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国軍はアメリカ軍とともに、主に北朝鮮を想定した合同訓練を実施したと発表しました。
Korean Army Conducting military exercises with the US and other countries against North Korea (2023/09/14)
150 view韓国軍はアメリカ軍とともに、主に北朝鮮を想定した合同訓練を実施したと発表しました。
韓国軍は14日、アメリカ、カナダと合同で主に北朝鮮を想定した合同訓練を実施したと発表しました。
訓練には韓国、カナダの護衛艦とアメリカの強襲揚陸艦が参加し、朝鮮半島西側の黄海上で戦術機動訓練やヘリコプターの離着艦訓練などが行われました。
訓練に参加した韓国軍の護衛艦の艦長は「今回の訓練は北朝鮮の脅威への対応能力をさらに向上させるもので、挑発には韓米同盟で断固対応していく」と述べました。
一方、北朝鮮は金正恩総書記がロシア訪問で不在中の13日に日本海へ向けて短距離弾道ミサイル2発を発射していて、
訓練を受けて再びミサイル発射などの挑発行為に出る可能性もあります。
韓国軍はアメリカ軍とともに、主に北朝鮮を想定した合同訓練を実施したと発表しました。
アメリカ
아메리카; 「アメリカ合衆国」의 준말. 〔참고〕 「亜米利加」는 차자
発表
발표
軍
《고어》 군대. 병사. 〔참고〕 흔히 1.은 「戦」, 2.는 「軍」으로 씀
訓練
훈련
実施
살아날 가망이 거의 없음. 매우 위태로움. 죽음을 면할 수 없는 상태. 〔동의어〕じゅっし; 십지; 열 손가락; (변하여) 여러 사람의 손가락; 실자. 친자식(親子息). 〔동의어〕生みの子. 〔반의어〕 養子·義子·継子; 실자. 친언니. 또는 친누님. 〔반의어〕 義姉; 실시. 〔동의어〕実行
合同
합동; 하나로 합함; 『수학』 두 개 이상의 도형이 일치함
想定
장정; 병역에 소집된 청년; 송정. 물건을 보내드림; (책의) 장정. 인쇄물에 표지를 붙여 책의 모양을 갖추게 하는 일. 또는 그 책의 모양새 전반의 디자인. 〔참고〕 「装丁」는 대용자; 말의 발굽에 편자를 댐; 상정. 어떤 상황을 가정함; 『문어』 조정. (경기용) 보트를 젓는 일
韓国
권고; 『문어』 한국. 추운 나라; 한국. 〔동의어〕韓; 대한 민국
主
주인. 가장(家長). 상점의 주인; 茶道에서, 손을 초대한 사람
韓国軍は14日、アメリカ、カナダと合同で主に北朝鮮を想定した合同訓練を実施したと発表しました。
アメリカ
아메리카; 「アメリカ合衆国」의 준말. 〔참고〕 「亜米利加」는 차자
日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発表
발표
軍
《고어》 군대. 병사. 〔참고〕 흔히 1.은 「戦」, 2.는 「軍」으로 씀
訓練
훈련
実施
살아날 가망이 거의 없음. 매우 위태로움. 죽음을 면할 수 없는 상태. 〔동의어〕じゅっし; 십지; 열 손가락; (변하여) 여러 사람의 손가락; 실자. 친자식(親子息). 〔동의어〕生みの子. 〔반의어〕 養子·義子·継子; 실자. 친언니. 또는 친누님. 〔반의어〕 義姉; 실시. 〔동의어〕実行
合同
합동; 하나로 합함; 『수학』 두 개 이상의 도형이 일치함
想定
장정; 병역에 소집된 청년; 송정. 물건을 보내드림; (책의) 장정. 인쇄물에 표지를 붙여 책의 모양을 갖추게 하는 일. 또는 그 책의 모양새 전반의 디자인. 〔참고〕 「装丁」는 대용자; 말의 발굽에 편자를 댐; 상정. 어떤 상황을 가정함; 『문어』 조정. (경기용) 보트를 젓는 일
韓国
권고; 『문어』 한국. 추운 나라; 한국. 〔동의어〕韓; 대한 민국
主
주인. 가장(家長). 상점의 주인; 茶道에서, 손을 초대한 사람
カナダ
『지리·지학·지명』 캐나다. 북아메리카 대륙 북부에 있는, 영국 연방 내의 연방 국가. 《수도는 오타와(オタワ)》 〔참고〕 「加奈陀」는 차자
訓練には韓国、カナダの護衛艦とアメリカの強襲揚陸艦が参加し、朝鮮半島西側の黄海上で戦術機動訓練やヘリコプターの離着艦訓練などが行われました。
アメリカ
아메리카; 「アメリカ合衆国」의 준말. 〔참고〕 「亜米利加」는 차자
訓練
훈련
参加
『문어』 삼하. 여름 석달. 초하(初夏)·중하(仲夏)·만하(晩夏). 또는 맹하(孟夏)·중하(仲夏)·계하(季夏); 산화. 산불; 『문어』 산하; 산천; 자연. 〔참고〕 「さんが」라고도 함; 『문어』 산가. 산중의 집. 〔동의어〕やまが; 전날, 떠돌이 생활을 하며 특수 사회를 이루고 있던 사람들. ((산속·강변 등에서 야영을 하며, 죽세공·수렵 등으로 생계를 이어갔음)) 〔동의어〕さんわ; 참가; 참화; 『의학』 산과; 『문어』 산하. 〔동의어〕翼下; 『화학』 산화. 〔반의어〕 還元; 찬가; 단체에 소속된 사람이 특수한 기능을 살려 활동하는 것
ヘリコプター
헬리콥터
着
기. (명사에 붙어) ‘기분’ ‘성미’ ‘기질’의 뜻을 나타냄; 옷; 『문어』 기생. 기녀. 유녀(遊女). 〔동의어〕あそびめ; 『문어』 솜씨. 기예. 〔동의어〕わざ; 거짓. 허위(虛僞). 〔동의어〕いつわり. 〔반의어〕 真; 『논리학』 어떤 명제(命題)가 잘못된 것. 〔참고〕 기호는 「f」로 표시함; 가짜인; 『문어』; 의로움. 옳은 일. 인도(人道); 의미. 의의; 조리. 이유; 혈연 이외의 사람과의 결연 관계; 남남끼리 맺는 혈족 같은 관계; 『문어』 의심. 확실하지 않음. 〔동의어〕うたがい; 의식. 예식; 일. 건(件). 까닭; 〈사람을 나타내는 体言에 붙어〉 …에 관해서는; 모양이 닮은 것. 모형. 기계; 연기(演技); 『문어』 정분. 정의(情誼). 〔동의어〕よしみ; 상의. 의논; 제안. 제의. 안(案)
戦術
선술. 신선의 술법; 전술. 〔동의어〕前述; 『문어』 찬술. 저술; 전술
護衛
호위
韓国
권고; 『문어』 한국. 추운 나라; 한국. 〔동의어〕韓; 대한 민국
離
사람의 수를 세는 말. 〔참고〕 세 사람 이상의 경우에는 「たり」가 됨. 「三人」 「四人」 등; 《조건·상태를 나타내는 한자어에 붙어》 그 조건·상태에 있음을 나타냄. …리; 『문어』 관리. 공무원. 〔동의어〕役人; 관리; 이; 이익. 벌이. 이득; 편리. 유리. 편의; 승리. 이길 가망[낌새]; 쓸모 있음. 이점(利點). 효용; 이자. 이식(利息); 거리의 단위. ((1리는 3.927km, 한국 이수(里數)로 약 10리)); 『역사』 律令制에서, 전지(田地) 면적의 단위. ((1리는 36정보)); 리. 해리(海里); 이; 원리. 이치; 이론. 이치; 도리. 사리; 「理科」 「理学(部)」 「物理(学)」 의 준말; 『문어』 설사. 〔동의어〕下痢; 이. 팔괘의 하나. ((상형은 ☲로, 불을 상징하며, 방위로는 남쪽에 해당함)); 『문어』 《四段·サ変動詞의 連用形에 「あり」가 붙은 「咲きあり」 「しあり」 등의 변한 꼴인 「咲けり」 「せり」 등의 「り」에서, 4段活用動詞의 경우에는 命令形 또는 已然形, サ変動詞의 경우에는 未然形에 붙음》; 작용·동작이 계속됨을 나타냄. …하고 있다; 동작·작용이 완료하여, 그 결과가 존속하고 있음을 나타냄. …하여 있다. …하다; 동작·작용의 완료를 나타냄. …었다; 과거의 동작을 나타냄. …했다
黄
귀; 신분·집안·가치 등이 높은; 경의(敬意)의 표시; 기; 기초. 근본; 『화학』 원자단(原子團). 〔동의어〕根; (설치해 놓은) 묘석(墓石)·장명등(長明燈)·기계 등을 세는 단위; 인간답지 않은 무서운 사람; 기; 기. 말 탄 사람의 수효; 『식물·식물학』 나무. 수목; 재목. 목재; 딱따기; 잡것이 섞이지 않음. 자연 그대로임. 순수함; ‘순수함’ ‘인공을 가하지 않음’ ‘오직 그대로임’의 뜻을 나타냄; 황. 노랑. 황색. 〔동의어〕きいろ; ‘황색’의 뜻을 나타냄; 기. 십간(十干)의 여섯째. 〔동의어〕つちのと; 기운. 정기. 생기. 분위기; (특유한) 맛. 향기; 숨. 호흡; 정신. 의식. 얼; 성미. 기질. 마음씨; 기. 기력; 생각. 의지; 마음. 기분; 흥미. 관심; 「希臘」의 준말; 『화학』 희. 묽은. 〔반의어〕 濃; 드묾. 〔참고〕 「希」는 「稀」의 대용자; 상을 입고 집에 들어박혀 행동을 삼가는 일. 또는 그 기간. ((보통 49일간)) 상(喪); 기. 기일(忌日). 회기(回忌); 『문어』 이상함. 야릇함. 진기함. {문어·ナリ 활용 }; 기수. 홀수. 〔반의어〕 偶; 계절. 〔동의어〕シーズン; 連歌·俳句에서 구(句)에 삽입하는 계절의 경물(景物). 〔동의어〕季題·季語; 계. 천간(天干)의 열째. 〔동의어〕みずのと; 기. 기전체(紀傳體) 역사에서 제왕의 사적(事績)을 적은 글. 〔동의어〕本紀; 『문학』 〈「日本書紀」의 준말〉 일본서기; 기. 지질 시대 구분의 단위; 궤; 수레의 양 바퀴의 간격; 수레바퀴가 지나간 자국; 규칙; 기. 기록(문); 『문학』 「古事記」의 준말; 기; 기. 기구(起句); 『문어』 기; 시기. 기간. 기한; 좋은 기회. 시기; 기; 기간. 시기; [age]『지리·지학·지명』 지질 시대의 한 구분. 「世」의 아래; 계략. 모사(謀事). 방법; 《고어》 파. 〔동의어〕ねぎ; 『문어』 그릇. 〔동의어〕うつわ; 물건을 담는 용기; 기. 기량. 인물. 재능; 기; 기관(器官); 기구. 도구; 계기; 시기. 기회; 〈「飛行機」의 준말〉 비행기; (불교에서) 기. 기근(機根). 〔동의어〕気根; 기계; 비행기; 비행기를 세는 말. 대; 『문어』 《用言·助動詞의 連用形에 붙음》; 과거에 직접 체험한 일을 회상하는 말. …었다. …였다. …고 있었다; (경험과 관계없이 널리) 과거의 사실을 나타냄. …었다. …였다; 현재 또는 완료의 뜻을 나타냄. …하고 있다. 〔참고〕 終止形 「き」는 カ変動詞에 붙지 않음. カ変을 받는 경우는 「きし」 「きしか」와 「こし」 「こしか」의 두 꼴이 있음. 고대에는 未然形 「せ」가 있었다고 생각되는데, 助詞 「ば」가 붙어 가정의 뜻을 나타냄
カナダ
『지리·지학·지명』 캐나다. 북아메리카 대륙 북부에 있는, 영국 연방 내의 연방 국가. 《수도는 오타와(オタワ)》 〔참고〕 「加奈陀」는 차자
海上
회장. 집회 장소; ⇒ 回章1.; 『불교』 수도승의 호신용 지팡이. 석장. 〔동의어〕錫杖; 해상. 〔반의어〕 陸上; 개성. 항복하여 성을 적에게 넘겨줌; 개장. 〔반의어〕 閉場; 계상. 〔반의어〕 階下; 계단[층계] 위; (여러 층 건물의) 위층; 계승. ((1에서 n까지 연속되는 모든 자연수(自然數)의 곱. n!로 나타냄)); 괴상. 덩어리 모양
機動
『생리학』 기도. 숨통; 『문어』 기동. 지혜와 재주가 특출한 아이; 『문어』 기도. 보통과 다른 방법; 궤도; 기동; (발전기 등의) 시동; 『문어』 궤도. 남을 속이는 등의 부정 수단; 기동
西側
서쪽; 서방측. 자유 진영. 1.2. 〔반의어〕 東側
艦
간. 간행. 출간(出刊). 출판.; 감.; 감독.; 감방(監房).; 관.; (공공의) 건물 등에 붙는 말.; 여관 등의 이름에 붙는 말.; 장대의 수효를 세는 말.; 캔.; 깡통.; 〈「缶詰め」의 준말〉 통조림. 〔참고〕 「缶」 「缶」 「鑵」은 차자.; 『음악』 (일본 고유 음악에서) 높은 음역. 또는 기본음의 한 옥타브 높은 음.; 『문어』 간. 간악함. 간사함. 또는 그런 사람.; 『문어』 완.; 「完全」 「完備」 등의 준말.; 『문어』; 간. 간장.; 마음.; 관. 관청. 관리(官吏). 관직.; ‘관리’ ‘공무원’ 등의 뜻을 나타냄. 관.; 『문어』 관. 〔동의어〕かんむり.; 으뜸감. {문어·タリ 활용}; 『문어』; 두루마리.; 책.; 권.; 두루마리·필름·테이프 등의 수효.; 책의 수효.; 『문어』 (…처럼) 보임.; 10일간. 순(旬). 〔참고〕 ‘씻다’의 뜻으로, 고대 중국에서 관리가 10일마다 휴가가 있어 목욕을 했던 데서.; 『의학』 신경질적이고 짜증을 잘 내는 신경성 소아병.; (사물의 사정이나 의미를) 직감으로 깨닫는 능력. 육감(六感). 직감력.; 관. ((척관법의 무게의 단위)); 鎌倉 시대 이후 무가(武家)의 녹봉의 단위. ((1관은 10석(石))); 『문어』 겨울 추위.; (24절기의) 대한과 소한의 시기. ((1월 6일경에서 2월 4일경까지의 약 30일간)) 1.2.〔동의어〕暑.; 관. 관구. 〔동의어〕ひつぎ.; 『문어』 정성. 충성.; 『문어』 정의(情誼).; 『경제』 예산·계정 과목의 분류명. 관. ((항(項)의 위, 부(部)의 아래)); 금속이나 돌에, 문자를 표면보다 움푹 들어가게 새김. 또는 그 문자.; 간. 사이.; 기회. 틈.; 첩자.; 불화.; 《名詞에 붙어》 ‘…의 사이’ ‘…과 …의 사이’의 뜻을 나타냄. 간.; 『문어』 관대하고 정이 깊음. 너그러움. 느슨함. {문어·ナリ 활용 }; 감. 느낌. 감회.; 감동.; ‘…의 느낌’의 뜻을 나타냄. 감.; 관. 파이프. 〔동의어〕くだ.; 붓·피리 등의 수효. 자루.; 문빗장.; 관문(關門). 〔동의어〕せき·関門.; 『문어』 기쁨. 즐거움.; 함. (편지의) 봉함.; 『문어』 (일의 진행이) 느림. 완함. 더딤. {문어·ナリ 활용 }; (중탕으로) 술을 알맞게 데움. 또는 그 데우는 정도.; 고리.; 감정이 격하고 화를 잘 내는 기질. 신경질. 피새.; 한.; 한국. 〔동의어〕韓国.; 대한 (제국).; (중국 전국 시대의) 칠웅(七雄)의 하나.; 편지. 서간. 서찰.; 『문어』 간단함. 간략함. 간명함.; 고대 중국에서, 종이가 발명되기 전에 글씨를 쓰기 위해 사용한 대쪽.; 사람·사물을 외부에서 본 느낌. 양상.; 도교(道敎)에서, 도사가 있는 곳.; ‘…에 대한 사고 방식’ ‘…에 대한 견해’ 등의 뜻을 나타냄. 관.; 갱.; 고기나 야채를 넣어 끓인 국.; 설날에 먹는 일본식 떡국에 넣는 떡. 또는 그 떡국.; 『문어』 함. 군함.; 서랍 등의 손잡이로 쓰는 고리 모양의 쇠붙이. 고리 손잡이쇠.; 『문어』 한가함.; ‘한가한’ ‘조용한’ ‘쓸모 없는’ 등의 뜻을 나타냄. 한.; 한.; 『역사』 중국 고대 왕조의 하나.; (변하여) 중국 본토. 또는 그 곳에 사는 민족.; ‘(성인) 남자’의 뜻을 나타냄. 한.
強襲
교습.; 향수.; 고향을 그리는 마음. 〔동의어〕ノスタルジア.; 옛 것에 끌리는 마음.; 강습.; 강공. 〔동의어〕強攻.; 격렬하게 습격함.; 『문어』 (여자의) 교태스러운 수줍음. 수줍어하는 모습의 아리따움.
揚陸
상륙.
訓練に参加した韓国軍の護衛艦の艦長は「今回の訓練は北朝鮮の脅威への対応能力をさらに向上させるもので、挑発には韓米同盟で断固対応していく」と述べました。
能力
능력; 일을 감당해 내는 힘; 『심리학』 정신 작용. 또는 그 힘; 『법률』 사권(私權)을 행사할 수 있는 자격; 『문어』 농록. 짙은 녹색
軍
《고어》 군대. 병사. 〔참고〕 흔히 1.은 「戦」, 2.는 「軍」으로 씀
訓練
훈련
今回
금회. 이번 차례. 이번. 금번
参加
『문어』 삼하. 여름 석달. 초하(初夏)·중하(仲夏)·만하(晩夏). 또는 맹하(孟夏)·중하(仲夏)·계하(季夏); 산화. 산불; 『문어』 산하; 산천; 자연. 〔참고〕 「さんが」라고도 함; 『문어』 산가. 산중의 집. 〔동의어〕やまが; 전날, 떠돌이 생활을 하며 특수 사회를 이루고 있던 사람들. ((산속·강변 등에서 야영을 하며, 죽세공·수렵 등으로 생계를 이어갔음)) 〔동의어〕さんわ; 참가; 참화; 『의학』 산과; 『문어』 산하. 〔동의어〕翼下; 『화학』 산화. 〔반의어〕 還元; 찬가; 단체에 소속된 사람이 특수한 기능을 살려 활동하는 것
同盟
동명; 동맹; 「東京」와 「名古屋」
対応
대응; 서로 마주봄; 서로 일정한 관계에 있음; 균형을 이룸. 걸맞음; (상황에 따라) 대처함. 〔동의어〕対処; 체구. 유럽에 머무름
向上
구두로 말함. 또는 그 내용; 말씨. 말투; (연극에서) 배우를 소개하거나 상연물의 줄거리 등을 설명함. 또는 그사람; 공장. 〔동의어〕こうば; 투구와 같은 모양; 교정; (남녀간의) 정분; 교양. 서로 양보함. 호양(互讓); 향상. 〔반의어〕 低下; 『문어』 강상; 양쯔강의 강변. 또는 그 강물 위; 『문어』 공성. 성을 공격함. 〔동의어〕城攻め; 항상. 일정하여 변화가 없음; 『문어』; 정도가[수준이] 높음. {문어·ナリ 활용 }; 교상. 아교 모양. 아교처럼 끈적거리는 상태; 후정. 후의(厚誼); 『문어』 황성. 황폐한 성
護衛
호위
韓国
권고; 『문어』 한국. 추운 나라; 한국. 〔동의어〕韓; 대한 민국
挑発
길게 기른 月代; 『문어』 도발; 징발; 『문어』 조발. 이발. 〔동의어〕理髪·整髪
脅威
흉위. 가슴둘레. 〔동의어〕胸囲り; 협위. 위협; 『교육』 《「教育委員会」의 준말》 교위. 교육 위원회; (글에서) 어떤 부분의 뜻을 강하게 함; 경이
断固
단호히. 단연코. {문어·タリ 활용}
艦
간. 간행. 출간(出刊). 출판.; 감.; 감독.; 감방(監房).; 관.; (공공의) 건물 등에 붙는 말.; 여관 등의 이름에 붙는 말.; 장대의 수효를 세는 말.; 캔.; 깡통.; 〈「缶詰め」의 준말〉 통조림. 〔참고〕 「缶」 「缶」 「鑵」은 차자.; 『음악』 (일본 고유 음악에서) 높은 음역. 또는 기본음의 한 옥타브 높은 음.; 『문어』 간. 간악함. 간사함. 또는 그런 사람.; 『문어』 완.; 「完全」 「完備」 등의 준말.; 『문어』; 간. 간장.; 마음.; 관. 관청. 관리(官吏). 관직.; ‘관리’ ‘공무원’ 등의 뜻을 나타냄. 관.; 『문어』 관. 〔동의어〕かんむり.; 으뜸감. {문어·タリ 활용}; 『문어』; 두루마리.; 책.; 권.; 두루마리·필름·테이프 등의 수효.; 책의 수효.; 『문어』 (…처럼) 보임.; 10일간. 순(旬). 〔참고〕 ‘씻다’의 뜻으로, 고대 중국에서 관리가 10일마다 휴가가 있어 목욕을 했던 데서.; 『의학』 신경질적이고 짜증을 잘 내는 신경성 소아병.; (사물의 사정이나 의미를) 직감으로 깨닫는 능력. 육감(六感). 직감력.; 관. ((척관법의 무게의 단위)); 鎌倉 시대 이후 무가(武家)의 녹봉의 단위. ((1관은 10석(石))); 『문어』 겨울 추위.; (24절기의) 대한과 소한의 시기. ((1월 6일경에서 2월 4일경까지의 약 30일간)) 1.2.〔동의어〕暑.; 관. 관구. 〔동의어〕ひつぎ.; 『문어』 정성. 충성.; 『문어』 정의(情誼).; 『경제』 예산·계정 과목의 분류명. 관. ((항(項)의 위, 부(部)의 아래)); 금속이나 돌에, 문자를 표면보다 움푹 들어가게 새김. 또는 그 문자.; 간. 사이.; 기회. 틈.; 첩자.; 불화.; 《名詞에 붙어》 ‘…의 사이’ ‘…과 …의 사이’의 뜻을 나타냄. 간.; 『문어』 관대하고 정이 깊음. 너그러움. 느슨함. {문어·ナリ 활용 }; 감. 느낌. 감회.; 감동.; ‘…의 느낌’의 뜻을 나타냄. 감.; 관. 파이프. 〔동의어〕くだ.; 붓·피리 등의 수효. 자루.; 문빗장.; 관문(關門). 〔동의어〕せき·関門.; 『문어』 기쁨. 즐거움.; 함. (편지의) 봉함.; 『문어』 (일의 진행이) 느림. 완함. 더딤. {문어·ナリ 활용 }; (중탕으로) 술을 알맞게 데움. 또는 그 데우는 정도.; 고리.; 감정이 격하고 화를 잘 내는 기질. 신경질. 피새.; 한.; 한국. 〔동의어〕韓国.; 대한 (제국).; (중국 전국 시대의) 칠웅(七雄)의 하나.; 편지. 서간. 서찰.; 『문어』 간단함. 간략함. 간명함.; 고대 중국에서, 종이가 발명되기 전에 글씨를 쓰기 위해 사용한 대쪽.; 사람·사물을 외부에서 본 느낌. 양상.; 도교(道敎)에서, 도사가 있는 곳.; ‘…에 대한 사고 방식’ ‘…에 대한 견해’ 등의 뜻을 나타냄. 관.; 갱.; 고기나 야채를 넣어 끓인 국.; 설날에 먹는 일본식 떡국에 넣는 떡. 또는 그 떡국.; 『문어』 함. 군함.; 서랍 등의 손잡이로 쓰는 고리 모양의 쇠붙이. 고리 손잡이쇠.; 『문어』 한가함.; ‘한가한’ ‘조용한’ ‘쓸모 없는’ 등의 뜻을 나타냄. 한.; 한.; 『역사』 중국 고대 왕조의 하나.; (변하여) 중국 본토. 또는 그 곳에 사는 민족.; ‘(성인) 남자’의 뜻을 나타냄. 한.
艦長
『지리·지학·지명』 간조. 썰물. 〔동의어〕低潮. 〔반의어〕 満潮.; (몸의 컨디션 등이) 최상의 상태. 베스트 컨디션.; 관청. 관아.; 관장.; 구제(舊制)의 「内閣書記官長」의 딴이름. ((현재의 「内閣官房長官」에 해당)) 〔참고〕 2.는 「翰長」라고도 씀.; 『불교』; 각 종파의 총본산(總本山)이나 대찰(大刹)을 관리하는 우두머리. 1.2.〔동의어〕貫首3.4..; 간첩. 스파이. 〔동의어〕回し者·間者.; 『문어』 《「勧善懲悪」의 준말》 권선징악. 권징.; 『종교』 관장. 종정(宗正). ((불교나 神道에서, 한 종파의 우두머리)); 관장.; 『의학』 관장. 항문으로부터 약액을 주입하는 일.; ⇒ かんじょう1.2..; 함장.; 관조. 해수(바닷물)의 밀물과 썰물의 움직임을 보는 일.
一方、北朝鮮は金正恩総書記がロシア訪問で不在中の13日に日本海へ向けて短距離弾道ミサイル2発を発射していて、
日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不
《名詞 등에 붙어 形容動詞의 어간을 만듦》 불. 부. 〔참고〕 관용상 「ぶ」로 되는 경우도 있으며, 이 때 흔히 「無」로도 씀; …을 하는 남자. 부. 원(員). 〔반의어〕 婦; …을 하는 여자. 부. 〔반의어〕 夫; 둘. ((소리내어 수를 셀 때의 말)) 〔동의어〕ふたつ·ふう; 중국 고대의 화폐; 『문어』 무녀. 무당; 『문어』 중심지; 《고어》 지방 관청. 또는 그 소재지; (일본 장기의) 졸. 〔동의어〕兵; 『문어』 부고. 부음. 〔동의어〕訃音; 『수학』 부. 음(陰). 〔반의어〕 正; 『물리』 음극(陰極); 부적; 옛날 상급 감독 관청에서 하급 관청에 내린 공문서; 부; 증표(證票); 기호. 부호; 《고어》 부. 풍부함. 부자임. 〔반의어〕 貧; 반점. 얼룩. 〔동의어〕まだら; 내장; 사려 분별. 생각. 근성(根性); 부; 『문학』 시경(詩經)의 육의(六義)의 하나. 비유법을 쓰지 않고 느낀 것을 그대로 읊는 시의 서술법; 『문학』 글귀 끝에 운(韻)을 달고 대구(對句)를 많이 쓰는 한문체(漢文體)의 하나; 토지 또는 인구에 할당되던 조세(租稅); 밀가루에서 얻어지는 글루텐으로 만든 식품. ((「生麩」와 「焼麩」가 있음)); 보; 『음악』 음보(音譜). 악보(樂譜); 기보(碁譜); 〈흔히, 接尾語적으로 씀〉 계통을 세워 순서 있게 적은 기록. 계보. 도감
訪問
『불교』 법문; 「法文歌」의 준말; 『불교』 법문. 부처의 가르침. 불문(佛門). 불법(佛法); 『불교』 법문. 불법에 관해 문답함. 또는 그 문답; 포문; 포구(砲口); 포안(砲眼); 방문; 봉문; 가난한 사람이나 은자(隱者)의 집
一方
일방. 한 방향[방면]. 어떤 방면; 한쪽. 〔동의어〕片方; 사물의 한 면[쪽]. 또는 어떤 상태의 반면; 〈副助詞적으로 쓰이어〉 주로 한 방향으로만 치우쳐 있음. 오로지 …뿐임. …만 함; 〈接続助詞적으로 쓰이어〉 …하는 한편; 한편. 다른 한편에서는; 한 방법. 한 수단; 한 번 알림. 간단히 알림. 또는 그 기별
恩
《「大御」가 변한 「おおん」의 준말》 명사에 붙어 존경의 뜻을 곁들임. 〔참고〕 「お」보다 강한 공손·존경의 뜻을 나타내며, 격식을 차려야 하는 경우에 쓰임; 은혜; 《속어》 수컷. 〔동의어〕おす·お. 〔반의어〕 雌; 소리. 〔동의어〕おと; (언어의) 음. 발음; 중국식 발음을 바탕으로 한 한자(漢字)의 음. 자음(字音). 〔반의어〕 訓; 음색; 『문어』 따뜻한 모양. 온화한 모양
金
‘쇠붙이의’의 뜻; ‘철의’의 뜻; ‘돈의’ ‘금전의’의 뜻; 《고어》 대패. 〔동의어〕かんな; 『언어학』 한자의 일부를 빌려 그 음훈(音訓)을 이용해서 만들어낸 일본의 표음 문자. 「片仮名」와 「平仮名」의 총칭. 옛날에는 「万葉仮名」가 있었음. 〔반의어〕 真名. 〔참고〕 「仮名」는 딴말임; 『문어』 《係助詞 「か」에 영탄(詠嘆)의 終助詞 「な」가 붙어 한 말이 된 것. 体言이나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어》 감동·영탄의 뜻을 나타냄. …어라. …로다. …구나. …도다. 〔참고〕 ㉠구어에서는 「惜しい」 「悲しい」 등 유감의 뜻을 나타내는 몇몇 형용사에 붙어, 관용구적 副詞句를 만드는 데 쓰일 뿐임. ㉡「哉」는 차자; 《자문(自問)을 나타내는 助詞 「か」에 영탄(詠嘆)을 나타내는 助詞 「な」가 붙은 꼴》; 가벼운 영탄을 담아 의문을 나타냄. …가?; 자기 자신에게 묻는 기분을 나타냄. …까?; 〈「…ない~(あ)」의 꼴로〉 소망을 나타냄. …려나
正
꼭. 정확히; 정. 같은 품계(品階)에서 상위. 〔반의어〕 従; 꼭 닮음. ((예스러운 말)) 〔동의어〕そっくり; 증. 병의 증상; (경기 등에서) 이긴 횟수. 승. 〔반의어〕 敗; 『문어』 명승지; 증. 증명서; 『문어』 증거; (병원 등에서) 병상(病床)의 수. 병상; 소. 작음. 작은 것[쪽]. 〔반의어〕 大; 달이 작음; (허리에 차는) 작은 칼. 〔동의어〕わきざし; 소. 작은. 약간의. 〔반의어〕 大; 승. 되; 적음. 적은 것. 〔반의어〕 多; 『문어』 젊음. 나이가 어림; 『문어』 생. 삶. 목숨. 생명. 〔동의어〕いのち·せい; 초; 발초(拔抄). 또는 그 초록(抄錄). 〔동의어〕ぬきがき; 고전의 주석서.〔동의어〕抄物; 종이를 뜸. 종이를 만듦. 〔참고〕 1.2.는 接尾語적으로 씀; 『문어』; 첩. 〔동의어〕めかけ·てかけ·そばめ; 『문어』 《自称의 代名詞》 소첩. 〔동의어〕わらわ; 『불교』 성. 만물의 본체; 성. 타고난 성질. 천성. 기질; 체질; 품질. 특성; 음양도(陰陽道)에서, 목(木)·화(火)·토(土)·금(金)·수(水)의 오행(五行)을 사람의 생년월일에 배정한 것; 성. …의 성질. …하는 성질; 한시(漢詩)에서, 승구(承句); 성; 중국의 최상급의 지방 행정 구획; 『역사』 律令制에서의 중앙 관청; 정부의 내각을 조직하는 행정 관청. ((한국의 부(部)에 해당)); 『문어』 〈接頭語적으로 씀〉 생략함. 절약함; 『문어』 상. 재상(宰相). 대신(大臣); 장. 장수. 대장; 칭호. 일컬음; 칭송. 칭찬. 평판; 상; 『문어』 〈接尾語적으로도 씀〉 장사. 상업. 또는 상인; 『수학』 나눗셈에서 얻은 답. 몫. 〔반의어〕 積; 『음악』 동양 음악에서 5음 음계의 제2음; 『역사』 중국 고대의 은(殷)나라의 처음 이름; 장;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장·악곡을 내용에 따라 크게 나눈 한 단락; 『문어』 수미(首尾)를 갖춘 문장. 시가(詩歌); 기장(記章). 〔동의어〕しるし; 『음악』 생황(笙篁). 〔동의어〕笙の笛; 『문어』 손바닥. 〔동의어〕たなごころ; 상; 역(易)의 점괘. 〔동의어〕占形; 『음악』 정. 아악에서, 타악기의 한 가지. 징; 송; 『문어』 남의 미덕이나 성공을 칭송하는 말. 또는 그 시가(詩歌); 요충지; 중요한 역할. 중임; 상. 포상. 또는 포상의 금품. 〔동의어〕ほうび. 〔반의어〕 罰; 『음악』 소. 퉁소의 일종; (등에) 지다. 짊어지다. 〔동의어〕せおう; (귀찮은 일 등을) 떠맡다. 【가능동사】 しょ·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ってる」의 꼴로》 우쭐해하다. 자만하다. 으쓱하게 여기다
発射
발차. 〔반의어〕 停車; 발사
総
《体言에 붙음》 총. 모든. 전체의; 장. ((여관·별장·아파트 등에 붙는 말)); 장. 장례식. 장의; 작은 배를 세는 말. 척; 쌍. 둘씩 짝을 이룬 것; 필적(匹敵)하는 것; 쌍으로 된 물건을 헤아리는 말. 쌍; 『문어』; 장함. 혈기 왕성함. 용감함. {문어·ナリ 활용 }; 한창 젊은 때. 장년; 근원. 근본; 조상·선조. 또는, 조상 중에서 뛰어난 이; 연주; 상; 형체. 모습. 양상; (인상·수상·골상 등의) 상. 길흉(吉凶)의 인상(人相); 초; 초서. 초체. 〔반의어〕 楷·行; 초잡은 글. 초고. 초안. 기초(起草); 치장; 외관(外觀); 〈接尾語적으로 쓰여〉 ‘장정(裝幀)’의 뜻을 나타냄; 『불교』 중. 승려. 〔반의어〕 尼; 상; 구상; 생각. 사상; 『불교』 상온(想蘊). 오온(五蘊)의 한 가지. 외계의 대상을 마음에 떠올리는 정신 작용; 층. 겹; 층; 지층; 계급. 계층; 포개진 물체를 세는 말; 『음악』 쟁. ((13줄의 거문고와 비슷한 현악기)) 〔참고〕 옛날에는 「箏の琴」라 하였으나 지금은 단순히 「琴」라고 함; 그렇게. 그리; (상대편의 말에) 긍정·놀라움·반신반의 ·감동 등을 나타내는 말. 그래. 정말; 연(沿)하다. 따르다; 좇다. 따르다. 【가능동사】 そ·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따르다. 붙어다니다; 부부가 되다. 부부가 되어 함께 살다; 「そえる」의 문어
ミサイル
미사일. 유도탄. 〔동의어〕誘導弾
弾道
탄도. 발사된 탄환이 공중에 그리는 곡선
向け
대상·행선지를 나타냄; 무괘. 음양도에서, 그 사람의 생년(生年)의 간지(干支)에 의하여, 5년간 불길(不吉)이 계속된다는 나이. 〔반의어〕 有卦
発
《흔히, 「~の」의 꼴로 씀》 첫. 처음. 최초; 처음의. 최초의; (그 사람에게 있어서) 첫; (그해) 처음의. (그해) 첫 번째의; (계절·시기의) 첫. 초; 발; 출발; 발신(發信); 탄환 등 발사하는 것의 수를 세는 말. 발; 때린 횟수를 세는 말. 대; 비행기 엔진의 수를 세는 말. 발. 〔참고〕 < 2> 의 경우에는 一·三·四·六·八·十 뒤에서 「ぱつ」로 발음됨
ロシア
『지리·지학·지명』 러시아; 『지리·지학·지명』 유라시아 북부의 광대한 지역. 구 소비에트 연방 영역. 〔참고〕 「露西亜」 차자; 〈「ロシア連邦」의 준말〉 유럽 대륙의 동부에서 시베리아에 걸쳐 있는 나라. 《수도는 모스크바(モスクワ)》 〔참고〕 「露西亜」 「魯西亜」는 차자
書記
초기. 〔반의어〕 末期; 소기. 기대함. 또는 기대하는 바; 「日本書紀」의 준말; 서기; 문서 작성을 담당하는 직분; 『문어』 서기. 간절히 바람. 열망함; 서기. 여름 더위. 〔반의어〕 寒気
短距離
단거리; 「短距離競走」 준말
日本海
『지리·지학·지명』 일본해. 〔참고〕 한국에서는 ‘동해’
在中
『문어』 재중. 속에 들어 있음.
訓練を受けて再びミサイル発射などの挑発行為に出る可能性もあります。
可能
『의학』 화농. 곪음; 『언어학』 가능태(可能態). ((「理解する」에 대하여 「理解できる」 따위)); 과납. (세금 등을) 필요 이상으로 납부함; 『문어』 가납; 선물 등을 윗사람이 기꺼이 받아들임
訓練
훈련
性
『문어』; 천성. 성품; 습관. 관습. 풍습. 〔동의어〕慣し; 『문어』 차아. 산이 높고 험함. {문어·タリ 활용}
発射
발차. 〔반의어〕 停車; 발사
行為
호의. 호감. 〔반의어〕 悪意; 행위; (어떤 목적을 지닌) 개인적인 행동; 『법률』 권리의 득실·변경 등의 원인이 되는 의사적(意思的) 행위; 공위. 공격하여 포위함; 《고어》 옛날, 황실 내전(內殿)에서 「女御」 다음가는 여관(女官); 후의. 〔참고〕 「好意」보다 상대를 생각하는 마음이 한층 깊음; 『문어』 때묻은 옷; 황위. 천황의 자리; 천황의 위광(威光); 교의. 학교의. 〔동의어〕学校医; 교위; 律令 제도에서, 군대에 두었던 벼슬 이름; 문장이 같고 다름을 비교하여 교정하는 일; 고위. 높은 지위. 또는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 〔반의어〕 低位; 『천문』 황위. 〔동의어〕おうい. 황도(黃道)에서 천체에 이르는 각거리(角距離). 〔반의어〕 黄経
出る
나가다. 나오다; 안에서 밖으로 나가다. 〔반의어〕 はいる; 팔리다; 출석하다. 출근하다. 참가하다. 출장(出場)·출연하다; 떠나다. 출발하다; 졸업하다; 다다르다. 이르다; 나서다; 나아가다; 출판되다. (출판물에) 실리다. 나다; 솟다. 솟아나오다; 일다. 일어나다; 태도를 보이다; 넘쳐 흐르다; 벗어나다. 초과하다. 넘다; 나타나다; 생기다. 비롯되다; 산출되다. 나다; 받다. 얻다; 우러나다. 〔참고〕 고형(古形)은 「いづ」. 【문어형】 づ {하2단 활용}
再び
두 번. 다시. 재차. 〔동의어〕二度·かさねて
ミサイル
미사일. 유도탄. 〔동의어〕誘導弾
受け
받음. 또는 받는 것. ((흔히 다른 말에 붙어 接尾語처럼 쓰임)); (물건을) 받치는 기구; 방어 자세. 수세. 소극적인 자세; 평판. 인기; 승낙. 맡음; ⇒ うえ; 《「請け人」의 준말》 보증. 보증인; 음양도에서, 그 사람의 간지(干支)에 의해 길운(吉運)이 7년간 계속된다는 행운의 나이. 〔반의어〕 無卦
挑発
길게 기른 月代; 『문어』 도발; 징발; 『문어』 조발. 이발. 〔동의어〕理髪·整髪
泣かせる海に会いたい 海辺の友情編
アマゾンが駅やコンビニに専用ロッカー 負担軽減策
いろんなもののかぞえかた②
ドリーム・マッチ プロジェクト/就活・面接のポイント 弱みについて編
ローソン量り売り ドライフルーツで食品にも拡大(2021年7月8日)
ヤフーとLINE経営統合へ 世界の巨大ITに対抗目指す(2021年2月28日)
米軍やヨルダン軍も イランのミサイルやドローンを撃墜(2024年4月15日)
著名な日本人登山家が滑落死 カムチャツカの火山
君へのメッセージ
ポッキー ギネスに認定 最も売れた“ビスケット”(2020年10月13日)
You need to upgrade to a premium account to using this feature
Are you sure you want to test again?
Please upgrade your account to read unlimited newspap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