끼워 넣다. 박다; 개입하다. 참견하다. 방해하다. 〔참고〕 「容れる」로도 씀; 들이다. 쏟아 넣다; 걸다; 품다. 두다. 〔참고〕 「容れる」로도 씀; 구입하다; 납품하다; 손질하다. 수정하다; (도구를 써서) 일하다; 받아들이다. 〔참고〕 「容れる」로도 씀; 입금시키다; 투표하다; 〈「身を~」 「心を~」의 꼴로〉 전념하다. 몰두하다. 힘을 기울이다; (차 등을) 달이다. 내다; (전기 등을) 작동시키다. 켜다. 【문어형】 い·る {하2단 활용}; 볶이다. 볶아지다; 초조해지다. 〔동의어〕じれる
焦らないことがあなたが確実に未来で夢を手に入れる方法なのかもしれません
方法
방법; 《고어》; 당황하여 간신히 도망치는 모양. 허둥지둥. 헐레벌떡. 가까스로; 『문어』; 바람이 세게 부는 모양; (초목의 잎 등이) 무성하게 자란 모양; 연기나 수증기가 힘차게 솟아오르는 모양; (머리털 등이) 흐트러진 모양. {문어·タリ 활용}
未来
미래. 〔반의어〕 現在·過去; 내세. 〔동의어〕来世; 『생리학』 미뢰. 맛봉오리. ((혀에 많이 분포되어 있음))
確実
『문어』 각일. 매일; 『문어』 격일. 하루 걸러. 〔동의어〕かくにち; 확실. かく-じつさ 【명사】 {문어·ナリ 활용 }
焦る
조바심하다. 안달하다. 초조하게[조급하게] 굴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빛깔이)바래다. 퇴색하다.〔동의어〕さめる; (용모나 열의 등이) 시들다. 쇠퇴하다. 【문어형】 あ·す {하2단 활용}
あなた
『문어』 《遠称의 指示代名詞》; 저기. 저쪽. 저편; 예전. 이전. 옛날. 1.2.〔동의어〕かなた; 《対称의 人代名詞. 대등 또는 아랫사람에게 씀》 당신. 댁. 귀하. 〔참고〕 ㉠「彼方」에서 온 말로, 옛날에는 대등 또는 윗사람에게 썼으나 현재는 아내가 남편을 가리키는 대표적인 대명사. 현대어에서는 높임의 정도가 낮으며, 학생이 선생에게, 젊은이가 나이든 이에게 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음. ㉡상대가 여성일 때에는 흔히 「貴女」로 씀
入れる
넣다. 들어가게 하다. 들이다; 수용하다. 넣다; 입학시키다. 넣다; 입원시키다; 고용하다. 채용하다; 끼워 주다; 듣다; 포함시키다. 넣다; 끼워 넣다. 박다; 개입하다. 참견하다. 방해하다. 〔참고〕 「容れる」로도 씀; 들이다. 쏟아 넣다; 걸다; 품다. 두다. 〔참고〕 「容れる」로도 씀; 구입하다; 납품하다; 손질하다. 수정하다; (도구를 써서) 일하다; 받아들이다. 〔참고〕 「容れる」로도 씀; 입금시키다; 투표하다; 〈「身を~」 「心を~」의 꼴로〉 전념하다. 몰두하다. 힘을 기울이다; (차 등을) 달이다. 내다; (전기 등을) 작동시키다. 켜다. 【문어형】 い·る {하2단 활용}; 볶이다. 볶아지다; 초조해지다. 〔동의어〕じれる
手
어떤 일·직무·임무를 맡는 사람임을 나타냄. 수; 시(詩)를 세는 말. 수; 초목을 세는 말. 주. 〔동의어〕株; 주; 주인; 주군; 중심; 『기독교』 주님. 1.〔반의어〕客. 2.3.〔반의어〕従; 주; 주홍색 안료; 붉은 글자. 교정지에 고쳐 써넣은 붉은 글자; 『문어』 주. 술. 〔동의어〕さけ; ⇒ しゅう< 2> ; 종; 『식물·식물학』 종자; 종류; 『생물학』 생물 분류상의 단위; 옛 중량 단위. 一銖는 一両의 24분의 1; 옛날의 이율의 단위. 一銖는 一割의 10분의 1; 『불교』 취. 중생이 자신이 지은 업(業)에 의하여 가서 사는 세계
夢
육. 여섯. 〔동의어〕むっつ·ろく; 무. 아무것도 없음. 〔반의어〕 有; 힘을 쓰거나, 감탄하거나, 놀라거나 할 때 입을 다물고 내는 소리. 음; 『문어』 《動詞·動詞型活用의 助動詞의 未然形에 붙어》; 추량·예상의 뜻을 나타냄. …일 것이다. …이겠지; 의지·희망의 뜻을 나타냄. …하겠다. …할 작정이다; 권유·명령의 뜻을 나타냄. …하는 것이 좋겠다. …해 주게; 가정·가상의 뜻을 나타냄. 만약 …이라면 (…일 것이다); 완곡하게 표현하는 뜻을 나타냄. …같은. 〔참고〕 平安 시대 이후에는 「ん」으로도 씀
今回の心理テストは以上でおしまいです皆さんの結果はどうだったでしょうか
以上
이상; (수량·정도·우열 등의 비교에서) 그보다 위의 범위에 있음. 수량에서는 그 기준도 포함됨. 〔반의어〕 以下; 이제까지 말한 것; 문서의 마지막에 적어 ‘끝’의 뜻을 나타냄; 「御目見以上」의 준말; 전부. 도합. 합계;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어 接続助詞처럼 쓰임〉 …한[된] 바에는. …한[된] 이상; 위요. 둘러쌈. 〔동의어〕いにょう; 위양. 권한 등을 다른 사람 또는 기관에 넘겨줌; 이상. 〔동의어〕別状; 이상. 정상이 아님. 〔반의어〕 正常. {문어·ナリ 활용 }; 이승. 갈아탐. 옮겨 탐; 이양. 남에게 넘겨줌
結果
결과. 수업에 빠짐; 『문어』 결하. 홍수로 강물이 넘쳐 둑을 무너뜨림; 결과; 결실(結實); 어떤 원인에 의하여 생긴 결말이나 상태. 〔반의어〕 原因; 《「結跏趺坐」의 준말》 결가부좌. 결가; 『문어』 궐하. 임금의 앞
今回
금회. 이번 차례. 이번. 금번
心理
심리; 『문어』 심리. 마음속. 심중(心中); 진리; 심리; 사실이나 조리(條理)를 자세히 조사하여 처리함; 재판의 기초가 되는 사실 관계 및 법률 관계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법원이 조사하는 행위
テスト
테스트; (연극·방송 등에서) 본공연[방송]에 앞선 예비 연습
皆さん
《「皆様」의 다소 스스럼 없는 표현》 여러분
いい結果だった人は未来が楽しみになったのでは
楽しみ
낙. 즐거움. 즐길 거리. 즐기는 일. 재미. {문어·ナリ 활용 }
未来
미래. 〔반의어〕 現在·過去; 내세. 〔동의어〕来世; 『생리학』 미뢰. 맛봉오리. ((혀에 많이 분포되어 있음))
結果
결과. 수업에 빠짐; 『문어』 결하. 홍수로 강물이 넘쳐 둑을 무너뜨림; 결과; 결실(結實); 어떤 원인에 의하여 생긴 결말이나 상태. 〔반의어〕 原因; 《「結跏趺坐」의 준말》 결가부좌. 결가; 『문어』 궐하. 임금의 앞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希望通りでない結果だった人も問題を乗り越えた先には
希望
『문어』 기망. 일을 계획하여 이루어지기를 바람; 희망; 『문어』 귀모. 보통 사람이 생각 못할 뛰어난 계책; 『문어』 기망. 음력 16일 밤. 또는 그 밤의 달. 〔동의어〕十六夜. 〔참고〕 이미 「望(만월)」가 끝났다는 뜻; 『문어』 궤모. 남을 속이는 계책. 궤계(詭計)
結果
결과. 수업에 빠짐; 『문어』 결하. 홍수로 강물이 넘쳐 둑을 무너뜨림; 결과; 결실(結實); 어떤 원인에 의하여 생긴 결말이나 상태. 〔반의어〕 原因; 《「結跏趺坐」의 준말》 결가부좌. 결가; 『문어』 궐하. 임금의 앞
通り
길. 한길. 도로; 통행. 내왕. 왕래; (액체·기체 등의) 흐름. 통함; 소리가 멀리까지 들리는 정도; 평판. 신용; 통함. 통용; 이해; 〈形式名詞적으로, 그와 같은 상태임을 나타냄〉 …대로임. …같음. …처럼. 〔참고〕 8.은 「かな」로 쓰는 일이 많음; 《수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방법·수단·종류 등을 세는 데 씀》 …가지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先
끝; 앞. 선두; 그곳으로부터 떨어진 곳. 전방; 행선지. 목적지; (장사나 교섭의) 상대편; 앞날. 장래. 전도; 먼저; 이전. 과거. 〔반의어〕 あと·のち; 이어지는 부분. 남은 부분; 『문어』 복. 행복. 〔동의어〕さち; 꽃이 핌. 개화(開花); 산부리. 〔동의어〕ではな; 좌기. (세로쓰기 문장에서) 다음에 적음
問題
문제
乗り越える
타고 넘다; 뚫고[헤쳐] 나가다. 극복하다. 뛰어넘다; 앞지르다. 능가하다. 【문어형】 のりこ·ゆ {하2단 활용}
幸せな未来が待っていそうですね
未来
미래. 〔반의어〕 現在·過去; 내세. 〔동의어〕来世; 『생리학』 미뢰. 맛봉오리. ((혀에 많이 분포되어 있음))
幸せ
행복. 행운. {문어·ナリ 활용 }; 운. 운수. 운명. 〔참고〕 1.은 「倖せ」 「幸福」로도 씀
待つ
가루. 분말. 〔동의어〕粉; 어떤 기간의 끝. 말; 『식물·식물학』 소나무; 『러시아어』 「松明」의 준말; 〈「門松」의 준말〉 또는 이것을 세워서 새해를 기뻐하는 기간; 기다리다; 〈「…に~」 「…を~」의 꼴로〉 기대하다; 〈「…を~·たない」의 꼴로〉 그럴 필요가 없다. 〔참고〕 2.3.은 「俊つ」로도 씀. 【가능동사】 ま·て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でも未来を作るのは自分自身ですからもしかしたら私たちは陳李ベストの結果に
未来
미래. 〔반의어〕 現在·過去; 내세. 〔동의어〕来世; 『생리학』 미뢰. 맛봉오리. ((혀에 많이 분포되어 있음))
結果
결과. 수업에 빠짐; 『문어』 결하. 홍수로 강물이 넘쳐 둑을 무너뜨림; 결과; 결실(結實); 어떤 원인에 의하여 생긴 결말이나 상태. 〔반의어〕 原因; 《「結跏趺坐」의 준말》 결가부좌. 결가; 『문어』 궐하. 임금의 앞
自身
지신(地神). 땅의 신; 『지리·지학·지명』 지진; 자신; 자기. 〔동의어〕自分; 〈다른 말에 붙어 그것을 강조함〉 그 자신. 그 자체; 자신; 『문어』 시신. 주군(主君)을 가까이 섬기는 신하. 〔동의어〕近侍; 시침. (시계의) 단침; 자침
自分
무렵. 대체적인 시기·시각; 적당한 때. 기회. 시기; (중국에서 신문의 논설 등에 쓰는) 현대어체(現代語體)의 문장; 그 시대의 글. 당시의 글; 그 사람 자신. 자기 자신;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동의어〕わたくし
作る
만들다; 제작하다. 제조하다; 창조[창작]하다; 조성하다. 형성하다; (술을) 빚다. 양조하다; 저술하다. (시가를) 짓다. 출판하다. 〔동의어〕創作する; 작성하다; 경작하다. 재배하다. 〔동의어〕生産する; 창립하다. 창설하다; 수립하다; 양성하다. 육성하다. 키우다. 생산하다; (아이를) 낳다. 아이를 갖게 하다; 단장하다. 화장하다; 일부러 짓다. 거짓으로 꾸미다; 조리(調理)하다. 요리하다; (애인·친구·적 등을) 새로이 만들다; (재산을) 이룩하다. 모으다; 이루다. 차리다; 어떤 짓을 하다; 마련하다. 장만하다; (닭이) 홰를 치다; 그림을 그리다. 【가능동사】 つく·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私
값. 가격. 대금. 〔동의어〕ね·値段; 가치. 값어치. 〔동의어〕値打ち; 『수학』 수치(數値). 수량. 값. 〔참고〕 3.은 「値」로 씀; 《속어》 《「あたし」의 변한말》 저. 나. 〔동의어〕わたし. 〔참고〕 흔히 여자 아이가 씀
李
자두
ベスト
베스트; 최상급. 최량; 최선. 전력(全力); 베스트. 조끼. 특히, 여성복에서 남자의 조끼와 비슷한 소매 없는 윗도리
とらわれず未来を変えることだってできるのかもしれませんね
変える
『동물·동물학』 개구리. 〔동의어〕かわず; (원상태로) 돌아가다[돌아오다]; (원위치로) 되돌아오다; (반응이) 돌아오다; 뒤집히다. 거꾸로 되다. 〔참고〕 4.는 「反る」로도 씀. 【가능동사】 かえ·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정도가 심함을 나타냄. 아주[완전히] …하다. 〔참고〕 < 2> 는 「反る」로도 씀. 【문어 4단 활용 동사】; 돌아오다. 돌아가다. 【가능동사】 かえ·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알이) 부화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바꾸다; (상태 등을) 변화시키다; (위치 등을) 옮기다; (날짜·계획 등을) 변경하다. 【문어형】 か·ふ {하2단 활용}; (서로) 바꾸다. 교환하다. 〔참고〕 대개 「換える」 「替える」로 씀; (새것으로) 갈다. 바꾸다. 교체하다. 〔참고〕 흔히, 「換える」 「替える」로 씀; 대신하다. 〔참고〕 대개 「代える」로 씀; 〈「…に~」의 꼴로〉 …을 바치다; (같은 음식물을) 더 청해 먹다. 【문어형】 か·ふ {하2단 활용}
未来
미래. 〔반의어〕 現在·過去; 내세. 〔동의어〕来世; 『생리학』 미뢰. 맛봉오리. ((혀에 많이 분포되어 있음))
だって
상대의 말을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고 반론하는 경우에 씀. 그렇지만. 하지만. 그런데. 〔동의어〕でも; 《助動詞 「だ」에 助詞 「とて」가 붙은 「だとて」의 변한말. 体言 또는 体言에 준하는 말에 붙음》; …(이)라도. …일지라도. …라 하여도; …에게조차; …이든 …이든; …이란다
できる
전부 나가다[나오다]. 다 나가[나와] 남은 것이 없다. 〔동의어〕出つくす. 【문어 4단 활용 동사】; 《カ変動詞 「でくる」의 변한 꼴》; (새로) 생기다. 나다; 생성(生成)되다; 성립되다; 일어나다. 발생하다; 수중에 들어오다. 얻다; 생산되다. 산출되다; 만들어지다; 완성되다. 다 되다; (소질·경향을) 타고나다. 생겨 먹다; 능력·가능성이 있다. 할 수 있다. 가능하다; 〈サ変動詞의 語幹에 붙어 接尾語적으로〉 …할 수 있다. …하는 것이 가능하다; 잘하다. 할 줄 알다; (능력·인품이) 뛰어나다. 출중하다. 되어 있다; 《속어》 (남녀가) 깊은 관계에 있다. 눈이[배가] 맞다; 『경제』 (증권 거래소에서) 매매가 성립되다
最後までご視聴いただきありがとうございました
いただく
머리에 얹다. 이다. 쓰다; 받들어 들다. 높이 쳐들다; 받들다. 모시다. 우러러 섬기다; 〈「もらう」의 겸사말〉 얻다. 〔동의어〕ちょうだいする; 〈「飲む」 「食べる」의 겸사말〉 마시다. 먹다. 들다. 【가능동사】 いただ·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動詞의 連用形+「て(で)」에 붙어》; 〈「…てもらう」의 겸사말〉 고마운 일을 남에게서 받는 뜻을 나타냄; 〈상대에게 부탁해서 자기가 무엇인가를 하도록 허가를 받는 뜻을 나타냄. 「させて~」의 꼴로 씀〉 【문어 4단 활용 동사】
最後
최후. 마지막. 맨 끝. 맨 뒤. 〔반의어〕 最初; 〈「…したら~」 「…たが~」의 꼴로〉 …하면 끝장. 일단 …하기만 하면 그만; 임종. (생의) 최후
ありがとう
《「ありがたい」의 連用形 「ありがたく」의 音便》 고맙다. 고마워요. 감사해요. 〔참고〕 関西 지방에서는 「おおきに」를 씀
視聴
(바둑에서) 축(逐); 「消防士長」 「陸士長」 「海士長」 「空士長」의 준말; 지청. 〔반의어〕 本庁; 시청. 「市役所」의 딴이름; 시장; ⇒ じちょう; 사조. 역사의 흐름; 『문어』 지중. 지극히 소중함. 매우 중대함. {문어·ナリ 활용 }; 『문어』 이장. 〔동의어〕ちちょう; 관대함과 엄격함; 사조. 사상의 경향[흐름]; 『문어』 사장; (중국에서) 사단장. 〔동의어〕師団長; 지장. 종이로 만든 모기장. 〔참고〕 지금은 거의 없으나 옛날에는 방한용으로도 사용되었음; 『문어』 시청; 보고 들음. 보기와 듣기. 〔동의어〕聴視; 주목. 이목. 관심; 시청; ⇒ オーディション; 치중; 구(舊)육군에서, 군대가 수송·보급하는 군수품의 총칭. 또는 그것을 맡은 병과(兵科). 수송
またの動画でお会いしましょう
会う
만나다. 대면하다; 서로 알게 되다. 사귀다; 우연히 마주치다. 〔참고〕 「会う」는 ‘어떤 곳에 모여서 대면하다’의 뜻이며 일반적으로 널리 쓰임. 「逢う」는 ‘약속하고 만난다’는 뜻으로 씀. 【가능동사】 あ·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맞다. 일치하다. 합치(合致)하다; 어울리다. 알맞다. 조화되다; 〈흔히 「~·わない」의 꼴로 씀〉 수지맞다. 〔동의어〕引き合う; 합치다. 만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다른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서로…하다. 주고받다; …하여 합치다. 만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어떤 일을) 만나다. 겪다. 당하다. 봉착(逢着)하다; 우연히 만나다. 마주치다. 〔참고〕 「会う」 「逢う」로도 씀. 【문어 4단 활용 동사】
動画
동화. 〔동의어〕アニメーション; 동화; 아동이 그린 그림. 〔동의어〕児童画
成田と羽田のGW出入国者 去年よりも99%超減少(20/05/13)
国交省 相次ぐ運転見合わせでJR東日本に警告文書
かまってちょーだい!!!
How To Get a Japanese Girlfriend?
【速報】イタリア総選挙 右派連合の勝利が確実(2022年9月26日)
NTTドコモ新料金プラン データ利用量少ないユーザー 月額550円から(2023年6月20日)
“200万人”全国学力テスト延期へ 感染拡大を懸念(20/03/16)
【OL必見!女の本音が面白い】連続川柳ドラマ【第2話】
2023年の消費者トラブル被害額 過去最高8.8兆円に SNS関連相談は50代以上が半数超(2024年6月15日)
志賀町沖など一部地域で地震リスク上昇か 専門家分析(2024年1月27日)
You need to upgrade to a premium account to using this feature
Are you sure you want to test again?
Please upgrade your account to read unlimited newspap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