天皇皇后両陛下の長女・愛子さまと秋篠宮ご夫妻の次女・佳子さまが雅楽の演奏会を鑑賞されました。
Princess Aiko Princess Kako Enjoying the autumn gagaku concert (2022/11/05)
56 view天皇皇后両陛下の長女・愛子さまと秋篠宮ご夫妻の次女・佳子さまが雅楽の演奏会を鑑賞されました。
今日午後、愛子さまと佳子さまは、皇居・東御苑にある楽部庁舎を訪れ、秋季雅楽演奏会を鑑賞されました。
開演前、お二人は笑顔で楽しそうに話をされていました。
愛子さまが雅楽を鑑賞されるのは初めてです。
天皇ご一家の側近によりますと、愛子さまは、去年、学習院大学の選択科目で日本の伝統芸能についてオンラインで授業を受けるなど雅楽に大変関心をお持ちで、
鑑賞を希望されたということです。
愛子さまと佳子さまは説明者に質問しながら演奏を熱心にご覧になり、拍手を送られていました。
天皇皇后両陛下の長女・愛子さまと秋篠宮ご夫妻の次女・佳子さまが雅楽の演奏会を鑑賞されました。
演奏
『문어』 연총. 연수(淵藪). 사물이 많이 모이는 곳. 중심으로서 번영하고 있는 곳; 연주; ⇒ えんず
会
《고어》 대체적인 방향·위치·시간을 나타냄; 겹치거나 거듭된 것을 세는 말. 겹. 〔동의어〕重り; 《고어》 (바다·호수 등의) 후미. 〔동의어〕入り江; 《고어》 가지. 〔동의어〕えだ; 자루. 손잡이; 『문어』 모이. 미끼. 먹이. 〔동의어〕えさ; 많은 사람이 모여서 하는 법회(法會)·제례(祭禮); 《고어》 돌림병. 〔동의어〕えき; 그림; (텔레비전의) 영상. 화면; 『문어』 《뒤에 否定語가 따름》 잘 …하지 않다. 도저히 …할 수 없다; 회화에서, 긍정·승낙을 나타내는 말. 예. 네; 회화에서, 감동·놀람·의문을 나타냄. 예. 네. 뭐; 〈名詞에 붙어〉 남에게 말을 걸 때 쓰는 예스러운 말; 〈「か」 「だれ」 「何」 등 의문을 나타내는 말이나, 「だ」 「です」 등에 붙어〉 의문의 뜻을 강조함; 〈말 끝에 붙어〉 어조를 부드럽게 하거나 친근감을 나타내거나 함
鑑賞
『문어』 권상. 칭찬하여 격려함; 감상; 감상; 공적을 칭송하여 주는 상; 관장; 환소. 기뻐하여 웃음; 완충; 『지리·지학·지명』 환초; 간벽(癎癖). 신경질. {문어·ナリ 활용 }; 관상; 관상(觀相)이나 가상(家相)을 보는 일; 관조; 『미술』 작품의 미를 직관적(直觀的)으로 파악함; 관상; 감상; 간첩. 간단하고 빠름. 간결 민첩. {문어·ナリ 활용 }; 간섭; 참견; 『법률』 국제법상 한 나라가 타국의 내정·외교 등에 강제적으로 개입함; 『물리』 두 음파(音波)나 광파(光波)가 겹쳐서 강해지거나 약해지는 현상; 『문어』 간상. 악덕 상인; 완승. 〔반의어〕 完敗; 관공서. 관청; 『문어』 관생. (편지글에서) 인사말을 생략함. 관략(冠略). 전략(前略); 권장
長女
장녀. 맏딸. 〔동의어〕一女·総領娘
天皇
『문어』 ⇒ すめろぎ
夫妻
『문어』 부재. 둔재. 비재(菲才). ((자신의 재능에 대한 겸사말로도 씀)); 부처. 부부; 부록으로서 실음; 부채
陛下
평가; 『경제』 금본위국(金本位國) 상호간의 본위 화폐에 포함되는 순금량의 비율; 유가 증권의 거래 가격이 액면의 금액과 같음; 『문어』 병과. 무기. (변하여) 전쟁; 『문어』 병화. 전화(戰火); 병과; 구(舊)군대에서, 기본 병과. ((보병·포병 등)); 『문어』 병가; 군인. 무사; 옛날 중국에서 용병법(用兵法)을 논한 사람들의 총칭. ((「孫子」 「呉子」 등)); 『법률』 병과. 두 가지 이상의 형을 함께 과함; (세금 등의 의무를) 둘 이상 합해서 과징함; 『문어』 병화; 항아리나 병 등 깊은 화기(花器)에 꽂는 꽃꽂이 형식. 〔참고〕 2.는 「瓶華」로도 씀; 폐하
両
량. 기차·전차 등 차량의 수효를 세는 말; 『문어』 끝. 필(畢). 완료. 〔동의어〕終わり; 『역사』 奈良·平安 시대에, 律와 함께 나라의 기본이 된 법전. ((현재의 공무원법·행정법·민법·상법 등에 해당)) 〔참조어〕 りつりょう; 양. 양쪽. 한 쌍이 되는 것의 쌍방; 이. 둘. 〔동의어〕二·二つ; 옛날의 중량의 단위. 냥. ((銖의 24배, 斤의 16분의 1)); 옛날의 화폐의 단위. 냥. ((江戸 시대에는 작은 금화인 小判한 닢. 약 17.8g)); 양; 양호. 좋음. 또는 좋은 것; 4단계의 성적 평가에서, 두 번째; 《흔히 接尾語적으로 씀》 료; 재료; 대금. 요금. 보수; ⇒ りゅう1.; (목조 건물의) 들보. 〔동의어〕はり; 시원함. 서늘함. 또는 시원한 바람; 수렵. 사냥. 또는 사냥한 것. 〔동의어〕狩り·狩猟; 능. 천황·황태후·태황태후의 무덤. 〔동의어〕みささぎ; 양. 부피; 양. 무게; 양. 수량; 분량; 많고 적음의 정도; 마음의 넓이. 도량(度量). 기량(器量); 능; 『수학』 다면체의 두 면이 접하는 선; 고기잡이. 어로. 또는 어획물; 『문어』 영토. 영지. 영역; 〈藩·국명에 붙어〉 그 藩·국가의 영토임을 나타냄. 령; 大宝令 제도에서, 지방 장관의 관명. ((「大領」와 「少領」가 있음)); 의관(衣冠)·갑옷 등을 세는 단위. 벌; (학생·종업원 등을 위한) 기숙사; 다도(茶道)에서, 다실(茶室)로 만든 작은 건물. 〔동의어〕数寄屋; 「大宝令」에서, 「省」에 딸린 관아. ((「大学」 「陰陽」 「図書 등의 각 「寮」)); 《「~とする」의 꼴로》 납득하다. 이해하다. 양해하다; 영혼. 사람에게 지벌을 내리는 생령(生靈)이나 사령(死靈); (여행이나 행군할 때 가지고 가는) 식량. 양식. 병량(兵糧)
皇后
『문어』 교합. 성교(性交). 교접(交接). 〔동의어〕交媾·媾合; 황후. 〔동의어〕后; 향합. 〔동의어〕香箱; ⇒ きょうごう; 『문어』 구합. 성교. 교접(交接). 〔동의어〕交合; 『불교』 광겁. 매우 긴 세월
次女
차녀. 둘째딸. 〔반의어〕 次男; 차서. 순서. 차례; 『문어』 자조; 자서; 『문어』 자서. 스스로 자신에 대하여 적음; 『문어』; 아녀. 아이와 여자. 아녀자; 남아와 여아; 자녀. 특히, 여아(女兒); 『문어』 사물의 순서; 시녀. 여자 몸종. 〔동의어〕腰元; 이여. 너나들이. 무간한 사이
愛子
『러시아어』 ⇒ まさご1..; 『문어』 귀여운 아기. 사랑하는 자식. 〔동의어〕愛児·いとしご.
雅楽
화학. 그림을 연구하는 학문. 또는 그림을 그리는 기술.; 『음악』 아악. ((일본 재래의 음악과 중고(中古)에 중국·조선에서 전래된 음악으로 이루어짐))
今日午後、愛子さまと佳子さまは、皇居・東御苑にある楽部庁舎を訪れ、秋季雅楽演奏会を鑑賞されました。
楽
『문어』; 학문; 학식. 식자(識字); 배움; 음악; 能楽에서, 무악(舞樂)의 기법을 도입한 춤; 『식물·식물학』 악. 꽃받침. 〔동의어〕うてな; 액. 액수. 금액; (사진·그림 등의) 틀. 액자. 또는 편액(扁額). 현판(懸板)
演奏
『문어』 연총. 연수(淵藪). 사물이 많이 모이는 곳. 중심으로서 번영하고 있는 곳; 연주; ⇒ えんず
会
《고어》 대체적인 방향·위치·시간을 나타냄; 겹치거나 거듭된 것을 세는 말. 겹. 〔동의어〕重り; 《고어》 (바다·호수 등의) 후미. 〔동의어〕入り江; 《고어》 가지. 〔동의어〕えだ; 자루. 손잡이; 『문어』 모이. 미끼. 먹이. 〔동의어〕えさ; 많은 사람이 모여서 하는 법회(法會)·제례(祭禮); 《고어》 돌림병. 〔동의어〕えき; 그림; (텔레비전의) 영상. 화면; 『문어』 《뒤에 否定語가 따름》 잘 …하지 않다. 도저히 …할 수 없다; 회화에서, 긍정·승낙을 나타내는 말. 예. 네; 회화에서, 감동·놀람·의문을 나타냄. 예. 네. 뭐; 〈名詞에 붙어〉 남에게 말을 걸 때 쓰는 예스러운 말; 〈「か」 「だれ」 「何」 등 의문을 나타내는 말이나, 「だ」 「です」 등에 붙어〉 의문의 뜻을 강조함; 〈말 끝에 붙어〉 어조를 부드럽게 하거나 친근감을 나타내거나 함
今日
광. 그 일에 열중하는 사람임을 나타냄; 협. 협곡(峽谷)임을 나타냄; 교. 종교임을 나타냄; 교. 다리임을 나타냄; 경. 거울임을 나타냄; 오늘. 금일. 〔동의어〕本日; 흉. 운수가 나쁨. 불길함. 〔동의어〕不吉. 〔반의어〕 吉; 〈「共産党」의 준말〉 공산당; 〈「共産主義」의 준말〉 공산주의; 『문어』 수도. 서울. 〔동의어〕首都; 京都. 〔참고〕 옛날에 일본의 수도였음; 『수학』 경. 조(兆)의 1만 배. 〔동의어〕京; 「いろは歌」의 끝에 붙이는 말; 《「香車」의 준말》 일본 장기짝의 하나; 강함. 강자; (어떤 수량에 붙어) 그보다 조금 더 됨을 나타냄. 〔반의어〕 弱; 『불교』 불경. 경문. 〔동의어〕お経; 성전(聖典). 경서(經書); 『문어』 고향. 〔동의어〕ふるさと; 곳. 장소. 지역; 어떤 장소나 경우; 마음의 상태. 경지; 경; 장소. 범위. 처지; 심경. 경지(境地); 흥; 흥취. 흥미. 재미. 〔동의어〕面白み; 좌흥(座興); 『문학』 한시(漢詩) 육의(六義)의 하나. 어떤 사물에 접하여 자기의 감흥을 표현함
鑑賞
『문어』 권상. 칭찬하여 격려함; 감상; 감상; 공적을 칭송하여 주는 상; 관장; 환소. 기뻐하여 웃음; 완충; 『지리·지학·지명』 환초; 간벽(癎癖). 신경질. {문어·ナリ 활용 }; 관상; 관상(觀相)이나 가상(家相)을 보는 일; 관조; 『미술』 작품의 미를 직관적(直觀的)으로 파악함; 관상; 감상; 간첩. 간단하고 빠름. 간결 민첩. {문어·ナリ 활용 }; 간섭; 참견; 『법률』 국제법상 한 나라가 타국의 내정·외교 등에 강제적으로 개입함; 『물리』 두 음파(音波)나 광파(光波)가 겹쳐서 강해지거나 약해지는 현상; 『문어』 간상. 악덕 상인; 완승. 〔반의어〕 完敗; 관공서. 관청; 『문어』 관생. (편지글에서) 인사말을 생략함. 관략(冠略). 전략(前略); 권장
東
넓게는 일본 本州 동부 지방의 총칭. 좁게는 関東 지방을 일컬음; 京都에서, 鎌倉 또는 鎌倉幕府를 지칭한 말; 「あずま琴」의 준말. 〔참고〕 1.~3.은 「吾妻」 「吾嬬」로도 씀
皇居
공허. 관허(官許); 『문어』 항거; 황거. 천황이 거처하는 곳. ((「宮城」의 고친 이름)); 일정한 지점에서 위로 잰 높이; 『문어』 구거. 도랑. 개골창; 『문어』 훙거. 서거. ((황족(皇族)이나 삼품(三品) 이상인 사람의 죽음에 대한 높임말)) 〔동의어〕薨逝
午後
오후. 하오. 〔반의어〕 午前; 말 한 마디 한 마디
訪れ
『문어』; 방문. 내방. 찾아옴. 찾아감; 소식. 기별
部
《名詞 등에 붙어 形容動詞의 어간을 만듦》 부정의 뜻을 나타냄. …가 없음. …가 좋지 않음. …가 아님; 승부의 형세. 우열의 정도; 이익의 정도. 배당(액)·할당(량); 판(板) 등의 두께. 또는 부피; 1·1할·1치·1문(文)의 각각 10분의 1. 푼. 분; 전체를 10등분한 것. 할; 옛날 화폐의 단위. 1両의 4분의 1; 『음악』 전음(全音)을 등분한 길이; 무; 무예. 무술; 군사력. 무력; 비율. 이율; 형세; 수수료. 구전; 토지 면적의 단위. 보. ((1歩는 여섯 자 평방. 약 3.3평방 미터)) 〔동의어〕坪; 町·反의 뒤에 붙어 그 면적의 끝수가 없음을 나타내는 말. 보; 부; 한 구분; (조직체의) 구성 부분의 하나; 동호인의 클럽; …부; < 1> 의 2.3.의 뜻으로 名詞 뒤에 붙음; 특정 부분을 나타냄; 책·문서를 세는 말. 부; 전체를 나눈 구분을 세는 말. 부
御苑
황실 소유의 정원; 「宴会」의 높임말
愛子
『러시아어』 ⇒ まさご1..; 『문어』 귀여운 아기. 사랑하는 자식. 〔동의어〕愛児·いとしご.
庁舎
청사.; (동물원 등에서) 새를 넣어 두는 새장.
雅楽
화학. 그림을 연구하는 학문. 또는 그림을 그리는 기술.; 『음악』 아악. ((일본 재래의 음악과 중고(中古)에 중국·조선에서 전래된 음악으로 이루어짐))
秋季
『불교』 주기. 회기. 〔동의어〕回忌·年忌.; 『물리』 주기.; 종규. 종교상의 규약.; 『문어』 추기.; 가을의 싸늘한 공기.; 가을다운 느낌. 가을다운 경치.; 추계. 가을철.; 추기.; 취기. 악취. 〔동의어〕臭み. 〔반의어〕 香気.; 『문어』 버릇. 습관.; 종기.; 계속되던 일이 끝나는 시기.; 『법률』 법률 행위의 효력이 없어지는 기한. 〔반의어〕 始期.
開演前、お二人は笑顔で楽しそうに話をされていました。
笑顔
웃는 얼굴. 웃음 띤 얼굴
前
전. 모든; 《名詞에 붙어 形容動詞를 만듦》 …연하다. …인 체하다; 전. 이전; 「紀元前」의 준말; 전; 바로 앞; ‘…에 앞선’ ‘…이 되기 이전의’의 뜻을 나타냄; 둘 중의 앞쪽의 뜻을 나타냄. 〔반의어〕 後; 전; 앞. 이전. 〔반의어〕 後; 〈햇수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년 앞’ ‘…년 전’의 뜻을 나타냄. 〔반의어〕 後; 선. 좋은[옳은] 일. 선행. 덕행(德行). 〔반의어〕 悪; 『불교』 선; 잡념을 떨치고 정신을 통일하여 무아지경에 이르러 진리를 깨달음; 「禅宗」의 준말; 「座禅」의 준말; 『문어』 서서히 진척되어가는 모양; (요리를 얹는) 상. 밥상. 요리가 차려진 상. 〔동의어〕お膳; (밥·국 등) 공기에 담은 것을 세는 말. 공기; 젓가락 한 쌍을 세는 말. 벌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二
《名詞 등에 붙어 形容動詞의 어간을 만듦》 불. 부. 〔참고〕 관용상 「ぶ」로 되는 경우도 있으며, 이 때 흔히 「無」로도 씀; …을 하는 남자. 부. 원(員). 〔반의어〕 婦; …을 하는 여자. 부. 〔반의어〕 夫; 둘. ((소리내어 수를 셀 때의 말)) 〔동의어〕ふたつ·ふう; 중국 고대의 화폐; 『문어』 무녀. 무당; 『문어』 중심지; 《고어》 지방 관청. 또는 그 소재지; (일본 장기의) 졸. 〔동의어〕兵; 『문어』 부고. 부음. 〔동의어〕訃音; 『수학』 부. 음(陰). 〔반의어〕 正; 『물리』 음극(陰極); 부적; 옛날 상급 감독 관청에서 하급 관청에 내린 공문서; 부; 증표(證票); 기호. 부호; 《고어》 부. 풍부함. 부자임. 〔반의어〕 貧; 반점. 얼룩. 〔동의어〕まだら; 내장; 사려 분별. 생각. 근성(根性); 부; 『문학』 시경(詩經)의 육의(六義)의 하나. 비유법을 쓰지 않고 느낀 것을 그대로 읊는 시의 서술법; 『문학』 글귀 끝에 운(韻)을 달고 대구(對句)를 많이 쓰는 한문체(漢文體)의 하나; 토지 또는 인구에 할당되던 조세(租稅); 밀가루에서 얻어지는 글루텐으로 만든 식품. ((「生麩」와 「焼麩」가 있음)); 보; 『음악』 음보(音譜). 악보(樂譜); 기보(碁譜); 〈흔히, 接尾語적으로 씀〉 계통을 세워 순서 있게 적은 기록. 계보. 도감
話
소곤대는 이야기. 밀담
開演
『지리·지학·지명』 해연. 해구(海溝) 중에서 특히 깊은 곳.; 개원. 〔반의어〕 閉園.; 동물원·식물원·유치원 등을 개설함.; 유원지·동물원·공원 등을 열어 입장시킴.; 개연. (연예·연극·연설 등의) 그 날의 프로그램을 개시함. 〔반의어〕 終演.
愛子さまが雅楽を鑑賞されるのは初めてです。
鑑賞
『문어』 권상. 칭찬하여 격려함; 감상; 감상; 공적을 칭송하여 주는 상; 관장; 환소. 기뻐하여 웃음; 완충; 『지리·지학·지명』 환초; 간벽(癎癖). 신경질. {문어·ナリ 활용 }; 관상; 관상(觀相)이나 가상(家相)을 보는 일; 관조; 『미술』 작품의 미를 직관적(直觀的)으로 파악함; 관상; 감상; 간첩. 간단하고 빠름. 간결 민첩. {문어·ナリ 활용 }; 간섭; 참견; 『법률』 국제법상 한 나라가 타국의 내정·외교 등에 강제적으로 개입함; 『물리』 두 음파(音波)나 광파(光波)가 겹쳐서 강해지거나 약해지는 현상; 『문어』 간상. 악덕 상인; 완승. 〔반의어〕 完敗; 관공서. 관청; 『문어』 관생. (편지글에서) 인사말을 생략함. 관략(冠略). 전략(前略); 권장
初めて
최초로. 처음으로; 비로소
愛子
『러시아어』 ⇒ まさご1..; 『문어』 귀여운 아기. 사랑하는 자식. 〔동의어〕愛児·いとしご.
雅楽
화학. 그림을 연구하는 학문. 또는 그림을 그리는 기술.; 『음악』 아악. ((일본 재래의 음악과 중고(中古)에 중국·조선에서 전래된 음악으로 이루어짐))
天皇ご一家の側近によりますと、愛子さまは、去年、学習院大学の選択科目で日本の伝統芸能についてオンラインで授業を受けるなど雅楽に大変関心をお持ちで、
受ける
받다; (어떤 행위에) 응하다. 받아들이다; 타고나다. 〔참고〕 「享ける」 「稟ける」로도 씀; 이어받다. 뒤를 잇다. 계승하다. 〔참고〕 「承ける」로도 씀; (피해 등을) 입다. 받다. 〔동의어〕こうむる; (빛·바람을) 받다. 향하다. 면하다; 인정하다. 승낙하다. 믿다; 『언어학』 문법에서, 뒤의 어구(語句)가 앞 어구에 형식이나 의미상 호응하다. 받다. 【문어형】 う·く {하2단 활용}; 호평을 받다. 인기를 얻다. 갈채를 받다; (돈을 치르고) 돌려 받다; 도급하다. 떠맡다. 【문어형】 う·く {하2단 활용}
日本
일본. 〔동의어〕にほん
一家
일하. 한 번 내림; 《物·数》 일가; 일가; 한 집; 한 가족. 가족 전체; 노름꾼 등 특수한 조직[단체]. 일당; (학문·예술 등에서) 독자적인 한 유파. 한 방면의 권위. 독자적 존재; 일과. 한 번 통과함
科目
과목; 개개의 항목; 학문의 항목.〔동의어〕課目; 과목; ⇒ 科目2.; 『문어』 말수가 적은 모양. 과묵함. {문어·ナリ 활용 }
関心
감심; 납득함. 동의함; 간신; 『의학』 한진. 땀띠. 〔동의어〕あせも; 한심. (근심이나 두려움 등으로) 오싹함. 두렵게 여김; 감심. (훌륭한 물건·행동 등에 대해) 깊이 마음으로 느낌. 칭찬할 만하다고 여김; 역설적으로, 어처구니없는 행위에 놀람을 나타냄. 기가 막힘. 어이없음. 질림; 기특함. 신통함. {문어·ナリ 활용 }; 관심; 환심; 감진. 지진을 감지함
選択
선탁. 신탁(神託). 〔동의어〕託宣; 세탁. 빨래. 〔동의어〕洗い濯き; 선택
大変
『문어』 큰일. 큰 변고. 대사건 〔동의어〕一大事; 대단함. 굉장함. 엄청남. 중대함; 힘듦. 고생스러움. たい-へんさ 【명사】 {문어·ナリ 활용 }; 매우. 몹시. 무척. 대단히. 굉장히; 『수학』 대변. 맞변
伝統
『불교』 전등. (스승이 제자에게) 부처의 가르침을 전수함. 〔동의어〕伝法. 〔참고〕 불법이 중생의 마음을 밝히는 등불이라는 데서; 전통; 전등. 전등불
芸能
예능. 연예
天皇
『문어』 ⇒ すめろぎ
去年
거년. 작년. 지난해.〔동의어〕昨年
授業
『문어』 수업. 학예의 가르침을 받음; 수업
持ち
부담; 품질이나 기능이 변하지 않고 오래 이어짐; (바둑·장기 등의 승부에서) 무승부. 비김. 〔동의어〕引き分け·持; 소유함. 지님; 《体言에 붙어》; 몸에 지님[지닌 사람]의 뜻을 나타냄; 지니기에 적합하다는 뜻을 나타냄. 용(用); 부담하는 뜻을 나타냄; 『러시아어』; 보름날. 망일. 〔동의어〕望の日; 떡. 찰떡. 〔동의어〕もちい; 찹쌀·차조 등 차진 곡식. 〔반의어〕 粳; 끈끈이. 〔동의어〕鳥もち; 《속어》 《「もちろん」의 준말》 물론
側近
맞돈. 현금; 측근
愛子
『러시아어』 ⇒ まさご1..; 『문어』 귀여운 아기. 사랑하는 자식. 〔동의어〕愛児·いとしご.
オンライン
온라인.; (테니스·배구 등에서) 경계선상에 공이 떨어지는 일. ((유효타로 간주됨))
雅楽
화학. 그림을 연구하는 학문. 또는 그림을 그리는 기술.; 『음악』 아악. ((일본 재래의 음악과 중고(中古)에 중국·조선에서 전래된 음악으로 이루어짐))
鑑賞を希望されたということです。
希望
『문어』 기망. 일을 계획하여 이루어지기를 바람; 희망; 『문어』 귀모. 보통 사람이 생각 못할 뛰어난 계책; 『문어』 기망. 음력 16일 밤. 또는 그 밤의 달. 〔동의어〕十六夜. 〔참고〕 이미 「望(만월)」가 끝났다는 뜻; 『문어』 궤모. 남을 속이는 계책. 궤계(詭計)
鑑賞
『문어』 권상. 칭찬하여 격려함; 감상; 감상; 공적을 칭송하여 주는 상; 관장; 환소. 기뻐하여 웃음; 완충; 『지리·지학·지명』 환초; 간벽(癎癖). 신경질. {문어·ナリ 활용 }; 관상; 관상(觀相)이나 가상(家相)을 보는 일; 관조; 『미술』 작품의 미를 직관적(直觀的)으로 파악함; 관상; 감상; 간첩. 간단하고 빠름. 간결 민첩. {문어·ナリ 활용 }; 간섭; 참견; 『법률』 국제법상 한 나라가 타국의 내정·외교 등에 강제적으로 개입함; 『물리』 두 음파(音波)나 광파(光波)가 겹쳐서 강해지거나 약해지는 현상; 『문어』 간상. 악덕 상인; 완승. 〔반의어〕 完敗; 관공서. 관청; 『문어』 관생. (편지글에서) 인사말을 생략함. 관략(冠略). 전략(前略); 권장
愛子さまと佳子さまは説明者に質問しながら演奏を熱心にご覧になり、拍手を送られていました。
説明
설명
熱心
열심. ねっ-しんさ 【명사】 {문어·ナリ 활용 }
拍手
신에게 배례할 때 손바닥을 마주 쳐서 소리를 냄. 박장(拍掌). 〔참고〕 소리를 내지 않게 합장함은 「しのびで」라 함; 《고어》; 옛날, 궁중에서 천황의 수라상이나 잔칫상을 주관하던 사람. 〔참고〕 옛날, 떡갈나무잎에 음식을 담았던 데서 온 말
者
멍청이. 〔동의어〕まぬけ
演奏
『문어』 연총. 연수(淵藪). 사물이 많이 모이는 곳. 중심으로서 번영하고 있는 곳; 연주; ⇒ えんず
質問
질문
ながら
《格助詞 「の」와 같은 뜻·용법을 지닌 상대(上代)의 助詞 「な」에, 体言인 「から」가 붙어 생긴 말이라 함. 名詞, 副詞, 形容詞·形容動詞의 語幹, 形容詞의 連体形, 動詞 또는 動詞型活用의 助動詞의 連用形 등에 붙음. ‘…한 대로의 상태에서’의 뜻을 지닌 連用修飾句를 만드는 데 씀》; …그대로. …채로; 〈수량을 나타내는 말에 붙어〉 그대로 전부. 모두 다; 〈주로 계속적인 동작을 나타내는 動詞, 또는 受動·使役의 助動詞 「れる」 「られる」 「せる」 「させる」 등이 붙는 連用形에 붙어〉 두 가지 또는 세 가지 이상의 동작이 병행·계속되고 있음을 나타냄. …면서; 한정 또는 전제를 나타냄. …나마. …인데; 〈주로 존재나 상태를 나타내는 動詞의 連用形, 形容詞의 連体形에 붙어〉 내용이 모순되는 두 사항을 연결하는 뜻을 나타냄. …면서도. …지만. …데도. 〔참고〕 名詞·副詞 등에 붙는 「ながら」는 接尾語로 보는 견해도 있음
愛子
『러시아어』 ⇒ まさご1..; 『문어』 귀여운 아기. 사랑하는 자식. 〔동의어〕愛児·いとしご.
ヒロイン
「あぶら取りフィルム」から皮脂データ分析 花王が新サービス(2022年10月4日)
偵察飛行で情報共有も “ロボット消防隊”配備へ(19/03/23)
好きと言わせたい
秋篠宮さま・紀子さま、パラリンピック結団式にオンラインでご参加(2022年2月24日)
米の輸入差し止めに・・・ユニクロ「強制労働ない」(2021年5月26日)
カニなど海産物の電話勧誘に注意 「日本産が売れない、助けて」などの勧誘トークも(2023年11月9日)
東京で新たに212人の感染確認 4日連続で200人超(20/08/23)
FB利用者減でメタ株急落 時価総額26兆円超失う(2022年2月4日)
東京港・青海ふ頭でヒアリ約300匹 女王アリも見つかる(2022年7月15日)
You need to upgrade to a premium account to using this feature
Are you sure you want to test again?
Please upgrade your account to read unlimited newspap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