イギリスの「ネス湖」ならず、日本の川や海で「ネッシー」と思わずつぶやいた奇妙な画像。
"Nessie?" in Japan Emerging from the river… Its true identity is (2022/11/22)
278 viewイギリスの「ネス湖」ならず、日本の川や海で「ネッシー」と思わずつぶやいた奇妙な画像。
その正体は。
川面からニョキッと伸びるのは、まさか恐竜でしょうか。
16日昼ごろ、新潟県阿賀野市の阿賀野川を通り掛かったオッチーさんは「ネッシーみたいだ」と思わず、その様子を写真に収めました。
その正体は流木です。
恐竜の首のように見える流木を、この辺りで見掛けたのは初めてだったということです。
続いて、海面から湧き立つ謎の泡。
16日午前8時ごろ、福島県いわき市の小名浜での出来事です。
タキビチャンネルさんによりますと、大型船も入る深いところで少なくとも10分間続き、1時間後には収まっていました。
小魚の群れで波が立つ「なぶら」と呼ばれる現象がありますが、それとも違うということです。
今も正体は不明で、「ネッシーみたいな謎の生物かもしれない」と期待を込めて想像しています。
イギリスの「ネス湖」ならず、日本の川や海で「ネッシー」と思わずつぶやいた奇妙な画像。
湖
《体言·形容詞 등의 앞에 붙음》; (모양이) 작은; (수량·정도가) 작은. 약간의. 잔; 깔보는 뜻을 나타냄; 근(近). 거의; 〈흔히 신체 부분을 나타내는 名詞에 붙어〉 그 동작을 가볍게 하는 뜻을 나타냄; 어쩐지 그런 느낌이 든다는 뜻을 나타냄; 앞의 말과 같은 어감을 가진 말에 붙어 어조를 고름; 고. ‘옛날의’ ‘오래된’의 뜻을 나타냄; 고. 고인; 짙은; 〈擬声語·擬態語 등의 副詞에 붙어〉 그런 상태임을 나타냄; 〈名詞 또는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하는 일’의 뜻을 나타냄. …함; 〈흔히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서로 같은 동작을 함’ ‘서로 겨룸’의 뜻을 나타냄. 서로 겨룸; 별다른 뜻이 없이 여러 가지 말에 붙음; 『문어』 《상태를 나타내는 한어(漢語)에 붙어》 감동을 나타내거나 어조를 강하게 함. 호. …히; 고; 호; 자식. 〔반의어〕 親; 아이. 어린아이; 소녀. 젊은 여자. 〔참고〕 「娘」로도 씀; 새끼. 순(筍); 기생. 유녀(遊女). 〔참고〕 「妓」로도 씀; 이자(利子); (물고기의) 알; 여자의 이름을 구성하는 말; 〈名詞 또는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그 일을 하는 사람·물건의 뜻을 나타냄. 〔참고〕 가축(家畜)일 경우는 「仔」로도 씀; 나무; 가루. 분말; 〈「身を~にして」의 꼴로〉 (비유적으로) 몸을 아끼지 않고. 분골쇄신하여; 가루; 『문어』; 고아; 고독. 외로움; 호; 『수학』 원주(圓周) 또는 곡선의 일부분. 원호(圓弧); 개체. 개인; 물건을 세는 말. 개; 『문어』 누에. 〔동의어〕蚕; ⇒ はかま; (본디, 군대에서) 바지; 금속제의 불구(佛具)의 일종. 번뇌를 쳐부수고, 악마를 쫓는 뜻으로 손에 듦. 〔참고〕 본디, 인도의 무기였던 銛가 변한 것; 『문어』 북. 〔동의어〕太鼓; 「伏せ籠」의 준말
日本
일본. 〔동의어〕にほん
川
강. 내. 시내. 하천. 〔참고〕 「川」가 널리 쓰이며, 「河」는 본디 황하(黃河)의 일컬음으로 큰 강에 씀; 가죽. 껍질; 털가죽. 모피; 표면. 겉면; (이불 등의) 껍데기; (무두질한) 가죽. 피혁. 〔동의어〕なめしがわ; ⇒ がわ; 『문어』 가화. 미담; 『문어』 和歌에 관한 이야기
奇妙
『불교』 귀명. 신명을 바쳐 부처의 가르침에 따름; 기묘. 이상함. 야릇함. {문어·ナリ 활용 }
海
바다. 〔반의어〕 陸; 『문어』 큰 늪이나 호수. 〔참고〕「湖」 로도 씀; 〈비유적으로 「…の~」의 꼴로〉 넓게 퍼져 있는 상태. 많은 것이 모여 있는 곳. 넓고 깊은 곳; 벼루의 물이 고인 곳. 〔반의어〕 陸; 월면(月面)의 평원; 〈흔히, 「産み」로 씀〉 낳음. 출산; (사물을) 새로 만들어 냄. 새로 시작함; 농. 고름. (비유적으로) 썩은 것. 악폐
イギリス
『지리·지학·지명』 영국. 유럽 서부 대서양 가운데 있는 입헌 군주국. 《수도는 런던(ロンドン)》 〔동의어〕英国. 〔참고〕 「英吉利」로도 썼음
画像
화상; 초상(화).〔동의어〕絵姿; 텔레비전의 영상; 『문어』 와상. (인물 등이) 누워 있는 모습의 상
その正体は。
正体
소대. 〔반의어〕 大隊·中隊; 정체; 본디의 모습; 제정신. 본정신. 〔동의어〕正気; 초대. 〔참고〕 「しょうだい」라고도 함
川面からニョキッと伸びるのは、まさか恐竜でしょうか。
伸びる
『식물·식물학』 산달래. 〔동의어〕あららぎ; 자라다. 늘다. 크다. 성장하다; 휘거나 오그라진 것이 바로 펴지다; 발전하다. 향상되다. 신장되다; 미치다. 이르다. 〔참고〕 1.2.4.는 「延びる」로도 씀. 【문어형】 の·ぶ {상2단 활용}; (시간이) 연장되다. 길어지다. 미루어지다. 연기되다; 늘어지다. 늘어나다. 붇다; (피로·타격 등으로) 녹초가 되다. 뻗다; 잘 퍼지다. 먹다; 위기에서 벗어나다. 〔참고〕 2.3.은 「伸びる」로도 씀. 【문어형】 の·ぶ {상2단 활용}
まさか
당장. 눈앞. 목전(目前); 무슨 일이 눈앞에 닥쳐 있음. 긴급; 《보통, 否定語나 反語를 동반하여》 예기하지 않은 가정(假定)을 나타냄. 설마. 아무리 그렇더라도. 〔동의어〕まさかに·よもや
川面
강가. 〔동의어〕川辺
恐竜
『동물·동물학』 공룡
16日昼ごろ、新潟県阿賀野市の阿賀野川を通り掛かったオッチーさんは「ネッシーみたいだ」と思わず、その様子を写真に収めました。
日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様子
《「す(子)」는 唐音》; 사물의 상태나 상황. 형편; (사람의) 모습. 옷차림; 징조. 낌새. 기미; 눈치. 기색. 〔동의어〕けはい; 흔적; 특별한 사연·이유
県
《고어》; (大和 시대의) 일본 황실의 직할 영지; 시골. 지방. 〔동의어〕地方·いなか
写真
사진; 「活動写真」의 준말. 〔참고〕 「活動」로 쓰기도 함; 『문어』 사실(寫實); 『불교』 사신; 공양(供養)이나 중생을 구하기 위해 목숨을 버림; (카 레이스 등에서) 자동차 한 대 가량의 거리를 이르는 말
昼
대공(大空). 공중. 허공. 공간. 하늘; 욈. 암기. 〔동의어〕そら; 충; 충실(忠實); 충성; 주. 주석; 《속어》 「焼酎(소주)」의 준말; (일본식 버선의) 메뚜기. 〔동의어〕こはぜ; 『문어』 주벌(誅罰). 죄 있는 사람을 꾸짖다. 죄인을 죽임; 《속어》 《「という」의 변한말》 …라고 하는. 〔동의어〕つう; 중; 중앙. 중간. 한가운데. 〔동의어〕なか; 중간 정도. 〔동의어〕なかほど. 〔반의어〕 上·下·大·小; 치우치지 않음. 중용(中庸); 「中国」의 준말; 「中学校」의 준말; (야구에서) 「中堅手」의 준말; 《名詞에 붙어》 중; (시간적·공간적으로) 그 범위 안에 있음; 지금 그 상태에 있음. 진행 중임; 어느 사물의 범주 안에 속함
その正体は流木です。
正体
소대. 〔반의어〕 大隊·中隊; 정체; 본디의 모습; 제정신. 본정신. 〔동의어〕正気; 초대. 〔참고〕 「しょうだい」라고도 함
流木
『법률』 입목. 땅 위에 집단으로 자라고 있는 수목. ((소유권 보존의 등기가 되어 있는 것으로, 부동산으로 간주하여 토지와는 분리하여 거래할 수 있음)); 유목.; 강물에 띄워 운반하는 벌채목(伐採木). 〔동의어〕流し木.
恐竜の首のように見える流木を、この辺りで見掛けたのは初めてだったということです。
首
목. 경부. 고개; 목에 해당하는 부분; 옷의 목 부분; 머리 부분; (비유적으로) 목숨; (변하여) 면직. 해고
見える
《「目見える」의 뜻》; 〈「会う」의 겸사말〉 (윗사람을) 만나 뵙다. 알현(謁見)하다. 배알(拜謁)하다; 만나다. 대면하다; 섬기다. 【문어형】 まみ·ゆ {하2단 활용}
辺り
(야구에서) 타격; 맞음. 명중. 적중. 〔반의어〕 外れ; 성공. 히트. 당첨. 〔반의어〕 外れ; 닿는 느낌. 촉감. 감촉. 반응; (낚시에서) 입질; 짚어 봄. 실마리. 단서. 짐작. 추측; (바둑에서) 단수(單手); (과실 등의) 상한 부분; (더위·음식 등으로 인한) 탈. 〔참고〕 보통 「中り」로 씀; …당. …에 대하여. 평균; 근처. 부근. 주위; 〈接尾語적으로 씀〉 대체적인 때·장소·사람을 나타냄. 쯤. 정도
見掛け
겉보기. 외관. 〔동의어〕外見·うわべ
初めて
최초로. 처음으로; 비로소
恐竜
『동물·동물학』 공룡
流木
『법률』 입목. 땅 위에 집단으로 자라고 있는 수목. ((소유권 보존의 등기가 되어 있는 것으로, 부동산으로 간주하여 토지와는 분리하여 거래할 수 있음)); 유목.; 강물에 띄워 운반하는 벌채목(伐採木). 〔동의어〕流し木.
続いて、海面から湧き立つ謎の泡。
謎
수수께끼(놀이). 〔동의어〕なぞなぞ; 의문. 불가사의. 신비. 수수께끼; 에둘러 하는 말이나 시늉·암시; 《「なにぞ」 「なんぞ」의 변한말》 따위. 등. 〔동의어〕など
泡
《속어》 거품. 〔동의어〕あわ
立つ
진; 십이지(十二支)의 다섯째; 진시(辰時). 지금의 오전 8시경. 또는 오전 7시경부터 9시경까지의 동안; 《속어》 용; 용. ((상상의 동물)) 〔참고〕 「りゅう」 「りょう」로도 읽음; 『문어』; 궁중의 작은 문. (변하여) 궁중; 서다; 위쪽이나 다른 곳으로 향하다; 어떤 현상이나 작용이 나타나다; 새로 설치되다. 서다. 마련되다; 일이 성립되다; 「たてる」의 문어; (시간·세월이) 지나다. 흐르다. 경과하다; (숯불·양초·기름 등이) 다 타다. 사위다. 꺼지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끊다; (물체를) 절단하다. 자르다; (술·담배를) 그만두다. (관계·인연을) 끊다; 차단하다. 가로막다; 그치게 하다. 없어지게 하다. 【가능동사】 た·て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옷감을) 마르다. 재단하다. 【가능동사】 た·て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海面
해면. 해수면. 해상. 〔동의어〕かいめん·うなづら
16日午前8時ごろ、福島県いわき市の小名浜での出来事です。
市
일; 하나. 〔동의어〕一つ. 〔참고〕 증서 등에서는 갖은자인 「壱」을 씀; (사물의) 시초. 처음. 첫째. 최초. 〔동의어〕一番め; 최상. 최고. 으뜸. 〔동의어〕首位; (상투 등에서) 元結로 묶은 곳에서 뒤로 내민 부분; (三味線·거문고 등에서) 제일 낮은 음의 줄. 〔동의어〕一の糸; (많은 것 중) 한. 하나의. 한 사람의; (이렇다 할 만한 데가 없는) 하찮은. 어떠 한; 어떤. 한; 상당한. 버젓한; 시장. 저자. 장; (변하여) 시가. 거리. 〔동의어〕街; 지위(地位). 〔동의어〕地位; 위치; 지위. 입장
日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県
《고어》; (大和 시대의) 일본 황실의 직할 영지; 시골. 지방. 〔동의어〕地方·いなか
出来事
일어난 일. 사건
時
차; 다음; 『화학』 산화(酸化)의 정도가 낮음; 『화학』 염기성염(鹽基性鹽); 횟수(回數). 빈도(頻度). 차례; 자; 자기; 〈시간·장소를 나타내는 名詞에 붙어〉 …부터. 〔반의어〕 至; 사. 절; 아; 아이. 아동; 남아;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사. 일. 사항; 시. 시간의 단위. 60분; 시각; 때. 기회; 〈옛 지명에 붙여〉 그 지방의 길.그 지방 또는 그 지방으로 가는 길임을 나타냄. 도(道). 가도. 지방; 하루의 행정(行程); 『문어』 나이를 나타냄; 〈10을 단위로 한 수에 붙여〉 그 정도의 나이를 나타냄; 토지. 땅. 지면; 그 지방. 그 고장; 본성. 본색. 천성. 본바탕; 기반. 기초; 천; 살결. 피부; 문장에서 작자가 설명한 부분; (바둑에서) 차지한 집; 실제. 실지(實地). 〔참조어〕 地で行く; 풋내기. 숫보기; 「地謡」 「地紙」 「地髪」의 준말; 글자. 문자; 글씨. 필적; (바둑 등에서) 비김. 무승부; 『의학』 치질. 〔동의어〕痔疾; 『문어』 사; 말. 글; 한문 문체의 하나; 『언어학』 일본어 단어를 문법상의 성질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한 것의 하나. 단독으로는 문절(文節)을 이루지 못하고, 언제나 詞(자립어)에 딸려서 문절을 구성하는 말. ((助詞·助動詞 등)) 〔동의어〕付属語·関係語. 〔반의어〕 詞; 『문어』; 자석. 지남철; 자기. 사기그릇; 새; 세 가지 신기(神器)의 하나인 八尺瓊曲玉. 〔동의어〕神璽; 《고어》 《動詞·助動詞의 未然形에 붙음》; 부정적인 추측을 나타냄. …않겠지. …않을 것이다. 〔동의어〕…ないだろう·…まい; 부정적인 결의를 나타냄. …하지 않으리라. …않을 작정이다. 〔동의어〕…まい
午前
오전. 〔반의어〕 午後; 어전. 임금 등 귀인의 자리의 앞 또는 면전(面前)의 높임말. 〔동의어〕みまえ; 귀인의 높임말; 《고어》 귀인의 아내의 높임말; 지체 높은 사람, 또는 그 부인의 이름에 붙이는 높임말. 님; 〈「食事」 「飯」의 공손한 말〉 진지
タキビチャンネルさんによりますと、大型船も入る深いところで少なくとも10分間続き、1時間後には収まっていました。
深い
불쾌함. ふ-かさ {문어·ナリ 활용 }; 『문어』 병. 병환(病患); 『문어』 부회. 억지로 끌어다 댐. 무리하게 관련지음; 부회; 「府議会」의 준말. 〔참고〕 1.은 지방 자치법이 제정되기 전의 옛일컬음; 깊다. 얕지 아니하다; (감정·생각 등이) 깊다. 듬쑥하다; (정도가) 크다. 깊다; 관계가 밀접하다. 깊다; (색깔·농도가) 짙다; 밀생(密生)해 있다; (때·계절이) 깊다. 한창이다; 뚜렷하다; 〈「ぶかい」의 꼴로 体言에 붙어〉 복합어를 이룸. 1.~9.〔반의어〕 あさい. ふか·げ 【형용동사】 ふか·さ 【명사】 ふか·み 【명사】 【문어형】 ふか·し {ク 활용}
後
뒤. 후; (공간적으로) 뒤쪽. 후방. 등쪽; (시간적으로) 뒤. 나중. 다음; 현재로부터 거슬러 오른 때. 이전. 〔반의어〕 先; 뒷일. 후사(後事). 뒤처리. 사후(死後); 나머지; 후임(자). 후처(後妻); 후손. 자손. 1.2. 〔반의어〕 前·先; 자국. 발자국; 자취. 흔적. 종적. 행적; 필적(筆跡); 왕래. 인적(人跡); 가독(家督). 대(代); 터. 유적; 《고어》 선례(先例). 선인(先人)의 본보기
船
수의 단위. 1의 1000만분의 1; 차린 음식. 밥상. 〔동의어〕膳部; 선. 큰배; 전; 전쟁; 시합; 경쟁; 종이; 옛 화폐 단위. 貫의 천분의 1. 〔동의어〕文; 화폐 단위. 円의 백분의 1; 돈. 특히, 금속 화폐; 천; 많음. 〔참고〕 서류에 금액 등을 적을 때는 「仟」 「阡」을 씀; 『문어』 신선. 선인; 앞. 장래. 미래. 〔동의어〕将来; 이전. 전. 〔동의어〕以前; 어떤 것 이전에 있던 것. 전 것; (바둑·장기 등에서) 선. 선수. 〔동의어〕先手; 마개. (수도) 꼭지; 『생리학』 선. 샘. 동물의 분비 기관(分泌器官); 방도. 방법; 효과. 보람. 〔동의어〕かい·効果; 결국. 필경; 『문어』 찬; 시나 문장을 지음; 많은 작품 중에서 골라 편집함; 선; 실처럼 가늘고 긴 것. 금. 줄; 방향. 방침; 수준. 기준. 한도. 범위; 윤곽. 인상. 느낌; 교통·통신·전기의 선. 노선. 항로; 『수학』 선. ((위치와 길이는 있으나 폭과 두께가 없는 것)); 도로·철도·항공 노선 등을 뜻함. 선; 선. 가려 냄. 뽑음. 뽑은 것; 「選集」의 뜻을 나타냄. 선집; 「選挙」의 뜻을 나타냄. 선거; 전. 벽돌의 한 가지; 『문어』 전. 모직 깔개. 양탄자. 〔동의어〕毛氈; 천. 온천
続き
연결; 계속; 〈名詞에 붙어 接尾語적으로 씀〉 죽 연속됨. 잇닿음
少なくとも
(수량을) 적게 잡아도. 최소한; 적어도. 하다못해
入る
들어가다. 들다. 〔동의어〕はいる. 〔반의어〕 出る; (어떤 경지에) 이르다; (해·별·달이) 지다; (어떤 환경에) 몸두다; (차차 변하여) 어떤 상태에 이르다. 〔참고〕 현재는 보통 단독으로는 「はいる」가 쓰이고 「いる」는 「気に入る」「堂に入る」등 관용적인 표현에 쓰이는 것이 보통임; 「入れる」의 문어; 필요하다. 들다. 소용되다. 〔참고〕 「入る」로도 씀. 【문어 4단 활용 동사】; 볶다; (달걀·두부 등을) 지지다. 【가능동사】 い·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사람이나 동물이) 있다. 존재하다. 〔참고〕 옛날에는 물건에 대해서도 썼음; 근무하다; 앉다; 《고어》 (안개·구름 등이) 가만히 있다. 머물러 있다. {문어·하1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て(で)」에 붙어》; 동작·상태가 계속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음을 나타냄; 동작·작용의 반복을 나타냄; 현재의 상태를 나타냄; 과거에 있었던 동작·경험 등을 나타냄. 〔참고〕 「…ている」 「…ています」 「…ていた」는 상용어(常用語)에서 흔히 「…てる」 「…てます」 「…てた」의 꼴로 씀.{문어·하1단 활용}; 쏘다; (쏘아서) 맞히다; 쏘아보다; (자기 것을 만들려고) 노리다. 노려서 차지하다; (빛이 강렬하게) 비추다. 〔참고〕 근세 후기 부터 「矢を射った」와 같이 5[4]段으로 활용되는 예를 볼 수 있음. {문어·상1단 활용}; 주조하다. (거푸집에) 부어 만들다. 지어 붓다. {문어·상1단 활용}
時間
자간; 차관; 시간; 『문어』 시간. 그때의 어려움. 그 시대의 당면 난제(難題)
大型
(규모·무늬 등이) 대형. 〔반의어〕 小形; 대형. 〔반의어〕 小型; 큰 형(型); 비슷한 것 중에서 큰 것
小魚の群れで波が立つ「なぶら」と呼ばれる現象がありますが、それとも違うということです。
波
(칼붙이 등의) 날; 날개. 〔동의어〕はね; (화살의) 살깃; 새의 깃털. 〔동의어〕羽毛; 『식물·식물학』 잎. 잎사귀. 〔동의어〕はっぱ; 이; (기구·기계 등의) 가장자리에 나란히 나 있는 돌기물. 빗살. 톱니; (게다의) 굽; 끝. 가장자리. 〔동의어〕はし; 끝수. 우수리. 〔동의어〕はした; 「波斯」의 준말; 「波蘭」의 준말; 계속 일으키는 공세의 횟수를 세는 말. 파; 파. 한패. 동아리. 분파; 분파를 세는 말. 〔참고〕 一·三·四·六·八·十에 붙을 때에는 「ぱ」로 됨; 파의 이름에 붙는 말; 『음악』 (아악·能楽에서 序·破·急로 구성된) 악곡의 중간 부분. ((전개부(展開部)에 해당하며, 느린 속도로 연주됨)); 『문어』; 무력·권력으로 나라와 백성 위에 군림함. 패권. 패자; (경기 등에서의) 우승; 공손하게 대답할 때 하는 말. 예. 네; 공손하게 되물을 때 쓰는 말. 네? 예? ((말끝을 올림)); 웃는 소리. 하; 《발음은 「ワ」. 名詞 또는 名詞에 준하는 말, 活用語의 連用形에 붙음》; 서술의 주제를 나타냄. …는. …은; 특히 내세워 말하는 뜻을 나타냄. …은. …는; 비슷한 종류의 것을 대비적으로 나타냄. …은. …는; 서술의 부분을 강조함. …은. …는; 〈格助詞를 받음〉 …(에)는. …(로)는. …(보다)는; 〈인용의 格助詞 「と」를 받아〉 정의(定義)나 해설의 주제를 나타냄. 또는 뜻밖의 것을 평가하는 주제를 나타냄. …란. …라는. …라는 것은; 〈動詞의 連体形+格助詞 「に」를 받아〉 그 동작·작용을 목적으로 함을 드러내어 나타냄. …하려면. …하기에는; 〈接続助詞인 「から」를 받아〉 당연하고 부득이하다는 판단을 이끌어 내는 이유·원인을 나타냄. …한 이상에는; 〈接続助詞 「て」를 받아 「ては」 「では」의 꼴로〉 조건이 되풀이됨. 또는 부정적인 판단을 이끌어내는 조건을 나타냄
魚
물고기. 〔동의어〕さかな. 〔참고〕 생물 용어로는 「うお」이지만, 일반적으로는 「さかな」로 쓰는 경우가 많음. 원래는 요리한 것을 「さかな」, 날것은 「うお」라 했음
現象
원소. 원석(元夕). 음력 정월 보름날 밤. 〔동의어〕元夜; 언소. 담소(談笑); 감소. 〔반의어〕 増加·増大; 『불교』 현생. 현세(現世); 현상
それとも
어느 하나를 고를 때 쓰는 말. 그렇지 않으면. 아니면
群れ
떼. 무리; 동아리. 한패
立つ
진; 십이지(十二支)의 다섯째; 진시(辰時). 지금의 오전 8시경. 또는 오전 7시경부터 9시경까지의 동안; 《속어》 용; 용. ((상상의 동물)) 〔참고〕 「りゅう」 「りょう」로도 읽음; 『문어』; 궁중의 작은 문. (변하여) 궁중; 서다; 위쪽이나 다른 곳으로 향하다; 어떤 현상이나 작용이 나타나다; 새로 설치되다. 서다. 마련되다; 일이 성립되다; 「たてる」의 문어; (시간·세월이) 지나다. 흐르다. 경과하다; (숯불·양초·기름 등이) 다 타다. 사위다. 꺼지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끊다; (물체를) 절단하다. 자르다; (술·담배를) 그만두다. (관계·인연을) 끊다; 차단하다. 가로막다; 그치게 하다. 없어지게 하다. 【가능동사】 た·て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옷감을) 마르다. 재단하다. 【가능동사】 た·て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違う
다르다. 틀리다. ((예스러운 말)); 「たがえる」의 문어
小
〈名詞에 붙어〉 ‘잔’ ‘작은’ ‘조그마한’의 뜻; 〈名詞에 붙어〉 어조를 고르거나 표현을 부드럽게 함; 〈用言에 붙어〉 ‘조금’의 뜻; 《「御」의 변한말》; 〈体言·用言에 붙음. 動詞에 붙을 때는 그 連用形에 「になる」 「なさる」 「くださる」 「あそばす」 등이 이어진 꼴이 됨〉 존경의 뜻을 나타냄; 〈体言·用言에 붙음. 動詞 위에 붙을 때는 그 連用形에 「いただく」 「ねがう」 「もうしあげる」 「する」 「いたします」 등이 이어지는 꼴이 됨〉 겸양의 뜻을 나타냄; 〈体言·用言에 붙음〉 공손의 뜻을 나타냄; 〈体言·用言에 붙음〉 친애의 뜻을 나타냄; 〈「お」+動詞連用形+「なさい」의 꼴에서 「なさい」를 생략하고 말을 끊는 꼴〉 가볍고 부드러운 명령을 나타냄; 〈인사말에서 「~…さま」 「~…さん」의 꼴로〉 상대에 대한 동정·위로·위안의 뜻을 나타냄; 〈여자의 이름 위에 붙여〉 존경·친애의 뜻을 나타냄. ((7.은 「阿」 「於」로도 씀)) 〔참고〕 중세 이후 「おん」의 「ん」이 탈락해서 된 말. 한자어에는 「御·」를 쓰고, 고유어(和語)에는 「お·おん」이 붙는 것이 원칙임; ‘수컷’의 뜻. 수. 〔동의어〕おす. 〔반의어〕 雌; ‘사내다운’ ‘씩씩한’의 뜻. 〔참고〕 동물의 경우에는 「牡」로도 씀; (동물의) 꼬리. 〔동의어〕しっぽ; 꼬리 모양의 것; 길게 뻗은 산기슭; 끝. 끝부분. 끄트머리; 결점. 약점; 《고어》 남자. 〔반의어〕女; 쌍으로 된 것 중의 큰 것. 〔반의어〕 女. 〔참고〕 「雄」로도 씀; 삼·모시의 실; ⇒ あく; 줄. 끈. 실; 악기의 줄. 현(弦); 길게 이어진 것
今も正体は不明で、「ネッシーみたいな謎の生物かもしれない」と期待を込めて想像しています。
謎
수수께끼(놀이). 〔동의어〕なぞなぞ; 의문. 불가사의. 신비. 수수께끼; 에둘러 하는 말이나 시늉·암시; 《「なにぞ」 「なんぞ」의 변한말》 따위. 등. 〔동의어〕など
期待
『문어』 위태. 위험; 『물리』 기체. 〔동의어〕ガス. 〔반의어〕 固体·液体; 『철학』 기체. 여러 가지 작용·성질·변화의 기초를 이루고 있다고 생각되는 것; 귀태; 『의학』 포도상 귀태. 태반의 일부가 되는 융모막(絨毛膜)의 조직이 포도송이 모양으로 이상 발육을 하는 임신 이상. ((태아는 사망하여 유산이 됨)) 〔동의어〕ぶどう状鬼胎·胞状鬼胎. 〔참고〕 「奇胎」로도 씀; 근심. 걱정. 두려움. 〔동의어〕おそれ; 기대; 기체. 비행기(의 동체); 『문어』; 희대. 세상에 드묾. 희세(稀世); 아주 이상함. 〔참고〕 「きだい」라고도 함. {문어·ナリ 활용 }; 기태. 별남. 기이함. 괴상함. {문어·ナリ 활용 }
生物
생물. 〔동의어〕いきもの. 〔반의어〕 無生物; 정물
想像
송상. (텔레비전의) 영상을 전파로 바꾸어 보냄. 〔반의어〕 受像; 창조; 상상
今
지금. 이제. 현재; 오늘날. 현대. 〔반의어〕 昔; 〈接続詞적으로 씀〉 이야기를 진전시키기 위하여 전제(前提)를 설정할 때 쓰는 말. 여기서; 가까운 미래를 나타냄. 이제 곧. 바로. 잇따라; 지금 막. 방금; 더. 〔동의어〕さらに; 〈주로 사람을 나타내는 명사에 붙음〉 현대의. 최근의. 오늘날의; 새로운; 가족이 함께 모여 차를 마시거나 여가를 보내거나 하는 방. 거실(居室). 거처방
正体
소대. 〔반의어〕 大隊·中隊; 정체; 본디의 모습; 제정신. 본정신. 〔동의어〕正気; 초대. 〔참고〕 「しょうだい」라고도 함
不明
불명; 『문어』 도리에 어두움. 불민(不敏)함; 불명. {문어·ナリ 활용 }
【違法薬物】東京税関の押収量は583キロ 国際郵便物や航空貨物は過去5年で最悪(2023年2月16日)
いろんなもののかぞえかた⑤
去年1年間の有効求人倍率平均1.28倍4年ぶり前年上回る コロナ制限緩和要因か(2023年1月31日)
新型コロナ 東京の新規感染者1050人 重症者は63人(2021年5月1日)
東京の新たな新型コロナ感染者は14人 3日ぶり2桁に(20/05/24)
セサミストリ-ト:エルモズ・ワールド:プレンゼントのラッピング(日本語吹き替え)
オシャレでかわいい♡ドレス・ド・オムライスの作り方 | How To Make Dress de Rice Omelette
新型コロナ ワクチン接種間隔 21日から3カ月に短縮(2022年10月20日)
心做し
国公立大学の2次試験始まる 全国約42万人が挑む(2024年2月25日)
You need to upgrade to a premium account to using this feature
Are you sure you want to test again?
Please upgrade your account to read unlimited newspap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