さて、気になる台風19号に関する情報からお伝えておきます。
さて、気になる台風19号に関する情報からお伝えておきます。
この週末、交通機関などに大きな影響がありそうです。
こちらは台風の進路図です
大型で非常に強い台風19号は勢力を保ったまま北上を続け、
あすの夕方から夜遅くにかけて東海から関東にかなり接近し、上陸する見込みです。
東日本を中心とした広い範囲で暴風や警報級の大雨となる恐れがあるため、厳重な警戒が必要です。
また、関東を中心に各地で停電のリスクが高くなりそうです。
停電の対策として、まずモバイルバッテリーや乾電池の準備など電源の確保に努めて下さい。
そして懐中電灯やお水、
寒さに備えるための毛布や長袖の上着などを準備すると安心です。
また、停電が発生した場合、冷蔵庫は数時間ほど
冷気を保つことができますが、ドアを10秒開けると中の気温が
1度上がるといわれていますのでお気を付け下さい。
さて、気になる台風19号に関する情報からお伝えておきます。
気
귀; 신분·집안·가치 등이 높은; 경의(敬意)의 표시; 기; 기초. 근본; 『화학』 원자단(原子團). 〔동의어〕根; (설치해 놓은) 묘석(墓石)·장명등(長明燈)·기계 등을 세는 단위; 인간답지 않은 무서운 사람; 기; 기. 말 탄 사람의 수효; 『식물·식물학』 나무. 수목; 재목. 목재; 딱따기; 잡것이 섞이지 않음. 자연 그대로임. 순수함; ‘순수함’ ‘인공을 가하지 않음’ ‘오직 그대로임’의 뜻을 나타냄; 황. 노랑. 황색. 〔동의어〕きいろ; ‘황색’의 뜻을 나타냄; 기. 십간(十干)의 여섯째. 〔동의어〕つちのと; 기운. 정기. 생기. 분위기; (특유한) 맛. 향기; 숨. 호흡; 정신. 의식. 얼; 성미. 기질. 마음씨; 기. 기력; 생각. 의지; 마음. 기분; 흥미. 관심; 「希臘」의 준말; 『화학』 희. 묽은. 〔반의어〕 濃; 드묾. 〔참고〕 「希」는 「稀」의 대용자; 상을 입고 집에 들어박혀 행동을 삼가는 일. 또는 그 기간. ((보통 49일간)) 상(喪); 기. 기일(忌日). 회기(回忌); 『문어』 이상함. 야릇함. 진기함. {문어·ナリ 활용 }; 기수. 홀수. 〔반의어〕 偶; 계절. 〔동의어〕シーズン; 連歌·俳句에서 구(句)에 삽입하는 계절의 경물(景物). 〔동의어〕季題·季語; 계. 천간(天干)의 열째. 〔동의어〕みずのと; 기. 기전체(紀傳體) 역사에서 제왕의 사적(事績)을 적은 글. 〔동의어〕本紀; 『문학』 〈「日本書紀」의 준말〉 일본서기; 기. 지질 시대 구분의 단위; 궤; 수레의 양 바퀴의 간격; 수레바퀴가 지나간 자국; 규칙; 기. 기록(문); 『문학』 「古事記」의 준말; 기; 기. 기구(起句); 『문어』 기; 시기. 기간. 기한; 좋은 기회. 시기; 기; 기간. 시기; [age]『지리·지학·지명』 지질 시대의 한 구분. 「世」의 아래; 계략. 모사(謀事). 방법; 《고어》 파. 〔동의어〕ねぎ; 『문어』 그릇. 〔동의어〕うつわ; 물건을 담는 용기; 기. 기량. 인물. 재능; 기; 기관(器官); 기구. 도구; 계기; 시기. 기회; 〈「飛行機」의 준말〉 비행기; (불교에서) 기. 기근(機根). 〔동의어〕気根; 기계; 비행기; 비행기를 세는 말. 대; 『문어』 《用言·助動詞의 連用形에 붙음》; 과거에 직접 체험한 일을 회상하는 말. …었다. …였다. …고 있었다; (경험과 관계없이 널리) 과거의 사실을 나타냄. …었다. …였다; 현재 또는 완료의 뜻을 나타냄. …하고 있다. 〔참고〕 終止形 「き」는 カ変動詞에 붙지 않음. カ変을 받는 경우는 「きし」 「きしか」와 「こし」 「こしか」의 두 꼴이 있음. 고대에는 未然形 「せ」가 있었다고 생각되는데, 助詞 「ば」가 붙어 가정의 뜻을 나타냄
台風
⇒ おおかぜ; 『기상』 태풍. 〔동의어〕タイフーン. 〔참고〕 「台風」는 대용자; 내풍. 강풍이 불어도 견디는 성질
伝える
전하다; (소식을) 알리다. 전언하다. 전달하다. 〔동의어〕伝達する; 물려주다. 뒤에 남기다; 전파하다. 전해주다; 전수(傳授)하다; 전도(傳導)하다. 옮겨 보내다. (작용을) 미치다. 【문어형】 つた·ふ {하2단 활용}
情報
상방. 위쪽. 상부(上部). 〔참고〕 「上方」는 딴말임; 정법; 정해진 법칙; 정해진 방식. 늘 하는 방식; 『수학』 승법. 곱셈법. 〔반의어〕 除法; 통상의 방법; 정보; 사물의 내용이나 형편에 관한 소식; 판단이나 의지를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되는 지식·자료; 상황에 관한 지식에 변화를 초래하는 것
号
『문어』; 「豪州」의 준말; 호. 참호. 〔참고〕 물이 괴어 있는 것은 「濠(해자)」; 호. 아호. 〔동의어〕雅号·ペンネーム; (신문·잡지 등의) 호수(號數); 탈것·동물 등의 이름에 붙이는 말. 호; 숫자에 붙여 차례·크기 등을 나타내는 말. 호; 『철학』 (변증법에서) 합. 종합(綜合). 〔동의어〕ジンテーゼ; (척관법에서) 면적의 단위. 평(坪)의 10분의 1. 홉; (척관법에서) 용량의 단위. 되의 10분의 1. 홉; 〈「…合目」의 꼴로〉 등산로의 대강의 거리를 나타내는 단위. 정상까지를 10合으로 나눔; 뚜껑이 있는 그릇을 세는 말. 개; 경기·싸움 등의 횟수. 또는 칼싸움에서 칼을 맞부딪는 횟수를 세는 말. 회. 번; 힘이 셈. 굳건함. 〔반의어〕 柔; 『문어』 호. 가늘고 긴 털. 붓. 붓의 털끝; (변하여) 아주 조금임; 『문어』 향. 시골. 촌; 옛날의 행정 구역의 하나. ((「村」를 몇 개 합친 단위)); 『불교』 업. 선악의 행위; 『불교』 업보; 이성(理性)으로는 다스릴 수 없는 마음의 작용; ⇒ こう1.
この週末、交通機関などに大きな影響がありそうです。
モバイル
모바일. 휴대 전화. 휴대용 컴퓨터를 이용한 이동 통신.
安心
안심. {문어·ナリ 활용 }
交通
교통; (사람·국가간의) 내왕. 교제
台風
⇒ おおかぜ; 『기상』 태풍. 〔동의어〕タイフーン. 〔참고〕 「台風」는 대용자; 내풍. 강풍이 불어도 견디는 성질
続ける
계속하다. 잇다. 연결하다. 【문어형】 つづ·く {하2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계속해서 …하다. 【문어형】 つづ·く {하2단 활용}
電灯
『불교』 전등. (스승이 제자에게) 부처의 가르침을 전수함. 〔동의어〕伝法. 〔참고〕 불법이 중생의 마음을 밝히는 등불이라는 데서; 전통; 전등. 전등불
場合
때. 경우. 〔동의어〕おり; 사정. 상태. 형편
日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必要
『문어』 필용. 꼭 써야 함. 〔동의어〕必要; 필요. 〔동의어〕必用. 〔반의어〕 不要. {문어·ナリ 활용 }
範囲
『법률』 범의; 『문어』 반의. 반역하려는 생각. 〔동의어〕叛心; 범위
非常
비상; 비상. 예사가 아님. 대단함. 심함. {문어·ナリ 활용 }; 『불교』 산천(山川)·목석(木石) 등 감정을 가지지 않은 존재. 〔반의어〕 有情
秒
병; 초; 각도·경도·위도의 단위; 묘; 사당. 영묘. 〔동의어〕おたまや; 조정. 묘당(廟堂); 압정(押釘). 대갈못. 〔동의어〕押しピン; 리벳. 〔동의어〕リベット; 극히 작음. 사소함. 하찮음. {문어·タリ 활용}; (수면·평원 등이) 끝없이 넓고 아득함. 멀리 퍼진 모양. {문어·タリ 활용}
毛布
모포. 담요. 〔동의어〕ケット·ブランケット
夜
《인명이나 사람을 나타내는 말에 붙어》 친밀감을 나타내는 말; 《흔히, 体言에 붙어》; 그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집]임을 나타냄; 그 일을 전문으로 하는 사람임을 나타냄. ((경멸이나 자조(自嘲)의 뜻이 담기기도 함)) …쟁이. …꾼; 그런 버릇·성질을 가진 사람임을 나타냄. …사람. …꾼. …쟁이; 옥호(屋號)·아호(雅號)에 붙이는 말. 〔참고〕 4.는 「舎」로도 씀; 『문어』; 《고어》 지붕; 팔. 여덟. 〔동의어〕やつ·やっつ·はち; 수효가 많음을 나타냄; 화살; 어떤 일이 빈번하게 행해지거나, 세월의 빠름을 비유하기도 함; 재목이나 돌을 쪼개는 데 쓰는 철제나 목재의 쐐기; (수레의) 바퀴살; 들. 들판. 〔동의어〕野·野原; 야. 민간. 〔반의어〕 朝; 천함. 거침. 세련되지 않음. {문어·ナリ 활용 }; 남을 부를 때 내는 소리. 어이. 야. 이봐요; 정신이나 기력을 집중시키기 위하여 내는 소리. 얏; 스스럼없는 口語적 대화에서 係助詞 「は」가 「イ」列音·「エ」列音 뒤에 왔기 때문에 변한말; 《体言 또는 副詞에 붙음》; 부르는 말임을 나타냄; 강조하는 뜻을 나타냄. …이야말로; (俳句 등에서) 体言을 받아 장면을 제시하거나 영탄을 나타냄. …(이)여; 『문어』 〈体言 또는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어〉 감동·영탄을 나타냄. …이여. …로구나; 〈活用語의 命令形에 붙음. 口語에서는 권유를 나타내는 助動詞 「う」의 終止形에도 붙음〉 동료 또는 아랫사람에 대하여 가볍게 재촉하는 뜻을 나타냄. 하세. 하게; 가벼운 영탄을 나타냄. …말야; 『문어』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어〉 의문·반문·반어의 뜻을 나타냄. …인가. …까보냐; 『문어』 《名詞, 活用語의 連用形·連体形·副詞 등에 붙음》 의문·반문·반어를 나타냄. …이라도; 《体言 또는 準体助詞 「の」에 붙어》 사물을 열거하는 뜻을 나타냄. …이나. …이랑. …며; 《動詞·動詞형 활용어의 終止形에 붙어》; 어떤 동작·작용의 발생과 동시에, 다른 동작·작용이 일어나는 뜻을 나타냄. …하자. …자마자; 〈흔히, 「~否~」의 꼴로〉 …하자 곧. …하자마자
影響
『문어』 영경. 영국의 수도; 영향
数
수; 수가 많음. 여러 가지; 손꼽을 만한 가치가 있는 것; 아래 그림. 〔반의어〕 上図
かなり
꽤. 제법. 상당히. 어지간히. {문어·ナリ 활용 }; 가(可)하다. …해도 좋다
気温
『기상』 기온; 기음; 『음악』 음계의 첫째 음. 주음(主音)
機関
계간. 〔동의어〕クォータリー; 궤간. 철도 선로의 두 레일의 간격. 〔동의어〕ゲージ; 귀환; 귀관. 저택 또는 숙소로 돌아옴[돌아감]; 귀함; 기간. 〔반의어〕 未刊; 『문어』 기한. 굶주림과 추위; 기간; 『문어』 귀감. 본보기; 기간; 『문어』 귀간. 귀한. 상대를 높여 그의 편지를 이르는 말. 귀함(貴函). 귀찰(貴札). 〔동의어〕尊簡; 기함. 사령관이 타고 함대를 지휘하는 군함; 『생리학』 기관; 기관; 엔진; 조직. 조직체; 기관; 『문어』 기관. 보일러. 증기관(蒸氣罐); 기관; 기이한 광경[구경 거리]; 훌륭한 경치; 『문어』 귀관
級
일급·월급 등의 ‘급료(給料)’의 뜻을 나타냄; 9. 아홉. 〔동의어〕ここのつ·く; 구; 옛 것. 옛날부터 있어 온 것; 원래의 상태; 〈「旧暦」의 준말〉 음력; 구. 묵은. 옛 것의. 음력; 『의학』 뜸. 뜸질; 서두름. 서둘러야 함; 위급한 상태. 갑작스러운 변고; 雅楽·能楽에서, 序破急의 마지막 부분. ((급템포로 연주함)); 빠름. 급함. 바쁨; 갑작스러움. 돌연함. 느닷없음; 경사가 급함. 가파름. {문어·ナリ 활용 }; 『음악』 궁. 오음(五音)의 하나. 오음 음계의 주음(主音). ((서양 음악의 g음에 해당)); 「宮刑」의 준말; 궁전; 천구(天球)의 한 구분; 『문어』 관. 널. 〔동의어〕ひつぎ; 『문어』 (옛날에 책 등을 넣어서 등에 지던) 상자. 〔동의어〕笈; 급; 등급. 계급; 학년; (같은 학년에서 나눈) 반. 〔동의어〕組; 〈接尾語적으로〉 그 정도임을 나타냄; 구; 공. 〔동의어〕たま; 『수학』 구체(球體); 『문어』 궁. 막힘. 궁함; 《흔히 「~と」의 꼴로 씀》; 세게 문지르거나 비틀거나 할 때 나는 소리; 세게 밀어붙이거나 죄거나 하는 모양. 또는 그런 느낌이 되는 모양; 찬 술 등을 단숨에 마시는 모양. 쭉
下さる
《「与える」 「くれる」의 높임말》;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주시다. 내리시다. 〔동의어〕賜る; (윗사람 또는 상대편이) 자기에게 주시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下される」의 문어
準備
『문어』 순미. 티없이 아름다움. 순수한 미. {문어·ナリ 활용 }; 준비
情報
상방. 위쪽. 상부(上部). 〔참고〕 「上方」는 딴말임; 정법; 정해진 법칙; 정해진 방식. 늘 하는 방식; 『수학』 승법. 곱셈법. 〔반의어〕 除法; 통상의 방법; 정보; 사물의 내용이나 형편에 관한 소식; 판단이나 의지를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되는 지식·자료; 상황에 관한 지식에 변화를 초래하는 것
図
정도가 보통이 아님을 나타냄; 그림. 회화; 『수학』 도면. 도형; 꼴. 모양. 상태; 기도(企圖). 계책. 생각했던 바. 안성맞춤의 상황; 머리. ((예스러운 말)) 〔동의어〕あたま; 『문어』 《用言 및 助動詞의 未然形에 붙음》 …지 않다; 《否定의 助動詞 「ぬ」의 連用形》; 〈否定의 뜻을 나타내며, 문장을 중지함〉 …지 않고; 〈否定의 뜻을 나타내며, 다음에 오는 動詞를 수식함〉 …지 않고
そして
⇒ そうして
備える
신불에게 올리다. 【문어형】 そな·ふ {하2단 활용}; 갖추다. 구비하다. 비치하다; 대비하다; (덕·재능 등을) 지니다. 갖추다. 【문어형】 そな·ふ {하2단 활용}
度
일본식 버선; 어떤 일이 있는, 또는 있었던 그때. 적. 때. 〔동의어〕折·時; 〈「に」가 붙어, 「…をする~に」 「…の~に」의 꼴로〉 …할 때마다. …할 적마다. 〔참고〕 흔히, 동사의 連体形에 붙어서 쓰임; 횟수; 《수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서 횟수를 나타냄》 …번; 여행. 〔동의어〕旅行. 〔참고〕 긴 인생에 비유해서도 씀
中
‘그 동안 줄곧’이란 뜻을 나타냄. 내내; 그 범위 전체에 걸친다는 뜻을 나타냄; 십; 열. 〔동의어〕とお; 전부. 전체; 거주함; 거처. 처소; 『문어』 부드러움. 부드러운 것. 얌전함. 〔반의어〕 剛; 『문어』 중요한 것; 〈「お~」의 꼴로〉 찬합. 〔동의어〕重箱; 중; 무거움. 혹심함. 〔반의어〕 軽; 『화학』 산성염(酸性塩)임; 겹친 것을 세는 말. 중. 층; 종. 종자. 하인. 〔동의어〕とも·けらい. 〔반의어〕 主; ⇒ じゅ; 총; 짐승. 〔동의어〕けもの; 수. 짐승
中心
중심; 중앙. 한가운데. 〔동의어〕真ん中; (사물의) 가장 중요한 부분·요소·장소·위치; 심중(心中). 흉중(胸中). 〔동의어〕心中; 『수학』 점대칭 도형(點對稱圖形)의 중심점; 『물리』 무게 중심; 『지리·지학·지명』 중진. 집이 심하게 흔들리고 불안정하게 놓인 물체가 넘어질 정도의 지진. 진도 4; 『문어』 충심. 충성심; 『문어』 충신. 〔반의어〕 逆臣; 『문어』 충신. 충성과 신의; (사건이 일어났을 때) 급히 보고함. 급보. 〔참고〕 본디, 사건 내용을 적어 상신함을 뜻했음; 『문어』 《副詞적으로도 씀》 충심. 진심. 〔동의어〕本心; 『문어』 중진. (경제·문화 등의) 진보 정도가 중간
付ける
붙이다; 접촉시키다. 접합시키다. 대다. 〔동의어〕くっつける; 부착시키다. 달다; 바르다. 묻히다. 칠하다; 표를 하다. 자국을 남기다[내다]; (색이나 향기 등을) 첨가하다. 내다; 기입하다. 쓰다; 착용하다. 입다. 신다. 〔참고〕 의복·장신구 등의 경우에는 「着ける」로 씀; (連歌·俳諧에서) 앞의 구에 연결되는 구를 짓다; 딸리다; 곁들이다. 덧붙이다; 뒤쫓다. 미행하다; 주목하다. 조심하다; 한패로 만들다; 북돋우다. 첨가시키다; (불을) 붙이다. 켜다. 점화하다. 〔참고〕 「点ける」로도 씀; 명명(命名)하다; 취하다; 매기다; 어떤 조건을 달다; 마무르다. 결말짓다; 술을 알맞게 데우다; 그릇 등에 담다; 설치하다. 마련하다. 내다; 익히다. 어떤 성질이나 능력이 갖추어지도록 하다; (편지를) 보내다; 싣다; 할당하다. 배역하다; (가까이) 대다; 〈「…に~·け(て)」의 꼴로〉 …에 관련하여[관련시켜]; 판단하다. 짐작하다; 구분[구별]을 짓다. 차이를 내다; 버릇을 들이다. 【문어형】 つ·く {하2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늘 …하다. …해 버릇하다; 동작이 격렬함을 나타냄. 【문어형】 つ·く {하2단 활용}; 담그다; 잠그다. 적시다. 〔동의어〕浸す; (채소 등으로) 절임을 만들다. 〔참고〕 「漬ける」로 씀. 【문어형】 つ·く {하2단 활용}; (자리·지위 등에) 앉히다. 〔참고〕 즉위(卽位)의 경우는 「即ける」로 씀; 종사시키다; 지도를 받게 하다. 【문어형】 つ·く {하2단 활용}
できる
전부 나가다[나오다]. 다 나가[나와] 남은 것이 없다. 〔동의어〕出つくす. 【문어 4단 활용 동사】; 《カ変動詞 「でくる」의 변한 꼴》; (새로) 생기다. 나다; 생성(生成)되다; 성립되다; 일어나다. 발생하다; 수중에 들어오다. 얻다; 생산되다. 산출되다; 만들어지다; 완성되다. 다 되다; (소질·경향을) 타고나다. 생겨 먹다; 능력·가능성이 있다. 할 수 있다. 가능하다; 〈サ変動詞의 語幹에 붙어 接尾語적으로〉 …할 수 있다. …하는 것이 가능하다; 잘하다. 할 줄 알다; (능력·인품이) 뛰어나다. 출중하다. 되어 있다; 《속어》 (남녀가) 깊은 관계에 있다. 눈이[배가] 맞다; 『경제』 (증권 거래소에서) 매매가 성립되다
各地
『문어』 객지. 〔동의어〕客土; 『문어』 각지. (사물의 도리를) 깨달아서 앎; 격지. 벽지(僻地); 각지
乾電池
『물리』 건전지. 〔반의어〕 湿電池
関東
『문어』 간도. 간악한 도둑. 〔동의어〕奸賊; 완등. (산꼭대기까지) 완전히 오름; (야구에서) 완투; 관등. 관리의 신분 등급; 그 시가집(詩歌集)에서 가장 뛰어난 작품; 가로등. 〔동의어〕街灯; 『문어』 간두. 장대 끝; 감투; 『지리·지학·지명』 「関東地方」의 준말. ((일본 중앙부인 東京·茨城·栃木·群馬·埼玉·千葉·神奈川의 1도(都) 6현으로 이루어짐)); 옛날에 鈴鹿·不破·愛発의 3관문 이동(以東)의 여러 지방; 箱根 관문 이동의 여러 지방. 〔동의어〕関東八州. 1.~3. 〔반의어〕 関西; 『역사』 「鎌倉幕府」의 딴이름; 『역사』 江戸幕府. 또는 그 将軍; 『문어』 관두. (중요한 사항의) 갈림길. 기로. 〔동의어〕別れめ·瀬戸際
厳重
현주. 현재 그 곳에 머물러 삶; 『불교』 현재의 주지(住持); 엄중
接近
접근
対策
대작; 걸작; 대규모의 작품. 〔반의어〕 小品; 대책
努める
노력하다. 힘쓰다. 【문어형】 つと·む {하2단 활용}; 소임을 맡다. 역할을 하다. 〔참고〕 「勤める」라고도 씀; 배역을 맡아하다. 【문어형】 つと·む {하2단 활용}; 근무하다. 종사하다; 『불교』 불도를 닦다. 근행(勤行)하다. 【문어형】 つと·む {하2단 활용}
停電
『문어』 체전; 역참(驛站) 편에 보냄. 또는 그 역참의 인부·거마; 정전
電源
전원
保つ
유지되다. 견디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유지하다; 가지다. 지키다. 보전하다. 【가능동사】 たも·て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勢力
청록; 세력; 정력
上陸
상륙; (배에서 내려) 육지로 올라옴; (비유적으로) 바다로부터 태풍이 닥쳐옴
進路
침로. 항로. 방향. 〔참고〕 (비유적으로) 행동 방향의 뜻으로도 씀; 진로. 앞으로 나아갈 길. 〔반의어〕 退路
上がる
(위로) 오르다. 올라가다. 올라오다. 〔반의어〕 おりる; (욕탕에서) 나오다. 〔반의어〕 入る; (방에) 들어가다. 들어오다; (지위·정도 등이) 오르다; (어떤 상태가) 좋아지다. 〔반의어〕 下がる; 입학하다. 진학[진급]하다; (신불에게) 바쳐지다; (수입·이익·효과 등이) 거두어지다; 흥분하다. 상기하다; 「行く」 「訪ねる」의 겸사말; (가격 등이) 오르다. 비싸지다. 〔반의어〕 下がる; (겉보기가) 좋아지다; 끝나다. 마치다; (돈이) 들다. 먹히다; (물고기·초목이) 죽다. 말라 죽다; (쌍륙 등에서) 말이 날밭에 들어서다; 몰수당하다; (京都 시내에서) 북쪽으로 가다. ((황궁(皇宮)이 시내 북쪽에 있었기 때문임)) 〔반의어〕 下がる; (몸의 일부가) 위로 올라가다. 〔참고〕 「挙がる」로도 씀; 높이 솟아오르다. 〔참고〕 「揚がる」로도 씀; 일다. 왕성해지다; (배에서 뭍으로) 오르다. 상륙(上陸)하다. 〔참고〕 「揚がる」로도 씀. 【가능동사】 あが·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동작이 끝남을 나타냄. 다 …하다. 끝나다; 동작·상태가 극도에 달함을 나타냄. 아주 …하다. 완전히 …하다. 【가능동사】 あが·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食べる」 「飲む」 「吸う」의 높임말》 드시다. 잡수시다. 〔동의어〕召しあがる. 【가능동사】 あが·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범인이) 잡히다. 검거되다; (증거가) 드러나다. 【가능동사】 あが·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튀겨지다. 【가능동사】 あが·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恐れ
외경. 경외. 〔동의어〕畏敬; 두려움. 무서움. 공포(심); 《흔히, 「…の~」의 꼴로》 (무엇인가 일어날 것 같은) 염려. 우려
確保
확보
警戒
『문어』; 수면(水面)·수중의 장애물을 치우고 뱃길을 틈; 경쾌함. {문어·ナリ 활용 }; 『문어』 병의 증세가 가벼워짐; 『문어』 경계. 〔동의어〕きょうかい; 경계
号
『문어』; 「豪州」의 준말; 호. 참호. 〔참고〕 물이 괴어 있는 것은 「濠(해자)」; 호. 아호. 〔동의어〕雅号·ペンネーム; (신문·잡지 등의) 호수(號數); 탈것·동물 등의 이름에 붙이는 말. 호; 숫자에 붙여 차례·크기 등을 나타내는 말. 호; 『철학』 (변증법에서) 합. 종합(綜合). 〔동의어〕ジンテーゼ; (척관법에서) 면적의 단위. 평(坪)의 10분의 1. 홉; (척관법에서) 용량의 단위. 되의 10분의 1. 홉; 〈「…合目」의 꼴로〉 등산로의 대강의 거리를 나타내는 단위. 정상까지를 10合으로 나눔; 뚜껑이 있는 그릇을 세는 말. 개; 경기·싸움 등의 횟수. 또는 칼싸움에서 칼을 맞부딪는 횟수를 세는 말. 회. 번; 힘이 셈. 굳건함. 〔반의어〕 柔; 『문어』 호. 가늘고 긴 털. 붓. 붓의 털끝; (변하여) 아주 조금임; 『문어』 향. 시골. 촌; 옛날의 행정 구역의 하나. ((「村」를 몇 개 합친 단위)); 『불교』 업. 선악의 행위; 『불교』 업보; 이성(理性)으로는 다스릴 수 없는 마음의 작용; ⇒ こう1.
開ける
(날이) 밝다. (날이) 새다. 〔반의어〕 暮れる; 새해가 되다; (어느 기간이) 끝나다. 【문어형】 あ·く {하2단 활용}; (문·막·뚜껑·책 등 닫힌 것을) 열다. 펴다. 〔반의어〕 閉める·閉じる; (눈을) 뜨다. 〔반의어〕 つぶる; 뚫다. 〔반의어〕 ふさぐ; (공간·여백·틈새기 등을) 만들다. 내다. 〔반의어〕 ふさぐ; 트다. 〔반의어〕 ふさぐ; 비우다; (집을) 비우다; 시간을 비워 두다; 떼어 놓다. 간격을 두다; (다른 것에) 옮기다. 버리다. 〔참고〕 1.2.는 「開ける」, 3.~9.는 「明ける」 「空ける」로 씀. 【문어형】 あ·く {하2단 활용}
上着
내복 위에 입는 옷. 겉옷. 〔반의어〕 下着; 상의(上衣). 윗도리. 저고리
大きな
《文語의 形容動詞 「おおきなり」의 連体形 「おおきなる」의 변한말》 큰. 커다란. 〔반의어〕 小さな
遅い
(동작이) 느리다. 더디다. 〔반의어〕 速い; 때를 놓치어 이미 늦다; 철이 늦다; 밤이 늦다; (시기·시간이) 늦어지다. 늦다. 2.~5. 〔반의어〕 早い. 〔참고〕 3.4.는 「晩い」로도 씀. 【문어형】 おそ·し {ク 활용}
寒い
춥다. 〔반의어〕 暑い; (무서움 등으로) 오싹하다. 써늘하다; 가난하다. 부족하다. 〔반의어〕 あたたかい; 한심하다. 빈약하다. さむ·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さむ·げ 【형용동사】 さむ·さ 【명사】 【문어형】 さむ·し {ク 활용}
時間
자간; 차관; 시간; 『문어』 시간. 그때의 어려움. 그 시대의 당면 난제(難題)
高い
『문어』 타계; 『불교』 인간계 이외의 세계; 다른 세계; 죽음; 높다; (위치가) 위쪽이다; (키가) 크다; (신분·지위가) 상위이다; (능력이) 뛰어나다; (품위·품격이) 훌륭하다; (일정한 수준보다) 위이다. 우월하다; (정도가) 심하다. 수치(數値)가 크다; (목소리·소리가) 크다; 유명하다; (값이) 비싸다. 〔반의어〕 安い; 〈「お~」의 꼴로〉 잘난 체하다. 거드름 피우다; 〈「腰が~」의 꼴로〉 거만하다; 〈「頭が~」꼴로〉 머리를 숙일 줄 모르다. 무례하다. 오만하다; 〈「鼻が~」의 꼴로〉 우쭐하다. 자랑스럽다. 1.~8. 〔반의어〕 低い. たか·さ 【명사】 たか·み 【명사】 【문어형】 たか·し {ク 활용}
強い
무섭다. 겁나다. 두렵다. 〔동의어〕恐ろしい. こわ·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こわ·げ 【형용동사】 こわ·さ 【명사】 【문어형】 こは·し {ク 활용}; 강하다. 억세다. 세다; (음식물이) 질기다. 되다; 완고하다. 완강하다; 힘들다. 피곤하다. こわ·げ 【형용동사】 【문어형】 こは·し {ク 활용}
広い
줍기. 주움; 『인쇄』 문선(文選). 채자(採字); 귀인이 도보로 감. 〔동의어〕おひろい; 넓다. 〔반의어〕 せまい; 너르다. 면적·폭이 크다; 널리 트여 있다; 미치는 범위가 크다; 너그럽다. 너글너글하다. ひろ·さ 【명사】 【문어형】 ひろ·し {ク 활용}
水
수. 오행(五行)의 다섯째. ((계절은 겨울, 방위로는 북, 색은 검정임)); 「水曜日」의 준말; 《속어》 당밀즙(糖蜜汁)만을 탄 얼음물; 물. 액체; 순수함. 또는 그런 것; 뛰어난 것. 정수(精粹); 세상 물정에 밝아 인정의 기미(機微)를 잘 앎. 특히, 남녀간의 애정에 이해가 많음. {문어·ナリ 활용 }; 화류계·예능계의 사정에 밝음. 멋을[풍류를] 앎. (언동이) 세련되어 있음. {문어·ナリ 활용 }; 추; 저울추. 분동; 방추(紡錘)를 세는 말; 시다. 신맛이 있다. 〔동의어〕すっぱい. 【문어형】 す·し {ク 활용}
夕方
해질녘. 저녁때. 〔동의어〕夕暮れ. 〔반의어〕 朝方
冷蔵庫
냉장고
リスク
리스크. (손해를 볼) 위험
発生
발생; 발성; 소리를 냄; 궁중의 歌会에서, 담당자가 和歌를 한번 읽은 다음, 그 초구(初句)를 가락을 붙여 읊는 일. 또는 그 담당자
長袖
『문어』; 소매가 긴 옷을 입은 사람. ((특히, 公卿와 승려를 가리킴)); 징수. 〔반의어〕 納入; 징집; 청중; 『지리·지학·지명』 「長門の国(지금의 山口현 서부)」의 딴이름
週末
종말. 끝. 〔동의어〕終尾; 주말. 〔반의어〕 週初
として
〈상태를 나타내는 한자어에 붙어 副詞句를 만듦〉 동작·작용이 일어날 때의 양태(樣態)를 나타냄. …하게. …해져서; 〈動詞의 未然形+「う」 「よう」에 붙어〉 …려고; 〈「それはそれ~」 「それはそう~」의 꼴로 接続詞적으로 씀〉 그것은 그렇다 치고; 《体言에 붙어》 자격이나 입장을 나타냄. …로서; 《「一人」 「一本」 「一時」 등의 말에 붙고, 뒤에 否定의 「ない」가 따름》 전면적인 부정을 나타냄. …도 …않다[없다]
警報
『법률』 형법; 경보
大雨
큰비. 호우. 폭우.〔반의어〕小雨
バッテリー
배터리; 축전지(蓄電池); (야구에서) 한 팀의 투수와 포수
大型
(규모·무늬 등이) 대형. 〔반의어〕 小形; 대형. 〔반의어〕 小型; 큰 형(型); 비슷한 것 중에서 큰 것
冷気
『문어』 냉기; 『물리』 여기; 예규; 영기. 영묘한 느낌; 『문어』 영귀. 신령스런 거북
東日本
동일본. 일본의 중부 지방 동쪽의 関東·東北·北海道의 각 지방을 가리킴. 〔반의어〕 西日本
見込み
전망. 예정. 예상. 〔동의어〕予想; 장래성. 가망. 희망. 〔동의어〕将来性·可能性; 찻종이나 주발의 안쪽
懐中
『동물·동물학』 회충. 거위. 〔동의어〕はらのむし; 개주. 고쳐 주조함. 〔동의어〕いなおし; 해중. 바다 속; 회중. 주머니 속. 낭중
北上
북상. 〔반의어〕 南下
東海
「東海地方」의 준말; 도괴; 『문어』 도회; 자기의 본마음이나 재능·지위·신분 등을 숨김; 행방을 감춤
暴風
방풍; 바람을 막음; 「浜防風」의 준말; 폭풍
こちらは台風の進路図です
台風
⇒ おおかぜ; 『기상』 태풍. 〔동의어〕タイフーン. 〔참고〕 「台風」는 대용자; 내풍. 강풍이 불어도 견디는 성질
図
정도가 보통이 아님을 나타냄; 그림. 회화; 『수학』 도면. 도형; 꼴. 모양. 상태; 기도(企圖). 계책. 생각했던 바. 안성맞춤의 상황; 머리. ((예스러운 말)) 〔동의어〕あたま; 『문어』 《用言 및 助動詞의 未然形에 붙음》 …지 않다; 《否定의 助動詞 「ぬ」의 連用形》; 〈否定의 뜻을 나타내며, 문장을 중지함〉 …지 않고; 〈否定의 뜻을 나타내며, 다음에 오는 動詞를 수식함〉 …지 않고
進路
침로. 항로. 방향. 〔참고〕 (비유적으로) 행동 방향의 뜻으로도 씀; 진로. 앞으로 나아갈 길. 〔반의어〕 退路
こちら
〈「こっち」보다 공손한 표현〉 이쪽; 〈「ここ」보다 공손한 표현〉 이곳. 여기; 나. 우리. 우리들; 〈「こちらさん」의 꼴로〉 나에게 가까운 사람을 가리킴. 이분
大型で非常に強い台風19号は勢力を保ったまま北上を続け、
台風
⇒ おおかぜ; 『기상』 태풍. 〔동의어〕タイフーン. 〔참고〕 「台風」는 대용자; 내풍. 강풍이 불어도 견디는 성질
続ける
계속하다. 잇다. 연결하다. 【문어형】 つづ·く {하2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계속해서 …하다. 【문어형】 つづ·く {하2단 활용}
非常
비상; 비상. 예사가 아님. 대단함. 심함. {문어·ナリ 활용 }; 『불교』 산천(山川)·목석(木石) 등 감정을 가지지 않은 존재. 〔반의어〕 有情
保つ
유지되다. 견디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유지하다; 가지다. 지키다. 보전하다. 【가능동사】 たも·て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勢力
청록; 세력; 정력
号
『문어』; 「豪州」의 준말; 호. 참호. 〔참고〕 물이 괴어 있는 것은 「濠(해자)」; 호. 아호. 〔동의어〕雅号·ペンネーム; (신문·잡지 등의) 호수(號數); 탈것·동물 등의 이름에 붙이는 말. 호; 숫자에 붙여 차례·크기 등을 나타내는 말. 호; 『철학』 (변증법에서) 합. 종합(綜合). 〔동의어〕ジンテーゼ; (척관법에서) 면적의 단위. 평(坪)의 10분의 1. 홉; (척관법에서) 용량의 단위. 되의 10분의 1. 홉; 〈「…合目」의 꼴로〉 등산로의 대강의 거리를 나타내는 단위. 정상까지를 10合으로 나눔; 뚜껑이 있는 그릇을 세는 말. 개; 경기·싸움 등의 횟수. 또는 칼싸움에서 칼을 맞부딪는 횟수를 세는 말. 회. 번; 힘이 셈. 굳건함. 〔반의어〕 柔; 『문어』 호. 가늘고 긴 털. 붓. 붓의 털끝; (변하여) 아주 조금임; 『문어』 향. 시골. 촌; 옛날의 행정 구역의 하나. ((「村」를 몇 개 합친 단위)); 『불교』 업. 선악의 행위; 『불교』 업보; 이성(理性)으로는 다스릴 수 없는 마음의 작용; ⇒ こう1.
強い
무섭다. 겁나다. 두렵다. 〔동의어〕恐ろしい. こわ·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こわ·げ 【형용동사】 こわ·さ 【명사】 【문어형】 こは·し {ク 활용}; 강하다. 억세다. 세다; (음식물이) 질기다. 되다; 완고하다. 완강하다; 힘들다. 피곤하다. こわ·げ 【형용동사】 【문어형】 こは·し {ク 활용}
大型
(규모·무늬 등이) 대형. 〔반의어〕 小形; 대형. 〔반의어〕 小型; 큰 형(型); 비슷한 것 중에서 큰 것
北上
북상. 〔반의어〕 南下
あすの夕方から夜遅くにかけて東海から関東にかなり接近し、上陸する見込みです。
夜
《인명이나 사람을 나타내는 말에 붙어》 친밀감을 나타내는 말; 《흔히, 体言에 붙어》; 그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집]임을 나타냄; 그 일을 전문으로 하는 사람임을 나타냄. ((경멸이나 자조(自嘲)의 뜻이 담기기도 함)) …쟁이. …꾼; 그런 버릇·성질을 가진 사람임을 나타냄. …사람. …꾼. …쟁이; 옥호(屋號)·아호(雅號)에 붙이는 말. 〔참고〕 4.는 「舎」로도 씀; 『문어』; 《고어》 지붕; 팔. 여덟. 〔동의어〕やつ·やっつ·はち; 수효가 많음을 나타냄; 화살; 어떤 일이 빈번하게 행해지거나, 세월의 빠름을 비유하기도 함; 재목이나 돌을 쪼개는 데 쓰는 철제나 목재의 쐐기; (수레의) 바퀴살; 들. 들판. 〔동의어〕野·野原; 야. 민간. 〔반의어〕 朝; 천함. 거침. 세련되지 않음. {문어·ナリ 활용 }; 남을 부를 때 내는 소리. 어이. 야. 이봐요; 정신이나 기력을 집중시키기 위하여 내는 소리. 얏; 스스럼없는 口語적 대화에서 係助詞 「は」가 「イ」列音·「エ」列音 뒤에 왔기 때문에 변한말; 《体言 또는 副詞에 붙음》; 부르는 말임을 나타냄; 강조하는 뜻을 나타냄. …이야말로; (俳句 등에서) 体言을 받아 장면을 제시하거나 영탄을 나타냄. …(이)여; 『문어』 〈体言 또는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어〉 감동·영탄을 나타냄. …이여. …로구나; 〈活用語의 命令形에 붙음. 口語에서는 권유를 나타내는 助動詞 「う」의 終止形에도 붙음〉 동료 또는 아랫사람에 대하여 가볍게 재촉하는 뜻을 나타냄. 하세. 하게; 가벼운 영탄을 나타냄. …말야; 『문어』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어〉 의문·반문·반어의 뜻을 나타냄. …인가. …까보냐; 『문어』 《名詞, 活用語의 連用形·連体形·副詞 등에 붙음》 의문·반문·반어를 나타냄. …이라도; 《体言 또는 準体助詞 「の」에 붙어》 사물을 열거하는 뜻을 나타냄. …이나. …이랑. …며; 《動詞·動詞형 활용어의 終止形에 붙어》; 어떤 동작·작용의 발생과 동시에, 다른 동작·작용이 일어나는 뜻을 나타냄. …하자. …자마자; 〈흔히, 「~否~」의 꼴로〉 …하자 곧. …하자마자
かなり
꽤. 제법. 상당히. 어지간히. {문어·ナリ 활용 }; 가(可)하다. …해도 좋다
関東
『문어』 간도. 간악한 도둑. 〔동의어〕奸賊; 완등. (산꼭대기까지) 완전히 오름; (야구에서) 완투; 관등. 관리의 신분 등급; 그 시가집(詩歌集)에서 가장 뛰어난 작품; 가로등. 〔동의어〕街灯; 『문어』 간두. 장대 끝; 감투; 『지리·지학·지명』 「関東地方」의 준말. ((일본 중앙부인 東京·茨城·栃木·群馬·埼玉·千葉·神奈川의 1도(都) 6현으로 이루어짐)); 옛날에 鈴鹿·不破·愛発의 3관문 이동(以東)의 여러 지방; 箱根 관문 이동의 여러 지방. 〔동의어〕関東八州. 1.~3. 〔반의어〕 関西; 『역사』 「鎌倉幕府」의 딴이름; 『역사』 江戸幕府. 또는 그 将軍; 『문어』 관두. (중요한 사항의) 갈림길. 기로. 〔동의어〕別れめ·瀬戸際
接近
접근
上陸
상륙; (배에서 내려) 육지로 올라옴; (비유적으로) 바다로부터 태풍이 닥쳐옴
遅い
(동작이) 느리다. 더디다. 〔반의어〕 速い; 때를 놓치어 이미 늦다; 철이 늦다; 밤이 늦다; (시기·시간이) 늦어지다. 늦다. 2.~5. 〔반의어〕 早い. 〔참고〕 3.4.는 「晩い」로도 씀. 【문어형】 おそ·し {ク 활용}
夕方
해질녘. 저녁때. 〔동의어〕夕暮れ. 〔반의어〕 朝方
見込み
전망. 예정. 예상. 〔동의어〕予想; 장래성. 가망. 희망. 〔동의어〕将来性·可能性; 찻종이나 주발의 안쪽
東海
「東海地方」의 준말; 도괴; 『문어』 도회; 자기의 본마음이나 재능·지위·신분 등을 숨김; 행방을 감춤
東日本を中心とした広い範囲で暴風や警報級の大雨となる恐れがあるため、厳重な警戒が必要です。
必要
『문어』 필용. 꼭 써야 함. 〔동의어〕必要; 필요. 〔동의어〕必用. 〔반의어〕 不要. {문어·ナリ 활용 }
範囲
『법률』 범의; 『문어』 반의. 반역하려는 생각. 〔동의어〕叛心; 범위
級
일급·월급 등의 ‘급료(給料)’의 뜻을 나타냄; 9. 아홉. 〔동의어〕ここのつ·く; 구; 옛 것. 옛날부터 있어 온 것; 원래의 상태; 〈「旧暦」의 준말〉 음력; 구. 묵은. 옛 것의. 음력; 『의학』 뜸. 뜸질; 서두름. 서둘러야 함; 위급한 상태. 갑작스러운 변고; 雅楽·能楽에서, 序破急의 마지막 부분. ((급템포로 연주함)); 빠름. 급함. 바쁨; 갑작스러움. 돌연함. 느닷없음; 경사가 급함. 가파름. {문어·ナリ 활용 }; 『음악』 궁. 오음(五音)의 하나. 오음 음계의 주음(主音). ((서양 음악의 g음에 해당)); 「宮刑」의 준말; 궁전; 천구(天球)의 한 구분; 『문어』 관. 널. 〔동의어〕ひつぎ; 『문어』 (옛날에 책 등을 넣어서 등에 지던) 상자. 〔동의어〕笈; 급; 등급. 계급; 학년; (같은 학년에서 나눈) 반. 〔동의어〕組; 〈接尾語적으로〉 그 정도임을 나타냄; 구; 공. 〔동의어〕たま; 『수학』 구체(球體); 『문어』 궁. 막힘. 궁함; 《흔히 「~と」의 꼴로 씀》; 세게 문지르거나 비틀거나 할 때 나는 소리; 세게 밀어붙이거나 죄거나 하는 모양. 또는 그런 느낌이 되는 모양; 찬 술 등을 단숨에 마시는 모양. 쭉
中心
중심; 중앙. 한가운데. 〔동의어〕真ん中; (사물의) 가장 중요한 부분·요소·장소·위치; 심중(心中). 흉중(胸中). 〔동의어〕心中; 『수학』 점대칭 도형(點對稱圖形)의 중심점; 『물리』 무게 중심; 『지리·지학·지명』 중진. 집이 심하게 흔들리고 불안정하게 놓인 물체가 넘어질 정도의 지진. 진도 4; 『문어』 충심. 충성심; 『문어』 충신. 〔반의어〕 逆臣; 『문어』 충신. 충성과 신의; (사건이 일어났을 때) 급히 보고함. 급보. 〔참고〕 본디, 사건 내용을 적어 상신함을 뜻했음; 『문어』 《副詞적으로도 씀》 충심. 진심. 〔동의어〕本心; 『문어』 중진. (경제·문화 등의) 진보 정도가 중간
厳重
현주. 현재 그 곳에 머물러 삶; 『불교』 현재의 주지(住持); 엄중
恐れ
외경. 경외. 〔동의어〕畏敬; 두려움. 무서움. 공포(심); 《흔히, 「…の~」의 꼴로》 (무엇인가 일어날 것 같은) 염려. 우려
警戒
『문어』; 수면(水面)·수중의 장애물을 치우고 뱃길을 틈; 경쾌함. {문어·ナリ 활용 }; 『문어』 병의 증세가 가벼워짐; 『문어』 경계. 〔동의어〕きょうかい; 경계
広い
줍기. 주움; 『인쇄』 문선(文選). 채자(採字); 귀인이 도보로 감. 〔동의어〕おひろい; 넓다. 〔반의어〕 せまい; 너르다. 면적·폭이 크다; 널리 트여 있다; 미치는 범위가 크다; 너그럽다. 너글너글하다. ひろ·さ 【명사】 【문어형】 ひろ·し {ク 활용}
警報
『법률』 형법; 경보
大雨
큰비. 호우. 폭우.〔반의어〕小雨
東日本
동일본. 일본의 중부 지방 동쪽의 関東·東北·北海道의 각 지방을 가리킴. 〔반의어〕 西日本
暴風
방풍; 바람을 막음; 「浜防風」의 준말; 폭풍
また、関東を中心に各地で停電のリスクが高くなりそうです。
中心
중심; 중앙. 한가운데. 〔동의어〕真ん中; (사물의) 가장 중요한 부분·요소·장소·위치; 심중(心中). 흉중(胸中). 〔동의어〕心中; 『수학』 점대칭 도형(點對稱圖形)의 중심점; 『물리』 무게 중심; 『지리·지학·지명』 중진. 집이 심하게 흔들리고 불안정하게 놓인 물체가 넘어질 정도의 지진. 진도 4; 『문어』 충심. 충성심; 『문어』 충신. 〔반의어〕 逆臣; 『문어』 충신. 충성과 신의; (사건이 일어났을 때) 급히 보고함. 급보. 〔참고〕 본디, 사건 내용을 적어 상신함을 뜻했음; 『문어』 《副詞적으로도 씀》 충심. 진심. 〔동의어〕本心; 『문어』 중진. (경제·문화 등의) 진보 정도가 중간
各地
『문어』 객지. 〔동의어〕客土; 『문어』 각지. (사물의 도리를) 깨달아서 앎; 격지. 벽지(僻地); 각지
関東
『문어』 간도. 간악한 도둑. 〔동의어〕奸賊; 완등. (산꼭대기까지) 완전히 오름; (야구에서) 완투; 관등. 관리의 신분 등급; 그 시가집(詩歌集)에서 가장 뛰어난 작품; 가로등. 〔동의어〕街灯; 『문어』 간두. 장대 끝; 감투; 『지리·지학·지명』 「関東地方」의 준말. ((일본 중앙부인 東京·茨城·栃木·群馬·埼玉·千葉·神奈川의 1도(都) 6현으로 이루어짐)); 옛날에 鈴鹿·不破·愛発의 3관문 이동(以東)의 여러 지방; 箱根 관문 이동의 여러 지방. 〔동의어〕関東八州. 1.~3. 〔반의어〕 関西; 『역사』 「鎌倉幕府」의 딴이름; 『역사』 江戸幕府. 또는 그 将軍; 『문어』 관두. (중요한 사항의) 갈림길. 기로. 〔동의어〕別れめ·瀬戸際
停電
『문어』 체전; 역참(驛站) 편에 보냄. 또는 그 역참의 인부·거마; 정전
高い
『문어』 타계; 『불교』 인간계 이외의 세계; 다른 세계; 죽음; 높다; (위치가) 위쪽이다; (키가) 크다; (신분·지위가) 상위이다; (능력이) 뛰어나다; (품위·품격이) 훌륭하다; (일정한 수준보다) 위이다. 우월하다; (정도가) 심하다. 수치(數値)가 크다; (목소리·소리가) 크다; 유명하다; (값이) 비싸다. 〔반의어〕 安い; 〈「お~」의 꼴로〉 잘난 체하다. 거드름 피우다; 〈「腰が~」의 꼴로〉 거만하다; 〈「頭が~」꼴로〉 머리를 숙일 줄 모르다. 무례하다. 오만하다; 〈「鼻が~」의 꼴로〉 우쭐하다. 자랑스럽다. 1.~8. 〔반의어〕 低い. たか·さ 【명사】 たか·み 【명사】 【문어형】 たか·し {ク 활용}
リスク
리스크. (손해를 볼) 위험
停電の対策として、まずモバイルバッテリーや乾電池の準備など電源の確保に努めて下さい。
モバイル
모바일. 휴대 전화. 휴대용 컴퓨터를 이용한 이동 통신.
下さる
《「与える」 「くれる」의 높임말》;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주시다. 내리시다. 〔동의어〕賜る; (윗사람 또는 상대편이) 자기에게 주시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下される」의 문어
準備
『문어』 순미. 티없이 아름다움. 순수한 미. {문어·ナリ 활용 }; 준비
乾電池
『물리』 건전지. 〔반의어〕 湿電池
対策
대작; 걸작; 대규모의 작품. 〔반의어〕 小品; 대책
努める
노력하다. 힘쓰다. 【문어형】 つと·む {하2단 활용}; 소임을 맡다. 역할을 하다. 〔참고〕 「勤める」라고도 씀; 배역을 맡아하다. 【문어형】 つと·む {하2단 활용}; 근무하다. 종사하다; 『불교』 불도를 닦다. 근행(勤行)하다. 【문어형】 つと·む {하2단 활용}
停電
『문어』 체전; 역참(驛站) 편에 보냄. 또는 그 역참의 인부·거마; 정전
電源
전원
確保
확보
として
〈상태를 나타내는 한자어에 붙어 副詞句를 만듦〉 동작·작용이 일어날 때의 양태(樣態)를 나타냄. …하게. …해져서; 〈動詞의 未然形+「う」 「よう」에 붙어〉 …려고; 〈「それはそれ~」 「それはそう~」의 꼴로 接続詞적으로 씀〉 그것은 그렇다 치고; 《体言에 붙어》 자격이나 입장을 나타냄. …로서; 《「一人」 「一本」 「一時」 등의 말에 붙고, 뒤에 否定의 「ない」가 따름》 전면적인 부정을 나타냄. …도 …않다[없다]
バッテリー
배터리; 축전지(蓄電池); (야구에서) 한 팀의 투수와 포수
そして懐中電灯やお水、
電灯
『불교』 전등. (스승이 제자에게) 부처의 가르침을 전수함. 〔동의어〕伝法. 〔참고〕 불법이 중생의 마음을 밝히는 등불이라는 데서; 전통; 전등. 전등불
そして
⇒ そうして
水
수. 오행(五行)의 다섯째. ((계절은 겨울, 방위로는 북, 색은 검정임)); 「水曜日」의 준말; 《속어》 당밀즙(糖蜜汁)만을 탄 얼음물; 물. 액체; 순수함. 또는 그런 것; 뛰어난 것. 정수(精粹); 세상 물정에 밝아 인정의 기미(機微)를 잘 앎. 특히, 남녀간의 애정에 이해가 많음. {문어·ナリ 활용 }; 화류계·예능계의 사정에 밝음. 멋을[풍류를] 앎. (언동이) 세련되어 있음. {문어·ナリ 활용 }; 추; 저울추. 분동; 방추(紡錘)를 세는 말; 시다. 신맛이 있다. 〔동의어〕すっぱい. 【문어형】 す·し {ク 활용}
懐中
『동물·동물학』 회충. 거위. 〔동의어〕はらのむし; 개주. 고쳐 주조함. 〔동의어〕いなおし; 해중. 바다 속; 회중. 주머니 속. 낭중
寒さに備えるための毛布や長袖の上着などを準備すると安心です。
安心
안심. {문어·ナリ 활용 }
毛布
모포. 담요. 〔동의어〕ケット·ブランケット
準備
『문어』 순미. 티없이 아름다움. 순수한 미. {문어·ナリ 활용 }; 준비
備える
신불에게 올리다. 【문어형】 そな·ふ {하2단 활용}; 갖추다. 구비하다. 비치하다; 대비하다; (덕·재능 등을) 지니다. 갖추다. 【문어형】 そな·ふ {하2단 활용}
上着
내복 위에 입는 옷. 겉옷. 〔반의어〕 下着; 상의(上衣). 윗도리. 저고리
寒い
춥다. 〔반의어〕 暑い; (무서움 등으로) 오싹하다. 써늘하다; 가난하다. 부족하다. 〔반의어〕 あたたかい; 한심하다. 빈약하다. さむ·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さむ·げ 【형용동사】 さむ·さ 【명사】 【문어형】 さむ·し {ク 활용}
長袖
『문어』; 소매가 긴 옷을 입은 사람. ((특히, 公卿와 승려를 가리킴)); 징수. 〔반의어〕 納入; 징집; 청중; 『지리·지학·지명』 「長門の国(지금의 山口현 서부)」의 딴이름
また、停電が発生した場合、冷蔵庫は数時間ほど
場合
때. 경우. 〔동의어〕おり; 사정. 상태. 형편
数
수; 수가 많음. 여러 가지; 손꼽을 만한 가치가 있는 것; 아래 그림. 〔반의어〕 上図
停電
『문어』 체전; 역참(驛站) 편에 보냄. 또는 그 역참의 인부·거마; 정전
時間
자간; 차관; 시간; 『문어』 시간. 그때의 어려움. 그 시대의 당면 난제(難題)
冷蔵庫
냉장고
発生
발생; 발성; 소리를 냄; 궁중의 歌会에서, 담당자가 和歌를 한번 읽은 다음, 그 초구(初句)를 가락을 붙여 읊는 일. 또는 그 담당자
冷気を保つことができますが、ドアを10秒開けると中の気温が
秒
병; 초; 각도·경도·위도의 단위; 묘; 사당. 영묘. 〔동의어〕おたまや; 조정. 묘당(廟堂); 압정(押釘). 대갈못. 〔동의어〕押しピン; 리벳. 〔동의어〕リベット; 극히 작음. 사소함. 하찮음. {문어·タリ 활용}; (수면·평원 등이) 끝없이 넓고 아득함. 멀리 퍼진 모양. {문어·タリ 활용}
気温
『기상』 기온; 기음; 『음악』 음계의 첫째 음. 주음(主音)
中
‘그 동안 줄곧’이란 뜻을 나타냄. 내내; 그 범위 전체에 걸친다는 뜻을 나타냄; 십; 열. 〔동의어〕とお; 전부. 전체; 거주함; 거처. 처소; 『문어』 부드러움. 부드러운 것. 얌전함. 〔반의어〕 剛; 『문어』 중요한 것; 〈「お~」의 꼴로〉 찬합. 〔동의어〕重箱; 중; 무거움. 혹심함. 〔반의어〕 軽; 『화학』 산성염(酸性塩)임; 겹친 것을 세는 말. 중. 층; 종. 종자. 하인. 〔동의어〕とも·けらい. 〔반의어〕 主; ⇒ じゅ; 총; 짐승. 〔동의어〕けもの; 수. 짐승
できる
전부 나가다[나오다]. 다 나가[나와] 남은 것이 없다. 〔동의어〕出つくす. 【문어 4단 활용 동사】; 《カ変動詞 「でくる」의 변한 꼴》; (새로) 생기다. 나다; 생성(生成)되다; 성립되다; 일어나다. 발생하다; 수중에 들어오다. 얻다; 생산되다. 산출되다; 만들어지다; 완성되다. 다 되다; (소질·경향을) 타고나다. 생겨 먹다; 능력·가능성이 있다. 할 수 있다. 가능하다; 〈サ変動詞의 語幹에 붙어 接尾語적으로〉 …할 수 있다. …하는 것이 가능하다; 잘하다. 할 줄 알다; (능력·인품이) 뛰어나다. 출중하다. 되어 있다; 《속어》 (남녀가) 깊은 관계에 있다. 눈이[배가] 맞다; 『경제』 (증권 거래소에서) 매매가 성립되다
保つ
유지되다. 견디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유지하다; 가지다. 지키다. 보전하다. 【가능동사】 たも·て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開ける
(날이) 밝다. (날이) 새다. 〔반의어〕 暮れる; 새해가 되다; (어느 기간이) 끝나다. 【문어형】 あ·く {하2단 활용}; (문·막·뚜껑·책 등 닫힌 것을) 열다. 펴다. 〔반의어〕 閉める·閉じる; (눈을) 뜨다. 〔반의어〕 つぶる; 뚫다. 〔반의어〕 ふさぐ; (공간·여백·틈새기 등을) 만들다. 내다. 〔반의어〕 ふさぐ; 트다. 〔반의어〕 ふさぐ; 비우다; (집을) 비우다; 시간을 비워 두다; 떼어 놓다. 간격을 두다; (다른 것에) 옮기다. 버리다. 〔참고〕 1.2.는 「開ける」, 3.~9.는 「明ける」 「空ける」로 씀. 【문어형】 あ·く {하2단 활용}
冷気
『문어』 냉기; 『물리』 여기; 예규; 영기. 영묘한 느낌; 『문어』 영귀. 신령스런 거북
1度上がるといわれていますのでお気を付け下さい。
下さる
《「与える」 「くれる」의 높임말》;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주시다. 내리시다. 〔동의어〕賜る; (윗사람 또는 상대편이) 자기에게 주시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下される」의 문어
度
일본식 버선; 어떤 일이 있는, 또는 있었던 그때. 적. 때. 〔동의어〕折·時; 〈「に」가 붙어, 「…をする~に」 「…の~に」의 꼴로〉 …할 때마다. …할 적마다. 〔참고〕 흔히, 동사의 連体形에 붙어서 쓰임; 횟수; 《수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서 횟수를 나타냄》 …번; 여행. 〔동의어〕旅行. 〔참고〕 긴 인생에 비유해서도 씀
付ける
붙이다; 접촉시키다. 접합시키다. 대다. 〔동의어〕くっつける; 부착시키다. 달다; 바르다. 묻히다. 칠하다; 표를 하다. 자국을 남기다[내다]; (색이나 향기 등을) 첨가하다. 내다; 기입하다. 쓰다; 착용하다. 입다. 신다. 〔참고〕 의복·장신구 등의 경우에는 「着ける」로 씀; (連歌·俳諧에서) 앞의 구에 연결되는 구를 짓다; 딸리다; 곁들이다. 덧붙이다; 뒤쫓다. 미행하다; 주목하다. 조심하다; 한패로 만들다; 북돋우다. 첨가시키다; (불을) 붙이다. 켜다. 점화하다. 〔참고〕 「点ける」로도 씀; 명명(命名)하다; 취하다; 매기다; 어떤 조건을 달다; 마무르다. 결말짓다; 술을 알맞게 데우다; 그릇 등에 담다; 설치하다. 마련하다. 내다; 익히다. 어떤 성질이나 능력이 갖추어지도록 하다; (편지를) 보내다; 싣다; 할당하다. 배역하다; (가까이) 대다; 〈「…に~·け(て)」의 꼴로〉 …에 관련하여[관련시켜]; 판단하다. 짐작하다; 구분[구별]을 짓다. 차이를 내다; 버릇을 들이다. 【문어형】 つ·く {하2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늘 …하다. …해 버릇하다; 동작이 격렬함을 나타냄. 【문어형】 つ·く {하2단 활용}; 담그다; 잠그다. 적시다. 〔동의어〕浸す; (채소 등으로) 절임을 만들다. 〔참고〕 「漬ける」로 씀. 【문어형】 つ·く {하2단 활용}; (자리·지위 등에) 앉히다. 〔참고〕 즉위(卽位)의 경우는 「即ける」로 씀; 종사시키다; 지도를 받게 하다. 【문어형】 つ·く {하2단 활용}
上がる
(위로) 오르다. 올라가다. 올라오다. 〔반의어〕 おりる; (욕탕에서) 나오다. 〔반의어〕 入る; (방에) 들어가다. 들어오다; (지위·정도 등이) 오르다; (어떤 상태가) 좋아지다. 〔반의어〕 下がる; 입학하다. 진학[진급]하다; (신불에게) 바쳐지다; (수입·이익·효과 등이) 거두어지다; 흥분하다. 상기하다; 「行く」 「訪ねる」의 겸사말; (가격 등이) 오르다. 비싸지다. 〔반의어〕 下がる; (겉보기가) 좋아지다; 끝나다. 마치다; (돈이) 들다. 먹히다; (물고기·초목이) 죽다. 말라 죽다; (쌍륙 등에서) 말이 날밭에 들어서다; 몰수당하다; (京都 시내에서) 북쪽으로 가다. ((황궁(皇宮)이 시내 북쪽에 있었기 때문임)) 〔반의어〕 下がる; (몸의 일부가) 위로 올라가다. 〔참고〕 「挙がる」로도 씀; 높이 솟아오르다. 〔참고〕 「揚がる」로도 씀; 일다. 왕성해지다; (배에서 뭍으로) 오르다. 상륙(上陸)하다. 〔참고〕 「揚がる」로도 씀. 【가능동사】 あが·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동작이 끝남을 나타냄. 다 …하다. 끝나다; 동작·상태가 극도에 달함을 나타냄. 아주 …하다. 완전히 …하다. 【가능동사】 あが·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食べる」 「飲む」 「吸う」의 높임말》 드시다. 잡수시다. 〔동의어〕召しあがる. 【가능동사】 あが·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범인이) 잡히다. 검거되다; (증거가) 드러나다. 【가능동사】 あが·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튀겨지다. 【가능동사】 あが·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珍しい・・・白いガラパゴスゾウガメの赤ちゃん スイス(2022年6月4日)
More Than Murals: The Artist Keeping Japan's Bathhouse Art Alive
More Than Murals: The AJAL、ANA14日ワクチン開始で準備 職域接種を前倒し(2021年6月11日)
Ice-Cream Stacking Is Serious Business
Ice-Cream Stacking Is S『The Last of Us』サバイバーの証言 モデル 里海篇
運命を信じます
3びきのこぶた
【楽天市場】Shop Story Vol.3
3連休最終日の人出 東京近郊の観光地で大幅増(2021年9月21日)
ブルーインパルス 22日に都心上空で予行訓練飛行(2021年8月21日)
You need to upgrade to a premium account to using this feature
Are you sure you want to test again?
Please upgrade your account to read unlimited newspap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