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死にたいなんて言うなよ。」
「死にたいなんて言うなよ。」
「諦めないで生きろよ。」
そんな歌が正しいなんて馬鹿げてるよな。
実際自分は死んでもよくて周りが死んだら悲しくて
「それが嫌だから」っていうエゴなんです。
他人が生きてもどうでもよくて
誰かを嫌うこともファッションで
それでも「平和に生きよう」
なんて素敵なことでしょう。
画面の先では誰かが死んで
それを嘆いて誰かが歌って
それに感化された少年が
ナイフを持って走った。
僕らは命に嫌われている。
価値観もエゴも押し付けていつも誰かを殺したい歌を
簡単に電波で流した。
僕らは命に嫌われている。
軽々しく死にたいだとか
軽々しく命を見てる僕らは命に嫌われている。
お金がないので今日も一日中惰眠を謳歌する
生きる意味なんて見出せず、無駄を自覚して息をする。
「寂しい」なんて言葉でこの傷が表せていいものか
そんな意地ばかり抱え今日も一人ベッドに眠る
少年だった僕たちはいつか青年に変わってく。
年老いていつか 枯れ葉のように誰にも知られず朽ちていく。
不死身の身体を手に入れて、一生死なずに生きていく。
そんなSFを妄想してる
自分が死んでもどうでもよくて
それでも周りに生きて欲しくて
矛盾を抱えて生きてくなんて怒られてしまう。
「正しいものは正しくいなさい。」
「死にたくないなら生きていなさい。」
悲しくなるならそれでもいいなら
ずっと一人で笑えよ。
僕らは命に嫌われている。
幸福の意味すらわからず、産まれた環境ばかり憎んで
簡単に過去ばかり呪う。
僕らは命に嫌われている。
さよならばかりが好きすぎて本当の別れなど知らない僕らは命に嫌われている。
幸福も別れも愛情も友情も
滑稽な夢の戯れで全部カネで買える代物。
明日死んでしまうかもしれない。
すべて無駄になるかもしれない。
朝も夜も春も秋も
変わらず誰かがどこかで死ぬ。
夢も明日も何もいらない。
君が生きていたならそれでいい。
そうだ。本当はそういうことが歌いたい。
命に嫌われている。
結局いつかは死んでいく。
君だって僕だっていつかは枯れ葉にように朽ちてく。
それでも僕らは必死に生きて
命を必死に抱えて生きて
殺してあがいて笑って抱えて
生きて、生きて、生きて、生きて、生きろ。
命に嫌われている。
「死にたいなんて言うなよ。」
言う
말하다; 이야기하다. 지껄이다; 묻다; 명령하다. 의뢰하다; (의견을) 진술하다; 조언하다. 비평하다; 표현하다; 〈「…を…と~」의 꼴로〉 …을 …이라고 (말)하다[부르다·일컫다]; 소리가 나다. 소리를 내다. 소리가 들리다; 〈「…と~」+体言, 「…と~·った」+体言, 「…と~·います」+体言의 꼴로〉 …이라는. …이라 하는. 〔참고〕 「いう」 자체는 실질적인 뜻이 없으며, 흔히 仮名로 씀; 〈「…と~」의 앞뒤에 같은 体言이 붙어〉 …이라는 …은(는) 모두; 〈상태를 나타내는 말에 「…と~·ったらない」 「…と~ものはない」가 이어져〉 이 이상 …한 것은 없다. 정말이지 …하다. 〔참고〕 「…といったらない」는 「…ったらない」로도 씀. 어형(語形)이 「いう」의 꼴이지만 발음은 「ユー」로 함. 현대 かな 쓰기에서 활용의 설명상 「いう」로 씀. 【가능동사】 い·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死ぬ
죽다; 숨지다. 〔반의어〕 生まれる; (활동이) 멎다. 자다; 활기가 없어지다. 생기가 없어지다; 활용되지 않다; (바둑에서) 잡히다; (야구에서) 아웃되다. 3.~6. 〔반의어〕 生きる. 【가능동사】 し·ね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ナ 行 활용 }
なんて
의문·영탄의 뜻을 나타냄. 무어라고. 어쩌면 그렇게; 《「なんという」의 준말》 이렇다 할. 무어라고 할; 《副助詞 「など」에 格助詞 「と」가 붙은 「などと」의 변한말. 体言 또는 体言에 준하는 말 또는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음》; …라는 둥. …라느니 하는; 따위. …같은 것. 〔동의어〕なんか; 의외·놀람·비판의 뜻을 나타냄. …이라니. …하다니
「諦めないで生きろよ。」
生きる
《고어》; 흥분하여 화내다. 설치다; 살다; 생존하다. 목숨을 지니다. 생명이 있다; 생활하다. 지내다. 생계를 세우다; (비유적으로) 존재하다. 있다; 가치를 지니다. 쓸모가 있다. 유효하다; 생동하다. 생생하다. 생기를 띠다; (장기·바둑·경기 등에서) 죽지 않다; (교정·작문 등에서) 일단 고친 부분이 되살다. 1.~6. 〔반의어〕 死ぬ. 【문어형】 い·く {상2단 활용}
諦める
『문어』; 마음을 밝고 즐겁게 하다. あきら·む {하2단 활용}; 단념하다. 체념하다. 【문어형】 あきら·む {하2단 활용}
そんな歌が正しいなんて馬鹿げてるよな。
そんな
그런. 그와 같은
正しい
(모양 등이) 바르다. 곧다; (몸가짐·언행·판단 등이) 바르다. 옳다. 맞다; 정당하다. 옳다. 올바르다. ただし·さ 【명사】 【문어형】 ただ·し {シク 활용}
歌
노래. ((동요·가요·민요·속요 등의 총칭)) 〔참고〕 「唄」라고도 씀; 短歌. 和歌. ((넓은 뜻으로는 시))
なんて
의문·영탄의 뜻을 나타냄. 무어라고. 어쩌면 그렇게; 《「なんという」의 준말》 이렇다 할. 무어라고 할; 《副助詞 「など」에 格助詞 「と」가 붙은 「などと」의 변한말. 体言 또는 体言에 준하는 말 또는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음》; …라는 둥. …라느니 하는; 따위. …같은 것. 〔동의어〕なんか; 의외·놀람·비판의 뜻을 나타냄. …이라니. …하다니
馬鹿げる
《흔히, 「~·げて」 「~·げた」 등으로 씀》 시시하게 여겨지다. 바보스럽게 느껴지다
実際自分は死んでもよくて周りが死んだら悲しくて
悲しい
슬프다; 애처롭다. 딱하다. 구슬프다. かなし·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かなし·げ 【형용동사】 かなし·さ 【명사】 かなし·み 【명사】 【문어형】 かな·し {シク 활용}; ⇒ 愛し
実際
실제; 정말로. 참으로. 〔동의어〕ほんとうに·まったく
死ぬ
죽다; 숨지다. 〔반의어〕 生まれる; (활동이) 멎다. 자다; 활기가 없어지다. 생기가 없어지다; 활용되지 않다; (바둑에서) 잡히다; (야구에서) 아웃되다. 3.~6. 〔반의어〕 生きる. 【가능동사】 し·ね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ナ 行 활용 }
自分
무렵. 대체적인 시기·시각; 적당한 때. 기회. 시기; (중국에서 신문의 논설 등에 쓰는) 현대어체(現代語體)의 문장; 그 시대의 글. 당시의 글; 그 사람 자신. 자기 자신;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동의어〕わたくし
「それが嫌だから」っていうエゴなんです。
嫌
《고어》 공경함. 존경함. 예의; 『문어』; 점점. 더욱더. 〔동의어〕いよいよ·ますます; 대단히. 한층 더. 가일층; 가장. 제일; 놀람·감동·탄식을 나타내는 말. 야. 〔동의어〕やあ·ああ. 〔참고〕 길게 「いやあ」라고도 함; 아니. 아니오. 〔동의어〕いいえ; 그러면. 〔동의어〕それでは; 싫음. 바라지 않음. 좋아하지[하고 싶지] 않음; 불쾌함. いやが·る 【5단 활용 타동사】 いやさ 【명사】 {문어·ナリ 활용 }
他人が生きてもどうでもよくて
生きる
《고어》; 흥분하여 화내다. 설치다; 살다; 생존하다. 목숨을 지니다. 생명이 있다; 생활하다. 지내다. 생계를 세우다; (비유적으로) 존재하다. 있다; 가치를 지니다. 쓸모가 있다. 유효하다; 생동하다. 생생하다. 생기를 띠다; (장기·바둑·경기 등에서) 죽지 않다; (교정·작문 등에서) 일단 고친 부분이 되살다. 1.~6. 〔반의어〕 死ぬ. 【문어형】 い·く {상2단 활용}
他人
타인. 남; 자기 이외의 다른 사람; 혈연 관계가 없는 사람; 그 일에 전혀 관계가 없는 제삼자
誰かを嫌うこともファッションで
嫌う
싫어하다. 좋아하지 않다. 미워하다. 〔반의어〕 好く; 꺼리다. 피하다. 〔동의어〕忌む; 〈「~·わず」의 꼴로〉 가리지 않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誰
수. 오행(五行)의 다섯째. ((계절은 겨울, 방위로는 북, 색은 검정임)); 「水曜日」의 준말; 《속어》 당밀즙(糖蜜汁)만을 탄 얼음물; 물. 액체; 순수함. 또는 그런 것; 뛰어난 것. 정수(精粹); 세상 물정에 밝아 인정의 기미(機微)를 잘 앎. 특히, 남녀간의 애정에 이해가 많음. {문어·ナリ 활용 }; 화류계·예능계의 사정에 밝음. 멋을[풍류를] 앎. (언동이) 세련되어 있음. {문어·ナリ 활용 }; 추; 저울추. 분동; 방추(紡錘)를 세는 말; 시다. 신맛이 있다. 〔동의어〕すっぱい. 【문어형】 す·し {ク 활용}
ファッション
패션. 유행. 특히, 의상 유행. 또는 유행하는 의상. 또는 머리 모양 등
それでも「平和に生きよう」
生きる
《고어》; 흥분하여 화내다. 설치다; 살다; 생존하다. 목숨을 지니다. 생명이 있다; 생활하다. 지내다. 생계를 세우다; (비유적으로) 존재하다. 있다; 가치를 지니다. 쓸모가 있다. 유효하다; 생동하다. 생생하다. 생기를 띠다; (장기·바둑·경기 등에서) 죽지 않다; (교정·작문 등에서) 일단 고친 부분이 되살다. 1.~6. 〔반의어〕 死ぬ. 【문어형】 い·く {상2단 활용}
平和
평화. {문어·ナリ 활용 }; 『언어학』 (중국어에서) 백화(白話)의 문체(文體)
それでも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런데도
なんて素敵なことでしょう。
なんて
의문·영탄의 뜻을 나타냄. 무어라고. 어쩌면 그렇게; 《「なんという」의 준말》 이렇다 할. 무어라고 할; 《副助詞 「など」에 格助詞 「と」가 붙은 「などと」의 변한말. 体言 또는 体言에 준하는 말 또는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음》; …라는 둥. …라느니 하는; 따위. …같은 것. 〔동의어〕なんか; 의외·놀람·비판의 뜻을 나타냄. …이라니. …하다니
素敵
매우 근사함. 매우 훌륭함. 아주 멋짐. ((주로 여성이 씀)); 굉장함. 대단함. 〔참고〕 1.2. 모두 「素的」 「素適」 등으로도 씀. {문어·ナリ 활용 }
画面の先では誰かが死んで
誰
수. 오행(五行)의 다섯째. ((계절은 겨울, 방위로는 북, 색은 검정임)); 「水曜日」의 준말; 《속어》 당밀즙(糖蜜汁)만을 탄 얼음물; 물. 액체; 순수함. 또는 그런 것; 뛰어난 것. 정수(精粹); 세상 물정에 밝아 인정의 기미(機微)를 잘 앎. 특히, 남녀간의 애정에 이해가 많음. {문어·ナリ 활용 }; 화류계·예능계의 사정에 밝음. 멋을[풍류를] 앎. (언동이) 세련되어 있음. {문어·ナリ 활용 }; 추; 저울추. 분동; 방추(紡錘)를 세는 말; 시다. 신맛이 있다. 〔동의어〕すっぱい. 【문어형】 す·し {ク 활용}
先
끝; 앞. 선두; 그곳으로부터 떨어진 곳. 전방; 행선지. 목적지; (장사나 교섭의) 상대편; 앞날. 장래. 전도; 먼저; 이전. 과거. 〔반의어〕 あと·のち; 이어지는 부분. 남은 부분; 『문어』 복. 행복. 〔동의어〕さち; 꽃이 핌. 개화(開花); 산부리. 〔동의어〕ではな; 좌기. (세로쓰기 문장에서) 다음에 적음
死ぬ
죽다; 숨지다. 〔반의어〕 生まれる; (활동이) 멎다. 자다; 활기가 없어지다. 생기가 없어지다; 활용되지 않다; (바둑에서) 잡히다; (야구에서) 아웃되다. 3.~6. 〔반의어〕 生きる. 【가능동사】 し·ね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ナ 行 활용 }
画面
화면; 그림의 표면; 필름의 표면; (영화·텔레비전 등의) 영상
それを嘆いて誰かが歌って
嘆く
한탄하다. 슬퍼하다; 《고어》 애원하다. 탄원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誰
수. 오행(五行)의 다섯째. ((계절은 겨울, 방위로는 북, 색은 검정임)); 「水曜日」의 준말; 《속어》 당밀즙(糖蜜汁)만을 탄 얼음물; 물. 액체; 순수함. 또는 그런 것; 뛰어난 것. 정수(精粹); 세상 물정에 밝아 인정의 기미(機微)를 잘 앎. 특히, 남녀간의 애정에 이해가 많음. {문어·ナリ 활용 }; 화류계·예능계의 사정에 밝음. 멋을[풍류를] 앎. (언동이) 세련되어 있음. {문어·ナリ 활용 }; 추; 저울추. 분동; 방추(紡錘)를 세는 말; 시다. 신맛이 있다. 〔동의어〕すっぱい. 【문어형】 す·し {ク 활용}
歌う
노래하다. 노래부르다; 和歌나 시(詩)로 나타내다. 읊다; (새가) 지저귀다. 울다. 〔참고〕 1.은 「謡う」 「唄う」로도, 2.는 「詠う」로도 씀. 【가능동사】 うた·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구가(謳歌)하다; 널리 알려지게 말하다. 강조하여 말하다; 〈「~·われる」의 꼴로〉 칭찬받다. 구가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それに感化された少年が
それに
그런데도. 그러함에도; 게다가. 더욱이
少年
소년; 나이 어린[적은] 사람. 특히, 나이 어린 남자. 〔반의어〕 少女; (소년법에서) 만 20세 미만인 자. (아동 복지법에서) 초등 학생부터 만 18세에 이른 자; 정념; 『불교』 정법(正法)만을 생각함. 흔들리지 않는 신앙심; 본심. 제정신; 『문어』 나이. 연령. 〔동의어〕年. 〔참고〕 「せいねん」은 딴말임
感化
『문어』 간과; 방패와 창. 무기. 무력; 전쟁. 〔동의어〕戦争; 『문어』 간과; 보지 못하고 넘어감; 환가. 환자의 집. ((의사의 입장에서 이르는 말)) 〔동의어〕病家; 『문어』 한가. 여가. 〔동의어〕ひま. {문어·ナリ 활용 }; 『문어』 환가; 『법률』 압류한 재산 등을 금전으로 바꿈; 『문어』 관용. 너그러이 눈감아 줌; 감화; 『문어』 감하. 은혜를 마음 깊이 느끼고 고맙게 여김. 감패(感佩). 〔동의어〕感佩; 관하. 관내; 『문어』 감하. 내려다봄; 『문어』 감가; 길이 험하여 가기 힘듦; 때를 만나지 못하여 뜻을 이루지 못함. 불우; 『문어』 환과. 홀아비와 과부
ナイフを持って走った。
ナイフ
나이프. 서양식 작은 칼
走る
달리다. 뛰다. 빨리 움직이다; 달아나다; 빨리[세차게] 흐르다. 용솟음치다; (하천·길 등이) 뻗다. 통하다; 미끄러지듯 움직이다; (감정 등이) 순간적으로 스쳐 지나가다; (갑자기 어떤 방향으로) 기울다. 치우치다. 치닫다. 내닫다. 【가능동사】 はし·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持つ
《속어》 《「臓物」의 준말》 요리의 재료로서의, 닭·소·돼지 등의 내장; 지속하다. 지탱하다. 견디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손에) 들다; (몸에) 지니다. 휴대하다; 소유하다; 존재하다. 있다; 마음에 품다; 맡다. 담당하다. 부담하다; 어떤 성질·속성 등을 지니다. 갖추다; 개최하다. 〔동의어〕開く; 관계하다; 〈「…をもって」 「…をもちまして」의 꼴로〉 …에 의해서. 【가능동사】 も·て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僕らは命に嫌われている。
命
목숨. 생명; 수명. 명; (비유적으로) 가장 중요한 것
嫌う
싫어하다. 좋아하지 않다. 미워하다. 〔반의어〕 好く; 꺼리다. 피하다. 〔동의어〕忌む; 〈「~·わず」의 꼴로〉 가리지 않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価値観もエゴも押し付けていつも誰かを殺したい歌を
いつも
언제나. 항상. 늘. 〔동의어〕常に; 평소. 평상시. 여느 때. 〔동의어〕平生
価値
도보. ((예스러운 말)); (江戸 시대에) 도보로 주군(主君)을 수종(隨從)하던 하급 무사. ((말을 탈 수 없었음)) 〔동의어〕かちざむらい; 이김. 승리. 〔동의어〕勝利. 〔반의어〕 負け; 짙은 쪽빛. 〔동의어〕かちいろ; 가치. 값어치. 〔동의어〕ねうち
殺す
살해하다. 죽이다. 〔반의어〕 生かす; 눌러 참다. 억누르다; (야구에서) 아웃시키다; (바둑·씨름 등에서) 상대편의 공격의 수를 봉쇄하다; 못쓰게 만들다. 썩이다; (남녀 관계에서) 상대편을 뇌쇄(惱殺)하다. 녹이다; 없애다. 【가능동사】 ころ·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誰
수. 오행(五行)의 다섯째. ((계절은 겨울, 방위로는 북, 색은 검정임)); 「水曜日」의 준말; 《속어》 당밀즙(糖蜜汁)만을 탄 얼음물; 물. 액체; 순수함. 또는 그런 것; 뛰어난 것. 정수(精粹); 세상 물정에 밝아 인정의 기미(機微)를 잘 앎. 특히, 남녀간의 애정에 이해가 많음. {문어·ナリ 활용 }; 화류계·예능계의 사정에 밝음. 멋을[풍류를] 앎. (언동이) 세련되어 있음. {문어·ナリ 활용 }; 추; 저울추. 분동; 방추(紡錘)를 세는 말; 시다. 신맛이 있다. 〔동의어〕すっぱい. 【문어형】 す·し {ク 활용}
観
간. 간행. 출간(出刊). 출판; 감; 감독; 감방(監房); 관; (공공의) 건물 등에 붙는 말; 여관 등의 이름에 붙는 말; 장대의 수효를 세는 말; 캔; 깡통; 〈「缶詰め」의 준말〉 통조림. 〔참고〕 「缶」 「缶」 「鑵」은 차자; 『음악』 (일본 고유 음악에서) 높은 음역. 또는 기본음의 한 옥타브 높은 음; 『문어』 간. 간악함. 간사함. 또는 그런 사람; 『문어』 완; 「完全」 「完備」 등의 준말; 『문어』; 간. 간장; 마음; 관. 관청. 관리(官吏). 관직; ‘관리’ ‘공무원’ 등의 뜻을 나타냄. 관; 『문어』 관. 〔동의어〕かんむり; 으뜸감. {문어·タリ 활용}; 두루마리; 책; 권; 두루마리·필름·테이프 등의 수효; 책의 수효; 『문어』 (…처럼) 보임; 10일간. 순(旬). 〔참고〕 ‘씻다’의 뜻으로, 고대 중국에서 관리가 10일마다 휴가가 있어 목욕을 했던 데서; 『의학』 신경질적이고 짜증을 잘 내는 신경성 소아병; (사물의 사정이나 의미를) 직감으로 깨닫는 능력. 육감(六感). 직감력; 관. ((척관법의 무게의 단위)); 鎌倉 시대 이후 무가(武家)의 녹봉의 단위. ((1관은 10석(石))); 『문어』 겨울 추위; (24절기의) 대한과 소한의 시기. ((1월 6일경에서 2월 4일경까지의 약 30일간)) 1.2.〔동의어〕暑; 관. 관구. 〔동의어〕ひつぎ; 『문어』 정성. 충성; 『문어』 정의(情誼); 『경제』 예산·계정 과목의 분류명. 관. ((항(項)의 위, 부(部)의 아래)); 금속이나 돌에, 문자를 표면보다 움푹 들어가게 새김. 또는 그 문자; 간. 사이; 기회. 틈; 첩자; 불화; 《名詞에 붙어》 ‘…의 사이’ ‘…과 …의 사이’의 뜻을 나타냄. 간; 『문어』 관대하고 정이 깊음. 너그러움. 느슨함. {문어·ナリ 활용 }; 감. 느낌. 감회; 감동; ‘…의 느낌’의 뜻을 나타냄. 감; 관. 파이프. 〔동의어〕くだ; 붓·피리 등의 수효. 자루; 문빗장; 관문(關門). 〔동의어〕せき·関門; 『문어』 기쁨. 즐거움; 함. (편지의) 봉함; 『문어』 (일의 진행이) 느림. 완함. 더딤. {문어·ナリ 활용 }; (중탕으로) 술을 알맞게 데움. 또는 그 데우는 정도; 고리; 감정이 격하고 화를 잘 내는 기질. 신경질. 피새; 한; 한국. 〔동의어〕韓国; 대한 (제국); (중국 전국 시대의) 칠웅(七雄)의 하나; 편지. 서간. 서찰; 『문어』 간단함. 간략함. 간명함; 고대 중국에서, 종이가 발명되기 전에 글씨를 쓰기 위해 사용한 대쪽; 사람·사물을 외부에서 본 느낌. 양상; 도교(道敎)에서, 도사가 있는 곳; ‘…에 대한 사고 방식’ ‘…에 대한 견해’ 등의 뜻을 나타냄. 관; 갱; 고기나 야채를 넣어 끓인 국; 설날에 먹는 일본식 떡국에 넣는 떡. 또는 그 떡국; 『문어』 함. 군함; 서랍 등의 손잡이로 쓰는 고리 모양의 쇠붙이. 고리 손잡이쇠; 『문어』 한가함; ‘한가한’ ‘조용한’ ‘쓸모 없는’ 등의 뜻을 나타냄. 한; 한; 『역사』 중국 고대 왕조의 하나; (변하여) 중국 본토. 또는 그 곳에 사는 민족; ‘(성인) 남자’의 뜻을 나타냄. 한
歌
노래. ((동요·가요·민요·속요 등의 총칭)) 〔참고〕 「唄」라고도 씀; 短歌. 和歌. ((넓은 뜻으로는 시))
押し付ける
밀어붙이다. 내리누르다; (일·책임 등을 억지로) 떠맡기다
簡単に電波で流した。
簡単
『문어』 간담. 간과 쓸개. (변하여) 속마음. 진정; 『곤충』 긴꼬리; 한단. 중국, 전국 시대의 조(趙)나라의 서울; 감탄; 간단. 〔반의어〕 複雑. 〔참고〕 「簡短」이라고도 씀. {문어·ナリ 활용 }
流す
(액체·기체·소리·전기 등을) 흘리다. 흐르게 하다; 띄워보내다. 떠내려 보내다; 씻어내다; 없었던 것으로 잊어버리다. 마음에 두지 않다. 흘려 버리다; (소문 등을) 퍼뜨리다. 널리 알리다; 유배시키다. 귀양보내다; 〈自動詞적으로 써서〉 (안마사·악사·택시 등이) 손을 찾아 돌아다니다; 유산(流産)시키다; (계획·회의 등을) 취소하다. 중지하다; 유질(流質)시키다; 〈動詞의 連用形을 받아〉 건성으로 …하다; (야구에서) 밀어 치다; 몰래 넘겨주다; 수월하게 해치우다. 【가능동사】 なが·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電波
전파; 전하여 널리 퍼짐. 파급; 『물리』 파동(波動)이 퍼져 감; 『물리』 전파
僕らは命に嫌われている。
命
목숨. 생명; 수명. 명; (비유적으로) 가장 중요한 것
嫌う
싫어하다. 좋아하지 않다. 미워하다. 〔반의어〕 好く; 꺼리다. 피하다. 〔동의어〕忌む; 〈「~·わず」의 꼴로〉 가리지 않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軽々しく死にたいだとか
死ぬ
죽다; 숨지다. 〔반의어〕 生まれる; (활동이) 멎다. 자다; 활기가 없어지다. 생기가 없어지다; 활용되지 않다; (바둑에서) 잡히다; (야구에서) 아웃되다. 3.~6. 〔반의어〕 生きる. 【가능동사】 し·ね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ナ 行 활용 }
軽々しく命を見てる僕らは命に嫌われている。
見る
『식물·식물학』 청각채; 보다. 눈으로 인식하다; 구경하다. 관람하다; 읽다; 살피다. 살펴보다; 관찰하여 판단하다. 〔참고〕 ‘진찰하다’의 뜻으로는 흔히, 「診る」를 씀; (시각 외의 감각으로) 파악하다; 당하다. 경험하다. 겪다; 맡아보다. 돌보다. 보살피다; 평가하다. 간주하다; 〈「…と~」의 꼴로〉 …로 보다. …로 생각하다[간주하다]. {문어·상1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て[で]」를 받아서》; (시험적으로) …해 보다; 〈「…てみると」 「…てみたら」 「…てみれば」의 꼴로〉 …해 보면. …해보니. …해 보니까. 〔참고〕 보통 かな로 씀. {문어·상1단 활용}
命
목숨. 생명; 수명. 명; (비유적으로) 가장 중요한 것
嫌う
싫어하다. 좋아하지 않다. 미워하다. 〔반의어〕 好く; 꺼리다. 피하다. 〔동의어〕忌む; 〈「~·わず」의 꼴로〉 가리지 않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お金がないので今日も一日中惰眠を謳歌する
日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今日
광. 그 일에 열중하는 사람임을 나타냄; 협. 협곡(峽谷)임을 나타냄; 교. 종교임을 나타냄; 교. 다리임을 나타냄; 경. 거울임을 나타냄; 오늘. 금일. 〔동의어〕本日; 흉. 운수가 나쁨. 불길함. 〔동의어〕不吉. 〔반의어〕 吉; 〈「共産党」의 준말〉 공산당; 〈「共産主義」의 준말〉 공산주의; 『문어』 수도. 서울. 〔동의어〕首都; 京都. 〔참고〕 옛날에 일본의 수도였음; 『수학』 경. 조(兆)의 1만 배. 〔동의어〕京; 「いろは歌」의 끝에 붙이는 말; 《「香車」의 준말》 일본 장기짝의 하나; 강함. 강자; (어떤 수량에 붙어) 그보다 조금 더 됨을 나타냄. 〔반의어〕 弱; 『불교』 불경. 경문. 〔동의어〕お経; 성전(聖典). 경서(經書); 『문어』 고향. 〔동의어〕ふるさと; 곳. 장소. 지역; 어떤 장소나 경우; 마음의 상태. 경지; 경; 장소. 범위. 처지; 심경. 경지(境地); 흥; 흥취. 흥미. 재미. 〔동의어〕面白み; 좌흥(座興); 『문학』 한시(漢詩) 육의(六義)의 하나. 어떤 사물에 접하여 자기의 감흥을 표현함
中
‘그 동안 줄곧’이란 뜻을 나타냄. 내내; 그 범위 전체에 걸친다는 뜻을 나타냄; 십; 열. 〔동의어〕とお; 전부. 전체; 거주함; 거처. 처소; 『문어』 부드러움. 부드러운 것. 얌전함. 〔반의어〕 剛; 『문어』 중요한 것; 〈「お~」의 꼴로〉 찬합. 〔동의어〕重箱; 중; 무거움. 혹심함. 〔반의어〕 軽; 『화학』 산성염(酸性塩)임; 겹친 것을 세는 말. 중. 층; 종. 종자. 하인. 〔동의어〕とも·けらい. 〔반의어〕 主; ⇒ じゅ; 총; 짐승. 〔동의어〕けもの; 수. 짐승
一
일; 하나. 〔동의어〕一つ. 〔참고〕 증서 등에서는 갖은자인 「壱」을 씀; (사물의) 시초. 처음. 첫째. 최초. 〔동의어〕一番め; 최상. 최고. 으뜸. 〔동의어〕首位; (상투 등에서) 元結로 묶은 곳에서 뒤로 내민 부분; (三味線·거문고 등에서) 제일 낮은 음의 줄. 〔동의어〕一の糸; (많은 것 중) 한. 하나의. 한 사람의; (이렇다 할 만한 데가 없는) 하찮은. 어떠 한; 어떤. 한; 상당한. 버젓한; 시장. 저자. 장; (변하여) 시가. 거리. 〔동의어〕街; 지위(地位). 〔동의어〕地位; 위치; 지위. 입장
謳歌
『문어』 왕화. 임금의 덕화; 응화. 시대나 환경 등의 변화에 따라 변함. 적응; 서구화. 유럽화. 서양화; 『문어』 앵화. 벚꽃. 〔동의어〕さくらばな; 구가
惰眠
타면; 게으름을 피워 잠만 잠; 하는 일 없이 세월만 보냄
生きる意味なんて見出せず、無駄を自覚して息をする。
生きる
《고어》; 흥분하여 화내다. 설치다; 살다; 생존하다. 목숨을 지니다. 생명이 있다; 생활하다. 지내다. 생계를 세우다; (비유적으로) 존재하다. 있다; 가치를 지니다. 쓸모가 있다. 유효하다; 생동하다. 생생하다. 생기를 띠다; (장기·바둑·경기 등에서) 죽지 않다; (교정·작문 등에서) 일단 고친 부분이 되살다. 1.~6. 〔반의어〕 死ぬ. 【문어형】 い·く {상2단 활용}
無駄
보람이 없음. 쓸데없음. 헛됨. {문어·ナリ 활용 }
息
⇒ ゆき; 숨. 호흡; (두 사람 이상이 일할 때의) 호흡. 기분; 김. 증기; 목숨; (기질·태도·옷차림 등이) 때 벗음. 세련됨. 멋있음. 멋들어짐; 인정의 기미(機微) 또는 풍류를 이해함; 화류계의 사정에 밝음. 또는 화류계. 〔반의어〕 野暮; 『역사』 律令制에서, 서위(敍位)할 때 그 이유를 기록하여 본인에게 주는 문서. 〔동의어〕くらいがき·告身; 위기; 『법률』 (권리의) 포기; 지역; 범위. 정도. 단계. 경지; 계획하는 일. 의도(意圖). 기도(企圖); 의기. 기세. 기개; 유기. 버리고 돌보지 아니함; 문지방. 〔동의어〕しきい·しきみ; 『심리학』 역. 의식역(意識閾); 생. 삶; 싱싱함. 생기. 신선함; (교정에서) 생(生). 지운 것을 되살림. 부호는 「イキ」; 『지리·지학·지명』 옛 지명. 日本海에 있는 섬으로 현재의 長崎현의 일부. ((현제도 같은 지명임)) 〔동의어〕壱州
自覚
자획; 『생리학』 이각. 귓바퀴. 〔동의어〕耳介; 자각; 자기가 놓여 있는 상태·가치·사명 등을 인식하는 일; 스스로 느낌; 사격. 절의 격식; 『의학』 치핵. 수치질. 〔동의어〕いぼじ
意味
부정(不淨)이나 불길한 방향 등을 꺼림; 재계(齋戒); 거상(居喪). 복상(服喪); 의미; 말뜻; (표현이나 행동의) 의도. 까닭; 가치. 의의. 보람; 취지·목적·내용
なんて
의문·영탄의 뜻을 나타냄. 무어라고. 어쩌면 그렇게; 《「なんという」의 준말》 이렇다 할. 무어라고 할; 《副助詞 「など」에 格助詞 「と」가 붙은 「などと」의 변한말. 体言 또는 体言에 준하는 말 또는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음》; …라는 둥. …라느니 하는; 따위. …같은 것. 〔동의어〕なんか; 의외·놀람·비판의 뜻을 나타냄. …이라니. …하다니
「寂しい」なんて言葉でこの傷が表せていいものか
寂しい
쓸쓸하다. 호젓하다. 한적하다; 적적하다. (외로워서) 쓸쓸하다; 허전하다. 서운하다; 내용이 빈약하다. 허술하다. 1.~4.〔동의어〕さみしい. 〔반의어〕 にぎやか. さびし·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さびし·げ 【형용동사】 さびし·さ 【명사】 【문어형】 さび·し {シク 활용}
傷
상처; 다친 데. 생채기. 흉터; (정신적인) 고통. 타격; 흠집. 금간 데; 결점; 수치. 불명예. 오점. 〔참고〕 1.은 「創」, 2.3.은 「瑕」로도 씀; (조미료 등을 섞지 않은) 순수한 식초
言葉
말. 언어; 단어. 문장; 말투. 말씨; (소설·희곡 등에서) 회화 부분
なんて
의문·영탄의 뜻을 나타냄. 무어라고. 어쩌면 그렇게; 《「なんという」의 준말》 이렇다 할. 무어라고 할; 《副助詞 「など」에 格助詞 「と」가 붙은 「などと」의 변한말. 体言 또는 体言에 준하는 말 또는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음》; …라는 둥. …라느니 하는; 따위. …같은 것. 〔동의어〕なんか; 의외·놀람·비판의 뜻을 나타냄. …이라니. …하다니
そんな意地ばかり抱え今日も一人ベッドに眠る
そんな
그런. 그와 같은
眠る
《속어》 협박하거나 해서 단물을 빨아 먹다. 〔동의어〕しゃぶる. 【문어 4단 활용 동사】; ⇒ ねむる
今日
광. 그 일에 열중하는 사람임을 나타냄; 협. 협곡(峽谷)임을 나타냄; 교. 종교임을 나타냄; 교. 다리임을 나타냄; 경. 거울임을 나타냄; 오늘. 금일. 〔동의어〕本日; 흉. 운수가 나쁨. 불길함. 〔동의어〕不吉. 〔반의어〕 吉; 〈「共産党」의 준말〉 공산당; 〈「共産主義」의 준말〉 공산주의; 『문어』 수도. 서울. 〔동의어〕首都; 京都. 〔참고〕 옛날에 일본의 수도였음; 『수학』 경. 조(兆)의 1만 배. 〔동의어〕京; 「いろは歌」의 끝에 붙이는 말; 《「香車」의 준말》 일본 장기짝의 하나; 강함. 강자; (어떤 수량에 붙어) 그보다 조금 더 됨을 나타냄. 〔반의어〕 弱; 『불교』 불경. 경문. 〔동의어〕お経; 성전(聖典). 경서(經書); 『문어』 고향. 〔동의어〕ふるさと; 곳. 장소. 지역; 어떤 장소나 경우; 마음의 상태. 경지; 경; 장소. 범위. 처지; 심경. 경지(境地); 흥; 흥취. 흥미. 재미. 〔동의어〕面白み; 좌흥(座興); 『문학』 한시(漢詩) 육의(六義)의 하나. 어떤 사물에 접하여 자기의 감흥을 표현함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意地
위차. 자리의 차례. 석차(席次); 의사. 의학·의료에 관한 일; 이상한[별난] 일; 이시. 다른 때. 다른 날; 다른 문자[글자]; 자기의 주장·행동을 관철시키려는 마음. 고집. 오기; 욕심. 물욕. 식욕; 성미. 마음보. 근성. 심술; 표의 문자. 〔반의어〕 音字; 유지; 유아; 기아(棄兒); 유사; 예로부터 전해 오는 일; 누락된 일
一
일; 하나. 〔동의어〕一つ. 〔참고〕 증서 등에서는 갖은자인 「壱」을 씀; (사물의) 시초. 처음. 첫째. 최초. 〔동의어〕一番め; 최상. 최고. 으뜸. 〔동의어〕首位; (상투 등에서) 元結로 묶은 곳에서 뒤로 내민 부분; (三味線·거문고 등에서) 제일 낮은 음의 줄. 〔동의어〕一の糸; (많은 것 중) 한. 하나의. 한 사람의; (이렇다 할 만한 데가 없는) 하찮은. 어떠 한; 어떤. 한; 상당한. 버젓한; 시장. 저자. 장; (변하여) 시가. 거리. 〔동의어〕街; 지위(地位). 〔동의어〕地位; 위치; 지위. 입장
ベッド
베드; 침대; 『농학·농림·농업』 화단(花壇). 묘상(苗床); 선반(旋盤)의 주축대(主軸臺)·왕복대(往復臺) 등을 싣고 이동시키는 받침대
抱え
고용함. 전속함; 기한부로 고용한 기녀나 창녀. 〔반의어〕 自前; 「かかえ帯」의 준말; 아름
少年だった僕たちはいつか青年に変わってく。
変わる
대신하다. 대리하다. 〔참고〕 보통은 「代わる」를 씀; 바뀌다. 교체되다. 〔참고〕 보통 「換わる」 「替わる」를 씀. 【가능동사】 かわ·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변하다. 바뀌다; 〈「~·った」 「~·っている」의 꼴로〉 색다르다. 별나다. 별스럽다. 이상하다. 【가능동사】 かわ·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僕
하인. 종. ((예스러운 말)) 〔동의어〕召使·下男
少年
소년; 나이 어린[적은] 사람. 특히, 나이 어린 남자. 〔반의어〕 少女; (소년법에서) 만 20세 미만인 자. (아동 복지법에서) 초등 학생부터 만 18세에 이른 자; 정념; 『불교』 정법(正法)만을 생각함. 흔들리지 않는 신앙심; 본심. 제정신; 『문어』 나이. 연령. 〔동의어〕年. 〔참고〕 「せいねん」은 딴말임
青年
생년. 난 해. 〔반의어〕 没年; 나이. 연령. 〔동의어〕しょうねん; 성년; 청년; 『문어』 성년. 한창때
いつか
5일; 다섯날. 닷새; 단오. 5월 5일; 《「か」는 疑問의 係助詞》; 〈과거의 불특정한 때를 나타냄〉 언제였던가. 언젠가. 전에. 〔동의어〕以前; 〈미래의 불특정한 때를 나타냄〉 언젠가는. 차차. 조만간; 어느 사이에. 어느 틈[결]에. 〔동의어〕いつしか·いつの間にか
年老いていつか 枯れ葉のように誰にも知られず朽ちていく。
誰
수. 오행(五行)의 다섯째. ((계절은 겨울, 방위로는 북, 색은 검정임)); 「水曜日」의 준말; 《속어》 당밀즙(糖蜜汁)만을 탄 얼음물; 물. 액체; 순수함. 또는 그런 것; 뛰어난 것. 정수(精粹); 세상 물정에 밝아 인정의 기미(機微)를 잘 앎. 특히, 남녀간의 애정에 이해가 많음. {문어·ナリ 활용 }; 화류계·예능계의 사정에 밝음. 멋을[풍류를] 앎. (언동이) 세련되어 있음. {문어·ナリ 활용 }; 추; 저울추. 분동; 방추(紡錘)를 세는 말; 시다. 신맛이 있다. 〔동의어〕すっぱい. 【문어형】 す·し {ク 활용}
いつか
5일; 다섯날. 닷새; 단오. 5월 5일; 《「か」는 疑問의 係助詞》; 〈과거의 불특정한 때를 나타냄〉 언제였던가. 언젠가. 전에. 〔동의어〕以前; 〈미래의 불특정한 때를 나타냄〉 언젠가는. 차차. 조만간; 어느 사이에. 어느 틈[결]에. 〔동의어〕いつしか·いつの間にか
朽ちる
(나무 등이) 썩다; 세상에 알려지지 못하고 허망하게 죽다. 【문어형】 く·つ {상2단 활용}
知る
즙; 국(물). 된장국; 남의 노고나 희생으로 얻는 이익; 알다; 인식하다; 분간하다; 이해하다; 기억하다; 경험하다; 안면이 있다; 관계하다; 습득하다
枯れ葉
마른 잎. 고엽
年老いる
나이를 먹다. 늙다. 【문어형】 としお·ゆ {상2단 활용}
不死身の身体を手に入れて、一生死なずに生きていく。
生きる
《고어》; 흥분하여 화내다. 설치다; 살다; 생존하다. 목숨을 지니다. 생명이 있다; 생활하다. 지내다. 생계를 세우다; (비유적으로) 존재하다. 있다; 가치를 지니다. 쓸모가 있다. 유효하다; 생동하다. 생생하다. 생기를 띠다; (장기·바둑·경기 등에서) 죽지 않다; (교정·작문 등에서) 일단 고친 부분이 되살다. 1.~6. 〔반의어〕 死ぬ. 【문어형】 い·く {상2단 활용}
一生
한 되; 일생. 평생. 한평생. 〔동의어〕生涯·一生涯; 평생에 한 번뿐일 것 같은 중요한 일; 겨우 살아남[연명함]; 『문어』 일장. 한 장군; 일소. 조금 웃음. 빙그레 웃음; 하나의 웃음거리로 삼음. 하나의 웃음거리; 일명. 딴이름. 별칭
身体
몸; 신체. 체력. 체구; 생리적 존재로서의 몸. 육체; (어떤 처지에 있는) 몸. ((다소 예스러운 말)); 건강 상태. 체력
入れる
넣다. 들어가게 하다. 들이다; 수용하다. 넣다; 입학시키다. 넣다; 입원시키다; 고용하다. 채용하다; 끼워 주다; 듣다; 포함시키다. 넣다; 끼워 넣다. 박다; 개입하다. 참견하다. 방해하다. 〔참고〕 「容れる」로도 씀; 들이다. 쏟아 넣다; 걸다; 품다. 두다. 〔참고〕 「容れる」로도 씀; 구입하다; 납품하다; 손질하다. 수정하다; (도구를 써서) 일하다; 받아들이다. 〔참고〕 「容れる」로도 씀; 입금시키다; 투표하다; 〈「身を~」 「心を~」의 꼴로〉 전념하다. 몰두하다. 힘을 기울이다; (차 등을) 달이다. 내다; (전기 등을) 작동시키다. 켜다. 【문어형】 い·る {하2단 활용}; 볶이다. 볶아지다; 초조해지다. 〔동의어〕じれる
死ぬ
죽다; 숨지다. 〔반의어〕 生まれる; (활동이) 멎다. 자다; 활기가 없어지다. 생기가 없어지다; 활용되지 않다; (바둑에서) 잡히다; (야구에서) 아웃되다. 3.~6. 〔반의어〕 生きる. 【가능동사】 し·ね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ナ 行 활용 }
手
어떤 일·직무·임무를 맡는 사람임을 나타냄. 수; 시(詩)를 세는 말. 수; 초목을 세는 말. 주. 〔동의어〕株; 주; 주인; 주군; 중심; 『기독교』 주님. 1.〔반의어〕客. 2.3.〔반의어〕従; 주; 주홍색 안료; 붉은 글자. 교정지에 고쳐 써넣은 붉은 글자; 『문어』 주. 술. 〔동의어〕さけ; ⇒ しゅう< 2> ; 종; 『식물·식물학』 종자; 종류; 『생물학』 생물 분류상의 단위; 옛 중량 단위. 一銖는 一両의 24분의 1; 옛날의 이율의 단위. 一銖는 一割의 10분의 1; 『불교』 취. 중생이 자신이 지은 업(業)에 의하여 가서 사는 세계
不死身
불사신; (변하여) 어떠한 곤란을 당하여도 결코 꺾이지 아니하는 사람. {문어·ナリ 활용 }
そんなSFを妄想してる
そんな
그런. 그와 같은
妄想
망상. 〔동의어〕もうそう; 폭주; 난폭하게 달림; 운전자 없는 차량이 내달림; (야구에서) 주자가 무모하게 주루함; (주위의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사물을 억지로 추진함. 마구 밀어붙임; 『지리·지학·지명』; 「房総半島」의 준말
自分が死んでもどうでもよくて
死ぬ
죽다; 숨지다. 〔반의어〕 生まれる; (활동이) 멎다. 자다; 활기가 없어지다. 생기가 없어지다; 활용되지 않다; (바둑에서) 잡히다; (야구에서) 아웃되다. 3.~6. 〔반의어〕 生きる. 【가능동사】 し·ね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ナ 行 활용 }
自分
무렵. 대체적인 시기·시각; 적당한 때. 기회. 시기; (중국에서 신문의 논설 등에 쓰는) 현대어체(現代語體)의 문장; 그 시대의 글. 당시의 글; 그 사람 자신. 자기 자신;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동의어〕わたくし
それでも周りに生きて欲しくて
生きる
《고어》; 흥분하여 화내다. 설치다; 살다; 생존하다. 목숨을 지니다. 생명이 있다; 생활하다. 지내다. 생계를 세우다; (비유적으로) 존재하다. 있다; 가치를 지니다. 쓸모가 있다. 유효하다; 생동하다. 생생하다. 생기를 띠다; (장기·바둑·경기 등에서) 죽지 않다; (교정·작문 등에서) 일단 고친 부분이 되살다. 1.~6. 〔반의어〕 死ぬ. 【문어형】 い·く {상2단 활용}
それでも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런데도
欲しい
⇒ ほしいい; 갖고 싶다. 탐나다. …이 있으면 좋겠다. 아쉽다. ほし·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ほし·げ 【형용동사】 ほし·さ 【명사】 【문어형】 ほ·し {シク 활용}
矛盾を抱えて生きてくなんて怒られてしまう。
生きる
《고어》; 흥분하여 화내다. 설치다; 살다; 생존하다. 목숨을 지니다. 생명이 있다; 생활하다. 지내다. 생계를 세우다; (비유적으로) 존재하다. 있다; 가치를 지니다. 쓸모가 있다. 유효하다; 생동하다. 생생하다. 생기를 띠다; (장기·바둑·경기 등에서) 죽지 않다; (교정·작문 등에서) 일단 고친 부분이 되살다. 1.~6. 〔반의어〕 死ぬ. 【문어형】 い·く {상2단 활용}
怒る
『조류』 고지새. 밀화부리. 〔동의어〕いかるが·まめころがし; 《「生けらる」의 뜻》 꽃이 꽂혀 있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문어』; 화내다. 성내다. 노하다. 〔동의어〕おこる; 모나다. 모지다. 〔동의어〕かどばる; 미친 듯이 날뛰다. 【가능동사】 いか·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埋けらる」의 뜻》 묻혀 있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抱える
안다. 껴안다. 끼다. 감싸 쥐다; 맡다. 처리해야 할 부담을 지다; 고용하다. 【문어형】 かか·ふ {하2단 활용}
しまう
끝나다. 파하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끝내다. 마치다; (가게 등을) 닫다; 치우다; 간수하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흔히, 「…て[で]~」의 꼴로》 …하여 버리다. …하고 말다. 〔참고〕 흔히 구어(口語)에서는 「…て[で]しまう」가 「…(っ)ちまう」 「…じまう」의 꼴로 되기도 함; 〈「…ずに~」의 꼴로〉 …아니하고 말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矛盾
모순
なんて
의문·영탄의 뜻을 나타냄. 무어라고. 어쩌면 그렇게; 《「なんという」의 준말》 이렇다 할. 무어라고 할; 《副助詞 「など」에 格助詞 「と」가 붙은 「などと」의 변한말. 体言 또는 体言에 준하는 말 또는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음》; …라는 둥. …라느니 하는; 따위. …같은 것. 〔동의어〕なんか; 의외·놀람·비판의 뜻을 나타냄. …이라니. …하다니
「正しいものは正しくいなさい。」
正しい
(모양 등이) 바르다. 곧다; (몸가짐·언행·판단 등이) 바르다. 옳다. 맞다; 정당하다. 옳다. 올바르다. ただし·さ 【명사】 【문어형】 ただ·し {シク 활용}
なさる
《「なす」 「する」의 높임말》 하시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なされる」의 문어
正しく
《文語의 形容詞 「正し」의 連用形에서》 틀림없이. 확실히. 바로. 〔동의어〕たしかに·まちがいなく·まさに
「死にたくないなら生きていなさい。」
生きる
《고어》; 흥분하여 화내다. 설치다; 살다; 생존하다. 목숨을 지니다. 생명이 있다; 생활하다. 지내다. 생계를 세우다; (비유적으로) 존재하다. 있다; 가치를 지니다. 쓸모가 있다. 유효하다; 생동하다. 생생하다. 생기를 띠다; (장기·바둑·경기 등에서) 죽지 않다; (교정·작문 등에서) 일단 고친 부분이 되살다. 1.~6. 〔반의어〕 死ぬ. 【문어형】 い·く {상2단 활용}
なさる
《「なす」 「する」의 높임말》 하시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なされる」의 문어
死ぬ
죽다; 숨지다. 〔반의어〕 生まれる; (활동이) 멎다. 자다; 활기가 없어지다. 생기가 없어지다; 활용되지 않다; (바둑에서) 잡히다; (야구에서) 아웃되다. 3.~6. 〔반의어〕 生きる. 【가능동사】 し·ね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ナ 行 활용 }
悲しくなるならそれでもいいなら
悲しい
슬프다; 애처롭다. 딱하다. 구슬프다. かなし·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かなし·げ 【형용동사】 かなし·さ 【명사】 かなし·み 【명사】 【문어형】 かな·し {シク 활용}; ⇒ 愛し
それでも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런데도
ずっと一人で笑えよ。
笑う
웃다. 〔반의어〕 泣く; (비유적으로) 꽃봉오리가 벌어지다. 열매가 익어서 터지다. 꽃이 피다; 꿰맨 곳이 타지다; 《속어》 웃기다. 가소롭다. 문제도 되지 않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비웃다. 조소하다. 빈정대다. 우습게 여기다. 〔동의어〕あざ笑う·あざける. 〔참고〕 「嗤う」로도 씀. 【가능동사】 わら·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ずっと
다른 것과 비교해서 차이가 많은 모양; 시간적 차이가 많은 모양; 오랫동안 계속되는 모양; 머뭇거리지 않는 모양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一
일; 하나. 〔동의어〕一つ. 〔참고〕 증서 등에서는 갖은자인 「壱」을 씀; (사물의) 시초. 처음. 첫째. 최초. 〔동의어〕一番め; 최상. 최고. 으뜸. 〔동의어〕首位; (상투 등에서) 元結로 묶은 곳에서 뒤로 내민 부분; (三味線·거문고 등에서) 제일 낮은 음의 줄. 〔동의어〕一の糸; (많은 것 중) 한. 하나의. 한 사람의; (이렇다 할 만한 데가 없는) 하찮은. 어떠 한; 어떤. 한; 상당한. 버젓한; 시장. 저자. 장; (변하여) 시가. 거리. 〔동의어〕街; 지위(地位). 〔동의어〕地位; 위치; 지위. 입장
僕らは命に嫌われている。
命
목숨. 생명; 수명. 명; (비유적으로) 가장 중요한 것
嫌う
싫어하다. 좋아하지 않다. 미워하다. 〔반의어〕 好く; 꺼리다. 피하다. 〔동의어〕忌む; 〈「~·わず」의 꼴로〉 가리지 않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幸福の意味すらわからず、産まれた環境ばかり憎んで
環境
건강. 한방(漢方)에서 쓰는 말린 생강; 『문어』 환규. 큰 소리로 외침. 규환(叫喚); 『문어』 한공. 늦가을의 귀뚜라미; 감흥; 환경; 함교. 브리지. 〔동의어〕ブリッジ
幸福
『문어』 구복; 입과 배; 먹고 마시는 일. 〔동의어〕飲食; 말과 생각; 행복. 〔동의어〕幸せ. 〔반의어〕 不幸. こう-ふくさ 【명사】 {문어·ナリ 활용 }; 교복; 항복. 〔동의어〕降参. 〔참고〕 「降伏」는 딴말임; 흥복. 부흥. 재흥. 〔동의어〕再興
憎む
미워하다. 싫어하다. 증오하다. 【가능동사】 にく·め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意味
부정(不淨)이나 불길한 방향 등을 꺼림; 재계(齋戒); 거상(居喪). 복상(服喪); 의미; 말뜻; (표현이나 행동의) 의도. 까닭; 가치. 의의. 보람; 취지·목적·내용
簡単に過去ばかり呪う。
簡単
『문어』 간담. 간과 쓸개. (변하여) 속마음. 진정; 『곤충』 긴꼬리; 한단. 중국, 전국 시대의 조(趙)나라의 서울; 감탄; 간단. 〔반의어〕 複雑. 〔참고〕 「簡短」이라고도 씀. {문어·ナリ 활용 }
過去
『러시아어』 수부. 뱃사람. 뱃사공. ((「船乗り」의 예스러운 말)); 과거. 〔반의어〕 現在·未来; 옛날. 지난날; 『불교』 전세(前世). 전생; 『언어학』 시제(時制)의 하나. ((과거의 동작·상태를 나타냄)); 『러시아어』 사슴의 새끼. 또는 사슴. 〔동의어〕かのこ
呪う
저주하다. 몹시 원망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僕らは命に嫌われている。
命
목숨. 생명; 수명. 명; (비유적으로) 가장 중요한 것
嫌う
싫어하다. 좋아하지 않다. 미워하다. 〔반의어〕 好く; 꺼리다. 피하다. 〔동의어〕忌む; 〈「~·わず」의 꼴로〉 가리지 않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さよならばかりが好きすぎて本当の別れなど知らない僕らは命に嫌われている。
命
목숨. 생명; 수명. 명; (비유적으로) 가장 중요한 것
別れ
헤어짐. 이별; 고별. 결별. 하직. 〔동의어〕いとまごい·訣別; 갈래. 분파. 방계(傍系). 〔참고〕 3.은 「分かれ」로도 씀
嫌う
싫어하다. 좋아하지 않다. 미워하다. 〔반의어〕 好く; 꺼리다. 피하다. 〔동의어〕忌む; 〈「~·わず」의 꼴로〉 가리지 않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本当
⇒ ほんとう
知る
즙; 국(물). 된장국; 남의 노고나 희생으로 얻는 이익; 알다; 인식하다; 분간하다; 이해하다; 기억하다; 경험하다; 안면이 있다; 관계하다; 습득하다
さよなら
⇒ さようなら; 《속어》; 작별. 이별. 〔동의어〕お別れ; (야구에서) 9회 말에 점수가 나서 승부가 결정됨. 굿바이승(勝); 《속어》 《名詞에 붙어》 그것으로 끝장나는 것[결판나는 것]
好く
좋아하다. 마음에 들다. 〔동의어〕好む. 〔반의어〕 嫌う; 이성에게 애정을 느끼다. 사랑하다; 여색(女色)을 좋아하다. 호색(好色)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속이) 비다. 공간이 생기다; 공복이 되다; 〈「胸が~」의 꼴로〉 가슴이 후련해지다; 〈「手が~」의 꼴로〉 손이 비다. 짬이 나다. 여가가 생기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얇게 자르다. 얇게 깎아 내다. 〔동의어〕そぐ. 【문어 4단 활용 동사】; 틈이 생기다[벌어지다]. 〔참고〕 「空く」로도 씀; 성기게 되다; 어떤 것을 통해서 보이다. 들여다보이다; (바람 등이) 사이로 빠져나가다. 〔동의어〕吹きぬける. 【문어 4단 활용 동사】; (머리를) 빗다. 〔동의어〕くしけずる. 【가능동사】 す·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그물을) 뜨다. 엮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종이·김 등을) 뜨다. 【가능동사】 す·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가래 등으로) 땅을 일구다[파다]. 가래질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幸福も別れも愛情も友情も
愛情
애정. 슬픈 마음; 어떤 술자리에 나가 있는 기생을 다른 손이 다른 자리로 부르려고 할 때 보내는 쪽지; 애정. 사랑; 귀염둥이 딸. ((남의 딸에 대하여 이르는 말)) 〔동의어〕愛娘. 〔반의어〕 愛息
友情
우정; 『문어』 유정; 생물이 감각·감정을 지니고 있음; 『문어』 천황이 신하에게 내리는 고마운 말씀
別れ
헤어짐. 이별; 고별. 결별. 하직. 〔동의어〕いとまごい·訣別; 갈래. 분파. 방계(傍系). 〔참고〕 3.은 「分かれ」로도 씀
幸福
『문어』 구복; 입과 배; 먹고 마시는 일. 〔동의어〕飲食; 말과 생각; 행복. 〔동의어〕幸せ. 〔반의어〕 不幸. こう-ふくさ 【명사】 {문어·ナリ 활용 }; 교복; 항복. 〔동의어〕降参. 〔참고〕 「降伏」는 딴말임; 흥복. 부흥. 재흥. 〔동의어〕再興
滑稽な夢の戯れで全部カネで買える代物。
滑稽
《「国家地方警察」의 준말》 국가 지방 경찰; 골계; 해학. 익살; 우스꽝스러움. こっ-けさ 【명사】 {문어·ナリ 활용 }; 『문어』 혹형. 가혹한 형
全部
《副詞적으로도 씀》 전부. 모두. 전체. 〔동의어〕すべて. 〔반의어〕 一部; 전부. 앞 부분. 〔반의어〕 後部; 조리인. 요리사(料理師). 〔동의어〕料理人
夢
육. 여섯. 〔동의어〕むっつ·ろく; 무. 아무것도 없음. 〔반의어〕 有; 힘을 쓰거나, 감탄하거나, 놀라거나 할 때 입을 다물고 내는 소리. 음; 『문어』 《動詞·動詞型活用의 助動詞의 未然形에 붙어》; 추량·예상의 뜻을 나타냄. …일 것이다. …이겠지; 의지·희망의 뜻을 나타냄. …하겠다. …할 작정이다; 권유·명령의 뜻을 나타냄. …하는 것이 좋겠다. …해 주게; 가정·가상의 뜻을 나타냄. 만약 …이라면 (…일 것이다); 완곡하게 표현하는 뜻을 나타냄. …같은. 〔참고〕 平安 시대 이후에는 「ん」으로도 씀
戯れる
《고어》 풍취가 있다. ざ·る {하2단 활용}
代物
물건. 상품; 《속어》 어떤 평가의 대상이 되는 사람이나 물건. ((가치를 인정하기도 하고 비꼬기도 함)); 미인. 또는 창녀
明日死んでしまうかもしれない。
明日
《「朝」에서 변한말》 내일. 명일. 〔동의어〕あす·みょうにち. 〔반의어〕 昨日; 『문어』; 아침. 〔동의어〕あさ. 〔반의어〕 夕べ; 다음날 아침. 〔동의어〕翌朝
しまう
끝나다. 파하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끝내다. 마치다; (가게 등을) 닫다; 치우다; 간수하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흔히, 「…て[で]~」의 꼴로》 …하여 버리다. …하고 말다. 〔참고〕 흔히 구어(口語)에서는 「…て[で]しまう」가 「…(っ)ちまう」 「…じまう」의 꼴로 되기도 함; 〈「…ずに~」의 꼴로〉 …아니하고 말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死ぬ
죽다; 숨지다. 〔반의어〕 生まれる; (활동이) 멎다. 자다; 활기가 없어지다. 생기가 없어지다; 활용되지 않다; (바둑에서) 잡히다; (야구에서) 아웃되다. 3.~6. 〔반의어〕 生きる. 【가능동사】 し·ね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ナ 行 활용 }
すべて無駄になるかもしれない。
無駄
보람이 없음. 쓸데없음. 헛됨. {문어·ナリ 활용 }
朝も夜も春も秋も
夜
《인명이나 사람을 나타내는 말에 붙어》 친밀감을 나타내는 말; 《흔히, 体言에 붙어》; 그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집]임을 나타냄; 그 일을 전문으로 하는 사람임을 나타냄. ((경멸이나 자조(自嘲)의 뜻이 담기기도 함)) …쟁이. …꾼; 그런 버릇·성질을 가진 사람임을 나타냄. …사람. …꾼. …쟁이; 옥호(屋號)·아호(雅號)에 붙이는 말. 〔참고〕 4.는 「舎」로도 씀; 『문어』; 《고어》 지붕; 팔. 여덟. 〔동의어〕やつ·やっつ·はち; 수효가 많음을 나타냄; 화살; 어떤 일이 빈번하게 행해지거나, 세월의 빠름을 비유하기도 함; 재목이나 돌을 쪼개는 데 쓰는 철제나 목재의 쐐기; (수레의) 바퀴살; 들. 들판. 〔동의어〕野·野原; 야. 민간. 〔반의어〕 朝; 천함. 거침. 세련되지 않음. {문어·ナリ 활용 }; 남을 부를 때 내는 소리. 어이. 야. 이봐요; 정신이나 기력을 집중시키기 위하여 내는 소리. 얏; 스스럼없는 口語적 대화에서 係助詞 「は」가 「イ」列音·「エ」列音 뒤에 왔기 때문에 변한말; 《体言 또는 副詞에 붙음》; 부르는 말임을 나타냄; 강조하는 뜻을 나타냄. …이야말로; (俳句 등에서) 体言을 받아 장면을 제시하거나 영탄을 나타냄. …(이)여; 『문어』 〈体言 또는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어〉 감동·영탄을 나타냄. …이여. …로구나; 〈活用語의 命令形에 붙음. 口語에서는 권유를 나타내는 助動詞 「う」의 終止形에도 붙음〉 동료 또는 아랫사람에 대하여 가볍게 재촉하는 뜻을 나타냄. 하세. 하게; 가벼운 영탄을 나타냄. …말야; 『문어』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어〉 의문·반문·반어의 뜻을 나타냄. …인가. …까보냐; 『문어』 《名詞, 活用語의 連用形·連体形·副詞 등에 붙음》 의문·반문·반어를 나타냄. …이라도; 《体言 또는 準体助詞 「の」에 붙어》 사물을 열거하는 뜻을 나타냄. …이나. …이랑. …며; 《動詞·動詞형 활용어의 終止形에 붙어》; 어떤 동작·작용의 발생과 동시에, 다른 동작·작용이 일어나는 뜻을 나타냄. …하자. …자마자; 〈흔히, 「~否~」의 꼴로〉 …하자 곧. …하자마자
秋
비어 있음. 공간(空間). 여백. 간격. 틈새기; 빈자리. 결원; 여가. 틈. 짬. 〔동의어〕ひま; 여분. 여벌. 사용하지 않고 있는 물건; 가을; 가을걷이. 추수; 싫증. 물림. 진력남; 『지리·지학·지명』 일본의 옛 지명. 지금의 広島현의 서부. 〔동의어〕芸州
朝
『식물·식물학』 삼. 〔동의어〕大麻; 삼실. 삼베. 〔동의어〕麻苧; 대마(大麻)·모시·황마(黃麻)·아마(亞麻)·마닐라삼 등의 총칭; 아침.((날이 새고서부터 얼마 동안의 사이. 또는 길게 잡아 정오까지의 시간대)) 〔반의어〕夕·晩; 오전. 오전 중
春
생선·조개·채소·과일 등의 한창때로, 맛이 가장 좋은 시기; 무슨 일을 하기에 알맞은 시기; 『문어』 주름. 〔동의어〕しわ; 『미술』 (일본화 등에서) 산이나 바위의 주름. 또는 그것을 표현하는 화법; (고대 중국의) 순 임금; ⇒ しゅんと
変わらず誰かがどこかで死ぬ。
変わる
대신하다. 대리하다. 〔참고〕 보통은 「代わる」를 씀; 바뀌다. 교체되다. 〔참고〕 보통 「換わる」 「替わる」를 씀. 【가능동사】 かわ·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변하다. 바뀌다; 〈「~·った」 「~·っている」의 꼴로〉 색다르다. 별나다. 별스럽다. 이상하다. 【가능동사】 かわ·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死ぬ
죽다; 숨지다. 〔반의어〕 生まれる; (활동이) 멎다. 자다; 활기가 없어지다. 생기가 없어지다; 활용되지 않다; (바둑에서) 잡히다; (야구에서) 아웃되다. 3.~6. 〔반의어〕 生きる. 【가능동사】 し·ね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ナ 行 활용 }
夢も明日も何もいらない。
明日
《「朝」에서 변한말》 내일. 명일. 〔동의어〕あす·みょうにち. 〔반의어〕 昨日; 『문어』; 아침. 〔동의어〕あさ. 〔반의어〕 夕べ; 다음날 아침. 〔동의어〕翌朝
何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夢
육. 여섯. 〔동의어〕むっつ·ろく; 무. 아무것도 없음. 〔반의어〕 有; 힘을 쓰거나, 감탄하거나, 놀라거나 할 때 입을 다물고 내는 소리. 음; 『문어』 《動詞·動詞型活用의 助動詞의 未然形에 붙어》; 추량·예상의 뜻을 나타냄. …일 것이다. …이겠지; 의지·희망의 뜻을 나타냄. …하겠다. …할 작정이다; 권유·명령의 뜻을 나타냄. …하는 것이 좋겠다. …해 주게; 가정·가상의 뜻을 나타냄. 만약 …이라면 (…일 것이다); 완곡하게 표현하는 뜻을 나타냄. …같은. 〔참고〕 平安 시대 이후에는 「ん」으로도 씀
君が生きていたならそれでいい。
生きる
《고어》; 흥분하여 화내다. 설치다; 살다; 생존하다. 목숨을 지니다. 생명이 있다; 생활하다. 지내다. 생계를 세우다; (비유적으로) 존재하다. 있다; 가치를 지니다. 쓸모가 있다. 유효하다; 생동하다. 생생하다. 생기를 띠다; (장기·바둑·경기 등에서) 죽지 않다; (교정·작문 등에서) 일단 고친 부분이 되살다. 1.~6. 〔반의어〕 死ぬ. 【문어형】 い·く {상2단 활용}
君
『문어』; 임금. 군주; 윗사람에 대한 높임말; 논다니. 유녀; 남자가 동년배 또는 손아래 상대를 친근하게 부르는 말. 자네. 그대. 군. ((「おまえ」보다 공손한 말)) 〔반의어〕 僕; 느낌. 기분. 〔동의어〕きび; 〈「~がいい」 「いい~(だ)」의 꼴로〉 고소한 기분이다. 고소하다; 기미. 기운. 경향; ⇒ きび; 노랑을 띠고 있음. 노란 빛깔. 〔동의어〕黄色み; 노른자위. 난황(卵黃). 〔동의어〕卵黄. 〔반의어〕 白身
それで
그런 까닭으로. 그러므로. 그래서; 그런 다음. 그리하여. 그래서
そうだ。本当はそういうことが歌いたい。
歌う
노래하다. 노래부르다; 和歌나 시(詩)로 나타내다. 읊다; (새가) 지저귀다. 울다. 〔참고〕 1.은 「謡う」 「唄う」로도, 2.는 「詠う」로도 씀. 【가능동사】 うた·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구가(謳歌)하다; 널리 알려지게 말하다. 강조하여 말하다; 〈「~·われる」의 꼴로〉 칭찬받다. 구가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そういう
그와 같은. 그러한
命に嫌われている。
命
목숨. 생명; 수명. 명; (비유적으로) 가장 중요한 것
嫌う
싫어하다. 좋아하지 않다. 미워하다. 〔반의어〕 好く; 꺼리다. 피하다. 〔동의어〕忌む; 〈「~·わず」의 꼴로〉 가리지 않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結局いつかは死んでいく。
結局
결국; 바둑의 대국을 마침; 끝. 종말. 〔동의어〕おわり; 결국. 마침내. 드디어. 〔동의어〕とうとう·ついに
いつか
5일; 다섯날. 닷새; 단오. 5월 5일; 《「か」는 疑問의 係助詞》; 〈과거의 불특정한 때를 나타냄〉 언제였던가. 언젠가. 전에. 〔동의어〕以前; 〈미래의 불특정한 때를 나타냄〉 언젠가는. 차차. 조만간; 어느 사이에. 어느 틈[결]에. 〔동의어〕いつしか·いつの間にか
死ぬ
죽다; 숨지다. 〔반의어〕 生まれる; (활동이) 멎다. 자다; 활기가 없어지다. 생기가 없어지다; 활용되지 않다; (바둑에서) 잡히다; (야구에서) 아웃되다. 3.~6. 〔반의어〕 生きる. 【가능동사】 し·ね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ナ 行 활용 }
君だって僕だっていつかは枯れ葉にように朽ちてく。
君
『문어』; 임금. 군주; 윗사람에 대한 높임말; 논다니. 유녀; 남자가 동년배 또는 손아래 상대를 친근하게 부르는 말. 자네. 그대. 군. ((「おまえ」보다 공손한 말)) 〔반의어〕 僕; 느낌. 기분. 〔동의어〕きび; 〈「~がいい」 「いい~(だ)」의 꼴로〉 고소한 기분이다. 고소하다; 기미. 기운. 경향; ⇒ きび; 노랑을 띠고 있음. 노란 빛깔. 〔동의어〕黄色み; 노른자위. 난황(卵黃). 〔동의어〕卵黄. 〔반의어〕 白身
僕
하인. 종. ((예스러운 말)) 〔동의어〕召使·下男
だって
상대의 말을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고 반론하는 경우에 씀. 그렇지만. 하지만. 그런데. 〔동의어〕でも; 《助動詞 「だ」에 助詞 「とて」가 붙은 「だとて」의 변한말. 体言 또는 体言에 준하는 말에 붙음》; …(이)라도. …일지라도. …라 하여도; …에게조차; …이든 …이든; …이란다
いつか
5일; 다섯날. 닷새; 단오. 5월 5일; 《「か」는 疑問의 係助詞》; 〈과거의 불특정한 때를 나타냄〉 언제였던가. 언젠가. 전에. 〔동의어〕以前; 〈미래의 불특정한 때를 나타냄〉 언젠가는. 차차. 조만간; 어느 사이에. 어느 틈[결]에. 〔동의어〕いつしか·いつの間にか
朽ちる
(나무 등이) 썩다; 세상에 알려지지 못하고 허망하게 죽다. 【문어형】 く·つ {상2단 활용}
枯れ葉
마른 잎. 고엽
それでも僕らは必死に生きて
生きる
《고어》; 흥분하여 화내다. 설치다; 살다; 생존하다. 목숨을 지니다. 생명이 있다; 생활하다. 지내다. 생계를 세우다; (비유적으로) 존재하다. 있다; 가치를 지니다. 쓸모가 있다. 유효하다; 생동하다. 생생하다. 생기를 띠다; (장기·바둑·경기 등에서) 죽지 않다; (교정·작문 등에서) 일단 고친 부분이 되살다. 1.~6. 〔반의어〕 死ぬ. 【문어형】 い·く {상2단 활용}
必死
필사; 반드시 죽음; 죽음을 각오하고 함. 필사적. 〔동의어〕死にものぐるい. {문어·ナリ 활용 }; (장기에서) 단 한 수면 외통수가 되는 형세. 〔참고〕 3.은 「必至」라고도 씀; 『문어』 필지. 필연. 불가피. {문어·ナリ 활용 }; 『문어』 필지. 지필(紙筆)
それでも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런데도
命を必死に抱えて生きて
生きる
《고어》; 흥분하여 화내다. 설치다; 살다; 생존하다. 목숨을 지니다. 생명이 있다; 생활하다. 지내다. 생계를 세우다; (비유적으로) 존재하다. 있다; 가치를 지니다. 쓸모가 있다. 유효하다; 생동하다. 생생하다. 생기를 띠다; (장기·바둑·경기 등에서) 죽지 않다; (교정·작문 등에서) 일단 고친 부분이 되살다. 1.~6. 〔반의어〕 死ぬ. 【문어형】 い·く {상2단 활용}
必死
필사; 반드시 죽음; 죽음을 각오하고 함. 필사적. 〔동의어〕死にものぐるい. {문어·ナリ 활용 }; (장기에서) 단 한 수면 외통수가 되는 형세. 〔참고〕 3.은 「必至」라고도 씀; 『문어』 필지. 필연. 불가피. {문어·ナリ 활용 }; 『문어』 필지. 지필(紙筆)
命
목숨. 생명; 수명. 명; (비유적으로) 가장 중요한 것
抱える
안다. 껴안다. 끼다. 감싸 쥐다; 맡다. 처리해야 할 부담을 지다; 고용하다. 【문어형】 かか·ふ {하2단 활용}
殺してあがいて笑って抱えて
笑う
웃다. 〔반의어〕 泣く; (비유적으로) 꽃봉오리가 벌어지다. 열매가 익어서 터지다. 꽃이 피다; 꿰맨 곳이 타지다; 《속어》 웃기다. 가소롭다. 문제도 되지 않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비웃다. 조소하다. 빈정대다. 우습게 여기다. 〔동의어〕あざ笑う·あざける. 〔참고〕 「嗤う」로도 씀. 【가능동사】 わら·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抱える
안다. 껴안다. 끼다. 감싸 쥐다; 맡다. 처리해야 할 부담을 지다; 고용하다. 【문어형】 かか·ふ {하2단 활용}
殺す
살해하다. 죽이다. 〔반의어〕 生かす; 눌러 참다. 억누르다; (야구에서) 아웃시키다; (바둑·씨름 등에서) 상대편의 공격의 수를 봉쇄하다; 못쓰게 만들다. 썩이다; (남녀 관계에서) 상대편을 뇌쇄(惱殺)하다. 녹이다; 없애다. 【가능동사】 ころ·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生きて、生きて、生きて、生きて、生きろ。
生きる
《고어》; 흥분하여 화내다. 설치다; 살다; 생존하다. 목숨을 지니다. 생명이 있다; 생활하다. 지내다. 생계를 세우다; (비유적으로) 존재하다. 있다; 가치를 지니다. 쓸모가 있다. 유효하다; 생동하다. 생생하다. 생기를 띠다; (장기·바둑·경기 등에서) 죽지 않다; (교정·작문 등에서) 일단 고친 부분이 되살다. 1.~6. 〔반의어〕 死ぬ. 【문어형】 い·く {상2단 활용}
命に嫌われている。
命
목숨. 생명; 수명. 명; (비유적으로) 가장 중요한 것
嫌う
싫어하다. 좋아하지 않다. 미워하다. 〔반의어〕 好く; 꺼리다. 피하다. 〔동의어〕忌む; 〈「~·わず」의 꼴로〉 가리지 않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高知沖にも大量の「軽石」 カツオ漁船に注意喚起(2021年11月1日)
少年
Easy Japanese 15 - Valentines Day
Easy Japanese 15 - Vale去年の民間給与は平均458万円 2年連続増加 国税庁(2023年9月27日)
まだ、君が好き
愛子さま、学習院大文学部に進学へ(20/02/21)
Coffee, Tea or Me? [Japanese Voice Acting Practice]
寝る前にできる脚やせ3分エクササイズ
データ訂正相次ぐ敦賀2号機 2度目の審査中断を決定(2023年4月5日)
国内初!「スナネコ」の赤ちゃん公開へ 栃木・那須(20/06/11)
You need to upgrade to a premium account to using this feature
Are you sure you want to test again?
Please upgrade your account to read unlimited newspap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