能登半島地震で被災したカレー店が3週間以上にわたって休むことなく炊き出しを続けています。
A curry restaurant that continues to serve food suffers disaster... 200 meals per day (2024/02/03)
873 view能登半島地震で被災したカレー店が3週間以上にわたって休むことなく炊き出しを続けています。
石川県輪島市の道の駅にあるカレー店は、地震で被害を受け電気も止まりました。
しかし、「被災者は温かいものをほしくなる時がある」と、先月10日から1日も休まずに毎日200食の提供を続けています。
「カレーの味はどう?辛い!」
「好き?好き」
「お店を開けて動かすというのも準備なので、そういう意味でもやってるんですけど、喜んでくれる人がたくさんいるとやめづらい」
里谷さんは、「状況が少しでも回復して、炊き出しの需要がなくなるくらいになってほしい」と話しています。
能登半島地震で被災したカレー店が3週間以上にわたって休むことなく炊き出しを続けています。
以上
이상; (수량·정도·우열 등의 비교에서) 그보다 위의 범위에 있음. 수량에서는 그 기준도 포함됨. 〔반의어〕 以下; 이제까지 말한 것; 문서의 마지막에 적어 ‘끝’의 뜻을 나타냄; 「御目見以上」의 준말; 전부. 도합. 합계;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어 接続助詞처럼 쓰임〉 …한[된] 바에는. …한[된] 이상; 위요. 둘러쌈. 〔동의어〕いにょう; 위양. 권한 등을 다른 사람 또는 기관에 넘겨줌; 이상. 〔동의어〕別状; 이상. 정상이 아님. 〔반의어〕 正常. {문어·ナリ 활용 }; 이승. 갈아탐. 옮겨 탐; 이양. 남에게 넘겨줌
地震
지신(地神). 땅의 신; 『지리·지학·지명』 지진; 자신; 자기. 〔동의어〕自分; 〈다른 말에 붙어 그것을 강조함〉 그 자신. 그 자체; 자신; 『문어』 시신. 주군(主君)을 가까이 섬기는 신하. 〔동의어〕近侍; 시침. (시계의) 단침; 자침
週間
『법률』 수감; 종간. 〔반의어〕 創刊·発刊; 종권. (전집 등의) 마지막 권. 책의 마지막 부분. 〔반의어〕 首巻; 습관. 풍습; 주간; 주간
店
상점. 가게; (예스러운 말로) 셋집; 선반. 시렁; 바다 속에서, 물고기가 떼지어 노니는 둔덕; ⇒ 船棚; 포도 등의 덩굴을 받치는 시렁; 대륙붕
カレー
「ライスカレー」 「カレーライス」의 준말
休む
휴식하다. 쉬다; 결근[결석]하다; 자다. 취침하다; 「やすめる」의 문어
被災
『문어』 비재. 재능이 없음. ((자기 재능의 겸사말)); 피재. 재해를 입음. 〔동의어〕罹災
能登半島
이시카와현 반도
炊き出し
(화재·지진·수재 등의) 이재민(罹災民)에게 밥을 지어 제공하는 일.
石川県輪島市の道の駅にあるカレー店は、地震で被害を受け電気も止まりました。
市
일; 하나. 〔동의어〕一つ. 〔참고〕 증서 등에서는 갖은자인 「壱」을 씀; (사물의) 시초. 처음. 첫째. 최초. 〔동의어〕一番め; 최상. 최고. 으뜸. 〔동의어〕首位; (상투 등에서) 元結로 묶은 곳에서 뒤로 내민 부분; (三味線·거문고 등에서) 제일 낮은 음의 줄. 〔동의어〕一の糸; (많은 것 중) 한. 하나의. 한 사람의; (이렇다 할 만한 데가 없는) 하찮은. 어떠 한; 어떤. 한; 상당한. 버젓한; 시장. 저자. 장; (변하여) 시가. 거리. 〔동의어〕街; 지위(地位). 〔동의어〕地位; 위치; 지위. 입장
地震
지신(地神). 땅의 신; 『지리·지학·지명』 지진; 자신; 자기. 〔동의어〕自分; 〈다른 말에 붙어 그것을 강조함〉 그 자신. 그 자체; 자신; 『문어』 시신. 주군(主君)을 가까이 섬기는 신하. 〔동의어〕近侍; 시침. (시계의) 단침; 자침
被害
『어류』 중고기. 〔참고〕 일본에서는 明治 천황이 즐겨 먹어서 「鰉」자를 쓰게 되었다 함; 피해. 〔반의어〕 加害
県
《고어》; (大和 시대의) 일본 황실의 직할 영지; 시골. 지방. 〔동의어〕地方·いなか
店
상점. 가게; (예스러운 말로) 셋집; 선반. 시렁; 바다 속에서, 물고기가 떼지어 노니는 둔덕; ⇒ 船棚; 포도 등의 덩굴을 받치는 시렁; 대륙붕
駅
마구간. 말간. 〔동의어〕馬小屋·廐舎; 《고어》 역관(驛館). 역참(驛站). 〔동의어〕宿場·宿駅
カレー
「ライスカレー」 「カレーライス」의 준말
電気
전기. 기이한[괴기한] 이야기; 전기; 전령의 임무를 띤 기마병; 『물리』 전기; 전등; 전기. 전기 기계; 전기. 전기 기구
道
동. 같음; 동. (앞에 말한) 그; 동; 몸통. 동체. 〔동의어〕胴体; 몸의 중앙부. 복부(腹部); 물건의 중앙 부분. 동체; 북·三味線 등에서, 소리가 잘 울리도록 하기 위한, 속이 텅 빈 부분; (재래식 목조선의) 복부. 중배; 갑옷 또는 검도 방호구(防護具)의 가슴·배를 가리는 부분; (검도에서) 허리를 타격하는 수. 허리치기; 배짱; 동. 움직임. 〔반의어〕 静; 옛날, 영빈(迎賓)·예식 등을 위한 건물; 신불을 모신 건물; 집회(集會)를 위한 건물; 당. 옥호(屋號)·아호(雅號)·건물의 이름에 붙이는 말; 「北海道」의 준말; 동; 『화학』 금속 원소의 하나. 구리. 원소 기호 cu. 〔동의어〕あか·あかがね; 「銅メダル」의 준말; 당; 기를 단 창. 당극(幢戟).〔동의어〕はたほこ; 장막. 휘장; 어떻게; 모든 수단과 방법을 다함을 나타냄. 아무리(…해도); 〈「どうですか」의 준말〉 어때. 어때요; 마소를 멈추게 할 때 지르는, 달래는 소리. 우어. 워
受け
받음. 또는 받는 것. ((흔히 다른 말에 붙어 接尾語처럼 쓰임)); (물건을) 받치는 기구; 방어 자세. 수세. 소극적인 자세; 평판. 인기; 승낙. 맡음; ⇒ うえ; 《「請け人」의 준말》 보증. 보증인; 음양도에서, 그 사람의 간지(干支)에 의해 길운(吉運)이 7년간 계속된다는 행운의 나이. 〔반의어〕 無卦
止まり
멈춤. 그침; 막힘. 또는 그 곳; 끝. 마지막; 〈接尾語적으로 씀〉 「…どまり」의 꼴로 장소·지명에 붙을 경우는 ‘종점’, 수량·지위를 나타내는 말에 붙을 경우는 ‘한도’를 나타냄; 숙박; 숙직; 선착장. 항구
しかし、「被災者は温かいものをほしくなる時がある」と、先月10日から1日も休まずに毎日200食の提供を続けています。
日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者
멍청이. 〔동의어〕まぬけ
時
차; 다음; 『화학』 산화(酸化)의 정도가 낮음; 『화학』 염기성염(鹽基性鹽); 횟수(回數). 빈도(頻度). 차례; 자; 자기; 〈시간·장소를 나타내는 名詞에 붙어〉 …부터. 〔반의어〕 至; 사. 절; 아; 아이. 아동; 남아;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사. 일. 사항; 시. 시간의 단위. 60분; 시각; 때. 기회; 〈옛 지명에 붙여〉 그 지방의 길.그 지방 또는 그 지방으로 가는 길임을 나타냄. 도(道). 가도. 지방; 하루의 행정(行程); 『문어』 나이를 나타냄; 〈10을 단위로 한 수에 붙여〉 그 정도의 나이를 나타냄; 토지. 땅. 지면; 그 지방. 그 고장; 본성. 본색. 천성. 본바탕; 기반. 기초; 천; 살결. 피부; 문장에서 작자가 설명한 부분; (바둑에서) 차지한 집; 실제. 실지(實地). 〔참조어〕 地で行く; 풋내기. 숫보기; 「地謡」 「地紙」 「地髪」의 준말; 글자. 문자; 글씨. 필적; (바둑 등에서) 비김. 무승부; 『의학』 치질. 〔동의어〕痔疾; 『문어』 사; 말. 글; 한문 문체의 하나; 『언어학』 일본어 단어를 문법상의 성질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한 것의 하나. 단독으로는 문절(文節)을 이루지 못하고, 언제나 詞(자립어)에 딸려서 문절을 구성하는 말. ((助詞·助動詞 등)) 〔동의어〕付属語·関係語. 〔반의어〕 詞; 『문어』; 자석. 지남철; 자기. 사기그릇; 새; 세 가지 신기(神器)의 하나인 八尺瓊曲玉. 〔동의어〕神璽; 《고어》 《動詞·助動詞의 未然形에 붙음》; 부정적인 추측을 나타냄. …않겠지. …않을 것이다. 〔동의어〕…ないだろう·…まい; 부정적인 결의를 나타냄. …하지 않으리라. …않을 작정이다. 〔동의어〕…まい
提供
『문어』 제경; 황제가 사는 도성(都城). 〔동의어〕帝都·京師; 제공
しかし
그러나. 하지만. 그렇지만. 〔동의어〕だが·そうではあるが·けれども
先月
지난달. 전달. 〔동의어〕前月. 〔반의어〕 来月; 『문어』 초승달과 같은 가는 모양의 달
毎日
매일. 날마다. 그날그날. 〔동의어〕ひごと·日々
温かい
따뜻하다. 따스하다. 훈훈하다. 〔반의어〕 凉しい; 다정하다. 정답다. 다사롭다. 〔반의어〕 冷たい; 〈「ふところが~」 「ふところの~」의 꼴로〉 (주머니가) 두둑하다. 〔반의어〕 寒い; (색깔이) 따스한 느낌이다. 난색(暖色)이다. あたたか·げ 【형용동사】 あたたか·さ 【명사】 あたたか·み 【명사】 【문어형】 あたたか·し {ク 활용}
食
성(姓)·관직명·칭호 등에 붙어, 그 일족 또는 성원(成員)임을 나타냄. 가(家). 집안; 털; 체모(體毛); 머리카락. 모발; 우모(羽毛); 양모. 털실; 털같이 생긴 것. 꺼끄러기; (논·밭의) 농작물; 매우 적음의 비유. 털끝; 《고어》 음식. 식사; 《고어》; 식기; 물건을 담는 그릇; 《고어》 정식(正式)이 아님. 또는 일상적임. 평상시. 일상. 〔반의어〕 晴; 기; 기미. 기척. 기운; 병; 성분. 맛. 냄새; 《動詞·形容詞·形容動詞에 붙어》 그 뜻을 강조하거나 ‘어쩐지’ ‘왜 그런지’의 뜻을 곁들임; 《名詞·形容詞·形容動詞의 語幹,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그런 기미·기척·낌새·느낌 등의 뜻을 나타냄. 〔참고〕 ㉠体言에 붙을 때는 「っけ」가 되는 경우가 많음. ㉡形容詞·形容動詞의 어간에 붙을 때는 흔히 かな로 씀; 괘. 점괘; 《文語助動詞 「けり」의 변한말. 친한 사이의 남성 용어. 過法·完了의 助動詞 「た」, 또는 断定의 助動詞 「だ」의 終止形에 붙어 「たっ~」 「だっ~」의 꼴로 쓰이나, 때로는 「た~」 「だ~」의 꼴로도 씀》; 과거의 일을 영탄적으로 회상하거나 깨닫거나 하는 뜻을 나타냄. …었지; 상대의 생각을 확인하듯 묻거나 동의를 구하는 뜻을 나타냄. …었던가. 〔참고〕 실제로는 경험이 없는, 따라서 회상할 것도 없는 일이라도 회상에 의한 확인의 형태를 취함으로써 물음이 부드럽게 들림; 보통과 다름. 별남; 뛰어남
被災
『문어』 비재. 재능이 없음. ((자기 재능의 겸사말)); 피재. 재해를 입음. 〔동의어〕罹災
「カレーの味はどう?辛い!」
味
맛; 음식의 맛. 〔동의어〕あじわい; 재미. 묘미. 멋. 운치. 정취. 〔동의어〕面白味·趣き; 체험에 의하여 얻은 느낌; 《흔히 「~な」의 꼴로 씀》 멋있음. 근사함. 재치[운치] 있음. 신통함. {문어·ナリ 활용 }; ⇒ あんじ; 『어류』 전갱이
辛い
맵다. 얼얼하다. 얼큰하다; 짜다. 〔동의어〕塩からい·しょっぱい. 〔참고〕 「鹹い」로도 씀; (술맛 등이) 독하다. 쏘는 맛이 있다; 가혹하다. 엄하다. 박하다. 짜다; 괴롭다. 고통스럽다. 1.~4.〔반의어〕 甘い. から·げ 【형용동사】 から·さ 【명사】 から·み 【명사】 【문어형】 から·し {ク 활용}
カレー
「ライスカレー」 「カレーライス」의 준말
「好き?好き」
好き
좋아함. 〔반의어〕 きらい; 색다른 것을 좋아함. 〔동의어〕ものずき; 호색. 〔동의어〕いろごのみ; 마음 내키는 대로임. 제멋대로임; 틈; 빈틈. 틈새기. 빈곳. 〔동의어〕隙間; 겨를. 짬; 허점. 방심. 틈탈 기회; 『농학·농림·농업』 쟁기. 극젱이. 〔동의어〕からすき; 종이를 뜸. 초지(抄紙); 『농학·농림·농업』 가래; 풍류(風流). 풍류의 길. 특히, 다도(茶道)·和歌를 즐김. 〔참고〕 「好き」의 차자. 「数奇」는 딴말임
「お店を開けて動かすというのも準備なので、そういう意味でもやってるんですけど、喜んでくれる人がたくさんいるとやめづらい」
くれる
(상대편이 나에게) 주다. 〔동의어〕よこす; (내가 상대편에게) 주다. 어떤 행위를 가하다. ((상대편을 낮추는 느낌이 담긴 말)) 〔동의어〕やる·くらわす; 《動詞의 連用形+「て[で]」에 붙음》; 남이 자기에게 무엇인가를 해 주다; (상대에게 달갑지 않은 짓을) 해 주다. 〔참고〕 命令形은 「くれ」가 됨. 【문어형】 く·る {하2단 활용}; 해가 지다. 저물다. 〔반의어〕 明ける; (계절·한 해가) 저물다. 끝나다; 지새다. 잠기다; 어찌할 바를 모르다. 〔참고〕 3.4.는 「暗れる」 「眩れる」로도 씀. 【문어형】 く·る {하2단 활용}
動かす
움직이다; (위치를) 옮기다; 흔들다; (사물의) 상태를 바꾸다; 마음을 움직이다. 감동시키다; 행동하게 하다. 활동시키다; 작동시키다. 돌리다; 운용하다. 활용하다. 【가능동사】 うごか·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準備
『문어』 순미. 티없이 아름다움. 순수한 미. {문어·ナリ 활용 }; 준비
店
상점. 가게; (예스러운 말로) 셋집; 선반. 시렁; 바다 속에서, 물고기가 떼지어 노니는 둔덕; ⇒ 船棚; 포도 등의 덩굴을 받치는 시렁; 대륙붕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意味
부정(不淨)이나 불길한 방향 등을 꺼림; 재계(齋戒); 거상(居喪). 복상(服喪); 의미; 말뜻; (표현이나 행동의) 의도. 까닭; 가치. 의의. 보람; 취지·목적·내용
たくさん
많음; (달갑지 않을 만큼) 충분함. 더 필요 없음. 질색임; 〈名詞에 붙어〉 충분하리 만큼 많은 모양을 나타냄. {문어·ナリ 활용 }
そういう
그와 같은. 그러한
づら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形容詞를 만듦》 …하기 곤란하다. …하기 거북하다. 【문어형】 づら·し {ク 활용}
里谷さんは、「状況が少しでも回復して、炊き出しの需要がなくなるくらいになってほしい」と話しています。
回復
회복; 쾌복. 건강이 완전히 회복됨. 쾌차; 개복. 수술을 위하여 복부를 쨈
需要
『문어』 수용. 받아들여 씀; 수용. 받아들임; 수용. 필요한 물건을 구하여 씀; 수요. 〔반의어〕 供給. 〔참고〕 전기나 가스에 관해서는 「需用」라고 씀; 『문어』 수엽. 나뭇잎. 〔동의어〕木の葉
状況
상경; 상황. 정황; 상황. 평상시의 상태
少し
조금. 좀. 약간. 〔동의어〕わずか·少々·やや·ちょっと. 〔참고〕 「ほんの~(아주 조금)」 「~の間(잠깐 동안)」 「~の差(약간의 차)」 등 名詞적으로 쓸 때도 있음
なくなる
작고하다. 돌아가시다. 죽다. ((「死ぬ」보다 완곡한 표현)) 【문어 4단 활용 동사】; 없어지다. 분실되다; 다 떨어지다. 다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くらい
《「座居」의 뜻》; 국왕의 지위; 지위. 계급; 예술 작품 등의 품위. 품격. 관록; (사물의) 등급. 우열(優劣); 『수학』 (십진법의) 자릿수; 《名詞 「位」에서 변한말. 「ぐらい」로도 씀》 만큼. 정도. 가량. 쯤; 어떤 사물을 예시하고 대강 그 정도임을 나타냄; 정도가 낮은 한도를 나타냄; 비교의 기준을 나타냄; 〈수량을 나타내는 말에 붙어서〉 대강의 수량을 나타냄; 어둡다. 〔반의어〕 あかるい; 밝지 않다. 캄캄하다. 침침하다; (색깔 등이) 칙칙하다; (사람됨이나 행실 등이) 떳떳하지 못하다; (전망 등이) 암담하다. 희망이 없다; (마음이나 표정 등이) 우울하다. 침울하다. 음침하다; (세상 물정 등에) 밝지 못하다. 캄캄하다. くら·さ 【명사】 【문어형】 くら·し {ク 활용}
ほしい
⇒ ほしいい; 갖고 싶다. 탐나다. …이 있으면 좋겠다. 아쉽다. ほし·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ほし·げ 【형용동사】 ほし·さ 【명사】 【문어형】 ほ·し {シク 활용}
炊き出し
(화재·지진·수재 등의) 이재민(罹災民)에게 밥을 지어 제공하는 일.
【速報】米宇宙企業の着陸船「オデッセウス」月面着陸に成功 民間企業として世界初(2024年2月23日)
中国海警局 南シナ海でフィリピンの巡視船2隻に放水(2024年4月30日)
西日本では“一時”小康状態 あす再び大雨の恐れ(2021年8月15日)
ゆらゆら
ソニーとホンダ新会社 「レベル3」EVを共同開発へ(2022年10月13日)
きょうマスク転売規制を解除 メルカリなどは継続(2020年8月29日)
岸田総理 能登半島地震を「特定非常災害」に指定へ(2024年1月7日)
今も約550人が孤立 県道の崩落現場を知事が視察“仮設道路”早期設置に言及 島根(2024年7月12日)
北京オリンピックの公式アプリに情報漏洩の懸念 パラリンピック選手団にスマホ配布へ(2022年2月9日)
新幹線が乗り放題、ホテルも泊まり放題のプランとは(2021年4月26日)
You need to upgrade to a premium account to using this feature
Are you sure you want to test again?
Please upgrade your account to read unlimited newspap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