カンザスの 大草原に のうふの ヘンリーおじさん、
カンザスの 大草原に のうふの ヘンリーおじさん、
エムおばさんと いっしょに ドロシーという 女の子が すんで いました。
ドロシーや、かいものに いって きますからね るすばん たのんだよ!
いってらっしゃ〜〜い!
ドロシーは、りょうしんを なくして しまったので、
この おじさんに ひきとられたのでした。
トト、わたしたちは、おるすばんよ!
トトは、くろい 小さい犬で ドロシーは、とても かわいがって いました。
そのひのこと
ものすごく 大きな たつまきが やってきて
ドロシーの いえは、 大空に まきあげられて しまいました
ドロシーの いえは、 見たことも ない ひがしの国に
おちて いました。
そこは、あたり いちめん、 お花が さきみだれる
とても うつくしい 国でした。
マンチキン人の 国へ ようこそ いらっしゃいました!
ドロシーが見ると きたの まじょが 立って いました。
わたしは、きたの まじょです。 ひがしの わるい まじょを
おしつぶして くれて ありがとう! おれい もうしあげます
ドロシーが おどろいて 見ると
ひがしの わるい まじょが いえの 下じきに なっていて、
ぎんの くつが のこって いました。
まぁ、ここは、カンザスじゃ ないの? カンザスに かえるには、どうしたら いいの?
なんとか して あげたいけど、 カンザスは、とても とおくて
わたしの まほうじゃ、 とても むりですわ。
でも、オズさま という だいまほうつかいなら、 ねがいを かなえて くれるかも しれません。
オズさまは、 うつくしい エメラルドの みやこに
すんで いらっしゃいます。
この きいろい レンガの みちを まっすぐ いくのですよ。
そして、きたの まじょは、 あとで きっと やくに 立つからと いって、
ひがしの まじょが はいていた まほうの ぎんのくつを はかせて くれました。
ながい たびに なると おもいます。 きを つけて いくのですよ!
トト! しゅっぱつよ! カンザスに かえる ほうほうを
おしえて もらうのよ!
しばらく いくと、トウモロコシばたけの 中に カカシが たって いました。
やぁ!どこへ いくんだい?
かかしが、いきなり はなし はじめたので、 びっくりです。
ドロシーが、 今までの ことを かかしに はなして やると、
わたしも、いっしょに つれて いって ください!
わたしの あたまは、わらが つまって いるので、 のうみそを もらいたいのです。
こうして、カカシも、なかまに なり、 きいろい レンガの みちを あるいていくと、
森の 中から うなりごえが きこえて きました。
からだじゅう ブリキで できた男が おのを ふりあげた まま、立って いました。
「あぶらが きれて うごけない」といいます。
ドロシーが あぶらを さすと、 ブリキの 男は、うごきだして、
わたしは、ブリキの きこりです。 わるい まじょに こころを
とられて しまいました。
オズさまに こころを もらいたいので、 なかまに いれて ください。
こうして、ブリキの きこりも なかまに なりました。
さらに、森の中を すすんで いくと、 ライオンが、のぞのぞと あるいて いました。
ライオンだぁ〜〜!!
ぼくは、とても おくびょうなんだ。
ちょっとしたことでも、 しんぞうが ドキドキする いくじなしなんだ。
ぼくは ぜひ オズさまに あって ゆうきを もらいたいよ〜〜!!
こうして、ライオンも なかまに くわわり、 さらに 森のおくに すすみました。
カリダだ!!
たいへんです! クマの からだに トラの あたまを つけた
大きな どうぶつが、おいかけて きました。
どうしよう!?
かかしさんが たべられてる あいだに ぼくたちが にげますよ
そ、そんなぁ〜〜!! そうだ! きこりさん、
はしを その おので きっちゃって ください!
きこりが はしを きり おとしたので、 みんな たすかりました。
こうして、ドロシーたちは、 ようやく エメラルドの みやこに つきました。
そこは、町じゅうに エメラルドが しきつめてあり、 かがやいて いました。
ドロシーたちが、 だいまほうつかい オズの へやに
あんないされると
その ぎょくざに 大きな あたまが のって いました。
わしが、だいまほうつかい オズである。 なんの ようで きた?
わたしを オズさまの お力で ふるさとの カンザスに かえして ください!
のうみそを ください!
ゆうきが ほしいよ!
こころが ほしい!
いいだろう! にしに すむ わるい まじょを たおしたら、
おまえたちの のぞみを かなえて あげよう!
ドロシーたちは、こまって しまいました。 だって、ドロシーたちに、
おそろしい にしの まじょを たおせる はずが ありません。
でも、そう するしか ないのです。 ドロシーたちは、力を あわせて、
たたかう けっしんを しました。
こうして、おそろしい まじょの いる にしの 国へ いきました。
おや、おきゃくさんかい?
ドロシーたちに きづいた にしの まじょは、 手下の オオカミ 40匹を はなちました!
ドロシーさん! あぶない!
ブリキのきこりが オオカミたちを すべて たおしました。
つぎに カラスが 40羽 おそって きました。
たすけて〜〜!
ライオンさん! たすけて くださいよ〜〜!!
ライオンさん! たすけて!
いまこそ、ゆうきを だす ときですよ! ライオンさん!!
だめだぁ〜〜 たすけて〜〜!!
ライオンが こわいのを がまんして ガオォ〜〜っと、ほえると、
カラスは、きえて しまいました。
くぉのぉ〜〜!!
あたまに きた にしの まじょは まほうを つかって
おそろしい ハチの たいぐんを だしました。
あたしに たてつくと、そう なるのよ!
そのとき、 ドロシーの はいていた ぎんの くつが
しゃべりました。
にしの まじょは、水に よわい!
わるい にしの まじょめ! この 水を あびなさい!
ふたたび エメラルドの みやこに もどった ドロシーたちは、
すぐさま オズの ぎょくざに むかいました。
でも、そこには、 ちいさな おじいさんが すわって いました。
こんなに 早く かえってくるとは 思って いなかったよ・・・・
じつは、オズのまほうつかいは、 にんげんで、ききゅうで とばされて
この国に きて しまったのです。
こいつは、おおうそつきだぞ! オレに ゆうきを くれる やくそくは どうなる⁈
おちついて・・・・
そのとき、うつくしく かがやく みなみの まじょが あらわれました。
あなたたちは、力を あわせて おそろしい にしの まじょを たおしました。
みんな ゆうきも、ちえも、やさしい こころも すでに もって いますよ!
なるほど、そのとおりです 。 ちえや、ゆうきや、やさしい こころは、
人から もらう ものでは、なかったのです。
ドロシー、その ぎんの くつに 3ぽ あるけば、カンザスに かえれる
まほうをかけました
さぁ、いきなさい! おじさんと おばさんが まっていますよ!
ドロシーは みんなに わかれをつげ、 カンザスに むけて しゅっぱつです。
1・・・2・・・・3!
ドロシー!
ドロシー!
おじさん! おばさん!
かえって きた ドロシーを ヘンリーおじさんと エムおばさんが むかえました。
ドロシーのぼうけんは、おわりです。
ん
カンザスの 大草原に のうふの ヘンリーおじさん、
大
‘큰’ ‘넓은’ ‘많은’의 뜻; ‘정도가 심한’ ‘큰’의 뜻; ‘서열에서 상위’의 뜻; ‘대략’ ‘대체로’ ‘대충의’의 뜻; ‘극한의’ ‘제일의’의 뜻; 『문어』 찬미·존경의 뜻을 나타냄; 응답·승낙의 뜻을 나타냄. 암. 그래; 감탄·놀람을 나타냄. 야. 어. 아이고; 갑자기 생각났을 때 내는 소리. 아. 어. 〔참고〕 「おう」로도 씀
草原
초원. 〔동의어〕くさわら
エムおばさんと いっしょに ドロシーという 女の子が すんで いました。
女の子
여자아이. 계집아이; 계집. 1.~3. 〔반의어〕 男の子
ドロシーや、かいものに いって きますからね るすばん たのんだよ!
かいい
『문어』 《뒤에 否定의 말이 따름》 개의. 괘념함; 회의. 한자(漢字)의 육서(六書)의 하나. 복수의 자형으로 그 뜻을 합성하여 하나의 새로운 한자를 만드는 한자 구성법. ((「日」와 「月」로 「明」를 만드는 등)); 요괴(妖怪). 도깨비. 유령. 〔동의어〕変化; 일본 해상 자위대 계급의 하나.((1·2·3등의 세 등급이 있음. 海佐의 아래, 海曹의 위)) 〔반의어〕 陸尉·空尉; ⇒ かゆい; 괴위. 체격이나 얼굴이 유달리 크고 우람함. {문어·ナリ 활용 }
いってらっしゃ〜〜い!
ドロシーは、りょうしんを なくして しまったので、
しまう
끝나다. 파하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끝내다. 마치다; (가게 등을) 닫다; 치우다; 간수하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흔히, 「…て[で]~」의 꼴로》 …하여 버리다. …하고 말다. 〔참고〕 흔히 구어(口語)에서는 「…て[で]しまう」가 「…(っ)ちまう」 「…じまう」의 꼴로 되기도 함; 〈「…ずに~」의 꼴로〉 …아니하고 말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この おじさんに ひきとられたのでした。
トト、わたしたちは、おるすばんよ!
トトは、くろい 小さい犬で ドロシーは、とても かわいがって いました。
かわいがる
《「かわゆがる」의 변한 말》; 귀여워하다; 따끔한 맛을 보여 주다. 거칠게 다루다. 【가능동사】 かわいが·れる【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とても
〈뒤에 否定語가 따르며〉 도저히. 아무래도. 〔동의어〕とうてい; 매우. 대단히. 〔동의어〕たいそう; 어차피. 〔동의어〕どうせ
犬
『동물·동물학』 개; 앞잡이. 간첩. 스파이; 《名詞에 붙음》; 비슷하나 사실은 다른 것. ((흔히 식물명에 붙임)); 경멸하는 뜻을 나타냄; 헛된 것임을 나타냄; 술; 십이지(十二支)의 열 한번 째; 술방(戌方). ((옛날 방위명으로 서북서)); 《고어》 자다; 《고어》; 가다. 가버리다. 또는 원래의 곳으로 돌아오다; 죽다
小さい
작다. 〔반의어〕 大きい; (면적·체적이) 크지 않다; (수량·정도가) 적다; (소리·음성이) 약하다; (나이가) 어리다. 연소하다; (금전의 단위가) 소액이다; (규모가) 작다. 사소하다; (마음·도량이) 좁다; 〈「~·くなる」의 꼴로〉 (겁나거나 황송하여) 작아지다. 위축되다. 움츠러들다. ちいさ·げ 【형용동사】 ちいさ·さ 【명사】 【문어형】 ちひさ·し {ク 활용}
そのひのこと
ものすごく 大きな たつまきが やってきて
大きな
《文語의 形容動詞 「おおきなり」의 連体形 「おおきなる」의 변한말》 큰. 커다란. 〔반의어〕 小さな
やってくる
(이리로) 오다. 다가오다. 찾아오다; 일을 하면서, 또는 생활해 오면서 현재에 이르다
ドロシーの いえは、 大空に まきあげられて しまいました
しまう
끝나다. 파하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끝내다. 마치다; (가게 등을) 닫다; 치우다; 간수하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흔히, 「…て[で]~」의 꼴로》 …하여 버리다. …하고 말다. 〔참고〕 흔히 구어(口語)에서는 「…て[で]しまう」가 「…(っ)ちまう」 「…じまう」의 꼴로 되기도 함; 〈「…ずに~」의 꼴로〉 …아니하고 말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大空
(너른) 하늘
ドロシーの いえは、 見たことも ない ひがしの国に
見る
『식물·식물학』 청각채; 보다. 눈으로 인식하다; 구경하다. 관람하다; 읽다; 살피다. 살펴보다; 관찰하여 판단하다. 〔참고〕 ‘진찰하다’의 뜻으로는 흔히, 「診る」를 씀; (시각 외의 감각으로) 파악하다; 당하다. 경험하다. 겪다; 맡아보다. 돌보다. 보살피다; 평가하다. 간주하다; 〈「…と~」의 꼴로〉 …로 보다. …로 생각하다[간주하다]. {문어·상1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て[で]」를 받아서》; (시험적으로) …해 보다; 〈「…てみると」 「…てみたら」 「…てみれば」의 꼴로〉 …해 보면. …해보니. …해 보니까. 〔참고〕 보통 かな로 씀. {문어·상1단 활용}
国
吉原 유곽 지대의 딴이름
おちて いました。
そこは、あたり いちめん、 お花が さきみだれる
花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とても うつくしい 国でした。
とても
〈뒤에 否定語가 따르며〉 도저히. 아무래도. 〔동의어〕とうてい; 매우. 대단히. 〔동의어〕たいそう; 어차피. 〔동의어〕どうせ
国
吉原 유곽 지대의 딴이름
マンチキン人の 国へ ようこそ いらっしゃいました!
いらっしゃる
《「いらせらる」의 변한말》 「来る」 「行く」 「居る」의 높임말. 【가능동사】 いらっしゃ·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動詞·形容詞의 連用形+「て[で]」에 붙어. 「…ている」의 높임말〉 …하고 계시다; 〈形容動詞의 連用形 「…で」 또는 状態性·動作性의 명사+「で」에 붙음. 「…である」의 높임말〉 …이시다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国
吉原 유곽 지대의 딴이름
チキン
치킨; 병아리. 영계(嬰鷄); 닭고기
ようこそ
《「よくこそ」의 변한말》 상대의 방문에 대해 환영의 뜻을 나타내는 말
ドロシーが見ると きたの まじょが 立って いました。
見る
『식물·식물학』 청각채; 보다. 눈으로 인식하다; 구경하다. 관람하다; 읽다; 살피다. 살펴보다; 관찰하여 판단하다. 〔참고〕 ‘진찰하다’의 뜻으로는 흔히, 「診る」를 씀; (시각 외의 감각으로) 파악하다; 당하다. 경험하다. 겪다; 맡아보다. 돌보다. 보살피다; 평가하다. 간주하다; 〈「…と~」의 꼴로〉 …로 보다. …로 생각하다[간주하다]. {문어·상1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て[で]」를 받아서》; (시험적으로) …해 보다; 〈「…てみると」 「…てみたら」 「…てみれば」의 꼴로〉 …해 보면. …해보니. …해 보니까. 〔참고〕 보통 かな로 씀. {문어·상1단 활용}
立つ
진; 십이지(十二支)의 다섯째; 진시(辰時). 지금의 오전 8시경. 또는 오전 7시경부터 9시경까지의 동안; 《속어》 용; 용. ((상상의 동물)) 〔참고〕 「りゅう」 「りょう」로도 읽음; 『문어』; 궁중의 작은 문. (변하여) 궁중; 서다; 위쪽이나 다른 곳으로 향하다; 어떤 현상이나 작용이 나타나다; 새로 설치되다. 서다. 마련되다; 일이 성립되다; 「たてる」의 문어; (시간·세월이) 지나다. 흐르다. 경과하다; (숯불·양초·기름 등이) 다 타다. 사위다. 꺼지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끊다; (물체를) 절단하다. 자르다; (술·담배를) 그만두다. (관계·인연을) 끊다; 차단하다. 가로막다; 그치게 하다. 없어지게 하다. 【가능동사】 た·て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옷감을) 마르다. 재단하다. 【가능동사】 た·て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わたしは、きたの まじょです。 ひがしの わるい まじょを
おしつぶして くれて ありがとう! おれい もうしあげます
くれる
(상대편이 나에게) 주다. 〔동의어〕よこす; (내가 상대편에게) 주다. 어떤 행위를 가하다. ((상대편을 낮추는 느낌이 담긴 말)) 〔동의어〕やる·くらわす; 《動詞의 連用形+「て[で]」에 붙음》; 남이 자기에게 무엇인가를 해 주다; (상대에게 달갑지 않은 짓을) 해 주다. 〔참고〕 命令形은 「くれ」가 됨. 【문어형】 く·る {하2단 활용}; 해가 지다. 저물다. 〔반의어〕 明ける; (계절·한 해가) 저물다. 끝나다; 지새다. 잠기다; 어찌할 바를 모르다. 〔참고〕 3.4.는 「暗れる」 「眩れる」로도 씀. 【문어형】 く·る {하2단 활용}
ありがとう
《「ありがたい」의 連用形 「ありがたく」의 音便》 고맙다. 고마워요. 감사해요. 〔참고〕 関西 지방에서는 「おおきに」를 씀
ドロシーが おどろいて 見ると
見る
『식물·식물학』 청각채; 보다. 눈으로 인식하다; 구경하다. 관람하다; 읽다; 살피다. 살펴보다; 관찰하여 판단하다. 〔참고〕 ‘진찰하다’의 뜻으로는 흔히, 「診る」를 씀; (시각 외의 감각으로) 파악하다; 당하다. 경험하다. 겪다; 맡아보다. 돌보다. 보살피다; 평가하다. 간주하다; 〈「…と~」의 꼴로〉 …로 보다. …로 생각하다[간주하다]. {문어·상1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て[で]」를 받아서》; (시험적으로) …해 보다; 〈「…てみると」 「…てみたら」 「…てみれば」의 꼴로〉 …해 보면. …해보니. …해 보니까. 〔참고〕 보통 かな로 씀. {문어·상1단 활용}
ひがしの わるい まじょが いえの 下じきに なっていて、
ぎんの くつが のこって いました。
まぁ、ここは、カンザスじゃ ないの? カンザスに かえるには、どうしたら いいの?
なんとか して あげたいけど、 カンザスは、とても とおくて
あげる
(높은 곳으로) 올리다. 〔반의어〕 おろす·さげる; (몸의 일부 또는 손에 든 것을) 위쪽으로 움직이다. 들다. 쳐들다. 들어올리다. 〔반의어〕 さげる·おろす; (지위 등을) 높이다. 올리다. 진급시키다. 〔반의어〕 さげる; (수입·이익·효과 등을) 올리다. 거두다; (기세·속도 등을) 올리다. 더하다. 〔반의어〕 さげる; (사물의 상태를) 좋게 하다. 〔반의어〕 さげる; (온도·습도 등의 수치를) 크게 하다. 높이다. 〔반의어〕 さげる; 뭍으로 옮기다. 〔참고〕 「揚げる」로도 씀; (연기·기·연 등을) 하늘 높이 올리다. 공중에 띄우다; (값을) 올리다. (가치를) 높이다. 〔반의어〕 さげる; (신불 앞에) 바치다. 차려 놓다. 〔반의어〕 さげる; 칭찬하다. 추어올리다; 보내다. 넣다. 진학[진급]시키다. 〔반의어〕 さげる; 걷다. 치우다; 맞아들이다; (기생 등을) 불러서 놀다. 〔참고〕 「揚げる」로도 씀; (소리를) 지르다. 〔반의어〕 さげる; 게우다. 토하다; 마치다. 끝내다; (얼마의 비용으로) 끝내다; (작품 등을) 완성시키다; (과제 등을) 다 배우다. 떼다; 〈「やる」 「与える」의 공손한 표현〉 드리다. 주다. 【문어형】 あ·ぐ {하2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て[で]」에 붙어, 「…てやる」의 뜻》 …해 주다. …해 드리다. 〔참고〕 보통 かな로 씀. 「…てやる」보다 다소 깍듯한 표현임. 손윗사람에게는 「さしあげる」를 쓰는 것이 일반적임. 【문어형】 あ·ぐ {하2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て[で]」에 붙어〉 겸양의 뜻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끝까지 하다. 다 …하다. …해내다. 【문어형】 あ·ぐ {하2단 활용}; (손 등을) 들다; (예 등을) 들다; 골라서 내놓다. 천거하여 세우다; 다하다. 다 모으다; (자식을) 얻다. 낳다. 〔동의어〕もうける; 잡다. 체포[검거]하다. 적발하다; (식을) 거행하다. 올리다; (전쟁·반란을) 일으키다. 【문어형】 あ·ぐ {하2단 활용}; 튀기다; (뭍으로) 옮기다. 〔동의어〕上げる8.. 【문어형】 あ·ぐ {하2단 활용}
なんとか
확실치 않은 것을 나타냄. 뭐라던가 (하는); 어떻게 좀. 어떻게든; 이럭저럭. 어떻게. 〔동의어〕どうにか; 이것저것. 이러니저러니. 여러 가지. 〔동의어〕あれこれ·いろいろ
とても
〈뒤에 否定語가 따르며〉 도저히. 아무래도. 〔동의어〕とうてい; 매우. 대단히. 〔동의어〕たいそう; 어차피. 〔동의어〕どうせ
わたしの まほうじゃ、 とても むりですわ。
とても
〈뒤에 否定語가 따르며〉 도저히. 아무래도. 〔동의어〕とうてい; 매우. 대단히. 〔동의어〕たいそう; 어차피. 〔동의어〕どうせ
でも、オズさま という だいまほうつかいなら、 ねがいを かなえて くれるかも しれません。
くれる
(상대편이 나에게) 주다. 〔동의어〕よこす; (내가 상대편에게) 주다. 어떤 행위를 가하다. ((상대편을 낮추는 느낌이 담긴 말)) 〔동의어〕やる·くらわす; 《動詞의 連用形+「て[で]」에 붙음》; 남이 자기에게 무엇인가를 해 주다; (상대에게 달갑지 않은 짓을) 해 주다. 〔참고〕 命令形은 「くれ」가 됨. 【문어형】 く·る {하2단 활용}; 해가 지다. 저물다. 〔반의어〕 明ける; (계절·한 해가) 저물다. 끝나다; 지새다. 잠기다; 어찌할 바를 모르다. 〔참고〕 3.4.는 「暗れる」 「眩れる」로도 씀. 【문어형】 く·る {하2단 활용}
オズさまは、 うつくしい エメラルドの みやこに
エメラルド
『광물』 에메랄드. 〔동의어〕エメロード; 에메랄드 빛깔. 선명한 연둣빛
すんで いらっしゃいます。
いらっしゃる
《「いらせらる」의 변한말》 「来る」 「行く」 「居る」의 높임말. 【가능동사】 いらっしゃ·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動詞·形容詞의 連用形+「て[で]」에 붙어. 「…ている」의 높임말〉 …하고 계시다; 〈形容動詞의 連用形 「…で」 또는 状態性·動作性의 명사+「で」에 붙음. 「…である」의 높임말〉 …이시다
この きいろい レンガの みちを まっすぐ いくのですよ。
まっすぐ
똑바름; 조금도 숨김이 없음. 정직함. 올곧음; 곧장. 똑바로. {문어·ナリ 활용 }
そして、きたの まじょは、 あとで きっと やくに 立つからと いって、
きっと
《「きと」의 변한말》; 꼭. 반드시. 틀림없이. 〔동의어〕かならず·たしかに; 표정이나 태도가 엄해지는 모양; 순간적으로 행동하는 모양. 〔동의어〕さっと
そして
⇒ そうして
立つ
진; 십이지(十二支)의 다섯째; 진시(辰時). 지금의 오전 8시경. 또는 오전 7시경부터 9시경까지의 동안; 《속어》 용; 용. ((상상의 동물)) 〔참고〕 「りゅう」 「りょう」로도 읽음; 『문어』; 궁중의 작은 문. (변하여) 궁중; 서다; 위쪽이나 다른 곳으로 향하다; 어떤 현상이나 작용이 나타나다; 새로 설치되다. 서다. 마련되다; 일이 성립되다; 「たてる」의 문어; (시간·세월이) 지나다. 흐르다. 경과하다; (숯불·양초·기름 등이) 다 타다. 사위다. 꺼지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끊다; (물체를) 절단하다. 자르다; (술·담배를) 그만두다. (관계·인연을) 끊다; 차단하다. 가로막다; 그치게 하다. 없어지게 하다. 【가능동사】 た·て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옷감을) 마르다. 재단하다. 【가능동사】 た·て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ひがしの まじょが はいていた まほうの ぎんのくつを はかせて くれました。
くれる
(상대편이 나에게) 주다. 〔동의어〕よこす; (내가 상대편에게) 주다. 어떤 행위를 가하다. ((상대편을 낮추는 느낌이 담긴 말)) 〔동의어〕やる·くらわす; 《動詞의 連用形+「て[で]」에 붙음》; 남이 자기에게 무엇인가를 해 주다; (상대에게 달갑지 않은 짓을) 해 주다. 〔참고〕 命令形은 「くれ」가 됨. 【문어형】 く·る {하2단 활용}; 해가 지다. 저물다. 〔반의어〕 明ける; (계절·한 해가) 저물다. 끝나다; 지새다. 잠기다; 어찌할 바를 모르다. 〔참고〕 3.4.는 「暗れる」 「眩れる」로도 씀. 【문어형】 く·る {하2단 활용}
ながい たびに なると おもいます。 きを つけて いくのですよ!
つける
붙이다; 접촉시키다. 접합시키다. 대다. 〔동의어〕くっつける; 부착시키다. 달다; 바르다. 묻히다. 칠하다; 표를 하다. 자국을 남기다[내다]; (색이나 향기 등을) 첨가하다. 내다; 기입하다. 쓰다; 착용하다. 입다. 신다. 〔참고〕 의복·장신구 등의 경우에는 「着ける」로 씀; (連歌·俳諧에서) 앞의 구에 연결되는 구를 짓다; 딸리다; 곁들이다. 덧붙이다; 뒤쫓다. 미행하다; 주목하다. 조심하다; 한패로 만들다; 북돋우다. 첨가시키다; (불을) 붙이다. 켜다. 점화하다. 〔참고〕 「点ける」로도 씀; 명명(命名)하다; 취하다; 매기다; 어떤 조건을 달다; 마무르다. 결말짓다; 술을 알맞게 데우다; 그릇 등에 담다; 설치하다. 마련하다. 내다; 익히다. 어떤 성질이나 능력이 갖추어지도록 하다; (편지를) 보내다; 싣다; 할당하다. 배역하다; (가까이) 대다; 〈「…に~·け(て)」의 꼴로〉 …에 관련하여[관련시켜]; 판단하다. 짐작하다; 구분[구별]을 짓다. 차이를 내다; 버릇을 들이다. 【문어형】 つ·く {하2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늘 …하다. …해 버릇하다; 동작이 격렬함을 나타냄. 【문어형】 つ·く {하2단 활용}; 담그다; 잠그다. 적시다. 〔동의어〕浸す; (채소 등으로) 절임을 만들다. 〔참고〕 「漬ける」로 씀. 【문어형】 つ·く {하2단 활용}; (자리·지위 등에) 앉히다. 〔참고〕 즉위(卽位)의 경우는 「即ける」로 씀; 종사시키다; 지도를 받게 하다. 【문어형】 つ·く {하2단 활용}
トト! しゅっぱつよ! カンザスに かえる ほうほうを
おしえて もらうのよ!
もらう
받다. 얻다; 옮기다. 전염되다; 떠맡다. 인수하다. 〔동의어〕引き受ける; 자기 것으로 하다. 승부에서 이기다; 양자·사위 등을 맞이하다; 사다. 사 가지다. 【가능동사】 もら·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動詞의 連用形+「て」에 붙어》 남의 호의에 의하여 자기가 득을 봄. 또는 남에게 부탁하여 어떤 행위를 하게 함. …을 해 달라고 하다. …을 하여 받다. 〔참고〕 < 2> 는 かな로 씀. 【가능동사】 もら·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しばらく いくと、トウモロコシばたけの 中に カカシが たって いました。
しばらく
잠깐. 잠시. 〔동의어〕しばし; 얼마 동안. 당분간; 〈「~です」의 꼴로〉 오래간만. 오랜만
中
‘그 동안 줄곧’이란 뜻을 나타냄. 내내; 그 범위 전체에 걸친다는 뜻을 나타냄; 십; 열. 〔동의어〕とお; 전부. 전체; 거주함; 거처. 처소; 『문어』 부드러움. 부드러운 것. 얌전함. 〔반의어〕 剛; 『문어』 중요한 것; 〈「お~」의 꼴로〉 찬합. 〔동의어〕重箱; 중; 무거움. 혹심함. 〔반의어〕 軽; 『화학』 산성염(酸性塩)임; 겹친 것을 세는 말. 중. 층; 종. 종자. 하인. 〔동의어〕とも·けらい. 〔반의어〕 主; ⇒ じゅ; 총; 짐승. 〔동의어〕けもの; 수. 짐승
やぁ!どこへ いくんだい?
かかしが、いきなり はなし はじめたので、 びっくりです。
びっくり
《「~する」의 꼴로 쓰는 일이 많음》 깜짝 놀람
いきなり
돌연. 갑자기. 느닷없이. 〔동의어〕ゆきなり
ドロシーが、 今までの ことを かかしに はなして やると、
今
지금. 이제. 현재; 오늘날. 현대. 〔반의어〕 昔; 〈接続詞적으로 씀〉 이야기를 진전시키기 위하여 전제(前提)를 설정할 때 쓰는 말. 여기서; 가까운 미래를 나타냄. 이제 곧. 바로. 잇따라; 지금 막. 방금; 더. 〔동의어〕さらに; 〈주로 사람을 나타내는 명사에 붙음〉 현대의. 최근의. 오늘날의; 새로운; 가족이 함께 모여 차를 마시거나 여가를 보내거나 하는 방. 거실(居室). 거처방
わたしも、いっしょに つれて いって ください!
くださる
《「与える」 「くれる」의 높임말》;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주시다. 내리시다. 〔동의어〕賜る; (윗사람 또는 상대편이) 자기에게 주시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下される」의 문어
わたしの あたまは、わらが つまって いるので、 のうみそを もらいたいのです。
もらう
받다. 얻다; 옮기다. 전염되다; 떠맡다. 인수하다. 〔동의어〕引き受ける; 자기 것으로 하다. 승부에서 이기다; 양자·사위 등을 맞이하다; 사다. 사 가지다. 【가능동사】 もら·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動詞의 連用形+「て」에 붙어》 남의 호의에 의하여 자기가 득을 봄. 또는 남에게 부탁하여 어떤 행위를 하게 함. …을 해 달라고 하다. …을 하여 받다. 〔참고〕 < 2> 는 かな로 씀. 【가능동사】 もら·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こうして、カカシも、なかまに なり、 きいろい レンガの みちを あるいていくと、
こうして
이렇게 해서
森の 中から うなりごえが きこえて きました。
森
마음. 정신. 본심; 중앙. 중심; 심. 심지. 〔동의어〕芯; 심장; 《고어》 천황·주군에 대해 신하가 자신을 가리키는 말. 신; 『문어』; 매운맛; 심; 심지. 〔동의어〕心; 사물의 중심을 이루는 것; 『문어』 신. 신실(信實). 〔동의어〕誠; 신뢰. 신용; 신앙. 신심(信心); 특정한 발신인으로부터 오는 통신의 착순. 신; 신. 하느님. 〔동의어〕かみ; 『문어』 마음. 정신. 〔동의어〕心; 『의학』 진. 피부에 생기는 좁쌀만 한 붉은 반점. 또는 여드름·습진 등; 진실. 참. 〔반의어〕 偽; 〈「~の」의 꼴로 連体詞적으로 씀〉 진정한. 참다운; 『논리학』 진리. 〔반의어〕 偽; 해서(楷書); 「真打ち」의 준말; 『역사』 진. (고대 중국의) 진나라; 『문어』 잠. 잠자리. 〔동의어〕眠り; 신. 〔반의어〕 旧; 새로움. 새것; 〈「新暦」의 준말〉 양력; 『경제』 〈「新株」의 준말〉 신주; 『역사』 중국의 왕조 이름; 신. 새; 『문어』 잠; 잠언(箴言)을 적은 운문(韻文); 친숙함. 〔반의어〕 疎; 친. 피붙이. 친족. 일가; 청나라. 만주족이 중국에 세운 나라(1616~1912); 『문어』 참언(讖言). 예언. 또는 그런 기록
うなる
(사람이) 끙끙거리다. 신음하다; (맹수가) 으르렁거리다; 윙윙거리듯이 소리를 내다; 노래하다. 특히 謡·浪曲 등을 쥐어짜는 소리로 낮고 길게 부르다; 〈흔히 使役形 「~·らせる」의 꼴로 써〉 몹시 감동시키다. 감탄하게 하다; (돈·힘 등이) 남아서 넘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中
‘그 동안 줄곧’이란 뜻을 나타냄. 내내; 그 범위 전체에 걸친다는 뜻을 나타냄; 십; 열. 〔동의어〕とお; 전부. 전체; 거주함; 거처. 처소; 『문어』 부드러움. 부드러운 것. 얌전함. 〔반의어〕 剛; 『문어』 중요한 것; 〈「お~」의 꼴로〉 찬합. 〔동의어〕重箱; 중; 무거움. 혹심함. 〔반의어〕 軽; 『화학』 산성염(酸性塩)임; 겹친 것을 세는 말. 중. 층; 종. 종자. 하인. 〔동의어〕とも·けらい. 〔반의어〕 主; ⇒ じゅ; 총; 짐승. 〔동의어〕けもの; 수. 짐승
からだじゅう ブリキで できた男が おのを ふりあげた まま、立って いました。
あげる
(높은 곳으로) 올리다. 〔반의어〕 おろす·さげる; (몸의 일부 또는 손에 든 것을) 위쪽으로 움직이다. 들다. 쳐들다. 들어올리다. 〔반의어〕 さげる·おろす; (지위 등을) 높이다. 올리다. 진급시키다. 〔반의어〕 さげる; (수입·이익·효과 등을) 올리다. 거두다; (기세·속도 등을) 올리다. 더하다. 〔반의어〕 さげる; (사물의 상태를) 좋게 하다. 〔반의어〕 さげる; (온도·습도 등의 수치를) 크게 하다. 높이다. 〔반의어〕 さげる; 뭍으로 옮기다. 〔참고〕 「揚げる」로도 씀; (연기·기·연 등을) 하늘 높이 올리다. 공중에 띄우다; (값을) 올리다. (가치를) 높이다. 〔반의어〕 さげる; (신불 앞에) 바치다. 차려 놓다. 〔반의어〕 さげる; 칭찬하다. 추어올리다; 보내다. 넣다. 진학[진급]시키다. 〔반의어〕 さげる; 걷다. 치우다; 맞아들이다; (기생 등을) 불러서 놀다. 〔참고〕 「揚げる」로도 씀; (소리를) 지르다. 〔반의어〕 さげる; 게우다. 토하다; 마치다. 끝내다; (얼마의 비용으로) 끝내다; (작품 등을) 완성시키다; (과제 등을) 다 배우다. 떼다; 〈「やる」 「与える」의 공손한 표현〉 드리다. 주다. 【문어형】 あ·ぐ {하2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て[で]」에 붙어, 「…てやる」의 뜻》 …해 주다. …해 드리다. 〔참고〕 보통 かな로 씀. 「…てやる」보다 다소 깍듯한 표현임. 손윗사람에게는 「さしあげる」를 쓰는 것이 일반적임. 【문어형】 あ·ぐ {하2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て[で]」에 붙어〉 겸양의 뜻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끝까지 하다. 다 …하다. …해내다. 【문어형】 あ·ぐ {하2단 활용}; (손 등을) 들다; (예 등을) 들다; 골라서 내놓다. 천거하여 세우다; 다하다. 다 모으다; (자식을) 얻다. 낳다. 〔동의어〕もうける; 잡다. 체포[검거]하다. 적발하다; (식을) 거행하다. 올리다; (전쟁·반란을) 일으키다. 【문어형】 あ·ぐ {하2단 활용}; 튀기다; (뭍으로) 옮기다. 〔동의어〕上げる8.. 【문어형】 あ·ぐ {하2단 활용}
できる
전부 나가다[나오다]. 다 나가[나와] 남은 것이 없다. 〔동의어〕出つくす. 【문어 4단 활용 동사】; 《カ変動詞 「でくる」의 변한 꼴》; (새로) 생기다. 나다; 생성(生成)되다; 성립되다; 일어나다. 발생하다; 수중에 들어오다. 얻다; 생산되다. 산출되다; 만들어지다; 완성되다. 다 되다; (소질·경향을) 타고나다. 생겨 먹다; 능력·가능성이 있다. 할 수 있다. 가능하다; 〈サ変動詞의 語幹에 붙어 接尾語적으로〉 …할 수 있다. …하는 것이 가능하다; 잘하다. 할 줄 알다; (능력·인품이) 뛰어나다. 출중하다. 되어 있다; 《속어》 (남녀가) 깊은 관계에 있다. 눈이[배가] 맞다; 『경제』 (증권 거래소에서) 매매가 성립되다
男
〈名詞에 붙어〉 ‘잔’ ‘작은’ ‘조그마한’의 뜻; 〈名詞에 붙어〉 어조를 고르거나 표현을 부드럽게 함; 〈用言에 붙어〉 ‘조금’의 뜻; 《「御」의 변한말》; 〈体言·用言에 붙음. 動詞에 붙을 때는 그 連用形에 「になる」 「なさる」 「くださる」 「あそばす」 등이 이어진 꼴이 됨〉 존경의 뜻을 나타냄; 〈体言·用言에 붙음. 動詞 위에 붙을 때는 그 連用形에 「いただく」 「ねがう」 「もうしあげる」 「する」 「いたします」 등이 이어지는 꼴이 됨〉 겸양의 뜻을 나타냄; 〈体言·用言에 붙음〉 공손의 뜻을 나타냄; 〈体言·用言에 붙음〉 친애의 뜻을 나타냄; 〈「お」+動詞連用形+「なさい」의 꼴에서 「なさい」를 생략하고 말을 끊는 꼴〉 가볍고 부드러운 명령을 나타냄; 〈인사말에서 「~…さま」 「~…さん」의 꼴로〉 상대에 대한 동정·위로·위안의 뜻을 나타냄; 〈여자의 이름 위에 붙여〉 존경·친애의 뜻을 나타냄. ((7.은 「阿」 「於」로도 씀)) 〔참고〕 중세 이후 「おん」의 「ん」이 탈락해서 된 말. 한자어에는 「御·」를 쓰고, 고유어(和語)에는 「お·おん」이 붙는 것이 원칙임; ‘수컷’의 뜻. 수. 〔동의어〕おす. 〔반의어〕 雌; ‘사내다운’ ‘씩씩한’의 뜻. 〔참고〕 동물의 경우에는 「牡」로도 씀; (동물의) 꼬리. 〔동의어〕しっぽ; 꼬리 모양의 것; 길게 뻗은 산기슭; 끝. 끝부분. 끄트머리; 결점. 약점; 《고어》 남자. 〔반의어〕女; 쌍으로 된 것 중의 큰 것. 〔반의어〕 女. 〔참고〕 「雄」로도 씀; 삼·모시의 실; ⇒ あく; 줄. 끈. 실; 악기의 줄. 현(弦); 길게 이어진 것
立つ
진; 십이지(十二支)의 다섯째; 진시(辰時). 지금의 오전 8시경. 또는 오전 7시경부터 9시경까지의 동안; 《속어》 용; 용. ((상상의 동물)) 〔참고〕 「りゅう」 「りょう」로도 읽음; 『문어』; 궁중의 작은 문. (변하여) 궁중; 서다; 위쪽이나 다른 곳으로 향하다; 어떤 현상이나 작용이 나타나다; 새로 설치되다. 서다. 마련되다; 일이 성립되다; 「たてる」의 문어; (시간·세월이) 지나다. 흐르다. 경과하다; (숯불·양초·기름 등이) 다 타다. 사위다. 꺼지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끊다; (물체를) 절단하다. 자르다; (술·담배를) 그만두다. (관계·인연을) 끊다; 차단하다. 가로막다; 그치게 하다. 없어지게 하다. 【가능동사】 た·て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옷감을) 마르다. 재단하다. 【가능동사】 た·て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ブリキ
함석. 생철. 〔동의어〕ブリキ板. 〔참고〕 「錻力」는 차자
「あぶらが きれて うごけない」といいます。
あぶる
불에 쬐어 (약간) 굽다; 불에 쬐어 말리거나 따뜻하게 하다. 【가능동사】 あぶ·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ドロシーが あぶらを さすと、 ブリキの 男は、うごきだして、
あぶる
불에 쬐어 (약간) 굽다; 불에 쬐어 말리거나 따뜻하게 하다. 【가능동사】 あぶ·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男
〈名詞에 붙어〉 ‘잔’ ‘작은’ ‘조그마한’의 뜻; 〈名詞에 붙어〉 어조를 고르거나 표현을 부드럽게 함; 〈用言에 붙어〉 ‘조금’의 뜻; 《「御」의 변한말》; 〈体言·用言에 붙음. 動詞에 붙을 때는 그 連用形에 「になる」 「なさる」 「くださる」 「あそばす」 등이 이어진 꼴이 됨〉 존경의 뜻을 나타냄; 〈体言·用言에 붙음. 動詞 위에 붙을 때는 그 連用形에 「いただく」 「ねがう」 「もうしあげる」 「する」 「いたします」 등이 이어지는 꼴이 됨〉 겸양의 뜻을 나타냄; 〈体言·用言에 붙음〉 공손의 뜻을 나타냄; 〈体言·用言에 붙음〉 친애의 뜻을 나타냄; 〈「お」+動詞連用形+「なさい」의 꼴에서 「なさい」를 생략하고 말을 끊는 꼴〉 가볍고 부드러운 명령을 나타냄; 〈인사말에서 「~…さま」 「~…さん」의 꼴로〉 상대에 대한 동정·위로·위안의 뜻을 나타냄; 〈여자의 이름 위에 붙여〉 존경·친애의 뜻을 나타냄. ((7.은 「阿」 「於」로도 씀)) 〔참고〕 중세 이후 「おん」의 「ん」이 탈락해서 된 말. 한자어에는 「御·」를 쓰고, 고유어(和語)에는 「お·おん」이 붙는 것이 원칙임; ‘수컷’의 뜻. 수. 〔동의어〕おす. 〔반의어〕 雌; ‘사내다운’ ‘씩씩한’의 뜻. 〔참고〕 동물의 경우에는 「牡」로도 씀; (동물의) 꼬리. 〔동의어〕しっぽ; 꼬리 모양의 것; 길게 뻗은 산기슭; 끝. 끝부분. 끄트머리; 결점. 약점; 《고어》 남자. 〔반의어〕女; 쌍으로 된 것 중의 큰 것. 〔반의어〕 女. 〔참고〕 「雄」로도 씀; 삼·모시의 실; ⇒ あく; 줄. 끈. 실; 악기의 줄. 현(弦); 길게 이어진 것
ブリキ
함석. 생철. 〔동의어〕ブリキ板. 〔참고〕 「錻力」는 차자
わたしは、ブリキの きこりです。 わるい まじょに こころを
ブリキ
함석. 생철. 〔동의어〕ブリキ板. 〔참고〕 「錻力」는 차자
とられて しまいました。
しまう
끝나다. 파하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끝내다. 마치다; (가게 등을) 닫다; 치우다; 간수하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흔히, 「…て[で]~」의 꼴로》 …하여 버리다. …하고 말다. 〔참고〕 흔히 구어(口語)에서는 「…て[で]しまう」가 「…(っ)ちまう」 「…じまう」의 꼴로 되기도 함; 〈「…ずに~」의 꼴로〉 …아니하고 말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オズさまに こころを もらいたいので、 なかまに いれて ください。
くださる
《「与える」 「くれる」의 높임말》;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주시다. 내리시다. 〔동의어〕賜る; (윗사람 또는 상대편이) 자기에게 주시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下される」의 문어
もらう
받다. 얻다; 옮기다. 전염되다; 떠맡다. 인수하다. 〔동의어〕引き受ける; 자기 것으로 하다. 승부에서 이기다; 양자·사위 등을 맞이하다; 사다. 사 가지다. 【가능동사】 もら·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動詞의 連用形+「て」에 붙어》 남의 호의에 의하여 자기가 득을 봄. 또는 남에게 부탁하여 어떤 행위를 하게 함. …을 해 달라고 하다. …을 하여 받다. 〔참고〕 < 2> 는 かな로 씀. 【가능동사】 もら·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こうして、ブリキの きこりも なかまに なりました。
こうして
이렇게 해서
ブリキ
함석. 생철. 〔동의어〕ブリキ板. 〔참고〕 「錻力」는 차자
さらに、森の中を すすんで いくと、 ライオンが、のぞのぞと あるいて いました。
森
마음. 정신. 본심; 중앙. 중심; 심. 심지. 〔동의어〕芯; 심장; 《고어》 천황·주군에 대해 신하가 자신을 가리키는 말. 신; 『문어』; 매운맛; 심; 심지. 〔동의어〕心; 사물의 중심을 이루는 것; 『문어』 신. 신실(信實). 〔동의어〕誠; 신뢰. 신용; 신앙. 신심(信心); 특정한 발신인으로부터 오는 통신의 착순. 신; 신. 하느님. 〔동의어〕かみ; 『문어』 마음. 정신. 〔동의어〕心; 『의학』 진. 피부에 생기는 좁쌀만 한 붉은 반점. 또는 여드름·습진 등; 진실. 참. 〔반의어〕 偽; 〈「~の」의 꼴로 連体詞적으로 씀〉 진정한. 참다운; 『논리학』 진리. 〔반의어〕 偽; 해서(楷書); 「真打ち」의 준말; 『역사』 진. (고대 중국의) 진나라; 『문어』 잠. 잠자리. 〔동의어〕眠り; 신. 〔반의어〕 旧; 새로움. 새것; 〈「新暦」의 준말〉 양력; 『경제』 〈「新株」의 준말〉 신주; 『역사』 중국의 왕조 이름; 신. 새; 『문어』 잠; 잠언(箴言)을 적은 운문(韻文); 친숙함. 〔반의어〕 疎; 친. 피붙이. 친족. 일가; 청나라. 만주족이 중국에 세운 나라(1616~1912); 『문어』 참언(讖言). 예언. 또는 그런 기록
中
‘그 동안 줄곧’이란 뜻을 나타냄. 내내; 그 범위 전체에 걸친다는 뜻을 나타냄; 십; 열. 〔동의어〕とお; 전부. 전체; 거주함; 거처. 처소; 『문어』 부드러움. 부드러운 것. 얌전함. 〔반의어〕 剛; 『문어』 중요한 것; 〈「お~」의 꼴로〉 찬합. 〔동의어〕重箱; 중; 무거움. 혹심함. 〔반의어〕 軽; 『화학』 산성염(酸性塩)임; 겹친 것을 세는 말. 중. 층; 종. 종자. 하인. 〔동의어〕とも·けらい. 〔반의어〕 主; ⇒ じゅ; 총; 짐승. 〔동의어〕けもの; 수. 짐승
ライオン
『동물·동물학』 라이온. 사자. 〔동의어〕獅子
ライオンだぁ〜〜!!
ライオン
『동물·동물학』 라이온. 사자. 〔동의어〕獅子
ぼくは、とても おくびょうなんだ。
とても
〈뒤에 否定語가 따르며〉 도저히. 아무래도. 〔동의어〕とうてい; 매우. 대단히. 〔동의어〕たいそう; 어차피. 〔동의어〕どうせ
ちょっとしたことでも、 しんぞうが ドキドキする いくじなしなんだ。
ぼくは ぜひ オズさまに あって ゆうきを もらいたいよ〜〜!!
もらう
받다. 얻다; 옮기다. 전염되다; 떠맡다. 인수하다. 〔동의어〕引き受ける; 자기 것으로 하다. 승부에서 이기다; 양자·사위 등을 맞이하다; 사다. 사 가지다. 【가능동사】 もら·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動詞의 連用形+「て」에 붙어》 남의 호의에 의하여 자기가 득을 봄. 또는 남에게 부탁하여 어떤 행위를 하게 함. …을 해 달라고 하다. …을 하여 받다. 〔참고〕 < 2> 는 かな로 씀. 【가능동사】 もら·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こうして、ライオンも なかまに くわわり、 さらに 森のおくに すすみました。
森
마음. 정신. 본심; 중앙. 중심; 심. 심지. 〔동의어〕芯; 심장; 《고어》 천황·주군에 대해 신하가 자신을 가리키는 말. 신; 『문어』; 매운맛; 심; 심지. 〔동의어〕心; 사물의 중심을 이루는 것; 『문어』 신. 신실(信實). 〔동의어〕誠; 신뢰. 신용; 신앙. 신심(信心); 특정한 발신인으로부터 오는 통신의 착순. 신; 신. 하느님. 〔동의어〕かみ; 『문어』 마음. 정신. 〔동의어〕心; 『의학』 진. 피부에 생기는 좁쌀만 한 붉은 반점. 또는 여드름·습진 등; 진실. 참. 〔반의어〕 偽; 〈「~の」의 꼴로 連体詞적으로 씀〉 진정한. 참다운; 『논리학』 진리. 〔반의어〕 偽; 해서(楷書); 「真打ち」의 준말; 『역사』 진. (고대 중국의) 진나라; 『문어』 잠. 잠자리. 〔동의어〕眠り; 신. 〔반의어〕 旧; 새로움. 새것; 〈「新暦」의 준말〉 양력; 『경제』 〈「新株」의 준말〉 신주; 『역사』 중국의 왕조 이름; 신. 새; 『문어』 잠; 잠언(箴言)을 적은 운문(韻文); 친숙함. 〔반의어〕 疎; 친. 피붙이. 친족. 일가; 청나라. 만주족이 중국에 세운 나라(1616~1912); 『문어』 참언(讖言). 예언. 또는 그런 기록
こうして
이렇게 해서
ライオン
『동물·동물학』 라이온. 사자. 〔동의어〕獅子
カリダだ!!
たいへんです! クマの からだに トラの あたまを つけた
つける
붙이다; 접촉시키다. 접합시키다. 대다. 〔동의어〕くっつける; 부착시키다. 달다; 바르다. 묻히다. 칠하다; 표를 하다. 자국을 남기다[내다]; (색이나 향기 등을) 첨가하다. 내다; 기입하다. 쓰다; 착용하다. 입다. 신다. 〔참고〕 의복·장신구 등의 경우에는 「着ける」로 씀; (連歌·俳諧에서) 앞의 구에 연결되는 구를 짓다; 딸리다; 곁들이다. 덧붙이다; 뒤쫓다. 미행하다; 주목하다. 조심하다; 한패로 만들다; 북돋우다. 첨가시키다; (불을) 붙이다. 켜다. 점화하다. 〔참고〕 「点ける」로도 씀; 명명(命名)하다; 취하다; 매기다; 어떤 조건을 달다; 마무르다. 결말짓다; 술을 알맞게 데우다; 그릇 등에 담다; 설치하다. 마련하다. 내다; 익히다. 어떤 성질이나 능력이 갖추어지도록 하다; (편지를) 보내다; 싣다; 할당하다. 배역하다; (가까이) 대다; 〈「…に~·け(て)」의 꼴로〉 …에 관련하여[관련시켜]; 판단하다. 짐작하다; 구분[구별]을 짓다. 차이를 내다; 버릇을 들이다. 【문어형】 つ·く {하2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늘 …하다. …해 버릇하다; 동작이 격렬함을 나타냄. 【문어형】 つ·く {하2단 활용}; 담그다; 잠그다. 적시다. 〔동의어〕浸す; (채소 등으로) 절임을 만들다. 〔참고〕 「漬ける」로 씀. 【문어형】 つ·く {하2단 활용}; (자리·지위 등에) 앉히다. 〔참고〕 즉위(卽位)의 경우는 「即ける」로 씀; 종사시키다; 지도를 받게 하다. 【문어형】 つ·く {하2단 활용}
たいへん
『문어』 큰일. 큰 변고. 대사건 〔동의어〕一大事; 대단함. 굉장함. 엄청남. 중대함; 힘듦. 고생스러움. たい-へんさ 【명사】 {문어·ナリ 활용 }; 매우. 몹시. 무척. 대단히. 굉장히; 『수학』 대변. 맞변
大きな どうぶつが、おいかけて きました。
大きな
《文語의 形容動詞 「おおきなり」의 連体形 「おおきなる」의 변한말》 큰. 커다란. 〔반의어〕 小さな
どうしよう!?
かかしさんが たべられてる あいだに ぼくたちが にげますよ
そ、そんなぁ〜〜!! そうだ! きこりさん、
はしを その おので きっちゃって ください!
くださる
《「与える」 「くれる」의 높임말》;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주시다. 내리시다. 〔동의어〕賜る; (윗사람 또는 상대편이) 자기에게 주시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下される」의 문어
ちゃう
《「茶宇縞」의 준말》 はかま 감으로 쓰는 얇은 견직물. 〔참고〕 이 견직물이 인도의 차울(chaul)산(産)인 데서 비롯됨; 《속어》 《「てしまう」의 변한말. 「でしまう」의 경우에는 「じゃう」로 됨》 …해 버리다
きこりが はしを きり おとしたので、 みんな たすかりました。
みんな
《「みな」의 撥音 첨가》 모두. 다. 죄다. 전부
こうして、ドロシーたちは、 ようやく エメラルドの みやこに つきました。
こうして
이렇게 해서
エメラルド
『광물』 에메랄드. 〔동의어〕エメロード; 에메랄드 빛깔. 선명한 연둣빛
そこは、町じゅうに エメラルドが しきつめてあり、 かがやいて いました。
町
장. 장부. 공책; 총·가래·괭이·노·톱·대패·식칼·먹·양초·숫돌·三味線·바이올린 등을 세는 말. 정. 자루; 가마·인력거 등 탈것을 세는 말. 채[대]. 〔참고〕 「丁」로도 씀; 거문고·활 등을 세는 말. 개; 장막·모기장 등을 세는 말. 장; 짝수. 특히 주사위의 짝수. 〔반의어〕 半; 《수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재래식 장정으로 된 책의 장수를 세는 말. 장. ((안팎의 양면이 한 장이 됨)); 두부를 세는 말. 모; (음식점 등에서) 한 사람분을 단위로 하여 요리를 세는 말. 접시. 그릇; ⇒ 町< 1> 2.; 관청. 〔동의어〕役所; 平安 시대, 検非違使의 관청. 〔동의어〕検非違使庁·使庁; 『문어』; 징조. 조짐. 〔동의어〕きざし; 조. 억의 1만배; 『법률』 지방 자치 단체의 하나. ((市와 村의 중간으로 읍(邑)에 해당 〔동의어〕町; 거리(距離)의 단위. 정. 〔참고〕 「丁」로도 씀; 시가(市街)를 소구분(小區分)한 지역 명. ((한국의 ‘동’에 해당)) 〔동의어〕町; 『의학』 정. 정저(疔疽). 정종(疔腫). 급성의 악성 부스럼. 〔동의어〕癤; 장. 우두머리. 〔동의어〕かしら; 『문어』 연장(자). 연상(자); 『문어』 장점. 〔동의어〕長所. 〔반의어〕 短; 「長門の国」의 준말; 조정. 〔반의어〕 野; 천자가 다스리는 나라; 아침. 〔동의어〕あさ·あした; 한 군주 또는 같은 계통의 군주의 재위 기간. 조. 왕조. 〔동의어〕御代; 동일 지방에 도읍을 두었던 시대; 『생리학』 장. 창자. 〔동의어〕はらわた; 조짐. 전조. 징후; 징수함. 공출(供出)시킴; 『곤충』 나비. 〔동의어〕ちょうちょう; 『역사』 律令 제도 시대의 조세(租稅)의 하나. 남자에게 부과되는 인두세로, 그 지방의 토산물을 납부하게 한 것. 〔동의어〕みつぎ; 『음악』 하나의 음계 또는 화음을 기조로 한 음조직의 특성; 일반적으로, ‘가락’을 이르는 말. 〔동의어〕調子; 《名詞에 붙음》; 시가(詩歌)의 음절수에 의한 가락. 조; 어떤 상태·특징·형식 등이 그것의 범주에 속함을 나타냄. 풍(風). 식(式); 『문어』 총애. 〔동의어〕寵愛; 『문어』 독수리. 〔동의어〕鷲; 초; 정도가 그 이상임; 그것에서 극단적으로 벗어나 있음; 『경제』 초과
エメラルド
『광물』 에메랄드. 〔동의어〕エメロード; 에메랄드 빛깔. 선명한 연둣빛
ドロシーたちが、 だいまほうつかい オズの へやに
あんないされると
あんな
(정도·상태를 나타내어) 저런. 그런. 〔동의어〕あのような. 〔참고〕 어간이 그대로 連体形 구실을 하며, 그때는 連体詞로 보아도 됨. 接続助詞 「ので」 「のに」가 뒤에 붙을 때는 「~な」의 꼴을 취함
その ぎょくざに 大きな あたまが のって いました。
大きな
《文語의 形容動詞 「おおきなり」의 連体形 「おおきなる」의 변한말》 큰. 커다란. 〔반의어〕 小さな
わしが、だいまほうつかい オズである。 なんの ようで きた?
わたしを オズさまの お力で ふるさとの カンザスに かえして ください!
くださる
《「与える」 「くれる」의 높임말》;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주시다. 내리시다. 〔동의어〕賜る; (윗사람 또는 상대편이) 자기에게 주시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下される」의 문어
のうみそを ください!
くださる
《「与える」 「くれる」의 높임말》;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주시다. 내리시다. 〔동의어〕賜る; (윗사람 또는 상대편이) 자기에게 주시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下される」의 문어
ゆうきが ほしいよ!
ほしい
⇒ ほしいい; 갖고 싶다. 탐나다. …이 있으면 좋겠다. 아쉽다. ほし·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ほし·げ 【형용동사】 ほし·さ 【명사】 【문어형】 ほ·し {シク 활용}
こころが ほしい!
ほしい
⇒ ほしいい; 갖고 싶다. 탐나다. …이 있으면 좋겠다. 아쉽다. ほし·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ほし·げ 【형용동사】 ほし·さ 【명사】 【문어형】 ほ·し {シク 활용}
いいだろう! にしに すむ わるい まじょを たおしたら、
おまえたちの のぞみを かなえて あげよう!
あげる
(높은 곳으로) 올리다. 〔반의어〕 おろす·さげる; (몸의 일부 또는 손에 든 것을) 위쪽으로 움직이다. 들다. 쳐들다. 들어올리다. 〔반의어〕 さげる·おろす; (지위 등을) 높이다. 올리다. 진급시키다. 〔반의어〕 さげる; (수입·이익·효과 등을) 올리다. 거두다; (기세·속도 등을) 올리다. 더하다. 〔반의어〕 さげる; (사물의 상태를) 좋게 하다. 〔반의어〕 さげる; (온도·습도 등의 수치를) 크게 하다. 높이다. 〔반의어〕 さげる; 뭍으로 옮기다. 〔참고〕 「揚げる」로도 씀; (연기·기·연 등을) 하늘 높이 올리다. 공중에 띄우다; (값을) 올리다. (가치를) 높이다. 〔반의어〕 さげる; (신불 앞에) 바치다. 차려 놓다. 〔반의어〕 さげる; 칭찬하다. 추어올리다; 보내다. 넣다. 진학[진급]시키다. 〔반의어〕 さげる; 걷다. 치우다; 맞아들이다; (기생 등을) 불러서 놀다. 〔참고〕 「揚げる」로도 씀; (소리를) 지르다. 〔반의어〕 さげる; 게우다. 토하다; 마치다. 끝내다; (얼마의 비용으로) 끝내다; (작품 등을) 완성시키다; (과제 등을) 다 배우다. 떼다; 〈「やる」 「与える」의 공손한 표현〉 드리다. 주다. 【문어형】 あ·ぐ {하2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て[で]」에 붙어, 「…てやる」의 뜻》 …해 주다. …해 드리다. 〔참고〕 보통 かな로 씀. 「…てやる」보다 다소 깍듯한 표현임. 손윗사람에게는 「さしあげる」를 쓰는 것이 일반적임. 【문어형】 あ·ぐ {하2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て[で]」에 붙어〉 겸양의 뜻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끝까지 하다. 다 …하다. …해내다. 【문어형】 あ·ぐ {하2단 활용}; (손 등을) 들다; (예 등을) 들다; 골라서 내놓다. 천거하여 세우다; 다하다. 다 모으다; (자식을) 얻다. 낳다. 〔동의어〕もうける; 잡다. 체포[검거]하다. 적발하다; (식을) 거행하다. 올리다; (전쟁·반란을) 일으키다. 【문어형】 あ·ぐ {하2단 활용}; 튀기다; (뭍으로) 옮기다. 〔동의어〕上げる8.. 【문어형】 あ·ぐ {하2단 활용}
のぞみ
소망. 희망. 소원. 〔동의어〕願い; 전망. 가망(성); 기대. 인망(人望). 명망(名望)
ドロシーたちは、こまって しまいました。 だって、ドロシーたちに、
しまう
끝나다. 파하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끝내다. 마치다; (가게 등을) 닫다; 치우다; 간수하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흔히, 「…て[で]~」의 꼴로》 …하여 버리다. …하고 말다. 〔참고〕 흔히 구어(口語)에서는 「…て[で]しまう」가 「…(っ)ちまう」 「…じまう」의 꼴로 되기도 함; 〈「…ずに~」의 꼴로〉 …아니하고 말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だって
상대의 말을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고 반론하는 경우에 씀. 그렇지만. 하지만. 그런데. 〔동의어〕でも; 《助動詞 「だ」에 助詞 「とて」가 붙은 「だとて」의 변한말. 体言 또는 体言에 준하는 말에 붙음》; …(이)라도. …일지라도. …라 하여도; …에게조차; …이든 …이든; …이란다
おそろしい にしの まじょを たおせる はずが ありません。
でも、そう するしか ないのです。 ドロシーたちは、力を あわせて、
力
힘; 체력(體力); 『물리』 물체의 상태에 변화를 일으키는 작용; (사물에 갖춰져 있는) 위력; 지배력. ((폭력·완력·권력 등)); 기력. 정기(精氣). 원기(元氣); 박력(迫力); 조력. 진력(盡力); 효력. 효능; 의탁. 의지(依持); 능력. 실력(實力); 학력. 〔동의어〕学力; 재력; (종합적인) 세력
たたかう けっしんを しました。
こうして、おそろしい まじょの いる にしの 国へ いきました。
こうして
이렇게 해서
国
吉原 유곽 지대의 딴이름
おや、おきゃくさんかい?
ドロシーたちに きづいた にしの まじょは、 手下の オオカミ 40匹を はなちました!
匹
『역사』; 「紫微中台」의 차관; 필; 『문어』 붓. 〔동의어〕ふで; 붓으로 씀. 또는 그 쓴 것; 토지의 한 구획; 밥통. 〔동의어〕めしびつ·おひつ; 『문어』; 천자의 거둥
手下
『문어』 수하. 부하. 〔동의어〕てした·部下
ドロシーさん! あぶない!
ブリキのきこりが オオカミたちを すべて たおしました。
ブリキ
함석. 생철. 〔동의어〕ブリキ板. 〔참고〕 「錻力」는 차자
つぎに カラスが 40羽 おそって きました。
羽
묘; 《속어》 토끼; 『조류』 가마우지; 『불교』 존재하는 것. 생존; 『문어』; 빙 돌아서 멀리 돌아서 감; 사정에 어두움. 오활(迂闊). {문어·ナリ 활용 }; 『문어』 토끼. 〔동의어〕うさぎ; 『음악』 생황과 비슷한 죽제(竹製) 관악기. 초기에는 36관(管)이었으나 후에 19관 또는 17관이 됨; 「得る」의 문어; 《고어 助動詞 「む」의 변한말. 현대어에서는 五段活用動詞·形容詞·形容動詞·助動詞 「ます·です·た·たい·ない·だ·ようだ·そうだ」 등의 未然形에 붙음. 그 밖의 動詞 및 助動詞의 未然形에는 「よう」가 붙음》; 말하는 이의 의지를 나타냄. …하자. …겠다. …하려 하다; 상대편에 대한 권유나 완곡한 명령·희망을 나타냄. …하자꾸나. …하여 다오; 객관적인 사태에 대한 짐작 또는 불확실한 단정을 나타냄. …겠지. …일 것이다; 말하는 이의 짐작이나 상상을 나타냄. …겠지; 의문·질문·반어(反語) 등을 나타냄. …할 것인가. …하랴; 〈「…~とする」의 꼴로〉 동작·작용이 행해지기 직전의 상태임을 나타냄. …하려고 하다. …하려는 참이다; 허용성(許容性)을 나타냄. …일 법하다; 가능성(可能性)을 나타냄. …할 수 있다. …일 수 있다; 가상(假想)을 나타냄. …건. …거나. …든지
たすけて〜〜!
ライオンさん! たすけて くださいよ〜〜!!
くださる
《「与える」 「くれる」의 높임말》;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주시다. 내리시다. 〔동의어〕賜る; (윗사람 또는 상대편이) 자기에게 주시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下される」의 문어
ライオン
『동물·동물학』 라이온. 사자. 〔동의어〕獅子
ライオンさん! たすけて!
ライオン
『동물·동물학』 라이온. 사자. 〔동의어〕獅子
いまこそ、ゆうきを だす ときですよ! ライオンさん!!
ライオン
『동물·동물학』 라이온. 사자. 〔동의어〕獅子
だめだぁ〜〜 たすけて〜〜!!
ライオンが こわいのを がまんして ガオォ〜〜っと、ほえると、
ライオン
『동물·동물학』 라이온. 사자. 〔동의어〕獅子
カラスは、きえて しまいました。
しまう
끝나다. 파하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끝내다. 마치다; (가게 등을) 닫다; 치우다; 간수하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흔히, 「…て[で]~」의 꼴로》 …하여 버리다. …하고 말다. 〔참고〕 흔히 구어(口語)에서는 「…て[で]しまう」가 「…(っ)ちまう」 「…じまう」의 꼴로 되기도 함; 〈「…ずに~」의 꼴로〉 …아니하고 말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くぉのぉ〜〜!!
あたまに きた にしの まじょは まほうを つかって
たまに
⇒ 偶
おそろしい ハチの たいぐんを だしました。
あたしに たてつくと、そう なるのよ!
あたし
《속어》 《「わたし」의 변한말》 저. 나. 〔동의어〕わたし. 〔참고〕 흔히 여성이 씀
そのとき、 ドロシーの はいていた ぎんの くつが
しゃべりました。
しゃべる
지껄이다. 재잘거리다. 수다 떨다; 말하다. 입밖에 내다. 【가능동사】 しゃべ·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にしの まじょは、水に よわい!
水
수. 오행(五行)의 다섯째. ((계절은 겨울, 방위로는 북, 색은 검정임)); 「水曜日」의 준말; 《속어》 당밀즙(糖蜜汁)만을 탄 얼음물; 물. 액체; 순수함. 또는 그런 것; 뛰어난 것. 정수(精粹); 세상 물정에 밝아 인정의 기미(機微)를 잘 앎. 특히, 남녀간의 애정에 이해가 많음. {문어·ナリ 활용 }; 화류계·예능계의 사정에 밝음. 멋을[풍류를] 앎. (언동이) 세련되어 있음. {문어·ナリ 활용 }; 추; 저울추. 분동; 방추(紡錘)를 세는 말; 시다. 신맛이 있다. 〔동의어〕すっぱい. 【문어형】 す·し {ク 활용}
わるい にしの まじょめ! この 水を あびなさい!
なさる
《「なす」 「する」의 높임말》 하시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なされる」의 문어
あびる
끼얹다. 뒤집어쓰다. 들쓰다; (먼지·햇볕 등을) 쓰다. 쐬다. 쬐다; 계속해서 받다. 입다. 【문어형】 あ·ぶ {상2단 활용}
水
수. 오행(五行)의 다섯째. ((계절은 겨울, 방위로는 북, 색은 검정임)); 「水曜日」의 준말; 《속어》 당밀즙(糖蜜汁)만을 탄 얼음물; 물. 액체; 순수함. 또는 그런 것; 뛰어난 것. 정수(精粹); 세상 물정에 밝아 인정의 기미(機微)를 잘 앎. 특히, 남녀간의 애정에 이해가 많음. {문어·ナリ 활용 }; 화류계·예능계의 사정에 밝음. 멋을[풍류를] 앎. (언동이) 세련되어 있음. {문어·ナリ 활용 }; 추; 저울추. 분동; 방추(紡錘)를 세는 말; 시다. 신맛이 있다. 〔동의어〕すっぱい. 【문어형】 す·し {ク 활용}
ふたたび エメラルドの みやこに もどった ドロシーたちは、
エメラルド
『광물』 에메랄드. 〔동의어〕エメロード; 에메랄드 빛깔. 선명한 연둣빛
すぐさま オズの ぎょくざに むかいました。
すぐさま
즉시. 당장. 〔동의어〕直に
でも、そこには、 ちいさな おじいさんが すわって いました。
おじいさん
「祖父」를 높여 친숙하게 부르는 말. 할아버지. 외할아버지. 〔반의어〕 お祖母さん. 〔참고〕 구어적 표현은 「おじいちゃん」; 남자 노인을 높여 친하게 부르는 말. 영감님. 할아버지. 〔반의어〕 お婆さん. 〔참고〕 구어적 표현은 「おじいちゃん」
こんなに 早く かえってくるとは 思って いなかったよ・・・・
思う
생각하다; 판단을 내리다. 믿다; 느끼다; 예상하다. 추측하다; 원하다. 소망하다; 회상하다; 사랑하다. 그리워하다. 사모하다. 소중히 하다; 〈「…と~」의 꼴이나 形容詞·形容動詞의 連用形을 받아서〉 …라고 생각하다. …하려고 결심하다. 〔참고〕 「考える」는 객관적·지적인 경우에만 쓰는데, 「思う」는 감정적·의지적·주관적인 경우에도 씀. 【가능동사】 おも·える【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早い
(동작·과정이) 빠르다. 〔반의어〕 遅い. 〔참고〕 1.은 보통 「速い」로 씀. 또는 「疾い」로도 씀; (시기·시각이) 이르다. 빠르다. 〔반의어〕 遅い; 손쉽다; 훨씬 이전이다; 〈「…するが~か」의 꼴로〉 …하기가 바쁘게. …하자마자. 〔참고〕 2.~5.는 「早い」로 씀. はや·さ 【명사】 【문어형】 はや·し {ク 활용}
じつは、オズのまほうつかいは、 にんげんで、ききゅうで とばされて
この国に きて しまったのです。
しまう
끝나다. 파하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끝내다. 마치다; (가게 등을) 닫다; 치우다; 간수하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흔히, 「…て[で]~」의 꼴로》 …하여 버리다. …하고 말다. 〔참고〕 흔히 구어(口語)에서는 「…て[で]しまう」가 「…(っ)ちまう」 「…じまう」의 꼴로 되기도 함; 〈「…ずに~」의 꼴로〉 …아니하고 말다. 【가능동사】 しま·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国
吉原 유곽 지대의 딴이름
こいつは、おおうそつきだぞ! オレに ゆうきを くれる やくそくは どうなる⁈
くれる
(상대편이 나에게) 주다. 〔동의어〕よこす; (내가 상대편에게) 주다. 어떤 행위를 가하다. ((상대편을 낮추는 느낌이 담긴 말)) 〔동의어〕やる·くらわす; 《動詞의 連用形+「て[で]」에 붙음》; 남이 자기에게 무엇인가를 해 주다; (상대에게 달갑지 않은 짓을) 해 주다. 〔참고〕 命令形은 「くれ」가 됨. 【문어형】 く·る {하2단 활용}; 해가 지다. 저물다. 〔반의어〕 明ける; (계절·한 해가) 저물다. 끝나다; 지새다. 잠기다; 어찌할 바를 모르다. 〔참고〕 3.4.는 「暗れる」 「眩れる」로도 씀. 【문어형】 く·る {하2단 활용}
こいつ
《속어》; 이놈. 이 자식. 이 녀석; 이것. 요것. 〔참고〕 「こやつ」의 변한말. 증오·경멸감 또는 친밀감 등 어느 경우에나 두루 씀
おちついて・・・・
そのとき、うつくしく かがやく みなみの まじょが あらわれました。
あなたたちは、力を あわせて おそろしい にしの まじょを たおしました。
力
힘; 체력(體力); 『물리』 물체의 상태에 변화를 일으키는 작용; (사물에 갖춰져 있는) 위력; 지배력. ((폭력·완력·권력 등)); 기력. 정기(精氣). 원기(元氣); 박력(迫力); 조력. 진력(盡力); 효력. 효능; 의탁. 의지(依持); 능력. 실력(實力); 학력. 〔동의어〕学力; 재력; (종합적인) 세력
あなた
『문어』 《遠称의 指示代名詞》; 저기. 저쪽. 저편; 예전. 이전. 옛날. 1.2.〔동의어〕かなた; 《対称의 人代名詞. 대등 또는 아랫사람에게 씀》 당신. 댁. 귀하. 〔참고〕 ㉠「彼方」에서 온 말로, 옛날에는 대등 또는 윗사람에게 썼으나 현재는 아내가 남편을 가리키는 대표적인 대명사. 현대어에서는 높임의 정도가 낮으며, 학생이 선생에게, 젊은이가 나이든 이에게 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음. ㉡상대가 여성일 때에는 흔히 「貴女」로 씀
みんな ゆうきも、ちえも、やさしい こころも すでに もって いますよ!
みんな
《「みな」의 撥音 첨가》 모두. 다. 죄다. 전부
なるほど、そのとおりです 。 ちえや、ゆうきや、やさしい こころは、
なるほど
(듣던 바와 같이) 과연. 정말; 《고어》 ⇒ なるたけ; 상대편의 말에 긍정하거나 동의하는 뜻을 나타냄. 아무렴. 그렇고말고
人から もらう ものでは、なかったのです。
もらう
받다. 얻다; 옮기다. 전염되다; 떠맡다. 인수하다. 〔동의어〕引き受ける; 자기 것으로 하다. 승부에서 이기다; 양자·사위 등을 맞이하다; 사다. 사 가지다. 【가능동사】 もら·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動詞의 連用形+「て」에 붙어》 남의 호의에 의하여 자기가 득을 봄. 또는 남에게 부탁하여 어떤 행위를 하게 함. …을 해 달라고 하다. …을 하여 받다. 〔참고〕 < 2> 는 かな로 씀. 【가능동사】 もら·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ドロシー、その ぎんの くつに 3ぽ あるけば、カンザスに かえれる
まほうをかけました
かける
『문어』 (하늘 높이) 날다. 비상(飛翔)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일부분이) 깨져 떨어지다. 귀떨어지다. 흠지다; 부족하다. 모자라다. 없다; 이지러지다. 〔반의어〕 満ちる; (있어야 할 것이) 빠지다. 결여되다. 【문어형】 か·く {하2단 활용}; (높은 곳에) 걸다. 늘어뜨리다. 치다; (말을) 붙이다. 건네다; 얹다. 올려놓다; 가설하다. 세우다. 치다. 놓다; 걸터앉다. 〔동의어〕すわる; (단추·자물쇠 등을) 채우다. 잠그다; 〈「鼻に~」의 꼴로〉 자랑삼다. 뽐내다. 내세우다; 개의하다. 마음을 쓰다; 끼얹다. 뿌리다. 치다. 〔동의어〕振りかける; 덮다. 몸에 걸치다; 씌우다. 입히다. 〔동의어〕かぶせる; 감다. 두르다. 묶다; (다른 것에) 기대어 놓다. 걸쳐 놓다; 잡다. 사로잡다. 속이다; (희망 등을) 걸다. 빌다; (폐나 영향을) 끼치다; (돈·시간·수고 등을) 들이다. 〔동의어〕費やす; (보험에) 들다. 가입하다; 곱셈하다. 곱하다; 교배(交配)시키다; 높게 (달아) 올리다; (마음이나 정 등을) 주다; (작용 등을) 가(加)하다. 작용시키다. 동작을 취하다; 도구나 기계 등을 움직여 작동시키다; 에누리하다; 〈「輪を~」의 꼴로〉 ㉠정도가 한층 더하다. ㉡과장하다; 부과하다; 올리다. 상정하다; 〈「口に~」의 꼴로〉 말하다. 입에 올리다; 내걸어 보이다; (저울에) 달다; (체로) 치다; 보이다; 손을 쓰다. 처치하다; 잘 돌보다; 〈「目を~」의 꼴로〉 귀여워하다. 돌보다. 눈여겨[주의하여] 보다; 〈「火を~」의 꼴로〉 불지르다; 짓밟다; 〈수사법(修辭法)에서 어떤 말과 음이 같은 다른 말을 암시하여〉 한 말이 두 가지 뜻을 가지게 하다; (기계에) 넣다. 올리다; 과정을 거치다[받다]; 퍼붓다; 섞다; 〈「(…から)…に~·けて」의 꼴로〉 (…에서)…에 걸쳐; 〈「…に~·けては」의 꼴로〉 …으로 말하면. …에 관하여는. …에 있어서는; (상금 등을) 걸다; 뾰족한 것이나 구부러진 것 등으로 걸다; 〈「鎌を~」의 꼴로〉 속을 떠보다. 깐보다;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하기 시작하다. 중도까지 …하다; 〈앞 動詞가 나타내는 동작이나 작용이 ‘거의 실현될 듯하다’의 뜻. 사실은 실현되지 않음〉 …ㄹ 뻔하다. 【문어형】 か·く {하2단 활용}; 말 타고 달리다; 달리다. 뛰어가다. 【문어형】 か·く {하2단 활용}; 걸다. 내기하다. 지르다; (실패하면 잃을 각오로) 걸다. 내걸다. 【문어형】 か·く {하2단 활용}
さぁ、いきなさい! おじさんと おばさんが まっていますよ!
なさる
《「なす」 「する」의 높임말》 하시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なされる」의 문어
ドロシーは みんなに わかれをつげ、 カンザスに むけて しゅっぱつです。
みんな
《「みな」의 撥音 첨가》 모두. 다. 죄다. 전부
1・・・2・・・・3!
ドロシー!
ドロシー!
おじさん! おばさん!
かえって きた ドロシーを ヘンリーおじさんと エムおばさんが むかえました。
ドロシーのぼうけんは、おわりです。
ん
ユニクロが米で全店臨時休業へ 感染拡大で決断(20/03/17)
2023年度の全国消費者物価指数2.8%上昇 2年連続で2%超(2024年4月19日)
園児の受け入れ一部再開 車中泊の子どもたちに笑顔 石川・穴水町(2024年1月15日)
I love you
I love youWeekly Japanese Words with Risa - Clothing Accessories
5月の消費動向調査 2カ月連続の上昇 基調判断も7カ月ぶりに改善(2022年5月31日)
恋音と雨空
Slow & Easy
Slow & Easy池の水が突然、紫色に…正体はバクテリア ドイツ(2024年4月4日)
“テレワーク疲れ”広がる 遠い「出勤者7割減」(2021年7月17日)
You need to upgrade to a premium account to using this feature
Are you sure you want to test again?
Please upgrade your account to read unlimited newspap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