剛田猛男。 男が惚れる、 男の中の男。
剛田猛男。 男が惚れる、 男の中の男。
お前、 誰でも助けちゃうよな。
ドキッとしたか!
ありがとう!
そんな男の、 ピュアな恋。
- よかったら...- 好きだ。
チーズの味だ!- 好き?- 近いって!- 好きだ!
大抵の女子はみんな、 すなが好きだな。
俺が好きになった女子は一人残らずだ…
あいつは、 本当にいい奴だ。 俺が保証する。
自分が猛男君に会いたいからって調子に乗って…
猛男君って、 好きな人いるんだ。- 俺達は、 いい友人だ。
ぶっちゃけ、 ゴリラ⁈- カッコいいよ、 猛男君は! 猛男君は、 カッコいい!
人の心っていうのは、 どうして思い通りにならねえんだろう⁈
みんな同じだよ!
猛男? お前はカッコいい!
大和!
あなたもきっと、 好きな人のために、 一生懸命になりたくなる。
俺物語。- キスさせてくれ。- 枕とやれ!- 男なら覚悟を決めろ!
剛田猛男。 男が惚れる、 男の中の男。
田
《고어》 누구. 〔동의어〕たれ; 동작·작용이 과거의 일임을 나타냄; 완료의 뜻을 나타냄; 〈주로, 連体形을 써서〉 존속(存續)의 뜻을 나타냄; 확인의 뜻을 나타냄; 〈終止形을 써서〉 가벼운 명령의 뜻을 나타냄; 〈連体形을 써서〉 현재의 상태·성질을 나타냄. 〔참고〕 ㉠用言의 連用形 및 「う」 「よう」 「まい」 「そうだ(伝聞)」를 제외한 助動詞의 連用形에 붙음. ㉡「ガ」행·「ナ」행·「バ」행·「マ」행의 5段活用 動詞에 붙을 때는 「だ」로 됨. ㉢仮定形 「たら」는 「ば」를 수반하지 않고 仮定의 뜻을 나타냄. ㉣終止形이 終助詞 「け」에 이어질 때는 보통 「たっけ」 「だっけ」로 됨; 《動詞·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뜻을 강하게 함; 다른 일. 딴 것; 다른 사람. 남. 타인(他人). 〔반의어〕 自; 딴 곳; 《体言에 붙어》 다른. 딴; 논. 〔동의어〕たんぼ; 『문어』; 많음. 〔반의어〕 少; 〈「~とする」의 꼴로〉 높이 평가함. 매우 고맙게 여김; 《体言에 붙어》 ‘많은’ ‘여러’ ‘숱한’의 뜻
中
‘그 동안 줄곧’이란 뜻을 나타냄. 내내; 그 범위 전체에 걸친다는 뜻을 나타냄; 십; 열. 〔동의어〕とお; 전부. 전체; 거주함; 거처. 처소; 『문어』 부드러움. 부드러운 것. 얌전함. 〔반의어〕 剛; 『문어』 중요한 것; 〈「お~」의 꼴로〉 찬합. 〔동의어〕重箱; 중; 무거움. 혹심함. 〔반의어〕 軽; 『화학』 산성염(酸性塩)임; 겹친 것을 세는 말. 중. 층; 종. 종자. 하인. 〔동의어〕とも·けらい. 〔반의어〕 主; ⇒ じゅ; 총; 짐승. 〔동의어〕けもの; 수. 짐승
男
〈名詞에 붙어〉 ‘잔’ ‘작은’ ‘조그마한’의 뜻; 〈名詞에 붙어〉 어조를 고르거나 표현을 부드럽게 함; 〈用言에 붙어〉 ‘조금’의 뜻; 《「御」의 변한말》; 〈体言·用言에 붙음. 動詞에 붙을 때는 그 連用形에 「になる」 「なさる」 「くださる」 「あそばす」 등이 이어진 꼴이 됨〉 존경의 뜻을 나타냄; 〈体言·用言에 붙음. 動詞 위에 붙을 때는 그 連用形에 「いただく」 「ねがう」 「もうしあげる」 「する」 「いたします」 등이 이어지는 꼴이 됨〉 겸양의 뜻을 나타냄; 〈体言·用言에 붙음〉 공손의 뜻을 나타냄; 〈体言·用言에 붙음〉 친애의 뜻을 나타냄; 〈「お」+動詞連用形+「なさい」의 꼴에서 「なさい」를 생략하고 말을 끊는 꼴〉 가볍고 부드러운 명령을 나타냄; 〈인사말에서 「~…さま」 「~…さん」의 꼴로〉 상대에 대한 동정·위로·위안의 뜻을 나타냄; 〈여자의 이름 위에 붙여〉 존경·친애의 뜻을 나타냄. ((7.은 「阿」 「於」로도 씀)) 〔참고〕 중세 이후 「おん」의 「ん」이 탈락해서 된 말. 한자어에는 「御·」를 쓰고, 고유어(和語)에는 「お·おん」이 붙는 것이 원칙임; ‘수컷’의 뜻. 수. 〔동의어〕おす. 〔반의어〕 雌; ‘사내다운’ ‘씩씩한’의 뜻. 〔참고〕 동물의 경우에는 「牡」로도 씀; (동물의) 꼬리. 〔동의어〕しっぽ; 꼬리 모양의 것; 길게 뻗은 산기슭; 끝. 끝부분. 끄트머리; 결점. 약점; 《고어》 남자. 〔반의어〕女; 쌍으로 된 것 중의 큰 것. 〔반의어〕 女. 〔참고〕 「雄」로도 씀; 삼·모시의 실; ⇒ あく; 줄. 끈. 실; 악기의 줄. 현(弦); 길게 이어진 것
惚れる
반하다. 연모하다; 심취하다. 마음이 끌리다. 【문어형】 ほ·る {하2단 활용}; 《다른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넋을 잃고 …하다; 땅이 파이다. 땅이 패여서 뿌리가 저절로 드러나다. 【문어형】 ほ·る {하2단 활용}
剛
『문어』; 「豪州」의 준말; 호. 참호. 〔참고〕 물이 괴어 있는 것은 「濠(해자)」; 호. 아호. 〔동의어〕雅号·ペンネーム; (신문·잡지 등의) 호수(號數); 탈것·동물 등의 이름에 붙이는 말. 호; 숫자에 붙여 차례·크기 등을 나타내는 말. 호; 『철학』 (변증법에서) 합. 종합(綜合). 〔동의어〕ジンテーゼ; (척관법에서) 면적의 단위. 평(坪)의 10분의 1. 홉; (척관법에서) 용량의 단위. 되의 10분의 1. 홉; 〈「…合目」의 꼴로〉 등산로의 대강의 거리를 나타내는 단위. 정상까지를 10合으로 나눔; 뚜껑이 있는 그릇을 세는 말. 개; 경기·싸움 등의 횟수. 또는 칼싸움에서 칼을 맞부딪는 횟수를 세는 말. 회. 번; 힘이 셈. 굳건함. 〔반의어〕 柔; 『문어』 호. 가늘고 긴 털. 붓. 붓의 털끝; (변하여) 아주 조금임; 『문어』 향. 시골. 촌; 옛날의 행정 구역의 하나. ((「村」를 몇 개 합친 단위)); 『불교』 업. 선악의 행위; 『불교』 업보; 이성(理性)으로는 다스릴 수 없는 마음의 작용; ⇒ こう1.
お前、 誰でも助けちゃうよな。
誰
수. 오행(五行)의 다섯째. ((계절은 겨울, 방위로는 북, 색은 검정임)); 「水曜日」의 준말; 《속어》 당밀즙(糖蜜汁)만을 탄 얼음물; 물. 액체; 순수함. 또는 그런 것; 뛰어난 것. 정수(精粹); 세상 물정에 밝아 인정의 기미(機微)를 잘 앎. 특히, 남녀간의 애정에 이해가 많음. {문어·ナリ 활용 }; 화류계·예능계의 사정에 밝음. 멋을[풍류를] 앎. (언동이) 세련되어 있음. {문어·ナリ 활용 }; 추; 저울추. 분동; 방추(紡錘)를 세는 말; 시다. 신맛이 있다. 〔동의어〕すっぱい. 【문어형】 す·し {ク 활용}
助け
도움. 구조. 구원
ちゃう
《「茶宇縞」의 준말》 はかま 감으로 쓰는 얇은 견직물. 〔참고〕 이 견직물이 인도의 차울(chaul)산(産)인 데서 비롯됨; 《속어》 《「てしまう」의 변한말. 「でしまう」의 경우에는 「じゃう」로 됨》 …해 버리다
ドキッとしたか!
ありがとう!
ありがとう
《「ありがたい」의 連用形 「ありがたく」의 音便》 고맙다. 고마워요. 감사해요. 〔참고〕 関西 지방에서는 「おおきに」를 씀
そんな男の、 ピュアな恋。
そんな
그런. 그와 같은
恋
〈名詞에 붙어 形容詞를 만듦〉 진하다. 〔참고〕 促音이 따르는 경우가 많음; 〈성질·상태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形容詞를 만듦〉 정도가 심하다; (남녀간의) 사랑. 연애; 『문어』 청함. 부탁함. 〔동의어〕頼み; 『어류』 잉어; 『문어』; 옛 뜻; 옛날을 그리워하는 마음. 회고의 정; 『법률』 고의. 〔반의어〕 過失; 짙다. 〔반의어〕 薄い; (빛깔·맛·냄새 등이) 진하다; (농도가) 진하다; (밀도가) 촘촘하다; (확률이) 높다; (관계가) 밀접하다. こ·さ 【명사】 【문어형】 こ·し {ク 활용}
男
〈名詞에 붙어〉 ‘잔’ ‘작은’ ‘조그마한’의 뜻; 〈名詞에 붙어〉 어조를 고르거나 표현을 부드럽게 함; 〈用言에 붙어〉 ‘조금’의 뜻; 《「御」의 변한말》; 〈体言·用言에 붙음. 動詞에 붙을 때는 그 連用形에 「になる」 「なさる」 「くださる」 「あそばす」 등이 이어진 꼴이 됨〉 존경의 뜻을 나타냄; 〈体言·用言에 붙음. 動詞 위에 붙을 때는 그 連用形에 「いただく」 「ねがう」 「もうしあげる」 「する」 「いたします」 등이 이어지는 꼴이 됨〉 겸양의 뜻을 나타냄; 〈体言·用言에 붙음〉 공손의 뜻을 나타냄; 〈体言·用言에 붙음〉 친애의 뜻을 나타냄; 〈「お」+動詞連用形+「なさい」의 꼴에서 「なさい」를 생략하고 말을 끊는 꼴〉 가볍고 부드러운 명령을 나타냄; 〈인사말에서 「~…さま」 「~…さん」의 꼴로〉 상대에 대한 동정·위로·위안의 뜻을 나타냄; 〈여자의 이름 위에 붙여〉 존경·친애의 뜻을 나타냄. ((7.은 「阿」 「於」로도 씀)) 〔참고〕 중세 이후 「おん」의 「ん」이 탈락해서 된 말. 한자어에는 「御·」를 쓰고, 고유어(和語)에는 「お·おん」이 붙는 것이 원칙임; ‘수컷’의 뜻. 수. 〔동의어〕おす. 〔반의어〕 雌; ‘사내다운’ ‘씩씩한’의 뜻. 〔참고〕 동물의 경우에는 「牡」로도 씀; (동물의) 꼬리. 〔동의어〕しっぽ; 꼬리 모양의 것; 길게 뻗은 산기슭; 끝. 끝부분. 끄트머리; 결점. 약점; 《고어》 남자. 〔반의어〕女; 쌍으로 된 것 중의 큰 것. 〔반의어〕 女. 〔참고〕 「雄」로도 씀; 삼·모시의 실; ⇒ あく; 줄. 끈. 실; 악기의 줄. 현(弦); 길게 이어진 것
- よかったら...- 好きだ。
好き
좋아함. 〔반의어〕 きらい; 색다른 것을 좋아함. 〔동의어〕ものずき; 호색. 〔동의어〕いろごのみ; 마음 내키는 대로임. 제멋대로임; 틈; 빈틈. 틈새기. 빈곳. 〔동의어〕隙間; 겨를. 짬; 허점. 방심. 틈탈 기회; 『농학·농림·농업』 쟁기. 극젱이. 〔동의어〕からすき; 종이를 뜸. 초지(抄紙); 『농학·농림·농업』 가래; 풍류(風流). 풍류의 길. 특히, 다도(茶道)·和歌를 즐김. 〔참고〕 「好き」의 차자. 「数奇」는 딴말임
チーズの味だ!- 好き?- 近いって!- 好きだ!
味
맛; 음식의 맛. 〔동의어〕あじわい; 재미. 묘미. 멋. 운치. 정취. 〔동의어〕面白味·趣き; 체험에 의하여 얻은 느낌; 《흔히 「~な」의 꼴로 씀》 멋있음. 근사함. 재치[운치] 있음. 신통함. {문어·ナリ 활용 }; ⇒ あんじ; 『어류』 전갱이
チーズ
치즈. 건락. 〔동의어〕乾酪
好き
좋아함. 〔반의어〕 きらい; 색다른 것을 좋아함. 〔동의어〕ものずき; 호색. 〔동의어〕いろごのみ; 마음 내키는 대로임. 제멋대로임; 틈; 빈틈. 틈새기. 빈곳. 〔동의어〕隙間; 겨를. 짬; 허점. 방심. 틈탈 기회; 『농학·농림·농업』 쟁기. 극젱이. 〔동의어〕からすき; 종이를 뜸. 초지(抄紙); 『농학·농림·농업』 가래; 풍류(風流). 풍류의 길. 특히, 다도(茶道)·和歌를 즐김. 〔참고〕 「好き」의 차자. 「数奇」는 딴말임
近い
맹세; 굳게 다짐하는 말; 신불에 대한 약속. 〔동의어〕願; 『불교』 (부처의) 중생을 구원하려는 서원(誓願); 장래에 대하여 굳게 약속함. 결심함; 『문어』 지계; 지상의 세계. 〔반의어〕 天界; 『건축』 지계. 지하층; 『문어』 지식의 힘으로 이해함; 가깝다; 거리·시간이 짧다; 친근하다; 혈연이 멀지 않다; 〈「目が近い」의 꼴로〉 근시(近視)다; (성질·상태·내용이) 비슷하다. 거의 같다; (수치·수량이) 비슷하다. 1.~4. 〔반의어〕 遠い. ちか·さ 【명사】 【문어형】 ちか·し {ク 활용}
大抵の女子はみんな、 すなが好きだな。
女子
《「おんなご」의 변한말》; 계집애. 소녀; 하녀. 식모. ((주로 関西에서 씀))
大抵
대강. 대개. 대부분. 〔동의어〕おおかた·おおよそ; 대부분. 대개. 대체로. 〔동의어〕大方·大概; 아마. 틀림없이. 십중팔구. 〔동의어〕多分; 〈否定語가 따르며〉 여간. 이만저만. 보통. 〔동의어〕なみなみ·一通り; 작작. 적당히. 〔동의어〕いい加減; 대제. 황제·제왕의 높임말; 퇴정. 법정에서 나옴. 〔반의어〕 入廷·出廷
好き
좋아함. 〔반의어〕 きらい; 색다른 것을 좋아함. 〔동의어〕ものずき; 호색. 〔동의어〕いろごのみ; 마음 내키는 대로임. 제멋대로임; 틈; 빈틈. 틈새기. 빈곳. 〔동의어〕隙間; 겨를. 짬; 허점. 방심. 틈탈 기회; 『농학·농림·농업』 쟁기. 극젱이. 〔동의어〕からすき; 종이를 뜸. 초지(抄紙); 『농학·농림·농업』 가래; 풍류(風流). 풍류의 길. 특히, 다도(茶道)·和歌를 즐김. 〔참고〕 「好き」의 차자. 「数奇」는 딴말임
みんな
《「みな」의 撥音 첨가》 모두. 다. 죄다. 전부
俺が好きになった女子は一人残らずだ…
女子
《「おんなご」의 변한말》; 계집애. 소녀; 하녀. 식모. ((주로 関西에서 씀))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俺
부러짐. 꺾어짐. 부러진 것. 꺾어진 것; 《주로 남자가 같은 또래나 아랫사람에게 쓰는 1인칭》 나. 내. 〔참고〕 약간 거친 말투이나 상대에 대한 친밀감이 나타나기도 함. 대등한 관계는 「おまえ」에 대해 「おれ」라고 말함
一
일; 하나. 〔동의어〕一つ. 〔참고〕 증서 등에서는 갖은자인 「壱」을 씀; (사물의) 시초. 처음. 첫째. 최초. 〔동의어〕一番め; 최상. 최고. 으뜸. 〔동의어〕首位; (상투 등에서) 元結로 묶은 곳에서 뒤로 내민 부분; (三味線·거문고 등에서) 제일 낮은 음의 줄. 〔동의어〕一の糸; (많은 것 중) 한. 하나의. 한 사람의; (이렇다 할 만한 데가 없는) 하찮은. 어떠 한; 어떤. 한; 상당한. 버젓한; 시장. 저자. 장; (변하여) 시가. 거리. 〔동의어〕街; 지위(地位). 〔동의어〕地位; 위치; 지위. 입장
好き
좋아함. 〔반의어〕 きらい; 색다른 것을 좋아함. 〔동의어〕ものずき; 호색. 〔동의어〕いろごのみ; 마음 내키는 대로임. 제멋대로임; 틈; 빈틈. 틈새기. 빈곳. 〔동의어〕隙間; 겨를. 짬; 허점. 방심. 틈탈 기회; 『농학·농림·농업』 쟁기. 극젱이. 〔동의어〕からすき; 종이를 뜸. 초지(抄紙); 『농학·농림·농업』 가래; 풍류(風流). 풍류의 길. 특히, 다도(茶道)·和歌를 즐김. 〔참고〕 「好き」의 차자. 「数奇」는 딴말임
あいつは、 本当にいい奴だ。 俺が保証する。
保証
보초; 보증; 보장; 본문을 보충하는 장; 보상
俺
부러짐. 꺾어짐. 부러진 것. 꺾어진 것; 《주로 남자가 같은 또래나 아랫사람에게 쓰는 1인칭》 나. 내. 〔참고〕 약간 거친 말투이나 상대에 대한 친밀감이 나타나기도 함. 대등한 관계는 「おまえ」에 대해 「おれ」라고 말함
奴
《속어》 《他称의 人代名詞》 그놈. 저놈. 그 자식. 〔동의어〕あいつ·きゃつ. 〔참고〕 제삼자를 깔보거나 욕을 할 때 쓰는 예스러운 말
自分が猛男君に会いたいからって調子に乗って…
君
『문어』; 임금. 군주; 윗사람에 대한 높임말; 논다니. 유녀; 남자가 동년배 또는 손아래 상대를 친근하게 부르는 말. 자네. 그대. 군. ((「おまえ」보다 공손한 말)) 〔반의어〕 僕; 느낌. 기분. 〔동의어〕きび; 〈「~がいい」 「いい~(だ)」의 꼴로〉 고소한 기분이다. 고소하다; 기미. 기운. 경향; ⇒ きび; 노랑을 띠고 있음. 노란 빛깔. 〔동의어〕黄色み; 노른자위. 난황(卵黃). 〔동의어〕卵黄. 〔반의어〕 白身
調子
『문어』 조사. 죽은 이를 애도하는 말. 〔동의어〕弔辞. 〔반의어〕 祝詞; 『문어』 조시. 애도의 뜻을 나타낸 시; 장자; 장남. 맏아들; 장자. 맏누이; 장시. 장편의 시. 〔반의어〕 短詩; 긴 자루가 달린 술 따르는 그릇. ((양쪽에 귀때가 달린 것은 「もろぐち」, 한쪽만 달린 것은 「かたくち」라고 함)); (더운물에 넣어 술을 데우기 위한) 목이 갸름하고 잘쑥한 작은 술병. 또는 그 속에 든 술. 〔동의어〕徳利·; 『음악』 가락. 곡조. 음조(音調). 장단; 어조; (사물, 특히 문장 표현 등의) 정도. 격조; (신체·기계 등의) 상태. 컨디션. 〔동의어〕かげん·あんばい; (사물의) 진행 상태. 형편; 장단. 맞장구; 본궤도. 기세. 〔동의어〕勢い·はずみ; 방법. 방식. 요령; 청시. 시청
自分
무렵. 대체적인 시기·시각; 적당한 때. 기회. 시기; (중국에서 신문의 논설 등에 쓰는) 현대어체(現代語體)의 문장; 그 시대의 글. 당시의 글; 그 사람 자신. 자기 자신;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동의어〕わたくし
猛男君って、 好きな人いるんだ。- 俺達は、 いい友人だ。
君
『문어』; 임금. 군주; 윗사람에 대한 높임말; 논다니. 유녀; 남자가 동년배 또는 손아래 상대를 친근하게 부르는 말. 자네. 그대. 군. ((「おまえ」보다 공손한 말)) 〔반의어〕 僕; 느낌. 기분. 〔동의어〕きび; 〈「~がいい」 「いい~(だ)」의 꼴로〉 고소한 기분이다. 고소하다; 기미. 기운. 경향; ⇒ きび; 노랑을 띠고 있음. 노란 빛깔. 〔동의어〕黄色み; 노른자위. 난황(卵黃). 〔동의어〕卵黄. 〔반의어〕 白身
友人
우인. 친구. 벗. 〔동의어〕友達; 유인. 〔반의어〕 無人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俺
부러짐. 꺾어짐. 부러진 것. 꺾어진 것; 《주로 남자가 같은 또래나 아랫사람에게 쓰는 1인칭》 나. 내. 〔참고〕 약간 거친 말투이나 상대에 대한 친밀감이 나타나기도 함. 대등한 관계는 「おまえ」에 대해 「おれ」라고 말함
好き
좋아함. 〔반의어〕 きらい; 색다른 것을 좋아함. 〔동의어〕ものずき; 호색. 〔동의어〕いろごのみ; 마음 내키는 대로임. 제멋대로임; 틈; 빈틈. 틈새기. 빈곳. 〔동의어〕隙間; 겨를. 짬; 허점. 방심. 틈탈 기회; 『농학·농림·농업』 쟁기. 극젱이. 〔동의어〕からすき; 종이를 뜸. 초지(抄紙); 『농학·농림·농업』 가래; 풍류(風流). 풍류의 길. 특히, 다도(茶道)·和歌를 즐김. 〔참고〕 「好き」의 차자. 「数奇」는 딴말임
達
《動詞 또는 動詞의 連用形이 변한 名詞에 붙어》; ‘선 채로’의 뜻을 나타냄; 어세(語勢)를 강하게 하는 말; 《사람·생물을 나타내는 말에 붙어》 복수를 나타냄. 〔참고〕 連濁에 의해서 「だち」로도 됨. 「ら」 「ども」보다 공손한 표현임; 《「断ち」의 뜻》 칼; 奈良 시대에는, 도검(刀劍)의 총칭; 平安 시대 이후는, 허리에 차는 긴 칼. ((의식이나 싸울 때에 사용했음)); 사람의 타고난 성질. 체질; (물건의) 성질. 품질. 질; (사물의) 성질. 질; 《名詞에 붙어》 ‘성질’ ‘기질’ 등을 나타냄; 『문어』; 귀인(貴人)의 숙소 또는 저택. 〔동의어〕やかた
ぶっちゃけ、 ゴリラ⁈- カッコいいよ、 猛男君は! 猛男君は、 カッコいい!
君
『문어』; 임금. 군주; 윗사람에 대한 높임말; 논다니. 유녀; 남자가 동년배 또는 손아래 상대를 친근하게 부르는 말. 자네. 그대. 군. ((「おまえ」보다 공손한 말)) 〔반의어〕 僕; 느낌. 기분. 〔동의어〕きび; 〈「~がいい」 「いい~(だ)」의 꼴로〉 고소한 기분이다. 고소하다; 기미. 기운. 경향; ⇒ きび; 노랑을 띠고 있음. 노란 빛깔. 〔동의어〕黄色み; 노른자위. 난황(卵黃). 〔동의어〕卵黄. 〔반의어〕 白身
ゴリラ
『동물·동물학』 고릴라. 대성성(大猩猩). 〔동의어〕大猩々.
人の心っていうのは、 どうして思い通りにならねえんだろう⁈
心
《‘마음·생각·속마음’의 뜻》 어쩐지. 어딘지; 《고어》; 초목의 잎이나 가지의 끝. 〔동의어〕こずえ·うれ; 『문어』; 포구. 후미. 〔동의어〕入り江·浦曲; 해안. 해변. 〔동의어〕浜辺; 뒤. 뒷면. 뒤쪽(출입구); (옷의) 안. 안찝; 반대; 내면. 내정. 내막; (야구에서) 말(末). 선공(先攻) 팀이 수비하는 차례; 『논리학』 가정과 결론을 모두 부정한 ‘a면 b다’에 대하여 ‘a가 아니면 b가 아니다’라는 형식의 명제(命題); 連歌·俳諧에서 둘로 접은 종이의 이면; 처음 만난 기녀를 두 번째 만나는 일. 1.2.4.5.7. 〔반의어〕 表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どうして
어떻게. 어떠한 방법으로; 왜. 어째서. 〔동의어〕なぜ; (반어적으로) 웬걸. 천만에. 그러기는커녕. 오히려; 거참. 어허 참. 〔참고〕 < 2> 는 두 번 되풀이하여 쓸 때도 있음
思い通り
생각대로. 생각한 대로임. 〔동의어〕思った通り
みんな同じだよ!
同じ
《원래 シク活用의 形容詞였던 것이 形容動詞의 語幹이 된 말. 連体形 「同じな」는 「同じなのに」 「同じなので」와 같은 경우에만 쓰이고, 体言에 이어질 때는 語幹 「同じ」를 씀》 같음. 동일함; 《「~…なら」의 꼴로》 어차피. 이왕에. 〔동의어〕どうせ·せっかく. 〔참고〕 < 1> 과 < 2> 모두 「おなし」라고도 함
みんな
《「みな」의 撥音 첨가》 모두. 다. 죄다. 전부
猛男? お前はカッコいい!
大和!
大和
옛 지명의 한 가지. 현재의 奈良현. 〔참고〕 옛날에는 「倭」라고도 썼음; 〈接頭語적으로 써서〉 일본 고유의 물건·사항·제작법 등임을 나타내는 말
あなたもきっと、 好きな人のために、 一生懸命になりたくなる。
一生懸命
《「一所懸命」의 변한말》 목숨을 걸고 일함. 열심임
きっと
《「きと」의 변한말》; 꼭. 반드시. 틀림없이. 〔동의어〕かならず·たしかに; 표정이나 태도가 엄해지는 모양; 순간적으로 행동하는 모양. 〔동의어〕さっと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あなた
『문어』 《遠称의 指示代名詞》; 저기. 저쪽. 저편; 예전. 이전. 옛날. 1.2.〔동의어〕かなた; 《対称의 人代名詞. 대등 또는 아랫사람에게 씀》 당신. 댁. 귀하. 〔참고〕 ㉠「彼方」에서 온 말로, 옛날에는 대등 또는 윗사람에게 썼으나 현재는 아내가 남편을 가리키는 대표적인 대명사. 현대어에서는 높임의 정도가 낮으며, 학생이 선생에게, 젊은이가 나이든 이에게 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음. ㉡상대가 여성일 때에는 흔히 「貴女」로 씀
好き
좋아함. 〔반의어〕 きらい; 색다른 것을 좋아함. 〔동의어〕ものずき; 호색. 〔동의어〕いろごのみ; 마음 내키는 대로임. 제멋대로임; 틈; 빈틈. 틈새기. 빈곳. 〔동의어〕隙間; 겨를. 짬; 허점. 방심. 틈탈 기회; 『농학·농림·농업』 쟁기. 극젱이. 〔동의어〕からすき; 종이를 뜸. 초지(抄紙); 『농학·농림·농업』 가래; 풍류(風流). 풍류의 길. 특히, 다도(茶道)·和歌를 즐김. 〔참고〕 「好き」의 차자. 「数奇」는 딴말임
俺物語。- キスさせてくれ。- 枕とやれ!- 男なら覚悟を決めろ!
物語
(서로) 이야기함. 또는 그 내용; 전설. 설화; (平安 시대 이후의) 산문 형식의 문학 작품
覚悟
『언어학』 ⇒ きゃくご; 각오; 『불교』 미망(迷妄)을 버리고 도리를 깨달음; 체념하고 마음을 정함. 마음의 준비
枕
『동물·동물학』 일본 개의 일종. ((몸집이 작으며 털이 긴 애완용 개)) 〔동의어〕ちんころ; 정자. 〔동의어〕あずまや; 진기함. 진기한 것; 진귀함. 진귀한 것. {문어·ナリ 활용 }; 희귀함; 『역사』 진. 춘추 시대, 또는 남북조 시대에 있었던 중국 왕조의 이름; 짐독(鴆毒); 진; 『문어』 누름. 지킴; 눌러 놓는 것; 『역사』 고대에, 큰 절을 통할하던 승직(僧職); 『정치』 중국의 현(縣)에 속하는 소도시; 짐. 천자·제왕의 자칭(自稱); 《「~と」의 꼴로도 씀》; 코를 푸는 소리의 형용. 힝; 작은 종이나 방울이 울리는 소리의 형용. 딸랑. 땡; 임금. 품삯. 삯
俺
부러짐. 꺾어짐. 부러진 것. 꺾어진 것; 《주로 남자가 같은 또래나 아랫사람에게 쓰는 1인칭》 나. 내. 〔참고〕 약간 거친 말투이나 상대에 대한 친밀감이 나타나기도 함. 대등한 관계는 「おまえ」에 대해 「おれ」라고 말함
男
〈名詞에 붙어〉 ‘잔’ ‘작은’ ‘조그마한’의 뜻; 〈名詞에 붙어〉 어조를 고르거나 표현을 부드럽게 함; 〈用言에 붙어〉 ‘조금’의 뜻; 《「御」의 변한말》; 〈体言·用言에 붙음. 動詞에 붙을 때는 그 連用形에 「になる」 「なさる」 「くださる」 「あそばす」 등이 이어진 꼴이 됨〉 존경의 뜻을 나타냄; 〈体言·用言에 붙음. 動詞 위에 붙을 때는 그 連用形에 「いただく」 「ねがう」 「もうしあげる」 「する」 「いたします」 등이 이어지는 꼴이 됨〉 겸양의 뜻을 나타냄; 〈体言·用言에 붙음〉 공손의 뜻을 나타냄; 〈体言·用言에 붙음〉 친애의 뜻을 나타냄; 〈「お」+動詞連用形+「なさい」의 꼴에서 「なさい」를 생략하고 말을 끊는 꼴〉 가볍고 부드러운 명령을 나타냄; 〈인사말에서 「~…さま」 「~…さん」의 꼴로〉 상대에 대한 동정·위로·위안의 뜻을 나타냄; 〈여자의 이름 위에 붙여〉 존경·친애의 뜻을 나타냄. ((7.은 「阿」 「於」로도 씀)) 〔참고〕 중세 이후 「おん」의 「ん」이 탈락해서 된 말. 한자어에는 「御·」를 쓰고, 고유어(和語)에는 「お·おん」이 붙는 것이 원칙임; ‘수컷’의 뜻. 수. 〔동의어〕おす. 〔반의어〕 雌; ‘사내다운’ ‘씩씩한’의 뜻. 〔참고〕 동물의 경우에는 「牡」로도 씀; (동물의) 꼬리. 〔동의어〕しっぽ; 꼬리 모양의 것; 길게 뻗은 산기슭; 끝. 끝부분. 끄트머리; 결점. 약점; 《고어》 남자. 〔반의어〕女; 쌍으로 된 것 중의 큰 것. 〔반의어〕 女. 〔참고〕 「雄」로도 씀; 삼·모시의 실; ⇒ あく; 줄. 끈. 실; 악기의 줄. 현(弦); 길게 이어진 것
飲食店が“深夜営業”再開 にぎわい戻る大阪の夜(20/05/24)
うどんをすする音で赤ちゃんが泣き止む!?
ヴィトンと同じ会社傘下に?ティファニー買収を提案
雨き声残響
豪 日本人の入国を再開 ワクチン接種など条件(2021年12月16日)
米最大手のフードデリバリー「DoorDash」が日本上陸(2021年6月11日)
Learn the Top 10 Foods That Will Kill You Faster in Japanese
Learn the Top 10 FoodsLearn the 5 Japanese Phrases your teacher will never tell you!
Learn the 5 Japanese Ph選手サインやロッカールームなど初公開 国立競技場の見学ツアー始まる(2022年4月2日)
死者は174人に 圧死や窒息死で犠牲増える インドネシア・サッカー暴動(2022年10月2日)
Để lại thông tin của bạn nhé!
Bạn cần nâng cấp lên tài khoản cao cấp để sử dụng tính năng này
Bạn có chắc chắn muốn kiểm tra lại không?
Bạn hãy nâng cấp tài khoản để đọc báo không giới hạn số lầ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