翻訳: Yumi Urushihara 校正: Shoko Takaki
翻訳: Yumi Urushihara 校正: Shoko Takaki
こんにちは 皆様
ほとんどの皆様は SF映画をご覧になっていると思います
『スター・トレック』や 『スター・ウォーズ』のような
映画をご覧になっていると思います
でも 今お見せしているのは SFの映画でもありません
コンピューターグラフィックスでも ありません
これは本物のビデオで
私と私の乗員仲間がスペースシャトル 「ディスカバリー」に
乗船している時に撮った映像です
これは 2010年のことで
ISS国際宇宙ステーションから 切り離された時から 撮っている映像です
で ISSは 未だに地球の周りを
マッハ25―音速25で 周回をしています
これは秒速8kmの速度です
で 今お見せしているのも 実際の速度であり
早送りをしていません
今日は 皆様と3つのことを ご共有したいと思っております
まずは 「地球の美しさ」です
このビデオで ご覧頂けます通り
素晴らしい自然を見ることができます
山、川、白い雲、そして青い海
そして時には
北極、南極では 素晴らしい オーロラ等も見ることができます
本当に息を呑むばかりです
でも同時に 驚くべきことなんですけれども
地球を取り巻く大気層が あまりにも薄いということです
そして 私たちは皆
この薄い 脆弱な層 大気層によって
守られているということを 知ると驚きます
そして太陽が昇り そして落ちるまで
これは90分に1回 起こるんですけれども
大気層の薄い層が 虹のように光ります
とても美しいです
そして バックミンスター・フラー氏は
かつて地球のことを 「宇宙船地球号」と述べました
私自身は 本当に 地球は宇宙船だと感じました
もちろん大きいのですけれども 無限でもない
土地も資源も有限である という意味で
宇宙船と感じました
ということで
宇宙船地球号をより良い方法で 使っていかなければなりません
というのも 世界人口も また エネルギー消費量も
どんどん増えているからです
ですので 宇宙船地球号を 自分たちの持てる資源を
対立をするのではなく 積極的に使えるように
うまく使いこなして いかなければなりません
2つ目に共有したいアイデアは 「人間の力の話」です
日中 素晴らしい自然が 目の前に展開します
でも 夜には都市の照明が 輝いて美しいのです
これは人間の文明の 象徴 [である] かのようです
また ISSを見て びっくりしたことがあるのです
ISSに対して 近づいていって
そして ビデオで見ているように
ISSから離れている時に 驚いたんですけれども
幅は100メートル 長さ75メートルのISSは
ちょうど サッカー場と同じぐらい 巨大なものなのですけれども
これは国際的な協力[無くしては] できないことです
ということで 人間の国境を越えた協力の賜物です
ISSプロジェクトは
1980年代に西洋諸国が始めた プロジェクトです
ヨーロッパ、アメリカ カナダ、日本が主要国です
そして 冷戦が終わった後―
これは1990年初頭ですけれども―
冷戦が終わってからは ロシアが参加を始めました
ということで 事態はどんどん変わっていきます
様々な多くの国々が 協力をきっとするんだと思います
将来の有人宇宙探査船に関してです
例えば 月や それより遠い所に
宇宙船の探査を送ることに関してです
というのは こういった 火星に 探査船を送るようなプロジェクトというのは
一国ではやりきれません
ということで より大規模な国際協力が必要です
そのためにも グローバル経済 グローバル政治は
より安定していなければなりません
私たちは ボーダーレスな 国境を越えた協力が必要です
で 国境がない という所で 私たちは多分
この宇宙探査船の中でも
協力を より― 国境を超えてしていくと
もっと より良いことが 起きていくと思います
こういう より良いシナジー効果が
益々 地上と そして宇宙の間で 進むことを願っています
最近 私は感銘を受けたことがあります
冥王星の写真を見たからです
「ニュー・ホライズンズ」 探査機が撮った映像ですけれども
この達成に対して おめでとうと申し上げたいと思います
世界中の人々が
このスペースミッションに対して 貢献をして下さり
そしてサポートしてきて下さったことに 対しても 感謝を申し上げます
最後に もう1点 共有したい点があります
「母なる宇宙 マザースペース」です
初めて宇宙に到達をして そして無重力を経験した時
これはちょうど ディスカバリーが打ち上げられて
8分30秒後のことだったんですけれども
本当にびっくりしました
無重力に入ると 宙返りは何回もできるのです
そして天井からは 自由にぶら下がれます
そしてまた 天井に立つことも 問題なくできます
絶対的な上、下というのは 無いのです
皆さんの体勢に応じて 上と下が決まってきます
ということで
「あなたの場合の上の方を向いて」
あるいは 「あなたの場合の下を向いて」という風に
人によって体勢が違うので―
[そう]言わなければ なりませんでした
本当に目から鱗が 落ちるような経験でした
他の人の立場に立たない限り
自分たちはコミュニケーションが できなかったのです
そして 感銘を受けたのは
なぜか 初めて宇宙に着いた時に
「馴染みのある所だ」と感じたことです
初めてなのに 身近な場所と感じたのです
私たちは皆 星の欠片からできています
太陽、地球、そしてどの生物 私たちも含めて
皆 星の欠片から 構成されています
つまり 宇宙は私たちにとって 遠い存在ではありません
多分 私たちのふるさとなのです
だからこそ 多分 身近に宇宙を感じたんだと思います
だから私は 宇宙を「マザースペース」と 呼びたいと感じています
マザースペースは 私たちのために
私たちの 幸せと平和を 祈ってくれているはずです
丁度 親が子の幸せを 祈るかのようにです
あるいは 教師が 子供の幸せを願うようにです
そして 母なる宇宙 マザースペースは
私たちが成長して更に 成熟している姿を見たいはずです
そして マザースペースは 私たちが互いに気を遣い合って
そして 前向きに手を携えて 地上でも頑張るところを
見ていたいと思うはずです
宇宙は本当に美しく
でも 地上にまた戻ってきた時 風を感じました
そして 景観を見ました
そして 小さな花々、草花の 匂いを嗅いだ時に
本当に嬉しく 幸福感がありました
ということで 本当の幸福感は 私たちの周囲にあるんだと思います
遠い所にある訳ではありません
そういったことを考えると
より 国々は国境を越えて コネクトしていく 繋がっていくと思います
そして 地上と宇宙も 繋がっていくに違いありません
そして マザースペースは 私たちがもっと協力をすることを
待っていると思っています
協力をして 私たちがもっと 更に[頻繁に]宇宙に行ける
そして 彼女に会いに行くことを 望んでいるんだと思います
ですので 私は更に 多くの人々が宇宙に行けるように
尽力をしたいと思います
そしてそれは 国境の無い世界に より貢献をしていくと思います
母なる宇宙 マザースペースは 私たちを待っていて下さると思います
ご清聴ありがとうございます
そして皆さん TEDの主催者の皆様 ご尽力をありがとうございます
翻訳: Yumi Urushihara 校正: Shoko Takaki
翻訳
번역
校正
공정. こう-せさ 【명사】 {문어·ナリ 활용 }; 『음악』 교성; 향성; 고착(固着) 생활을 하는 생물의 기관이 외부의 자극을 받아 일정 방향으로 굽는 성질. 〔참고〕 식물의 경우는 「屈性」로 쓰는 경우가 많음; 『문어』 날씨가 맑게 갬. 쾌청. 〔동의어〕快晴; 공세. 〔반의어〕 守勢; 경정. 고쳐서 바로잡음; 갱생; 본래의 바른 상태로 돌아감. 또는 과거를 청산하고 생활 태도를 고침; 폐품을 다시 쓸 수 있게 함. 재생(再生). 재활용; 후세; 『문어』 후생; 뒤에 태어남. 또는 그 사람. 〔반의어〕 先生; 자기보다 후에 배우는 사람. 후배. 후진. 〔참고〕 「ごしょう」는 딴말임; 『천문』 항성. 붙박이별. 〔반의어〕 惑星; 교정; 고성. 큰 소리. 높은 소리. 〔동의어〕大声; 소생. 갱생. 〔동의어〕更生. 〔참고〕 「そせい」의 관용음(慣用音); 경성. 단단한 성질. 〔반의어〕 軟性; 구성; 강제. 강철제. 강철 제품. 〔동의어〕鋼鉄製; 광세. 세상에 드묾; 후생. 생활을 넉넉하고 윤택하게 함
こんにちは 皆様
こんにちは
낮에 하는 인사말. 안녕하십니까?
皆様
〈代名詞적으로도 씀〉 여러분; 상대편의 가족에 대한 높임말
ほとんどの皆様は SF映画をご覧になっていると思います
思う
생각하다; 판단을 내리다. 믿다; 느끼다; 예상하다. 추측하다; 원하다. 소망하다; 회상하다; 사랑하다. 그리워하다. 사모하다. 소중히 하다; 〈「…と~」의 꼴이나 形容詞·形容動詞의 連用形을 받아서〉 …라고 생각하다. …하려고 결심하다. 〔참고〕 「考える」는 객관적·지적인 경우에만 쓰는데, 「思う」는 감정적·의지적·주관적인 경우에도 씀. 【가능동사】 おも·える【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ほとんど
대부분; 거의; 하마터면. 〔참고〕 「ほとほと」의 변한말
映画
영화. 〔동의어〕シネマ·キネマ·ムービー; 영화
皆様
〈代名詞적으로도 씀〉 여러분; 상대편의 가족에 대한 높임말
『スター・トレック』や 『スター・ウォーズ』のような
映画をご覧になっていると思います
思う
생각하다; 판단을 내리다. 믿다; 느끼다; 예상하다. 추측하다; 원하다. 소망하다; 회상하다; 사랑하다. 그리워하다. 사모하다. 소중히 하다; 〈「…と~」의 꼴이나 形容詞·形容動詞의 連用形을 받아서〉 …라고 생각하다. …하려고 결심하다. 〔참고〕 「考える」는 객관적·지적인 경우에만 쓰는데, 「思う」는 감정적·의지적·주관적인 경우에도 씀. 【가능동사】 おも·える【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映画
영화. 〔동의어〕シネマ·キネマ·ムービー; 영화
でも 今お見せしているのは SFの映画でもありません
今
지금. 이제. 현재; 오늘날. 현대. 〔반의어〕 昔; 〈接続詞적으로 씀〉 이야기를 진전시키기 위하여 전제(前提)를 설정할 때 쓰는 말. 여기서; 가까운 미래를 나타냄. 이제 곧. 바로. 잇따라; 지금 막. 방금; 더. 〔동의어〕さらに; 〈주로 사람을 나타내는 명사에 붙음〉 현대의. 최근의. 오늘날의; 새로운; 가족이 함께 모여 차를 마시거나 여가를 보내거나 하는 방. 거실(居室). 거처방
映画
영화. 〔동의어〕シネマ·キネマ·ムービー; 영화
見せる
보이다. 보도록 하다. 내보이다; 알게 하다; (겉으로) 나타내다. 드러내다; 그와 같이 보이게 하다; 겪게 하다; 진찰하게 하다. 【문어형】 み·す {하2단 활용}; 《「…して~」의 꼴로》; (남에게 보이도록) …해 보이다. 시늉을 하다; 강한 의지를 나타냄. …해 보이겠다. …하고야 말겠다. 〔참고〕 < 2> 는 보통 かな로 씀. 【문어형】 み·す {하2단 활용}
コンピューターグラフィックスでも ありません
コンピューターグラフィックス
컴퓨터 그래픽스. cg
これは本物のビデオで
ビデオ
비디오
本物
가짜가 아닌 것. 진짜; 본격적임. (명실상부하게) 제대로임. 1.2. 〔반의어〕 偽物
私と私の乗員仲間がスペースシャトル 「ディスカバリー」に
仲間
한패. 동료. 동아리; 같은 종류. 동류. 무리. 〔동의어〕同類. 〔참고〕 「仲間」은 딴말임
私
값. 가격. 대금. 〔동의어〕ね·値段; 가치. 값어치. 〔동의어〕値打ち; 『수학』 수치(數値). 수량. 값. 〔참고〕 3.은 「値」로 씀; 《속어》 《「あたし」의 변한말》 저. 나. 〔동의어〕わたし. 〔참고〕 흔히 여자 아이가 씀
乗員
『정치』 (양원제의 국회에서) 상원. 〔반의어〕 下院; 용원. 쓸데없는 인원; 승무원. 〔동의어〕乗務員; 과잉 인원. 남아 도는 인원; 첩운. 한자 숙어에서 같은 운(韻)이 겹친 것. ((「逍遥」 「滅裂」 「嬋娟」 「艱難」 등)); 평소에 항상 마시는 것
スペースシャトル
스페이스 셔틀. 우주 왕복선
乗船している時に撮った映像です
時
차; 다음; 『화학』 산화(酸化)의 정도가 낮음; 『화학』 염기성염(鹽基性鹽); 횟수(回數). 빈도(頻度). 차례; 자; 자기; 〈시간·장소를 나타내는 名詞에 붙어〉 …부터. 〔반의어〕 至; 사. 절; 아; 아이. 아동; 남아;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사. 일. 사항; 시. 시간의 단위. 60분; 시각; 때. 기회; 〈옛 지명에 붙여〉 그 지방의 길.그 지방 또는 그 지방으로 가는 길임을 나타냄. 도(道). 가도. 지방; 하루의 행정(行程); 『문어』 나이를 나타냄; 〈10을 단위로 한 수에 붙여〉 그 정도의 나이를 나타냄; 토지. 땅. 지면; 그 지방. 그 고장; 본성. 본색. 천성. 본바탕; 기반. 기초; 천; 살결. 피부; 문장에서 작자가 설명한 부분; (바둑에서) 차지한 집; 실제. 실지(實地). 〔참조어〕 地で行く; 풋내기. 숫보기; 「地謡」 「地紙」 「地髪」의 준말; 글자. 문자; 글씨. 필적; (바둑 등에서) 비김. 무승부; 『의학』 치질. 〔동의어〕痔疾; 『문어』 사; 말. 글; 한문 문체의 하나; 『언어학』 일본어 단어를 문법상의 성질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한 것의 하나. 단독으로는 문절(文節)을 이루지 못하고, 언제나 詞(자립어)에 딸려서 문절을 구성하는 말. ((助詞·助動詞 등)) 〔동의어〕付属語·関係語. 〔반의어〕 詞; 『문어』; 자석. 지남철; 자기. 사기그릇; 새; 세 가지 신기(神器)의 하나인 八尺瓊曲玉. 〔동의어〕神璽; 《고어》 《動詞·助動詞의 未然形에 붙음》; 부정적인 추측을 나타냄. …않겠지. …않을 것이다. 〔동의어〕…ないだろう·…まい; 부정적인 결의를 나타냄. …하지 않으리라. …않을 작정이다. 〔동의어〕…まい
映像
영상; 물체의 비추어진 모습; 심상(心象). 이미지; (영화·텔레비전의) 화상(畵像); 영조. 큰 건물 등을 지음.또는 그 건물. 〔동의어〕造営; 영상; 물체의 그림자
乗船
⇒ 乗船; 정선. (바둑에서) 언제나 선(先)으로 두기로 하는 접바둑의 조건; 승선. 배에 탐. 〔동의어〕上船. 〔반의어〕 下船; 타고 있는 배; 《「情報宣伝」의 준말》 (노동조합 등의) 정보·선전
これは 2010年のことで
年
해; 나이. 연령; 『문어』 도사. 개죽음. 〔동의어〕いぬじに; 도시
ISS国際宇宙ステーションから 切り離された時から 撮っている映像です
国際
『경제』 국채; 「国債証券」의 준말; 국제
宇宙
우주; 우중. 빗속; 『문어』 (화살·총알이) 빗발침
時
차; 다음; 『화학』 산화(酸化)의 정도가 낮음; 『화학』 염기성염(鹽基性鹽); 횟수(回數). 빈도(頻度). 차례; 자; 자기; 〈시간·장소를 나타내는 名詞에 붙어〉 …부터. 〔반의어〕 至; 사. 절; 아; 아이. 아동; 남아;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사. 일. 사항; 시. 시간의 단위. 60분; 시각; 때. 기회; 〈옛 지명에 붙여〉 그 지방의 길.그 지방 또는 그 지방으로 가는 길임을 나타냄. 도(道). 가도. 지방; 하루의 행정(行程); 『문어』 나이를 나타냄; 〈10을 단위로 한 수에 붙여〉 그 정도의 나이를 나타냄; 토지. 땅. 지면; 그 지방. 그 고장; 본성. 본색. 천성. 본바탕; 기반. 기초; 천; 살결. 피부; 문장에서 작자가 설명한 부분; (바둑에서) 차지한 집; 실제. 실지(實地). 〔참조어〕 地で行く; 풋내기. 숫보기; 「地謡」 「地紙」 「地髪」의 준말; 글자. 문자; 글씨. 필적; (바둑 등에서) 비김. 무승부; 『의학』 치질. 〔동의어〕痔疾; 『문어』 사; 말. 글; 한문 문체의 하나; 『언어학』 일본어 단어를 문법상의 성질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한 것의 하나. 단독으로는 문절(文節)을 이루지 못하고, 언제나 詞(자립어)에 딸려서 문절을 구성하는 말. ((助詞·助動詞 등)) 〔동의어〕付属語·関係語. 〔반의어〕 詞; 『문어』; 자석. 지남철; 자기. 사기그릇; 새; 세 가지 신기(神器)의 하나인 八尺瓊曲玉. 〔동의어〕神璽; 《고어》 《動詞·助動詞의 未然形에 붙음》; 부정적인 추측을 나타냄. …않겠지. …않을 것이다. 〔동의어〕…ないだろう·…まい; 부정적인 결의를 나타냄. …하지 않으리라. …않을 작정이다. 〔동의어〕…まい
映像
영상; 물체의 비추어진 모습; 심상(心象). 이미지; (영화·텔레비전의) 화상(畵像); 영조. 큰 건물 등을 지음.또는 그 건물. 〔동의어〕造営; 영상; 물체의 그림자
ステーション
스테이션; 역. 정거장; (어떤 일을 하는) 장소. 기지(基地); 방송국
切り離す
(매여 있던 것을) 풀어 주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끊어서 갈라 놓다. 떼어 놓다. 분리하다. 【가능동사】 きりはな·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で ISSは 未だに地球の周りを
地球
지구; 아악(雅樂)의 하나. 빨간 탈을 쓴 여섯 사람이 춤을 춤; 지구
未だに
아직껏. 아직(까지)도. 지금도 역시. 〔동의어〕今もって. 〔참고〕 문어체의 말로서 대개 부정의 말이 딸림
マッハ25―音速25で 周回をしています
周回
『문어』 주회; 둘레. 주위. 〔동의어〕周囲; 둘레를 돎; 종회. 그 종파의 최고 기관; 「頼母子講」에서 회원[계원] 전원이 곗돈을 받아 한 차례가 끝남; 종회. 최종회. 〔반의어〕 初回; 집회; 『문어』 집괴. 많은 것이 모여서 된 덩어리; 추괴. 추하고 괴이함. 얼굴이 흉칙함. {문어·ナリ 활용 }
マッハ
『물리』 마하. ((초음속의 속도))
音速
음속. 단위 「マッハ」
これは秒速8kmの速度です
速度
속도; 『물리』 운동체의 위치 변화를 나타내는 양; 측도. 계측(計測). 또는 그 수치(數値)
秒速
초속
で 今お見せしているのも 実際の速度であり
実際
실제; 정말로. 참으로. 〔동의어〕ほんとうに·まったく
速度
속도; 『물리』 운동체의 위치 변화를 나타내는 양; 측도. 계측(計測). 또는 그 수치(數値)
今
지금. 이제. 현재; 오늘날. 현대. 〔반의어〕 昔; 〈接続詞적으로 씀〉 이야기를 진전시키기 위하여 전제(前提)를 설정할 때 쓰는 말. 여기서; 가까운 미래를 나타냄. 이제 곧. 바로. 잇따라; 지금 막. 방금; 더. 〔동의어〕さらに; 〈주로 사람을 나타내는 명사에 붙음〉 현대의. 최근의. 오늘날의; 새로운; 가족이 함께 모여 차를 마시거나 여가를 보내거나 하는 방. 거실(居室). 거처방
見せる
보이다. 보도록 하다. 내보이다; 알게 하다; (겉으로) 나타내다. 드러내다; 그와 같이 보이게 하다; 겪게 하다; 진찰하게 하다. 【문어형】 み·す {하2단 활용}; 《「…して~」의 꼴로》; (남에게 보이도록) …해 보이다. 시늉을 하다; 강한 의지를 나타냄. …해 보이겠다. …하고야 말겠다. 〔참고〕 < 2> 는 보통 かな로 씀. 【문어형】 み·す {하2단 활용}
早送りをしていません
早送り
녹음기 등의 테이프를 빨리 앞으로 돌림
今日は 皆様と3つのことを ご共有したいと思っております
思う
생각하다; 판단을 내리다. 믿다; 느끼다; 예상하다. 추측하다; 원하다. 소망하다; 회상하다; 사랑하다. 그리워하다. 사모하다. 소중히 하다; 〈「…と~」의 꼴이나 形容詞·形容動詞의 連用形을 받아서〉 …라고 생각하다. …하려고 결심하다. 〔참고〕 「考える」는 객관적·지적인 경우에만 쓰는데, 「思う」는 감정적·의지적·주관적인 경우에도 씀. 【가능동사】 おも·える【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今日
광. 그 일에 열중하는 사람임을 나타냄; 협. 협곡(峽谷)임을 나타냄; 교. 종교임을 나타냄; 교. 다리임을 나타냄; 경. 거울임을 나타냄; 오늘. 금일. 〔동의어〕本日; 흉. 운수가 나쁨. 불길함. 〔동의어〕不吉. 〔반의어〕 吉; 〈「共産党」의 준말〉 공산당; 〈「共産主義」의 준말〉 공산주의; 『문어』 수도. 서울. 〔동의어〕首都; 京都. 〔참고〕 옛날에 일본의 수도였음; 『수학』 경. 조(兆)의 1만 배. 〔동의어〕京; 「いろは歌」의 끝에 붙이는 말; 《「香車」의 준말》 일본 장기짝의 하나; 강함. 강자; (어떤 수량에 붙어) 그보다 조금 더 됨을 나타냄. 〔반의어〕 弱; 『불교』 불경. 경문. 〔동의어〕お経; 성전(聖典). 경서(經書); 『문어』 고향. 〔동의어〕ふるさと; 곳. 장소. 지역; 어떤 장소나 경우; 마음의 상태. 경지; 경; 장소. 범위. 처지; 심경. 경지(境地); 흥; 흥취. 흥미. 재미. 〔동의어〕面白み; 좌흥(座興); 『문학』 한시(漢詩) 육의(六義)의 하나. 어떤 사물에 접하여 자기의 감흥을 표현함
共有
공유; 공동으로 가짐. 〔반의어〕 専有; 『법률』 소유권이 두 사람 이상에게 있음; 『문어』 향유; 『문어』 협용. 의협심이 있고 씩씩함. 또는 그런 사람; 『문어』 흉용. 물이 세차게 솟음. 파도가 세차게 일어 요란한 소리를 냄. 또는 그 모양. 〔동의어〕洶湧. {문어·タリ 활용}; 『문어』 효용. 잔인하고 억셈. 또는 그런 사람; 『문어』 효웅; 악인의 우두머리; 『문어』 향우. 고향 벗
皆様
〈代名詞적으로도 씀〉 여러분; 상대편의 가족에 대한 높임말
まずは 「地球の美しさ」です
美しい
아름답다. 〔반의어〕 みにくい; 곱다. 예쁘다; (사람의 행위·태도 등이) 훌륭하다. うつくし·が·る 【5단 활용 타동사】 うつくし·げ 【형용동사】 うつくし·さ 【명사】 【문어형】 うつく·し {シク 활용}
地球
지구; 아악(雅樂)의 하나. 빨간 탈을 쓴 여섯 사람이 춤을 춤; 지구
このビデオで ご覧頂けます通り
ビデオ
비디오
通り
길. 한길. 도로; 통행. 내왕. 왕래; (액체·기체 등의) 흐름. 통함; 소리가 멀리까지 들리는 정도; 평판. 신용; 통함. 통용; 이해; 〈形式名詞적으로, 그와 같은 상태임을 나타냄〉 …대로임. …같음. …처럼. 〔참고〕 8.은 「かな」로 쓰는 일이 많음; 《수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방법·수단·종류 등을 세는 데 씀》 …가지
頂ける
《「頂く」의 可能形》; 얻을[받을] 수 있다; 〈「飲める」 「食える」 등의 겸사말〉 먹을[마실·들] 수 있다; 《속어》 〈흔히, 否定의 말이 따름〉 충분히 먹고 마실 만하다. 꽤 쓸 만하다. 제법 좋다
素晴らしい自然を見ることができます
見る
『식물·식물학』 청각채; 보다. 눈으로 인식하다; 구경하다. 관람하다; 읽다; 살피다. 살펴보다; 관찰하여 판단하다. 〔참고〕 ‘진찰하다’의 뜻으로는 흔히, 「診る」를 씀; (시각 외의 감각으로) 파악하다; 당하다. 경험하다. 겪다; 맡아보다. 돌보다. 보살피다; 평가하다. 간주하다; 〈「…と~」의 꼴로〉 …로 보다. …로 생각하다[간주하다]. {문어·상1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て[で]」를 받아서》; (시험적으로) …해 보다; 〈「…てみると」 「…てみたら」 「…てみれば」의 꼴로〉 …해 보면. …해보니. …해 보니까. 〔참고〕 보통 かな로 씀. {문어·상1단 활용}
素晴らしい
매우 훌륭하다. 기막히게 좋다. 멋있다. 굉장하다; 정도가 심하다. 굉장하다. 대단하다. すばらし·げ 【형용동사】 すばらし·さ 【명사】 【문어형】 すばら·し {シク 활용}
できる
전부 나가다[나오다]. 다 나가[나와] 남은 것이 없다. 〔동의어〕出つくす. 【문어 4단 활용 동사】; 《カ変動詞 「でくる」의 변한 꼴》; (새로) 생기다. 나다; 생성(生成)되다; 성립되다; 일어나다. 발생하다; 수중에 들어오다. 얻다; 생산되다. 산출되다; 만들어지다; 완성되다. 다 되다; (소질·경향을) 타고나다. 생겨 먹다; 능력·가능성이 있다. 할 수 있다. 가능하다; 〈サ変動詞의 語幹에 붙어 接尾語적으로〉 …할 수 있다. …하는 것이 가능하다; 잘하다. 할 줄 알다; (능력·인품이) 뛰어나다. 출중하다. 되어 있다; 《속어》 (남녀가) 깊은 관계에 있다. 눈이[배가] 맞다; 『경제』 (증권 거래소에서) 매매가 성립되다
自然
『문어』 사전. 선사. 유사 이전; 자연. 천연(天然); 자연스러움. 꾸밈이 없음; 저절로 그렇게 됨; 《「~に」 「~と」의 꼴로도 씀》 자연히. 저절로; 『문어』 지선. 더없이 착함. 최고선
山、川、白い雲、そして青い海
雲
운; 운명. 운수; 행운(幸運); 바림. 선염(渲染). 〔동의어〕くまどり·ぼかし; (아랫사람이나 동등한 사람의 질문·의뢰에 대해) 긍정·승낙을 나타내는 말. 응. 음. 그래; 일시적인 고통을 나타내는 소리. 응. 억. 끙; 가벼운 놀라움을 나타내는 말. 아아. 어어; 퍼뜩 생각났을 때 하는 말. 응. 아; 힘을 몰아 쓸 때 저도 모르게 내는 소리. 응. 끙
川
강. 내. 시내. 하천. 〔참고〕 「川」가 널리 쓰이며, 「河」는 본디 황하(黃河)의 일컬음으로 큰 강에 씀; 가죽. 껍질; 털가죽. 모피; 표면. 겉면; (이불 등의) 껍데기; (무두질한) 가죽. 피혁. 〔동의어〕なめしがわ; ⇒ がわ; 『문어』 가화. 미담; 『문어』 和歌에 관한 이야기
そして
⇒ そうして
青い
『식물·식물학』 아욱과의 닥풀·접시꽃·당아욱·족두리풀 등의 총칭; 『식물·식물학』 「ふたばあおい」의 딴이름; 가문(家紋)의 하나. 특히, 徳川氏의 가문; 푸르다. 파랗다. 청색이다; 초록색이다. 푸르다; (얼굴이) 창백하다. 파리하다. 핏기가 없다; 덜 익다. 풋되다. 미숙하다. あお·さ 【명사】 あお·み 【명사】 【문어형】 あを·し {ク 활용}
海
바다. 〔반의어〕 陸; 『문어』 큰 늪이나 호수. 〔참고〕「湖」 로도 씀; 〈비유적으로 「…の~」의 꼴로〉 넓게 퍼져 있는 상태. 많은 것이 모여 있는 곳. 넓고 깊은 곳; 벼루의 물이 고인 곳. 〔반의어〕 陸; 월면(月面)의 평원; 〈흔히, 「産み」로 씀〉 낳음. 출산; (사물을) 새로 만들어 냄. 새로 시작함; 농. 고름. (비유적으로) 썩은 것. 악폐
白い
희다; 결백하다. 무죄다. しろ·げ 【형용동사】 しろ·さ 【명사】 しろ·み 【명사】 【문어형】 しろ·し {ク 활용}
山
『문어』; 마음 아파함. 몹시 슬퍼함. {문어·タリ 활용}; 『문어』 찬란함. 눈부심. 휘황하게 빛남. {문어·タリ 활용}; 《「さま」의 변한말》; 인명·직명에 붙어 경의를 나타냄. 또는 동물명 등에 붙여 친애의 뜻을 나타내기도 함. 님. 씨. 군. 양. 선생; 인사말 등에 붙어 공손한 기분을 나타냄. 〔참고〕 「様」보다 친근한 말씨; 산; 절 이름 앞에 곁들이는 말. 산호(山號); 산. 가루약; 三味線의 셋째 줄. 〔동의어〕三の糸. 〔참고〕 증서(證書) 등에 쓰는 갖은자는 「参」; 삼(三). 셋; 참가함. 옴; 선종(禪宗)에서 사람을 모아놓고 하는 좌선(坐禪)·설법·염불; 소매 없는 「じゅばん」. 속옷; (판자가 휘지 않도록 대는) 띳장; (문·장지·창 등의) 살; (사다리·망루·토대 등의) 가로장. 디딤판; 문의 비녀장; 출산(出産). 분만(分娩). ((보통 「お産」의 꼴로 씀)); 출생지. 출신지; 그 토지의 산물(産物). 산; 재산; 『문어』 잔. 술잔; 산가지. 〔동의어〕算木; 셈함. 계산함; 점대. (변하여) 점. 점괘; 가망. 공산. 예상. 계략. 수법; 찬; 인물·사물을 기리는 한문의 문장; 그림속에 곁들이는, 그림에 대한 시구(詩句). 화찬(畵讚); 논평. 비평; 초(醋). 신맛. 또는 맛이 심; 『화학』 산(酸). 〔반의어〕 アルカリ
そして時には
そして
⇒ そうして
時には
때로는. 가다가는. 경우에 따라서는
北極、南極では 素晴らしい オーロラ等も見ることができます
等
도. 섬; 짐승을 세는 단위. 마리. 두; 《文語 形容詞 「とし」의 連用形 「とく」의 변한말》 아주 이른 시기. 훨씬 이전. 〔동의어〕とっく. 〔참고〕 「~から」 「~に」의 형태로 副詞적으로도 쓰임. 〔참조어〕とうから·とうに; 칼; 도. 칼. 날붙이; 도리에 맞음. 적절함. 합당함; 거기에 직접 해당되는 일. 또는 사람; 등. 등불; 등. 등불; 등불의 수를 세는 말. 개; (야구에서) 투수력. 〔반의어〕 打; 당; 무리. 패거리. 도당; 정치적 단체. 정당; 《고어》 (중세 때에) 무사(武士)들이 결성한 연합체; 당. 정당; 『역사』; 당. 수(隋) 다음의 중국 왕조의 이름; 옛날, 중국 또는 외국의 일컬음; (야구에서) 「盗塁」의 준말; 탑; 『불교』 사리(舍利)를 모시거나 공양을 하거나 영지(靈地)임을 나타내기 위한 높은 구축물; 높고 뾰족하게 세운 건물. 〔동의어〕タワー; 등급. 계급; 등. 등등. 들. 〔동의어〕など·等々; 순위. 등위; 같음. 동등함; 『문어』 탑. 상탑. 좁고 길다란 평상. 〔동의어〕腰掛 け·寝台; 당. 당분; 당. ((수용액(水溶液)이 단맛을 보이는 탄수화물)); 『식물·식물학』 등. 등나무; 『식물·식물학』 (평지나 머위 등의) 대. 꽃대; 묻다; 질문하다. 〔동의어〕尋ねる. 〔반의어〕 答える; 추궁하다. 〔동의어〕追及する; 〈흔히, 「…罪に~·われる」의 꼴로 씀〉 죄를 추궁하다. 문초하다; 문제 삼다. ((흔히, 否定의 꼴로 씀)) 【가능동사】 と·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문어』 찾다. 방문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見る
『식물·식물학』 청각채; 보다. 눈으로 인식하다; 구경하다. 관람하다; 읽다; 살피다. 살펴보다; 관찰하여 판단하다. 〔참고〕 ‘진찰하다’의 뜻으로는 흔히, 「診る」를 씀; (시각 외의 감각으로) 파악하다; 당하다. 경험하다. 겪다; 맡아보다. 돌보다. 보살피다; 평가하다. 간주하다; 〈「…と~」의 꼴로〉 …로 보다. …로 생각하다[간주하다]. {문어·상1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て[で]」를 받아서》; (시험적으로) …해 보다; 〈「…てみると」 「…てみたら」 「…てみれば」의 꼴로〉 …해 보면. …해보니. …해 보니까. 〔참고〕 보통 かな로 씀. {문어·상1단 활용}
素晴らしい
매우 훌륭하다. 기막히게 좋다. 멋있다. 굉장하다; 정도가 심하다. 굉장하다. 대단하다. すばらし·げ 【형용동사】 すばらし·さ 【명사】 【문어형】 すばら·し {シク 활용}
できる
전부 나가다[나오다]. 다 나가[나와] 남은 것이 없다. 〔동의어〕出つくす. 【문어 4단 활용 동사】; 《カ変動詞 「でくる」의 변한 꼴》; (새로) 생기다. 나다; 생성(生成)되다; 성립되다; 일어나다. 발생하다; 수중에 들어오다. 얻다; 생산되다. 산출되다; 만들어지다; 완성되다. 다 되다; (소질·경향을) 타고나다. 생겨 먹다; 능력·가능성이 있다. 할 수 있다. 가능하다; 〈サ変動詞의 語幹에 붙어 接尾語적으로〉 …할 수 있다. …하는 것이 가능하다; 잘하다. 할 줄 알다; (능력·인품이) 뛰어나다. 출중하다. 되어 있다; 《속어》 (남녀가) 깊은 관계에 있다. 눈이[배가] 맞다; 『경제』 (증권 거래소에서) 매매가 성립되다
南極
『지리·지학·지명』 남극. 〔반의어〕 北極; 난곡. 연주하기 어려운 곡; 난국
北極
「北極星」의 준말
オーロラ
오로라; (로마 신화에서) 새벽의 여신
本当に息を呑むばかりです
息
⇒ ゆき; 숨. 호흡; (두 사람 이상이 일할 때의) 호흡. 기분; 김. 증기; 목숨; (기질·태도·옷차림 등이) 때 벗음. 세련됨. 멋있음. 멋들어짐; 인정의 기미(機微) 또는 풍류를 이해함; 화류계의 사정에 밝음. 또는 화류계. 〔반의어〕 野暮; 『역사』 律令制에서, 서위(敍位)할 때 그 이유를 기록하여 본인에게 주는 문서. 〔동의어〕くらいがき·告身; 위기; 『법률』 (권리의) 포기; 지역; 범위. 정도. 단계. 경지; 계획하는 일. 의도(意圖). 기도(企圖); 의기. 기세. 기개; 유기. 버리고 돌보지 아니함; 문지방. 〔동의어〕しきい·しきみ; 『심리학』 역. 의식역(意識閾); 생. 삶; 싱싱함. 생기. 신선함; (교정에서) 생(生). 지운 것을 되살림. 부호는 「イキ」; 『지리·지학·지명』 옛 지명. 日本海에 있는 섬으로 현재의 長崎현의 일부. ((현제도 같은 지명임)) 〔동의어〕壱州
呑む
마시다. 술을 마시다; 삼키다. 먹다. 피우다; (강물·파도 따위가) 휩쓸다. 집어삼키다; 꾹 참다. 삼키다. 억누르다; 압도하다. 업신여기다. 깔보다; 받아들이다. 수용하다; 숨기어 가지다. 품다. 지니다. 【가능동사】 の·め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고어》 (신불 등에게) 빌다. 기원하다
でも同時に 驚くべきことなんですけれども
驚く
《고어》 잠에서 깨어나다. おどろ·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けれども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음》; 예상되는 결과와 반대의 사실이 일어남을 나타냄. …이지만. …하지만; 앞에 내놓은 사실과 다음의 말이 부드럽게 이어짐을 나타냄. …는데. …던데. 1.2.〔동의어〕けど·けれど; 실현되기 어려운 일이나, 사실과 반대되는 일을 바라는 마음을 나타냄. …는데; 분명하게 말하지 않고 에둘러서 말하는 느낌을 나타냄. …만. 1.2.〔동의어〕けど·けれど; 《接続助詞의 용법에서 변하여, 분리·독립됨》 그러나. 그렇지만. 하지만. 〔참고〕 「けど」 「けれど」보다 약간 정중한 말
地球を取り巻く大気層が あまりにも薄いということです
大気
『문어』 도량이 넓음. 〔동의어〕大度; 대기. 큰 그릇. 큰 인물. 〔반의어〕 小器; 대기; 대기. 대(隊)의 기
地球
지구; 아악(雅樂)의 하나. 빨간 탈을 쓴 여섯 사람이 춤을 춤; 지구
取り巻く
《「とり」는 接頭語》; 둘러싸다. 에워싸다. 포위하다; 권력자에게 빌붙어 이익을 얻으려 하다. 추종하다. 【가능동사】 とりま·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薄い
우수; 24절기의 하나. ((양력 2월 19일경)); 얇다. 〔반의어〕 厚い; 연하다. (맛이) 담백하다. 싱겁다. 〔반의어〕 濃い; 적다. 희박하다. 박하다; 약하다. 모자라다. 부족하다. うす·げ 【형용동사】 うす·さ 【명사】 【문어형】 うす·し {ク 활용}
層
허리; (옷의) 허리. 또는 그 부분; 산허리; 벽·미닫이 등의 중간보다 약간 아래 부분; 和歌의 셋째 구; 탄력성. 끈기. 찰기; 무엇을 하려는, 또는 할 때의 기세; 자세. 태도; 자세. 태도; 허리에 두르거나 차는 물건을 세는 말; 《고어》 (건축물의) 층(層)의 단위; 고사. 고대의 역사; 『문어』 고지. 고적. 예전에 성곽이나 건조물이 있었던 터; 『문어』 고사. 오래된 사당; 고시; 한시체(漢詩體)의 하나. 고체시(古體詩). 〔반의어〕 近体詩; 『문어』 호시. 호랑이처럼 날카로운 눈초리. 또는 그 날카로운 눈으로 노려봄. 〔참고〕 비유적으로, ‘기회를 노림’의 뜻으로도 씀; 『문어』 못 쓰게 된 종이. 휴지. 〔동의어〕反故; 고사. 초목이 말라서 죽음; 신체(神體)를 모신 가마. 〔동의어〕みこし·神輿; 『지리·지학·지명』 「北陸道」의 옛일컬음. 〔동의어〕越路
そして 私たちは皆
皆
《「かき」의 변한말》 특정한 動詞 앞에 붙어 의미를 강조하거나 어조를 고름; 해. 바다의 뜻을 더함; 계. 어떤 한정된 범위의 사회·동아리 등의 뜻을 나타냄; 보람. 효과; 조개; 조가비. 조개 껍데기. 〔동의어〕かいがら; 소라. 〔동의어〕ほらがい; 자개. 나전; 『문어』 골짜기; (물건 등을) 삼; 『경제』 (시세가 오를 것을 예상하고) 사들임. 1.2. 〔반의어〕 売り; 회; 『문어』 만남; 모임. 집회; 〈接尾語로도 씀〉 단체. 조직; 회. 횟수; 번. 회; 쾌; (만족하여) 기분이 좋음. 유쾌. 상쾌; 병이 나음; 《한자어 앞에 붙여》; ‘시원스러움’ ‘훌륭함’의 뜻을 나타냄; 빠름; 훈계. 훈계의 말; 『불교』 계율. 죄악을 방지하기 위해 불교신도가 지켜야 할 규칙; 괴이함. 불가사의; 《한자어 앞에 붙여》 ‘수상함’ ‘이상함’의 뜻을 나타냄. 괴; 계단. 층계. 층층대; (건물의) 층; 《수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건물의) 층; 해서(楷書). 〔반의어〕 行·草; 해답. 풀이; 가의. 노래·시가의 뜻; 《「搔き」의 변한말》 노. 〔동의어〕オール; 곽외(郭隗). 중국 전국 시대(戰國時代)의 현인(賢人). 연(燕)나라 사람; 하위. 〔반의어〕 上位·中位; 하의. 〔반의어〕 上意; 『지리·지학·지명』 옛 지명의 하나. 지금의 山梨현. 〔동의어〕甲州; 친밀감을 가지고 물을 때 씀. …냐. …니; 반어(反語)를 나타냄. …냐; 상대에게 강하게 채근하는 뜻을 나타냄. …겠느냐
そして
⇒ そうして
私
값. 가격. 대금. 〔동의어〕ね·値段; 가치. 값어치. 〔동의어〕値打ち; 『수학』 수치(數値). 수량. 값. 〔참고〕 3.은 「値」로 씀; 《속어》 《「あたし」의 변한말》 저. 나. 〔동의어〕わたし. 〔참고〕 흔히 여자 아이가 씀
この薄い 脆弱な層 大気層によって
大気
『문어』 도량이 넓음. 〔동의어〕大度; 대기. 큰 그릇. 큰 인물. 〔반의어〕 小器; 대기; 대기. 대(隊)의 기
薄い
우수; 24절기의 하나. ((양력 2월 19일경)); 얇다. 〔반의어〕 厚い; 연하다. (맛이) 담백하다. 싱겁다. 〔반의어〕 濃い; 적다. 희박하다. 박하다; 약하다. 모자라다. 부족하다. うす·げ 【형용동사】 うす·さ 【명사】 【문어형】 うす·し {ク 활용}
層
허리; (옷의) 허리. 또는 그 부분; 산허리; 벽·미닫이 등의 중간보다 약간 아래 부분; 和歌의 셋째 구; 탄력성. 끈기. 찰기; 무엇을 하려는, 또는 할 때의 기세; 자세. 태도; 자세. 태도; 허리에 두르거나 차는 물건을 세는 말; 《고어》 (건축물의) 층(層)의 단위; 고사. 고대의 역사; 『문어』 고지. 고적. 예전에 성곽이나 건조물이 있었던 터; 『문어』 고사. 오래된 사당; 고시; 한시체(漢詩體)의 하나. 고체시(古體詩). 〔반의어〕 近体詩; 『문어』 호시. 호랑이처럼 날카로운 눈초리. 또는 그 날카로운 눈으로 노려봄. 〔참고〕 비유적으로, ‘기회를 노림’의 뜻으로도 씀; 『문어』 못 쓰게 된 종이. 휴지. 〔동의어〕反故; 고사. 초목이 말라서 죽음; 신체(神體)를 모신 가마. 〔동의어〕みこし·神輿; 『지리·지학·지명』 「北陸道」의 옛일컬음. 〔동의어〕越路
脆弱
취약. ぜい-じゃくさ 【명사】 {문어·ナリ 활용 }
守られているということを 知ると驚きます
驚く
《고어》 잠에서 깨어나다. おどろ·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守る
지키다. 막다. 수호하다. 방호하다. 〔반의어〕 攻める. 〔참고〕 「護る」로도 씀; 소중히 지키다. 어기지 않다. 잘 유지하며 따르다. 〔반의어〕 破る; (눈을 떼지 않고) 지켜보다. 주의해서 살펴보다. 【가능동사】 まも·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知る
즙; 국(물). 된장국; 남의 노고나 희생으로 얻는 이익; 알다; 인식하다; 분간하다; 이해하다; 기억하다; 경험하다; 안면이 있다; 관계하다; 습득하다
そして太陽が昇り そして落ちるまで
昇る
오르다. 올라가다; 높은 곳으로 가다. 〔반의어〕 くだる·おりる; 기어오르다. 〔반의어〕 おりる; 수량이 어느 정도에 이르다. 〔반의어〕 くだる; 상류로 가다. 〔반의어〕 くだる. 〔참고〕 보통 「上る」로 씀; 서울로 가다. 〔반의어〕 くだる. 〔참고〕 보통 「上る」로 씀; 높은 지위에 오르다. 〔반의어〕おりる. 〔참고〕 보통 「上る」로 씀; 다루어지다. 취급되다; 길에 오르다; 해·달이 뜨다. 〔반의어〕 おちる·しずむ. 〔참고〕 보통 「昇る」로 씀; 연기가 피어 오르다. 〔반의어〕 おりる; 마음에 떠오르다. 〔참고〕 1.은 「登る」로도 씀. 【가능동사】 のぼ·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そして
⇒ そうして
太陽
대양; 태평양·대서양·인도양의 총칭. 〔참고〕 북극해·남극해를 포함할 때도 있음; 대요. 개요. 요지. 〔동의어〕あらまし; 『천문』 태양. 해. 〔동의어〕日輪·天道; 체용; 『문어』 사물의 본체(本體)와 거기서 생기는 작용. ((꽃과 향기 따위)); 『언어학』 체언(體言)과 용언(用言); 『문어』 태양. 양태. 모양. 상태. 〔동의어〕ありさま·様子·形; 내용. (기계·시설 등이) 오랫동안 사용에 견딤
落ちる
(위에서 아래로) 떨어지다. 하락하다; (눈이나 비가) 내리다. 오다; (벽이나 담이) 무너지다; (해·달이) 지다; (햇볕 등이) 비치다. 쏟아지다; (시선·눈길 등이) 쏠리다. 향하다; 물이 흘러들다; (그림자 등이) 비치다; 빠지다. 벗겨지다. 지워지다; 빠지다. 누락되다. 〔동의어〕もれる; 떨어지다. 낙방하다. 낙오(落伍)하다; 몰래 달아나다. 외진 곳으로 가다. 낙향하다; 영락(零落)하다; 타락하다. 〔참고〕 「堕ちる」로도 씀; (힘이나 세력 등이) 떨어지다. 쇠(약)해지다. 줄어들다; (바람이) 자다. 잔잔해지다; (어떤 기준보다) 낮아지다. 떨어지다. 뒤지다; (불리한 상태에) 빠지다. 빠져들다; (당연히 그렇게) 귀결되다. 낙착되다; 그 사람의 소유가 되다. 넘어가다; 함락되다. 적에게 빼앗기다. 싸움에 지다; 실토하다. 자백하다. 불다; (유도에서) 기절하다. 까무러치다; (동물·가축 등이) 죽다; 〈「眠りに~」의 꼴로〉 잠에 빠지다. 잠이 들다; (사람에 붙어 있던 것이) 없어지다. 사라지다; (한쪽에) 치우치다; (돈이 얼마간 수중에) 들어오다; (어음 등이) 결제되다; 납득하다. 이해되다
これは90分に1回 起こるんですけれども
分
《名詞 등에 붙어 形容動詞의 어간을 만듦》 부정의 뜻을 나타냄. …가 없음. …가 좋지 않음. …가 아님; 승부의 형세. 우열의 정도; 이익의 정도. 배당(액)·할당(량); 판(板) 등의 두께. 또는 부피; 1·1할·1치·1문(文)의 각각 10분의 1. 푼. 분; 전체를 10등분한 것. 할; 옛날 화폐의 단위. 1両의 4분의 1; 『음악』 전음(全音)을 등분한 길이; 무; 무예. 무술; 군사력. 무력; 비율. 이율; 형세; 수수료. 구전; 토지 면적의 단위. 보. ((1歩는 여섯 자 평방. 약 3.3평방 미터)) 〔동의어〕坪; 町·反의 뒤에 붙어 그 면적의 끝수가 없음을 나타내는 말. 보; 부; 한 구분; (조직체의) 구성 부분의 하나; 동호인의 클럽; …부; < 1> 의 2.3.의 뜻으로 名詞 뒤에 붙음; 특정 부분을 나타냄; 책·문서를 세는 말. 부; 전체를 나눈 구분을 세는 말. 부
起こる
화내다. 노하다. 성내다. 〔참고〕 「いかる」보다 구어적(口語的)임; 나무라다. 꾸짖다. 야단하다. 〔동의어〕しかる. 〔반의어〕 ほめる. 【가능동사】 おこ·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일어나다; 발생하다. 시작되다; 기인(起因)하다; 기원(起源)을 두다. 비롯하다; (감정·욕망 등이) 생기다; 부풀어오르다. 솟아오르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세력이) 일어나다. 번성하다. 흥하다; (새로) 발생하다. 일어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숯불이) 활활 피어 오르다. 불기운이 세게 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回
《「かき」의 변한말》 특정한 動詞 앞에 붙어 의미를 강조하거나 어조를 고름; 해. 바다의 뜻을 더함; 계. 어떤 한정된 범위의 사회·동아리 등의 뜻을 나타냄; 보람. 효과; 조개; 조가비. 조개 껍데기. 〔동의어〕かいがら; 소라. 〔동의어〕ほらがい; 자개. 나전; 『문어』 골짜기; (물건 등을) 삼; 『경제』 (시세가 오를 것을 예상하고) 사들임. 1.2. 〔반의어〕 売り; 회; 『문어』 만남; 모임. 집회; 〈接尾語로도 씀〉 단체. 조직; 회. 횟수; 번. 회; 쾌; (만족하여) 기분이 좋음. 유쾌. 상쾌; 병이 나음; 《한자어 앞에 붙여》; ‘시원스러움’ ‘훌륭함’의 뜻을 나타냄; 빠름; 훈계. 훈계의 말; 『불교』 계율. 죄악을 방지하기 위해 불교신도가 지켜야 할 규칙; 괴이함. 불가사의; 《한자어 앞에 붙여》 ‘수상함’ ‘이상함’의 뜻을 나타냄. 괴; 계단. 층계. 층층대; (건물의) 층; 《수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건물의) 층; 해서(楷書). 〔반의어〕 行·草; 해답. 풀이; 가의. 노래·시가의 뜻; 《「搔き」의 변한말》 노. 〔동의어〕オール; 곽외(郭隗). 중국 전국 시대(戰國時代)의 현인(賢人). 연(燕)나라 사람; 하위. 〔반의어〕 上位·中位; 하의. 〔반의어〕 上意; 『지리·지학·지명』 옛 지명의 하나. 지금의 山梨현. 〔동의어〕甲州; 친밀감을 가지고 물을 때 씀. …냐. …니; 반어(反語)를 나타냄. …냐; 상대에게 강하게 채근하는 뜻을 나타냄. …겠느냐
けれども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음》; 예상되는 결과와 반대의 사실이 일어남을 나타냄. …이지만. …하지만; 앞에 내놓은 사실과 다음의 말이 부드럽게 이어짐을 나타냄. …는데. …던데. 1.2.〔동의어〕けど·けれど; 실현되기 어려운 일이나, 사실과 반대되는 일을 바라는 마음을 나타냄. …는데; 분명하게 말하지 않고 에둘러서 말하는 느낌을 나타냄. …만. 1.2.〔동의어〕けど·けれど; 《接続助詞의 용법에서 변하여, 분리·독립됨》 그러나. 그렇지만. 하지만. 〔참고〕 「けど」 「けれど」보다 약간 정중한 말
大気層の薄い層が 虹のように光ります
光る
빛나다. 반짝이다. 번득이다. 반사하다; (색채 등이) 아름답게[산뜻하게] 빛나다; (용모·재능·인물 등이) 돋보이다. 한층 뛰어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大気
『문어』 도량이 넓음. 〔동의어〕大度; 대기. 큰 그릇. 큰 인물. 〔반의어〕 小器; 대기; 대기. 대(隊)의 기
虹
호. 좋은; 항; 후. 뒤. 〔반의어〕 前; 항; 사람 수·칼·기구 등을 세는 말. 구. 자루; 『문어』 공사; 《직종 이름에 붙여》 공원·직공의 뜻을 나타냄. 공; 『문어』 공; 공공(公共). 〔동의어〕おおやけ. 〔반의어〕 私; 〈「公爵」의 준말〉 공작; 공; 공작이나 신분이 높은 사람의 이름에 붙이는 말; 사람의 이름 뒤에 붙여 친근감이나 경멸감을 나타내는 말; 『문어』 공. 구멍; 『문어』 공; 공적; 효험. 효과. 보람. 〔동의어〕ききめ; 『문어』 솜씨가 뛰어남. 또는 그 솜씨. 〔반의어〕 拙; 갑; 십간(十干)의 첫째. 〔동의어〕きのえ; 갑옷. 〔동의어〕よろい; 게나 거북 등의 등딱지; 손발의 등; 등급·순위 등의 첫째; 사물의 대명사로 쓰는 말; 「琵琶」 「三味線」 등 현악기의 몸통 부분; 『문어』; 교제. 사귐; (시대·연월·계절 등이) 바뀔 때; 「揚子江」의 준말; 선고(先考). 〔동의어〕亡父. 〔반의어〕 妣; ‘연구’ ‘고찰한 결과’의 뜻을 나타냄. 고. ((흔히, 논문의 제명(題名)이나 서명(書名)에 씀)); 『문어』 감. 떠남. 여행; 행함. 행동; 한시체(漢詩體)의 하나; ‘여행’ ‘산행(山行)’ ‘기행(紀行)’의 뜻을 나타냄. 행; 『불교』 겁. 지극히 긴 시간. 〔반의어〕 刹那; (바둑에서) 패; 갱; 효. 효행; 경. ((옛날, 하룻밤을 5등분 한 시간의 일컬음. 초경에서 오경까지)); 효험. 효력. 효과. 〔동의어〕ききめ; 행. 행복. 〔동의어〕さいわい; 『문어』 나이; 후; 〈「侯爵」의 준말〉 후작; 선명한 적색. 주홍색; 향. 향내; 향료. 향나무; 《여성어》 「味噌」의 딴이름; 「薬味」의 딴이름; 『문어』 철. 계절; 학교; 교정(校正)의 횟수를 세는 말. 교; 고; 『문어』 높은 곳. 〔반의어〕 低; 「高等学校」의 준말; 고. 〔반의어〕 低; 『문어』 딱딱함. 단단함. 〔반의어〕 軟. {문어·ナリ 활용 }; 항; 항목. 조항을 세분한 하나하나; 『수학』 수식(數式)을 이루는 하나하나의 요소; 강. 생물 분류상의 한 단위. ((문(門)과 목(目) 사이)); 『문어』 고기의 기름. 지방; 고약; 『문어』 원고; 형. 저울대; (변하여) 저울. 〔동의어〕はかり; 무게. 〔동의어〕目方; 강. 강철. 〔동의어〕はがね; 『불교』 경전(經典)을 듣거나 신불에 참배하는 모임. 〔동의어〕講会; 돈 마련을 위한 모임. 계; 《「かく」의 변한말》 이렇게. 이처럼; 적당한 말이 얼른 생각나지 않을 때 군소리로 하는 말. 그. 저어. 거시기; 그리다; (이성이나 육친을) 그리워하다; (어떤 곳·사물 등을) 그리워하다; 《고어》 빌다. 기원하다. 〔참고〕 「乞う」라고 쓸 경우에는 「ねだる(조르다)」의 뜻이 강함. 【문어 4단 활용 동사】; 맥이 빠짐. 넋을 잃음. {문어·タリ 활용}; 훤칠함. {문어·タリ 활용}
薄い
우수; 24절기의 하나. ((양력 2월 19일경)); 얇다. 〔반의어〕 厚い; 연하다. (맛이) 담백하다. 싱겁다. 〔반의어〕 濃い; 적다. 희박하다. 박하다; 약하다. 모자라다. 부족하다. うす·げ 【형용동사】 うす·さ 【명사】 【문어형】 うす·し {ク 활용}
層
허리; (옷의) 허리. 또는 그 부분; 산허리; 벽·미닫이 등의 중간보다 약간 아래 부분; 和歌의 셋째 구; 탄력성. 끈기. 찰기; 무엇을 하려는, 또는 할 때의 기세; 자세. 태도; 자세. 태도; 허리에 두르거나 차는 물건을 세는 말; 《고어》 (건축물의) 층(層)의 단위; 고사. 고대의 역사; 『문어』 고지. 고적. 예전에 성곽이나 건조물이 있었던 터; 『문어』 고사. 오래된 사당; 고시; 한시체(漢詩體)의 하나. 고체시(古體詩). 〔반의어〕 近体詩; 『문어』 호시. 호랑이처럼 날카로운 눈초리. 또는 그 날카로운 눈으로 노려봄. 〔참고〕 비유적으로, ‘기회를 노림’의 뜻으로도 씀; 『문어』 못 쓰게 된 종이. 휴지. 〔동의어〕反故; 고사. 초목이 말라서 죽음; 신체(神體)를 모신 가마. 〔동의어〕みこし·神輿; 『지리·지학·지명』 「北陸道」의 옛일컬음. 〔동의어〕越路
とても美しいです
美しい
아름답다. 〔반의어〕 みにくい; 곱다. 예쁘다; (사람의 행위·태도 등이) 훌륭하다. うつくし·が·る 【5단 활용 타동사】 うつくし·げ 【형용동사】 うつくし·さ 【명사】 【문어형】 うつく·し {シク 활용}
とても
〈뒤에 否定語가 따르며〉 도저히. 아무래도. 〔동의어〕とうてい; 매우. 대단히. 〔동의어〕たいそう; 어차피. 〔동의어〕どうせ
そして バックミンスター・フラー氏は
氏
씨. 성(姓). 성씨. 〔동의어〕苗字; 씨족(氏族); 집안. 가계. 가문; 씨. 〔참고〕 「氏」로 읽음은 옛날식. 지금은 「氏」라 함; 『곤충』 구더기. 〔동의어〕うじむし
そして
⇒ そうして
かつて地球のことを 「宇宙船地球号」と述べました
述べる
(개켜서 포개 놓은 것을) 펴다. 펴서 깔다. 〔동의어〕広げる; (손·다리 등을) 뻗치다. 〔동의어〕さしのべる; 길게 늘이다; (시간을) 연장하다. 연기하다. 【문어형】 の·ぶ {하2단 활용}; 말하다. 진술하다. 〔동의어〕言う; 기술[서술]하다. 【문어형】 の·ぶ {하2단 활용}
地球
지구; 아악(雅樂)의 하나. 빨간 탈을 쓴 여섯 사람이 춤을 춤; 지구
号
『문어』; 「豪州」의 준말; 호. 참호. 〔참고〕 물이 괴어 있는 것은 「濠(해자)」; 호. 아호. 〔동의어〕雅号·ペンネーム; (신문·잡지 등의) 호수(號數); 탈것·동물 등의 이름에 붙이는 말. 호; 숫자에 붙여 차례·크기 등을 나타내는 말. 호; 『철학』 (변증법에서) 합. 종합(綜合). 〔동의어〕ジンテーゼ; (척관법에서) 면적의 단위. 평(坪)의 10분의 1. 홉; (척관법에서) 용량의 단위. 되의 10분의 1. 홉; 〈「…合目」의 꼴로〉 등산로의 대강의 거리를 나타내는 단위. 정상까지를 10合으로 나눔; 뚜껑이 있는 그릇을 세는 말. 개; 경기·싸움 등의 횟수. 또는 칼싸움에서 칼을 맞부딪는 횟수를 세는 말. 회. 번; 힘이 셈. 굳건함. 〔반의어〕 柔; 『문어』 호. 가늘고 긴 털. 붓. 붓의 털끝; (변하여) 아주 조금임; 『문어』 향. 시골. 촌; 옛날의 행정 구역의 하나. ((「村」를 몇 개 합친 단위)); 『불교』 업. 선악의 행위; 『불교』 업보; 이성(理性)으로는 다스릴 수 없는 마음의 작용; ⇒ こう1.
宇宙船
우주선; 『물리』 우주선
私自身は 本当に 地球は宇宙船だと感じました
感じる
⇒ かんずる; ⇒ かんずる
自身
지신(地神). 땅의 신; 『지리·지학·지명』 지진; 자신; 자기. 〔동의어〕自分; 〈다른 말에 붙어 그것을 강조함〉 그 자신. 그 자체; 자신; 『문어』 시신. 주군(主君)을 가까이 섬기는 신하. 〔동의어〕近侍; 시침. (시계의) 단침; 자침
地球
지구; 아악(雅樂)의 하나. 빨간 탈을 쓴 여섯 사람이 춤을 춤; 지구
私
값. 가격. 대금. 〔동의어〕ね·値段; 가치. 값어치. 〔동의어〕値打ち; 『수학』 수치(數値). 수량. 값. 〔참고〕 3.은 「値」로 씀; 《속어》 《「あたし」의 변한말》 저. 나. 〔동의어〕わたし. 〔참고〕 흔히 여자 아이가 씀
宇宙船
우주선; 『물리』 우주선
もちろん大きいのですけれども 無限でもない
もちろん
물론. 말할 것도 없이. 〔동의어〕無論
無限
무한(함). 〔반의어〕 有限. {문어·ナリ 활용 }; 『문어』 몽환; 꿈과 환상; 무상함. 덧없음
大きい
크다. 〔반의어〕 小さい; (용적·면적·형체가) 크다; (수량·음량이) 많다; (규모가) 크다; (정도가) 심하다; 크다. 컸다. 또는 연장(年長)이다; 허세부리다. 과장하다. 잘난 체하다; 중대[중요]하다. 값어치가 있다; (사람의) 마음이 넓다. 포용력이 있다. おおき·さ【명사】
けれども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음》; 예상되는 결과와 반대의 사실이 일어남을 나타냄. …이지만. …하지만; 앞에 내놓은 사실과 다음의 말이 부드럽게 이어짐을 나타냄. …는데. …던데. 1.2.〔동의어〕けど·けれど; 실현되기 어려운 일이나, 사실과 반대되는 일을 바라는 마음을 나타냄. …는데; 분명하게 말하지 않고 에둘러서 말하는 느낌을 나타냄. …만. 1.2.〔동의어〕けど·けれど; 《接続助詞의 용법에서 변하여, 분리·독립됨》 그러나. 그렇지만. 하지만. 〔참고〕 「けど」 「けれど」보다 약간 정중한 말
土地も資源も有限である という意味で
土地
『식물·식물학』 ⇒ とちのき; 토지; 땅. 대지; 경작지. 택지; 그 고장; 영토
資源
비파(琵琶); 『문어』 지언. 지당한 말; 『문어』 시원. 〔동의어〕原始; 자원
意味
부정(不淨)이나 불길한 방향 등을 꺼림; 재계(齋戒); 거상(居喪). 복상(服喪); 의미; 말뜻; (표현이나 행동의) 의도. 까닭; 가치. 의의. 보람; 취지·목적·내용
有限
유한. 〔반의어〕 無限. {문어·ナリ 활용 }; 『문학』 중세 일본 문학의 미적 이념의 한 가지. 깊은 여운이 남는 것. {문어·ナリ 활용 }
宇宙船と感じました
感じる
⇒ かんずる; ⇒ かんずる
宇宙船
우주선; 『물리』 우주선
ということで
宇宙船地球号をより良い方法で 使っていかなければなりません
方法
방법; 《고어》; 당황하여 간신히 도망치는 모양. 허둥지둥. 헐레벌떡. 가까스로; 『문어』; 바람이 세게 부는 모양; (초목의 잎 등이) 무성하게 자란 모양; 연기나 수증기가 힘차게 솟아오르는 모양; (머리털 등이) 흐트러진 모양. {문어·タリ 활용}
地球
지구; 아악(雅樂)의 하나. 빨간 탈을 쓴 여섯 사람이 춤을 춤; 지구
良い
『문어』; 말함. 말; 〈「…の~」의 꼴로〉 …에 대한 표현. …이라는 뜻[의미]. 까닭; 《고어》 밥. 〔동의어〕飯·御飯; 예예. ((승낙의 대답)) 〔동의어〕はい; 『문어』 고분고분 따름. {문어·タリ 활용}; 《「良い」 보다 부드러운 표현. 보통은 終止形·連体形으로만 씀》; 좋다; (반어적으로) ‘나쁘다’의 뜻을 나타냄; 『문어』 의의함. 헤어지기가 서운함. 연모함. {문어·タリ 활용}; 『문어』 이연(怡然). 기뻐하고 즐거워함. {문어·タリ 활용}; 『문어』 쉬움. 용이함. {문어·タリ 활용}
号
『문어』; 「豪州」의 준말; 호. 참호. 〔참고〕 물이 괴어 있는 것은 「濠(해자)」; 호. 아호. 〔동의어〕雅号·ペンネーム; (신문·잡지 등의) 호수(號數); 탈것·동물 등의 이름에 붙이는 말. 호; 숫자에 붙여 차례·크기 등을 나타내는 말. 호; 『철학』 (변증법에서) 합. 종합(綜合). 〔동의어〕ジンテーゼ; (척관법에서) 면적의 단위. 평(坪)의 10분의 1. 홉; (척관법에서) 용량의 단위. 되의 10분의 1. 홉; 〈「…合目」의 꼴로〉 등산로의 대강의 거리를 나타내는 단위. 정상까지를 10合으로 나눔; 뚜껑이 있는 그릇을 세는 말. 개; 경기·싸움 등의 횟수. 또는 칼싸움에서 칼을 맞부딪는 횟수를 세는 말. 회. 번; 힘이 셈. 굳건함. 〔반의어〕 柔; 『문어』 호. 가늘고 긴 털. 붓. 붓의 털끝; (변하여) 아주 조금임; 『문어』 향. 시골. 촌; 옛날의 행정 구역의 하나. ((「村」를 몇 개 합친 단위)); 『불교』 업. 선악의 행위; 『불교』 업보; 이성(理性)으로는 다스릴 수 없는 마음의 작용; ⇒ こう1.
使う
쓰다. 사용하다. 부리다. 고용하다. 〔동의어〕召し使う; (어떤 동작을 시키기 위하여) 조종하다. 부리다. 〔동의어〕あやつる; (도구·수단으로서) 이용하다; 술수를 쓰다; 소비하다; 마음[머리]을 쓰다; 어떤 동작을 하다; (그것으로) 특정 동작을 하다. 【가능동사】 つか·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宇宙船
우주선; 『물리』 우주선
というのも 世界人口も また エネルギー消費量も
人口
인구; 『문어』 뭇사람의 입. 세상 사람의 소문; 일정한 지역 내에 사는 사람의 수효; 인공. 〔반의어〕 天然; 『식물·식물학』 침향; 향료의 한 가지. ((침향나무로 만든 것))
世界
지구상의 모든 나라. 만국(萬國); (지구를 중심으로 해서 본) 우주. 〔동의어〕天地; 세상. 인간 사회; 『불교』 중생(衆生)이 살고 있는 곳; 어느 특정한 것의 한정되는 범위
量
량. 기차·전차 등 차량의 수효를 세는 말; 『문어』 끝. 필(畢). 완료. 〔동의어〕終わり; 『역사』 奈良·平安 시대에, 律와 함께 나라의 기본이 된 법전. ((현재의 공무원법·행정법·민법·상법 등에 해당)) 〔참조어〕 りつりょう; 양. 양쪽. 한 쌍이 되는 것의 쌍방; 이. 둘. 〔동의어〕二·二つ; 옛날의 중량의 단위. 냥. ((銖의 24배, 斤의 16분의 1)); 옛날의 화폐의 단위. 냥. ((江戸 시대에는 작은 금화인 小判한 닢. 약 17.8g)); 양; 양호. 좋음. 또는 좋은 것; 4단계의 성적 평가에서, 두 번째; 《흔히 接尾語적으로 씀》 료; 재료; 대금. 요금. 보수; ⇒ りゅう1.; (목조 건물의) 들보. 〔동의어〕はり; 시원함. 서늘함. 또는 시원한 바람; 수렵. 사냥. 또는 사냥한 것. 〔동의어〕狩り·狩猟; 능. 천황·황태후·태황태후의 무덤. 〔동의어〕みささぎ; 양. 부피; 양. 무게; 양. 수량; 분량; 많고 적음의 정도; 마음의 넓이. 도량(度量). 기량(器量); 능; 『수학』 다면체의 두 면이 접하는 선; 고기잡이. 어로. 또는 어획물; 『문어』 영토. 영지. 영역; 〈藩·국명에 붙어〉 그 藩·국가의 영토임을 나타냄. 령; 大宝令 제도에서, 지방 장관의 관명. ((「大領」와 「少領」가 있음)); 의관(衣冠)·갑옷 등을 세는 단위. 벌; (학생·종업원 등을 위한) 기숙사; 다도(茶道)에서, 다실(茶室)로 만든 작은 건물. 〔동의어〕数寄屋; 「大宝令」에서, 「省」에 딸린 관아. ((「大学」 「陰陽」 「図書 등의 각 「寮」)); 《「~とする」의 꼴로》 납득하다. 이해하다. 양해하다; 영혼. 사람에게 지벌을 내리는 생령(生靈)이나 사령(死靈); (여행이나 행군할 때 가지고 가는) 식량. 양식. 병량(兵糧)
エネルギー
에너지. 〔동의어〕エナジー; 정력. 힘. 활력; 『물리』 물체가 일을 할 수 있는 힘의 양(量); 동력 자원
消費
소비. 〔반의어〕 生産
どんどん増えているからです
どんどん
《「~と」의 꼴로도 씀》; 순조롭게 나아가는 모양. 척척. 착착. 술술; 잇따라. 계속해서. 속속(續續). 자꾸자꾸; 마루를 세게 밟거나 문 등을 세게 두드리는 소리. 탕탕. 쿵쿵; 북·불꽃·대포 등이 잇따라 울리는 소리. 둥둥. 펑펑. 쿵쿵
増える
늘다. 늘어나다. 증가하다. 불어나다. 〔반의어〕 減る. 〔참고〕 ‘재산’ ‘생물’의 경우는 「殖える」로 씀. 【문어형】 ふ·ゆ {하2단 활용}
ですので 宇宙船地球号を 自分たちの持てる資源を
資源
비파(琵琶); 『문어』 지언. 지당한 말; 『문어』 시원. 〔동의어〕原始; 자원
地球
지구; 아악(雅樂)의 하나. 빨간 탈을 쓴 여섯 사람이 춤을 춤; 지구
号
『문어』; 「豪州」의 준말; 호. 참호. 〔참고〕 물이 괴어 있는 것은 「濠(해자)」; 호. 아호. 〔동의어〕雅号·ペンネーム; (신문·잡지 등의) 호수(號數); 탈것·동물 등의 이름에 붙이는 말. 호; 숫자에 붙여 차례·크기 등을 나타내는 말. 호; 『철학』 (변증법에서) 합. 종합(綜合). 〔동의어〕ジンテーゼ; (척관법에서) 면적의 단위. 평(坪)의 10분의 1. 홉; (척관법에서) 용량의 단위. 되의 10분의 1. 홉; 〈「…合目」의 꼴로〉 등산로의 대강의 거리를 나타내는 단위. 정상까지를 10合으로 나눔; 뚜껑이 있는 그릇을 세는 말. 개; 경기·싸움 등의 횟수. 또는 칼싸움에서 칼을 맞부딪는 횟수를 세는 말. 회. 번; 힘이 셈. 굳건함. 〔반의어〕 柔; 『문어』 호. 가늘고 긴 털. 붓. 붓의 털끝; (변하여) 아주 조금임; 『문어』 향. 시골. 촌; 옛날의 행정 구역의 하나. ((「村」를 몇 개 합친 단위)); 『불교』 업. 선악의 행위; 『불교』 업보; 이성(理性)으로는 다스릴 수 없는 마음의 작용; ⇒ こう1.
自分
무렵. 대체적인 시기·시각; 적당한 때. 기회. 시기; (중국에서 신문의 논설 등에 쓰는) 현대어체(現代語體)의 문장; 그 시대의 글. 당시의 글; 그 사람 자신. 자기 자신;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동의어〕わたくし
宇宙船
우주선; 『물리』 우주선
持てる
《動詞 「持つ」의 可能形》; 가질 수 있다; 유지할 수 있다; 《속어》 인기가 있다
対立をするのではなく 積極的に使えるように
的
적; …에 대한. …에 관한; …같은. …의 성질을 띤; …상태에 있는; 《속어》 〈인명이나 직업명에 붙어〉 친근미·경멸을 나타냄. 놈. 녀석. 꾼. 씨. 〔참고〕 1.~3.은 名詞에 붙어 경향·성질·상태 등을 나타내는 形容動詞의 어간을 이룸; 방울; 적. 적합; 적; 싸움·경쟁의 상대. 적수. 〔반의어〕 味方; 해롭게 하는 것; 흔히, 절충·교섭의 상대를 가리킴. 상대. 저쪽
対立
대립
使える
막히다. 메다; 받히다; 정체되다. 밀리다; 사용 중이어서 밀리다; 말이 막혀 더듬거리다; 《「手を~」의 꼴로》 (절을 할 때) 두손을 짚다. 【문어형】 つか·ふ {하2단 활용}; 섬기다. 모시다. 시중들다. 봉사하다; 사관(仕官)하다. 관리로서 근무하다. 【문어형】 つか·ふ {하2단 활용}; 《「使う」의 可能形에서》; (검술 등의 솜씨가) 뛰어나다; 가슴이 메다. つか·ふ{하2단 활용}
積極
적극. 〔반의어〕 消極
うまく使いこなして いかなければなりません
うまい
《고어》 숙수. 숙면(熟眠). 〔동의어〕熟睡; 맛있다. 〔동의어〕おいしい. 〔참고〕 「美味い」로도 씀; 훌륭하다. 솜씨가 좋다. 〔참고〕 「巧い」 「上手い」로도 씀; (자기에게) 편리하다. 유하다. 바람직하다. 1.~3. 〔반의어〕 まずい; 인간 관계. 특히 남녀의 사이가 좋다. うま·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うま·げ 【형용동사】 うま·さ 【명사】 【문어형】 うま·し {ク 활용}
2つ目に共有したいアイデアは 「人間の力の話」です
力
힘; 체력(體力); 『물리』 물체의 상태에 변화를 일으키는 작용; (사물에 갖춰져 있는) 위력; 지배력. ((폭력·완력·권력 등)); 기력. 정기(精氣). 원기(元氣); 박력(迫力); 조력. 진력(盡力); 효력. 효능; 의탁. 의지(依持); 능력. 실력(實力); 학력. 〔동의어〕学力; 재력; (종합적인) 세력
人間
인환. 사람이 살고 있는 곳. 인간 세계. 세상; 『문어』 세상. 세간
話
소곤대는 이야기. 밀담
目
《「目」가 다른 말과 복합할 때의 형태》 눈; 정말. 진실. 〔동의어〕ほんとう·まこと; 《名詞·形容詞 등에 붙음》; 참다운. 진실한; 바른. 정확한. 순수한; 아름다운. 뛰어난; (같은 종류의 동식물 중) 가장 표준적인; (공간적인) 사이. 틈. 간격; (시간적인) 사이. 동안. 겨를. 짬; (적당한) 기회. 시간. 시기. 때; 방; (일본 음악·춤·연극 등에서) 박자와 박자, 동작과 동작, 대사와 대사 사이의 시간적 간격. 또는 (전체적인) 리듬감(感); 일본식 방의 수를 세는 말. 실(室). 방; 삼베. 삼실; 『불교』 〈범어 「māra」의 음역(音譯)인 「魔羅」의 준말〉 마귀. 악마. 귀신; 〈「~の」의 꼴로〉 마(魔)의. ((나쁜 일이 흔히 일어나는 장소·날짜·시간·요일 등을 형용할 때 씀)); 마. 광(狂). 그 일만을 끈덕지게 되풀이하여 남에게 해를 끼치는 사람; 《「いま」의 준말》 더욱. 더; ⇒ まあ< 2>
共有
공유; 공동으로 가짐. 〔반의어〕 専有; 『법률』 소유권이 두 사람 이상에게 있음; 『문어』 향유; 『문어』 협용. 의협심이 있고 씩씩함. 또는 그런 사람; 『문어』 흉용. 물이 세차게 솟음. 파도가 세차게 일어 요란한 소리를 냄. 또는 그 모양. 〔동의어〕洶湧. {문어·タリ 활용}; 『문어』 효용. 잔인하고 억셈. 또는 그런 사람; 『문어』 효웅; 악인의 우두머리; 『문어』 향우. 고향 벗
日中 素晴らしい自然が 目の前に展開します
日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素晴らしい
매우 훌륭하다. 기막히게 좋다. 멋있다. 굉장하다; 정도가 심하다. 굉장하다. 대단하다. すばらし·げ 【형용동사】 すばらし·さ 【명사】 【문어형】 すばら·し {シク 활용}
中
‘그 동안 줄곧’이란 뜻을 나타냄. 내내; 그 범위 전체에 걸친다는 뜻을 나타냄; 십; 열. 〔동의어〕とお; 전부. 전체; 거주함; 거처. 처소; 『문어』 부드러움. 부드러운 것. 얌전함. 〔반의어〕 剛; 『문어』 중요한 것; 〈「お~」의 꼴로〉 찬합. 〔동의어〕重箱; 중; 무거움. 혹심함. 〔반의어〕 軽; 『화학』 산성염(酸性塩)임; 겹친 것을 세는 말. 중. 층; 종. 종자. 하인. 〔동의어〕とも·けらい. 〔반의어〕 主; ⇒ じゅ; 총; 짐승. 〔동의어〕けもの; 수. 짐승
展開
천계; 『불교』 천상계. 〔반의어〕 俗界. 〔참고〕 「てんがい」로도 읽음; 전개. 펼침. 펼쳐짐; 전회; 회전; 방향을 크게[정반대로] 바꿈; 『음악』 (화음 등에서) 음의 상하 관계를 바꿈
前
전. 모든; 《名詞에 붙어 形容動詞를 만듦》 …연하다. …인 체하다; 전. 이전; 「紀元前」의 준말; 전; 바로 앞; ‘…에 앞선’ ‘…이 되기 이전의’의 뜻을 나타냄; 둘 중의 앞쪽의 뜻을 나타냄. 〔반의어〕 後; 전; 앞. 이전. 〔반의어〕 後; 〈햇수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년 앞’ ‘…년 전’의 뜻을 나타냄. 〔반의어〕 後; 선. 좋은[옳은] 일. 선행. 덕행(德行). 〔반의어〕 悪; 『불교』 선; 잡념을 떨치고 정신을 통일하여 무아지경에 이르러 진리를 깨달음; 「禅宗」의 준말; 「座禅」의 준말; 『문어』 서서히 진척되어가는 모양; (요리를 얹는) 상. 밥상. 요리가 차려진 상. 〔동의어〕お膳; (밥·국 등) 공기에 담은 것을 세는 말. 공기; 젓가락 한 쌍을 세는 말. 벌
目
《「目」가 다른 말과 복합할 때의 형태》 눈; 정말. 진실. 〔동의어〕ほんとう·まこと; 《名詞·形容詞 등에 붙음》; 참다운. 진실한; 바른. 정확한. 순수한; 아름다운. 뛰어난; (같은 종류의 동식물 중) 가장 표준적인; (공간적인) 사이. 틈. 간격; (시간적인) 사이. 동안. 겨를. 짬; (적당한) 기회. 시간. 시기. 때; 방; (일본 음악·춤·연극 등에서) 박자와 박자, 동작과 동작, 대사와 대사 사이의 시간적 간격. 또는 (전체적인) 리듬감(感); 일본식 방의 수를 세는 말. 실(室). 방; 삼베. 삼실; 『불교』 〈범어 「māra」의 음역(音譯)인 「魔羅」의 준말〉 마귀. 악마. 귀신; 〈「~の」의 꼴로〉 마(魔)의. ((나쁜 일이 흔히 일어나는 장소·날짜·시간·요일 등을 형용할 때 씀)); 마. 광(狂). 그 일만을 끈덕지게 되풀이하여 남에게 해를 끼치는 사람; 《「いま」의 준말》 더욱. 더; ⇒ まあ< 2>
自然
『문어』 사전. 선사. 유사 이전; 자연. 천연(天然); 자연스러움. 꾸밈이 없음; 저절로 그렇게 됨; 《「~に」 「~と」의 꼴로도 씀》 자연히. 저절로; 『문어』 지선. 더없이 착함. 최고선
でも 夜には都市の照明が 輝いて美しいのです
美しい
아름답다. 〔반의어〕 みにくい; 곱다. 예쁘다; (사람의 행위·태도 등이) 훌륭하다. うつくし·が·る 【5단 활용 타동사】 うつくし·げ 【형용동사】 うつくし·さ 【명사】 【문어형】 うつく·し {シク 활용}
都市
해; 나이. 연령; 『문어』 도사. 개죽음. 〔동의어〕いぬじに; 도시
夜
《인명이나 사람을 나타내는 말에 붙어》 친밀감을 나타내는 말; 《흔히, 体言에 붙어》; 그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집]임을 나타냄; 그 일을 전문으로 하는 사람임을 나타냄. ((경멸이나 자조(自嘲)의 뜻이 담기기도 함)) …쟁이. …꾼; 그런 버릇·성질을 가진 사람임을 나타냄. …사람. …꾼. …쟁이; 옥호(屋號)·아호(雅號)에 붙이는 말. 〔참고〕 4.는 「舎」로도 씀; 『문어』; 《고어》 지붕; 팔. 여덟. 〔동의어〕やつ·やっつ·はち; 수효가 많음을 나타냄; 화살; 어떤 일이 빈번하게 행해지거나, 세월의 빠름을 비유하기도 함; 재목이나 돌을 쪼개는 데 쓰는 철제나 목재의 쐐기; (수레의) 바퀴살; 들. 들판. 〔동의어〕野·野原; 야. 민간. 〔반의어〕 朝; 천함. 거침. 세련되지 않음. {문어·ナリ 활용 }; 남을 부를 때 내는 소리. 어이. 야. 이봐요; 정신이나 기력을 집중시키기 위하여 내는 소리. 얏; 스스럼없는 口語적 대화에서 係助詞 「は」가 「イ」列音·「エ」列音 뒤에 왔기 때문에 변한말; 《体言 또는 副詞에 붙음》; 부르는 말임을 나타냄; 강조하는 뜻을 나타냄. …이야말로; (俳句 등에서) 体言을 받아 장면을 제시하거나 영탄을 나타냄. …(이)여; 『문어』 〈体言 또는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어〉 감동·영탄을 나타냄. …이여. …로구나; 〈活用語의 命令形에 붙음. 口語에서는 권유를 나타내는 助動詞 「う」의 終止形에도 붙음〉 동료 또는 아랫사람에 대하여 가볍게 재촉하는 뜻을 나타냄. 하세. 하게; 가벼운 영탄을 나타냄. …말야; 『문어』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어〉 의문·반문·반어의 뜻을 나타냄. …인가. …까보냐; 『문어』 《名詞, 活用語의 連用形·連体形·副詞 등에 붙음》 의문·반문·반어를 나타냄. …이라도; 《体言 또는 準体助詞 「の」에 붙어》 사물을 열거하는 뜻을 나타냄. …이나. …이랑. …며; 《動詞·動詞형 활용어의 終止形에 붙어》; 어떤 동작·작용의 발생과 동시에, 다른 동작·작용이 일어나는 뜻을 나타냄. …하자. …자마자; 〈흔히, 「~否~」의 꼴로〉 …하자 곧. …하자마자
輝く
《고어》 부끄러워하다
照明
『기독교』 소명. 신의 부름을 받아 성직자로서의 사명이 주어짐; 《보통 「正真~」의 꼴로 씀》 진짜; 증명; (사실·결론이) 진실임을 밝힘; 『논리학』 어떤 명제·판단을 근본 원리에서 이끌어 냄; 『법률』 재판의 기초가 되는 사실을 증거에 의해 확인함; 조명; (인공적으로) 빛을 비추어 밝게 함; 무대나 촬영 효과를 높이기 위해 쓰는 광선(의 사용법). 〔참고〕 비유적인 뜻으로도 씀
これは人間の文明の 象徴 [である] かのようです
人間
인환. 사람이 살고 있는 곳. 인간 세계. 세상; 『문어』 세상. 세간
文明
분명. 명백. 〔동의어〕ぶんみょう. {문어·ナリ 활용 }; 『문어』 문명. 작가로서의 명성. 〔동의어〕文声; 문명
象徴
『생리학』 소장; 중앙 관청의 총칭. ((「省」는 우리나라의 부(部), 「庁」는 우리나라의 청(廳)에 해당)); 소장. 쇠약과 성함. 성쇠; 『문어』 확실함을 보증·증명함. 또는 그 증거; 상징. 심벌. 〔동의어〕シンボル; 총애(寵愛). 〔동의어〕鍾愛
また ISSを見て びっくりしたことがあるのです
びっくり
《「~する」의 꼴로 쓰는 일이 많음》 깜짝 놀람
見る
『식물·식물학』 청각채; 보다. 눈으로 인식하다; 구경하다. 관람하다; 읽다; 살피다. 살펴보다; 관찰하여 판단하다. 〔참고〕 ‘진찰하다’의 뜻으로는 흔히, 「診る」를 씀; (시각 외의 감각으로) 파악하다; 당하다. 경험하다. 겪다; 맡아보다. 돌보다. 보살피다; 평가하다. 간주하다; 〈「…と~」의 꼴로〉 …로 보다. …로 생각하다[간주하다]. {문어·상1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て[で]」를 받아서》; (시험적으로) …해 보다; 〈「…てみると」 「…てみたら」 「…てみれば」의 꼴로〉 …해 보면. …해보니. …해 보니까. 〔참고〕 보통 かな로 씀. {문어·상1단 활용}
ISSに対して 近づいていって
そして ビデオで見ているように
ビデオ
비디오
見る
『식물·식물학』 청각채; 보다. 눈으로 인식하다; 구경하다. 관람하다; 읽다; 살피다. 살펴보다; 관찰하여 판단하다. 〔참고〕 ‘진찰하다’의 뜻으로는 흔히, 「診る」를 씀; (시각 외의 감각으로) 파악하다; 당하다. 경험하다. 겪다; 맡아보다. 돌보다. 보살피다; 평가하다. 간주하다; 〈「…と~」의 꼴로〉 …로 보다. …로 생각하다[간주하다]. {문어·상1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て[で]」를 받아서》; (시험적으로) …해 보다; 〈「…てみると」 「…てみたら」 「…てみれば」의 꼴로〉 …해 보면. …해보니. …해 보니까. 〔참고〕 보통 かな로 씀. {문어·상1단 활용}
そして
⇒ そうして
ISSから離れている時に 驚いたんですけれども
驚く
《고어》 잠에서 깨어나다. おどろ·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時
차; 다음; 『화학』 산화(酸化)의 정도가 낮음; 『화학』 염기성염(鹽基性鹽); 횟수(回數). 빈도(頻度). 차례; 자; 자기; 〈시간·장소를 나타내는 名詞에 붙어〉 …부터. 〔반의어〕 至; 사. 절; 아; 아이. 아동; 남아;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사. 일. 사항; 시. 시간의 단위. 60분; 시각; 때. 기회; 〈옛 지명에 붙여〉 그 지방의 길.그 지방 또는 그 지방으로 가는 길임을 나타냄. 도(道). 가도. 지방; 하루의 행정(行程); 『문어』 나이를 나타냄; 〈10을 단위로 한 수에 붙여〉 그 정도의 나이를 나타냄; 토지. 땅. 지면; 그 지방. 그 고장; 본성. 본색. 천성. 본바탕; 기반. 기초; 천; 살결. 피부; 문장에서 작자가 설명한 부분; (바둑에서) 차지한 집; 실제. 실지(實地). 〔참조어〕 地で行く; 풋내기. 숫보기; 「地謡」 「地紙」 「地髪」의 준말; 글자. 문자; 글씨. 필적; (바둑 등에서) 비김. 무승부; 『의학』 치질. 〔동의어〕痔疾; 『문어』 사; 말. 글; 한문 문체의 하나; 『언어학』 일본어 단어를 문법상의 성질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한 것의 하나. 단독으로는 문절(文節)을 이루지 못하고, 언제나 詞(자립어)에 딸려서 문절을 구성하는 말. ((助詞·助動詞 등)) 〔동의어〕付属語·関係語. 〔반의어〕 詞; 『문어』; 자석. 지남철; 자기. 사기그릇; 새; 세 가지 신기(神器)의 하나인 八尺瓊曲玉. 〔동의어〕神璽; 《고어》 《動詞·助動詞의 未然形에 붙음》; 부정적인 추측을 나타냄. …않겠지. …않을 것이다. 〔동의어〕…ないだろう·…まい; 부정적인 결의를 나타냄. …하지 않으리라. …않을 작정이다. 〔동의어〕…まい
離れる
(매여 있던 것·잡혀 있던 것이) 놓이다. 풀리다; (화살 등이) 날아가다. 【문어형】 はな·る {하2단 활용}; 떨어지다. 벌어지다. 멀어지다; 떠나다. 벗어나다. 【문어형】 はな·る {하2단 활용}
けれども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음》; 예상되는 결과와 반대의 사실이 일어남을 나타냄. …이지만. …하지만; 앞에 내놓은 사실과 다음의 말이 부드럽게 이어짐을 나타냄. …는데. …던데. 1.2.〔동의어〕けど·けれど; 실현되기 어려운 일이나, 사실과 반대되는 일을 바라는 마음을 나타냄. …는데; 분명하게 말하지 않고 에둘러서 말하는 느낌을 나타냄. …만. 1.2.〔동의어〕けど·けれど; 《接続助詞의 용법에서 변하여, 분리·독립됨》 그러나. 그렇지만. 하지만. 〔참고〕 「けど」 「けれど」보다 약간 정중한 말
幅は100メートル 長さ75メートルのISSは
幅
《수를 나타내는 고유어에 붙어》 천의 너비를 세는 말. 폭. 〔참고〕 「一幅」는 보통 경척(鯨尺)으로 9치 내지 한 자(약 30~ 36cm); 들. 들판. 〔동의어〕野原; 논밭. 〔동의어〕田畑; 《동식물 이름에 붙어》 야생의; 화살대. 〔동의어〕矢柄; 《体言 또는 体言으로 취급되는 말에 붙음. 体言을 수식하므로 連体修飾格, 소유 혹은 소속을 나타내므로 所有格이라 불린다》; 소유·소속을 나타냄. …의; 소재(所在)·시기(時期) 등을 나타냄. …에 있는. …동안의; 작자(作者)를 나타냄. …이 지은; 내용적인 관련을 나타냄. …에 관한; 명칭을 나타냄. …의; 동격(同格)을 나타냄. …인. …라는; 〈상대적 개념을 나타내는 말이 따르며〉 이 개념이 적용되는 대상·기준을 나타냄; 〈뒤에 「ため」 「よう」 「故」 등의 形式名詞가 따르며〉 실질(實質)을 나타냄; 〈성상(性狀)·수량·순서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속성(屬性)·종별을 나타냄. …(으)로 된; 〈동작을 나타내는 名詞가 따르며〉 동작의 주어를 속격(屬格)의 꼴로 간접적으로 나타냄. …의. …가 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名詞가 딸리어〉 동작의 목적어에 해당하는 것을 속격(屬格)의 꼴로 간접적으로 나타냄. …을[를]…하는데. …의 …에; 〈体言의 連体修飾句와 被修飾語의 중간에 위치하는 꼴로〉 동격(同格)을 나타냄. …라고 하는. 〔동의어〕…という; 〈連体修飾句 속에서 쓰이어〉 주격(主格) 혹은 대상격(對象格)을 나타냄. …가. …이. …를[을]; 〈名詞句에 쓰여〉 주격 또는 대상격을 나타냄. …가[이]. …를[을]; 『문어』 〈주문(主文) 속에 쓰이어〉 주격(主格)을 나타냄. …이[가]; 〈被修飾語가 修飾語의 앞에 나와, 文語에서는 修飾句가 連体形, 口語에서는 修飾句에 準体助詞 「の」가 붙은 꼴로〉 서술(敍述)에 초점을 둠; 〈「体言+~」의 꼴로〉 …의 것; 〈連体形으로 끝나는 어구 또는 連体詞에 붙어 名詞句를 만듦〉 것. 일. 〔동의어〕こと·もの·ようす; 《体言 또는 名詞句에 붙음》; 〈「a~ b~」의 꼴로〉 이것저것 열거함을 나타냄. …느니 …느니; 〈「…~…ない~」의 꼴로, 흔히 否定의 「ない」가 딸리어〉 형언할 수 없을 정도로 …이다. …하다; 〈「…~なん~」의 꼴로〉; 《準体助詞 「の」가 변한 것. 用言의 連体形에 붙음. 주로 여성 또는 아동이 씀》; 〈断定의 뜻을 나타내는 말이 따르며〉 가벼운 단정을 부드럽게 나타냄. …것입니다. …(이어)요. …(해)요. 〔동의어〕のです; 〈질문의 뜻을 나타내는 말이 따르며〉 질문을 부드럽게 나타냄. …것입니까? …(이어)요? …(해)요? 〔동의어〕のですか; 〈확인의 뜻을 나타내는 말이 따르며 질문하는 꼴로〉 가벼운 자기 확인을 나타냄. …인 것입니까? …(이어)요? …(해)요? 〔동의어〕のですか; 〈강한 어투가 따르며〉 그렇게 할 것을 촉구함. 그렇게 해요
長い
한곳에 오래 머무름. 〔동의어〕長座; (공간적으로) 길다; (시간적으로) 길다. 오래다. 〔참고〕 「永い」로도 씀; 길이 멀다; 마음이 느슨하다. 늘쩡하다. 1.~4. 〔반의어〕 短い. なが·さ 【명사】 【문어형】 なが·し {ク 활용}
メートル
미터; 미터법에서 길이의 기본 단위. 〔참고〕 「米」 「米突」는 차자; ⇒ メーター1.
ちょうど サッカー場と同じぐらい 巨大なものなのですけれども
場
성; 병풍·막 등을 세는 말. 폭; 종이·김 등을 세는 말. 미농지는 48매, 반지는 20매, 서양 종이는 12매, 김은 10매가 一帖임; 접책(摺册)을 세는 말. 첩; 중의 가사를 세는 말. 벌; 『수학』 승. 승수. 곱수; 『문어』 수레를 세는 말. 채. 대; 다다미를 세는 말. 장. 〔참고〕 「帖」로도 씀; 상. 〔반의어〕 中·下·; (가치·계급·순위·지위 등이) 제일 위임. 훌륭함. 〔동의어〕うえ; (책의) 상권; 상. …에 관하여. …점에서; 위; 훌륭한. 좋은; 상. 상부의. 위의; 장; 길이의 단위. 1丈는 10자(약 3.03m); (변하여) 길이. 특히, 남자의 신장. 〔동의어〕たけ; 歌舞伎 배우 등의 예명(藝名)에 붙이는 높임말. 장; 조. 조목. 대문. 〔동의어〕箇条; 『문어』; …(의) 것. …(의) 건; 〈接続助詞적으로 써서〉 …이라고 하지만. 〔동의어〕…ても; 띠·막(幕) 등 가늘고 긴 것을 세는 말. 장; 모양. 〔동의어〕ありさま; 편지; 모양; 편지; 장. 서류; 반드시 그렇게 됨. 정해진 일. 〔동의어〕必定; 정말. 진실; 정. 선정(禪定); 『역사』 衛門府·兵衛府·検非違使의 제3등관; (비유적으로) 숯불이 다 타고 남은 흰 재; 정; 감정. 〔반의어〕 知·意; 인정. 동정. 애정. 〔동의어〕なさけ; 성심. 진심. 성의; 남녀의 사랑; 진상. 사정; 고집; 정취. 운치; 『문어』 장소. 곳. 〔동의어〕ところ; 『역사』 大宝令에서, 国司의 제3등관; 江戸 시대 이후, 浄瑠璃의 太夫에게 내리는 칭호로, 지방 이름에 곁들여 쓰는 말. 님; 《보통 「お~」 「お~さん」의 꼴로 씀》 처녀. 색시. 미혼 여성; 양; (이름 뒤에 붙는) 미혼 여성의 높임말; 미혼의 직업 여성; 자물쇠. 〔참고〕 「鎖」로도 씀; 〈接尾語적으로 씀〉 「錠剤」의 준말; 정제를 세는 말. 정. 알; 『역사』 律令制에서, 4등관의 제3위. 次官의 아래, 主典의 위에 위치함. 관청 안의 단속, 숙직의 배당 등을 맡았음. ((관아에 따라, 「丞」「掾」「尉」등으로 글자를 다르게 썼음))
巨大
거대. {문어·ナリ 활용 }
ちょうど
『문어』 궁시(弓矢). 활과 화살; 수량·크기·시각 등이 기준·목적에 합치되는 모양. 꼭. 정확히. 〔동의어〕きっちり·ぴったり·きっかり; 예상·기대·목적에 합치하는 모양. 마침. 알맞게. 꼭. 〔동의어〕折よく·具合よく·都合よく; 꼭 닮은 모양. 마치. 흡사. 꼭. 〔동의어〕まるで·さながら; 방금. 바로. 막.〔동의어〕まさに·たった今
ぐらい
⇒ くらい
同じ
《원래 シク活用의 形容詞였던 것이 形容動詞의 語幹이 된 말. 連体形 「同じな」는 「同じなのに」 「同じなので」와 같은 경우에만 쓰이고, 体言에 이어질 때는 語幹 「同じ」를 씀》 같음. 동일함; 《「~…なら」의 꼴로》 어차피. 이왕에. 〔동의어〕どうせ·せっかく. 〔참고〕 < 1> 과 < 2> 모두 「おなし」라고도 함
けれども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음》; 예상되는 결과와 반대의 사실이 일어남을 나타냄. …이지만. …하지만; 앞에 내놓은 사실과 다음의 말이 부드럽게 이어짐을 나타냄. …는데. …던데. 1.2.〔동의어〕けど·けれど; 실현되기 어려운 일이나, 사실과 반대되는 일을 바라는 마음을 나타냄. …는데; 분명하게 말하지 않고 에둘러서 말하는 느낌을 나타냄. …만. 1.2.〔동의어〕けど·けれど; 《接続助詞의 용법에서 변하여, 분리·독립됨》 그러나. 그렇지만. 하지만. 〔참고〕 「けど」 「けれど」보다 약간 정중한 말
サッカー
사커. 축구. 〔동의어〕蹴球; 시어서커. 오글오글한 주름을 줄무늬처럼 짜낸 평직(平織)의 천. ((여성·아동용 하복지이며, 면직물이 많음))
これは国際的な協力[無くしては] できないことです
国際
『경제』 국채; 「国債証券」의 준말; 국제
協力
협력; 강력. {문어·ナリ 활용 }
できる
전부 나가다[나오다]. 다 나가[나와] 남은 것이 없다. 〔동의어〕出つくす. 【문어 4단 활용 동사】; 《カ変動詞 「でくる」의 변한 꼴》; (새로) 생기다. 나다; 생성(生成)되다; 성립되다; 일어나다. 발생하다; 수중에 들어오다. 얻다; 생산되다. 산출되다; 만들어지다; 완성되다. 다 되다; (소질·경향을) 타고나다. 생겨 먹다; 능력·가능성이 있다. 할 수 있다. 가능하다; 〈サ変動詞의 語幹에 붙어 接尾語적으로〉 …할 수 있다. …하는 것이 가능하다; 잘하다. 할 줄 알다; (능력·인품이) 뛰어나다. 출중하다. 되어 있다; 《속어》 (남녀가) 깊은 관계에 있다. 눈이[배가] 맞다; 『경제』 (증권 거래소에서) 매매가 성립되다
的
적; …에 대한. …에 관한; …같은. …의 성질을 띤; …상태에 있는; 《속어》 〈인명이나 직업명에 붙어〉 친근미·경멸을 나타냄. 놈. 녀석. 꾼. 씨. 〔참고〕 1.~3.은 名詞에 붙어 경향·성질·상태 등을 나타내는 形容動詞의 어간을 이룸; 방울; 적. 적합; 적; 싸움·경쟁의 상대. 적수. 〔반의어〕 味方; 해롭게 하는 것; 흔히, 절충·교섭의 상대를 가리킴. 상대. 저쪽
無い
내. 안쪽의; 공식적이 아닌. 은밀한; 내. 범위 안; 《形容詞·形容動詞의 語幹 등 상태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形容詞를 만듦》 정도가 너무 심함을 나타냄. (몹시) …하다. 【문어형】 な·し {ク 활용}; 없다; 존재하지 않다; 갖고[갖추어져] 있지 않다. 없다; (시간적·공간적·수량적으로) 넉넉하지 않다; 오지 않다. 없다; (경험한 적이) 없다; (죽어서) 이 세상에 없다. 〔참고〕 6.은 「亡い」로 쓰는 경우가 많음. 1.~5. 〔반의어〕 有る. な·げ 【형용동사】 な·さ 【명사】; 〈動詞의 連用形+「て」, 形容詞, 形容動詞, 일부의 助動詞 「だ」 「らしい」 「たい」 등의 連用形 등의 뒤에 붙어〉 否定을 나타냄. (…지) 않다; 〈格助詞 「と」의 뒤에 붙어〉 불확실한, 또는 분명하게 지시하지 않은 상태에 있음을 나타냄. 없이. 아니게. な·げ 【형용동사】 な·さ 【명사】 【문어형】 な·し {ク 활용}; 《名詞에 붙어 形容詞를 만듦》 否定의 뜻을 나타냄. …(스럽)지 않다. な·げ 【형용동사】 な·さ 【명사】 【문어형】 な·し {ク 활용}; 《動詞 및 動詞에 준하는 말의 未然形에 붙음. サ変動詞는 「し」에 붙으며, 動詞 「ある」에는 붙지 않음》; 否定을 나타냄. …지 않다; 〈「…てはなら~」 「…てはいけ~」의 꼴로〉 불허·금지를 나타냄. …는 안 되다; 〈「…なければなら~」 「なくてはいけ~」 등의 꼴로〉 당연·의무를 나타냄. (…지 않으면) 안 되다; 〈「なくてもよい」 「~でもいい」의 꼴로〉 허용을 나타냄. (…지) 않다; ⇒ ないで; 〈「…~か」 「…~かしら」의 꼴로〉 물음·권유를 나타냄. (…지) 않나 (몰라); 〈문말(文末)에 쓰이어, 억양을 높여서〉 물음·권유를 나타냄. …지 않 겠어? 〔참고〕 助動詞 「そう だ」, 接尾語 「過ぎる」가 이어질 때에는 語幹인 「な」 에 이어짐; ⇒ い . 〔참고〕 금지의 終助詞 「な」에 終助詞 「い」가 붙은 것
ということで 人間の国境を越えた協力の賜物です
人間
인환. 사람이 살고 있는 곳. 인간 세계. 세상; 『문어』 세상. 세간
協力
협력; 강력. {문어·ナリ 활용 }
越える
(사람이나 동물이) 살찌다. 〔동의어〕太る. 〔반의어〕 やせる; (땅이) 비옥해지다. 〔반의어〕 やせる; (비유적으로) 자산 등이 늘어나다; (느낌이나 안목 등이) 풍부해지다. 높아지다. 【문어형】 こ·ゆ {하2단 활용}; 넘다. 넘어가다; (강을) 건너다; (어떤 시기가) 지나가다. 넘기다; (어떤 기준을) 넘다. 넘어서다. 초과하다. 〔동의어〕超える; 뛰어나다. 〔동의어〕超える; 초월하다. 〔동의어〕超える; 뛰어넘다. 앞지르다. 건너뛰다. 【문어형】 こ·ゆ {하2단 활용}
国境
지방과 지방과의 경계
賜物
신불이나 귀인이 내린 것. 하사품(下賜品); (좋은) 결과. 보람. 덕분. 은혜
ISSプロジェクトは
プロジェクト
프로젝트; 연구 과제
1980年代に西洋諸国が始めた プロジェクトです
西洋
서양. 〔반의어〕 東洋; 『문어』 바른 용법. 〔반의어〕誤用; 정양; 『문어』 정용; 자세를 바르게 함
始める
시작하다. 개시하다. 〔반의어〕 終える; (늘 하던 버릇을) 또 시작하다. 【문어형】 はじ·む {하2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하기 시작하다. 【문어형】 はじ·む {하2단 활용}
年代
연대; 시대; 지나온 시대
諸国
제국. 여러 나라. 여러 지방
プロジェクト
프로젝트; 연구 과제
ヨーロッパ、アメリカ カナダ、日本が主要国です
アメリカ
아메리카; 「アメリカ合衆国」의 준말. 〔참고〕 「亜米利加」는 차자
日本
일본. 〔동의어〕にほん
ヨーロッパ
『지리·지학·지명』 유럽. 구라파. 〔동의어〕欧州. 〔참고〕 「欧羅巴」는 차자
主要
주군이나 주인의 용무; 주된 용무; 주로 씀; 주요. 〔참고〕 「おもな」보다 약간 문어적임. {문어·ナリ 활용 }; 수요. 꼭 필요함. 〔동의어〕すよう. {문어·ナリ 활용 }; 『의학』 종양
国
吉原 유곽 지대의 딴이름
カナダ
『지리·지학·지명』 캐나다. 북아메리카 대륙 북부에 있는, 영국 연방 내의 연방 국가. 《수도는 오타와(オタワ)》 〔참고〕 「加奈陀」는 차자
そして 冷戦が終わった後―
後
뒤. 후; (공간적으로) 뒤쪽. 후방. 등쪽; (시간적으로) 뒤. 나중. 다음; 현재로부터 거슬러 오른 때. 이전. 〔반의어〕 先; 뒷일. 후사(後事). 뒤처리. 사후(死後); 나머지; 후임(자). 후처(後妻); 후손. 자손. 1.2. 〔반의어〕 前·先; 자국. 발자국; 자취. 흔적. 종적. 행적; 필적(筆跡); 왕래. 인적(人跡); 가독(家督). 대(代); 터. 유적; 《고어》 선례(先例). 선인(先人)의 본보기
そして
⇒ そうして
終わる
끝나다; 종료되다. 〔반의어〕 始まる; 〈名詞+「で」의 꼴에 붙어〉 (더욱 발전하지 못하고) …으로 끝나다; 〈名詞+「に」의 꼴에 붙어〉 …으로 끝나다. …의 결과로 되다; (어떤 상태에 이르기 전에) 끝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끝내다. 마치다. 【가능동사】 おわ·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동작·작용이) 완결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冷戦
냉천; 섭씨 25도 이하의 광천(鑛泉); 냉전. 〔동의어〕冷たい戦争; 『문어』 영천. 병에 신기한 효험이 있는 온천. 영검이 있는 샘
これは1990年初頭ですけれども―
年
해; 나이. 연령; 『문어』 도사. 개죽음. 〔동의어〕いぬじに; 도시
けれども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음》; 예상되는 결과와 반대의 사실이 일어남을 나타냄. …이지만. …하지만; 앞에 내놓은 사실과 다음의 말이 부드럽게 이어짐을 나타냄. …는데. …던데. 1.2.〔동의어〕けど·けれど; 실현되기 어려운 일이나, 사실과 반대되는 일을 바라는 마음을 나타냄. …는데; 분명하게 말하지 않고 에둘러서 말하는 느낌을 나타냄. …만. 1.2.〔동의어〕けど·けれど; 《接続助詞의 용법에서 변하여, 분리·독립됨》 그러나. 그렇지만. 하지만. 〔참고〕 「けど」 「けれど」보다 약간 정중한 말
初頭
음력 10월의 딴이름; 초등. 〔동의어〕初級. 〔반의어〕 高等·中等; 초두. 첫머리; 《「しゃとう」의 관용음》 자당. 이당류의 한 가지. 수크로오스; 제도. 여러 섬들
冷戦が終わってからは ロシアが参加を始めました
始める
시작하다. 개시하다. 〔반의어〕 終える; (늘 하던 버릇을) 또 시작하다. 【문어형】 はじ·む {하2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하기 시작하다. 【문어형】 はじ·む {하2단 활용}
参加
『문어』 삼하. 여름 석달. 초하(初夏)·중하(仲夏)·만하(晩夏). 또는 맹하(孟夏)·중하(仲夏)·계하(季夏); 산화. 산불; 『문어』 산하; 산천; 자연. 〔참고〕 「さんが」라고도 함; 『문어』 산가. 산중의 집. 〔동의어〕やまが; 전날, 떠돌이 생활을 하며 특수 사회를 이루고 있던 사람들. ((산속·강변 등에서 야영을 하며, 죽세공·수렵 등으로 생계를 이어갔음)) 〔동의어〕さんわ; 참가; 참화; 『의학』 산과; 『문어』 산하. 〔동의어〕翼下; 『화학』 산화. 〔반의어〕 還元; 찬가; 단체에 소속된 사람이 특수한 기능을 살려 활동하는 것
終わる
끝나다; 종료되다. 〔반의어〕 始まる; 〈名詞+「で」의 꼴에 붙어〉 (더욱 발전하지 못하고) …으로 끝나다; 〈名詞+「に」의 꼴에 붙어〉 …으로 끝나다. …의 결과로 되다; (어떤 상태에 이르기 전에) 끝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끝내다. 마치다. 【가능동사】 おわ·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동작·작용이) 완결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ロシア
『지리·지학·지명』 러시아; 『지리·지학·지명』 유라시아 북부의 광대한 지역. 구 소비에트 연방 영역. 〔참고〕 「露西亜」 차자; 〈「ロシア連邦」의 준말〉 유럽 대륙의 동부에서 시베리아에 걸쳐 있는 나라. 《수도는 모스크바(モスクワ)》 〔참고〕 「露西亜」 「魯西亜」는 차자
冷戦
냉천; 섭씨 25도 이하의 광천(鑛泉); 냉전. 〔동의어〕冷たい戦争; 『문어』 영천. 병에 신기한 효험이 있는 온천. 영검이 있는 샘
ということで 事態はどんどん変わっていきます
変わる
대신하다. 대리하다. 〔참고〕 보통은 「代わる」를 씀; 바뀌다. 교체되다. 〔참고〕 보통 「換わる」 「替わる」를 씀. 【가능동사】 かわ·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변하다. 바뀌다; 〈「~·った」 「~·っている」의 꼴로〉 색다르다. 별나다. 별스럽다. 이상하다. 【가능동사】 かわ·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どんどん
《「~と」의 꼴로도 씀》; 순조롭게 나아가는 모양. 척척. 착착. 술술; 잇따라. 계속해서. 속속(續續). 자꾸자꾸; 마루를 세게 밟거나 문 등을 세게 두드리는 소리. 탕탕. 쿵쿵; 북·불꽃·대포 등이 잇따라 울리는 소리. 둥둥. 펑펑. 쿵쿵
事態
자체. 글자의 체; 자체; 대체. 도대체. 대관절; 원래. 본시. 근본적으로. 〔동의어〕地体; 사태. 일이 되어가는 형편; 사퇴; 원래. 애초. 〔동의어〕自体
様々な多くの国々が 協力をきっとするんだと思います
思う
생각하다; 판단을 내리다. 믿다; 느끼다; 예상하다. 추측하다; 원하다. 소망하다; 회상하다; 사랑하다. 그리워하다. 사모하다. 소중히 하다; 〈「…と~」의 꼴이나 形容詞·形容動詞의 連用形을 받아서〉 …라고 생각하다. …하려고 결심하다. 〔참고〕 「考える」는 객관적·지적인 경우에만 쓰는데, 「思う」는 감정적·의지적·주관적인 경우에도 씀. 【가능동사】 おも·える【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きっと
《「きと」의 변한말》; 꼭. 반드시. 틀림없이. 〔동의어〕かならず·たしかに; 표정이나 태도가 엄해지는 모양; 순간적으로 행동하는 모양. 〔동의어〕さっと
協力
협력; 강력. {문어·ナリ 활용 }
多く
많음. 다수. 대부분; 대체로. 대개는. 흔히. 자주
将来の有人宇宙探査船に関してです
将来
⇒ せいらい; 초래; (사람을) 불러옴. 초빙; 가져옴. 야기함; 『문어』 송뢰. 솔바람. 또는 그 소리. 송풍(松風). 송운(松韻); 〈副詞적으로도 씀〉 장래. 미래. 전도; 가져옴. 야기함. 초래함. 〔동의어〕招来; 『불교』 불상·불경 등을 청하여 외국에서 가져옴
船
수의 단위. 1의 1000만분의 1; 차린 음식. 밥상. 〔동의어〕膳部; 선. 큰배; 전; 전쟁; 시합; 경쟁; 종이; 옛 화폐 단위. 貫의 천분의 1. 〔동의어〕文; 화폐 단위. 円의 백분의 1; 돈. 특히, 금속 화폐; 천; 많음. 〔참고〕 서류에 금액 등을 적을 때는 「仟」 「阡」을 씀; 『문어』 신선. 선인; 앞. 장래. 미래. 〔동의어〕将来; 이전. 전. 〔동의어〕以前; 어떤 것 이전에 있던 것. 전 것; (바둑·장기 등에서) 선. 선수. 〔동의어〕先手; 마개. (수도) 꼭지; 『생리학』 선. 샘. 동물의 분비 기관(分泌器官); 방도. 방법; 효과. 보람. 〔동의어〕かい·効果; 결국. 필경; 『문어』 찬; 시나 문장을 지음; 많은 작품 중에서 골라 편집함; 선; 실처럼 가늘고 긴 것. 금. 줄; 방향. 방침; 수준. 기준. 한도. 범위; 윤곽. 인상. 느낌; 교통·통신·전기의 선. 노선. 항로; 『수학』 선. ((위치와 길이는 있으나 폭과 두께가 없는 것)); 도로·철도·항공 노선 등을 뜻함. 선; 선. 가려 냄. 뽑음. 뽑은 것; 「選集」의 뜻을 나타냄. 선집; 「選挙」의 뜻을 나타냄. 선거; 전. 벽돌의 한 가지; 『문어』 전. 모직 깔개. 양탄자. 〔동의어〕毛氈; 천. 온천
宇宙
우주; 우중. 빗속; 『문어』 (화살·총알이) 빗발침
有人
우인. 친구. 벗. 〔동의어〕友達; 유인. 〔반의어〕 無人
探査
탐사
例えば 月や それより遠い所に
例えば
가령. 비록. 설령. 〔동의어〕たとえ·よしんば·かりに
月
《「月曜日」의 준말》 월; 《「…か~」의 꼴로》 …(개)월
遠い
멀다; (공간적인) 거리가 많이 떨어져 있다; (시간적인) 간격이 많이 떨어져 있다; 추상적으로 차이가 크다; 혈연 관계가 멀다; 접촉 관계가 적다. 소원(疏遠)하다; (성질·내용이) 닮지 않다. 다르다; 친근하지 않다; 보거나 하거나 하는 일이 드물다; 관련이 별로 없다; 잘 들리지 않다; 〈「目が~」의 꼴로〉 노안(老眼)이다. 원시(遠視)이다; 〈「気が~·くなる」의 꼴로〉 의식이 혼미해지다. 정신이 아찔해지다. 1.~9.〔반의어〕 近い. とお·さ 【명사】 【문어형】 とほ·し {ク 활용}
所
초. 첫. 처음의; 초; 제. 여러. 많은; 소. 어떤 일을 하기 위한 장소·시설·기관. 〔참고〕 「じょ」로 읽는 경우가 있음; 서. 관청임을 나타냄; 《「警察署」의 준말》 서; 서; 쓴 글씨. 필적; 서법(書法). 서도(書道). 서예; 책. 서류; 편지. 서간; 서. 책·문서 등의 뜻을 나타냄; 서. 〔반의어〕 寒; 대서(大暑)와 소서(小暑). 복중(伏中); 보관을 주업무로 하는 관공서를 나타냄; 서. 실마리. 처음. 〔동의어〕ちょ
宇宙船の探査を送ることに関してです
送る
(물건을) 부치다. 보내다. ((추상적인 것에도 씀)); (사람을) 보내다. 파견하다; 안내하다. 배웅하다. 데려다 주다; (석별의 정으로) 전송하다. 떠나 보내다; (죽은 이를) 장송하다; (세월을) 보내다. 지내다; (차례차례) 옮기다. 차례로 넘기다; 좁히다. 이동하다; 「送りがな」를 달다[붙이다]; 갚다. 보답하다; 졸업생을 내보내다[배출하다]. 【가능동사】 おく·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고인에게 관위나 칭호를) 내리다. 추서(追敍)하다. 추증(追贈)하다; (감사·축복의 뜻으로) 선사하다. 보내다. 주다. 【가능동사】 おく·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宇宙船
우주선; 『물리』 우주선
探査
탐사
というのは こういった 火星に 探査船を送るようなプロジェクトというのは
送る
(물건을) 부치다. 보내다. ((추상적인 것에도 씀)); (사람을) 보내다. 파견하다; 안내하다. 배웅하다. 데려다 주다; (석별의 정으로) 전송하다. 떠나 보내다; (죽은 이를) 장송하다; (세월을) 보내다. 지내다; (차례차례) 옮기다. 차례로 넘기다; 좁히다. 이동하다; 「送りがな」를 달다[붙이다]; 갚다. 보답하다; 졸업생을 내보내다[배출하다]. 【가능동사】 おく·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고인에게 관위나 칭호를) 내리다. 추서(追敍)하다. 추증(追贈)하다; (감사·축복의 뜻으로) 선사하다. 보내다. 주다. 【가능동사】 おく·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船
수의 단위. 1의 1000만분의 1; 차린 음식. 밥상. 〔동의어〕膳部; 선. 큰배; 전; 전쟁; 시합; 경쟁; 종이; 옛 화폐 단위. 貫의 천분의 1. 〔동의어〕文; 화폐 단위. 円의 백분의 1; 돈. 특히, 금속 화폐; 천; 많음. 〔참고〕 서류에 금액 등을 적을 때는 「仟」 「阡」을 씀; 『문어』 신선. 선인; 앞. 장래. 미래. 〔동의어〕将来; 이전. 전. 〔동의어〕以前; 어떤 것 이전에 있던 것. 전 것; (바둑·장기 등에서) 선. 선수. 〔동의어〕先手; 마개. (수도) 꼭지; 『생리학』 선. 샘. 동물의 분비 기관(分泌器官); 방도. 방법; 효과. 보람. 〔동의어〕かい·効果; 결국. 필경; 『문어』 찬; 시나 문장을 지음; 많은 작품 중에서 골라 편집함; 선; 실처럼 가늘고 긴 것. 금. 줄; 방향. 방침; 수준. 기준. 한도. 범위; 윤곽. 인상. 느낌; 교통·통신·전기의 선. 노선. 항로; 『수학』 선. ((위치와 길이는 있으나 폭과 두께가 없는 것)); 도로·철도·항공 노선 등을 뜻함. 선; 선. 가려 냄. 뽑음. 뽑은 것; 「選集」의 뜻을 나타냄. 선집; 「選挙」의 뜻을 나타냄. 선거; 전. 벽돌의 한 가지; 『문어』 전. 모직 깔개. 양탄자. 〔동의어〕毛氈; 천. 온천
火星
『생물학』 화생; 화성; 육성함; 감화되어 선(善)해짐; 『화학』 화합하여 딴 물질이 됨; 『곤충』 화성. 곤충이 1년에 몇 번씩 세대를 반복하는 성질; 『역사』 「文化」 「文政」 시대의 준말. ((1804년에서 1830년까지의 江戸 시대의 말기로, 풍속이 극도로 문란하였으나 서민 예술이 매우 발달하였음)); 『천문』 화성. 〔동의어〕マルス; 화세; 불기운; (비유적으로) 사물의 격렬한 기세; 가세. 거듦. 조력; 원병. 원군; 『문어』 가성. 꾸민 목소리; 『의학』 가성. 〔반의어〕 真性; ⇒ わせい; 『문어』 하청. 황하의 탁류가 맑아지는 일; 가성. 동식물의 조직 등을 진무르게 하는 성질; 『문어』 가정. 가혹한 정치. 학정. 〔동의어〕虐政; 『문어』 가세. 가문과 혈통; 『문어』 일가(一家)의 명성. 일가의 평판; 가정; 『문어』 가성. 노랫소리. 〔동의어〕うたごえ; 『문어』 가성. 뛰어난 가인. 和歌에 뛰어난 사람. 특히, 柿本人麻呂와 山部赤人를 이름. 〔동의어〕歌仙
プロジェクト
프로젝트; 연구 과제
探査
탐사
一国ではやりきれません
一
일; 하나. 〔동의어〕一つ. 〔참고〕 증서 등에서는 갖은자인 「壱」을 씀; (사물의) 시초. 처음. 첫째. 최초. 〔동의어〕一番め; 최상. 최고. 으뜸. 〔동의어〕首位; (상투 등에서) 元結로 묶은 곳에서 뒤로 내민 부분; (三味線·거문고 등에서) 제일 낮은 음의 줄. 〔동의어〕一の糸; (많은 것 중) 한. 하나의. 한 사람의; (이렇다 할 만한 데가 없는) 하찮은. 어떠 한; 어떤. 한; 상당한. 버젓한; 시장. 저자. 장; (변하여) 시가. 거리. 〔동의어〕街; 지위(地位). 〔동의어〕地位; 위치; 지위. 입장
国
吉原 유곽 지대의 딴이름
ということで より大規模な国際協力が必要です
国際
『경제』 국채; 「国債証券」의 준말; 국제
必要
『문어』 필용. 꼭 써야 함. 〔동의어〕必要; 필요. 〔동의어〕必用. 〔반의어〕 不要. {문어·ナリ 활용 }
協力
협력; 강력. {문어·ナリ 활용 }
規模
규모; 귀적(鬼籍)
大
‘큰’ ‘넓은’ ‘많은’의 뜻; ‘정도가 심한’ ‘큰’의 뜻; ‘서열에서 상위’의 뜻; ‘대략’ ‘대체로’ ‘대충의’의 뜻; ‘극한의’ ‘제일의’의 뜻; 『문어』 찬미·존경의 뜻을 나타냄; 응답·승낙의 뜻을 나타냄. 암. 그래; 감탄·놀람을 나타냄. 야. 어. 아이고; 갑자기 생각났을 때 내는 소리. 아. 어. 〔참고〕 「おう」로도 씀
そのためにも グローバル経済 グローバル政治は
経済
경제; 『경제』 재화(財貨)의 획득·이용 활동; 돈의 변통; 절약. 경제적
政治
한자 본래의 바른 글씨. ((「桜」에 대한 「桜」 등)) 〔반의어〕 俗字; 청자. 〔동의어〕青磁; 『문어』 정사. 정치. 〔동의어〕政; 정치; 『문어』 성사. 성대한 사업[행사]; 『문어』 성시; (운세 등이) 흥성한 때
グローバル
글로벌. 전세계적임. 지구 전체에 관계되는 모양
より安定していなければなりません
安定
안정
私たちは ボーダーレスな 国境を越えた協力が必要です
必要
『문어』 필용. 꼭 써야 함. 〔동의어〕必要; 필요. 〔동의어〕必用. 〔반의어〕 不要. {문어·ナリ 활용 }
協力
협력; 강력. {문어·ナリ 활용 }
越える
(사람이나 동물이) 살찌다. 〔동의어〕太る. 〔반의어〕 やせる; (땅이) 비옥해지다. 〔반의어〕 やせる; (비유적으로) 자산 등이 늘어나다; (느낌이나 안목 등이) 풍부해지다. 높아지다. 【문어형】 こ·ゆ {하2단 활용}; 넘다. 넘어가다; (강을) 건너다; (어떤 시기가) 지나가다. 넘기다; (어떤 기준을) 넘다. 넘어서다. 초과하다. 〔동의어〕超える; 뛰어나다. 〔동의어〕超える; 초월하다. 〔동의어〕超える; 뛰어넘다. 앞지르다. 건너뛰다. 【문어형】 こ·ゆ {하2단 활용}
国境
지방과 지방과의 경계
私
값. 가격. 대금. 〔동의어〕ね·値段; 가치. 값어치. 〔동의어〕値打ち; 『수학』 수치(數値). 수량. 값. 〔참고〕 3.은 「値」로 씀; 《속어》 《「あたし」의 변한말》 저. 나. 〔동의어〕わたし. 〔참고〕 흔히 여자 아이가 씀
で 国境がない という所で 私たちは多分
国境
지방과 지방과의 경계
多分
『문어』 타문. 남이 들음; 많음. 다량; (뒤에 推量의 말이 따르며) 아마. 대개. 거의. 〔동의어〕おそらく·たいてい
所
초. 첫. 처음의; 초; 제. 여러. 많은; 소. 어떤 일을 하기 위한 장소·시설·기관. 〔참고〕 「じょ」로 읽는 경우가 있음; 서. 관청임을 나타냄; 《「警察署」의 준말》 서; 서; 쓴 글씨. 필적; 서법(書法). 서도(書道). 서예; 책. 서류; 편지. 서간; 서. 책·문서 등의 뜻을 나타냄; 서. 〔반의어〕 寒; 대서(大暑)와 소서(小暑). 복중(伏中); 보관을 주업무로 하는 관공서를 나타냄; 서. 실마리. 처음. 〔동의어〕ちょ
私
값. 가격. 대금. 〔동의어〕ね·値段; 가치. 값어치. 〔동의어〕値打ち; 『수학』 수치(數値). 수량. 값. 〔참고〕 3.은 「値」로 씀; 《속어》 《「あたし」의 변한말》 저. 나. 〔동의어〕わたし. 〔참고〕 흔히 여자 아이가 씀
この宇宙探査船の中でも
船
수의 단위. 1의 1000만분의 1; 차린 음식. 밥상. 〔동의어〕膳部; 선. 큰배; 전; 전쟁; 시합; 경쟁; 종이; 옛 화폐 단위. 貫의 천분의 1. 〔동의어〕文; 화폐 단위. 円의 백분의 1; 돈. 특히, 금속 화폐; 천; 많음. 〔참고〕 서류에 금액 등을 적을 때는 「仟」 「阡」을 씀; 『문어』 신선. 선인; 앞. 장래. 미래. 〔동의어〕将来; 이전. 전. 〔동의어〕以前; 어떤 것 이전에 있던 것. 전 것; (바둑·장기 등에서) 선. 선수. 〔동의어〕先手; 마개. (수도) 꼭지; 『생리학』 선. 샘. 동물의 분비 기관(分泌器官); 방도. 방법; 효과. 보람. 〔동의어〕かい·効果; 결국. 필경; 『문어』 찬; 시나 문장을 지음; 많은 작품 중에서 골라 편집함; 선; 실처럼 가늘고 긴 것. 금. 줄; 방향. 방침; 수준. 기준. 한도. 범위; 윤곽. 인상. 느낌; 교통·통신·전기의 선. 노선. 항로; 『수학』 선. ((위치와 길이는 있으나 폭과 두께가 없는 것)); 도로·철도·항공 노선 등을 뜻함. 선; 선. 가려 냄. 뽑음. 뽑은 것; 「選集」의 뜻을 나타냄. 선집; 「選挙」의 뜻을 나타냄. 선거; 전. 벽돌의 한 가지; 『문어』 전. 모직 깔개. 양탄자. 〔동의어〕毛氈; 천. 온천
宇宙
우주; 우중. 빗속; 『문어』 (화살·총알이) 빗발침
中
‘그 동안 줄곧’이란 뜻을 나타냄. 내내; 그 범위 전체에 걸친다는 뜻을 나타냄; 십; 열. 〔동의어〕とお; 전부. 전체; 거주함; 거처. 처소; 『문어』 부드러움. 부드러운 것. 얌전함. 〔반의어〕 剛; 『문어』 중요한 것; 〈「お~」의 꼴로〉 찬합. 〔동의어〕重箱; 중; 무거움. 혹심함. 〔반의어〕 軽; 『화학』 산성염(酸性塩)임; 겹친 것을 세는 말. 중. 층; 종. 종자. 하인. 〔동의어〕とも·けらい. 〔반의어〕 主; ⇒ じゅ; 총; 짐승. 〔동의어〕けもの; 수. 짐승
探査
탐사
協力を より― 国境を超えてしていくと
協力
협력; 강력. {문어·ナリ 활용 }
国境
지방과 지방과의 경계
もっと より良いことが 起きていくと思います
思う
생각하다; 판단을 내리다. 믿다; 느끼다; 예상하다. 추측하다; 원하다. 소망하다; 회상하다; 사랑하다. 그리워하다. 사모하다. 소중히 하다; 〈「…と~」의 꼴이나 形容詞·形容動詞의 連用形을 받아서〉 …라고 생각하다. …하려고 결심하다. 〔참고〕 「考える」는 객관적·지적인 경우에만 쓰는데, 「思う」는 감정적·의지적·주관적인 경우에도 씀. 【가능동사】 おも·える【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良い
『문어』; 말함. 말; 〈「…の~」의 꼴로〉 …에 대한 표현. …이라는 뜻[의미]. 까닭; 《고어》 밥. 〔동의어〕飯·御飯; 예예. ((승낙의 대답)) 〔동의어〕はい; 『문어』 고분고분 따름. {문어·タリ 활용}; 《「良い」 보다 부드러운 표현. 보통은 終止形·連体形으로만 씀》; 좋다; (반어적으로) ‘나쁘다’의 뜻을 나타냄; 『문어』 의의함. 헤어지기가 서운함. 연모함. {문어·タリ 활용}; 『문어』 이연(怡然). 기뻐하고 즐거워함. {문어·タリ 활용}; 『문어』 쉬움. 용이함. {문어·タリ 활용}
起きる
(자리에서) 일어나다. 기상하다; 일어서다. 바로 서다; (잠에서) 깨어 있다. 자지 않고 있다; 일다. 일어나다. 생기다. 발생하다. 〔동의어〕起こる; 병상에서 일어나다. 【문어형】 お·く 【명사·부사】; 불이 벌겋게 피다
もっと
더. 더욱. 좀더. 한층. 〔동의어〕一層
こういう より良いシナジー効果が
効果
공과; 공학·공업 관계의 학과[학문]; 종합 대학의 공학부; 「公定価格」의 준말; 『법률』 공과; 국세·지방세 등 국민이 부담하는 공법상의 부담; 국가나 지방 공공 단체가 부과하는 세금 이외의 금전 부담; 공과. 공적(功績). 성적; 『문어』 공과. 공적과 과실; 고과; 효과; 보람이 있는 결과; (연극·영화 등에서) 음향 효과; 후가; (변하여) 뒷간. 변소. 〔동의어〕かわや; 교가; 교화. 아교질화(化); 강하. 하강; (명령 등이) 내림; 『문어』 강가. 왕녀(王女)가 신하에게 시집감; 고가. 값이 비쌈. 〔반의어〕 廉価·安価. {문어·ナリ 활용 }; 고가. 지상에 높이 건너지름; 고가. 소리 높이 노래함. 〔동의어〕高唱; 《속어》 분뇨 수거인(糞尿收去人)이 오지 않거나, 열차 변소의 배출구로부터 흩어지는 분뇨로 입는 피해; 경화. 〔반의어〕 軟化; 굳어짐; 『경제』 시세가 오를 낌새를 보임; 경화; 외국 통화와 자유로이 교환할 수 있는 화폐. 〔반의어〕 軟貨; 가구(架構). (재목 등을) 맞추어 걸쳐 놓음; 『문어』 홍하. 붉게 물든 안개. 저녁놀에 붉게 물든 구름
良い
『문어』; 말함. 말; 〈「…の~」의 꼴로〉 …에 대한 표현. …이라는 뜻[의미]. 까닭; 《고어》 밥. 〔동의어〕飯·御飯; 예예. ((승낙의 대답)) 〔동의어〕はい; 『문어』 고분고분 따름. {문어·タリ 활용}; 《「良い」 보다 부드러운 표현. 보통은 終止形·連体形으로만 씀》; 좋다; (반어적으로) ‘나쁘다’의 뜻을 나타냄; 『문어』 의의함. 헤어지기가 서운함. 연모함. {문어·タリ 활용}; 『문어』 이연(怡然). 기뻐하고 즐거워함. {문어·タリ 활용}; 『문어』 쉬움. 용이함. {문어·タリ 활용}
こういう
이러한. 이런
益々 地上と そして宇宙の間で 進むことを願っています
間
만나는 일. 대면; 한패. 동아리; (술자리 등에서 술을 함께하는) 상대; 맞장구; 〈動詞·名詞에 붙어〉 서로. 마주. 함께. 같이; 〈動詞에 붙어〉 어조를 고름. ((보다 깍듯한 표현)); (시간적 및 공간적인) 사이. 틈. 틈새기. 〔동의어〕あいだ·透き間; 「幕間」의 준말; 「間服」의 준말; 『식물·식물학』 쪽; 〈「あい色」의 준말〉 쪽빛; 사랑. 애정; 《여성어》 네. 예. ((「はい」의 예스러운 말)) 〔동의어〕あいあい
進む
나아가다. 전진하다. 〔반의어〕 退く; (시계가) 빨라지다. 〔반의어〕 後れる; 진보하다. 발달하다; 진척되다. 진행되다; 승진하다; 진학하다. 진출하다; 왕성해지다; 더해지다. 악화되다; 〈흔히 否定의 말이 따름〉 마음이 내키다; 〈「~·んで…する」의 꼴로〉 자진해서. 적극적으로; 「進める」의 문어
願う
원하다. 바라다; 기원하다. 빌다; (관청 등에) 청원(請願)하다; (상점 등에서) 손에게 사게 하다. ((손에 대한 공손한 말)); 돌봐 주기를 부탁하다. 【가능동사】 ねが·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宇宙
우주; 우중. 빗속; 『문어』 (화살·총알이) 빗발침
そして
⇒ そうして
地上
지상; 땅 위. 지면 위. 〔반의어〕地下; 이 세상. 〔반의어〕 天上; 치정
最近 私は感銘を受けたことがあります
受ける
받다; (어떤 행위에) 응하다. 받아들이다; 타고나다. 〔참고〕 「享ける」 「稟ける」로도 씀; 이어받다. 뒤를 잇다. 계승하다. 〔참고〕 「承ける」로도 씀; (피해 등을) 입다. 받다. 〔동의어〕こうむる; (빛·바람을) 받다. 향하다. 면하다; 인정하다. 승낙하다. 믿다; 『언어학』 문법에서, 뒤의 어구(語句)가 앞 어구에 형식이나 의미상 호응하다. 받다. 【문어형】 う·く {하2단 활용}; 호평을 받다. 인기를 얻다. 갈채를 받다; (돈을 치르고) 돌려 받다; 도급하다. 떠맡다. 【문어형】 う·く {하2단 활용}
最近
재근. 다시 근무함; 채금. 금을 채취함; 세균. 〔동의어〕バクテリア; 『문어』 《「細謹」을 잘못 쓴 데서 생긴 말》 세근. 작은 흠. 사소한 잘못[실수]; 세근. 작은 일에도 조심함. 또는 세세한 예의 범절; 최근. 〔동의어〕近ごろ·このごろ; 요즈음. 근래; 여럿 중에서 가장 가까움; 요새. 요즘에. 최근에
私
값. 가격. 대금. 〔동의어〕ね·値段; 가치. 값어치. 〔동의어〕値打ち; 『수학』 수치(數値). 수량. 값. 〔참고〕 3.은 「値」로 씀; 《속어》 《「あたし」의 변한말》 저. 나. 〔동의어〕わたし. 〔참고〕 흔히 여자 아이가 씀
感銘
관명. 관직의 명칭; 『문어』 관명. 정부의 명령; 한명. 중국에서의 명칭. ((특히 동식물의 명칭이 많음)) 〔동의어〕からな. 〔반의어〕 和名; 감명; 함명. 군함의 명칭; 간명. 간단하고 분명한 모양. 〔동의어〕簡単明瞭. {문어·ナリ 활용 }
冥王星の写真を見たからです
見る
『식물·식물학』 청각채; 보다. 눈으로 인식하다; 구경하다. 관람하다; 읽다; 살피다. 살펴보다; 관찰하여 판단하다. 〔참고〕 ‘진찰하다’의 뜻으로는 흔히, 「診る」를 씀; (시각 외의 감각으로) 파악하다; 당하다. 경험하다. 겪다; 맡아보다. 돌보다. 보살피다; 평가하다. 간주하다; 〈「…と~」의 꼴로〉 …로 보다. …로 생각하다[간주하다]. {문어·상1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て[で]」를 받아서》; (시험적으로) …해 보다; 〈「…てみると」 「…てみたら」 「…てみれば」의 꼴로〉 …해 보면. …해보니. …해 보니까. 〔참고〕 보통 かな로 씀. {문어·상1단 활용}
写真
사진; 「活動写真」의 준말. 〔참고〕 「活動」로 쓰기도 함; 『문어』 사실(寫實); 『불교』 사신; 공양(供養)이나 중생을 구하기 위해 목숨을 버림; (카 레이스 등에서) 자동차 한 대 가량의 거리를 이르는 말
冥王星
『천문』 명왕성. 〔동의어〕プルートー
「ニュー・ホライズンズ」 探査機が撮った映像ですけれども
映像
영상; 물체의 비추어진 모습; 심상(心象). 이미지; (영화·텔레비전의) 화상(畵像); 영조. 큰 건물 등을 지음.또는 그 건물. 〔동의어〕造営; 영상; 물체의 그림자
けれども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음》; 예상되는 결과와 반대의 사실이 일어남을 나타냄. …이지만. …하지만; 앞에 내놓은 사실과 다음의 말이 부드럽게 이어짐을 나타냄. …는데. …던데. 1.2.〔동의어〕けど·けれど; 실현되기 어려운 일이나, 사실과 반대되는 일을 바라는 마음을 나타냄. …는데; 분명하게 말하지 않고 에둘러서 말하는 느낌을 나타냄. …만. 1.2.〔동의어〕けど·けれど; 《接続助詞의 용법에서 변하여, 분리·독립됨》 그러나. 그렇지만. 하지만. 〔참고〕 「けど」 「けれど」보다 약간 정중한 말
機
귀; 신분·집안·가치 등이 높은; 경의(敬意)의 표시; 기; 기초. 근본; 『화학』 원자단(原子團). 〔동의어〕根; (설치해 놓은) 묘석(墓石)·장명등(長明燈)·기계 등을 세는 단위; 인간답지 않은 무서운 사람; 기; 기. 말 탄 사람의 수효; 『식물·식물학』 나무. 수목; 재목. 목재; 딱따기; 잡것이 섞이지 않음. 자연 그대로임. 순수함; ‘순수함’ ‘인공을 가하지 않음’ ‘오직 그대로임’의 뜻을 나타냄; 황. 노랑. 황색. 〔동의어〕きいろ; ‘황색’의 뜻을 나타냄; 기. 십간(十干)의 여섯째. 〔동의어〕つちのと; 기운. 정기. 생기. 분위기; (특유한) 맛. 향기; 숨. 호흡; 정신. 의식. 얼; 성미. 기질. 마음씨; 기. 기력; 생각. 의지; 마음. 기분; 흥미. 관심; 「希臘」의 준말; 『화학』 희. 묽은. 〔반의어〕 濃; 드묾. 〔참고〕 「希」는 「稀」의 대용자; 상을 입고 집에 들어박혀 행동을 삼가는 일. 또는 그 기간. ((보통 49일간)) 상(喪); 기. 기일(忌日). 회기(回忌); 『문어』 이상함. 야릇함. 진기함. {문어·ナリ 활용 }; 기수. 홀수. 〔반의어〕 偶; 계절. 〔동의어〕シーズン; 連歌·俳句에서 구(句)에 삽입하는 계절의 경물(景物). 〔동의어〕季題·季語; 계. 천간(天干)의 열째. 〔동의어〕みずのと; 기. 기전체(紀傳體) 역사에서 제왕의 사적(事績)을 적은 글. 〔동의어〕本紀; 『문학』 〈「日本書紀」의 준말〉 일본서기; 기. 지질 시대 구분의 단위; 궤; 수레의 양 바퀴의 간격; 수레바퀴가 지나간 자국; 규칙; 기. 기록(문); 『문학』 「古事記」의 준말; 기; 기. 기구(起句); 『문어』 기; 시기. 기간. 기한; 좋은 기회. 시기; 기; 기간. 시기; [age]『지리·지학·지명』 지질 시대의 한 구분. 「世」의 아래; 계략. 모사(謀事). 방법; 《고어》 파. 〔동의어〕ねぎ; 『문어』 그릇. 〔동의어〕うつわ; 물건을 담는 용기; 기. 기량. 인물. 재능; 기; 기관(器官); 기구. 도구; 계기; 시기. 기회; 〈「飛行機」의 준말〉 비행기; (불교에서) 기. 기근(機根). 〔동의어〕気根; 기계; 비행기; 비행기를 세는 말. 대; 『문어』 《用言·助動詞의 連用形에 붙음》; 과거에 직접 체험한 일을 회상하는 말. …었다. …였다. …고 있었다; (경험과 관계없이 널리) 과거의 사실을 나타냄. …었다. …였다; 현재 또는 완료의 뜻을 나타냄. …하고 있다. 〔참고〕 終止形 「き」는 カ変動詞에 붙지 않음. カ変을 받는 경우는 「きし」 「きしか」와 「こし」 「こしか」의 두 꼴이 있음. 고대에는 未然形 「せ」가 있었다고 생각되는데, 助詞 「ば」가 붙어 가정의 뜻을 나타냄
探査
탐사
この達成に対して おめでとうと申し上げたいと思います
思う
생각하다; 판단을 내리다. 믿다; 느끼다; 예상하다. 추측하다; 원하다. 소망하다; 회상하다; 사랑하다. 그리워하다. 사모하다. 소중히 하다; 〈「…と~」의 꼴이나 形容詞·形容動詞의 連用形을 받아서〉 …라고 생각하다. …하려고 결심하다. 〔참고〕 「考える」는 객관적·지적인 경우에만 쓰는데, 「思う」는 감정적·의지적·주관적인 경우에도 씀. 【가능동사】 おも·える【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申し上げる
《「言う」의 겸사말》 말씀드리다. 아뢰다. 여쭙다. 〔동의어〕言上する. 【문어형】 まうしあ·ぐ {하2단 활용}; 《「お」 「御·」 등을 붙인 動詞의 連用形이나 動作性의 体言 뒤에 붙어》 동작의 대상에 대한 경의를 나타냄. …하여 드리다. 【문어형】 まうしあ·ぐ {하2단 활용}
達成
『문어』 달성
世界中の人々が
このスペースミッションに対して 貢献をして下さり
下す
『문어』 (지위 등을) 내리다. 낮추다. 〔반의어〕 のぼす. 〔참고〕 「降す」로도 씀; (명령이나 판결 등을) 내리다. 선고하다. 하달하다; (판단이나 평가를) 스스로 내리다; 함락시키다. 항복시키다. 〔참고〕 「降す」로도 씀; 몸 밖으로 내보내다. 설사하다; 〈「手を~」 등의 꼴로〉 스스로 처리하다; 『문어』 (아랫사람에게) 내리시다. 주시다. 하사하시다; 떠내려 보내다; 〈「筆を~」의 꼴로〉 집필하다. 【가능동사】 くだ·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동작을 지체없이 진행시켜 단숨에 해치움의 뜻을 나타냄. 【문어 4단 활용 동사】
スペース
스페이스; 공간; 신문·잡지 등에서, 지면의 여백; 인쇄물의 자간·행간; 우주의 공간
貢献
『법률』 공권. 〔반의어〕 私権; 효험. 효능(效能); 『논리학』 후건. ‘만약 a라면 b이다’와 같은 형식의 판단인 경우, b로서 진술된 사항. 귀결 부분의 내용. 〔반의어〕 前件; 《歴》 무가(武家) 시대의 직책의 하나. 어린 주군(主君)을 대리하거나 보좌하는 직책; 『법률』 (민법상의) 후견; (能·歌舞伎 등에서) 배우의 뒷바라지를 해 주는 사람; 공헌. 이바지함. 기여(寄與)함; 『문어』 고견; 뛰어난 의견. 탁견. 〔동의어〕卓見; 〈「御~」의 꼴로〉 남의 의견에 대한 높임말. 〔동의어〕御意見; 《「高等検察庁」의 준말》 고등 검찰청. 고검
ミッション
미션; 『기독교』 선교(宣敎). 전도(傳道). 또는 전도단. 전도 단체; 『기독교』 전도 구역. 포교 구역; 사절. 사절단; 「ミッションスクール」의 준말
そしてサポートしてきて下さったことに 対しても 感謝を申し上げます
申し上げる
《「言う」의 겸사말》 말씀드리다. 아뢰다. 여쭙다. 〔동의어〕言上する. 【문어형】 まうしあ·ぐ {하2단 활용}; 《「お」 「御·」 등을 붙인 動詞의 連用形이나 動作性의 体言 뒤에 붙어》 동작의 대상에 대한 경의를 나타냄. …하여 드리다. 【문어형】 まうしあ·ぐ {하2단 활용}
感謝
⇒ かんしょ; 관사. 공무원의 숙사(宿舍); 감사
下さる
《「与える」 「くれる」의 높임말》;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주시다. 내리시다. 〔동의어〕賜る; (윗사람 또는 상대편이) 자기에게 주시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下される」의 문어
そして
⇒ そうして
サポート
서포트. 지지. 지원함
対す
「対する」의 문어
最後に もう1点 共有したい点があります
最後
최후. 마지막. 맨 끝. 맨 뒤. 〔반의어〕 最初; 〈「…したら~」 「…たが~」의 꼴로〉 …하면 끝장. 일단 …하기만 하면 그만; 임종. (생의) 최후
点
표시로 찍는 점. 〔동의어〕ぽち; 「ちょぼがたり」의 준말; 「ちょぼいち」의 준말
共有
공유; 공동으로 가짐. 〔반의어〕 専有; 『법률』 소유권이 두 사람 이상에게 있음; 『문어』 향유; 『문어』 협용. 의협심이 있고 씩씩함. 또는 그런 사람; 『문어』 흉용. 물이 세차게 솟음. 파도가 세차게 일어 요란한 소리를 냄. 또는 그 모양. 〔동의어〕洶湧. {문어·タリ 활용}; 『문어』 효용. 잔인하고 억셈. 또는 그런 사람; 『문어』 효웅; 악인의 우두머리; 『문어』 향우. 고향 벗
「母なる宇宙 マザースペース」です
宇宙
우주; 우중. 빗속; 『문어』 (화살·총알이) 빗발침
母
엄마. ((예스러운 말)) 〔반의어〕 とと; 『문어』 가화. 이삭이 많이 달린 좋은 벼; ⇒ かかあ; 『문어』 《「~と」의 꼴로도 씀》 가가. 크게 웃는 모양
スペース
스페이스; 공간; 신문·잡지 등에서, 지면의 여백; 인쇄물의 자간·행간; 우주의 공간
マザー
머더; 『천주교』 수녀원장
初めて宇宙に到達をして そして無重力を経験した時
経験
경험; 계견. 닭과 개; 경건함. {문어·ナリ 활용 }
無
《名詞 등에 붙어 形容動詞의 어간을 만듦》 부정의 뜻을 나타냄. …가 없음. …가 좋지 않음. …가 아님; 승부의 형세. 우열의 정도; 이익의 정도. 배당(액)·할당(량); 판(板) 등의 두께. 또는 부피; 1·1할·1치·1문(文)의 각각 10분의 1. 푼. 분; 전체를 10등분한 것. 할; 옛날 화폐의 단위. 1両의 4분의 1; 『음악』 전음(全音)을 등분한 길이; 무; 무예. 무술; 군사력. 무력; 비율. 이율; 형세; 수수료. 구전; 토지 면적의 단위. 보. ((1歩는 여섯 자 평방. 약 3.3평방 미터)) 〔동의어〕坪; 町·反의 뒤에 붙어 그 면적의 끝수가 없음을 나타내는 말. 보; 부; 한 구분; (조직체의) 구성 부분의 하나; 동호인의 클럽; …부; < 1> 의 2.3.의 뜻으로 名詞 뒤에 붙음; 특정 부분을 나타냄; 책·문서를 세는 말. 부; 전체를 나눈 구분을 세는 말. 부
宇宙
우주; 우중. 빗속; 『문어』 (화살·총알이) 빗발침
そして
⇒ そうして
時
차; 다음; 『화학』 산화(酸化)의 정도가 낮음; 『화학』 염기성염(鹽基性鹽); 횟수(回數). 빈도(頻度). 차례; 자; 자기; 〈시간·장소를 나타내는 名詞에 붙어〉 …부터. 〔반의어〕 至; 사. 절; 아; 아이. 아동; 남아;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사. 일. 사항; 시. 시간의 단위. 60분; 시각; 때. 기회; 〈옛 지명에 붙여〉 그 지방의 길.그 지방 또는 그 지방으로 가는 길임을 나타냄. 도(道). 가도. 지방; 하루의 행정(行程); 『문어』 나이를 나타냄; 〈10을 단위로 한 수에 붙여〉 그 정도의 나이를 나타냄; 토지. 땅. 지면; 그 지방. 그 고장; 본성. 본색. 천성. 본바탕; 기반. 기초; 천; 살결. 피부; 문장에서 작자가 설명한 부분; (바둑에서) 차지한 집; 실제. 실지(實地). 〔참조어〕 地で行く; 풋내기. 숫보기; 「地謡」 「地紙」 「地髪」의 준말; 글자. 문자; 글씨. 필적; (바둑 등에서) 비김. 무승부; 『의학』 치질. 〔동의어〕痔疾; 『문어』 사; 말. 글; 한문 문체의 하나; 『언어학』 일본어 단어를 문법상의 성질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한 것의 하나. 단독으로는 문절(文節)을 이루지 못하고, 언제나 詞(자립어)에 딸려서 문절을 구성하는 말. ((助詞·助動詞 등)) 〔동의어〕付属語·関係語. 〔반의어〕 詞; 『문어』; 자석. 지남철; 자기. 사기그릇; 새; 세 가지 신기(神器)의 하나인 八尺瓊曲玉. 〔동의어〕神璽; 《고어》 《動詞·助動詞의 未然形에 붙음》; 부정적인 추측을 나타냄. …않겠지. …않을 것이다. 〔동의어〕…ないだろう·…まい; 부정적인 결의를 나타냄. …하지 않으리라. …않을 작정이다. 〔동의어〕…まい
重力
『물리』 중력
到達
도달
初めて
최초로. 처음으로; 비로소
これはちょうど ディスカバリーが打ち上げられて
ちょうど
『문어』 궁시(弓矢). 활과 화살; 수량·크기·시각 등이 기준·목적에 합치되는 모양. 꼭. 정확히. 〔동의어〕きっちり·ぴったり·きっかり; 예상·기대·목적에 합치하는 모양. 마침. 알맞게. 꼭. 〔동의어〕折よく·具合よく·都合よく; 꼭 닮은 모양. 마치. 흡사. 꼭. 〔동의어〕まるで·さながら; 방금. 바로. 막.〔동의어〕まさに·たった今
打ち上げる
《「打ち」는 接頭語》; 쳐 올리다. 쏘아 올리다; (파도가 물건을) 해안에 밀어 올리다; (바둑에서) 상대편의 죽은 돌을 들어 내다. 승부를 끝내다. 【문어형】 うちあ·ぐ {하2단 활용}
8分30秒後のことだったんですけれども
後
뒤. 후; (공간적으로) 뒤쪽. 후방. 등쪽; (시간적으로) 뒤. 나중. 다음; 현재로부터 거슬러 오른 때. 이전. 〔반의어〕 先; 뒷일. 후사(後事). 뒤처리. 사후(死後); 나머지; 후임(자). 후처(後妻); 후손. 자손. 1.2. 〔반의어〕 前·先; 자국. 발자국; 자취. 흔적. 종적. 행적; 필적(筆跡); 왕래. 인적(人跡); 가독(家督). 대(代); 터. 유적; 《고어》 선례(先例). 선인(先人)의 본보기
秒
병; 초; 각도·경도·위도의 단위; 묘; 사당. 영묘. 〔동의어〕おたまや; 조정. 묘당(廟堂); 압정(押釘). 대갈못. 〔동의어〕押しピン; 리벳. 〔동의어〕リベット; 극히 작음. 사소함. 하찮음. {문어·タリ 활용}; (수면·평원 등이) 끝없이 넓고 아득함. 멀리 퍼진 모양. {문어·タリ 활용}
分
《名詞 등에 붙어 形容動詞의 어간을 만듦》 부정의 뜻을 나타냄. …가 없음. …가 좋지 않음. …가 아님; 승부의 형세. 우열의 정도; 이익의 정도. 배당(액)·할당(량); 판(板) 등의 두께. 또는 부피; 1·1할·1치·1문(文)의 각각 10분의 1. 푼. 분; 전체를 10등분한 것. 할; 옛날 화폐의 단위. 1両의 4분의 1; 『음악』 전음(全音)을 등분한 길이; 무; 무예. 무술; 군사력. 무력; 비율. 이율; 형세; 수수료. 구전; 토지 면적의 단위. 보. ((1歩는 여섯 자 평방. 약 3.3평방 미터)) 〔동의어〕坪; 町·反의 뒤에 붙어 그 면적의 끝수가 없음을 나타내는 말. 보; 부; 한 구분; (조직체의) 구성 부분의 하나; 동호인의 클럽; …부; < 1> 의 2.3.의 뜻으로 名詞 뒤에 붙음; 특정 부분을 나타냄; 책·문서를 세는 말. 부; 전체를 나눈 구분을 세는 말. 부
けれども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음》; 예상되는 결과와 반대의 사실이 일어남을 나타냄. …이지만. …하지만; 앞에 내놓은 사실과 다음의 말이 부드럽게 이어짐을 나타냄. …는데. …던데. 1.2.〔동의어〕けど·けれど; 실현되기 어려운 일이나, 사실과 반대되는 일을 바라는 마음을 나타냄. …는데; 분명하게 말하지 않고 에둘러서 말하는 느낌을 나타냄. …만. 1.2.〔동의어〕けど·けれど; 《接続助詞의 용법에서 변하여, 분리·독립됨》 그러나. 그렇지만. 하지만. 〔참고〕 「けど」 「けれど」보다 약간 정중한 말
本当にびっくりしました
びっくり
《「~する」의 꼴로 쓰는 일이 많음》 깜짝 놀람
無重力に入ると 宙返りは何回もできるのです
何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無
《名詞 등에 붙어 形容動詞의 어간을 만듦》 부정의 뜻을 나타냄. …가 없음. …가 좋지 않음. …가 아님; 승부의 형세. 우열의 정도; 이익의 정도. 배당(액)·할당(량); 판(板) 등의 두께. 또는 부피; 1·1할·1치·1문(文)의 각각 10분의 1. 푼. 분; 전체를 10등분한 것. 할; 옛날 화폐의 단위. 1両의 4분의 1; 『음악』 전음(全音)을 등분한 길이; 무; 무예. 무술; 군사력. 무력; 비율. 이율; 형세; 수수료. 구전; 토지 면적의 단위. 보. ((1歩는 여섯 자 평방. 약 3.3평방 미터)) 〔동의어〕坪; 町·反의 뒤에 붙어 그 면적의 끝수가 없음을 나타내는 말. 보; 부; 한 구분; (조직체의) 구성 부분의 하나; 동호인의 클럽; …부; < 1> 의 2.3.의 뜻으로 名詞 뒤에 붙음; 특정 부분을 나타냄; 책·문서를 세는 말. 부; 전체를 나눈 구분을 세는 말. 부
回
《「かき」의 변한말》 특정한 動詞 앞에 붙어 의미를 강조하거나 어조를 고름; 해. 바다의 뜻을 더함; 계. 어떤 한정된 범위의 사회·동아리 등의 뜻을 나타냄; 보람. 효과; 조개; 조가비. 조개 껍데기. 〔동의어〕かいがら; 소라. 〔동의어〕ほらがい; 자개. 나전; 『문어』 골짜기; (물건 등을) 삼; 『경제』 (시세가 오를 것을 예상하고) 사들임. 1.2. 〔반의어〕 売り; 회; 『문어』 만남; 모임. 집회; 〈接尾語로도 씀〉 단체. 조직; 회. 횟수; 번. 회; 쾌; (만족하여) 기분이 좋음. 유쾌. 상쾌; 병이 나음; 《한자어 앞에 붙여》; ‘시원스러움’ ‘훌륭함’의 뜻을 나타냄; 빠름; 훈계. 훈계의 말; 『불교』 계율. 죄악을 방지하기 위해 불교신도가 지켜야 할 규칙; 괴이함. 불가사의; 《한자어 앞에 붙여》 ‘수상함’ ‘이상함’의 뜻을 나타냄. 괴; 계단. 층계. 층층대; (건물의) 층; 《수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건물의) 층; 해서(楷書). 〔반의어〕 行·草; 해답. 풀이; 가의. 노래·시가의 뜻; 《「搔き」의 변한말》 노. 〔동의어〕オール; 곽외(郭隗). 중국 전국 시대(戰國時代)의 현인(賢人). 연(燕)나라 사람; 하위. 〔반의어〕 上位·中位; 하의. 〔반의어〕 上意; 『지리·지학·지명』 옛 지명의 하나. 지금의 山梨현. 〔동의어〕甲州; 친밀감을 가지고 물을 때 씀. …냐. …니; 반어(反語)를 나타냄. …냐; 상대에게 강하게 채근하는 뜻을 나타냄. …겠느냐
できる
전부 나가다[나오다]. 다 나가[나와] 남은 것이 없다. 〔동의어〕出つくす. 【문어 4단 활용 동사】; 《カ変動詞 「でくる」의 변한 꼴》; (새로) 생기다. 나다; 생성(生成)되다; 성립되다; 일어나다. 발생하다; 수중에 들어오다. 얻다; 생산되다. 산출되다; 만들어지다; 완성되다. 다 되다; (소질·경향을) 타고나다. 생겨 먹다; 능력·가능성이 있다. 할 수 있다. 가능하다; 〈サ変動詞의 語幹에 붙어 接尾語적으로〉 …할 수 있다. …하는 것이 가능하다; 잘하다. 할 줄 알다; (능력·인품이) 뛰어나다. 출중하다. 되어 있다; 《속어》 (남녀가) 깊은 관계에 있다. 눈이[배가] 맞다; 『경제』 (증권 거래소에서) 매매가 성립되다
重力
『물리』 중력
宙返り
비행기의 공중 회전
入る
들어가다. 들다. 〔동의어〕はいる. 〔반의어〕 出る; (어떤 경지에) 이르다; (해·별·달이) 지다; (어떤 환경에) 몸두다; (차차 변하여) 어떤 상태에 이르다. 〔참고〕 현재는 보통 단독으로는 「はいる」가 쓰이고 「いる」는 「気に入る」「堂に入る」등 관용적인 표현에 쓰이는 것이 보통임; 「入れる」의 문어; 필요하다. 들다. 소용되다. 〔참고〕 「入る」로도 씀. 【문어 4단 활용 동사】; 볶다; (달걀·두부 등을) 지지다. 【가능동사】 い·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사람이나 동물이) 있다. 존재하다. 〔참고〕 옛날에는 물건에 대해서도 썼음; 근무하다; 앉다; 《고어》 (안개·구름 등이) 가만히 있다. 머물러 있다. {문어·하1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て(で)」에 붙어》; 동작·상태가 계속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음을 나타냄; 동작·작용의 반복을 나타냄; 현재의 상태를 나타냄; 과거에 있었던 동작·경험 등을 나타냄. 〔참고〕 「…ている」 「…ています」 「…ていた」는 상용어(常用語)에서 흔히 「…てる」 「…てます」 「…てた」의 꼴로 씀.{문어·하1단 활용}; 쏘다; (쏘아서) 맞히다; 쏘아보다; (자기 것을 만들려고) 노리다. 노려서 차지하다; (빛이 강렬하게) 비추다. 〔참고〕 근세 후기 부터 「矢を射った」와 같이 5[4]段으로 활용되는 예를 볼 수 있음. {문어·상1단 활용}; 주조하다. (거푸집에) 부어 만들다. 지어 붓다. {문어·상1단 활용}
そして天井からは 自由にぶら下がれます
自由
자유. {문어·ナリ 활용 }; 사유; 『법률』 직접 원인·이유가 되는 사실
そして
⇒ そうして
天井
『문어』; 천상. 하늘. 〔반의어〕 地上; (영혼 등의) 승천. 하늘에 오름; 죽음. 승천; 다시 없음. 무상(無上). 최고; 『불교』 천상계(天上界); 천정; 『건축』 천장; 『경제』 물가·시세 등의 최고 값; 『문어』 천양. 천지. 하늘과 땅. 〔동의어〕あめつち; 함께 타고 따라감. ((흔히, 여행사 직원이 단체 여행객을 수행하여 함께 탈 때를 이름)); 전승. 갈아 탐; 전상. 궁전·전당의 위; 「殿上の間」의 준말; 「殿上の間」에 오르는 것이 허락됨. 〔동의어〕昇殿; 「蔵人所」의 딴이름; 전요. (덩굴이) 감기어 붙음
そしてまた 天井に立つことも 問題なくできます
そして
⇒ そうして
できる
전부 나가다[나오다]. 다 나가[나와] 남은 것이 없다. 〔동의어〕出つくす. 【문어 4단 활용 동사】; 《カ変動詞 「でくる」의 변한 꼴》; (새로) 생기다. 나다; 생성(生成)되다; 성립되다; 일어나다. 발생하다; 수중에 들어오다. 얻다; 생산되다. 산출되다; 만들어지다; 완성되다. 다 되다; (소질·경향을) 타고나다. 생겨 먹다; 능력·가능성이 있다. 할 수 있다. 가능하다; 〈サ変動詞의 語幹에 붙어 接尾語적으로〉 …할 수 있다. …하는 것이 가능하다; 잘하다. 할 줄 알다; (능력·인품이) 뛰어나다. 출중하다. 되어 있다; 《속어》 (남녀가) 깊은 관계에 있다. 눈이[배가] 맞다; 『경제』 (증권 거래소에서) 매매가 성립되다
天井
『문어』; 천상. 하늘. 〔반의어〕 地上; (영혼 등의) 승천. 하늘에 오름; 죽음. 승천; 다시 없음. 무상(無上). 최고; 『불교』 천상계(天上界); 천정; 『건축』 천장; 『경제』 물가·시세 등의 최고 값; 『문어』 천양. 천지. 하늘과 땅. 〔동의어〕あめつち; 함께 타고 따라감. ((흔히, 여행사 직원이 단체 여행객을 수행하여 함께 탈 때를 이름)); 전승. 갈아 탐; 전상. 궁전·전당의 위; 「殿上の間」의 준말; 「殿上の間」에 오르는 것이 허락됨. 〔동의어〕昇殿; 「蔵人所」의 딴이름; 전요. (덩굴이) 감기어 붙음
立つ
진; 십이지(十二支)의 다섯째; 진시(辰時). 지금의 오전 8시경. 또는 오전 7시경부터 9시경까지의 동안; 《속어》 용; 용. ((상상의 동물)) 〔참고〕 「りゅう」 「りょう」로도 읽음; 『문어』; 궁중의 작은 문. (변하여) 궁중; 서다; 위쪽이나 다른 곳으로 향하다; 어떤 현상이나 작용이 나타나다; 새로 설치되다. 서다. 마련되다; 일이 성립되다; 「たてる」의 문어; (시간·세월이) 지나다. 흐르다. 경과하다; (숯불·양초·기름 등이) 다 타다. 사위다. 꺼지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끊다; (물체를) 절단하다. 자르다; (술·담배를) 그만두다. (관계·인연을) 끊다; 차단하다. 가로막다; 그치게 하다. 없어지게 하다. 【가능동사】 た·て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옷감을) 마르다. 재단하다. 【가능동사】 た·て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問題
문제
絶対的な上、下というのは 無いのです
上
(지위·연령·위치·능력 등의) 위. 높음; 높은 곳. 위; 표면. 겉면; 겉모양. 외관(外觀); 《고어》 귀인. 어르신. 높은 분. ((천황·将軍·大名 등)); 순서의 앞 부분. 1.~6. 〔반의어〕 下; …에 관계 있는 일; 〈「…~(に)」의 꼴로〉 …에 더하여. 게다가; 〈「…~(で)」의 꼴로〉 …하고 나서. …한 후; 〈「…~は」의 꼴로〉 …한 이상. …한 바에는; 손윗사람을 이를 때 곁들이는 말. …님; 굶주림. 기아; 통발. ((민물고기를 잡는 도구의 하나)) 〔동의어〕うけ
下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絶対
『의학』 설태. 혀의 표면에 생기는 이끼 모양의 물질. ((특히, 위장병이나 열이 많이 나는 경우에 생김)); 절대. 〔반의어〕 相対; 《「~に」의 꼴로도 씀》 절대로; 단연코. 꼭. 무슨 일이 있어도; 〈否定의 말이 따르며〉 결코. 도저히
的
적; …에 대한. …에 관한; …같은. …의 성질을 띤; …상태에 있는; 《속어》 〈인명이나 직업명에 붙어〉 친근미·경멸을 나타냄. 놈. 녀석. 꾼. 씨. 〔참고〕 1.~3.은 名詞에 붙어 경향·성질·상태 등을 나타내는 形容動詞의 어간을 이룸; 방울; 적. 적합; 적; 싸움·경쟁의 상대. 적수. 〔반의어〕 味方; 해롭게 하는 것; 흔히, 절충·교섭의 상대를 가리킴. 상대. 저쪽
無い
내. 안쪽의; 공식적이 아닌. 은밀한; 내. 범위 안; 《形容詞·形容動詞의 語幹 등 상태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形容詞를 만듦》 정도가 너무 심함을 나타냄. (몹시) …하다. 【문어형】 な·し {ク 활용}; 없다; 존재하지 않다; 갖고[갖추어져] 있지 않다. 없다; (시간적·공간적·수량적으로) 넉넉하지 않다; 오지 않다. 없다; (경험한 적이) 없다; (죽어서) 이 세상에 없다. 〔참고〕 6.은 「亡い」로 쓰는 경우가 많음. 1.~5. 〔반의어〕 有る. な·げ 【형용동사】 な·さ 【명사】; 〈動詞의 連用形+「て」, 形容詞, 形容動詞, 일부의 助動詞 「だ」 「らしい」 「たい」 등의 連用形 등의 뒤에 붙어〉 否定을 나타냄. (…지) 않다; 〈格助詞 「と」의 뒤에 붙어〉 불확실한, 또는 분명하게 지시하지 않은 상태에 있음을 나타냄. 없이. 아니게. な·げ 【형용동사】 な·さ 【명사】 【문어형】 な·し {ク 활용}; 《名詞에 붙어 形容詞를 만듦》 否定의 뜻을 나타냄. …(스럽)지 않다. な·げ 【형용동사】 な·さ 【명사】 【문어형】 な·し {ク 활용}; 《動詞 및 動詞에 준하는 말의 未然形에 붙음. サ変動詞는 「し」에 붙으며, 動詞 「ある」에는 붙지 않음》; 否定을 나타냄. …지 않다; 〈「…てはなら~」 「…てはいけ~」의 꼴로〉 불허·금지를 나타냄. …는 안 되다; 〈「…なければなら~」 「なくてはいけ~」 등의 꼴로〉 당연·의무를 나타냄. (…지 않으면) 안 되다; 〈「なくてもよい」 「~でもいい」의 꼴로〉 허용을 나타냄. (…지) 않다; ⇒ ないで; 〈「…~か」 「…~かしら」의 꼴로〉 물음·권유를 나타냄. (…지) 않나 (몰라); 〈문말(文末)에 쓰이어, 억양을 높여서〉 물음·권유를 나타냄. …지 않 겠어? 〔참고〕 助動詞 「そう だ」, 接尾語 「過ぎる」가 이어질 때에는 語幹인 「な」 에 이어짐; ⇒ い . 〔참고〕 금지의 終助詞 「な」에 終助詞 「い」가 붙은 것
皆さんの体勢に応じて 上と下が決まってきます
応じる
⇒ おうずる
決まる
정해지다. 결정되다; (씨름 등에서) 기술이 먹혀들어가서 승부가 나다; (동작 등이) 틀이 잡히다; 〈「…に~·っている」의 꼴로〉 반드시 …하게 마련이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皆さん
《「皆様」의 다소 스스럼 없는 표현》 여러분
体勢
대성; 훌륭히 이룸. 완전히 이루어 냄; 많은 것을 모아 체계 있게 하나로 매듭지음. 집대성. 〔동의어〕集大成; 훌륭한 인물이 됨; 『문어』 대성; 큰 목소리. 〔동의어〕おおごえ; 고상한 음악; 대정. 천하의 정치; 대세. 〔참고〕 「大勢」는 딴말임; 『문어』 대성. 대성인; 체제; 생물체 구조의 기본 형식; 사회 조직의 양식; 정치 지배의 형식; (어떤 행동을 할 때의) 몸의 자세; 『식물·식물학』 대생. 마주나기. 〔반의어〕互生·輪生; 『동물·동물학』 태생. 〔반의어〕 卵生·卵胎生; 퇴세. 쇠퇴하는 형세. 〔참고〕 「退勢」는 대용자; 『의학』 내성; 『문어』 태서. 서양. 구미(歐美). 〔반의어〕 泰東; 태세
ということで
「あなたの場合の上の方を向いて」
場合
때. 경우. 〔동의어〕おり; 사정. 상태. 형편
方
《고어》 대체적인 방향·위치·시간을 나타냄; 겹치거나 거듭된 것을 세는 말. 겹. 〔동의어〕重り; 《고어》 (바다·호수 등의) 후미. 〔동의어〕入り江; 《고어》 가지. 〔동의어〕えだ; 자루. 손잡이; 『문어』 모이. 미끼. 먹이. 〔동의어〕えさ; 많은 사람이 모여서 하는 법회(法會)·제례(祭禮); 《고어》 돌림병. 〔동의어〕えき; 그림; (텔레비전의) 영상. 화면; 『문어』 《뒤에 否定語가 따름》 잘 …하지 않다. 도저히 …할 수 없다; 회화에서, 긍정·승낙을 나타내는 말. 예. 네; 회화에서, 감동·놀람·의문을 나타냄. 예. 네. 뭐; 〈名詞에 붙어〉 남에게 말을 걸 때 쓰는 예스러운 말; 〈「か」 「だれ」 「何」 등 의문을 나타내는 말이나, 「だ」 「です」 등에 붙어〉 의문의 뜻을 강조함; 〈말 끝에 붙어〉 어조를 부드럽게 하거나 친근감을 나타내거나 함
上
(지위·연령·위치·능력 등의) 위. 높음; 높은 곳. 위; 표면. 겉면; 겉모양. 외관(外觀); 《고어》 귀인. 어르신. 높은 분. ((천황·将軍·大名 등)); 순서의 앞 부분. 1.~6. 〔반의어〕 下; …에 관계 있는 일; 〈「…~(に)」의 꼴로〉 …에 더하여. 게다가; 〈「…~(で)」의 꼴로〉 …하고 나서. …한 후; 〈「…~は」의 꼴로〉 …한 이상. …한 바에는; 손윗사람을 이를 때 곁들이는 말. …님; 굶주림. 기아; 통발. ((민물고기를 잡는 도구의 하나)) 〔동의어〕うけ
あなた
『문어』 《遠称의 指示代名詞》; 저기. 저쪽. 저편; 예전. 이전. 옛날. 1.2.〔동의어〕かなた; 《対称의 人代名詞. 대등 또는 아랫사람에게 씀》 당신. 댁. 귀하. 〔참고〕 ㉠「彼方」에서 온 말로, 옛날에는 대등 또는 윗사람에게 썼으나 현재는 아내가 남편을 가리키는 대표적인 대명사. 현대어에서는 높임의 정도가 낮으며, 학생이 선생에게, 젊은이가 나이든 이에게 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음. ㉡상대가 여성일 때에는 흔히 「貴女」로 씀
向く
「尨犬」의 준말; 『식물·식물학』「むくのき」의 준말; 무구; 『불교』 번뇌에서 벗어나 흐린 곳이 없음; 티없이 순진함; 순수함; 일본옷의 안팎이 같은 색이며, 무늬가 없음. 특히, 흰옷을 이름. {문어·ナリ 활용 }; ⇒ むくろじ; 향하다. (몸·얼굴을) 돌리다. 보다; 면하다. 향하다; 가리키다; (마음이) 쏠리다. 내키다; 기울다; 나아지다; 「向ける」의 문어; (껍질 등을) 벗기다. 까다; (눈을) 크게 뜨다. 부라리다; 「剝ける」의 문어
あるいは 「あなたの場合の下を向いて」という風に
場合
때. 경우. 〔동의어〕おり; 사정. 상태. 형편
あるいは
또는. 혹은. 더러는. 때로는. 〔동의어〕または·もしくは; 〈「~…~…」의 꼴로〉 혹은 …하고, 혹은 …하다; 어쩌면. 혹시. 〔동의어〕もしかすると
下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あなた
『문어』 《遠称의 指示代名詞》; 저기. 저쪽. 저편; 예전. 이전. 옛날. 1.2.〔동의어〕かなた; 《対称의 人代名詞. 대등 또는 아랫사람에게 씀》 당신. 댁. 귀하. 〔참고〕 ㉠「彼方」에서 온 말로, 옛날에는 대등 또는 윗사람에게 썼으나 현재는 아내가 남편을 가리키는 대표적인 대명사. 현대어에서는 높임의 정도가 낮으며, 학생이 선생에게, 젊은이가 나이든 이에게 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음. ㉡상대가 여성일 때에는 흔히 「貴女」로 씀
風
바람; 감기. 〔참고〕 보통 「風邪」로 씀; 형세. 형편; 낌새. 눈치; (비유적으로, 사람에게 영향을 주는) 사회의 관습·양식 등; 〈接尾語적으로 씀〉 상태. 태도. 티
向く
「尨犬」의 준말; 『식물·식물학』「むくのき」의 준말; 무구; 『불교』 번뇌에서 벗어나 흐린 곳이 없음; 티없이 순진함; 순수함; 일본옷의 안팎이 같은 색이며, 무늬가 없음. 특히, 흰옷을 이름. {문어·ナリ 활용 }; ⇒ むくろじ; 향하다. (몸·얼굴을) 돌리다. 보다; 면하다. 향하다; 가리키다; (마음이) 쏠리다. 내키다; 기울다; 나아지다; 「向ける」의 문어; (껍질 등을) 벗기다. 까다; (눈을) 크게 뜨다. 부라리다; 「剝ける」의 문어
人によって体勢が違うので―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違う
다르다. 틀리다. ((예스러운 말)); 「たがえる」의 문어
体勢
대성; 훌륭히 이룸. 완전히 이루어 냄; 많은 것을 모아 체계 있게 하나로 매듭지음. 집대성. 〔동의어〕集大成; 훌륭한 인물이 됨; 『문어』 대성; 큰 목소리. 〔동의어〕おおごえ; 고상한 음악; 대정. 천하의 정치; 대세. 〔참고〕 「大勢」는 딴말임; 『문어』 대성. 대성인; 체제; 생물체 구조의 기본 형식; 사회 조직의 양식; 정치 지배의 형식; (어떤 행동을 할 때의) 몸의 자세; 『식물·식물학』 대생. 마주나기. 〔반의어〕互生·輪生; 『동물·동물학』 태생. 〔반의어〕 卵生·卵胎生; 퇴세. 쇠퇴하는 형세. 〔참고〕 「退勢」는 대용자; 『의학』 내성; 『문어』 태서. 서양. 구미(歐美). 〔반의어〕 泰東; 태세
[そう]言わなければ なりませんでした
言う
말하다; 이야기하다. 지껄이다; 묻다; 명령하다. 의뢰하다; (의견을) 진술하다; 조언하다. 비평하다; 표현하다; 〈「…を…と~」의 꼴로〉 …을 …이라고 (말)하다[부르다·일컫다]; 소리가 나다. 소리를 내다. 소리가 들리다; 〈「…と~」+体言, 「…と~·った」+体言, 「…と~·います」+体言의 꼴로〉 …이라는. …이라 하는. 〔참고〕 「いう」 자체는 실질적인 뜻이 없으며, 흔히 仮名로 씀; 〈「…と~」의 앞뒤에 같은 体言이 붙어〉 …이라는 …은(는) 모두; 〈상태를 나타내는 말에 「…と~·ったらない」 「…と~ものはない」가 이어져〉 이 이상 …한 것은 없다. 정말이지 …하다. 〔참고〕 「…といったらない」는 「…ったらない」로도 씀. 어형(語形)이 「いう」의 꼴이지만 발음은 「ユー」로 함. 현대 かな 쓰기에서 활용의 설명상 「いう」로 씀. 【가능동사】 い·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本当に目から鱗が 落ちるような経験でした
経験
경험; 계견. 닭과 개; 경건함. {문어·ナリ 활용 }
落ちる
(위에서 아래로) 떨어지다. 하락하다; (눈이나 비가) 내리다. 오다; (벽이나 담이) 무너지다; (해·달이) 지다; (햇볕 등이) 비치다. 쏟아지다; (시선·눈길 등이) 쏠리다. 향하다; 물이 흘러들다; (그림자 등이) 비치다; 빠지다. 벗겨지다. 지워지다; 빠지다. 누락되다. 〔동의어〕もれる; 떨어지다. 낙방하다. 낙오(落伍)하다; 몰래 달아나다. 외진 곳으로 가다. 낙향하다; 영락(零落)하다; 타락하다. 〔참고〕 「堕ちる」로도 씀; (힘이나 세력 등이) 떨어지다. 쇠(약)해지다. 줄어들다; (바람이) 자다. 잔잔해지다; (어떤 기준보다) 낮아지다. 떨어지다. 뒤지다; (불리한 상태에) 빠지다. 빠져들다; (당연히 그렇게) 귀결되다. 낙착되다; 그 사람의 소유가 되다. 넘어가다; 함락되다. 적에게 빼앗기다. 싸움에 지다; 실토하다. 자백하다. 불다; (유도에서) 기절하다. 까무러치다; (동물·가축 등이) 죽다; 〈「眠りに~」의 꼴로〉 잠에 빠지다. 잠이 들다; (사람에 붙어 있던 것이) 없어지다. 사라지다; (한쪽에) 치우치다; (돈이 얼마간 수중에) 들어오다; (어음 등이) 결제되다; 납득하다. 이해되다
目
《「目」가 다른 말과 복합할 때의 형태》 눈; 정말. 진실. 〔동의어〕ほんとう·まこと; 《名詞·形容詞 등에 붙음》; 참다운. 진실한; 바른. 정확한. 순수한; 아름다운. 뛰어난; (같은 종류의 동식물 중) 가장 표준적인; (공간적인) 사이. 틈. 간격; (시간적인) 사이. 동안. 겨를. 짬; (적당한) 기회. 시간. 시기. 때; 방; (일본 음악·춤·연극 등에서) 박자와 박자, 동작과 동작, 대사와 대사 사이의 시간적 간격. 또는 (전체적인) 리듬감(感); 일본식 방의 수를 세는 말. 실(室). 방; 삼베. 삼실; 『불교』 〈범어 「māra」의 음역(音譯)인 「魔羅」의 준말〉 마귀. 악마. 귀신; 〈「~の」의 꼴로〉 마(魔)의. ((나쁜 일이 흔히 일어나는 장소·날짜·시간·요일 등을 형용할 때 씀)); 마. 광(狂). 그 일만을 끈덕지게 되풀이하여 남에게 해를 끼치는 사람; 《「いま」의 준말》 더욱. 더; ⇒ まあ< 2>
鱗
《고어》; 물고기 비늘; 물고기. 1.2.〔동의어〕いろこ
他の人の立場に立たない限り
他
《「あた」의 변한말로 室町 시대까지는 「あた」로 읽었음》; 원수. 적. 〔동의어〕敵·; 원한. 원망. 〔동의어〕恨み; 앙갚음. 보복. 해. 화; 《고어》 외적. 외구(外寇); 헛됨. 헛일. 헛수고. 부질없음. 〔동의어〕むだ; 들떠 있음. 부박(浮薄); 다름. 딴 것임. 〔동의어〕外·別; (여자가) 요염함. {문어·ナリ 활용 }
立場
입장; 설 자리; 처지. 형편; 견지(見地). 관점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立つ
진; 십이지(十二支)의 다섯째; 진시(辰時). 지금의 오전 8시경. 또는 오전 7시경부터 9시경까지의 동안; 《속어》 용; 용. ((상상의 동물)) 〔참고〕 「りゅう」 「りょう」로도 읽음; 『문어』; 궁중의 작은 문. (변하여) 궁중; 서다; 위쪽이나 다른 곳으로 향하다; 어떤 현상이나 작용이 나타나다; 새로 설치되다. 서다. 마련되다; 일이 성립되다; 「たてる」의 문어; (시간·세월이) 지나다. 흐르다. 경과하다; (숯불·양초·기름 등이) 다 타다. 사위다. 꺼지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끊다; (물체를) 절단하다. 자르다; (술·담배를) 그만두다. (관계·인연을) 끊다; 차단하다. 가로막다; 그치게 하다. 없어지게 하다. 【가능동사】 た·て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옷감을) 마르다. 재단하다. 【가능동사】 た·て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限り
한. 한계. 끝; 최후. 마지막; 한도껏. 한껏. 최고; 〈「~で(は)ない」의 꼴로〉 그 범위에 들지 않다; 〈接続助詞적으로 쓰이어〉 …는 동안에는. …는 이상. …한(限); 《시간이나 장소 등을 가리키는 名詞에 붙어》 그것으로 끝남을 나타냄. …만. …까지
自分たちはコミュニケーションが できなかったのです
できる
전부 나가다[나오다]. 다 나가[나와] 남은 것이 없다. 〔동의어〕出つくす. 【문어 4단 활용 동사】; 《カ変動詞 「でくる」의 변한 꼴》; (새로) 생기다. 나다; 생성(生成)되다; 성립되다; 일어나다. 발생하다; 수중에 들어오다. 얻다; 생산되다. 산출되다; 만들어지다; 완성되다. 다 되다; (소질·경향을) 타고나다. 생겨 먹다; 능력·가능성이 있다. 할 수 있다. 가능하다; 〈サ変動詞의 語幹에 붙어 接尾語적으로〉 …할 수 있다. …하는 것이 가능하다; 잘하다. 할 줄 알다; (능력·인품이) 뛰어나다. 출중하다. 되어 있다; 《속어》 (남녀가) 깊은 관계에 있다. 눈이[배가] 맞다; 『경제』 (증권 거래소에서) 매매가 성립되다
自分
무렵. 대체적인 시기·시각; 적당한 때. 기회. 시기; (중국에서 신문의 논설 등에 쓰는) 현대어체(現代語體)의 문장; 그 시대의 글. 당시의 글; 그 사람 자신. 자기 자신;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동의어〕わたくし
コミュニケーション
커뮤니케이션; 통신. 보도; 말에 의한 의사나 사상의 전달
そして 感銘を受けたのは
受ける
받다; (어떤 행위에) 응하다. 받아들이다; 타고나다. 〔참고〕 「享ける」 「稟ける」로도 씀; 이어받다. 뒤를 잇다. 계승하다. 〔참고〕 「承ける」로도 씀; (피해 등을) 입다. 받다. 〔동의어〕こうむる; (빛·바람을) 받다. 향하다. 면하다; 인정하다. 승낙하다. 믿다; 『언어학』 문법에서, 뒤의 어구(語句)가 앞 어구에 형식이나 의미상 호응하다. 받다. 【문어형】 う·く {하2단 활용}; 호평을 받다. 인기를 얻다. 갈채를 받다; (돈을 치르고) 돌려 받다; 도급하다. 떠맡다. 【문어형】 う·く {하2단 활용}
そして
⇒ そうして
感銘
관명. 관직의 명칭; 『문어』 관명. 정부의 명령; 한명. 중국에서의 명칭. ((특히 동식물의 명칭이 많음)) 〔동의어〕からな. 〔반의어〕 和名; 감명; 함명. 군함의 명칭; 간명. 간단하고 분명한 모양. 〔동의어〕簡単明瞭. {문어·ナリ 활용 }
なぜか 初めて宇宙に着いた時に
宇宙
우주; 우중. 빗속; 『문어』 (화살·총알이) 빗발침
時
차; 다음; 『화학』 산화(酸化)의 정도가 낮음; 『화학』 염기성염(鹽基性鹽); 횟수(回數). 빈도(頻度). 차례; 자; 자기; 〈시간·장소를 나타내는 名詞에 붙어〉 …부터. 〔반의어〕 至; 사. 절; 아; 아이. 아동; 남아;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사. 일. 사항; 시. 시간의 단위. 60분; 시각; 때. 기회; 〈옛 지명에 붙여〉 그 지방의 길.그 지방 또는 그 지방으로 가는 길임을 나타냄. 도(道). 가도. 지방; 하루의 행정(行程); 『문어』 나이를 나타냄; 〈10을 단위로 한 수에 붙여〉 그 정도의 나이를 나타냄; 토지. 땅. 지면; 그 지방. 그 고장; 본성. 본색. 천성. 본바탕; 기반. 기초; 천; 살결. 피부; 문장에서 작자가 설명한 부분; (바둑에서) 차지한 집; 실제. 실지(實地). 〔참조어〕 地で行く; 풋내기. 숫보기; 「地謡」 「地紙」 「地髪」의 준말; 글자. 문자; 글씨. 필적; (바둑 등에서) 비김. 무승부; 『의학』 치질. 〔동의어〕痔疾; 『문어』 사; 말. 글; 한문 문체의 하나; 『언어학』 일본어 단어를 문법상의 성질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한 것의 하나. 단독으로는 문절(文節)을 이루지 못하고, 언제나 詞(자립어)에 딸려서 문절을 구성하는 말. ((助詞·助動詞 등)) 〔동의어〕付属語·関係語. 〔반의어〕 詞; 『문어』; 자석. 지남철; 자기. 사기그릇; 새; 세 가지 신기(神器)의 하나인 八尺瓊曲玉. 〔동의어〕神璽; 《고어》 《動詞·助動詞의 未然形에 붙음》; 부정적인 추측을 나타냄. …않겠지. …않을 것이다. 〔동의어〕…ないだろう·…まい; 부정적인 결의를 나타냄. …하지 않으리라. …않을 작정이다. 〔동의어〕…まい
着く
《擬声語·擬態語 등에 붙어 5段動詞를 만듦》 소리·동작·모양이 어떤 상태가 됨을 나타냄. …해지다. …거리다; 『조류』 「みみずく(부엉이)」의 딴이름; 붙다. 달라붙다. 달리다. 〔동의어〕くっつく·離れない; 묻다. 끼다. 슬다. 앉다; 힘·재능이 붙다. 생기다. 나다; 덧붙다. 새로 붙다. 생기다; (지식·교양·기술 등이) 자기 것이 되다; 일이 손에 잡히다; 딸리다. 뒤따르다; 불이 붙다. 켜지다. 〔참고〕 등불의 경우 「点く」로도 씀; 만들어지다. 나다; 자국이 나다; 기입되다. 치부되다; 감각 기관에 느껴지다; 정신이 나다[들다]; (물이) 들다; 알맞게[잘] 되다; (결심 등이) 서다; 결말나다. 끝나다. 처리되다; 뿌리 박히다. 뿌리가 내리다; 금이 서다. 값이 매겨지다; (값이) 치이다. 셈이 되다; 할당되다. 주어지다; 행운이 따르다. 재수가 있다; (신령·마귀 등이) 들리다. 씌다. 흘리다. 〔동의어〕取り付く. 〔참고〕 「憑く」로도 씀; 〈「…に~·き」의 꼴로〉 이므로. …에 의해서; 〈「…とも~·かない」 「…とも~·かぬ」의 꼴로〉 …속하지 않다; 〈「…がつく」의 꼴로 쓰이어〉 판단되다. 예상되다; 구분[구별]이 확실하다. 차이가 나다; 「つける」의 문어; (숨을) 내쉬다; 숨쉬다. 호흡하다; (거짓말이나 욕을) 함부로 말하다; 《고어》 토하다. 게우다. 【가능동사】 つ·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찌르다; 내지르다; (도장을) 찍다; 떠밀다. 밀어내다; (공을) 치다; (종을) 치다; (뿔·머리 등으로) 받다; 짚다. 괴다; (대단한 기세로) 꿰뚫다; 무찌르다. 불의의 공격을 하다; 무릅쓰다. 〔동의어〕冒す; (마음이나 감각을) 자극하다. 찌르다; 내리누르다; 불쑥 튀어나오다; (장기판에서) 졸(卒)을 앞으로 보내다. 〔참고〕 1.9.~12.는 「衝く」로도 쓰고, 5.6.은 흔히 「撞く」로 씀. 【가능동사】 つ·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취임하다. 취업하다; 지위에 오르다. 즉위(卽位)하다. 〔참고〕 즉위의 경우는 「即く」로 씀; 잠자리에 들다; (어떤 곳으로) 떠나다; 골라서, 거기에 따르다; 끼다. 따르다; 사사(師事)하다; 「つける」의 문어; 닿다. 도착하다; 접촉하다. 닿다; 자리를 잡다. 앉다. 【가능동사】 つ·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찧다. 쓿다. 빻다; (떡을) 치다. 【가능동사】 つ·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물에) 잠기다. 침수되다; 절임이 익다; 쌓다. 축조하다
初めて
최초로. 처음으로; 비로소
「馴染みのある所だ」と感じたことです
感じる
⇒ かんずる; ⇒ かんずる
所
초. 첫. 처음의; 초; 제. 여러. 많은; 소. 어떤 일을 하기 위한 장소·시설·기관. 〔참고〕 「じょ」로 읽는 경우가 있음; 서. 관청임을 나타냄; 《「警察署」의 준말》 서; 서; 쓴 글씨. 필적; 서법(書法). 서도(書道). 서예; 책. 서류; 편지. 서간; 서. 책·문서 등의 뜻을 나타냄; 서. 〔반의어〕 寒; 대서(大暑)와 소서(小暑). 복중(伏中); 보관을 주업무로 하는 관공서를 나타냄; 서. 실마리. 처음. 〔동의어〕ちょ
馴染み
친숙함. 잘 앎. 친한 사이. 잘 아는 사람; (한 창녀에게 세 번 이상 다녀서) 단골이 됨. 또는 그 창녀나 손; 정교(情交). 또는 정교 관계가 있는 상대
初めてなのに 身近な場所と感じたのです
場所
장소. 곳. 〔동의어〕ところ; 좌석. 자리; 씨름의 흥행. 또는 그 장소·기간; 경험
感じる
⇒ かんずる; ⇒ かんずる
初めて
최초로. 처음으로; 비로소
身近
자기 몸 가까운 곳. 신변; 자기와 관계가 깊음. {문어·ナリ 활용 }
私たちは皆 星の欠片からできています
星
청; 세; 지질 시대의 구분의 단위; 세대·지위·칭호 등의 순서; 《「背」의 변한말》 신장. 키. 높이; 정; 『문어』 올바름. 바른 길. 〔반의어〕 邪; 정통. 본디의 것; 바르게 정리된 모양; 주가 되는 것. 정식. 〔반의어〕 副; 『수학』 양(陽). 플러스. 〔반의어〕 負; 『철학』 (변증법에서) 정립(定立); 「正編」의 준말. 〔반의어〕 続; 정; 정식의 것. 주가 되는 것. 〔반의어〕 副; 틀림없음. 올바름; 장(長). 주임; 생; 삶. 살아감. 인생; 매일의 살림. 생활. 생업; 목숨. 생명;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남자가 자기를 일컫는 겸사말. 소생(小生); 생; 식물의 생장 연수; 학생·생도; 남자가 자기의 성명 밑에 붙여 겸양을 나타내는 말; 서. 서쪽. 〔동의어〕さい; 「西班牙」의 약자; 제도. 규정; 제. 제도; 성. 성씨. 〔동의어〕みょうじ; ⇒ かばね; 성; 『문어』 천성. 본성. 성질; 만물의 본질; 남녀·자웅의 구별; 성욕. 생식. 〔동의어〕セックス; 『언어학』 (인도유럽어에서) 관사·명사·대명사 등에 있는 남성·여성·중성의 구별; 《名詞·形容詞의 語幹에 붙어》 …와 같은 성질. …성; 세. 기세. 힘; 병력. 군세(軍勢); 성. 성인(聖人). 〔동의어〕ひじり; 《흔히, 連体形 「~なる」의 꼴로 씀》 성. 거룩함. 신성함; 성; [saint]『기독교』 시성(諡聖)된 이의 이름 앞에 붙이는 말; 신성한; 『문어』 자상함. 〔반의어〕 粗. {문어·ナリ 활용 }; 정력. 원기. 기력; 순수. 정수(精髓); (어떤 사물의) 혼(魂). 요정(妖精). 정령(精靈); 정자(精子). 정액; (곡물을) 쓿음. 대낌; 『문어』 정. 조용함. 〔반의어〕 動; 탓. 원인. 이유
皆
《「かき」의 변한말》 특정한 動詞 앞에 붙어 의미를 강조하거나 어조를 고름; 해. 바다의 뜻을 더함; 계. 어떤 한정된 범위의 사회·동아리 등의 뜻을 나타냄; 보람. 효과; 조개; 조가비. 조개 껍데기. 〔동의어〕かいがら; 소라. 〔동의어〕ほらがい; 자개. 나전; 『문어』 골짜기; (물건 등을) 삼; 『경제』 (시세가 오를 것을 예상하고) 사들임. 1.2. 〔반의어〕 売り; 회; 『문어』 만남; 모임. 집회; 〈接尾語로도 씀〉 단체. 조직; 회. 횟수; 번. 회; 쾌; (만족하여) 기분이 좋음. 유쾌. 상쾌; 병이 나음; 《한자어 앞에 붙여》; ‘시원스러움’ ‘훌륭함’의 뜻을 나타냄; 빠름; 훈계. 훈계의 말; 『불교』 계율. 죄악을 방지하기 위해 불교신도가 지켜야 할 규칙; 괴이함. 불가사의; 《한자어 앞에 붙여》 ‘수상함’ ‘이상함’의 뜻을 나타냄. 괴; 계단. 층계. 층층대; (건물의) 층; 《수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건물의) 층; 해서(楷書). 〔반의어〕 行·草; 해답. 풀이; 가의. 노래·시가의 뜻; 《「搔き」의 변한말》 노. 〔동의어〕オール; 곽외(郭隗). 중국 전국 시대(戰國時代)의 현인(賢人). 연(燕)나라 사람; 하위. 〔반의어〕 上位·中位; 하의. 〔반의어〕 上意; 『지리·지학·지명』 옛 지명의 하나. 지금의 山梨현. 〔동의어〕甲州; 친밀감을 가지고 물을 때 씀. …냐. …니; 반어(反語)를 나타냄. …냐; 상대에게 강하게 채근하는 뜻을 나타냄. …겠느냐
できる
전부 나가다[나오다]. 다 나가[나와] 남은 것이 없다. 〔동의어〕出つくす. 【문어 4단 활용 동사】; 《カ変動詞 「でくる」의 변한 꼴》; (새로) 생기다. 나다; 생성(生成)되다; 성립되다; 일어나다. 발생하다; 수중에 들어오다. 얻다; 생산되다. 산출되다; 만들어지다; 완성되다. 다 되다; (소질·경향을) 타고나다. 생겨 먹다; 능력·가능성이 있다. 할 수 있다. 가능하다; 〈サ変動詞의 語幹에 붙어 接尾語적으로〉 …할 수 있다. …하는 것이 가능하다; 잘하다. 할 줄 알다; (능력·인품이) 뛰어나다. 출중하다. 되어 있다; 《속어》 (남녀가) 깊은 관계에 있다. 눈이[배가] 맞다; 『경제』 (증권 거래소에서) 매매가 성립되다
私
값. 가격. 대금. 〔동의어〕ね·値段; 가치. 값어치. 〔동의어〕値打ち; 『수학』 수치(數値). 수량. 값. 〔참고〕 3.은 「値」로 씀; 《속어》 《「あたし」의 변한말》 저. 나. 〔동의어〕わたし. 〔참고〕 흔히 여자 아이가 씀
欠片
부서진 조각. 파편; (비유적으로) 한 가닥. 아주 조금
太陽、地球、そしてどの生物 私たちも含めて
生物
생물. 〔동의어〕いきもの. 〔반의어〕 無生物; 정물
そして
⇒ そうして
太陽
대양; 태평양·대서양·인도양의 총칭. 〔참고〕 북극해·남극해를 포함할 때도 있음; 대요. 개요. 요지. 〔동의어〕あらまし; 『천문』 태양. 해. 〔동의어〕日輪·天道; 체용; 『문어』 사물의 본체(本體)와 거기서 생기는 작용. ((꽃과 향기 따위)); 『언어학』 체언(體言)과 용언(用言); 『문어』 태양. 양태. 모양. 상태. 〔동의어〕ありさま·様子·形; 내용. (기계·시설 등이) 오랫동안 사용에 견딤
地球
지구; 아악(雅樂)의 하나. 빨간 탈을 쓴 여섯 사람이 춤을 춤; 지구
含める
포함시키다. 포함하다; 타이르다. 납득시키다; 입 속에 넣다. 입에 물리다. 【문어형】 ふく·む {하2단 활용}
私
값. 가격. 대금. 〔동의어〕ね·値段; 가치. 값어치. 〔동의어〕値打ち; 『수학』 수치(數値). 수량. 값. 〔참고〕 3.은 「値」로 씀; 《속어》 《「あたし」의 변한말》 저. 나. 〔동의어〕わたし. 〔참고〕 흔히 여자 아이가 씀
皆 星の欠片から 構成されています
星
청; 세; 지질 시대의 구분의 단위; 세대·지위·칭호 등의 순서; 《「背」의 변한말》 신장. 키. 높이; 정; 『문어』 올바름. 바른 길. 〔반의어〕 邪; 정통. 본디의 것; 바르게 정리된 모양; 주가 되는 것. 정식. 〔반의어〕 副; 『수학』 양(陽). 플러스. 〔반의어〕 負; 『철학』 (변증법에서) 정립(定立); 「正編」의 준말. 〔반의어〕 続; 정; 정식의 것. 주가 되는 것. 〔반의어〕 副; 틀림없음. 올바름; 장(長). 주임; 생; 삶. 살아감. 인생; 매일의 살림. 생활. 생업; 목숨. 생명;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남자가 자기를 일컫는 겸사말. 소생(小生); 생; 식물의 생장 연수; 학생·생도; 남자가 자기의 성명 밑에 붙여 겸양을 나타내는 말; 서. 서쪽. 〔동의어〕さい; 「西班牙」의 약자; 제도. 규정; 제. 제도; 성. 성씨. 〔동의어〕みょうじ; ⇒ かばね; 성; 『문어』 천성. 본성. 성질; 만물의 본질; 남녀·자웅의 구별; 성욕. 생식. 〔동의어〕セックス; 『언어학』 (인도유럽어에서) 관사·명사·대명사 등에 있는 남성·여성·중성의 구별; 《名詞·形容詞의 語幹에 붙어》 …와 같은 성질. …성; 세. 기세. 힘; 병력. 군세(軍勢); 성. 성인(聖人). 〔동의어〕ひじり; 《흔히, 連体形 「~なる」의 꼴로 씀》 성. 거룩함. 신성함; 성; [saint]『기독교』 시성(諡聖)된 이의 이름 앞에 붙이는 말; 신성한; 『문어』 자상함. 〔반의어〕 粗. {문어·ナリ 활용 }; 정력. 원기. 기력; 순수. 정수(精髓); (어떤 사물의) 혼(魂). 요정(妖精). 정령(精靈); 정자(精子). 정액; (곡물을) 쓿음. 대낌; 『문어』 정. 조용함. 〔반의어〕 動; 탓. 원인. 이유
皆
《「かき」의 변한말》 특정한 動詞 앞에 붙어 의미를 강조하거나 어조를 고름; 해. 바다의 뜻을 더함; 계. 어떤 한정된 범위의 사회·동아리 등의 뜻을 나타냄; 보람. 효과; 조개; 조가비. 조개 껍데기. 〔동의어〕かいがら; 소라. 〔동의어〕ほらがい; 자개. 나전; 『문어』 골짜기; (물건 등을) 삼; 『경제』 (시세가 오를 것을 예상하고) 사들임. 1.2. 〔반의어〕 売り; 회; 『문어』 만남; 모임. 집회; 〈接尾語로도 씀〉 단체. 조직; 회. 횟수; 번. 회; 쾌; (만족하여) 기분이 좋음. 유쾌. 상쾌; 병이 나음; 《한자어 앞에 붙여》; ‘시원스러움’ ‘훌륭함’의 뜻을 나타냄; 빠름; 훈계. 훈계의 말; 『불교』 계율. 죄악을 방지하기 위해 불교신도가 지켜야 할 규칙; 괴이함. 불가사의; 《한자어 앞에 붙여》 ‘수상함’ ‘이상함’의 뜻을 나타냄. 괴; 계단. 층계. 층층대; (건물의) 층; 《수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건물의) 층; 해서(楷書). 〔반의어〕 行·草; 해답. 풀이; 가의. 노래·시가의 뜻; 《「搔き」의 변한말》 노. 〔동의어〕オール; 곽외(郭隗). 중국 전국 시대(戰國時代)의 현인(賢人). 연(燕)나라 사람; 하위. 〔반의어〕 上位·中位; 하의. 〔반의어〕 上意; 『지리·지학·지명』 옛 지명의 하나. 지금의 山梨현. 〔동의어〕甲州; 친밀감을 가지고 물을 때 씀. …냐. …니; 반어(反語)를 나타냄. …냐; 상대에게 강하게 채근하는 뜻을 나타냄. …겠느냐
構成
공정. こう-せさ 【명사】 {문어·ナリ 활용 }; 『음악』 교성; 향성; 고착(固着) 생활을 하는 생물의 기관이 외부의 자극을 받아 일정 방향으로 굽는 성질. 〔참고〕 식물의 경우는 「屈性」로 쓰는 경우가 많음; 『문어』 날씨가 맑게 갬. 쾌청. 〔동의어〕快晴; 공세. 〔반의어〕 守勢; 경정. 고쳐서 바로잡음; 갱생; 본래의 바른 상태로 돌아감. 또는 과거를 청산하고 생활 태도를 고침; 폐품을 다시 쓸 수 있게 함. 재생(再生). 재활용; 후세; 『문어』 후생; 뒤에 태어남. 또는 그 사람. 〔반의어〕 先生; 자기보다 후에 배우는 사람. 후배. 후진. 〔참고〕 「ごしょう」는 딴말임; 『천문』 항성. 붙박이별. 〔반의어〕 惑星; 교정; 고성. 큰 소리. 높은 소리. 〔동의어〕大声; 소생. 갱생. 〔동의어〕更生. 〔참고〕 「そせい」의 관용음(慣用音); 경성. 단단한 성질. 〔반의어〕 軟性; 구성; 강제. 강철제. 강철 제품. 〔동의어〕鋼鉄製; 광세. 세상에 드묾; 후생. 생활을 넉넉하고 윤택하게 함
欠片
부서진 조각. 파편; (비유적으로) 한 가닥. 아주 조금
つまり 宇宙は私たちにとって 遠い存在ではありません
宇宙
우주; 우중. 빗속; 『문어』 (화살·총알이) 빗발침
存在
『철학』 있음. 있는 것. 실존
つまり
가득 참. 또는 가득 찬 상태; 줄어듦. 오그라듦; 끝. 막판. 막다름. 〔동의어〕果て; 결국. 즉. 요컨대. 〔참고〕 흔히, かな로 씀
遠い
멀다; (공간적인) 거리가 많이 떨어져 있다; (시간적인) 간격이 많이 떨어져 있다; 추상적으로 차이가 크다; 혈연 관계가 멀다; 접촉 관계가 적다. 소원(疏遠)하다; (성질·내용이) 닮지 않다. 다르다; 친근하지 않다; 보거나 하거나 하는 일이 드물다; 관련이 별로 없다; 잘 들리지 않다; 〈「目が~」의 꼴로〉 노안(老眼)이다. 원시(遠視)이다; 〈「気が~·くなる」의 꼴로〉 의식이 혼미해지다. 정신이 아찔해지다. 1.~9.〔반의어〕 近い. とお·さ 【명사】 【문어형】 とほ·し {ク 활용}
私
값. 가격. 대금. 〔동의어〕ね·値段; 가치. 값어치. 〔동의어〕値打ち; 『수학』 수치(數値). 수량. 값. 〔참고〕 3.은 「値」로 씀; 《속어》 《「あたし」의 변한말》 저. 나. 〔동의어〕わたし. 〔참고〕 흔히 여자 아이가 씀
多分 私たちのふるさとなのです
多分
『문어』 타문. 남이 들음; 많음. 다량; (뒤에 推量의 말이 따르며) 아마. 대개. 거의. 〔동의어〕おそらく·たいてい
私
값. 가격. 대금. 〔동의어〕ね·値段; 가치. 값어치. 〔동의어〕値打ち; 『수학』 수치(數値). 수량. 값. 〔참고〕 3.은 「値」로 씀; 《속어》 《「あたし」의 변한말》 저. 나. 〔동의어〕わたし. 〔참고〕 흔히 여자 아이가 씀
だからこそ 多分 身近に宇宙を感じたんだと思います
思う
생각하다; 판단을 내리다. 믿다; 느끼다; 예상하다. 추측하다; 원하다. 소망하다; 회상하다; 사랑하다. 그리워하다. 사모하다. 소중히 하다; 〈「…と~」의 꼴이나 形容詞·形容動詞의 連用形을 받아서〉 …라고 생각하다. …하려고 결심하다. 〔참고〕 「考える」는 객관적·지적인 경우에만 쓰는데, 「思う」는 감정적·의지적·주관적인 경우에도 씀. 【가능동사】 おも·える【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宇宙
우주; 우중. 빗속; 『문어』 (화살·총알이) 빗발침
感じる
⇒ かんずる; ⇒ かんずる
多分
『문어』 타문. 남이 들음; 많음. 다량; (뒤에 推量의 말이 따르며) 아마. 대개. 거의. 〔동의어〕おそらく·たいてい
身近
자기 몸 가까운 곳. 신변; 자기와 관계가 깊음. {문어·ナリ 활용 }
だから私は 宇宙を「マザースペース」と 呼びたいと感じています
だから
그러니까. 그래서. 때문에
宇宙
우주; 우중. 빗속; 『문어』 (화살·총알이) 빗발침
感じる
⇒ かんずる; ⇒ かんずる
呼ぶ
부르다; 소리내어 부르다; 불러서 오게 하다; 초대하다. 〔동의어〕まねく; 일컫다. 〔동의어〕称する; 불러모으다. 끌다. 〔동의어〕引き寄せる·集める; 불러일으키다. 야기하다. 유발하다. 【가능동사】 よ·べ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私
값. 가격. 대금. 〔동의어〕ね·値段; 가치. 값어치. 〔동의어〕値打ち; 『수학』 수치(數値). 수량. 값. 〔참고〕 3.은 「値」로 씀; 《속어》 《「あたし」의 변한말》 저. 나. 〔동의어〕わたし. 〔참고〕 흔히 여자 아이가 씀
スペース
스페이스; 공간; 신문·잡지 등에서, 지면의 여백; 인쇄물의 자간·행간; 우주의 공간
マザー
머더; 『천주교』 수녀원장
マザースペースは 私たちのために
私
값. 가격. 대금. 〔동의어〕ね·値段; 가치. 값어치. 〔동의어〕値打ち; 『수학』 수치(數値). 수량. 값. 〔참고〕 3.은 「値」로 씀; 《속어》 《「あたし」의 변한말》 저. 나. 〔동의어〕わたし. 〔참고〕 흔히 여자 아이가 씀
スペース
스페이스; 공간; 신문·잡지 등에서, 지면의 여백; 인쇄물의 자간·행간; 우주의 공간
マザー
머더; 『천주교』 수녀원장
私たちの 幸せと平和を 祈ってくれているはずです
祈る
빌다; 기도하다. 기원하다; 간절히 바라다. 희망하다. 【가능동사】 いの·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くれる
(상대편이 나에게) 주다. 〔동의어〕よこす; (내가 상대편에게) 주다. 어떤 행위를 가하다. ((상대편을 낮추는 느낌이 담긴 말)) 〔동의어〕やる·くらわす; 《動詞의 連用形+「て[で]」에 붙음》; 남이 자기에게 무엇인가를 해 주다; (상대에게 달갑지 않은 짓을) 해 주다. 〔참고〕 命令形은 「くれ」가 됨. 【문어형】 く·る {하2단 활용}; 해가 지다. 저물다. 〔반의어〕 明ける; (계절·한 해가) 저물다. 끝나다; 지새다. 잠기다; 어찌할 바를 모르다. 〔참고〕 3.4.는 「暗れる」 「眩れる」로도 씀. 【문어형】 く·る {하2단 활용}
平和
평화. {문어·ナリ 활용 }; 『언어학』 (중국어에서) 백화(白話)의 문체(文體)
幸せ
행복. 행운. {문어·ナリ 활용 }; 운. 운수. 운명. 〔참고〕 1.은 「倖せ」 「幸福」로도 씀
私
값. 가격. 대금. 〔동의어〕ね·値段; 가치. 값어치. 〔동의어〕値打ち; 『수학』 수치(數値). 수량. 값. 〔참고〕 3.은 「値」로 씀; 《속어》 《「あたし」의 변한말》 저. 나. 〔동의어〕わたし. 〔참고〕 흔히 여자 아이가 씀
丁度 親が子の幸せを 祈るかのようにです
祈る
빌다; 기도하다. 기원하다; 간절히 바라다. 희망하다. 【가능동사】 いの·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親
어버이. 부모. 〔반의어〕 子; 같은 종류의 것을 붙게 하는 근본이 되는 것. 〔반의어〕 子; 중심이 되는 것. 모체; (화투·트럼프 등의) 딜러. 선; (대소(大小)가 있는 것 중의) 큰 것. 〔반의어〕 子; 뜻밖의 일에 놀라거나 의문이 생길 때 내는 소리. 어. 아니. 어럽쇼. 어머. 이런. 저런
子
《体言·形容詞 등의 앞에 붙음》; (모양이) 작은; (수량·정도가) 작은. 약간의. 잔; 깔보는 뜻을 나타냄; 근(近). 거의; 〈흔히 신체 부분을 나타내는 名詞에 붙어〉 그 동작을 가볍게 하는 뜻을 나타냄; 어쩐지 그런 느낌이 든다는 뜻을 나타냄; 앞의 말과 같은 어감을 가진 말에 붙어 어조를 고름; 고. ‘옛날의’ ‘오래된’의 뜻을 나타냄; 고. 고인; 짙은; 〈擬声語·擬態語 등의 副詞에 붙어〉 그런 상태임을 나타냄; 〈名詞 또는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하는 일’의 뜻을 나타냄. …함; 〈흔히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서로 같은 동작을 함’ ‘서로 겨룸’의 뜻을 나타냄. 서로 겨룸; 별다른 뜻이 없이 여러 가지 말에 붙음; 『문어』 《상태를 나타내는 한어(漢語)에 붙어》 감동을 나타내거나 어조를 강하게 함. 호. …히; 고; 호; 자식. 〔반의어〕 親; 아이. 어린아이; 소녀. 젊은 여자. 〔참고〕 「娘」로도 씀; 새끼. 순(筍); 기생. 유녀(遊女). 〔참고〕 「妓」로도 씀; 이자(利子); (물고기의) 알; 여자의 이름을 구성하는 말; 〈名詞 또는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그 일을 하는 사람·물건의 뜻을 나타냄. 〔참고〕 가축(家畜)일 경우는 「仔」로도 씀; 나무; 가루. 분말; 〈「身を~にして」의 꼴로〉 (비유적으로) 몸을 아끼지 않고. 분골쇄신하여; 가루; 『문어』; 고아; 고독. 외로움; 호; 『수학』 원주(圓周) 또는 곡선의 일부분. 원호(圓弧); 개체. 개인; 물건을 세는 말. 개; 『문어』 누에. 〔동의어〕蚕; ⇒ はかま; (본디, 군대에서) 바지; 금속제의 불구(佛具)의 일종. 번뇌를 쳐부수고, 악마를 쫓는 뜻으로 손에 듦. 〔참고〕 본디, 인도의 무기였던 銛가 변한 것; 『문어』 북. 〔동의어〕太鼓; 「伏せ籠」의 준말
幸せ
행복. 행운. {문어·ナリ 활용 }; 운. 운수. 운명. 〔참고〕 1.은 「倖せ」 「幸福」로도 씀
丁度
『문어』 궁시(弓矢). 활과 화살; 수량·크기·시각 등이 기준·목적에 합치되는 모양. 꼭. 정확히. 〔동의어〕きっちり·ぴったり·きっかり; 예상·기대·목적에 합치하는 모양. 마침. 알맞게. 꼭. 〔동의어〕折よく·具合よく·都合よく; 꼭 닮은 모양. 마치. 흡사. 꼭. 〔동의어〕まるで·さながら; 방금. 바로. 막.〔동의어〕まさに·たった今
あるいは 教師が 子供の幸せを願うようにです
願う
원하다. 바라다; 기원하다. 빌다; (관청 등에) 청원(請願)하다; (상점 등에서) 손에게 사게 하다. ((손에 대한 공손한 말)); 돌봐 주기를 부탁하다. 【가능동사】 ねが·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あるいは
또는. 혹은. 더러는. 때로는. 〔동의어〕または·もしくは; 〈「~…~…」의 꼴로〉 혹은 …하고, 혹은 …하다; 어쩌면. 혹시. 〔동의어〕もしかすると
教師
광사. 미쳐서 죽음. 〔동의어〕狂い死に; 광시. 익살스런 내용을 담은 한시체(漢詩體)의 시. 한시의 규칙에 따르면서, 비속어를 많이 썼음. 〔참고〕 江戸 시대 중기 이후에 일본에서 유행; 공시. 성능이나 강도를 조사하기 위한 시험·실험에 제공하는 일. 또는 그 물건; 종교의 지도자; 교지. (종교·교육 등의) 가르침의 취지; 『문어』 교자. (여자의) 교태; 『문어』 교치. 교사(驕奢); 『문어』 교자. 교사(驕奢). 교만하고 방자함
幸せ
행복. 행운. {문어·ナリ 활용 }; 운. 운수. 운명. 〔참고〕 1.은 「倖せ」 「幸福」로도 씀
子供
(어버이에 대하여) 자식. 아이. 〔반의어〕 親; (어른에 대하여) 아이. 〔반의어〕 大人; 언어·행동이 아직 유치함. 어린애; (짐승 등의) 새끼; 고용하고 있는 기녀·창녀
そして 母なる宇宙 マザースペースは
宇宙
우주; 우중. 빗속; 『문어』 (화살·총알이) 빗발침
そして
⇒ そうして
母
엄마. ((예스러운 말)) 〔반의어〕 とと; 『문어』 가화. 이삭이 많이 달린 좋은 벼; ⇒ かかあ; 『문어』 《「~と」의 꼴로도 씀》 가가. 크게 웃는 모양
スペース
스페이스; 공간; 신문·잡지 등에서, 지면의 여백; 인쇄물의 자간·행간; 우주의 공간
マザー
머더; 『천주교』 수녀원장
私たちが成長して更に 成熟している姿を見たいはずです
見る
『식물·식물학』 청각채; 보다. 눈으로 인식하다; 구경하다. 관람하다; 읽다; 살피다. 살펴보다; 관찰하여 판단하다. 〔참고〕 ‘진찰하다’의 뜻으로는 흔히, 「診る」를 씀; (시각 외의 감각으로) 파악하다; 당하다. 경험하다. 겪다; 맡아보다. 돌보다. 보살피다; 평가하다. 간주하다; 〈「…と~」의 꼴로〉 …로 보다. …로 생각하다[간주하다]. {문어·상1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て[で]」를 받아서》; (시험적으로) …해 보다; 〈「…てみると」 「…てみたら」 「…てみれば」의 꼴로〉 …해 보면. …해보니. …해 보니까. 〔참고〕 보통 かな로 씀. {문어·상1단 활용}
更に
정도가 심해짐을 나타냄. 더 한층. 보다 더. 더욱더; 한번 더 반복하거나 새로 추가함을 나타냄. 거듭. 다시금. 새로이. 또 한 번. 〔동의어〕重ねて; 〈뒤에 否定語가 따르며〉 조금도. 전혀. 도무지. 두 번 다시
姿
시간·장소를 나타내는 말에 붙음. 지. 까지. …에 이름. 〔반의어〕 自; 지. 역사서임을 나타냄. 기록; 사. 사자(使者). 사절(使節); 동배(同輩) 이상의 여성 이름에 붙여 경의를 나타냄. 님. 여사. 〔반의어〕 兄; 지. 신문의 뜻을 나타냄; 《주로 한자어에 붙어 名詞·サ変動詞의 語幹을 만듦》 ‘…로 간주하다’ ‘…로 취급하다’의 뜻을 나타냄. 시; 『문어』 나이. 연령; 지; 잡지의 뜻을 나타냄; 기록한 문서의 뜻을 나타냄; (江戸 시대의) 무사. 무사 계급. 〔동의어〕武士·さむらい; 선비. 남자; (법률상) 전문직의 자격을 가진 사람. 사; 자; 아들; 「子爵」의 준말; 「孔子」의 준말; 『문어』 친한 사이의 동년배나 손아랫사람을 부를 때의 호칭. 군(君). 자네; 〈주로, 동작성(動作性)의 名詞에 붙음〉 남자를 뜻하는 자칭(自稱). …자; 〈인명에 붙어〉 친숙함을 나타냄. 형; 옛날, 귀족 여성의 이름에 붙여 사용한 글자; 작은 것을 나타냄. …자; 《「支那」의 준말》 지. 지나. 중국; 관장하는 사람; 관아. 관청; 담당자; 역사; 《歴》 大宝令 제도에서, 문서·서무를 관장하던 제4등의 관리; 사. 역사; 사. 넷. 〔동의어〕よ·よん·よつ·よっつ; 시. 시장. 장. 저자. 〔동의어〕いち·いちば; 시가(市街). 도시. 〔동의어〕まち; 『법률』 지방 자치 단체의 하나. 시; 사; 죽음. 〔반의어〕 生; 『문어』 사형. 사죄(死罪); (변하여) 활동하지 않게 됨. 활동을 멈춤. 기능을 못하게 됨; (비유적으로) 까닭 모르게 무서움. 어쩐지 기분이 나쁨; (야구에서) 사. 아웃; 사. 1의 1만분의 1. 모(毛)의 10분의 1; 『문어』 사. 개인에 관한 일. 사사(私事). 〔반의어〕 公; 『문어』; 가시. 〔동의어〕とげ·はり; (변하여) 가시돋친 말. 상대의 급소를 찌르는 비평; 명함. 〔동의어〕名刺; 『문어』 가지. 또는 손발. 수족; 『문어』 가늘고 긴 것을 세는 말. 가지. 자루; 《고어》 음식. 밥. 먹을것; 『문어』 군대. 전쟁; 선생. 스승; 전도(傳道)하는 사람; (군대의) 「師団」의 준말; 사; 종교가·예능인 등의 이름에 붙여 경의를 나타냄; 『식물·식물학』 가래나무; 판목(版木); 『문어』 보랏빛. 자색; 사; 『언어학』 일본어의 단어를 문법상의 성질로 크게 나눈 둘 중의 하나. 〔반의어〕 辞; 『문어』 사. 사자(嗣子). 후사(後嗣); 『문학』; 시; 한시(漢詩); 『문어』 시험; 시험함. 시도함; 재화. 재산. 자금. 자본; 재료. 자료; 도움. 원조; 천성. 자질(資質); 『문어』 사두 마차. 또는 그 네마리의 말; 《他称의 人代名詞》 그. 이분. 그분. ((주로 남자를 이름)) 〔동의어〕かれ·その人·この方; 씨. 보통 남자의 성명 아래 붙여 경의를 나타냄; 〈「人」의 높임말. 한자 수사에 붙어〉 분;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어서 앞뒤의 말을 접속함》; 앞에 말하는 사항이 뒤에 말하는 사항과 병렬적·대비적인 관계임을 나타냄; 앞에서 든 사항이 원인·이유가 됨을 나타냄; 〈終助詞적으로 써서〉 하나의 사실이나 조건을 말하고, 결론을 은연중에 암시하는 뜻을 나타냄; 상반되는 조건·사항을 열거함. …고; 〈「…まいし」의 꼴로〉 상대를 나무라거나 얕보는 뜻을 나타냄; 『문어』 《「今~も」 「必ず~も」 「ただ~」 등 관용적(慣用的)으로 씀》 앞말을 가리켜 의미를 강조하고, 어조(語調)를 고름
成長
정조; 본래의 정상적인 상태; 『음악』 민요 등의 전통적인 바른 곡조; 생장; 성장함. 〔참고〕 현재 2.의 뜻으로는 「成長」를 많이 씀; 성장; (사람·동물이) 자라서 성숙함; 규모가 커짐. 발전. 〔동의어〕拡大; 성조. 다 자라서 생식 기능을 가진 새; 성조. 목소리의 가락; 시가(詩歌)의 가락; 성징. 자웅의 신체상의 특징; 정청. 정무를 보는 관청; 《「政務調査」의 준말》 정무 조사; 「清朝体」의 준말; 청청. 남이 자기 이야기를 들어 주는 것을 높이어 이르는 말; 정청. 조용히 들음; 정장. 장의 기능을 조정하는 일; 정조; 경조(競漕)에서, 타수(舵手)와 마주앉아서 조수(漕手) 전원의 노젓기를 조정하는 일. 또는 그 사람. 정조수; 청징. 맑고 깨끗함. {문어·ナリ 활용 }
成熟
성숙
私
값. 가격. 대금. 〔동의어〕ね·値段; 가치. 값어치. 〔동의어〕値打ち; 『수학』 수치(數値). 수량. 값. 〔참고〕 3.은 「値」로 씀; 《속어》 《「あたし」의 변한말》 저. 나. 〔동의어〕わたし. 〔참고〕 흔히 여자 아이가 씀
そして マザースペースは 私たちが互いに気を遣い合って
合う
만나다. 대면하다; 서로 알게 되다. 사귀다; 우연히 마주치다. 〔참고〕 「会う」는 ‘어떤 곳에 모여서 대면하다’의 뜻이며 일반적으로 널리 쓰임. 「逢う」는 ‘약속하고 만난다’는 뜻으로 씀. 【가능동사】 あ·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맞다. 일치하다. 합치(合致)하다; 어울리다. 알맞다. 조화되다; 〈흔히 「~·わない」의 꼴로 씀〉 수지맞다. 〔동의어〕引き合う; 합치다. 만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다른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서로…하다. 주고받다; …하여 합치다. 만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어떤 일을) 만나다. 겪다. 당하다. 봉착(逢着)하다; 우연히 만나다. 마주치다. 〔참고〕 「会う」 「逢う」로도 씀. 【문어 4단 활용 동사】
気
귀; 신분·집안·가치 등이 높은; 경의(敬意)의 표시; 기; 기초. 근본; 『화학』 원자단(原子團). 〔동의어〕根; (설치해 놓은) 묘석(墓石)·장명등(長明燈)·기계 등을 세는 단위; 인간답지 않은 무서운 사람; 기; 기. 말 탄 사람의 수효; 『식물·식물학』 나무. 수목; 재목. 목재; 딱따기; 잡것이 섞이지 않음. 자연 그대로임. 순수함; ‘순수함’ ‘인공을 가하지 않음’ ‘오직 그대로임’의 뜻을 나타냄; 황. 노랑. 황색. 〔동의어〕きいろ; ‘황색’의 뜻을 나타냄; 기. 십간(十干)의 여섯째. 〔동의어〕つちのと; 기운. 정기. 생기. 분위기; (특유한) 맛. 향기; 숨. 호흡; 정신. 의식. 얼; 성미. 기질. 마음씨; 기. 기력; 생각. 의지; 마음. 기분; 흥미. 관심; 「希臘」의 준말; 『화학』 희. 묽은. 〔반의어〕 濃; 드묾. 〔참고〕 「希」는 「稀」의 대용자; 상을 입고 집에 들어박혀 행동을 삼가는 일. 또는 그 기간. ((보통 49일간)) 상(喪); 기. 기일(忌日). 회기(回忌); 『문어』 이상함. 야릇함. 진기함. {문어·ナリ 활용 }; 기수. 홀수. 〔반의어〕 偶; 계절. 〔동의어〕シーズン; 連歌·俳句에서 구(句)에 삽입하는 계절의 경물(景物). 〔동의어〕季題·季語; 계. 천간(天干)의 열째. 〔동의어〕みずのと; 기. 기전체(紀傳體) 역사에서 제왕의 사적(事績)을 적은 글. 〔동의어〕本紀; 『문학』 〈「日本書紀」의 준말〉 일본서기; 기. 지질 시대 구분의 단위; 궤; 수레의 양 바퀴의 간격; 수레바퀴가 지나간 자국; 규칙; 기. 기록(문); 『문학』 「古事記」의 준말; 기; 기. 기구(起句); 『문어』 기; 시기. 기간. 기한; 좋은 기회. 시기; 기; 기간. 시기; [age]『지리·지학·지명』 지질 시대의 한 구분. 「世」의 아래; 계략. 모사(謀事). 방법; 《고어》 파. 〔동의어〕ねぎ; 『문어』 그릇. 〔동의어〕うつわ; 물건을 담는 용기; 기. 기량. 인물. 재능; 기; 기관(器官); 기구. 도구; 계기; 시기. 기회; 〈「飛行機」의 준말〉 비행기; (불교에서) 기. 기근(機根). 〔동의어〕気根; 기계; 비행기; 비행기를 세는 말. 대; 『문어』 《用言·助動詞의 連用形에 붙음》; 과거에 직접 체험한 일을 회상하는 말. …었다. …였다. …고 있었다; (경험과 관계없이 널리) 과거의 사실을 나타냄. …었다. …였다; 현재 또는 완료의 뜻을 나타냄. …하고 있다. 〔참고〕 終止形 「き」는 カ変動詞에 붙지 않음. カ変을 받는 경우는 「きし」 「きしか」와 「こし」 「こしか」의 두 꼴이 있음. 고대에는 未然形 「せ」가 있었다고 생각되는데, 助詞 「ば」가 붙어 가정의 뜻을 나타냄
そして
⇒ そうして
私
값. 가격. 대금. 〔동의어〕ね·値段; 가치. 값어치. 〔동의어〕値打ち; 『수학』 수치(數値). 수량. 값. 〔참고〕 3.은 「値」로 씀; 《속어》 《「あたし」의 변한말》 저. 나. 〔동의어〕わたし. 〔참고〕 흔히 여자 아이가 씀
互いに
서로. 다 함께
スペース
스페이스; 공간; 신문·잡지 등에서, 지면의 여백; 인쇄물의 자간·행간; 우주의 공간
マザー
머더; 『천주교』 수녀원장
遣う
쓰다. 사용하다. 부리다. 고용하다. 〔동의어〕召し使う; (어떤 동작을 시키기 위하여) 조종하다. 부리다. 〔동의어〕あやつる; (도구·수단으로서) 이용하다; 술수를 쓰다; 소비하다; 마음[머리]을 쓰다; 어떤 동작을 하다; (그것으로) 특정 동작을 하다. 【가능동사】 つか·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そして 前向きに手を携えて 地上でも頑張るところを
そして
⇒ そうして
手
어떤 일·직무·임무를 맡는 사람임을 나타냄. 수; 시(詩)를 세는 말. 수; 초목을 세는 말. 주. 〔동의어〕株; 주; 주인; 주군; 중심; 『기독교』 주님. 1.〔반의어〕客. 2.3.〔반의어〕従; 주; 주홍색 안료; 붉은 글자. 교정지에 고쳐 써넣은 붉은 글자; 『문어』 주. 술. 〔동의어〕さけ; ⇒ しゅう< 2> ; 종; 『식물·식물학』 종자; 종류; 『생물학』 생물 분류상의 단위; 옛 중량 단위. 一銖는 一両의 24분의 1; 옛날의 이율의 단위. 一銖는 一割의 10분의 1; 『불교』 취. 중생이 자신이 지은 업(業)에 의하여 가서 사는 세계
頑張る
(끝까지) 견디며 버티다. 끝까지 노력하다; (끝까지) 주장하다. 우기다; 버티고 서다. 눌러 붙다. 【가능동사】 がんば·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地上
지상; 땅 위. 지면 위. 〔반의어〕地下; 이 세상. 〔반의어〕 天上; 치정
前向き
앞쪽[정면]을 향함;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생각이나 태도. 1.2. 〔반의어〕 後ろ向き
携える
휴대하다. 손에 들다. 지니다; 거느리다. 함께 데리고 가다. 대동(帶同)하다; 〈「手を~」의 꼴로〉 손을 맞잡다. 【문어형】 たづさ·ふ {하2단 활용}
見ていたいと思うはずです
思う
생각하다; 판단을 내리다. 믿다; 느끼다; 예상하다. 추측하다; 원하다. 소망하다; 회상하다; 사랑하다. 그리워하다. 사모하다. 소중히 하다; 〈「…と~」의 꼴이나 形容詞·形容動詞의 連用形을 받아서〉 …라고 생각하다. …하려고 결심하다. 〔참고〕 「考える」는 객관적·지적인 경우에만 쓰는데, 「思う」는 감정적·의지적·주관적인 경우에도 씀. 【가능동사】 おも·える【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見る
『식물·식물학』 청각채; 보다. 눈으로 인식하다; 구경하다. 관람하다; 읽다; 살피다. 살펴보다; 관찰하여 판단하다. 〔참고〕 ‘진찰하다’의 뜻으로는 흔히, 「診る」를 씀; (시각 외의 감각으로) 파악하다; 당하다. 경험하다. 겪다; 맡아보다. 돌보다. 보살피다; 평가하다. 간주하다; 〈「…と~」의 꼴로〉 …로 보다. …로 생각하다[간주하다]. {문어·상1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て[で]」를 받아서》; (시험적으로) …해 보다; 〈「…てみると」 「…てみたら」 「…てみれば」의 꼴로〉 …해 보면. …해보니. …해 보니까. 〔참고〕 보통 かな로 씀. {문어·상1단 활용}
宇宙は本当に美しく
美しい
아름답다. 〔반의어〕 みにくい; 곱다. 예쁘다; (사람의 행위·태도 등이) 훌륭하다. うつくし·が·る 【5단 활용 타동사】 うつくし·げ 【형용동사】 うつくし·さ 【명사】 【문어형】 うつく·し {シク 활용}
宇宙
우주; 우중. 빗속; 『문어』 (화살·총알이) 빗발침
でも 地上にまた戻ってきた時 風を感じました
戻る
되돌아가다. 되돌아오다. 【가능동사】 もど·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感じる
⇒ かんずる; ⇒ かんずる
時
차; 다음; 『화학』 산화(酸化)의 정도가 낮음; 『화학』 염기성염(鹽基性鹽); 횟수(回數). 빈도(頻度). 차례; 자; 자기; 〈시간·장소를 나타내는 名詞에 붙어〉 …부터. 〔반의어〕 至; 사. 절; 아; 아이. 아동; 남아;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사. 일. 사항; 시. 시간의 단위. 60분; 시각; 때. 기회; 〈옛 지명에 붙여〉 그 지방의 길.그 지방 또는 그 지방으로 가는 길임을 나타냄. 도(道). 가도. 지방; 하루의 행정(行程); 『문어』 나이를 나타냄; 〈10을 단위로 한 수에 붙여〉 그 정도의 나이를 나타냄; 토지. 땅. 지면; 그 지방. 그 고장; 본성. 본색. 천성. 본바탕; 기반. 기초; 천; 살결. 피부; 문장에서 작자가 설명한 부분; (바둑에서) 차지한 집; 실제. 실지(實地). 〔참조어〕 地で行く; 풋내기. 숫보기; 「地謡」 「地紙」 「地髪」의 준말; 글자. 문자; 글씨. 필적; (바둑 등에서) 비김. 무승부; 『의학』 치질. 〔동의어〕痔疾; 『문어』 사; 말. 글; 한문 문체의 하나; 『언어학』 일본어 단어를 문법상의 성질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한 것의 하나. 단독으로는 문절(文節)을 이루지 못하고, 언제나 詞(자립어)에 딸려서 문절을 구성하는 말. ((助詞·助動詞 등)) 〔동의어〕付属語·関係語. 〔반의어〕 詞; 『문어』; 자석. 지남철; 자기. 사기그릇; 새; 세 가지 신기(神器)의 하나인 八尺瓊曲玉. 〔동의어〕神璽; 《고어》 《動詞·助動詞의 未然形에 붙음》; 부정적인 추측을 나타냄. …않겠지. …않을 것이다. 〔동의어〕…ないだろう·…まい; 부정적인 결의를 나타냄. …하지 않으리라. …않을 작정이다. 〔동의어〕…まい
風
바람; 감기. 〔참고〕 보통 「風邪」로 씀; 형세. 형편; 낌새. 눈치; (비유적으로, 사람에게 영향을 주는) 사회의 관습·양식 등; 〈接尾語적으로 씀〉 상태. 태도. 티
地上
지상; 땅 위. 지면 위. 〔반의어〕地下; 이 세상. 〔반의어〕 天上; 치정
そして 景観を見ました
見る
『식물·식물학』 청각채; 보다. 눈으로 인식하다; 구경하다. 관람하다; 읽다; 살피다. 살펴보다; 관찰하여 판단하다. 〔참고〕 ‘진찰하다’의 뜻으로는 흔히, 「診る」를 씀; (시각 외의 감각으로) 파악하다; 당하다. 경험하다. 겪다; 맡아보다. 돌보다. 보살피다; 평가하다. 간주하다; 〈「…と~」의 꼴로〉 …로 보다. …로 생각하다[간주하다]. {문어·상1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て[で]」를 받아서》; (시험적으로) …해 보다; 〈「…てみると」 「…てみたら」 「…てみれば」의 꼴로〉 …해 보면. …해보니. …해 보니까. 〔참고〕 보통 かな로 씀. {문어·상1단 활용}
そして
⇒ そうして
景観
『문어』 《「かいかん」의 관용음》 괘관. 관직에서 물러남. 퇴관(退官). 〔동의어〕致仕; 형관. 가시의 관. 〔참고〕 그리스도가 십자가에 못박힐 때 씌워졌던 것으로 수난(受難)을 비유함; 《「月桂冠」의 준말》 계관. 월계관; 『문어』 계간. 계곡. 골짜기. 〔동의어〕谷間·; 계간. 계곡. 계류(溪流); 경관. 경치; 계관; 「鶏冠花」의 준말; 『문어』 계간. 남색. 비역. 〔동의어〕男色; 《「警察官」의 준말》 경관. 경찰관
そして 小さな花々、草花の 匂いを嗅いだ時に
匂い
(향긋한) 냄새. 향내. 향기. 〔동의어〕香り·香気. 〔참고〕 불쾌한 냄새는 「臭い」로 씀; 정취. 기운(氣韻). 〔동의어〕風情. 〔참고〕 바람직하지 않은 것일 때는 「臭い」로 씀; 일본도(日本刀)의 날 표면에 안개처럼 보이는 무늬; 나쁜 냄새. 악취. 〔동의어〕くさみ·臭気; (범죄를 저지른 듯한) 기미. 낌새
そして
⇒ そうして
時
차; 다음; 『화학』 산화(酸化)의 정도가 낮음; 『화학』 염기성염(鹽基性鹽); 횟수(回數). 빈도(頻度). 차례; 자; 자기; 〈시간·장소를 나타내는 名詞에 붙어〉 …부터. 〔반의어〕 至; 사. 절; 아; 아이. 아동; 남아;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사. 일. 사항; 시. 시간의 단위. 60분; 시각; 때. 기회; 〈옛 지명에 붙여〉 그 지방의 길.그 지방 또는 그 지방으로 가는 길임을 나타냄. 도(道). 가도. 지방; 하루의 행정(行程); 『문어』 나이를 나타냄; 〈10을 단위로 한 수에 붙여〉 그 정도의 나이를 나타냄; 토지. 땅. 지면; 그 지방. 그 고장; 본성. 본색. 천성. 본바탕; 기반. 기초; 천; 살결. 피부; 문장에서 작자가 설명한 부분; (바둑에서) 차지한 집; 실제. 실지(實地). 〔참조어〕 地で行く; 풋내기. 숫보기; 「地謡」 「地紙」 「地髪」의 준말; 글자. 문자; 글씨. 필적; (바둑 등에서) 비김. 무승부; 『의학』 치질. 〔동의어〕痔疾; 『문어』 사; 말. 글; 한문 문체의 하나; 『언어학』 일본어 단어를 문법상의 성질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한 것의 하나. 단독으로는 문절(文節)을 이루지 못하고, 언제나 詞(자립어)에 딸려서 문절을 구성하는 말. ((助詞·助動詞 등)) 〔동의어〕付属語·関係語. 〔반의어〕 詞; 『문어』; 자석. 지남철; 자기. 사기그릇; 새; 세 가지 신기(神器)의 하나인 八尺瓊曲玉. 〔동의어〕神璽; 《고어》 《動詞·助動詞의 未然形에 붙음》; 부정적인 추측을 나타냄. …않겠지. …않을 것이다. 〔동의어〕…ないだろう·…まい; 부정적인 결의를 나타냄. …하지 않으리라. …않을 작정이다. 〔동의어〕…まい
嗅ぐ
『문어』 하우. 무척 어리석음. 또한 그런 사람. 〔반의어〕 上知; 가구; (냄새를) 맡다; 알아내다. 탐지해 내다. 【가능동사】 か·げ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小さな
작은. 〔반의어〕 大きな
花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草花
초화. 풀에 핀 꽃. 꽃이 피는 풀; (관상용의) 화초
本当に嬉しく 幸福感がありました
嬉しい
기쁘다. 반갑다. 〔반의어〕 悲しい; 고맙다. 감사하다; 《속어》 애교가 있다. 밉지 않다. 귀엽다. うれし·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うれし·げ 【형용동사】 うれし·さ 【명사】 【문어형】 うれ·し {シク 활용}
幸福
『문어』 구복; 입과 배; 먹고 마시는 일. 〔동의어〕飲食; 말과 생각; 행복. 〔동의어〕幸せ. 〔반의어〕 不幸. こう-ふくさ 【명사】 {문어·ナリ 활용 }; 교복; 항복. 〔동의어〕降参. 〔참고〕 「降伏」는 딴말임; 흥복. 부흥. 재흥. 〔동의어〕再興
感
간. 간행. 출간(出刊). 출판; 감; 감독; 감방(監房); 관; (공공의) 건물 등에 붙는 말; 여관 등의 이름에 붙는 말; 장대의 수효를 세는 말; 캔; 깡통; 〈「缶詰め」의 준말〉 통조림. 〔참고〕 「缶」 「缶」 「鑵」은 차자; 『음악』 (일본 고유 음악에서) 높은 음역. 또는 기본음의 한 옥타브 높은 음; 『문어』 간. 간악함. 간사함. 또는 그런 사람; 『문어』 완; 「完全」 「完備」 등의 준말; 『문어』; 간. 간장; 마음; 관. 관청. 관리(官吏). 관직; ‘관리’ ‘공무원’ 등의 뜻을 나타냄. 관; 『문어』 관. 〔동의어〕かんむり; 으뜸감. {문어·タリ 활용}; 두루마리; 책; 권; 두루마리·필름·테이프 등의 수효; 책의 수효; 『문어』 (…처럼) 보임; 10일간. 순(旬). 〔참고〕 ‘씻다’의 뜻으로, 고대 중국에서 관리가 10일마다 휴가가 있어 목욕을 했던 데서; 『의학』 신경질적이고 짜증을 잘 내는 신경성 소아병; (사물의 사정이나 의미를) 직감으로 깨닫는 능력. 육감(六感). 직감력; 관. ((척관법의 무게의 단위)); 鎌倉 시대 이후 무가(武家)의 녹봉의 단위. ((1관은 10석(石))); 『문어』 겨울 추위; (24절기의) 대한과 소한의 시기. ((1월 6일경에서 2월 4일경까지의 약 30일간)) 1.2.〔동의어〕暑; 관. 관구. 〔동의어〕ひつぎ; 『문어』 정성. 충성; 『문어』 정의(情誼); 『경제』 예산·계정 과목의 분류명. 관. ((항(項)의 위, 부(部)의 아래)); 금속이나 돌에, 문자를 표면보다 움푹 들어가게 새김. 또는 그 문자; 간. 사이; 기회. 틈; 첩자; 불화; 《名詞에 붙어》 ‘…의 사이’ ‘…과 …의 사이’의 뜻을 나타냄. 간; 『문어』 관대하고 정이 깊음. 너그러움. 느슨함. {문어·ナリ 활용 }; 감. 느낌. 감회; 감동; ‘…의 느낌’의 뜻을 나타냄. 감; 관. 파이프. 〔동의어〕くだ; 붓·피리 등의 수효. 자루; 문빗장; 관문(關門). 〔동의어〕せき·関門; 『문어』 기쁨. 즐거움; 함. (편지의) 봉함; 『문어』 (일의 진행이) 느림. 완함. 더딤. {문어·ナリ 활용 }; (중탕으로) 술을 알맞게 데움. 또는 그 데우는 정도; 고리; 감정이 격하고 화를 잘 내는 기질. 신경질. 피새; 한; 한국. 〔동의어〕韓国; 대한 (제국); (중국 전국 시대의) 칠웅(七雄)의 하나; 편지. 서간. 서찰; 『문어』 간단함. 간략함. 간명함; 고대 중국에서, 종이가 발명되기 전에 글씨를 쓰기 위해 사용한 대쪽; 사람·사물을 외부에서 본 느낌. 양상; 도교(道敎)에서, 도사가 있는 곳; ‘…에 대한 사고 방식’ ‘…에 대한 견해’ 등의 뜻을 나타냄. 관; 갱; 고기나 야채를 넣어 끓인 국; 설날에 먹는 일본식 떡국에 넣는 떡. 또는 그 떡국; 『문어』 함. 군함; 서랍 등의 손잡이로 쓰는 고리 모양의 쇠붙이. 고리 손잡이쇠; 『문어』 한가함; ‘한가한’ ‘조용한’ ‘쓸모 없는’ 등의 뜻을 나타냄. 한; 한; 『역사』 중국 고대 왕조의 하나; (변하여) 중국 본토. 또는 그 곳에 사는 민족; ‘(성인) 남자’의 뜻을 나타냄. 한
ということで 本当の幸福感は 私たちの周囲にあるんだと思います
思う
생각하다; 판단을 내리다. 믿다; 느끼다; 예상하다. 추측하다; 원하다. 소망하다; 회상하다; 사랑하다. 그리워하다. 사모하다. 소중히 하다; 〈「…と~」의 꼴이나 形容詞·形容動詞의 連用形을 받아서〉 …라고 생각하다. …하려고 결심하다. 〔참고〕 「考える」는 객관적·지적인 경우에만 쓰는데, 「思う」는 감정적·의지적·주관적인 경우에도 씀. 【가능동사】 おも·える【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幸福
『문어』 구복; 입과 배; 먹고 마시는 일. 〔동의어〕飲食; 말과 생각; 행복. 〔동의어〕幸せ. 〔반의어〕 不幸. こう-ふくさ 【명사】 {문어·ナリ 활용 }; 교복; 항복. 〔동의어〕降参. 〔참고〕 「降伏」는 딴말임; 흥복. 부흥. 재흥. 〔동의어〕再興
周囲
수의. 죄수복. 〔동의어〕獄衣; 주위; 습유; 《고어》 「侍従」의 중국식 명칭; 『문어』 추의. 가을다운 기분[느낌]; 중의. 여러 사람의 뜻[의견]
本当
⇒ ほんとう
私
값. 가격. 대금. 〔동의어〕ね·値段; 가치. 값어치. 〔동의어〕値打ち; 『수학』 수치(數値). 수량. 값. 〔참고〕 3.은 「値」로 씀; 《속어》 《「あたし」의 변한말》 저. 나. 〔동의어〕わたし. 〔참고〕 흔히 여자 아이가 씀
感
간. 간행. 출간(出刊). 출판; 감; 감독; 감방(監房); 관; (공공의) 건물 등에 붙는 말; 여관 등의 이름에 붙는 말; 장대의 수효를 세는 말; 캔; 깡통; 〈「缶詰め」의 준말〉 통조림. 〔참고〕 「缶」 「缶」 「鑵」은 차자; 『음악』 (일본 고유 음악에서) 높은 음역. 또는 기본음의 한 옥타브 높은 음; 『문어』 간. 간악함. 간사함. 또는 그런 사람; 『문어』 완; 「完全」 「完備」 등의 준말; 『문어』; 간. 간장; 마음; 관. 관청. 관리(官吏). 관직; ‘관리’ ‘공무원’ 등의 뜻을 나타냄. 관; 『문어』 관. 〔동의어〕かんむり; 으뜸감. {문어·タリ 활용}; 두루마리; 책; 권; 두루마리·필름·테이프 등의 수효; 책의 수효; 『문어』 (…처럼) 보임; 10일간. 순(旬). 〔참고〕 ‘씻다’의 뜻으로, 고대 중국에서 관리가 10일마다 휴가가 있어 목욕을 했던 데서; 『의학』 신경질적이고 짜증을 잘 내는 신경성 소아병; (사물의 사정이나 의미를) 직감으로 깨닫는 능력. 육감(六感). 직감력; 관. ((척관법의 무게의 단위)); 鎌倉 시대 이후 무가(武家)의 녹봉의 단위. ((1관은 10석(石))); 『문어』 겨울 추위; (24절기의) 대한과 소한의 시기. ((1월 6일경에서 2월 4일경까지의 약 30일간)) 1.2.〔동의어〕暑; 관. 관구. 〔동의어〕ひつぎ; 『문어』 정성. 충성; 『문어』 정의(情誼); 『경제』 예산·계정 과목의 분류명. 관. ((항(項)의 위, 부(部)의 아래)); 금속이나 돌에, 문자를 표면보다 움푹 들어가게 새김. 또는 그 문자; 간. 사이; 기회. 틈; 첩자; 불화; 《名詞에 붙어》 ‘…의 사이’ ‘…과 …의 사이’의 뜻을 나타냄. 간; 『문어』 관대하고 정이 깊음. 너그러움. 느슨함. {문어·ナリ 활용 }; 감. 느낌. 감회; 감동; ‘…의 느낌’의 뜻을 나타냄. 감; 관. 파이프. 〔동의어〕くだ; 붓·피리 등의 수효. 자루; 문빗장; 관문(關門). 〔동의어〕せき·関門; 『문어』 기쁨. 즐거움; 함. (편지의) 봉함; 『문어』 (일의 진행이) 느림. 완함. 더딤. {문어·ナリ 활용 }; (중탕으로) 술을 알맞게 데움. 또는 그 데우는 정도; 고리; 감정이 격하고 화를 잘 내는 기질. 신경질. 피새; 한; 한국. 〔동의어〕韓国; 대한 (제국); (중국 전국 시대의) 칠웅(七雄)의 하나; 편지. 서간. 서찰; 『문어』 간단함. 간략함. 간명함; 고대 중국에서, 종이가 발명되기 전에 글씨를 쓰기 위해 사용한 대쪽; 사람·사물을 외부에서 본 느낌. 양상; 도교(道敎)에서, 도사가 있는 곳; ‘…에 대한 사고 방식’ ‘…에 대한 견해’ 등의 뜻을 나타냄. 관; 갱; 고기나 야채를 넣어 끓인 국; 설날에 먹는 일본식 떡국에 넣는 떡. 또는 그 떡국; 『문어』 함. 군함; 서랍 등의 손잡이로 쓰는 고리 모양의 쇠붙이. 고리 손잡이쇠; 『문어』 한가함; ‘한가한’ ‘조용한’ ‘쓸모 없는’ 등의 뜻을 나타냄. 한; 한; 『역사』 중국 고대 왕조의 하나; (변하여) 중국 본토. 또는 그 곳에 사는 민족; ‘(성인) 남자’의 뜻을 나타냄. 한
遠い所にある訳ではありません
訳
약; 〈「厄年」의 준말〉 액년; 소임(所任). 직무. 임무; (연극 등에서) 역. 배역; 역할. 구실; (화투·마작·트럼프 등에서) 약속에 따라 정해진, 일정한 득점을 얻기 위한 조건. 약(約); 『문어』; 약속; 줄임. 생략; 『언어학』 「約音」의 준말; 대략. 약; 『문어』 효과. 효용; 《接尾語적으로도 씀》 역; 번역; 어려운 말이나 문장을 알기 쉽게 해석하여 옮긴 것; 『식물·식물학』 약. 꽃밥; 《속어》 약. 마약; 태우다; 굽다; 그을리다. 지지다; 애태우다; (사진을) 인화하다. 복사하다; 달구다; 마음을 쓰다. 돌봐 주다. 애먹다; 「焼ける」의 문어
遠い
멀다; (공간적인) 거리가 많이 떨어져 있다; (시간적인) 간격이 많이 떨어져 있다; 추상적으로 차이가 크다; 혈연 관계가 멀다; 접촉 관계가 적다. 소원(疏遠)하다; (성질·내용이) 닮지 않다. 다르다; 친근하지 않다; 보거나 하거나 하는 일이 드물다; 관련이 별로 없다; 잘 들리지 않다; 〈「目が~」의 꼴로〉 노안(老眼)이다. 원시(遠視)이다; 〈「気が~·くなる」의 꼴로〉 의식이 혼미해지다. 정신이 아찔해지다. 1.~9.〔반의어〕 近い. とお·さ 【명사】 【문어형】 とほ·し {ク 활용}
所
초. 첫. 처음의; 초; 제. 여러. 많은; 소. 어떤 일을 하기 위한 장소·시설·기관. 〔참고〕 「じょ」로 읽는 경우가 있음; 서. 관청임을 나타냄; 《「警察署」의 준말》 서; 서; 쓴 글씨. 필적; 서법(書法). 서도(書道). 서예; 책. 서류; 편지. 서간; 서. 책·문서 등의 뜻을 나타냄; 서. 〔반의어〕 寒; 대서(大暑)와 소서(小暑). 복중(伏中); 보관을 주업무로 하는 관공서를 나타냄; 서. 실마리. 처음. 〔동의어〕ちょ
そういったことを考えると
考える
생각하다. 헤아리다. 사고(思考)하다. 〔참고〕 「思う」는 정의적(情意的)인 데 대하여 「考える」는 지적(知的)임. 【문어형】 かんが·ふ {하2단 활용}
より 国々は国境を越えて コネクトしていく 繋がっていくと思います
思う
생각하다; 판단을 내리다. 믿다; 느끼다; 예상하다. 추측하다; 원하다. 소망하다; 회상하다; 사랑하다. 그리워하다. 사모하다. 소중히 하다; 〈「…と~」의 꼴이나 形容詞·形容動詞의 連用形을 받아서〉 …라고 생각하다. …하려고 결심하다. 〔참고〕 「考える」는 객관적·지적인 경우에만 쓰는데, 「思う」는 감정적·의지적·주관적인 경우에도 씀. 【가능동사】 おも·える【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越える
(사람이나 동물이) 살찌다. 〔동의어〕太る. 〔반의어〕 やせる; (땅이) 비옥해지다. 〔반의어〕 やせる; (비유적으로) 자산 등이 늘어나다; (느낌이나 안목 등이) 풍부해지다. 높아지다. 【문어형】 こ·ゆ {하2단 활용}; 넘다. 넘어가다; (강을) 건너다; (어떤 시기가) 지나가다. 넘기다; (어떤 기준을) 넘다. 넘어서다. 초과하다. 〔동의어〕超える; 뛰어나다. 〔동의어〕超える; 초월하다. 〔동의어〕超える; 뛰어넘다. 앞지르다. 건너뛰다. 【문어형】 こ·ゆ {하2단 활용}
国境
지방과 지방과의 경계
そして 地上と宇宙も 繋がっていくに違いありません
宇宙
우주; 우중. 빗속; 『문어』 (화살·총알이) 빗발침
そして
⇒ そうして
違い
서로. 쌍방. 상호; 다름. 틀림. 차이. ((예스러운 말)) 〔동의어〕ちがい·相違
地上
지상; 땅 위. 지면 위. 〔반의어〕地下; 이 세상. 〔반의어〕 天上; 치정
そして マザースペースは 私たちがもっと協力をすることを
協力
협력; 강력. {문어·ナリ 활용 }
そして
⇒ そうして
もっと
더. 더욱. 좀더. 한층. 〔동의어〕一層
私
값. 가격. 대금. 〔동의어〕ね·値段; 가치. 값어치. 〔동의어〕値打ち; 『수학』 수치(數値). 수량. 값. 〔참고〕 3.은 「値」로 씀; 《속어》 《「あたし」의 변한말》 저. 나. 〔동의어〕わたし. 〔참고〕 흔히 여자 아이가 씀
スペース
스페이스; 공간; 신문·잡지 등에서, 지면의 여백; 인쇄물의 자간·행간; 우주의 공간
マザー
머더; 『천주교』 수녀원장
待っていると思っています
思う
생각하다; 판단을 내리다. 믿다; 느끼다; 예상하다. 추측하다; 원하다. 소망하다; 회상하다; 사랑하다. 그리워하다. 사모하다. 소중히 하다; 〈「…と~」의 꼴이나 形容詞·形容動詞의 連用形을 받아서〉 …라고 생각하다. …하려고 결심하다. 〔참고〕 「考える」는 객관적·지적인 경우에만 쓰는데, 「思う」는 감정적·의지적·주관적인 경우에도 씀. 【가능동사】 おも·える【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待つ
가루. 분말. 〔동의어〕粉; 어떤 기간의 끝. 말; 『식물·식물학』 소나무; 『러시아어』 「松明」의 준말; 〈「門松」의 준말〉 또는 이것을 세워서 새해를 기뻐하는 기간; 기다리다; 〈「…に~」 「…を~」의 꼴로〉 기대하다; 〈「…を~·たない」의 꼴로〉 그럴 필요가 없다. 〔참고〕 2.3.은 「俊つ」로도 씀. 【가능동사】 ま·て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協力をして 私たちがもっと 更に[頻繁に]宇宙に行ける
宇宙
우주; 우중. 빗속; 『문어』 (화살·총알이) 빗발침
協力
협력; 강력. {문어·ナリ 활용 }
更に
정도가 심해짐을 나타냄. 더 한층. 보다 더. 더욱더; 한번 더 반복하거나 새로 추가함을 나타냄. 거듭. 다시금. 새로이. 또 한 번. 〔동의어〕重ねて; 〈뒤에 否定語가 따르며〉 조금도. 전혀. 도무지. 두 번 다시
もっと
더. 더욱. 좀더. 한층. 〔동의어〕一層
私
값. 가격. 대금. 〔동의어〕ね·値段; 가치. 값어치. 〔동의어〕値打ち; 『수학』 수치(數値). 수량. 값. 〔참고〕 3.은 「値」로 씀; 《속어》 《「あたし」의 변한말》 저. 나. 〔동의어〕わたし. 〔참고〕 흔히 여자 아이가 씀
頻繁
빈번. {문어·ナリ 활용 }
行ける
살리다. 되살리다. 소생시키다. 〔동의어〕生かす; (꽃·나뭇가지 등을) 화기(花器)에 꽂다. 꽃꽂이하다; 식물을 심다. 【문어형】 い·く{하2단 활용}; 《「行く」의 可能形》; 갈 수 있다; 잘 할 수 있다. 마음먹은 대로 되다.잘 나가다; (물건의 질이나 음식의 맛이) 꽤 쓸 만하다. 상당히 좋다; 술을 꽤 마시다. 술잔깨나 하다. 〔참고〕 2.~4.는 보통 かな로 씀; 《「生ける」와 어원이 같음》 묻다. 〔동의어〕うめる; (꺼지지 않도록) 숯불을 재 속에 묻다; 땅속에 묻다. 【문어형】 い·く {하2단 활용}; 『문어』 《문어의 4段動詞 「生く」의 已然形+完了의 助動詞 「り」의 連体形》 살아 있는. 생명이 있는
そして 彼女に会いに行くことを 望んでいるんだと思います
思う
생각하다; 판단을 내리다. 믿다; 느끼다; 예상하다. 추측하다; 원하다. 소망하다; 회상하다; 사랑하다. 그리워하다. 사모하다. 소중히 하다; 〈「…と~」의 꼴이나 形容詞·形容動詞의 連用形을 받아서〉 …라고 생각하다. …하려고 결심하다. 〔참고〕 「考える」는 객관적·지적인 경우에만 쓰는데, 「思う」는 감정적·의지적·주관적인 경우에도 씀. 【가능동사】 おも·える【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彼女
《他称의 人代名詞》 그녀. 그 여자. 저 여자. 〔반의어〕 彼; 《속어》 (어떤 남성의) 애인. 연인. 〔반의어〕 彼·彼氏
望む
바라다. 원하다. 〔동의어〕願う; 멀리서 보다. 바라보다. 전망(展望)하다. 〔동의어〕眺める; 우러르다. 흠모하다. 【가능동사】 のぞ·め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면하다. 향하다. 대하다; 임하다. 임석하다. 즈음하다; 당하다. 마주치다. 직면하다; (아랫사람을) 대하다. 【가능동사】 のぞ·め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そして
⇒ そうして
会う
만나다. 대면하다; 서로 알게 되다. 사귀다; 우연히 마주치다. 〔참고〕 「会う」는 ‘어떤 곳에 모여서 대면하다’의 뜻이며 일반적으로 널리 쓰임. 「逢う」는 ‘약속하고 만난다’는 뜻으로 씀. 【가능동사】 あ·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맞다. 일치하다. 합치(合致)하다; 어울리다. 알맞다. 조화되다; 〈흔히 「~·わない」의 꼴로 씀〉 수지맞다. 〔동의어〕引き合う; 합치다. 만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다른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서로…하다. 주고받다; …하여 합치다. 만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어떤 일을) 만나다. 겪다. 당하다. 봉착(逢着)하다; 우연히 만나다. 마주치다. 〔참고〕 「会う」 「逢う」로도 씀. 【문어 4단 활용 동사】
行く
〈주로 名詞에 붙어〉 수량·정도가 불확실·불명확함을 나타냄. 어느 정도의. 몇; 수량·정도가 많음을 나타냄. 여러. 수; 『문어』 외구. 무서워하고 두려워함. 〔동의어〕恐懼; 썩 큰 몸집; 《「生きる」의 문어형》 살다. 살아가다; ⇒ ゆく; ⇒ ゆく
ですので 私は更に 多くの人々が宇宙に行けるように
宇宙
우주; 우중. 빗속; 『문어』 (화살·총알이) 빗발침
更に
정도가 심해짐을 나타냄. 더 한층. 보다 더. 더욱더; 한번 더 반복하거나 새로 추가함을 나타냄. 거듭. 다시금. 새로이. 또 한 번. 〔동의어〕重ねて; 〈뒤에 否定語가 따르며〉 조금도. 전혀. 도무지. 두 번 다시
私
값. 가격. 대금. 〔동의어〕ね·値段; 가치. 값어치. 〔동의어〕値打ち; 『수학』 수치(數値). 수량. 값. 〔참고〕 3.은 「値」로 씀; 《속어》 《「あたし」의 변한말》 저. 나. 〔동의어〕わたし. 〔참고〕 흔히 여자 아이가 씀
行ける
살리다. 되살리다. 소생시키다. 〔동의어〕生かす; (꽃·나뭇가지 등을) 화기(花器)에 꽂다. 꽃꽂이하다; 식물을 심다. 【문어형】 い·く{하2단 활용}; 《「行く」의 可能形》; 갈 수 있다; 잘 할 수 있다. 마음먹은 대로 되다.잘 나가다; (물건의 질이나 음식의 맛이) 꽤 쓸 만하다. 상당히 좋다; 술을 꽤 마시다. 술잔깨나 하다. 〔참고〕 2.~4.는 보통 かな로 씀; 《「生ける」와 어원이 같음》 묻다. 〔동의어〕うめる; (꺼지지 않도록) 숯불을 재 속에 묻다; 땅속에 묻다. 【문어형】 い·く {하2단 활용}; 『문어』 《문어의 4段動詞 「生く」의 已然形+完了의 助動詞 「り」의 連体形》 살아 있는. 생명이 있는
多く
많음. 다수. 대부분; 대체로. 대개는. 흔히. 자주
尽力をしたいと思います
思う
생각하다; 판단을 내리다. 믿다; 느끼다; 예상하다. 추측하다; 원하다. 소망하다; 회상하다; 사랑하다. 그리워하다. 사모하다. 소중히 하다; 〈「…と~」의 꼴이나 形容詞·形容動詞의 連用形을 받아서〉 …라고 생각하다. …하려고 결심하다. 〔참고〕 「考える」는 객관적·지적인 경우에만 쓰는데, 「思う」는 감정적·의지적·주관적인 경우에도 씀. 【가능동사】 おも·える【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尽力
인력. 사람의 힘·능력. 〔동의어〕じんりき; 진력; (어떤 목적을 위해서) 힘을 다함. 노력함; 도움. 조력. 협력
そしてそれは 国境の無い世界に より貢献をしていくと思います
思う
생각하다; 판단을 내리다. 믿다; 느끼다; 예상하다. 추측하다; 원하다. 소망하다; 회상하다; 사랑하다. 그리워하다. 사모하다. 소중히 하다; 〈「…と~」의 꼴이나 形容詞·形容動詞의 連用形을 받아서〉 …라고 생각하다. …하려고 결심하다. 〔참고〕 「考える」는 객관적·지적인 경우에만 쓰는데, 「思う」는 감정적·의지적·주관적인 경우에도 씀. 【가능동사】 おも·える【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世界
지구상의 모든 나라. 만국(萬國); (지구를 중심으로 해서 본) 우주. 〔동의어〕天地; 세상. 인간 사회; 『불교』 중생(衆生)이 살고 있는 곳; 어느 특정한 것의 한정되는 범위
国境
지방과 지방과의 경계
そして
⇒ そうして
無い
내. 안쪽의; 공식적이 아닌. 은밀한; 내. 범위 안; 《形容詞·形容動詞의 語幹 등 상태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形容詞를 만듦》 정도가 너무 심함을 나타냄. (몹시) …하다. 【문어형】 な·し {ク 활용}; 없다; 존재하지 않다; 갖고[갖추어져] 있지 않다. 없다; (시간적·공간적·수량적으로) 넉넉하지 않다; 오지 않다. 없다; (경험한 적이) 없다; (죽어서) 이 세상에 없다. 〔참고〕 6.은 「亡い」로 쓰는 경우가 많음. 1.~5. 〔반의어〕 有る. な·げ 【형용동사】 な·さ 【명사】; 〈動詞의 連用形+「て」, 形容詞, 形容動詞, 일부의 助動詞 「だ」 「らしい」 「たい」 등의 連用形 등의 뒤에 붙어〉 否定을 나타냄. (…지) 않다; 〈格助詞 「と」의 뒤에 붙어〉 불확실한, 또는 분명하게 지시하지 않은 상태에 있음을 나타냄. 없이. 아니게. な·げ 【형용동사】 な·さ 【명사】 【문어형】 な·し {ク 활용}; 《名詞에 붙어 形容詞를 만듦》 否定의 뜻을 나타냄. …(스럽)지 않다. な·げ 【형용동사】 な·さ 【명사】 【문어형】 な·し {ク 활용}; 《動詞 및 動詞에 준하는 말의 未然形에 붙음. サ変動詞는 「し」에 붙으며, 動詞 「ある」에는 붙지 않음》; 否定을 나타냄. …지 않다; 〈「…てはなら~」 「…てはいけ~」의 꼴로〉 불허·금지를 나타냄. …는 안 되다; 〈「…なければなら~」 「なくてはいけ~」 등의 꼴로〉 당연·의무를 나타냄. (…지 않으면) 안 되다; 〈「なくてもよい」 「~でもいい」의 꼴로〉 허용을 나타냄. (…지) 않다; ⇒ ないで; 〈「…~か」 「…~かしら」의 꼴로〉 물음·권유를 나타냄. (…지) 않나 (몰라); 〈문말(文末)에 쓰이어, 억양을 높여서〉 물음·권유를 나타냄. …지 않 겠어? 〔참고〕 助動詞 「そう だ」, 接尾語 「過ぎる」가 이어질 때에는 語幹인 「な」 에 이어짐; ⇒ い . 〔참고〕 금지의 終助詞 「な」에 終助詞 「い」가 붙은 것
貢献
『법률』 공권. 〔반의어〕 私権; 효험. 효능(效能); 『논리학』 후건. ‘만약 a라면 b이다’와 같은 형식의 판단인 경우, b로서 진술된 사항. 귀결 부분의 내용. 〔반의어〕 前件; 《歴》 무가(武家) 시대의 직책의 하나. 어린 주군(主君)을 대리하거나 보좌하는 직책; 『법률』 (민법상의) 후견; (能·歌舞伎 등에서) 배우의 뒷바라지를 해 주는 사람; 공헌. 이바지함. 기여(寄與)함; 『문어』 고견; 뛰어난 의견. 탁견. 〔동의어〕卓見; 〈「御~」의 꼴로〉 남의 의견에 대한 높임말. 〔동의어〕御意見; 《「高等検察庁」의 준말》 고등 검찰청. 고검
母なる宇宙 マザースペースは 私たちを待っていて下さると思います
思う
생각하다; 판단을 내리다. 믿다; 느끼다; 예상하다. 추측하다; 원하다. 소망하다; 회상하다; 사랑하다. 그리워하다. 사모하다. 소중히 하다; 〈「…と~」의 꼴이나 形容詞·形容動詞의 連用形을 받아서〉 …라고 생각하다. …하려고 결심하다. 〔참고〕 「考える」는 객관적·지적인 경우에만 쓰는데, 「思う」는 감정적·의지적·주관적인 경우에도 씀. 【가능동사】 おも·える【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宇宙
우주; 우중. 빗속; 『문어』 (화살·총알이) 빗발침
下さる
《「与える」 「くれる」의 높임말》;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주시다. 내리시다. 〔동의어〕賜る; (윗사람 또는 상대편이) 자기에게 주시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下される」의 문어
待つ
가루. 분말. 〔동의어〕粉; 어떤 기간의 끝. 말; 『식물·식물학』 소나무; 『러시아어』 「松明」의 준말; 〈「門松」의 준말〉 또는 이것을 세워서 새해를 기뻐하는 기간; 기다리다; 〈「…に~」 「…を~」의 꼴로〉 기대하다; 〈「…を~·たない」의 꼴로〉 그럴 필요가 없다. 〔참고〕 2.3.은 「俊つ」로도 씀. 【가능동사】 ま·て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私
값. 가격. 대금. 〔동의어〕ね·値段; 가치. 값어치. 〔동의어〕値打ち; 『수학』 수치(數値). 수량. 값. 〔참고〕 3.은 「値」로 씀; 《속어》 《「あたし」의 변한말》 저. 나. 〔동의어〕わたし. 〔참고〕 흔히 여자 아이가 씀
母
엄마. ((예스러운 말)) 〔반의어〕 とと; 『문어』 가화. 이삭이 많이 달린 좋은 벼; ⇒ かかあ; 『문어』 《「~と」의 꼴로도 씀》 가가. 크게 웃는 모양
スペース
스페이스; 공간; 신문·잡지 등에서, 지면의 여백; 인쇄물의 자간·행간; 우주의 공간
マザー
머더; 『천주교』 수녀원장
ご清聴ありがとうございます
ありがとう
《「ありがたい」의 連用形 「ありがたく」의 音便》 고맙다. 고마워요. 감사해요. 〔참고〕 関西 지방에서는 「おおきに」를 씀
清聴
정조; 본래의 정상적인 상태; 『음악』 민요 등의 전통적인 바른 곡조; 생장; 성장함. 〔참고〕 현재 2.의 뜻으로는 「成長」를 많이 씀; 성장; (사람·동물이) 자라서 성숙함; 규모가 커짐. 발전. 〔동의어〕拡大; 성조. 다 자라서 생식 기능을 가진 새; 성조. 목소리의 가락; 시가(詩歌)의 가락; 성징. 자웅의 신체상의 특징; 정청. 정무를 보는 관청; 《「政務調査」의 준말》 정무 조사; 「清朝体」의 준말; 청청. 남이 자기 이야기를 들어 주는 것을 높이어 이르는 말; 정청. 조용히 들음; 정장. 장의 기능을 조정하는 일; 정조; 경조(競漕)에서, 타수(舵手)와 마주앉아서 조수(漕手) 전원의 노젓기를 조정하는 일. 또는 그 사람. 정조수; 청징. 맑고 깨끗함. {문어·ナリ 활용 }
そして皆さん TEDの主催者の皆様 ご尽力をありがとうございます
ありがとう
《「ありがたい」의 連用形 「ありがたく」의 音便》 고맙다. 고마워요. 감사해요. 〔참고〕 関西 지방에서는 「おおきに」를 씀
者
멍청이. 〔동의어〕まぬけ
そして
⇒ そうして
皆さん
《「皆様」의 다소 스스럼 없는 표현》 여러분
皆様
〈代名詞적으로도 씀〉 여러분; 상대편의 가족에 대한 높임말
主催
주재; 주제. 제사를 맡아봄. 또는 그 사람; 주최; 주요리
尽力
인력. 사람의 힘·능력. 〔동의어〕じんりき; 진력; (어떤 목적을 위해서) 힘을 다함. 노력함; 도움. 조력. 협력
国際クルーズ船の受け入れ再開へ 感染対策のガイドラインも策定(2022年11月15日)
【世界最高】日本の高齢者人口3627万人 総人口の3割近く占める(2022年9月18日)
預金“不正引き出し”で全銀協が謝罪 再発防止へ(2020年9月18日)
【速報】新型コロナ 東京の新規感染3348人 先週の日曜日から1363人減(2022年5月15日)
東京で新たに236人感染 3日ぶりに200人上回る(2020年8月26日)
ANN世論調査「ロ資源の輸入減を」6割 内閣支持率↑(2022年4月18日)
東京は記録的日照不足 史上初19日連続で3時間未満
台風19号被災小学校 元の校舎で授業を再開 郡山市(19/12/23)
偵察飛行で情報共有も “ロボット消防隊”配備へ(19/03/23)
日差しと冷風で旨味凝縮 大根の天日干し最盛期(2020年11月21日)
You need to upgrade to a premium account to using this feature
Are you sure you want to test again?
Please upgrade your account to read unlimited newspap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