幼いころの 僕が呼んでいる
幼いころの 僕が呼んでいる
下を向き小さく うずくまっている
さびしいのかい? 不安なのかい?
僕はそっと手を差し伸べた
生きている意味が分からないんだね
何を信じていいのか分からないんだね
大丈夫だよ 大丈夫だよ
20年後の君は とてもとても幸せだから
ほら、僕の顔を見てごらん
いつから君は 一人になった?
上目遣いに人を見上げている
怖れているのかい? 逃げ出したいのかい?
僕は君をそっと抱きしめた
何が幸せなのか分からないんだね
自分を信じることができないんだね
大丈夫だよ 大丈夫だよ
10年後の君は とてもとても幸せだから
ほら、僕の目を見てごらん
君の呼ぶ声に 僕は振り向いた
悲しげに遠くを見つめている
苦しいのかい? 痛いのかい?
ぼくは君を強く抱きしめた
未来の自分が見えないんだね
すべては夢と言ってもらいたいんだね
大丈夫だよ 大丈夫だよ
明日の君は とてもとても幸せだから
ほら、僕の笑顔を見てごらん
僕の呼ぶ声に 君は振り向いた
確かな足取りの未来の自分
幸せかい? 楽しいかい?
君は僕を強く抱きしめた
やっと僕らは一つになれたね
本当の自分に出会えたんだね
大丈夫だよ 大丈夫だよ
何が起きても ずっとずっと離さない
ともにこの今を生きていこう
すべてがOK! どんな自分もOK!
すべてが必然で すべてに意味があり
歩いた道も 今いるところも
これからの道も 何一つ無駄はない
大丈夫だよ 大丈夫だよ
君の命は とてもとても輝いている
大丈夫だよ
幼いころの 僕が呼んでいる
僕
하인. 종. ((예스러운 말)) 〔동의어〕召使·下男
幼い
어리다; 미숙하다. 유치하다. おさな·げ 【형용동사】 おさな·さ 【명사】 【문어형】 をさな·し {ク 활용}
呼ぶ
부르다; 소리내어 부르다; 불러서 오게 하다; 초대하다. 〔동의어〕まねく; 일컫다. 〔동의어〕称する; 불러모으다. 끌다. 〔동의어〕引き寄せる·集める; 불러일으키다. 야기하다. 유발하다. 【가능동사】 よ·べ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下を向き小さく うずくまっている
下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小さい
작다. 〔반의어〕 大きい; (면적·체적이) 크지 않다; (수량·정도가) 적다; (소리·음성이) 약하다; (나이가) 어리다. 연소하다; (금전의 단위가) 소액이다; (규모가) 작다. 사소하다; (마음·도량이) 좁다; 〈「~·くなる」의 꼴로〉 (겁나거나 황송하여) 작아지다. 위축되다. 움츠러들다. ちいさ·げ 【형용동사】 ちいさ·さ 【명사】 【문어형】 ちひさ·し {ク 활용}
向き
방향; (특히 한정된) 방면; 어떤 경향·관심·사항·성질 등을 가지고 있음. 또는 그 사람; 〈接尾語적으로도 씀〉 적합함. 알맞음. 적격; 사소한 일에도 정색을 하고 대듦[화냄]. 〔참고〕 흔히, かな로 씀; 관계 당국; 『문학』 俳句에서, 「季語」가 들어 있지 않음; 무기. 일정한 기한이 없음. 〔반의어〕 有期; 『화학』 무기; 그 자체에 생활 기능이 없음. 〔반의어〕 有機; 「無機化学」의 준말
さびしいのかい? 不安なのかい?
不安
불안. {문어·ナリ 활용 }
僕はそっと手を差し伸べた
僕
하인. 종. ((예스러운 말)) 〔동의어〕召使·下男
そっと
솔토. 국토의 끝. 변경. 〔동의어〕そつど; 살그머니. 살짝. 조용히. 가만히. 몰래; 〈「~しておく」의 꼴로〉 (상대편의 기분을 거슬리지 않게) 가만히 그대로 두다
手
어떤 일·직무·임무를 맡는 사람임을 나타냄. 수; 시(詩)를 세는 말. 수; 초목을 세는 말. 주. 〔동의어〕株; 주; 주인; 주군; 중심; 『기독교』 주님. 1.〔반의어〕客. 2.3.〔반의어〕従; 주; 주홍색 안료; 붉은 글자. 교정지에 고쳐 써넣은 붉은 글자; 『문어』 주. 술. 〔동의어〕さけ; ⇒ しゅう< 2> ; 종; 『식물·식물학』 종자; 종류; 『생물학』 생물 분류상의 단위; 옛 중량 단위. 一銖는 一両의 24분의 1; 옛날의 이율의 단위. 一銖는 一割의 10분의 1; 『불교』 취. 중생이 자신이 지은 업(業)에 의하여 가서 사는 세계
差し伸べる
(쭉) 내밀다. 뻗치다. 〔동의어〕差し出す. 【문어형】 さしの·ぶ {하2단 활용}
生きている意味が分からないんだね
生きる
《고어》; 흥분하여 화내다. 설치다; 살다; 생존하다. 목숨을 지니다. 생명이 있다; 생활하다. 지내다. 생계를 세우다; (비유적으로) 존재하다. 있다; 가치를 지니다. 쓸모가 있다. 유효하다; 생동하다. 생생하다. 생기를 띠다; (장기·바둑·경기 등에서) 죽지 않다; (교정·작문 등에서) 일단 고친 부분이 되살다. 1.~6. 〔반의어〕 死ぬ. 【문어형】 い·く {상2단 활용}
意味
부정(不淨)이나 불길한 방향 등을 꺼림; 재계(齋戒); 거상(居喪). 복상(服喪); 의미; 말뜻; (표현이나 행동의) 의도. 까닭; 가치. 의의. 보람; 취지·목적·내용
分かる
알다; 이해할 수 있다; 판명되다. 밝혀지다; 「分かれる」의 문어
何を信じていいのか分からないんだね
何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信じる
⇒ しんずる; ⇒ しんずる
分かる
알다; 이해할 수 있다; 판명되다. 밝혀지다; 「分かれる」의 문어
大丈夫だよ 大丈夫だよ
大丈夫
『문어』 대장부. 〔동의어〕益荒男. 〔참고〕 「だいじょうぶ」로도 읽음
20年後の君は とてもとても幸せだから
君
『문어』; 임금. 군주; 윗사람에 대한 높임말; 논다니. 유녀; 남자가 동년배 또는 손아래 상대를 친근하게 부르는 말. 자네. 그대. 군. ((「おまえ」보다 공손한 말)) 〔반의어〕 僕; 느낌. 기분. 〔동의어〕きび; 〈「~がいい」 「いい~(だ)」의 꼴로〉 고소한 기분이다. 고소하다; 기미. 기운. 경향; ⇒ きび; 노랑을 띠고 있음. 노란 빛깔. 〔동의어〕黄色み; 노른자위. 난황(卵黃). 〔동의어〕卵黄. 〔반의어〕 白身
後
뒤. 후; (공간적으로) 뒤쪽. 후방. 등쪽; (시간적으로) 뒤. 나중. 다음; 현재로부터 거슬러 오른 때. 이전. 〔반의어〕 先; 뒷일. 후사(後事). 뒤처리. 사후(死後); 나머지; 후임(자). 후처(後妻); 후손. 자손. 1.2. 〔반의어〕 前·先; 자국. 발자국; 자취. 흔적. 종적. 행적; 필적(筆跡); 왕래. 인적(人跡); 가독(家督). 대(代); 터. 유적; 《고어》 선례(先例). 선인(先人)의 본보기
幸せ
행복. 행운. {문어·ナリ 활용 }; 운. 운수. 운명. 〔참고〕 1.은 「倖せ」 「幸福」로도 씀
とても
〈뒤에 否定語가 따르며〉 도저히. 아무래도. 〔동의어〕とうてい; 매우. 대단히. 〔동의어〕たいそう; 어차피. 〔동의어〕どうせ
年
해; 나이. 연령; 『문어』 도사. 개죽음. 〔동의어〕いぬじに; 도시
ほら、僕の顔を見てごらん
僕
하인. 종. ((예스러운 말)) 〔동의어〕召使·下男
見る
『식물·식물학』 청각채; 보다. 눈으로 인식하다; 구경하다. 관람하다; 읽다; 살피다. 살펴보다; 관찰하여 판단하다. 〔참고〕 ‘진찰하다’의 뜻으로는 흔히, 「診る」를 씀; (시각 외의 감각으로) 파악하다; 당하다. 경험하다. 겪다; 맡아보다. 돌보다. 보살피다; 평가하다. 간주하다; 〈「…と~」의 꼴로〉 …로 보다. …로 생각하다[간주하다]. {문어·상1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て[で]」를 받아서》; (시험적으로) …해 보다; 〈「…てみると」 「…てみたら」 「…てみれば」의 꼴로〉 …해 보면. …해보니. …해 보니까. 〔참고〕 보통 かな로 씀. {문어·상1단 활용}
ごらん
〈「見る」의 높임말〉 보심; 〈「御覧なさい」의 준말. 「見ろ」의 높임말〉 보시오; 《「御覧なさい」의 준말. 「…してみろ」의 높임말. 動詞의 連用形+「て」에 붙어》 …보아요. …보렴
顔
얼굴. 낯; (얼굴의) 표정. 기색; (비유적으로) 표면; (표상으로서의) 얼굴; (구성원으로서의) 얼굴. 사람. 일동; 면목. 체면; (그 사회에서) 알려진 얼굴. 안면; 〈接尾語적으로 쓰이어〉 …한 얼굴. …하는 듯한 표정
いつから君は 一人になった?
君
『문어』; 임금. 군주; 윗사람에 대한 높임말; 논다니. 유녀; 남자가 동년배 또는 손아래 상대를 친근하게 부르는 말. 자네. 그대. 군. ((「おまえ」보다 공손한 말)) 〔반의어〕 僕; 느낌. 기분. 〔동의어〕きび; 〈「~がいい」 「いい~(だ)」의 꼴로〉 고소한 기분이다. 고소하다; 기미. 기운. 경향; ⇒ きび; 노랑을 띠고 있음. 노란 빛깔. 〔동의어〕黄色み; 노른자위. 난황(卵黃). 〔동의어〕卵黄. 〔반의어〕 白身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一
일; 하나. 〔동의어〕一つ. 〔참고〕 증서 등에서는 갖은자인 「壱」을 씀; (사물의) 시초. 처음. 첫째. 최초. 〔동의어〕一番め; 최상. 최고. 으뜸. 〔동의어〕首位; (상투 등에서) 元結로 묶은 곳에서 뒤로 내민 부분; (三味線·거문고 등에서) 제일 낮은 음의 줄. 〔동의어〕一の糸; (많은 것 중) 한. 하나의. 한 사람의; (이렇다 할 만한 데가 없는) 하찮은. 어떠 한; 어떤. 한; 상당한. 버젓한; 시장. 저자. 장; (변하여) 시가. 거리. 〔동의어〕街; 지위(地位). 〔동의어〕地位; 위치; 지위. 입장
上目遣いに人を見上げている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見上げる
우러러보다. 올려다보다. 쳐다보다. 〔반의어〕 見下ろす; 〈「~·げた」의 꼴로〉 훌륭하다고 감탄하다. 〔반의어〕 見さげる. 【문어형】 みあ·ぐ {하2단 활용}
上目遣い
눈을 치떠봄. 지릅뜸. 〔반의어〕 下目遣い
怖れているのかい? 逃げ出したいのかい?
怖い
무섭다. 겁나다. 두렵다. 〔동의어〕恐ろしい. こわ·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こわ·げ 【형용동사】 こわ·さ 【명사】 【문어형】 こは·し {ク 활용}; 강하다. 억세다. 세다; (음식물이) 질기다. 되다; 완고하다. 완강하다; 힘들다. 피곤하다. こわ·げ 【형용동사】 【문어형】 こは·し {ク 활용}
逃げ出す
도망치다. 달아나다. 〔동의어〕逃走する; 도망치기 시작하다. 【가능동사】 にげだ·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僕は君をそっと抱きしめた
君
『문어』; 임금. 군주; 윗사람에 대한 높임말; 논다니. 유녀; 남자가 동년배 또는 손아래 상대를 친근하게 부르는 말. 자네. 그대. 군. ((「おまえ」보다 공손한 말)) 〔반의어〕 僕; 느낌. 기분. 〔동의어〕きび; 〈「~がいい」 「いい~(だ)」의 꼴로〉 고소한 기분이다. 고소하다; 기미. 기운. 경향; ⇒ きび; 노랑을 띠고 있음. 노란 빛깔. 〔동의어〕黄色み; 노른자위. 난황(卵黃). 〔동의어〕卵黄. 〔반의어〕 白身
僕
하인. 종. ((예스러운 말)) 〔동의어〕召使·下男
そっと
솔토. 국토의 끝. 변경. 〔동의어〕そつど; 살그머니. 살짝. 조용히. 가만히. 몰래; 〈「~しておく」의 꼴로〉 (상대편의 기분을 거슬리지 않게) 가만히 그대로 두다
何が幸せなのか分からないんだね
何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幸せ
행복. 행운. {문어·ナリ 활용 }; 운. 운수. 운명. 〔참고〕 1.은 「倖せ」 「幸福」로도 씀
分かる
알다; 이해할 수 있다; 판명되다. 밝혀지다; 「分かれる」의 문어
自分を信じることができないんだね
信じる
⇒ しんずる; ⇒ しんずる
できる
전부 나가다[나오다]. 다 나가[나와] 남은 것이 없다. 〔동의어〕出つくす. 【문어 4단 활용 동사】; 《カ変動詞 「でくる」의 변한 꼴》; (새로) 생기다. 나다; 생성(生成)되다; 성립되다; 일어나다. 발생하다; 수중에 들어오다. 얻다; 생산되다. 산출되다; 만들어지다; 완성되다. 다 되다; (소질·경향을) 타고나다. 생겨 먹다; 능력·가능성이 있다. 할 수 있다. 가능하다; 〈サ変動詞의 語幹에 붙어 接尾語적으로〉 …할 수 있다. …하는 것이 가능하다; 잘하다. 할 줄 알다; (능력·인품이) 뛰어나다. 출중하다. 되어 있다; 《속어》 (남녀가) 깊은 관계에 있다. 눈이[배가] 맞다; 『경제』 (증권 거래소에서) 매매가 성립되다
自分
무렵. 대체적인 시기·시각; 적당한 때. 기회. 시기; (중국에서 신문의 논설 등에 쓰는) 현대어체(現代語體)의 문장; 그 시대의 글. 당시의 글; 그 사람 자신. 자기 자신;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동의어〕わたくし
大丈夫だよ 大丈夫だよ
大丈夫
『문어』 대장부. 〔동의어〕益荒男. 〔참고〕 「だいじょうぶ」로도 읽음
10年後の君は とてもとても幸せだから
君
『문어』; 임금. 군주; 윗사람에 대한 높임말; 논다니. 유녀; 남자가 동년배 또는 손아래 상대를 친근하게 부르는 말. 자네. 그대. 군. ((「おまえ」보다 공손한 말)) 〔반의어〕 僕; 느낌. 기분. 〔동의어〕きび; 〈「~がいい」 「いい~(だ)」의 꼴로〉 고소한 기분이다. 고소하다; 기미. 기운. 경향; ⇒ きび; 노랑을 띠고 있음. 노란 빛깔. 〔동의어〕黄色み; 노른자위. 난황(卵黃). 〔동의어〕卵黄. 〔반의어〕 白身
後
뒤. 후; (공간적으로) 뒤쪽. 후방. 등쪽; (시간적으로) 뒤. 나중. 다음; 현재로부터 거슬러 오른 때. 이전. 〔반의어〕 先; 뒷일. 후사(後事). 뒤처리. 사후(死後); 나머지; 후임(자). 후처(後妻); 후손. 자손. 1.2. 〔반의어〕 前·先; 자국. 발자국; 자취. 흔적. 종적. 행적; 필적(筆跡); 왕래. 인적(人跡); 가독(家督). 대(代); 터. 유적; 《고어》 선례(先例). 선인(先人)의 본보기
幸せ
행복. 행운. {문어·ナリ 활용 }; 운. 운수. 운명. 〔참고〕 1.은 「倖せ」 「幸福」로도 씀
とても
〈뒤에 否定語가 따르며〉 도저히. 아무래도. 〔동의어〕とうてい; 매우. 대단히. 〔동의어〕たいそう; 어차피. 〔동의어〕どうせ
年
해; 나이. 연령; 『문어』 도사. 개죽음. 〔동의어〕いぬじに; 도시
ほら、僕の目を見てごらん
僕
하인. 종. ((예스러운 말)) 〔동의어〕召使·下男
見る
『식물·식물학』 청각채; 보다. 눈으로 인식하다; 구경하다. 관람하다; 읽다; 살피다. 살펴보다; 관찰하여 판단하다. 〔참고〕 ‘진찰하다’의 뜻으로는 흔히, 「診る」를 씀; (시각 외의 감각으로) 파악하다; 당하다. 경험하다. 겪다; 맡아보다. 돌보다. 보살피다; 평가하다. 간주하다; 〈「…と~」의 꼴로〉 …로 보다. …로 생각하다[간주하다]. {문어·상1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て[で]」를 받아서》; (시험적으로) …해 보다; 〈「…てみると」 「…てみたら」 「…てみれば」의 꼴로〉 …해 보면. …해보니. …해 보니까. 〔참고〕 보통 かな로 씀. {문어·상1단 활용}
ごらん
〈「見る」의 높임말〉 보심; 〈「御覧なさい」의 준말. 「見ろ」의 높임말〉 보시오; 《「御覧なさい」의 준말. 「…してみろ」의 높임말. 動詞의 連用形+「て」에 붙어》 …보아요. …보렴
目
《「目」가 다른 말과 복합할 때의 형태》 눈; 정말. 진실. 〔동의어〕ほんとう·まこと; 《名詞·形容詞 등에 붙음》; 참다운. 진실한; 바른. 정확한. 순수한; 아름다운. 뛰어난; (같은 종류의 동식물 중) 가장 표준적인; (공간적인) 사이. 틈. 간격; (시간적인) 사이. 동안. 겨를. 짬; (적당한) 기회. 시간. 시기. 때; 방; (일본 음악·춤·연극 등에서) 박자와 박자, 동작과 동작, 대사와 대사 사이의 시간적 간격. 또는 (전체적인) 리듬감(感); 일본식 방의 수를 세는 말. 실(室). 방; 삼베. 삼실; 『불교』 〈범어 「māra」의 음역(音譯)인 「魔羅」의 준말〉 마귀. 악마. 귀신; 〈「~の」의 꼴로〉 마(魔)의. ((나쁜 일이 흔히 일어나는 장소·날짜·시간·요일 등을 형용할 때 씀)); 마. 광(狂). 그 일만을 끈덕지게 되풀이하여 남에게 해를 끼치는 사람; 《「いま」의 준말》 더욱. 더; ⇒ まあ< 2>
君の呼ぶ声に 僕は振り向いた
君
『문어』; 임금. 군주; 윗사람에 대한 높임말; 논다니. 유녀; 남자가 동년배 또는 손아래 상대를 친근하게 부르는 말. 자네. 그대. 군. ((「おまえ」보다 공손한 말)) 〔반의어〕 僕; 느낌. 기분. 〔동의어〕きび; 〈「~がいい」 「いい~(だ)」의 꼴로〉 고소한 기분이다. 고소하다; 기미. 기운. 경향; ⇒ きび; 노랑을 띠고 있음. 노란 빛깔. 〔동의어〕黄色み; 노른자위. 난황(卵黃). 〔동의어〕卵黄. 〔반의어〕 白身
僕
하인. 종. ((예스러운 말)) 〔동의어〕召使·下男
声
거름. 비료. 분뇨(糞尿). 〔동의어〕肥やし·下肥; 목소리. 소리; 물건이 진동해서 나는 소리. 〔동의어〕音·響き; 말. 생각. 의견; 계절이나 시기 등이 다가오는 낌새. 낌새
呼ぶ
부르다; 소리내어 부르다; 불러서 오게 하다; 초대하다. 〔동의어〕まねく; 일컫다. 〔동의어〕称する; 불러모으다. 끌다. 〔동의어〕引き寄せる·集める; 불러일으키다. 야기하다. 유발하다. 【가능동사】 よ·べ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振り向く
(뒤)돌아보다; 「振り向ける」의 문어
悲しげに遠くを見つめている
悲しい
슬프다; 애처롭다. 딱하다. 구슬프다. かなし·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かなし·げ 【형용동사】 かなし·さ 【명사】 かなし·み 【명사】 【문어형】 かな·し {シク 활용}; ⇒ 愛し
遠く
《「遠し」의 連用形의 名詞화》 먼 곳. 〔반의어〕 近く; 《「遠し」의 連用形의 副詞화》 멀리. 훨씬
苦しいのかい? 痛いのかい?
苦しい
답답하다. 고통스럽다. 괴롭다; 난처하다. 난감하다. 민망하다; 힘겹다. 고되다. 무리하다; 곤란하다. 궁색하다. 옹색하다. 가난하다; 거북하다. 구차하다; 〈「~·ゅうない」의 꼴로〉 괜찮다. 상관없다; 〈接尾語적으로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ぐるしい」의 꼴로〉 싫다. 번거롭다. 거북하다. 어렵다. くるし·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くるし·げ 【형용동사】 くるし·さ 【명사】 【문어형】 くる·し {シク 활용}
痛い
『문어』; 옷을 입고 띠를 맴. 옷차림을 갖춤; 이체; 모습·모양이 보통과 다름. 〔동의어〕いてい; 별개의 몸; 『언어학』 표준 자체(字體)와 다른 자체; 유체. 유해. 시체. 〔동의어〕なきがら; 아프다; 뼈아프다. (마음이) 쓰라리다; (약점·급소 등을 찔려서) 몹시 곤란하다. 뜨끔하다. いた·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いた·げ 【형용동사】 いた·さ 【명사】 いた·み 【명사】 【문어형】 いた·し {ク 활용}
ぼくは君を強く抱きしめた
君
『문어』; 임금. 군주; 윗사람에 대한 높임말; 논다니. 유녀; 남자가 동년배 또는 손아래 상대를 친근하게 부르는 말. 자네. 그대. 군. ((「おまえ」보다 공손한 말)) 〔반의어〕 僕; 느낌. 기분. 〔동의어〕きび; 〈「~がいい」 「いい~(だ)」의 꼴로〉 고소한 기분이다. 고소하다; 기미. 기운. 경향; ⇒ きび; 노랑을 띠고 있음. 노란 빛깔. 〔동의어〕黄色み; 노른자위. 난황(卵黃). 〔동의어〕卵黄. 〔반의어〕 白身
強い
무섭다. 겁나다. 두렵다. 〔동의어〕恐ろしい. こわ·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こわ·げ 【형용동사】 こわ·さ 【명사】 【문어형】 こは·し {ク 활용}; 강하다. 억세다. 세다; (음식물이) 질기다. 되다; 완고하다. 완강하다; 힘들다. 피곤하다. こわ·げ 【형용동사】 【문어형】 こは·し {ク 활용}
未来の自分が見えないんだね
見える
《「目見える」의 뜻》; 〈「会う」의 겸사말〉 (윗사람을) 만나 뵙다. 알현(謁見)하다. 배알(拜謁)하다; 만나다. 대면하다; 섬기다. 【문어형】 まみ·ゆ {하2단 활용}
未来
미래. 〔반의어〕 現在·過去; 내세. 〔동의어〕来世; 『생리학』 미뢰. 맛봉오리. ((혀에 많이 분포되어 있음))
自分
무렵. 대체적인 시기·시각; 적당한 때. 기회. 시기; (중국에서 신문의 논설 등에 쓰는) 현대어체(現代語體)의 문장; 그 시대의 글. 당시의 글; 그 사람 자신. 자기 자신;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동의어〕わたくし
すべては夢と言ってもらいたいんだね
もらう
받다. 얻다; 옮기다. 전염되다; 떠맡다. 인수하다. 〔동의어〕引き受ける; 자기 것으로 하다. 승부에서 이기다; 양자·사위 등을 맞이하다; 사다. 사 가지다. 【가능동사】 もら·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動詞의 連用形+「て」에 붙어》 남의 호의에 의하여 자기가 득을 봄. 또는 남에게 부탁하여 어떤 행위를 하게 함. …을 해 달라고 하다. …을 하여 받다. 〔참고〕 < 2> 는 かな로 씀. 【가능동사】 もら·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言う
말하다; 이야기하다. 지껄이다; 묻다; 명령하다. 의뢰하다; (의견을) 진술하다; 조언하다. 비평하다; 표현하다; 〈「…を…と~」의 꼴로〉 …을 …이라고 (말)하다[부르다·일컫다]; 소리가 나다. 소리를 내다. 소리가 들리다; 〈「…と~」+体言, 「…と~·った」+体言, 「…と~·います」+体言의 꼴로〉 …이라는. …이라 하는. 〔참고〕 「いう」 자체는 실질적인 뜻이 없으며, 흔히 仮名로 씀; 〈「…と~」의 앞뒤에 같은 体言이 붙어〉 …이라는 …은(는) 모두; 〈상태를 나타내는 말에 「…と~·ったらない」 「…と~ものはない」가 이어져〉 이 이상 …한 것은 없다. 정말이지 …하다. 〔참고〕 「…といったらない」는 「…ったらない」로도 씀. 어형(語形)이 「いう」의 꼴이지만 발음은 「ユー」로 함. 현대 かな 쓰기에서 활용의 설명상 「いう」로 씀. 【가능동사】 い·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夢
육. 여섯. 〔동의어〕むっつ·ろく; 무. 아무것도 없음. 〔반의어〕 有; 힘을 쓰거나, 감탄하거나, 놀라거나 할 때 입을 다물고 내는 소리. 음; 『문어』 《動詞·動詞型活用의 助動詞의 未然形에 붙어》; 추량·예상의 뜻을 나타냄. …일 것이다. …이겠지; 의지·희망의 뜻을 나타냄. …하겠다. …할 작정이다; 권유·명령의 뜻을 나타냄. …하는 것이 좋겠다. …해 주게; 가정·가상의 뜻을 나타냄. 만약 …이라면 (…일 것이다); 완곡하게 표현하는 뜻을 나타냄. …같은. 〔참고〕 平安 시대 이후에는 「ん」으로도 씀
大丈夫だよ 大丈夫だよ
大丈夫
『문어』 대장부. 〔동의어〕益荒男. 〔참고〕 「だいじょうぶ」로도 읽음
明日の君は とてもとても幸せだから
明日
《「朝」에서 변한말》 내일. 명일. 〔동의어〕あす·みょうにち. 〔반의어〕 昨日; 『문어』; 아침. 〔동의어〕あさ. 〔반의어〕 夕べ; 다음날 아침. 〔동의어〕翌朝
君
『문어』; 임금. 군주; 윗사람에 대한 높임말; 논다니. 유녀; 남자가 동년배 또는 손아래 상대를 친근하게 부르는 말. 자네. 그대. 군. ((「おまえ」보다 공손한 말)) 〔반의어〕 僕; 느낌. 기분. 〔동의어〕きび; 〈「~がいい」 「いい~(だ)」의 꼴로〉 고소한 기분이다. 고소하다; 기미. 기운. 경향; ⇒ きび; 노랑을 띠고 있음. 노란 빛깔. 〔동의어〕黄色み; 노른자위. 난황(卵黃). 〔동의어〕卵黄. 〔반의어〕 白身
幸せ
행복. 행운. {문어·ナリ 활용 }; 운. 운수. 운명. 〔참고〕 1.은 「倖せ」 「幸福」로도 씀
とても
〈뒤에 否定語가 따르며〉 도저히. 아무래도. 〔동의어〕とうてい; 매우. 대단히. 〔동의어〕たいそう; 어차피. 〔동의어〕どうせ
ほら、僕の笑顔を見てごらん
僕
하인. 종. ((예스러운 말)) 〔동의어〕召使·下男
見る
『식물·식물학』 청각채; 보다. 눈으로 인식하다; 구경하다. 관람하다; 읽다; 살피다. 살펴보다; 관찰하여 판단하다. 〔참고〕 ‘진찰하다’의 뜻으로는 흔히, 「診る」를 씀; (시각 외의 감각으로) 파악하다; 당하다. 경험하다. 겪다; 맡아보다. 돌보다. 보살피다; 평가하다. 간주하다; 〈「…と~」의 꼴로〉 …로 보다. …로 생각하다[간주하다]. {문어·상1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て[で]」를 받아서》; (시험적으로) …해 보다; 〈「…てみると」 「…てみたら」 「…てみれば」의 꼴로〉 …해 보면. …해보니. …해 보니까. 〔참고〕 보통 かな로 씀. {문어·상1단 활용}
笑顔
웃는 얼굴. 웃음 띤 얼굴
ごらん
〈「見る」의 높임말〉 보심; 〈「御覧なさい」의 준말. 「見ろ」의 높임말〉 보시오; 《「御覧なさい」의 준말. 「…してみろ」의 높임말. 動詞의 連用形+「て」에 붙어》 …보아요. …보렴
僕の呼ぶ声に 君は振り向いた
君
『문어』; 임금. 군주; 윗사람에 대한 높임말; 논다니. 유녀; 남자가 동년배 또는 손아래 상대를 친근하게 부르는 말. 자네. 그대. 군. ((「おまえ」보다 공손한 말)) 〔반의어〕 僕; 느낌. 기분. 〔동의어〕きび; 〈「~がいい」 「いい~(だ)」의 꼴로〉 고소한 기분이다. 고소하다; 기미. 기운. 경향; ⇒ きび; 노랑을 띠고 있음. 노란 빛깔. 〔동의어〕黄色み; 노른자위. 난황(卵黃). 〔동의어〕卵黄. 〔반의어〕 白身
僕
하인. 종. ((예스러운 말)) 〔동의어〕召使·下男
声
거름. 비료. 분뇨(糞尿). 〔동의어〕肥やし·下肥; 목소리. 소리; 물건이 진동해서 나는 소리. 〔동의어〕音·響き; 말. 생각. 의견; 계절이나 시기 등이 다가오는 낌새. 낌새
呼ぶ
부르다; 소리내어 부르다; 불러서 오게 하다; 초대하다. 〔동의어〕まねく; 일컫다. 〔동의어〕称する; 불러모으다. 끌다. 〔동의어〕引き寄せる·集める; 불러일으키다. 야기하다. 유발하다. 【가능동사】 よ·べ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振り向く
(뒤)돌아보다; 「振り向ける」의 문어
確かな足取りの未来の自分
確か
확실함. 틀림없음. 믿을 만함; 정확함; 든든함. 단단함; 안전함; 건전함. 멀쩡함. {문어·ナリ 활용 }; (절대적이지는 않으나) 분명히. 확실히. 틀림없이. 아마. 〔동의어〕たぶん
未来
미래. 〔반의어〕 現在·過去; 내세. 〔동의어〕来世; 『생리학』 미뢰. 맛봉오리. ((혀에 많이 분포되어 있음))
自分
무렵. 대체적인 시기·시각; 적당한 때. 기회. 시기; (중국에서 신문의 논설 등에 쓰는) 현대어체(現代語體)의 문장; 그 시대의 글. 당시의 글; 그 사람 자신. 자기 자신;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동의어〕わたくし
足取り
(일본 씨름에서) 두 손으로 상대의 발을 잡아 넘어뜨리거나 밖으로 밀어내는 기술. 〔동의어〕なみまくら·いっすんぞり; 발을 잡음
幸せかい? 楽しいかい?
幸せ
행복. 행운. {문어·ナリ 활용 }; 운. 운수. 운명. 〔참고〕 1.은 「倖せ」 「幸福」로도 씀
楽しい
즐겁다. 재미있다. 유쾌하다. 〔참고〕 「うれしい」는 감격적, 일시적. 「たのしい」는 정적(靜的), 계속적. たのし·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たのし·げ 【형용동사】 たのし·さ 【명사】 たのし·み 【명사·형용동사】 【문어형】 たの·し {シク 활용}
君は僕を強く抱きしめた
君
『문어』; 임금. 군주; 윗사람에 대한 높임말; 논다니. 유녀; 남자가 동년배 또는 손아래 상대를 친근하게 부르는 말. 자네. 그대. 군. ((「おまえ」보다 공손한 말)) 〔반의어〕 僕; 느낌. 기분. 〔동의어〕きび; 〈「~がいい」 「いい~(だ)」의 꼴로〉 고소한 기분이다. 고소하다; 기미. 기운. 경향; ⇒ きび; 노랑을 띠고 있음. 노란 빛깔. 〔동의어〕黄色み; 노른자위. 난황(卵黃). 〔동의어〕卵黄. 〔반의어〕 白身
僕
하인. 종. ((예스러운 말)) 〔동의어〕召使·下男
強い
무섭다. 겁나다. 두렵다. 〔동의어〕恐ろしい. こわ·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こわ·げ 【형용동사】 こわ·さ 【명사】 【문어형】 こは·し {ク 활용}; 강하다. 억세다. 세다; (음식물이) 질기다. 되다; 완고하다. 완강하다; 힘들다. 피곤하다. こわ·げ 【형용동사】 【문어형】 こは·し {ク 활용}
やっと僕らは一つになれたね
やっと
겨우. 근근이. 가까스로. 간신히. 〔동의어〕ようやく·かろうじて
一つ
하나. 한. 〔동의어〕いち·ひと; 동일함. 같음. 한가지. 일치함; 한편. 일면. 일방. 〔동의어〕一方; 〈否定語가 따르며〉 어느 하나를 내세워, 그와 비슷한 것 모두를 부정함. …하나(도). …조차; 그 이외는 없음을 강조함. …에 따라 결정됨. …나름; 좀. 한번. 시험 삼아; 아무쪼록. 부디. 〔동의어〕どうぞ
本当の自分に出会えたんだね
本当
⇒ ほんとう
自分
무렵. 대체적인 시기·시각; 적당한 때. 기회. 시기; (중국에서 신문의 논설 등에 쓰는) 현대어체(現代語體)의 문장; 그 시대의 글. 당시의 글; 그 사람 자신. 자기 자신;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동의어〕わたくし
大丈夫だよ 大丈夫だよ
大丈夫
『문어』 대장부. 〔동의어〕益荒男. 〔참고〕 「だいじょうぶ」로도 읽음
何が起きても ずっとずっと離さない
何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離す
풀어놓다. 놓아주다; (잡고 있던 것을) 놓다. 〔참고〕 2.는 「離す」로도 씀. 【가능동사】 はな·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말하다. 이야기하다; 의논하다. 상의하다. 〔동의어〕相談する. 【가능동사】 はな·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떼다. 놓다. 풀다. 옮기다; 거리를 두다. 사이를 띄우다. 【가능동사】 はな·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ずっと
다른 것과 비교해서 차이가 많은 모양; 시간적 차이가 많은 모양; 오랫동안 계속되는 모양; 머뭇거리지 않는 모양
起きる
(자리에서) 일어나다. 기상하다; 일어서다. 바로 서다; (잠에서) 깨어 있다. 자지 않고 있다; 일다. 일어나다. 생기다. 발생하다. 〔동의어〕起こる; 병상에서 일어나다. 【문어형】 お·く 【명사·부사】; 불이 벌겋게 피다
ともにこの今を生きていこう
生きる
《고어》; 흥분하여 화내다. 설치다; 살다; 생존하다. 목숨을 지니다. 생명이 있다; 생활하다. 지내다. 생계를 세우다; (비유적으로) 존재하다. 있다; 가치를 지니다. 쓸모가 있다. 유효하다; 생동하다. 생생하다. 생기를 띠다; (장기·바둑·경기 등에서) 죽지 않다; (교정·작문 등에서) 일단 고친 부분이 되살다. 1.~6. 〔반의어〕 死ぬ. 【문어형】 い·く {상2단 활용}
今
지금. 이제. 현재; 오늘날. 현대. 〔반의어〕 昔; 〈接続詞적으로 씀〉 이야기를 진전시키기 위하여 전제(前提)를 설정할 때 쓰는 말. 여기서; 가까운 미래를 나타냄. 이제 곧. 바로. 잇따라; 지금 막. 방금; 더. 〔동의어〕さらに; 〈주로 사람을 나타내는 명사에 붙음〉 현대의. 최근의. 오늘날의; 새로운; 가족이 함께 모여 차를 마시거나 여가를 보내거나 하는 방. 거실(居室). 거처방
すべてがOK! どんな自分もOK!
どんな
어떠한. 〔참고〕 위의 예문에서와 같이 連体形은 일반적으로 語幹 그대로의 「どんな」이므로 連体詞로 보는 견해도 있으나, 助詞 「の」가 뒤따를 때에는 「どんなな」로 되는 경우도 있어 일반 連体詞와 다름; 〈「~に」의 꼴로〉 그 상태·수량이 무한함을 강조함. 얼마나. 얼마만큼. 아무리
自分
무렵. 대체적인 시기·시각; 적당한 때. 기회. 시기; (중국에서 신문의 논설 등에 쓰는) 현대어체(現代語體)의 문장; 그 시대의 글. 당시의 글; 그 사람 자신. 자기 자신;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동의어〕わたくし
すべてが必然で すべてに意味があり
意味
부정(不淨)이나 불길한 방향 등을 꺼림; 재계(齋戒); 거상(居喪). 복상(服喪); 의미; 말뜻; (표현이나 행동의) 의도. 까닭; 가치. 의의. 보람; 취지·목적·내용
必然
필연. 〔반의어〕 偶然
歩いた道も 今いるところも
歩く
걷다. 걸어가다. 거닐다. 〔동의어〕あゆむ; (비유적으로) 거쳐오다. 지내다. 살아가다; 〈다른 動詞의 連用形을 받아〉 여기저기에서[여러 곳에서] …하다. …하며 다니다; 방문하다. 찾아보다. 【가능동사】 ある·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今
지금. 이제. 현재; 오늘날. 현대. 〔반의어〕 昔; 〈接続詞적으로 씀〉 이야기를 진전시키기 위하여 전제(前提)를 설정할 때 쓰는 말. 여기서; 가까운 미래를 나타냄. 이제 곧. 바로. 잇따라; 지금 막. 방금; 더. 〔동의어〕さらに; 〈주로 사람을 나타내는 명사에 붙음〉 현대의. 최근의. 오늘날의; 새로운; 가족이 함께 모여 차를 마시거나 여가를 보내거나 하는 방. 거실(居室). 거처방
道
동. 같음; 동. (앞에 말한) 그; 동; 몸통. 동체. 〔동의어〕胴体; 몸의 중앙부. 복부(腹部); 물건의 중앙 부분. 동체; 북·三味線 등에서, 소리가 잘 울리도록 하기 위한, 속이 텅 빈 부분; (재래식 목조선의) 복부. 중배; 갑옷 또는 검도 방호구(防護具)의 가슴·배를 가리는 부분; (검도에서) 허리를 타격하는 수. 허리치기; 배짱; 동. 움직임. 〔반의어〕 静; 옛날, 영빈(迎賓)·예식 등을 위한 건물; 신불을 모신 건물; 집회(集會)를 위한 건물; 당. 옥호(屋號)·아호(雅號)·건물의 이름에 붙이는 말; 「北海道」의 준말; 동; 『화학』 금속 원소의 하나. 구리. 원소 기호 cu. 〔동의어〕あか·あかがね; 「銅メダル」의 준말; 당; 기를 단 창. 당극(幢戟).〔동의어〕はたほこ; 장막. 휘장; 어떻게; 모든 수단과 방법을 다함을 나타냄. 아무리(…해도); 〈「どうですか」의 준말〉 어때. 어때요; 마소를 멈추게 할 때 지르는, 달래는 소리. 우어. 워
これからの道も 何一つ無駄はない
これから
《代名詞 「これ」+助詞 「から」가 한 낱말로 된 것. 副詞적으로도 씀》; 이제부터. 금후. 장차. 앞으로; 여기로부터
無駄
보람이 없음. 쓸데없음. 헛됨. {문어·ナリ 활용 }
道
동. 같음; 동. (앞에 말한) 그; 동; 몸통. 동체. 〔동의어〕胴体; 몸의 중앙부. 복부(腹部); 물건의 중앙 부분. 동체; 북·三味線 등에서, 소리가 잘 울리도록 하기 위한, 속이 텅 빈 부분; (재래식 목조선의) 복부. 중배; 갑옷 또는 검도 방호구(防護具)의 가슴·배를 가리는 부분; (검도에서) 허리를 타격하는 수. 허리치기; 배짱; 동. 움직임. 〔반의어〕 静; 옛날, 영빈(迎賓)·예식 등을 위한 건물; 신불을 모신 건물; 집회(集會)를 위한 건물; 당. 옥호(屋號)·아호(雅號)·건물의 이름에 붙이는 말; 「北海道」의 준말; 동; 『화학』 금속 원소의 하나. 구리. 원소 기호 cu. 〔동의어〕あか·あかがね; 「銅メダル」의 준말; 당; 기를 단 창. 당극(幢戟).〔동의어〕はたほこ; 장막. 휘장; 어떻게; 모든 수단과 방법을 다함을 나타냄. 아무리(…해도); 〈「どうですか」의 준말〉 어때. 어때요; 마소를 멈추게 할 때 지르는, 달래는 소리. 우어. 워
何一つ
《뒤에 否定語가 따름》 무엇 하나. 하나도. 아무것도. 조금도
大丈夫だよ 大丈夫だよ
大丈夫
『문어』 대장부. 〔동의어〕益荒男. 〔참고〕 「だいじょうぶ」로도 읽음
君の命は とてもとても輝いている
君
『문어』; 임금. 군주; 윗사람에 대한 높임말; 논다니. 유녀; 남자가 동년배 또는 손아래 상대를 친근하게 부르는 말. 자네. 그대. 군. ((「おまえ」보다 공손한 말)) 〔반의어〕 僕; 느낌. 기분. 〔동의어〕きび; 〈「~がいい」 「いい~(だ)」의 꼴로〉 고소한 기분이다. 고소하다; 기미. 기운. 경향; ⇒ きび; 노랑을 띠고 있음. 노란 빛깔. 〔동의어〕黄色み; 노른자위. 난황(卵黃). 〔동의어〕卵黄. 〔반의어〕 白身
命
목숨. 생명; 수명. 명; (비유적으로) 가장 중요한 것
輝く
《고어》 부끄러워하다
とても
〈뒤에 否定語가 따르며〉 도저히. 아무래도. 〔동의어〕とうてい; 매우. 대단히. 〔동의어〕たいそう; 어차피. 〔동의어〕どうせ
大丈夫だよ
大丈夫
『문어』 대장부. 〔동의어〕益荒男. 〔참고〕 「だいじょうぶ」로도 읽음
晴れた日に空を見上げて
イギリスの消費者物価指数 前年同月比10.1%上昇 約40年ぶりの高水準続く(2023年2月15日)
新型コロナ2カ月半ぶり500人超 オミクロン株最多に(2021年12月29日)
佳子さま29歳の誕生日 振袖姿の新映像公開 ペルー訪問など精力的にご公務(2023年12月29日)
幸せをみつけられるように
北朝鮮 金正恩総書記が住宅建設視察 衛星打ち上げに警戒強まる中(2024年4月6日)
Siri音声認識の距離限界に挑戦!|Siri's limit of the range is?
米の衰弱懸念パンダ「ヤーヤー」が上海到着 20年間の貸与終える(2023年4月28日)
ウクライナ 侵攻で出生率約3割低下 5万人手足損失か(2023年8月3日)
電池を使うとスマホにお知らせ “家族の安否”確認(19/12/10)
Vous devez passer à un compte premium pour utiliser cette fonctionnalité
Êtes-vous sûr de vouloir repasser le test?
Veuillez mettre à niveau votre compte pour lire des journaux en illimit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