それでは行きます。
それでは行きます。
今日のテーマは「 秋の味覚」 です。
それでは、 スタート。
あのね、 ブドウの皮を一撃に剥ける、 一撃でね。
これは嬉しいね、 いいね。
柿の種が、 あの、 チョコレートだ。
これもう全部食べれますからね。
甘いですよ。
栗ご飯の栗とご飯の量が逆だ。
栗がいっぱいです。
これ得した気分ですよね。
皮を剥くと、 たまにウニが入ってる。
これ当たりです。
これはもう、 あの、 ウニ丼できますね。
松茸を食べると大きくなっちゃう。 もうあれです。
梨を食べると、 こう、 梨の妖精が出てくる。
まあ、 すごいブームですね。
あのね、 サンマの骨をきれいに取ってくれる人がいる。
これはもう??? の人ですね。
焼き芋を食べたら、 おならが出まくって空を飛べちゃう。
もうね、 これはもういいね。
それでは行きます。
行き
⇒ ゆき; 숨. 호흡; (두 사람 이상이 일할 때의) 호흡. 기분; 김. 증기; 목숨; (기질·태도·옷차림 등이) 때 벗음. 세련됨. 멋있음. 멋들어짐; 인정의 기미(機微) 또는 풍류를 이해함; 화류계의 사정에 밝음. 또는 화류계. 〔반의어〕 野暮; 『역사』 律令制에서, 서위(敍位)할 때 그 이유를 기록하여 본인에게 주는 문서. 〔동의어〕くらいがき·告身; 위기; 『법률』 (권리의) 포기; 지역; 범위. 정도. 단계. 경지; 계획하는 일. 의도(意圖). 기도(企圖); 의기. 기세. 기개; 유기. 버리고 돌보지 아니함; 문지방. 〔동의어〕しきい·しきみ; 『심리학』 역. 의식역(意識閾); 생. 삶; 싱싱함. 생기. 신선함; (교정에서) 생(生). 지운 것을 되살림. 부호는 「イキ」; 『지리·지학·지명』 옛 지명. 日本海에 있는 섬으로 현재의 長崎현의 일부. ((현제도 같은 지명임)) 〔동의어〕壱州
それでは
(앞의 말을 받아) 그런 상태로서는. 그래서는. 〔동의어〕それじゃ; 그럼. 그렇다면. 그러면. 〔동의어〕それじゃ
今日のテーマは「 秋の味覚」 です。
今日
광. 그 일에 열중하는 사람임을 나타냄; 협. 협곡(峽谷)임을 나타냄; 교. 종교임을 나타냄; 교. 다리임을 나타냄; 경. 거울임을 나타냄; 오늘. 금일. 〔동의어〕本日; 흉. 운수가 나쁨. 불길함. 〔동의어〕不吉. 〔반의어〕 吉; 〈「共産党」의 준말〉 공산당; 〈「共産主義」의 준말〉 공산주의; 『문어』 수도. 서울. 〔동의어〕首都; 京都. 〔참고〕 옛날에 일본의 수도였음; 『수학』 경. 조(兆)의 1만 배. 〔동의어〕京; 「いろは歌」의 끝에 붙이는 말; 《「香車」의 준말》 일본 장기짝의 하나; 강함. 강자; (어떤 수량에 붙어) 그보다 조금 더 됨을 나타냄. 〔반의어〕 弱; 『불교』 불경. 경문. 〔동의어〕お経; 성전(聖典). 경서(經書); 『문어』 고향. 〔동의어〕ふるさと; 곳. 장소. 지역; 어떤 장소나 경우; 마음의 상태. 경지; 경; 장소. 범위. 처지; 심경. 경지(境地); 흥; 흥취. 흥미. 재미. 〔동의어〕面白み; 좌흥(座興); 『문학』 한시(漢詩) 육의(六義)의 하나. 어떤 사물에 접하여 자기의 감흥을 표현함
テーマ
테마; 『음악』 주선율(主旋律)
秋
비어 있음. 공간(空間). 여백. 간격. 틈새기; 빈자리. 결원; 여가. 틈. 짬. 〔동의어〕ひま; 여분. 여벌. 사용하지 않고 있는 물건; 가을; 가을걷이. 추수; 싫증. 물림. 진력남; 『지리·지학·지명』 일본의 옛 지명. 지금의 広島현의 서부. 〔동의어〕芸州
味覚
미각
それでは、 スタート。
それでは
(앞의 말을 받아) 그런 상태로서는. 그래서는. 〔동의어〕それじゃ; 그럼. 그렇다면. 그러면. 〔동의어〕それじゃ
スタート
스타트; 출발. 출발점; 착수. 개시
あのね、 ブドウの皮を一撃に剥ける、 一撃でね。
皮
강. 내. 시내. 하천. 〔참고〕 「川」가 널리 쓰이며, 「河」는 본디 황하(黃河)의 일컬음으로 큰 강에 씀; 가죽. 껍질; 털가죽. 모피; 표면. 겉면; (이불 등의) 껍데기; (무두질한) 가죽. 피혁. 〔동의어〕なめしがわ; ⇒ がわ; 『문어』 가화. 미담; 『문어』 和歌에 관한 이야기
一撃
일격. 한 번 세게 침.
これは嬉しいね、 いいね。
嬉しい
기쁘다. 반갑다. 〔반의어〕 悲しい; 고맙다. 감사하다; 《속어》 애교가 있다. 밉지 않다. 귀엽다. うれし·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うれし·げ 【형용동사】 うれし·さ 【명사】 【문어형】 うれ·し {シク 활용}
柿の種が、 あの、 チョコレートだ。
種
『식물·식물학』 풀. 잡초; 꼴. 꼴풀; (지붕을 이는) 풀. 짚; 초록빛; 본격적이 아닌. 정식이 아닌; 《고어》 물건의 종류를 세는 말. 종; 피부병의 총칭. ((짓무름·습진 등. 특히 태독(胎毒)·매독(梅毒))) 〔동의어〕かさ
チョコレート
「チョコレート色」의 준말
柿
《動詞에 붙어》 어조(語調)를 고르거나 뜻을 강하게 함; 『패류』 굴. 굴조개. 〔동의어〕オイスター; 「かきいろ」의 준말; 울타리. 담. 〔동의어〕垣根; 『문어』 하기. 〔반의어〕 上記; 화기. 불기운; 화력; 화기; (화로 등의) 불을 담는 기구. 〔동의어〕火入れ; 총포; 『문어』 화훼. 화초. 〔동의어〕草花; 꽃. 특히 벚꽃이 피는 계절; 화기. 꽃이 피는 기간[시기]; 화기. 꽃꽂이 그릇. 〔동의어〕花入れ; 하계. 여름철. 〔반의어〕 冬季; 하기. 여름 기간. 〔반의어〕 冬期
これもう全部食べれますからね。
全部
《副詞적으로도 씀》 전부. 모두. 전체. 〔동의어〕すべて. 〔반의어〕 一部; 전부. 앞 부분. 〔반의어〕 後部; 조리인. 요리사(料理師). 〔동의어〕料理人
甘いですよ。
甘い
(맛이) 달다; (간이) 싱겁다. 짜지 않다; (냄새나 소리, 사람의 말 등이) 달콤하다; 엄하지 않다. 무르다. 만만하다. 대수롭지 않다; 느슨하다. 헐겁다. 꼭 맞지 않다; (칼날 등이) 무디다; (주식 값이) 내림세이다. 1.2. 〔반의어〕 辛い. あま·さ 【명사】 あま·み 【명사】 【문어형】 あま·し {ク 활용}
栗ご飯の栗とご飯の量が逆だ。
量
량. 기차·전차 등 차량의 수효를 세는 말; 『문어』 끝. 필(畢). 완료. 〔동의어〕終わり; 『역사』 奈良·平安 시대에, 律와 함께 나라의 기본이 된 법전. ((현재의 공무원법·행정법·민법·상법 등에 해당)) 〔참조어〕 りつりょう; 양. 양쪽. 한 쌍이 되는 것의 쌍방; 이. 둘. 〔동의어〕二·二つ; 옛날의 중량의 단위. 냥. ((銖의 24배, 斤의 16분의 1)); 옛날의 화폐의 단위. 냥. ((江戸 시대에는 작은 금화인 小判한 닢. 약 17.8g)); 양; 양호. 좋음. 또는 좋은 것; 4단계의 성적 평가에서, 두 번째; 《흔히 接尾語적으로 씀》 료; 재료; 대금. 요금. 보수; ⇒ りゅう1.; (목조 건물의) 들보. 〔동의어〕はり; 시원함. 서늘함. 또는 시원한 바람; 수렵. 사냥. 또는 사냥한 것. 〔동의어〕狩り·狩猟; 능. 천황·황태후·태황태후의 무덤. 〔동의어〕みささぎ; 양. 부피; 양. 무게; 양. 수량; 분량; 많고 적음의 정도; 마음의 넓이. 도량(度量). 기량(器量); 능; 『수학』 다면체의 두 면이 접하는 선; 고기잡이. 어로. 또는 어획물; 『문어』 영토. 영지. 영역; 〈藩·국명에 붙어〉 그 藩·국가의 영토임을 나타냄. 령; 大宝令 제도에서, 지방 장관의 관명. ((「大領」와 「少領」가 있음)); 의관(衣冠)·갑옷 등을 세는 단위. 벌; (학생·종업원 등을 위한) 기숙사; 다도(茶道)에서, 다실(茶室)로 만든 작은 건물. 〔동의어〕数寄屋; 「大宝令」에서, 「省」에 딸린 관아. ((「大学」 「陰陽」 「図書 등의 각 「寮」)); 《「~とする」의 꼴로》 납득하다. 이해하다. 양해하다; 영혼. 사람에게 지벌을 내리는 생령(生靈)이나 사령(死靈); (여행이나 행군할 때 가지고 가는) 식량. 양식. 병량(兵糧)
逆
『문어』 학질. 〔동의어〕おこり; 역; 반대. 거꾸로임. 〔반의어〕 順. {문어·ナリ 활용 }; ⇒ 逆手1.
栗
둥글게 도려냄. 또는 그 부분이나 정도; 밤빛. 밤색. 짙은 다색. 〔동의어〕くりいろ; 《動詞 「繰る」의 連用形의 名詞화》; 실 등을 당기어 감음; 謡曲 음계명의 하나. 보통 쓰는 음 중 가장 높은 것; 『불교』; 주지나 그 가족이 거처하는 방
栗がいっぱいです。
いっぱい
일배. 한 잔. 한 그릇; 가볍게 술을 마심. 한잔함; (오징어·문어·게 등의) 한 마리; (배) 한 척; 가득하다. 가득 차다. 가득; 〈名詞에 붙어 接尾語적으로도 씀〉 한정된 범위의 한계점에 이르는 모양. …껏. 빠듯이; 일패
栗
둥글게 도려냄. 또는 그 부분이나 정도; 밤빛. 밤색. 짙은 다색. 〔동의어〕くりいろ; 《動詞 「繰る」의 連用形의 名詞화》; 실 등을 당기어 감음; 謡曲 음계명의 하나. 보통 쓰는 음 중 가장 높은 것; 『불교』; 주지나 그 가족이 거처하는 방
これ得した気分ですよね。
気分
기분; 기질. 성미. 성질; 분위기. 느낌; 『문어』 기문. 기담(奇談); 『문어』; 기록 문서; 『문어』 들은 것을 적음. 또는 적은 것. 〔동의어〕聞き書き
得
묘; 《속어》 토끼; 『조류』 가마우지; 『불교』 존재하는 것. 생존; 『문어』; 빙 돌아서 멀리 돌아서 감; 사정에 어두움. 오활(迂闊). {문어·ナリ 활용 }; 『문어』 토끼. 〔동의어〕うさぎ; 『음악』 생황과 비슷한 죽제(竹製) 관악기. 초기에는 36관(管)이었으나 후에 19관 또는 17관이 됨; 「得る」의 문어; 《고어 助動詞 「む」의 변한말. 현대어에서는 五段活用動詞·形容詞·形容動詞·助動詞 「ます·です·た·たい·ない·だ·ようだ·そうだ」 등의 未然形에 붙음. 그 밖의 動詞 및 助動詞의 未然形에는 「よう」가 붙음》; 말하는 이의 의지를 나타냄. …하자. …겠다. …하려 하다; 상대편에 대한 권유나 완곡한 명령·희망을 나타냄. …하자꾸나. …하여 다오; 객관적인 사태에 대한 짐작 또는 불확실한 단정을 나타냄. …겠지. …일 것이다; 말하는 이의 짐작이나 상상을 나타냄. …겠지; 의문·질문·반어(反語) 등을 나타냄. …할 것인가. …하랴; 〈「…~とする」의 꼴로〉 동작·작용이 행해지기 직전의 상태임을 나타냄. …하려고 하다. …하려는 참이다; 허용성(許容性)을 나타냄. …일 법하다; 가능성(可能性)을 나타냄. …할 수 있다. …일 수 있다; 가상(假想)을 나타냄. …건. …거나. …든지
皮を剥くと、 たまにウニが入ってる。
たまに
⇒ 偶
皮
강. 내. 시내. 하천. 〔참고〕 「川」가 널리 쓰이며, 「河」는 본디 황하(黃河)의 일컬음으로 큰 강에 씀; 가죽. 껍질; 털가죽. 모피; 표면. 겉면; (이불 등의) 껍데기; (무두질한) 가죽. 피혁. 〔동의어〕なめしがわ; ⇒ がわ; 『문어』 가화. 미담; 『문어』 和歌에 관한 이야기
これ当たりです。
当たり
(야구에서) 타격; 맞음. 명중. 적중. 〔반의어〕 外れ; 성공. 히트. 당첨. 〔반의어〕 外れ; 닿는 느낌. 촉감. 감촉. 반응; (낚시에서) 입질; 짚어 봄. 실마리. 단서. 짐작. 추측; (바둑에서) 단수(單手); (과실 등의) 상한 부분; (더위·음식 등으로 인한) 탈. 〔참고〕 보통 「中り」로 씀; …당. …에 대하여. 평균; 근처. 부근. 주위; 〈接尾語적으로 씀〉 대체적인 때·장소·사람을 나타냄. 쯤. 정도
これはもう、 あの、 ウニ丼できますね。
丼
「どんぶり鉢」의 준말; 장색(匠色) 등의 작업복 앞에 달린 주머니; (비교적 천천히) 물건이 물 속으로 빠져 들어가는 소리 또는 모양. 철버덩. 풍덩. 첨벙. 〔동의어〕どんぶりこ
松茸を食べると大きくなっちゃう。 もうあれです。
食べる
《古語 「賜ぶ」의 변한말》; 먹다; 살아가다. 생활하다. 【문어형】 た·ぶ {하2단 활용}
ちゃう
《「茶宇縞」의 준말》 はかま 감으로 쓰는 얇은 견직물. 〔참고〕 이 견직물이 인도의 차울(chaul)산(産)인 데서 비롯됨; 《속어》 《「てしまう」의 변한말. 「でしまう」의 경우에는 「じゃう」로 됨》 …해 버리다
松茸
『식물·식물학』 송이(버섯). 〔참고〕 아어형(雅語形)으로는 「まつだけ」, 방언으로는 「まったけ」라고 함.
梨を食べると、 こう、 梨の妖精が出てくる。
食べる
《古語 「賜ぶ」의 변한말》; 먹다; 살아가다. 생활하다. 【문어형】 た·ぶ {하2단 활용}
妖精
요서. 어려서, 또는 젊어서 죽음. 요사. 요절(夭折). 〔동의어〕夭折; 『동물·동물학』 유생. 후생동물(後生動物)의 발생(發生) 단계에 있어서의 한 시기. 〔참고〕 곤충의 경우에는 특히 「幼虫」라고 함; 요성. 옛날, 불길한 조짐으로 생각되었던 별. ((혜성 등)); 요정. 〔동의어〕フェアリー; 요청; 『철학』 공준(公準); 양성. 〔반의어〕 陰性; 명랑하고 적극적인 성질; 『물리』 원자(原子)가 전자(電子)를 방출하기 쉬운 성질; 양성
出
『문어』 그 곳·그 집안에서 태어남. 출신. 〔동의어〕で·出身
梨
사람의 수를 세는 말. 〔참고〕 세 사람 이상의 경우에는 「たり」가 됨. 「三人」 「四人」 등.; 《조건·상태를 나타내는 한자어에 붙어》 그 조건·상태에 있음을 나타냄. …리.; 『문어』 관리. 공무원. 〔동의어〕役人.; 관리.; 이.; 이익. 벌이. 이득.; 편리. 유리. 편의.; 승리. 이길 가망[낌새].; 쓸모 있음. 이점(利點). 효용.; 이자. 이식(利息).; 거리의 단위. ((1리는 3.927km, 한국 이수(里數)로 약 10리)); 『역사』 律令制에서, 전지(田地) 면적의 단위. ((1리는 36정보)); 리. 해리(海里).; 이.; 원리. 이치.; 이론. 이치.; 도리. 사리.; 「理科」 「理学(部)」 「物理(学)」 의 준말.; 『문어』 설사. 〔동의어〕下痢.; 이. 팔괘의 하나. ((상형은 ☲로, 불을 상징하며, 방위로는 남쪽에 해당함)); 『문어』 《四段·サ変動詞의 連用形에 「あり」가 붙은 「咲きあり」 「しあり」 등의 변한 꼴인 「咲けり」 「せり」 등의 「り」에서, 4段活用動詞의 경우에는 命令形 또는 已然形, サ変動詞의 경우에는 未然形에 붙음》; 작용·동작이 계속됨을 나타냄. …하고 있다.; 동작·작용이 완료하여, 그 결과가 존속하고 있음을 나타냄. …하여 있다. …하다.; 동작·작용의 완료를 나타냄. …었다.; 과거의 동작을 나타냄. …했다.
まあ、 すごいブームですね。
すごい
무시무시하다. 무섭다; 굉장하다. 대단하다; 《속어》 〈連用形을 副詞적으로 써서〉 대단히. 무척; (정도가) 심하다. すご·さ 【명사】 すご·み 【명사】 【문어형】 すご·し {ク 활용}
ブーム
붐. 벼락[갑작스런] 경기
あのね、 サンマの骨をきれいに取ってくれる人がいる。
くれる
(상대편이 나에게) 주다. 〔동의어〕よこす; (내가 상대편에게) 주다. 어떤 행위를 가하다. ((상대편을 낮추는 느낌이 담긴 말)) 〔동의어〕やる·くらわす; 《動詞의 連用形+「て[で]」에 붙음》; 남이 자기에게 무엇인가를 해 주다; (상대에게 달갑지 않은 짓을) 해 주다. 〔참고〕 命令形은 「くれ」가 됨. 【문어형】 く·る {하2단 활용}; 해가 지다. 저물다. 〔반의어〕 明ける; (계절·한 해가) 저물다. 끝나다; 지새다. 잠기다; 어찌할 바를 모르다. 〔참고〕 3.4.는 「暗れる」 「眩れる」로도 씀. 【문어형】 く·る {하2단 활용}
骨
작은 수의 단위. 홀. 「糸」의 10분의 1. 1의 10만분의 1; 『문어』 갑작스러운 모양. {문어·タリ 활용}; ⇒ しゃく; 죽은 이의 화장한 뼈. 〔동의어〕おこつ; 특이한 기질. 기골(氣骨). 뼈; 요령. 미립. 〔동의어〕勘所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きれい
고움. 예쁨. 아름다움; 깨끗함. 정갈함. 맑음; 흠이 없음; 완전함. 남김없음; 깔끔함. 시원스러움. {문어·ナリ 활용 }
取っ
《「取り」의 변한말. 動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뜻을 강조함. 〔참고〕 「取り」보다 다소 속어적인 표현이 됨
これはもう??? の人ですね。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焼き芋を食べたら、 おならが出まくって空を飛べちゃう。
空
《「あた」의 변한말로 室町 시대까지는 「あた」로 읽었음》; 원수. 적. 〔동의어〕敵·; 원한. 원망. 〔동의어〕恨み; 앙갚음. 보복. 해. 화; 《고어》 외적. 외구(外寇); 헛됨. 헛일. 헛수고. 부질없음. 〔동의어〕むだ; 들떠 있음. 부박(浮薄); 다름. 딴 것임. 〔동의어〕外·別; (여자가) 요염함. {문어·ナリ 활용 }
出
『문어』 그 곳·그 집안에서 태어남. 출신. 〔동의어〕で·出身
ちゃう
《「茶宇縞」의 준말》 はかま 감으로 쓰는 얇은 견직물. 〔참고〕 이 견직물이 인도의 차울(chaul)산(産)인 데서 비롯됨; 《속어》 《「てしまう」의 변한말. 「でしまう」의 경우에는 「じゃう」로 됨》 …해 버리다
おなら
《「なら」는 「鳴らす」의 변한말》 방귀
焼き芋
군고구마.
もうね、 これはもういいね。
各地でクマ出没 登山中の男性がけが 幼稚園でも…(2024年6月13日)
軽トラ庭園コンテスト 荷台に職人技が見せる“和風の美”(2024年5月11日)
「スプーン不要」でポイント付与検討 セブン&アイ(2021年3月25日)
北京 ワクチン接種義務化を事実上撤回 市民の批判高まる(2022年7月9日)
東京都の新規感染3687人 8日連続で前週同曜日を上回る(2022年10月30日)
杉の木百本
メタ社 政治広告に生成AI使用の表示義務付けへ(2023年11月9日)
宿泊業の8割が「人手不足」 飲食店も働き手戻らず(2023年2月18日)
映画『リトル・フォレスト 冬・春』予告編
SUBARU AIの研究開発ラボを渋谷にオープン(2020年11月18日)
You need to upgrade to a premium account to using this feature
Are you sure you want to test again?
Please upgrade your account to read unlimited newspap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