恵方巻
恵方巻
小原先生、京子ちゃん
今日公園で変な人達を
たくさん見たよ
みんな同じ方角に向いて
何も話さずに
太巻き寿司を一本丸かじりしていたよ
本当、変な人達ね
今日は2月3日節分だから
みんなで恵方巻きを食べていたんですね
小原先生
節分といえば
豆まきじゃないですか
そうそう
僕今晩家族と豆まきするんだ
お父さんが鬼
私も、
でも健太くん
豆の食べ過ぎはだめよ
年の数だけだからね
京子ちゃんわかってるよ
でもなぜ節分に太巻き寿司を食べますか
福を巻き込む
つまり縁起がいいからです。
この太巻き寿司を
恵方巻きといいます
恵方ってなんですか
年神様のいる方角です
あ!だから
みんな同じ方角を向いて食べていたんだ。
でもどうしてみんな黙って食べますか
しゃべると運が逃げるからです
しゃべらずに願いごとを思い続けます
なぜまるごと一本食べますか
巻きずしを包丁できると
福や縁がが切れるからです
まとめると恵方巻きとは
年神様のいる恵方に向かって
喋らずに願い事を思い浮かべ
最後まで一気に一本まるごと食べると
願いが叶うということです
ちなみに
恵方は4つあるんですよ
東北東より少し東
西南西より少し西
南南東より少し南
北北西より少し北
今年の恵方はどちらですか
2018年の恵方は南南東より少し南
2019年は東北東より少し東です
でも南南東より少し南って
どっち?
僕知ってるよ
あっちだよ
だって公園で見たから
うん、本当?
方位磁石が必要ね
あと恵方巻きに
7つの具を入れると
縁起がいいですよ
なぜですか
七福神にちなんでいます。
なるほど
もしよかったら
私の家で恵方巻きを作って
一緒に食べましょう
うん、うん
楽しそう
焼き海苔と酢飯を用意しますから
好きな7つの具を持ってきてください
何にしようかな
チーズ、ソーセージ、ハム、ベーコン、マッシュルーム
健太くん、何考えてるの?
ピザじゃないよ
お寿司だよ
恵方巻
恵方
음양도(陰陽道)에서, 그 해의 간지(干支)에 따라 길하다고 정해진 방향. 길한 방위. 길방. 〔동의어〕としとく
巻
간. 간행. 출간(出刊). 출판; 감; 감독; 감방(監房); 관; (공공의) 건물 등에 붙는 말; 여관 등의 이름에 붙는 말; 장대의 수효를 세는 말; 캔; 깡통; 〈「缶詰め」의 준말〉 통조림. 〔참고〕 「缶」 「缶」 「鑵」은 차자; 『음악』 (일본 고유 음악에서) 높은 음역. 또는 기본음의 한 옥타브 높은 음; 『문어』 간. 간악함. 간사함. 또는 그런 사람; 『문어』 완; 「完全」 「完備」 등의 준말; 『문어』; 간. 간장; 마음; 관. 관청. 관리(官吏). 관직; ‘관리’ ‘공무원’ 등의 뜻을 나타냄. 관; 『문어』 관. 〔동의어〕かんむり; 으뜸감. {문어·タリ 활용}; 두루마리; 책; 권; 두루마리·필름·테이프 등의 수효; 책의 수효; 『문어』 (…처럼) 보임; 10일간. 순(旬). 〔참고〕 ‘씻다’의 뜻으로, 고대 중국에서 관리가 10일마다 휴가가 있어 목욕을 했던 데서; 『의학』 신경질적이고 짜증을 잘 내는 신경성 소아병; (사물의 사정이나 의미를) 직감으로 깨닫는 능력. 육감(六感). 직감력; 관. ((척관법의 무게의 단위)); 鎌倉 시대 이후 무가(武家)의 녹봉의 단위. ((1관은 10석(石))); 『문어』 겨울 추위; (24절기의) 대한과 소한의 시기. ((1월 6일경에서 2월 4일경까지의 약 30일간)) 1.2.〔동의어〕暑; 관. 관구. 〔동의어〕ひつぎ; 『문어』 정성. 충성; 『문어』 정의(情誼); 『경제』 예산·계정 과목의 분류명. 관. ((항(項)의 위, 부(部)의 아래)); 금속이나 돌에, 문자를 표면보다 움푹 들어가게 새김. 또는 그 문자; 간. 사이; 기회. 틈; 첩자; 불화; 《名詞에 붙어》 ‘…의 사이’ ‘…과 …의 사이’의 뜻을 나타냄. 간; 『문어』 관대하고 정이 깊음. 너그러움. 느슨함. {문어·ナリ 활용 }; 감. 느낌. 감회; 감동; ‘…의 느낌’의 뜻을 나타냄. 감; 관. 파이프. 〔동의어〕くだ; 붓·피리 등의 수효. 자루; 문빗장; 관문(關門). 〔동의어〕せき·関門; 『문어』 기쁨. 즐거움; 함. (편지의) 봉함; 『문어』 (일의 진행이) 느림. 완함. 더딤. {문어·ナリ 활용 }; (중탕으로) 술을 알맞게 데움. 또는 그 데우는 정도; 고리; 감정이 격하고 화를 잘 내는 기질. 신경질. 피새; 한; 한국. 〔동의어〕韓国; 대한 (제국); (중국 전국 시대의) 칠웅(七雄)의 하나; 편지. 서간. 서찰; 『문어』 간단함. 간략함. 간명함; 고대 중국에서, 종이가 발명되기 전에 글씨를 쓰기 위해 사용한 대쪽; 사람·사물을 외부에서 본 느낌. 양상; 도교(道敎)에서, 도사가 있는 곳; ‘…에 대한 사고 방식’ ‘…에 대한 견해’ 등의 뜻을 나타냄. 관; 갱; 고기나 야채를 넣어 끓인 국; 설날에 먹는 일본식 떡국에 넣는 떡. 또는 그 떡국; 『문어』 함. 군함; 서랍 등의 손잡이로 쓰는 고리 모양의 쇠붙이. 고리 손잡이쇠; 『문어』 한가함; ‘한가한’ ‘조용한’ ‘쓸모 없는’ 등의 뜻을 나타냄. 한; 한; 『역사』 중국 고대 왕조의 하나; (변하여) 중국 본토. 또는 그 곳에 사는 민족; ‘(성인) 남자’의 뜻을 나타냄. 한
小原先生、京子ちゃん
先生
선생; 『문어』 먼저 태어난 사람; (가르침을 받는) 스승; (교원·의사·작가·변호사 등) 지도적 입장에 있는 사람에 대한 높임말; 남을 친근하게, 또는 놀리어 부르는 말; 선제; 선성. 옛 성인. 특히, 공자(孔子)를 말함; 전제; 선서; 전세; 잠세.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세력
ちゃん
《名詞에 붙어》 친밀감을 나타내는 호칭. ((さん보다 무간한 말)); 《속어》 아이들의 아버지에 대한 호칭. 아빠. ((江戸 시대 이후, 서민 사이에서 쓰였음)) 〔동의어〕父ちゃん
今日公園で変な人達を
今日
광. 그 일에 열중하는 사람임을 나타냄; 협. 협곡(峽谷)임을 나타냄; 교. 종교임을 나타냄; 교. 다리임을 나타냄; 경. 거울임을 나타냄; 오늘. 금일. 〔동의어〕本日; 흉. 운수가 나쁨. 불길함. 〔동의어〕不吉. 〔반의어〕 吉; 〈「共産党」의 준말〉 공산당; 〈「共産主義」의 준말〉 공산주의; 『문어』 수도. 서울. 〔동의어〕首都; 京都. 〔참고〕 옛날에 일본의 수도였음; 『수학』 경. 조(兆)의 1만 배. 〔동의어〕京; 「いろは歌」의 끝에 붙이는 말; 《「香車」의 준말》 일본 장기짝의 하나; 강함. 강자; (어떤 수량에 붙어) 그보다 조금 더 됨을 나타냄. 〔반의어〕 弱; 『불교』 불경. 경문. 〔동의어〕お経; 성전(聖典). 경서(經書); 『문어』 고향. 〔동의어〕ふるさと; 곳. 장소. 지역; 어떤 장소나 경우; 마음의 상태. 경지; 경; 장소. 범위. 처지; 심경. 경지(境地); 흥; 흥취. 흥미. 재미. 〔동의어〕面白み; 좌흥(座興); 『문학』 한시(漢詩) 육의(六義)의 하나. 어떤 사물에 접하여 자기의 감흥을 표현함
公園
구연; 구술(口述); 공원; 공연; 광염; 빛나는 불꽃; 호연. 훌륭한 연기나 연주; 후원; 『문어』 원군. 후진(後陣); 후원; 홍염; [promiminence]『천문』 프로미넌스. 태양의 표면에서 뿜어 나오는 불꽃 같은 고온 가스. 〔동의어〕プロミネンス; 『문어』 황원. 황폐한 정원; 『문어』 향연. 불전(佛前) 등에서, 피우는 향의 연기; 『문어』 강연. 강의하는 자리; 강연; 『문어』 고원. 고상하고 원대함. {문어·ナリ 활용 }; 『문어』 합언. 갑자기 일어나는[발생하는] 모양. 홀연히. 별안간. 덜컥. ((주로 사람의 죽음의 형용)) {문어·タリ 활용}; 『문어』 광원. 굉원. 훤하게 넓고 큼. 원대함. {문어·ナリ 활용 }
変
물건의 조각·토막, 꽃잎 등을 세는 말. 편. 조각. 토막. 잎. ((앞에 붙는 말에 따라서 「ぺん」으로도 됨)); 도수·횟수를 세는 말. 번. ((앞의 말에 따라서 「べん」 「ぺん」으로도 됨)); 〈形式名詞적으로 써서〉 근처. 근방. 언저리. 방면. 〔동의어〕あたり; 쯤. 정도; 『수학』 변. 다각형을 이루는 선분(線分); 『수학』 등호(等號)의 좌우에 있는 식. 변; 《전보에서, 「返事」의 준말》 회답; 횟수를 세는 말. 번. ((앞에 붙는 말에 따라 「べん」 「ぺん」으로도 됨)); 변; 『문어』 바뀜. 바꿈. 달라짐. 변화; 『문어』 돌연한 사태. 변고. 난(亂); 『음악』 반음 내림. 플랫. 기호 ♭. 〔반의어〕 嬰; 보통과 다름. 이상함; 예상 밖임. 엉뚱함. {문어·ナリ 활용 }; 『언어학』 좌우로 구성되는 한자의 왼쪽 부분. 변. ((「砂」의 「石」, 「和」의 「禾」 등)) 〔반의어〕 旁; 편; 수미(首尾)를 갖춘 시문(詩文); 책의 내용을 크게 나눈 각각의 부분; 편집; 편. ((앞에 붙는 말에 따라 「ぺん」으로도 됨)); 서적 분류를 세는 말; 시문을 세는 말. 〔참고〕 「編」은 ‘엮다’, 「篇」은 ‘엮은 것’의 뜻. < 1> 의 1.2., < 2> 의 1.2.는 본디 「篇」으로 썼음. < 의 3.은 「編」으로 씀; 남을 업신여기거나 남의 말을 무시할 때 내는 소리. 흥; 으스댈 때 내는 소리. 으흠. 에헴
たくさん見たよ
見
개; 건물을 세는 말. 채. 집; 아호(雅號)·옥호(屋號) 등에 쓰는 말; 주된 요리나 생선회에 곁들이는 야채·해초 등; 건. 사항. 사건; 같은 사항·사건 등의 수를 세는 말. 건; 『문어』; 보기만 하고 사지 않음. 〔동의어〕素見·ひやかし; 어떤 일을 할 수 있는 자격을 나타내는 쪽지. 표. 〔동의어〕切符; 그것이 가치·자격 등을 나타내는 쪽지임을 나타냄. 권; (여성의 용모·자태 등이) 곱고 아름다움; 『정치』 현. 일본 지방 행정 구역의 하나. ((한국의 도(道)에 해당함)) 〔참고〕 원래, 중국의 지방 행정 구역의 이름; 《接続詞적으로 씀》 겸; 양날의 칼. 검; 검술; 총검; 벌의 꽁무니에 있는 침. 또는 곤충의 암컷 꽁무니에 달린 침 모양의 산란기; 주먹. 〔동의어〕にぎりこぶし; 권법(拳法); 건; 역(易)의 8괘의 하나. 점대에 나오는 「☰」 모양. 〔반의어〕 坤; 하늘; 험준함. 또는 험준한 곳. 〔동의어〕難所; (눈빛·표정·말씨 등에 나타나는) 매서움. 사나움. 표독함; 주위를 에두른 곳. 동그라미. 원; 범위; 권. 한정된 지역. 일정한 범위; 『문어』 단단함. 견고함. 견고한 것; 칸; 사이. 특히, 건물의 기둥과 기둥 사이; (바둑판·장기판의) 눈. 또는 눈을 세는 말; 『생리학』 건. 힘줄; 『문어』 권력. 〔동의어〕権力·権限; 권리; 「聖」가 청주(淸酒)를 뜻하는 데 대하여, 탁주; 건. 건반. 키. 〔동의어〕キー; 『문어』 ⇒ けむ
みんな同じ方角に向いて
同じ
《원래 シク活用의 形容詞였던 것이 形容動詞의 語幹이 된 말. 連体形 「同じな」는 「同じなのに」 「同じなので」와 같은 경우에만 쓰이고, 体言에 이어질 때는 語幹 「同じ」를 씀》 같음. 동일함; 《「~…なら」의 꼴로》 어차피. 이왕에. 〔동의어〕どうせ·せっかく. 〔참고〕 < 1> 과 < 2> 모두 「おなし」라고도 함
方角
(동서남북의) 방위; 방향. 쪽; 수단. 방침; 견해. 각도. 〔동의어〕見当; 방악. 일본의 전통 음악. 〔동의어〕和楽. 〔반의어〕 洋楽; 법학. 법률학. 〔동의어〕法律学
向い
마주봄. 맞은편. 건너편. 정면. 〔동의어〕むこう. 〔참고〕 특히, 「向かいの家」를 가리키는 수도 있음; 「むかえ」의 변한말; 무해. 자욱하게 낀 안개
何も話さずに
何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太巻き寿司を一本丸かじりしていたよ
太
《名詞에 붙어》 ‘…에 견디는’ ‘…에 침식되지 않는’의 뜻을 나타냄; 《색깔을 나타내는 名詞에 붙어》 ‘…을 띤’ ‘…빛깔의’의 뜻을 나타냄; 기후·자연 현상 등에 의하여 나눈 지구상의 띠 모양의 지역; 《名詞나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形容詞를 만듦》 ‘심하다’ ‘그런 상태이다’의 뜻을 나타냄. 【문어형】 た·し {ク 활용}; 부대. 자루; 타의. 다른 뜻. 딴 생각. 딴 마음. 〔동의어〕別意; 몸. 〔동의어〕身; 모양. 형태; 본질. 실체; 불상·시체 등을 세는 말. 좌(座). 구(具); 짝. 쌍. 둘이 한 벌을 이루는 것; (두 수 사이에 끼여) 비(比)를 나타냄. 대; (두 말 사이에 끼여) 서로 대립하는 것임을 나타냄. 대; 대등함; 반대; 〈接頭語적으로〉 공작·교섭·대항 등의 상대임을 나타냄. 대; 『문어』 태. 자궁. 〔동의어〕こぶくろ; 『문어』 태아; 「胎蔵界」의 준말; 『지리·지학·지명』 퇴. 해양 속 해저의 두루룩한 부분. 뱅크. 〔동의어〕バンク; (어떤 목적을 위해 모인) 대. 대열(隊列); 부대; 조직·집단·군대 등의 뜻을 나타냄. …대; 상태. 모양. 〔동의어〕すがた; ‘…의 상태’의 뜻을 나타냄; 『어류』 도미; 《動詞 및 動詞型活用의 助動詞의 連用形에 붙음. 可能動詞에는 안 붙음》 희망의 뜻을 나타냄; 동작하는 이의, 그 동작에 대한 희망의 뜻을 나타냄; 〈「れ·られ·くだされ·なされ」 등에 붙어〉 상대편의 행위에 대한 희망을 나타냄. …해 주셨으면 합니다. …해 주시기 바랍니다
寿司
(식초에 담근) 생선살
一
일; 하나. 〔동의어〕一つ. 〔참고〕 증서 등에서는 갖은자인 「壱」을 씀; (사물의) 시초. 처음. 첫째. 최초. 〔동의어〕一番め; 최상. 최고. 으뜸. 〔동의어〕首位; (상투 등에서) 元結로 묶은 곳에서 뒤로 내민 부분; (三味線·거문고 등에서) 제일 낮은 음의 줄. 〔동의어〕一の糸; (많은 것 중) 한. 하나의. 한 사람의; (이렇다 할 만한 데가 없는) 하찮은. 어떠 한; 어떤. 한; 상당한. 버젓한; 시장. 저자. 장; (변하여) 시가. 거리. 〔동의어〕街; 지위(地位). 〔동의어〕地位; 위치; 지위. 입장
本丸
성의 중심이 되는 건물. 주성(主城). ((통상, 중앙에 天守閣를 짓고 둘레에 해자(垓字)를 팜)) 〔반의어〕 出丸
本当、変な人達ね
本当
⇒ ほんとう
変
물건의 조각·토막, 꽃잎 등을 세는 말. 편. 조각. 토막. 잎. ((앞에 붙는 말에 따라서 「ぺん」으로도 됨)); 도수·횟수를 세는 말. 번. ((앞의 말에 따라서 「べん」 「ぺん」으로도 됨)); 〈形式名詞적으로 써서〉 근처. 근방. 언저리. 방면. 〔동의어〕あたり; 쯤. 정도; 『수학』 변. 다각형을 이루는 선분(線分); 『수학』 등호(等號)의 좌우에 있는 식. 변; 《전보에서, 「返事」의 준말》 회답; 횟수를 세는 말. 번. ((앞에 붙는 말에 따라 「べん」 「ぺん」으로도 됨)); 변; 『문어』 바뀜. 바꿈. 달라짐. 변화; 『문어』 돌연한 사태. 변고. 난(亂); 『음악』 반음 내림. 플랫. 기호 ♭. 〔반의어〕 嬰; 보통과 다름. 이상함; 예상 밖임. 엉뚱함. {문어·ナリ 활용 }; 『언어학』 좌우로 구성되는 한자의 왼쪽 부분. 변. ((「砂」의 「石」, 「和」의 「禾」 등)) 〔반의어〕 旁; 편; 수미(首尾)를 갖춘 시문(詩文); 책의 내용을 크게 나눈 각각의 부분; 편집; 편. ((앞에 붙는 말에 따라 「ぺん」으로도 됨)); 서적 분류를 세는 말; 시문을 세는 말. 〔참고〕 「編」은 ‘엮다’, 「篇」은 ‘엮은 것’의 뜻. < 1> 의 1.2., < 2> 의 1.2.는 본디 「篇」으로 썼음. < 의 3.은 「編」으로 씀; 남을 업신여기거나 남의 말을 무시할 때 내는 소리. 흥; 으스댈 때 내는 소리. 으흠. 에헴
今日は2月3日節分だから
今日
광. 그 일에 열중하는 사람임을 나타냄; 협. 협곡(峽谷)임을 나타냄; 교. 종교임을 나타냄; 교. 다리임을 나타냄; 경. 거울임을 나타냄; 오늘. 금일. 〔동의어〕本日; 흉. 운수가 나쁨. 불길함. 〔동의어〕不吉. 〔반의어〕 吉; 〈「共産党」의 준말〉 공산당; 〈「共産主義」의 준말〉 공산주의; 『문어』 수도. 서울. 〔동의어〕首都; 京都. 〔참고〕 옛날에 일본의 수도였음; 『수학』 경. 조(兆)의 1만 배. 〔동의어〕京; 「いろは歌」의 끝에 붙이는 말; 《「香車」의 준말》 일본 장기짝의 하나; 강함. 강자; (어떤 수량에 붙어) 그보다 조금 더 됨을 나타냄. 〔반의어〕 弱; 『불교』 불경. 경문. 〔동의어〕お経; 성전(聖典). 경서(經書); 『문어』 고향. 〔동의어〕ふるさと; 곳. 장소. 지역; 어떤 장소나 경우; 마음의 상태. 경지; 경; 장소. 범위. 처지; 심경. 경지(境地); 흥; 흥취. 흥미. 재미. 〔동의어〕面白み; 좌흥(座興); 『문학』 한시(漢詩) 육의(六義)의 하나. 어떤 사물에 접하여 자기의 감흥을 표현함
日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節分
『문어』 졸문; 자기 문장의 겸사말; 《「せちぶん」이라고도 함》; 특히, 입춘 전날. ((이날 저녁, 볶은 콩을 뿌려 잡귀를 쫓는 풍습이 있음))
みんなで恵方巻きを食べていたんですね
恵方
음양도(陰陽道)에서, 그 해의 간지(干支)에 따라 길하다고 정해진 방향. 길한 방위. 길방. 〔동의어〕としとく
小原先生
先生
선생; 『문어』 먼저 태어난 사람; (가르침을 받는) 스승; (교원·의사·작가·변호사 등) 지도적 입장에 있는 사람에 대한 높임말; 남을 친근하게, 또는 놀리어 부르는 말; 선제; 선성. 옛 성인. 특히, 공자(孔子)를 말함; 전제; 선서; 전세; 잠세.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세력
節分といえば
節分
『문어』 졸문; 자기 문장의 겸사말; 《「せちぶん」이라고도 함》; 특히, 입춘 전날. ((이날 저녁, 볶은 콩을 뿌려 잡귀를 쫓는 풍습이 있음))
豆まきじゃないですか
豆
도. 섬; 짐승을 세는 단위. 마리. 두; 《文語 形容詞 「とし」의 連用形 「とく」의 변한말》 아주 이른 시기. 훨씬 이전. 〔동의어〕とっく. 〔참고〕 「~から」 「~に」의 형태로 副詞적으로도 쓰임. 〔참조어〕とうから·とうに; 칼; 도. 칼. 날붙이; 도리에 맞음. 적절함. 합당함; 거기에 직접 해당되는 일. 또는 사람; 등. 등불; 등. 등불; 등불의 수를 세는 말. 개; (야구에서) 투수력. 〔반의어〕 打; 당; 무리. 패거리. 도당; 정치적 단체. 정당; 《고어》 (중세 때에) 무사(武士)들이 결성한 연합체; 당. 정당; 『역사』; 당. 수(隋) 다음의 중국 왕조의 이름; 옛날, 중국 또는 외국의 일컬음; (야구에서) 「盗塁」의 준말; 탑; 『불교』 사리(舍利)를 모시거나 공양을 하거나 영지(靈地)임을 나타내기 위한 높은 구축물; 높고 뾰족하게 세운 건물. 〔동의어〕タワー; 등급. 계급; 등. 등등. 들. 〔동의어〕など·等々; 순위. 등위; 같음. 동등함; 『문어』 탑. 상탑. 좁고 길다란 평상. 〔동의어〕腰掛 け·寝台; 당. 당분; 당. ((수용액(水溶液)이 단맛을 보이는 탄수화물)); 『식물·식물학』 등. 등나무; 『식물·식물학』 (평지나 머위 등의) 대. 꽃대; 묻다; 질문하다. 〔동의어〕尋ねる. 〔반의어〕 答える; 추궁하다. 〔동의어〕追及する; 〈흔히, 「…罪に~·われる」의 꼴로 씀〉 죄를 추궁하다. 문초하다; 문제 삼다. ((흔히, 否定의 꼴로 씀)) 【가능동사】 と·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문어』 찾다. 방문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そうそう
僕今晩家族と豆まきするんだ
僕
하인. 종. ((예스러운 말)) 〔동의어〕召使·下男
今晩
오늘 밤. 오늘 저녁. 〔동의어〕こんや
家族
가족; 清華의 딴이름
豆
도. 섬; 짐승을 세는 단위. 마리. 두; 《文語 形容詞 「とし」의 連用形 「とく」의 변한말》 아주 이른 시기. 훨씬 이전. 〔동의어〕とっく. 〔참고〕 「~から」 「~に」의 형태로 副詞적으로도 쓰임. 〔참조어〕とうから·とうに; 칼; 도. 칼. 날붙이; 도리에 맞음. 적절함. 합당함; 거기에 직접 해당되는 일. 또는 사람; 등. 등불; 등. 등불; 등불의 수를 세는 말. 개; (야구에서) 투수력. 〔반의어〕 打; 당; 무리. 패거리. 도당; 정치적 단체. 정당; 《고어》 (중세 때에) 무사(武士)들이 결성한 연합체; 당. 정당; 『역사』; 당. 수(隋) 다음의 중국 왕조의 이름; 옛날, 중국 또는 외국의 일컬음; (야구에서) 「盗塁」의 준말; 탑; 『불교』 사리(舍利)를 모시거나 공양을 하거나 영지(靈地)임을 나타내기 위한 높은 구축물; 높고 뾰족하게 세운 건물. 〔동의어〕タワー; 등급. 계급; 등. 등등. 들. 〔동의어〕など·等々; 순위. 등위; 같음. 동등함; 『문어』 탑. 상탑. 좁고 길다란 평상. 〔동의어〕腰掛 け·寝台; 당. 당분; 당. ((수용액(水溶液)이 단맛을 보이는 탄수화물)); 『식물·식물학』 등. 등나무; 『식물·식물학』 (평지나 머위 등의) 대. 꽃대; 묻다; 질문하다. 〔동의어〕尋ねる. 〔반의어〕 答える; 추궁하다. 〔동의어〕追及する; 〈흔히, 「…罪に~·われる」의 꼴로 씀〉 죄를 추궁하다. 문초하다; 문제 삼다. ((흔히, 否定의 꼴로 씀)) 【가능동사】 と·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문어』 찾다. 방문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お父さんが鬼
お父さん
《明治 말기 이후 「お母さん」과 함께 국정 교과서에 채택되어 일반화한 말》 아버지. 아버님. ((자식이 자기 아버지를 친근하게 부를 때 또는 가리킬 때 씀. 자식 아닌 사람이 아버지 입장에 있는 사람을 친근하게 부를 때 또는 가리킬 때도 씀. 이 밖에 아버지가 자식에게 스스로를 가리켜 말하기도 함. 구어(口語)에서는 ‘아버지’라는 뜻을 나타내는 말 중에서 가장 표준적인 말임)) 〔반의어〕 お母さん. 〔참고〕 자신의 아버지를 남에게 말할때는 「おとうさん」보다는 「父」가 표준적임
鬼
사람 모양을 한 상상의 괴물. ((머리에는 뿔이 있고, 입은 옆으로 찢어졌으며, 긴 엄니가 있음. 괴력(怪力)이 있고 몹시 사나움)); 죽은 이의 영혼. 혼백. 〔동의어〕魂魄; 도깨비. 귀신. 요괴. 악귀; (술래잡기의) 술래; 무서운 사람. 용모가 험상궂게 생기고 힘이 센 사람. 무자비한 사람; 한 가지 일에 열중하는 사람; 빚쟁이. 채귀(債鬼); 《고어》 귀인의 음식에 독이 들어 있지 않은지 미리 검사하는 관직. 〔동의어〕おになめ; 용맹스러운; 엄한. 무서운; 지독한. 매정한; 형태가 큰; 도깨비 얼굴을 한
私も、
私
값. 가격. 대금. 〔동의어〕ね·値段; 가치. 값어치. 〔동의어〕値打ち; 『수학』 수치(數値). 수량. 값. 〔참고〕 3.은 「値」로 씀; 《속어》 《「あたし」의 변한말》 저. 나. 〔동의어〕わたし. 〔참고〕 흔히 여자 아이가 씀
でも健太くん
豆の食べ過ぎはだめよ
豆
도. 섬; 짐승을 세는 단위. 마리. 두; 《文語 形容詞 「とし」의 連用形 「とく」의 변한말》 아주 이른 시기. 훨씬 이전. 〔동의어〕とっく. 〔참고〕 「~から」 「~に」의 형태로 副詞적으로도 쓰임. 〔참조어〕とうから·とうに; 칼; 도. 칼. 날붙이; 도리에 맞음. 적절함. 합당함; 거기에 직접 해당되는 일. 또는 사람; 등. 등불; 등. 등불; 등불의 수를 세는 말. 개; (야구에서) 투수력. 〔반의어〕 打; 당; 무리. 패거리. 도당; 정치적 단체. 정당; 《고어》 (중세 때에) 무사(武士)들이 결성한 연합체; 당. 정당; 『역사』; 당. 수(隋) 다음의 중국 왕조의 이름; 옛날, 중국 또는 외국의 일컬음; (야구에서) 「盗塁」의 준말; 탑; 『불교』 사리(舍利)를 모시거나 공양을 하거나 영지(靈地)임을 나타내기 위한 높은 구축물; 높고 뾰족하게 세운 건물. 〔동의어〕タワー; 등급. 계급; 등. 등등. 들. 〔동의어〕など·等々; 순위. 등위; 같음. 동등함; 『문어』 탑. 상탑. 좁고 길다란 평상. 〔동의어〕腰掛 け·寝台; 당. 당분; 당. ((수용액(水溶液)이 단맛을 보이는 탄수화물)); 『식물·식물학』 등. 등나무; 『식물·식물학』 (평지나 머위 등의) 대. 꽃대; 묻다; 질문하다. 〔동의어〕尋ねる. 〔반의어〕 答える; 추궁하다. 〔동의어〕追及する; 〈흔히, 「…罪に~·われる」의 꼴로 씀〉 죄를 추궁하다. 문초하다; 문제 삼다. ((흔히, 否定의 꼴로 씀)) 【가능동사】 と·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문어』 찾다. 방문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過ぎ
때가 지났거나 정도가 지나침을 나타내는 말. 과함. 지나침; 『식물·식물학』 삼목(杉木)
年の数だけだからね
年
해; 나이. 연령; 『문어』 도사. 개죽음. 〔동의어〕いぬじに; 도시
数
수; 수가 많음. 여러 가지; 손꼽을 만한 가치가 있는 것; 아래 그림. 〔반의어〕 上図
京子ちゃんわかってるよ
ちゃん
《名詞에 붙어》 친밀감을 나타내는 호칭. ((さん보다 무간한 말)); 《속어》 아이들의 아버지에 대한 호칭. 아빠. ((江戸 시대 이후, 서민 사이에서 쓰였음)) 〔동의어〕父ちゃん
でもなぜ節分に太巻き寿司を食べますか
節分
『문어』 졸문; 자기 문장의 겸사말; 《「せちぶん」이라고도 함》; 특히, 입춘 전날. ((이날 저녁, 볶은 콩을 뿌려 잡귀를 쫓는 풍습이 있음))
太
《名詞에 붙어》 ‘…에 견디는’ ‘…에 침식되지 않는’의 뜻을 나타냄; 《색깔을 나타내는 名詞에 붙어》 ‘…을 띤’ ‘…빛깔의’의 뜻을 나타냄; 기후·자연 현상 등에 의하여 나눈 지구상의 띠 모양의 지역; 《名詞나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形容詞를 만듦》 ‘심하다’ ‘그런 상태이다’의 뜻을 나타냄. 【문어형】 た·し {ク 활용}; 부대. 자루; 타의. 다른 뜻. 딴 생각. 딴 마음. 〔동의어〕別意; 몸. 〔동의어〕身; 모양. 형태; 본질. 실체; 불상·시체 등을 세는 말. 좌(座). 구(具); 짝. 쌍. 둘이 한 벌을 이루는 것; (두 수 사이에 끼여) 비(比)를 나타냄. 대; (두 말 사이에 끼여) 서로 대립하는 것임을 나타냄. 대; 대등함; 반대; 〈接頭語적으로〉 공작·교섭·대항 등의 상대임을 나타냄. 대; 『문어』 태. 자궁. 〔동의어〕こぶくろ; 『문어』 태아; 「胎蔵界」의 준말; 『지리·지학·지명』 퇴. 해양 속 해저의 두루룩한 부분. 뱅크. 〔동의어〕バンク; (어떤 목적을 위해 모인) 대. 대열(隊列); 부대; 조직·집단·군대 등의 뜻을 나타냄. …대; 상태. 모양. 〔동의어〕すがた; ‘…의 상태’의 뜻을 나타냄; 『어류』 도미; 《動詞 및 動詞型活用의 助動詞의 連用形에 붙음. 可能動詞에는 안 붙음》 희망의 뜻을 나타냄; 동작하는 이의, 그 동작에 대한 희망의 뜻을 나타냄; 〈「れ·られ·くだされ·なされ」 등에 붙어〉 상대편의 행위에 대한 희망을 나타냄. …해 주셨으면 합니다. …해 주시기 바랍니다
寿司
(식초에 담근) 생선살
福を巻き込む
福
옷. 의복. 특히, 양복; (첩약·가루약 등의) 봉지를 세는 말; 담배·차·약 등을 먹는 횟수를 세는 말. 〔참고〕 < 2> 는 一·三·六·八·十 등의 뒤에서는 「ぷく」가 됨; 부. 〔반의어〕 正; 부차적인 것; 부본. 사본; 부. 〔반의어〕 正; 족자. 〔동의어〕掛け物·軸物; 족자를 세는 말. 폭. 〔참고〕 助数詞로서의 읽기는 「服」의 경우와 같음; 복. 행복. 〔반의어〕 禍·厄; 복. 〔반의어〕 単; 복수. 이중(二重)임; (테니스·탁구 등에서) 복식 경기; 복; (바람이) 불다; (기체·액체 등이) 뿜다. 솟아나다; (곰팡이·가루 등이) 표면에 생기다; (초목의 싹이) 돋다. 싹트다. 〔참고〕 2.는 「噴く」로도 씀. 【문어 4단 활용 동사】; (바람이) 날리다; 입으로 불다; (피리 등을) 불다; 내뿜다; (싹을) 내다. 싹틔우다; (가루·곰팡이 등이) 표면에 생기게 하다; 광석을 녹여 금속을 분리하다; 주조하다; 큰소리를 치다. 허풍을 떨다; (값을) 비싸게 부르다. 〔참고〕 4.는 「噴く」로도 씀. 【가능동사】 ふ·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닦다. 훔치다. 【가능동사】 ふ·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지붕을) 이다; (초목 등을) 처마에 꽂아 장식하다. 【가능동사】 ふ·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巻き込む
말려들게 하다; (속으로) 휩쓸리게 하다; 연좌[연루]되게 하다. 끌어들이다. 【가능동사】 まきこ·め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つまり縁起がいいからです。
縁起
연기; 관객에게 예능의 재주를 보임; (비유적으로) 겉으로 꾸미는 짓; 『문어』 연의; 알기 쉽게 설명함; 사실(史實)을 재미있게 수식하여 쓴 중국의 통속 소설; 연희; ⇒ 演技1.; 『불교』 일의 기원. 유래; 신사(神社)나 절의 유래; 길흉(吉凶)의 조짐. 운수. 재수. 〔동의어〕きざし
この太巻き寿司を
太
《名詞에 붙어》 ‘…에 견디는’ ‘…에 침식되지 않는’의 뜻을 나타냄; 《색깔을 나타내는 名詞에 붙어》 ‘…을 띤’ ‘…빛깔의’의 뜻을 나타냄; 기후·자연 현상 등에 의하여 나눈 지구상의 띠 모양의 지역; 《名詞나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形容詞를 만듦》 ‘심하다’ ‘그런 상태이다’의 뜻을 나타냄. 【문어형】 た·し {ク 활용}; 부대. 자루; 타의. 다른 뜻. 딴 생각. 딴 마음. 〔동의어〕別意; 몸. 〔동의어〕身; 모양. 형태; 본질. 실체; 불상·시체 등을 세는 말. 좌(座). 구(具); 짝. 쌍. 둘이 한 벌을 이루는 것; (두 수 사이에 끼여) 비(比)를 나타냄. 대; (두 말 사이에 끼여) 서로 대립하는 것임을 나타냄. 대; 대등함; 반대; 〈接頭語적으로〉 공작·교섭·대항 등의 상대임을 나타냄. 대; 『문어』 태. 자궁. 〔동의어〕こぶくろ; 『문어』 태아; 「胎蔵界」의 준말; 『지리·지학·지명』 퇴. 해양 속 해저의 두루룩한 부분. 뱅크. 〔동의어〕バンク; (어떤 목적을 위해 모인) 대. 대열(隊列); 부대; 조직·집단·군대 등의 뜻을 나타냄. …대; 상태. 모양. 〔동의어〕すがた; ‘…의 상태’의 뜻을 나타냄; 『어류』 도미; 《動詞 및 動詞型活用의 助動詞의 連用形에 붙음. 可能動詞에는 안 붙음》 희망의 뜻을 나타냄; 동작하는 이의, 그 동작에 대한 희망의 뜻을 나타냄; 〈「れ·られ·くだされ·なされ」 등에 붙어〉 상대편의 행위에 대한 희망을 나타냄. …해 주셨으면 합니다. …해 주시기 바랍니다
寿司
(식초에 담근) 생선살
恵方巻きといいます
恵方
음양도(陰陽道)에서, 그 해의 간지(干支)에 따라 길하다고 정해진 방향. 길한 방위. 길방. 〔동의어〕としとく
恵方ってなんですか
恵方
음양도(陰陽道)에서, 그 해의 간지(干支)에 따라 길하다고 정해진 방향. 길한 방위. 길방. 〔동의어〕としとく
年神様のいる方角です
年
해; 나이. 연령; 『문어』 도사. 개죽음. 〔동의어〕いぬじに; 도시
神様
지체 높은 이의 아내에 대한 높임말. 마님. 〔동의어〕内室·奥方; 〈「神」의 높임말〉 신령님. 하느님; 어떤 분야에서 신처럼 뛰어난 사람. 도사
方角
(동서남북의) 방위; 방향. 쪽; 수단. 방침; 견해. 각도. 〔동의어〕見当; 방악. 일본의 전통 음악. 〔동의어〕和楽. 〔반의어〕 洋楽; 법학. 법률학. 〔동의어〕法律学
あ!だから
だから
그러니까. 그래서. 때문에
みんな同じ方角を向いて食べていたんだ。
同じ
《원래 シク活用의 形容詞였던 것이 形容動詞의 語幹이 된 말. 連体形 「同じな」는 「同じなのに」 「同じなので」와 같은 경우에만 쓰이고, 体言에 이어질 때는 語幹 「同じ」를 씀》 같음. 동일함; 《「~…なら」의 꼴로》 어차피. 이왕에. 〔동의어〕どうせ·せっかく. 〔참고〕 < 1> 과 < 2> 모두 「おなし」라고도 함
方角
(동서남북의) 방위; 방향. 쪽; 수단. 방침; 견해. 각도. 〔동의어〕見当; 방악. 일본의 전통 음악. 〔동의어〕和楽. 〔반의어〕 洋楽; 법학. 법률학. 〔동의어〕法律学
向い
마주봄. 맞은편. 건너편. 정면. 〔동의어〕むこう. 〔참고〕 특히, 「向かいの家」를 가리키는 수도 있음; 「むかえ」의 변한말; 무해. 자욱하게 낀 안개
でもどうしてみんな黙って食べますか
しゃべると運が逃げるからです
運
운; 운명. 운수; 행운(幸運); 바림. 선염(渲染). 〔동의어〕くまどり·ぼかし; (아랫사람이나 동등한 사람의 질문·의뢰에 대해) 긍정·승낙을 나타내는 말. 응. 음. 그래; 일시적인 고통을 나타내는 소리. 응. 억. 끙; 가벼운 놀라움을 나타내는 말. 아아. 어어; 퍼뜩 생각났을 때 하는 말. 응. 아; 힘을 몰아 쓸 때 저도 모르게 내는 소리. 응. 끙
逃げる
도망치다. 달아나다; 물러나다. 패주하다; (성가신 일 등을) 피하다. 빠져 나가다. 〔동의어〕のがれる; (경마·경기 등에서) 앞질리지 않고 이기다. 【문어형】 に·ぐ {하2단 활용}
しゃべらずに願いごとを思い続けます
思い
생각함. 또는 그 생각. 〔동의어〕考え; 기분. 느낌. 마음. 〔동의어〕気持ち·感じ; 기대. 예상. 〔동의어〕期待·予想; 소원. 뜻. 〔동의어〕願い·望み; 연정. 연모의 정. 사모하는 마음; 집념. 미련. 원한. 〔동의어〕執念·うらみ; 근심. 수심. 〔동의어〕物思い; 무겁다. 〔반의어〕 軽い; 중량이 있다. 가볍지 않다; (사물이) 중대하다. 중요하다; (정도가) 심하다. (병이) 위중하다. 〔동의어〕ひどい; (신분·지위 등이) 높다. 중요하다; 후련하지[개운하지] 않다. 무지근하다; 침착하다. 진중하다. おも·げ 【형용동사】 おも·さ 【명사】 おも·み 【명사】 【문어형】 おも·し {ク 활용}
なぜまるごと一本食べますか
まるごと
있는 그대로. 통째로. 온통
一
일; 하나. 〔동의어〕一つ. 〔참고〕 증서 등에서는 갖은자인 「壱」을 씀; (사물의) 시초. 처음. 첫째. 최초. 〔동의어〕一番め; 최상. 최고. 으뜸. 〔동의어〕首位; (상투 등에서) 元結로 묶은 곳에서 뒤로 내민 부분; (三味線·거문고 등에서) 제일 낮은 음의 줄. 〔동의어〕一の糸; (많은 것 중) 한. 하나의. 한 사람의; (이렇다 할 만한 데가 없는) 하찮은. 어떠 한; 어떤. 한; 상당한. 버젓한; 시장. 저자. 장; (변하여) 시가. 거리. 〔동의어〕街; 지위(地位). 〔동의어〕地位; 위치; 지위. 입장
本
투매(投賣)하는 책이나 잡지. 덤핑 책[잡지]
巻きずしを包丁できると
包丁
『문어』 요리사. 또는 요리; 부엌칼. 식칼. 〔참고〕 「包丁」는 대용자; 『불교』 방조. 방생회(放生會)나 장례식 같은 때, 공덕을 위해 잡아 두었던 새를 놓아줌. 방금(放禽)
福や縁がが切れるからです
福
옷. 의복. 특히, 양복; (첩약·가루약 등의) 봉지를 세는 말; 담배·차·약 등을 먹는 횟수를 세는 말. 〔참고〕 < 2> 는 一·三·六·八·十 등의 뒤에서는 「ぷく」가 됨; 부. 〔반의어〕 正; 부차적인 것; 부본. 사본; 부. 〔반의어〕 正; 족자. 〔동의어〕掛け物·軸物; 족자를 세는 말. 폭. 〔참고〕 助数詞로서의 읽기는 「服」의 경우와 같음; 복. 행복. 〔반의어〕 禍·厄; 복. 〔반의어〕 単; 복수. 이중(二重)임; (테니스·탁구 등에서) 복식 경기; 복; (바람이) 불다; (기체·액체 등이) 뿜다. 솟아나다; (곰팡이·가루 등이) 표면에 생기다; (초목의 싹이) 돋다. 싹트다. 〔참고〕 2.는 「噴く」로도 씀. 【문어 4단 활용 동사】; (바람이) 날리다; 입으로 불다; (피리 등을) 불다; 내뿜다; (싹을) 내다. 싹틔우다; (가루·곰팡이 등이) 표면에 생기게 하다; 광석을 녹여 금속을 분리하다; 주조하다; 큰소리를 치다. 허풍을 떨다; (값을) 비싸게 부르다. 〔참고〕 4.는 「噴く」로도 씀. 【가능동사】 ふ·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닦다. 훔치다. 【가능동사】 ふ·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지붕을) 이다; (초목 등을) 처마에 꽂아 장식하다. 【가능동사】 ふ·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縁
『문어』 《「縁」에서 변화된 「えに」+강조의 助詞 「し」》 인연. 특히, 남녀간의 연분. 〔동의어〕縁·ゆかり
切れる
베이다. 금이 가다. 상처가 나다; 끊어지다; 무너지다; 없어지다. 다 떨어지다; (기한 등이) 다 되다. 마감되다; 모자라다. 밑돌다; (밑천 등이) 달리다; 해어지다; 방향이 바뀌다; (칼이) 잘 들다; (머리가) 예민하다. 수완이 좋다; 저려 오다. 【문어형】 き·る {하2단 활용}; 《흔히 否定語가 딸리어 불가능의 뜻을 나타냄. 「切る」의 可能形에서 나온 용법》; 끝까지 해낼 수 있음을 나타냄; 그렇다고 할 수도 있음을 나타냄; 완전히 … 그렇게 할 수 있음을 나타냄. 【문어형】 き·る {하2단 활용}
まとめると恵方巻きとは
恵方
음양도(陰陽道)에서, 그 해의 간지(干支)에 따라 길하다고 정해진 방향. 길한 방위. 길방. 〔동의어〕としとく
年神様のいる恵方に向かって
年
해; 나이. 연령; 『문어』 도사. 개죽음. 〔동의어〕いぬじに; 도시
神様
지체 높은 이의 아내에 대한 높임말. 마님. 〔동의어〕内室·奥方; 〈「神」의 높임말〉 신령님. 하느님; 어떤 분야에서 신처럼 뛰어난 사람. 도사
恵方
음양도(陰陽道)에서, 그 해의 간지(干支)에 따라 길하다고 정해진 방향. 길한 방위. 길방. 〔동의어〕としとく
喋らずに願い事を思い浮かべ
願い事
원하는 일. 특히, 신불에게 기원하는 일. 소원
最後まで一気に一本まるごと食べると
最後
최후. 마지막. 맨 끝. 맨 뒤. 〔반의어〕 最初; 〈「…したら~」 「…たが~」의 꼴로〉 …하면 끝장. 일단 …하기만 하면 그만; 임종. (생의) 최후
一
일; 하나. 〔동의어〕一つ. 〔참고〕 증서 등에서는 갖은자인 「壱」을 씀; (사물의) 시초. 처음. 첫째. 최초. 〔동의어〕一番め; 최상. 최고. 으뜸. 〔동의어〕首位; (상투 등에서) 元結로 묶은 곳에서 뒤로 내민 부분; (三味線·거문고 등에서) 제일 낮은 음의 줄. 〔동의어〕一の糸; (많은 것 중) 한. 하나의. 한 사람의; (이렇다 할 만한 데가 없는) 하찮은. 어떠 한; 어떤. 한; 상당한. 버젓한; 시장. 저자. 장; (변하여) 시가. 거리. 〔동의어〕街; 지위(地位). 〔동의어〕地位; 위치; 지위. 입장
本
투매(投賣)하는 책이나 잡지. 덤핑 책[잡지]
まるごと
있는 그대로. 통째로. 온통
食べる
《古語 「賜ぶ」의 변한말》; 먹다; 살아가다. 생활하다. 【문어형】 た·ぶ {하2단 활용}
願いが叶うということです
願い
바람. 바라는 일. 소망. 소원; 신불에게 빎·기원함; 원서
叶う
(조건이나 기준 등에) 꼭 맞다. 들어맞다; 이루어지다. 성취되다. 뜻대로 되다; 그렇게 할 수 있다. 그렇게 하는 것이 허용되다; 대항할 수 있다. 필적하다; 「かなえる」의 문어
ちなみに
ちなみに
『문어』 덧붙여서 말하면. 이와 관련하여
恵方は4つあるんですよ
恵方
음양도(陰陽道)에서, 그 해의 간지(干支)에 따라 길하다고 정해진 방향. 길한 방위. 길방. 〔동의어〕としとく
東北東より少し東
東
넓게는 일본 本州 동부 지방의 총칭. 좁게는 関東 지방을 일컬음; 京都에서, 鎌倉 또는 鎌倉幕府를 지칭한 말; 「あずま琴」의 준말. 〔참고〕 1.~3.은 「吾妻」 「吾嬬」로도 씀
少し
조금. 좀. 약간. 〔동의어〕わずか·少々·やや·ちょっと. 〔참고〕 「ほんの~(아주 조금)」 「~の間(잠깐 동안)」 「~の差(약간의 차)」 등 名詞적으로 쓸 때도 있음
東北東
동북동
西南西より少し西
西南
서남. 남서. 〔동의어〕にしみなみ. 〔반의어〕 東北. 〔참고〕 풍향일 때는 「南西」
西
청; 세; 지질 시대의 구분의 단위; 세대·지위·칭호 등의 순서; 《「背」의 변한말》 신장. 키. 높이; 정; 『문어』 올바름. 바른 길. 〔반의어〕 邪; 정통. 본디의 것; 바르게 정리된 모양; 주가 되는 것. 정식. 〔반의어〕 副; 『수학』 양(陽). 플러스. 〔반의어〕 負; 『철학』 (변증법에서) 정립(定立); 「正編」의 준말. 〔반의어〕 続; 정; 정식의 것. 주가 되는 것. 〔반의어〕 副; 틀림없음. 올바름; 장(長). 주임; 생; 삶. 살아감. 인생; 매일의 살림. 생활. 생업; 목숨. 생명;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남자가 자기를 일컫는 겸사말. 소생(小生); 생; 식물의 생장 연수; 학생·생도; 남자가 자기의 성명 밑에 붙여 겸양을 나타내는 말; 서. 서쪽. 〔동의어〕さい; 「西班牙」의 약자; 제도. 규정; 제. 제도; 성. 성씨. 〔동의어〕みょうじ; ⇒ かばね; 성; 『문어』 천성. 본성. 성질; 만물의 본질; 남녀·자웅의 구별; 성욕. 생식. 〔동의어〕セックス; 『언어학』 (인도유럽어에서) 관사·명사·대명사 등에 있는 남성·여성·중성의 구별; 《名詞·形容詞의 語幹에 붙어》 …와 같은 성질. …성; 세. 기세. 힘; 병력. 군세(軍勢); 성. 성인(聖人). 〔동의어〕ひじり; 《흔히, 連体形 「~なる」의 꼴로 씀》 성. 거룩함. 신성함; 성; [saint]『기독교』 시성(諡聖)된 이의 이름 앞에 붙이는 말; 신성한; 『문어』 자상함. 〔반의어〕 粗. {문어·ナリ 활용 }; 정력. 원기. 기력; 순수. 정수(精髓); (어떤 사물의) 혼(魂). 요정(妖精). 정령(精靈); 정자(精子). 정액; (곡물을) 쓿음. 대낌; 『문어』 정. 조용함. 〔반의어〕 動; 탓. 원인. 이유
少し
조금. 좀. 약간. 〔동의어〕わずか·少々·やや·ちょっと. 〔참고〕 「ほんの~(아주 조금)」 「~の間(잠깐 동안)」 「~の差(약간의 차)」 등 名詞적으로 쓸 때도 있음
西
청; 세; 지질 시대의 구분의 단위; 세대·지위·칭호 등의 순서; 《「背」의 변한말》 신장. 키. 높이; 정; 『문어』 올바름. 바른 길. 〔반의어〕 邪; 정통. 본디의 것; 바르게 정리된 모양; 주가 되는 것. 정식. 〔반의어〕 副; 『수학』 양(陽). 플러스. 〔반의어〕 負; 『철학』 (변증법에서) 정립(定立); 「正編」의 준말. 〔반의어〕 続; 정; 정식의 것. 주가 되는 것. 〔반의어〕 副; 틀림없음. 올바름; 장(長). 주임; 생; 삶. 살아감. 인생; 매일의 살림. 생활. 생업; 목숨. 생명;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남자가 자기를 일컫는 겸사말. 소생(小生); 생; 식물의 생장 연수; 학생·생도; 남자가 자기의 성명 밑에 붙여 겸양을 나타내는 말; 서. 서쪽. 〔동의어〕さい; 「西班牙」의 약자; 제도. 규정; 제. 제도; 성. 성씨. 〔동의어〕みょうじ; ⇒ かばね; 성; 『문어』 천성. 본성. 성질; 만물의 본질; 남녀·자웅의 구별; 성욕. 생식. 〔동의어〕セックス; 『언어학』 (인도유럽어에서) 관사·명사·대명사 등에 있는 남성·여성·중성의 구별; 《名詞·形容詞의 語幹에 붙어》 …와 같은 성질. …성; 세. 기세. 힘; 병력. 군세(軍勢); 성. 성인(聖人). 〔동의어〕ひじり; 《흔히, 連体形 「~なる」의 꼴로 씀》 성. 거룩함. 신성함; 성; [saint]『기독교』 시성(諡聖)된 이의 이름 앞에 붙이는 말; 신성한; 『문어』 자상함. 〔반의어〕 粗. {문어·ナリ 활용 }; 정력. 원기. 기력; 순수. 정수(精髓); (어떤 사물의) 혼(魂). 요정(妖精). 정령(精靈); 정자(精子). 정액; (곡물을) 쓿음. 대낌; 『문어』 정. 조용함. 〔반의어〕 動; 탓. 원인. 이유
南南東より少し南
少し
조금. 좀. 약간. 〔동의어〕わずか·少々·やや·ちょっと. 〔참고〕 「ほんの~(아주 조금)」 「~の間(잠깐 동안)」 「~の差(약간의 차)」 등 名詞적으로 쓸 때도 있음
南
《수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남. 몇째 아들. 〔반의어〕 女; 『문어』 연. 부드러움. 〔반의어〕 硬; 난. 화. 재난. 〔동의어〕災い; 〈接頭語 또는 接尾語적으로도 씀〉 어려움. 〔반의어〕 易; 흠. 결점; 비난; ⇒ なに. 〔참고〕 「なに」의 변한말; 《名詞 및 이에 준하는 말에 붙어》 불확정한 수량을 나타냄. 몇. 얼마; 《고어》 ⇒ なむ; 『문어』 《完了의 助動詞 「ぬ」의 未然形 「な」에 推量의 助動詞 「ん」이 붙은 말. 動詞의 連用形에 붙음》; …하여 버릴 것이다. 아마 …할 것이다; …해 버리자. …하기로 하자
北北西より少し北
北
북풍. 1.2. 〔반의어〕 南
北西
북서; 북정. 북쪽의 적을 정벌함
少し
조금. 좀. 약간. 〔동의어〕わずか·少々·やや·ちょっと. 〔참고〕 「ほんの~(아주 조금)」 「~の間(잠깐 동안)」 「~の差(약간의 차)」 등 名詞적으로 쓸 때도 있음
北
북풍. 1.2. 〔반의어〕 南
今年の恵方はどちらですか
今年
올해. 금년. 〔동의어〕こんねん·本年
恵方
음양도(陰陽道)에서, 그 해의 간지(干支)에 따라 길하다고 정해진 방향. 길한 방위. 길방. 〔동의어〕としとく
2018年の恵方は南南東より少し南
年
해; 나이. 연령; 『문어』 도사. 개죽음. 〔동의어〕いぬじに; 도시
恵方
음양도(陰陽道)에서, 그 해의 간지(干支)에 따라 길하다고 정해진 방향. 길한 방위. 길방. 〔동의어〕としとく
少し
조금. 좀. 약간. 〔동의어〕わずか·少々·やや·ちょっと. 〔참고〕 「ほんの~(아주 조금)」 「~の間(잠깐 동안)」 「~の差(약간의 차)」 등 名詞적으로 쓸 때도 있음
南
《수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남. 몇째 아들. 〔반의어〕 女; 『문어』 연. 부드러움. 〔반의어〕 硬; 난. 화. 재난. 〔동의어〕災い; 〈接頭語 또는 接尾語적으로도 씀〉 어려움. 〔반의어〕 易; 흠. 결점; 비난; ⇒ なに. 〔참고〕 「なに」의 변한말; 《名詞 및 이에 준하는 말에 붙어》 불확정한 수량을 나타냄. 몇. 얼마; 《고어》 ⇒ なむ; 『문어』 《完了의 助動詞 「ぬ」의 未然形 「な」에 推量의 助動詞 「ん」이 붙은 말. 動詞의 連用形에 붙음》; …하여 버릴 것이다. 아마 …할 것이다; …해 버리자. …하기로 하자
2019年は東北東より少し東です
年
해; 나이. 연령; 『문어』 도사. 개죽음. 〔동의어〕いぬじに; 도시
東北東
동북동
少し
조금. 좀. 약간. 〔동의어〕わずか·少々·やや·ちょっと. 〔참고〕 「ほんの~(아주 조금)」 「~の間(잠깐 동안)」 「~の差(약간의 차)」 등 名詞적으로 쓸 때도 있음
東
넓게는 일본 本州 동부 지방의 총칭. 좁게는 関東 지방을 일컬음; 京都에서, 鎌倉 또는 鎌倉幕府를 지칭한 말; 「あずま琴」의 준말. 〔참고〕 1.~3.은 「吾妻」 「吾嬬」로도 씀
でも南南東より少し南って
少し
조금. 좀. 약간. 〔동의어〕わずか·少々·やや·ちょっと. 〔참고〕 「ほんの~(아주 조금)」 「~の間(잠깐 동안)」 「~の差(약간의 차)」 등 名詞적으로 쓸 때도 있음
南
《수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남. 몇째 아들. 〔반의어〕 女; 『문어』 연. 부드러움. 〔반의어〕 硬; 난. 화. 재난. 〔동의어〕災い; 〈接頭語 또는 接尾語적으로도 씀〉 어려움. 〔반의어〕 易; 흠. 결점; 비난; ⇒ なに. 〔참고〕 「なに」의 변한말; 《名詞 및 이에 준하는 말에 붙어》 불확정한 수량을 나타냄. 몇. 얼마; 《고어》 ⇒ なむ; 『문어』 《完了의 助動詞 「ぬ」의 未然形 「な」에 推量의 助動詞 「ん」이 붙은 말. 動詞의 連用形에 붙음》; …하여 버릴 것이다. 아마 …할 것이다; …해 버리자. …하기로 하자
どっち?
僕知ってるよ
僕
하인. 종. ((예스러운 말)) 〔동의어〕召使·下男
あっちだよ
あっち
《「あち」의 변한말》 저기. 저쪽. 저리. 〔반의어〕 こっち
だって公園で見たから
だって
상대의 말을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고 반론하는 경우에 씀. 그렇지만. 하지만. 그런데. 〔동의어〕でも; 《助動詞 「だ」에 助詞 「とて」가 붙은 「だとて」의 변한말. 体言 또는 体言에 준하는 말에 붙음》; …(이)라도. …일지라도. …라 하여도; …에게조차; …이든 …이든; …이란다
公園
구연; 구술(口述); 공원; 공연; 광염; 빛나는 불꽃; 호연. 훌륭한 연기나 연주; 후원; 『문어』 원군. 후진(後陣); 후원; 홍염; [promiminence]『천문』 프로미넌스. 태양의 표면에서 뿜어 나오는 불꽃 같은 고온 가스. 〔동의어〕プロミネンス; 『문어』 황원. 황폐한 정원; 『문어』 향연. 불전(佛前) 등에서, 피우는 향의 연기; 『문어』 강연. 강의하는 자리; 강연; 『문어』 고원. 고상하고 원대함. {문어·ナリ 활용 }; 『문어』 합언. 갑자기 일어나는[발생하는] 모양. 홀연히. 별안간. 덜컥. ((주로 사람의 죽음의 형용)) {문어·タリ 활용}; 『문어』 광원. 굉원. 훤하게 넓고 큼. 원대함. {문어·ナリ 활용 }
見
개; 건물을 세는 말. 채. 집; 아호(雅號)·옥호(屋號) 등에 쓰는 말; 주된 요리나 생선회에 곁들이는 야채·해초 등; 건. 사항. 사건; 같은 사항·사건 등의 수를 세는 말. 건; 『문어』; 보기만 하고 사지 않음. 〔동의어〕素見·ひやかし; 어떤 일을 할 수 있는 자격을 나타내는 쪽지. 표. 〔동의어〕切符; 그것이 가치·자격 등을 나타내는 쪽지임을 나타냄. 권; (여성의 용모·자태 등이) 곱고 아름다움; 『정치』 현. 일본 지방 행정 구역의 하나. ((한국의 도(道)에 해당함)) 〔참고〕 원래, 중국의 지방 행정 구역의 이름; 《接続詞적으로 씀》 겸; 양날의 칼. 검; 검술; 총검; 벌의 꽁무니에 있는 침. 또는 곤충의 암컷 꽁무니에 달린 침 모양의 산란기; 주먹. 〔동의어〕にぎりこぶし; 권법(拳法); 건; 역(易)의 8괘의 하나. 점대에 나오는 「☰」 모양. 〔반의어〕 坤; 하늘; 험준함. 또는 험준한 곳. 〔동의어〕難所; (눈빛·표정·말씨 등에 나타나는) 매서움. 사나움. 표독함; 주위를 에두른 곳. 동그라미. 원; 범위; 권. 한정된 지역. 일정한 범위; 『문어』 단단함. 견고함. 견고한 것; 칸; 사이. 특히, 건물의 기둥과 기둥 사이; (바둑판·장기판의) 눈. 또는 눈을 세는 말; 『생리학』 건. 힘줄; 『문어』 권력. 〔동의어〕権力·権限; 권리; 「聖」가 청주(淸酒)를 뜻하는 데 대하여, 탁주; 건. 건반. 키. 〔동의어〕キー; 『문어』 ⇒ けむ
うん、本当?
本当
⇒ ほんとう
方位磁石が必要ね
方位
방위; 방향. 〔참고〕 옛날에는 십이지(十二支)로 나타냈음; 민간 신앙에서, 음양(陰陽)·오행(五行)·십간(十干)·팔괘(八卦) 등에 의한 방향의 길흉; 포위; ⇒ 布衣; ⇒ 法衣; 『문어』 법의. 법의 취지; 멀리 있는 사람을 부르는 소리. 어어이
磁石
『물리』 자석. 마그네트. 〔동의어〕じせき; 자석반(磁石盤). 나침반. 컴퍼스; 『광물』 자철광(磁鐵鑛)
必要
『문어』 필용. 꼭 써야 함. 〔동의어〕必要; 필요. 〔동의어〕必用. 〔반의어〕 不要. {문어·ナリ 활용 }
あと恵方巻きに
恵方
음양도(陰陽道)에서, 그 해의 간지(干支)에 따라 길하다고 정해진 방향. 길한 방위. 길방. 〔동의어〕としとく
7つの具を入れると
具
연장. 도구. 수단; 꾸미. 건더기. ((비빔밥이나 국에 넣기 위해 잘게 썬 고기·생선·야채 등)); 한 벌로 된 의복·기구 등을 세는 말. 벌; 우. 어리석음. 우둔함; 저. 제
入れる
넣다. 들어가게 하다. 들이다; 수용하다. 넣다; 입학시키다. 넣다; 입원시키다; 고용하다. 채용하다; 끼워 주다; 듣다; 포함시키다. 넣다; 끼워 넣다. 박다; 개입하다. 참견하다. 방해하다. 〔참고〕 「容れる」로도 씀; 들이다. 쏟아 넣다; 걸다; 품다. 두다. 〔참고〕 「容れる」로도 씀; 구입하다; 납품하다; 손질하다. 수정하다; (도구를 써서) 일하다; 받아들이다. 〔참고〕 「容れる」로도 씀; 입금시키다; 투표하다; 〈「身を~」 「心を~」의 꼴로〉 전념하다. 몰두하다. 힘을 기울이다; (차 등을) 달이다. 내다; (전기 등을) 작동시키다. 켜다. 【문어형】 い·る {하2단 활용}; 볶이다. 볶아지다; 초조해지다. 〔동의어〕じれる
縁起がいいですよ
縁起
연기; 관객에게 예능의 재주를 보임; (비유적으로) 겉으로 꾸미는 짓; 『문어』 연의; 알기 쉽게 설명함; 사실(史實)을 재미있게 수식하여 쓴 중국의 통속 소설; 연희; ⇒ 演技1.; 『불교』 일의 기원. 유래; 신사(神社)나 절의 유래; 길흉(吉凶)의 조짐. 운수. 재수. 〔동의어〕きざし
なぜですか
七福神にちなんでいます。
七福神
복덕(福德)의 신으로서 신앙의 대상이 되고 있는 일곱 신. ((大黒天·恵比須·毘沙門天·弁財天·福禄寿·寿老人·布袋의 총칭))
なるほど
もしよかったら
私の家で恵方巻きを作って
私
값. 가격. 대금. 〔동의어〕ね·値段; 가치. 값어치. 〔동의어〕値打ち; 『수학』 수치(數値). 수량. 값. 〔참고〕 3.은 「値」로 씀; 《속어》 《「あたし」의 변한말》 저. 나. 〔동의어〕わたし. 〔참고〕 흔히 여자 아이가 씀
家
집. 주택. 〔동의어〕住まい; 가정. 가족. 또는 그 생활 상태. 살림; 자기 집[가정]. 자택. 〔동의어〕我が家; 가계(家系). 집안. 가문. 문벌; 재산. 가산; 기예(技藝)의 세계에서, 그 유파(流派)의 본가(本家). 〔동의어〕家元; 아니오. 아뇨. 〔동의어〕いいえ. 〔참고〕 「いや」 「いいや」 보다 약간 공손한 말
恵方
음양도(陰陽道)에서, 그 해의 간지(干支)에 따라 길하다고 정해진 방향. 길한 방위. 길방. 〔동의어〕としとく
一緒に食べましょう
一緒
같은 곳; 일서; 한 통의 편지; 어떤 책. 한 책; 《「一所」의 변한말》; 하나로 모임[모음·됨]. 같이 섞임. 함께 어울림; 같음. 구별이 없음; 같이함. 함께함; 〈「ご~する」의 꼴로 같이 가다의 겸사말〉 동행하다; 동시에 함; 일서. 이름만 남고 내용·실물이 전해지지 않은 책
うん、うん
楽しそう
焼き海苔と酢飯を用意しますから
焼き
구움. 또는 구워진 정도; 담금질. 불림; 야기; 밤의 (찬) 공기; 밤기운. 밤기운이 고요함
海苔
아직 마르지 않은 끈적끈적한 피. 〔동의어〕血糊; 법규. 규정. 법. 규범. 규칙. 〔동의어〕おきて; 도리; 모범. 본. 〔동의어〕てほん; 부처의 가르침. 불법; (토목 공사 등에서) 경사면의 기울기; 치수. 직경. 지름. 〔참고〕 4.6.은 「法」로 씀; 탐; (그림물감·분 등의) 묻는 정도; (謡曲에서) 박자에 맞는 창(唱)의 리듬의 형태; 歌舞伎에서, 三味線의 리듬에 맞추어 대사를 말하며 연기를 함; 三味線 음악 등에서의 템포·리듬감; (탈것에) 타기. 타는 사람; (인원수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승; 『식물·식물학』 바닷말 중 물속의 암석에 붙은 이끼 모양의 것의 총칭. 특히, 「あさくさのり」를 이름; 풀
酢
『농학·농림·농업』 괭이로 밭의 흙을 깎아 낸 얕은 고랑. 또는 그 흙을 긁어 올려 지은 두둑; 다랑어 등의 생선살을 횟감으로 알맞게 자른 걀쭉한 덩어리; (문학·예술 등의) 작품을 만듦. 또는 그 작품; 작황(作況). 수확; 『문어』 어제. 전날. 〔동의어〕きのう; 지난; (나무·대 등을 두른) 성채(城砦). 녹채(鹿砦). 〔동의어〕とりで; 『문어』; (음력으로) 초하루. 〔동의어〕ついたち; 옛날, 중국에서 천자(天子)가 연말에 제후(諸侯)에게 주던 다음해의 책력. (변하여) 천자의 정령(政令); (굵은) 밧줄. 새끼. 로프. 〔동의어〕綱; 계책. 책략; 목간(木簡); 매. 채찍; 꽃피다. 【가능동사】 さ·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찢다; 쪼개다; 떼다. 벌어지게 하다; 가르다. (생선 따위의 배를) 따다; 「さける」의 문어
飯
『문어』; 말함. 말; 〈「…の~」의 꼴로〉 …에 대한 표현. …이라는 뜻[의미]. 까닭; 《고어》 밥. 〔동의어〕飯·御飯; 예예. ((승낙의 대답)) 〔동의어〕はい; 『문어』 고분고분 따름. {문어·タリ 활용}; 《「良い」 보다 부드러운 표현. 보통은 終止形·連体形으로만 씀》; 좋다; (반어적으로) ‘나쁘다’의 뜻을 나타냄; 『문어』 의의함. 헤어지기가 서운함. 연모함. {문어·タリ 활용}; 『문어』 이연(怡然). 기뻐하고 즐거워함. {문어·タリ 활용}; 『문어』 쉬움. 용이함. {문어·タリ 활용}
用意
용의. 범용(凡庸)한 의사. 평범한 의사; 용이. 손쉬움. 〔반의어〕 困難. よう-さ 【명사】 {문어·ナリ 활용 }; 준비. 채비. 〔동의어〕支度; 대비. 조심. 주의. 〔동의어〕用心; 『문어』 요이. 요사스럽고 괴이함. 요괴. 도깨비. 〔동의어〕ばけもの
好きな7つの具を持ってきてください
好き
좋아함. 〔반의어〕 きらい; 색다른 것을 좋아함. 〔동의어〕ものずき; 호색. 〔동의어〕いろごのみ; 마음 내키는 대로임. 제멋대로임; 틈; 빈틈. 틈새기. 빈곳. 〔동의어〕隙間; 겨를. 짬; 허점. 방심. 틈탈 기회; 『농학·농림·농업』 쟁기. 극젱이. 〔동의어〕からすき; 종이를 뜸. 초지(抄紙); 『농학·농림·농업』 가래; 풍류(風流). 풍류의 길. 특히, 다도(茶道)·和歌를 즐김. 〔참고〕 「好き」의 차자. 「数奇」는 딴말임
具
연장. 도구. 수단; 꾸미. 건더기. ((비빔밥이나 국에 넣기 위해 잘게 썬 고기·생선·야채 등)); 한 벌로 된 의복·기구 등을 세는 말. 벌; 우. 어리석음. 우둔함; 저. 제
ください
《「下さる」의 命令形》 주십시오; 《「お」+動詞의 連用形, 「ご」+한자어, 또는 動詞의 連用形+助詞 「て(で)」의 꼴 등에 붙음》 남에게 권하거나 바라는 뜻을 나타냄. …해 주세요.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何にしようかな
何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チーズ、ソーセージ、ハム、ベーコン、マッシュルーム
チーズ
치즈. 건락. 〔동의어〕乾酪
ソーセージ
소시지. 〔동의어〕腸詰め
ベーコン
베이컨. 소금에 절인 돼지 고기를 훈제한 보존 식품
マッシュルーム
『식물·식물학』 머시룸. 양송이. 〔동의어〕シャンピニオン·西洋まつたけ. 〔참조어〕 はらたけ
健太くん、何考えてるの?
何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考え
생각
ピザじゃないよ
お寿司だよ
寿司
(식초에 담근) 생선살
悠仁さま、中学校に入学「充実した生活を送りたい」
佳子さまギリシャ訪問 修復中のパルテノン神殿 新発見に「醍醐味ですね」【知っておきたい!】【グッド!モーニング】(2024年5月27日)
突風で建物が倒壊 電柱が折れる被害も 茨城・行方市(2023年7月13日)
イソップ童話 蚊と牛
人
「バービー人形」モデルに日本人女性起業家選ばれる(2022年3月13日)
「中秋の名月」今年も満月と同日に(2022年9月10日)
能登半島地震 珠洲市で災害ボランティア開始(2024年2月4日)
22のパチンコ店に休業依頼 28日営業なら店名公表(20/04/27)
人口約650人の村で一足早い成人式 4人の門出祝う(2023年1月2日)
You need to upgrade to a premium account to using this feature
Are you sure you want to test again?
Please upgrade your account to read unlimited newspap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