ミスターストロングは世界一の力持ち。
ミスターストロングは世界一の力持ち。
彼の強さの秘密を知りたい?
それは卵。
卵を食べれば食べるほど、 彼は強くなるんです。
ある日、 ミスターストロングは、 散歩に出かけました。
おっと!
ミスターストロング、 ちゃんと前を見てないと。
あ、 ぶつかっちゃう!
おっと!
ごめんよ。
ミスターストロング、 今度はちゃんと前を見てね。
きゃあ!
おっと!
これは失礼。
ミスターストロング、 本当に気を付けてね。
おや、 農夫のおじさんが困っているみたい。
どうしたのかしら?
なんてこと!
おじさんの畑が、 火事になってしまったようです。
火を消すには、 水が必要です。
近くに川があるみたいね。
でも、 おじさんはポンプを持っていないみたい。
代わりになるものは、 ないかしら?
ミスターストロングは、
すぐ近くにおじさんの納屋があるのを見つけました。
ミスターストロング、 納屋をどうするつもり?
ああ、 なんとそのまま納屋を持ち上げてしまいました。
これには、 おじさんもびっくり。
ミスターストロングは、 川へ向かってノッシ、 ノッシ、 ノッシ。
お水がいっぱい!
とっても重そう。
やった! 火は一瞬で消えました。
ミスターストロングは、 おじさんからお礼にたくさんの卵をもらいました。
そのかごを指一本で持ち上げ、 家まで上機嫌で帰りました。
さて、 ランチの時間ね。
前菜は卵ね。
あら、 次も卵ね。
この調子だと、 デザートも?
あ、 アイスクリーム!
きゃあ!
あらあら、 また修理が必要ね。
ミスターストロングは世界一の力持ち。
力持ち
힘이 셈. 또는 힘센 사람; 먹으면 힘이 난다는 떡. ((산을 넘을 때, 힘을 낼 때 먹었음)); (젖이 잘 나라고) 출산 때 산부에게 친정에서 보내는 떡. 〔동의어〕汁の餅; 씨름의 흥행장에서 파는 떡
彼の強さの秘密を知りたい?
彼
바람·비·파도 등이 거칢. 폭풍우. 풍파; 건물이나 물품이 상함; 어떤 일의 진행이나 시세 등이 심하게 변동함; 살갗이 거칠거칠해짐; 놀라거나 이상해하거나 할 때 내는 소리. 어. 아니. 어머나. 저런. 아이고머니나. 〔동의어〕あれえ·あら. 〔참고〕 代名詞 「彼」와 어원이 같음
秘密
비밀. {문어·ナリ 활용 }
強
광. 그 일에 열중하는 사람임을 나타냄; 협. 협곡(峽谷)임을 나타냄; 교. 종교임을 나타냄; 교. 다리임을 나타냄; 경. 거울임을 나타냄; 오늘. 금일. 〔동의어〕本日; 흉. 운수가 나쁨. 불길함. 〔동의어〕不吉. 〔반의어〕 吉; 〈「共産党」의 준말〉 공산당; 〈「共産主義」의 준말〉 공산주의; 『문어』 수도. 서울. 〔동의어〕首都; 京都. 〔참고〕 옛날에 일본의 수도였음; 『수학』 경. 조(兆)의 1만 배. 〔동의어〕京; 「いろは歌」의 끝에 붙이는 말; 《「香車」의 준말》 일본 장기짝의 하나; 강함. 강자; (어떤 수량에 붙어) 그보다 조금 더 됨을 나타냄. 〔반의어〕 弱; 『불교』 불경. 경문. 〔동의어〕お経; 성전(聖典). 경서(經書); 『문어』 고향. 〔동의어〕ふるさと; 곳. 장소. 지역; 어떤 장소나 경우; 마음의 상태. 경지; 경; 장소. 범위. 처지; 심경. 경지(境地); 흥; 흥취. 흥미. 재미. 〔동의어〕面白み; 좌흥(座興); 『문학』 한시(漢詩) 육의(六義)의 하나. 어떤 사물에 접하여 자기의 감흥을 표현함
それは卵。
卵
새·어류·벌레 등의 알; 달걀. 〔참고〕 달걀을 쓴 요리에는 「玉子」로도 씀; (비유적으로) 그 방면에서 아직 제구실을 못하고 있는 사람. 올챙이. 병아리
卵を食べれば食べるほど、 彼は強くなるんです。
彼
바람·비·파도 등이 거칢. 폭풍우. 풍파; 건물이나 물품이 상함; 어떤 일의 진행이나 시세 등이 심하게 변동함; 살갗이 거칠거칠해짐; 놀라거나 이상해하거나 할 때 내는 소리. 어. 아니. 어머나. 저런. 아이고머니나. 〔동의어〕あれえ·あら. 〔참고〕 代名詞 「彼」와 어원이 같음
食べる
《古語 「賜ぶ」의 변한말》; 먹다; 살아가다. 생활하다. 【문어형】 た·ぶ {하2단 활용}
卵
새·어류·벌레 등의 알; 달걀. 〔참고〕 달걀을 쓴 요리에는 「玉子」로도 씀; (비유적으로) 그 방면에서 아직 제구실을 못하고 있는 사람. 올챙이. 병아리
ある日、 ミスターストロングは、 散歩に出かけました。
日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散歩
산보. 산책. 〔동의어〕そぞろあるき·散策
おっと!
ミスターストロング、 ちゃんと前を見てないと。
ちゃんと
차근차근 하는 모양. 착실하게. 꼼꼼이. 틀림없이; 분명하게. 조리있게; (신원·신분 등을 인정받아) 확실하게. 어엿하게; (태도를) 견실하게. 반듯하게; 정연하게. 바르게. 단정하게; 분명히. 틀림없이; 이미. 벌써; 충분히
前
전. 모든; 《名詞에 붙어 形容動詞를 만듦》 …연하다. …인 체하다; 전. 이전; 「紀元前」의 준말; 전; 바로 앞; ‘…에 앞선’ ‘…이 되기 이전의’의 뜻을 나타냄; 둘 중의 앞쪽의 뜻을 나타냄. 〔반의어〕 後; 전; 앞. 이전. 〔반의어〕 後; 〈햇수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년 앞’ ‘…년 전’의 뜻을 나타냄. 〔반의어〕 後; 선. 좋은[옳은] 일. 선행. 덕행(德行). 〔반의어〕 悪; 『불교』 선; 잡념을 떨치고 정신을 통일하여 무아지경에 이르러 진리를 깨달음; 「禅宗」의 준말; 「座禅」의 준말; 『문어』 서서히 진척되어가는 모양; (요리를 얹는) 상. 밥상. 요리가 차려진 상. 〔동의어〕お膳; (밥·국 등) 공기에 담은 것을 세는 말. 공기; 젓가락 한 쌍을 세는 말. 벌
見
개; 건물을 세는 말. 채. 집; 아호(雅號)·옥호(屋號) 등에 쓰는 말; 주된 요리나 생선회에 곁들이는 야채·해초 등; 건. 사항. 사건; 같은 사항·사건 등의 수를 세는 말. 건; 『문어』; 보기만 하고 사지 않음. 〔동의어〕素見·ひやかし; 어떤 일을 할 수 있는 자격을 나타내는 쪽지. 표. 〔동의어〕切符; 그것이 가치·자격 등을 나타내는 쪽지임을 나타냄. 권; (여성의 용모·자태 등이) 곱고 아름다움; 『정치』 현. 일본 지방 행정 구역의 하나. ((한국의 도(道)에 해당함)) 〔참고〕 원래, 중국의 지방 행정 구역의 이름; 《接続詞적으로 씀》 겸; 양날의 칼. 검; 검술; 총검; 벌의 꽁무니에 있는 침. 또는 곤충의 암컷 꽁무니에 달린 침 모양의 산란기; 주먹. 〔동의어〕にぎりこぶし; 권법(拳法); 건; 역(易)의 8괘의 하나. 점대에 나오는 「☰」 모양. 〔반의어〕 坤; 하늘; 험준함. 또는 험준한 곳. 〔동의어〕難所; (눈빛·표정·말씨 등에 나타나는) 매서움. 사나움. 표독함; 주위를 에두른 곳. 동그라미. 원; 범위; 권. 한정된 지역. 일정한 범위; 『문어』 단단함. 견고함. 견고한 것; 칸; 사이. 특히, 건물의 기둥과 기둥 사이; (바둑판·장기판의) 눈. 또는 눈을 세는 말; 『생리학』 건. 힘줄; 『문어』 권력. 〔동의어〕権力·権限; 권리; 「聖」가 청주(淸酒)를 뜻하는 데 대하여, 탁주; 건. 건반. 키. 〔동의어〕キー; 『문어』 ⇒ けむ
あ、 ぶつかっちゃう!
ちゃう
《「茶宇縞」의 준말》 はかま 감으로 쓰는 얇은 견직물. 〔참고〕 이 견직물이 인도의 차울(chaul)산(産)인 데서 비롯됨; 《속어》 《「てしまう」의 변한말. 「でしまう」의 경우에는 「じゃう」로 됨》 …해 버리다
おっと!
ごめんよ。
ごめん
〈「免許」의 높임말〉 면허. 공인; 면관(免官)·면직의 높임말; ‘용서’의 높임말; 싫어서 거부하는 심정을 나타내는 말; 찾아올 때나 돌아갈 때의 인사말. ((현재는 흔히, 「~下さい」의 꼴로 씀)); 용서를 빌 때 쓰는 말
ミスターストロング、 今度はちゃんと前を見てね。
今度
이번. 금번; 이 다음. 차회(次回)
ちゃんと
차근차근 하는 모양. 착실하게. 꼼꼼이. 틀림없이; 분명하게. 조리있게; (신원·신분 등을 인정받아) 확실하게. 어엿하게; (태도를) 견실하게. 반듯하게; 정연하게. 바르게. 단정하게; 분명히. 틀림없이; 이미. 벌써; 충분히
前
전. 모든; 《名詞에 붙어 形容動詞를 만듦》 …연하다. …인 체하다; 전. 이전; 「紀元前」의 준말; 전; 바로 앞; ‘…에 앞선’ ‘…이 되기 이전의’의 뜻을 나타냄; 둘 중의 앞쪽의 뜻을 나타냄. 〔반의어〕 後; 전; 앞. 이전. 〔반의어〕 後; 〈햇수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년 앞’ ‘…년 전’의 뜻을 나타냄. 〔반의어〕 後; 선. 좋은[옳은] 일. 선행. 덕행(德行). 〔반의어〕 悪; 『불교』 선; 잡념을 떨치고 정신을 통일하여 무아지경에 이르러 진리를 깨달음; 「禅宗」의 준말; 「座禅」의 준말; 『문어』 서서히 진척되어가는 모양; (요리를 얹는) 상. 밥상. 요리가 차려진 상. 〔동의어〕お膳; (밥·국 등) 공기에 담은 것을 세는 말. 공기; 젓가락 한 쌍을 세는 말. 벌
見
개; 건물을 세는 말. 채. 집; 아호(雅號)·옥호(屋號) 등에 쓰는 말; 주된 요리나 생선회에 곁들이는 야채·해초 등; 건. 사항. 사건; 같은 사항·사건 등의 수를 세는 말. 건; 『문어』; 보기만 하고 사지 않음. 〔동의어〕素見·ひやかし; 어떤 일을 할 수 있는 자격을 나타내는 쪽지. 표. 〔동의어〕切符; 그것이 가치·자격 등을 나타내는 쪽지임을 나타냄. 권; (여성의 용모·자태 등이) 곱고 아름다움; 『정치』 현. 일본 지방 행정 구역의 하나. ((한국의 도(道)에 해당함)) 〔참고〕 원래, 중국의 지방 행정 구역의 이름; 《接続詞적으로 씀》 겸; 양날의 칼. 검; 검술; 총검; 벌의 꽁무니에 있는 침. 또는 곤충의 암컷 꽁무니에 달린 침 모양의 산란기; 주먹. 〔동의어〕にぎりこぶし; 권법(拳法); 건; 역(易)의 8괘의 하나. 점대에 나오는 「☰」 모양. 〔반의어〕 坤; 하늘; 험준함. 또는 험준한 곳. 〔동의어〕難所; (눈빛·표정·말씨 등에 나타나는) 매서움. 사나움. 표독함; 주위를 에두른 곳. 동그라미. 원; 범위; 권. 한정된 지역. 일정한 범위; 『문어』 단단함. 견고함. 견고한 것; 칸; 사이. 특히, 건물의 기둥과 기둥 사이; (바둑판·장기판의) 눈. 또는 눈을 세는 말; 『생리학』 건. 힘줄; 『문어』 권력. 〔동의어〕権力·権限; 권리; 「聖」가 청주(淸酒)를 뜻하는 데 대하여, 탁주; 건. 건반. 키. 〔동의어〕キー; 『문어』 ⇒ けむ
きゃあ!
おっと!
これは失礼。
失礼
실례; 무례함. 예의 없음. {문어·ナリ 활용 }; 작별. ((흔히, 회화에서 씀)); 가벼운 마음으로 사과할 때, 작별하거나 먼저 물러가거나 할 때, 남에게 무엇을 부탁하거나 물을 때 등에 쓰는 인사말. 실례. 미안. ((흔히, 회화에서 씀))
ミスターストロング、 本当に気を付けてね。
気
귀; 신분·집안·가치 등이 높은; 경의(敬意)의 표시; 기; 기초. 근본; 『화학』 원자단(原子團). 〔동의어〕根; (설치해 놓은) 묘석(墓石)·장명등(長明燈)·기계 등을 세는 단위; 인간답지 않은 무서운 사람; 기; 기. 말 탄 사람의 수효; 『식물·식물학』 나무. 수목; 재목. 목재; 딱따기; 잡것이 섞이지 않음. 자연 그대로임. 순수함; ‘순수함’ ‘인공을 가하지 않음’ ‘오직 그대로임’의 뜻을 나타냄; 황. 노랑. 황색. 〔동의어〕きいろ; ‘황색’의 뜻을 나타냄; 기. 십간(十干)의 여섯째. 〔동의어〕つちのと; 기운. 정기. 생기. 분위기; (특유한) 맛. 향기; 숨. 호흡; 정신. 의식. 얼; 성미. 기질. 마음씨; 기. 기력; 생각. 의지; 마음. 기분; 흥미. 관심; 「希臘」의 준말; 『화학』 희. 묽은. 〔반의어〕 濃; 드묾. 〔참고〕 「希」는 「稀」의 대용자; 상을 입고 집에 들어박혀 행동을 삼가는 일. 또는 그 기간. ((보통 49일간)) 상(喪); 기. 기일(忌日). 회기(回忌); 『문어』 이상함. 야릇함. 진기함. {문어·ナリ 활용 }; 기수. 홀수. 〔반의어〕 偶; 계절. 〔동의어〕シーズン; 連歌·俳句에서 구(句)에 삽입하는 계절의 경물(景物). 〔동의어〕季題·季語; 계. 천간(天干)의 열째. 〔동의어〕みずのと; 기. 기전체(紀傳體) 역사에서 제왕의 사적(事績)을 적은 글. 〔동의어〕本紀; 『문학』 〈「日本書紀」의 준말〉 일본서기; 기. 지질 시대 구분의 단위; 궤; 수레의 양 바퀴의 간격; 수레바퀴가 지나간 자국; 규칙; 기. 기록(문); 『문학』 「古事記」의 준말; 기; 기. 기구(起句); 『문어』 기; 시기. 기간. 기한; 좋은 기회. 시기; 기; 기간. 시기; [age]『지리·지학·지명』 지질 시대의 한 구분. 「世」의 아래; 계략. 모사(謀事). 방법; 《고어》 파. 〔동의어〕ねぎ; 『문어』 그릇. 〔동의어〕うつわ; 물건을 담는 용기; 기. 기량. 인물. 재능; 기; 기관(器官); 기구. 도구; 계기; 시기. 기회; 〈「飛行機」의 준말〉 비행기; (불교에서) 기. 기근(機根). 〔동의어〕気根; 기계; 비행기; 비행기를 세는 말. 대; 『문어』 《用言·助動詞의 連用形에 붙음》; 과거에 직접 체험한 일을 회상하는 말. …었다. …였다. …고 있었다; (경험과 관계없이 널리) 과거의 사실을 나타냄. …었다. …였다; 현재 또는 완료의 뜻을 나타냄. …하고 있다. 〔참고〕 終止形 「き」는 カ変動詞에 붙지 않음. カ変을 받는 경우는 「きし」 「きしか」와 「こし」 「こしか」의 두 꼴이 있음. 고대에는 未然形 「せ」가 있었다고 생각되는데, 助詞 「ば」가 붙어 가정의 뜻을 나타냄
付け
붙임; 계산서. 청구서. 〔동의어〕勘定書き; 외상 장부에 기입함. 또는 그 청구서; 〈「付拍子」의 준말〉 (歌舞伎에서) 배우가 유다른 제스처를 쓸 때나 난투 장면 등에 효과를 내기 위하여 딱따기로 마루를 치는 일;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늘 그 일을 해 버릇함
おや、 農夫のおじさんが困っているみたい。
農夫
납부.; 농부. 농민.; 농부. 농사 짓는 여자. 농촌의 여자. 농부의 아내.
どうしたのかしら?
かしら
머리. 두부. 〔동의어〕あたま; 두발. 머리털; 우두머리. 두목. 수령; 직공·장인(匠人)의 우두머리; 맨 위나 첫째에 있음. 또는 그런 것; 인형의 머리; 能楽에서 분장에 쓰이는 가발. ((뒷머리는 바닥에 닿을 만큼 긺)); 《「かしらぬ」가 변한 「かしらん」의 「ん」이 준 형태》; 의문의 뜻을 나타냄. …일지[인지] 몰라. …을까. …일까; 〈否定의 助動詞 「ない」 「ん(ぬ)」의 뒤에 붙어〉 희망하거나 부탁하는 뜻을 나타냄. …지 않으려나. 〔참고〕 1.2.모두 주로 여성이 씀; 《「誰」 「何·」 「どこ」 등에 붙음》 부정(不定)의 것을 이르는 뜻을 나타냄. …ㄴ가. …인가
なんてこと!
なんて
의문·영탄의 뜻을 나타냄. 무어라고. 어쩌면 그렇게; 《「なんという」의 준말》 이렇다 할. 무어라고 할; 《副助詞 「など」에 格助詞 「と」가 붙은 「などと」의 변한말. 体言 또는 体言에 준하는 말 또는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음》; …라는 둥. …라느니 하는; 따위. …같은 것. 〔동의어〕なんか; 의외·놀람·비판의 뜻을 나타냄. …이라니. …하다니
おじさんの畑が、 火事になってしまったようです。
火事
『식물·식물학』 ⇒ かじのき; 《고어》 (배의) 노; 배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선미(船尾)에 장착한 기구. 키; (비행기의) 조종간. 방향타(方向舵); (수레의) 채. 〔참고〕1.은 「楫」, 2.3.은 「舵」, 4.는 「梶」로 씀; 대장일. 대장장이; 화재. 불; 『불교』 가지; 부처가 중생을 가호함; 밀교(密敎)에서, 부처의 자비가 사람의 마음에 전해져, 사람이 그 자비를 깨닫는 일. 또는 그러기 위한 수행상(修行上)의 계율; 주문을 외며 신불에게 가호를 빌어 재앙을 면함; 가사. 집안일; 『문어』 화자. 한자(漢字)
畑
밭. ((예스러운 말)) 〔동의어〕はたけ; 가. 가장자리. 〔동의어〕ふち·へり; (어떤 사람에게서) 가까운 사람들. 곁. 옆. 〔동의어〕そば·かたわら. 〔참고〕 1.은 흔히 「端」로 씀; 기; 베틀. 또는 그것으로 짠 직물; 『문어』 역시. 과연. 또한; 『문어』 혹은. 또는. 그렇지 않으면. 〔동의어〕はたまた
火を消すには、 水が必要です。
火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必要
『문어』 필용. 꼭 써야 함. 〔동의어〕必要; 필요. 〔동의어〕必用. 〔반의어〕 不要. {문어·ナリ 활용 }
消す
끄다; 지우다; 없애다. 제거하다; 감추다; 들리지 않게 하다; 《속어》 죽이다. 〔동의어〕殺す. 【가능동사】 け·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水
수. 오행(五行)의 다섯째. ((계절은 겨울, 방위로는 북, 색은 검정임)); 「水曜日」의 준말; 《속어》 당밀즙(糖蜜汁)만을 탄 얼음물; 물. 액체; 순수함. 또는 그런 것; 뛰어난 것. 정수(精粹); 세상 물정에 밝아 인정의 기미(機微)를 잘 앎. 특히, 남녀간의 애정에 이해가 많음. {문어·ナリ 활용 }; 화류계·예능계의 사정에 밝음. 멋을[풍류를] 앎. (언동이) 세련되어 있음. {문어·ナリ 활용 }; 추; 저울추. 분동; 방추(紡錘)를 세는 말; 시다. 신맛이 있다. 〔동의어〕すっぱい. 【문어형】 す·し {ク 활용}
近くに川があるみたいね。
川
강. 내. 시내. 하천. 〔참고〕 「川」가 널리 쓰이며, 「河」는 본디 황하(黃河)의 일컬음으로 큰 강에 씀; 가죽. 껍질; 털가죽. 모피; 표면. 겉면; (이불 등의) 껍데기; (무두질한) 가죽. 피혁. 〔동의어〕なめしがわ; ⇒ がわ; 『문어』 가화. 미담; 『문어』 和歌에 관한 이야기
近く
근처. 가까운 곳. 〔동의어〕近所. 〔반의어〕 遠く; 〈数詞에 붙여〉 …에 가까움; 곧. 근간. 일간(에); 『지리·지학·지명』 지핵. 〔동의어〕核·コア; 『지리·지학·지명』 지각. 지구의 외각(外殼); 지각; 『심리학』 감각 기관을 통하여 외부의 사물을 인식하는 작용; 감지
でも、 おじさんはポンプを持っていないみたい。
ポンプ
펌프
代わりになるものは、 ないかしら?
代わり
대리. 대신; 대체. 교체. 대용; 〈흔히 「お~」의 꼴로〉 한 그릇을 다 먹고 더 먹음; 대신. 대상(代償); 《名詞에 붙어》 「…의 대용[대신]」의 뜻을 나타냄. 〔참고〕 대개 連濁이 되어 「がわり」로 됨; 다름. 변함. 변화. 이상; 차이
かしら
머리. 두부. 〔동의어〕あたま; 두발. 머리털; 우두머리. 두목. 수령; 직공·장인(匠人)의 우두머리; 맨 위나 첫째에 있음. 또는 그런 것; 인형의 머리; 能楽에서 분장에 쓰이는 가발. ((뒷머리는 바닥에 닿을 만큼 긺)); 《「かしらぬ」가 변한 「かしらん」의 「ん」이 준 형태》; 의문의 뜻을 나타냄. …일지[인지] 몰라. …을까. …일까; 〈否定의 助動詞 「ない」 「ん(ぬ)」의 뒤에 붙어〉 희망하거나 부탁하는 뜻을 나타냄. …지 않으려나. 〔참고〕 1.2.모두 주로 여성이 씀; 《「誰」 「何·」 「どこ」 등에 붙음》 부정(不定)의 것을 이르는 뜻을 나타냄. …ㄴ가. …인가
ミスターストロングは、
すぐ近くにおじさんの納屋があるのを見つけました。
近く
근처. 가까운 곳. 〔동의어〕近所. 〔반의어〕 遠く; 〈数詞에 붙여〉 …에 가까움; 곧. 근간. 일간(에); 『지리·지학·지명』 지핵. 〔동의어〕核·コア; 『지리·지학·지명』 지각. 지구의 외각(外殼); 지각; 『심리학』 감각 기관을 통하여 외부의 사물을 인식하는 작용; 감지
納屋
헛간. 곳간. 〔동의어〕物置·小屋.
ミスターストロング、 納屋をどうするつもり?
つもり
(미리 품고 있는) 생각. 작정. 의도; (실제로는 그렇지 않으나) 그렇게 된 것으로 가정하는 마음. …한 셈; 속셈. 예상. 〔동의어〕見積もり; 〈「お~」의 꼴로〉 술 좌석에서의 마지막 잔. 〔참고〕 1.~3.은 「心算」으로도 씀. 또 1.2.는 최근 대개 かな로 씀
納屋
헛간. 곳간. 〔동의어〕物置·小屋.
ああ、 なんとそのまま納屋を持ち上げてしまいました。
しまい
끝. 마지막; 끝냄. 마침; 끝장; 품절. 매진. 〔동의어〕売り切れ; (能楽에서) 주역이 가면이나 정식 의상을 갖추지 않고, 반주도 없이 노래만으로 혼자 추는 약식 춤; 자매; (여자의) 언니와 동생. 여자 형제; 〈흔히 다른 말의 앞에 붙어〉 같은 계통의 2개의 것
そのまま
본래대로의 상태. 이제까지와 같은 상태. 〔동의어〕そのまんま; (지금) 그대로. 본디대로; (…하는) 즉시. …하자마자; 〈接尾語적으로 씀〉 거의 그대로. 아주 비슷하게. 1.~3.〔동의어〕そのまんま
納屋
헛간. 곳간. 〔동의어〕物置·小屋.
これには、 おじさんもびっくり。
びっくり
《「~する」의 꼴로 쓰는 일이 많음》 깜짝 놀람
ミスターストロングは、 川へ向かってノッシ、 ノッシ、 ノッシ。
川
강. 내. 시내. 하천. 〔참고〕 「川」가 널리 쓰이며, 「河」는 본디 황하(黃河)의 일컬음으로 큰 강에 씀; 가죽. 껍질; 털가죽. 모피; 표면. 겉면; (이불 등의) 껍데기; (무두질한) 가죽. 피혁. 〔동의어〕なめしがわ; ⇒ がわ; 『문어』 가화. 미담; 『문어』 和歌에 관한 이야기
お水がいっぱい!
いっぱい
일배. 한 잔. 한 그릇; 가볍게 술을 마심. 한잔함; (오징어·문어·게 등의) 한 마리; (배) 한 척; 가득하다. 가득 차다. 가득; 〈名詞에 붙어 接尾語적으로도 씀〉 한정된 범위의 한계점에 이르는 모양. …껏. 빠듯이; 일패
水
수. 오행(五行)의 다섯째. ((계절은 겨울, 방위로는 북, 색은 검정임)); 「水曜日」의 준말; 《속어》 당밀즙(糖蜜汁)만을 탄 얼음물; 물. 액체; 순수함. 또는 그런 것; 뛰어난 것. 정수(精粹); 세상 물정에 밝아 인정의 기미(機微)를 잘 앎. 특히, 남녀간의 애정에 이해가 많음. {문어·ナリ 활용 }; 화류계·예능계의 사정에 밝음. 멋을[풍류를] 앎. (언동이) 세련되어 있음. {문어·ナリ 활용 }; 추; 저울추. 분동; 방추(紡錘)를 세는 말; 시다. 신맛이 있다. 〔동의어〕すっぱい. 【문어형】 す·し {ク 활용}
とっても重そう。
重
《고어》 대체적인 방향·위치·시간을 나타냄; 겹치거나 거듭된 것을 세는 말. 겹. 〔동의어〕重り; 《고어》 (바다·호수 등의) 후미. 〔동의어〕入り江; 《고어》 가지. 〔동의어〕えだ; 자루. 손잡이; 『문어』 모이. 미끼. 먹이. 〔동의어〕えさ; 많은 사람이 모여서 하는 법회(法會)·제례(祭禮); 《고어》 돌림병. 〔동의어〕えき; 그림; (텔레비전의) 영상. 화면; 『문어』 《뒤에 否定語가 따름》 잘 …하지 않다. 도저히 …할 수 없다; 회화에서, 긍정·승낙을 나타내는 말. 예. 네; 회화에서, 감동·놀람·의문을 나타냄. 예. 네. 뭐; 〈名詞에 붙어〉 남에게 말을 걸 때 쓰는 예스러운 말; 〈「か」 「だれ」 「何」 등 의문을 나타내는 말이나, 「だ」 「です」 등에 붙어〉 의문의 뜻을 강조함; 〈말 끝에 붙어〉 어조를 부드럽게 하거나 친근감을 나타내거나 함
やった! 火は一瞬で消えました。
火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一瞬
〈副詞적으로도 씀〉 일순. 일순간. 순간; 〈「~にして」의 꼴로〉 눈 깜짝하는 사이에. 순식간에. 금세. 금방. 〔동의어〕たちまち
ミスターストロングは、 おじさんからお礼にたくさんの卵をもらいました。
たくさん
많음; (달갑지 않을 만큼) 충분함. 더 필요 없음. 질색임; 〈名詞에 붙어〉 충분하리 만큼 많은 모양을 나타냄. {문어·ナリ 활용 }
卵
새·어류·벌레 등의 알; 달걀. 〔참고〕 달걀을 쓴 요리에는 「玉子」로도 씀; (비유적으로) 그 방면에서 아직 제구실을 못하고 있는 사람. 올챙이. 병아리
そのかごを指一本で持ち上げ、 家まで上機嫌で帰りました。
帰り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옴. 되돌아감; (보답으로) 돌아옴; ⇒ 返り点; 수를 나타내는 고유어에 붙어 횟수를 나타냄. 번. 차례. 〔동의어〕たび; 돌아옴. 돌아감; 돌아올 때. 돌아갈 때. 귀로. 〔반의어〕行き
指
시간·장소를 나타내는 말에 붙음. 지. 까지. …에 이름. 〔반의어〕 自; 지. 역사서임을 나타냄. 기록; 사. 사자(使者). 사절(使節); 동배(同輩) 이상의 여성 이름에 붙여 경의를 나타냄. 님. 여사. 〔반의어〕 兄; 지. 신문의 뜻을 나타냄; 《주로 한자어에 붙어 名詞·サ変動詞의 語幹을 만듦》 ‘…로 간주하다’ ‘…로 취급하다’의 뜻을 나타냄. 시; 『문어』 나이. 연령; 지; 잡지의 뜻을 나타냄; 기록한 문서의 뜻을 나타냄; (江戸 시대의) 무사. 무사 계급. 〔동의어〕武士·さむらい; 선비. 남자; (법률상) 전문직의 자격을 가진 사람. 사; 자; 아들; 「子爵」의 준말; 「孔子」의 준말; 『문어』 친한 사이의 동년배나 손아랫사람을 부를 때의 호칭. 군(君). 자네; 〈주로, 동작성(動作性)의 名詞에 붙음〉 남자를 뜻하는 자칭(自稱). …자; 〈인명에 붙어〉 친숙함을 나타냄. 형; 옛날, 귀족 여성의 이름에 붙여 사용한 글자; 작은 것을 나타냄. …자; 《「支那」의 준말》 지. 지나. 중국; 관장하는 사람; 관아. 관청; 담당자; 역사; 《歴》 大宝令 제도에서, 문서·서무를 관장하던 제4등의 관리; 사. 역사; 사. 넷. 〔동의어〕よ·よん·よつ·よっつ; 시. 시장. 장. 저자. 〔동의어〕いち·いちば; 시가(市街). 도시. 〔동의어〕まち; 『법률』 지방 자치 단체의 하나. 시; 사; 죽음. 〔반의어〕 生; 『문어』 사형. 사죄(死罪); (변하여) 활동하지 않게 됨. 활동을 멈춤. 기능을 못하게 됨; (비유적으로) 까닭 모르게 무서움. 어쩐지 기분이 나쁨; (야구에서) 사. 아웃; 사. 1의 1만분의 1. 모(毛)의 10분의 1; 『문어』 사. 개인에 관한 일. 사사(私事). 〔반의어〕 公; 『문어』; 가시. 〔동의어〕とげ·はり; (변하여) 가시돋친 말. 상대의 급소를 찌르는 비평; 명함. 〔동의어〕名刺; 『문어』 가지. 또는 손발. 수족; 『문어』 가늘고 긴 것을 세는 말. 가지. 자루; 《고어》 음식. 밥. 먹을것; 『문어』 군대. 전쟁; 선생. 스승; 전도(傳道)하는 사람; (군대의) 「師団」의 준말; 사; 종교가·예능인 등의 이름에 붙여 경의를 나타냄; 『식물·식물학』 가래나무; 판목(版木); 『문어』 보랏빛. 자색; 사; 『언어학』 일본어의 단어를 문법상의 성질로 크게 나눈 둘 중의 하나. 〔반의어〕 辞; 『문어』 사. 사자(嗣子). 후사(後嗣); 『문학』; 시; 한시(漢詩); 『문어』 시험; 시험함. 시도함; 재화. 재산. 자금. 자본; 재료. 자료; 도움. 원조; 천성. 자질(資質); 『문어』 사두 마차. 또는 그 네마리의 말; 《他称의 人代名詞》 그. 이분. 그분. ((주로 남자를 이름)) 〔동의어〕かれ·その人·この方; 씨. 보통 남자의 성명 아래 붙여 경의를 나타냄; 〈「人」의 높임말. 한자 수사에 붙어〉 분;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어서 앞뒤의 말을 접속함》; 앞에 말하는 사항이 뒤에 말하는 사항과 병렬적·대비적인 관계임을 나타냄; 앞에서 든 사항이 원인·이유가 됨을 나타냄; 〈終助詞적으로 써서〉 하나의 사실이나 조건을 말하고, 결론을 은연중에 암시하는 뜻을 나타냄; 상반되는 조건·사항을 열거함. …고; 〈「…まいし」의 꼴로〉 상대를 나무라거나 얕보는 뜻을 나타냄; 『문어』 《「今~も」 「必ず~も」 「ただ~」 등 관용적(慣用的)으로 씀》 앞말을 가리켜 의미를 강조하고, 어조(語調)를 고름
家
집. 주택. 〔동의어〕住まい; 가정. 가족. 또는 그 생활 상태. 살림; 자기 집[가정]. 자택. 〔동의어〕我が家; 가계(家系). 집안. 가문. 문벌; 재산. 가산; 기예(技藝)의 세계에서, 그 유파(流派)의 본가(本家). 〔동의어〕家元; 아니오. 아뇨. 〔동의어〕いいえ. 〔참고〕 「いや」 「いいや」 보다 약간 공손한 말
一
일; 하나. 〔동의어〕一つ. 〔참고〕 증서 등에서는 갖은자인 「壱」을 씀; (사물의) 시초. 처음. 첫째. 최초. 〔동의어〕一番め; 최상. 최고. 으뜸. 〔동의어〕首位; (상투 등에서) 元結로 묶은 곳에서 뒤로 내민 부분; (三味線·거문고 등에서) 제일 낮은 음의 줄. 〔동의어〕一の糸; (많은 것 중) 한. 하나의. 한 사람의; (이렇다 할 만한 데가 없는) 하찮은. 어떠 한; 어떤. 한; 상당한. 버젓한; 시장. 저자. 장; (변하여) 시가. 거리. 〔동의어〕街; 지위(地位). 〔동의어〕地位; 위치; 지위. 입장
本
투매(投賣)하는 책이나 잡지. 덤핑 책[잡지]
上機嫌
썩 기분이 좋음. 신명남. 〔반의어〕 不機嫌. {문어·ナリ 활용 }
さて、 ランチの時間ね。
ランチ
론치; (군함에 실은) 연락용의 소정(小艇); 런치. 간단한 서양 식사. 특히, 점심
時間
자간; 차관; 시간; 『문어』 시간. 그때의 어려움. 그 시대의 당면 난제(難題)
前菜は卵ね。
卵
새·어류·벌레 등의 알; 달걀. 〔참고〕 달걀을 쓴 요리에는 「玉子」로도 씀; (비유적으로) 그 방면에서 아직 제구실을 못하고 있는 사람. 올챙이. 병아리
前菜
전채. 식사 전에 나오는 약간의 요리. 오르되브르. 〔동의어〕オードブル.
あら、 次も卵ね。
卵
새·어류·벌레 등의 알; 달걀. 〔참고〕 달걀을 쓴 요리에는 「玉子」로도 씀; (비유적으로) 그 방면에서 아직 제구실을 못하고 있는 사람. 올챙이. 병아리
次
차; 다음; 『화학』 산화(酸化)의 정도가 낮음; 『화학』 염기성염(鹽基性鹽); 횟수(回數). 빈도(頻度). 차례; 자; 자기; 〈시간·장소를 나타내는 名詞에 붙어〉 …부터. 〔반의어〕 至; 사. 절; 아; 아이. 아동; 남아;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사. 일. 사항; 시. 시간의 단위. 60분; 시각; 때. 기회; 〈옛 지명에 붙여〉 그 지방의 길.그 지방 또는 그 지방으로 가는 길임을 나타냄. 도(道). 가도. 지방; 하루의 행정(行程); 『문어』 나이를 나타냄; 〈10을 단위로 한 수에 붙여〉 그 정도의 나이를 나타냄; 토지. 땅. 지면; 그 지방. 그 고장; 본성. 본색. 천성. 본바탕; 기반. 기초; 천; 살결. 피부; 문장에서 작자가 설명한 부분; (바둑에서) 차지한 집; 실제. 실지(實地). 〔참조어〕 地で行く; 풋내기. 숫보기; 「地謡」 「地紙」 「地髪」의 준말; 글자. 문자; 글씨. 필적; (바둑 등에서) 비김. 무승부; 『의학』 치질. 〔동의어〕痔疾; 『문어』 사; 말. 글; 한문 문체의 하나; 『언어학』 일본어 단어를 문법상의 성질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한 것의 하나. 단독으로는 문절(文節)을 이루지 못하고, 언제나 詞(자립어)에 딸려서 문절을 구성하는 말. ((助詞·助動詞 등)) 〔동의어〕付属語·関係語. 〔반의어〕 詞; 『문어』; 자석. 지남철; 자기. 사기그릇; 새; 세 가지 신기(神器)의 하나인 八尺瓊曲玉. 〔동의어〕神璽; 《고어》 《動詞·助動詞의 未然形에 붙음》; 부정적인 추측을 나타냄. …않겠지. …않을 것이다. 〔동의어〕…ないだろう·…まい; 부정적인 결의를 나타냄. …하지 않으리라. …않을 작정이다. 〔동의어〕…まい
この調子だと、 デザートも?
調子
『문어』 조사. 죽은 이를 애도하는 말. 〔동의어〕弔辞. 〔반의어〕 祝詞; 『문어』 조시. 애도의 뜻을 나타낸 시; 장자; 장남. 맏아들; 장자. 맏누이; 장시. 장편의 시. 〔반의어〕 短詩; 긴 자루가 달린 술 따르는 그릇. ((양쪽에 귀때가 달린 것은 「もろぐち」, 한쪽만 달린 것은 「かたくち」라고 함)); (더운물에 넣어 술을 데우기 위한) 목이 갸름하고 잘쑥한 작은 술병. 또는 그 속에 든 술. 〔동의어〕徳利·; 『음악』 가락. 곡조. 음조(音調). 장단; 어조; (사물, 특히 문장 표현 등의) 정도. 격조; (신체·기계 등의) 상태. 컨디션. 〔동의어〕かげん·あんばい; (사물의) 진행 상태. 형편; 장단. 맞장구; 본궤도. 기세. 〔동의어〕勢い·はずみ; 방법. 방식. 요령; 청시. 시청
デザート
디저트. ((식후의 과자·과일·커피 등))
あ、 アイスクリーム!
アイスクリーム
아이스크림. 크림. 〔동의어〕アイス
きゃあ!
あらあら、 また修理が必要ね。
必要
『문어』 필용. 꼭 써야 함. 〔동의어〕必要; 필요. 〔동의어〕必用. 〔반의어〕 不要. {문어·ナリ 활용 }
修理
수리
あらあら
『문어』 대강대강. 대충. 대략. 대개. 〔참고〕 形容詞 「粗い」의 語幹을 겹친 말.
電動キックボード 新ルールに “自転車並み”歩道の通行も可能(2023年7月1日)
時計・数えかた 【知育・幼児教育DVDサンプル 2010年更新版】
米バイデン氏 撤退改めて否定 会見で言い間違える場面も(2024年7月12日)
悠仁さま 17歳の誕生日 夏休みで農業の研究機関を訪問(2023年9月6日)
“自動運転バス”丸の内のオフィス街で実証実験(2021年3月10日)
Blind love
Blind love第一三共の新型コロナワクチンを140万回分購入で合意 国産ワクチンで初(2023年11月17日)
映画『銀魂』WEB版予告
バイデン大統領がゼレンスキー大統領と電話会談 支援継続を約束(2022年8月26日)
ジャックとまめの木
You need to upgrade to a premium account to using this feature
Are you sure you want to test again?
Please upgrade your account to read unlimited newspap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