こんにちは、 くまみきです。
こんにちは、 くまみきです。
バレンタインスペシャル二日目は、
瞬きする度にかわいいキラキラハートメークのやり方を紹介していきます。
まずはベースを作っていきます。
ピンクのコントロールベースを顔の中心に塗って、
血色をよくしていきます。
次にビービークリームを塗りますが、
顔の中心から薄く伸ばしていくように塗って、
素肌っぽさを残しつつ、 コンシーラーでくまなどの気になる部分をしっかりカバーしていきましょう。
そしたらシェーディングとハイライトを入れて、
顔に立体感を出していきます。
全体にパウダーを塗って、 ベースメークは完成です。
次に、 アイメークに入ります。
アイホール全体に薄いピンクのアイシャドウを塗ります。
涙袋にも軽く塗ってみました。
これはイギリスで買ったものなんですが、
上品な感じの細かいラメが入ってて、 結構お気に入りです。
そして二重幅に合わせて、 ピンクブラウンのアイシャドウを塗ってぼかします。
でここでチークを塗るんですが、
頬っぺたではなくて、 目のすぐ近くから頬骨にかけて小さく塗るのがポイントです。
睫毛にビューラーをかけたら、 アイライナーを引きます。
目の形に合わせて引いて、 目尻はその流れのまま下げ気味に伸ばしておきます。
マスカラ下地を上下に塗って、 黒いマスカラを上睫毛は軽く、 下睫毛は濃くなるようにたっぷり塗ります。
次に、 付け睫毛を付けるんですが、
今回は付け睫毛をデコってみました。
睫毛の内側目尻に付けま用の糊を付けて、
そこにハートのスパンコールを付けるだけです。
ちなみにこのスパンコールは原宿のWEGO でゲットしました。
デコった付け睫毛を付けたら、 今度は付けま糊を目尻にちょこちょこ付けていきます。
そこに指に取ったスパンコールを貼り付けて、
ピンセットで位置を調節します。
さらにラメライナーを涙袋とスパンコールを付けた部分の上に塗ったら、
アイメークは完成です。
あっ! 眉毛を忘れてました。
眉毛は髪色に合わせてピンクのアイシャドウで描いてます。
眉毛ブリーチするのを忘れてたので、 今日は眉マスカラをしました。
リップはピンクで仕上げていきます。
アイメークがメインなので、 リップの色はポンポンポンと薄めに塗っといて、
グロスで艶を出すイメージです。
これでキラキラハートメークの完成です。
スパンコールをいろんなモチーフやカラーに変えたら、 いろんなシーンで役に立つと思います。
皆さんも是非やってみてください。
次回はハートのミニクリップを使ったヘアアレンジを紹介していきます。
それじゃ、 バイバイ!
こんにちは、 くまみきです。
こんにちは
낮에 하는 인사말. 안녕하십니까?
バレンタインスペシャル二日目は、
日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二
《名詞 등에 붙어 形容動詞의 어간을 만듦》 불. 부. 〔참고〕 관용상 「ぶ」로 되는 경우도 있으며, 이 때 흔히 「無」로도 씀; …을 하는 남자. 부. 원(員). 〔반의어〕 婦; …을 하는 여자. 부. 〔반의어〕 夫; 둘. ((소리내어 수를 셀 때의 말)) 〔동의어〕ふたつ·ふう; 중국 고대의 화폐; 『문어』 무녀. 무당; 『문어』 중심지; 《고어》 지방 관청. 또는 그 소재지; (일본 장기의) 졸. 〔동의어〕兵; 『문어』 부고. 부음. 〔동의어〕訃音; 『수학』 부. 음(陰). 〔반의어〕 正; 『물리』 음극(陰極); 부적; 옛날 상급 감독 관청에서 하급 관청에 내린 공문서; 부; 증표(證票); 기호. 부호; 《고어》 부. 풍부함. 부자임. 〔반의어〕 貧; 반점. 얼룩. 〔동의어〕まだら; 내장; 사려 분별. 생각. 근성(根性); 부; 『문학』 시경(詩經)의 육의(六義)의 하나. 비유법을 쓰지 않고 느낀 것을 그대로 읊는 시의 서술법; 『문학』 글귀 끝에 운(韻)을 달고 대구(對句)를 많이 쓰는 한문체(漢文體)의 하나; 토지 또는 인구에 할당되던 조세(租稅); 밀가루에서 얻어지는 글루텐으로 만든 식품. ((「生麩」와 「焼麩」가 있음)); 보; 『음악』 음보(音譜). 악보(樂譜); 기보(碁譜); 〈흔히, 接尾語적으로 씀〉 계통을 세워 순서 있게 적은 기록. 계보. 도감
目
《「目」가 다른 말과 복합할 때의 형태》 눈; 정말. 진실. 〔동의어〕ほんとう·まこと; 《名詞·形容詞 등에 붙음》; 참다운. 진실한; 바른. 정확한. 순수한; 아름다운. 뛰어난; (같은 종류의 동식물 중) 가장 표준적인; (공간적인) 사이. 틈. 간격; (시간적인) 사이. 동안. 겨를. 짬; (적당한) 기회. 시간. 시기. 때; 방; (일본 음악·춤·연극 등에서) 박자와 박자, 동작과 동작, 대사와 대사 사이의 시간적 간격. 또는 (전체적인) 리듬감(感); 일본식 방의 수를 세는 말. 실(室). 방; 삼베. 삼실; 『불교』 〈범어 「māra」의 음역(音譯)인 「魔羅」의 준말〉 마귀. 악마. 귀신; 〈「~の」의 꼴로〉 마(魔)의. ((나쁜 일이 흔히 일어나는 장소·날짜·시간·요일 등을 형용할 때 씀)); 마. 광(狂). 그 일만을 끈덕지게 되풀이하여 남에게 해를 끼치는 사람; 《「いま」의 준말》 더욱. 더; ⇒ まあ< 2>
スペシャル
스페셜. 특별함. 특별한 모양; 특별한. 특제인
瞬きする度にかわいいキラキラハートメークのやり方を紹介していきます。
紹介
『문어』; 『기독교』 장로의 모임; 초계. (군대에서) 적의 공격을 경계하여 망을 봄; 상회. ((흔히, 회사·상점명에 붙여 씀)); 상계. 상업계; 소개; 조회; 상해. 상세한 풀이[해석]
度
일본식 버선; 어떤 일이 있는, 또는 있었던 그때. 적. 때. 〔동의어〕折·時; 〈「に」가 붙어, 「…をする~に」 「…の~に」의 꼴로〉 …할 때마다. …할 적마다. 〔참고〕 흔히, 동사의 連体形에 붙어서 쓰임; 횟수; 《수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서 횟수를 나타냄》 …번; 여행. 〔동의어〕旅行. 〔참고〕 긴 인생에 비유해서도 씀
かわいい
《「かわゆい」의 변한말》; 귀엽다. 사랑스럽다; 예쁘장스럽다. 작아서 예쁘다. かわい·が·る 【5단 활용 타동사】 かわい·げ 【형용동사】 かわい·さ 【명사】
瞬き
깜박임; 깜작임. 〔동의어〕まばたき·まじろぎ; 반짝임
まずはベースを作っていきます。
ベース
베이스; 토대. 기본. 기준; (야구에서) 누(壘); 베이스; 『음악』 콘트라베이스. 〔동의어〕コントラバス
ピンクのコントロールベースを顔の中心に塗って、
中心
중심; 중앙. 한가운데. 〔동의어〕真ん中; (사물의) 가장 중요한 부분·요소·장소·위치; 심중(心中). 흉중(胸中). 〔동의어〕心中; 『수학』 점대칭 도형(點對稱圖形)의 중심점; 『물리』 무게 중심; 『지리·지학·지명』 중진. 집이 심하게 흔들리고 불안정하게 놓인 물체가 넘어질 정도의 지진. 진도 4; 『문어』 충심. 충성심; 『문어』 충신. 〔반의어〕 逆臣; 『문어』 충신. 충성과 신의; (사건이 일어났을 때) 급히 보고함. 급보. 〔참고〕 본디, 사건 내용을 적어 상신함을 뜻했음; 『문어』 《副詞적으로도 씀》 충심. 진심. 〔동의어〕本心; 『문어』 중진. (경제·문화 등의) 진보 정도가 중간
ピンク
핑크; 담홍색. 분홍빛. 〔동의어〕ももいろ; 색정적임. 호색적임
顔
얼굴. 낯; (얼굴의) 표정. 기색; (비유적으로) 표면; (표상으로서의) 얼굴; (구성원으로서의) 얼굴. 사람. 일동; 면목. 체면; (그 사회에서) 알려진 얼굴. 안면; 〈接尾語적으로 쓰이어〉 …한 얼굴. …하는 듯한 표정
ベース
베이스; 토대. 기본. 기준; (야구에서) 누(壘); 베이스; 『음악』 콘트라베이스. 〔동의어〕コントラバス
コントロール
컨트롤; 제어(制御). 조절. 관제(管制); (야구에서) 투수의 제구력(制球力)
血色をよくしていきます。
血色
결식.; 혈색.
次にビービークリームを塗りますが、
塗り
칠함. 또는 칠한 것; 칠한 모양[방식]; 옻칠
次に
《名詞 「次」+助詞 「に」》 다음에. 뒤이어. 그리고 나서. 〔동의어〕それから·続いて
顔の中心から薄く伸ばしていくように塗って、
中心
중심; 중앙. 한가운데. 〔동의어〕真ん中; (사물의) 가장 중요한 부분·요소·장소·위치; 심중(心中). 흉중(胸中). 〔동의어〕心中; 『수학』 점대칭 도형(點對稱圖形)의 중심점; 『물리』 무게 중심; 『지리·지학·지명』 중진. 집이 심하게 흔들리고 불안정하게 놓인 물체가 넘어질 정도의 지진. 진도 4; 『문어』 충심. 충성심; 『문어』 충신. 〔반의어〕 逆臣; 『문어』 충신. 충성과 신의; (사건이 일어났을 때) 급히 보고함. 급보. 〔참고〕 본디, 사건 내용을 적어 상신함을 뜻했음; 『문어』 《副詞적으로도 씀》 충심. 진심. 〔동의어〕本心; 『문어』 중진. (경제·문화 등의) 진보 정도가 중간
顔
얼굴. 낯; (얼굴의) 표정. 기색; (비유적으로) 표면; (표상으로서의) 얼굴; (구성원으로서의) 얼굴. 사람. 일동; 면목. 체면; (그 사회에서) 알려진 얼굴. 안면; 〈接尾語적으로 쓰이어〉 …한 얼굴. …하는 듯한 표정
素肌っぽさを残しつつ、 コンシーラーでくまなどの気になる部分をしっかりカバーしていきましょう。
気
귀; 신분·집안·가치 등이 높은; 경의(敬意)의 표시; 기; 기초. 근본; 『화학』 원자단(原子團). 〔동의어〕根; (설치해 놓은) 묘석(墓石)·장명등(長明燈)·기계 등을 세는 단위; 인간답지 않은 무서운 사람; 기; 기. 말 탄 사람의 수효; 『식물·식물학』 나무. 수목; 재목. 목재; 딱따기; 잡것이 섞이지 않음. 자연 그대로임. 순수함; ‘순수함’ ‘인공을 가하지 않음’ ‘오직 그대로임’의 뜻을 나타냄; 황. 노랑. 황색. 〔동의어〕きいろ; ‘황색’의 뜻을 나타냄; 기. 십간(十干)의 여섯째. 〔동의어〕つちのと; 기운. 정기. 생기. 분위기; (특유한) 맛. 향기; 숨. 호흡; 정신. 의식. 얼; 성미. 기질. 마음씨; 기. 기력; 생각. 의지; 마음. 기분; 흥미. 관심; 「希臘」의 준말; 『화학』 희. 묽은. 〔반의어〕 濃; 드묾. 〔참고〕 「希」는 「稀」의 대용자; 상을 입고 집에 들어박혀 행동을 삼가는 일. 또는 그 기간. ((보통 49일간)) 상(喪); 기. 기일(忌日). 회기(回忌); 『문어』 이상함. 야릇함. 진기함. {문어·ナリ 활용 }; 기수. 홀수. 〔반의어〕 偶; 계절. 〔동의어〕シーズン; 連歌·俳句에서 구(句)에 삽입하는 계절의 경물(景物). 〔동의어〕季題·季語; 계. 천간(天干)의 열째. 〔동의어〕みずのと; 기. 기전체(紀傳體) 역사에서 제왕의 사적(事績)을 적은 글. 〔동의어〕本紀; 『문학』 〈「日本書紀」의 준말〉 일본서기; 기. 지질 시대 구분의 단위; 궤; 수레의 양 바퀴의 간격; 수레바퀴가 지나간 자국; 규칙; 기. 기록(문); 『문학』 「古事記」의 준말; 기; 기. 기구(起句); 『문어』 기; 시기. 기간. 기한; 좋은 기회. 시기; 기; 기간. 시기; [age]『지리·지학·지명』 지질 시대의 한 구분. 「世」의 아래; 계략. 모사(謀事). 방법; 《고어》 파. 〔동의어〕ねぎ; 『문어』 그릇. 〔동의어〕うつわ; 물건을 담는 용기; 기. 기량. 인물. 재능; 기; 기관(器官); 기구. 도구; 계기; 시기. 기회; 〈「飛行機」의 준말〉 비행기; (불교에서) 기. 기근(機根). 〔동의어〕気根; 기계; 비행기; 비행기를 세는 말. 대; 『문어』 《用言·助動詞의 連用形에 붙음》; 과거에 직접 체험한 일을 회상하는 말. …었다. …였다. …고 있었다; (경험과 관계없이 널리) 과거의 사실을 나타냄. …었다. …였다; 현재 또는 완료의 뜻을 나타냄. …하고 있다. 〔참고〕 終止形 「き」는 カ変動詞에 붙지 않음. カ変을 받는 경우는 「きし」 「きしか」와 「こし」 「こしか」의 두 꼴이 있음. 고대에는 未然形 「せ」가 있었다고 생각되는데, 助詞 「ば」가 붙어 가정의 뜻을 나타냄
しっかり
《副詞는 「~と」의 꼴로도 씀》; 견고한 모양. 튼튼한 모양. 단단히. 꽉; (기억·판단력 등이) 확실한 모양. 똑똑히. 확실히; (기량·성질·생각 등이) 견실한 모양. 착실히. 똑똑히. 빈틈없이; 심신이 건전한 모양. 의식이 확실한 모양. 정신 차려서. 똑똑히. 〔반의어〕 ぼんやり; (일·공부 등을) 열심히 하는 모양. 착실히. 열심히; 충분한 모양. 듬뿍. 잔뜩; 『경제』 (상거래가 활기를 띠어) 시세가 오르는 기미. 오름새
部分
부분. 〔반의어〕 全体; 『문어』 무문; 법률을 멋대로 해석해서 남용함; 붓을 멋대로 놀려 왜곡된 문사(文辭)를 씀. 무문곡필
カバー
커버; 씌우개. 덮개. 뚜껑; 책가위; 덧신. 덧양말. 덧버선; 보충; (야구에서) 수비의 빈 자리에 다른 야수가 가서 돕는 일
素肌
(화장하지 않은) 민살갗; (속옷 등을 입지 않은) 맨살. 노출된 살갗
そしたらシェーディングとハイライトを入れて、
入れ
만들어 넣음. 끼워 넣음; 담는 그릇·상자 등
そしたら
《속어》 ⇒ そうしたら
ハイライト
하이라이트; (그림·사진에서) 광선이 가장 강하게 닿아 밝게 보이는 부분
顔に立体感を出していきます。
顔
얼굴. 낯; (얼굴의) 표정. 기색; (비유적으로) 표면; (표상으로서의) 얼굴; (구성원으로서의) 얼굴. 사람. 일동; 면목. 체면; (그 사회에서) 알려진 얼굴. 안면; 〈接尾語적으로 쓰이어〉 …한 얼굴. …하는 듯한 표정
出し
축제(祝祭) 때 끌고 다니는 장식을 한 수레. 〔동의어〕だんじり; 냄. 꺼냄; 〈「出し汁」의 준말〉 가다랑어포·다시마·멸치 등을 삶아서 우려낸 국물. 〔동의어〕出し汁; 자기 이익을 위해 이용하는 것. 방편. 구실. 〔참고〕 2.3.은 「出汁」로도 씀
感
간. 간행. 출간(出刊). 출판; 감; 감독; 감방(監房); 관; (공공의) 건물 등에 붙는 말; 여관 등의 이름에 붙는 말; 장대의 수효를 세는 말; 캔; 깡통; 〈「缶詰め」의 준말〉 통조림. 〔참고〕 「缶」 「缶」 「鑵」은 차자; 『음악』 (일본 고유 음악에서) 높은 음역. 또는 기본음의 한 옥타브 높은 음; 『문어』 간. 간악함. 간사함. 또는 그런 사람; 『문어』 완; 「完全」 「完備」 등의 준말; 『문어』; 간. 간장; 마음; 관. 관청. 관리(官吏). 관직; ‘관리’ ‘공무원’ 등의 뜻을 나타냄. 관; 『문어』 관. 〔동의어〕かんむり; 으뜸감. {문어·タリ 활용}; 두루마리; 책; 권; 두루마리·필름·테이프 등의 수효; 책의 수효; 『문어』 (…처럼) 보임; 10일간. 순(旬). 〔참고〕 ‘씻다’의 뜻으로, 고대 중국에서 관리가 10일마다 휴가가 있어 목욕을 했던 데서; 『의학』 신경질적이고 짜증을 잘 내는 신경성 소아병; (사물의 사정이나 의미를) 직감으로 깨닫는 능력. 육감(六感). 직감력; 관. ((척관법의 무게의 단위)); 鎌倉 시대 이후 무가(武家)의 녹봉의 단위. ((1관은 10석(石))); 『문어』 겨울 추위; (24절기의) 대한과 소한의 시기. ((1월 6일경에서 2월 4일경까지의 약 30일간)) 1.2.〔동의어〕暑; 관. 관구. 〔동의어〕ひつぎ; 『문어』 정성. 충성; 『문어』 정의(情誼); 『경제』 예산·계정 과목의 분류명. 관. ((항(項)의 위, 부(部)의 아래)); 금속이나 돌에, 문자를 표면보다 움푹 들어가게 새김. 또는 그 문자; 간. 사이; 기회. 틈; 첩자; 불화; 《名詞에 붙어》 ‘…의 사이’ ‘…과 …의 사이’의 뜻을 나타냄. 간; 『문어』 관대하고 정이 깊음. 너그러움. 느슨함. {문어·ナリ 활용 }; 감. 느낌. 감회; 감동; ‘…의 느낌’의 뜻을 나타냄. 감; 관. 파이프. 〔동의어〕くだ; 붓·피리 등의 수효. 자루; 문빗장; 관문(關門). 〔동의어〕せき·関門; 『문어』 기쁨. 즐거움; 함. (편지의) 봉함; 『문어』 (일의 진행이) 느림. 완함. 더딤. {문어·ナリ 활용 }; (중탕으로) 술을 알맞게 데움. 또는 그 데우는 정도; 고리; 감정이 격하고 화를 잘 내는 기질. 신경질. 피새; 한; 한국. 〔동의어〕韓国; 대한 (제국); (중국 전국 시대의) 칠웅(七雄)의 하나; 편지. 서간. 서찰; 『문어』 간단함. 간략함. 간명함; 고대 중국에서, 종이가 발명되기 전에 글씨를 쓰기 위해 사용한 대쪽; 사람·사물을 외부에서 본 느낌. 양상; 도교(道敎)에서, 도사가 있는 곳; ‘…에 대한 사고 방식’ ‘…에 대한 견해’ 등의 뜻을 나타냄. 관; 갱; 고기나 야채를 넣어 끓인 국; 설날에 먹는 일본식 떡국에 넣는 떡. 또는 그 떡국; 『문어』 함. 군함; 서랍 등의 손잡이로 쓰는 고리 모양의 쇠붙이. 고리 손잡이쇠; 『문어』 한가함; ‘한가한’ ‘조용한’ ‘쓸모 없는’ 등의 뜻을 나타냄. 한; 한; 『역사』 중국 고대 왕조의 하나; (변하여) 중국 본토. 또는 그 곳에 사는 민족; ‘(성인) 남자’의 뜻을 나타냄. 한
立体
입체
全体にパウダーを塗って、 ベースメークは完成です。
完成
완성; 『법률』 관제. 〔참고〕 신헌법에서는 이 말을 쓰지 않음; 관제. 정부 기관에서 만듦. 또는 그것. 〔반의어〕 私製; 함정; 허방다리. 〔동의어〕落とし穴; 남을 속여 어려움에 빠뜨리는 책략; 건성. 〔반의어〕 湿性; 함성. 여럿이 함께 지르는 고함소리; 환성. 크게 외치는 소리; 『문어』; (비유적으로) 개똥벌레의 빛; 『철학』 감성; 『물리』 관성. 타성. 〔동의어〕惰性; 관제; (비상시 등에) 국가가 강제적으로 자유로운 활동·사용을 관리·제한하는 일; 항공기의 항행 관리·규제; 환성. 환호성; 『문어』 코고는 소리; 『문어』 함정. 우리와 허방다리; 『문어』 조용하고 단정함. 음전함. {문어·ナリ 활용 }; 한정. 한가하고 고요함. {문어·ナリ 활용 }; 『문어』 감제. 감독하여 만듦
全体
전체; 전신(全身); 전부. 〔반의어〕 部分; 본디. 원래. 애당초; 〈의문의 뜻을 지닌 말이 딸리어〉 대체. 도대체; 일반적으로. 대체로; 전대; 한 부대 전체
ベース
베이스; 토대. 기본. 기준; (야구에서) 누(壘); 베이스; 『음악』 콘트라베이스. 〔동의어〕コントラバス
パウダー
파우더; 가루; 가루분. 〔동의어〕おしろい; 땀띠약. 〔동의어〕汗知らず
次に、 アイメークに入ります。
入り
들어감. 듦; 수입. 〔반의어〕 出; 비용. 비발. 〔참고〕 「要り」로도 씀; 용적(容積). 들이; 들어오는 손의 수. 입장자의 수; 해·달이 짐. 또는 그 시각. 〔반의어〕 出; 어떤 절기의 첫날; 그 고장이나 그 장소에 들어가는 일; 〈흔히 名詞에 붙어〉 속에 들어 있음. 포함되어 있음
次に
《名詞 「次」+助詞 「に」》 다음에. 뒤이어. 그리고 나서. 〔동의어〕それから·続いて
アイホール全体に薄いピンクのアイシャドウを塗ります。
全体
전체; 전신(全身); 전부. 〔반의어〕 部分; 본디. 원래. 애당초; 〈의문의 뜻을 지닌 말이 딸리어〉 대체. 도대체; 일반적으로. 대체로; 전대; 한 부대 전체
ピンク
핑크; 담홍색. 분홍빛. 〔동의어〕ももいろ; 색정적임. 호색적임
薄い
우수; 24절기의 하나. ((양력 2월 19일경)); 얇다. 〔반의어〕 厚い; 연하다. (맛이) 담백하다. 싱겁다. 〔반의어〕 濃い; 적다. 희박하다. 박하다; 약하다. 모자라다. 부족하다. うす·げ 【형용동사】 うす·さ 【명사】 【문어형】 うす·し {ク 활용}
塗り
칠함. 또는 칠한 것; 칠한 모양[방식]; 옻칠
涙袋にも軽く塗ってみました。
涙
눈물; 누액(淚液); 울음; (비유적으로) 동정. 인정
袋
《名詞에 붙어》 ‘…에 견디는’ ‘…에 침식되지 않는’의 뜻을 나타냄; 《색깔을 나타내는 名詞에 붙어》 ‘…을 띤’ ‘…빛깔의’의 뜻을 나타냄; 기후·자연 현상 등에 의하여 나눈 지구상의 띠 모양의 지역; 《名詞나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形容詞를 만듦》 ‘심하다’ ‘그런 상태이다’의 뜻을 나타냄. 【문어형】 た·し {ク 활용}; 부대. 자루; 타의. 다른 뜻. 딴 생각. 딴 마음. 〔동의어〕別意; 몸. 〔동의어〕身; 모양. 형태; 본질. 실체; 불상·시체 등을 세는 말. 좌(座). 구(具); 짝. 쌍. 둘이 한 벌을 이루는 것; (두 수 사이에 끼여) 비(比)를 나타냄. 대; (두 말 사이에 끼여) 서로 대립하는 것임을 나타냄. 대; 대등함; 반대; 〈接頭語적으로〉 공작·교섭·대항 등의 상대임을 나타냄. 대; 『문어』 태. 자궁. 〔동의어〕こぶくろ; 『문어』 태아; 「胎蔵界」의 준말; 『지리·지학·지명』 퇴. 해양 속 해저의 두루룩한 부분. 뱅크. 〔동의어〕バンク; (어떤 목적을 위해 모인) 대. 대열(隊列); 부대; 조직·집단·군대 등의 뜻을 나타냄. …대; 상태. 모양. 〔동의어〕すがた; ‘…의 상태’의 뜻을 나타냄; 『어류』 도미; 《動詞 및 動詞型活用의 助動詞의 連用形에 붙음. 可能動詞에는 안 붙음》 희망의 뜻을 나타냄; 동작하는 이의, 그 동작에 대한 희망의 뜻을 나타냄; 〈「れ·られ·くだされ·なされ」 등에 붙어〉 상대편의 행위에 대한 희망을 나타냄. …해 주셨으면 합니다. …해 주시기 바랍니다
これはイギリスで買ったものなんですが、
イギリス
『지리·지학·지명』 영국. 유럽 서부 대서양 가운데 있는 입헌 군주국. 《수도는 런던(ロンドン)》 〔동의어〕英国. 〔참고〕 「英吉利」로도 썼음
上品な感じの細かいラメが入ってて、 結構お気に入りです。
細かい
작다. 잘다. 〔반의어〕 粗い; 상세하다. 자세하다; 꼼꼼하다. 촘촘하다. 면밀하다. 세심하다; 사소하다. 하찮다; 돈에 대하여 까다롭다. 인색하다. 타산적이다; (금액이) 작다. こまか·さ 【명사】 【문어형】 こまか·し {ク 활용}
感じ
지각함. 감각. 감촉; 인상; 기분. 분위기; 감상; 『문어』 관사. 관청의 사무; 어떤 말 앞에서 그 말을 수식하는 말; 간사; 한자. 〔동의어〕真名·本字; 감사; 단체의 서무를 맡아보는 사람[직무]; 『법률』 법인(法人)의 업무·회계를 감사하는 기관. 감사역; 『문어』 빙그레 웃는 모양. 〔참고〕 여자일 때는 「嫣然」이라고 씀. {문어·タリ 활용}
結構
결항; 결강. 강의를 쉼; 혈행. 〔동의어〕血のめぐり; 결행. 단행. 〔동의어〕断行; 결구. 구성. 구조. 〔동의어〕組み立て; 《고어》 계획. 기도. 〔동의어〕たくらみ·もくろみ·企て; 훌륭함. 좋음; 충분함. 만족스러움; 마음씨 좋음. 얌전함. 무던함; 다행임; 꽤. 제법. 상당히. 〔동의어〕かなり
お気に入り
마음에 듦. 또는 그 사람이나 물건
上品
상품. 상등품. 고급품. 〔반의어〕 下品; 품위가 있음. 고상함. 〔동의어〕エレガント. 〔반의어〕 下品. {문어·ナリ 활용 }
そして二重幅に合わせて、 ピンクブラウンのアイシャドウを塗ってぼかします。
幅
《수를 나타내는 고유어에 붙어》 천의 너비를 세는 말. 폭. 〔참고〕 「一幅」는 보통 경척(鯨尺)으로 9치 내지 한 자(약 30~ 36cm); 들. 들판. 〔동의어〕野原; 논밭. 〔동의어〕田畑; 《동식물 이름에 붙어》 야생의; 화살대. 〔동의어〕矢柄; 《体言 또는 体言으로 취급되는 말에 붙음. 体言을 수식하므로 連体修飾格, 소유 혹은 소속을 나타내므로 所有格이라 불린다》; 소유·소속을 나타냄. …의; 소재(所在)·시기(時期) 등을 나타냄. …에 있는. …동안의; 작자(作者)를 나타냄. …이 지은; 내용적인 관련을 나타냄. …에 관한; 명칭을 나타냄. …의; 동격(同格)을 나타냄. …인. …라는; 〈상대적 개념을 나타내는 말이 따르며〉 이 개념이 적용되는 대상·기준을 나타냄; 〈뒤에 「ため」 「よう」 「故」 등의 形式名詞가 따르며〉 실질(實質)을 나타냄; 〈성상(性狀)·수량·순서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속성(屬性)·종별을 나타냄. …(으)로 된; 〈동작을 나타내는 名詞가 따르며〉 동작의 주어를 속격(屬格)의 꼴로 간접적으로 나타냄. …의. …가 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名詞가 딸리어〉 동작의 목적어에 해당하는 것을 속격(屬格)의 꼴로 간접적으로 나타냄. …을[를]…하는데. …의 …에; 〈体言의 連体修飾句와 被修飾語의 중간에 위치하는 꼴로〉 동격(同格)을 나타냄. …라고 하는. 〔동의어〕…という; 〈連体修飾句 속에서 쓰이어〉 주격(主格) 혹은 대상격(對象格)을 나타냄. …가. …이. …를[을]; 〈名詞句에 쓰여〉 주격 또는 대상격을 나타냄. …가[이]. …를[을]; 『문어』 〈주문(主文) 속에 쓰이어〉 주격(主格)을 나타냄. …이[가]; 〈被修飾語가 修飾語의 앞에 나와, 文語에서는 修飾句가 連体形, 口語에서는 修飾句에 準体助詞 「の」가 붙은 꼴로〉 서술(敍述)에 초점을 둠; 〈「体言+~」의 꼴로〉 …의 것; 〈連体形으로 끝나는 어구 또는 連体詞에 붙어 名詞句를 만듦〉 것. 일. 〔동의어〕こと·もの·ようす; 《体言 또는 名詞句에 붙음》; 〈「a~ b~」의 꼴로〉 이것저것 열거함을 나타냄. …느니 …느니; 〈「…~…ない~」의 꼴로, 흔히 否定의 「ない」가 딸리어〉 형언할 수 없을 정도로 …이다. …하다; 〈「…~なん~」의 꼴로〉; 《準体助詞 「の」가 변한 것. 用言의 連体形에 붙음. 주로 여성 또는 아동이 씀》; 〈断定의 뜻을 나타내는 말이 따르며〉 가벼운 단정을 부드럽게 나타냄. …것입니다. …(이어)요. …(해)요. 〔동의어〕のです; 〈질문의 뜻을 나타내는 말이 따르며〉 질문을 부드럽게 나타냄. …것입니까? …(이어)요? …(해)요? 〔동의어〕のですか; 〈확인의 뜻을 나타내는 말이 따르며 질문하는 꼴로〉 가벼운 자기 확인을 나타냄. …인 것입니까? …(이어)요? …(해)요? 〔동의어〕のですか; 〈강한 어투가 따르며〉 그렇게 할 것을 촉구함. 그렇게 해요
そして
⇒ そうして
ピンク
핑크; 담홍색. 분홍빛. 〔동의어〕ももいろ; 색정적임. 호색적임
合わせ
《고어》 반찬. 〔동의어〕おかず; 겹옷. 겹것. 〔반의어〕 単
重
《고어》 대체적인 방향·위치·시간을 나타냄; 겹치거나 거듭된 것을 세는 말. 겹. 〔동의어〕重り; 《고어》 (바다·호수 등의) 후미. 〔동의어〕入り江; 《고어》 가지. 〔동의어〕えだ; 자루. 손잡이; 『문어』 모이. 미끼. 먹이. 〔동의어〕えさ; 많은 사람이 모여서 하는 법회(法會)·제례(祭禮); 《고어》 돌림병. 〔동의어〕えき; 그림; (텔레비전의) 영상. 화면; 『문어』 《뒤에 否定語가 따름》 잘 …하지 않다. 도저히 …할 수 없다; 회화에서, 긍정·승낙을 나타내는 말. 예. 네; 회화에서, 감동·놀람·의문을 나타냄. 예. 네. 뭐; 〈名詞에 붙어〉 남에게 말을 걸 때 쓰는 예스러운 말; 〈「か」 「だれ」 「何」 등 의문을 나타내는 말이나, 「だ」 「です」 등에 붙어〉 의문의 뜻을 강조함; 〈말 끝에 붙어〉 어조를 부드럽게 하거나 친근감을 나타내거나 함
二
《名詞 등에 붙어 形容動詞의 어간을 만듦》 불. 부. 〔참고〕 관용상 「ぶ」로 되는 경우도 있으며, 이 때 흔히 「無」로도 씀; …을 하는 남자. 부. 원(員). 〔반의어〕 婦; …을 하는 여자. 부. 〔반의어〕 夫; 둘. ((소리내어 수를 셀 때의 말)) 〔동의어〕ふたつ·ふう; 중국 고대의 화폐; 『문어』 무녀. 무당; 『문어』 중심지; 《고어》 지방 관청. 또는 그 소재지; (일본 장기의) 졸. 〔동의어〕兵; 『문어』 부고. 부음. 〔동의어〕訃音; 『수학』 부. 음(陰). 〔반의어〕 正; 『물리』 음극(陰極); 부적; 옛날 상급 감독 관청에서 하급 관청에 내린 공문서; 부; 증표(證票); 기호. 부호; 《고어》 부. 풍부함. 부자임. 〔반의어〕 貧; 반점. 얼룩. 〔동의어〕まだら; 내장; 사려 분별. 생각. 근성(根性); 부; 『문학』 시경(詩經)의 육의(六義)의 하나. 비유법을 쓰지 않고 느낀 것을 그대로 읊는 시의 서술법; 『문학』 글귀 끝에 운(韻)을 달고 대구(對句)를 많이 쓰는 한문체(漢文體)의 하나; 토지 또는 인구에 할당되던 조세(租稅); 밀가루에서 얻어지는 글루텐으로 만든 식품. ((「生麩」와 「焼麩」가 있음)); 보; 『음악』 음보(音譜). 악보(樂譜); 기보(碁譜); 〈흔히, 接尾語적으로 씀〉 계통을 세워 순서 있게 적은 기록. 계보. 도감
ブラウン
브라운. 갈색
ぼかし
『미술』 회화에서 어느 부분과 부분 사이의 농담을 점점 짙게 또는 점점 엷게 하는 기법(技法). 선염법(渲染法)
でここでチークを塗るんですが、
塗る
《속어》 미끈미끈한 액체. 점액(粘液). 진; 칠하다. 바르다; (죄나 책임을) 전가시키다; 화장하다. 【가능동사】 ぬ·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チーク
치크. 뺨. 볼. 〔동의어〕頰; 『식물·식물학』 티크. ((건축·가구·선박·차량 등의 용재로 씀))
頬っぺたではなくて、 目のすぐ近くから頬骨にかけて小さく塗るのがポイントです。
塗る
《속어》 미끈미끈한 액체. 점액(粘液). 진; 칠하다. 바르다; (죄나 책임을) 전가시키다; 화장하다. 【가능동사】 ぬ·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近く
근처. 가까운 곳. 〔동의어〕近所. 〔반의어〕 遠く; 〈数詞에 붙여〉 …에 가까움; 곧. 근간. 일간(에); 『지리·지학·지명』 지핵. 〔동의어〕核·コア; 『지리·지학·지명』 지각. 지구의 외각(外殼); 지각; 『심리학』 감각 기관을 통하여 외부의 사물을 인식하는 작용; 감지
目
《「目」가 다른 말과 복합할 때의 형태》 눈; 정말. 진실. 〔동의어〕ほんとう·まこと; 《名詞·形容詞 등에 붙음》; 참다운. 진실한; 바른. 정확한. 순수한; 아름다운. 뛰어난; (같은 종류의 동식물 중) 가장 표준적인; (공간적인) 사이. 틈. 간격; (시간적인) 사이. 동안. 겨를. 짬; (적당한) 기회. 시간. 시기. 때; 방; (일본 음악·춤·연극 등에서) 박자와 박자, 동작과 동작, 대사와 대사 사이의 시간적 간격. 또는 (전체적인) 리듬감(感); 일본식 방의 수를 세는 말. 실(室). 방; 삼베. 삼실; 『불교』 〈범어 「māra」의 음역(音譯)인 「魔羅」의 준말〉 마귀. 악마. 귀신; 〈「~の」의 꼴로〉 마(魔)의. ((나쁜 일이 흔히 일어나는 장소·날짜·시간·요일 등을 형용할 때 씀)); 마. 광(狂). 그 일만을 끈덕지게 되풀이하여 남에게 해를 끼치는 사람; 《「いま」의 준말》 더욱. 더; ⇒ まあ< 2>
ポイント
포인트; 점. 지점; (경기 등의) 득점. 점수; 『수학』 소수점; 요점. 핵심; 시기. 적기; (철로의) 레일 전철기(轉轍機); 활자 크기의 단위. 〔동의어〕ポ; (트럼프에서) 1의 패. 에이스. 〔동의어〕エース
睫毛にビューラーをかけたら、 アイライナーを引きます。
引き
끎. 끌어당기는 힘. 또는 거기에 견디는 힘. 〔반의어〕 押し; (특별히) 이끌어 줌. 돌봐줌; 연줄. 연고(緣故). 〔동의어〕つて; (사진을 찍을 때) 카메라를 뒤로 물릴 수 있는 여지; (낚시에서 물고기가 미끼를) 물어 당기는 힘; 江戸 시대의 전조(田租)의 감면; 길잡이. 인도(引導). 안내; 「引き出物(답례품)」의 준말; 《動詞 앞에 붙어》 그 뜻을 강조함. 〔참고〕 「ひっかく」 「ひん曲げる」 등과 같이 音便으로 「ひっ」 「ひん」이 되기도 함; 《「びき」로 濁音화함》; 할인. 깎음; 엷게 칠함. 입힘. 씌움; 『동물·동물학』 두꺼비. 〔동의어〕ひきがえる; 『문어』 비훼. 헐뜯음. 욕함; 『문어』 희비; 짐승·새·물고기·벌레 등을 세는 말. 마리; 엽전을 세던 단위. ((처음에는 10푼을, 뒤에는 25푼을 한 단위로 하였음)); 피륙을 세는 단위. 필. 〔참고〕 一·六·八·十 뒤에 오면 「ぴき」, 三 뒤에 오면 「びき」가 됨. 1.에서, 물고기에는 「尾」, 큰 짐승에는 「頭」를 쓰기도 하고, 새는 흔히 「羽」를 씀
睫毛
속눈썹
目の形に合わせて引いて、 目尻はその流れのまま下げ気味に伸ばしておきます。
形
굳은. 딱딱한; (한 쌍 중의) 한쪽. 짝. 편; (둘이 있어야 할 것 중의 한쪽을 가리키는) 짝. 외; 불완전함; 한쪽에 치우침; 약간. 조금; 형. 모양. 형상. 〔동의어〕かたち; 저당. 담보. 〔동의어〕抵当; 흔적. 자국; 어깨; 어깨와 비슷한 부분. 산꼭대기에 가까운 평평한 부분; 옷의 어깨 부분; 물건 위쪽의 모서리 부분; 형. 본. 틀. 거푸집. 골; 무도(武道)·예도(藝道)·운동 등의, 규범이 되는 동작이나 일정한 형(型). 폼. 〔동의어〕フォーム; 습관으로 정해진 형식. 틀. 관례; 전형(典型). 형. 유형(類型). 〔동의어〕タイプ·パターン; 크기. 사이즈; 『지리·지학·지명』 사구(砂丘) 등으로 바다와 분리되어 생긴 호수나 늪. 석호(潟湖). 〔동의어〕せきこ; 개펄. 간석지(干潟地). 〔동의어〕ひがた; 《関西(관서)방언》 만(灣); 『문어』 과다. 퍽 많음. {문어·ナリ 활용 }; 분. ((남에 대한 높임말)); 『문어』 방향. 방위. 쪽. 편. 〔동의어〕むき·方位; 『문어』 즈음. 시절. 무렵. 시대. 〔동의어〕ころ·時分; 『문어』 장소. 곳; 『문어』 〈흔히 否定語가 따름〉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를) 방법. 수단; 둘 가운데 한쪽. 편; 담당자. 〔동의어〕係; 〈남의 이름에 붙어〉 그 사람 집에 의지하고 있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방법. 수단; 〈動詞의 連用形이나 サ変動詞의 語幹에 붙어〉 …을 함. …하기; 사람을 셀 때의 높임말. 분. ((「おひとかた(한 분)」 「おふたかた(두 분)」 「おさんかた(세 분)」의 꼴로만 씀)); 『문어』 과다함. 〔반의어〕 過少. {문어·ナリ 활용 }
流れ
흐름. 물결; 흐르는 물. 강. 시내; 추이. 추세. 흐름; 혈통. 계통; (학문이나 예능 등의) 계통. 유파(流派); 어떤 모임이 끝난 후 흩어져 가는 사람들. 또는 그 발길; 방랑. 유랑. 특히 창녀의 떠돌이 신세; 지붕의 물매; (전당물의) 유질(流質). 유질물; 회합·계획 등이 깨짐. 유회. 중지. 취소; 먹다 남은 술. 윗사람에게서 받는 술; 기(旗) 등을 세는 말. 폭. 〔동의어〕旒
気味
『문어』; 임금. 군주; 윗사람에 대한 높임말; 논다니. 유녀; 남자가 동년배 또는 손아래 상대를 친근하게 부르는 말. 자네. 그대. 군. ((「おまえ」보다 공손한 말)) 〔반의어〕 僕; 느낌. 기분. 〔동의어〕きび; 〈「~がいい」 「いい~(だ)」의 꼴로〉 고소한 기분이다. 고소하다; 기미. 기운. 경향; ⇒ きび; 노랑을 띠고 있음. 노란 빛깔. 〔동의어〕黄色み; 노른자위. 난황(卵黃). 〔동의어〕卵黄. 〔반의어〕 白身
合わせ
《고어》 반찬. 〔동의어〕おかず; 겹옷. 겹것. 〔반의어〕 単
目
《「目」가 다른 말과 복합할 때의 형태》 눈; 정말. 진실. 〔동의어〕ほんとう·まこと; 《名詞·形容詞 등에 붙음》; 참다운. 진실한; 바른. 정확한. 순수한; 아름다운. 뛰어난; (같은 종류의 동식물 중) 가장 표준적인; (공간적인) 사이. 틈. 간격; (시간적인) 사이. 동안. 겨를. 짬; (적당한) 기회. 시간. 시기. 때; 방; (일본 음악·춤·연극 등에서) 박자와 박자, 동작과 동작, 대사와 대사 사이의 시간적 간격. 또는 (전체적인) 리듬감(感); 일본식 방의 수를 세는 말. 실(室). 방; 삼베. 삼실; 『불교』 〈범어 「māra」의 음역(音譯)인 「魔羅」의 준말〉 마귀. 악마. 귀신; 〈「~の」의 꼴로〉 마(魔)의. ((나쁜 일이 흔히 일어나는 장소·날짜·시간·요일 등을 형용할 때 씀)); 마. 광(狂). 그 일만을 끈덕지게 되풀이하여 남에게 해를 끼치는 사람; 《「いま」의 준말》 더욱. 더; ⇒ まあ< 2>
目尻
눈초리. 눈꼬리. 〔동의어〕まなじり. 〔반의어〕 目頭
下げ
내림. 낮춤; 『경제』 (시세의) 내림세. 하락; 「下げ緒」의 준말. 1.2.〔반의어〕 上げ
マスカラ下地を上下に塗って、 黒いマスカラを上睫毛は軽く、 下睫毛は濃くなるようにたっぷり塗ります。
上
(지위·연령·위치·능력 등의) 위. 높음; 높은 곳. 위; 표면. 겉면; 겉모양. 외관(外觀); 《고어》 귀인. 어르신. 높은 분. ((천황·将軍·大名 등)); 순서의 앞 부분. 1.~6. 〔반의어〕 下; …에 관계 있는 일; 〈「…~(に)」의 꼴로〉 …에 더하여. 게다가; 〈「…~(で)」의 꼴로〉 …하고 나서. …한 후; 〈「…~は」의 꼴로〉 …한 이상. …한 바에는; 손윗사람을 이를 때 곁들이는 말. …님; 굶주림. 기아; 통발. ((민물고기를 잡는 도구의 하나)) 〔동의어〕うけ
下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たっぷり
《副詞는 「~と」의 꼴로도 씀》; 넘칠 만큼 충분한[많은] 모양. 잔뜩. 충분히. 듬뿍. 많이; 적게 어림하여도 그만한 수량은 되는 모양. 충분히. 넉넉히; (부피·수량이) 충분하여 여유가 있는 모양
上下
위아래. 상하. 〔동의어〕じょうげ; 위아래가 거꾸로 됨. 반대. 〔동의어〕逆様; 조야(朝野). 관민(官民)
黒い
검다. 까맣다; 거멓다. 거무스름하다; 더러워져 있다. 더럽다; 범죄의 혐의가 짙다; 악(惡)·부정·불길 등의 느낌이 있다. 좋지 않다. くろ·げ 【형용동사】 くろ·さ 【명사】 【문어형】 くろ·し {ク 활용}
塗り
칠함. 또는 칠한 것; 칠한 모양[방식]; 옻칠
睫毛
속눈썹
下地
본래의 성질. 소질. 소양; 무엇이 되기 위한 것. 또는 어떤 상태가 되기 위한 바탕이 되는 것; (국물을 만들 때의 기초적인 양념이라는 뜻에서) 간장; 흙을 바르기 위한 벽의 뼈대. 〔동의어〕かべしたじ
マスカラ
마스카라. ((속눈썹용 화장품의 한 가지))
次に、 付け睫毛を付けるんですが、
付ける
붙이다; 접촉시키다. 접합시키다. 대다. 〔동의어〕くっつける; 부착시키다. 달다; 바르다. 묻히다. 칠하다; 표를 하다. 자국을 남기다[내다]; (색이나 향기 등을) 첨가하다. 내다; 기입하다. 쓰다; 착용하다. 입다. 신다. 〔참고〕 의복·장신구 등의 경우에는 「着ける」로 씀; (連歌·俳諧에서) 앞의 구에 연결되는 구를 짓다; 딸리다; 곁들이다. 덧붙이다; 뒤쫓다. 미행하다; 주목하다. 조심하다; 한패로 만들다; 북돋우다. 첨가시키다; (불을) 붙이다. 켜다. 점화하다. 〔참고〕 「点ける」로도 씀; 명명(命名)하다; 취하다; 매기다; 어떤 조건을 달다; 마무르다. 결말짓다; 술을 알맞게 데우다; 그릇 등에 담다; 설치하다. 마련하다. 내다; 익히다. 어떤 성질이나 능력이 갖추어지도록 하다; (편지를) 보내다; 싣다; 할당하다. 배역하다; (가까이) 대다; 〈「…に~·け(て)」의 꼴로〉 …에 관련하여[관련시켜]; 판단하다. 짐작하다; 구분[구별]을 짓다. 차이를 내다; 버릇을 들이다. 【문어형】 つ·く {하2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늘 …하다. …해 버릇하다; 동작이 격렬함을 나타냄. 【문어형】 つ·く {하2단 활용}; 담그다; 잠그다. 적시다. 〔동의어〕浸す; (채소 등으로) 절임을 만들다. 〔참고〕 「漬ける」로 씀. 【문어형】 つ·く {하2단 활용}; (자리·지위 등에) 앉히다. 〔참고〕 즉위(卽位)의 경우는 「即ける」로 씀; 종사시키다; 지도를 받게 하다. 【문어형】 つ·く {하2단 활용}
付け
붙임; 계산서. 청구서. 〔동의어〕勘定書き; 외상 장부에 기입함. 또는 그 청구서; 〈「付拍子」의 준말〉 (歌舞伎에서) 배우가 유다른 제스처를 쓸 때나 난투 장면 등에 효과를 내기 위하여 딱따기로 마루를 치는 일;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늘 그 일을 해 버릇함
睫毛
속눈썹
次に
《名詞 「次」+助詞 「に」》 다음에. 뒤이어. 그리고 나서. 〔동의어〕それから·続いて
今回は付け睫毛をデコってみました。
今回
금회. 이번 차례. 이번. 금번
付け
붙임; 계산서. 청구서. 〔동의어〕勘定書き; 외상 장부에 기입함. 또는 그 청구서; 〈「付拍子」의 준말〉 (歌舞伎에서) 배우가 유다른 제스처를 쓸 때나 난투 장면 등에 효과를 내기 위하여 딱따기로 마루를 치는 일;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늘 그 일을 해 버릇함
睫毛
속눈썹
睫毛の内側目尻に付けま用の糊を付けて、
用
나뭇잎·종이 등 얇은 것을 세는 말. 장; 용무. 볼일. 일. 〔동의어〕用事; 소용. 쓸모. 구실; 『문어』 드는 돈. 비용. 〔동의어〕費用·入り用; 대소변. 용변; 名詞 뒤에 붙어, 무엇에 사용되는 것임을 나타냄. …용; 『문어』; 요염함; 『역사』 용. 토용(土俑). ((옛날 중국에서, 순사자(殉死者) 대신에 죽은 사람과 함께 묻었던 토제(土製) 또는 목제의 인형)); 『문어』 양. 세계를 동서의 둘로 나눈 하나. 동양과 서양. 특히, 서양; 양. 넓은 바다; 요. 요점. 요령; 필요. 필요성; 『문어』 모습. 모양. 자태. 〔동의어〕姿·かたち; 《「益」의 변한말》 보람. 효과; 『역사』 용. 律令制 시대에 부역 대신에 바친 물건; 양. 〔반의어〕 陰; 표면; 역학(易學)에서 적극적인 성질을 가진 것. ((달에 대한 해, 여자에 대한 남자, 마이너스에 대한 플러스 등)); 『의학』 양성; 『문어』 용인. 고용인. 〔동의어〕傭人; 『의학』 양. 종기; 모양. 형태. 생김새. 〔동의어〕形·有様; 방법. 수단; 〈「…~に」의 꼴로〉 목적이나 기대를 나타냄. …도록;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하는 모양;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하기 위한) 방법. 방식. 수단. 〔참고〕 흔히 かな로 씀; 〈흔히 名詞에 붙어〉 형(型). 양식(樣式); 〈흔히 名詞에 붙어〉 …의 모양(을 한 것); 빛남; 일월(日月)과 오성(五星); 요. ((요일을 일컬음. 接尾語적으로 씀)); 『의학』 옹. ((목·등·배 등에 생기는 종기)); ⇒ よく . 〔참고〕 「よく」의 音便. 방언적인 말. 〔참고〕 현대어로는 주로 西日本에서 쓰임; 무간하게 남을 부르거나 인사할 때의 말. 야! 여!; 무엇을 조르거나 할 때 하는 말. 아이. 참. 제발; 술에 취하다. 술기가 돌다; 멀미하다; 도취하다. 황홀해지다. 〔동의어〕うっとりする; 《고어》 (어육 등에) 중독되다; 미혹(迷惑)되다. (나쁜 길에) 빠지다. 헤매다. 〔동의어〕迷う. 【가능동사】 よ·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아득히 멂. 깊숙하고 어두움; 묘연함. 사정을 잘 알 수 없음. {문어·タリ 활용}; 《上1段·下1段·カ変·サ変의 動詞의 未然形, 助動詞 「せる」 「させる」 「しめる」 「れる」 「られる」의 未然形에 붙음. 다만, サ変에는 「し」의 꼴에 붙음》; 말하는 이의 의지나 결의를 나타냄. …하자; 상대에 대한 권유를 나타냄. …하자; 완곡한 명령의 뜻을 나타냄. …하자; 추량(推量)이나 상상함의 뜻을 나타냄. …겠지; 완곡한 단정을 나타냄. …할 수 있을 것이다. …하리라;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ㄹ까보냐. …하겠나; 가정(假定)이나 가상(假想)의 상태를 나타냄. …건. …든지; 〈「~とする」의 꼴로〉 동작·작용·상태가 실현의 직전에 있음을 나타냄. …려고; 가능성을 나타냄. …할 수 있다; 『문어』 유. 어림. 어린 사람[아이]. 〔반의어〕 老
糊
《体言·形容詞 등의 앞에 붙음》; (모양이) 작은; (수량·정도가) 작은. 약간의. 잔; 깔보는 뜻을 나타냄; 근(近). 거의; 〈흔히 신체 부분을 나타내는 名詞에 붙어〉 그 동작을 가볍게 하는 뜻을 나타냄; 어쩐지 그런 느낌이 든다는 뜻을 나타냄; 앞의 말과 같은 어감을 가진 말에 붙어 어조를 고름; 고. ‘옛날의’ ‘오래된’의 뜻을 나타냄; 고. 고인; 짙은; 〈擬声語·擬態語 등의 副詞에 붙어〉 그런 상태임을 나타냄; 〈名詞 또는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하는 일’의 뜻을 나타냄. …함; 〈흔히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서로 같은 동작을 함’ ‘서로 겨룸’의 뜻을 나타냄. 서로 겨룸; 별다른 뜻이 없이 여러 가지 말에 붙음; 『문어』 《상태를 나타내는 한어(漢語)에 붙어》 감동을 나타내거나 어조를 강하게 함. 호. …히; 고; 호; 자식. 〔반의어〕 親; 아이. 어린아이; 소녀. 젊은 여자. 〔참고〕 「娘」로도 씀; 새끼. 순(筍); 기생. 유녀(遊女). 〔참고〕 「妓」로도 씀; 이자(利子); (물고기의) 알; 여자의 이름을 구성하는 말; 〈名詞 또는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그 일을 하는 사람·물건의 뜻을 나타냄. 〔참고〕 가축(家畜)일 경우는 「仔」로도 씀; 나무; 가루. 분말; 〈「身を~にして」의 꼴로〉 (비유적으로) 몸을 아끼지 않고. 분골쇄신하여; 가루; 『문어』; 고아; 고독. 외로움; 호; 『수학』 원주(圓周) 또는 곡선의 일부분. 원호(圓弧); 개체. 개인; 물건을 세는 말. 개; 『문어』 누에. 〔동의어〕蚕; ⇒ はかま; (본디, 군대에서) 바지; 금속제의 불구(佛具)의 일종. 번뇌를 쳐부수고, 악마를 쫓는 뜻으로 손에 듦. 〔참고〕 본디, 인도의 무기였던 銛가 변한 것; 『문어』 북. 〔동의어〕太鼓; 「伏せ籠」의 준말
目尻
눈초리. 눈꼬리. 〔동의어〕まなじり. 〔반의어〕 目頭
付け
붙임; 계산서. 청구서. 〔동의어〕勘定書き; 외상 장부에 기입함. 또는 그 청구서; 〈「付拍子」의 준말〉 (歌舞伎에서) 배우가 유다른 제스처를 쓸 때나 난투 장면 등에 효과를 내기 위하여 딱따기로 마루를 치는 일;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늘 그 일을 해 버릇함
内側
안쪽. 내면. 내측. 〔동의어〕内面. 〔반의어〕 外側
睫毛
속눈썹
そこにハートのスパンコールを付けるだけです。
付ける
붙이다; 접촉시키다. 접합시키다. 대다. 〔동의어〕くっつける; 부착시키다. 달다; 바르다. 묻히다. 칠하다; 표를 하다. 자국을 남기다[내다]; (색이나 향기 등을) 첨가하다. 내다; 기입하다. 쓰다; 착용하다. 입다. 신다. 〔참고〕 의복·장신구 등의 경우에는 「着ける」로 씀; (連歌·俳諧에서) 앞의 구에 연결되는 구를 짓다; 딸리다; 곁들이다. 덧붙이다; 뒤쫓다. 미행하다; 주목하다. 조심하다; 한패로 만들다; 북돋우다. 첨가시키다; (불을) 붙이다. 켜다. 점화하다. 〔참고〕 「点ける」로도 씀; 명명(命名)하다; 취하다; 매기다; 어떤 조건을 달다; 마무르다. 결말짓다; 술을 알맞게 데우다; 그릇 등에 담다; 설치하다. 마련하다. 내다; 익히다. 어떤 성질이나 능력이 갖추어지도록 하다; (편지를) 보내다; 싣다; 할당하다. 배역하다; (가까이) 대다; 〈「…に~·け(て)」의 꼴로〉 …에 관련하여[관련시켜]; 판단하다. 짐작하다; 구분[구별]을 짓다. 차이를 내다; 버릇을 들이다. 【문어형】 つ·く {하2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늘 …하다. …해 버릇하다; 동작이 격렬함을 나타냄. 【문어형】 つ·く {하2단 활용}; 담그다; 잠그다. 적시다. 〔동의어〕浸す; (채소 등으로) 절임을 만들다. 〔참고〕 「漬ける」로 씀. 【문어형】 つ·く {하2단 활용}; (자리·지위 등에) 앉히다. 〔참고〕 즉위(卽位)의 경우는 「即ける」로 씀; 종사시키다; 지도를 받게 하다. 【문어형】 つ·く {하2단 활용}
ハート
하트; 마음. 애정; (카드에서) 붉은 심장 모양의 패
スパンコール
스팽글; (스트리퍼의) 젖꼭지를 가리는 은종이. 〔동의어〕スパングル
ちなみにこのスパンコールは原宿のWEGO でゲットしました。
ちなみに
『문어』 덧붙여서 말하면. 이와 관련하여
スパンコール
스팽글; (스트리퍼의) 젖꼭지를 가리는 은종이. 〔동의어〕スパングル
ゲット
(농구에서) 득점하는 일.
デコった付け睫毛を付けたら、 今度は付けま糊を目尻にちょこちょこ付けていきます。
今度
이번. 금번; 이 다음. 차회(次回)
糊
《体言·形容詞 등의 앞에 붙음》; (모양이) 작은; (수량·정도가) 작은. 약간의. 잔; 깔보는 뜻을 나타냄; 근(近). 거의; 〈흔히 신체 부분을 나타내는 名詞에 붙어〉 그 동작을 가볍게 하는 뜻을 나타냄; 어쩐지 그런 느낌이 든다는 뜻을 나타냄; 앞의 말과 같은 어감을 가진 말에 붙어 어조를 고름; 고. ‘옛날의’ ‘오래된’의 뜻을 나타냄; 고. 고인; 짙은; 〈擬声語·擬態語 등의 副詞에 붙어〉 그런 상태임을 나타냄; 〈名詞 또는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하는 일’의 뜻을 나타냄. …함; 〈흔히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서로 같은 동작을 함’ ‘서로 겨룸’의 뜻을 나타냄. 서로 겨룸; 별다른 뜻이 없이 여러 가지 말에 붙음; 『문어』 《상태를 나타내는 한어(漢語)에 붙어》 감동을 나타내거나 어조를 강하게 함. 호. …히; 고; 호; 자식. 〔반의어〕 親; 아이. 어린아이; 소녀. 젊은 여자. 〔참고〕 「娘」로도 씀; 새끼. 순(筍); 기생. 유녀(遊女). 〔참고〕 「妓」로도 씀; 이자(利子); (물고기의) 알; 여자의 이름을 구성하는 말; 〈名詞 또는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그 일을 하는 사람·물건의 뜻을 나타냄. 〔참고〕 가축(家畜)일 경우는 「仔」로도 씀; 나무; 가루. 분말; 〈「身を~にして」의 꼴로〉 (비유적으로) 몸을 아끼지 않고. 분골쇄신하여; 가루; 『문어』; 고아; 고독. 외로움; 호; 『수학』 원주(圓周) 또는 곡선의 일부분. 원호(圓弧); 개체. 개인; 물건을 세는 말. 개; 『문어』 누에. 〔동의어〕蚕; ⇒ はかま; (본디, 군대에서) 바지; 금속제의 불구(佛具)의 일종. 번뇌를 쳐부수고, 악마를 쫓는 뜻으로 손에 듦. 〔참고〕 본디, 인도의 무기였던 銛가 변한 것; 『문어』 북. 〔동의어〕太鼓; 「伏せ籠」의 준말
目尻
눈초리. 눈꼬리. 〔동의어〕まなじり. 〔반의어〕 目頭
付け
붙임; 계산서. 청구서. 〔동의어〕勘定書き; 외상 장부에 기입함. 또는 그 청구서; 〈「付拍子」의 준말〉 (歌舞伎에서) 배우가 유다른 제스처를 쓸 때나 난투 장면 등에 효과를 내기 위하여 딱따기로 마루를 치는 일;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늘 그 일을 해 버릇함
睫毛
속눈썹
ちょこちょこ
《副詞는 「~と」의 꼴로도 씀》; 종종걸음으로. 아장아장; 졸랑거리거나 거동이 부산한 모양. 촐랑촐랑. 〔동의어〕ちょこまか; 이따금. 가끔.〔동의어〕ちょいちょい·しばしば
そこに指に取ったスパンコールを貼り付けて、
指
시간·장소를 나타내는 말에 붙음. 지. 까지. …에 이름. 〔반의어〕 自; 지. 역사서임을 나타냄. 기록; 사. 사자(使者). 사절(使節); 동배(同輩) 이상의 여성 이름에 붙여 경의를 나타냄. 님. 여사. 〔반의어〕 兄; 지. 신문의 뜻을 나타냄; 《주로 한자어에 붙어 名詞·サ変動詞의 語幹을 만듦》 ‘…로 간주하다’ ‘…로 취급하다’의 뜻을 나타냄. 시; 『문어』 나이. 연령; 지; 잡지의 뜻을 나타냄; 기록한 문서의 뜻을 나타냄; (江戸 시대의) 무사. 무사 계급. 〔동의어〕武士·さむらい; 선비. 남자; (법률상) 전문직의 자격을 가진 사람. 사; 자; 아들; 「子爵」의 준말; 「孔子」의 준말; 『문어』 친한 사이의 동년배나 손아랫사람을 부를 때의 호칭. 군(君). 자네; 〈주로, 동작성(動作性)의 名詞에 붙음〉 남자를 뜻하는 자칭(自稱). …자; 〈인명에 붙어〉 친숙함을 나타냄. 형; 옛날, 귀족 여성의 이름에 붙여 사용한 글자; 작은 것을 나타냄. …자; 《「支那」의 준말》 지. 지나. 중국; 관장하는 사람; 관아. 관청; 담당자; 역사; 《歴》 大宝令 제도에서, 문서·서무를 관장하던 제4등의 관리; 사. 역사; 사. 넷. 〔동의어〕よ·よん·よつ·よっつ; 시. 시장. 장. 저자. 〔동의어〕いち·いちば; 시가(市街). 도시. 〔동의어〕まち; 『법률』 지방 자치 단체의 하나. 시; 사; 죽음. 〔반의어〕 生; 『문어』 사형. 사죄(死罪); (변하여) 활동하지 않게 됨. 활동을 멈춤. 기능을 못하게 됨; (비유적으로) 까닭 모르게 무서움. 어쩐지 기분이 나쁨; (야구에서) 사. 아웃; 사. 1의 1만분의 1. 모(毛)의 10분의 1; 『문어』 사. 개인에 관한 일. 사사(私事). 〔반의어〕 公; 『문어』; 가시. 〔동의어〕とげ·はり; (변하여) 가시돋친 말. 상대의 급소를 찌르는 비평; 명함. 〔동의어〕名刺; 『문어』 가지. 또는 손발. 수족; 『문어』 가늘고 긴 것을 세는 말. 가지. 자루; 《고어》 음식. 밥. 먹을것; 『문어』 군대. 전쟁; 선생. 스승; 전도(傳道)하는 사람; (군대의) 「師団」의 준말; 사; 종교가·예능인 등의 이름에 붙여 경의를 나타냄; 『식물·식물학』 가래나무; 판목(版木); 『문어』 보랏빛. 자색; 사; 『언어학』 일본어의 단어를 문법상의 성질로 크게 나눈 둘 중의 하나. 〔반의어〕 辞; 『문어』 사. 사자(嗣子). 후사(後嗣); 『문학』; 시; 한시(漢詩); 『문어』 시험; 시험함. 시도함; 재화. 재산. 자금. 자본; 재료. 자료; 도움. 원조; 천성. 자질(資質); 『문어』 사두 마차. 또는 그 네마리의 말; 《他称의 人代名詞》 그. 이분. 그분. ((주로 남자를 이름)) 〔동의어〕かれ·その人·この方; 씨. 보통 남자의 성명 아래 붙여 경의를 나타냄; 〈「人」의 높임말. 한자 수사에 붙어〉 분;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어서 앞뒤의 말을 접속함》; 앞에 말하는 사항이 뒤에 말하는 사항과 병렬적·대비적인 관계임을 나타냄; 앞에서 든 사항이 원인·이유가 됨을 나타냄; 〈終助詞적으로 써서〉 하나의 사실이나 조건을 말하고, 결론을 은연중에 암시하는 뜻을 나타냄; 상반되는 조건·사항을 열거함. …고; 〈「…まいし」의 꼴로〉 상대를 나무라거나 얕보는 뜻을 나타냄; 『문어』 《「今~も」 「必ず~も」 「ただ~」 등 관용적(慣用的)으로 씀》 앞말을 가리켜 의미를 강조하고, 어조(語調)를 고름
取っ
《「取り」의 변한말. 動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뜻을 강조함. 〔참고〕 「取り」보다 다소 속어적인 표현이 됨
付け
붙임; 계산서. 청구서. 〔동의어〕勘定書き; 외상 장부에 기입함. 또는 그 청구서; 〈「付拍子」의 준말〉 (歌舞伎에서) 배우가 유다른 제스처를 쓸 때나 난투 장면 등에 효과를 내기 위하여 딱따기로 마루를 치는 일;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늘 그 일을 해 버릇함
スパンコール
스팽글; (스트리퍼의) 젖꼭지를 가리는 은종이. 〔동의어〕スパングル
ピンセットで位置を調節します。
位置
일; 하나. 〔동의어〕一つ. 〔참고〕 증서 등에서는 갖은자인 「壱」을 씀; (사물의) 시초. 처음. 첫째. 최초. 〔동의어〕一番め; 최상. 최고. 으뜸. 〔동의어〕首位; (상투 등에서) 元結로 묶은 곳에서 뒤로 내민 부분; (三味線·거문고 등에서) 제일 낮은 음의 줄. 〔동의어〕一の糸; (많은 것 중) 한. 하나의. 한 사람의; (이렇다 할 만한 데가 없는) 하찮은. 어떠 한; 어떤. 한; 상당한. 버젓한; 시장. 저자. 장; (변하여) 시가. 거리. 〔동의어〕街; 지위(地位). 〔동의어〕地位; 위치; 지위. 입장
調節
조절. 〔동의어〕コントロール
ピンセット
핀셋.
さらにラメライナーを涙袋とスパンコールを付けた部分の上に塗ったら、
涙
눈물; 누액(淚液); 울음; (비유적으로) 동정. 인정
袋
《名詞에 붙어》 ‘…에 견디는’ ‘…에 침식되지 않는’의 뜻을 나타냄; 《색깔을 나타내는 名詞에 붙어》 ‘…을 띤’ ‘…빛깔의’의 뜻을 나타냄; 기후·자연 현상 등에 의하여 나눈 지구상의 띠 모양의 지역; 《名詞나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形容詞를 만듦》 ‘심하다’ ‘그런 상태이다’의 뜻을 나타냄. 【문어형】 た·し {ク 활용}; 부대. 자루; 타의. 다른 뜻. 딴 생각. 딴 마음. 〔동의어〕別意; 몸. 〔동의어〕身; 모양. 형태; 본질. 실체; 불상·시체 등을 세는 말. 좌(座). 구(具); 짝. 쌍. 둘이 한 벌을 이루는 것; (두 수 사이에 끼여) 비(比)를 나타냄. 대; (두 말 사이에 끼여) 서로 대립하는 것임을 나타냄. 대; 대등함; 반대; 〈接頭語적으로〉 공작·교섭·대항 등의 상대임을 나타냄. 대; 『문어』 태. 자궁. 〔동의어〕こぶくろ; 『문어』 태아; 「胎蔵界」의 준말; 『지리·지학·지명』 퇴. 해양 속 해저의 두루룩한 부분. 뱅크. 〔동의어〕バンク; (어떤 목적을 위해 모인) 대. 대열(隊列); 부대; 조직·집단·군대 등의 뜻을 나타냄. …대; 상태. 모양. 〔동의어〕すがた; ‘…의 상태’의 뜻을 나타냄; 『어류』 도미; 《動詞 및 動詞型活用의 助動詞의 連用形에 붙음. 可能動詞에는 안 붙음》 희망의 뜻을 나타냄; 동작하는 이의, 그 동작에 대한 희망의 뜻을 나타냄; 〈「れ·られ·くだされ·なされ」 등에 붙어〉 상대편의 행위에 대한 희망을 나타냄. …해 주셨으면 합니다. …해 주시기 바랍니다
部分
부분. 〔반의어〕 全体; 『문어』 무문; 법률을 멋대로 해석해서 남용함; 붓을 멋대로 놀려 왜곡된 문사(文辭)를 씀. 무문곡필
上
(지위·연령·위치·능력 등의) 위. 높음; 높은 곳. 위; 표면. 겉면; 겉모양. 외관(外觀); 《고어》 귀인. 어르신. 높은 분. ((천황·将軍·大名 등)); 순서의 앞 부분. 1.~6. 〔반의어〕 下; …에 관계 있는 일; 〈「…~(に)」의 꼴로〉 …에 더하여. 게다가; 〈「…~(で)」의 꼴로〉 …하고 나서. …한 후; 〈「…~は」의 꼴로〉 …한 이상. …한 바에는; 손윗사람을 이를 때 곁들이는 말. …님; 굶주림. 기아; 통발. ((민물고기를 잡는 도구의 하나)) 〔동의어〕うけ
付け
붙임; 계산서. 청구서. 〔동의어〕勘定書き; 외상 장부에 기입함. 또는 그 청구서; 〈「付拍子」의 준말〉 (歌舞伎에서) 배우가 유다른 제스처를 쓸 때나 난투 장면 등에 효과를 내기 위하여 딱따기로 마루를 치는 일;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늘 그 일을 해 버릇함
ライナー
라이너; (야구에서) 직선으로 날아가는 타구(打球); 정기 항공기
スパンコール
스팽글; (스트리퍼의) 젖꼭지를 가리는 은종이. 〔동의어〕スパングル
アイメークは完成です。
完成
완성; 『법률』 관제. 〔참고〕 신헌법에서는 이 말을 쓰지 않음; 관제. 정부 기관에서 만듦. 또는 그것. 〔반의어〕 私製; 함정; 허방다리. 〔동의어〕落とし穴; 남을 속여 어려움에 빠뜨리는 책략; 건성. 〔반의어〕 湿性; 함성. 여럿이 함께 지르는 고함소리; 환성. 크게 외치는 소리; 『문어』; (비유적으로) 개똥벌레의 빛; 『철학』 감성; 『물리』 관성. 타성. 〔동의어〕惰性; 관제; (비상시 등에) 국가가 강제적으로 자유로운 활동·사용을 관리·제한하는 일; 항공기의 항행 관리·규제; 환성. 환호성; 『문어』 코고는 소리; 『문어』 함정. 우리와 허방다리; 『문어』 조용하고 단정함. 음전함. {문어·ナリ 활용 }; 한정. 한가하고 고요함. {문어·ナリ 활용 }; 『문어』 감제. 감독하여 만듦
あっ! 眉毛を忘れてました。
眉毛
눈썹. 〔동의어〕まゆ
眉毛は髪色に合わせてピンクのアイシャドウで描いてます。
髪
위. 위쪽. 〔반의어〕 下; 상류. 〔동의어〕川上. 〔반의어〕 下; 앞부분. 앞. 첫머리; 초(初). 처음. 상순(上旬). 〔반의어〕 下; 이전. 예전. 옛날; 지체가 높은 분; 군주. 〔동의어〕天皇. 〔반의어〕 下; 〈흔히 「お~」의 꼴로〉 주군(主君). 주인; 〈흔히 「お~」의 꼴로〉 조정. 정부; 윗자리. 상좌(上座). 상석(上席). 〔반의어〕 下; 궁궐(宮闕)이 있는 곳. 즉 京都. 또는 그 지방. 〔반의어〕 下; 특히 京都 시내에서 북쪽; (부엌에 대하여) 안(쪽) 〔반의어〕 下; 객석에서 볼 때 무대의 오른쪽. 〔동의어〕上手. 〔반의어〕 下; 『역사』 대신(大臣). 대장(大將). 태수(太守). 수령(守令). (중앙·지방 관청의) 장관. 〔참고〕 관청에 따라 「頭·督·伯·正·大夫」 등으로도 썼음. 읽기는 모두 「かみ」; 신. 하느님. 신령. 특히, 부처에 대한 神道의 신; (가위바위보에서) 보. 〔동의어〕ぱあ. 〔반의어〕 石·はさみ; 머리털. 머리칼. 머리. 〔동의어〕頭髪; 손질한 머리 모양. 〔동의어〕髪形; 『문어』 가미; (음식에 다른 조미료 등을 넣어) 맛을 더함; (비유적으로) 어떤 것에 다른 것의 요소를 덧붙이거나 곁들이는 일; 가미; 좋은 맛. 진미(珍味). 훌륭한 맛; (비유적으로) 재미. 〔동의어〕面白み
ピンク
핑크; 담홍색. 분홍빛. 〔동의어〕ももいろ; 색정적임. 호색적임
合わせ
《고어》 반찬. 〔동의어〕おかず; 겹옷. 겹것. 〔반의어〕 単
色
색. 빛. 빛깔. 색채; 피부색. 특히, 얼굴빛; 표정. 기색. 기미. 빛; 종류; 소리의 울림. 음색; (아름다운) 몸매. 성적 매력; 색정. 정사(情事). 연애; 《속어》 애인. 정부
眉毛
눈썹. 〔동의어〕まゆ
眉毛ブリーチするのを忘れてたので、 今日は眉マスカラをしました。
今日
광. 그 일에 열중하는 사람임을 나타냄; 협. 협곡(峽谷)임을 나타냄; 교. 종교임을 나타냄; 교. 다리임을 나타냄; 경. 거울임을 나타냄; 오늘. 금일. 〔동의어〕本日; 흉. 운수가 나쁨. 불길함. 〔동의어〕不吉. 〔반의어〕 吉; 〈「共産党」의 준말〉 공산당; 〈「共産主義」의 준말〉 공산주의; 『문어』 수도. 서울. 〔동의어〕首都; 京都. 〔참고〕 옛날에 일본의 수도였음; 『수학』 경. 조(兆)의 1만 배. 〔동의어〕京; 「いろは歌」의 끝에 붙이는 말; 《「香車」의 준말》 일본 장기짝의 하나; 강함. 강자; (어떤 수량에 붙어) 그보다 조금 더 됨을 나타냄. 〔반의어〕 弱; 『불교』 불경. 경문. 〔동의어〕お経; 성전(聖典). 경서(經書); 『문어』 고향. 〔동의어〕ふるさと; 곳. 장소. 지역; 어떤 장소나 경우; 마음의 상태. 경지; 경; 장소. 범위. 처지; 심경. 경지(境地); 흥; 흥취. 흥미. 재미. 〔동의어〕面白み; 좌흥(座興); 『문학』 한시(漢詩) 육의(六義)의 하나. 어떤 사물에 접하여 자기의 감흥을 표현함
眉毛
눈썹. 〔동의어〕まゆ
眉
생선을 세는 말. 마리. 〔동의어〕匹; 미; 아름다움. 좋음. 〔반의어〕 醜; 훌륭함. 칭찬할 만한 가치가 있음; 맛이 좋음; 『문어』; 희미함. 미미함; 작음. 미세함; 미. 작은. 미세한
マスカラ
마스카라. ((속눈썹용 화장품의 한 가지))
ブリーチ
브릿지. 표백 탈색.
リップはピンクで仕上げていきます。
ピンク
핑크; 담홍색. 분홍빛. 〔동의어〕ももいろ; 색정적임. 호색적임
リップ
립. 입술
仕上げ
마무리. 완성. 됨됨이; (작업의) 마지막 공정(工程). 끝손질
アイメークがメインなので、 リップの色はポンポンポンと薄めに塗っといて、
色
색. 빛. 빛깔. 색채; 피부색. 특히, 얼굴빛; 표정. 기색. 기미. 빛; 종류; 소리의 울림. 음색; (아름다운) 몸매. 성적 매력; 색정. 정사(情事). 연애; 《속어》 애인. 정부
メイン
⇒ メーン
リップ
립. 입술
薄め
(두께·색·맛 등이) 비교적 얇음. 엷음. 조금 싱거움. {문어·ナリ 활용 }; 눈을 가늘게 뜸. 실눈
グロスで艶を出すイメージです。
艶
요염함. {문어·ナリ 활용 }
出す
(안에서 밖으로) 내다. 꺼내다. 내놓다; (앞으로) 내밀다; (분비물·액체를) 흘리다. 나오게 하다; (딴 곳으로) 보내다. 출발시키다; 나타내다. 드러내다; (소리·빛·열 등을) 내다; (편지·신호 등을) 보내다. 부치다; 내다. 제출하다; 내다. 발표하다. 출품하다; 발행하다. 출판하다; 내놓다. 제공하다; (값을) 치르다. 지급하다; 내보내다. 배출하다; 발생시키다. 내다; 발휘하다; (속력을) 올리다. 내다; 내보이다. 내걸다; (어떤 결과를) 가져오게 하다. 초래하다; (맛을) 우려내다; (가게를) 차리다. 개업하다; (과제·문제를) 과(課)하다. 【가능동사】 だ·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밖으로 내놓다’의 뜻을 나타냄; ‘겉으로 나타나다’ ‘구체화하다’의 뜻을 나타냄; ‘…하기 시작하다’의 뜻을 나타냄. 【문어 4단 활용 동사】
イメージ
이미지. 영상(映像). 인상. 심상(心像). 〔동의어〕イマージュ
グロス
그로스.; 골프에서 핸디캡을 빼지 않은 총계 스코어.
これでキラキラハートメークの完成です。
完成
완성; 『법률』 관제. 〔참고〕 신헌법에서는 이 말을 쓰지 않음; 관제. 정부 기관에서 만듦. 또는 그것. 〔반의어〕 私製; 함정; 허방다리. 〔동의어〕落とし穴; 남을 속여 어려움에 빠뜨리는 책략; 건성. 〔반의어〕 湿性; 함성. 여럿이 함께 지르는 고함소리; 환성. 크게 외치는 소리; 『문어』; (비유적으로) 개똥벌레의 빛; 『철학』 감성; 『물리』 관성. 타성. 〔동의어〕惰性; 관제; (비상시 등에) 국가가 강제적으로 자유로운 활동·사용을 관리·제한하는 일; 항공기의 항행 관리·규제; 환성. 환호성; 『문어』 코고는 소리; 『문어』 함정. 우리와 허방다리; 『문어』 조용하고 단정함. 음전함. {문어·ナリ 활용 }; 한정. 한가하고 고요함. {문어·ナリ 활용 }; 『문어』 감제. 감독하여 만듦
スパンコールをいろんなモチーフやカラーに変えたら、 いろんなシーンで役に立つと思います。
カラー
칼라. 깃. 〔동의어〕襟; 컬러; 빛. 색깔. 색채; 그림물감; (모노크롬에 대해) 다색(多色)의 색. 또는 그 사진·영화 등; 특색. 기풍. 독특한 느낌; 「カラーテレビ」의 준말; ⇒ 海芋. 〔참고〕 「カーラー」로도 씀
思い
생각함. 또는 그 생각. 〔동의어〕考え; 기분. 느낌. 마음. 〔동의어〕気持ち·感じ; 기대. 예상. 〔동의어〕期待·予想; 소원. 뜻. 〔동의어〕願い·望み; 연정. 연모의 정. 사모하는 마음; 집념. 미련. 원한. 〔동의어〕執念·うらみ; 근심. 수심. 〔동의어〕物思い; 무겁다. 〔반의어〕 軽い; 중량이 있다. 가볍지 않다; (사물이) 중대하다. 중요하다; (정도가) 심하다. (병이) 위중하다. 〔동의어〕ひどい; (신분·지위 등이) 높다. 중요하다; 후련하지[개운하지] 않다. 무지근하다; 침착하다. 진중하다. おも·げ 【형용동사】 おも·さ 【명사】 おも·み 【명사】 【문어형】 おも·し {ク 활용}
スパンコール
스팽글; (스트리퍼의) 젖꼭지를 가리는 은종이. 〔동의어〕スパングル
シーン
신; 정경. 광경; (극·영화 등의) 장면. 〔동의어〕場面
モチーフ
모티프. 〔동의어〕モティーフ; 예술적 창작 활동의 중심 사상; 『음악』 악곡을 구성하는 선율·율동의 최소 단위; (편물에서) 한 작품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
皆さんも是非やってみてください。
是非
시비. 옳고 그름. 잘잘못. 가부; 『문어』 시비를 가림. 가부를 판단·비평함; 꼭. 반드시. 세상없어도
ください
《「下さる」의 命令形》 주십시오; 《「お」+動詞의 連用形, 「ご」+한자어, 또는 動詞의 連用形+助詞 「て(で)」의 꼴 등에 붙음》 남에게 권하거나 바라는 뜻을 나타냄. …해 주세요.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皆さん
《「皆様」의 다소 스스럼 없는 표현》 여러분
次回はハートのミニクリップを使ったヘアアレンジを紹介していきます。
紹介
『문어』; 『기독교』 장로의 모임; 초계. (군대에서) 적의 공격을 경계하여 망을 봄; 상회. ((흔히, 회사·상점명에 붙여 씀)); 상계. 상업계; 소개; 조회; 상해. 상세한 풀이[해석]
ハート
하트; 마음. 애정; (카드에서) 붉은 심장 모양의 패
次回
자해. 문자(특히, 한자)의 해석; 차회. 다음 번. 〔반의어〕 前回·今回; 귓바퀴. 〔동의어〕耳殻; 『문어』 자계. 스스로 경계함; 자괴. 스스로 붕괴됨; 『불교』 지계. (불교도로서) 계율을 굳게 지킴. 〔반의어〕 破戒; ⇒ 磁場
クリップ
클립; 머리털이 흩어지지 않게 끼워 두는 기구
アレンジ
어레인지; 안배. 배열. 정리; 채비. 준비
それじゃ、 バイバイ!
バイバイ
《속어》 바이바이. 빠이빠이. 안녕. 〔동의어〕グッドバイ. 〔참고〕 본디는 어린이말
Japanese Words - Exercise!
大王製紙 オムツなどペットケア用品に参入(2023年9月8日)
あなたへ贈る歌
池の水が突然、紫色に…正体はバクテリア ドイツ(2024年4月4日)
東京五輪に導入?災害情報を様々な言語で・・・伝達実験
天皇陛下62歳の誕生日 愛子さまへの思い語られる(2022年2月23日)
上海に「少年ジャンプ・ショップ」 海外初出店(2021年12月3日)
ロウバイの花が見頃 つややかな黄色が冬の空に(20/01/03)
東京・港区で1620軒が停電 配電線のトラブルか(2020年8月30日)
目の不自由な人も使いやすく 新5千円札が来週発行(14/05/08)
You need to upgrade to a premium account to using this feature
Are you sure you want to test again?
Please upgrade your account to read unlimited newspap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