水道、 ガス。
水道、 ガス。
私達の暮らしになくてはならないものが当たり前のように私達の家庭に届くのは、
目に見えないところでライフラインが繋がっているからです。
配管職種は上下水道、 給排水、 冷暖房などの、
安全で快適な生活を営むために不可欠な設備を繋ぐ。
大切なライフラインを支える重要な役割を担っています
住宅、 高層ビルなど日頃何気なく出入りする所には必ず、
配管設備が目に見えない所で活躍しています。
配管競技はビルや戸建て住宅の洗面や湯沸かしなど水回り設備について、
その代表的な三種類の管、
給水配管、 給湯配管、 排水配管を壁に施工します。
支給された金属の管や塩化ビニルの管を用途に応じ、 切断し、
曲げ加工し、 繋いでいきます。
課題の図面に基づき施工する壁に配管を取り付ける位置を墨出しします。
導管や塩化ビニル管を、 工具を使って寸法通り切断し、 切り口を処理します。
塩ビ管を繋ぐ時は管の端に接着剤を塗って、 継ぎ手に差し込み接合します。
曲げ加工をする時には変形しないよう、 管の中に砂を詰めて行います。
砂を詰めた導管をガストーチで熱しながら曲げていきます
曲げ部分に潰れや襞が出来ないよう、
図面を元に作った型番に合わせ、 慎重に曲げていきます。
管を繋ぐのに継ぎ手を使います。
導管を繋ぐ時は導管を継ぎ手に差し込み、 はんだ付けして接合します。
鉄の管、 鋼管を繋ぐ時はネジ部にシールを巻き接合します。
それぞれの管の接合が終わったら、 壁に取り付け、
排水用は決められた勾配になるように取り付けます。
そして最も重要な、 水漏れがないか水圧テストで最終チェックして完成です。
配管は建築物にとって不可欠な技能職種としてこれからも重要な役割を担っていきます。
水道、 ガス。
水道
수도; 상수도·하수도의 총칭; 상수도; (뱃길로서의) 해협; 《고어》 (큰 무덤에서) 묘혈(墓穴)로 비스듬히 파 내려간 통로. 〔참고〕 「ずいどう」로도 읽음
私達の暮らしになくてはならないものが当たり前のように私達の家庭に届くのは、
届く
『문어』 두독; 사물에 해독을 끼침. 또는 그 해독; 닿다. 미치다. 이르다. 달(達)하다; (소원 등이) 이루어지다. (마음이) 통하다; (주의 등이) 두루 미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暮らし
살림. 생활; 생계. 생활비
当たり前
당연함. 마땅함. 〔동의어〕当然; 예사. 보통. 정상. {문어·ナリ 활용 }
家庭
가정; 하저. 강바닥. 〔동의어〕川底; 가제. 동생. ((남에게 일컫는 말)) 〔동의어〕舎弟; 가정; 과정; 과정
私
값. 가격. 대금. 〔동의어〕ね·値段; 가치. 값어치. 〔동의어〕値打ち; 『수학』 수치(數値). 수량. 값. 〔참고〕 3.은 「値」로 씀; 《속어》 《「あたし」의 변한말》 저. 나. 〔동의어〕わたし. 〔참고〕 흔히 여자 아이가 씀
達
《動詞 또는 動詞의 連用形이 변한 名詞에 붙어》; ‘선 채로’의 뜻을 나타냄; 어세(語勢)를 강하게 하는 말; 《사람·생물을 나타내는 말에 붙어》 복수를 나타냄. 〔참고〕 連濁에 의해서 「だち」로도 됨. 「ら」 「ども」보다 공손한 표현임; 《「断ち」의 뜻》 칼; 奈良 시대에는, 도검(刀劍)의 총칭; 平安 시대 이후는, 허리에 차는 긴 칼. ((의식이나 싸울 때에 사용했음)); 사람의 타고난 성질. 체질; (물건의) 성질. 품질. 질; (사물의) 성질. 질; 《名詞에 붙어》 ‘성질’ ‘기질’ 등을 나타냄; 『문어』; 귀인(貴人)의 숙소 또는 저택. 〔동의어〕やかた
目に見えないところでライフラインが繋がっているからです。
目
《「目」가 다른 말과 복합할 때의 형태》 눈; 정말. 진실. 〔동의어〕ほんとう·まこと; 《名詞·形容詞 등에 붙음》; 참다운. 진실한; 바른. 정확한. 순수한; 아름다운. 뛰어난; (같은 종류의 동식물 중) 가장 표준적인; (공간적인) 사이. 틈. 간격; (시간적인) 사이. 동안. 겨를. 짬; (적당한) 기회. 시간. 시기. 때; 방; (일본 음악·춤·연극 등에서) 박자와 박자, 동작과 동작, 대사와 대사 사이의 시간적 간격. 또는 (전체적인) 리듬감(感); 일본식 방의 수를 세는 말. 실(室). 방; 삼베. 삼실; 『불교』 〈범어 「māra」의 음역(音譯)인 「魔羅」의 준말〉 마귀. 악마. 귀신; 〈「~の」의 꼴로〉 마(魔)의. ((나쁜 일이 흔히 일어나는 장소·날짜·시간·요일 등을 형용할 때 씀)); 마. 광(狂). 그 일만을 끈덕지게 되풀이하여 남에게 해를 끼치는 사람; 《「いま」의 준말》 더욱. 더; ⇒ まあ< 2>
見え
외관. 외양. 볼품; 겉치레. 허영. 허세. 허식. 〔참고〕 2.는 흔히 「見栄」로 씀; (歌舞伎에서) 배우가 절정에 이른 감정을 관객에게 강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일순간 동작을 멈추고 유다른 표정이나 자세를 취하는 일. 〔참고〕 3.은 흔히 「見得」로 씀
ライフライン
라이프 라인. (전기, 가스, 수도 등) 생활, 생명을 유지하기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
配管職種は上下水道、 給排水、 冷暖房などの、
冷暖房
냉난방.
配管
배관. 삼가 관람함.; 배한. (몹시 두렵거나 부끄러워서) 등에서 나는 식은땀.; 폐간.; 폐와 간.; 마음 속.; 폐환. 폐병.; 배관.; 폐간. 〔반의어〕 創刊.; 폐관. 관직을 없앰. 또는 그 관직.; 폐관. 못 쓰는 가스관. 수도관.; 폐함. 낡은 군함을 함적(艦籍)에서 없앰. 또는 그 군함.; 폐관. 영화관·미술관·박물관 등이 경영을 그만둠.; 『문어』 패관.; 전설. 소설.
職種
『동물·동물학』 촉수.; 직종.
給排水
급배수. 급수와 배수.
安全で快適な生活を営むために不可欠な設備を繋ぐ。
安全
안전. 〔반의어〕 危険. あん-ぜんさ 【명사】 {문어·ナリ 활용 }; 암연함; 어두움. 캄캄함; 슬퍼서 마음이 침울함. 암담함. {문어·タリ 활용}
生活
『수학』 정할. 시컨트(secant). 〔동의어〕セカント; 생활. 삶
快適
쾌적. {문어·ナリ 활용 }
設備
설비
営む
영위하다. 일하다; 경영하다. 직업으로서 하다; 불사(佛事)를 거행하다; 마련하다. 차리다. 장만하다. 【가능동사】 いとな·め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不可欠
불가결. ふか-けつさ 【명사】 {문어·ナリ 활용 }
大切なライフラインを支える重要な役割を担っています
役割
역할. 각자에게 담당할 임무를 할당함. 또는 할당된 임무
支える
받치다. 떠받치다. 버티다; 지탱하다. 유지하다; 저지하다. 막아내다. 【문어형】 ささ·ふ {하2단 활용}
重要
충용. 충당하여 사용함; 중용. 〔동의어〕ちょうよう; 중요(함). 〔동의어〕大切. じゅう-ようさ 【명사】 {문어·ナリ 활용 }
大切
대설; 24절기의 하나. ((12월 8일경)); 『문어』 대절; 중대한 사건. 〔동의어〕大事·; 『동물·동물학』 체절. 몸마디; 중요함. 귀중함. 소중함; 소중하게 다루는 모양. 물건을 아끼는 모양. 1.2.〔동의어〕大事. たい-せつさ 【명사】 {문어·ナリ 활용 }; 『문어』 내설. 강설이나 적설에도 잘 견디는 성질
ライフライン
라이프 라인. (전기, 가스, 수도 등) 생활, 생명을 유지하기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
住宅、 高層ビルなど日頃何気なく出入りする所には必ず、
必ず
반드시. 꼭. 틀림없이. 〔동의어〕きっと
住宅
주택
高層
교장. 학교가 주최하는 장례식; 『문어』 항주. 항행하여 달림; 『문어』 항송. (화물 등을) 배나 항공기편으로 보냄; 『문어』 홍쟁. 내홍(內訌). 집안 싸움. 〔동의어〕内輪もめ; 강상. 서리가 내림. 또는 내린 서리; 고승; 고층; 하늘의 매우 높은 곳; 건물의 높은 층; 고조. 지대가 높고 건조함. 〔반의어〕 低湿. こう-そうさ 【명사】 {문어·ナリ 활용 }; 『광물』 광층. 광상(鑛床)의 층; 구상; 굉장. 넓고 으리으리함. こう-そうさ 【명사】 {문어·ナリ 활용 }; 공장. 국가나 공공 단체의 이름으로 행하는 장례; 호주. (야구 등에서) 잘 달림; 『문어』 행장. 여장(旅裝). 〔동의어〕旅支度; 항쟁; 후장. 후하게 장사지냄. 〔반의어〕 薄葬; 후송; 후방으로 보냄; 나중에 보냄; 천황의 대대의 조상. ((제2대 이후의 역대 천황을 이름)); 향초; 『문어』 공총. (전쟁 등으로) 경황없이 바쁨
出入り
출입. 드나듦. 〔동의어〕ではいり; 금전의 수입과 지출. 〔동의어〕ではいり; 단골로 드나듦; (상품의) 매입과 판매; 사람·수량의 과부족. 증감. 〔동의어〕ではいり; 들쭉날쭉함. 굴곡. 울퉁불퉁함; 소송(訴訟)
所
초. 첫. 처음의; 초; 제. 여러. 많은; 소. 어떤 일을 하기 위한 장소·시설·기관. 〔참고〕 「じょ」로 읽는 경우가 있음; 서. 관청임을 나타냄; 《「警察署」의 준말》 서; 서; 쓴 글씨. 필적; 서법(書法). 서도(書道). 서예; 책. 서류; 편지. 서간; 서. 책·문서 등의 뜻을 나타냄; 서. 〔반의어〕 寒; 대서(大暑)와 소서(小暑). 복중(伏中); 보관을 주업무로 하는 관공서를 나타냄; 서. 실마리. 처음. 〔동의어〕ちょ
日頃
〈副詞적으로도 씀〉 평시. 평소; 요즈음. 근래. 최근. 수일 내
配管設備が目に見えない所で活躍しています。
設備
설비
活躍
『문어』 괄약; 활약
所
초. 첫. 처음의; 초; 제. 여러. 많은; 소. 어떤 일을 하기 위한 장소·시설·기관. 〔참고〕 「じょ」로 읽는 경우가 있음; 서. 관청임을 나타냄; 《「警察署」의 준말》 서; 서; 쓴 글씨. 필적; 서법(書法). 서도(書道). 서예; 책. 서류; 편지. 서간; 서. 책·문서 등의 뜻을 나타냄; 서. 〔반의어〕 寒; 대서(大暑)와 소서(小暑). 복중(伏中); 보관을 주업무로 하는 관공서를 나타냄; 서. 실마리. 처음. 〔동의어〕ちょ
目
《「目」가 다른 말과 복합할 때의 형태》 눈; 정말. 진실. 〔동의어〕ほんとう·まこと; 《名詞·形容詞 등에 붙음》; 참다운. 진실한; 바른. 정확한. 순수한; 아름다운. 뛰어난; (같은 종류의 동식물 중) 가장 표준적인; (공간적인) 사이. 틈. 간격; (시간적인) 사이. 동안. 겨를. 짬; (적당한) 기회. 시간. 시기. 때; 방; (일본 음악·춤·연극 등에서) 박자와 박자, 동작과 동작, 대사와 대사 사이의 시간적 간격. 또는 (전체적인) 리듬감(感); 일본식 방의 수를 세는 말. 실(室). 방; 삼베. 삼실; 『불교』 〈범어 「māra」의 음역(音譯)인 「魔羅」의 준말〉 마귀. 악마. 귀신; 〈「~の」의 꼴로〉 마(魔)의. ((나쁜 일이 흔히 일어나는 장소·날짜·시간·요일 등을 형용할 때 씀)); 마. 광(狂). 그 일만을 끈덕지게 되풀이하여 남에게 해를 끼치는 사람; 《「いま」의 준말》 더욱. 더; ⇒ まあ< 2>
見え
외관. 외양. 볼품; 겉치레. 허영. 허세. 허식. 〔참고〕 2.는 흔히 「見栄」로 씀; (歌舞伎에서) 배우가 절정에 이른 감정을 관객에게 강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일순간 동작을 멈추고 유다른 표정이나 자세를 취하는 일. 〔참고〕 3.은 흔히 「見得」로 씀
配管
배관. 삼가 관람함.; 배한. (몹시 두렵거나 부끄러워서) 등에서 나는 식은땀.; 폐간.; 폐와 간.; 마음 속.; 폐환. 폐병.; 배관.; 폐간. 〔반의어〕 創刊.; 폐관. 관직을 없앰. 또는 그 관직.; 폐관. 못 쓰는 가스관. 수도관.; 폐함. 낡은 군함을 함적(艦籍)에서 없앰. 또는 그 군함.; 폐관. 영화관·미술관·박물관 등이 경영을 그만둠.; 『문어』 패관.; 전설. 소설.
配管競技はビルや戸建て住宅の洗面や湯沸かしなど水回り設備について、
回り
돎. 회전; 퍼짐. 널리 미침; 둘레. 부근. 주위. 근처; 가. 가장자리. 주변; 「まわり道」의 준말. 〔참고〕 3.4.는 「周り」로도 씀; …경유. …순회; 둘레를 도는 횟수를 나타냄. 바퀴; 사물의 크기 등을 비교할 때, 그 정도나 단계를 막연히 나타내는 말; 지지(地支)에 의하여, 12년을 1기로 한 나이의 차
競技
협의; 협의. 좁은 뜻. 〔반의어〕 広義; 교의. 교리; 무늬목. ((종이처럼 얇게 깎은 나무. 음식을 싸거나 経木真田에 씀)) 〔참고〕 옛날에는 경문을 적는 데 썼음; 경기
住宅
주택
設備
설비
水
수. 오행(五行)의 다섯째. ((계절은 겨울, 방위로는 북, 색은 검정임)); 「水曜日」의 준말; 《속어》 당밀즙(糖蜜汁)만을 탄 얼음물; 물. 액체; 순수함. 또는 그런 것; 뛰어난 것. 정수(精粹); 세상 물정에 밝아 인정의 기미(機微)를 잘 앎. 특히, 남녀간의 애정에 이해가 많음. {문어·ナリ 활용 }; 화류계·예능계의 사정에 밝음. 멋을[풍류를] 앎. (언동이) 세련되어 있음. {문어·ナリ 활용 }; 추; 저울추. 분동; 방추(紡錘)를 세는 말; 시다. 신맛이 있다. 〔동의어〕すっぱい. 【문어형】 す·し {ク 활용}
洗面
세면. 세수. ((「洗顔」보다 예스러운 말)) 〔참고〕 흔히, 세면 도구·설비의 이름에 씀; 부채
戸建て
《「こ」는 接頭語》 대용(代用)의 방패. 방패 대신 몸을 가리는 것; 단독 주택
配管
배관. 삼가 관람함.; 배한. (몹시 두렵거나 부끄러워서) 등에서 나는 식은땀.; 폐간.; 폐와 간.; 마음 속.; 폐환. 폐병.; 배관.; 폐간. 〔반의어〕 創刊.; 폐관. 관직을 없앰. 또는 그 관직.; 폐관. 못 쓰는 가스관. 수도관.; 폐함. 낡은 군함을 함적(艦籍)에서 없앰. 또는 그 군함.; 폐관. 영화관·미술관·박물관 등이 경영을 그만둠.; 『문어』 패관.; 전설. 소설.
湯沸かし
(물을 끓이는) 주전자. 〔동의어〕やかん.
その代表的な三種類の管、
管
간. 간행. 출간(出刊). 출판; 감; 감독; 감방(監房); 관; (공공의) 건물 등에 붙는 말; 여관 등의 이름에 붙는 말; 장대의 수효를 세는 말; 캔; 깡통; 〈「缶詰め」의 준말〉 통조림. 〔참고〕 「缶」 「缶」 「鑵」은 차자; 『음악』 (일본 고유 음악에서) 높은 음역. 또는 기본음의 한 옥타브 높은 음; 『문어』 간. 간악함. 간사함. 또는 그런 사람; 『문어』 완; 「完全」 「完備」 등의 준말; 『문어』; 간. 간장; 마음; 관. 관청. 관리(官吏). 관직; ‘관리’ ‘공무원’ 등의 뜻을 나타냄. 관; 『문어』 관. 〔동의어〕かんむり; 으뜸감. {문어·タリ 활용}; 두루마리; 책; 권; 두루마리·필름·테이프 등의 수효; 책의 수효; 『문어』 (…처럼) 보임; 10일간. 순(旬). 〔참고〕 ‘씻다’의 뜻으로, 고대 중국에서 관리가 10일마다 휴가가 있어 목욕을 했던 데서; 『의학』 신경질적이고 짜증을 잘 내는 신경성 소아병; (사물의 사정이나 의미를) 직감으로 깨닫는 능력. 육감(六感). 직감력; 관. ((척관법의 무게의 단위)); 鎌倉 시대 이후 무가(武家)의 녹봉의 단위. ((1관은 10석(石))); 『문어』 겨울 추위; (24절기의) 대한과 소한의 시기. ((1월 6일경에서 2월 4일경까지의 약 30일간)) 1.2.〔동의어〕暑; 관. 관구. 〔동의어〕ひつぎ; 『문어』 정성. 충성; 『문어』 정의(情誼); 『경제』 예산·계정 과목의 분류명. 관. ((항(項)의 위, 부(部)의 아래)); 금속이나 돌에, 문자를 표면보다 움푹 들어가게 새김. 또는 그 문자; 간. 사이; 기회. 틈; 첩자; 불화; 《名詞에 붙어》 ‘…의 사이’ ‘…과 …의 사이’의 뜻을 나타냄. 간; 『문어』 관대하고 정이 깊음. 너그러움. 느슨함. {문어·ナリ 활용 }; 감. 느낌. 감회; 감동; ‘…의 느낌’의 뜻을 나타냄. 감; 관. 파이프. 〔동의어〕くだ; 붓·피리 등의 수효. 자루; 문빗장; 관문(關門). 〔동의어〕せき·関門; 『문어』 기쁨. 즐거움; 함. (편지의) 봉함; 『문어』 (일의 진행이) 느림. 완함. 더딤. {문어·ナリ 활용 }; (중탕으로) 술을 알맞게 데움. 또는 그 데우는 정도; 고리; 감정이 격하고 화를 잘 내는 기질. 신경질. 피새; 한; 한국. 〔동의어〕韓国; 대한 (제국); (중국 전국 시대의) 칠웅(七雄)의 하나; 편지. 서간. 서찰; 『문어』 간단함. 간략함. 간명함; 고대 중국에서, 종이가 발명되기 전에 글씨를 쓰기 위해 사용한 대쪽; 사람·사물을 외부에서 본 느낌. 양상; 도교(道敎)에서, 도사가 있는 곳; ‘…에 대한 사고 방식’ ‘…에 대한 견해’ 등의 뜻을 나타냄. 관; 갱; 고기나 야채를 넣어 끓인 국; 설날에 먹는 일본식 떡국에 넣는 떡. 또는 그 떡국; 『문어』 함. 군함; 서랍 등의 손잡이로 쓰는 고리 모양의 쇠붙이. 고리 손잡이쇠; 『문어』 한가함; ‘한가한’ ‘조용한’ ‘쓸모 없는’ 등의 뜻을 나타냄. 한; 한; 『역사』 중국 고대 왕조의 하나; (변하여) 중국 본토. 또는 그 곳에 사는 민족; ‘(성인) 남자’의 뜻을 나타냄. 한
種類
주류; 종류
代表
『문어』 몸집이 큼. 체격이 우람함. 또는 그런 사람. 〔반의어〕 小兵. 〔참고〕 「たいひょう」로도 읽음. 「大兵」는 딴말임; 대표
的
적; …에 대한. …에 관한; …같은. …의 성질을 띤; …상태에 있는; 《속어》 〈인명이나 직업명에 붙어〉 친근미·경멸을 나타냄. 놈. 녀석. 꾼. 씨. 〔참고〕 1.~3.은 名詞에 붙어 경향·성질·상태 등을 나타내는 形容動詞의 어간을 이룸; 방울; 적. 적합; 적; 싸움·경쟁의 상대. 적수. 〔반의어〕 味方; 해롭게 하는 것; 흔히, 절충·교섭의 상대를 가리킴. 상대. 저쪽
三
『문어』; 마음 아파함. 몹시 슬퍼함. {문어·タリ 활용}; 『문어』 찬란함. 눈부심. 휘황하게 빛남. {문어·タリ 활용}; 《「さま」의 변한말》; 인명·직명에 붙어 경의를 나타냄. 또는 동물명 등에 붙여 친애의 뜻을 나타내기도 함. 님. 씨. 군. 양. 선생; 인사말 등에 붙어 공손한 기분을 나타냄. 〔참고〕 「様」보다 친근한 말씨; 산; 절 이름 앞에 곁들이는 말. 산호(山號); 산. 가루약; 三味線의 셋째 줄. 〔동의어〕三の糸. 〔참고〕 증서(證書) 등에 쓰는 갖은자는 「参」; 삼(三). 셋; 참가함. 옴; 선종(禪宗)에서 사람을 모아놓고 하는 좌선(坐禪)·설법·염불; 소매 없는 「じゅばん」. 속옷; (판자가 휘지 않도록 대는) 띳장; (문·장지·창 등의) 살; (사다리·망루·토대 등의) 가로장. 디딤판; 문의 비녀장; 출산(出産). 분만(分娩). ((보통 「お産」의 꼴로 씀)); 출생지. 출신지; 그 토지의 산물(産物). 산; 재산; 『문어』 잔. 술잔; 산가지. 〔동의어〕算木; 셈함. 계산함; 점대. (변하여) 점. 점괘; 가망. 공산. 예상. 계략. 수법; 찬; 인물·사물을 기리는 한문의 문장; 그림속에 곁들이는, 그림에 대한 시구(詩句). 화찬(畵讚); 논평. 비평; 초(醋). 신맛. 또는 맛이 심; 『화학』 산(酸). 〔반의어〕 アルカリ
給水配管、 給湯配管、 排水配管を壁に施工します。
壁
벽. 바람벽; (비유적으로) 장애. 난관; (등산에서) 깎아지른 듯한 암벽(岩壁)
給水
흡수; 급수
排水
배수; 배수; 배수; 폐수
施工
『불교』 사겁. ((세계가 성립에서 파멸이 이르는 기간의 경과를 넷으로 크게 나눈 것)); 사경. ((오경(五更)의 네 번째. 지금의 오전 1시에서 3시 사이)) 〔동의어〕丑の刻; 『문어』 지공. 더없이 공평함. {문어·ナリ 활용 }; 『문어』 지효. 지극한 효성; 『문어』 지고. 더없이 높음. 최고; 『문어』 사후; (윗사람에게) 문안을 드림; 지향; 논리학에서, 지향(指向); 『문어』 사교. 개인적인 교제; 사행. 사적인 행위. 사생활상의 행위; 『문어』 사고. 자기 혼자의 생각. 〔동의어〕私見; 지향. 일정한 목표를 향하여 나아감; 시공. 〔동의어〕しぎょう·せこう; 시행. 〔동의어〕せこう. 〔참고〕 「施行」는 딴말임; 『문어』 자행; 사고; 치구. 치석. 이똥; 『생리학』 치강. 잇속의 빈 구멍. 〔동의어〕歯髄腔; 기호. 〔동의어〕好み; 『문어』 시고. 시의 초고; 시행; 시항. 시험 항행
配管
배관. 삼가 관람함.; 배한. (몹시 두렵거나 부끄러워서) 등에서 나는 식은땀.; 폐간.; 폐와 간.; 마음 속.; 폐환. 폐병.; 배관.; 폐간. 〔반의어〕 創刊.; 폐관. 관직을 없앰. 또는 그 관직.; 폐관. 못 쓰는 가스관. 수도관.; 폐함. 낡은 군함을 함적(艦籍)에서 없앰. 또는 그 군함.; 폐관. 영화관·미술관·박물관 등이 경영을 그만둠.; 『문어』 패관.; 전설. 소설.
給湯
『문어』 구동. 지난 겨울. 〔동의어〕昨冬·去冬. 〔참고〕 흔히 신년에 쓰는 말.; 『문어』 구투. 낡은 투. 낡은 방식.; (등산에서) 가파른 오름길.; 급등. 〔반의어〕 急落.; 급탕. 더운물을 공급함.
支給された金属の管や塩化ビニルの管を用途に応じ、 切断し、
金属
금속. 쇠붙이. 〔동의어〕かね; 근속
管
간. 간행. 출간(出刊). 출판; 감; 감독; 감방(監房); 관; (공공의) 건물 등에 붙는 말; 여관 등의 이름에 붙는 말; 장대의 수효를 세는 말; 캔; 깡통; 〈「缶詰め」의 준말〉 통조림. 〔참고〕 「缶」 「缶」 「鑵」은 차자; 『음악』 (일본 고유 음악에서) 높은 음역. 또는 기본음의 한 옥타브 높은 음; 『문어』 간. 간악함. 간사함. 또는 그런 사람; 『문어』 완; 「完全」 「完備」 등의 준말; 『문어』; 간. 간장; 마음; 관. 관청. 관리(官吏). 관직; ‘관리’ ‘공무원’ 등의 뜻을 나타냄. 관; 『문어』 관. 〔동의어〕かんむり; 으뜸감. {문어·タリ 활용}; 두루마리; 책; 권; 두루마리·필름·테이프 등의 수효; 책의 수효; 『문어』 (…처럼) 보임; 10일간. 순(旬). 〔참고〕 ‘씻다’의 뜻으로, 고대 중국에서 관리가 10일마다 휴가가 있어 목욕을 했던 데서; 『의학』 신경질적이고 짜증을 잘 내는 신경성 소아병; (사물의 사정이나 의미를) 직감으로 깨닫는 능력. 육감(六感). 직감력; 관. ((척관법의 무게의 단위)); 鎌倉 시대 이후 무가(武家)의 녹봉의 단위. ((1관은 10석(石))); 『문어』 겨울 추위; (24절기의) 대한과 소한의 시기. ((1월 6일경에서 2월 4일경까지의 약 30일간)) 1.2.〔동의어〕暑; 관. 관구. 〔동의어〕ひつぎ; 『문어』 정성. 충성; 『문어』 정의(情誼); 『경제』 예산·계정 과목의 분류명. 관. ((항(項)의 위, 부(部)의 아래)); 금속이나 돌에, 문자를 표면보다 움푹 들어가게 새김. 또는 그 문자; 간. 사이; 기회. 틈; 첩자; 불화; 《名詞에 붙어》 ‘…의 사이’ ‘…과 …의 사이’의 뜻을 나타냄. 간; 『문어』 관대하고 정이 깊음. 너그러움. 느슨함. {문어·ナリ 활용 }; 감. 느낌. 감회; 감동; ‘…의 느낌’의 뜻을 나타냄. 감; 관. 파이프. 〔동의어〕くだ; 붓·피리 등의 수효. 자루; 문빗장; 관문(關門). 〔동의어〕せき·関門; 『문어』 기쁨. 즐거움; 함. (편지의) 봉함; 『문어』 (일의 진행이) 느림. 완함. 더딤. {문어·ナリ 활용 }; (중탕으로) 술을 알맞게 데움. 또는 그 데우는 정도; 고리; 감정이 격하고 화를 잘 내는 기질. 신경질. 피새; 한; 한국. 〔동의어〕韓国; 대한 (제국); (중국 전국 시대의) 칠웅(七雄)의 하나; 편지. 서간. 서찰; 『문어』 간단함. 간략함. 간명함; 고대 중국에서, 종이가 발명되기 전에 글씨를 쓰기 위해 사용한 대쪽; 사람·사물을 외부에서 본 느낌. 양상; 도교(道敎)에서, 도사가 있는 곳; ‘…에 대한 사고 방식’ ‘…에 대한 견해’ 등의 뜻을 나타냄. 관; 갱; 고기나 야채를 넣어 끓인 국; 설날에 먹는 일본식 떡국에 넣는 떡. 또는 그 떡국; 『문어』 함. 군함; 서랍 등의 손잡이로 쓰는 고리 모양의 쇠붙이. 고리 손잡이쇠; 『문어』 한가함; ‘한가한’ ‘조용한’ ‘쓸모 없는’ 등의 뜻을 나타냄. 한; 한; 『역사』 중국 고대 왕조의 하나; (변하여) 중국 본토. 또는 그 곳에 사는 민족; ‘(성인) 남자’의 뜻을 나타냄. 한
支給
『생리학』 자궁; 지급; (야구에서) 사구. 데드볼. 〔동의어〕デッドボール; 《副詞적으로도 씀》 지급. 〔동의어〕大急ぎ; 시구; (야구에서) 사구. 포볼. 〔동의어〕フォアボール
用途
용도. 쓰이는 데. 〔동의어〕使い道
切断
절단. 자름. 〔동의어〕さいだん
塩化
『경제』 엔화(円貨)의 국제 시세.; 엔화. 일본의 円 단위의 화폐.; 『문어』 염화.; (변하여) 세찬 감정.; 『화학』 염화. 물질이 염소와 화합하는 일.; 『문어』; 밥을 짓는 연기.; 불꽃. 〔동의어〕花火.; 『문어』 연하.; 안개와 노을.; 자연의 흥취(興趣).; 현재의 유행가의 한 분야. ((주로 구슬픈 가락의 노래를 가리킴)); 친척집.; 연고가 있는 집.; 연와. 연소(燕巢). 〔동의어〕燕巣.; 『문어』 연하. 삼킴. 〔동의어〕えんげ.
曲げ加工し、 繋いでいきます。
加工
하강. 하락. 떨어짐. 〔반의어〕 上昇; 화구; (부뚜막·보일러 등의) 아궁이; 화공. 총알에 화약을 재는 일. 또는 그 일을 하는 사람; 『문어』 화광. 불빛. 〔동의어〕明り; 가공; 가경. 경작할 수 있음; 임시로 설치함. 가설(假設) 구조물; 화경. 꽃자루. 〔동의어〕花柄; 『문어』 가효. 좋은 술안주. 맛있는 요리; 하항. 강어귀나 강기슭에 있는 항구. 〔반의어〕 海港; 『문어』 화갑. 회갑. 환갑. 〔동의어〕還暦. 〔참고〕 「華」자를 분해하면 6개의 「十」과 1개의 「一」이 되는 데서 비롯됨; 가고. 시가(詩歌)의 원고; 에워싸다. 둘러싸다. 〔동의어〕囲む; 감춰[숨겨] 두다. 〔동의어〕かくまう; 첩을 두다. 첩살림을 차리다; 저장하다. 【가능동사】 かこ·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하구. 강어귀. 〔동의어〕かわぐち
課題の図面に基づき施工する壁に配管を取り付ける位置を墨出しします。
壁
벽. 바람벽; (비유적으로) 장애. 난관; (등산에서) 깎아지른 듯한 암벽(岩壁)
位置
일; 하나. 〔동의어〕一つ. 〔참고〕 증서 등에서는 갖은자인 「壱」을 씀; (사물의) 시초. 처음. 첫째. 최초. 〔동의어〕一番め; 최상. 최고. 으뜸. 〔동의어〕首位; (상투 등에서) 元結로 묶은 곳에서 뒤로 내민 부분; (三味線·거문고 등에서) 제일 낮은 음의 줄. 〔동의어〕一の糸; (많은 것 중) 한. 하나의. 한 사람의; (이렇다 할 만한 데가 없는) 하찮은. 어떠 한; 어떤. 한; 상당한. 버젓한; 시장. 저자. 장; (변하여) 시가. 거리. 〔동의어〕街; 지위(地位). 〔동의어〕地位; 위치; 지위. 입장
墨
숯. 목탄. 〔동의어〕木炭; 끝남; 모퉁이. 귀퉁이; 구석; 〈「炭」와 같은 어원〉 먹; 먹물; 검정(빛). 〔동의어〕墨色; 그을음. 검댕; (오징어·문어 등의) 먹물. 고락; 「すみなわ」의 준말; 산미. 신맛. 〔동의어〕さんみ
課題
가제. 임시 제목; 화대. 화분·꽃병을 올려 놓는 받침; 가대; 물건을 걸쳐 두는 대; 철도·다리 등의 받침대; 和歌의 제목. ((제목을 미리 내주는 兼題와 그 자리에서 내는 席題 등이 있음)); 과제. 주어진 문제·임무; 과대(함). 〔반의어〕 過小. {문어·ナリ 활용 }
出し
축제(祝祭) 때 끌고 다니는 장식을 한 수레. 〔동의어〕だんじり; 냄. 꺼냄; 〈「出し汁」의 준말〉 가다랑어포·다시마·멸치 등을 삶아서 우려낸 국물. 〔동의어〕出し汁; 자기 이익을 위해 이용하는 것. 방편. 구실. 〔참고〕 2.3.은 「出汁」로도 씀
施工
『불교』 사겁. ((세계가 성립에서 파멸이 이르는 기간의 경과를 넷으로 크게 나눈 것)); 사경. ((오경(五更)의 네 번째. 지금의 오전 1시에서 3시 사이)) 〔동의어〕丑の刻; 『문어』 지공. 더없이 공평함. {문어·ナリ 활용 }; 『문어』 지효. 지극한 효성; 『문어』 지고. 더없이 높음. 최고; 『문어』 사후; (윗사람에게) 문안을 드림; 지향; 논리학에서, 지향(指向); 『문어』 사교. 개인적인 교제; 사행. 사적인 행위. 사생활상의 행위; 『문어』 사고. 자기 혼자의 생각. 〔동의어〕私見; 지향. 일정한 목표를 향하여 나아감; 시공. 〔동의어〕しぎょう·せこう; 시행. 〔동의어〕せこう. 〔참고〕 「施行」는 딴말임; 『문어』 자행; 사고; 치구. 치석. 이똥; 『생리학』 치강. 잇속의 빈 구멍. 〔동의어〕歯髄腔; 기호. 〔동의어〕好み; 『문어』 시고. 시의 초고; 시행; 시항. 시험 항행
図面
도면. 설계도
取り付ける
(기계 등을) 장치하다. 설치하다; 얻어내다. 획득하다. 성립시키다; 늘 같은 가게에서 사다. 단골로 사다. 【문어형】 とりつ·く {하2단 활용}
配管
배관. 삼가 관람함.; 배한. (몹시 두렵거나 부끄러워서) 등에서 나는 식은땀.; 폐간.; 폐와 간.; 마음 속.; 폐환. 폐병.; 배관.; 폐간. 〔반의어〕 創刊.; 폐관. 관직을 없앰. 또는 그 관직.; 폐관. 못 쓰는 가스관. 수도관.; 폐함. 낡은 군함을 함적(艦籍)에서 없앰. 또는 그 군함.; 폐관. 영화관·미술관·박물관 등이 경영을 그만둠.; 『문어』 패관.; 전설. 소설.
導管や塩化ビニル管を、 工具を使って寸法通り切断し、 切り口を処理します。
管
간. 간행. 출간(出刊). 출판; 감; 감독; 감방(監房); 관; (공공의) 건물 등에 붙는 말; 여관 등의 이름에 붙는 말; 장대의 수효를 세는 말; 캔; 깡통; 〈「缶詰め」의 준말〉 통조림. 〔참고〕 「缶」 「缶」 「鑵」은 차자; 『음악』 (일본 고유 음악에서) 높은 음역. 또는 기본음의 한 옥타브 높은 음; 『문어』 간. 간악함. 간사함. 또는 그런 사람; 『문어』 완; 「完全」 「完備」 등의 준말; 『문어』; 간. 간장; 마음; 관. 관청. 관리(官吏). 관직; ‘관리’ ‘공무원’ 등의 뜻을 나타냄. 관; 『문어』 관. 〔동의어〕かんむり; 으뜸감. {문어·タリ 활용}; 두루마리; 책; 권; 두루마리·필름·테이프 등의 수효; 책의 수효; 『문어』 (…처럼) 보임; 10일간. 순(旬). 〔참고〕 ‘씻다’의 뜻으로, 고대 중국에서 관리가 10일마다 휴가가 있어 목욕을 했던 데서; 『의학』 신경질적이고 짜증을 잘 내는 신경성 소아병; (사물의 사정이나 의미를) 직감으로 깨닫는 능력. 육감(六感). 직감력; 관. ((척관법의 무게의 단위)); 鎌倉 시대 이후 무가(武家)의 녹봉의 단위. ((1관은 10석(石))); 『문어』 겨울 추위; (24절기의) 대한과 소한의 시기. ((1월 6일경에서 2월 4일경까지의 약 30일간)) 1.2.〔동의어〕暑; 관. 관구. 〔동의어〕ひつぎ; 『문어』 정성. 충성; 『문어』 정의(情誼); 『경제』 예산·계정 과목의 분류명. 관. ((항(項)의 위, 부(部)의 아래)); 금속이나 돌에, 문자를 표면보다 움푹 들어가게 새김. 또는 그 문자; 간. 사이; 기회. 틈; 첩자; 불화; 《名詞에 붙어》 ‘…의 사이’ ‘…과 …의 사이’의 뜻을 나타냄. 간; 『문어』 관대하고 정이 깊음. 너그러움. 느슨함. {문어·ナリ 활용 }; 감. 느낌. 감회; 감동; ‘…의 느낌’의 뜻을 나타냄. 감; 관. 파이프. 〔동의어〕くだ; 붓·피리 등의 수효. 자루; 문빗장; 관문(關門). 〔동의어〕せき·関門; 『문어』 기쁨. 즐거움; 함. (편지의) 봉함; 『문어』 (일의 진행이) 느림. 완함. 더딤. {문어·ナリ 활용 }; (중탕으로) 술을 알맞게 데움. 또는 그 데우는 정도; 고리; 감정이 격하고 화를 잘 내는 기질. 신경질. 피새; 한; 한국. 〔동의어〕韓国; 대한 (제국); (중국 전국 시대의) 칠웅(七雄)의 하나; 편지. 서간. 서찰; 『문어』 간단함. 간략함. 간명함; 고대 중국에서, 종이가 발명되기 전에 글씨를 쓰기 위해 사용한 대쪽; 사람·사물을 외부에서 본 느낌. 양상; 도교(道敎)에서, 도사가 있는 곳; ‘…에 대한 사고 방식’ ‘…에 대한 견해’ 등의 뜻을 나타냄. 관; 갱; 고기나 야채를 넣어 끓인 국; 설날에 먹는 일본식 떡국에 넣는 떡. 또는 그 떡국; 『문어』 함. 군함; 서랍 등의 손잡이로 쓰는 고리 모양의 쇠붙이. 고리 손잡이쇠; 『문어』 한가함; ‘한가한’ ‘조용한’ ‘쓸모 없는’ 등의 뜻을 나타냄. 한; 한; 『역사』 중국 고대 왕조의 하나; (변하여) 중국 본토. 또는 그 곳에 사는 민족; ‘(성인) 남자’의 뜻을 나타냄. 한
処理
처리. 처분
通り
길. 한길. 도로; 통행. 내왕. 왕래; (액체·기체 등의) 흐름. 통함; 소리가 멀리까지 들리는 정도; 평판. 신용; 통함. 통용; 이해; 〈形式名詞적으로, 그와 같은 상태임을 나타냄〉 …대로임. …같음. …처럼. 〔참고〕 8.은 「かな」로 쓰는 일이 많음; 《수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방법·수단·종류 등을 세는 데 씀》 …가지
寸法
치수. 척도. 길이; 작정. 계획. 속셈. 의도(意圖)
切断
절단. 자름. 〔동의어〕さいだん
切り口
벤 자리. 단면. 절단면; 베인 자리. 베인 상처; 베는 솜씨[방법]
工具
공구.; 향료. ((사향(麝香)·침향(沈香)·백단(白檀) 등)); 교구. 학교 용구(用具).; 경구. 경작 기구.
塩化
『경제』 엔화(円貨)의 국제 시세.; 엔화. 일본의 円 단위의 화폐.; 『문어』 염화.; (변하여) 세찬 감정.; 『화학』 염화. 물질이 염소와 화합하는 일.; 『문어』; 밥을 짓는 연기.; 불꽃. 〔동의어〕花火.; 『문어』 연하.; 안개와 노을.; 자연의 흥취(興趣).; 현재의 유행가의 한 분야. ((주로 구슬픈 가락의 노래를 가리킴)); 친척집.; 연고가 있는 집.; 연와. 연소(燕巢). 〔동의어〕燕巣.; 『문어』 연하. 삼킴. 〔동의어〕えんげ.
導管
동감.; 동감. (그림·사진 등의) 생동감.; 도관.; 『식물·식물학』 물관. 〔참고〕 1.은 「導管」으로 씀.
塩ビ管を繋ぐ時は管の端に接着剤を塗って、 継ぎ手に差し込み接合します。
端
…에 관한 이야기. …담; 빨강. 붉은빛. 〔동의어〕赤; 환약의 이름 밑에 붙는 말. 단; 필. 피륙의 길이를 재는 단위. 1反은 경척(鯨尺)으로 길이 28척(尺)(약 10.6m), 폭 9치(약 34cm). ((보통 일본옷 한 벌 감이 됨)); 단. 옛날의 거리[길이]의 단위. 1反은 6칸(間; 약 10.9m); (테니스·탁구 등의) 단식. 싱글. 〔동의어〕シングルス. 〔반의어〕 複; (경마·경륜 등에서) 「単勝式」의 준말. 〔반의어〕連; ‘하나의’의 뜻. 단; 『문어』 담; 간(肝). 쓸개. 〔동의어〕きも; 담력. 배짱. 〔동의어〕きもったま; 『문어』 단. 〔반의어〕 長; 짧음; 흠. 단점. 결점; ‘짧다’의 뜻. 단. 〔반의어〕 長; 『문어』; 감탄; 한탄; 『생리학』 담. 가래; (일이 일어나는) 실마리. 시초. 발단. 〔동의어〕発端; 바람이나 물결에 따라 천천히 움직이는 모양; 고요하고 편안함. 담연(澹然). {문어·タリ 활용}; ‘석탄’‘목탄’ 등의 뜻
管
간. 간행. 출간(出刊). 출판; 감; 감독; 감방(監房); 관; (공공의) 건물 등에 붙는 말; 여관 등의 이름에 붙는 말; 장대의 수효를 세는 말; 캔; 깡통; 〈「缶詰め」의 준말〉 통조림. 〔참고〕 「缶」 「缶」 「鑵」은 차자; 『음악』 (일본 고유 음악에서) 높은 음역. 또는 기본음의 한 옥타브 높은 음; 『문어』 간. 간악함. 간사함. 또는 그런 사람; 『문어』 완; 「完全」 「完備」 등의 준말; 『문어』; 간. 간장; 마음; 관. 관청. 관리(官吏). 관직; ‘관리’ ‘공무원’ 등의 뜻을 나타냄. 관; 『문어』 관. 〔동의어〕かんむり; 으뜸감. {문어·タリ 활용}; 두루마리; 책; 권; 두루마리·필름·테이프 등의 수효; 책의 수효; 『문어』 (…처럼) 보임; 10일간. 순(旬). 〔참고〕 ‘씻다’의 뜻으로, 고대 중국에서 관리가 10일마다 휴가가 있어 목욕을 했던 데서; 『의학』 신경질적이고 짜증을 잘 내는 신경성 소아병; (사물의 사정이나 의미를) 직감으로 깨닫는 능력. 육감(六感). 직감력; 관. ((척관법의 무게의 단위)); 鎌倉 시대 이후 무가(武家)의 녹봉의 단위. ((1관은 10석(石))); 『문어』 겨울 추위; (24절기의) 대한과 소한의 시기. ((1월 6일경에서 2월 4일경까지의 약 30일간)) 1.2.〔동의어〕暑; 관. 관구. 〔동의어〕ひつぎ; 『문어』 정성. 충성; 『문어』 정의(情誼); 『경제』 예산·계정 과목의 분류명. 관. ((항(項)의 위, 부(部)의 아래)); 금속이나 돌에, 문자를 표면보다 움푹 들어가게 새김. 또는 그 문자; 간. 사이; 기회. 틈; 첩자; 불화; 《名詞에 붙어》 ‘…의 사이’ ‘…과 …의 사이’의 뜻을 나타냄. 간; 『문어』 관대하고 정이 깊음. 너그러움. 느슨함. {문어·ナリ 활용 }; 감. 느낌. 감회; 감동; ‘…의 느낌’의 뜻을 나타냄. 감; 관. 파이프. 〔동의어〕くだ; 붓·피리 등의 수효. 자루; 문빗장; 관문(關門). 〔동의어〕せき·関門; 『문어』 기쁨. 즐거움; 함. (편지의) 봉함; 『문어』 (일의 진행이) 느림. 완함. 더딤. {문어·ナリ 활용 }; (중탕으로) 술을 알맞게 데움. 또는 그 데우는 정도; 고리; 감정이 격하고 화를 잘 내는 기질. 신경질. 피새; 한; 한국. 〔동의어〕韓国; 대한 (제국); (중국 전국 시대의) 칠웅(七雄)의 하나; 편지. 서간. 서찰; 『문어』 간단함. 간략함. 간명함; 고대 중국에서, 종이가 발명되기 전에 글씨를 쓰기 위해 사용한 대쪽; 사람·사물을 외부에서 본 느낌. 양상; 도교(道敎)에서, 도사가 있는 곳; ‘…에 대한 사고 방식’ ‘…에 대한 견해’ 등의 뜻을 나타냄. 관; 갱; 고기나 야채를 넣어 끓인 국; 설날에 먹는 일본식 떡국에 넣는 떡. 또는 그 떡국; 『문어』 함. 군함; 서랍 등의 손잡이로 쓰는 고리 모양의 쇠붙이. 고리 손잡이쇠; 『문어』 한가함; ‘한가한’ ‘조용한’ ‘쓸모 없는’ 등의 뜻을 나타냄. 한; 한; 『역사』 중국 고대 왕조의 하나; (변하여) 중국 본토. 또는 그 곳에 사는 민족; ‘(성인) 남자’의 뜻을 나타냄. 한
時
차; 다음; 『화학』 산화(酸化)의 정도가 낮음; 『화학』 염기성염(鹽基性鹽); 횟수(回數). 빈도(頻度). 차례; 자; 자기; 〈시간·장소를 나타내는 名詞에 붙어〉 …부터. 〔반의어〕 至; 사. 절; 아; 아이. 아동; 남아;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사. 일. 사항; 시. 시간의 단위. 60분; 시각; 때. 기회; 〈옛 지명에 붙여〉 그 지방의 길.그 지방 또는 그 지방으로 가는 길임을 나타냄. 도(道). 가도. 지방; 하루의 행정(行程); 『문어』 나이를 나타냄; 〈10을 단위로 한 수에 붙여〉 그 정도의 나이를 나타냄; 토지. 땅. 지면; 그 지방. 그 고장; 본성. 본색. 천성. 본바탕; 기반. 기초; 천; 살결. 피부; 문장에서 작자가 설명한 부분; (바둑에서) 차지한 집; 실제. 실지(實地). 〔참조어〕 地で行く; 풋내기. 숫보기; 「地謡」 「地紙」 「地髪」의 준말; 글자. 문자; 글씨. 필적; (바둑 등에서) 비김. 무승부; 『의학』 치질. 〔동의어〕痔疾; 『문어』 사; 말. 글; 한문 문체의 하나; 『언어학』 일본어 단어를 문법상의 성질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한 것의 하나. 단독으로는 문절(文節)을 이루지 못하고, 언제나 詞(자립어)에 딸려서 문절을 구성하는 말. ((助詞·助動詞 등)) 〔동의어〕付属語·関係語. 〔반의어〕 詞; 『문어』; 자석. 지남철; 자기. 사기그릇; 새; 세 가지 신기(神器)의 하나인 八尺瓊曲玉. 〔동의어〕神璽; 《고어》 《動詞·助動詞의 未然形에 붙음》; 부정적인 추측을 나타냄. …않겠지. …않을 것이다. 〔동의어〕…ないだろう·…まい; 부정적인 결의를 나타냄. …하지 않으리라. …않을 작정이다. 〔동의어〕…まい
塩
염; 『화학』 불꽃. 〔참고〕 「焰」으로도 씀; 『의학』 염증; 원; 사람이 들어가 관상하거나 즐기는 정원이나 장소; (아동을 위한) 보호 및 교육 시설; 밭. 〔참고〕 1.~3.은 「苑」으로도 씀; 원. 동그라미; 『수학』 원; 일본의 화폐 단위. 엔. ((銭의 100배)); 『문어』 원. 원죄(寃罪). 억울한 죄. 〔동의어〕冤罪·ぬれぎぬ; 『문어』 연회. 잔치. 주연(酒宴). 〔동의어〕うたげ; 『화학』 염. 산(酸)과 염기(塩基)의 중화 작용으로 생기는 이온 화합물; 연; 『불교』 결과를 낳게 하는 간접적 원인·조건; 운명. 인연. 〔동의어〕めぐり合わせ; (부부·육친 간의) 인연. 연분; 계기. 기회; (일본 건축에서) 마루. 툇마루. 〔동의어〕縁側·ぬれ縁; 『문어』; 성적(性的) 감각을 자극하는 아름다움이 있음. 요염함. {문어·ナリ 활용 }
剤
조제한 약임을 나타냄; 죄의 이름을 나타냄; 도시의 변두리. 시골. 〔동의어〕在所·在郷; 재. 그 곳에 있음. 그 곳에 와 있음; 목재; 재능. 인재; 재료. 원료; 재; 재물. 재산. 부(富); 인간 생활에 소용되는 것. 가치가 있는 것; 『경제』 재화
接着
접착
接合
접합
差し込み
찔러 넣음[꽂음]. 또는 그 도구.; 배가 갑자기 쿡쿡 쑤시는 병. 주로 위경련. 〔동의어〕しゃく.
継ぎ手
금속·목재 등의 접합 부분. 이음매. 〔동의어〕継ぎ目.; 두 기계 부품을 이어주는 부품. 〔동의어〕ジョイント.; (바둑에서) 이음수.
曲げ加工をする時には変形しないよう、 管の中に砂を詰めて行います。
砂
『러시아어』 모래. 〔동의어〕すな·まさご·すなご
管
간. 간행. 출간(出刊). 출판; 감; 감독; 감방(監房); 관; (공공의) 건물 등에 붙는 말; 여관 등의 이름에 붙는 말; 장대의 수효를 세는 말; 캔; 깡통; 〈「缶詰め」의 준말〉 통조림. 〔참고〕 「缶」 「缶」 「鑵」은 차자; 『음악』 (일본 고유 음악에서) 높은 음역. 또는 기본음의 한 옥타브 높은 음; 『문어』 간. 간악함. 간사함. 또는 그런 사람; 『문어』 완; 「完全」 「完備」 등의 준말; 『문어』; 간. 간장; 마음; 관. 관청. 관리(官吏). 관직; ‘관리’ ‘공무원’ 등의 뜻을 나타냄. 관; 『문어』 관. 〔동의어〕かんむり; 으뜸감. {문어·タリ 활용}; 두루마리; 책; 권; 두루마리·필름·테이프 등의 수효; 책의 수효; 『문어』 (…처럼) 보임; 10일간. 순(旬). 〔참고〕 ‘씻다’의 뜻으로, 고대 중국에서 관리가 10일마다 휴가가 있어 목욕을 했던 데서; 『의학』 신경질적이고 짜증을 잘 내는 신경성 소아병; (사물의 사정이나 의미를) 직감으로 깨닫는 능력. 육감(六感). 직감력; 관. ((척관법의 무게의 단위)); 鎌倉 시대 이후 무가(武家)의 녹봉의 단위. ((1관은 10석(石))); 『문어』 겨울 추위; (24절기의) 대한과 소한의 시기. ((1월 6일경에서 2월 4일경까지의 약 30일간)) 1.2.〔동의어〕暑; 관. 관구. 〔동의어〕ひつぎ; 『문어』 정성. 충성; 『문어』 정의(情誼); 『경제』 예산·계정 과목의 분류명. 관. ((항(項)의 위, 부(部)의 아래)); 금속이나 돌에, 문자를 표면보다 움푹 들어가게 새김. 또는 그 문자; 간. 사이; 기회. 틈; 첩자; 불화; 《名詞에 붙어》 ‘…의 사이’ ‘…과 …의 사이’의 뜻을 나타냄. 간; 『문어』 관대하고 정이 깊음. 너그러움. 느슨함. {문어·ナリ 활용 }; 감. 느낌. 감회; 감동; ‘…의 느낌’의 뜻을 나타냄. 감; 관. 파이프. 〔동의어〕くだ; 붓·피리 등의 수효. 자루; 문빗장; 관문(關門). 〔동의어〕せき·関門; 『문어』 기쁨. 즐거움; 함. (편지의) 봉함; 『문어』 (일의 진행이) 느림. 완함. 더딤. {문어·ナリ 활용 }; (중탕으로) 술을 알맞게 데움. 또는 그 데우는 정도; 고리; 감정이 격하고 화를 잘 내는 기질. 신경질. 피새; 한; 한국. 〔동의어〕韓国; 대한 (제국); (중국 전국 시대의) 칠웅(七雄)의 하나; 편지. 서간. 서찰; 『문어』 간단함. 간략함. 간명함; 고대 중국에서, 종이가 발명되기 전에 글씨를 쓰기 위해 사용한 대쪽; 사람·사물을 외부에서 본 느낌. 양상; 도교(道敎)에서, 도사가 있는 곳; ‘…에 대한 사고 방식’ ‘…에 대한 견해’ 등의 뜻을 나타냄. 관; 갱; 고기나 야채를 넣어 끓인 국; 설날에 먹는 일본식 떡국에 넣는 떡. 또는 그 떡국; 『문어』 함. 군함; 서랍 등의 손잡이로 쓰는 고리 모양의 쇠붙이. 고리 손잡이쇠; 『문어』 한가함; ‘한가한’ ‘조용한’ ‘쓸모 없는’ 등의 뜻을 나타냄. 한; 한; 『역사』 중국 고대 왕조의 하나; (변하여) 중국 본토. 또는 그 곳에 사는 민족; ‘(성인) 남자’의 뜻을 나타냄. 한
中
‘그 동안 줄곧’이란 뜻을 나타냄. 내내; 그 범위 전체에 걸친다는 뜻을 나타냄; 십; 열. 〔동의어〕とお; 전부. 전체; 거주함; 거처. 처소; 『문어』 부드러움. 부드러운 것. 얌전함. 〔반의어〕 剛; 『문어』 중요한 것; 〈「お~」의 꼴로〉 찬합. 〔동의어〕重箱; 중; 무거움. 혹심함. 〔반의어〕 軽; 『화학』 산성염(酸性塩)임; 겹친 것을 세는 말. 중. 층; 종. 종자. 하인. 〔동의어〕とも·けらい. 〔반의어〕 主; ⇒ じゅ; 총; 짐승. 〔동의어〕けもの; 수. 짐승
時
차; 다음; 『화학』 산화(酸化)의 정도가 낮음; 『화학』 염기성염(鹽基性鹽); 횟수(回數). 빈도(頻度). 차례; 자; 자기; 〈시간·장소를 나타내는 名詞에 붙어〉 …부터. 〔반의어〕 至; 사. 절; 아; 아이. 아동; 남아;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사. 일. 사항; 시. 시간의 단위. 60분; 시각; 때. 기회; 〈옛 지명에 붙여〉 그 지방의 길.그 지방 또는 그 지방으로 가는 길임을 나타냄. 도(道). 가도. 지방; 하루의 행정(行程); 『문어』 나이를 나타냄; 〈10을 단위로 한 수에 붙여〉 그 정도의 나이를 나타냄; 토지. 땅. 지면; 그 지방. 그 고장; 본성. 본색. 천성. 본바탕; 기반. 기초; 천; 살결. 피부; 문장에서 작자가 설명한 부분; (바둑에서) 차지한 집; 실제. 실지(實地). 〔참조어〕 地で行く; 풋내기. 숫보기; 「地謡」 「地紙」 「地髪」의 준말; 글자. 문자; 글씨. 필적; (바둑 등에서) 비김. 무승부; 『의학』 치질. 〔동의어〕痔疾; 『문어』 사; 말. 글; 한문 문체의 하나; 『언어학』 일본어 단어를 문법상의 성질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한 것의 하나. 단독으로는 문절(文節)을 이루지 못하고, 언제나 詞(자립어)에 딸려서 문절을 구성하는 말. ((助詞·助動詞 등)) 〔동의어〕付属語·関係語. 〔반의어〕 詞; 『문어』; 자석. 지남철; 자기. 사기그릇; 새; 세 가지 신기(神器)의 하나인 八尺瓊曲玉. 〔동의어〕神璽; 《고어》 《動詞·助動詞의 未然形에 붙음》; 부정적인 추측을 나타냄. …않겠지. …않을 것이다. 〔동의어〕…ないだろう·…まい; 부정적인 결의를 나타냄. …하지 않으리라. …않을 작정이다. 〔동의어〕…まい
行い
행동. 행위. 실행. 〔동의어〕振舞; 『불교』 불도 수행. 근행(勤行)
加工
하강. 하락. 떨어짐. 〔반의어〕 上昇; 화구; (부뚜막·보일러 등의) 아궁이; 화공. 총알에 화약을 재는 일. 또는 그 일을 하는 사람; 『문어』 화광. 불빛. 〔동의어〕明り; 가공; 가경. 경작할 수 있음; 임시로 설치함. 가설(假設) 구조물; 화경. 꽃자루. 〔동의어〕花柄; 『문어』 가효. 좋은 술안주. 맛있는 요리; 하항. 강어귀나 강기슭에 있는 항구. 〔반의어〕 海港; 『문어』 화갑. 회갑. 환갑. 〔동의어〕還暦. 〔참고〕 「華」자를 분해하면 6개의 「十」과 1개의 「一」이 되는 데서 비롯됨; 가고. 시가(詩歌)의 원고; 에워싸다. 둘러싸다. 〔동의어〕囲む; 감춰[숨겨] 두다. 〔동의어〕かくまう; 첩을 두다. 첩살림을 차리다; 저장하다. 【가능동사】 かこ·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하구. 강어귀. 〔동의어〕かわぐち
詰め
『생리학』 손톱. 발톱; 가조각(假爪角). 〔동의어〕琴づめ; (서질(書帙)·왜버선 등에, 벗어지지 않게 끼우는) 메뚜기; (기계 끝에 달린) 발톱 모양의 부품; 아주 소량의 것; 채워 넣음. 또는 채운 것. 〔동의어〕つめもの·パッキング; 빈 틈이나 병 주둥이 등을 메우는 것. 마개; 가장자리. 끝; (장기에서) 마지막 판국; (차례가 와서) 번을 드는 일
変形
변형.; 편형. 편평(扁平)한 모양. 납작한 모양.
砂を詰めた導管をガストーチで熱しながら曲げていきます
砂
『러시아어』 모래. 〔동의어〕すな·まさご·すなご
ながら
《格助詞 「の」와 같은 뜻·용법을 지닌 상대(上代)의 助詞 「な」에, 体言인 「から」가 붙어 생긴 말이라 함. 名詞, 副詞, 形容詞·形容動詞의 語幹, 形容詞의 連体形, 動詞 또는 動詞型活用의 助動詞의 連用形 등에 붙음. ‘…한 대로의 상태에서’의 뜻을 지닌 連用修飾句를 만드는 데 씀》; …그대로. …채로; 〈수량을 나타내는 말에 붙어〉 그대로 전부. 모두 다; 〈주로 계속적인 동작을 나타내는 動詞, 또는 受動·使役의 助動詞 「れる」 「られる」 「せる」 「させる」 등이 붙는 連用形에 붙어〉 두 가지 또는 세 가지 이상의 동작이 병행·계속되고 있음을 나타냄. …면서; 한정 또는 전제를 나타냄. …나마. …인데; 〈주로 존재나 상태를 나타내는 動詞의 連用形, 形容詞의 連体形에 붙어〉 내용이 모순되는 두 사항을 연결하는 뜻을 나타냄. …면서도. …지만. …데도. 〔참고〕 名詞·副詞 등에 붙는 「ながら」는 接尾語로 보는 견해도 있음
詰め
『생리학』 손톱. 발톱; 가조각(假爪角). 〔동의어〕琴づめ; (서질(書帙)·왜버선 등에, 벗어지지 않게 끼우는) 메뚜기; (기계 끝에 달린) 발톱 모양의 부품; 아주 소량의 것; 채워 넣음. 또는 채운 것. 〔동의어〕つめもの·パッキング; 빈 틈이나 병 주둥이 등을 메우는 것. 마개; 가장자리. 끝; (장기에서) 마지막 판국; (차례가 와서) 번을 드는 일
導管
동감.; 동감. (그림·사진 등의) 생동감.; 도관.; 『식물·식물학』 물관. 〔참고〕 1.은 「導管」으로 씀.
トーチ
토치. 횃불. ((올림픽 성화(聖火) 릴레이의 횃불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음))
曲げ部分に潰れや襞が出来ないよう、
部分
부분. 〔반의어〕 全体; 『문어』 무문; 법률을 멋대로 해석해서 남용함; 붓을 멋대로 놀려 왜곡된 문사(文辭)를 씀. 무문곡필
出来
《「しゅつらい」에서 변한말》; (사건 등이) 발생함; 완성됨
潰れ
닳음; 멸망함. 망함
襞
(의복 등의) 주름.; 주름처럼 보이는 것.; 『지리·지학·지명』 옛 지명. 지금의 岐阜현의 북부. 〔동의어〕飛州.
図面を元に作った型番に合わせ、 慎重に曲げていきます。
元
사물의 근원을 나타냄; 원; 『역사』 원조(元朝); 중국의 화폐 단위; 『문어』; 오묘함. 으늑함; 검은색; 말. 언어. 어구; 현; (악기의) 현; 활시위. 활줄; 『수학』 현; 현. 현재; 현재의; 뱃전. 〔동의어〕船ベり·船端; 감. 감소. 〔반의어〕 増; 감산. 뺄셈; 영검(靈驗). 효험. 〔동의어〕効き目·効能; 길흉의 조짐; 《흔히, 「~として」의 꼴로 副詞적으로 씀》 엄중함. 엄숙함. 의연(毅然)함. 엄연함. 냉엄함
慎重
신장. (길이나 힘이) 늘어남. 또는 늘임; 신장. (세력 등이) 늘어나 넓게 펴짐. 또는 늘려서 넓게 폄; 신장. 키. 〔동의어〕背丈; 청조; 『인쇄』 ⇒ 清朝; 신중(함). 〔반의어〕 軽率. {문어·ナリ 활용 }; 신조; 새로운 가락. 신곡; 심중. 마음이 깊고 무게가 있음. 침착하고 경망하지 않음; (죄 등이) 무거움. {문어·ナリ 활용 }; 심장. 뜻이 있고 함축성이 있음. {문어·ナリ 활용 }
合わせ
《고어》 반찬. 〔동의어〕おかず; 겹옷. 겹것. 〔반의어〕 単
図面
도면. 설계도
管を繋ぐのに継ぎ手を使います。
管
간. 간행. 출간(出刊). 출판; 감; 감독; 감방(監房); 관; (공공의) 건물 등에 붙는 말; 여관 등의 이름에 붙는 말; 장대의 수효를 세는 말; 캔; 깡통; 〈「缶詰め」의 준말〉 통조림. 〔참고〕 「缶」 「缶」 「鑵」은 차자; 『음악』 (일본 고유 음악에서) 높은 음역. 또는 기본음의 한 옥타브 높은 음; 『문어』 간. 간악함. 간사함. 또는 그런 사람; 『문어』 완; 「完全」 「完備」 등의 준말; 『문어』; 간. 간장; 마음; 관. 관청. 관리(官吏). 관직; ‘관리’ ‘공무원’ 등의 뜻을 나타냄. 관; 『문어』 관. 〔동의어〕かんむり; 으뜸감. {문어·タリ 활용}; 두루마리; 책; 권; 두루마리·필름·테이프 등의 수효; 책의 수효; 『문어』 (…처럼) 보임; 10일간. 순(旬). 〔참고〕 ‘씻다’의 뜻으로, 고대 중국에서 관리가 10일마다 휴가가 있어 목욕을 했던 데서; 『의학』 신경질적이고 짜증을 잘 내는 신경성 소아병; (사물의 사정이나 의미를) 직감으로 깨닫는 능력. 육감(六感). 직감력; 관. ((척관법의 무게의 단위)); 鎌倉 시대 이후 무가(武家)의 녹봉의 단위. ((1관은 10석(石))); 『문어』 겨울 추위; (24절기의) 대한과 소한의 시기. ((1월 6일경에서 2월 4일경까지의 약 30일간)) 1.2.〔동의어〕暑; 관. 관구. 〔동의어〕ひつぎ; 『문어』 정성. 충성; 『문어』 정의(情誼); 『경제』 예산·계정 과목의 분류명. 관. ((항(項)의 위, 부(部)의 아래)); 금속이나 돌에, 문자를 표면보다 움푹 들어가게 새김. 또는 그 문자; 간. 사이; 기회. 틈; 첩자; 불화; 《名詞에 붙어》 ‘…의 사이’ ‘…과 …의 사이’의 뜻을 나타냄. 간; 『문어』 관대하고 정이 깊음. 너그러움. 느슨함. {문어·ナリ 활용 }; 감. 느낌. 감회; 감동; ‘…의 느낌’의 뜻을 나타냄. 감; 관. 파이프. 〔동의어〕くだ; 붓·피리 등의 수효. 자루; 문빗장; 관문(關門). 〔동의어〕せき·関門; 『문어』 기쁨. 즐거움; 함. (편지의) 봉함; 『문어』 (일의 진행이) 느림. 완함. 더딤. {문어·ナリ 활용 }; (중탕으로) 술을 알맞게 데움. 또는 그 데우는 정도; 고리; 감정이 격하고 화를 잘 내는 기질. 신경질. 피새; 한; 한국. 〔동의어〕韓国; 대한 (제국); (중국 전국 시대의) 칠웅(七雄)의 하나; 편지. 서간. 서찰; 『문어』 간단함. 간략함. 간명함; 고대 중국에서, 종이가 발명되기 전에 글씨를 쓰기 위해 사용한 대쪽; 사람·사물을 외부에서 본 느낌. 양상; 도교(道敎)에서, 도사가 있는 곳; ‘…에 대한 사고 방식’ ‘…에 대한 견해’ 등의 뜻을 나타냄. 관; 갱; 고기나 야채를 넣어 끓인 국; 설날에 먹는 일본식 떡국에 넣는 떡. 또는 그 떡국; 『문어』 함. 군함; 서랍 등의 손잡이로 쓰는 고리 모양의 쇠붙이. 고리 손잡이쇠; 『문어』 한가함; ‘한가한’ ‘조용한’ ‘쓸모 없는’ 등의 뜻을 나타냄. 한; 한; 『역사』 중국 고대 왕조의 하나; (변하여) 중국 본토. 또는 그 곳에 사는 민족; ‘(성인) 남자’의 뜻을 나타냄. 한
使い
씀. 사용; 심부름꾼. 사자(使者); 심부름; 〈「お~」의 꼴로〉 신불(神佛)의 사자라고 하는 동물. 〔동의어〕つかわしめ; 하인. 하녀. 〔동의어〕召使; 《名詞에 붙어》 …을 사용함. 사용법. 사용자
継ぎ手
금속·목재 등의 접합 부분. 이음매. 〔동의어〕継ぎ目.; 두 기계 부품을 이어주는 부품. 〔동의어〕ジョイント.; (바둑에서) 이음수.
導管を繋ぐ時は導管を継ぎ手に差し込み、 はんだ付けして接合します。
時
차; 다음; 『화학』 산화(酸化)의 정도가 낮음; 『화학』 염기성염(鹽基性鹽); 횟수(回數). 빈도(頻度). 차례; 자; 자기; 〈시간·장소를 나타내는 名詞에 붙어〉 …부터. 〔반의어〕 至; 사. 절; 아; 아이. 아동; 남아;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사. 일. 사항; 시. 시간의 단위. 60분; 시각; 때. 기회; 〈옛 지명에 붙여〉 그 지방의 길.그 지방 또는 그 지방으로 가는 길임을 나타냄. 도(道). 가도. 지방; 하루의 행정(行程); 『문어』 나이를 나타냄; 〈10을 단위로 한 수에 붙여〉 그 정도의 나이를 나타냄; 토지. 땅. 지면; 그 지방. 그 고장; 본성. 본색. 천성. 본바탕; 기반. 기초; 천; 살결. 피부; 문장에서 작자가 설명한 부분; (바둑에서) 차지한 집; 실제. 실지(實地). 〔참조어〕 地で行く; 풋내기. 숫보기; 「地謡」 「地紙」 「地髪」의 준말; 글자. 문자; 글씨. 필적; (바둑 등에서) 비김. 무승부; 『의학』 치질. 〔동의어〕痔疾; 『문어』 사; 말. 글; 한문 문체의 하나; 『언어학』 일본어 단어를 문법상의 성질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한 것의 하나. 단독으로는 문절(文節)을 이루지 못하고, 언제나 詞(자립어)에 딸려서 문절을 구성하는 말. ((助詞·助動詞 등)) 〔동의어〕付属語·関係語. 〔반의어〕 詞; 『문어』; 자석. 지남철; 자기. 사기그릇; 새; 세 가지 신기(神器)의 하나인 八尺瓊曲玉. 〔동의어〕神璽; 《고어》 《動詞·助動詞의 未然形에 붙음》; 부정적인 추측을 나타냄. …않겠지. …않을 것이다. 〔동의어〕…ないだろう·…まい; 부정적인 결의를 나타냄. …하지 않으리라. …않을 작정이다. 〔동의어〕…まい
付け
붙임; 계산서. 청구서. 〔동의어〕勘定書き; 외상 장부에 기입함. 또는 그 청구서; 〈「付拍子」의 준말〉 (歌舞伎에서) 배우가 유다른 제스처를 쓸 때나 난투 장면 등에 효과를 내기 위하여 딱따기로 마루를 치는 일;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늘 그 일을 해 버릇함
接合
접합
差し込み
찔러 넣음[꽂음]. 또는 그 도구.; 배가 갑자기 쿡쿡 쑤시는 병. 주로 위경련. 〔동의어〕しゃく.
導管
동감.; 동감. (그림·사진 등의) 생동감.; 도관.; 『식물·식물학』 물관. 〔참고〕 1.은 「導管」으로 씀.
継ぎ手
금속·목재 등의 접합 부분. 이음매. 〔동의어〕継ぎ目.; 두 기계 부품을 이어주는 부품. 〔동의어〕ジョイント.; (바둑에서) 이음수.
はんだ
『화학』 땜납. 〔동의어〕白鑞·. 〔참고〕 주로 「ハンダ」로 씀. 때로 「半田」 「盤陀」로도 씀.
鉄の管、 鋼管を繋ぐ時はネジ部にシールを巻き接合します。
管
간. 간행. 출간(出刊). 출판; 감; 감독; 감방(監房); 관; (공공의) 건물 등에 붙는 말; 여관 등의 이름에 붙는 말; 장대의 수효를 세는 말; 캔; 깡통; 〈「缶詰め」의 준말〉 통조림. 〔참고〕 「缶」 「缶」 「鑵」은 차자; 『음악』 (일본 고유 음악에서) 높은 음역. 또는 기본음의 한 옥타브 높은 음; 『문어』 간. 간악함. 간사함. 또는 그런 사람; 『문어』 완; 「完全」 「完備」 등의 준말; 『문어』; 간. 간장; 마음; 관. 관청. 관리(官吏). 관직; ‘관리’ ‘공무원’ 등의 뜻을 나타냄. 관; 『문어』 관. 〔동의어〕かんむり; 으뜸감. {문어·タリ 활용}; 두루마리; 책; 권; 두루마리·필름·테이프 등의 수효; 책의 수효; 『문어』 (…처럼) 보임; 10일간. 순(旬). 〔참고〕 ‘씻다’의 뜻으로, 고대 중국에서 관리가 10일마다 휴가가 있어 목욕을 했던 데서; 『의학』 신경질적이고 짜증을 잘 내는 신경성 소아병; (사물의 사정이나 의미를) 직감으로 깨닫는 능력. 육감(六感). 직감력; 관. ((척관법의 무게의 단위)); 鎌倉 시대 이후 무가(武家)의 녹봉의 단위. ((1관은 10석(石))); 『문어』 겨울 추위; (24절기의) 대한과 소한의 시기. ((1월 6일경에서 2월 4일경까지의 약 30일간)) 1.2.〔동의어〕暑; 관. 관구. 〔동의어〕ひつぎ; 『문어』 정성. 충성; 『문어』 정의(情誼); 『경제』 예산·계정 과목의 분류명. 관. ((항(項)의 위, 부(部)의 아래)); 금속이나 돌에, 문자를 표면보다 움푹 들어가게 새김. 또는 그 문자; 간. 사이; 기회. 틈; 첩자; 불화; 《名詞에 붙어》 ‘…의 사이’ ‘…과 …의 사이’의 뜻을 나타냄. 간; 『문어』 관대하고 정이 깊음. 너그러움. 느슨함. {문어·ナリ 활용 }; 감. 느낌. 감회; 감동; ‘…의 느낌’의 뜻을 나타냄. 감; 관. 파이프. 〔동의어〕くだ; 붓·피리 등의 수효. 자루; 문빗장; 관문(關門). 〔동의어〕せき·関門; 『문어』 기쁨. 즐거움; 함. (편지의) 봉함; 『문어』 (일의 진행이) 느림. 완함. 더딤. {문어·ナリ 활용 }; (중탕으로) 술을 알맞게 데움. 또는 그 데우는 정도; 고리; 감정이 격하고 화를 잘 내는 기질. 신경질. 피새; 한; 한국. 〔동의어〕韓国; 대한 (제국); (중국 전국 시대의) 칠웅(七雄)의 하나; 편지. 서간. 서찰; 『문어』 간단함. 간략함. 간명함; 고대 중국에서, 종이가 발명되기 전에 글씨를 쓰기 위해 사용한 대쪽; 사람·사물을 외부에서 본 느낌. 양상; 도교(道敎)에서, 도사가 있는 곳; ‘…에 대한 사고 방식’ ‘…에 대한 견해’ 등의 뜻을 나타냄. 관; 갱; 고기나 야채를 넣어 끓인 국; 설날에 먹는 일본식 떡국에 넣는 떡. 또는 그 떡국; 『문어』 함. 군함; 서랍 등의 손잡이로 쓰는 고리 모양의 쇠붙이. 고리 손잡이쇠; 『문어』 한가함; ‘한가한’ ‘조용한’ ‘쓸모 없는’ 등의 뜻을 나타냄. 한; 한; 『역사』 중국 고대 왕조의 하나; (변하여) 중국 본토. 또는 그 곳에 사는 민족; ‘(성인) 남자’의 뜻을 나타냄. 한
鉄
『문어』 《「黒金」의 뜻》 쇠. 철. 〔동의어〕まがね
時
차; 다음; 『화학』 산화(酸化)의 정도가 낮음; 『화학』 염기성염(鹽基性鹽); 횟수(回數). 빈도(頻度). 차례; 자; 자기; 〈시간·장소를 나타내는 名詞에 붙어〉 …부터. 〔반의어〕 至; 사. 절; 아; 아이. 아동; 남아;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사. 일. 사항; 시. 시간의 단위. 60분; 시각; 때. 기회; 〈옛 지명에 붙여〉 그 지방의 길.그 지방 또는 그 지방으로 가는 길임을 나타냄. 도(道). 가도. 지방; 하루의 행정(行程); 『문어』 나이를 나타냄; 〈10을 단위로 한 수에 붙여〉 그 정도의 나이를 나타냄; 토지. 땅. 지면; 그 지방. 그 고장; 본성. 본색. 천성. 본바탕; 기반. 기초; 천; 살결. 피부; 문장에서 작자가 설명한 부분; (바둑에서) 차지한 집; 실제. 실지(實地). 〔참조어〕 地で行く; 풋내기. 숫보기; 「地謡」 「地紙」 「地髪」의 준말; 글자. 문자; 글씨. 필적; (바둑 등에서) 비김. 무승부; 『의학』 치질. 〔동의어〕痔疾; 『문어』 사; 말. 글; 한문 문체의 하나; 『언어학』 일본어 단어를 문법상의 성질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한 것의 하나. 단독으로는 문절(文節)을 이루지 못하고, 언제나 詞(자립어)에 딸려서 문절을 구성하는 말. ((助詞·助動詞 등)) 〔동의어〕付属語·関係語. 〔반의어〕 詞; 『문어』; 자석. 지남철; 자기. 사기그릇; 새; 세 가지 신기(神器)의 하나인 八尺瓊曲玉. 〔동의어〕神璽; 《고어》 《動詞·助動詞의 未然形에 붙음》; 부정적인 추측을 나타냄. …않겠지. …않을 것이다. 〔동의어〕…ないだろう·…まい; 부정적인 결의를 나타냄. …하지 않으리라. …않을 작정이다. 〔동의어〕…まい
部
《名詞 등에 붙어 形容動詞의 어간을 만듦》 부정의 뜻을 나타냄. …가 없음. …가 좋지 않음. …가 아님; 승부의 형세. 우열의 정도; 이익의 정도. 배당(액)·할당(량); 판(板) 등의 두께. 또는 부피; 1·1할·1치·1문(文)의 각각 10분의 1. 푼. 분; 전체를 10등분한 것. 할; 옛날 화폐의 단위. 1両의 4분의 1; 『음악』 전음(全音)을 등분한 길이; 무; 무예. 무술; 군사력. 무력; 비율. 이율; 형세; 수수료. 구전; 토지 면적의 단위. 보. ((1歩는 여섯 자 평방. 약 3.3평방 미터)) 〔동의어〕坪; 町·反의 뒤에 붙어 그 면적의 끝수가 없음을 나타내는 말. 보; 부; 한 구분; (조직체의) 구성 부분의 하나; 동호인의 클럽; …부; < 1> 의 2.3.의 뜻으로 名詞 뒤에 붙음; 특정 부분을 나타냄; 책·문서를 세는 말. 부; 전체를 나눈 구분을 세는 말. 부
シール
실; 봉인(封印). 봉인지; (스키 등산 때 뒤로 미끄러지지 않게 하기 위해 스키 바닥에 붙이는) 바다표범 가죽. 또는 그 대용품. 〔동의어〕シールスキン
接合
접합
鋼管
공간. 간행하여 세상에 널리 폄.; 공관.; 공중이 사용하는 공공 건물.; 관공서 건물. 특히, 영사관·공사관·대사관 등의 건물.; 교환.; 서로 바꿈.; 「電話交換台」의 준말.; 교감. (상대의 심정 등을) 서로 느낌.; 교환. 교관. 서로 모여 함께 즐김.; 광관. 코로나. 〔동의어〕コロナ2..; 광환. 무리. ((햇무리와 달무리)) 〔동의어〕暈.; 『문어』 차츰 추워짐. 특히, 한중(寒中)으로 접어듦. 〔반의어〕 向暑. 〔참고〕 편지에서 쓰는 말.; 호감. 〔동의어〕好感情.; 『문어』 호한. 시원스럽고 호감이 가는 사나이. 〔동의어〕快男児.; 『문어』 항간. 〔동의어〕ちまた·世間.; 『문어』; 뒷날의 일까지 잘 생각함.; 『문어』 후환. 뒤탈.; 『문어』 감교(勘校). 고전(古典)의 간본(刊本)이나 사본을 서로 대조하여 잘못된 곳을 바로잡음.; 강감(降鑑). 신령이 하늘에서 인간 세계를 지켜봄.; 고관.; 『문어』 공간. 지레. 〔동의어〕梃子.; 강관. 강철관.; 『문어』 호한.; 넓고 큼. 〔동의어〕広大.; 책이 많음. {문어·ナリ 활용 }; 『문어』 일본과 중국.
それぞれの管の接合が終わったら、 壁に取り付け、
壁
벽. 바람벽; (비유적으로) 장애. 난관; (등산에서) 깎아지른 듯한 암벽(岩壁)
管
간. 간행. 출간(出刊). 출판; 감; 감독; 감방(監房); 관; (공공의) 건물 등에 붙는 말; 여관 등의 이름에 붙는 말; 장대의 수효를 세는 말; 캔; 깡통; 〈「缶詰め」의 준말〉 통조림. 〔참고〕 「缶」 「缶」 「鑵」은 차자; 『음악』 (일본 고유 음악에서) 높은 음역. 또는 기본음의 한 옥타브 높은 음; 『문어』 간. 간악함. 간사함. 또는 그런 사람; 『문어』 완; 「完全」 「完備」 등의 준말; 『문어』; 간. 간장; 마음; 관. 관청. 관리(官吏). 관직; ‘관리’ ‘공무원’ 등의 뜻을 나타냄. 관; 『문어』 관. 〔동의어〕かんむり; 으뜸감. {문어·タリ 활용}; 두루마리; 책; 권; 두루마리·필름·테이프 등의 수효; 책의 수효; 『문어』 (…처럼) 보임; 10일간. 순(旬). 〔참고〕 ‘씻다’의 뜻으로, 고대 중국에서 관리가 10일마다 휴가가 있어 목욕을 했던 데서; 『의학』 신경질적이고 짜증을 잘 내는 신경성 소아병; (사물의 사정이나 의미를) 직감으로 깨닫는 능력. 육감(六感). 직감력; 관. ((척관법의 무게의 단위)); 鎌倉 시대 이후 무가(武家)의 녹봉의 단위. ((1관은 10석(石))); 『문어』 겨울 추위; (24절기의) 대한과 소한의 시기. ((1월 6일경에서 2월 4일경까지의 약 30일간)) 1.2.〔동의어〕暑; 관. 관구. 〔동의어〕ひつぎ; 『문어』 정성. 충성; 『문어』 정의(情誼); 『경제』 예산·계정 과목의 분류명. 관. ((항(項)의 위, 부(部)의 아래)); 금속이나 돌에, 문자를 표면보다 움푹 들어가게 새김. 또는 그 문자; 간. 사이; 기회. 틈; 첩자; 불화; 《名詞에 붙어》 ‘…의 사이’ ‘…과 …의 사이’의 뜻을 나타냄. 간; 『문어』 관대하고 정이 깊음. 너그러움. 느슨함. {문어·ナリ 활용 }; 감. 느낌. 감회; 감동; ‘…의 느낌’의 뜻을 나타냄. 감; 관. 파이프. 〔동의어〕くだ; 붓·피리 등의 수효. 자루; 문빗장; 관문(關門). 〔동의어〕せき·関門; 『문어』 기쁨. 즐거움; 함. (편지의) 봉함; 『문어』 (일의 진행이) 느림. 완함. 더딤. {문어·ナリ 활용 }; (중탕으로) 술을 알맞게 데움. 또는 그 데우는 정도; 고리; 감정이 격하고 화를 잘 내는 기질. 신경질. 피새; 한; 한국. 〔동의어〕韓国; 대한 (제국); (중국 전국 시대의) 칠웅(七雄)의 하나; 편지. 서간. 서찰; 『문어』 간단함. 간략함. 간명함; 고대 중국에서, 종이가 발명되기 전에 글씨를 쓰기 위해 사용한 대쪽; 사람·사물을 외부에서 본 느낌. 양상; 도교(道敎)에서, 도사가 있는 곳; ‘…에 대한 사고 방식’ ‘…에 대한 견해’ 등의 뜻을 나타냄. 관; 갱; 고기나 야채를 넣어 끓인 국; 설날에 먹는 일본식 떡국에 넣는 떡. 또는 그 떡국; 『문어』 함. 군함; 서랍 등의 손잡이로 쓰는 고리 모양의 쇠붙이. 고리 손잡이쇠; 『문어』 한가함; ‘한가한’ ‘조용한’ ‘쓸모 없는’ 등의 뜻을 나타냄. 한; 한; 『역사』 중국 고대 왕조의 하나; (변하여) 중국 본토. 또는 그 곳에 사는 민족; ‘(성인) 남자’의 뜻을 나타냄. 한
それぞれ
저마다. 각기. 각각. 〔동의어〕おのおの·めいめい. 〔참고〕 副詞적으로도 씀
取り付け
장치. 설치; (그 가게에서) 단골로 물건을 삼. 또는 그 가게. 〔동의어〕買いつけ. 〔참고〕 「取付(け)」 또는 「取りつけ」로 씀; 『경제』 (신용을 잃은 은행에 대한) 예금 인출 사태
接合
접합
排水用は決められた勾配になるように取り付けます。
用
나뭇잎·종이 등 얇은 것을 세는 말. 장; 용무. 볼일. 일. 〔동의어〕用事; 소용. 쓸모. 구실; 『문어』 드는 돈. 비용. 〔동의어〕費用·入り用; 대소변. 용변; 名詞 뒤에 붙어, 무엇에 사용되는 것임을 나타냄. …용; 『문어』; 요염함; 『역사』 용. 토용(土俑). ((옛날 중국에서, 순사자(殉死者) 대신에 죽은 사람과 함께 묻었던 토제(土製) 또는 목제의 인형)); 『문어』 양. 세계를 동서의 둘로 나눈 하나. 동양과 서양. 특히, 서양; 양. 넓은 바다; 요. 요점. 요령; 필요. 필요성; 『문어』 모습. 모양. 자태. 〔동의어〕姿·かたち; 《「益」의 변한말》 보람. 효과; 『역사』 용. 律令制 시대에 부역 대신에 바친 물건; 양. 〔반의어〕 陰; 표면; 역학(易學)에서 적극적인 성질을 가진 것. ((달에 대한 해, 여자에 대한 남자, 마이너스에 대한 플러스 등)); 『의학』 양성; 『문어』 용인. 고용인. 〔동의어〕傭人; 『의학』 양. 종기; 모양. 형태. 생김새. 〔동의어〕形·有様; 방법. 수단; 〈「…~に」의 꼴로〉 목적이나 기대를 나타냄. …도록;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하는 모양;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하기 위한) 방법. 방식. 수단. 〔참고〕 흔히 かな로 씀; 〈흔히 名詞에 붙어〉 형(型). 양식(樣式); 〈흔히 名詞에 붙어〉 …의 모양(을 한 것); 빛남; 일월(日月)과 오성(五星); 요. ((요일을 일컬음. 接尾語적으로 씀)); 『의학』 옹. ((목·등·배 등에 생기는 종기)); ⇒ よく . 〔참고〕 「よく」의 音便. 방언적인 말. 〔참고〕 현대어로는 주로 西日本에서 쓰임; 무간하게 남을 부르거나 인사할 때의 말. 야! 여!; 무엇을 조르거나 할 때 하는 말. 아이. 참. 제발; 술에 취하다. 술기가 돌다; 멀미하다; 도취하다. 황홀해지다. 〔동의어〕うっとりする; 《고어》 (어육 등에) 중독되다; 미혹(迷惑)되다. (나쁜 길에) 빠지다. 헤매다. 〔동의어〕迷う. 【가능동사】 よ·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아득히 멂. 깊숙하고 어두움; 묘연함. 사정을 잘 알 수 없음. {문어·タリ 활용}; 《上1段·下1段·カ変·サ変의 動詞의 未然形, 助動詞 「せる」 「させる」 「しめる」 「れる」 「られる」의 未然形에 붙음. 다만, サ変에는 「し」의 꼴에 붙음》; 말하는 이의 의지나 결의를 나타냄. …하자; 상대에 대한 권유를 나타냄. …하자; 완곡한 명령의 뜻을 나타냄. …하자; 추량(推量)이나 상상함의 뜻을 나타냄. …겠지; 완곡한 단정을 나타냄. …할 수 있을 것이다. …하리라;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ㄹ까보냐. …하겠나; 가정(假定)이나 가상(假想)의 상태를 나타냄. …건. …든지; 〈「~とする」의 꼴로〉 동작·작용·상태가 실현의 직전에 있음을 나타냄. …려고; 가능성을 나타냄. …할 수 있다; 『문어』 유. 어림. 어린 사람[아이]. 〔반의어〕 老
決め
결정. 결정 사항. 규정. 규칙. 약속. 〔참고〕 名詞에 붙어 「…ぎめ」의 꼴로 接尾語적으로도 씀; 나뭇결. 〔동의어〕木目. 〔참고〕 「木理」라고도 씀; (물건 표면의) 결. (사람의) 살결. 또는 그 감촉; (무엇을 할 때의) 마음씀. 〔참고〕 2.3.은 「肌理」라고도 씀
排水
배수; 배수; 배수; 폐수
取り付け
장치. 설치; (그 가게에서) 단골로 물건을 삼. 또는 그 가게. 〔동의어〕買いつけ. 〔참고〕 「取付(け)」 또는 「取りつけ」로 씀; 『경제』 (신용을 잃은 은행에 대한) 예금 인출 사태
勾配
『법률』 공매.; 구배.; 물매. 기울기. 경사.; 사면(斜面). 비탈.; 짙은 분홍색. 자홍색(紫紅色).; 구매. 물건을 삼.
そして最も重要な、 水漏れがないか水圧テストで最終チェックして完成です。
最も
《副詞 「いと」+강조의 係助詞 「も」》 매우. 아주. 대단히. 지극히
完成
완성; 『법률』 관제. 〔참고〕 신헌법에서는 이 말을 쓰지 않음; 관제. 정부 기관에서 만듦. 또는 그것. 〔반의어〕 私製; 함정; 허방다리. 〔동의어〕落とし穴; 남을 속여 어려움에 빠뜨리는 책략; 건성. 〔반의어〕 湿性; 함성. 여럿이 함께 지르는 고함소리; 환성. 크게 외치는 소리; 『문어』; (비유적으로) 개똥벌레의 빛; 『철학』 감성; 『물리』 관성. 타성. 〔동의어〕惰性; 관제; (비상시 등에) 국가가 강제적으로 자유로운 활동·사용을 관리·제한하는 일; 항공기의 항행 관리·규제; 환성. 환호성; 『문어』 코고는 소리; 『문어』 함정. 우리와 허방다리; 『문어』 조용하고 단정함. 음전함. {문어·ナリ 활용 }; 한정. 한가하고 고요함. {문어·ナリ 활용 }; 『문어』 감제. 감독하여 만듦
最終
맨 끝. 최후
重要
충용. 충당하여 사용함; 중용. 〔동의어〕ちょうよう; 중요(함). 〔동의어〕大切. じゅう-ようさ 【명사】 {문어·ナリ 활용 }
そして
⇒ そうして
テスト
테스트; (연극·방송 등에서) 본공연[방송]에 앞선 예비 연습
水
수. 오행(五行)의 다섯째. ((계절은 겨울, 방위로는 북, 색은 검정임)); 「水曜日」의 준말; 《속어》 당밀즙(糖蜜汁)만을 탄 얼음물; 물. 액체; 순수함. 또는 그런 것; 뛰어난 것. 정수(精粹); 세상 물정에 밝아 인정의 기미(機微)를 잘 앎. 특히, 남녀간의 애정에 이해가 많음. {문어·ナリ 활용 }; 화류계·예능계의 사정에 밝음. 멋을[풍류를] 앎. (언동이) 세련되어 있음. {문어·ナリ 활용 }; 추; 저울추. 분동; 방추(紡錘)를 세는 말; 시다. 신맛이 있다. 〔동의어〕すっぱい. 【문어형】 す·し {ク 활용}
漏れ
(틈새로) 샘. 누출; 누락. 탈락
チェック
체크; 수표. 〔동의어〕小切手; (물품을 맡은) 물표. 보관증. 〔동의어〕チッキ; (옷감의) 바둑판 무늬. 체크 무늬. 〔동의어〕格子じま·碁盤じま; (체스에서) 장군을 부름. 〔동의어〕チェックメート; (공격이나 기세를) 저지함. 견제함; 대조의 표시로 「」표를 함. 또 대조하여 검사함
水圧
『물리』 수압
配管は建築物にとって不可欠な技能職種としてこれからも重要な役割を担っていきます。
これから
《代名詞 「これ」+助詞 「から」가 한 낱말로 된 것. 副詞적으로도 씀》; 이제부터. 금후. 장차. 앞으로; 여기로부터
役割
역할. 각자에게 담당할 임무를 할당함. 또는 할당된 임무
建築
건축
重要
충용. 충당하여 사용함; 중용. 〔동의어〕ちょうよう; 중요(함). 〔동의어〕大切. じゅう-ようさ 【명사】 {문어·ナリ 활용 }
技能
기능
物
人形浄瑠璃의 각본에서 歌舞伎로 옮겨간 狂言. 〔동의어〕義太夫狂言·丸本物
として
〈상태를 나타내는 한자어에 붙어 副詞句를 만듦〉 동작·작용이 일어날 때의 양태(樣態)를 나타냄. …하게. …해져서; 〈動詞의 未然形+「う」 「よう」에 붙어〉 …려고; 〈「それはそれ~」 「それはそう~」의 꼴로 接続詞적으로 씀〉 그것은 그렇다 치고; 《体言에 붙어》 자격이나 입장을 나타냄. …로서; 《「一人」 「一本」 「一時」 등의 말에 붙고, 뒤에 否定의 「ない」가 따름》 전면적인 부정을 나타냄. …도 …않다[없다]
不可欠
불가결. ふか-けつさ 【명사】 {문어·ナリ 활용 }
配管
배관. 삼가 관람함.; 배한. (몹시 두렵거나 부끄러워서) 등에서 나는 식은땀.; 폐간.; 폐와 간.; 마음 속.; 폐환. 폐병.; 배관.; 폐간. 〔반의어〕 創刊.; 폐관. 관직을 없앰. 또는 그 관직.; 폐관. 못 쓰는 가스관. 수도관.; 폐함. 낡은 군함을 함적(艦籍)에서 없앰. 또는 그 군함.; 폐관. 영화관·미술관·박물관 등이 경영을 그만둠.; 『문어』 패관.; 전설. 소설.
職種
『동물·동물학』 촉수.; 직종.
カジノ誘致に反対 “横浜のドン”対抗組織結成へ
一面に・・・5万本のチューリップ満開 山梨・甲州市
Weekly Japanese Words with Risa ♥ Falling in Love
アバターでキャリア相談に対応 対面では話しづらい悩みもOK(2022年12月4日)
新型コロナのワクチン「定期接種」へ 高齢者など自己負担額7000円程度に(2024年3月15日)
寝る前にできる脚やせ3分エクササイズ
今、咲き誇る花たちよ
天皇皇后両陛下が熱海の被災地に“お見舞い”(2021年7月5日)
スカイツリーで昆虫展開幕 各地の標本 カブトムシも
東京五輪表彰式はマスク着用 メダルは自ら取る形(2021年7月16日)
You need to upgrade to a premium account to using this feature
Are you sure you want to test again?
Please upgrade your account to read unlimited newspap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