自分の好きなものを貫く。
自分の好きなものを貫く。
結構何かに夢中になってて、
他のことを忘れて熱中できる人達かなって思います。
何かの物事に特質して詳しい人。
フィギュアとかアニメとか。
めっちゃ熱狂的な。
ファン。
いいえ。
僕は釣りが好きなので、 釣りに関してはオタクって呼ばれてもおかしくはないかなと思います。
いや、 俺は思わないですね。
自分も思わないですね。
ディズニーオタク。
なんか、 情報をすごい集めて、 ディズニーのリゾートとか行くとテンションが上がって… みたいな。
年に何回ぐらい?
五回、 六回ぐらい。
ゲーム。
アニメとか。
アイドルとか。
ちょっと古いかもしれないんですけど、 秋葉原とかでいるような、
なんか、 リュック背負って、 眼鏡かけて、 で、 ちょっと小太りで、
チェックシャツ着てるようなのを想像しますが。
でも、 友達とか見てるとそんな感じじゃないので、
多様だから一様に言えないなとは思います。
アニメとか特に見てる人が多いんで、 見た目だけじゃ判断はできないかなと思いますね。
偏見だと、 ちょっと髪の毛長くて、 眼鏡でみたいな。
なんか別に服装とかに気を使ってないみたいな。 ちょっと電車男みたいな。
確かに、 服とかよりも、 もうなんかその好きなものっていうイメージ。
お金のかけ方がそっちに行ってるから、 他は二の次っていうイメージありますね。
バンダナ巻いて、 ペンライトみたいな。
チェックのシャツ。
そうそうそう。
ペンライトでなんか… 「 はー! 」 みたいな。
アイドルのコンサートとか?
そうです、 そういう感じです。
根暗そうな感じですね。
僕はいいイメージがあると思います。
お金を落とす人ってなかなかそういないので、 そういうことで経済が回るし、
そういう熱中することを持つっていうことはすごい大事なことだと思うので、
いいことだと思います。
そうですね、 自分の周りでも割とオタクの人、 友達多いんですけど、
みんな優しくていい人が多いので、 自分としてはいいイメージがありますね。 はい。
俺はいいイメージがありますね。
やっぱその物事に一本に集中できるっていうのは、 なんか僕はそんなできないので。
それについては本当にすごいと思います。
自分は、 なんか偏見入るんですけど、 悪いイメージもあって、
なんか、 そのことに熱くなり過ぎて、 なんかちょっとこう色々こう人と厄介事で。
なので、 一概にいいとは言えなくて。
なんか熱狂的なファンがライブでちょっとやらかして怪我させちゃったとか結構聞くので、
そういうとこを見ると、 なんかいい面だけではないなっていう感じはしますね。
普通に共存。 共存してます。
別に自分達に支障がないから。 増えても減っても。
どっちでもいいです。
日本をこうそのオタク文化とかそういうので知ってもらえるのであれば、
すごく歓迎しますし。
いいことかなとは思います。
中にはマナーが悪い人とかいて、
それで評価が下がることもあるかもしれないですけど、
みんなで色々考えをシェアしたりとか、
そういうことは駄目だっていう風に言える文化になるようであれば、
すごい歓迎はします。
積極的に文化の交流とかも行われると思うので、 非常にいいことだと思います。
日本のことを知ってもらえるいい機会だと思うので、
増えてほしいというか、 まあ増えても別にそんなに不快感はないですね。
それ、 日本のアニメとかってすごい影響力あるし、
それが好きでオタクになるのなら、
別に、 日本人の自分としては、 なんかそれは嬉しいことなんじゃないかなと思いますね。
好きならいいんじゃないかな? みたいな。
いいと思います。 増えても。
自分の好きなものを貫く。
貫く
꿰뚫다. 가로지르다. 〔동의어〕貫通する; 관철하다. 일관하다.〔동의어〕果たす. 【가능동사】 つらぬ·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自分
무렵. 대체적인 시기·시각; 적당한 때. 기회. 시기; (중국에서 신문의 논설 등에 쓰는) 현대어체(現代語體)의 문장; 그 시대의 글. 당시의 글; 그 사람 자신. 자기 자신;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동의어〕わたくし
好き
좋아함. 〔반의어〕 きらい; 색다른 것을 좋아함. 〔동의어〕ものずき; 호색. 〔동의어〕いろごのみ; 마음 내키는 대로임. 제멋대로임; 틈; 빈틈. 틈새기. 빈곳. 〔동의어〕隙間; 겨를. 짬; 허점. 방심. 틈탈 기회; 『농학·농림·농업』 쟁기. 극젱이. 〔동의어〕からすき; 종이를 뜸. 초지(抄紙); 『농학·농림·농업』 가래; 풍류(風流). 풍류의 길. 특히, 다도(茶道)·和歌를 즐김. 〔참고〕 「好き」의 차자. 「数奇」는 딴말임
結構何かに夢中になってて、
何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結構
결항; 결강. 강의를 쉼; 혈행. 〔동의어〕血のめぐり; 결행. 단행. 〔동의어〕断行; 결구. 구성. 구조. 〔동의어〕組み立て; 《고어》 계획. 기도. 〔동의어〕たくらみ·もくろみ·企て; 훌륭함. 좋음; 충분함. 만족스러움; 마음씨 좋음. 얌전함. 무던함; 다행임; 꽤. 제법. 상당히. 〔동의어〕かなり
夢中
몽중. 꿈속. 〔동의어〕夢裡; 열중함. 몰두함. 정신이 없음. {문어·ナリ 활용 }; 『문어』 무중; (비유적으로) 예측이나 짐작을 할 수 없음
他のことを忘れて熱中できる人達かなって思います。
熱中
열중
他
《「あた」의 변한말로 室町 시대까지는 「あた」로 읽었음》; 원수. 적. 〔동의어〕敵·; 원한. 원망. 〔동의어〕恨み; 앙갚음. 보복. 해. 화; 《고어》 외적. 외구(外寇); 헛됨. 헛일. 헛수고. 부질없음. 〔동의어〕むだ; 들떠 있음. 부박(浮薄); 다름. 딴 것임. 〔동의어〕外·別; (여자가) 요염함. {문어·ナリ 활용 }
できる
전부 나가다[나오다]. 다 나가[나와] 남은 것이 없다. 〔동의어〕出つくす. 【문어 4단 활용 동사】; 《カ変動詞 「でくる」의 변한 꼴》; (새로) 생기다. 나다; 생성(生成)되다; 성립되다; 일어나다. 발생하다; 수중에 들어오다. 얻다; 생산되다. 산출되다; 만들어지다; 완성되다. 다 되다; (소질·경향을) 타고나다. 생겨 먹다; 능력·가능성이 있다. 할 수 있다. 가능하다; 〈サ変動詞의 語幹에 붙어 接尾語적으로〉 …할 수 있다. …하는 것이 가능하다; 잘하다. 할 줄 알다; (능력·인품이) 뛰어나다. 출중하다. 되어 있다; 《속어》 (남녀가) 깊은 관계에 있다. 눈이[배가] 맞다; 『경제』 (증권 거래소에서) 매매가 성립되다
思い
생각함. 또는 그 생각. 〔동의어〕考え; 기분. 느낌. 마음. 〔동의어〕気持ち·感じ; 기대. 예상. 〔동의어〕期待·予想; 소원. 뜻. 〔동의어〕願い·望み; 연정. 연모의 정. 사모하는 마음; 집념. 미련. 원한. 〔동의어〕執念·うらみ; 근심. 수심. 〔동의어〕物思い; 무겁다. 〔반의어〕 軽い; 중량이 있다. 가볍지 않다; (사물이) 중대하다. 중요하다; (정도가) 심하다. (병이) 위중하다. 〔동의어〕ひどい; (신분·지위 등이) 높다. 중요하다; 후련하지[개운하지] 않다. 무지근하다; 침착하다. 진중하다. おも·げ 【형용동사】 おも·さ 【명사】 おも·み 【명사】 【문어형】 おも·し {ク 활용}
何かの物事に特質して詳しい人。
何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物事
사물. 세상사. 매사(每事)
詳しい
상세하다. 자세하다. 소상하다. 자상하다; 정통하다. 잘 알고 있다. 밝다. くわし·げ 【형용동사】 くわし·さ 【명사】 【문어형】 くは·し {シク 활용}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特質
특질. 특성. 〔동의어〕特性.; 득실.
フィギュアとかアニメとか。
フィギュア
모양. 도형
アニメ
「アニメーション」의 준말
めっちゃ熱狂的な。
的
적; …에 대한. …에 관한; …같은. …의 성질을 띤; …상태에 있는; 《속어》 〈인명이나 직업명에 붙어〉 친근미·경멸을 나타냄. 놈. 녀석. 꾼. 씨. 〔참고〕 1.~3.은 名詞에 붙어 경향·성질·상태 등을 나타내는 形容動詞의 어간을 이룸; 방울; 적. 적합; 적; 싸움·경쟁의 상대. 적수. 〔반의어〕 味方; 해롭게 하는 것; 흔히, 절충·교섭의 상대를 가리킴. 상대. 저쪽
熱狂
열광
ファン。
ファン
팬; 부채; 팬; (스포츠·영화 등의) 열렬한 애호가; (특정 인물에 대한) 열렬한 지지자
いいえ。
いいえ
아니. 아니오. 아뇨. 〔동의어〕いえ·いやいや. 〔반의어〕 はい·ええ
僕は釣りが好きなので、 釣りに関してはオタクって呼ばれてもおかしくはないかなと思います。
僕
하인. 종. ((예스러운 말)) 〔동의어〕召使·下男
釣り
(씨름에서) 상대의 샅바를 잡고 들어올려 밖으로 내보내기; 「釣銭」의 준말
好き
좋아함. 〔반의어〕 きらい; 색다른 것을 좋아함. 〔동의어〕ものずき; 호색. 〔동의어〕いろごのみ; 마음 내키는 대로임. 제멋대로임; 틈; 빈틈. 틈새기. 빈곳. 〔동의어〕隙間; 겨를. 짬; 허점. 방심. 틈탈 기회; 『농학·농림·농업』 쟁기. 극젱이. 〔동의어〕からすき; 종이를 뜸. 초지(抄紙); 『농학·농림·농업』 가래; 풍류(風流). 풍류의 길. 특히, 다도(茶道)·和歌를 즐김. 〔참고〕 「好き」의 차자. 「数奇」는 딴말임
思い
생각함. 또는 그 생각. 〔동의어〕考え; 기분. 느낌. 마음. 〔동의어〕気持ち·感じ; 기대. 예상. 〔동의어〕期待·予想; 소원. 뜻. 〔동의어〕願い·望み; 연정. 연모의 정. 사모하는 마음; 집념. 미련. 원한. 〔동의어〕執念·うらみ; 근심. 수심. 〔동의어〕物思い; 무겁다. 〔반의어〕 軽い; 중량이 있다. 가볍지 않다; (사물이) 중대하다. 중요하다; (정도가) 심하다. (병이) 위중하다. 〔동의어〕ひどい; (신분·지위 등이) 높다. 중요하다; 후련하지[개운하지] 않다. 무지근하다; 침착하다. 진중하다. おも·げ 【형용동사】 おも·さ 【명사】 おも·み 【명사】 【문어형】 おも·し {ク 활용}
いや、 俺は思わないですね。
俺
부러짐. 꺾어짐. 부러진 것. 꺾어진 것; 《주로 남자가 같은 또래나 아랫사람에게 쓰는 1인칭》 나. 내. 〔참고〕 약간 거친 말투이나 상대에 대한 친밀감이 나타나기도 함. 대등한 관계는 「おまえ」에 대해 「おれ」라고 말함
自分も思わないですね。
自分
무렵. 대체적인 시기·시각; 적당한 때. 기회. 시기; (중국에서 신문의 논설 등에 쓰는) 현대어체(現代語體)의 문장; 그 시대의 글. 당시의 글; 그 사람 자신. 자기 자신;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동의어〕わたくし
ディズニーオタク。
なんか、 情報をすごい集めて、 ディズニーのリゾートとか行くとテンションが上がって… みたいな。
情報
상방. 위쪽. 상부(上部). 〔참고〕 「上方」는 딴말임; 정법; 정해진 법칙; 정해진 방식. 늘 하는 방식; 『수학』 승법. 곱셈법. 〔반의어〕 除法; 통상의 방법; 정보; 사물의 내용이나 형편에 관한 소식; 판단이나 의지를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되는 지식·자료; 상황에 관한 지식에 변화를 초래하는 것
すごい
무시무시하다. 무섭다; 굉장하다. 대단하다; 《속어》 〈連用形을 副詞적으로 써서〉 대단히. 무척; (정도가) 심하다. すご·さ 【명사】 すご·み 【명사】 【문어형】 すご·し {ク 활용}
行く
〈주로 名詞에 붙어〉 수량·정도가 불확실·불명확함을 나타냄. 어느 정도의. 몇; 수량·정도가 많음을 나타냄. 여러. 수; 『문어』 외구. 무서워하고 두려워함. 〔동의어〕恐懼; 썩 큰 몸집; 《「生きる」의 문어형》 살다. 살아가다; ⇒ ゆく; ⇒ ゆく
なんか
남하. 〔반의어〕 北上; 『문어』 남가. 남쪽으로 뻗은 가지. 남지. 〔동의어〕南枝; 연화; (단단한 물건이) 부드러워짐. 부드럽게 함; (태도·주장 등이) 누그러짐. 또는 누그러뜨림; 『경제』 (증권 거래에서) 시세가 내림; 『화학』 센물을 단물로 바꿈. 1.~3. 〔반의어〕 硬化; 『경제』 연화. 〔반의어〕 硬貨; 금이나 국제 통화인 달러와의 교환 능력이 없는 통화; 《代名詞 「なに」에 助詞 「か」가 붙은 「なにか」의 변한말》; 임의의, 또는 불특정한 사물을 가리킴. 무엇인가; 열거한 말의 마지막에 놓여, 앞의 것과 유사한 불특정한 어떤 것을 가리킴. 무엇인가. 그런 것. 〔참고〕 「なんぞ」보다 구어적임; 어쩐지. 어딘지 모르게. 〔동의어〕どことなく; 《連語 「なんか」가 助詞화한 말. 副助詞 「など」의 용법과 거의 같음》 …등. …들. …따위. …같은 것. 그러한[이러한] 것. 〔참고〕 보통, かな로 씀
テンション
텐션. 정신적 긴장 또는 불안
リゾート
리조트. 행락지. 피서지. 요양지
年に何回ぐらい?
何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回
《「かき」의 변한말》 특정한 動詞 앞에 붙어 의미를 강조하거나 어조를 고름; 해. 바다의 뜻을 더함; 계. 어떤 한정된 범위의 사회·동아리 등의 뜻을 나타냄; 보람. 효과; 조개; 조가비. 조개 껍데기. 〔동의어〕かいがら; 소라. 〔동의어〕ほらがい; 자개. 나전; 『문어』 골짜기; (물건 등을) 삼; 『경제』 (시세가 오를 것을 예상하고) 사들임. 1.2. 〔반의어〕 売り; 회; 『문어』 만남; 모임. 집회; 〈接尾語로도 씀〉 단체. 조직; 회. 횟수; 번. 회; 쾌; (만족하여) 기분이 좋음. 유쾌. 상쾌; 병이 나음; 《한자어 앞에 붙여》; ‘시원스러움’ ‘훌륭함’의 뜻을 나타냄; 빠름; 훈계. 훈계의 말; 『불교』 계율. 죄악을 방지하기 위해 불교신도가 지켜야 할 규칙; 괴이함. 불가사의; 《한자어 앞에 붙여》 ‘수상함’ ‘이상함’의 뜻을 나타냄. 괴; 계단. 층계. 층층대; (건물의) 층; 《수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건물의) 층; 해서(楷書). 〔반의어〕 行·草; 해답. 풀이; 가의. 노래·시가의 뜻; 《「搔き」의 변한말》 노. 〔동의어〕オール; 곽외(郭隗). 중국 전국 시대(戰國時代)의 현인(賢人). 연(燕)나라 사람; 하위. 〔반의어〕 上位·中位; 하의. 〔반의어〕 上意; 『지리·지학·지명』 옛 지명의 하나. 지금의 山梨현. 〔동의어〕甲州; 친밀감을 가지고 물을 때 씀. …냐. …니; 반어(反語)를 나타냄. …냐; 상대에게 강하게 채근하는 뜻을 나타냄. …겠느냐
ぐらい
⇒ くらい
年
해; 나이. 연령; 『문어』 도사. 개죽음. 〔동의어〕いぬじに; 도시
五回、 六回ぐらい。
回
《「かき」의 변한말》 특정한 動詞 앞에 붙어 의미를 강조하거나 어조를 고름; 해. 바다의 뜻을 더함; 계. 어떤 한정된 범위의 사회·동아리 등의 뜻을 나타냄; 보람. 효과; 조개; 조가비. 조개 껍데기. 〔동의어〕かいがら; 소라. 〔동의어〕ほらがい; 자개. 나전; 『문어』 골짜기; (물건 등을) 삼; 『경제』 (시세가 오를 것을 예상하고) 사들임. 1.2. 〔반의어〕 売り; 회; 『문어』 만남; 모임. 집회; 〈接尾語로도 씀〉 단체. 조직; 회. 횟수; 번. 회; 쾌; (만족하여) 기분이 좋음. 유쾌. 상쾌; 병이 나음; 《한자어 앞에 붙여》; ‘시원스러움’ ‘훌륭함’의 뜻을 나타냄; 빠름; 훈계. 훈계의 말; 『불교』 계율. 죄악을 방지하기 위해 불교신도가 지켜야 할 규칙; 괴이함. 불가사의; 《한자어 앞에 붙여》 ‘수상함’ ‘이상함’의 뜻을 나타냄. 괴; 계단. 층계. 층층대; (건물의) 층; 《수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건물의) 층; 해서(楷書). 〔반의어〕 行·草; 해답. 풀이; 가의. 노래·시가의 뜻; 《「搔き」의 변한말》 노. 〔동의어〕オール; 곽외(郭隗). 중국 전국 시대(戰國時代)의 현인(賢人). 연(燕)나라 사람; 하위. 〔반의어〕 上位·中位; 하의. 〔반의어〕 上意; 『지리·지학·지명』 옛 지명의 하나. 지금의 山梨현. 〔동의어〕甲州; 친밀감을 가지고 물을 때 씀. …냐. …니; 반어(反語)를 나타냄. …냐; 상대에게 강하게 채근하는 뜻을 나타냄. …겠느냐
ぐらい
⇒ くらい
五
5. 다섯. 〔동의어〕ご·いつつ; 〈不定称의 指示代名詞〉 언제. 어느 때; 평소. 여느 때; 『문어』; 부정을 씻었음. 신성함; 일. 하나. 〔동의어〕いち; 둘 중 하나. 한쪽. 〔동의어〕一方; 같음. 동일; 〈「~に」의 꼴로 副詞적으로 씀〉 오로지. 전적으로; (세속을 떠나) 편히 지냄
六
육. 여섯. 〔동의어〕むっつ·ろく; 무. 아무것도 없음. 〔반의어〕 有; 힘을 쓰거나, 감탄하거나, 놀라거나 할 때 입을 다물고 내는 소리. 음; 『문어』 《動詞·動詞型活用의 助動詞의 未然形에 붙어》; 추량·예상의 뜻을 나타냄. …일 것이다. …이겠지; 의지·희망의 뜻을 나타냄. …하겠다. …할 작정이다; 권유·명령의 뜻을 나타냄. …하는 것이 좋겠다. …해 주게; 가정·가상의 뜻을 나타냄. 만약 …이라면 (…일 것이다); 완곡하게 표현하는 뜻을 나타냄. …같은. 〔참고〕 平安 시대 이후에는 「ん」으로도 씀
ゲーム。
ゲーム
게임; 놀이. 유희. 오락; 「ゲームセット」의 준말
アニメとか。
アニメ
「アニメーション」의 준말
アイドルとか。
アイドル
아이들. 우상. 동경의 대상
ちょっと古いかもしれないんですけど、 秋葉原とかでいるような、
ちょっと
잠깐. 잠시; 좀. 조금. 약간; (역설적으로) 꽤. 상당히. 제법; 〈否定語가 따르며〉 좀처럼. 쉽게. 쉽사리. 거의; 부르는 말. 여보세요. 이봐요. 이보게. 〔동의어〕ちょいと. 〔참고〕 「一寸」 「鳥渡」는 차자. 「一寸」은 딴말임
古い
작은 진동. 흔들림; (오한·공포 등으로) 몸이 떨리는 일. 1.2.〔동의어〕ふるえ; 체; 낡다. 오래되다; 긴 세월이 지나 있다; 시대에 뒤져 있다. 진부(陳腐)하다. 낡다. 구식이다. 1.~3.〔반의어〕 新しい. ふる·さ 【명사】 【문어형】 ふる·し {ク 활용}
なんか、 リュック背負って、 眼鏡かけて、 で、 ちょっと小太りで、
眼鏡
안경. ((예스러운 말)) 〔동의어〕めがね; 완강함; 몸이 튼튼함. 〔동의어〕頑健. {문어·ナリ 활용 }
ちょっと
잠깐. 잠시; 좀. 조금. 약간; (역설적으로) 꽤. 상당히. 제법; 〈否定語가 따르며〉 좀처럼. 쉽게. 쉽사리. 거의; 부르는 말. 여보세요. 이봐요. 이보게. 〔동의어〕ちょいと. 〔참고〕 「一寸」 「鳥渡」는 차자. 「一寸」은 딴말임
なんか
남하. 〔반의어〕 北上; 『문어』 남가. 남쪽으로 뻗은 가지. 남지. 〔동의어〕南枝; 연화; (단단한 물건이) 부드러워짐. 부드럽게 함; (태도·주장 등이) 누그러짐. 또는 누그러뜨림; 『경제』 (증권 거래에서) 시세가 내림; 『화학』 센물을 단물로 바꿈. 1.~3. 〔반의어〕 硬化; 『경제』 연화. 〔반의어〕 硬貨; 금이나 국제 통화인 달러와의 교환 능력이 없는 통화; 《代名詞 「なに」에 助詞 「か」가 붙은 「なにか」의 변한말》; 임의의, 또는 불특정한 사물을 가리킴. 무엇인가; 열거한 말의 마지막에 놓여, 앞의 것과 유사한 불특정한 어떤 것을 가리킴. 무엇인가. 그런 것. 〔참고〕 「なんぞ」보다 구어적임; 어쩐지. 어딘지 모르게. 〔동의어〕どことなく; 《連語 「なんか」가 助詞화한 말. 副助詞 「など」의 용법과 거의 같음》 …등. …들. …따위. …같은 것. 그러한[이러한] 것. 〔참고〕 보통, かな로 씀
リュック
「リュックサック」의 준말
小太り
《「こ」는 接頭語》 약간 뚱뚱함. {문어·ナリ 활용 }
チェックシャツ着てるようなのを想像しますが。
想像
송상. (텔레비전의) 영상을 전파로 바꾸어 보냄. 〔반의어〕 受像; 창조; 상상
着
기. (명사에 붙어) ‘기분’ ‘성미’ ‘기질’의 뜻을 나타냄; 옷; 『문어』 기생. 기녀. 유녀(遊女). 〔동의어〕あそびめ; 『문어』 솜씨. 기예. 〔동의어〕わざ; 거짓. 허위(虛僞). 〔동의어〕いつわり. 〔반의어〕 真; 『논리학』 어떤 명제(命題)가 잘못된 것. 〔참고〕 기호는 「f」로 표시함; 가짜인; 『문어』; 의로움. 옳은 일. 인도(人道); 의미. 의의; 조리. 이유; 혈연 이외의 사람과의 결연 관계; 남남끼리 맺는 혈족 같은 관계; 『문어』 의심. 확실하지 않음. 〔동의어〕うたがい; 의식. 예식; 일. 건(件). 까닭; 〈사람을 나타내는 体言에 붙어〉 …에 관해서는; 모양이 닮은 것. 모형. 기계; 연기(演技); 『문어』 정분. 정의(情誼). 〔동의어〕よしみ; 상의. 의논; 제안. 제의. 안(案)
シャツ
와이셔츠
チェック
체크; 수표. 〔동의어〕小切手; (물품을 맡은) 물표. 보관증. 〔동의어〕チッキ; (옷감의) 바둑판 무늬. 체크 무늬. 〔동의어〕格子じま·碁盤じま; (체스에서) 장군을 부름. 〔동의어〕チェックメート; (공격이나 기세를) 저지함. 견제함; 대조의 표시로 「」표를 함. 또 대조하여 검사함
でも、 友達とか見てるとそんな感じじゃないので、
そんな
그런. 그와 같은
感じ
지각함. 감각. 감촉; 인상; 기분. 분위기; 감상; 『문어』 관사. 관청의 사무; 어떤 말 앞에서 그 말을 수식하는 말; 간사; 한자. 〔동의어〕真名·本字; 감사; 단체의 서무를 맡아보는 사람[직무]; 『법률』 법인(法人)의 업무·회계를 감사하는 기관. 감사역; 『문어』 빙그레 웃는 모양. 〔참고〕 여자일 때는 「嫣然」이라고 씀. {문어·タリ 활용}
友達
벗. 친구. 동무. 〔동의어〕友人·友
見
개; 건물을 세는 말. 채. 집; 아호(雅號)·옥호(屋號) 등에 쓰는 말; 주된 요리나 생선회에 곁들이는 야채·해초 등; 건. 사항. 사건; 같은 사항·사건 등의 수를 세는 말. 건; 『문어』; 보기만 하고 사지 않음. 〔동의어〕素見·ひやかし; 어떤 일을 할 수 있는 자격을 나타내는 쪽지. 표. 〔동의어〕切符; 그것이 가치·자격 등을 나타내는 쪽지임을 나타냄. 권; (여성의 용모·자태 등이) 곱고 아름다움; 『정치』 현. 일본 지방 행정 구역의 하나. ((한국의 도(道)에 해당함)) 〔참고〕 원래, 중국의 지방 행정 구역의 이름; 《接続詞적으로 씀》 겸; 양날의 칼. 검; 검술; 총검; 벌의 꽁무니에 있는 침. 또는 곤충의 암컷 꽁무니에 달린 침 모양의 산란기; 주먹. 〔동의어〕にぎりこぶし; 권법(拳法); 건; 역(易)의 8괘의 하나. 점대에 나오는 「☰」 모양. 〔반의어〕 坤; 하늘; 험준함. 또는 험준한 곳. 〔동의어〕難所; (눈빛·표정·말씨 등에 나타나는) 매서움. 사나움. 표독함; 주위를 에두른 곳. 동그라미. 원; 범위; 권. 한정된 지역. 일정한 범위; 『문어』 단단함. 견고함. 견고한 것; 칸; 사이. 특히, 건물의 기둥과 기둥 사이; (바둑판·장기판의) 눈. 또는 눈을 세는 말; 『생리학』 건. 힘줄; 『문어』 권력. 〔동의어〕権力·権限; 권리; 「聖」가 청주(淸酒)를 뜻하는 데 대하여, 탁주; 건. 건반. 키. 〔동의어〕キー; 『문어』 ⇒ けむ
多様だから一様に言えないなとは思います。
多様
『문어』 타용; 다른 볼일; 다른 용도; 용무가 많음. 다망(多忙); 다양. 여러 가지. 〔동의어〕さまざま. 〔반의어〕 一様. {문어·ナリ 활용 }
一様
『문어』 일엽; 나무의 한 잎. 〔동의어〕ひとは; (종이) 한 장; 쪽배 한 척; 일양. 똑같음. 한결같음. 〔반의어〕 多様; 보통. 평범함. 예사임. {문어·ナリ 활용 }
思い
생각함. 또는 그 생각. 〔동의어〕考え; 기분. 느낌. 마음. 〔동의어〕気持ち·感じ; 기대. 예상. 〔동의어〕期待·予想; 소원. 뜻. 〔동의어〕願い·望み; 연정. 연모의 정. 사모하는 마음; 집념. 미련. 원한. 〔동의어〕執念·うらみ; 근심. 수심. 〔동의어〕物思い; 무겁다. 〔반의어〕 軽い; 중량이 있다. 가볍지 않다; (사물이) 중대하다. 중요하다; (정도가) 심하다. (병이) 위중하다. 〔동의어〕ひどい; (신분·지위 등이) 높다. 중요하다; 후련하지[개운하지] 않다. 무지근하다; 침착하다. 진중하다. おも·げ 【형용동사】 おも·さ 【명사】 おも·み 【명사】 【문어형】 おも·し {ク 활용}
アニメとか特に見てる人が多いんで、 見た目だけじゃ判断はできないかなと思いますね。
特に
특히. 특별히. 〔동의어〕とりわけ·殊に; 『문어』 벌써. 이미. 오래 전에. 〔동의어〕とうに·とっくに
判断
판단; (좋고 나쁨, 옳고 그름, 참과 거짓 등을) 생각하여 정함; 『논리학』 어떤 대상에 대하여 무엇인가를 단정하는 사고 작용. 또는 그 언어 표현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多い
덮개. 씌우개. 피복. 커버; 《고어》 《「大飯」의 변한말》 천황의 수라. 또는 그 음식의 조리; 멀리 있는 사람을 부르거나 대답할 때 지르는 소리. 어이. 〔참고〕 「おうい」 「おい」로도 씀; (수량·횟수·물건 등이) 많다. 〔반의어〕 少ない. 〔참고〕 「多い人が来る」라고는 하지 않고 「多くの人が来る(많은 사람이 오다)」로 하며, 또한 「多い本がある」도 「多くの本がある(많은 책이 있다)」라고 함. 【문어형】 おほ·し {ク 활용}
思い
생각함. 또는 그 생각. 〔동의어〕考え; 기분. 느낌. 마음. 〔동의어〕気持ち·感じ; 기대. 예상. 〔동의어〕期待·予想; 소원. 뜻. 〔동의어〕願い·望み; 연정. 연모의 정. 사모하는 마음; 집념. 미련. 원한. 〔동의어〕執念·うらみ; 근심. 수심. 〔동의어〕物思い; 무겁다. 〔반의어〕 軽い; 중량이 있다. 가볍지 않다; (사물이) 중대하다. 중요하다; (정도가) 심하다. (병이) 위중하다. 〔동의어〕ひどい; (신분·지위 등이) 높다. 중요하다; 후련하지[개운하지] 않다. 무지근하다; 침착하다. 진중하다. おも·げ 【형용동사】 おも·さ 【명사】 おも·み 【명사】 【문어형】 おも·し {ク 활용}
見
개; 건물을 세는 말. 채. 집; 아호(雅號)·옥호(屋號) 등에 쓰는 말; 주된 요리나 생선회에 곁들이는 야채·해초 등; 건. 사항. 사건; 같은 사항·사건 등의 수를 세는 말. 건; 『문어』; 보기만 하고 사지 않음. 〔동의어〕素見·ひやかし; 어떤 일을 할 수 있는 자격을 나타내는 쪽지. 표. 〔동의어〕切符; 그것이 가치·자격 등을 나타내는 쪽지임을 나타냄. 권; (여성의 용모·자태 등이) 곱고 아름다움; 『정치』 현. 일본 지방 행정 구역의 하나. ((한국의 도(道)에 해당함)) 〔참고〕 원래, 중국의 지방 행정 구역의 이름; 《接続詞적으로 씀》 겸; 양날의 칼. 검; 검술; 총검; 벌의 꽁무니에 있는 침. 또는 곤충의 암컷 꽁무니에 달린 침 모양의 산란기; 주먹. 〔동의어〕にぎりこぶし; 권법(拳法); 건; 역(易)의 8괘의 하나. 점대에 나오는 「☰」 모양. 〔반의어〕 坤; 하늘; 험준함. 또는 험준한 곳. 〔동의어〕難所; (눈빛·표정·말씨 등에 나타나는) 매서움. 사나움. 표독함; 주위를 에두른 곳. 동그라미. 원; 범위; 권. 한정된 지역. 일정한 범위; 『문어』 단단함. 견고함. 견고한 것; 칸; 사이. 특히, 건물의 기둥과 기둥 사이; (바둑판·장기판의) 눈. 또는 눈을 세는 말; 『생리학』 건. 힘줄; 『문어』 권력. 〔동의어〕権力·権限; 권리; 「聖」가 청주(淸酒)를 뜻하는 데 대하여, 탁주; 건. 건반. 키. 〔동의어〕キー; 『문어』 ⇒ けむ
見た目
남의 눈에 비치는 모양이나 모습. 겉보기. 외관(外觀). 〔동의어〕みば
アニメ
「アニメーション」의 준말
偏見だと、 ちょっと髪の毛長くて、 眼鏡でみたいな。
髪の毛
머리털. 머리카락. 두발. 〔동의어〕かみ·頭髪
眼鏡
안경. ((예스러운 말)) 〔동의어〕めがね; 완강함; 몸이 튼튼함. 〔동의어〕頑健. {문어·ナリ 활용 }
ちょっと
잠깐. 잠시; 좀. 조금. 약간; (역설적으로) 꽤. 상당히. 제법; 〈否定語가 따르며〉 좀처럼. 쉽게. 쉽사리. 거의; 부르는 말. 여보세요. 이봐요. 이보게. 〔동의어〕ちょいと. 〔참고〕 「一寸」 「鳥渡」는 차자. 「一寸」은 딴말임
偏見
편견
なんか別に服装とかに気を使ってないみたいな。 ちょっと電車男みたいな。
気
귀; 신분·집안·가치 등이 높은; 경의(敬意)의 표시; 기; 기초. 근본; 『화학』 원자단(原子團). 〔동의어〕根; (설치해 놓은) 묘석(墓石)·장명등(長明燈)·기계 등을 세는 단위; 인간답지 않은 무서운 사람; 기; 기. 말 탄 사람의 수효; 『식물·식물학』 나무. 수목; 재목. 목재; 딱따기; 잡것이 섞이지 않음. 자연 그대로임. 순수함; ‘순수함’ ‘인공을 가하지 않음’ ‘오직 그대로임’의 뜻을 나타냄; 황. 노랑. 황색. 〔동의어〕きいろ; ‘황색’의 뜻을 나타냄; 기. 십간(十干)의 여섯째. 〔동의어〕つちのと; 기운. 정기. 생기. 분위기; (특유한) 맛. 향기; 숨. 호흡; 정신. 의식. 얼; 성미. 기질. 마음씨; 기. 기력; 생각. 의지; 마음. 기분; 흥미. 관심; 「希臘」의 준말; 『화학』 희. 묽은. 〔반의어〕 濃; 드묾. 〔참고〕 「希」는 「稀」의 대용자; 상을 입고 집에 들어박혀 행동을 삼가는 일. 또는 그 기간. ((보통 49일간)) 상(喪); 기. 기일(忌日). 회기(回忌); 『문어』 이상함. 야릇함. 진기함. {문어·ナリ 활용 }; 기수. 홀수. 〔반의어〕 偶; 계절. 〔동의어〕シーズン; 連歌·俳句에서 구(句)에 삽입하는 계절의 경물(景物). 〔동의어〕季題·季語; 계. 천간(天干)의 열째. 〔동의어〕みずのと; 기. 기전체(紀傳體) 역사에서 제왕의 사적(事績)을 적은 글. 〔동의어〕本紀; 『문학』 〈「日本書紀」의 준말〉 일본서기; 기. 지질 시대 구분의 단위; 궤; 수레의 양 바퀴의 간격; 수레바퀴가 지나간 자국; 규칙; 기. 기록(문); 『문학』 「古事記」의 준말; 기; 기. 기구(起句); 『문어』 기; 시기. 기간. 기한; 좋은 기회. 시기; 기; 기간. 시기; [age]『지리·지학·지명』 지질 시대의 한 구분. 「世」의 아래; 계략. 모사(謀事). 방법; 《고어》 파. 〔동의어〕ねぎ; 『문어』 그릇. 〔동의어〕うつわ; 물건을 담는 용기; 기. 기량. 인물. 재능; 기; 기관(器官); 기구. 도구; 계기; 시기. 기회; 〈「飛行機」의 준말〉 비행기; (불교에서) 기. 기근(機根). 〔동의어〕気根; 기계; 비행기; 비행기를 세는 말. 대; 『문어』 《用言·助動詞의 連用形에 붙음》; 과거에 직접 체험한 일을 회상하는 말. …었다. …였다. …고 있었다; (경험과 관계없이 널리) 과거의 사실을 나타냄. …었다. …였다; 현재 또는 완료의 뜻을 나타냄. …하고 있다. 〔참고〕 終止形 「き」는 カ変動詞에 붙지 않음. カ変을 받는 경우는 「きし」 「きしか」와 「こし」 「こしか」의 두 꼴이 있음. 고대에는 未然形 「せ」가 있었다고 생각되는데, 助詞 「ば」가 붙어 가정의 뜻을 나타냄
服装
『문어』 복주. 임금 앞에 엎드려 아룀; 복장. 옷차림. 〔동의어〕みなり·よそおい; 『역사』 부장. 죽은 이가 생전에 애용하던 물건을 시신과 함께 매장하는 일; 복상. 복스러운 인상(人相). 〔반의어〕 貧相; 『문어』 폭주. (수레의 바퀴통에 바큇살이 모인다는 뜻에서) 한 곳으로 많이 모여듦
別に
〈否定語가 따름〉 별로. 특별히. 각별히; 〈否定語가 따르지 않고 단독으로 써서〉 상대편의 물음에 대한 부정의 뜻을 나타냄. 별로
男
〈名詞에 붙어〉 ‘잔’ ‘작은’ ‘조그마한’의 뜻; 〈名詞에 붙어〉 어조를 고르거나 표현을 부드럽게 함; 〈用言에 붙어〉 ‘조금’의 뜻; 《「御」의 변한말》; 〈体言·用言에 붙음. 動詞에 붙을 때는 그 連用形에 「になる」 「なさる」 「くださる」 「あそばす」 등이 이어진 꼴이 됨〉 존경의 뜻을 나타냄; 〈体言·用言에 붙음. 動詞 위에 붙을 때는 그 連用形에 「いただく」 「ねがう」 「もうしあげる」 「する」 「いたします」 등이 이어지는 꼴이 됨〉 겸양의 뜻을 나타냄; 〈体言·用言에 붙음〉 공손의 뜻을 나타냄; 〈体言·用言에 붙음〉 친애의 뜻을 나타냄; 〈「お」+動詞連用形+「なさい」의 꼴에서 「なさい」를 생략하고 말을 끊는 꼴〉 가볍고 부드러운 명령을 나타냄; 〈인사말에서 「~…さま」 「~…さん」의 꼴로〉 상대에 대한 동정·위로·위안의 뜻을 나타냄; 〈여자의 이름 위에 붙여〉 존경·친애의 뜻을 나타냄. ((7.은 「阿」 「於」로도 씀)) 〔참고〕 중세 이후 「おん」의 「ん」이 탈락해서 된 말. 한자어에는 「御·」를 쓰고, 고유어(和語)에는 「お·おん」이 붙는 것이 원칙임; ‘수컷’의 뜻. 수. 〔동의어〕おす. 〔반의어〕 雌; ‘사내다운’ ‘씩씩한’의 뜻. 〔참고〕 동물의 경우에는 「牡」로도 씀; (동물의) 꼬리. 〔동의어〕しっぽ; 꼬리 모양의 것; 길게 뻗은 산기슭; 끝. 끝부분. 끄트머리; 결점. 약점; 《고어》 남자. 〔반의어〕女; 쌍으로 된 것 중의 큰 것. 〔반의어〕 女. 〔참고〕 「雄」로도 씀; 삼·모시의 실; ⇒ あく; 줄. 끈. 실; 악기의 줄. 현(弦); 길게 이어진 것
ちょっと
잠깐. 잠시; 좀. 조금. 약간; (역설적으로) 꽤. 상당히. 제법; 〈否定語가 따르며〉 좀처럼. 쉽게. 쉽사리. 거의; 부르는 말. 여보세요. 이봐요. 이보게. 〔동의어〕ちょいと. 〔참고〕 「一寸」 「鳥渡」는 차자. 「一寸」은 딴말임
電車
(시가지를 달리는) ‘노면 전차’의 속칭. 〔참고〕 발차할 때 운전사와 차장이 방울 소리로 서로 신호하는 데서 비롯됨
なんか
남하. 〔반의어〕 北上; 『문어』 남가. 남쪽으로 뻗은 가지. 남지. 〔동의어〕南枝; 연화; (단단한 물건이) 부드러워짐. 부드럽게 함; (태도·주장 등이) 누그러짐. 또는 누그러뜨림; 『경제』 (증권 거래에서) 시세가 내림; 『화학』 센물을 단물로 바꿈. 1.~3. 〔반의어〕 硬化; 『경제』 연화. 〔반의어〕 硬貨; 금이나 국제 통화인 달러와의 교환 능력이 없는 통화; 《代名詞 「なに」에 助詞 「か」가 붙은 「なにか」의 변한말》; 임의의, 또는 불특정한 사물을 가리킴. 무엇인가; 열거한 말의 마지막에 놓여, 앞의 것과 유사한 불특정한 어떤 것을 가리킴. 무엇인가. 그런 것. 〔참고〕 「なんぞ」보다 구어적임; 어쩐지. 어딘지 모르게. 〔동의어〕どことなく; 《連語 「なんか」가 助詞화한 말. 副助詞 「など」의 용법과 거의 같음》 …등. …들. …따위. …같은 것. 그러한[이러한] 것. 〔참고〕 보통, かな로 씀
確かに、 服とかよりも、 もうなんかその好きなものっていうイメージ。
確か
확실함. 틀림없음. 믿을 만함; 정확함; 든든함. 단단함; 안전함; 건전함. 멀쩡함. {문어·ナリ 활용 }; (절대적이지는 않으나) 분명히. 확실히. 틀림없이. 아마. 〔동의어〕たぶん
好き
좋아함. 〔반의어〕 きらい; 색다른 것을 좋아함. 〔동의어〕ものずき; 호색. 〔동의어〕いろごのみ; 마음 내키는 대로임. 제멋대로임; 틈; 빈틈. 틈새기. 빈곳. 〔동의어〕隙間; 겨를. 짬; 허점. 방심. 틈탈 기회; 『농학·농림·농업』 쟁기. 극젱이. 〔동의어〕からすき; 종이를 뜸. 초지(抄紙); 『농학·농림·농업』 가래; 풍류(風流). 풍류의 길. 특히, 다도(茶道)·和歌를 즐김. 〔참고〕 「好き」의 차자. 「数奇」는 딴말임
服
옷. 의복. 특히, 양복; (첩약·가루약 등의) 봉지를 세는 말; 담배·차·약 등을 먹는 횟수를 세는 말. 〔참고〕 < 2> 는 一·三·六·八·十 등의 뒤에서는 「ぷく」가 됨; 부. 〔반의어〕 正; 부차적인 것; 부본. 사본; 부. 〔반의어〕 正; 족자. 〔동의어〕掛け物·軸物; 족자를 세는 말. 폭. 〔참고〕 助数詞로서의 읽기는 「服」의 경우와 같음; 복. 행복. 〔반의어〕 禍·厄; 복. 〔반의어〕 単; 복수. 이중(二重)임; (테니스·탁구 등에서) 복식 경기; 복; (바람이) 불다; (기체·액체 등이) 뿜다. 솟아나다; (곰팡이·가루 등이) 표면에 생기다; (초목의 싹이) 돋다. 싹트다. 〔참고〕 2.는 「噴く」로도 씀. 【문어 4단 활용 동사】; (바람이) 날리다; 입으로 불다; (피리 등을) 불다; 내뿜다; (싹을) 내다. 싹틔우다; (가루·곰팡이 등이) 표면에 생기게 하다; 광석을 녹여 금속을 분리하다; 주조하다; 큰소리를 치다. 허풍을 떨다; (값을) 비싸게 부르다. 〔참고〕 4.는 「噴く」로도 씀. 【가능동사】 ふ·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닦다. 훔치다. 【가능동사】 ふ·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지붕을) 이다; (초목 등을) 처마에 꽂아 장식하다. 【가능동사】 ふ·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なんか
남하. 〔반의어〕 北上; 『문어』 남가. 남쪽으로 뻗은 가지. 남지. 〔동의어〕南枝; 연화; (단단한 물건이) 부드러워짐. 부드럽게 함; (태도·주장 등이) 누그러짐. 또는 누그러뜨림; 『경제』 (증권 거래에서) 시세가 내림; 『화학』 센물을 단물로 바꿈. 1.~3. 〔반의어〕 硬化; 『경제』 연화. 〔반의어〕 硬貨; 금이나 국제 통화인 달러와의 교환 능력이 없는 통화; 《代名詞 「なに」에 助詞 「か」가 붙은 「なにか」의 변한말》; 임의의, 또는 불특정한 사물을 가리킴. 무엇인가; 열거한 말의 마지막에 놓여, 앞의 것과 유사한 불특정한 어떤 것을 가리킴. 무엇인가. 그런 것. 〔참고〕 「なんぞ」보다 구어적임; 어쩐지. 어딘지 모르게. 〔동의어〕どことなく; 《連語 「なんか」가 助詞화한 말. 副助詞 「など」의 용법과 거의 같음》 …등. …들. …따위. …같은 것. 그러한[이러한] 것. 〔참고〕 보통, かな로 씀
イメージ
이미지. 영상(映像). 인상. 심상(心像). 〔동의어〕イマージュ
お金のかけ方がそっちに行ってるから、 他は二の次っていうイメージありますね。
方
《고어》 대체적인 방향·위치·시간을 나타냄; 겹치거나 거듭된 것을 세는 말. 겹. 〔동의어〕重り; 《고어》 (바다·호수 등의) 후미. 〔동의어〕入り江; 《고어》 가지. 〔동의어〕えだ; 자루. 손잡이; 『문어』 모이. 미끼. 먹이. 〔동의어〕えさ; 많은 사람이 모여서 하는 법회(法會)·제례(祭禮); 《고어》 돌림병. 〔동의어〕えき; 그림; (텔레비전의) 영상. 화면; 『문어』 《뒤에 否定語가 따름》 잘 …하지 않다. 도저히 …할 수 없다; 회화에서, 긍정·승낙을 나타내는 말. 예. 네; 회화에서, 감동·놀람·의문을 나타냄. 예. 네. 뭐; 〈名詞에 붙어〉 남에게 말을 걸 때 쓰는 예스러운 말; 〈「か」 「だれ」 「何」 등 의문을 나타내는 말이나, 「だ」 「です」 등에 붙어〉 의문의 뜻을 강조함; 〈말 끝에 붙어〉 어조를 부드럽게 하거나 친근감을 나타내거나 함
他
《「あた」의 변한말로 室町 시대까지는 「あた」로 읽었음》; 원수. 적. 〔동의어〕敵·; 원한. 원망. 〔동의어〕恨み; 앙갚음. 보복. 해. 화; 《고어》 외적. 외구(外寇); 헛됨. 헛일. 헛수고. 부질없음. 〔동의어〕むだ; 들떠 있음. 부박(浮薄); 다름. 딴 것임. 〔동의어〕外·別; (여자가) 요염함. {문어·ナリ 활용 }
そっち
⇒ そちら. 〔참고〕 「そち」의 促音 첨가
イメージ
이미지. 영상(映像). 인상. 심상(心像). 〔동의어〕イマージュ
二の次
두 번째. 그 다음. 뒤로 미룸. 〔동의어〕あとまわし·二番目.
バンダナ巻いて、 ペンライトみたいな。
ペンライト
펜라이트. 만년필 모양의 소형 회중전등
バンダナ
반다나. 면이나 실크에 염색한 인도의 장방형 천. 머리나 목에 두름.
チェックのシャツ。
シャツ
와이셔츠
チェック
체크; 수표. 〔동의어〕小切手; (물품을 맡은) 물표. 보관증. 〔동의어〕チッキ; (옷감의) 바둑판 무늬. 체크 무늬. 〔동의어〕格子じま·碁盤じま; (체스에서) 장군을 부름. 〔동의어〕チェックメート; (공격이나 기세를) 저지함. 견제함; 대조의 표시로 「」표를 함. 또 대조하여 검사함
そうそうそう。
ペンライトでなんか… 「 はー! 」 みたいな。
なんか
남하. 〔반의어〕 北上; 『문어』 남가. 남쪽으로 뻗은 가지. 남지. 〔동의어〕南枝; 연화; (단단한 물건이) 부드러워짐. 부드럽게 함; (태도·주장 등이) 누그러짐. 또는 누그러뜨림; 『경제』 (증권 거래에서) 시세가 내림; 『화학』 센물을 단물로 바꿈. 1.~3. 〔반의어〕 硬化; 『경제』 연화. 〔반의어〕 硬貨; 금이나 국제 통화인 달러와의 교환 능력이 없는 통화; 《代名詞 「なに」에 助詞 「か」가 붙은 「なにか」의 변한말》; 임의의, 또는 불특정한 사물을 가리킴. 무엇인가; 열거한 말의 마지막에 놓여, 앞의 것과 유사한 불특정한 어떤 것을 가리킴. 무엇인가. 그런 것. 〔참고〕 「なんぞ」보다 구어적임; 어쩐지. 어딘지 모르게. 〔동의어〕どことなく; 《連語 「なんか」가 助詞화한 말. 副助詞 「など」의 용법과 거의 같음》 …등. …들. …따위. …같은 것. 그러한[이러한] 것. 〔참고〕 보통, かな로 씀
ペンライト
펜라이트. 만년필 모양의 소형 회중전등
アイドルのコンサートとか?
コンサート
『음악』 콘서트. 음악회. 연주회
アイドル
아이들. 우상. 동경의 대상
そうです、 そういう感じです。
感じ
지각함. 감각. 감촉; 인상; 기분. 분위기; 감상; 『문어』 관사. 관청의 사무; 어떤 말 앞에서 그 말을 수식하는 말; 간사; 한자. 〔동의어〕真名·本字; 감사; 단체의 서무를 맡아보는 사람[직무]; 『법률』 법인(法人)의 업무·회계를 감사하는 기관. 감사역; 『문어』 빙그레 웃는 모양. 〔참고〕 여자일 때는 「嫣然」이라고 씀. {문어·タリ 활용}
そういう
그와 같은. 그러한
根暗そうな感じですね。
感じ
지각함. 감각. 감촉; 인상; 기분. 분위기; 감상; 『문어』 관사. 관청의 사무; 어떤 말 앞에서 그 말을 수식하는 말; 간사; 한자. 〔동의어〕真名·本字; 감사; 단체의 서무를 맡아보는 사람[직무]; 『법률』 법인(法人)의 업무·회계를 감사하는 기관. 감사역; 『문어』 빙그레 웃는 모양. 〔참고〕 여자일 때는 「嫣然」이라고 씀. {문어·タリ 활용}
根
술자리에서 잔을 건네는 횟수. 잔; ⇒ ごん; 곤; 곤방(坤方). 서남쪽. 〔동의어〕ひつじさる; ⇒ きん; 근; 끈기. 근기(根氣); 『수학』 방정식을 만족시키는 미지수의 값; 『수학』 멱근(冪根). 승근(乘根); 『화학』 이온화될 경향이 있는 기(基); 혼. 부부가 됨; ‘결혼’ ‘혼인’의 뜻을 나타냄. 혼; 감색(紺色); 『문어』 혼. 영혼. 〔동의어〕霊魂; 《속어》 《「この」의 변한말》 이; 이번의. 지금의. 오늘날의; 딱딱한 것을 때렸을 때 나는 소리. 탁. 〔동의어〕ごつん; 여우가 우는 소리. 캥
僕はいいイメージがあると思います。
僕
하인. 종. ((예스러운 말)) 〔동의어〕召使·下男
思い
생각함. 또는 그 생각. 〔동의어〕考え; 기분. 느낌. 마음. 〔동의어〕気持ち·感じ; 기대. 예상. 〔동의어〕期待·予想; 소원. 뜻. 〔동의어〕願い·望み; 연정. 연모의 정. 사모하는 마음; 집념. 미련. 원한. 〔동의어〕執念·うらみ; 근심. 수심. 〔동의어〕物思い; 무겁다. 〔반의어〕 軽い; 중량이 있다. 가볍지 않다; (사물이) 중대하다. 중요하다; (정도가) 심하다. (병이) 위중하다. 〔동의어〕ひどい; (신분·지위 등이) 높다. 중요하다; 후련하지[개운하지] 않다. 무지근하다; 침착하다. 진중하다. おも·げ 【형용동사】 おも·さ 【명사】 おも·み 【명사】 【문어형】 おも·し {ク 활용}
イメージ
이미지. 영상(映像). 인상. 심상(心像). 〔동의어〕イマージュ
お金を落とす人ってなかなかそういないので、 そういうことで経済が回るし、
経済
경제; 『경제』 재화(財貨)의 획득·이용 활동; 돈의 변통; 절약. 경제적
回る
《고어》; 일이 뜻대로 진행되다
なかなか
꽤. 상당히. 매우. 〔동의어〕かなり·ずいぶん; 〈흔히, 否定語가 따르며〉 그렇게 간단하게는. 쉽사리. 좀처럼; 《고어》 상대의 말에 맞장구를 칠 때 하는 말. 그렇소. 맞았소. 그렇고말고. 〔참고〕 狂言 등에서 자주 씀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落とす
(위에서 아래로) 떨어뜨리다. 낙하시키다; (달려 있는 것을) 떨다; (실수하여) 놓치다; 내리다. 닫다; 흘리다. 쏟아지게 하다; 깨어 넣다; (빛을) 비추다; (시선 등을) 그쪽으로 보내다[돌리다]. (고개 등을) 떨어뜨리다; 물을 흘러들게 하다; 제거하다. 벗기다. 씻다. 밀다. 깎다; (씌운 귀신을) 떼다. 물리치다; 잃다; (깜빡하고) 빠뜨리다. 빼먹다; 물건 등을 (깜빡하고) 잃다. 분실하다. 잃어버리다; 제외[제거]하다. 빼다. 없애다; 낙방시키다. 낙제시키다; 몰래 달아나게 하다. 도피시키다; 정도가 낮아지게 하다. 낮추다. 저하시키다; 전락시키다. 영락하게 하다; 나쁘게 말하다. 얕보다. 희롱하다; 공격해서 빼앗다. 함락시키다; (상대를) 복종시키다. 설득하다; (유도에서) 기절시키다. 까무러뜨리다; (동물을) 잡다. 죽이다. 도살하다; (落語 등에서) 우스갯소리로 이야기의 끝을 마무르다; 기가 죽다. 실망하다; (나쁜 상태에) 빠뜨리다. 뒤집어씌우다; (경매에서) 낙찰하다; 처리하다. 결제하다; (돈을) 쓰다. 뿌리다; (지위 등을) 낮추다. 강등시키다; 자백시키다. 불게 하다; (아이를) 낳다. 또는 낙태하다. 【가능동사】 おと·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そういう
그와 같은. 그러한
そういう熱中することを持つっていうことはすごい大事なことだと思うので、
思う
생각하다; 판단을 내리다. 믿다; 느끼다; 예상하다. 추측하다; 원하다. 소망하다; 회상하다; 사랑하다. 그리워하다. 사모하다. 소중히 하다; 〈「…と~」의 꼴이나 形容詞·形容動詞의 連用形을 받아서〉 …라고 생각하다. …하려고 결심하다. 〔참고〕 「考える」는 객관적·지적인 경우에만 쓰는데, 「思う」는 감정적·의지적·주관적인 경우에도 씀. 【가능동사】 おも·える【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大事
중대사. 큰일. 〔동의어〕大事件
熱中
열중
すごい
무시무시하다. 무섭다; 굉장하다. 대단하다; 《속어》 〈連用形을 副詞적으로 써서〉 대단히. 무척; (정도가) 심하다. すご·さ 【명사】 すご·み 【명사】 【문어형】 すご·し {ク 활용}
持つ
《속어》 《「臓物」의 준말》 요리의 재료로서의, 닭·소·돼지 등의 내장; 지속하다. 지탱하다. 견디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손에) 들다; (몸에) 지니다. 휴대하다; 소유하다; 존재하다. 있다; 마음에 품다; 맡다. 담당하다. 부담하다; 어떤 성질·속성 등을 지니다. 갖추다; 개최하다. 〔동의어〕開く; 관계하다; 〈「…をもって」 「…をもちまして」의 꼴로〉 …에 의해서. 【가능동사】 も·て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そういう
그와 같은. 그러한
いいことだと思います。
思い
생각함. 또는 그 생각. 〔동의어〕考え; 기분. 느낌. 마음. 〔동의어〕気持ち·感じ; 기대. 예상. 〔동의어〕期待·予想; 소원. 뜻. 〔동의어〕願い·望み; 연정. 연모의 정. 사모하는 마음; 집념. 미련. 원한. 〔동의어〕執念·うらみ; 근심. 수심. 〔동의어〕物思い; 무겁다. 〔반의어〕 軽い; 중량이 있다. 가볍지 않다; (사물이) 중대하다. 중요하다; (정도가) 심하다. (병이) 위중하다. 〔동의어〕ひどい; (신분·지위 등이) 높다. 중요하다; 후련하지[개운하지] 않다. 무지근하다; 침착하다. 진중하다. おも·げ 【형용동사】 おも·さ 【명사】 おも·み 【명사】 【문어형】 おも·し {ク 활용}
そうですね、 自分の周りでも割とオタクの人、 友達多いんですけど、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割
《은어》 공갈. 협박. ((불량배 등이 쓰는 말)); 『문어』; 삶. 살 길; 기절한 사람의 의식을 되살리는 기술; 목마름. 갈증; (비유적으로) 갈망; 『문어』 몇 가지 동작이 같이 행해지는 모양. 동시에. 한편; 『문어』 그 위에. 게다가. 또; 선종(禪宗)에서, 그릇된 생각이나 미망(迷妄) 등을 꾸짖어 깨우침을 주는 격려의 소리; 이기다. 승리하다; 극복하다. 이겨내다; 앞서다. 능가하다; 어떤 요소가 다른 것보다 많다. 어떤 성질·경향이 강하다. 더하다; 부담이 힘에 겹다. 버겁다; 획득하다. 쟁취하다. 따다. 1.~3. 〔반의어〕 負ける. 〔참고〕 2.는 「克つ」, 6.은 「贏つ」로도 씀. 【가능동사】 か·て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多い
덮개. 씌우개. 피복. 커버; 《고어》 《「大飯」의 변한말》 천황의 수라. 또는 그 음식의 조리; 멀리 있는 사람을 부르거나 대답할 때 지르는 소리. 어이. 〔참고〕 「おうい」 「おい」로도 씀; (수량·횟수·물건 등이) 많다. 〔반의어〕 少ない. 〔참고〕 「多い人が来る」라고는 하지 않고 「多くの人が来る(많은 사람이 오다)」로 하며, 또한 「多い本がある」도 「多くの本がある(많은 책이 있다)」라고 함. 【문어형】 おほ·し {ク 활용}
自分
무렵. 대체적인 시기·시각; 적당한 때. 기회. 시기; (중국에서 신문의 논설 등에 쓰는) 현대어체(現代語體)의 문장; 그 시대의 글. 당시의 글; 그 사람 자신. 자기 자신;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동의어〕わたくし
友達
벗. 친구. 동무. 〔동의어〕友人·友
みんな優しくていい人が多いので、 自分としてはいいイメージがありますね。 はい。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多い
덮개. 씌우개. 피복. 커버; 《고어》 《「大飯」의 변한말》 천황의 수라. 또는 그 음식의 조리; 멀리 있는 사람을 부르거나 대답할 때 지르는 소리. 어이. 〔참고〕 「おうい」 「おい」로도 씀; (수량·횟수·물건 등이) 많다. 〔반의어〕 少ない. 〔참고〕 「多い人が来る」라고는 하지 않고 「多くの人が来る(많은 사람이 오다)」로 하며, 또한 「多い本がある」도 「多くの本がある(많은 책이 있다)」라고 함. 【문어형】 おほ·し {ク 활용}
自分
무렵. 대체적인 시기·시각; 적당한 때. 기회. 시기; (중국에서 신문의 논설 등에 쓰는) 현대어체(現代語體)의 문장; 그 시대의 글. 당시의 글; 그 사람 자신. 자기 자신;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동의어〕わたくし
みんな
《「みな」의 撥音 첨가》 모두. 다. 죄다. 전부
として
〈상태를 나타내는 한자어에 붙어 副詞句를 만듦〉 동작·작용이 일어날 때의 양태(樣態)를 나타냄. …하게. …해져서; 〈動詞의 未然形+「う」 「よう」에 붙어〉 …려고; 〈「それはそれ~」 「それはそう~」의 꼴로 接続詞적으로 씀〉 그것은 그렇다 치고; 《体言에 붙어》 자격이나 입장을 나타냄. …로서; 《「一人」 「一本」 「一時」 등의 말에 붙고, 뒤에 否定의 「ない」가 따름》 전면적인 부정을 나타냄. …도 …않다[없다]
イメージ
이미지. 영상(映像). 인상. 심상(心像). 〔동의어〕イマージュ
俺はいいイメージがありますね。
俺
부러짐. 꺾어짐. 부러진 것. 꺾어진 것; 《주로 남자가 같은 또래나 아랫사람에게 쓰는 1인칭》 나. 내. 〔참고〕 약간 거친 말투이나 상대에 대한 친밀감이 나타나기도 함. 대등한 관계는 「おまえ」에 대해 「おれ」라고 말함
イメージ
이미지. 영상(映像). 인상. 심상(心像). 〔동의어〕イマージュ
やっぱその物事に一本に集中できるっていうのは、 なんか僕はそんなできないので。
そんな
그런. 그와 같은
僕
하인. 종. ((예스러운 말)) 〔동의어〕召使·下男
物事
사물. 세상사. 매사(每事)
集中
집중. 〔반의어〕 分散; 집주; 한군데로 쏟음[기울임]. 집중; 책의 주석을 모은 것. 〔동의어〕しっちゅう. 〔참고〕 2.는 「集註」로도 씀
一
일; 하나. 〔동의어〕一つ. 〔참고〕 증서 등에서는 갖은자인 「壱」을 씀; (사물의) 시초. 처음. 첫째. 최초. 〔동의어〕一番め; 최상. 최고. 으뜸. 〔동의어〕首位; (상투 등에서) 元結로 묶은 곳에서 뒤로 내민 부분; (三味線·거문고 등에서) 제일 낮은 음의 줄. 〔동의어〕一の糸; (많은 것 중) 한. 하나의. 한 사람의; (이렇다 할 만한 데가 없는) 하찮은. 어떠 한; 어떤. 한; 상당한. 버젓한; 시장. 저자. 장; (변하여) 시가. 거리. 〔동의어〕街; 지위(地位). 〔동의어〕地位; 위치; 지위. 입장
できる
전부 나가다[나오다]. 다 나가[나와] 남은 것이 없다. 〔동의어〕出つくす. 【문어 4단 활용 동사】; 《カ変動詞 「でくる」의 변한 꼴》; (새로) 생기다. 나다; 생성(生成)되다; 성립되다; 일어나다. 발생하다; 수중에 들어오다. 얻다; 생산되다. 산출되다; 만들어지다; 완성되다. 다 되다; (소질·경향을) 타고나다. 생겨 먹다; 능력·가능성이 있다. 할 수 있다. 가능하다; 〈サ変動詞의 語幹에 붙어 接尾語적으로〉 …할 수 있다. …하는 것이 가능하다; 잘하다. 할 줄 알다; (능력·인품이) 뛰어나다. 출중하다. 되어 있다; 《속어》 (남녀가) 깊은 관계에 있다. 눈이[배가] 맞다; 『경제』 (증권 거래소에서) 매매가 성립되다
やっぱ
《속어》 《「やっぱり」의 변한말》 역시
本
투매(投賣)하는 책이나 잡지. 덤핑 책[잡지]
それについては本当にすごいと思います。
すごい
무시무시하다. 무섭다; 굉장하다. 대단하다; 《속어》 〈連用形을 副詞적으로 써서〉 대단히. 무척; (정도가) 심하다. すご·さ 【명사】 すご·み 【명사】 【문어형】 すご·し {ク 활용}
思い
생각함. 또는 그 생각. 〔동의어〕考え; 기분. 느낌. 마음. 〔동의어〕気持ち·感じ; 기대. 예상. 〔동의어〕期待·予想; 소원. 뜻. 〔동의어〕願い·望み; 연정. 연모의 정. 사모하는 마음; 집념. 미련. 원한. 〔동의어〕執念·うらみ; 근심. 수심. 〔동의어〕物思い; 무겁다. 〔반의어〕 軽い; 중량이 있다. 가볍지 않다; (사물이) 중대하다. 중요하다; (정도가) 심하다. (병이) 위중하다. 〔동의어〕ひどい; (신분·지위 등이) 높다. 중요하다; 후련하지[개운하지] 않다. 무지근하다; 침착하다. 진중하다. おも·げ 【형용동사】 おも·さ 【명사】 おも·み 【명사】 【문어형】 おも·し {ク 활용}
自分は、 なんか偏見入るんですけど、 悪いイメージもあって、
入る
들어가다. 들다. 〔동의어〕はいる. 〔반의어〕 出る; (어떤 경지에) 이르다; (해·별·달이) 지다; (어떤 환경에) 몸두다; (차차 변하여) 어떤 상태에 이르다. 〔참고〕 현재는 보통 단독으로는 「はいる」가 쓰이고 「いる」는 「気に入る」「堂に入る」등 관용적인 표현에 쓰이는 것이 보통임; 「入れる」의 문어; 필요하다. 들다. 소용되다. 〔참고〕 「入る」로도 씀. 【문어 4단 활용 동사】; 볶다; (달걀·두부 등을) 지지다. 【가능동사】 い·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사람이나 동물이) 있다. 존재하다. 〔참고〕 옛날에는 물건에 대해서도 썼음; 근무하다; 앉다; 《고어》 (안개·구름 등이) 가만히 있다. 머물러 있다. {문어·하1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て(で)」에 붙어》; 동작·상태가 계속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음을 나타냄; 동작·작용의 반복을 나타냄; 현재의 상태를 나타냄; 과거에 있었던 동작·경험 등을 나타냄. 〔참고〕 「…ている」 「…ています」 「…ていた」는 상용어(常用語)에서 흔히 「…てる」 「…てます」 「…てた」의 꼴로 씀.{문어·하1단 활용}; 쏘다; (쏘아서) 맞히다; 쏘아보다; (자기 것을 만들려고) 노리다. 노려서 차지하다; (빛이 강렬하게) 비추다. 〔참고〕 근세 후기 부터 「矢を射った」와 같이 5[4]段으로 활용되는 예를 볼 수 있음. {문어·상1단 활용}; 주조하다. (거푸집에) 부어 만들다. 지어 붓다. {문어·상1단 활용}
自分
무렵. 대체적인 시기·시각; 적당한 때. 기회. 시기; (중국에서 신문의 논설 등에 쓰는) 현대어체(現代語體)의 문장; 그 시대의 글. 당시의 글; 그 사람 자신. 자기 자신;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동의어〕わたくし
悪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形容詞를 만듦》 …하기 어렵다. 좀처럼 …할 수 없다. …하기 거북하다. 【문어형】 にく·し {ク 활용}; 밉다. 얄밉다. 밉살스럽다. 〔동의어〕憎らしい; 〈反語적으로〉 (얄밉도록) 기특하다. 훌륭하다. にく·が·る 【5단 활용 타동사】 にく·げ 【형용동사】 にく·さ 【명사】 【문어형】 にく·し {ク 활용}
なんか
남하. 〔반의어〕 北上; 『문어』 남가. 남쪽으로 뻗은 가지. 남지. 〔동의어〕南枝; 연화; (단단한 물건이) 부드러워짐. 부드럽게 함; (태도·주장 등이) 누그러짐. 또는 누그러뜨림; 『경제』 (증권 거래에서) 시세가 내림; 『화학』 센물을 단물로 바꿈. 1.~3. 〔반의어〕 硬化; 『경제』 연화. 〔반의어〕 硬貨; 금이나 국제 통화인 달러와의 교환 능력이 없는 통화; 《代名詞 「なに」에 助詞 「か」가 붙은 「なにか」의 변한말》; 임의의, 또는 불특정한 사물을 가리킴. 무엇인가; 열거한 말의 마지막에 놓여, 앞의 것과 유사한 불특정한 어떤 것을 가리킴. 무엇인가. 그런 것. 〔참고〕 「なんぞ」보다 구어적임; 어쩐지. 어딘지 모르게. 〔동의어〕どことなく; 《連語 「なんか」가 助詞화한 말. 副助詞 「など」의 용법과 거의 같음》 …등. …들. …따위. …같은 것. 그러한[이러한] 것. 〔참고〕 보통, かな로 씀
イメージ
이미지. 영상(映像). 인상. 심상(心像). 〔동의어〕イマージュ
偏見
편견
なんか、 そのことに熱くなり過ぎて、 なんかちょっとこう色々こう人と厄介事で。
厄介
귀찮음. 번거로움. 성가심. 또는 그런 모양. {문어·ナリ 활용 }; (남에게 끼치는) 신세. 폐; 보살핌. 돌봄. やっ-かさ; 『문어』 역해. 번역하여 해설함. 또는 그 번역과 해설. 〔동의어〕やくかい
事
『문어』 말. 이야기; 말. 마디; 《의식·사고의 대상 중 「物」와 같은 구체적인 것이 아닌, 추상적인 것을 가리키는 말》; 세상에서 일어나는 사건·현상. 일; 행위. 행동. 행사; 큰일. 문제. 사건. 사태; 통칭이나 아호(雅號) 등과 본명 사이에 써서, 그것이 동일 인물임을 나타냄. 즉. 곧; 〈自称의 人代名詞에 붙어〉 ‘나에 대해서 말하면’의 뜻을 나타냄;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어 그 활용어를 名詞화하여 다음과 같은 뜻을 나타냄. 보통 かな로 씀》; 경험; 방침. 습관; 경우. 가능성; 필요; 전문(傳聞); 해야 할 일; 수; 사실. 것. 일; 〈形容詞의 連体形에 붙어 副詞적으로 쓰임〉; 〈動詞의 連体形 또는 動詞에 否定의 助動詞의 連体形이 붙은 꼴에 곁들여〉 가벼운 명령·금지를 나타냄; 가정(假定)의 사항을 나타냄; 《「…を~にする」의 꼴로》 다름; 『음악』 거문고. ((원래는 현악기의 총칭)); 고도. 옛 도읍; 호도. 얼버무려 넘김. 미봉(彌縫); 『문어』 《活用語의 連体形·終止形에 붙음》; 감동을 나타냄; 완곡한 단정을 나타냄; 질문하거나 동의를 구하거나 권유하는 뜻을 나타냄. 〔참고〕 「事」와 같은 어원. 동료 또는 손아랫사람에게 쓰는 여성어
過ぎ
때가 지났거나 정도가 지나침을 나타내는 말. 과함. 지나침; 『식물·식물학』 삼목(杉木)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ちょっと
잠깐. 잠시; 좀. 조금. 약간; (역설적으로) 꽤. 상당히. 제법; 〈否定語가 따르며〉 좀처럼. 쉽게. 쉽사리. 거의; 부르는 말. 여보세요. 이봐요. 이보게. 〔동의어〕ちょいと. 〔참고〕 「一寸」 「鳥渡」는 차자. 「一寸」은 딴말임
なんか
남하. 〔반의어〕 北上; 『문어』 남가. 남쪽으로 뻗은 가지. 남지. 〔동의어〕南枝; 연화; (단단한 물건이) 부드러워짐. 부드럽게 함; (태도·주장 등이) 누그러짐. 또는 누그러뜨림; 『경제』 (증권 거래에서) 시세가 내림; 『화학』 센물을 단물로 바꿈. 1.~3. 〔반의어〕 硬化; 『경제』 연화. 〔반의어〕 硬貨; 금이나 국제 통화인 달러와의 교환 능력이 없는 통화; 《代名詞 「なに」에 助詞 「か」가 붙은 「なにか」의 변한말》; 임의의, 또는 불특정한 사물을 가리킴. 무엇인가; 열거한 말의 마지막에 놓여, 앞의 것과 유사한 불특정한 어떤 것을 가리킴. 무엇인가. 그런 것. 〔참고〕 「なんぞ」보다 구어적임; 어쩐지. 어딘지 모르게. 〔동의어〕どことなく; 《連語 「なんか」가 助詞화한 말. 副助詞 「など」의 용법과 거의 같음》 …등. …들. …따위. …같은 것. 그러한[이러한] 것. 〔참고〕 보통, かな로 씀
なので、 一概にいいとは言えなくて。
一概に
《흔히 否定의 말이 딸림》 통틀어. 몰아서. 일률적으로. 무조건. 한 마디로
なんか熱狂的なファンがライブでちょっとやらかして怪我させちゃったとか結構聞くので、
怪我
다침. 또는 그 상처. 부상. 〔동의어〕負傷; 잘못. 과실. 손실; 뜻밖의 결과
的
적; …에 대한. …에 관한; …같은. …의 성질을 띤; …상태에 있는; 《속어》 〈인명이나 직업명에 붙어〉 친근미·경멸을 나타냄. 놈. 녀석. 꾼. 씨. 〔참고〕 1.~3.은 名詞에 붙어 경향·성질·상태 등을 나타내는 形容動詞의 어간을 이룸; 방울; 적. 적합; 적; 싸움·경쟁의 상대. 적수. 〔반의어〕 味方; 해롭게 하는 것; 흔히, 절충·교섭의 상대를 가리킴. 상대. 저쪽
聞く
『문어』 ⇒ 危惧; 기구. 〔반의어〕 結句; 문장의 첫구; 『식물·식물학』 국화. 〔동의어〕長月花; 국화문(菊花紋); 『문어』 규구; 규준. 모범. 규칙; 효력이 있다. 듣다; 가능하다. 통하다; 능력[기능]이 충분히 발휘되다. 잘 움직이다. 〔참고〕 1.은 「効く」로도 씀. 【문어 4단 활용 동사】; 《「口を~」의 꼴로》; 말을 하다; 주선해 주다. 거들어 주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말이나 소리를) 듣다. 〔참고〕 1.은 「聴く」로도 씀; (남의 말을) 받아들이다; 묻다. 질문하다. 〔동의어〕尋ねる·問う. 〔참고〕 3.은 「訊く」 「尋く」로도 씀; (냄새를) 맡다; (술 등의 맛을) 맛보다. 【가능동사】 き·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문어』 기구; (변하여) 인생 행로가 평탄치 못하고 고생이 많음. {문어·タリ 활용}
結構
결항; 결강. 강의를 쉼; 혈행. 〔동의어〕血のめぐり; 결행. 단행. 〔동의어〕断行; 결구. 구성. 구조. 〔동의어〕組み立て; 《고어》 계획. 기도. 〔동의어〕たくらみ·もくろみ·企て; 훌륭함. 좋음; 충분함. 만족스러움; 마음씨 좋음. 얌전함. 무던함; 다행임; 꽤. 제법. 상당히. 〔동의어〕かなり
ちょっと
잠깐. 잠시; 좀. 조금. 약간; (역설적으로) 꽤. 상당히. 제법; 〈否定語가 따르며〉 좀처럼. 쉽게. 쉽사리. 거의; 부르는 말. 여보세요. 이봐요. 이보게. 〔동의어〕ちょいと. 〔참고〕 「一寸」 「鳥渡」는 차자. 「一寸」은 딴말임
なんか
남하. 〔반의어〕 北上; 『문어』 남가. 남쪽으로 뻗은 가지. 남지. 〔동의어〕南枝; 연화; (단단한 물건이) 부드러워짐. 부드럽게 함; (태도·주장 등이) 누그러짐. 또는 누그러뜨림; 『경제』 (증권 거래에서) 시세가 내림; 『화학』 센물을 단물로 바꿈. 1.~3. 〔반의어〕 硬化; 『경제』 연화. 〔반의어〕 硬貨; 금이나 국제 통화인 달러와의 교환 능력이 없는 통화; 《代名詞 「なに」에 助詞 「か」가 붙은 「なにか」의 변한말》; 임의의, 또는 불특정한 사물을 가리킴. 무엇인가; 열거한 말의 마지막에 놓여, 앞의 것과 유사한 불특정한 어떤 것을 가리킴. 무엇인가. 그런 것. 〔참고〕 「なんぞ」보다 구어적임; 어쩐지. 어딘지 모르게. 〔동의어〕どことなく; 《連語 「なんか」가 助詞화한 말. 副助詞 「など」의 용법과 거의 같음》 …등. …들. …따위. …같은 것. 그러한[이러한] 것. 〔참고〕 보통, かな로 씀
ライブ
라이브. (녹음·녹화 등의 재생이 아닌) 생음악. 실황(實況). 또는 음악을 그 자리서 녹음한 것
ファン
팬; 부채; 팬; (스포츠·영화 등의) 열렬한 애호가; (특정 인물에 대한) 열렬한 지지자
熱狂
열광
そういうとこを見ると、 なんかいい面だけではないなっていう感じはしますね。
見る
『식물·식물학』 청각채; 보다. 눈으로 인식하다; 구경하다. 관람하다; 읽다; 살피다. 살펴보다; 관찰하여 판단하다. 〔참고〕 ‘진찰하다’의 뜻으로는 흔히, 「診る」를 씀; (시각 외의 감각으로) 파악하다; 당하다. 경험하다. 겪다; 맡아보다. 돌보다. 보살피다; 평가하다. 간주하다; 〈「…と~」의 꼴로〉 …로 보다. …로 생각하다[간주하다]. {문어·상1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て[で]」를 받아서》; (시험적으로) …해 보다; 〈「…てみると」 「…てみたら」 「…てみれば」의 꼴로〉 …해 보면. …해보니. …해 보니까. 〔참고〕 보통 かな로 씀. {문어·상1단 활용}
面
『문어』; 얼굴. 얼굴 모습. 〔동의어〕顔; 표면. 〔동의어〕表面; 주됨. 주요함. 중심이 됨; 대부분임. {문어·ナリ 활용 }
感じ
지각함. 감각. 감촉; 인상; 기분. 분위기; 감상; 『문어』 관사. 관청의 사무; 어떤 말 앞에서 그 말을 수식하는 말; 간사; 한자. 〔동의어〕真名·本字; 감사; 단체의 서무를 맡아보는 사람[직무]; 『법률』 법인(法人)의 업무·회계를 감사하는 기관. 감사역; 『문어』 빙그레 웃는 모양. 〔참고〕 여자일 때는 「嫣然」이라고 씀. {문어·タリ 활용}
そういう
그와 같은. 그러한
普通に共存。 共存してます。
普通
불통; 보통. {문어·ナリ 활용 }; 보통. 대개. 일반적으로
共存
공존. 〔참고〕 「きょうぞん」으로도 읽음
別に自分達に支障がないから。 増えても減っても。
別に
〈否定語가 따름〉 별로. 특별히. 각별히; 〈否定語가 따르지 않고 단독으로 써서〉 상대편의 물음에 대한 부정의 뜻을 나타냄. 별로
自分
무렵. 대체적인 시기·시각; 적당한 때. 기회. 시기; (중국에서 신문의 논설 등에 쓰는) 현대어체(現代語體)의 문장; 그 시대의 글. 당시의 글; 그 사람 자신. 자기 자신;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동의어〕わたくし
達
《動詞 또는 動詞의 連用形이 변한 名詞에 붙어》; ‘선 채로’의 뜻을 나타냄; 어세(語勢)를 강하게 하는 말; 《사람·생물을 나타내는 말에 붙어》 복수를 나타냄. 〔참고〕 連濁에 의해서 「だち」로도 됨. 「ら」 「ども」보다 공손한 표현임; 《「断ち」의 뜻》 칼; 奈良 시대에는, 도검(刀劍)의 총칭; 平安 시대 이후는, 허리에 차는 긴 칼. ((의식이나 싸울 때에 사용했음)); 사람의 타고난 성질. 체질; (물건의) 성질. 품질. 질; (사물의) 성질. 질; 《名詞에 붙어》 ‘성질’ ‘기질’ 등을 나타냄; 『문어』; 귀인(貴人)의 숙소 또는 저택. 〔동의어〕やかた
支障
지장. 〔동의어〕さしさわり·さしつかえ; 『불교』 사생. 생물을 출생 방식의 차이에 따라 넷으로 분류한 것. 곧, 태생·난생·습생(濕生)·화생(化生); ⇒ 四姓; 옛날에 관청의 잡역을 관장하던 벼슬; 그 도시의 기장(記章); 사상(자); 『문어』 사소. 공공의 금품을 사용으로 소비함; 사창. 〔반의어〕 公娼; 사상. 공무(公務) 외의 일로 입은 부상. 〔반의어〕 公傷; 『문어』 자상. (칼 따위에) 찔린 상처; 『문어』 자충. 찌름. 또는 자극함; 예인(藝人)에 대한 높임말; 『문어』 사승. 제자가 스승에게서 가르침을 이어받음. 〔동의어〕師伝; 『문어』 종이를 바른 미닫이문; 『생리학』 시상. 간뇌(間腦)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회백질의 덩어리; 사장. 시가(詩歌)와 문장; 『문어』 치소. 조소; 시초. 시선집(詩選集)
どっちでもいいです。
どっち
《「どち」의 변한말》; 여러 방향이나 장소 중의 하나를 가리킴. 어느 쪽. 어디; 둘 중에 하나를 고름. 어느 것. 어느 쪽
日本をこうそのオタク文化とかそういうので知ってもらえるのであれば、
文化
분화. 하나의 것이 진보·발달하여 복잡해짐에 따라 몇 개의 이질적(異質的) 부분으로 갈림; 횃불로 다른 횃불에 불을 붙임; 분과; 문화; 문과. 〔반의어〕 理科; 인문 과학·사회 과학의 분야; 문학부; 『문어』 문화; 문명이 화려하고 훌륭함
日本
일본. 〔동의어〕にほん
そういう
그와 같은. 그러한
すごく歓迎しますし。
歓迎
환영. 〔반의어〕 歓送
いいことかなとは思います。
思い
생각함. 또는 그 생각. 〔동의어〕考え; 기분. 느낌. 마음. 〔동의어〕気持ち·感じ; 기대. 예상. 〔동의어〕期待·予想; 소원. 뜻. 〔동의어〕願い·望み; 연정. 연모의 정. 사모하는 마음; 집념. 미련. 원한. 〔동의어〕執念·うらみ; 근심. 수심. 〔동의어〕物思い; 무겁다. 〔반의어〕 軽い; 중량이 있다. 가볍지 않다; (사물이) 중대하다. 중요하다; (정도가) 심하다. (병이) 위중하다. 〔동의어〕ひどい; (신분·지위 등이) 높다. 중요하다; 후련하지[개운하지] 않다. 무지근하다; 침착하다. 진중하다. おも·げ 【형용동사】 おも·さ 【명사】 おも·み 【명사】 【문어형】 おも·し {ク 활용}
中にはマナーが悪い人とかいて、
中
‘그 동안 줄곧’이란 뜻을 나타냄. 내내; 그 범위 전체에 걸친다는 뜻을 나타냄; 십; 열. 〔동의어〕とお; 전부. 전체; 거주함; 거처. 처소; 『문어』 부드러움. 부드러운 것. 얌전함. 〔반의어〕 剛; 『문어』 중요한 것; 〈「お~」의 꼴로〉 찬합. 〔동의어〕重箱; 중; 무거움. 혹심함. 〔반의어〕 軽; 『화학』 산성염(酸性塩)임; 겹친 것을 세는 말. 중. 층; 종. 종자. 하인. 〔동의어〕とも·けらい. 〔반의어〕 主; ⇒ じゅ; 총; 짐승. 〔동의어〕けもの; 수. 짐승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悪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形容詞를 만듦》 …하기 어렵다. 좀처럼 …할 수 없다. …하기 거북하다. 【문어형】 にく·し {ク 활용}; 밉다. 얄밉다. 밉살스럽다. 〔동의어〕憎らしい; 〈反語적으로〉 (얄밉도록) 기특하다. 훌륭하다. にく·が·る 【5단 활용 타동사】 にく·げ 【형용동사】 にく·さ 【명사】 【문어형】 にく·し {ク 활용}
マナー
매너. 예의 범절. 태도. 몸가짐
それで評価が下がることもあるかもしれないですけど、
それで
그런 까닭으로. 그러므로. 그래서; 그런 다음. 그리하여. 그래서
評価
빙과. 〔동의어〕氷菓子; 평가; 『문어』 비평가
下がる
(기온·열 등이) 내리다. 내려가다. 〔동의어〕下る; (값·정도·지위·성적·솜씨 등이) 떨어지다; 수그러지다; 드리워지다. 늘어지다. 〔동의어〕垂れる; (아래로) 내려가다. 흘러내리다; (윗사람 앞이나 회사·학교 등에서) 물러나다; (京都 시내에서) 남쪽으로 가다. 내려가다; 뒤로 물러서다; (관청 등에서 허가 등이) 나오다. 교부되다. 발부되다; 때가 흐르다[지나다]; (윗사람으로부터) 명령이나 금품이 내리다. 1.~11.〔반의어〕 上がる. 【가능동사】 さが·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みんなで色々考えをシェアしたりとか、
考え
생각
みんな
《「みな」의 撥音 첨가》 모두. 다. 죄다. 전부
シェア
『경제』 셰어. 상품의 시장 점유율(占有率)
そういうことは駄目だっていう風に言える文化になるようであれば、
文化
분화. 하나의 것이 진보·발달하여 복잡해짐에 따라 몇 개의 이질적(異質的) 부분으로 갈림; 횃불로 다른 횃불에 불을 붙임; 분과; 문화; 문과. 〔반의어〕 理科; 인문 과학·사회 과학의 분야; 문학부; 『문어』 문화; 문명이 화려하고 훌륭함
駄目
(바둑에서) 공배; 허사임. 소용없음. 무익(無益). 〔동의어〕むだ. {문어·ナリ 활용 }; 좋지 않음. 못쓰게 됨. 제구실을 못함. {문어·ナリ 활용 }; 불가능함. 가망이 없음. {문어·ナリ 활용 }; 불가함. 해서는 안 됨. {문어·ナリ 활용 }; (연출자가 연기자에게 주는) 연기상의 주의. 지적
風
바람; 감기. 〔참고〕 보통 「風邪」로 씀; 형세. 형편; 낌새. 눈치; (비유적으로, 사람에게 영향을 주는) 사회의 관습·양식 등; 〈接尾語적으로 씀〉 상태. 태도. 티
言える
《「言う」의 可能形》; 말할 수 있다; 말할 만하다. 말할 가치가 있다. 특히, 진리로서 단정할 수 있다; (병이) 낫다. 상처가 아물다. 치유되다. 【문어형】 い·ゆ {하2단 활용}
そういう
그와 같은. 그러한
すごい歓迎はします。
歓迎
환영. 〔반의어〕 歓送
すごい
무시무시하다. 무섭다; 굉장하다. 대단하다; 《속어》 〈連用形을 副詞적으로 써서〉 대단히. 무척; (정도가) 심하다. すご·さ 【명사】 すご·み 【명사】 【문어형】 すご·し {ク 활용}
積極的に文化の交流とかも行われると思うので、 非常にいいことだと思います。
思う
생각하다; 판단을 내리다. 믿다; 느끼다; 예상하다. 추측하다; 원하다. 소망하다; 회상하다; 사랑하다. 그리워하다. 사모하다. 소중히 하다; 〈「…と~」의 꼴이나 形容詞·形容動詞의 連用形을 받아서〉 …라고 생각하다. …하려고 결심하다. 〔참고〕 「考える」는 객관적·지적인 경우에만 쓰는데, 「思う」는 감정적·의지적·주관적인 경우에도 씀. 【가능동사】 おも·える【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文化
분화. 하나의 것이 진보·발달하여 복잡해짐에 따라 몇 개의 이질적(異質的) 부분으로 갈림; 횃불로 다른 횃불에 불을 붙임; 분과; 문화; 문과. 〔반의어〕 理科; 인문 과학·사회 과학의 분야; 문학부; 『문어』 문화; 문명이 화려하고 훌륭함
非常
비상; 비상. 예사가 아님. 대단함. 심함. {문어·ナリ 활용 }; 『불교』 산천(山川)·목석(木石) 등 감정을 가지지 않은 존재. 〔반의어〕 有情
交流
『법률』 구류. (도주나 증거 인멸을 막기 위한) 법원의 구치. 〔참고〕 「拘留」와 구별하여 「未決勾留」라고도 함. 형벌이 아님; 교류; 『물리』 교류. 〔반의어〕 直流; 서로 왕래함. 〔동의어〕交わり; 『법률』 구류; 붙잡아서 한 곳에 가두어 둠; 흥륭. 흥성.〔반의어〕 衰亡
的
적; …에 대한. …에 관한; …같은. …의 성질을 띤; …상태에 있는; 《속어》 〈인명이나 직업명에 붙어〉 친근미·경멸을 나타냄. 놈. 녀석. 꾼. 씨. 〔참고〕 1.~3.은 名詞에 붙어 경향·성질·상태 등을 나타내는 形容動詞의 어간을 이룸; 방울; 적. 적합; 적; 싸움·경쟁의 상대. 적수. 〔반의어〕 味方; 해롭게 하는 것; 흔히, 절충·교섭의 상대를 가리킴. 상대. 저쪽
思い
생각함. 또는 그 생각. 〔동의어〕考え; 기분. 느낌. 마음. 〔동의어〕気持ち·感じ; 기대. 예상. 〔동의어〕期待·予想; 소원. 뜻. 〔동의어〕願い·望み; 연정. 연모의 정. 사모하는 마음; 집념. 미련. 원한. 〔동의어〕執念·うらみ; 근심. 수심. 〔동의어〕物思い; 무겁다. 〔반의어〕 軽い; 중량이 있다. 가볍지 않다; (사물이) 중대하다. 중요하다; (정도가) 심하다. (병이) 위중하다. 〔동의어〕ひどい; (신분·지위 등이) 높다. 중요하다; 후련하지[개운하지] 않다. 무지근하다; 침착하다. 진중하다. おも·げ 【형용동사】 おも·さ 【명사】 おも·み 【명사】 【문어형】 おも·し {ク 활용}
積極
적극. 〔반의어〕 消極
日本のことを知ってもらえるいい機会だと思うので、
思う
생각하다; 판단을 내리다. 믿다; 느끼다; 예상하다. 추측하다; 원하다. 소망하다; 회상하다; 사랑하다. 그리워하다. 사모하다. 소중히 하다; 〈「…と~」의 꼴이나 形容詞·形容動詞의 連用形을 받아서〉 …라고 생각하다. …하려고 결심하다. 〔참고〕 「考える」는 객관적·지적인 경우에만 쓰는데, 「思う」는 감정적·의지적·주관적인 경우에도 씀. 【가능동사】 おも·える【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機会
기계. 바둑·장기의 사회; 『문어』 높은 신분(身分). 높은 지위. 또는 그 사람; 귀회. 〔동의어〕御会; 기계; 기회. 〔동의어〕折; 기계; 기괴함. 〔동의어〕きっかい. {문어·ナリ 활용 }
日本
일본. 〔동의어〕にほん
増えてほしいというか、 まあ増えても別にそんなに不快感はないですね。
そんなに
그렇게. 그토록
別に
〈否定語가 따름〉 별로. 특별히. 각별히; 〈否定語가 따르지 않고 단독으로 써서〉 상대편의 물음에 대한 부정의 뜻을 나타냄. 별로
ほしい
⇒ ほしいい; 갖고 싶다. 탐나다. …이 있으면 좋겠다. 아쉽다. ほし·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ほし·げ 【형용동사】 ほし·さ 【명사】 【문어형】 ほ·し {シク 활용}
不快
불쾌함. ふ-かさ {문어·ナリ 활용 }; 『문어』 병. 병환(病患); 『문어』 부회. 억지로 끌어다 댐. 무리하게 관련지음; 부회; 「府議会」의 준말. 〔참고〕 1.은 지방 자치법이 제정되기 전의 옛일컬음; 깊다. 얕지 아니하다; (감정·생각 등이) 깊다. 듬쑥하다; (정도가) 크다. 깊다; 관계가 밀접하다. 깊다; (색깔·농도가) 짙다; 밀생(密生)해 있다; (때·계절이) 깊다. 한창이다; 뚜렷하다; 〈「ぶかい」의 꼴로 体言에 붙어〉 복합어를 이룸. 1.~9.〔반의어〕 あさい. ふか·げ 【형용동사】 ふか·さ 【명사】 ふか·み 【명사】 【문어형】 ふか·し {ク 활용}
感
간. 간행. 출간(出刊). 출판; 감; 감독; 감방(監房); 관; (공공의) 건물 등에 붙는 말; 여관 등의 이름에 붙는 말; 장대의 수효를 세는 말; 캔; 깡통; 〈「缶詰め」의 준말〉 통조림. 〔참고〕 「缶」 「缶」 「鑵」은 차자; 『음악』 (일본 고유 음악에서) 높은 음역. 또는 기본음의 한 옥타브 높은 음; 『문어』 간. 간악함. 간사함. 또는 그런 사람; 『문어』 완; 「完全」 「完備」 등의 준말; 『문어』; 간. 간장; 마음; 관. 관청. 관리(官吏). 관직; ‘관리’ ‘공무원’ 등의 뜻을 나타냄. 관; 『문어』 관. 〔동의어〕かんむり; 으뜸감. {문어·タリ 활용}; 두루마리; 책; 권; 두루마리·필름·테이프 등의 수효; 책의 수효; 『문어』 (…처럼) 보임; 10일간. 순(旬). 〔참고〕 ‘씻다’의 뜻으로, 고대 중국에서 관리가 10일마다 휴가가 있어 목욕을 했던 데서; 『의학』 신경질적이고 짜증을 잘 내는 신경성 소아병; (사물의 사정이나 의미를) 직감으로 깨닫는 능력. 육감(六感). 직감력; 관. ((척관법의 무게의 단위)); 鎌倉 시대 이후 무가(武家)의 녹봉의 단위. ((1관은 10석(石))); 『문어』 겨울 추위; (24절기의) 대한과 소한의 시기. ((1월 6일경에서 2월 4일경까지의 약 30일간)) 1.2.〔동의어〕暑; 관. 관구. 〔동의어〕ひつぎ; 『문어』 정성. 충성; 『문어』 정의(情誼); 『경제』 예산·계정 과목의 분류명. 관. ((항(項)의 위, 부(部)의 아래)); 금속이나 돌에, 문자를 표면보다 움푹 들어가게 새김. 또는 그 문자; 간. 사이; 기회. 틈; 첩자; 불화; 《名詞에 붙어》 ‘…의 사이’ ‘…과 …의 사이’의 뜻을 나타냄. 간; 『문어』 관대하고 정이 깊음. 너그러움. 느슨함. {문어·ナリ 활용 }; 감. 느낌. 감회; 감동; ‘…의 느낌’의 뜻을 나타냄. 감; 관. 파이프. 〔동의어〕くだ; 붓·피리 등의 수효. 자루; 문빗장; 관문(關門). 〔동의어〕せき·関門; 『문어』 기쁨. 즐거움; 함. (편지의) 봉함; 『문어』 (일의 진행이) 느림. 완함. 더딤. {문어·ナリ 활용 }; (중탕으로) 술을 알맞게 데움. 또는 그 데우는 정도; 고리; 감정이 격하고 화를 잘 내는 기질. 신경질. 피새; 한; 한국. 〔동의어〕韓国; 대한 (제국); (중국 전국 시대의) 칠웅(七雄)의 하나; 편지. 서간. 서찰; 『문어』 간단함. 간략함. 간명함; 고대 중국에서, 종이가 발명되기 전에 글씨를 쓰기 위해 사용한 대쪽; 사람·사물을 외부에서 본 느낌. 양상; 도교(道敎)에서, 도사가 있는 곳; ‘…에 대한 사고 방식’ ‘…에 대한 견해’ 등의 뜻을 나타냄. 관; 갱; 고기나 야채를 넣어 끓인 국; 설날에 먹는 일본식 떡국에 넣는 떡. 또는 그 떡국; 『문어』 함. 군함; 서랍 등의 손잡이로 쓰는 고리 모양의 쇠붙이. 고리 손잡이쇠; 『문어』 한가함; ‘한가한’ ‘조용한’ ‘쓸모 없는’ 등의 뜻을 나타냄. 한; 한; 『역사』 중국 고대 왕조의 하나; (변하여) 중국 본토. 또는 그 곳에 사는 민족; ‘(성인) 남자’의 뜻을 나타냄. 한
それ、 日本のアニメとかってすごい影響力あるし、
力
힘; 체력(體力); 『물리』 물체의 상태에 변화를 일으키는 작용; (사물에 갖춰져 있는) 위력; 지배력. ((폭력·완력·권력 등)); 기력. 정기(精氣). 원기(元氣); 박력(迫力); 조력. 진력(盡力); 효력. 효능; 의탁. 의지(依持); 능력. 실력(實力); 학력. 〔동의어〕学力; 재력; (종합적인) 세력
日本
일본. 〔동의어〕にほん
影響
『문어』 영경. 영국의 수도; 영향
すごい
무시무시하다. 무섭다; 굉장하다. 대단하다; 《속어》 〈連用形을 副詞적으로 써서〉 대단히. 무척; (정도가) 심하다. すご·さ 【명사】 すご·み 【명사】 【문어형】 すご·し {ク 활용}
アニメ
「アニメーション」의 준말
それが好きでオタクになるのなら、
好き
좋아함. 〔반의어〕 きらい; 색다른 것을 좋아함. 〔동의어〕ものずき; 호색. 〔동의어〕いろごのみ; 마음 내키는 대로임. 제멋대로임; 틈; 빈틈. 틈새기. 빈곳. 〔동의어〕隙間; 겨를. 짬; 허점. 방심. 틈탈 기회; 『농학·농림·농업』 쟁기. 극젱이. 〔동의어〕からすき; 종이를 뜸. 초지(抄紙); 『농학·농림·농업』 가래; 풍류(風流). 풍류의 길. 특히, 다도(茶道)·和歌를 즐김. 〔참고〕 「好き」의 차자. 「数奇」는 딴말임
別に、 日本人の自分としては、 なんかそれは嬉しいことなんじゃないかなと思いますね。
別に
〈否定語가 따름〉 별로. 특별히. 각별히; 〈否定語가 따르지 않고 단독으로 써서〉 상대편의 물음에 대한 부정의 뜻을 나타냄. 별로
嬉しい
기쁘다. 반갑다. 〔반의어〕 悲しい; 고맙다. 감사하다; 《속어》 애교가 있다. 밉지 않다. 귀엽다. うれし·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うれし·げ 【형용동사】 うれし·さ 【명사】 【문어형】 うれ·し {シク 활용}
自分
무렵. 대체적인 시기·시각; 적당한 때. 기회. 시기; (중국에서 신문의 논설 등에 쓰는) 현대어체(現代語體)의 문장; 그 시대의 글. 당시의 글; 그 사람 자신. 자기 자신;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동의어〕わたくし
思い
생각함. 또는 그 생각. 〔동의어〕考え; 기분. 느낌. 마음. 〔동의어〕気持ち·感じ; 기대. 예상. 〔동의어〕期待·予想; 소원. 뜻. 〔동의어〕願い·望み; 연정. 연모의 정. 사모하는 마음; 집념. 미련. 원한. 〔동의어〕執念·うらみ; 근심. 수심. 〔동의어〕物思い; 무겁다. 〔반의어〕 軽い; 중량이 있다. 가볍지 않다; (사물이) 중대하다. 중요하다; (정도가) 심하다. (병이) 위중하다. 〔동의어〕ひどい; (신분·지위 등이) 높다. 중요하다; 후련하지[개운하지] 않다. 무지근하다; 침착하다. 진중하다. おも·げ 【형용동사】 おも·さ 【명사】 おも·み 【명사】 【문어형】 おも·し {ク 활용}
として
〈상태를 나타내는 한자어에 붙어 副詞句를 만듦〉 동작·작용이 일어날 때의 양태(樣態)를 나타냄. …하게. …해져서; 〈動詞의 未然形+「う」 「よう」에 붙어〉 …려고; 〈「それはそれ~」 「それはそう~」의 꼴로 接続詞적으로 씀〉 그것은 그렇다 치고; 《体言에 붙어》 자격이나 입장을 나타냄. …로서; 《「一人」 「一本」 「一時」 등의 말에 붙고, 뒤에 否定의 「ない」가 따름》 전면적인 부정을 나타냄. …도 …않다[없다]
日本人
일본인. 일본 사람. 〔동의어〕にっぽんじん
好きならいいんじゃないかな? みたいな。
好き
좋아함. 〔반의어〕 きらい; 색다른 것을 좋아함. 〔동의어〕ものずき; 호색. 〔동의어〕いろごのみ; 마음 내키는 대로임. 제멋대로임; 틈; 빈틈. 틈새기. 빈곳. 〔동의어〕隙間; 겨를. 짬; 허점. 방심. 틈탈 기회; 『농학·농림·농업』 쟁기. 극젱이. 〔동의어〕からすき; 종이를 뜸. 초지(抄紙); 『농학·농림·농업』 가래; 풍류(風流). 풍류의 길. 특히, 다도(茶道)·和歌를 즐김. 〔참고〕 「好き」의 차자. 「数奇」는 딴말임
いいと思います。 増えても。
宿泊、飲食業で25万人減 コロナが雇用に深刻影響(2021年7月16日)
ペットと並んで空の旅 小型ジェット機チャーターサービス販売(2023年7月24日)
大塚 愛 ai otsuka / 私(Short Ver.)
君だけを
東京で新たに476人の感染者 先週に比べ41人増加(2021年6月29日)
「車が流された」と通報も 千葉県で氾濫危険情報
ミセナイナミダハ、きっといつか
ありがとう
紙兎ロペ「海編」
東京大学で卒業式 コロナ禍乗り越え…約3000人が“新たな一歩”(2024年3月22日)
You need to upgrade to a premium account to using this feature
Are you sure you want to test again?
Please upgrade your account to read unlimited newspap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