安倍総理大臣は昨日記者会見し、持病の潰瘍性大腸炎が再発したことを説明して辞任する意向を表明しました。
Prime Minister Abe announced his resignation The focus is "Position of Abe (2020/08/29)
1106 view安倍総理大臣は昨日記者会見し、持病の潰瘍性大腸炎が再発したことを説明して辞任する意向を表明しました。
安倍総理は、辞任する理由について「病気と治療を抱え、大切な政治判断を誤る、結果を出せないことがあってはならない」と説明しました。
今後の焦点は次の自民党総裁が誰になるかです。
自民党幹部によりますと、総裁選では党員・党友の投票を省略する形で行う方針を固めたということです。
岸田政調会長や石破元幹事長らに加えて菅官房長官が出馬するのか、選挙の構図に影響を与えるだけに注目が集まっています。
安倍総理大臣は昨日記者会見し、持病の潰瘍性大腸炎が再発したことを説明して辞任する意向を表明しました。
説明
설명
炎
염; 『화학』 불꽃. 〔참고〕 「焰」으로도 씀; 『의학』 염증; 원; 사람이 들어가 관상하거나 즐기는 정원이나 장소; (아동을 위한) 보호 및 교육 시설; 밭. 〔참고〕 1.~3.은 「苑」으로도 씀; 원. 동그라미; 『수학』 원; 일본의 화폐 단위. 엔. ((銭의 100배)); 『문어』 원. 원죄(寃罪). 억울한 죄. 〔동의어〕冤罪·ぬれぎぬ; 『문어』 연회. 잔치. 주연(酒宴). 〔동의어〕うたげ; 『화학』 염. 산(酸)과 염기(塩基)의 중화 작용으로 생기는 이온 화합물; 연; 『불교』 결과를 낳게 하는 간접적 원인·조건; 운명. 인연. 〔동의어〕めぐり合わせ; (부부·육친 간의) 인연. 연분; 계기. 기회; (일본 건축에서) 마루. 툇마루. 〔동의어〕縁側·ぬれ縁; 『문어』; 성적(性的) 감각을 자극하는 아름다움이 있음. 요염함. {문어·ナリ 활용 }
記者
기차; 기자; 희사; 『문어』 귀사. ((편지 등에서 씀)) 〔동의어〕御社; 기사. 말을 타고 달리면서 활을 쏨. 〔동의어〕馬弓. 〔반의어〕 歩射; 귀사. 회사로 돌아감
性
『문어』; 천성. 성품; 습관. 관습. 풍습. 〔동의어〕慣し; 『문어』 차아. 산이 높고 험함. {문어·タリ 활용}
大臣
《고어》 「大臣」 「公卿」 등의 높임말; 《고어》; 귀부인의 높임말
意向
이강. 이후. 〔동의어〕以後. 〔참고〕 비교적 긴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 씀; 의향. ((옷에 피워 배게 한 향내)); 의항. 옷걸이. 횃대. 〔동의어〕衣紋掛·衣架; 위광. 위세. 위력; ⇒ 異香; 이행. 옮아감; 『수학』 이항; 위공. 뛰어난 공로. 위훈. 〔동의어〕偉勲; 위효. 큰 효험; 의향. 뜻; 유공. 죽은 뒤에까지 남아 있는 공; 유구. 옛 건축의 잔존물; 유고. 죽은 사람이 남긴 원고; 《形容詞 「厳し」의 連用形 「いかく」의 音便》 몹시. 매우. 대단히. 심히. ((다소 예스러운 말)) 〔동의어〕ひどく·ずいぶん; (편히) 쉬다. 휴식하다. 【가능동사】 いこ·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会見
회견; 회원권. 회의 입장권; 개헌; 호신용 단검. 비수(匕首). 〔동의어〕ふところ刀·守り刀
再発
재발; 다시 발병함; (같은 일이) 다시 발생함
昨日
어제. 〔동의어〕さくじつ; (머지않은) 지난날. 과거; 기낭; 기구(氣球)의 가스 주머니; 『논리학』 귀납. 〔반의어〕 演繹; 귀농; 기능
大腸
『생리학』 대장; 대장. 천문대 등 「~台」의 우두머리; 연극의 각본. 대본
総理
『지리·지학·지명』 층리. 퇴적암의 성층(成層) 구조; 총리; 〈「内閣総理大臣」의 준말〉 수상. 총리 대신
表明
표명
辞任
자임; 스스로 자기의 임무로 여김; 자부(自負). 자처; 자인; 중세(中世)에, 신사(神社)에 봉사하여 그 보호를 받음으로써 종교적·신분적 특권을 가졌던 사람; 사임. 〔반의어〕 就任
持病
지병. 고질. 숙질(宿疾).; (몸에 밴) 나쁜 버릇.
潰瘍
해양. 바다. 〔반의어〕 大陸.; 『문어』 해용. 바다와 같이 넓은 마음으로 용서함. 해서. 〔동의어〕海恕.; 『의학』 궤양.
安倍総理は、辞任する理由について「病気と治療を抱え、大切な政治判断を誤る、結果を出せないことがあってはならない」と説明しました。
政治
한자 본래의 바른 글씨. ((「桜」에 대한 「桜」 등)) 〔반의어〕 俗字; 청자. 〔동의어〕青磁; 『문어』 정사. 정치. 〔동의어〕政; 정치; 『문어』 성사. 성대한 사업[행사]; 『문어』 성시; (운세 등이) 흥성한 때
説明
설명
理由
이유; 까닭. 〔동의어〕わけ; 『철학』 근거. 인식 근거
判断
판단; (좋고 나쁨, 옳고 그름, 참과 거짓 등을) 생각하여 정함; 『논리학』 어떤 대상에 대하여 무엇인가를 단정하는 사고 작용. 또는 그 언어 표현
結果
결과. 수업에 빠짐; 『문어』 결하. 홍수로 강물이 넘쳐 둑을 무너뜨림; 결과; 결실(結實); 어떤 원인에 의하여 생긴 결말이나 상태. 〔반의어〕 原因; 《「結跏趺坐」의 준말》 결가부좌. 결가; 『문어』 궐하. 임금의 앞
治療
치료
誤る
실패하다. 실수하다. 잘못을 저지르다. 틀리다; 도리에 어긋나다. 잘못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잘못하다. 실패하다. 틀리다. 어긋내다. 그르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용서를 빌다. 사과하다. 사죄하다. 〔동의어〕詫びる; 손들다. 항복하다. (질려서) 사양하다. 【가능동사】 あやま·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大切
대설; 24절기의 하나. ((12월 8일경)); 『문어』 대절; 중대한 사건. 〔동의어〕大事·; 『동물·동물학』 체절. 몸마디; 중요함. 귀중함. 소중함; 소중하게 다루는 모양. 물건을 아끼는 모양. 1.2.〔동의어〕大事. たい-せつさ 【명사】 {문어·ナリ 활용 }; 『문어』 내설. 강설이나 적설에도 잘 견디는 성질
病気
병; 질환. 〔동의어〕病·煩い; 나쁜 버릇. 악벽. 악습
抱え
고용함. 전속함; 기한부로 고용한 기녀나 창녀. 〔반의어〕 自前; 「かかえ帯」의 준말; 아름
総理
『지리·지학·지명』 층리. 퇴적암의 성층(成層) 구조; 총리; 〈「内閣総理大臣」의 준말〉 수상. 총리 대신
辞任
자임; 스스로 자기의 임무로 여김; 자부(自負). 자처; 자인; 중세(中世)에, 신사(神社)에 봉사하여 그 보호를 받음으로써 종교적·신분적 특권을 가졌던 사람; 사임. 〔반의어〕 就任
今後の焦点は次の自民党総裁が誰になるかです。
今後
금후. 차후. 이후
焦点
『문어』 소점; 작은 가게; 자기 가게의 겸사말; 소전. 한자 글씨체의 하나. 대전(大篆)을 간략화한 것으로 모양이 길쭉하며, 도장 등에 씀; 『언어학』 성점. 성부(聲符). 한자(漢字)의 사성(四聲)을 표시하는 부호점; 승천; 『기독교』 신도의 죽음. 〔참고〕 일반인의 죽음에 대하여도 씀; 상점. 가게. 〔참조어〕 商家; 초점; 『물리』 거울·렌즈에 들어온 빛이 모이는 점; 『수학』 타원·쌍곡선·포물선을 이루는 기본점; 관심·주의 등의 집중점; 『불교』; 성천을 본존으로 하여, 재난을 쫓고 부귀를 비는 기도법; 『문어』 충천. 기세가 대단함; 『문어』 상전; 상여(賞與)·포상에 관한 규정
誰
수. 오행(五行)의 다섯째. ((계절은 겨울, 방위로는 북, 색은 검정임)); 「水曜日」의 준말; 《속어》 당밀즙(糖蜜汁)만을 탄 얼음물; 물. 액체; 순수함. 또는 그런 것; 뛰어난 것. 정수(精粹); 세상 물정에 밝아 인정의 기미(機微)를 잘 앎. 특히, 남녀간의 애정에 이해가 많음. {문어·ナリ 활용 }; 화류계·예능계의 사정에 밝음. 멋을[풍류를] 앎. (언동이) 세련되어 있음. {문어·ナリ 활용 }; 추; 저울추. 분동; 방추(紡錘)를 세는 말; 시다. 신맛이 있다. 〔동의어〕すっぱい. 【문어형】 す·し {ク 활용}
次
차; 다음; 『화학』 산화(酸化)의 정도가 낮음; 『화학』 염기성염(鹽基性鹽); 횟수(回數). 빈도(頻度). 차례; 자; 자기; 〈시간·장소를 나타내는 名詞에 붙어〉 …부터. 〔반의어〕 至; 사. 절; 아; 아이. 아동; 남아;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사. 일. 사항; 시. 시간의 단위. 60분; 시각; 때. 기회; 〈옛 지명에 붙여〉 그 지방의 길.그 지방 또는 그 지방으로 가는 길임을 나타냄. 도(道). 가도. 지방; 하루의 행정(行程); 『문어』 나이를 나타냄; 〈10을 단위로 한 수에 붙여〉 그 정도의 나이를 나타냄; 토지. 땅. 지면; 그 지방. 그 고장; 본성. 본색. 천성. 본바탕; 기반. 기초; 천; 살결. 피부; 문장에서 작자가 설명한 부분; (바둑에서) 차지한 집; 실제. 실지(實地). 〔참조어〕 地で行く; 풋내기. 숫보기; 「地謡」 「地紙」 「地髪」의 준말; 글자. 문자; 글씨. 필적; (바둑 등에서) 비김. 무승부; 『의학』 치질. 〔동의어〕痔疾; 『문어』 사; 말. 글; 한문 문체의 하나; 『언어학』 일본어 단어를 문법상의 성질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한 것의 하나. 단독으로는 문절(文節)을 이루지 못하고, 언제나 詞(자립어)에 딸려서 문절을 구성하는 말. ((助詞·助動詞 등)) 〔동의어〕付属語·関係語. 〔반의어〕 詞; 『문어』; 자석. 지남철; 자기. 사기그릇; 새; 세 가지 신기(神器)의 하나인 八尺瓊曲玉. 〔동의어〕神璽; 《고어》 《動詞·助動詞의 未然形에 붙음》; 부정적인 추측을 나타냄. …않겠지. …않을 것이다. 〔동의어〕…ないだろう·…まい; 부정적인 결의를 나타냄. …하지 않으리라. …않을 작정이다. 〔동의어〕…まい
自民党幹部によりますと、総裁選では党員・党友の投票を省略する形で行う方針を固めたということです。
行う
(행위를) 하다. 행동하다; 실시하다. 실행하다; 거행하다; 처리하다. 취급하다; 《고어》 법으로 처리하다. おこな·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形
굳은. 딱딱한; (한 쌍 중의) 한쪽. 짝. 편; (둘이 있어야 할 것 중의 한쪽을 가리키는) 짝. 외; 불완전함; 한쪽에 치우침; 약간. 조금; 형. 모양. 형상. 〔동의어〕かたち; 저당. 담보. 〔동의어〕抵当; 흔적. 자국; 어깨; 어깨와 비슷한 부분. 산꼭대기에 가까운 평평한 부분; 옷의 어깨 부분; 물건 위쪽의 모서리 부분; 형. 본. 틀. 거푸집. 골; 무도(武道)·예도(藝道)·운동 등의, 규범이 되는 동작이나 일정한 형(型). 폼. 〔동의어〕フォーム; 습관으로 정해진 형식. 틀. 관례; 전형(典型). 형. 유형(類型). 〔동의어〕タイプ·パターン; 크기. 사이즈; 『지리·지학·지명』 사구(砂丘) 등으로 바다와 분리되어 생긴 호수나 늪. 석호(潟湖). 〔동의어〕せきこ; 개펄. 간석지(干潟地). 〔동의어〕ひがた; 《関西(관서)방언》 만(灣); 『문어』 과다. 퍽 많음. {문어·ナリ 활용 }; 분. ((남에 대한 높임말)); 『문어』 방향. 방위. 쪽. 편. 〔동의어〕むき·方位; 『문어』 즈음. 시절. 무렵. 시대. 〔동의어〕ころ·時分; 『문어』 장소. 곳; 『문어』 〈흔히 否定語가 따름〉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를) 방법. 수단; 둘 가운데 한쪽. 편; 담당자. 〔동의어〕係; 〈남의 이름에 붙어〉 그 사람 집에 의지하고 있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방법. 수단; 〈動詞의 連用形이나 サ変動詞의 語幹에 붙어〉 …을 함. …하기; 사람을 셀 때의 높임말. 분. ((「おひとかた(한 분)」 「おふたかた(두 분)」 「おさんかた(세 분)」의 꼴로만 씀)); 『문어』 과다함. 〔반의어〕 過少. {문어·ナリ 활용 }
友
벗; 친구; 동지. 동료. 한패; 늘 가까이하여 위안으로 삼는 것. 또는 유용하게 쓰이는 것; 같음. 함께임. 동시; ‘같은 질(質)의’ ‘같은 재료의’ ‘동류의’의 뜻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서 변한 名詞에 붙어〉 ‘함께’ ‘동시에’의 뜻을 나타냄; 《複数의 것을 나타내는 名詞에 붙어》; ‘전부’ ‘함께’의 뜻을 나타냄; ‘…을 포함하여’의 뜻을 나타냄; 能楽에서 주역이나 그 상대역의 종자(從者) 등의 가벼운 역. 〔참고〕 2.의 경우는 보통 「トモ」로 かたかな로 씀; 활을 쏠 때 왼쪽 팔목 안쪽에 대는 가죽으로 만든 물건. 팔찌. ((활시위가 팔목을 치는 것을 막기 위한 것)); 선미(船尾). 고물. 〔동의어〕船尾. 〔반의어〕 舳先; 《格助詞 「と」에 係助詞 「も」가 붙은 것》 格助詞 「と」가 붙은 말을 강조함; 《接続助詞 「と」에 係助詞 「も」가 붙어 된 말. 「う」 「よう」 「ず」 등 助動詞의 終止形, 形容詞 및 「ない」 등 助動詞의 連用形에 붙음》; 역접(逆接)의 가정 조건(假定條件)을 나타냄. …더라도; 〈「多く」 「少なく」 등의 말에 붙어〉 副詞적으로 수량이나 정도의 한도를 나타냄;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어》 의문·반대의 여지가 없음을 나타냄. …고말고
党
도. 섬; 짐승을 세는 단위. 마리. 두; 《文語 形容詞 「とし」의 連用形 「とく」의 변한말》 아주 이른 시기. 훨씬 이전. 〔동의어〕とっく. 〔참고〕 「~から」 「~に」의 형태로 副詞적으로도 쓰임. 〔참조어〕とうから·とうに; 칼; 도. 칼. 날붙이; 도리에 맞음. 적절함. 합당함; 거기에 직접 해당되는 일. 또는 사람; 등. 등불; 등. 등불; 등불의 수를 세는 말. 개; (야구에서) 투수력. 〔반의어〕 打; 당; 무리. 패거리. 도당; 정치적 단체. 정당; 《고어》 (중세 때에) 무사(武士)들이 결성한 연합체; 당. 정당; 『역사』; 당. 수(隋) 다음의 중국 왕조의 이름; 옛날, 중국 또는 외국의 일컬음; (야구에서) 「盗塁」의 준말; 탑; 『불교』 사리(舍利)를 모시거나 공양을 하거나 영지(靈地)임을 나타내기 위한 높은 구축물; 높고 뾰족하게 세운 건물. 〔동의어〕タワー; 등급. 계급; 등. 등등. 들. 〔동의어〕など·等々; 순위. 등위; 같음. 동등함; 『문어』 탑. 상탑. 좁고 길다란 평상. 〔동의어〕腰掛 け·寝台; 당. 당분; 당. ((수용액(水溶液)이 단맛을 보이는 탄수화물)); 『식물·식물학』 등. 등나무; 『식물·식물학』 (평지나 머위 등의) 대. 꽃대; 묻다; 질문하다. 〔동의어〕尋ねる. 〔반의어〕 答える; 추궁하다. 〔동의어〕追及する; 〈흔히, 「…罪に~·われる」의 꼴로 씀〉 죄를 추궁하다. 문초하다; 문제 삼다. ((흔히, 否定의 꼴로 씀)) 【가능동사】 と·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문어』 찾다. 방문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投票
등표. 등화 항로 표지; 투표
省略
생략; 상략. 상업상의 책략
方針
방침; 『문어』 ⇒ 芳志; 『문어』; 꽃소식. 화신(花信). 〔동의어〕花だより; 방심; (딴 일에 정신이 팔려) 멍함; 안심. 방념. 〔참고〕 2.는 「放神」으로도 씀; ⇒ 法身; 포신; 『의학』 포진. 〔동의어〕ヘルペス
幹部
『문어』; 문관과 무관; 간부; 환부
選
수의 단위. 1의 1000만분의 1; 차린 음식. 밥상. 〔동의어〕膳部; 선. 큰배; 전; 전쟁; 시합; 경쟁; 종이; 옛 화폐 단위. 貫의 천분의 1. 〔동의어〕文; 화폐 단위. 円의 백분의 1; 돈. 특히, 금속 화폐; 천; 많음. 〔참고〕 서류에 금액 등을 적을 때는 「仟」 「阡」을 씀; 『문어』 신선. 선인; 앞. 장래. 미래. 〔동의어〕将来; 이전. 전. 〔동의어〕以前; 어떤 것 이전에 있던 것. 전 것; (바둑·장기 등에서) 선. 선수. 〔동의어〕先手; 마개. (수도) 꼭지; 『생리학』 선. 샘. 동물의 분비 기관(分泌器官); 방도. 방법; 효과. 보람. 〔동의어〕かい·効果; 결국. 필경; 『문어』 찬; 시나 문장을 지음; 많은 작품 중에서 골라 편집함; 선; 실처럼 가늘고 긴 것. 금. 줄; 방향. 방침; 수준. 기준. 한도. 범위; 윤곽. 인상. 느낌; 교통·통신·전기의 선. 노선. 항로; 『수학』 선. ((위치와 길이는 있으나 폭과 두께가 없는 것)); 도로·철도·항공 노선 등을 뜻함. 선; 선. 가려 냄. 뽑음. 뽑은 것; 「選集」의 뜻을 나타냄. 선집; 「選挙」의 뜻을 나타냄. 선거; 전. 벽돌의 한 가지; 『문어』 전. 모직 깔개. 양탄자. 〔동의어〕毛氈; 천. 온천
固め
굳힘. 단단하게 함. 확실하게 함; 굳은 약속. 맹세; 수비. 방비; 한쪽 눈. 〔반의어〕 両目; 애꾸눈. 외눈. 〔동의어〕隻眼·独眼; 약간 굳은 정도. 되직함
党員
『문어』 당원. 이 병원.; (정당의) 당원.; 등원. 의원이 의회에 나감.; 두운. 시가(詩歌)에서 어구의 첫머리에 같은 음을 되풀이하여 쓰는 운율. 「よき人のよしとよく見てよしと言ひし」의 「よ」 등. 〔동의어〕アリタレーション. 〔반의어〕 脚韻.
岸田政調会長や石破元幹事長らに加えて菅官房長官が出馬するのか、選挙の構図に影響を与えるだけに注目が集まっています。
与える
(자기 것을 남에게) 주다; 공급하다. 과(課)하다. 할당하다. 부여하다. 〔동의어〕あてがう; (손해 등을) 입히다. 끼치다. 가하다. 1.~3. 〔동의어〕あたう. 【문어형】 あた·ふ {하2단 활용}
元
사물의 근원을 나타냄; 원; 『역사』 원조(元朝); 중국의 화폐 단위; 『문어』; 오묘함. 으늑함; 검은색; 말. 언어. 어구; 현; (악기의) 현; 활시위. 활줄; 『수학』 현; 현. 현재; 현재의; 뱃전. 〔동의어〕船ベり·船端; 감. 감소. 〔반의어〕 増; 감산. 뺄셈; 영검(靈驗). 효험. 〔동의어〕効き目·効能; 길흉의 조짐; 《흔히, 「~として」의 꼴로 副詞적으로 씀》 엄중함. 엄숙함. 의연(毅然)함. 엄연함. 냉엄함
影響
『문어』 영경. 영국의 수도; 영향
加える
보태다. 더하다. 가하다; 늘리다. 더하다; 넣다. 가입시키다; 덧붙이다. 첨가하다; 주다. 끼치다. 입히다. 베풀다. 【문어형】 くは·ふ {하2단 활용}; 데리고 가다. 동반하다. くは·ふ {하2단 활용}
注目
주목; 주시함. 관심을 가지고 지켜 봄; 구(舊)군대 등에서, 경례의 한 가지. 지휘관에 주목하여 경의를 표함. 또는 그 구령
長官
위. 위쪽. 〔반의어〕 下; 상류. 〔동의어〕川上. 〔반의어〕 下; 앞부분. 앞. 첫머리; 초(初). 처음. 상순(上旬). 〔반의어〕 下; 이전. 예전. 옛날; 지체가 높은 분; 군주. 〔동의어〕天皇. 〔반의어〕 下; 〈흔히 「お~」의 꼴로〉 주군(主君). 주인; 〈흔히 「お~」의 꼴로〉 조정. 정부; 윗자리. 상좌(上座). 상석(上席). 〔반의어〕 下; 궁궐(宮闕)이 있는 곳. 즉 京都. 또는 그 지방. 〔반의어〕 下; 특히 京都 시내에서 북쪽; (부엌에 대하여) 안(쪽) 〔반의어〕 下; 객석에서 볼 때 무대의 오른쪽. 〔동의어〕上手. 〔반의어〕 下; 『역사』 대신(大臣). 대장(大將). 태수(太守). 수령(守令). (중앙·지방 관청의) 장관. 〔참고〕 관청에 따라 「頭·督·伯·正·大夫」 등으로도 썼음. 읽기는 모두 「かみ」; 신. 하느님. 신령. 특히, 부처에 대한 神道의 신; (가위바위보에서) 보. 〔동의어〕ぱあ. 〔반의어〕 石·はさみ; 머리털. 머리칼. 머리. 〔동의어〕頭髪; 손질한 머리 모양. 〔동의어〕髪形; 『문어』 가미; (음식에 다른 조미료 등을 넣어) 맛을 더함; (비유적으로) 어떤 것에 다른 것의 요소를 덧붙이거나 곁들이는 일; 가미; 좋은 맛. 진미(珍味). 훌륭한 맛; (비유적으로) 재미. 〔동의어〕面白み
選挙
『문어』 점거. 어떤 장소를 차지하고 있음; 점거; 『문어』 선거. 〔동의어〕ドック1.; 선거; 천거. 추천.〔동의어〕推薦
集まる
모이다. 모여들다. 집합하다. 【가능동사】 あつま·れる【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長
『문어』; 장. 우두머리. 두목. 〔동의어〕かしら·ちょう·首長; 가장 뛰어난 것; (베틀의) 바디
会長
회장; 『생물학』 회장; 『문어』 (내장이 뒤틀릴 만큼) 매우 감동함; 괴조. 괴금; 쾌조. 호조(好調). {문어·ナリ 활용 }; 해조. 바닷새. 〔동의어〕うみどり; 『문어』 해조. 조수(潮水). 〔동의어〕うしお; 개청. 관청이 집무를 개시함; 『불교』 불감(佛龕)을 열어 일반인에게 평소에 공개하지 않는 불상과 조사(祖師)의 상(像) 등을 공개함. 〔동의어〕開扉; 노름판을 엶; 편 날개의 길이. ((나비·잠자리 등 곤충이 날개를 수평으로 폈을 때의 폭)) 〔동의어〕開扉; 『문어』 해조; (문장·음악 등이) 잘 조화됨; 잘 조화된 가락. 〔동의어〕ハーモニー
構図
호사. 별난 것을 좋아함. 호기(好奇). 〔동의어〕物好き. 〔참고〕 好事는 딴말임; 구도; 『수학』 구성한 도형(圖形); 토지 등기부에 쓰이는 지명·면적 등을 표시하는 지도
菅
『식물·식물학』; 「かさすげ」의 옛이름
幹事
지각함. 감각. 감촉; 인상; 기분. 분위기; 감상; 『문어』 관사. 관청의 사무; 어떤 말 앞에서 그 말을 수식하는 말; 간사; 한자. 〔동의어〕真名·本字; 감사; 단체의 서무를 맡아보는 사람[직무]; 『법률』 법인(法人)의 업무·회계를 감사하는 기관. 감사역; 『문어』 빙그레 웃는 모양. 〔참고〕 여자일 때는 「嫣然」이라고 씀. {문어·タリ 활용}
官房
『문어』 간모. 간계(奸計); 『정치』 관방. 내각 및 각 성(省)등에서 장관에 직속하여 인사·문서·회계 등의 총괄적 사무를 담당하는 기관; 관방. 서화(書畵)의 오른편 위쪽에 찍는 직사각형 도장. 두인(頭印). 인수인(引首印); 『의학』 감모. 감기. 〔동의어〕風邪·; 감방. 수용실; 『문어』 관망; (경치 등을) 넓고, 멀리까지 바라봄; (사태의 추이를) 약간 거리를 두고 바라봄
政調
정조.; 본래의 정상적인 상태.; 『음악』 민요 등의 전통적인 바른 곡조.; 생장.; 성장함. 〔참고〕 현재 2.의 뜻으로는 「成長」를 많이 씀.; 성장.; (사람·동물이) 자라서 성숙함.; 규모가 커짐. 발전. 〔동의어〕拡大.; 성조. 다 자라서 생식 기능을 가진 새.; 성조. 목소리의 가락.; 시가(詩歌)의 가락.; 성징. 자웅의 신체상의 특징.; 정청. 정무를 보는 관청.; 《「政務調査」의 준말》 정무 조사.; 「清朝体」의 준말.; 청청. 남이 자기 이야기를 들어 주는 것을 높이어 이르는 말.; 정청. 조용히 들음.; 정장. 장의 기능을 조정하는 일.; 정조.; 경조(競漕)에서, 타수(舵手)와 마주앉아서 조수(漕手) 전원의 노젓기를 조정하는 일. 또는 그 사람. 정조수.; 청징. 맑고 깨끗함. {문어·ナリ 활용 }
出馬
출마.; 말을 타고 나감. 특히 싸움터에 나감.; (지위가 높은 사람이) 몸소 현장으로 나감.; (선거 등에) 입후보함.
歴史ある映画館で繰り広げられるドラマ!映画『シネマの天使』予告編
“SNSに潜む危険”警視庁がオンラインで防犯教室(2020年12月12日)
伊ベネチア21人死亡バス事故 現場にブレーキ痕なし 高架から15m転落し火災も(2023年10月4日)
大きな噴石が・・・西之島また噴火 さらに広がる可能性(19/12/16)
西東京 多摩六都科学館に新旧ロボットが集合
ビール市場18年ぶりプラスに 各社が新戦略(2023年1月13日)
食わず女房ラフ 2-3
菅内閣が発足 菅総理「国民のために働く内閣」(2020年9月17日)
東京都の時短要請受け・・・外食チェーン対応検討急ぐ(2020年11月26日)
日本航空 赤字が大幅改善 7月から9月までの四半期で約3年ぶり黒字(2022年11月1日)
You need to upgrade to a premium account to using this feature
Are you sure you want to test again?
Please upgrade your account to read unlimited newspap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