神様がもしもこの世にいるならば
神様がもしもこの世にいるならば
何を守って誰を救ったりするんだろう
それが僕たちじゃないことはきっと
最初からわかっていたんだよ
だから僕らは
手を取って
痛みと苦しみを割って
喜びと奇跡を足して
歩く歩幅を重ねた
二人の距離を声にならない感情を
夏の夜空に例えていたの
それでもいつかこの歪んだ世界で
理由のない
運命に巻き込まれ
君は
きっと
僕らを照らす一等星
探し続けてた祈り
消え入りそうな声で言った
「ねえ、連れだして」
誰かに笑われるような
儚い夢だとしても
どうか叶えてよね
君だけは
何かを拾うたびに
何かをこぼしていくんだ
それをまた拾おうとして
今度は君を見つけた
失くしたすべて
君と出会う辻褄
それだけでぼくは救われたの
さよなら いつかまた 会える時まで
花火のような
一瞬の光でも
それは
きっと
僕らが願う一等星
求め続けた祈り
零れ落ちた涙を拭った
「ねえ、泣かないで」
歩みを止めない雑踏に
悲しい風が吹いたって
どうか叶えてよね
君だけは
きっと
僕らを照らす一等星
探し続けた祈り
消え入りそうな声で言った
「ねえ、連れだして」
後悔しないよ一等星
誰かの所為にしたくなくて
自分の意志で踏み出したんだ
「さあ、連れてくよ」
誰かに笑われるような
儚い夢だとしても
どうか叶えてよね
君だけは
他の誰でもない
君だけは
神様がもしもこの世にいるならば
もしも
《「若し」의 힘줌말》 만약. 만일. 혹시
神様
지체 높은 이의 아내에 대한 높임말. 마님. 〔동의어〕内室·奥方; 〈「神」의 높임말〉 신령님. 하느님; 어떤 분야에서 신처럼 뛰어난 사람. 도사
何を守って誰を救ったりするんだろう
何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守る
지키다. 막다. 수호하다. 방호하다. 〔반의어〕 攻める. 〔참고〕 「護る」로도 씀; 소중히 지키다. 어기지 않다. 잘 유지하며 따르다. 〔반의어〕 破る; (눈을 떼지 않고) 지켜보다. 주의해서 살펴보다. 【가능동사】 まも·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誰
수. 오행(五行)의 다섯째. ((계절은 겨울, 방위로는 북, 색은 검정임)); 「水曜日」의 준말; 《속어》 당밀즙(糖蜜汁)만을 탄 얼음물; 물. 액체; 순수함. 또는 그런 것; 뛰어난 것. 정수(精粹); 세상 물정에 밝아 인정의 기미(機微)를 잘 앎. 특히, 남녀간의 애정에 이해가 많음. {문어·ナリ 활용 }; 화류계·예능계의 사정에 밝음. 멋을[풍류를] 앎. (언동이) 세련되어 있음. {문어·ナリ 활용 }; 추; 저울추. 분동; 방추(紡錘)를 세는 말; 시다. 신맛이 있다. 〔동의어〕すっぱい. 【문어형】 す·し {ク 활용}
救う
(새 등이) 집을 짓고[둥지를 틀고] 살다. 둥우리를 짓다. 깃들이다; 소굴을 이루다. 근거지로 삼다; 좋지 않은 생각이나 병 등이 자리잡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뜨다. 떠[퍼]내다. 건져내다; 아래에서 위로 끌어올리다. 【가능동사】 すく·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구하다; 돕다. 도와주다. 구조하다. 살리다. 건지다; 덜어 주다; 올바르게 지도하다. 선도하다. 【가능동사】 すく·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それが僕たちじゃないことはきっと
きっと
《「きと」의 변한말》; 꼭. 반드시. 틀림없이. 〔동의어〕かならず·たしかに; 표정이나 태도가 엄해지는 모양; 순간적으로 행동하는 모양. 〔동의어〕さっと
僕
하인. 종. ((예스러운 말)) 〔동의어〕召使·下男
最初からわかっていたんだよ
最初
자세히 씀. 또는 그 글; 최초. 맨 처음. 〔반의어〕 最後·最終
だから僕らは
だから
그러니까. 그래서. 때문에
手を取って
手
어떤 일·직무·임무를 맡는 사람임을 나타냄. 수; 시(詩)를 세는 말. 수; 초목을 세는 말. 주. 〔동의어〕株; 주; 주인; 주군; 중심; 『기독교』 주님. 1.〔반의어〕客. 2.3.〔반의어〕従; 주; 주홍색 안료; 붉은 글자. 교정지에 고쳐 써넣은 붉은 글자; 『문어』 주. 술. 〔동의어〕さけ; ⇒ しゅう< 2> ; 종; 『식물·식물학』 종자; 종류; 『생물학』 생물 분류상의 단위; 옛 중량 단위. 一銖는 一両의 24분의 1; 옛날의 이율의 단위. 一銖는 一割의 10분의 1; 『불교』 취. 중생이 자신이 지은 업(業)에 의하여 가서 사는 세계
取る
손에 가지다. 집다. 들다. 쥐다. 잡다; 취하다; (작은 동물 등을) 잡다. (열매 등을) 따다; 받다; 벗다; 훔치다. 빼앗다; (사무 등을) 보다; (무엇을) 하다; (숙소 등을) 잡다; (공간을) 차지하다. (시간이) 걸리다; 예약하다. 잡아 두다; 채용하다. 쓰다. 두다; 맡다. (책임을) 지다; 〈「…に~·って」의 꼴로〉 …로서는. …에 있어서는; 해석하다. 이해하다. 받아들이다; 맞추다; (신문 등을) 구독하다. 보다; 맞다. 얻다. 두다; 죽이다; 주문하다; (자격 등을) 따다. 얻다; 뽑다. 없애다. 제거하다; 집어 옮기다. 나누어 담다; 공제하다. 빼다; 징수하다; 사사(師事)하다. 배우다; (기생·매춘부 등이) 손님을 받다; …를 만들다; (간격을) 두다. 유지하다; 간직하여 두다. 보존하다; 찍다. 뜨다; 지배하다. 차지하다; 몰수하다; 짚다. 재다. 세다; 뒤집어쓰다. 어떤 결과를 초래하다; (보기 등을) 들다; (이부자리 등을) 깔다. 펴다; 끌어들이다; 주장하다; 수확하다; 비유하다; 〈「~·り…」의 꼴로 다른 動詞에 연결되어〉 ‘손수 …하다’의 뜻을 곁들여 어조(語調)를 고르거나 강조하거나 하는 데 씀. 〔참고〕 1. 및 7.에서 ‘집필·집무’의 경우는 「執る」, 2.에서 ‘식사·영양’의 경우는 「摂る」, 3.에서 ‘포획’의 경우는 「捕る·獲る」, 6.은 「盗る」, 12. 및 38.에서 ‘채용·채취·채광’ 등의 경우 「採る」, 31.의 ‘사진’의 경우는 「撮る」로 씀. 14.는 흔히, かな로 씀. 【가능동사】 と·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痛みと苦しみを割って
痛み
(육체에 느끼는) 아픔. 통증. 〔동의어〕苦痛; (마음에 느끼는) 슬픔. 괴로움. 고민. 〔동의어〕苦痛; (기물의) 파손. 손상. 고장. 깨짐; (음식물이) 상함. 썩음. 부패. 〔참고〕 1.은 「痛み」로, 3.4.는 「傷み」로 씀
割る
나쁜 짓. 부정(不正); 나쁜 사람. 악인. 악당; 장난꾸러기. 개구쟁이. 악동(惡童); ‘나쁜’의 뜻을 나타냄; ‘지나친’ ‘심한’의 뜻을 나타냄; 쪼개다. 빠개다; 깨다. 깨뜨리다; 분배하다. 노느다. 등분하다; 나누다. 제(除)하다. 나눗셈을 하다. 〔반의어〕 掛ける; 비집다. 헤치고 들어가다. 끼어들다; 벌리다. 열다; (속 시원히) 털어놓다. 까놓다; (다른 것을 타서) 성분을 엷게 하다. 묽게 하다; 어떤 수량에 못 미치다. 밑돌다; (거래에서) 시세가 어느 단위 이하로 떨어지다. 밑돌다; (정한 범위에서) 벗어나다. 깨다; 「われる」의 문어
苦しみ
괴로움. 고통. 고생. 어려움
喜びと奇跡を足して
足す
〈「用を~」의 꼴로〉; 볼일을 보다; 용변을 보다. た·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喜び
기뻐함. 기쁨. 〔반의어〕 悲しみ; 경사스러운 일. 경사. 〔동의어〕おめでた; 축하의 말. 축사
奇跡
기묘하게 생긴 돌. 괴석; 기적; 궤적; 『수학』 자취; 바퀴 자국; 어떤 사물이 거쳐 온 자취; 『문어』 복적. 〔동의어〕復籍; 『불교』 귀적. 과거장(過去帳). 귀부(鬼簿); 『광물』 휘석
歩く歩幅を重ねた
歩く
걷다. 걸어가다. 거닐다. 〔동의어〕あゆむ; (비유적으로) 거쳐오다. 지내다. 살아가다; 〈다른 動詞의 連用形을 받아〉 여기저기에서[여러 곳에서] …하다. …하며 다니다; 방문하다. 찾아보다. 【가능동사】 ある·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重ねる
겹치다. 포개다. 쌓아 올리다; 되풀이하다. 반복하다. 거듭하다. 〔동의어〕繰り返す. 【문어형】 かさ·ぬ {하2단 활용}
歩幅
보폭
二人の距離を声にならない感情を
感情
『문어』 간성. 국가나 국왕을 지키기 위한 방패와 성. (변하여) 나라를 지키는 무인·군인; 『문어』 《‘스승으로부터 한 길쯤 떨어져 앉음’의 뜻》 함장; 스승이나 웃어른께 보내는 편지 겉봉의 수신인 이름 다음에 쓰는 높임말; 관상. 관 모양; (수량의) 셈. 계산; 금전의 수지를 계산함; 대금 지불. 또는 그 대금; 예상. 고려; (복식 부기에서) 계정(計定); 『역사』 「勘定衆」의 준말; 권청; 신불의 분신(分身)이나 분령(分靈)을 다른 곳에 옮겨서 모심; 표창장; 감정; 관상. 대롱 같은 모양. 〔동의어〕くだじょう; 환상. 고리와 같은 둥근 모양; 『불교』 관정; 真言宗에서 불문에 들어갈 때나, 수도자가 일정한 지위에 오를 때 머리에 향수를 붓는 의식; 아악(雅樂)에서, 비법을 전수하는 일. 1.2.〔동의어〕かんちょう; 함상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距離
『문어』 거리. 큰 이익. 〔동의어〕巨益. 〔반의어〕 小利; 거리. 〔동의어〕へだたり
声
거름. 비료. 분뇨(糞尿). 〔동의어〕肥やし·下肥; 목소리. 소리; 물건이 진동해서 나는 소리. 〔동의어〕音·響き; 말. 생각. 의견; 계절이나 시기 등이 다가오는 낌새. 낌새
二
《名詞 등에 붙어 形容動詞의 어간을 만듦》 불. 부. 〔참고〕 관용상 「ぶ」로 되는 경우도 있으며, 이 때 흔히 「無」로도 씀; …을 하는 남자. 부. 원(員). 〔반의어〕 婦; …을 하는 여자. 부. 〔반의어〕 夫; 둘. ((소리내어 수를 셀 때의 말)) 〔동의어〕ふたつ·ふう; 중국 고대의 화폐; 『문어』 무녀. 무당; 『문어』 중심지; 《고어》 지방 관청. 또는 그 소재지; (일본 장기의) 졸. 〔동의어〕兵; 『문어』 부고. 부음. 〔동의어〕訃音; 『수학』 부. 음(陰). 〔반의어〕 正; 『물리』 음극(陰極); 부적; 옛날 상급 감독 관청에서 하급 관청에 내린 공문서; 부; 증표(證票); 기호. 부호; 《고어》 부. 풍부함. 부자임. 〔반의어〕 貧; 반점. 얼룩. 〔동의어〕まだら; 내장; 사려 분별. 생각. 근성(根性); 부; 『문학』 시경(詩經)의 육의(六義)의 하나. 비유법을 쓰지 않고 느낀 것을 그대로 읊는 시의 서술법; 『문학』 글귀 끝에 운(韻)을 달고 대구(對句)를 많이 쓰는 한문체(漢文體)의 하나; 토지 또는 인구에 할당되던 조세(租稅); 밀가루에서 얻어지는 글루텐으로 만든 식품. ((「生麩」와 「焼麩」가 있음)); 보; 『음악』 음보(音譜). 악보(樂譜); 기보(碁譜); 〈흔히, 接尾語적으로 씀〉 계통을 세워 순서 있게 적은 기록. 계보. 도감
夏の夜空に例えていたの
例える
예를 들다. 비유하다. 【문어형】 たと·ふ {하2단 활용}
夏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夜空
밤하늘
それでもいつかこの歪んだ世界で
世界
지구상의 모든 나라. 만국(萬國); (지구를 중심으로 해서 본) 우주. 〔동의어〕天地; 세상. 인간 사회; 『불교』 중생(衆生)이 살고 있는 곳; 어느 특정한 것의 한정되는 범위
それでも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런데도
歪む
⇒ ゆがむ. 〔참고〕 「ゆがむ」의 방언임; 『문어』; (사람이) 서로 미워하며 다투다. 으드등거리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いつか
5일; 다섯날. 닷새; 단오. 5월 5일; 《「か」는 疑問의 係助詞》; 〈과거의 불특정한 때를 나타냄〉 언제였던가. 언젠가. 전에. 〔동의어〕以前; 〈미래의 불특정한 때를 나타냄〉 언젠가는. 차차. 조만간; 어느 사이에. 어느 틈[결]에. 〔동의어〕いつしか·いつの間にか
理由のない
理由
이유; 까닭. 〔동의어〕わけ; 『철학』 근거. 인식 근거
運命に巻き込まれ
運命
운명. 〔동의어〕めぐりあわせ
巻き込む
말려들게 하다; (속으로) 휩쓸리게 하다; 연좌[연루]되게 하다. 끌어들이다. 【가능동사】 まきこ·め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君は
君
『문어』; 임금. 군주; 윗사람에 대한 높임말; 논다니. 유녀; 남자가 동년배 또는 손아래 상대를 친근하게 부르는 말. 자네. 그대. 군. ((「おまえ」보다 공손한 말)) 〔반의어〕 僕; 느낌. 기분. 〔동의어〕きび; 〈「~がいい」 「いい~(だ)」의 꼴로〉 고소한 기분이다. 고소하다; 기미. 기운. 경향; ⇒ きび; 노랑을 띠고 있음. 노란 빛깔. 〔동의어〕黄色み; 노른자위. 난황(卵黃). 〔동의어〕卵黄. 〔반의어〕 白身
きっと
きっと
《「きと」의 변한말》; 꼭. 반드시. 틀림없이. 〔동의어〕かならず·たしかに; 표정이나 태도가 엄해지는 모양; 순간적으로 행동하는 모양. 〔동의어〕さっと
僕らを照らす一等星
照らす
〈「…を~」의 꼴로〉 비추다. 비추어서 밝히다; 〈「…に~」의 꼴로〉 비추어 보다. 대조하다. 참조하다. 【가능동사】 てら·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一等星
『천문』 일등성. ((항성 중에서 가장 밝게 보이는 제1급의 별))
探し続けてた祈り
探す
찾다. 〔참고〕 「捜す」는 안 보이게 된 것을 찾는 경우에, 「探す」는 손에 넣고 싶은 것, 보고 싶은 것을 찾는 경우에 씀. 【가능동사】 さが·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続ける
계속하다. 잇다. 연결하다. 【문어형】 つづ·く {하2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계속해서 …하다. 【문어형】 つづ·く {하2단 활용}
祈り
기원. 기도
消え入りそうな声で言った
言う
말하다; 이야기하다. 지껄이다; 묻다; 명령하다. 의뢰하다; (의견을) 진술하다; 조언하다. 비평하다; 표현하다; 〈「…を…と~」의 꼴로〉 …을 …이라고 (말)하다[부르다·일컫다]; 소리가 나다. 소리를 내다. 소리가 들리다; 〈「…と~」+体言, 「…と~·った」+体言, 「…と~·います」+体言의 꼴로〉 …이라는. …이라 하는. 〔참고〕 「いう」 자체는 실질적인 뜻이 없으며, 흔히 仮名로 씀; 〈「…と~」의 앞뒤에 같은 体言이 붙어〉 …이라는 …은(는) 모두; 〈상태를 나타내는 말에 「…と~·ったらない」 「…と~ものはない」가 이어져〉 이 이상 …한 것은 없다. 정말이지 …하다. 〔참고〕 「…といったらない」는 「…ったらない」로도 씀. 어형(語形)이 「いう」의 꼴이지만 발음은 「ユー」로 함. 현대 かな 쓰기에서 활용의 설명상 「いう」로 씀. 【가능동사】 い·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声
거름. 비료. 분뇨(糞尿). 〔동의어〕肥やし·下肥; 목소리. 소리; 물건이 진동해서 나는 소리. 〔동의어〕音·響き; 말. 생각. 의견; 계절이나 시기 등이 다가오는 낌새. 낌새
消え入る
사라지다. 스러지다. 꺼져 들어가다; 실신하다. 기절하다
「ねえ、連れだして」
連れる
⇒ つれて< 1> ; 치켜 올라가다. 〔참고〕 「吊れる」로 씀; 경련이 일어나다. 땅기다. 쥐가 나다. 〔참고〕 「攣れる」로 씀
誰かに笑われるような
笑う
웃다. 〔반의어〕 泣く; (비유적으로) 꽃봉오리가 벌어지다. 열매가 익어서 터지다. 꽃이 피다; 꿰맨 곳이 타지다; 《속어》 웃기다. 가소롭다. 문제도 되지 않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비웃다. 조소하다. 빈정대다. 우습게 여기다. 〔동의어〕あざ笑う·あざける. 〔참고〕 「嗤う」로도 씀. 【가능동사】 わら·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誰
수. 오행(五行)의 다섯째. ((계절은 겨울, 방위로는 북, 색은 검정임)); 「水曜日」의 준말; 《속어》 당밀즙(糖蜜汁)만을 탄 얼음물; 물. 액체; 순수함. 또는 그런 것; 뛰어난 것. 정수(精粹); 세상 물정에 밝아 인정의 기미(機微)를 잘 앎. 특히, 남녀간의 애정에 이해가 많음. {문어·ナリ 활용 }; 화류계·예능계의 사정에 밝음. 멋을[풍류를] 앎. (언동이) 세련되어 있음. {문어·ナリ 활용 }; 추; 저울추. 분동; 방추(紡錘)를 세는 말; 시다. 신맛이 있다. 〔동의어〕すっぱい. 【문어형】 す·し {ク 활용}
儚い夢だとしても
夢
육. 여섯. 〔동의어〕むっつ·ろく; 무. 아무것도 없음. 〔반의어〕 有; 힘을 쓰거나, 감탄하거나, 놀라거나 할 때 입을 다물고 내는 소리. 음; 『문어』 《動詞·動詞型活用의 助動詞의 未然形에 붙어》; 추량·예상의 뜻을 나타냄. …일 것이다. …이겠지; 의지·희망의 뜻을 나타냄. …하겠다. …할 작정이다; 권유·명령의 뜻을 나타냄. …하는 것이 좋겠다. …해 주게; 가정·가상의 뜻을 나타냄. 만약 …이라면 (…일 것이다); 완곡하게 표현하는 뜻을 나타냄. …같은. 〔참고〕 平安 시대 이후에는 「ん」으로도 씀
儚い
덧없다. 허무하다. 무상하다; 〈「~·くなる」의 꼴로〉 죽다. はか-な·げ 【형용동사】はか-な·さ 【명사】 【문어형】 はかな·し {ク 활용}
として
〈상태를 나타내는 한자어에 붙어 副詞句를 만듦〉 동작·작용이 일어날 때의 양태(樣態)를 나타냄. …하게. …해져서; 〈動詞의 未然形+「う」 「よう」에 붙어〉 …려고; 〈「それはそれ~」 「それはそう~」의 꼴로 接続詞적으로 씀〉 그것은 그렇다 치고; 《体言에 붙어》 자격이나 입장을 나타냄. …로서; 《「一人」 「一本」 「一時」 등의 말에 붙고, 뒤에 否定의 「ない」가 따름》 전면적인 부정을 나타냄. …도 …않다[없다]
どうか叶えてよね
どうか
동화. 〔반의어〕 異化; 본디 질이 다른 것이 감화되어 같게 됨; 생물이 외부로 부터 섭취한 물질을 자기의 몸을 구성하는 성분과 같은 것으로 변화시키는 현상; 동가. 〔동의어〕等価; 도교를 받드는 사람. 1.2.〔동의어〕どうけ; 도덕적인 가르침을 알기 쉽게 노래한 교훈적인 短歌; 동화. 동전; 도화. 〔동의어〕みちび·口火
叶える
들어맞추다. 일치시키다; 채우다. 충족시키다; 들어주다. 이루어 주다. 성취시키다. 【문어형】 かな·ふ {하2단 활용}
君だけは
君
『문어』; 임금. 군주; 윗사람에 대한 높임말; 논다니. 유녀; 남자가 동년배 또는 손아래 상대를 친근하게 부르는 말. 자네. 그대. 군. ((「おまえ」보다 공손한 말)) 〔반의어〕 僕; 느낌. 기분. 〔동의어〕きび; 〈「~がいい」 「いい~(だ)」의 꼴로〉 고소한 기분이다. 고소하다; 기미. 기운. 경향; ⇒ きび; 노랑을 띠고 있음. 노란 빛깔. 〔동의어〕黄色み; 노른자위. 난황(卵黃). 〔동의어〕卵黄. 〔반의어〕 白身
何かを拾うたびに
拾う
피로; (문서 등을) 펴서 보임; 『문어』 비루. 야비. 천함. {문어·ナリ 활용 }; 피로; 지침. 〔동의어〕疲れ; 『생리학』 육체적·정신적 활동의 결과, 작업 능력이 떨어짐. 또는 그 상태; 『공업·공학』 반복 하중(反復荷重) 등에 의하여 재료가 쉽게 파괴되게 됨. 또는 그 상태. 〔동의어〕疲れ; 줍다. 습득하다. 〔반의어〕 捨てる; 뜻밖의 것, 귀한 것을 얻다; 잃을 뻔한 것을 건지다; 많은 것 중에서 골라내다[찾아내다]. 뽑아내다; 빛을 못 보고 있는 사람을 발탁하다; 도보로 가다. ((예스러운 말)) 【가능동사】 ひろ·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何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何かをこぼしていくんだ
何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こぼす
흘리다. 엎지르다; (그릇을 기울여) 따르다; 투덜거리다. 불평하다. 푸념하다. 【가능동사】 こぼ·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それをまた拾おうとして
拾う
피로; (문서 등을) 펴서 보임; 『문어』 비루. 야비. 천함. {문어·ナリ 활용 }; 피로; 지침. 〔동의어〕疲れ; 『생리학』 육체적·정신적 활동의 결과, 작업 능력이 떨어짐. 또는 그 상태; 『공업·공학』 반복 하중(反復荷重) 등에 의하여 재료가 쉽게 파괴되게 됨. 또는 그 상태. 〔동의어〕疲れ; 줍다. 습득하다. 〔반의어〕 捨てる; 뜻밖의 것, 귀한 것을 얻다; 잃을 뻔한 것을 건지다; 많은 것 중에서 골라내다[찾아내다]. 뽑아내다; 빛을 못 보고 있는 사람을 발탁하다; 도보로 가다. ((예스러운 말)) 【가능동사】 ひろ·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として
〈상태를 나타내는 한자어에 붙어 副詞句를 만듦〉 동작·작용이 일어날 때의 양태(樣態)를 나타냄. …하게. …해져서; 〈動詞의 未然形+「う」 「よう」에 붙어〉 …려고; 〈「それはそれ~」 「それはそう~」의 꼴로 接続詞적으로 씀〉 그것은 그렇다 치고; 《体言에 붙어》 자격이나 입장을 나타냄. …로서; 《「一人」 「一本」 「一時」 등의 말에 붙고, 뒤에 否定의 「ない」가 따름》 전면적인 부정을 나타냄. …도 …않다[없다]
今度は君を見つけた
君
『문어』; 임금. 군주; 윗사람에 대한 높임말; 논다니. 유녀; 남자가 동년배 또는 손아래 상대를 친근하게 부르는 말. 자네. 그대. 군. ((「おまえ」보다 공손한 말)) 〔반의어〕 僕; 느낌. 기분. 〔동의어〕きび; 〈「~がいい」 「いい~(だ)」의 꼴로〉 고소한 기분이다. 고소하다; 기미. 기운. 경향; ⇒ きび; 노랑을 띠고 있음. 노란 빛깔. 〔동의어〕黄色み; 노른자위. 난황(卵黃). 〔동의어〕卵黄. 〔반의어〕 白身
今度
이번. 금번; 이 다음. 차회(次回)
失くしたすべて
君と出会う辻褄
君
『문어』; 임금. 군주; 윗사람에 대한 높임말; 논다니. 유녀; 남자가 동년배 또는 손아래 상대를 친근하게 부르는 말. 자네. 그대. 군. ((「おまえ」보다 공손한 말)) 〔반의어〕 僕; 느낌. 기분. 〔동의어〕きび; 〈「~がいい」 「いい~(だ)」의 꼴로〉 고소한 기분이다. 고소하다; 기미. 기운. 경향; ⇒ きび; 노랑을 띠고 있음. 노란 빛깔. 〔동의어〕黄色み; 노른자위. 난황(卵黃). 〔동의어〕卵黄. 〔반의어〕 白身
出会う
《고어》 마주치다. 만나다
辻褄
조리. 이치
それだけでぼくは救われたの
救う
(새 등이) 집을 짓고[둥지를 틀고] 살다. 둥우리를 짓다. 깃들이다; 소굴을 이루다. 근거지로 삼다; 좋지 않은 생각이나 병 등이 자리잡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뜨다. 떠[퍼]내다. 건져내다; 아래에서 위로 끌어올리다. 【가능동사】 すく·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구하다; 돕다. 도와주다. 구조하다. 살리다. 건지다; 덜어 주다; 올바르게 지도하다. 선도하다. 【가능동사】 すく·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さよなら いつかまた 会える時まで
時
차; 다음; 『화학』 산화(酸化)의 정도가 낮음; 『화학』 염기성염(鹽基性鹽); 횟수(回數). 빈도(頻度). 차례; 자; 자기; 〈시간·장소를 나타내는 名詞에 붙어〉 …부터. 〔반의어〕 至; 사. 절; 아; 아이. 아동; 남아;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사. 일. 사항; 시. 시간의 단위. 60분; 시각; 때. 기회; 〈옛 지명에 붙여〉 그 지방의 길.그 지방 또는 그 지방으로 가는 길임을 나타냄. 도(道). 가도. 지방; 하루의 행정(行程); 『문어』 나이를 나타냄; 〈10을 단위로 한 수에 붙여〉 그 정도의 나이를 나타냄; 토지. 땅. 지면; 그 지방. 그 고장; 본성. 본색. 천성. 본바탕; 기반. 기초; 천; 살결. 피부; 문장에서 작자가 설명한 부분; (바둑에서) 차지한 집; 실제. 실지(實地). 〔참조어〕 地で行く; 풋내기. 숫보기; 「地謡」 「地紙」 「地髪」의 준말; 글자. 문자; 글씨. 필적; (바둑 등에서) 비김. 무승부; 『의학』 치질. 〔동의어〕痔疾; 『문어』 사; 말. 글; 한문 문체의 하나; 『언어학』 일본어 단어를 문법상의 성질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한 것의 하나. 단독으로는 문절(文節)을 이루지 못하고, 언제나 詞(자립어)에 딸려서 문절을 구성하는 말. ((助詞·助動詞 등)) 〔동의어〕付属語·関係語. 〔반의어〕 詞; 『문어』; 자석. 지남철; 자기. 사기그릇; 새; 세 가지 신기(神器)의 하나인 八尺瓊曲玉. 〔동의어〕神璽; 《고어》 《動詞·助動詞의 未然形에 붙음》; 부정적인 추측을 나타냄. …않겠지. …않을 것이다. 〔동의어〕…ないだろう·…まい; 부정적인 결의를 나타냄. …하지 않으리라. …않을 작정이다. 〔동의어〕…まい
いつか
5일; 다섯날. 닷새; 단오. 5월 5일; 《「か」는 疑問의 係助詞》; 〈과거의 불특정한 때를 나타냄〉 언제였던가. 언젠가. 전에. 〔동의어〕以前; 〈미래의 불특정한 때를 나타냄〉 언젠가는. 차차. 조만간; 어느 사이에. 어느 틈[결]에. 〔동의어〕いつしか·いつの間にか
さよなら
⇒ さようなら; 《속어》; 작별. 이별. 〔동의어〕お別れ; (야구에서) 9회 말에 점수가 나서 승부가 결정됨. 굿바이승(勝); 《속어》 《名詞에 붙어》 그것으로 끝장나는 것[결판나는 것]
花火のような
花火
불꽃
一瞬の光でも
光
호. 좋은; 항; 후. 뒤. 〔반의어〕 前; 항; 사람 수·칼·기구 등을 세는 말. 구. 자루; 『문어』 공사; 《직종 이름에 붙여》 공원·직공의 뜻을 나타냄. 공; 『문어』 공; 공공(公共). 〔동의어〕おおやけ. 〔반의어〕 私; 〈「公爵」의 준말〉 공작; 공; 공작이나 신분이 높은 사람의 이름에 붙이는 말; 사람의 이름 뒤에 붙여 친근감이나 경멸감을 나타내는 말; 『문어』 공. 구멍; 『문어』 공; 공적; 효험. 효과. 보람. 〔동의어〕ききめ; 『문어』 솜씨가 뛰어남. 또는 그 솜씨. 〔반의어〕 拙; 갑; 십간(十干)의 첫째. 〔동의어〕きのえ; 갑옷. 〔동의어〕よろい; 게나 거북 등의 등딱지; 손발의 등; 등급·순위 등의 첫째; 사물의 대명사로 쓰는 말; 「琵琶」 「三味線」 등 현악기의 몸통 부분; 『문어』; 교제. 사귐; (시대·연월·계절 등이) 바뀔 때; 「揚子江」의 준말; 선고(先考). 〔동의어〕亡父. 〔반의어〕 妣; ‘연구’ ‘고찰한 결과’의 뜻을 나타냄. 고. ((흔히, 논문의 제명(題名)이나 서명(書名)에 씀)); 『문어』 감. 떠남. 여행; 행함. 행동; 한시체(漢詩體)의 하나; ‘여행’ ‘산행(山行)’ ‘기행(紀行)’의 뜻을 나타냄. 행; 『불교』 겁. 지극히 긴 시간. 〔반의어〕 刹那; (바둑에서) 패; 갱; 효. 효행; 경. ((옛날, 하룻밤을 5등분 한 시간의 일컬음. 초경에서 오경까지)); 효험. 효력. 효과. 〔동의어〕ききめ; 행. 행복. 〔동의어〕さいわい; 『문어』 나이; 후; 〈「侯爵」의 준말〉 후작; 선명한 적색. 주홍색; 향. 향내; 향료. 향나무; 《여성어》 「味噌」의 딴이름; 「薬味」의 딴이름; 『문어』 철. 계절; 학교; 교정(校正)의 횟수를 세는 말. 교; 고; 『문어』 높은 곳. 〔반의어〕 低; 「高等学校」의 준말; 고. 〔반의어〕 低; 『문어』 딱딱함. 단단함. 〔반의어〕 軟. {문어·ナリ 활용 }; 항; 항목. 조항을 세분한 하나하나; 『수학』 수식(數式)을 이루는 하나하나의 요소; 강. 생물 분류상의 한 단위. ((문(門)과 목(目) 사이)); 『문어』 고기의 기름. 지방; 고약; 『문어』 원고; 형. 저울대; (변하여) 저울. 〔동의어〕はかり; 무게. 〔동의어〕目方; 강. 강철. 〔동의어〕はがね; 『불교』 경전(經典)을 듣거나 신불에 참배하는 모임. 〔동의어〕講会; 돈 마련을 위한 모임. 계; 《「かく」의 변한말》 이렇게. 이처럼; 적당한 말이 얼른 생각나지 않을 때 군소리로 하는 말. 그. 저어. 거시기; 그리다; (이성이나 육친을) 그리워하다; (어떤 곳·사물 등을) 그리워하다; 《고어》 빌다. 기원하다. 〔참고〕 「乞う」라고 쓸 경우에는 「ねだる(조르다)」의 뜻이 강함. 【문어 4단 활용 동사】; 맥이 빠짐. 넋을 잃음. {문어·タリ 활용}; 훤칠함. {문어·タリ 활용}
一瞬
〈副詞적으로도 씀〉 일순. 일순간. 순간; 〈「~にして」의 꼴로〉 눈 깜짝하는 사이에. 순식간에. 금세. 금방. 〔동의어〕たちまち
それは
きっと
きっと
《「きと」의 변한말》; 꼭. 반드시. 틀림없이. 〔동의어〕かならず·たしかに; 표정이나 태도가 엄해지는 모양; 순간적으로 행동하는 모양. 〔동의어〕さっと
僕らが願う一等星
願う
원하다. 바라다; 기원하다. 빌다; (관청 등에) 청원(請願)하다; (상점 등에서) 손에게 사게 하다. ((손에 대한 공손한 말)); 돌봐 주기를 부탁하다. 【가능동사】 ねが·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一等星
『천문』 일등성. ((항성 중에서 가장 밝게 보이는 제1급의 별))
求め続けた祈り
続ける
계속하다. 잇다. 연결하다. 【문어형】 つづ·く {하2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계속해서 …하다. 【문어형】 つづ·く {하2단 활용}
求める
구하다. 찾다. 청하다. 바라다; 요구하다. 요청하다; 사다. 구입하다. 【문어형】 もと·む {하2단 활용}
祈り
기원. 기도
零れ落ちた涙を拭った
涙
눈물; 누액(淚液); 울음; (비유적으로) 동정. 인정
落ちる
(위에서 아래로) 떨어지다. 하락하다; (눈이나 비가) 내리다. 오다; (벽이나 담이) 무너지다; (해·달이) 지다; (햇볕 등이) 비치다. 쏟아지다; (시선·눈길 등이) 쏠리다. 향하다; 물이 흘러들다; (그림자 등이) 비치다; 빠지다. 벗겨지다. 지워지다; 빠지다. 누락되다. 〔동의어〕もれる; 떨어지다. 낙방하다. 낙오(落伍)하다; 몰래 달아나다. 외진 곳으로 가다. 낙향하다; 영락(零落)하다; 타락하다. 〔참고〕 「堕ちる」로도 씀; (힘이나 세력 등이) 떨어지다. 쇠(약)해지다. 줄어들다; (바람이) 자다. 잔잔해지다; (어떤 기준보다) 낮아지다. 떨어지다. 뒤지다; (불리한 상태에) 빠지다. 빠져들다; (당연히 그렇게) 귀결되다. 낙착되다; 그 사람의 소유가 되다. 넘어가다; 함락되다. 적에게 빼앗기다. 싸움에 지다; 실토하다. 자백하다. 불다; (유도에서) 기절하다. 까무러치다; (동물·가축 등이) 죽다; 〈「眠りに~」의 꼴로〉 잠에 빠지다. 잠이 들다; (사람에 붙어 있던 것이) 없어지다. 사라지다; (한쪽에) 치우치다; (돈이 얼마간 수중에) 들어오다; (어음 등이) 결제되다; 납득하다. 이해되다
零れる
(물건의 일부가) 망가지다. 【문어형】 こぼ·る {하2단 활용}; 넘쳐 흐르다. 흘러내리다; (밖으로) 비치다. 새어 나오다; 흩어져 떨어지다; 감정 등이 밖으로 나타나다. 【문어형】 こぼ·る {하2단 활용}
拭う
닦다. 훔치다; 지우다. 씻다. 갚다. 【가능동사】 ぬぐ·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ねえ、泣かないで」
泣く
울다; 괴로운 꼴을 당하다. 시달리다; 할 수 없이 받아들이다[손해를 보다]; 명실상부하지 않다. 【가능동사】 な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새·벌레·짐승 등이) 울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고어》 《否定의 助動詞 「ず」의 옛 未然形 「な」+接尾語 「く」의 꼴》 …이 아님. …않음
歩みを止めない雑踏に
止める
멈추다. 세우다. 만류하다; 남기다; (어떤 범위 내에) 그치다. 억제하다. 【문어형】 とど·む {하2단 활용}
歩み
걸음. 발걸음. 보행. 보조. 걸음걸이; (일의) 진행. 진척. 추이; 「歩み板」의 준말; 『경제』 시세의 변동[움직임]
雑踏
잡답. 붐빔. 혼잡
悲しい風が吹いたって
悲しい
슬프다; 애처롭다. 딱하다. 구슬프다. かなし·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かなし·げ 【형용동사】 かなし·さ 【명사】 かなし·み 【명사】 【문어형】 かな·し {シク 활용}; ⇒ 愛し
風
바람; 감기. 〔참고〕 보통 「風邪」로 씀; 형세. 형편; 낌새. 눈치; (비유적으로, 사람에게 영향을 주는) 사회의 관습·양식 등; 〈接尾語적으로 씀〉 상태. 태도. 티
吹く
옷. 의복. 특히, 양복; (첩약·가루약 등의) 봉지를 세는 말; 담배·차·약 등을 먹는 횟수를 세는 말. 〔참고〕 < 2> 는 一·三·六·八·十 등의 뒤에서는 「ぷく」가 됨; 부. 〔반의어〕 正; 부차적인 것; 부본. 사본; 부. 〔반의어〕 正; 족자. 〔동의어〕掛け物·軸物; 족자를 세는 말. 폭. 〔참고〕 助数詞로서의 읽기는 「服」의 경우와 같음; 복. 행복. 〔반의어〕 禍·厄; 복. 〔반의어〕 単; 복수. 이중(二重)임; (테니스·탁구 등에서) 복식 경기; 복; (바람이) 불다; (기체·액체 등이) 뿜다. 솟아나다; (곰팡이·가루 등이) 표면에 생기다; (초목의 싹이) 돋다. 싹트다. 〔참고〕 2.는 「噴く」로도 씀. 【문어 4단 활용 동사】; (바람이) 날리다; 입으로 불다; (피리 등을) 불다; 내뿜다; (싹을) 내다. 싹틔우다; (가루·곰팡이 등이) 표면에 생기게 하다; 광석을 녹여 금속을 분리하다; 주조하다; 큰소리를 치다. 허풍을 떨다; (값을) 비싸게 부르다. 〔참고〕 4.는 「噴く」로도 씀. 【가능동사】 ふ·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닦다. 훔치다. 【가능동사】 ふ·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지붕을) 이다; (초목 등을) 처마에 꽂아 장식하다. 【가능동사】 ふ·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どうか叶えてよね
どうか
동화. 〔반의어〕 異化; 본디 질이 다른 것이 감화되어 같게 됨; 생물이 외부로 부터 섭취한 물질을 자기의 몸을 구성하는 성분과 같은 것으로 변화시키는 현상; 동가. 〔동의어〕等価; 도교를 받드는 사람. 1.2.〔동의어〕どうけ; 도덕적인 가르침을 알기 쉽게 노래한 교훈적인 短歌; 동화. 동전; 도화. 〔동의어〕みちび·口火
叶える
들어맞추다. 일치시키다; 채우다. 충족시키다; 들어주다. 이루어 주다. 성취시키다. 【문어형】 かな·ふ {하2단 활용}
君だけは
君
『문어』; 임금. 군주; 윗사람에 대한 높임말; 논다니. 유녀; 남자가 동년배 또는 손아래 상대를 친근하게 부르는 말. 자네. 그대. 군. ((「おまえ」보다 공손한 말)) 〔반의어〕 僕; 느낌. 기분. 〔동의어〕きび; 〈「~がいい」 「いい~(だ)」의 꼴로〉 고소한 기분이다. 고소하다; 기미. 기운. 경향; ⇒ きび; 노랑을 띠고 있음. 노란 빛깔. 〔동의어〕黄色み; 노른자위. 난황(卵黃). 〔동의어〕卵黄. 〔반의어〕 白身
きっと
きっと
《「きと」의 변한말》; 꼭. 반드시. 틀림없이. 〔동의어〕かならず·たしかに; 표정이나 태도가 엄해지는 모양; 순간적으로 행동하는 모양. 〔동의어〕さっと
僕らを照らす一等星
照らす
〈「…を~」의 꼴로〉 비추다. 비추어서 밝히다; 〈「…に~」의 꼴로〉 비추어 보다. 대조하다. 참조하다. 【가능동사】 てら·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一等星
『천문』 일등성. ((항성 중에서 가장 밝게 보이는 제1급의 별))
探し続けた祈り
探す
찾다. 〔참고〕 「捜す」는 안 보이게 된 것을 찾는 경우에, 「探す」는 손에 넣고 싶은 것, 보고 싶은 것을 찾는 경우에 씀. 【가능동사】 さが·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続ける
계속하다. 잇다. 연결하다. 【문어형】 つづ·く {하2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계속해서 …하다. 【문어형】 つづ·く {하2단 활용}
祈り
기원. 기도
消え入りそうな声で言った
言う
말하다; 이야기하다. 지껄이다; 묻다; 명령하다. 의뢰하다; (의견을) 진술하다; 조언하다. 비평하다; 표현하다; 〈「…を…と~」의 꼴로〉 …을 …이라고 (말)하다[부르다·일컫다]; 소리가 나다. 소리를 내다. 소리가 들리다; 〈「…と~」+体言, 「…と~·った」+体言, 「…と~·います」+体言의 꼴로〉 …이라는. …이라 하는. 〔참고〕 「いう」 자체는 실질적인 뜻이 없으며, 흔히 仮名로 씀; 〈「…と~」의 앞뒤에 같은 体言이 붙어〉 …이라는 …은(는) 모두; 〈상태를 나타내는 말에 「…と~·ったらない」 「…と~ものはない」가 이어져〉 이 이상 …한 것은 없다. 정말이지 …하다. 〔참고〕 「…といったらない」는 「…ったらない」로도 씀. 어형(語形)이 「いう」의 꼴이지만 발음은 「ユー」로 함. 현대 かな 쓰기에서 활용의 설명상 「いう」로 씀. 【가능동사】 い·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声
거름. 비료. 분뇨(糞尿). 〔동의어〕肥やし·下肥; 목소리. 소리; 물건이 진동해서 나는 소리. 〔동의어〕音·響き; 말. 생각. 의견; 계절이나 시기 등이 다가오는 낌새. 낌새
消え入る
사라지다. 스러지다. 꺼져 들어가다; 실신하다. 기절하다
「ねえ、連れだして」
連れる
⇒ つれて< 1> ; 치켜 올라가다. 〔참고〕 「吊れる」로 씀; 경련이 일어나다. 땅기다. 쥐가 나다. 〔참고〕 「攣れる」로 씀
後悔しないよ一等星
後悔
『문어』 공회; 공식 회의; 공개적인 모임; 국제 회의; 『법률』 공해. 〔반의어〕 領海; 공개; 《「きょうかい」라고도 함》; 성교(性交); 경개; 『법률』 채무 변경 계약; 『문어』 후회. 뒷날 다시 만남; 후회. 뉘우침; 항해; 『지리·지학·지명』 화산이 폭발하여 분화된 화산재가 땅에 내리는 일. 또는 그 재; 교활. 〔동의어〕狡猾. {문어·ナリ 활용 }
一等星
『천문』 일등성. ((항성 중에서 가장 밝게 보이는 제1급의 별))
誰かの所為にしたくなくて
所為
『불교』 삼승(三乘) 수행의 첫 단계; 최초의 위치·지위. 최초의 단계; 『문어』 소위; 탓. 때문. 〔동의어〕せい
誰
수. 오행(五行)의 다섯째. ((계절은 겨울, 방위로는 북, 색은 검정임)); 「水曜日」의 준말; 《속어》 당밀즙(糖蜜汁)만을 탄 얼음물; 물. 액체; 순수함. 또는 그런 것; 뛰어난 것. 정수(精粹); 세상 물정에 밝아 인정의 기미(機微)를 잘 앎. 특히, 남녀간의 애정에 이해가 많음. {문어·ナリ 활용 }; 화류계·예능계의 사정에 밝음. 멋을[풍류를] 앎. (언동이) 세련되어 있음. {문어·ナリ 활용 }; 추; 저울추. 분동; 방추(紡錘)를 세는 말; 시다. 신맛이 있다. 〔동의어〕すっぱい. 【문어형】 す·し {ク 활용}
自分の意志で踏み出したんだ
意志
돌. 암석. 광물. 석재(石材); 보석; (가위바위보의) 바위. 〔동의어〕ぐう. 〔반의어〕 はさみ·かみ; 단단한 것, 차가운 것, 무정한 것의 비유; 담석. 결석(結石); 바둑돌. 〔동의어〕碁石; 의사. 〔동의어〕医者; 이지; 보통과 다른 뛰어난 뜻; 의지. 의사. 생각. 뜻; 의사. (무언가를 하고자 하는) 생각; 유자. 유복자. 〔동의어〕遺児; 유지. 옛터. 유적; 유지. 죽은 사람의 생존시의 뜻; 유기된 시체; 위지. 취지에 어긋남; 『문어』 액사. 목을 매어 죽음. 〔동의어〕首つり·首くくり; 사람을 턱으로 부림. 사람을 가벼이 보고 마음대로 부림
自分
무렵. 대체적인 시기·시각; 적당한 때. 기회. 시기; (중국에서 신문의 논설 등에 쓰는) 현대어체(現代語體)의 문장; 그 시대의 글. 당시의 글; 그 사람 자신. 자기 자신;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동의어〕わたくし
踏み出す
걸음을 내딛다; 발을 밖으로 내디디다; (비유적으로) 시작하다. 착수하다. 진출하다. 【가능동사】 ふみだ·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さあ、連れてくよ」
連れる
⇒ つれて< 1> ; 치켜 올라가다. 〔참고〕 「吊れる」로 씀; 경련이 일어나다. 땅기다. 쥐가 나다. 〔참고〕 「攣れる」로 씀
誰かに笑われるような
笑う
웃다. 〔반의어〕 泣く; (비유적으로) 꽃봉오리가 벌어지다. 열매가 익어서 터지다. 꽃이 피다; 꿰맨 곳이 타지다; 《속어》 웃기다. 가소롭다. 문제도 되지 않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비웃다. 조소하다. 빈정대다. 우습게 여기다. 〔동의어〕あざ笑う·あざける. 〔참고〕 「嗤う」로도 씀. 【가능동사】 わら·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誰
수. 오행(五行)의 다섯째. ((계절은 겨울, 방위로는 북, 색은 검정임)); 「水曜日」의 준말; 《속어》 당밀즙(糖蜜汁)만을 탄 얼음물; 물. 액체; 순수함. 또는 그런 것; 뛰어난 것. 정수(精粹); 세상 물정에 밝아 인정의 기미(機微)를 잘 앎. 특히, 남녀간의 애정에 이해가 많음. {문어·ナリ 활용 }; 화류계·예능계의 사정에 밝음. 멋을[풍류를] 앎. (언동이) 세련되어 있음. {문어·ナリ 활용 }; 추; 저울추. 분동; 방추(紡錘)를 세는 말; 시다. 신맛이 있다. 〔동의어〕すっぱい. 【문어형】 す·し {ク 활용}
儚い夢だとしても
夢
육. 여섯. 〔동의어〕むっつ·ろく; 무. 아무것도 없음. 〔반의어〕 有; 힘을 쓰거나, 감탄하거나, 놀라거나 할 때 입을 다물고 내는 소리. 음; 『문어』 《動詞·動詞型活用의 助動詞의 未然形에 붙어》; 추량·예상의 뜻을 나타냄. …일 것이다. …이겠지; 의지·희망의 뜻을 나타냄. …하겠다. …할 작정이다; 권유·명령의 뜻을 나타냄. …하는 것이 좋겠다. …해 주게; 가정·가상의 뜻을 나타냄. 만약 …이라면 (…일 것이다); 완곡하게 표현하는 뜻을 나타냄. …같은. 〔참고〕 平安 시대 이후에는 「ん」으로도 씀
儚い
덧없다. 허무하다. 무상하다; 〈「~·くなる」의 꼴로〉 죽다. はか-な·げ 【형용동사】はか-な·さ 【명사】 【문어형】 はかな·し {ク 활용}
として
〈상태를 나타내는 한자어에 붙어 副詞句를 만듦〉 동작·작용이 일어날 때의 양태(樣態)를 나타냄. …하게. …해져서; 〈動詞의 未然形+「う」 「よう」에 붙어〉 …려고; 〈「それはそれ~」 「それはそう~」의 꼴로 接続詞적으로 씀〉 그것은 그렇다 치고; 《体言에 붙어》 자격이나 입장을 나타냄. …로서; 《「一人」 「一本」 「一時」 등의 말에 붙고, 뒤에 否定의 「ない」가 따름》 전면적인 부정을 나타냄. …도 …않다[없다]
どうか叶えてよね
どうか
동화. 〔반의어〕 異化; 본디 질이 다른 것이 감화되어 같게 됨; 생물이 외부로 부터 섭취한 물질을 자기의 몸을 구성하는 성분과 같은 것으로 변화시키는 현상; 동가. 〔동의어〕等価; 도교를 받드는 사람. 1.2.〔동의어〕どうけ; 도덕적인 가르침을 알기 쉽게 노래한 교훈적인 短歌; 동화. 동전; 도화. 〔동의어〕みちび·口火
叶える
들어맞추다. 일치시키다; 채우다. 충족시키다; 들어주다. 이루어 주다. 성취시키다. 【문어형】 かな·ふ {하2단 활용}
君だけは
君
『문어』; 임금. 군주; 윗사람에 대한 높임말; 논다니. 유녀; 남자가 동년배 또는 손아래 상대를 친근하게 부르는 말. 자네. 그대. 군. ((「おまえ」보다 공손한 말)) 〔반의어〕 僕; 느낌. 기분. 〔동의어〕きび; 〈「~がいい」 「いい~(だ)」의 꼴로〉 고소한 기분이다. 고소하다; 기미. 기운. 경향; ⇒ きび; 노랑을 띠고 있음. 노란 빛깔. 〔동의어〕黄色み; 노른자위. 난황(卵黃). 〔동의어〕卵黄. 〔반의어〕 白身
他の誰でもない
他
《「あた」의 변한말로 室町 시대까지는 「あた」로 읽었음》; 원수. 적. 〔동의어〕敵·; 원한. 원망. 〔동의어〕恨み; 앙갚음. 보복. 해. 화; 《고어》 외적. 외구(外寇); 헛됨. 헛일. 헛수고. 부질없음. 〔동의어〕むだ; 들떠 있음. 부박(浮薄); 다름. 딴 것임. 〔동의어〕外·別; (여자가) 요염함. {문어·ナリ 활용 }
誰
수. 오행(五行)의 다섯째. ((계절은 겨울, 방위로는 북, 색은 검정임)); 「水曜日」의 준말; 《속어》 당밀즙(糖蜜汁)만을 탄 얼음물; 물. 액체; 순수함. 또는 그런 것; 뛰어난 것. 정수(精粹); 세상 물정에 밝아 인정의 기미(機微)를 잘 앎. 특히, 남녀간의 애정에 이해가 많음. {문어·ナリ 활용 }; 화류계·예능계의 사정에 밝음. 멋을[풍류를] 앎. (언동이) 세련되어 있음. {문어·ナリ 활용 }; 추; 저울추. 분동; 방추(紡錘)를 세는 말; 시다. 신맛이 있다. 〔동의어〕すっぱい. 【문어형】 す·し {ク 활용}
君だけは
君
『문어』; 임금. 군주; 윗사람에 대한 높임말; 논다니. 유녀; 남자가 동년배 또는 손아래 상대를 친근하게 부르는 말. 자네. 그대. 군. ((「おまえ」보다 공손한 말)) 〔반의어〕 僕; 느낌. 기분. 〔동의어〕きび; 〈「~がいい」 「いい~(だ)」의 꼴로〉 고소한 기분이다. 고소하다; 기미. 기운. 경향; ⇒ きび; 노랑을 띠고 있음. 노란 빛깔. 〔동의어〕黄色み; 노른자위. 난황(卵黃). 〔동의어〕卵黄. 〔반의어〕 白身
涙そうそう
夏の味覚 山梨で桃狩り始まる 「日川白鳳」食べ放題に多くの観光客(2024年6月29日)
日米韓の安保担当高官が協議 対北朝鮮で協力確認(2023年12月9日)
被災地に歯科医師派遣へ 口腔ケアで感染症対策(2024年1月15日)
Japanese Words - Health Concerns
ペットのマイクロチップ義務化 購入者が費用負担も(2022年5月24日)
箱根山の「ハザードマップ」 約20年ぶりに改訂へ(2023年3月20日)
日立 エアコンの国内生産能力を5割に引き上げ(2023年4月26日)
門松づくり大づめ 最大2メートルも 富山・上市町(2020年12月26日)
韓国の調査「外国への好感度」 日本が主要国で最下位に(2022年1月12日)
You need to upgrade to a premium account to using this feature
Are you sure you want to test again?
Please upgrade your account to read unlimited newspap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