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国で走行中の列車が土石流に巻き込まれて脱線し、9人が死傷した事故の瞬間を乗客のカメラが捉えていました。
A moving train was caught in a landslide and derailed The moment the accident was recorded by the passenger China (2022/06/06)
49 view中国で走行中の列車が土石流に巻き込まれて脱線し、9人が死傷した事故の瞬間を乗客のカメラが捉えていました。
強い衝撃が3回にわたって乗客を襲いました。
衝突の瞬間、列車は時速163キロを記録していました。
中国メディアによりますと、4日、内陸部の貴州省で高速鉄道の列車がトンネルを出たところで土石流に乗り上げて脱線し、そのまま駅のホームに突っ込みました。
運転士1人が死亡、乗客ら8人が負傷しています。
事故を巡っては、土砂の流入を防ぐ防護柵の強度が不十分だった可能性が指摘されるなど、安全対策に疑問の声が上がっています。
中国で走行中の列車が土石流に巻き込まれて脱線し、9人が死傷した事故の瞬間を乗客のカメラが捉えていました。
事故
자기. 〔동의어〕自分; 사고
列車
열차; (재능·신분 등이) 열등한 사람. 〔반의어〕優者
瞬間
춘한. 봄추위. 꽃샘 추위. 〔동의어〕はるさむ. 〔참고〕 주로 편지·俳句 등에서 씀; 순간
乗客
⇒ じょうきゃく; 성곽; 성의 외곽. 성벽; (변하여) 성. 성채. 〔동의어〕城塞; 성각. 성의 망루(望樓). 또는 성의 건물
中
‘그 동안 줄곧’이란 뜻을 나타냄. 내내; 그 범위 전체에 걸친다는 뜻을 나타냄; 십; 열. 〔동의어〕とお; 전부. 전체; 거주함; 거처. 처소; 『문어』 부드러움. 부드러운 것. 얌전함. 〔반의어〕 剛; 『문어』 중요한 것; 〈「お~」의 꼴로〉 찬합. 〔동의어〕重箱; 중; 무거움. 혹심함. 〔반의어〕 軽; 『화학』 산성염(酸性塩)임; 겹친 것을 세는 말. 중. 층; 종. 종자. 하인. 〔동의어〕とも·けらい. 〔반의어〕 主; ⇒ じゅ; 총; 짐승. 〔동의어〕けもの; 수. 짐승
脱線
탈선. 선원이 선장의 허가 없이 배에서 이탈함; 탈선; 기차·전동차 등의 바퀴가 선로에서 벗어남; (비유적으로) 언행이 상규를 벗어나 빗나감
走行
『문어』 조갑. 손톱·발톱; 쌍구; 글씨 위에 얇은 종이를 대고, 가는 선으로 글씨의 윤곽만을 떠내는 일; 장행. 떠나는 사람의 앞길을 축복하고 격려함. 〔참고〕 「送行」로도 씀; 『지리·지학·지명』 주향. 층향. 경사진 지층면과 수평면이 이루는 직선의 방향; (자동차 따위의) 주행; ⇒ くさかんむり; 초고. 원고; 『문어』 주공; 공적을 나타냄; 『문어』 주효. 효과가 나타남. 효과가 오름; 송고; 장갑. 두꺼운 강철판을 입힘; 『지리·지학·지명』 상항. 샌프란시스코의 한자명; 창구. (배의 상갑판에 있는) 해치. 〔동의어〕ハッチ; 조행. 품행; 상강. 24절기의 하나. 10월 23, 24일쯤; 『문어』 조강. 지게미와 겨. 변변치 못한 음식. 또는 가난한 생활; 이리저리. 이럭저럭; 『문어』 창황. 몹시 당황하는 모양. {문어·タリ 활용}; 『문어』 쟁영. 산이 높고 가파른 모양. {문어·タリ 활용}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カメラ
카메라; (영화나 텔레비전의) 촬영기. 〔동의어〕キャメラ. 〔참고〕 텔레비전 방송국에서는 줄여서 「カメ」라 함
中国
나라의 중앙 부분. 천자(天子)의 도성이 있는 지방; 세계의 중앙에 위치하는 나라. ((자기 나라를 자랑하여 일컫는 말)); 山陰道와 山陽道의 총칭; 『역사』 律令 제도에서, 도성으로부터 거리가 가까운 지방과 먼 지방 사이에 위치한 지방. 〔반의어〕 近国·遠国; 「中国地方」의 준말; 중국
死傷
지장. 〔동의어〕さしさわり·さしつかえ; 『불교』 사생. 생물을 출생 방식의 차이에 따라 넷으로 분류한 것. 곧, 태생·난생·습생(濕生)·화생(化生); ⇒ 四姓; 옛날에 관청의 잡역을 관장하던 벼슬; 그 도시의 기장(記章); 사상(자); 『문어』 사소. 공공의 금품을 사용으로 소비함; 사창. 〔반의어〕 公娼; 사상. 공무(公務) 외의 일로 입은 부상. 〔반의어〕 公傷; 『문어』 자상. (칼 따위에) 찔린 상처; 『문어』 자충. 찌름. 또는 자극함; 예인(藝人)에 대한 높임말; 『문어』 사승. 제자가 스승에게서 가르침을 이어받음. 〔동의어〕師伝; 『문어』 종이를 바른 미닫이문; 『생리학』 시상. 간뇌(間腦)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회백질의 덩어리; 사장. 시가(詩歌)와 문장; 『문어』 치소. 조소; 시초. 시선집(詩選集)
土石流
토석류. 사태·지진 등으로 토석이 빗물 등과 함께 뒤섞여 흐르는 것.
強い衝撃が3回にわたって乗客を襲いました。
回
《「かき」의 변한말》 특정한 動詞 앞에 붙어 의미를 강조하거나 어조를 고름; 해. 바다의 뜻을 더함; 계. 어떤 한정된 범위의 사회·동아리 등의 뜻을 나타냄; 보람. 효과; 조개; 조가비. 조개 껍데기. 〔동의어〕かいがら; 소라. 〔동의어〕ほらがい; 자개. 나전; 『문어』 골짜기; (물건 등을) 삼; 『경제』 (시세가 오를 것을 예상하고) 사들임. 1.2. 〔반의어〕 売り; 회; 『문어』 만남; 모임. 집회; 〈接尾語로도 씀〉 단체. 조직; 회. 횟수; 번. 회; 쾌; (만족하여) 기분이 좋음. 유쾌. 상쾌; 병이 나음; 《한자어 앞에 붙여》; ‘시원스러움’ ‘훌륭함’의 뜻을 나타냄; 빠름; 훈계. 훈계의 말; 『불교』 계율. 죄악을 방지하기 위해 불교신도가 지켜야 할 규칙; 괴이함. 불가사의; 《한자어 앞에 붙여》 ‘수상함’ ‘이상함’의 뜻을 나타냄. 괴; 계단. 층계. 층층대; (건물의) 층; 《수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건물의) 층; 해서(楷書). 〔반의어〕 行·草; 해답. 풀이; 가의. 노래·시가의 뜻; 《「搔き」의 변한말》 노. 〔동의어〕オール; 곽외(郭隗). 중국 전국 시대(戰國時代)의 현인(賢人). 연(燕)나라 사람; 하위. 〔반의어〕 上位·中位; 하의. 〔반의어〕 上意; 『지리·지학·지명』 옛 지명의 하나. 지금의 山梨현. 〔동의어〕甲州; 친밀감을 가지고 물을 때 씀. …냐. …니; 반어(反語)를 나타냄. …냐; 상대에게 강하게 채근하는 뜻을 나타냄. …겠느냐
乗客
⇒ じょうきゃく; 성곽; 성의 외곽. 성벽; (변하여) 성. 성채. 〔동의어〕城塞; 성각. 성의 망루(望樓). 또는 성의 건물
強い
무섭다. 겁나다. 두렵다. 〔동의어〕恐ろしい. こわ·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こわ·げ 【형용동사】 こわ·さ 【명사】 【문어형】 こは·し {ク 활용}; 강하다. 억세다. 세다; (음식물이) 질기다. 되다; 완고하다. 완강하다; 힘들다. 피곤하다. こわ·げ 【형용동사】 【문어형】 こは·し {ク 활용}
衝撃
『역사』 律令制에서, 外記 중 하위직(下位職). 〔반의어〕 大外記; 소극. 서민 생활을 제재로 하는 저속한 희극. 〔동의어〕ファース; 충격. 〔동의어〕ショック; 충돌에 따른 심한 타격; 『물리』 물체에 급격히 가해지는 힘·자극
衝突の瞬間、列車は時速163キロを記録していました。
列車
열차; (재능·신분 등이) 열등한 사람. 〔반의어〕優者
記録
기록. 〔동의어〕レコード
瞬間
춘한. 봄추위. 꽃샘 추위. 〔동의어〕はるさむ. 〔참고〕 주로 편지·俳句 등에서 씀; 순간
衝突
충돌; 서로 부딪침; 대립하여 싸움
時速
『문어』 자족; 자기 만족; 필요한 것을 스스로 충당함; 시속. ((한 시간을 단위로 하여 잰 속도)); 『물리』 자속. 마그네틱 플럭스
中国メディアによりますと、4日、内陸部の貴州省で高速鉄道の列車がトンネルを出たところで土石流に乗り上げて脱線し、そのまま駅のホームに突っ込みました。
日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トンネル
터널; 《속어》 (야구에서) 야수가 두 다리 사이로 빠지는 땅볼을 놓침
ホーム
「プラットホーム」의 준말; 홈. 우리 집. 가정. 고향; (야구에서) 「ホームベース」의 준말
列車
열차; (재능·신분 등이) 열등한 사람. 〔반의어〕優者
高速
구속. 얽맴; 교칙. 학교 규칙; 『문어』; ⇒ たかあし; 「高速道路」의 준말; 『문어』 경색. 막혀서 통하지 않음; 항칙. 항만을 단속하기 위한 규칙
州
『문어』 주인. 주군. 〔동의어〕しゅ; 잡힘. 포로; …수; 주; 연방 국가의 행정 구획의 하나; 고대 중국의 행정 구획의 하나; 『지리·지학·지명』 …주. 지구상의 대륙. 〔참고〕 본래는 「洲」라고 썼음; 주; 둘레. 주위; 『수학』 다변형의 각 변의 합. 또는 곡선 도형의 곡선의 길이; 『역사』 고대 중국의 왕조명; …주. 주위를 도는 횟수; 『문어』 종; 종지(宗旨). 종파. 종문(宗門); 불교의 논리학인 因明에서 ‘결론’에 해당하는 말; …종. 불교의 종파; 『문어』 수. 뛰어남. 빼어남. 최상의 평점; 『문어』 냄새. 좋지 않은 냄새; 좋지 않은 냄새; 젠체하는 좋지 않은 느낌. …티; 주. 일주간; …주. 일주간을 단위로 한 그 달의 순서; 『문어』; 많은 사람들; 『문어』 인원수가 많음. 〔반의어〕 寡; 친근감 있게 특정인을 부르는 말; 《사람을 나타내는 말에 붙어》 복수의 사람에게 친근감이나 가벼운 경의를 나타냄. ((옛날에는 단수의 사람에게도 썼음)); 『문어』 집. 시가(詩歌)나 문장을 모은 책; 추. 보기 흉함. 또는 그런것. 〔반의어〕 美; 수치. 〔동의어〕恥
そのまま
본래대로의 상태. 이제까지와 같은 상태. 〔동의어〕そのまんま; (지금) 그대로. 본디대로; (…하는) 즉시. …하자마자; 〈接尾語적으로 씀〉 거의 그대로. 아주 비슷하게. 1.~3.〔동의어〕そのまんま
鉄道
철도
脱線
탈선. 선원이 선장의 허가 없이 배에서 이탈함; 탈선; 기차·전동차 등의 바퀴가 선로에서 벗어남; (비유적으로) 언행이 상규를 벗어나 빗나감
内陸
내륙
駅
마구간. 말간. 〔동의어〕馬小屋·廐舎; 《고어》 역관(驛館). 역참(驛站). 〔동의어〕宿場·宿駅
中国
나라의 중앙 부분. 천자(天子)의 도성이 있는 지방; 세계의 중앙에 위치하는 나라. ((자기 나라를 자랑하여 일컫는 말)); 山陰道와 山陽道의 총칭; 『역사』 律令 제도에서, 도성으로부터 거리가 가까운 지방과 먼 지방 사이에 위치한 지방. 〔반의어〕 近国·遠国; 「中国地方」의 준말; 중국
出
『문어』 그 곳·그 집안에서 태어남. 출신. 〔동의어〕で·出身
部
《名詞 등에 붙어 形容動詞의 어간을 만듦》 부정의 뜻을 나타냄. …가 없음. …가 좋지 않음. …가 아님; 승부의 형세. 우열의 정도; 이익의 정도. 배당(액)·할당(량); 판(板) 등의 두께. 또는 부피; 1·1할·1치·1문(文)의 각각 10분의 1. 푼. 분; 전체를 10등분한 것. 할; 옛날 화폐의 단위. 1両의 4분의 1; 『음악』 전음(全音)을 등분한 길이; 무; 무예. 무술; 군사력. 무력; 비율. 이율; 형세; 수수료. 구전; 토지 면적의 단위. 보. ((1歩는 여섯 자 평방. 약 3.3평방 미터)) 〔동의어〕坪; 町·反의 뒤에 붙어 그 면적의 끝수가 없음을 나타내는 말. 보; 부; 한 구분; (조직체의) 구성 부분의 하나; 동호인의 클럽; …부; < 1> 의 2.3.의 뜻으로 名詞 뒤에 붙음; 특정 부분을 나타냄; 책·문서를 세는 말. 부; 전체를 나눈 구분을 세는 말. 부
メディア
미디어. 매체. 특히 신문·잡지·방송 등의 매체
省
꼭. 정확히; 정. 같은 품계(品階)에서 상위. 〔반의어〕 従; 꼭 닮음. ((예스러운 말)) 〔동의어〕そっくり; 증. 병의 증상; (경기 등에서) 이긴 횟수. 승. 〔반의어〕 敗; 『문어』 명승지; 증. 증명서; 『문어』 증거; (병원 등에서) 병상(病床)의 수. 병상; 소. 작음. 작은 것[쪽]. 〔반의어〕 大; 달이 작음; (허리에 차는) 작은 칼. 〔동의어〕わきざし; 소. 작은. 약간의. 〔반의어〕 大; 승. 되; 적음. 적은 것. 〔반의어〕 多; 『문어』 젊음. 나이가 어림; 『문어』 생. 삶. 목숨. 생명. 〔동의어〕いのち·せい; 초; 발초(拔抄). 또는 그 초록(抄錄). 〔동의어〕ぬきがき; 고전의 주석서.〔동의어〕抄物; 종이를 뜸. 종이를 만듦. 〔참고〕 1.2.는 接尾語적으로 씀; 『문어』; 첩. 〔동의어〕めかけ·てかけ·そばめ; 『문어』 《自称의 代名詞》 소첩. 〔동의어〕わらわ; 『불교』 성. 만물의 본체; 성. 타고난 성질. 천성. 기질; 체질; 품질. 특성; 음양도(陰陽道)에서, 목(木)·화(火)·토(土)·금(金)·수(水)의 오행(五行)을 사람의 생년월일에 배정한 것; 성. …의 성질. …하는 성질; 한시(漢詩)에서, 승구(承句); 성; 중국의 최상급의 지방 행정 구획; 『역사』 律令制에서의 중앙 관청; 정부의 내각을 조직하는 행정 관청. ((한국의 부(部)에 해당)); 『문어』 〈接頭語적으로 씀〉 생략함. 절약함; 『문어』 상. 재상(宰相). 대신(大臣); 장. 장수. 대장; 칭호. 일컬음; 칭송. 칭찬. 평판; 상; 『문어』 〈接尾語적으로도 씀〉 장사. 상업. 또는 상인; 『수학』 나눗셈에서 얻은 답. 몫. 〔반의어〕 積; 『음악』 동양 음악에서 5음 음계의 제2음; 『역사』 중국 고대의 은(殷)나라의 처음 이름; 장;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장·악곡을 내용에 따라 크게 나눈 한 단락; 『문어』 수미(首尾)를 갖춘 문장. 시가(詩歌); 기장(記章). 〔동의어〕しるし; 『음악』 생황(笙篁). 〔동의어〕笙の笛; 『문어』 손바닥. 〔동의어〕たなごころ; 상; 역(易)의 점괘. 〔동의어〕占形; 『음악』 정. 아악에서, 타악기의 한 가지. 징; 송; 『문어』 남의 미덕이나 성공을 칭송하는 말. 또는 그 시가(詩歌); 요충지; 중요한 역할. 중임; 상. 포상. 또는 포상의 금품. 〔동의어〕ほうび. 〔반의어〕 罰; 『음악』 소. 퉁소의 일종; (등에) 지다. 짊어지다. 〔동의어〕せおう; (귀찮은 일 등을) 떠맡다. 【가능동사】 しょ·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ってる」의 꼴로》 우쭐해하다. 자만하다. 으쓱하게 여기다
貴
귀; 신분·집안·가치 등이 높은; 경의(敬意)의 표시; 기; 기초. 근본; 『화학』 원자단(原子團). 〔동의어〕根; (설치해 놓은) 묘석(墓石)·장명등(長明燈)·기계 등을 세는 단위; 인간답지 않은 무서운 사람; 기; 기. 말 탄 사람의 수효; 『식물·식물학』 나무. 수목; 재목. 목재; 딱따기; 잡것이 섞이지 않음. 자연 그대로임. 순수함; ‘순수함’ ‘인공을 가하지 않음’ ‘오직 그대로임’의 뜻을 나타냄; 황. 노랑. 황색. 〔동의어〕きいろ; ‘황색’의 뜻을 나타냄; 기. 십간(十干)의 여섯째. 〔동의어〕つちのと; 기운. 정기. 생기. 분위기; (특유한) 맛. 향기; 숨. 호흡; 정신. 의식. 얼; 성미. 기질. 마음씨; 기. 기력; 생각. 의지; 마음. 기분; 흥미. 관심; 「希臘」의 준말; 『화학』 희. 묽은. 〔반의어〕 濃; 드묾. 〔참고〕 「希」는 「稀」의 대용자; 상을 입고 집에 들어박혀 행동을 삼가는 일. 또는 그 기간. ((보통 49일간)) 상(喪); 기. 기일(忌日). 회기(回忌); 『문어』 이상함. 야릇함. 진기함. {문어·ナリ 활용 }; 기수. 홀수. 〔반의어〕 偶; 계절. 〔동의어〕シーズン; 連歌·俳句에서 구(句)에 삽입하는 계절의 경물(景物). 〔동의어〕季題·季語; 계. 천간(天干)의 열째. 〔동의어〕みずのと; 기. 기전체(紀傳體) 역사에서 제왕의 사적(事績)을 적은 글. 〔동의어〕本紀; 『문학』 〈「日本書紀」의 준말〉 일본서기; 기. 지질 시대 구분의 단위; 궤; 수레의 양 바퀴의 간격; 수레바퀴가 지나간 자국; 규칙; 기. 기록(문); 『문학』 「古事記」의 준말; 기; 기. 기구(起句); 『문어』 기; 시기. 기간. 기한; 좋은 기회. 시기; 기; 기간. 시기; [age]『지리·지학·지명』 지질 시대의 한 구분. 「世」의 아래; 계략. 모사(謀事). 방법; 《고어》 파. 〔동의어〕ねぎ; 『문어』 그릇. 〔동의어〕うつわ; 물건을 담는 용기; 기. 기량. 인물. 재능; 기; 기관(器官); 기구. 도구; 계기; 시기. 기회; 〈「飛行機」의 준말〉 비행기; (불교에서) 기. 기근(機根). 〔동의어〕気根; 기계; 비행기; 비행기를 세는 말. 대; 『문어』 《用言·助動詞의 連用形에 붙음》; 과거에 직접 체험한 일을 회상하는 말. …었다. …였다. …고 있었다; (경험과 관계없이 널리) 과거의 사실을 나타냄. …었다. …였다; 현재 또는 완료의 뜻을 나타냄. …하고 있다. 〔참고〕 終止形 「き」는 カ変動詞에 붙지 않음. カ変을 받는 경우는 「きし」 「きしか」와 「こし」 「こしか」의 두 꼴이 있음. 고대에는 未然形 「せ」가 있었다고 생각되는데, 助詞 「ば」가 붙어 가정의 뜻을 나타냄
突っ込み
《「突き込み」의 변한말》; 돌입함; 돌진하는 기세. 〔동의어〕ダッシュ; (핵심을) 철저하게 파고듦. 날카롭게 추구함; 漫才에서 중심이 되어 지껄이는 太夫역(役). 〔반의어〕 ぼけ
土石流
토석류. 사태·지진 등으로 토석이 빗물 등과 함께 뒤섞여 흐르는 것.
運転士1人が死亡、乗客ら8人が負傷しています。
運転
(탈것·기계 등의) 운전; (자금 등의) 운용
死亡
『식물·식물학』 자방. 씨방; 『문어』 사망. 사방을 둘러 봄. 사방의 전망; 사망. 죽음. 〔반의어〕 出生; 지망; 지방. 굳기름. 〔동의어〕脂; 『문어』 자망. 가문과 덕망. 신분과 명망
乗客
⇒ じょうきゃく; 성곽; 성의 외곽. 성벽; (변하여) 성. 성채. 〔동의어〕城塞; 성각. 성의 망루(望樓). 또는 성의 건물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士
시간·장소를 나타내는 말에 붙음. 지. 까지. …에 이름. 〔반의어〕 自; 지. 역사서임을 나타냄. 기록; 사. 사자(使者). 사절(使節); 동배(同輩) 이상의 여성 이름에 붙여 경의를 나타냄. 님. 여사. 〔반의어〕 兄; 지. 신문의 뜻을 나타냄; 《주로 한자어에 붙어 名詞·サ変動詞의 語幹을 만듦》 ‘…로 간주하다’ ‘…로 취급하다’의 뜻을 나타냄. 시; 『문어』 나이. 연령; 지; 잡지의 뜻을 나타냄; 기록한 문서의 뜻을 나타냄; (江戸 시대의) 무사. 무사 계급. 〔동의어〕武士·さむらい; 선비. 남자; (법률상) 전문직의 자격을 가진 사람. 사; 자; 아들; 「子爵」의 준말; 「孔子」의 준말; 『문어』 친한 사이의 동년배나 손아랫사람을 부를 때의 호칭. 군(君). 자네; 〈주로, 동작성(動作性)의 名詞에 붙음〉 남자를 뜻하는 자칭(自稱). …자; 〈인명에 붙어〉 친숙함을 나타냄. 형; 옛날, 귀족 여성의 이름에 붙여 사용한 글자; 작은 것을 나타냄. …자; 《「支那」의 준말》 지. 지나. 중국; 관장하는 사람; 관아. 관청; 담당자; 역사; 《歴》 大宝令 제도에서, 문서·서무를 관장하던 제4등의 관리; 사. 역사; 사. 넷. 〔동의어〕よ·よん·よつ·よっつ; 시. 시장. 장. 저자. 〔동의어〕いち·いちば; 시가(市街). 도시. 〔동의어〕まち; 『법률』 지방 자치 단체의 하나. 시; 사; 죽음. 〔반의어〕 生; 『문어』 사형. 사죄(死罪); (변하여) 활동하지 않게 됨. 활동을 멈춤. 기능을 못하게 됨; (비유적으로) 까닭 모르게 무서움. 어쩐지 기분이 나쁨; (야구에서) 사. 아웃; 사. 1의 1만분의 1. 모(毛)의 10분의 1; 『문어』 사. 개인에 관한 일. 사사(私事). 〔반의어〕 公; 『문어』; 가시. 〔동의어〕とげ·はり; (변하여) 가시돋친 말. 상대의 급소를 찌르는 비평; 명함. 〔동의어〕名刺; 『문어』 가지. 또는 손발. 수족; 『문어』 가늘고 긴 것을 세는 말. 가지. 자루; 《고어》 음식. 밥. 먹을것; 『문어』 군대. 전쟁; 선생. 스승; 전도(傳道)하는 사람; (군대의) 「師団」의 준말; 사; 종교가·예능인 등의 이름에 붙여 경의를 나타냄; 『식물·식물학』 가래나무; 판목(版木); 『문어』 보랏빛. 자색; 사; 『언어학』 일본어의 단어를 문법상의 성질로 크게 나눈 둘 중의 하나. 〔반의어〕 辞; 『문어』 사. 사자(嗣子). 후사(後嗣); 『문학』; 시; 한시(漢詩); 『문어』 시험; 시험함. 시도함; 재화. 재산. 자금. 자본; 재료. 자료; 도움. 원조; 천성. 자질(資質); 『문어』 사두 마차. 또는 그 네마리의 말; 《他称의 人代名詞》 그. 이분. 그분. ((주로 남자를 이름)) 〔동의어〕かれ·その人·この方; 씨. 보통 남자의 성명 아래 붙여 경의를 나타냄; 〈「人」의 높임말. 한자 수사에 붙어〉 분;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어서 앞뒤의 말을 접속함》; 앞에 말하는 사항이 뒤에 말하는 사항과 병렬적·대비적인 관계임을 나타냄; 앞에서 든 사항이 원인·이유가 됨을 나타냄; 〈終助詞적으로 써서〉 하나의 사실이나 조건을 말하고, 결론을 은연중에 암시하는 뜻을 나타냄; 상반되는 조건·사항을 열거함. …고; 〈「…まいし」의 꼴로〉 상대를 나무라거나 얕보는 뜻을 나타냄; 『문어』 《「今~も」 「必ず~も」 「ただ~」 등 관용적(慣用的)으로 씀》 앞말을 가리켜 의미를 강조하고, 어조(語調)를 고름
負傷
불초; 어버이를 닮지 않고 못남; 어리석음. {문어·ナリ 활용 }; 《자기를 낮추어 이르는 겸사말》 불초; 『문어』; 싫어하면서도 마지못해 승낙함; 『문어』 불상. 상서롭지 못함. {문어·ナリ 활용 }; 『문어』 불상. 미상(未詳). {문어·ナリ 활용 }; 부상. 〔동의어〕けが; 부초. 물 속에 목재 등을 던져 넣어 물고기의 집이 되게 한 것; 부상. 돈 많은 상인
事故を巡っては、土砂の流入を防ぐ防護柵の強度が不十分だった可能性が指摘されるなど、安全対策に疑問の声が上がっています。
安全
안전. 〔반의어〕 危険. あん-ぜんさ 【명사】 {문어·ナリ 활용 }; 암연함; 어두움. 캄캄함; 슬퍼서 마음이 침울함. 암담함. {문어·タリ 활용}
事故
자기. 〔동의어〕自分; 사고
防ぐ
막다. 방비하다. 방지하다. 【가능동사】 ふせ·げ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可能
『의학』 화농. 곪음; 『언어학』 가능태(可能態). ((「理解する」에 대하여 「理解できる」 따위)); 과납. (세금 등을) 필요 이상으로 납부함; 『문어』 가납; 선물 등을 윗사람이 기꺼이 받아들임
疑問
의문
性
『문어』; 천성. 성품; 습관. 관습. 풍습. 〔동의어〕慣し; 『문어』 차아. 산이 높고 험함. {문어·タリ 활용}
対策
대작; 걸작; 대규모의 작품. 〔반의어〕 小品; 대책
柵
『농학·농림·농업』 괭이로 밭의 흙을 깎아 낸 얕은 고랑. 또는 그 흙을 긁어 올려 지은 두둑; 다랑어 등의 생선살을 횟감으로 알맞게 자른 걀쭉한 덩어리; (문학·예술 등의) 작품을 만듦. 또는 그 작품; 작황(作況). 수확; 『문어』 어제. 전날. 〔동의어〕きのう; 지난; (나무·대 등을 두른) 성채(城砦). 녹채(鹿砦). 〔동의어〕とりで; 『문어』; (음력으로) 초하루. 〔동의어〕ついたち; 옛날, 중국에서 천자(天子)가 연말에 제후(諸侯)에게 주던 다음해의 책력. (변하여) 천자의 정령(政令); (굵은) 밧줄. 새끼. 로프. 〔동의어〕綱; 계책. 책략; 목간(木簡); 매. 채찍; 꽃피다. 【가능동사】 さ·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찢다; 쪼개다; 떼다. 벌어지게 하다; 가르다. (생선 따위의 배를) 따다; 「さける」의 문어
声
거름. 비료. 분뇨(糞尿). 〔동의어〕肥やし·下肥; 목소리. 소리; 물건이 진동해서 나는 소리. 〔동의어〕音·響き; 말. 생각. 의견; 계절이나 시기 등이 다가오는 낌새. 낌새
指摘
지적; 사적. 역사적; 사적. 〔동의어〕プライベート. 〔반의어〕 公的; 시적. 〔반의어〕 散文的
不十分
불충분. ふ-じゅうぶんさ 【명사】 {문어·ナリ 활용 }
防護
⇒ 妄言; 『문어』 방호; 『문어』 종횡으로 뒤얽힘. 격심하게 왕래함
土砂
토사. 흙과 모래; ⇒ 御土砂
流入
유입.; 액체나 기체가 흘러 들어옴.; (많은 사람이나 금전 등이) 외부에서 들어옴.
強度
흉노. 훈족.; 강도.; 세기.; 정도가 심함. 〔반의어〕 軽度. {문어·ナリ 활용 }; 『문어』 강노. 강한 쇠뇌.; 향토.; 태어난 곳.; 그 지방.
ハワイ州 渡航者に接種・陰性証明を義務付けへ(2021年11月6日)
育児・介護休業法などの改正案を閣議決定(2024年3月13日)
"Black Butler" International Trailer_English subtitled
「高価な勝利」金正恩総書記が“衛星”貢献者らと祝宴(2023年11月24日)
アメリカ ガザ地区に初めて支援物資を投下 3万8000食(2024年3月3日)
Forever Love
Forever Love箱根 芦ノ湖湖畔で「男爵のつつじ」見ごろ 今年は例年より早い開花(2023年5月1日)
赤ずきん
Waku Waku Japanese - Language Lesson 11: Eating Out
海を守って育てたさかな ASC
You need to upgrade to a premium account to using this feature
Are you sure you want to test again?
Please upgrade your account to read unlimited newspap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