みなさんこんにちは、突然ですが
Easy Japanese 8 - The Secret of Longevity
1026 viewみなさんこんにちは、突然ですが
日本人の約4人に一人が60歳以上だって知ってましたか?
ということで、今回のイージージャパニーズは
そんな元気なおじいちゃん、おばあちゃんに
長寿の秘訣について聞いてみたいと思います。
すいません、失礼なんですが、おいくつなんですか、今?
83際です。
83歳?えー、若いですね。
えー、70ちょっと過ぎました。
おー、すごいお元気。
失礼ですが、おいくつなんですか、お父さんは今?
73、あっ72だ。
72?えー!元気で!
昔式に言えば90。
まる、満で行けば、あー、89歳と6ヶ月ぐらいかな。
とっても元気じゃないですか!
お父さんの元気の秘訣ってなんですか?
あれ、家内どこいった?
あっちも88だから。
えー!
お母さんのまず、お歳を伺いたいんですけど。
歳ですか?40!
健康のために、なんか普段から
気をつけてることってあるんですか?やっぱり。
やっぱり食事ですよね。やっぱりね。
血圧高くならないように食事に注意してるんですね。
やっぱり野菜と魚ですね。ええ。
肉はあんまり、まあ肉は月いっぺんくらいですね。
食べ物はあんまり、なんていうのかな、やっぱり肉とかさ、
そういうものは食べなくなってくるね、やっぱりこれは。
よく聞くけども。
年齢に従って、だんだん脂っこいもの食べなくなるっていうよね。
パティシエなんで、
どうしても甘いものは仕事柄必ずとるじゃないですか。
だからその辺は気をつけて、やっぱり食べるものの順番とか、
野菜を中心にとか。その辺は食生活気をつけてます。
で、あんまりこう太らないように。
お父さんの元気の秘訣を聞きたいのですが?
えー、散歩をやること、酒飲むこと、あと筋トレやること。
筋トレなさってるんですか?
はい、やってます。
すごい、じゃあ今もう見せてください、え!?
ちょっと、もう鍛え上げられてらっしゃる。
とにかくよく歩くことだね。
山登り。山登り、あと自然観察とかね。
あと、たまにここでボランティアしてると。
あのー、これ全部ほら、うちで作ってるものだから。
ね!揚げゴボウとかね!美味しそう!
そうなの。全部うちで作ってる。
お料理得意なんですね?
私じゃないの。
あの、家族で商売してるもんだから。
音尾さんと娘と私と3人の商売でね。
お父さんと娘がこれ朝作ってよこすのね。
それをお母さんはこうやって売るの。
で、お客さんと直接対面しながら商売してるから。
やっぱり楽しいのが一番いいね。
やっぱり毎日の仕事を楽しんでやることですよね。
今日は美味しいものが作れたかなとか、
お客さんが喜んでくれたかなってことを
感じながらお仕事することがいちばんですよね。
すごい男前ですけど、なんかスポーツとかなんかされてるんですか?
スポーツはもう昔しただけで、
今はやっぱりそういうボランティア活動だね。
若い頃からスポーツとかなさってたんですか?
トライアスロンも53からやりました。
えぇー!
ダイビングもやってます!
ダイビングも?
え、もうスポーツ大好きなんですね!
そうです。健康の秘訣はやっぱりスポーツですね。
仲間はダイビングもいるし、
山もアルプス登って平均年齢73で登ってます。
えー、もうかっこいいですね。
散歩しなが歩いて。。。
あら、なんだ?
大丈夫、大丈夫。
ところで俺はバスで帰んなきゃなんねーんだ。時間。
すいません。そっか。ありがとうございました。はい。
あ、電話。
でも携帯電話も使われてるんですね。今。すごい。
ハイテク。ありがとうございました。
見てくれて、ありがとう。楽しんでくれましたか?
フェイスブックページもあるので是非チェックして見てね!
みなさんこんにちは、突然ですが
突然
《副詞는 「~に」의 꼴로도 씀》 돌연. 갑자기. 〔동의어〕突如
日本人の約4人に一人が60歳以上だって知ってましたか?
以上
이상; (수량·정도·우열 등의 비교에서) 그보다 위의 범위에 있음. 수량에서는 그 기준도 포함됨. 〔반의어〕 以下; 이제까지 말한 것; 문서의 마지막에 적어 ‘끝’의 뜻을 나타냄; 「御目見以上」의 준말; 전부. 도합. 합계;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어 接続助詞처럼 쓰임〉 …한[된] 바에는. …한[된] 이상; 위요. 둘러쌈. 〔동의어〕いにょう; 위양. 권한 등을 다른 사람 또는 기관에 넘겨줌; 이상. 〔동의어〕別状; 이상. 정상이 아님. 〔반의어〕 正常. {문어·ナリ 활용 }; 이승. 갈아탐. 옮겨 탐; 이양. 남에게 넘겨줌
約
약; 〈「厄年」의 준말〉 액년; 소임(所任). 직무. 임무; (연극 등에서) 역. 배역; 역할. 구실; (화투·마작·트럼프 등에서) 약속에 따라 정해진, 일정한 득점을 얻기 위한 조건. 약(約); 『문어』; 약속; 줄임. 생략; 『언어학』 「約音」의 준말; 대략. 약; 『문어』 효과. 효용; 《接尾語적으로도 씀》 역; 번역; 어려운 말이나 문장을 알기 쉽게 해석하여 옮긴 것; 『식물·식물학』 약. 꽃밥; 《속어》 약. 마약; 태우다; 굽다; 그을리다. 지지다; 애태우다; (사진을) 인화하다. 복사하다; 달구다; 마음을 쓰다. 돌봐 주다. 애먹다; 「焼ける」의 문어
だって
상대의 말을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고 반론하는 경우에 씀. 그렇지만. 하지만. 그런데. 〔동의어〕でも; 《助動詞 「だ」에 助詞 「とて」가 붙은 「だとて」의 변한말. 体言 또는 体言에 준하는 말에 붙음》; …(이)라도. …일지라도. …라 하여도; …에게조차; …이든 …이든; …이란다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歳
《주로 한자어에 붙어》 재…. 재차. 다시 한 번; …제. 축제. 잔치; …재. ((방의 이름이나 아호(雅號) 등에 붙이는 말. 一刀~, 六無~ 등; 세. 나이; 재주. 재능; 처. 아내. 〔동의어〕つま·家内; 주사위. 〔동의어〕賽子; 채색(彩色). 배색(配色); (옛날, 대장이 싸움을 지휘할 때 쓰던) 采配. ((대가 짧은 총채 비슷한 도구)); 차이; 『문어』 미세함. 자세함; 채소; 『동물·동물학』 무소. 코뿔소; 채; 채권(債券); 때. 즈음. 기회. 〔동의어〕おり; 『문어』 으뜸감. 최상. 제일. {문어·タリ 활용}; 가장. 더할 나위 없는
一
일; 하나. 〔동의어〕一つ. 〔참고〕 증서 등에서는 갖은자인 「壱」을 씀; (사물의) 시초. 처음. 첫째. 최초. 〔동의어〕一番め; 최상. 최고. 으뜸. 〔동의어〕首位; (상투 등에서) 元結로 묶은 곳에서 뒤로 내민 부분; (三味線·거문고 등에서) 제일 낮은 음의 줄. 〔동의어〕一の糸; (많은 것 중) 한. 하나의. 한 사람의; (이렇다 할 만한 데가 없는) 하찮은. 어떠 한; 어떤. 한; 상당한. 버젓한; 시장. 저자. 장; (변하여) 시가. 거리. 〔동의어〕街; 지위(地位). 〔동의어〕地位; 위치; 지위. 입장
日本人
일본인. 일본 사람. 〔동의어〕にっぽんじん
ということで、今回のイージージャパニーズは
今回
금회. 이번 차례. 이번. 금번
ジャパニーズ
재퍼니즈. 일본인. 일본어. 일본식
イージー
이지; 간편. 용이. 손쉬움. 간이. 〔동의어〕たやすい; 안이(安易)
そんな元気なおじいちゃん、おばあちゃんに
そんな
그런. 그와 같은
元気
원기; 만물 발생의 근본이 되는 정기(精氣); 기력. 기운; 건강함. 활발함. げん-きさ 【명사】; 원기; 같은 종류의 표준이 되는 기구; 도량형의 기본 표준이 되는 기구; 『문어』 과시하고 뽐내고 싶은 마음
長寿の秘訣について聞いてみたいと思います。
思い
생각함. 또는 그 생각. 〔동의어〕考え; 기분. 느낌. 마음. 〔동의어〕気持ち·感じ; 기대. 예상. 〔동의어〕期待·予想; 소원. 뜻. 〔동의어〕願い·望み; 연정. 연모의 정. 사모하는 마음; 집념. 미련. 원한. 〔동의어〕執念·うらみ; 근심. 수심. 〔동의어〕物思い; 무겁다. 〔반의어〕 軽い; 중량이 있다. 가볍지 않다; (사물이) 중대하다. 중요하다; (정도가) 심하다. (병이) 위중하다. 〔동의어〕ひどい; (신분·지위 등이) 높다. 중요하다; 후련하지[개운하지] 않다. 무지근하다; 침착하다. 진중하다. おも·げ 【형용동사】 おも·さ 【명사】 おも·み 【명사】 【문어형】 おも·し {ク 활용}
長寿
장수. 명이 긺. 〔동의어〕長生き·長命
秘訣
부결. 〔반의어〕 可決; 비결; 『문어』 비결. 변비(便秘)
すいません、失礼なんですが、おいくつなんですか、今?
今
지금. 이제. 현재; 오늘날. 현대. 〔반의어〕 昔; 〈接続詞적으로 씀〉 이야기를 진전시키기 위하여 전제(前提)를 설정할 때 쓰는 말. 여기서; 가까운 미래를 나타냄. 이제 곧. 바로. 잇따라; 지금 막. 방금; 더. 〔동의어〕さらに; 〈주로 사람을 나타내는 명사에 붙음〉 현대의. 최근의. 오늘날의; 새로운; 가족이 함께 모여 차를 마시거나 여가를 보내거나 하는 방. 거실(居室). 거처방
失礼
실례; 무례함. 예의 없음. {문어·ナリ 활용 }; 작별. ((흔히, 회화에서 씀)); 가벼운 마음으로 사과할 때, 작별하거나 먼저 물러가거나 할 때, 남에게 무엇을 부탁하거나 물을 때 등에 쓰는 인사말. 실례. 미안. ((흔히, 회화에서 씀))
すいません
《속어》 「すみません」의 속된 말
83際です。
際
가장자리. 옆. 가. 곁; 때. 경우; 《고어》 재능; 『문어』 기화. 기담(奇談)
83歳?えー、若いですね。
歳
《주로 한자어에 붙어》 재…. 재차. 다시 한 번; …제. 축제. 잔치; …재. ((방의 이름이나 아호(雅號) 등에 붙이는 말. 一刀~, 六無~ 등; 세. 나이; 재주. 재능; 처. 아내. 〔동의어〕つま·家内; 주사위. 〔동의어〕賽子; 채색(彩色). 배색(配色); (옛날, 대장이 싸움을 지휘할 때 쓰던) 采配. ((대가 짧은 총채 비슷한 도구)); 차이; 『문어』 미세함. 자세함; 채소; 『동물·동물학』 무소. 코뿔소; 채; 채권(債券); 때. 즈음. 기회. 〔동의어〕おり; 『문어』 으뜸감. 최상. 제일. {문어·タリ 활용}; 가장. 더할 나위 없는
若い
화해. 〔동의어〕仲直り; 화해; 『법률』 이혼 소송에서, 당사자가 혼인의 유지 또는 원만한 협의 이혼에 합의가 성립됨; 젊다; (나이가) 어리다. 손아래이다; (실제 나이보다) 젊게 보이다; 미숙하다. 설익다; (번호나 숫자가) 다른 것에 비하여 o에 가깝다. 수가 적다. わか·げ 【형용동사】 わか·さ 【명사】 【문어형】 わか·し {ク 활용}
えー、70ちょっと過ぎました。
過ぎ
때가 지났거나 정도가 지나침을 나타내는 말. 과함. 지나침; 『식물·식물학』 삼목(杉木)
おー、すごいお元気。
元気
원기; 만물 발생의 근본이 되는 정기(精氣); 기력. 기운; 건강함. 활발함. げん-きさ 【명사】; 원기; 같은 종류의 표준이 되는 기구; 도량형의 기본 표준이 되는 기구; 『문어』 과시하고 뽐내고 싶은 마음
失礼ですが、おいくつなんですか、お父さんは今?
今
지금. 이제. 현재; 오늘날. 현대. 〔반의어〕 昔; 〈接続詞적으로 씀〉 이야기를 진전시키기 위하여 전제(前提)를 설정할 때 쓰는 말. 여기서; 가까운 미래를 나타냄. 이제 곧. 바로. 잇따라; 지금 막. 방금; 더. 〔동의어〕さらに; 〈주로 사람을 나타내는 명사에 붙음〉 현대의. 최근의. 오늘날의; 새로운; 가족이 함께 모여 차를 마시거나 여가를 보내거나 하는 방. 거실(居室). 거처방
お父さん
《明治 말기 이후 「お母さん」과 함께 국정 교과서에 채택되어 일반화한 말》 아버지. 아버님. ((자식이 자기 아버지를 친근하게 부를 때 또는 가리킬 때 씀. 자식 아닌 사람이 아버지 입장에 있는 사람을 친근하게 부를 때 또는 가리킬 때도 씀. 이 밖에 아버지가 자식에게 스스로를 가리켜 말하기도 함. 구어(口語)에서는 ‘아버지’라는 뜻을 나타내는 말 중에서 가장 표준적인 말임)) 〔반의어〕 お母さん. 〔참고〕 자신의 아버지를 남에게 말할때는 「おとうさん」보다는 「父」가 표준적임
失礼
실례; 무례함. 예의 없음. {문어·ナリ 활용 }; 작별. ((흔히, 회화에서 씀)); 가벼운 마음으로 사과할 때, 작별하거나 먼저 물러가거나 할 때, 남에게 무엇을 부탁하거나 물을 때 등에 쓰는 인사말. 실례. 미안. ((흔히, 회화에서 씀))
73、あっ72だ。
72?えー!元気で!
元気
원기; 만물 발생의 근본이 되는 정기(精氣); 기력. 기운; 건강함. 활발함. げん-きさ 【명사】; 원기; 같은 종류의 표준이 되는 기구; 도량형의 기본 표준이 되는 기구; 『문어』 과시하고 뽐내고 싶은 마음
昔式に言えば90。
昔
석; 라디오 등의 트랜지스터·다이오드 등을 세는 말; ⇒ しゃく; ⇒ しゃく; 기침. 〔동의어〕しわぶき; 좌석(座席); 지위. 신분; 회장(會場); 대중적 연예장[흥행장]; 돗자리. 깔개; 성적이나 지위의 차례. 석. 등. 석차; 척. 〔참고〕 작은 거룻배는 「艘」를 씀; 쌍으로 되어 있는 것의 한 편을 세는 말. 쪽; 『문어』 책임. 책무; 보. 봇둑. 제언(堤堰); 관문(關門). 〔동의어〕関所; 가로막는 것; (바둑에서) 비김수. 빅수; 『수학』 적. 곱. 〔반의어〕 商; 적; 호적; 신분(身分). 자격; 『문어』 괴괴함. 적적함. {문어·タリ 활용}
式
《「式」로 표기하기도 함. 指示代名詞에 붙음》 하찮음, 정도가 낮음의 뜻을 담아, 기껏해야 …따위의 것, 고작 …정도의 것, 겨우 …쯤[정도] 등의 뜻을 나타냄. 〔참조어〕あれしき·これしき·それしき; 〈흔히, 接尾語적으로 씀〉 물건 밑에 까는 것. 깔개. 받침; 배의 바닥 판자; 〈「敷布団」의 준말〉 요; 「敷地」의 준말; 《속어》 (광산의) 갱도(坑道). ((광산에서 쓰는 말)); 사기; 『조류』 「ほととぎす」의 딴이름. 자규. 두견새; 사계; 각 계절의 마지막 달인 음력 3·6·9·12월; 식; 의식; 방식. 양식; 『수학』 계산 방법을 숫자난 부호로 나타낸 것. 수식(數式); 『논리학』 삼단 논법을 조직하는 판단의 종류. 논식(論式); 식. 방식; 사기. 죽는[죽을] 때; 『불교』 색. 형태를 지닌 모든 것. (변하여) 물질; 지기. 의기(意氣). 〔동의어〕いきごみ; 사기. 사적인 기록; 시기; 『법률』 법률 행위의 효력이 발생하는 시기. 〔반의어〕 終期; 지휘; 지기. ((종이 그릇이나 종이 상자 등의 총칭)); 『불교』 식. 사물을 인식·이해하는 마음의 작용; 『문어』 면식(面識)
まる、満で行けば、あー、89歳と6ヶ月ぐらいかな。
ぐらい
⇒ くらい
歳
《주로 한자어에 붙어》 재…. 재차. 다시 한 번; …제. 축제. 잔치; …재. ((방의 이름이나 아호(雅號) 등에 붙이는 말. 一刀~, 六無~ 등; 세. 나이; 재주. 재능; 처. 아내. 〔동의어〕つま·家内; 주사위. 〔동의어〕賽子; 채색(彩色). 배색(配色); (옛날, 대장이 싸움을 지휘할 때 쓰던) 采配. ((대가 짧은 총채 비슷한 도구)); 차이; 『문어』 미세함. 자세함; 채소; 『동물·동물학』 무소. 코뿔소; 채; 채권(債券); 때. 즈음. 기회. 〔동의어〕おり; 『문어』 으뜸감. 최상. 제일. {문어·タリ 활용}; 가장. 더할 나위 없는
行く
〈주로 名詞에 붙어〉 수량·정도가 불확실·불명확함을 나타냄. 어느 정도의. 몇; 수량·정도가 많음을 나타냄. 여러. 수; 『문어』 외구. 무서워하고 두려워함. 〔동의어〕恐懼; 썩 큰 몸집; 《「生きる」의 문어형》 살다. 살아가다; ⇒ ゆく; ⇒ ゆく
満
《「ま」에 撥音이 붙은 꼴》 ‘완전히’ ‘정확히’의 뜻; 《「間」의 변한말》 운. 운수; 만; 천의 십 배; 수가 많음. 다수; 만; 충분함. 가득 참; 제 돌이 꽉 찼음을 말함. 〔반의어〕 足かけ·数え
とっても元気じゃないですか!
元気
원기; 만물 발생의 근본이 되는 정기(精氣); 기력. 기운; 건강함. 활발함. げん-きさ 【명사】; 원기; 같은 종류의 표준이 되는 기구; 도량형의 기본 표준이 되는 기구; 『문어』 과시하고 뽐내고 싶은 마음
お父さんの元気の秘訣ってなんですか?
お父さん
《明治 말기 이후 「お母さん」과 함께 국정 교과서에 채택되어 일반화한 말》 아버지. 아버님. ((자식이 자기 아버지를 친근하게 부를 때 또는 가리킬 때 씀. 자식 아닌 사람이 아버지 입장에 있는 사람을 친근하게 부를 때 또는 가리킬 때도 씀. 이 밖에 아버지가 자식에게 스스로를 가리켜 말하기도 함. 구어(口語)에서는 ‘아버지’라는 뜻을 나타내는 말 중에서 가장 표준적인 말임)) 〔반의어〕 お母さん. 〔참고〕 자신의 아버지를 남에게 말할때는 「おとうさん」보다는 「父」가 표준적임
元気
원기; 만물 발생의 근본이 되는 정기(精氣); 기력. 기운; 건강함. 활발함. げん-きさ 【명사】; 원기; 같은 종류의 표준이 되는 기구; 도량형의 기본 표준이 되는 기구; 『문어』 과시하고 뽐내고 싶은 마음
秘訣
부결. 〔반의어〕 可決; 비결; 『문어』 비결. 변비(便秘)
あれ、家内どこいった?
家内
가내. 집안; 식구. 가족; (자기의) 아내. 안사람. 내자; 과내. (회사·관청 등의) 과(課)의 내부. 〔반의어〕 課外
あっちも88だから。
あっち
《「あち」의 변한말》 저기. 저쪽. 저리. 〔반의어〕 こっち
えー!
お母さんのまず、お歳を伺いたいんですけど。
歳
《주로 한자어에 붙어》 재…. 재차. 다시 한 번; …제. 축제. 잔치; …재. ((방의 이름이나 아호(雅號) 등에 붙이는 말. 一刀~, 六無~ 등; 세. 나이; 재주. 재능; 처. 아내. 〔동의어〕つま·家内; 주사위. 〔동의어〕賽子; 채색(彩色). 배색(配色); (옛날, 대장이 싸움을 지휘할 때 쓰던) 采配. ((대가 짧은 총채 비슷한 도구)); 차이; 『문어』 미세함. 자세함; 채소; 『동물·동물학』 무소. 코뿔소; 채; 채권(債券); 때. 즈음. 기회. 〔동의어〕おり; 『문어』 으뜸감. 최상. 제일. {문어·タリ 활용}; 가장. 더할 나위 없는
お母さん
화류계에서 기녀가 여주인을 부르는 말
伺い
‘방문(訪問)’·‘문의’의 겸사말; 신불(神佛)에게 신탁(神託)을 구함; 윗사람에게 지시를 구함. 또는 그 문서. 〔참고〕 2.3.은 보통 「お~を立てる」의 꼴로 씀
歳ですか?40!
歳
《주로 한자어에 붙어》 재…. 재차. 다시 한 번; …제. 축제. 잔치; …재. ((방의 이름이나 아호(雅號) 등에 붙이는 말. 一刀~, 六無~ 등; 세. 나이; 재주. 재능; 처. 아내. 〔동의어〕つま·家内; 주사위. 〔동의어〕賽子; 채색(彩色). 배색(配色); (옛날, 대장이 싸움을 지휘할 때 쓰던) 采配. ((대가 짧은 총채 비슷한 도구)); 차이; 『문어』 미세함. 자세함; 채소; 『동물·동물학』 무소. 코뿔소; 채; 채권(債券); 때. 즈음. 기회. 〔동의어〕おり; 『문어』 으뜸감. 최상. 제일. {문어·タリ 활용}; 가장. 더할 나위 없는
健康のために、なんか普段から
健康
겸행; 『문어』 둘 이상의 일을 겸해서 함; 건강; 몸이 건강함; 건전함. {문어·ナリ 활용 }; 『문어』 견갑; 단단한 껍데기; 『문어』 권형; 저울; 기준; 균형. 〔동의어〕つりあい; 『문어』 헌앙. 헌거(軒擧). 의기가 떨쳐 일어나는 모양. {문어·タリ 활용}
なんか
남하. 〔반의어〕 北上; 『문어』 남가. 남쪽으로 뻗은 가지. 남지. 〔동의어〕南枝; 연화; (단단한 물건이) 부드러워짐. 부드럽게 함; (태도·주장 등이) 누그러짐. 또는 누그러뜨림; 『경제』 (증권 거래에서) 시세가 내림; 『화학』 센물을 단물로 바꿈. 1.~3. 〔반의어〕 硬化; 『경제』 연화. 〔반의어〕 硬貨; 금이나 국제 통화인 달러와의 교환 능력이 없는 통화; 《代名詞 「なに」에 助詞 「か」가 붙은 「なにか」의 변한말》; 임의의, 또는 불특정한 사물을 가리킴. 무엇인가; 열거한 말의 마지막에 놓여, 앞의 것과 유사한 불특정한 어떤 것을 가리킴. 무엇인가. 그런 것. 〔참고〕 「なんぞ」보다 구어적임; 어쩐지. 어딘지 모르게. 〔동의어〕どことなく; 《連語 「なんか」가 助詞화한 말. 副助詞 「など」의 용법과 거의 같음》 …등. …들. …따위. …같은 것. 그러한[이러한] 것. 〔참고〕 보통, かな로 씀
気をつけてることってあるんですか?やっぱり。
気
귀; 신분·집안·가치 등이 높은; 경의(敬意)의 표시; 기; 기초. 근본; 『화학』 원자단(原子團). 〔동의어〕根; (설치해 놓은) 묘석(墓石)·장명등(長明燈)·기계 등을 세는 단위; 인간답지 않은 무서운 사람; 기; 기. 말 탄 사람의 수효; 『식물·식물학』 나무. 수목; 재목. 목재; 딱따기; 잡것이 섞이지 않음. 자연 그대로임. 순수함; ‘순수함’ ‘인공을 가하지 않음’ ‘오직 그대로임’의 뜻을 나타냄; 황. 노랑. 황색. 〔동의어〕きいろ; ‘황색’의 뜻을 나타냄; 기. 십간(十干)의 여섯째. 〔동의어〕つちのと; 기운. 정기. 생기. 분위기; (특유한) 맛. 향기; 숨. 호흡; 정신. 의식. 얼; 성미. 기질. 마음씨; 기. 기력; 생각. 의지; 마음. 기분; 흥미. 관심; 「希臘」의 준말; 『화학』 희. 묽은. 〔반의어〕 濃; 드묾. 〔참고〕 「希」는 「稀」의 대용자; 상을 입고 집에 들어박혀 행동을 삼가는 일. 또는 그 기간. ((보통 49일간)) 상(喪); 기. 기일(忌日). 회기(回忌); 『문어』 이상함. 야릇함. 진기함. {문어·ナリ 활용 }; 기수. 홀수. 〔반의어〕 偶; 계절. 〔동의어〕シーズン; 連歌·俳句에서 구(句)에 삽입하는 계절의 경물(景物). 〔동의어〕季題·季語; 계. 천간(天干)의 열째. 〔동의어〕みずのと; 기. 기전체(紀傳體) 역사에서 제왕의 사적(事績)을 적은 글. 〔동의어〕本紀; 『문학』 〈「日本書紀」의 준말〉 일본서기; 기. 지질 시대 구분의 단위; 궤; 수레의 양 바퀴의 간격; 수레바퀴가 지나간 자국; 규칙; 기. 기록(문); 『문학』 「古事記」의 준말; 기; 기. 기구(起句); 『문어』 기; 시기. 기간. 기한; 좋은 기회. 시기; 기; 기간. 시기; [age]『지리·지학·지명』 지질 시대의 한 구분. 「世」의 아래; 계략. 모사(謀事). 방법; 《고어》 파. 〔동의어〕ねぎ; 『문어』 그릇. 〔동의어〕うつわ; 물건을 담는 용기; 기. 기량. 인물. 재능; 기; 기관(器官); 기구. 도구; 계기; 시기. 기회; 〈「飛行機」의 준말〉 비행기; (불교에서) 기. 기근(機根). 〔동의어〕気根; 기계; 비행기; 비행기를 세는 말. 대; 『문어』 《用言·助動詞의 連用形에 붙음》; 과거에 직접 체험한 일을 회상하는 말. …었다. …였다. …고 있었다; (경험과 관계없이 널리) 과거의 사실을 나타냄. …었다. …였다; 현재 또는 완료의 뜻을 나타냄. …하고 있다. 〔참고〕 終止形 「き」는 カ変動詞에 붙지 않음. カ変을 받는 경우는 「きし」 「きしか」와 「こし」 「こしか」의 두 꼴이 있음. 고대에는 未然形 「せ」가 있었다고 생각되는데, 助詞 「ば」가 붙어 가정의 뜻을 나타냄
やっぱり食事ですよね。やっぱりね。
食事
식사; 『의학』 식이. 먹을 것; 『인쇄』 식자. 조판(組版). 〔참고〕 인쇄 관계자는 「食事」와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서 「ちょくじ」로도 씀
血圧高くならないように食事に注意してるんですね。
食事
식사; 『의학』 식이. 먹을 것; 『인쇄』 식자. 조판(組版). 〔참고〕 인쇄 관계자는 「食事」와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서 「ちょくじ」로도 씀
注意
중위; 중정(中正)의 위치; (육·해군의) 중위. 〔반의어〕 大尉·少尉; 주의; 마음을 집중함; (위험·재난을 당하지 않도록) 조심함. 경계함; 귀뜀을 함; 『심리학』 어떤 심적 내용이 의식(意識)에 떠오르고, 여타의 심적 내용이 억제되는 심적 과정
血圧
『생리학』 혈압
やっぱり野菜と魚ですね。ええ。
魚
물고기. 〔동의어〕さかな. 〔참고〕 생물 용어로는 「うお」이지만, 일반적으로는 「さかな」로 쓰는 경우가 많음. 원래는 요리한 것을 「さかな」, 날것은 「うお」라 했음
野菜
야채. 채소. 푸성귀. 〔동의어〕青物
肉はあんまり、まあ肉は月いっぺんくらいですね。
月
《「月曜日」의 준말》 월; 《「…か~」의 꼴로》 …(개)월
肉
《유아어》 소변. 오줌. 쉬. 〔동의어〕しっこ; 『문어』 (짐승의) 고기; 「けだもの」의 옛일컬음. 특히, 멧돼지·사슴을 가리킴; 『문어』 사지. 팔다리; 『문어』 사시. 사실(史實)을 소재로 한 시; 『문어』 시체. 송장. 〔동의어〕屍; 지사; 『역사』; 「国守」의 중국식 이름; 『문어』; 사제지간. 스승과 제자; 신문과 잡지; 「源氏物語」의 딴이름. 〔참고〕 「紫」는 작자인 「紫式部」를 뜻함; 『동물·동물학』 사자. 〔동의어〕ライオン; 「獅子舞」의 준말; 「獅子がしら」의 준말; 시사; 시의 형식을 취해서 나타낸 역사; 『문어』 시정(詩情). 시흥(詩興); 『문어』 사자. 대(代)를 이을 자식. 〔동의어〕跡継ぎ; 『문어』 자자. 부지런히 힘쓰는 모양. 〔동의어〕せっせ. {문어·タリ 활용}
食べ物はあんまり、なんていうのかな、やっぱり肉とかさ、
食べ物
먹을거리. 음식물. 〔동의어〕しょくもつ. 〔참고〕 좁은 뜻에서는 음료는 제외됨
肉
《유아어》 소변. 오줌. 쉬. 〔동의어〕しっこ; 『문어』 (짐승의) 고기; 「けだもの」의 옛일컬음. 특히, 멧돼지·사슴을 가리킴; 『문어』 사지. 팔다리; 『문어』 사시. 사실(史實)을 소재로 한 시; 『문어』 시체. 송장. 〔동의어〕屍; 지사; 『역사』; 「国守」의 중국식 이름; 『문어』; 사제지간. 스승과 제자; 신문과 잡지; 「源氏物語」의 딴이름. 〔참고〕 「紫」는 작자인 「紫式部」를 뜻함; 『동물·동물학』 사자. 〔동의어〕ライオン; 「獅子舞」의 준말; 「獅子がしら」의 준말; 시사; 시의 형식을 취해서 나타낸 역사; 『문어』 시정(詩情). 시흥(詩興); 『문어』 사자. 대(代)를 이을 자식. 〔동의어〕跡継ぎ; 『문어』 자자. 부지런히 힘쓰는 모양. 〔동의어〕せっせ. {문어·タリ 활용}
なんて
의문·영탄의 뜻을 나타냄. 무어라고. 어쩌면 그렇게; 《「なんという」의 준말》 이렇다 할. 무어라고 할; 《副助詞 「など」에 格助詞 「と」가 붙은 「などと」의 변한말. 体言 또는 体言에 준하는 말 또는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음》; …라는 둥. …라느니 하는; 따위. …같은 것. 〔동의어〕なんか; 의외·놀람·비판의 뜻을 나타냄. …이라니. …하다니
そういうものは食べなくなってくるね、やっぱりこれは。
そういう
그와 같은. 그러한
よく聞くけども。
聞く
『문어』 ⇒ 危惧; 기구. 〔반의어〕 結句; 문장의 첫구; 『식물·식물학』 국화. 〔동의어〕長月花; 국화문(菊花紋); 『문어』 규구; 규준. 모범. 규칙; 효력이 있다. 듣다; 가능하다. 통하다; 능력[기능]이 충분히 발휘되다. 잘 움직이다. 〔참고〕 1.은 「効く」로도 씀. 【문어 4단 활용 동사】; 《「口を~」의 꼴로》; 말을 하다; 주선해 주다. 거들어 주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말이나 소리를) 듣다. 〔참고〕 1.은 「聴く」로도 씀; (남의 말을) 받아들이다; 묻다. 질문하다. 〔동의어〕尋ねる·問う. 〔참고〕 3.은 「訊く」 「尋く」로도 씀; (냄새를) 맡다; (술 등의 맛을) 맛보다. 【가능동사】 き·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문어』 기구; (변하여) 인생 행로가 평탄치 못하고 고생이 많음. {문어·タリ 활용}
年齢に従って、だんだん脂っこいもの食べなくなるっていうよね。
年齢
새해의 하례(賀禮). 또는 그러한 방문; 연령. 나이. 〔동의어〕よわい·としなみ
だんだん
『문어』; 둥근 모양; 이슬이 방울방울 맺혀 있는 모양. {문어·タリ 활용}; 《속어》 계단. 층계; 하나하나. 여러 가지. ((예스러운 말)); 《「~と」의 꼴로도 씀》 점점. 차차. 차츰
脂っこい
(식품에) 기름기가 많다. 느끼하다; (성질이 담박하지 못하고) 깐질기다. 추근추근하다. 끈끈하다. あぶら-っ-こ·さ 【명사】
パティシエなんで、
どうしても甘いものは仕事柄必ずとるじゃないですか。
必ず
반드시. 꼭. 틀림없이. 〔동의어〕きっと
甘い
(맛이) 달다; (간이) 싱겁다. 짜지 않다; (냄새나 소리, 사람의 말 등이) 달콤하다; 엄하지 않다. 무르다. 만만하다. 대수롭지 않다; 느슨하다. 헐겁다. 꼭 맞지 않다; (칼날 등이) 무디다; (주식 값이) 내림세이다. 1.2. 〔반의어〕 辛い. あま·さ 【명사】 あま·み 【명사】 【문어형】 あま·し {ク 활용}
仕事
일; 작업. 업무. 직업; 『물리』 어떤 물체에 힘을 가하여 그 상태나 위치가 이동함. 또는 그 변화한 정도
柄
《고어》 대체적인 방향·위치·시간을 나타냄; 겹치거나 거듭된 것을 세는 말. 겹. 〔동의어〕重り; 《고어》 (바다·호수 등의) 후미. 〔동의어〕入り江; 《고어》 가지. 〔동의어〕えだ; 자루. 손잡이; 『문어』 모이. 미끼. 먹이. 〔동의어〕えさ; 많은 사람이 모여서 하는 법회(法會)·제례(祭禮); 《고어》 돌림병. 〔동의어〕えき; 그림; (텔레비전의) 영상. 화면; 『문어』 《뒤에 否定語가 따름》 잘 …하지 않다. 도저히 …할 수 없다; 회화에서, 긍정·승낙을 나타내는 말. 예. 네; 회화에서, 감동·놀람·의문을 나타냄. 예. 네. 뭐; 〈名詞에 붙어〉 남에게 말을 걸 때 쓰는 예스러운 말; 〈「か」 「だれ」 「何」 등 의문을 나타내는 말이나, 「だ」 「です」 등에 붙어〉 의문의 뜻을 강조함; 〈말 끝에 붙어〉 어조를 부드럽게 하거나 친근감을 나타내거나 함
だからその辺は気をつけて、やっぱり食べるものの順番とか、
気
귀; 신분·집안·가치 등이 높은; 경의(敬意)의 표시; 기; 기초. 근본; 『화학』 원자단(原子團). 〔동의어〕根; (설치해 놓은) 묘석(墓石)·장명등(長明燈)·기계 등을 세는 단위; 인간답지 않은 무서운 사람; 기; 기. 말 탄 사람의 수효; 『식물·식물학』 나무. 수목; 재목. 목재; 딱따기; 잡것이 섞이지 않음. 자연 그대로임. 순수함; ‘순수함’ ‘인공을 가하지 않음’ ‘오직 그대로임’의 뜻을 나타냄; 황. 노랑. 황색. 〔동의어〕きいろ; ‘황색’의 뜻을 나타냄; 기. 십간(十干)의 여섯째. 〔동의어〕つちのと; 기운. 정기. 생기. 분위기; (특유한) 맛. 향기; 숨. 호흡; 정신. 의식. 얼; 성미. 기질. 마음씨; 기. 기력; 생각. 의지; 마음. 기분; 흥미. 관심; 「希臘」의 준말; 『화학』 희. 묽은. 〔반의어〕 濃; 드묾. 〔참고〕 「希」는 「稀」의 대용자; 상을 입고 집에 들어박혀 행동을 삼가는 일. 또는 그 기간. ((보통 49일간)) 상(喪); 기. 기일(忌日). 회기(回忌); 『문어』 이상함. 야릇함. 진기함. {문어·ナリ 활용 }; 기수. 홀수. 〔반의어〕 偶; 계절. 〔동의어〕シーズン; 連歌·俳句에서 구(句)에 삽입하는 계절의 경물(景物). 〔동의어〕季題·季語; 계. 천간(天干)의 열째. 〔동의어〕みずのと; 기. 기전체(紀傳體) 역사에서 제왕의 사적(事績)을 적은 글. 〔동의어〕本紀; 『문학』 〈「日本書紀」의 준말〉 일본서기; 기. 지질 시대 구분의 단위; 궤; 수레의 양 바퀴의 간격; 수레바퀴가 지나간 자국; 규칙; 기. 기록(문); 『문학』 「古事記」의 준말; 기; 기. 기구(起句); 『문어』 기; 시기. 기간. 기한; 좋은 기회. 시기; 기; 기간. 시기; [age]『지리·지학·지명』 지질 시대의 한 구분. 「世」의 아래; 계략. 모사(謀事). 방법; 《고어》 파. 〔동의어〕ねぎ; 『문어』 그릇. 〔동의어〕うつわ; 물건을 담는 용기; 기. 기량. 인물. 재능; 기; 기관(器官); 기구. 도구; 계기; 시기. 기회; 〈「飛行機」의 준말〉 비행기; (불교에서) 기. 기근(機根). 〔동의어〕気根; 기계; 비행기; 비행기를 세는 말. 대; 『문어』 《用言·助動詞의 連用形에 붙음》; 과거에 직접 체험한 일을 회상하는 말. …었다. …였다. …고 있었다; (경험과 관계없이 널리) 과거의 사실을 나타냄. …었다. …였다; 현재 또는 완료의 뜻을 나타냄. …하고 있다. 〔참고〕 終止形 「き」는 カ変動詞에 붙지 않음. カ変을 받는 경우는 「きし」 「きしか」와 「こし」 「こしか」의 두 꼴이 있음. 고대에는 未然形 「せ」가 있었다고 생각되는데, 助詞 「ば」가 붙어 가정의 뜻을 나타냄
だから
그러니까. 그래서. 때문에
順番
순번. 차례
食べる
《古語 「賜ぶ」의 변한말》; 먹다; 살아가다. 생활하다. 【문어형】 た·ぶ {하2단 활용}
辺
《고어》 ⇒ え; 『음악』 바. f음. ‘다’장조의 파(fa)에 해당함; 《고어》 위. 표면. 〔참고〕 「エ」로도 발음함; 《고어》 곁. 언저리. 가. 〔참고〕 특히, 바닷가나 호숫가의 언저리를 이름; 방귀. 〔동의어〕おなら; 하찮은 것. 시시한 것; 《고어》 이물. 뱃머리. 〔동의어〕へさき; 《속어》; 응답할 때 내는 소리. ((가벼운 겸사말)) 예; 상대를 깔보는 마음을 나타낼 때 내는 소리. 흥. 〔동의어〕へん; 《발음은 「エ」. 体言에 붙어 連用修飾語를 만듦. 格助詞 「の」가 뒤에 오면 「…へ」 전체가 体言으로 취급되어 「…への」의 꼴로 体言을 수식하기도 함》; 동작·작용이 그 방향을 향하여 행해짐을 나타냄. …로. …으로; 동작·작용이 그 상대에 대하여 행해짐을 나타냄. …에게; 동작·작용의 귀착점을 나타냄. …에; 〈助動詞 「た」 또는 「ている」에 「ところへ」의 꼴로 붙어〉 하나의 사태가 일어났거나 일어나고 있는 바로 그때, 다른 사태가 또 일어남을 나타냄. …에. 〔참고〕 1.의 경우, 「へ」는 특히 동작이 끝날 때까지의 과정임을 강조함. 2.3.은 「に」와 거의 같은 뜻으로 씀. 그러나 「に」는 동작이 끝나는 곳을 나타냄
野菜を中心にとか。その辺は食生活気をつけてます。
気
귀; 신분·집안·가치 등이 높은; 경의(敬意)의 표시; 기; 기초. 근본; 『화학』 원자단(原子團). 〔동의어〕根; (설치해 놓은) 묘석(墓石)·장명등(長明燈)·기계 등을 세는 단위; 인간답지 않은 무서운 사람; 기; 기. 말 탄 사람의 수효; 『식물·식물학』 나무. 수목; 재목. 목재; 딱따기; 잡것이 섞이지 않음. 자연 그대로임. 순수함; ‘순수함’ ‘인공을 가하지 않음’ ‘오직 그대로임’의 뜻을 나타냄; 황. 노랑. 황색. 〔동의어〕きいろ; ‘황색’의 뜻을 나타냄; 기. 십간(十干)의 여섯째. 〔동의어〕つちのと; 기운. 정기. 생기. 분위기; (특유한) 맛. 향기; 숨. 호흡; 정신. 의식. 얼; 성미. 기질. 마음씨; 기. 기력; 생각. 의지; 마음. 기분; 흥미. 관심; 「希臘」의 준말; 『화학』 희. 묽은. 〔반의어〕 濃; 드묾. 〔참고〕 「希」는 「稀」의 대용자; 상을 입고 집에 들어박혀 행동을 삼가는 일. 또는 그 기간. ((보통 49일간)) 상(喪); 기. 기일(忌日). 회기(回忌); 『문어』 이상함. 야릇함. 진기함. {문어·ナリ 활용 }; 기수. 홀수. 〔반의어〕 偶; 계절. 〔동의어〕シーズン; 連歌·俳句에서 구(句)에 삽입하는 계절의 경물(景物). 〔동의어〕季題·季語; 계. 천간(天干)의 열째. 〔동의어〕みずのと; 기. 기전체(紀傳體) 역사에서 제왕의 사적(事績)을 적은 글. 〔동의어〕本紀; 『문학』 〈「日本書紀」의 준말〉 일본서기; 기. 지질 시대 구분의 단위; 궤; 수레의 양 바퀴의 간격; 수레바퀴가 지나간 자국; 규칙; 기. 기록(문); 『문학』 「古事記」의 준말; 기; 기. 기구(起句); 『문어』 기; 시기. 기간. 기한; 좋은 기회. 시기; 기; 기간. 시기; [age]『지리·지학·지명』 지질 시대의 한 구분. 「世」의 아래; 계략. 모사(謀事). 방법; 《고어》 파. 〔동의어〕ねぎ; 『문어』 그릇. 〔동의어〕うつわ; 물건을 담는 용기; 기. 기량. 인물. 재능; 기; 기관(器官); 기구. 도구; 계기; 시기. 기회; 〈「飛行機」의 준말〉 비행기; (불교에서) 기. 기근(機根). 〔동의어〕気根; 기계; 비행기; 비행기를 세는 말. 대; 『문어』 《用言·助動詞의 連用形에 붙음》; 과거에 직접 체험한 일을 회상하는 말. …었다. …였다. …고 있었다; (경험과 관계없이 널리) 과거의 사실을 나타냄. …었다. …였다; 현재 또는 완료의 뜻을 나타냄. …하고 있다. 〔참고〕 終止形 「き」는 カ変動詞에 붙지 않음. カ変을 받는 경우는 「きし」 「きしか」와 「こし」 「こしか」의 두 꼴이 있음. 고대에는 未然形 「せ」가 있었다고 생각되는데, 助詞 「ば」가 붙어 가정의 뜻을 나타냄
中心
중심; 중앙. 한가운데. 〔동의어〕真ん中; (사물의) 가장 중요한 부분·요소·장소·위치; 심중(心中). 흉중(胸中). 〔동의어〕心中; 『수학』 점대칭 도형(點對稱圖形)의 중심점; 『물리』 무게 중심; 『지리·지학·지명』 중진. 집이 심하게 흔들리고 불안정하게 놓인 물체가 넘어질 정도의 지진. 진도 4; 『문어』 충심. 충성심; 『문어』 충신. 〔반의어〕 逆臣; 『문어』 충신. 충성과 신의; (사건이 일어났을 때) 급히 보고함. 급보. 〔참고〕 본디, 사건 내용을 적어 상신함을 뜻했음; 『문어』 《副詞적으로도 씀》 충심. 진심. 〔동의어〕本心; 『문어』 중진. (경제·문화 등의) 진보 정도가 중간
辺
《고어》 ⇒ え; 『음악』 바. f음. ‘다’장조의 파(fa)에 해당함; 《고어》 위. 표면. 〔참고〕 「エ」로도 발음함; 《고어》 곁. 언저리. 가. 〔참고〕 특히, 바닷가나 호숫가의 언저리를 이름; 방귀. 〔동의어〕おなら; 하찮은 것. 시시한 것; 《고어》 이물. 뱃머리. 〔동의어〕へさき; 《속어》; 응답할 때 내는 소리. ((가벼운 겸사말)) 예; 상대를 깔보는 마음을 나타낼 때 내는 소리. 흥. 〔동의어〕へん; 《발음은 「エ」. 体言에 붙어 連用修飾語를 만듦. 格助詞 「の」가 뒤에 오면 「…へ」 전체가 体言으로 취급되어 「…への」의 꼴로 体言을 수식하기도 함》; 동작·작용이 그 방향을 향하여 행해짐을 나타냄. …로. …으로; 동작·작용이 그 상대에 대하여 행해짐을 나타냄. …에게; 동작·작용의 귀착점을 나타냄. …에; 〈助動詞 「た」 또는 「ている」에 「ところへ」의 꼴로 붙어〉 하나의 사태가 일어났거나 일어나고 있는 바로 그때, 다른 사태가 또 일어남을 나타냄. …에. 〔참고〕 1.의 경우, 「へ」는 특히 동작이 끝날 때까지의 과정임을 강조함. 2.3.은 「に」와 거의 같은 뜻으로 씀. 그러나 「に」는 동작이 끝나는 곳을 나타냄
野菜
야채. 채소. 푸성귀. 〔동의어〕青物
食生活
식생활
で、あんまりこう太らないように。
お父さんの元気の秘訣を聞きたいのですが?
お父さん
《明治 말기 이후 「お母さん」과 함께 국정 교과서에 채택되어 일반화한 말》 아버지. 아버님. ((자식이 자기 아버지를 친근하게 부를 때 또는 가리킬 때 씀. 자식 아닌 사람이 아버지 입장에 있는 사람을 친근하게 부를 때 또는 가리킬 때도 씀. 이 밖에 아버지가 자식에게 스스로를 가리켜 말하기도 함. 구어(口語)에서는 ‘아버지’라는 뜻을 나타내는 말 중에서 가장 표준적인 말임)) 〔반의어〕 お母さん. 〔참고〕 자신의 아버지를 남에게 말할때는 「おとうさん」보다는 「父」가 표준적임
元気
원기; 만물 발생의 근본이 되는 정기(精氣); 기력. 기운; 건강함. 활발함. げん-きさ 【명사】; 원기; 같은 종류의 표준이 되는 기구; 도량형의 기본 표준이 되는 기구; 『문어』 과시하고 뽐내고 싶은 마음
聞き
작용. 기능; 효능. 효력. 효험. 〔동의어〕ききめ. 〔참고〕 1.은 「利き」, 2.는 「効き」로 씀; 들음; (술·차 등을 조금 마시거나 냄새를 맡아) 감정함; 위기. 〔동의어〕ピンチ; 기휘. 꺼리어 피함. 〔동의어〕きい; 『문어』 귀기. 돌아올 시기. 돌아갈 시기; 『문학』 「日本書紀」와 「古事記」의 통칭; 귀기. 소름끼치도록 무서운 기운; 기기. 기계·기구의 총칭; 『문어』; (변하여) 뛰어난 인물. 현인(賢人); 『문어』 기기. 몹시 기이함. {문어·タリ 활용}; 『문어』 희희(喜喜). 기뻐하고 즐거워하는 모습.{문어·タリ 활용}; 『문어』 휘휘. 찬란하게 빛남. {문어·タリ 활용}
秘訣
부결. 〔반의어〕 可決; 비결; 『문어』 비결. 변비(便秘)
えー、散歩をやること、酒飲むこと、あと筋トレやること。
酒
술. ((술과 관계 있음을 나타내는 말)); 비탈(길). 경사지. 고갯길. 고개; 인생의 한 고비; 거꾸로임. 역. 반대(쪽). 〔동의어〕ぎゃく·さかさま; 《名詞·動詞 앞에 붙어서》 역. 거꾸로 됨. 반대로 됨; 다과. 차와 과자. 〔동의어〕ちゃか
散歩
산보. 산책. 〔동의어〕そぞろあるき·散策
筋
헝겊. 피륙; 걸레. 행주; 쟁(箏)의 열셋째 줄의 이름; 근; 375g 무게의 식빵의 단위; 금; 『화학』 금속 원소의 하나. 원소 기호 au; (비유적으로) 아주 귀중한 것; 금화. 화폐; 「金色」의 준말; (일본 장기에서) 「金将」의 준말; 오행(五行)의 하나; 「金曜日」의 준말; 〈「金メダル」의 준말〉 금메달; 금; 화폐. 돈; 금액을 기입할 때 숫자 앞에 적는 말; 금의 순도를 나타내는 단위. 금; 균. 세균. 〔동의어〕ばいきん·細菌; 『음악』 금. 칠현금(七絃琴). ((중국 고대의 현악기)); 『생리학』 근. 힘줄. 근육; 금. 금지된 사항·법도. 금령
飲む
마시다. 술을 마시다; 삼키다. 먹다. 피우다; (강물·파도 따위가) 휩쓸다. 집어삼키다; 꾹 참다. 삼키다. 억누르다; 압도하다. 업신여기다. 깔보다; 받아들이다. 수용하다; 숨기어 가지다. 품다. 지니다. 【가능동사】 の·め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고어》 (신불 등에게) 빌다. 기원하다
筋トレなさってるんですか?
筋
헝겊. 피륙; 걸레. 행주; 쟁(箏)의 열셋째 줄의 이름; 근; 375g 무게의 식빵의 단위; 금; 『화학』 금속 원소의 하나. 원소 기호 au; (비유적으로) 아주 귀중한 것; 금화. 화폐; 「金色」의 준말; (일본 장기에서) 「金将」의 준말; 오행(五行)의 하나; 「金曜日」의 준말; 〈「金メダル」의 준말〉 금메달; 금; 화폐. 돈; 금액을 기입할 때 숫자 앞에 적는 말; 금의 순도를 나타내는 단위. 금; 균. 세균. 〔동의어〕ばいきん·細菌; 『음악』 금. 칠현금(七絃琴). ((중국 고대의 현악기)); 『생리학』 근. 힘줄. 근육; 금. 금지된 사항·법도. 금령
はい、やってます。
すごい、じゃあ今もう見せてください、え!?
じゃあ
《「では」의 변한말》; 그러면. 〔동의어〕それでは; 그렇다면. 〔동의어〕それならば. 1.2.〔동의어〕じゃ
今
지금. 이제. 현재; 오늘날. 현대. 〔반의어〕 昔; 〈接続詞적으로 씀〉 이야기를 진전시키기 위하여 전제(前提)를 설정할 때 쓰는 말. 여기서; 가까운 미래를 나타냄. 이제 곧. 바로. 잇따라; 지금 막. 방금; 더. 〔동의어〕さらに; 〈주로 사람을 나타내는 명사에 붙음〉 현대의. 최근의. 오늘날의; 새로운; 가족이 함께 모여 차를 마시거나 여가를 보내거나 하는 방. 거실(居室). 거처방
ください
《「下さる」의 命令形》 주십시오; 《「お」+動詞의 連用形, 「ご」+한자어, 또는 動詞의 連用形+助詞 「て(で)」의 꼴 등에 붙음》 남에게 권하거나 바라는 뜻을 나타냄. …해 주세요.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ちょっと、もう鍛え上げられてらっしゃる。
とにかくよく歩くことだね。
歩く
걷다. 걸어가다. 거닐다. 〔동의어〕あゆむ; (비유적으로) 거쳐오다. 지내다. 살아가다; 〈다른 動詞의 連用形을 받아〉 여기저기에서[여러 곳에서] …하다. …하며 다니다; 방문하다. 찾아보다. 【가능동사】 ある·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山登り。山登り、あと自然観察とかね。
観察
감찰; 관찰; 사물을 주의하여 살펴봄; 객관적으로 살펴봄; 『법률』 감찰. 영업이나 행위 등이 정당함을 증명하기 위해 관청에서 교부하는 허가증. 〔참고〕 새 법령에서는 「免許証」 또는 「許可証」라는 말을 사용함
自然
『문어』 사전. 선사. 유사 이전; 자연. 천연(天然); 자연스러움. 꾸밈이 없음; 저절로 그렇게 됨; 《「~に」 「~と」의 꼴로도 씀》 자연히. 저절로; 『문어』 지선. 더없이 착함. 최고선
山登り
등산가. 또는 등산을 좋아하는 사람
あと、たまにここでボランティアしてると。
ボランティア
볼런티어. 자원 봉사자. 사회 사업 등을 위해 자진하여 무보수로 활동하는 사람
あのー、これ全部ほら、うちで作ってるものだから。
全部
《副詞적으로도 씀》 전부. 모두. 전체. 〔동의어〕すべて. 〔반의어〕 一部; 전부. 앞 부분. 〔반의어〕 後部; 조리인. 요리사(料理師). 〔동의어〕料理人
ね!揚げゴボウとかね!美味しそう!
揚げ
〈흔히 조어 성분(造語成分)적으로 씀〉 올림. 〔반의어〕 下げ; 일본옷의 소매 길이나 기장을 줄이기 위해 어깨나 허리 부분을 징그는 주름. 〔동의어〕縫いあげ; 시세가 오름. 상승. 〔반의어〕 下げ; 기름에 튀기는 일. 또는 그 튀긴 음식; (손이) 기생·창녀를 부름
そうなの。全部うちで作ってる。
全部
《副詞적으로도 씀》 전부. 모두. 전체. 〔동의어〕すべて. 〔반의어〕 一部; 전부. 앞 부분. 〔반의어〕 後部; 조리인. 요리사(料理師). 〔동의어〕料理人
お料理得意なんですね?
得意
득의. 바라는 대로 되어 흐뭇함. 〔반의어〕 失意. {문어·ナリ 활용 }; 자랑스러워하는 모양. 우쭐거리는 모양. {문어·ナリ 활용 }; 숙달되어 있음. 자신이 있음. {문어·ナリ 활용 }; 단골. 고객. 〔참고〕 4.는 「顧客」 「華客」으로도 씀. とく-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とく-げ 【형용동사】 とく-さ; 특이. とく-さ 【명사】 {문어·ナリ 활용 }
料理
『문어』 양리. 좋은[훌륭한] 관리. 〔동의어〕能吏; 요리; 음식을 만듦. 또는 그 음식; 일을 잘 처리함. (상대를) 잘 다스림
私じゃないの。
私
값. 가격. 대금. 〔동의어〕ね·値段; 가치. 값어치. 〔동의어〕値打ち; 『수학』 수치(數値). 수량. 값. 〔참고〕 3.은 「値」로 씀; 《속어》 《「あたし」의 변한말》 저. 나. 〔동의어〕わたし. 〔참고〕 흔히 여자 아이가 씀
あの、家族で商売してるもんだから。
商売
장사. 상업. 〔동의어〕商い; 접객업. 기생·창녀 등의 일; 《속어》 생업. 직업
家族
가족; 清華의 딴이름
音尾さんと娘と私と3人の商売でね。
音
《「大御」가 변한 「おおん」의 준말》 명사에 붙어 존경의 뜻을 곁들임. 〔참고〕 「お」보다 강한 공손·존경의 뜻을 나타내며, 격식을 차려야 하는 경우에 쓰임; 은혜; 《속어》 수컷. 〔동의어〕おす·お. 〔반의어〕 雌; 소리. 〔동의어〕おと; (언어의) 음. 발음; 중국식 발음을 바탕으로 한 한자(漢字)의 음. 자음(字音). 〔반의어〕 訓; 음색; 『문어』 따뜻한 모양. 온화한 모양
娘
《「産す女」의 뜻》; 딸. 〔반의어〕 息子; 처녀. 〔동의어〕乙女
商売
장사. 상업. 〔동의어〕商い; 접객업. 기생·창녀 등의 일; 《속어》 생업. 직업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尾
〈名詞에 붙어〉 ‘잔’ ‘작은’ ‘조그마한’의 뜻; 〈名詞에 붙어〉 어조를 고르거나 표현을 부드럽게 함; 〈用言에 붙어〉 ‘조금’의 뜻; 《「御」의 변한말》; 〈体言·用言에 붙음. 動詞에 붙을 때는 그 連用形에 「になる」 「なさる」 「くださる」 「あそばす」 등이 이어진 꼴이 됨〉 존경의 뜻을 나타냄; 〈体言·用言에 붙음. 動詞 위에 붙을 때는 그 連用形에 「いただく」 「ねがう」 「もうしあげる」 「する」 「いたします」 등이 이어지는 꼴이 됨〉 겸양의 뜻을 나타냄; 〈体言·用言에 붙음〉 공손의 뜻을 나타냄; 〈体言·用言에 붙음〉 친애의 뜻을 나타냄; 〈「お」+動詞連用形+「なさい」의 꼴에서 「なさい」를 생략하고 말을 끊는 꼴〉 가볍고 부드러운 명령을 나타냄; 〈인사말에서 「~…さま」 「~…さん」의 꼴로〉 상대에 대한 동정·위로·위안의 뜻을 나타냄; 〈여자의 이름 위에 붙여〉 존경·친애의 뜻을 나타냄. ((7.은 「阿」 「於」로도 씀)) 〔참고〕 중세 이후 「おん」의 「ん」이 탈락해서 된 말. 한자어에는 「御·」를 쓰고, 고유어(和語)에는 「お·おん」이 붙는 것이 원칙임; ‘수컷’의 뜻. 수. 〔동의어〕おす. 〔반의어〕 雌; ‘사내다운’ ‘씩씩한’의 뜻. 〔참고〕 동물의 경우에는 「牡」로도 씀; (동물의) 꼬리. 〔동의어〕しっぽ; 꼬리 모양의 것; 길게 뻗은 산기슭; 끝. 끝부분. 끄트머리; 결점. 약점; 《고어》 남자. 〔반의어〕女; 쌍으로 된 것 중의 큰 것. 〔반의어〕 女. 〔참고〕 「雄」로도 씀; 삼·모시의 실; ⇒ あく; 줄. 끈. 실; 악기의 줄. 현(弦); 길게 이어진 것
私
값. 가격. 대금. 〔동의어〕ね·値段; 가치. 값어치. 〔동의어〕値打ち; 『수학』 수치(數値). 수량. 값. 〔참고〕 3.은 「値」로 씀; 《속어》 《「あたし」의 변한말》 저. 나. 〔동의어〕わたし. 〔참고〕 흔히 여자 아이가 씀
お父さんと娘がこれ朝作ってよこすのね。
娘
《「産す女」의 뜻》; 딸. 〔반의어〕 息子; 처녀. 〔동의어〕乙女
朝
『식물·식물학』 삼. 〔동의어〕大麻; 삼실. 삼베. 〔동의어〕麻苧; 대마(大麻)·모시·황마(黃麻)·아마(亞麻)·마닐라삼 등의 총칭; 아침.((날이 새고서부터 얼마 동안의 사이. 또는 길게 잡아 정오까지의 시간대)) 〔반의어〕夕·晩; 오전. 오전 중
お父さん
《明治 말기 이후 「お母さん」과 함께 국정 교과서에 채택되어 일반화한 말》 아버지. 아버님. ((자식이 자기 아버지를 친근하게 부를 때 또는 가리킬 때 씀. 자식 아닌 사람이 아버지 입장에 있는 사람을 친근하게 부를 때 또는 가리킬 때도 씀. 이 밖에 아버지가 자식에게 스스로를 가리켜 말하기도 함. 구어(口語)에서는 ‘아버지’라는 뜻을 나타내는 말 중에서 가장 표준적인 말임)) 〔반의어〕 お母さん. 〔참고〕 자신의 아버지를 남에게 말할때는 「おとうさん」보다는 「父」가 표준적임
それをお母さんはこうやって売るの。
売る
(벼·조·수수 등의) 곡식이 차지지 아니하고 메진 종류의 것. 메. 〔동의어〕うるち. 〔반의어〕 糯; 팔다. 〔반의어〕 買う; 세상에 (널리) 알리다. (이름·얼굴 등을) 팔다. 유명해지다; (이익을 위해) 배신[배반]하다. 팔다; (싸움 등을) 걸다. 청하다. 강요하다. 【가능동사】 う·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文語의 動詞 「得」의 連体形. 현대어에서는 終止形으로도 씀》 얻다. 〔동의어〕得る;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할 수 있다. 〔참고〕 「考ええる」 「有りえる」보다 「考えうる」 「有りうる」 쪽이 더 일반적임
お母さん
화류계에서 기녀가 여주인을 부르는 말
で、お客さんと直接対面しながら商売してるから。
商売
장사. 상업. 〔동의어〕商い; 접객업. 기생·창녀 등의 일; 《속어》 생업. 직업
直接
『문어』 직절; 주저없이 재결함; 에두르지 않고 솔직함. 〔참고〕 「ちょくさい」는 관용음. {문어·ナリ 활용 }; 직접. 〔동의어〕直. 〔반의어〕 間接. {문어·ナリ 활용 }
対面
체면. 〔동의어〕面目; 대면
ながら
《格助詞 「の」와 같은 뜻·용법을 지닌 상대(上代)의 助詞 「な」에, 体言인 「から」가 붙어 생긴 말이라 함. 名詞, 副詞, 形容詞·形容動詞의 語幹, 形容詞의 連体形, 動詞 또는 動詞型活用의 助動詞의 連用形 등에 붙음. ‘…한 대로의 상태에서’의 뜻을 지닌 連用修飾句를 만드는 데 씀》; …그대로. …채로; 〈수량을 나타내는 말에 붙어〉 그대로 전부. 모두 다; 〈주로 계속적인 동작을 나타내는 動詞, 또는 受動·使役의 助動詞 「れる」 「られる」 「せる」 「させる」 등이 붙는 連用形에 붙어〉 두 가지 또는 세 가지 이상의 동작이 병행·계속되고 있음을 나타냄. …면서; 한정 또는 전제를 나타냄. …나마. …인데; 〈주로 존재나 상태를 나타내는 動詞의 連用形, 形容詞의 連体形에 붙어〉 내용이 모순되는 두 사항을 연결하는 뜻을 나타냄. …면서도. …지만. …데도. 〔참고〕 名詞·副詞 등에 붙는 「ながら」는 接尾語로 보는 견해도 있음
やっぱり楽しいのが一番いいね。
一番
첫째. 맨 처음[먼저]; 일등. 제일. 으뜸; 최상. 상책; 한 쌍. 한 조(組). 〔동의어〕ひとつがい; (장기·바둑·씨름 등의) 한 판. 일 회. 한 번. 단판; 謡曲·能 등의 한 곡; (일반적으로 사물의) 한 번. 일 회. 〔동의어〕一度; 가장. 맨; 우선. 시험삼아. 한번. 큰마음 먹고. 〔참고〕 「一番」는 딴말임
楽しい
즐겁다. 재미있다. 유쾌하다. 〔참고〕 「うれしい」는 감격적, 일시적. 「たのしい」는 정적(靜的), 계속적. たのし·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たのし·げ 【형용동사】 たのし·さ 【명사】 たのし·み 【명사·형용동사】 【문어형】 たの·し {シク 활용}
やっぱり毎日の仕事を楽しんでやることですよね。
仕事
일; 작업. 업무. 직업; 『물리』 어떤 물체에 힘을 가하여 그 상태나 위치가 이동함. 또는 그 변화한 정도
毎日
매일. 날마다. 그날그날. 〔동의어〕ひごと·日々
今日は美味しいものが作れたかなとか、
今日
광. 그 일에 열중하는 사람임을 나타냄; 협. 협곡(峽谷)임을 나타냄; 교. 종교임을 나타냄; 교. 다리임을 나타냄; 경. 거울임을 나타냄; 오늘. 금일. 〔동의어〕本日; 흉. 운수가 나쁨. 불길함. 〔동의어〕不吉. 〔반의어〕 吉; 〈「共産党」의 준말〉 공산당; 〈「共産主義」의 준말〉 공산주의; 『문어』 수도. 서울. 〔동의어〕首都; 京都. 〔참고〕 옛날에 일본의 수도였음; 『수학』 경. 조(兆)의 1만 배. 〔동의어〕京; 「いろは歌」의 끝에 붙이는 말; 《「香車」의 준말》 일본 장기짝의 하나; 강함. 강자; (어떤 수량에 붙어) 그보다 조금 더 됨을 나타냄. 〔반의어〕 弱; 『불교』 불경. 경문. 〔동의어〕お経; 성전(聖典). 경서(經書); 『문어』 고향. 〔동의어〕ふるさと; 곳. 장소. 지역; 어떤 장소나 경우; 마음의 상태. 경지; 경; 장소. 범위. 처지; 심경. 경지(境地); 흥; 흥취. 흥미. 재미. 〔동의어〕面白み; 좌흥(座興); 『문학』 한시(漢詩) 육의(六義)의 하나. 어떤 사물에 접하여 자기의 감흥을 표현함
美味しい
《文語의 形容詞 「いし(맛있다)」에 接頭語 「お」가 붙은 꼴》 (음식이) 맛있다. 맛좋다. 〔동의어〕うまい. 〔반의어〕 まずい. 〔참고〕 「うまい」보다 점잖은 느낌이 있어 여성들이 즐겨 씀. おいし·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おいし·さ 【명사】
お客さんが喜んでくれたかなってことを
感じながらお仕事することがいちばんですよね。
感じ
지각함. 감각. 감촉; 인상; 기분. 분위기; 감상; 『문어』 관사. 관청의 사무; 어떤 말 앞에서 그 말을 수식하는 말; 간사; 한자. 〔동의어〕真名·本字; 감사; 단체의 서무를 맡아보는 사람[직무]; 『법률』 법인(法人)의 업무·회계를 감사하는 기관. 감사역; 『문어』 빙그레 웃는 모양. 〔참고〕 여자일 때는 「嫣然」이라고 씀. {문어·タリ 활용}
仕事
일; 작업. 업무. 직업; 『물리』 어떤 물체에 힘을 가하여 그 상태나 위치가 이동함. 또는 그 변화한 정도
ながら
《格助詞 「の」와 같은 뜻·용법을 지닌 상대(上代)의 助詞 「な」에, 体言인 「から」가 붙어 생긴 말이라 함. 名詞, 副詞, 形容詞·形容動詞의 語幹, 形容詞의 連体形, 動詞 또는 動詞型活用의 助動詞의 連用形 등에 붙음. ‘…한 대로의 상태에서’의 뜻을 지닌 連用修飾句를 만드는 데 씀》; …그대로. …채로; 〈수량을 나타내는 말에 붙어〉 그대로 전부. 모두 다; 〈주로 계속적인 동작을 나타내는 動詞, 또는 受動·使役의 助動詞 「れる」 「られる」 「せる」 「させる」 등이 붙는 連用形에 붙어〉 두 가지 또는 세 가지 이상의 동작이 병행·계속되고 있음을 나타냄. …면서; 한정 또는 전제를 나타냄. …나마. …인데; 〈주로 존재나 상태를 나타내는 動詞의 連用形, 形容詞의 連体形에 붙어〉 내용이 모순되는 두 사항을 연결하는 뜻을 나타냄. …면서도. …지만. …데도. 〔참고〕 名詞·副詞 등에 붙는 「ながら」는 接尾語로 보는 견해도 있음
すごい男前ですけど、なんかスポーツとかなんかされてるんですか?
スポーツ
스포츠
なんか
남하. 〔반의어〕 北上; 『문어』 남가. 남쪽으로 뻗은 가지. 남지. 〔동의어〕南枝; 연화; (단단한 물건이) 부드러워짐. 부드럽게 함; (태도·주장 등이) 누그러짐. 또는 누그러뜨림; 『경제』 (증권 거래에서) 시세가 내림; 『화학』 센물을 단물로 바꿈. 1.~3. 〔반의어〕 硬化; 『경제』 연화. 〔반의어〕 硬貨; 금이나 국제 통화인 달러와의 교환 능력이 없는 통화; 《代名詞 「なに」에 助詞 「か」가 붙은 「なにか」의 변한말》; 임의의, 또는 불특정한 사물을 가리킴. 무엇인가; 열거한 말의 마지막에 놓여, 앞의 것과 유사한 불특정한 어떤 것을 가리킴. 무엇인가. 그런 것. 〔참고〕 「なんぞ」보다 구어적임; 어쩐지. 어딘지 모르게. 〔동의어〕どことなく; 《連語 「なんか」가 助詞화한 말. 副助詞 「など」의 용법과 거의 같음》 …등. …들. …따위. …같은 것. 그러한[이러한] 것. 〔참고〕 보통, かな로 씀
男前
남자다운 용모. 〔동의어〕男振り; 미남. 멋쟁이 남자
スポーツはもう昔しただけで、
昔
석; 라디오 등의 트랜지스터·다이오드 등을 세는 말; ⇒ しゃく; ⇒ しゃく; 기침. 〔동의어〕しわぶき; 좌석(座席); 지위. 신분; 회장(會場); 대중적 연예장[흥행장]; 돗자리. 깔개; 성적이나 지위의 차례. 석. 등. 석차; 척. 〔참고〕 작은 거룻배는 「艘」를 씀; 쌍으로 되어 있는 것의 한 편을 세는 말. 쪽; 『문어』 책임. 책무; 보. 봇둑. 제언(堤堰); 관문(關門). 〔동의어〕関所; 가로막는 것; (바둑에서) 비김수. 빅수; 『수학』 적. 곱. 〔반의어〕 商; 적; 호적; 신분(身分). 자격; 『문어』 괴괴함. 적적함. {문어·タリ 활용}
スポーツ
스포츠
今はやっぱりそういうボランティア活動だね。
活動
활동; 활동함; 〈「活動写真」의 준말〉 활동 사진. 영화. ((예스러운 말))
やっぱり
《「やはり」의 변한말》 역시. 과연
今
지금. 이제. 현재; 오늘날. 현대. 〔반의어〕 昔; 〈接続詞적으로 씀〉 이야기를 진전시키기 위하여 전제(前提)를 설정할 때 쓰는 말. 여기서; 가까운 미래를 나타냄. 이제 곧. 바로. 잇따라; 지금 막. 방금; 더. 〔동의어〕さらに; 〈주로 사람을 나타내는 명사에 붙음〉 현대의. 최근의. 오늘날의; 새로운; 가족이 함께 모여 차를 마시거나 여가를 보내거나 하는 방. 거실(居室). 거처방
ボランティア
볼런티어. 자원 봉사자. 사회 사업 등을 위해 자진하여 무보수로 활동하는 사람
そういう
그와 같은. 그러한
若い頃からスポーツとかなさってたんですか?
頃
굴림대; 가늘고 짤막한 장작. 나무토막; 〈「さいころ」의 준말〉 주사위; 작고 둥근 것을 나타내는 말; 『문어』 때. 계절. 시절; 무렵. 시절; (적절한) 시기. 기회
スポーツ
스포츠
若い
화해. 〔동의어〕仲直り; 화해; 『법률』 이혼 소송에서, 당사자가 혼인의 유지 또는 원만한 협의 이혼에 합의가 성립됨; 젊다; (나이가) 어리다. 손아래이다; (실제 나이보다) 젊게 보이다; 미숙하다. 설익다; (번호나 숫자가) 다른 것에 비하여 o에 가깝다. 수가 적다. わか·げ 【형용동사】 わか·さ 【명사】 【문어형】 わか·し {ク 활용}
トライアスロンも53からやりました。
トライアスロン
트라이애슬론. 장거리 수영, 장거리 사이클, 마라톤을 하루에 하는 3종 경기
えぇー!
ダイビングもやってます!
ダイビング
다이빙. 〔동의어〕ダイブ; (수영에서) 뛰어들기; (비행기의) 급강하; 스카이다이빙. 〔동의어〕スカイダイビング
ダイビングも?
ダイビング
다이빙. 〔동의어〕ダイブ; (수영에서) 뛰어들기; (비행기의) 급강하; 스카이다이빙. 〔동의어〕スカイダイビング
え、もうスポーツ大好きなんですね!
スポーツ
스포츠
大好き
아주 좋아하는 모양
そうです。健康の秘訣はやっぱりスポーツですね。
健康
겸행; 『문어』 둘 이상의 일을 겸해서 함; 건강; 몸이 건강함; 건전함. {문어·ナリ 활용 }; 『문어』 견갑; 단단한 껍데기; 『문어』 권형; 저울; 기준; 균형. 〔동의어〕つりあい; 『문어』 헌앙. 헌거(軒擧). 의기가 떨쳐 일어나는 모양. {문어·タリ 활용}
スポーツ
스포츠
秘訣
부결. 〔반의어〕 可決; 비결; 『문어』 비결. 변비(便秘)
仲間はダイビングもいるし、
仲間
한패. 동료. 동아리; 같은 종류. 동류. 무리. 〔동의어〕同類. 〔참고〕 「仲間」은 딴말임
ダイビング
다이빙. 〔동의어〕ダイブ; (수영에서) 뛰어들기; (비행기의) 급강하; 스카이다이빙. 〔동의어〕スカイダイビング
山もアルプス登って平均年齢73で登ってます。
年齢
새해의 하례(賀禮). 또는 그러한 방문; 연령. 나이. 〔동의어〕よわい·としなみ
平均
평균; 균일함. 또는 균일하게 함; 수량의 중간치를 구함. 또는 그 수치; 균형이 잡힘. 또는 그 균형
山
『문어』; 마음 아파함. 몹시 슬퍼함. {문어·タリ 활용}; 『문어』 찬란함. 눈부심. 휘황하게 빛남. {문어·タリ 활용}; 《「さま」의 변한말》; 인명·직명에 붙어 경의를 나타냄. 또는 동물명 등에 붙여 친애의 뜻을 나타내기도 함. 님. 씨. 군. 양. 선생; 인사말 등에 붙어 공손한 기분을 나타냄. 〔참고〕 「様」보다 친근한 말씨; 산; 절 이름 앞에 곁들이는 말. 산호(山號); 산. 가루약; 三味線의 셋째 줄. 〔동의어〕三の糸. 〔참고〕 증서(證書) 등에 쓰는 갖은자는 「参」; 삼(三). 셋; 참가함. 옴; 선종(禪宗)에서 사람을 모아놓고 하는 좌선(坐禪)·설법·염불; 소매 없는 「じゅばん」. 속옷; (판자가 휘지 않도록 대는) 띳장; (문·장지·창 등의) 살; (사다리·망루·토대 등의) 가로장. 디딤판; 문의 비녀장; 출산(出産). 분만(分娩). ((보통 「お産」의 꼴로 씀)); 출생지. 출신지; 그 토지의 산물(産物). 산; 재산; 『문어』 잔. 술잔; 산가지. 〔동의어〕算木; 셈함. 계산함; 점대. (변하여) 점. 점괘; 가망. 공산. 예상. 계략. 수법; 찬; 인물·사물을 기리는 한문의 문장; 그림속에 곁들이는, 그림에 대한 시구(詩句). 화찬(畵讚); 논평. 비평; 초(醋). 신맛. 또는 맛이 심; 『화학』 산(酸). 〔반의어〕 アルカリ
アルプス
『지리·지학·지명』; 「日本アルプス」의 준말
えー、もうかっこいいですね。
散歩しなが歩いて。。。
散歩
산보. 산책. 〔동의어〕そぞろあるき·散策
あら、なんだ?
大丈夫、大丈夫。
大丈夫
『문어』 대장부. 〔동의어〕益荒男. 〔참고〕 「だいじょうぶ」로도 읽음
ところで俺はバスで帰んなきゃなんねーんだ。時間。
俺
부러짐. 꺾어짐. 부러진 것. 꺾어진 것; 《주로 남자가 같은 또래나 아랫사람에게 쓰는 1인칭》 나. 내. 〔참고〕 약간 거친 말투이나 상대에 대한 친밀감이 나타나기도 함. 대등한 관계는 「おまえ」에 대해 「おれ」라고 말함
時間
자간; 차관; 시간; 『문어』 시간. 그때의 어려움. 그 시대의 당면 난제(難題)
すいません。そっか。ありがとうございました。はい。
すいません
《속어》 「すみません」의 속된 말
あ、電話。
電話
전화; 「電話機」의 준말
でも携帯電話も使われてるんですね。今。すごい。
携帯
형체. 〔동의어〕形態1.; 형태; 『심리학』 ⇒ ゲシュタルト; 휴대; 『언어학』 경체. 경어체. ((문말(文末)을 공손한 말 「です」 「ます」로 맺는 구어의 문체. 문어문에서는 「候」 문체를 가리킴)) 〔반의어〕 常体
今
지금. 이제. 현재; 오늘날. 현대. 〔반의어〕 昔; 〈接続詞적으로 씀〉 이야기를 진전시키기 위하여 전제(前提)를 설정할 때 쓰는 말. 여기서; 가까운 미래를 나타냄. 이제 곧. 바로. 잇따라; 지금 막. 방금; 더. 〔동의어〕さらに; 〈주로 사람을 나타내는 명사에 붙음〉 현대의. 최근의. 오늘날의; 새로운; 가족이 함께 모여 차를 마시거나 여가를 보내거나 하는 방. 거실(居室). 거처방
電話
전화; 「電話機」의 준말
ハイテク。ありがとうございました。
ハイテク
《「ハイテクノロジー」의 준말》 하이테크
見てくれて、ありがとう。楽しんでくれましたか?
見
개; 건물을 세는 말. 채. 집; 아호(雅號)·옥호(屋號) 등에 쓰는 말; 주된 요리나 생선회에 곁들이는 야채·해초 등; 건. 사항. 사건; 같은 사항·사건 등의 수를 세는 말. 건; 『문어』; 보기만 하고 사지 않음. 〔동의어〕素見·ひやかし; 어떤 일을 할 수 있는 자격을 나타내는 쪽지. 표. 〔동의어〕切符; 그것이 가치·자격 등을 나타내는 쪽지임을 나타냄. 권; (여성의 용모·자태 등이) 곱고 아름다움; 『정치』 현. 일본 지방 행정 구역의 하나. ((한국의 도(道)에 해당함)) 〔참고〕 원래, 중국의 지방 행정 구역의 이름; 《接続詞적으로 씀》 겸; 양날의 칼. 검; 검술; 총검; 벌의 꽁무니에 있는 침. 또는 곤충의 암컷 꽁무니에 달린 침 모양의 산란기; 주먹. 〔동의어〕にぎりこぶし; 권법(拳法); 건; 역(易)의 8괘의 하나. 점대에 나오는 「☰」 모양. 〔반의어〕 坤; 하늘; 험준함. 또는 험준한 곳. 〔동의어〕難所; (눈빛·표정·말씨 등에 나타나는) 매서움. 사나움. 표독함; 주위를 에두른 곳. 동그라미. 원; 범위; 권. 한정된 지역. 일정한 범위; 『문어』 단단함. 견고함. 견고한 것; 칸; 사이. 특히, 건물의 기둥과 기둥 사이; (바둑판·장기판의) 눈. 또는 눈을 세는 말; 『생리학』 건. 힘줄; 『문어』 권력. 〔동의어〕権力·権限; 권리; 「聖」가 청주(淸酒)를 뜻하는 데 대하여, 탁주; 건. 건반. 키. 〔동의어〕キー; 『문어』 ⇒ けむ
フェイスブックページもあるので是非チェックして見てね!
是非
시비. 옳고 그름. 잘잘못. 가부; 『문어』 시비를 가림. 가부를 판단·비평함; 꼭. 반드시. 세상없어도
ページ
책·노트 등의 면수를 세는 말. 면. 쪽. 페이지. ((약호는 p. 또는 pp)) 〔참고〕 흔히, 「頁」라고 차자를 쓰기도 함
見
개; 건물을 세는 말. 채. 집; 아호(雅號)·옥호(屋號) 등에 쓰는 말; 주된 요리나 생선회에 곁들이는 야채·해초 등; 건. 사항. 사건; 같은 사항·사건 등의 수를 세는 말. 건; 『문어』; 보기만 하고 사지 않음. 〔동의어〕素見·ひやかし; 어떤 일을 할 수 있는 자격을 나타내는 쪽지. 표. 〔동의어〕切符; 그것이 가치·자격 등을 나타내는 쪽지임을 나타냄. 권; (여성의 용모·자태 등이) 곱고 아름다움; 『정치』 현. 일본 지방 행정 구역의 하나. ((한국의 도(道)에 해당함)) 〔참고〕 원래, 중국의 지방 행정 구역의 이름; 《接続詞적으로 씀》 겸; 양날의 칼. 검; 검술; 총검; 벌의 꽁무니에 있는 침. 또는 곤충의 암컷 꽁무니에 달린 침 모양의 산란기; 주먹. 〔동의어〕にぎりこぶし; 권법(拳法); 건; 역(易)의 8괘의 하나. 점대에 나오는 「☰」 모양. 〔반의어〕 坤; 하늘; 험준함. 또는 험준한 곳. 〔동의어〕難所; (눈빛·표정·말씨 등에 나타나는) 매서움. 사나움. 표독함; 주위를 에두른 곳. 동그라미. 원; 범위; 권. 한정된 지역. 일정한 범위; 『문어』 단단함. 견고함. 견고한 것; 칸; 사이. 특히, 건물의 기둥과 기둥 사이; (바둑판·장기판의) 눈. 또는 눈을 세는 말; 『생리학』 건. 힘줄; 『문어』 권력. 〔동의어〕権力·権限; 권리; 「聖」가 청주(淸酒)를 뜻하는 데 대하여, 탁주; 건. 건반. 키. 〔동의어〕キー; 『문어』 ⇒ けむ
チェック
체크; 수표. 〔동의어〕小切手; (물품을 맡은) 물표. 보관증. 〔동의어〕チッキ; (옷감의) 바둑판 무늬. 체크 무늬. 〔동의어〕格子じま·碁盤じま; (체스에서) 장군을 부름. 〔동의어〕チェックメート; (공격이나 기세를) 저지함. 견제함; 대조의 표시로 「」표를 함. 또 대조하여 검사함
Find you
Find youそらのおさかな (動く絵本、童話、読み聞かせ)
東京五輪が1年程度の延期 IOC理事会で承認(20/03/25)
東海第二原発 変圧器から出火 放射性物質漏れなし(2022年9月13日)
Weekly Japanese Words with Risa - News Words
佳子さま ギリシャへ出発 外交関係樹立125周年記念(2024年5月25日)
How to Book a Karaoke Booth
How to Book a Karaoke BIce-Cream Stacking Is Serious Business
Ice-Cream Stacking Is Sミスター・メッシー(ごちゃごちゃくん)
東京消防庁 救急の出動件数が過去最多に 119番通報も 新型コロナ・インフル要因か(2023年12月18日)
You need to upgrade to a premium account to using this feature
Are you sure you want to test again?
Please upgrade your account to read unlimited newspap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