どちらが子どもをよけい産むかで、ケンカするブタとイヌ
どちらが子どもをよけい産むかで、ケンカするブタとイヌ
ブタとイヌが、めいめい自分の方がたくさん子どもを産むと言い張って、ケンカをしていました。
イヌが、
「わたしは四つ足動物の中で、一番短い日数で子どもを産む事が出来るのよ」
と、言うと、ブタは、
「いくら早く、たくさん産んだって、あなたの赤ん坊は、みんなまだ目が開いてないじゃないの」
仕事は、早ければ良いとはかぎりません。
ちゃんと、出来上がっていなければいけないのです。
どちらが子どもをよけい産むかで、ケンカするブタとイヌ
どちら
《不定称의 指示代名詞》; 〈「どこ」보다 공손한 말〉 어느 쪽. 어디; 〈「どれ」 「いずれ」보다 공손한 말〉 어느 쪽[것]; 〈他称의 人代名詞. 不定称. 「だれ」의 공손한 말〉 어느 분
産む
유무. (사물이) 있음과 없음. 〔동의어〕あるなし; 승낙과 거부. 좋고 싫음. 가부(可否). 〔동의어〕いやおう; 『문어』; 질리다. 물리다. 싫증나다; 지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낳다; 분만[출산]하다. 〔참고〕 흔히 「産む」로 씀; (없던 것을) 만들어 내다. 생기게 하다. 【가능동사】 う·め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과일이) 익다. 〔동의어〕熟れる. 【문어 4단 활용 동사】; 곪다. 화농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실을) 잣다. 〔동의어〕紡ぐ. 【문어 4단 활용 동사】
ブタとイヌが、めいめい自分の方がたくさん子どもを産むと言い張って、ケンカをしていました。
方
《고어》 대체적인 방향·위치·시간을 나타냄; 겹치거나 거듭된 것을 세는 말. 겹. 〔동의어〕重り; 《고어》 (바다·호수 등의) 후미. 〔동의어〕入り江; 《고어》 가지. 〔동의어〕えだ; 자루. 손잡이; 『문어』 모이. 미끼. 먹이. 〔동의어〕えさ; 많은 사람이 모여서 하는 법회(法會)·제례(祭禮); 《고어》 돌림병. 〔동의어〕えき; 그림; (텔레비전의) 영상. 화면; 『문어』 《뒤에 否定語가 따름》 잘 …하지 않다. 도저히 …할 수 없다; 회화에서, 긍정·승낙을 나타내는 말. 예. 네; 회화에서, 감동·놀람·의문을 나타냄. 예. 네. 뭐; 〈名詞에 붙어〉 남에게 말을 걸 때 쓰는 예스러운 말; 〈「か」 「だれ」 「何」 등 의문을 나타내는 말이나, 「だ」 「です」 등에 붙어〉 의문의 뜻을 강조함; 〈말 끝에 붙어〉 어조를 부드럽게 하거나 친근감을 나타내거나 함
たくさん
많음; (달갑지 않을 만큼) 충분함. 더 필요 없음. 질색임; 〈名詞에 붙어〉 충분하리 만큼 많은 모양을 나타냄. {문어·ナリ 활용 }
産む
유무. (사물이) 있음과 없음. 〔동의어〕あるなし; 승낙과 거부. 좋고 싫음. 가부(可否). 〔동의어〕いやおう; 『문어』; 질리다. 물리다. 싫증나다; 지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낳다; 분만[출산]하다. 〔참고〕 흔히 「産む」로 씀; (없던 것을) 만들어 내다. 생기게 하다. 【가능동사】 う·め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과일이) 익다. 〔동의어〕熟れる. 【문어 4단 활용 동사】; 곪다. 화농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실을) 잣다. 〔동의어〕紡ぐ. 【문어 4단 활용 동사】
自分
무렵. 대체적인 시기·시각; 적당한 때. 기회. 시기; (중국에서 신문의 논설 등에 쓰는) 현대어체(現代語體)의 문장; 그 시대의 글. 당시의 글; 그 사람 자신. 자기 자신;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동의어〕わたくし
イヌが、
「わたしは四つ足動物の中で、一番短い日数で子どもを産む事が出来るのよ」
一番
첫째. 맨 처음[먼저]; 일등. 제일. 으뜸; 최상. 상책; 한 쌍. 한 조(組). 〔동의어〕ひとつがい; (장기·바둑·씨름 등의) 한 판. 일 회. 한 번. 단판; 謡曲·能 등의 한 곡; (일반적으로 사물의) 한 번. 일 회. 〔동의어〕一度; 가장. 맨; 우선. 시험삼아. 한번. 큰마음 먹고. 〔참고〕 「一番」는 딴말임
事
『문어』 말. 이야기; 말. 마디; 《의식·사고의 대상 중 「物」와 같은 구체적인 것이 아닌, 추상적인 것을 가리키는 말》; 세상에서 일어나는 사건·현상. 일; 행위. 행동. 행사; 큰일. 문제. 사건. 사태; 통칭이나 아호(雅號) 등과 본명 사이에 써서, 그것이 동일 인물임을 나타냄. 즉. 곧; 〈自称의 人代名詞에 붙어〉 ‘나에 대해서 말하면’의 뜻을 나타냄;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어 그 활용어를 名詞화하여 다음과 같은 뜻을 나타냄. 보통 かな로 씀》; 경험; 방침. 습관; 경우. 가능성; 필요; 전문(傳聞); 해야 할 일; 수; 사실. 것. 일; 〈形容詞의 連体形에 붙어 副詞적으로 쓰임〉; 〈動詞의 連体形 또는 動詞에 否定의 助動詞의 連体形이 붙은 꼴에 곁들여〉 가벼운 명령·금지를 나타냄; 가정(假定)의 사항을 나타냄; 《「…を~にする」의 꼴로》 다름; 『음악』 거문고. ((원래는 현악기의 총칭)); 고도. 옛 도읍; 호도. 얼버무려 넘김. 미봉(彌縫); 『문어』 《活用語의 連体形·終止形에 붙음》; 감동을 나타냄; 완곡한 단정을 나타냄; 질문하거나 동의를 구하거나 권유하는 뜻을 나타냄. 〔참고〕 「事」와 같은 어원. 동료 또는 손아랫사람에게 쓰는 여성어
中
‘그 동안 줄곧’이란 뜻을 나타냄. 내내; 그 범위 전체에 걸친다는 뜻을 나타냄; 십; 열. 〔동의어〕とお; 전부. 전체; 거주함; 거처. 처소; 『문어』 부드러움. 부드러운 것. 얌전함. 〔반의어〕 剛; 『문어』 중요한 것; 〈「お~」의 꼴로〉 찬합. 〔동의어〕重箱; 중; 무거움. 혹심함. 〔반의어〕 軽; 『화학』 산성염(酸性塩)임; 겹친 것을 세는 말. 중. 층; 종. 종자. 하인. 〔동의어〕とも·けらい. 〔반의어〕 主; ⇒ じゅ; 총; 짐승. 〔동의어〕けもの; 수. 짐승
出来る
전부 나가다[나오다]. 다 나가[나와] 남은 것이 없다. 〔동의어〕出つくす. 【문어 4단 활용 동사】; 《カ変動詞 「でくる」의 변한 꼴》; (새로) 생기다. 나다; 생성(生成)되다; 성립되다; 일어나다. 발생하다; 수중에 들어오다. 얻다; 생산되다. 산출되다; 만들어지다; 완성되다. 다 되다; (소질·경향을) 타고나다. 생겨 먹다; 능력·가능성이 있다. 할 수 있다. 가능하다; 〈サ変動詞의 語幹에 붙어 接尾語적으로〉 …할 수 있다. …하는 것이 가능하다; 잘하다. 할 줄 알다; (능력·인품이) 뛰어나다. 출중하다. 되어 있다; 《속어》 (남녀가) 깊은 관계에 있다. 눈이[배가] 맞다; 『경제』 (증권 거래소에서) 매매가 성립되다
産む
유무. (사물이) 있음과 없음. 〔동의어〕あるなし; 승낙과 거부. 좋고 싫음. 가부(可否). 〔동의어〕いやおう; 『문어』; 질리다. 물리다. 싫증나다; 지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낳다; 분만[출산]하다. 〔참고〕 흔히 「産む」로 씀; (없던 것을) 만들어 내다. 생기게 하다. 【가능동사】 う·め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과일이) 익다. 〔동의어〕熟れる. 【문어 4단 활용 동사】; 곪다. 화농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실을) 잣다. 〔동의어〕紡ぐ. 【문어 4단 활용 동사】
足
『식물·식물학』 갈대. 〔동의어〕よし; 『문어』 나쁘다. 좋지 않다. 〔동의어〕悪い. 〔참고〕 현재는 「よし」와 함께 대구적(對句的)으로 쓰이거나, 하나의 단어화된 파생어나 복합어 안에서 쓰임; 다리. 〔동의어〕下肢. 〔반의어〕手. 〔참고〕 사람에 대해서는 「脚」도 쓰나, 「足」로 많이 씀. 흔히, 포유 동물에 대해서는 「肢」, 곤충은 「脚」로 쓰기도 함; 발. 〔반의어〕手; 발길. 발걸음. 걸음걸이; 〈「その~で」의 꼴로〉 내친걸음에. 그 길로; 방문(訪問). 발걸음; (비·구름·바람 등의) 움직여 가는 상태. 〔참고〕 흔히 「脚」로 씀; 물건의 아래에 붙어 받치는 부분. 다리. 발. 굽. 〔참고〕 흔히 「脚」로 씀; (물건의) 아래. 밑부분; 교통 기관. 탈것; (범인 등의) 도주로. 발자취. 〔동의어〕足どり; (떡·반죽 등의) 찰기. 끈기. 〔동의어〕ねばり·こし; 한자(漢字)의 구성을 아래위로 가를 때의 아래쪽 부분.((「烈」의 「灬(불화발)」, 「盒」의 「皿(그릇명)」 등)); 〈앞에 「お」가 붙어〉 돈.((다리가 있는 듯 잘 돌아다니므로)) 〔동의어〕お金
動物
동물
短い
(길이가) 짧다; (시간이) 짧다; 생각이 얕다. 1.~3. 〔반의어〕 長い. みじか·げ 【형용동사】 みじか·さ 【명사】 【문어형】 みじか·し {ク 활용}
四つ
넷. 〔동의어〕し·よん·よっつ; 네 살. 〔동의어〕よっつ; (일본 씨름에서) 서로 한 팔을 상대편 겨드랑이 밑으로 질러 넣은 상태에서, 양손으로 상대의 まわし를 서로 잡음. 또는 그런 자세. 〔동의어〕四つ身·四つ手; 옛날의 시각의 명칭. ((지금의 오전이나 오후 10시)) 〔동의어〕四つ時; 사진에서, 「四つ切り」의 준말
日数
일수. 날수. 〔동의어〕ひかず·日子
と、言うと、ブタは、
言う
말하다; 이야기하다. 지껄이다; 묻다; 명령하다. 의뢰하다; (의견을) 진술하다; 조언하다. 비평하다; 표현하다; 〈「…を…と~」의 꼴로〉 …을 …이라고 (말)하다[부르다·일컫다]; 소리가 나다. 소리를 내다. 소리가 들리다; 〈「…と~」+体言, 「…と~·った」+体言, 「…と~·います」+体言의 꼴로〉 …이라는. …이라 하는. 〔참고〕 「いう」 자체는 실질적인 뜻이 없으며, 흔히 仮名로 씀; 〈「…と~」의 앞뒤에 같은 体言이 붙어〉 …이라는 …은(는) 모두; 〈상태를 나타내는 말에 「…と~·ったらない」 「…と~ものはない」가 이어져〉 이 이상 …한 것은 없다. 정말이지 …하다. 〔참고〕 「…といったらない」는 「…ったらない」로도 씀. 어형(語形)이 「いう」의 꼴이지만 발음은 「ユー」로 함. 현대 かな 쓰기에서 활용의 설명상 「いう」로 씀. 【가능동사】 い·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いくら早く、たくさん産んだって、あなたの赤ん坊は、みんなまだ目が開いてないじゃないの」
赤ん坊
아기. 갓난아기. 젖먹이. 〔동의어〕赤子·赤ちゃん·あかんぼ; (비유적으로) 철부지. 어린애
開く
잿물. (빨래 등에 쓰려고) 재를 물에 담가서 받은 윗물. 〔동의어〕あくじる; 식물이 함유한 떫은 액체[맛]. 쓴맛. ((자극적인 여러 맛을 가리키는 말)); 세련되지 않은, 집요하고 개성적인 느낌. 〔참고〕 3.은 보통 かな로 씀; 악. 〔반의어〕 善; 《고어》 악기(惡氣). 독기(毒氣); 『연극』 악역; ‘나쁨’ ‘좋지 않음’ 등을 나타냄. 악; (시간이) 나다; (공간이) 비다. 나다. 놀다; 공석이 되다. 결원이 생기다; 쓰이지 않다. 놀다; 「明ける」의 문어; 열리다; (가게의) 문을 열다. 개점(開店)하다. 영업을 하다. 1.2. 〔반의어〕 しまる; (막이) 열리다. 오르다. 〔반의어〕 とじる. 【문어 4단 활용 동사】; 뜨다. 벌리다. 열다. 〔동의어〕開く. 【문어 4단 활용 동사】; 「開ける」의 문어; 『문어』 만족하다. 싫증나다. 질리다. 물리다. 〔동의어〕飽きる. 【문어 4단 활용 동사】
みんな
《「みな」의 撥音 첨가》 모두. 다. 죄다. 전부
いくら
불확실한 수량·정도·값 등을 나타내는 말. 얼마. 어느 정도; 〈「~も(…)ない」의 꼴로〉 조금밖에 없다. 얼마 있지 않다; 〈接尾語적으로〉 수효를 대충 말함. 얼마. 암만; 얼마나; 〈「~…でも」 「~…ても」의 꼴로〉 아무리 …하더라도
たくさん
많음; (달갑지 않을 만큼) 충분함. 더 필요 없음. 질색임; 〈名詞에 붙어〉 충분하리 만큼 많은 모양을 나타냄. {문어·ナリ 활용 }
あなた
『문어』 《遠称의 指示代名詞》; 저기. 저쪽. 저편; 예전. 이전. 옛날. 1.2.〔동의어〕かなた; 《対称의 人代名詞. 대등 또는 아랫사람에게 씀》 당신. 댁. 귀하. 〔참고〕 ㉠「彼方」에서 온 말로, 옛날에는 대등 또는 윗사람에게 썼으나 현재는 아내가 남편을 가리키는 대표적인 대명사. 현대어에서는 높임의 정도가 낮으며, 학생이 선생에게, 젊은이가 나이든 이에게 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음. ㉡상대가 여성일 때에는 흔히 「貴女」로 씀
産む
유무. (사물이) 있음과 없음. 〔동의어〕あるなし; 승낙과 거부. 좋고 싫음. 가부(可否). 〔동의어〕いやおう; 『문어』; 질리다. 물리다. 싫증나다; 지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낳다; 분만[출산]하다. 〔참고〕 흔히 「産む」로 씀; (없던 것을) 만들어 내다. 생기게 하다. 【가능동사】 う·め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과일이) 익다. 〔동의어〕熟れる. 【문어 4단 활용 동사】; 곪다. 화농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실을) 잣다. 〔동의어〕紡ぐ. 【문어 4단 활용 동사】
早い
(동작·과정이) 빠르다. 〔반의어〕 遅い. 〔참고〕 1.은 보통 「速い」로 씀. 또는 「疾い」로도 씀; (시기·시각이) 이르다. 빠르다. 〔반의어〕 遅い; 손쉽다; 훨씬 이전이다; 〈「…するが~か」의 꼴로〉 …하기가 바쁘게. …하자마자. 〔참고〕 2.~5.는 「早い」로 씀. はや·さ 【명사】 【문어형】 はや·し {ク 활용}
目
《「目」가 다른 말과 복합할 때의 형태》 눈; 정말. 진실. 〔동의어〕ほんとう·まこと; 《名詞·形容詞 등에 붙음》; 참다운. 진실한; 바른. 정확한. 순수한; 아름다운. 뛰어난; (같은 종류의 동식물 중) 가장 표준적인; (공간적인) 사이. 틈. 간격; (시간적인) 사이. 동안. 겨를. 짬; (적당한) 기회. 시간. 시기. 때; 방; (일본 음악·춤·연극 등에서) 박자와 박자, 동작과 동작, 대사와 대사 사이의 시간적 간격. 또는 (전체적인) 리듬감(感); 일본식 방의 수를 세는 말. 실(室). 방; 삼베. 삼실; 『불교』 〈범어 「māra」의 음역(音譯)인 「魔羅」의 준말〉 마귀. 악마. 귀신; 〈「~の」의 꼴로〉 마(魔)의. ((나쁜 일이 흔히 일어나는 장소·날짜·시간·요일 등을 형용할 때 씀)); 마. 광(狂). 그 일만을 끈덕지게 되풀이하여 남에게 해를 끼치는 사람; 《「いま」의 준말》 더욱. 더; ⇒ まあ< 2>
仕事は、早ければ良いとはかぎりません。
良い
『문어』; 말함. 말; 〈「…の~」의 꼴로〉 …에 대한 표현. …이라는 뜻[의미]. 까닭; 《고어》 밥. 〔동의어〕飯·御飯; 예예. ((승낙의 대답)) 〔동의어〕はい; 『문어』 고분고분 따름. {문어·タリ 활용}; 《「良い」 보다 부드러운 표현. 보통은 終止形·連体形으로만 씀》; 좋다; (반어적으로) ‘나쁘다’의 뜻을 나타냄; 『문어』 의의함. 헤어지기가 서운함. 연모함. {문어·タリ 활용}; 『문어』 이연(怡然). 기뻐하고 즐거워함. {문어·タリ 활용}; 『문어』 쉬움. 용이함. {문어·タリ 활용}
仕事
일; 작업. 업무. 직업; 『물리』 어떤 물체에 힘을 가하여 그 상태나 위치가 이동함. 또는 그 변화한 정도
早い
(동작·과정이) 빠르다. 〔반의어〕 遅い. 〔참고〕 1.은 보통 「速い」로 씀. 또는 「疾い」로도 씀; (시기·시각이) 이르다. 빠르다. 〔반의어〕 遅い; 손쉽다; 훨씬 이전이다; 〈「…するが~か」의 꼴로〉 …하기가 바쁘게. …하자마자. 〔참고〕 2.~5.는 「早い」로 씀. はや·さ 【명사】 【문어형】 はや·し {ク 활용}
ちゃんと、出来上がっていなければいけないのです。
ちゃんと
차근차근 하는 모양. 착실하게. 꼼꼼이. 틀림없이; 분명하게. 조리있게; (신원·신분 등을 인정받아) 확실하게. 어엿하게; (태도를) 견실하게. 반듯하게; 정연하게. 바르게. 단정하게; 분명히. 틀림없이; 이미. 벌써; 충분히
出来上がる
다 되다. 다 만들어지다. 완성되다; 천성이 그렇게 되어 있다. 타고나다; 《속어》 거나하게 취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名曲]わたしのすきなもの♪ 【しまじろうチャンネル公式】
「湖畔の一本桜」が満開 箱根・芦ノ湖にも春の訪れ(2024年4月20日)
Japanese Words - Drinks
被災地に歯科医師派遣へ 口腔ケアで感染症対策(2024年1月15日)
“UFO情報”ウェブサイトで提供 米国防総省(2023年9月1日)
ウクライナ避難民へ1億ドルの人道支援を決定 日本政府 (2022年3月11日)
チーズがとろ〜り!ゴツゴツチーズドッグ | How To Make Cheese dog
ほらふきのツバメとカラス
割安豪州産ワイン「立冬ヌーヴォ」発売 ボージョレ・ヌーボー値上げで 成城石井(2022年11月2日)
小型ロボが“ガイド” 緊急時は電話として使用も(19/11/06)
You need to upgrade to a premium account to using this feature
Are you sure you want to test again?
Please upgrade your account to read unlimited newspap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