秋の夕日に照る山もみじ。
秋の夕日に照る山もみじ。
濃いも薄いも数ある中に。
松を彩る楓や蔦は。
山のふもとの裾模様。
秋の夕日に照る山もみじ。
照る
밝게 빛나다. (해·달 등이) 비치다; (날씨가) 개다; 아름답게 빛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接続助詞 「て」에 補助動詞 「いる」가 붙은 「ている」의 변한말. 앞에 오는 말에 따라서는 「でる」로도 됨》 …하고 있다. ((허물없는 사이의 구어투)) 〔동의어〕…ている
夕日
석양. 〔동의어〕入り日. 〔반의어〕 朝日; ⇒ フライ; 웅비. 의욕적으로 씩씩하게 활약함. 〔반의어〕 雌伏
秋
비어 있음. 공간(空間). 여백. 간격. 틈새기; 빈자리. 결원; 여가. 틈. 짬. 〔동의어〕ひま; 여분. 여벌. 사용하지 않고 있는 물건; 가을; 가을걷이. 추수; 싫증. 물림. 진력남; 『지리·지학·지명』 일본의 옛 지명. 지금의 広島현의 서부. 〔동의어〕芸州
山
『문어』; 마음 아파함. 몹시 슬퍼함. {문어·タリ 활용}; 『문어』 찬란함. 눈부심. 휘황하게 빛남. {문어·タリ 활용}; 《「さま」의 변한말》; 인명·직명에 붙어 경의를 나타냄. 또는 동물명 등에 붙여 친애의 뜻을 나타내기도 함. 님. 씨. 군. 양. 선생; 인사말 등에 붙어 공손한 기분을 나타냄. 〔참고〕 「様」보다 친근한 말씨; 산; 절 이름 앞에 곁들이는 말. 산호(山號); 산. 가루약; 三味線의 셋째 줄. 〔동의어〕三の糸. 〔참고〕 증서(證書) 등에 쓰는 갖은자는 「参」; 삼(三). 셋; 참가함. 옴; 선종(禪宗)에서 사람을 모아놓고 하는 좌선(坐禪)·설법·염불; 소매 없는 「じゅばん」. 속옷; (판자가 휘지 않도록 대는) 띳장; (문·장지·창 등의) 살; (사다리·망루·토대 등의) 가로장. 디딤판; 문의 비녀장; 출산(出産). 분만(分娩). ((보통 「お産」의 꼴로 씀)); 출생지. 출신지; 그 토지의 산물(産物). 산; 재산; 『문어』 잔. 술잔; 산가지. 〔동의어〕算木; 셈함. 계산함; 점대. (변하여) 점. 점괘; 가망. 공산. 예상. 계략. 수법; 찬; 인물·사물을 기리는 한문의 문장; 그림속에 곁들이는, 그림에 대한 시구(詩句). 화찬(畵讚); 논평. 비평; 초(醋). 신맛. 또는 맛이 심; 『화학』 산(酸). 〔반의어〕 アルカリ
濃いも薄いも数ある中に。
数
수; 수가 많음. 여러 가지; 손꼽을 만한 가치가 있는 것; 아래 그림. 〔반의어〕 上図
濃い
〈名詞에 붙어 形容詞를 만듦〉 진하다. 〔참고〕 促音이 따르는 경우가 많음; 〈성질·상태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形容詞를 만듦〉 정도가 심하다; (남녀간의) 사랑. 연애; 『문어』 청함. 부탁함. 〔동의어〕頼み; 『어류』 잉어; 『문어』; 옛 뜻; 옛날을 그리워하는 마음. 회고의 정; 『법률』 고의. 〔반의어〕 過失; 짙다. 〔반의어〕 薄い; (빛깔·맛·냄새 등이) 진하다; (농도가) 진하다; (밀도가) 촘촘하다; (확률이) 높다; (관계가) 밀접하다. こ·さ 【명사】 【문어형】 こ·し {ク 활용}
中
‘그 동안 줄곧’이란 뜻을 나타냄. 내내; 그 범위 전체에 걸친다는 뜻을 나타냄; 십; 열. 〔동의어〕とお; 전부. 전체; 거주함; 거처. 처소; 『문어』 부드러움. 부드러운 것. 얌전함. 〔반의어〕 剛; 『문어』 중요한 것; 〈「お~」의 꼴로〉 찬합. 〔동의어〕重箱; 중; 무거움. 혹심함. 〔반의어〕 軽; 『화학』 산성염(酸性塩)임; 겹친 것을 세는 말. 중. 층; 종. 종자. 하인. 〔동의어〕とも·けらい. 〔반의어〕 主; ⇒ じゅ; 총; 짐승. 〔동의어〕けもの; 수. 짐승
薄い
우수; 24절기의 하나. ((양력 2월 19일경)); 얇다. 〔반의어〕 厚い; 연하다. (맛이) 담백하다. 싱겁다. 〔반의어〕 濃い; 적다. 희박하다. 박하다; 약하다. 모자라다. 부족하다. うす·げ 【형용동사】 うす·さ 【명사】 【문어형】 うす·し {ク 활용}
松を彩る楓や蔦は。
松
꼭. 정확히; 정. 같은 품계(品階)에서 상위. 〔반의어〕 従; 꼭 닮음. ((예스러운 말)) 〔동의어〕そっくり; 증. 병의 증상; (경기 등에서) 이긴 횟수. 승. 〔반의어〕 敗; 『문어』 명승지; 증. 증명서; 『문어』 증거; (병원 등에서) 병상(病床)의 수. 병상; 소. 작음. 작은 것[쪽]. 〔반의어〕 大; 달이 작음; (허리에 차는) 작은 칼. 〔동의어〕わきざし; 소. 작은. 약간의. 〔반의어〕 大; 승. 되; 적음. 적은 것. 〔반의어〕 多; 『문어』 젊음. 나이가 어림; 『문어』 생. 삶. 목숨. 생명. 〔동의어〕いのち·せい; 초; 발초(拔抄). 또는 그 초록(抄錄). 〔동의어〕ぬきがき; 고전의 주석서.〔동의어〕抄物; 종이를 뜸. 종이를 만듦. 〔참고〕 1.2.는 接尾語적으로 씀; 『문어』; 첩. 〔동의어〕めかけ·てかけ·そばめ; 『문어』 《自称의 代名詞》 소첩. 〔동의어〕わらわ; 『불교』 성. 만물의 본체; 성. 타고난 성질. 천성. 기질; 체질; 품질. 특성; 음양도(陰陽道)에서, 목(木)·화(火)·토(土)·금(金)·수(水)의 오행(五行)을 사람의 생년월일에 배정한 것; 성. …의 성질. …하는 성질; 한시(漢詩)에서, 승구(承句); 성; 중국의 최상급의 지방 행정 구획; 『역사』 律令制에서의 중앙 관청; 정부의 내각을 조직하는 행정 관청. ((한국의 부(部)에 해당)); 『문어』 〈接頭語적으로 씀〉 생략함. 절약함; 『문어』 상. 재상(宰相). 대신(大臣); 장. 장수. 대장; 칭호. 일컬음; 칭송. 칭찬. 평판; 상; 『문어』 〈接尾語적으로도 씀〉 장사. 상업. 또는 상인; 『수학』 나눗셈에서 얻은 답. 몫. 〔반의어〕 積; 『음악』 동양 음악에서 5음 음계의 제2음; 『역사』 중국 고대의 은(殷)나라의 처음 이름; 장;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장·악곡을 내용에 따라 크게 나눈 한 단락; 『문어』 수미(首尾)를 갖춘 문장. 시가(詩歌); 기장(記章). 〔동의어〕しるし; 『음악』 생황(笙篁). 〔동의어〕笙の笛; 『문어』 손바닥. 〔동의어〕たなごころ; 상; 역(易)의 점괘. 〔동의어〕占形; 『음악』 정. 아악에서, 타악기의 한 가지. 징; 송; 『문어』 남의 미덕이나 성공을 칭송하는 말. 또는 그 시가(詩歌); 요충지; 중요한 역할. 중임; 상. 포상. 또는 포상의 금품. 〔동의어〕ほうび. 〔반의어〕 罰; 『음악』 소. 퉁소의 일종; (등에) 지다. 짊어지다. 〔동의어〕せおう; (귀찮은 일 등을) 떠맡다. 【가능동사】 しょ·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ってる」의 꼴로》 우쭐해하다. 자만하다. 으쓱하게 여기다
彩る
색칠하다. 채색하다; 화장하다; (색을 배합해서) 꾸미다. 장식하다. 단장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楓
『식물·식물학』 단풍나무. 〔동의어〕もみじ.
蔦
장. 장부. 공책.; 총·가래·괭이·노·톱·대패·식칼·먹·양초·숫돌·三味線·바이올린 등을 세는 말. 정. 자루.; 가마·인력거 등 탈것을 세는 말. 채[대]. 〔참고〕 「丁」로도 씀.; 거문고·활 등을 세는 말. 개.; 장막·모기장 등을 세는 말. 장.; 짝수. 특히 주사위의 짝수. 〔반의어〕 半.; 《수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재래식 장정으로 된 책의 장수를 세는 말. 장. ((안팎의 양면이 한 장이 됨)); 두부를 세는 말. 모.; (음식점 등에서) 한 사람분을 단위로 하여 요리를 세는 말. 접시. 그릇.; ⇒ 町<1>2..; 관청. 〔동의어〕役所.; 平安 시대, 検非違使의 관청. 〔동의어〕検非違使庁·使庁.; 『문어』; 징조. 조짐. 〔동의어〕きざし.; 조. 억의 1만배.; 『법률』 지방 자치 단체의 하나. ((市와 村의 중간으로 읍(邑)에 해당 〔동의어〕町.; 거리(距離)의 단위. 정. 〔참고〕 「丁」로도 씀.; 시가(市街)를 소구분(小區分)한 지역 명. ((한국의 ‘동’에 해당)) 〔동의어〕町.; 『의학』 정. 정저(疔疽). 정종(疔腫). 급성의 악성 부스럼. 〔동의어〕癤.; 장. 우두머리. 〔동의어〕かしら.; 『문어』 연장(자). 연상(자).; 『문어』 장점. 〔동의어〕長所. 〔반의어〕 短.; 「長門の国」의 준말.; 『문어』; 조정. 〔반의어〕 野.; 천자가 다스리는 나라.; 아침. 〔동의어〕あさ·あした.; 한 군주 또는 같은 계통의 군주의 재위 기간. 조. 왕조. 〔동의어〕御代.; 동일 지방에 도읍을 두었던 시대.; 『생리학』 장. 창자. 〔동의어〕はらわた.; 『문어』; 조짐. 전조. 징후.; 징수함. 공출(供出)시킴.; 『곤충』 나비. 〔동의어〕ちょうちょう.; 『역사』 律令 제도 시대의 조세(租稅)의 하나. 남자에게 부과되는 인두세로, 그 지방의 토산물을 납부하게 한 것. 〔동의어〕みつぎ.; 『음악』 하나의 음계 또는 화음을 기조로 한 음조직의 특성.; 일반적으로, ‘가락’을 이르는 말. 〔동의어〕調子.; 《名詞에 붙음》; 시가(詩歌)의 음절수에 의한 가락. 조.; 어떤 상태·특징·형식 등이 그것의 범주에 속함을 나타냄. 풍(風). 식(式).; 『문어』 총애. 〔동의어〕寵愛.; 『문어』 독수리. 〔동의어〕鷲.; 초.; 정도가 그 이상임.; 그것에서 극단적으로 벗어나 있음.; 『경제』 초과.
山のふもとの裾模様。
山
『문어』; 마음 아파함. 몹시 슬퍼함. {문어·タリ 활용}; 『문어』 찬란함. 눈부심. 휘황하게 빛남. {문어·タリ 활용}; 《「さま」의 변한말》; 인명·직명에 붙어 경의를 나타냄. 또는 동물명 등에 붙여 친애의 뜻을 나타내기도 함. 님. 씨. 군. 양. 선생; 인사말 등에 붙어 공손한 기분을 나타냄. 〔참고〕 「様」보다 친근한 말씨; 산; 절 이름 앞에 곁들이는 말. 산호(山號); 산. 가루약; 三味線의 셋째 줄. 〔동의어〕三の糸. 〔참고〕 증서(證書) 등에 쓰는 갖은자는 「参」; 삼(三). 셋; 참가함. 옴; 선종(禪宗)에서 사람을 모아놓고 하는 좌선(坐禪)·설법·염불; 소매 없는 「じゅばん」. 속옷; (판자가 휘지 않도록 대는) 띳장; (문·장지·창 등의) 살; (사다리·망루·토대 등의) 가로장. 디딤판; 문의 비녀장; 출산(出産). 분만(分娩). ((보통 「お産」의 꼴로 씀)); 출생지. 출신지; 그 토지의 산물(産物). 산; 재산; 『문어』 잔. 술잔; 산가지. 〔동의어〕算木; 셈함. 계산함; 점대. (변하여) 점. 점괘; 가망. 공산. 예상. 계략. 수법; 찬; 인물·사물을 기리는 한문의 문장; 그림속에 곁들이는, 그림에 대한 시구(詩句). 화찬(畵讚); 논평. 비평; 초(醋). 신맛. 또는 맛이 심; 『화학』 산(酸). 〔반의어〕 アルカリ
裾模様
옷자락에 무늬가 있는 일본옷. 〔참고〕 부인용 예복·나들이옷 등에 많음.
【速報】ジェットスターが運航再開 システム障害が復旧 影響で17便が欠航(2024年1月12日)
新型コロナワクチン 4回目は接種間隔「少なくとも5カ月」で了承(2022年4月25日)
Jewel song
ネットだけで電気自動車が買える 日産の新サービス(2021年6月4日)
ウナギ不漁で高値も朝から列が・・・土用の丑の日
ウクライナ軍「へルソン州東部到達 国旗掲揚」 作戦開始の糸口も(2022年12月4日)
手のひらちょこんとサイズの「手乗り白菜」(2023年2月20日)
空から出来立て料理が!ドローンでフードデリバリー(2021年11月20日)
【速報】東京の新たな感染者は1876人 新型コロナ(2022年6月9日)
きみに読む物語
You need to upgrade to a premium account to using this feature
Are you sure you want to test again?
Please upgrade your account to read unlimited newspap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