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税を考える週間」が始まったことに合わせて、東京都内の職業体験施設で子どもたちが税務署の仕事を体験できるイベントが開かれています。
“Tax Thinking Week” begins Children experience tax investigation activities (2023/11/13)
263 view「税を考える週間」が始まったことに合わせて、東京都内の職業体験施設で子どもたちが税務署の仕事を体験できるイベントが開かれています。
国税庁は毎年11月11日からの1週間を「税を考える週間」と位置付けています。
それに合わせ、東京・江東区の「キッザニア」では、子どもたちが税務署の職員の仕事を体験できるイベントが行われています。
「お店にも税金のことをちゃんと聞いていることを学べて、税金の計算の仕方とかも分かった」
今日参加した小学生は税の種類などを学んだ後、施設内の店舗で提出された消費税の申告書に間違いがないか確認しました。
「税を考える週間」が始まったことに合わせて、東京都内の職業体験施設で子どもたちが税務署の仕事を体験できるイベントが開かれています。
考える
생각하다. 헤아리다. 사고(思考)하다. 〔참고〕 「思う」는 정의적(情意的)인 데 대하여 「考える」는 지적(知的)임. 【문어형】 かんが·ふ {하2단 활용}
週間
『법률』 수감; 종간. 〔반의어〕 創刊·発刊; 종권. (전집 등의) 마지막 권. 책의 마지막 부분. 〔반의어〕 首巻; 습관. 풍습; 주간; 주간
職業
직업
体験
『지리·지학·지명』 대권. ((지구의 중심을 지나는 평면과 지표가 만나 이루는 원)) 〔동의어〕大円; 대권. (일본 구헌법에서) 천황이 행사하던 통치권; 『문어』 대현. 아주 현명함. 또는 그런 사람. 〔반의어〕 大愚; 체험; 대검. 칼을 참. 또는 그 칼. 〔동의어〕佩刀
税務署
세무서
合わせ
《고어》 반찬. 〔동의어〕おかず; 겹옷. 겹것. 〔반의어〕 単
仕事
일; 작업. 업무. 직업; 『물리』 어떤 물체에 힘을 가하여 그 상태나 위치가 이동함. 또는 그 변화한 정도
できる
전부 나가다[나오다]. 다 나가[나와] 남은 것이 없다. 〔동의어〕出つくす. 【문어 4단 활용 동사】; 《カ変動詞 「でくる」의 변한 꼴》; (새로) 생기다. 나다; 생성(生成)되다; 성립되다; 일어나다. 발생하다; 수중에 들어오다. 얻다; 생산되다. 산출되다; 만들어지다; 완성되다. 다 되다; (소질·경향을) 타고나다. 생겨 먹다; 능력·가능성이 있다. 할 수 있다. 가능하다; 〈サ変動詞의 語幹에 붙어 接尾語적으로〉 …할 수 있다. …하는 것이 가능하다; 잘하다. 할 줄 알다; (능력·인품이) 뛰어나다. 출중하다. 되어 있다; 《속어》 (남녀가) 깊은 관계에 있다. 눈이[배가] 맞다; 『경제』 (증권 거래소에서) 매매가 성립되다
東京
『지리·지학·지명』 도쿄. 동경. 일본의 수도. ((徳川幕府 시대에는 江戸라고 불렸음))
施設
『문어』 사절. 목숨을 바쳐 절개를 지킴; 사설. 〔반의어〕 公設·官設; 『문어』 사설. 개인적인 학설이나 의견; 옛날, 조정에서 지방으로 파견한 관리; 시설; 특히 양호 시설 등 사회 복지 사업을 하는 곳
イベント
이벤트; 사건; 경기 종목. 경기. 〔동의어〕エベント·イヴェント
税
『경제』 세. 세금; 점대를 사용하여 치는 점; 『문어』; 낭비; 사치
都内
수도의 안. 도시의 안; 東京都 안의 중심 지역. ((23개 구(區))) 〔반의어〕 都下
国税庁は毎年11月11日からの1週間を「税を考える週間」と位置付けています。
考える
생각하다. 헤아리다. 사고(思考)하다. 〔참고〕 「思う」는 정의적(情意的)인 데 대하여 「考える」는 지적(知的)임. 【문어형】 かんが·ふ {하2단 활용}
日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週間
『법률』 수감; 종간. 〔반의어〕 創刊·発刊; 종권. (전집 등의) 마지막 권. 책의 마지막 부분. 〔반의어〕 首巻; 습관. 풍습; 주간; 주간
月
《「月曜日」의 준말》 월; 《「…か~」의 꼴로》 …(개)월
毎年
⇒ まいねん
税
『경제』 세. 세금; 점대를 사용하여 치는 점; 『문어』; 낭비; 사치
国税庁
『정치』 국세청.
それに合わせ、東京・江東区の「キッザニア」では、子どもたちが税務署の職員の仕事を体験できるイベントが行われています。
体験
『지리·지학·지명』 대권. ((지구의 중심을 지나는 평면과 지표가 만나 이루는 원)) 〔동의어〕大円; 대권. (일본 구헌법에서) 천황이 행사하던 통치권; 『문어』 대현. 아주 현명함. 또는 그런 사람. 〔반의어〕 大愚; 체험; 대검. 칼을 참. 또는 그 칼. 〔동의어〕佩刀
税務署
세무서
合わせ
《고어》 반찬. 〔동의어〕おかず; 겹옷. 겹것. 〔반의어〕 単
区
《고어》 《活用語에 붙어 名詞화함》 …하는 일. ((현재는 복합어로서 약간 남아 있을 뿐이며, 副詞적으로 쓰임. 「いわ~」 「おもわ~」 「願わ~は」 「安け~」 등)) 〔참고〕 動詞에서는 連体形의 끝 음이 「ア」열(列)의 음으로 변한 꼴에, 形容詞에서는 끝 음이 「け」로 변한 꼴에 붙음; 구. 아홉. 〔동의어〕ここのつ·きゅう; 『불교』 입. 말; 인원수·기구(器具) 등을 세는 말. 개; 구; 법령 집행을 위하여 마련된 구획. ((선거구·학구 등)); 대도시에서 행정상의 구획의 하나; 구. 지역; 『언어학』 구. (문장의) 구절; 『언어학』 시가·문장의 한 문절; 『언어학』 관용구; 『언어학』 和歌·俳句·한시(漢詩) 등의 구. 구절; ⇒ 俳句; 連歌의 구절 및 俳句 등을 세는 말. 구절; 괴로움. 고통. 〔반의어〕 楽; 노고(勞苦). 고생. 곤란; 근심. 걱정. 고민; 『문어』 몸. 몸뚱이. 〔동의어〕身; 불상(佛像)을 세는 말. 좌(座). 〔동의어〕体; 『문어』 두려워함. 두려움; 『문어』 《「来る」의 文語》; 가다. 〔참고〕 옛날에는 命令形에 「よ」가 딸리지 않고 「こ」라고만 썼음
仕事
일; 작업. 업무. 직업; 『물리』 어떤 물체에 힘을 가하여 그 상태나 위치가 이동함. 또는 그 변화한 정도
できる
전부 나가다[나오다]. 다 나가[나와] 남은 것이 없다. 〔동의어〕出つくす. 【문어 4단 활용 동사】; 《カ変動詞 「でくる」의 변한 꼴》; (새로) 생기다. 나다; 생성(生成)되다; 성립되다; 일어나다. 발생하다; 수중에 들어오다. 얻다; 생산되다. 산출되다; 만들어지다; 완성되다. 다 되다; (소질·경향을) 타고나다. 생겨 먹다; 능력·가능성이 있다. 할 수 있다. 가능하다; 〈サ変動詞의 語幹에 붙어 接尾語적으로〉 …할 수 있다. …하는 것이 가능하다; 잘하다. 할 줄 알다; (능력·인품이) 뛰어나다. 출중하다. 되어 있다; 《속어》 (남녀가) 깊은 관계에 있다. 눈이[배가] 맞다; 『경제』 (증권 거래소에서) 매매가 성립되다
東京
『지리·지학·지명』 도쿄. 동경. 일본의 수도. ((徳川幕府 시대에는 江戸라고 불렸음))
イベント
이벤트; 사건; 경기 종목. 경기. 〔동의어〕エベント·イヴェント
職員
직인; 직원
「お店にも税金のことをちゃんと聞いていることを学べて、税金の計算の仕方とかも分かった」
仕方
하는 방법[방식]. 수단; 거동. 처사. 처신. 〔동의어〕しうち; 몸짓. 손짓
計算
⇒ けさん; 계산. 셈; 계수(計數). 계량(計量); 『수학』 연산(演算); 예상. 어림; 『화학』 규산
税金
세금
ちゃんと
차근차근 하는 모양. 착실하게. 꼼꼼이. 틀림없이; 분명하게. 조리있게; (신원·신분 등을 인정받아) 확실하게. 어엿하게; (태도를) 견실하게. 반듯하게; 정연하게. 바르게. 단정하게; 분명히. 틀림없이; 이미. 벌써; 충분히
店
상점. 가게; (예스러운 말로) 셋집; 선반. 시렁; 바다 속에서, 물고기가 떼지어 노니는 둔덕; ⇒ 船棚; 포도 등의 덩굴을 받치는 시렁; 대륙붕
今日参加した小学生は税の種類などを学んだ後、施設内の店舗で提出された消費税の申告書に間違いがないか確認しました。
後
뒤. 후; (공간적으로) 뒤쪽. 후방. 등쪽; (시간적으로) 뒤. 나중. 다음; 현재로부터 거슬러 오른 때. 이전. 〔반의어〕 先; 뒷일. 후사(後事). 뒤처리. 사후(死後); 나머지; 후임(자). 후처(後妻); 후손. 자손. 1.2. 〔반의어〕 前·先; 자국. 발자국; 자취. 흔적. 종적. 행적; 필적(筆跡); 왕래. 인적(人跡); 가독(家督). 대(代); 터. 유적; 《고어》 선례(先例). 선인(先人)의 본보기
確認
확인
今日
광. 그 일에 열중하는 사람임을 나타냄; 협. 협곡(峽谷)임을 나타냄; 교. 종교임을 나타냄; 교. 다리임을 나타냄; 경. 거울임을 나타냄; 오늘. 금일. 〔동의어〕本日; 흉. 운수가 나쁨. 불길함. 〔동의어〕不吉. 〔반의어〕 吉; 〈「共産党」의 준말〉 공산당; 〈「共産主義」의 준말〉 공산주의; 『문어』 수도. 서울. 〔동의어〕首都; 京都. 〔참고〕 옛날에 일본의 수도였음; 『수학』 경. 조(兆)의 1만 배. 〔동의어〕京; 「いろは歌」의 끝에 붙이는 말; 《「香車」의 준말》 일본 장기짝의 하나; 강함. 강자; (어떤 수량에 붙어) 그보다 조금 더 됨을 나타냄. 〔반의어〕 弱; 『불교』 불경. 경문. 〔동의어〕お経; 성전(聖典). 경서(經書); 『문어』 고향. 〔동의어〕ふるさと; 곳. 장소. 지역; 어떤 장소나 경우; 마음의 상태. 경지; 경; 장소. 범위. 처지; 심경. 경지(境地); 흥; 흥취. 흥미. 재미. 〔동의어〕面白み; 좌흥(座興); 『문학』 한시(漢詩) 육의(六義)의 하나. 어떤 사물에 접하여 자기의 감흥을 표현함
参加
『문어』 삼하. 여름 석달. 초하(初夏)·중하(仲夏)·만하(晩夏). 또는 맹하(孟夏)·중하(仲夏)·계하(季夏); 산화. 산불; 『문어』 산하; 산천; 자연. 〔참고〕 「さんが」라고도 함; 『문어』 산가. 산중의 집. 〔동의어〕やまが; 전날, 떠돌이 생활을 하며 특수 사회를 이루고 있던 사람들. ((산속·강변 등에서 야영을 하며, 죽세공·수렵 등으로 생계를 이어갔음)) 〔동의어〕さんわ; 참가; 참화; 『의학』 산과; 『문어』 산하. 〔동의어〕翼下; 『화학』 산화. 〔반의어〕 還元; 찬가; 단체에 소속된 사람이 특수한 기능을 살려 활동하는 것
種類
주류; 종류
消費
소비. 〔반의어〕 生産
提出
드러냄. 나타냄; 내놓음. 제출; 제출
間違い
틀림. 잘못됨. 〔동의어〕誤り; 실수. 과실. 〔동의어〕あやまち; 사고. 돌발 사태
小学生
초등학생; 장학생
申告
신고; 신국. 신이 세우고 수호한다는 나라. 한때, 일본의 미칭으로 쓰였음. 〔동의어〕神州; 『문어』 심곡. 깊은 골짜기; 심각함. 마음에 깊이 새겨질 만큼 절실한 모양; 『문어』 심흑. 짙은 검은빛. {문어·ナリ 활용 }; 청국. 〔동의어〕清; 신곡. 햇곡식. 특히, 햅쌀; 친고; 피해자가 고소함
施設
『문어』 사절. 목숨을 바쳐 절개를 지킴; 사설. 〔반의어〕 公設·官設; 『문어』 사설. 개인적인 학설이나 의견; 옛날, 조정에서 지방으로 파견한 관리; 시설; 특히 양호 시설 등 사회 복지 사업을 하는 곳
店舗
점포. 가게. 〔동의어〕店; 전보. 전임; 『문어』 전보. 보전. 부족·결손을 메움. 〔동의어〕穴うめ·補塡
内
動詞 앞에 붙어 뜻을 강조하거나 어조를 고름; ‘완전히’의 뜻; ‘조금’ ‘가볍게’의 뜻. 〔참고〕 현대어에서 「~明ける」 「~合わせる」 「~立てる」 「~切る」 등처럼 뒤의 동사와 합하여 새로운 뜻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음; (어떤 범위·한도·구역의) 안. 속. 가운데. 중; (물건의) 내부. 안. 〔반의어〕 外; 마음속. 심중; 자기가 소속해 있는 곳. ((가정·직장 등)) 〔반의어〕 よそ; 집. 가옥. 가정. 또는 자기 집. 자기 가정; 《고어》 궁중. 금중(禁中). 〔동의어〕内裏. 〔참고〕 1.~3.은 「中」, 5.는 「家」로도 씀. 4.는 かな로 쓰는 경우가 많음; 어떤 시간의 범위 안. 동안; 어떤 상황이 진행하는 동안. 〔참고〕 주로 かな로 씀; 《関西(관서)방언》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주로 여성이 씀)) 〔동의어〕わたし. 〔참고〕 かな로 쓰는 경우가 많음
書
초. 첫. 처음의; 초; 제. 여러. 많은; 소. 어떤 일을 하기 위한 장소·시설·기관. 〔참고〕 「じょ」로 읽는 경우가 있음; 서. 관청임을 나타냄; 《「警察署」의 준말》 서; 서; 쓴 글씨. 필적; 서법(書法). 서도(書道). 서예; 책. 서류; 편지. 서간; 서. 책·문서 등의 뜻을 나타냄; 서. 〔반의어〕 寒; 대서(大暑)와 소서(小暑). 복중(伏中); 보관을 주업무로 하는 관공서를 나타냄; 서. 실마리. 처음. 〔동의어〕ちょ
税
『경제』 세. 세금; 점대를 사용하여 치는 점; 『문어』; 낭비; 사치
「首都で軍の複数の施設をドローン攻撃」民主派組織の発表をミャンマー国軍は被害否定(2024年4月5日)
日本初!“ヴィーガン対応”フルーツサンド店(2021年1月13日)
ワタミのコンテナ型店舗・・・経営者にメリット(2020年9月11日)
天皇皇后両陛下 「日本国際賞」の授賞式に出席
灰色と青
色を選ぶだけでわかる、あなたの精神年齢!
米産牛肉値上がり 去年の約1.7倍 消費回復原因か(2021年6月3日)
熊本・人吉市など約4100世帯に避難指示 九州の大雨(2021年5月27日)
カムチャツカ半島の火山噴火 日本への津波影響なし(2022年5月29日)
韓国・文大統領が対日関係改善に意欲 新年の演説(20/01/07)
You need to upgrade to a premium account to using this feature
Are you sure you want to test again?
Please upgrade your account to read unlimited newspap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