今日紹介するのは水中を華麗に泳ぐ金魚蝶尾です
今日紹介するのは水中を華麗に泳ぐ金魚蝶尾です
蝶のような尾ひれを持つとっても美しい金魚なんだ
ヒラヒラと蝶が飛んでるみたいできれいでしょう
さらに白黒のこちらはまるまる蝶尾って呼ばれているんだけど、 何だか分かる?
正解はパンダ蝶尾
白と黒のコントラストがパンダみたいでしょう
生き物係を今年もよろしくお願いします
今日紹介するのは水中を華麗に泳ぐ金魚蝶尾です
紹介
『문어』; 『기독교』 장로의 모임; 초계. (군대에서) 적의 공격을 경계하여 망을 봄; 상회. ((흔히, 회사·상점명에 붙여 씀)); 상계. 상업계; 소개; 조회; 상해. 상세한 풀이[해석]
今日
광. 그 일에 열중하는 사람임을 나타냄; 협. 협곡(峽谷)임을 나타냄; 교. 종교임을 나타냄; 교. 다리임을 나타냄; 경. 거울임을 나타냄; 오늘. 금일. 〔동의어〕本日; 흉. 운수가 나쁨. 불길함. 〔동의어〕不吉. 〔반의어〕 吉; 〈「共産党」의 준말〉 공산당; 〈「共産主義」의 준말〉 공산주의; 『문어』 수도. 서울. 〔동의어〕首都; 京都. 〔참고〕 옛날에 일본의 수도였음; 『수학』 경. 조(兆)의 1만 배. 〔동의어〕京; 「いろは歌」의 끝에 붙이는 말; 《「香車」의 준말》 일본 장기짝의 하나; 강함. 강자; (어떤 수량에 붙어) 그보다 조금 더 됨을 나타냄. 〔반의어〕 弱; 『불교』 불경. 경문. 〔동의어〕お経; 성전(聖典). 경서(經書); 『문어』 고향. 〔동의어〕ふるさと; 곳. 장소. 지역; 어떤 장소나 경우; 마음의 상태. 경지; 경; 장소. 범위. 처지; 심경. 경지(境地); 흥; 흥취. 흥미. 재미. 〔동의어〕面白み; 좌흥(座興); 『문학』 한시(漢詩) 육의(六義)의 하나. 어떤 사물에 접하여 자기의 감흥을 표현함
金魚
『어류』 금붕어; ⇒ きんりょう
蝶
장. 장부. 공책; 총·가래·괭이·노·톱·대패·식칼·먹·양초·숫돌·三味線·바이올린 등을 세는 말. 정. 자루; 가마·인력거 등 탈것을 세는 말. 채[대]. 〔참고〕 「丁」로도 씀; 거문고·활 등을 세는 말. 개; 장막·모기장 등을 세는 말. 장; 짝수. 특히 주사위의 짝수. 〔반의어〕 半; 《수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재래식 장정으로 된 책의 장수를 세는 말. 장. ((안팎의 양면이 한 장이 됨)); 두부를 세는 말. 모; (음식점 등에서) 한 사람분을 단위로 하여 요리를 세는 말. 접시. 그릇; ⇒ 町< 1> 2.; 관청. 〔동의어〕役所; 平安 시대, 検非違使의 관청. 〔동의어〕検非違使庁·使庁; 『문어』; 징조. 조짐. 〔동의어〕きざし; 조. 억의 1만배; 『법률』 지방 자치 단체의 하나. ((市와 村의 중간으로 읍(邑)에 해당 〔동의어〕町; 거리(距離)의 단위. 정. 〔참고〕 「丁」로도 씀; 시가(市街)를 소구분(小區分)한 지역 명. ((한국의 ‘동’에 해당)) 〔동의어〕町; 『의학』 정. 정저(疔疽). 정종(疔腫). 급성의 악성 부스럼. 〔동의어〕癤; 장. 우두머리. 〔동의어〕かしら; 『문어』 연장(자). 연상(자); 『문어』 장점. 〔동의어〕長所. 〔반의어〕 短; 「長門の国」의 준말; 조정. 〔반의어〕 野; 천자가 다스리는 나라; 아침. 〔동의어〕あさ·あした; 한 군주 또는 같은 계통의 군주의 재위 기간. 조. 왕조. 〔동의어〕御代; 동일 지방에 도읍을 두었던 시대; 『생리학』 장. 창자. 〔동의어〕はらわた; 조짐. 전조. 징후; 징수함. 공출(供出)시킴; 『곤충』 나비. 〔동의어〕ちょうちょう; 『역사』 律令 제도 시대의 조세(租稅)의 하나. 남자에게 부과되는 인두세로, 그 지방의 토산물을 납부하게 한 것. 〔동의어〕みつぎ; 『음악』 하나의 음계 또는 화음을 기조로 한 음조직의 특성; 일반적으로, ‘가락’을 이르는 말. 〔동의어〕調子; 《名詞에 붙음》; 시가(詩歌)의 음절수에 의한 가락. 조; 어떤 상태·특징·형식 등이 그것의 범주에 속함을 나타냄. 풍(風). 식(式); 『문어』 총애. 〔동의어〕寵愛; 『문어』 독수리. 〔동의어〕鷲; 초; 정도가 그 이상임; 그것에서 극단적으로 벗어나 있음; 『경제』 초과
尾
〈名詞에 붙어〉 ‘잔’ ‘작은’ ‘조그마한’의 뜻; 〈名詞에 붙어〉 어조를 고르거나 표현을 부드럽게 함; 〈用言에 붙어〉 ‘조금’의 뜻; 《「御」의 변한말》; 〈体言·用言에 붙음. 動詞에 붙을 때는 그 連用形에 「になる」 「なさる」 「くださる」 「あそばす」 등이 이어진 꼴이 됨〉 존경의 뜻을 나타냄; 〈体言·用言에 붙음. 動詞 위에 붙을 때는 그 連用形에 「いただく」 「ねがう」 「もうしあげる」 「する」 「いたします」 등이 이어지는 꼴이 됨〉 겸양의 뜻을 나타냄; 〈体言·用言에 붙음〉 공손의 뜻을 나타냄; 〈体言·用言에 붙음〉 친애의 뜻을 나타냄; 〈「お」+動詞連用形+「なさい」의 꼴에서 「なさい」를 생략하고 말을 끊는 꼴〉 가볍고 부드러운 명령을 나타냄; 〈인사말에서 「~…さま」 「~…さん」의 꼴로〉 상대에 대한 동정·위로·위안의 뜻을 나타냄; 〈여자의 이름 위에 붙여〉 존경·친애의 뜻을 나타냄. ((7.은 「阿」 「於」로도 씀)) 〔참고〕 중세 이후 「おん」의 「ん」이 탈락해서 된 말. 한자어에는 「御·」를 쓰고, 고유어(和語)에는 「お·おん」이 붙는 것이 원칙임; ‘수컷’의 뜻. 수. 〔동의어〕おす. 〔반의어〕 雌; ‘사내다운’ ‘씩씩한’의 뜻. 〔참고〕 동물의 경우에는 「牡」로도 씀; (동물의) 꼬리. 〔동의어〕しっぽ; 꼬리 모양의 것; 길게 뻗은 산기슭; 끝. 끝부분. 끄트머리; 결점. 약점; 《고어》 남자. 〔반의어〕女; 쌍으로 된 것 중의 큰 것. 〔반의어〕 女. 〔참고〕 「雄」로도 씀; 삼·모시의 실; ⇒ あく; 줄. 끈. 실; 악기의 줄. 현(弦); 길게 이어진 것
泳ぐ
헤엄치다; 헤쳐 나가다; (일본 씨름에서) 앞으로 고꾸라질 듯이 비틀거리다; 능란하게 처세하다. 【가능동사】 およ·げ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華麗
『어류』 가자미; 『문어』 가령. (새해를 맞아) 나이를 한 살 더 먹음; 『역사』 律令制에서, 친왕가(親王家) 등의 사무·회계를 관리하던 사람. ((明治 이후에는 황족(皇族)·귀족 집안의 관리인도 일컬음)); 가례. 그 집안의 관례; 『물리』 과냉. 과냉각; 가례. 길례(吉例). 경사로운 관례; 가려. 곱고 아름다움. {문어·ナリ 활용 }; 화려. 〔동의어〕はでやか. か-れさ 【명사】 {문어·ナリ 활용 }
水中
수중. 물 속. 〔반의어〕 水面·水底; 물기둥. 〔동의어〕みずばしら
蝶のような尾ひれを持つとっても美しい金魚なんだ
美しい
아름답다. 〔반의어〕 みにくい; 곱다. 예쁘다; (사람의 행위·태도 등이) 훌륭하다. うつくし·が·る 【5단 활용 타동사】 うつくし·げ 【형용동사】 うつくし·さ 【명사】 【문어형】 うつく·し {シク 활용}
金魚
『어류』 금붕어; ⇒ きんりょう
蝶
장. 장부. 공책; 총·가래·괭이·노·톱·대패·식칼·먹·양초·숫돌·三味線·바이올린 등을 세는 말. 정. 자루; 가마·인력거 등 탈것을 세는 말. 채[대]. 〔참고〕 「丁」로도 씀; 거문고·활 등을 세는 말. 개; 장막·모기장 등을 세는 말. 장; 짝수. 특히 주사위의 짝수. 〔반의어〕 半; 《수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재래식 장정으로 된 책의 장수를 세는 말. 장. ((안팎의 양면이 한 장이 됨)); 두부를 세는 말. 모; (음식점 등에서) 한 사람분을 단위로 하여 요리를 세는 말. 접시. 그릇; ⇒ 町< 1> 2.; 관청. 〔동의어〕役所; 平安 시대, 検非違使의 관청. 〔동의어〕検非違使庁·使庁; 『문어』; 징조. 조짐. 〔동의어〕きざし; 조. 억의 1만배; 『법률』 지방 자치 단체의 하나. ((市와 村의 중간으로 읍(邑)에 해당 〔동의어〕町; 거리(距離)의 단위. 정. 〔참고〕 「丁」로도 씀; 시가(市街)를 소구분(小區分)한 지역 명. ((한국의 ‘동’에 해당)) 〔동의어〕町; 『의학』 정. 정저(疔疽). 정종(疔腫). 급성의 악성 부스럼. 〔동의어〕癤; 장. 우두머리. 〔동의어〕かしら; 『문어』 연장(자). 연상(자); 『문어』 장점. 〔동의어〕長所. 〔반의어〕 短; 「長門の国」의 준말; 조정. 〔반의어〕 野; 천자가 다스리는 나라; 아침. 〔동의어〕あさ·あした; 한 군주 또는 같은 계통의 군주의 재위 기간. 조. 왕조. 〔동의어〕御代; 동일 지방에 도읍을 두었던 시대; 『생리학』 장. 창자. 〔동의어〕はらわた; 조짐. 전조. 징후; 징수함. 공출(供出)시킴; 『곤충』 나비. 〔동의어〕ちょうちょう; 『역사』 律令 제도 시대의 조세(租稅)의 하나. 남자에게 부과되는 인두세로, 그 지방의 토산물을 납부하게 한 것. 〔동의어〕みつぎ; 『음악』 하나의 음계 또는 화음을 기조로 한 음조직의 특성; 일반적으로, ‘가락’을 이르는 말. 〔동의어〕調子; 《名詞에 붙음》; 시가(詩歌)의 음절수에 의한 가락. 조; 어떤 상태·특징·형식 등이 그것의 범주에 속함을 나타냄. 풍(風). 식(式); 『문어』 총애. 〔동의어〕寵愛; 『문어』 독수리. 〔동의어〕鷲; 초; 정도가 그 이상임; 그것에서 극단적으로 벗어나 있음; 『경제』 초과
持つ
《속어》 《「臓物」의 준말》 요리의 재료로서의, 닭·소·돼지 등의 내장; 지속하다. 지탱하다. 견디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손에) 들다; (몸에) 지니다. 휴대하다; 소유하다; 존재하다. 있다; 마음에 품다; 맡다. 담당하다. 부담하다; 어떤 성질·속성 등을 지니다. 갖추다; 개최하다. 〔동의어〕開く; 관계하다; 〈「…をもって」 「…をもちまして」의 꼴로〉 …에 의해서. 【가능동사】 も·て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ヒラヒラと蝶が飛んでるみたいできれいでしょう
蝶
장. 장부. 공책; 총·가래·괭이·노·톱·대패·식칼·먹·양초·숫돌·三味線·바이올린 등을 세는 말. 정. 자루; 가마·인력거 등 탈것을 세는 말. 채[대]. 〔참고〕 「丁」로도 씀; 거문고·활 등을 세는 말. 개; 장막·모기장 등을 세는 말. 장; 짝수. 특히 주사위의 짝수. 〔반의어〕 半; 《수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재래식 장정으로 된 책의 장수를 세는 말. 장. ((안팎의 양면이 한 장이 됨)); 두부를 세는 말. 모; (음식점 등에서) 한 사람분을 단위로 하여 요리를 세는 말. 접시. 그릇; ⇒ 町< 1> 2.; 관청. 〔동의어〕役所; 平安 시대, 検非違使의 관청. 〔동의어〕検非違使庁·使庁; 『문어』; 징조. 조짐. 〔동의어〕きざし; 조. 억의 1만배; 『법률』 지방 자치 단체의 하나. ((市와 村의 중간으로 읍(邑)에 해당 〔동의어〕町; 거리(距離)의 단위. 정. 〔참고〕 「丁」로도 씀; 시가(市街)를 소구분(小區分)한 지역 명. ((한국의 ‘동’에 해당)) 〔동의어〕町; 『의학』 정. 정저(疔疽). 정종(疔腫). 급성의 악성 부스럼. 〔동의어〕癤; 장. 우두머리. 〔동의어〕かしら; 『문어』 연장(자). 연상(자); 『문어』 장점. 〔동의어〕長所. 〔반의어〕 短; 「長門の国」의 준말; 조정. 〔반의어〕 野; 천자가 다스리는 나라; 아침. 〔동의어〕あさ·あした; 한 군주 또는 같은 계통의 군주의 재위 기간. 조. 왕조. 〔동의어〕御代; 동일 지방에 도읍을 두었던 시대; 『생리학』 장. 창자. 〔동의어〕はらわた; 조짐. 전조. 징후; 징수함. 공출(供出)시킴; 『곤충』 나비. 〔동의어〕ちょうちょう; 『역사』 律令 제도 시대의 조세(租稅)의 하나. 남자에게 부과되는 인두세로, 그 지방의 토산물을 납부하게 한 것. 〔동의어〕みつぎ; 『음악』 하나의 음계 또는 화음을 기조로 한 음조직의 특성; 일반적으로, ‘가락’을 이르는 말. 〔동의어〕調子; 《名詞에 붙음》; 시가(詩歌)의 음절수에 의한 가락. 조; 어떤 상태·특징·형식 등이 그것의 범주에 속함을 나타냄. 풍(風). 식(式); 『문어』 총애. 〔동의어〕寵愛; 『문어』 독수리. 〔동의어〕鷲; 초; 정도가 그 이상임; 그것에서 극단적으로 벗어나 있음; 『경제』 초과
きれい
고움. 예쁨. 아름다움; 깨끗함. 정갈함. 맑음; 흠이 없음; 완전함. 남김없음; 깔끔함. 시원스러움. {문어·ナリ 활용 }
さらに白黒のこちらはまるまる蝶尾って呼ばれているんだけど、 何だか分かる?
蝶
장. 장부. 공책; 총·가래·괭이·노·톱·대패·식칼·먹·양초·숫돌·三味線·바이올린 등을 세는 말. 정. 자루; 가마·인력거 등 탈것을 세는 말. 채[대]. 〔참고〕 「丁」로도 씀; 거문고·활 등을 세는 말. 개; 장막·모기장 등을 세는 말. 장; 짝수. 특히 주사위의 짝수. 〔반의어〕 半; 《수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재래식 장정으로 된 책의 장수를 세는 말. 장. ((안팎의 양면이 한 장이 됨)); 두부를 세는 말. 모; (음식점 등에서) 한 사람분을 단위로 하여 요리를 세는 말. 접시. 그릇; ⇒ 町< 1> 2.; 관청. 〔동의어〕役所; 平安 시대, 検非違使의 관청. 〔동의어〕検非違使庁·使庁; 『문어』; 징조. 조짐. 〔동의어〕きざし; 조. 억의 1만배; 『법률』 지방 자치 단체의 하나. ((市와 村의 중간으로 읍(邑)에 해당 〔동의어〕町; 거리(距離)의 단위. 정. 〔참고〕 「丁」로도 씀; 시가(市街)를 소구분(小區分)한 지역 명. ((한국의 ‘동’에 해당)) 〔동의어〕町; 『의학』 정. 정저(疔疽). 정종(疔腫). 급성의 악성 부스럼. 〔동의어〕癤; 장. 우두머리. 〔동의어〕かしら; 『문어』 연장(자). 연상(자); 『문어』 장점. 〔동의어〕長所. 〔반의어〕 短; 「長門の国」의 준말; 조정. 〔반의어〕 野; 천자가 다스리는 나라; 아침. 〔동의어〕あさ·あした; 한 군주 또는 같은 계통의 군주의 재위 기간. 조. 왕조. 〔동의어〕御代; 동일 지방에 도읍을 두었던 시대; 『생리학』 장. 창자. 〔동의어〕はらわた; 조짐. 전조. 징후; 징수함. 공출(供出)시킴; 『곤충』 나비. 〔동의어〕ちょうちょう; 『역사』 律令 제도 시대의 조세(租稅)의 하나. 남자에게 부과되는 인두세로, 그 지방의 토산물을 납부하게 한 것. 〔동의어〕みつぎ; 『음악』 하나의 음계 또는 화음을 기조로 한 음조직의 특성; 일반적으로, ‘가락’을 이르는 말. 〔동의어〕調子; 《名詞에 붙음》; 시가(詩歌)의 음절수에 의한 가락. 조; 어떤 상태·특징·형식 등이 그것의 범주에 속함을 나타냄. 풍(風). 식(式); 『문어』 총애. 〔동의어〕寵愛; 『문어』 독수리. 〔동의어〕鷲; 초; 정도가 그 이상임; 그것에서 극단적으로 벗어나 있음; 『경제』 초과
尾
〈名詞에 붙어〉 ‘잔’ ‘작은’ ‘조그마한’의 뜻; 〈名詞에 붙어〉 어조를 고르거나 표현을 부드럽게 함; 〈用言에 붙어〉 ‘조금’의 뜻; 《「御」의 변한말》; 〈体言·用言에 붙음. 動詞에 붙을 때는 그 連用形에 「になる」 「なさる」 「くださる」 「あそばす」 등이 이어진 꼴이 됨〉 존경의 뜻을 나타냄; 〈体言·用言에 붙음. 動詞 위에 붙을 때는 그 連用形에 「いただく」 「ねがう」 「もうしあげる」 「する」 「いたします」 등이 이어지는 꼴이 됨〉 겸양의 뜻을 나타냄; 〈体言·用言에 붙음〉 공손의 뜻을 나타냄; 〈体言·用言에 붙음〉 친애의 뜻을 나타냄; 〈「お」+動詞連用形+「なさい」의 꼴에서 「なさい」를 생략하고 말을 끊는 꼴〉 가볍고 부드러운 명령을 나타냄; 〈인사말에서 「~…さま」 「~…さん」의 꼴로〉 상대에 대한 동정·위로·위안의 뜻을 나타냄; 〈여자의 이름 위에 붙여〉 존경·친애의 뜻을 나타냄. ((7.은 「阿」 「於」로도 씀)) 〔참고〕 중세 이후 「おん」의 「ん」이 탈락해서 된 말. 한자어에는 「御·」를 쓰고, 고유어(和語)에는 「お·おん」이 붙는 것이 원칙임; ‘수컷’의 뜻. 수. 〔동의어〕おす. 〔반의어〕 雌; ‘사내다운’ ‘씩씩한’의 뜻. 〔참고〕 동물의 경우에는 「牡」로도 씀; (동물의) 꼬리. 〔동의어〕しっぽ; 꼬리 모양의 것; 길게 뻗은 산기슭; 끝. 끝부분. 끄트머리; 결점. 약점; 《고어》 남자. 〔반의어〕女; 쌍으로 된 것 중의 큰 것. 〔반의어〕 女. 〔참고〕 「雄」로도 씀; 삼·모시의 실; ⇒ あく; 줄. 끈. 실; 악기의 줄. 현(弦); 길게 이어진 것
こちら
〈「こっち」보다 공손한 표현〉 이쪽; 〈「ここ」보다 공손한 표현〉 이곳. 여기; 나. 우리. 우리들; 〈「こちらさん」의 꼴로〉 나에게 가까운 사람을 가리킴. 이분
分かる
알다; 이해할 수 있다; 판명되다. 밝혀지다; 「分かれる」의 문어
何だか
무엇인지. 무언지; 어쩐지. 웬일인지
白黒
흑백; 흰빛과 검은빛; 선악. 시비 곡직(曲直). 1.2.〔동의어〕こくびゃく; 흑백 사진[영화]. 〔동의어〕モノクローム; 〈「目を~させる」의 꼴로〉 놀라거나 어리둥절할 때 눈을 희번덕거리는 모양을 이름
正解はパンダ蝶尾
蝶
장. 장부. 공책; 총·가래·괭이·노·톱·대패·식칼·먹·양초·숫돌·三味線·바이올린 등을 세는 말. 정. 자루; 가마·인력거 등 탈것을 세는 말. 채[대]. 〔참고〕 「丁」로도 씀; 거문고·활 등을 세는 말. 개; 장막·모기장 등을 세는 말. 장; 짝수. 특히 주사위의 짝수. 〔반의어〕 半; 《수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재래식 장정으로 된 책의 장수를 세는 말. 장. ((안팎의 양면이 한 장이 됨)); 두부를 세는 말. 모; (음식점 등에서) 한 사람분을 단위로 하여 요리를 세는 말. 접시. 그릇; ⇒ 町< 1> 2.; 관청. 〔동의어〕役所; 平安 시대, 検非違使의 관청. 〔동의어〕検非違使庁·使庁; 『문어』; 징조. 조짐. 〔동의어〕きざし; 조. 억의 1만배; 『법률』 지방 자치 단체의 하나. ((市와 村의 중간으로 읍(邑)에 해당 〔동의어〕町; 거리(距離)의 단위. 정. 〔참고〕 「丁」로도 씀; 시가(市街)를 소구분(小區分)한 지역 명. ((한국의 ‘동’에 해당)) 〔동의어〕町; 『의학』 정. 정저(疔疽). 정종(疔腫). 급성의 악성 부스럼. 〔동의어〕癤; 장. 우두머리. 〔동의어〕かしら; 『문어』 연장(자). 연상(자); 『문어』 장점. 〔동의어〕長所. 〔반의어〕 短; 「長門の国」의 준말; 조정. 〔반의어〕 野; 천자가 다스리는 나라; 아침. 〔동의어〕あさ·あした; 한 군주 또는 같은 계통의 군주의 재위 기간. 조. 왕조. 〔동의어〕御代; 동일 지방에 도읍을 두었던 시대; 『생리학』 장. 창자. 〔동의어〕はらわた; 조짐. 전조. 징후; 징수함. 공출(供出)시킴; 『곤충』 나비. 〔동의어〕ちょうちょう; 『역사』 律令 제도 시대의 조세(租稅)의 하나. 남자에게 부과되는 인두세로, 그 지방의 토산물을 납부하게 한 것. 〔동의어〕みつぎ; 『음악』 하나의 음계 또는 화음을 기조로 한 음조직의 특성; 일반적으로, ‘가락’을 이르는 말. 〔동의어〕調子; 《名詞에 붙음》; 시가(詩歌)의 음절수에 의한 가락. 조; 어떤 상태·특징·형식 등이 그것의 범주에 속함을 나타냄. 풍(風). 식(式); 『문어』 총애. 〔동의어〕寵愛; 『문어』 독수리. 〔동의어〕鷲; 초; 정도가 그 이상임; 그것에서 극단적으로 벗어나 있음; 『경제』 초과
正解
정해. 바르게 해석[해답]함. 또는 그 해석[해답]; 정계; 성회. 성대한 모임; 정해. 〔반의어〕 略解
尾
〈名詞에 붙어〉 ‘잔’ ‘작은’ ‘조그마한’의 뜻; 〈名詞에 붙어〉 어조를 고르거나 표현을 부드럽게 함; 〈用言에 붙어〉 ‘조금’의 뜻; 《「御」의 변한말》; 〈体言·用言에 붙음. 動詞에 붙을 때는 그 連用形에 「になる」 「なさる」 「くださる」 「あそばす」 등이 이어진 꼴이 됨〉 존경의 뜻을 나타냄; 〈体言·用言에 붙음. 動詞 위에 붙을 때는 그 連用形에 「いただく」 「ねがう」 「もうしあげる」 「する」 「いたします」 등이 이어지는 꼴이 됨〉 겸양의 뜻을 나타냄; 〈体言·用言에 붙음〉 공손의 뜻을 나타냄; 〈体言·用言에 붙음〉 친애의 뜻을 나타냄; 〈「お」+動詞連用形+「なさい」의 꼴에서 「なさい」를 생략하고 말을 끊는 꼴〉 가볍고 부드러운 명령을 나타냄; 〈인사말에서 「~…さま」 「~…さん」의 꼴로〉 상대에 대한 동정·위로·위안의 뜻을 나타냄; 〈여자의 이름 위에 붙여〉 존경·친애의 뜻을 나타냄. ((7.은 「阿」 「於」로도 씀)) 〔참고〕 중세 이후 「おん」의 「ん」이 탈락해서 된 말. 한자어에는 「御·」를 쓰고, 고유어(和語)에는 「お·おん」이 붙는 것이 원칙임; ‘수컷’의 뜻. 수. 〔동의어〕おす. 〔반의어〕 雌; ‘사내다운’ ‘씩씩한’의 뜻. 〔참고〕 동물의 경우에는 「牡」로도 씀; (동물의) 꼬리. 〔동의어〕しっぽ; 꼬리 모양의 것; 길게 뻗은 산기슭; 끝. 끝부분. 끄트머리; 결점. 약점; 《고어》 남자. 〔반의어〕女; 쌍으로 된 것 중의 큰 것. 〔반의어〕 女. 〔참고〕 「雄」로도 씀; 삼·모시의 실; ⇒ あく; 줄. 끈. 실; 악기의 줄. 현(弦); 길게 이어진 것
パンダ
『동물·동물학』 판다. 히말라야에서 중국 서북부에 사는 「レッサーパンダ」와, 중국 서북부에서 티베트 동부에 사는 「ジャイアントパンダ」가 있음
白と黒のコントラストがパンダみたいでしょう
黒
(평지의) 둔덕; 검정. 검은 빛깔; 검은 바둑돌; 용의자의 범죄 사실이 밝혀짐. 또는 그 용의자. 범인. 1.~3.〔반의어〕 白
白
(태도를) 꾸미지 않음; 〈「~を切る」의 꼴로〉 시치미를 떼다; 흰; 가공하지 않은. 제물의. 맨; (술에 취하지 않아서) 맨송맨송한; 완전한. 전혀. 아주; ⇒ かしら
パンダ
『동물·동물학』 판다. 히말라야에서 중국 서북부에 사는 「レッサーパンダ」와, 중국 서북부에서 티베트 동부에 사는 「ジャイアントパンダ」가 있음
コントラスト
콘트라스트; (사진·텔레비전 화면 등의) 명암(明暗)의 차
生き物係を今年もよろしくお願いします
生き物
살아 있는 것. 생물. 특히 동물; (비유적으로) 생명체처럼 살아 움직이는 것
係
계. 담당. 담당 직원; 『언어학』 「係り結び」에서 「係り」가 되는 말. 係り助詞. 〔반의어〕 結び. 〔참고〕 1.은 送りがな를 달지 않고, 그냥 「係」 로 씀; 걸림. (특히, 물고기의) 걸림새. 입질. 또는 낚시의 미늘; 비용. 경비. 지출. 〔참고〕 「掛」로 씀; 만듦 새. 구조; 풍정(風情). 아취. 자태(姿態); 여자의 머리를 길게 늘어뜨린 모양. 또는 그 머리; 초(初). 초입; 남에게 의탁함. 신세를 짐; (바둑에서) 걸침
今年
올해. 금년. 〔동의어〕こんねん·本年
再エネ比率アップで来年度の国民負担年額1万円超に(2021年3月25日)
ラクダとゾウとサル
栄光の架橋
NTTドコモ通信障害が復旧 一部つながりにくい状態(2021年10月14日)
大阪港で千匹以上のヒアリ確認 女王アリも複数(2021年9月28日)
会場は大喝采・・・指揮者コンクール 日本人女性が優勝
西部劇さながら・・・強盗団が貨物列車襲撃 積み荷数千個強奪 米(2022年1月15日)
プーチン大統領 来月に訪中 中国外務省の発表では触れず(2023年9月21日)
カレー「CoCo壱番屋」インドへ進出 豚肉や牛肉は・・・(20/08/04)
ANAの機内食が大人気 オンラインで“即日完売”(2021年1月27日)
You need to upgrade to a premium account to using this feature
Are you sure you want to test again?
Please upgrade your account to read unlimited newspapers