お鍋はグラグラ お釜はシュウシュウ
お鍋はグラグラ お釜はシュウシュウ
まな板はトントトン
お豆腐フルフル 卵はプルプル
納豆はネバネバ
焼けたフライパンに卵をおとして
お鍋に味噌をといて
あつあつご飯はおひつにうつして
支度は上々
みんなを起こして みんながそろったら
さぁ沢山めしあがれ
お日様も輝いてる
みんなで朝ごはん わたしが作った
いそいで いそいで
でも味わって食べてね
魚はジュウジュウ 脂もジュワジュワ
素手で触ってアッチチ
耳たぶつまんで お水で冷やして
そんなヒマありません
キュウリを刻んで小鉢に分けたら
味噌汁に葱パッパパ
お茶碗並べて お箸も配って
支度は上々
眠そうな顔して みんながそろったら
さぁ沢山めしあがれ
今日も一日がんばろうね
みんなで朝ごはん わたしが作った
ゆっくり 食べてね
でも遅刻しないでね
みんなで朝ごはん わたしが作った
いそいで いそいで
でも味わって食べてね
お鍋はグラグラ お釜はシュウシュウ
釜
물고기의 아가미 아래의 가슴지느러미가 붙어 있는 부분. 〔참고〕 「鎌(낫)」 모양으로 생긴 데서 나온 말; 솥. 가마솥; 차관(茶罐). 차끓이는 가마솥. 〔참고〕 1.2.모두 「一口, …」 또는 「一口, …」로 셈; ⇒ がま; 가마. 도자기·기와·벽돌·숯 따위를 구워내는 구덩이; 낫. 〔참고〕 「一挺, …」로 셈; (상대편의) 속마음을 떠보는 말. 베거리; 아궁이. 부뚜막. 〔동의어〕かまど; 기관(汽罐). 보일러. 〔동의어〕ボイラー
まな板はトントトン
お豆腐フルフル 卵はプルプル
卵
새·어류·벌레 등의 알; 달걀. 〔참고〕 달걀을 쓴 요리에는 「玉子」로도 씀; (비유적으로) 그 방면에서 아직 제구실을 못하고 있는 사람. 올챙이. 병아리
豆腐
두부
納豆はネバネバ
納豆
띄운 콩에 간을 하고 향료를 넣어 말린 식품. ((浜納豆 등))
焼けたフライパンに卵をおとして
焼ける
(불)타다; 구워지다; 달다; (햇볕 등에) 타다. 그을리다; 바래다. 변색하다; 놀이 지다. 붉게 물들다; 분화하다; (음식에 체하여) 속이 쓰리다; 애를 먹이다; 질투하다. 샘나다; 《고어》 마음이 산란해지다. 〔참고〕 10.은 「妬ける」로도 씀. 【문어형】 や·く {하2단 활용}
フライパン
프라이팬. 튀김 냄비
卵
새·어류·벌레 등의 알; 달걀. 〔참고〕 달걀을 쓴 요리에는 「玉子」로도 씀; (비유적으로) 그 방면에서 아직 제구실을 못하고 있는 사람. 올챙이. 병아리
お鍋に味噌をといて
味噌
『문어』 삼십. 서른. 〔동의어〕さんじゅう; 된장; 자랑으로 하는 점. 특색으로 하는 점; 된장을 닮은 것
あつあつご飯はおひつにうつして
あつあつ
《속어》; 매우 뜨거움; (사랑이) 열렬함
支度は上々
支度
채비. 준비; (외출을 위한) 옷차림. 〔참고〕 특히, 결혼 준비를 가리켜 말할 경우도 있음; 자기 집. 자택. 〔동의어〕自宅
みんなを起こして みんながそろったら
みんな
《「みな」의 撥音 첨가》 모두. 다. 죄다. 전부
起こす
일으키다. 일으켜 세우다; (잠을) 깨우다; (밭을) 일구다; (달라붙은 것을) 떼다. 떼어내다; (겉이) 드러나게 하다. 젖히다; (일을) 시작하다. 일으키다; (자연 현상·사회 현상·생리 현상을) 나타내다. 보이다. 일으키다; (감정·욕망 등을) 일으키다. 가지다. 내다; 문자화하다. 문서를 만들다; 발생시키다. 일으키다. 【가능동사】 おこ·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일으키다; (쇠약해진 것을) 흥하게 하다. 성하게 하다; (사업 등을) 시작하다. 벌이다. 【가능동사】 おこ·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불을 일으키다[피우다]. 숯불을 일으키다. 【가능동사】 おこ·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さぁ沢山めしあがれ
沢山
《고어》 수가 많음. 다수. 〔참고〕 근세 여성의 서간문에서 쓰던 말
お日様も輝いてる
輝く
《고어》 부끄러워하다
みんなで朝ごはん わたしが作った
みんな
《「みな」의 撥音 첨가》 모두. 다. 죄다. 전부
朝
『식물·식물학』 삼. 〔동의어〕大麻; 삼실. 삼베. 〔동의어〕麻苧; 대마(大麻)·모시·황마(黃麻)·아마(亞麻)·마닐라삼 등의 총칭; 아침.((날이 새고서부터 얼마 동안의 사이. 또는 길게 잡아 정오까지의 시간대)) 〔반의어〕夕·晩; 오전. 오전 중
作る
만들다; 제작하다. 제조하다; 창조[창작]하다; 조성하다. 형성하다; (술을) 빚다. 양조하다; 저술하다. (시가를) 짓다. 출판하다. 〔동의어〕創作する; 작성하다; 경작하다. 재배하다. 〔동의어〕生産する; 창립하다. 창설하다; 수립하다; 양성하다. 육성하다. 키우다. 생산하다; (아이를) 낳다. 아이를 갖게 하다; 단장하다. 화장하다; 일부러 짓다. 거짓으로 꾸미다; 조리(調理)하다. 요리하다; (애인·친구·적 등을) 새로이 만들다; (재산을) 이룩하다. 모으다; 이루다. 차리다; 어떤 짓을 하다; 마련하다. 장만하다; (닭이) 홰를 치다; 그림을 그리다. 【가능동사】 つく·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いそいで いそいで
でも味わって食べてね
味わう
맛보다; 음식맛을 보다. 맛을 즐기다; 체험하다. 겪다; 음미하다. 감상하다. 【가능동사】 あじわ·える【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食べる
《古語 「賜ぶ」의 변한말》; 먹다; 살아가다. 생활하다. 【문어형】 た·ぶ {하2단 활용}
魚はジュウジュウ 脂もジュワジュワ
魚
물고기. 〔동의어〕さかな. 〔참고〕 생물 용어로는 「うお」이지만, 일반적으로는 「さかな」로 쓰는 경우가 많음. 원래는 요리한 것을 「さかな」, 날것은 「うお」라 했음
脂
기름; (동물성·식물성·광물성의) 기름. 〔참고〕 상온(常溫)에서 액체인 것은 「油」, 고체인 것은 「脂」로 씀; 활동의 원동력이 되는 것. 특히 ‘술’을 이르는 경우가 많음; (동물의) 지방. 기름. 굳기름
素手で触ってアッチチ
触る
닿다. 손을 대다. 접촉하다. 건드리다. 만지다. 〔동의어〕触れる; 관계하다. 다가가다; 감정을 해치다. (마음에) 거슬리다. 〔참고〕 ㉠3.은 「障る」로도 씀. ㉡동의어 「ふれる」와의 차이는, 「ふれる」가 보다 가벼운 느낌이다. 또한, 접촉하는 것이 고체·액체인 경우는 둘 다 쓰이며, 기체에 대해서는 「冷たい空気にふれる」처럼 「ふれる」가 쓰인다. 【가능동사】 さわ·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 さわる3.
素手
맨손; 손에 무기를 가지고 있지 않음. 맨주먹; 빈손
耳たぶつまんで お水で冷やして
冷やす
식히다. 차게 하다. 〔반의어〕あたためる; 기분을 가라앉히다. 진정시키다. 냉정해지다. 침착해지다; (간담이) 서늘해지다[오싹해지다]. 【가능동사】 ひや·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水
수. 오행(五行)의 다섯째. ((계절은 겨울, 방위로는 북, 색은 검정임)); 「水曜日」의 준말; 《속어》 당밀즙(糖蜜汁)만을 탄 얼음물; 물. 액체; 순수함. 또는 그런 것; 뛰어난 것. 정수(精粹); 세상 물정에 밝아 인정의 기미(機微)를 잘 앎. 특히, 남녀간의 애정에 이해가 많음. {문어·ナリ 활용 }; 화류계·예능계의 사정에 밝음. 멋을[풍류를] 앎. (언동이) 세련되어 있음. {문어·ナリ 활용 }; 추; 저울추. 분동; 방추(紡錘)를 세는 말; 시다. 신맛이 있다. 〔동의어〕すっぱい. 【문어형】 す·し {ク 활용}
そんなヒマありません
そんな
그런. 그와 같은
キュウリを刻んで小鉢に分けたら
分ける
나누다. 가르다. 분할하다; 헤치다; 분류하다. 구분하다; 분배하다. 노느다; 말리다. 중재하다; 무승부로 하다. 비긴 것으로 하다; (시비를) 중재하다; 팔다. 【문어형】 わ·く {하2단 활용}
刻む
잘게 썰다. 썰어서 자잘하게 만들다; (칼로) 새기다. 조각하다; 마음속 깊이 새기다. 명심하다; 잘게 구분 짓듯 진행되어 가다. 【가능동사】 きざ·め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小鉢
작은 주발
味噌汁に葱パッパパ
味噌汁
된장국. 〔동의어〕おみおつけ·おつけ
葱
귀; 신분·집안·가치 등이 높은; 경의(敬意)의 표시; 기; 기초. 근본; 『화학』 원자단(原子團). 〔동의어〕根; (설치해 놓은) 묘석(墓石)·장명등(長明燈)·기계 등을 세는 단위; 인간답지 않은 무서운 사람; 기; 기. 말 탄 사람의 수효; 『식물·식물학』 나무. 수목; 재목. 목재; 딱따기; 잡것이 섞이지 않음. 자연 그대로임. 순수함; ‘순수함’ ‘인공을 가하지 않음’ ‘오직 그대로임’의 뜻을 나타냄; 황. 노랑. 황색. 〔동의어〕きいろ; ‘황색’의 뜻을 나타냄; 기. 십간(十干)의 여섯째. 〔동의어〕つちのと; 기운. 정기. 생기. 분위기; (특유한) 맛. 향기; 숨. 호흡; 정신. 의식. 얼; 성미. 기질. 마음씨; 기. 기력; 생각. 의지; 마음. 기분; 흥미. 관심; 「希臘」의 준말; 『화학』 희. 묽은. 〔반의어〕 濃; 드묾. 〔참고〕 「希」는 「稀」의 대용자; 상을 입고 집에 들어박혀 행동을 삼가는 일. 또는 그 기간. ((보통 49일간)) 상(喪); 기. 기일(忌日). 회기(回忌); 『문어』 이상함. 야릇함. 진기함. {문어·ナリ 활용 }; 기수. 홀수. 〔반의어〕 偶; 계절. 〔동의어〕シーズン; 連歌·俳句에서 구(句)에 삽입하는 계절의 경물(景物). 〔동의어〕季題·季語; 계. 천간(天干)의 열째. 〔동의어〕みずのと; 기. 기전체(紀傳體) 역사에서 제왕의 사적(事績)을 적은 글. 〔동의어〕本紀; 『문학』 〈「日本書紀」의 준말〉 일본서기; 기. 지질 시대 구분의 단위; 궤; 수레의 양 바퀴의 간격; 수레바퀴가 지나간 자국; 규칙; 기. 기록(문); 『문학』 「古事記」의 준말; 기; 기. 기구(起句); 『문어』 기; 시기. 기간. 기한; 좋은 기회. 시기; 기; 기간. 시기; [age]『지리·지학·지명』 지질 시대의 한 구분. 「世」의 아래; 계략. 모사(謀事). 방법; 《고어》 파. 〔동의어〕ねぎ; 『문어』 그릇. 〔동의어〕うつわ; 물건을 담는 용기; 기. 기량. 인물. 재능; 기; 기관(器官); 기구. 도구; 계기; 시기. 기회; 〈「飛行機」의 준말〉 비행기; (불교에서) 기. 기근(機根). 〔동의어〕気根; 기계; 비행기; 비행기를 세는 말. 대; 『문어』 《用言·助動詞의 連用形에 붙음》; 과거에 직접 체험한 일을 회상하는 말. …었다. …였다. …고 있었다; (경험과 관계없이 널리) 과거의 사실을 나타냄. …었다. …였다; 현재 또는 완료의 뜻을 나타냄. …하고 있다. 〔참고〕 終止形 「き」는 カ変動詞에 붙지 않음. カ変을 받는 경우는 「きし」 「きしか」와 「こし」 「こしか」의 두 꼴이 있음. 고대에는 未然形 「せ」가 있었다고 생각되는데, 助詞 「ば」가 붙어 가정의 뜻을 나타냄
お茶碗並べて お箸も配って
配る
나누어 주다. 배부[배분]하다. 도르다; 고루 미치게 하다; 배치하다. 【가능동사】 くば·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茶碗
찻종. 밥공기
箸
『문어』 계단. 〔동의어〕きざはし; 끝. 끄트머리; 가. 가장자리; 일부분. 말단. 꼬리; 잘라낸 조각; 구석; 시초. 처음; 젓가락. 저; 다리. 교량; 『문어』 부리. 〔동의어〕くちばし; 《고어》 귀엽다. 사랑스럽다
並べる
줄지어 놓다. 나란히 놓다. 죽 늘어놓다; (바둑·장기 등에서) 돌·말을 판 위에 차려놓다; (말을) 늘어놓다. 낱낱이 꼽다. 열거하다. 주워섬기다; 견주다. 비교하다. 필적하다. 【문어형】 なら·ぶ {하2단 활용}
支度は上々
支度
채비. 준비; (외출을 위한) 옷차림. 〔참고〕 특히, 결혼 준비를 가리켜 말할 경우도 있음; 자기 집. 자택. 〔동의어〕自宅
眠そうな顔して みんながそろったら
眠い
졸리다. 졸음이 오다. 자고 싶다. 〔동의어〕ねむたい. ねむ·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ねむ·さ 【명사】 【문어형】 ねむ·し {ク 활용}
みんな
《「みな」의 撥音 첨가》 모두. 다. 죄다. 전부
顔
얼굴. 낯; (얼굴의) 표정. 기색; (비유적으로) 표면; (표상으로서의) 얼굴; (구성원으로서의) 얼굴. 사람. 일동; 면목. 체면; (그 사회에서) 알려진 얼굴. 안면; 〈接尾語적으로 쓰이어〉 …한 얼굴. …하는 듯한 표정
さぁ沢山めしあがれ
沢山
《고어》 수가 많음. 다수. 〔참고〕 근세 여성의 서간문에서 쓰던 말
今日も一日がんばろうね
日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今日
광. 그 일에 열중하는 사람임을 나타냄; 협. 협곡(峽谷)임을 나타냄; 교. 종교임을 나타냄; 교. 다리임을 나타냄; 경. 거울임을 나타냄; 오늘. 금일. 〔동의어〕本日; 흉. 운수가 나쁨. 불길함. 〔동의어〕不吉. 〔반의어〕 吉; 〈「共産党」의 준말〉 공산당; 〈「共産主義」의 준말〉 공산주의; 『문어』 수도. 서울. 〔동의어〕首都; 京都. 〔참고〕 옛날에 일본의 수도였음; 『수학』 경. 조(兆)의 1만 배. 〔동의어〕京; 「いろは歌」의 끝에 붙이는 말; 《「香車」의 준말》 일본 장기짝의 하나; 강함. 강자; (어떤 수량에 붙어) 그보다 조금 더 됨을 나타냄. 〔반의어〕 弱; 『불교』 불경. 경문. 〔동의어〕お経; 성전(聖典). 경서(經書); 『문어』 고향. 〔동의어〕ふるさと; 곳. 장소. 지역; 어떤 장소나 경우; 마음의 상태. 경지; 경; 장소. 범위. 처지; 심경. 경지(境地); 흥; 흥취. 흥미. 재미. 〔동의어〕面白み; 좌흥(座興); 『문학』 한시(漢詩) 육의(六義)의 하나. 어떤 사물에 접하여 자기의 감흥을 표현함
一
일; 하나. 〔동의어〕一つ. 〔참고〕 증서 등에서는 갖은자인 「壱」을 씀; (사물의) 시초. 처음. 첫째. 최초. 〔동의어〕一番め; 최상. 최고. 으뜸. 〔동의어〕首位; (상투 등에서) 元結로 묶은 곳에서 뒤로 내민 부분; (三味線·거문고 등에서) 제일 낮은 음의 줄. 〔동의어〕一の糸; (많은 것 중) 한. 하나의. 한 사람의; (이렇다 할 만한 데가 없는) 하찮은. 어떠 한; 어떤. 한; 상당한. 버젓한; 시장. 저자. 장; (변하여) 시가. 거리. 〔동의어〕街; 지위(地位). 〔동의어〕地位; 위치; 지위. 입장
みんなで朝ごはん わたしが作った
みんな
《「みな」의 撥音 첨가》 모두. 다. 죄다. 전부
朝
『식물·식물학』 삼. 〔동의어〕大麻; 삼실. 삼베. 〔동의어〕麻苧; 대마(大麻)·모시·황마(黃麻)·아마(亞麻)·마닐라삼 등의 총칭; 아침.((날이 새고서부터 얼마 동안의 사이. 또는 길게 잡아 정오까지의 시간대)) 〔반의어〕夕·晩; 오전. 오전 중
作る
만들다; 제작하다. 제조하다; 창조[창작]하다; 조성하다. 형성하다; (술을) 빚다. 양조하다; 저술하다. (시가를) 짓다. 출판하다. 〔동의어〕創作する; 작성하다; 경작하다. 재배하다. 〔동의어〕生産する; 창립하다. 창설하다; 수립하다; 양성하다. 육성하다. 키우다. 생산하다; (아이를) 낳다. 아이를 갖게 하다; 단장하다. 화장하다; 일부러 짓다. 거짓으로 꾸미다; 조리(調理)하다. 요리하다; (애인·친구·적 등을) 새로이 만들다; (재산을) 이룩하다. 모으다; 이루다. 차리다; 어떤 짓을 하다; 마련하다. 장만하다; (닭이) 홰를 치다; 그림을 그리다. 【가능동사】 つく·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ゆっくり 食べてね
ゆっくり
《副詞는 「~と」의 꼴로도 씀》; 천천히. 느긋하게; 충분히. 넉넉히. 여유있게. 〔동의어〕たっぷり
食べる
《古語 「賜ぶ」의 변한말》; 먹다; 살아가다. 생활하다. 【문어형】 た·ぶ {하2단 활용}
でも遅刻しないでね
遅刻
『문어』 치국. 나라를 다스림. 〔반의어〕 乱国; 지각
みんなで朝ごはん わたしが作った
みんな
《「みな」의 撥音 첨가》 모두. 다. 죄다. 전부
朝
『식물·식물학』 삼. 〔동의어〕大麻; 삼실. 삼베. 〔동의어〕麻苧; 대마(大麻)·모시·황마(黃麻)·아마(亞麻)·마닐라삼 등의 총칭; 아침.((날이 새고서부터 얼마 동안의 사이. 또는 길게 잡아 정오까지의 시간대)) 〔반의어〕夕·晩; 오전. 오전 중
作る
만들다; 제작하다. 제조하다; 창조[창작]하다; 조성하다. 형성하다; (술을) 빚다. 양조하다; 저술하다. (시가를) 짓다. 출판하다. 〔동의어〕創作する; 작성하다; 경작하다. 재배하다. 〔동의어〕生産する; 창립하다. 창설하다; 수립하다; 양성하다. 육성하다. 키우다. 생산하다; (아이를) 낳다. 아이를 갖게 하다; 단장하다. 화장하다; 일부러 짓다. 거짓으로 꾸미다; 조리(調理)하다. 요리하다; (애인·친구·적 등을) 새로이 만들다; (재산을) 이룩하다. 모으다; 이루다. 차리다; 어떤 짓을 하다; 마련하다. 장만하다; (닭이) 홰를 치다; 그림을 그리다. 【가능동사】 つく·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いそいで いそいで
でも味わって食べてね
味わう
맛보다; 음식맛을 보다. 맛을 즐기다; 체험하다. 겪다; 음미하다. 감상하다. 【가능동사】 あじわ·える【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食べる
《古語 「賜ぶ」의 변한말》; 먹다; 살아가다. 생활하다. 【문어형】 た·ぶ {하2단 활용}
あやとり 「三段はしご」の作り方 動画
「大規模接種」予約伸び悩み 64歳以下に対象拡大へ(2021年6月15日)
バレンタイン「自分に購入」増加 “義理”は大幅減(2022年2月14日)
狩人とイヌ
糸
ねずみは米がすき
【au未来研究所】“世界”が広がる教室
桜、チューリップ、菜の花・・・川沿いに色彩の三重奏(2021年4月3日)
台湾国防部「1日で49機の中国軍機を確認」(2024年5月24日)
RIVER
RIVER您需要升級到高級帳戶才能使用此功能
您確定要再次測試嗎?
請升級您的帳戶以無限閱讀報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