形の名前を覚えよう
形の名前を覚えよう
丸
三角
一角
二角
三角
四角
一角
二角
三角
四角
長丸
長四角
五角形
一角
二角
三角
四角
五角
五角形
ハート
ダイヤ
クローバー
スペード
星
月
丸
三角
四角
長丸
長四角
五角形
ハート
ダイヤ
クローバー
スペード
星
月
形の名前
形の名前を覚えよう
形
굳은. 딱딱한; (한 쌍 중의) 한쪽. 짝. 편; (둘이 있어야 할 것 중의 한쪽을 가리키는) 짝. 외; 불완전함; 한쪽에 치우침; 약간. 조금; 형. 모양. 형상. 〔동의어〕かたち; 저당. 담보. 〔동의어〕抵当; 흔적. 자국; 어깨; 어깨와 비슷한 부분. 산꼭대기에 가까운 평평한 부분; 옷의 어깨 부분; 물건 위쪽의 모서리 부분; 형. 본. 틀. 거푸집. 골; 무도(武道)·예도(藝道)·운동 등의, 규범이 되는 동작이나 일정한 형(型). 폼. 〔동의어〕フォーム; 습관으로 정해진 형식. 틀. 관례; 전형(典型). 형. 유형(類型). 〔동의어〕タイプ·パターン; 크기. 사이즈; 『지리·지학·지명』 사구(砂丘) 등으로 바다와 분리되어 생긴 호수나 늪. 석호(潟湖). 〔동의어〕せきこ; 개펄. 간석지(干潟地). 〔동의어〕ひがた; 《関西(관서)방언》 만(灣); 『문어』 과다. 퍽 많음. {문어·ナリ 활용 }; 분. ((남에 대한 높임말)); 『문어』 방향. 방위. 쪽. 편. 〔동의어〕むき·方位; 『문어』 즈음. 시절. 무렵. 시대. 〔동의어〕ころ·時分; 『문어』 장소. 곳; 『문어』 〈흔히 否定語가 따름〉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를) 방법. 수단; 둘 가운데 한쪽. 편; 담당자. 〔동의어〕係; 〈남의 이름에 붙어〉 그 사람 집에 의지하고 있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방법. 수단; 〈動詞의 連用形이나 サ変動詞의 語幹에 붙어〉 …을 함. …하기; 사람을 셀 때의 높임말. 분. ((「おひとかた(한 분)」 「おふたかた(두 분)」 「おさんかた(세 분)」의 꼴로만 씀)); 『문어』 과다함. 〔반의어〕 過少. {문어·ナリ 활용 }
名前
이름; 명칭; 성명. 성과 이름; (성을 뺀) 이름
丸
丸
환약 이름에 붙이는 말. …환; 『조류』 기러기. 〔동의어〕かり·かりがね; 완강. 완고. {문어·タリ 활용}; 암; 『의학』 악성 종양; 조직·기구 내의 고질적인 장애; 신불(神佛)에 대한 기원; 『불교』; 관(棺); 눈; 봄. 꿰뚫어봄; 벼룻돌의 표면에 나타난 동심원(同心圓) 모양의 아름다운 무늬; ‘통찰력’ ‘판단력’의 뜻을 나타냄. 안
三角
三角
삼각; 세모꼴. 삼각형. 〔동의어〕三角形; 〈「三角法」의 준말〉 삼각법; 참획. 계획에 참여함
一角
一角
일각; 한 각. 한 모서리; 한 구석. 한 모퉁이. 〔동의어〕ひとすみ·片隅; 『동물·동물학』 일각고래. 〔동의어〕ウニコール·一角獣; 일획(一畵); (한자의) 한 획; (땅 등의) 한 구획. 한 부분; 일곽; 한 울 안의 지역; 그 일대
二角
角
각; 『문어』 각; 뿔. 〔동의어〕つの; 각적(角笛). 뿔피리. 〔동의어〕角笛; 각. 네모; 일본 장기짝의 하나. 〔동의어〕角行; 『수학』 각. 각도; 잘 지은 俳句; 획. 자획(字劃); 『문어』; 식객. 〔동의어〕居候; 격; 지위. 신분. 품격; (어떤 사물에 대한 주체적인) 법칙. 규칙; 방법. 방식; 『논리학』 삼단 논법에서, 대소 두 전제에 공통하는 매개념(媒槪念)의 위치에 따라 결정되는 형식; 핵; 『식물·식물학』 열매의 씨를 싸고 있는 단단한 부분. 〔동의어〕さね; 핵심. 중심; 세포의 중심에서 신진 대사나 유전을 맡는 물질; 「核兵器」의 준말; 『문어』 각; 훌륭한 건물. 〔동의어〕御殿; 『문어』 이처럼. 이와 같이. 이렇게. 〔동의어〕このように·こう; 《「搔く」와 같은 어원. 「…を~」의 꼴로 관용구를 만듦》; 무엇을 겉으로 드러내는 뜻을 나타냄; 당하다. 받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일부를) 깨다. 상하다. 이가 빠지게 하다; 필요한 것이 갖추어져 있지 않다. 빠지다. 결여하다; 소홀히 하다. 게을리하다; 『문어』 「欠ける」의 문어; (글씨를) 쓰다; (글을) 쓰다. 짓다; (그림이나 모양을) 그리다. 〔참고〕 3.은 「描く」 「画く」로도 씀. 【가능동사】 か·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두 사람 이상이) 메다. 〔동의어〕かつぐ. 【가능동사】 か·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긁다; (날붙이를 자기쪽으로 당겨) 베다. 자르다; (쟁기로) 일구다. 갈다; (현악기의 줄을) 타다. 퉁기다; (손·발 등으로) 긁듯이 헤치다; (갈퀴로) 긁어 모으다; 빗질하다. 〔동의어〕くしけずる; 휘저어 개다. 반죽하다; 칼로 깎다. 【가능동사】 か·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짜 맞추어[얽어서] 만들다. 꾸미다. 〔동의어〕構える; 〈「あぐらを~」의 꼴로〉 책상다리를 하다; (띠 등을) 졸라매다. 차다; 『문어』 확실함. 틀림없음. {문어·タリ 활용}
二
《名詞 등에 붙어 形容動詞의 어간을 만듦》 불. 부. 〔참고〕 관용상 「ぶ」로 되는 경우도 있으며, 이 때 흔히 「無」로도 씀; …을 하는 남자. 부. 원(員). 〔반의어〕 婦; …을 하는 여자. 부. 〔반의어〕 夫; 둘. ((소리내어 수를 셀 때의 말)) 〔동의어〕ふたつ·ふう; 중국 고대의 화폐; 『문어』 무녀. 무당; 『문어』 중심지; 《고어》 지방 관청. 또는 그 소재지; (일본 장기의) 졸. 〔동의어〕兵; 『문어』 부고. 부음. 〔동의어〕訃音; 『수학』 부. 음(陰). 〔반의어〕 正; 『물리』 음극(陰極); 부적; 옛날 상급 감독 관청에서 하급 관청에 내린 공문서; 부; 증표(證票); 기호. 부호; 《고어》 부. 풍부함. 부자임. 〔반의어〕 貧; 반점. 얼룩. 〔동의어〕まだら; 내장; 사려 분별. 생각. 근성(根性); 부; 『문학』 시경(詩經)의 육의(六義)의 하나. 비유법을 쓰지 않고 느낀 것을 그대로 읊는 시의 서술법; 『문학』 글귀 끝에 운(韻)을 달고 대구(對句)를 많이 쓰는 한문체(漢文體)의 하나; 토지 또는 인구에 할당되던 조세(租稅); 밀가루에서 얻어지는 글루텐으로 만든 식품. ((「生麩」와 「焼麩」가 있음)); 보; 『음악』 음보(音譜). 악보(樂譜); 기보(碁譜); 〈흔히, 接尾語적으로 씀〉 계통을 세워 순서 있게 적은 기록. 계보. 도감
三角
三角
삼각; 세모꼴. 삼각형. 〔동의어〕三角形; 〈「三角法」의 준말〉 삼각법; 참획. 계획에 참여함
四角
四角
사각; 네모; 모가 남. 모짐; (태도·상태가) 엄격함. 딱딱함. {문어·ナリ 활용 }; 사각; 사정 거리 안에 있으면서 쏘아맞히지 못하는 구역; 어떤 물체에 가리어서 그 각도에서는 보이지 않는 범위; 《「せきかく」의 慣用音》 자객. 암살자. 〔동의어〕しきゃく; 시각; 대상물의 양단에서 눈까지 그은 두 직선이 만드는 각; (변하여) 보는 눈의 각도·방향·견해; 시각; 사물을 보는 감각의 작용; 시격; 시의 풍격(風格); 자격; 『문어』 그와 같이. 그렇게. 그처럼. 〔동의어〕そのように
一角
一角
일각; 한 각. 한 모서리; 한 구석. 한 모퉁이. 〔동의어〕ひとすみ·片隅; 『동물·동물학』 일각고래. 〔동의어〕ウニコール·一角獣; 일획(一畵); (한자의) 한 획; (땅 등의) 한 구획. 한 부분; 일곽; 한 울 안의 지역; 그 일대
二角
角
각; 『문어』 각; 뿔. 〔동의어〕つの; 각적(角笛). 뿔피리. 〔동의어〕角笛; 각. 네모; 일본 장기짝의 하나. 〔동의어〕角行; 『수학』 각. 각도; 잘 지은 俳句; 획. 자획(字劃); 『문어』; 식객. 〔동의어〕居候; 격; 지위. 신분. 품격; (어떤 사물에 대한 주체적인) 법칙. 규칙; 방법. 방식; 『논리학』 삼단 논법에서, 대소 두 전제에 공통하는 매개념(媒槪念)의 위치에 따라 결정되는 형식; 핵; 『식물·식물학』 열매의 씨를 싸고 있는 단단한 부분. 〔동의어〕さね; 핵심. 중심; 세포의 중심에서 신진 대사나 유전을 맡는 물질; 「核兵器」의 준말; 『문어』 각; 훌륭한 건물. 〔동의어〕御殿; 『문어』 이처럼. 이와 같이. 이렇게. 〔동의어〕このように·こう; 《「搔く」와 같은 어원. 「…を~」의 꼴로 관용구를 만듦》; 무엇을 겉으로 드러내는 뜻을 나타냄; 당하다. 받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일부를) 깨다. 상하다. 이가 빠지게 하다; 필요한 것이 갖추어져 있지 않다. 빠지다. 결여하다; 소홀히 하다. 게을리하다; 『문어』 「欠ける」의 문어; (글씨를) 쓰다; (글을) 쓰다. 짓다; (그림이나 모양을) 그리다. 〔참고〕 3.은 「描く」 「画く」로도 씀. 【가능동사】 か·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두 사람 이상이) 메다. 〔동의어〕かつぐ. 【가능동사】 か·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긁다; (날붙이를 자기쪽으로 당겨) 베다. 자르다; (쟁기로) 일구다. 갈다; (현악기의 줄을) 타다. 퉁기다; (손·발 등으로) 긁듯이 헤치다; (갈퀴로) 긁어 모으다; 빗질하다. 〔동의어〕くしけずる; 휘저어 개다. 반죽하다; 칼로 깎다. 【가능동사】 か·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짜 맞추어[얽어서] 만들다. 꾸미다. 〔동의어〕構える; 〈「あぐらを~」의 꼴로〉 책상다리를 하다; (띠 등을) 졸라매다. 차다; 『문어』 확실함. 틀림없음. {문어·タリ 활용}
二
《名詞 등에 붙어 形容動詞의 어간을 만듦》 불. 부. 〔참고〕 관용상 「ぶ」로 되는 경우도 있으며, 이 때 흔히 「無」로도 씀; …을 하는 남자. 부. 원(員). 〔반의어〕 婦; …을 하는 여자. 부. 〔반의어〕 夫; 둘. ((소리내어 수를 셀 때의 말)) 〔동의어〕ふたつ·ふう; 중국 고대의 화폐; 『문어』 무녀. 무당; 『문어』 중심지; 《고어》 지방 관청. 또는 그 소재지; (일본 장기의) 졸. 〔동의어〕兵; 『문어』 부고. 부음. 〔동의어〕訃音; 『수학』 부. 음(陰). 〔반의어〕 正; 『물리』 음극(陰極); 부적; 옛날 상급 감독 관청에서 하급 관청에 내린 공문서; 부; 증표(證票); 기호. 부호; 《고어》 부. 풍부함. 부자임. 〔반의어〕 貧; 반점. 얼룩. 〔동의어〕まだら; 내장; 사려 분별. 생각. 근성(根性); 부; 『문학』 시경(詩經)의 육의(六義)의 하나. 비유법을 쓰지 않고 느낀 것을 그대로 읊는 시의 서술법; 『문학』 글귀 끝에 운(韻)을 달고 대구(對句)를 많이 쓰는 한문체(漢文體)의 하나; 토지 또는 인구에 할당되던 조세(租稅); 밀가루에서 얻어지는 글루텐으로 만든 식품. ((「生麩」와 「焼麩」가 있음)); 보; 『음악』 음보(音譜). 악보(樂譜); 기보(碁譜); 〈흔히, 接尾語적으로 씀〉 계통을 세워 순서 있게 적은 기록. 계보. 도감
三角
三角
삼각; 세모꼴. 삼각형. 〔동의어〕三角形; 〈「三角法」의 준말〉 삼각법; 참획. 계획에 참여함
四角
四角
사각; 네모; 모가 남. 모짐; (태도·상태가) 엄격함. 딱딱함. {문어·ナリ 활용 }; 사각; 사정 거리 안에 있으면서 쏘아맞히지 못하는 구역; 어떤 물체에 가리어서 그 각도에서는 보이지 않는 범위; 《「せきかく」의 慣用音》 자객. 암살자. 〔동의어〕しきゃく; 시각; 대상물의 양단에서 눈까지 그은 두 직선이 만드는 각; (변하여) 보는 눈의 각도·방향·견해; 시각; 사물을 보는 감각의 작용; 시격; 시의 풍격(風格); 자격; 『문어』 그와 같이. 그렇게. 그처럼. 〔동의어〕そのように
長丸
丸
환약 이름에 붙이는 말. …환; 『조류』 기러기. 〔동의어〕かり·かりがね; 완강. 완고. {문어·タリ 활용}; 암; 『의학』 악성 종양; 조직·기구 내의 고질적인 장애; 신불(神佛)에 대한 기원; 『불교』; 관(棺); 눈; 봄. 꿰뚫어봄; 벼룻돌의 표면에 나타난 동심원(同心圓) 모양의 아름다운 무늬; ‘통찰력’ ‘판단력’의 뜻을 나타냄. 안
長
『문어』; 장. 우두머리. 두목. 〔동의어〕かしら·ちょう·首長; 가장 뛰어난 것; (베틀의) 바디
長四角
四角
사각; 네모; 모가 남. 모짐; (태도·상태가) 엄격함. 딱딱함. {문어·ナリ 활용 }; 사각; 사정 거리 안에 있으면서 쏘아맞히지 못하는 구역; 어떤 물체에 가리어서 그 각도에서는 보이지 않는 범위; 《「せきかく」의 慣用音》 자객. 암살자. 〔동의어〕しきゃく; 시각; 대상물의 양단에서 눈까지 그은 두 직선이 만드는 각; (변하여) 보는 눈의 각도·방향·견해; 시각; 사물을 보는 감각의 작용; 시격; 시의 풍격(風格); 자격; 『문어』 그와 같이. 그렇게. 그처럼. 〔동의어〕そのように
長
『문어』; 장. 우두머리. 두목. 〔동의어〕かしら·ちょう·首長; 가장 뛰어난 것; (베틀의) 바디
五角形
一角
一角
일각; 한 각. 한 모서리; 한 구석. 한 모퉁이. 〔동의어〕ひとすみ·片隅; 『동물·동물학』 일각고래. 〔동의어〕ウニコール·一角獣; 일획(一畵); (한자의) 한 획; (땅 등의) 한 구획. 한 부분; 일곽; 한 울 안의 지역; 그 일대
二角
角
각; 『문어』 각; 뿔. 〔동의어〕つの; 각적(角笛). 뿔피리. 〔동의어〕角笛; 각. 네모; 일본 장기짝의 하나. 〔동의어〕角行; 『수학』 각. 각도; 잘 지은 俳句; 획. 자획(字劃); 『문어』; 식객. 〔동의어〕居候; 격; 지위. 신분. 품격; (어떤 사물에 대한 주체적인) 법칙. 규칙; 방법. 방식; 『논리학』 삼단 논법에서, 대소 두 전제에 공통하는 매개념(媒槪念)의 위치에 따라 결정되는 형식; 핵; 『식물·식물학』 열매의 씨를 싸고 있는 단단한 부분. 〔동의어〕さね; 핵심. 중심; 세포의 중심에서 신진 대사나 유전을 맡는 물질; 「核兵器」의 준말; 『문어』 각; 훌륭한 건물. 〔동의어〕御殿; 『문어』 이처럼. 이와 같이. 이렇게. 〔동의어〕このように·こう; 《「搔く」와 같은 어원. 「…を~」의 꼴로 관용구를 만듦》; 무엇을 겉으로 드러내는 뜻을 나타냄; 당하다. 받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일부를) 깨다. 상하다. 이가 빠지게 하다; 필요한 것이 갖추어져 있지 않다. 빠지다. 결여하다; 소홀히 하다. 게을리하다; 『문어』 「欠ける」의 문어; (글씨를) 쓰다; (글을) 쓰다. 짓다; (그림이나 모양을) 그리다. 〔참고〕 3.은 「描く」 「画く」로도 씀. 【가능동사】 か·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두 사람 이상이) 메다. 〔동의어〕かつぐ. 【가능동사】 か·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긁다; (날붙이를 자기쪽으로 당겨) 베다. 자르다; (쟁기로) 일구다. 갈다; (현악기의 줄을) 타다. 퉁기다; (손·발 등으로) 긁듯이 헤치다; (갈퀴로) 긁어 모으다; 빗질하다. 〔동의어〕くしけずる; 휘저어 개다. 반죽하다; 칼로 깎다. 【가능동사】 か·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짜 맞추어[얽어서] 만들다. 꾸미다. 〔동의어〕構える; 〈「あぐらを~」의 꼴로〉 책상다리를 하다; (띠 등을) 졸라매다. 차다; 『문어』 확실함. 틀림없음. {문어·タリ 활용}
二
《名詞 등에 붙어 形容動詞의 어간을 만듦》 불. 부. 〔참고〕 관용상 「ぶ」로 되는 경우도 있으며, 이 때 흔히 「無」로도 씀; …을 하는 남자. 부. 원(員). 〔반의어〕 婦; …을 하는 여자. 부. 〔반의어〕 夫; 둘. ((소리내어 수를 셀 때의 말)) 〔동의어〕ふたつ·ふう; 중국 고대의 화폐; 『문어』 무녀. 무당; 『문어』 중심지; 《고어》 지방 관청. 또는 그 소재지; (일본 장기의) 졸. 〔동의어〕兵; 『문어』 부고. 부음. 〔동의어〕訃音; 『수학』 부. 음(陰). 〔반의어〕 正; 『물리』 음극(陰極); 부적; 옛날 상급 감독 관청에서 하급 관청에 내린 공문서; 부; 증표(證票); 기호. 부호; 《고어》 부. 풍부함. 부자임. 〔반의어〕 貧; 반점. 얼룩. 〔동의어〕まだら; 내장; 사려 분별. 생각. 근성(根性); 부; 『문학』 시경(詩經)의 육의(六義)의 하나. 비유법을 쓰지 않고 느낀 것을 그대로 읊는 시의 서술법; 『문학』 글귀 끝에 운(韻)을 달고 대구(對句)를 많이 쓰는 한문체(漢文體)의 하나; 토지 또는 인구에 할당되던 조세(租稅); 밀가루에서 얻어지는 글루텐으로 만든 식품. ((「生麩」와 「焼麩」가 있음)); 보; 『음악』 음보(音譜). 악보(樂譜); 기보(碁譜); 〈흔히, 接尾語적으로 씀〉 계통을 세워 순서 있게 적은 기록. 계보. 도감
三角
三角
삼각; 세모꼴. 삼각형. 〔동의어〕三角形; 〈「三角法」의 준말〉 삼각법; 참획. 계획에 참여함
四角
四角
사각; 네모; 모가 남. 모짐; (태도·상태가) 엄격함. 딱딱함. {문어·ナリ 활용 }; 사각; 사정 거리 안에 있으면서 쏘아맞히지 못하는 구역; 어떤 물체에 가리어서 그 각도에서는 보이지 않는 범위; 《「せきかく」의 慣用音》 자객. 암살자. 〔동의어〕しきゃく; 시각; 대상물의 양단에서 눈까지 그은 두 직선이 만드는 각; (변하여) 보는 눈의 각도·방향·견해; 시각; 사물을 보는 감각의 작용; 시격; 시의 풍격(風格); 자격; 『문어』 그와 같이. 그렇게. 그처럼. 〔동의어〕そのように
五角
角
각; 『문어』 각; 뿔. 〔동의어〕つの; 각적(角笛). 뿔피리. 〔동의어〕角笛; 각. 네모; 일본 장기짝의 하나. 〔동의어〕角行; 『수학』 각. 각도; 잘 지은 俳句; 획. 자획(字劃); 『문어』; 식객. 〔동의어〕居候; 격; 지위. 신분. 품격; (어떤 사물에 대한 주체적인) 법칙. 규칙; 방법. 방식; 『논리학』 삼단 논법에서, 대소 두 전제에 공통하는 매개념(媒槪念)의 위치에 따라 결정되는 형식; 핵; 『식물·식물학』 열매의 씨를 싸고 있는 단단한 부분. 〔동의어〕さね; 핵심. 중심; 세포의 중심에서 신진 대사나 유전을 맡는 물질; 「核兵器」의 준말; 『문어』 각; 훌륭한 건물. 〔동의어〕御殿; 『문어』 이처럼. 이와 같이. 이렇게. 〔동의어〕このように·こう; 《「搔く」와 같은 어원. 「…を~」의 꼴로 관용구를 만듦》; 무엇을 겉으로 드러내는 뜻을 나타냄; 당하다. 받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일부를) 깨다. 상하다. 이가 빠지게 하다; 필요한 것이 갖추어져 있지 않다. 빠지다. 결여하다; 소홀히 하다. 게을리하다; 『문어』 「欠ける」의 문어; (글씨를) 쓰다; (글을) 쓰다. 짓다; (그림이나 모양을) 그리다. 〔참고〕 3.은 「描く」 「画く」로도 씀. 【가능동사】 か·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두 사람 이상이) 메다. 〔동의어〕かつぐ. 【가능동사】 か·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긁다; (날붙이를 자기쪽으로 당겨) 베다. 자르다; (쟁기로) 일구다. 갈다; (현악기의 줄을) 타다. 퉁기다; (손·발 등으로) 긁듯이 헤치다; (갈퀴로) 긁어 모으다; 빗질하다. 〔동의어〕くしけずる; 휘저어 개다. 반죽하다; 칼로 깎다. 【가능동사】 か·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짜 맞추어[얽어서] 만들다. 꾸미다. 〔동의어〕構える; 〈「あぐらを~」의 꼴로〉 책상다리를 하다; (띠 등을) 졸라매다. 차다; 『문어』 확실함. 틀림없음. {문어·タリ 활용}
五
5. 다섯. 〔동의어〕ご·いつつ; 〈不定称의 指示代名詞〉 언제. 어느 때; 평소. 여느 때; 『문어』; 부정을 씻었음. 신성함; 일. 하나. 〔동의어〕いち; 둘 중 하나. 한쪽. 〔동의어〕一方; 같음. 동일; 〈「~に」의 꼴로 副詞적으로 씀〉 오로지. 전적으로; (세속을 떠나) 편히 지냄
五角形
ハート
ハート
하트; 마음. 애정; (카드에서) 붉은 심장 모양의 패
ダイヤ
ダイヤ
다이아. 〔동의어〕ダイア; 〈「ダイヤモンド」의 준말〉 다이아몬드. 금강석; 트럼프의 마름모 무늬의 카드; 〈「ダイヤグラム」의 준말〉 도표. 특히, 철도의 운행표
クローバー
クローバー
『식물·식물학』 클로버. 토끼풀. 〔동의어〕うまごやし·白詰草·クローバ
スペード
スペード
스페이드. 트럼프에서 검은 ♠모양을 나타낸 카드. 또는 그 모양
星
星
청; 세; 지질 시대의 구분의 단위; 세대·지위·칭호 등의 순서; 《「背」의 변한말》 신장. 키. 높이; 정; 『문어』 올바름. 바른 길. 〔반의어〕 邪; 정통. 본디의 것; 바르게 정리된 모양; 주가 되는 것. 정식. 〔반의어〕 副; 『수학』 양(陽). 플러스. 〔반의어〕 負; 『철학』 (변증법에서) 정립(定立); 「正編」의 준말. 〔반의어〕 続; 정; 정식의 것. 주가 되는 것. 〔반의어〕 副; 틀림없음. 올바름; 장(長). 주임; 생; 삶. 살아감. 인생; 매일의 살림. 생활. 생업; 목숨. 생명;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남자가 자기를 일컫는 겸사말. 소생(小生); 생; 식물의 생장 연수; 학생·생도; 남자가 자기의 성명 밑에 붙여 겸양을 나타내는 말; 서. 서쪽. 〔동의어〕さい; 「西班牙」의 약자; 제도. 규정; 제. 제도; 성. 성씨. 〔동의어〕みょうじ; ⇒ かばね; 성; 『문어』 천성. 본성. 성질; 만물의 본질; 남녀·자웅의 구별; 성욕. 생식. 〔동의어〕セックス; 『언어학』 (인도유럽어에서) 관사·명사·대명사 등에 있는 남성·여성·중성의 구별; 《名詞·形容詞의 語幹에 붙어》 …와 같은 성질. …성; 세. 기세. 힘; 병력. 군세(軍勢); 성. 성인(聖人). 〔동의어〕ひじり; 《흔히, 連体形 「~なる」의 꼴로 씀》 성. 거룩함. 신성함; 성; [saint]『기독교』 시성(諡聖)된 이의 이름 앞에 붙이는 말; 신성한; 『문어』 자상함. 〔반의어〕 粗. {문어·ナリ 활용 }; 정력. 원기. 기력; 순수. 정수(精髓); (어떤 사물의) 혼(魂). 요정(妖精). 정령(精靈); 정자(精子). 정액; (곡물을) 쓿음. 대낌; 『문어』 정. 조용함. 〔반의어〕 動; 탓. 원인. 이유
月
月
《「月曜日」의 준말》 월; 《「…か~」의 꼴로》 …(개)월
丸
丸
환약 이름에 붙이는 말. …환; 『조류』 기러기. 〔동의어〕かり·かりがね; 완강. 완고. {문어·タリ 활용}; 암; 『의학』 악성 종양; 조직·기구 내의 고질적인 장애; 신불(神佛)에 대한 기원; 『불교』; 관(棺); 눈; 봄. 꿰뚫어봄; 벼룻돌의 표면에 나타난 동심원(同心圓) 모양의 아름다운 무늬; ‘통찰력’ ‘판단력’의 뜻을 나타냄. 안
三角
三角
삼각; 세모꼴. 삼각형. 〔동의어〕三角形; 〈「三角法」의 준말〉 삼각법; 참획. 계획에 참여함
四角
四角
사각; 네모; 모가 남. 모짐; (태도·상태가) 엄격함. 딱딱함. {문어·ナリ 활용 }; 사각; 사정 거리 안에 있으면서 쏘아맞히지 못하는 구역; 어떤 물체에 가리어서 그 각도에서는 보이지 않는 범위; 《「せきかく」의 慣用音》 자객. 암살자. 〔동의어〕しきゃく; 시각; 대상물의 양단에서 눈까지 그은 두 직선이 만드는 각; (변하여) 보는 눈의 각도·방향·견해; 시각; 사물을 보는 감각의 작용; 시격; 시의 풍격(風格); 자격; 『문어』 그와 같이. 그렇게. 그처럼. 〔동의어〕そのように
長丸
丸
환약 이름에 붙이는 말. …환; 『조류』 기러기. 〔동의어〕かり·かりがね; 완강. 완고. {문어·タリ 활용}; 암; 『의학』 악성 종양; 조직·기구 내의 고질적인 장애; 신불(神佛)에 대한 기원; 『불교』; 관(棺); 눈; 봄. 꿰뚫어봄; 벼룻돌의 표면에 나타난 동심원(同心圓) 모양의 아름다운 무늬; ‘통찰력’ ‘판단력’의 뜻을 나타냄. 안
長
『문어』; 장. 우두머리. 두목. 〔동의어〕かしら·ちょう·首長; 가장 뛰어난 것; (베틀의) 바디
長四角
四角
사각; 네모; 모가 남. 모짐; (태도·상태가) 엄격함. 딱딱함. {문어·ナリ 활용 }; 사각; 사정 거리 안에 있으면서 쏘아맞히지 못하는 구역; 어떤 물체에 가리어서 그 각도에서는 보이지 않는 범위; 《「せきかく」의 慣用音》 자객. 암살자. 〔동의어〕しきゃく; 시각; 대상물의 양단에서 눈까지 그은 두 직선이 만드는 각; (변하여) 보는 눈의 각도·방향·견해; 시각; 사물을 보는 감각의 작용; 시격; 시의 풍격(風格); 자격; 『문어』 그와 같이. 그렇게. 그처럼. 〔동의어〕そのように
長
『문어』; 장. 우두머리. 두목. 〔동의어〕かしら·ちょう·首長; 가장 뛰어난 것; (베틀의) 바디
五角形
ハート
ハート
하트; 마음. 애정; (카드에서) 붉은 심장 모양의 패
ダイヤ
ダイヤ
다이아. 〔동의어〕ダイア; 〈「ダイヤモンド」의 준말〉 다이아몬드. 금강석; 트럼프의 마름모 무늬의 카드; 〈「ダイヤグラム」의 준말〉 도표. 특히, 철도의 운행표
クローバー
クローバー
『식물·식물학』 클로버. 토끼풀. 〔동의어〕うまごやし·白詰草·クローバ
スペード
スペード
스페이드. 트럼프에서 검은 ♠모양을 나타낸 카드. 또는 그 모양
星
星
청; 세; 지질 시대의 구분의 단위; 세대·지위·칭호 등의 순서; 《「背」의 변한말》 신장. 키. 높이; 정; 『문어』 올바름. 바른 길. 〔반의어〕 邪; 정통. 본디의 것; 바르게 정리된 모양; 주가 되는 것. 정식. 〔반의어〕 副; 『수학』 양(陽). 플러스. 〔반의어〕 負; 『철학』 (변증법에서) 정립(定立); 「正編」의 준말. 〔반의어〕 続; 정; 정식의 것. 주가 되는 것. 〔반의어〕 副; 틀림없음. 올바름; 장(長). 주임; 생; 삶. 살아감. 인생; 매일의 살림. 생활. 생업; 목숨. 생명;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남자가 자기를 일컫는 겸사말. 소생(小生); 생; 식물의 생장 연수; 학생·생도; 남자가 자기의 성명 밑에 붙여 겸양을 나타내는 말; 서. 서쪽. 〔동의어〕さい; 「西班牙」의 약자; 제도. 규정; 제. 제도; 성. 성씨. 〔동의어〕みょうじ; ⇒ かばね; 성; 『문어』 천성. 본성. 성질; 만물의 본질; 남녀·자웅의 구별; 성욕. 생식. 〔동의어〕セックス; 『언어학』 (인도유럽어에서) 관사·명사·대명사 등에 있는 남성·여성·중성의 구별; 《名詞·形容詞의 語幹에 붙어》 …와 같은 성질. …성; 세. 기세. 힘; 병력. 군세(軍勢); 성. 성인(聖人). 〔동의어〕ひじり; 《흔히, 連体形 「~なる」의 꼴로 씀》 성. 거룩함. 신성함; 성; [saint]『기독교』 시성(諡聖)된 이의 이름 앞에 붙이는 말; 신성한; 『문어』 자상함. 〔반의어〕 粗. {문어·ナリ 활용 }; 정력. 원기. 기력; 순수. 정수(精髓); (어떤 사물의) 혼(魂). 요정(妖精). 정령(精靈); 정자(精子). 정액; (곡물을) 쓿음. 대낌; 『문어』 정. 조용함. 〔반의어〕 動; 탓. 원인. 이유
月
月
《「月曜日」의 준말》 월; 《「…か~」의 꼴로》 …(개)월
形の名前
形
굳은. 딱딱한; (한 쌍 중의) 한쪽. 짝. 편; (둘이 있어야 할 것 중의 한쪽을 가리키는) 짝. 외; 불완전함; 한쪽에 치우침; 약간. 조금; 형. 모양. 형상. 〔동의어〕かたち; 저당. 담보. 〔동의어〕抵当; 흔적. 자국; 어깨; 어깨와 비슷한 부분. 산꼭대기에 가까운 평평한 부분; 옷의 어깨 부분; 물건 위쪽의 모서리 부분; 형. 본. 틀. 거푸집. 골; 무도(武道)·예도(藝道)·운동 등의, 규범이 되는 동작이나 일정한 형(型). 폼. 〔동의어〕フォーム; 습관으로 정해진 형식. 틀. 관례; 전형(典型). 형. 유형(類型). 〔동의어〕タイプ·パターン; 크기. 사이즈; 『지리·지학·지명』 사구(砂丘) 등으로 바다와 분리되어 생긴 호수나 늪. 석호(潟湖). 〔동의어〕せきこ; 개펄. 간석지(干潟地). 〔동의어〕ひがた; 《関西(관서)방언》 만(灣); 『문어』 과다. 퍽 많음. {문어·ナリ 활용 }; 분. ((남에 대한 높임말)); 『문어』 방향. 방위. 쪽. 편. 〔동의어〕むき·方位; 『문어』 즈음. 시절. 무렵. 시대. 〔동의어〕ころ·時分; 『문어』 장소. 곳; 『문어』 〈흔히 否定語가 따름〉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를) 방법. 수단; 둘 가운데 한쪽. 편; 담당자. 〔동의어〕係; 〈남의 이름에 붙어〉 그 사람 집에 의지하고 있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방법. 수단; 〈動詞의 連用形이나 サ変動詞의 語幹에 붙어〉 …을 함. …하기; 사람을 셀 때의 높임말. 분. ((「おひとかた(한 분)」 「おふたかた(두 분)」 「おさんかた(세 분)」의 꼴로만 씀)); 『문어』 과다함. 〔반의어〕 過少. {문어·ナリ 활용 }
名前
이름; 명칭; 성명. 성과 이름; (성을 뺀) 이름
Sunshine
Sunshine君の知らない物語
緊急消防援助隊ヘリが新潟に出動 被害状況把握へ 東京消防庁(2024年1月2日)
Japanese Words - Exercise!
国内の自動車8社の世界生産台数 今月も7社大幅減(2021年11月29日)
中国不動産大手「中国恒大集団」CEO辞任 不適切な資金流用で(2022年7月23日)
ヤマト運輸も配達遅れか 五輪期間中の会場周辺など(2021年7月7日)
スタバがご当地フラペチーノ 47都道府県それぞれ・・・(2021年6月23日)
きょう東京都で新たに感染が確認されたのは107人(20/07/02)
富山市特産 呉羽梨「幸水」の収穫始まる 平年より糖度↑(2023年8月6日)
You need to upgrade to a premium account to using this feature
Are you sure you want to test again?
Please upgrade your account to read unlimited newspap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